KR20160001981A - New Earphone for a preventing tangle of earphone lines - Google Patents

New Earphone for a preventing tangle of earphone lin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981A
KR20160001981A KR1020140080584A KR20140080584A KR20160001981A KR 20160001981 A KR20160001981 A KR 20160001981A KR 1020140080584 A KR1020140080584 A KR 1020140080584A KR 20140080584 A KR20140080584 A KR 20140080584A KR 20160001981 A KR20160001981 A KR 20160001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line
lines
knot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5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83425B1 (en
Inventor
박상규
Original Assignee
한빛 세마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빛 세마텍(주) filed Critical 한빛 세마텍(주)
Priority to KR1020140080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425B1/en
Publication of KR20160001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9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425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which installs a simple component to unify two lines to solve a problem occurred by frequently tangling two lines of the earphone. The ear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knot unit (200 or 201), which unifies two lines of the earphone and can move a position, and also enables the earphone line to be able to rotate by being coupled to a rotating body unit (205) which can simply rotate. The knot unit includes: a grip unit (210) which can move by holding the whole knot unit; a clip unit (220) which can fixate the knot unit in a particular position on clothes or the like; and a tracking circle unit (160) which can control the length of an audio jack line.

Description

이어폰줄 엉킴 방지용 신형 이어폰 {New Earphone for a preventing tangle of earphone line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earphone for preventing tangle of earphone lines,

본 발명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이어폰의 2줄이 서로 엉킴으로 인하여 사용상 어려움이 발생하여 매우 불편하므로 이를 방지하고자 2선을 단일화(2줄이 벌어지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말함) 혹은 단선화(2개의 줄을 한 개의 줄처럼 결합시키는 것을 말함) 할 수 있는 간단한 부품을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2줄의 엉킴을 방지하기 위한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arphone which is difficult to use due to tangling of two earphone lines, Quot;), or a simple component that can be used to reduce the tangling of two lines by arranging a simple component that can be used to connect the two lines to one another.

이어폰은 스마트폰 등이 발달하여 모든 MP3, PDP, GPS , DMB, PC등 모든 기기등이 통합되어 직접화 되므로 인간에게 필요한 모든 음성(오디오 시그널)을 인간의 귀에 전달하는 유선 혹은 무선 형태의 이어폰의 중요성이 매우 커지고 있다. 중요성이 증대되는 만큼 유선 혹은 무선 이어폰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바, 가장 사용할 때 문제가 되는 부분이 유선 이어폰의 엉킨 줄을 풀기 위하여 시간을 소모하거나 푸는 과정에서 이어폰이 손상되거나 푸는 도중 사고의 위험성이 존재하였다. Earphones are developed by smartphones and all MP3, PDP, GPS, DMB, PC, etc. are integrated and handled direct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earphone of wired or wireless type that transmits all the voice (audio signal) It is becoming very important. As the importance increases, the use of wired or wireless earphones is increasing, and there is a risk of accident during damage or unfreezing of the earphone during the time consuming or unwinding to solve the tangled strings of the wired earphone. Respectively.

유선 이어폰 사용에 따른 줄 엉킴의 불편을 해소하고자 지금까지 다양한 줄 엉킴 방지 기술이 소개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tangling due to the use of the corded earphone, various tangling prevention techniques have been introduced so far.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최근에 등록한 개량형 이어폰 줄감개(특허등록번호 10-0678560호)는 이어폰을 감을 수 있는 별도의 줄감개 장치를 구비하여 이어폰 줄을 정리하고 보관할 수 있게 하였다.      As a typical method, a recently-developed improved earphone line-up device (Patent Registration No. 10-0678560) has a separate line-up device for winding earphone, so that earphone line can be arranged and stored.

또한 다른 유형의 기술은 관절형 이어폰 줄(실용신안등록번호 20-0415822호)로써 이어폰 줄 자체를 관절구조로 만들어서 연성과 경성소재의 성질을 가진 이어폰을 일정한 크기로 접어서 정리될 수 있게 하였다.     Another type of technology is an articulated earphone (Practical New Design Registration No. 20-0415822), which makes the earphone string itself articulated so that the earphone having a soft and hard material property can be folded to a certain size.

이러한 기술들을 살펴보면 먼저 이어폰 줄감개는 이어폰 이외의 별도의 줄감개 장치를 제작하여 이어폰 줄을 감거나 부착하게 하여 부피가 커서 보관 및 이동에 어려움이 있었다.    In the case of these techniques, first, the earphone cord reel was manufactured by making a separate cord reel device other than the earphone, and the earphone cord was wound or adhered, so that it was bulky and difficult to store and move.

관절형 이어폰은 이어폰 자체의 구조를 접었다 폈다를 반복하여 크게 변형시킴으로써, 이어폰 줄이 끊어져 본래의 기능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단점이 있었다.     The articulated earphone repeatedly folded and folded the structure of the earphone itself, causing the earphone string to break, seriously damaging the original function.

한편, 도 1은 종래의 이어폰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귀에 꼽는 부분 이어폰 (101, 102)과 중간에 스탑퍼 역할을 하는 이음부(110), 이음부분 이하에는 오디오를 전달하는 선(131)과 스마트폰 혹은 PC 등 음성플레이어 장치(10)에 꼽는 단자(140, 141)로 구성된다.     FIG. 1 illustrates a conventional earphone. FIG. 1 illustrates a conventional earphone, which includes earphones 101 and 102, a joint 110 serving as a stopper in the middle, a line 131 for transmitting audio, And terminals 140 and 141 that are plugged into the voice player device 10 such as a phone or a PC.

도 2는 종래의 이어폰으로 도 1에서 기술한 이어폰을 좀더 다향화한 이어폰으로서 볼륨가변조정기능 부품(150), 오디오 시그널의 언오프 기능 스위치(153), 마이크(155) 등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부품을 기능이 추가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부품들은 통상적으로 이어폰 2줄의 중간 이음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중간 이음부분 하단부가 소리를 귀에 전달하는 선(131)과 사람의 음성을 기기로 전달하는 선(132)의 2선으로서 구성될 수밖에 없다. FIG. 2 is a conventional earphone, which can be used as an earphone in which the earphone described in FIG. 1 is more specifically described in FIG. 1 as a volume variable adjusting function part 150, an audio signal unfolding function switch 153, It shows the added function of the part. These functional parts are usually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two earphones. In Fig. 2,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middle joint is inevitably composed of two lines, a line 131 for transmitting sound to the ear and a line 132 for transmitting the voice of a person to the device.

2선의 유선 이어폰을 주머니 등에 보관하였다가 다시 사용하고자 꺼내었을 때에는 줄엉킴 현상이 발생하여 즉시 사용하기 어려운 불편이 있었다. When the 2-line wired earphone is stored in a pocket or the like and then taken out for use again, there is a tangle-like phenomenon, which is inconvenient to use immediately.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2선의 이어폰에 간단한 부속품을 설치함으로써 2선을 간편하게 묶어주어 선의 엉킴을 방지하고 엉킴에 의해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과 불편함을 해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s and inconveniences caused by tangling of lines by simply connecting two wires by installing simple accessories on the two-wire earphone .

또한, 이어폰에 연결된 2선의 길이가 너무 긴 경우가 있어, 이의 벌어지는 2선의 길이부분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품을 장착하여 보다 사용자들의 필요에 맞춰서 적절하게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length of two lines connected to the earphone may be too long, so that the length of the two lines of the earphone can be adjusted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have.

상기한 방식의 경우에 더하여 벨크로 방식, 지퍼 방식, 암수 단추 장착, 이어폰줄 뒷면에 다른 이어폰줄이 체결될 수 있도록 홈을 만들어 2개의 이어폰줄이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 요철형태의 이어폰 줄이 체결되어 정해진 슬라이딩 레일 안에서 움직이도록 하는 방식 등을 사용하여 이어폰의 2선을 결합하여 단선화함으로써 이어폰 줄이 엉키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re is a method in which two earphone strings can be fastened by making a groove so that another earphone string can be fastened to the back of the earphone string, a velcro type, a zipper typ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he tangling of the earphone string by combining two lines of the earphone by using a method of moving the earphone string in a predetermined sliding rail.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어폰줄 엉킴 방지용 신형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신형 이어폰은, 2줄의 이어폰이 각기 동작하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2줄이 엉키지 않도록 하는 매듭부; 상기 매듭부와 체결되어 이를 좌우로 회전시켜 2개의 귀로 연결되는 줄의 각도와 방향을 유연하게 조정하는 회전체부; 상기 매듭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 상기 매듭부에 부착되어 의복 등 특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클립부; 오디오잭선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트랙킹동글부; 상기 트랙킹동글부의 스톱퍼 역할을 하고 이어폰줄이 2줄로 갈라지는 이음부; 상기 매듭부와 이음부 사이의 2줄을 1줄로 결합하는 결합부; 미디어기기에 연결되는 잭;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w type earphone for preventing earphone cord entanglement, wherein the new type earphone includes a knot portion to prevent two strings from being tangled by fixing the two strings of earphones so as not to operate; A rotating body part coupled to the knot part and rotated to the left and right to flexibly adjust the angle and direction of the string connected to the two ears; A knob portion capable of moving the knot portion; A clip portion attached to the knot portion and fixable at a specific position such as clothes; A tracking dongl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audio jack line; A joint part serving as a stopper of the tracking dongle part and having an earphone string split into two lines; A joining part for joining two lines between the knot part and the joint part in one line; And a jack connected to the media device.

본 발명은 상기 신형 이어폰의 2줄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단일화하여 이동이 가능한 매듭부가 설치되고, 상기 매듭부에 의복 등 특정 물건에 고정시킬 수 있는 클립부가 있으며, 상기 매듭부에 특정 철제 제품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자성체 물질로 만들어진 클립부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knot portion capable of being moved so as to maintain a uniform width of two lines of the earphone of the new type is provided and a clip portion which can be fixed to a specific object such as clothing is provided on the knot portion, And a clip portion made of a magnetic material material so as to be able to be fixed to the base memb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합부에 벨크로 방식, 소형 지퍼 방식, 복수개의 단추 방식, 한 쪽 이어폰 줄의 뒷면에 반대쪽에 이어폰 줄의 직경에 해당되는 홈을 파서 반대쪽 이어폰의 줄이 결합되는 방식, 2개의 이어폰 줄이 요철형태로 체결되면서 정해진 레일 안에서 움직이도록 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어폰 2줄이 단선화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Velcro type, a small-sized zipper type, a plurality of button type, a method in which a string corresponding to a diameter of an earphone string is paired with a back side of one earphone string, The earphone string is concatenated in a concave-convex shape so as to move in a predetermined rail, so that the earphone can be cut in two line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매듭부와 복합하여 음성전달 오디오잭선이 감겨서 안쪽으로 들어갈 수 있는 트랙킹동글이 설치되어 있고, 목걸이형상의 줄에 2개의 이어폰줄을 배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tracking dongle is provided which is combined with the knot portion so that a voice transmission audio jack line can be wound and enter into the inside, and two earphone lines are arranged on a line of a necklace shape.

본 발명은 이어폰 2줄의 엉킴을 방지함으로써, 줄의 엉킴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여러 문제와 불편함을 해소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향살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angles of two earphone lines, thereby solving various problems and inconveniences caused by tangling of the strings, and thus, convenience in use can be exacerbated.

또한, 본 발명은 이어폰의 2선으로 갈라지는 이어폰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회전부가 있어 이어폰줄이 유연하게 움직이며, 이를 특정재료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클립부과 복합적으로 결합하여 의복이나 다른 물품에 고정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length of an earphone that is split into two lines of earphone, and the earphone line is flexibly moved by the rotation part, and it is combined with the clip part containing a specific material component to be fixed There is a remarkable effect that can be achieved.

또한, 본 발명은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마트폰 등 기기에 연결되는 오디오선을 트랙킹동글부에 의해서 동글 내부에 수용시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어폰 선들을 간소화하고 엉킴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earphone is not used, the audio line connected to th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is accommodated in the dongle by the tracking dongle portion so as not to be exposed, thereby simplifying the earphone lines and completely preventing the tangling .

도 1은 종래의 이어폰 기능만 있는 이어폰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이어폰과 마이크 기능을 겸비한 이어폰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2선을 단일화하고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부품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화하는 매듭부의 하단에 회전하는 회전체부에 체결하여 이어폰의 줄의 방향이 바뀜에 따라 자유자재로 방향이 회전 조절되어 이어폰의 줄을 대칭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2선을 단일화하는 매듭부와 회전체부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2선을 단일화하는 또다른 사각형태의 매듭부와 회전체부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의 매듭부와 결합하여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클립부를 함께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의 매듭부를 사용하여 2줄의 이어폰을 단일화하여 사용시와 비사용시의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킹동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킹동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트랙킹동글부이 오디오잭선을 감아서 넣고 풀어서 빼는 것에 대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지퍼를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지퍼를 설치하여 2줄의 이어폰을 단선화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줄의 이어폰 뒷면에 음홈을 두어 다른줄의 이어폰줄이 체결되어 단선화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개의 원형이어폰줄을 홈을 만들어 체결하고 레일방식 부품안에 가두어 단선화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개의 신형 이어폰줄을 요철형태로 만들어 체결하고 레일방식 내부에 가두어 단선화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선화부품과 트랙킹동글부를 설치하여 이어폰줄을 단선화하고 간소화하여 사용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단추을 사용하여 2개의 이어폰줄을 단선화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단추을 사용하여 2개의 이어폰줄을 단선화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추방식을 사용하여 이어폰줄을 단선화하고 트랙킹동글부를 사용하여 오디오잭선을 최소화하는 것들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걸이형상줄에 2개의 이어폰줄로 구성하고 각 줄에 원통형부품을 설치하여 2개의 이어폰줄을 단일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트랙킹동글부을 설치하여 오디오잭선의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간소화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arphone having a conventional earphone function.
2 is a view showing an earphone having a conventional earphone and a microphone function.
FIG. 3A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art that can unify and adjust the length of two earphone li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C is a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knot portion for unifying two earphone lines and a rotating body portion are used in combin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D is a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nother rectangular-shaped knot portion and a rotating body portion that unify the earphone l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clip unit capable of fixing a position in combination with the knot of FIG.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a pair of earphones are unified using the knot portion of FIG.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hen the earphone is used and not used.
6A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racking dongl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racking dongl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C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tracking dongle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audio jack line is wound around and pulled out.
7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micro-sized zi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B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cutting two strings of earphones by installing a micro-sized zi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attaching a sound hole to the back of a single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asten the other earphone string to the earphone string.
FIG. 8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making two circular earphone str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aking grooves and inserting them into a rail-type part to cut and line.
FIG. 8C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making two new earphone str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ncavo-convex shape and fastening the earphone string to the inside of a rail system to cut the earphone string.
FIG. 8D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earphone component and a tracking dongle portion are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horten and simplify the earphone string.
FIG. 9A is a plan view showing a method of cutting two earphone strings using a plurality of butt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cutting two earphone strings using a plurality of butt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C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earphone line shortening using the butt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inimizing the audio jack line using the tracking dongle por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TI ID = 0.0 > simplifying < / RTI >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hapes and the lik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can be exaggeratedly express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member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and constructions which are considered to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줄 엉킴 방지용 신형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신형 이어폰은 2줄의 이어폰이 각기 동작하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2줄이 엉키지 않도록 하는 매듭부(200)와 상기 매듭부(200)와 체결되어 이를 좌우로 회전시켜 2개의 귀로 연결되는 줄의 각도와 방향을 유연하게 조정하는 회전체부(205)와 상기 매듭부(2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210)와 상기 매듭부에 부착되어 의복 등 특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클립부(220)와 오디오잭선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트랙킹동글부(160)와 상기 트랙킹동글부(160)의 스톱퍼 역할을 하고 이어폰줄이 2줄로 갈라지는 이음부(110)와 상기 매듭부(200)와 이음부(110) 사이의 2줄을 1줄로 결합하는 결합부 미디어기기에 연결되는 잭(140, 141);을 포함한다. The new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arphone has a knot portion 200 and a knot portion 200 to prevent two strings from being tangled by fixing two earphones to prevent the earphone from operating, A knob portion 210 for moving the knot portion 200 and a knob portion 210 for moving the knot portion 200. The knob portion 210 is provided on the knot portion 200, A tracking dongle 160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audio jack line and a stopper for the tracking dongle 160. The earphone line is divided into two lines And a jack 140 and 141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media device for coupling two lines between the knot part 110 and the knot part 200 and the joint part 110 in one line.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이어폰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귀에 꼽아 오디오를 들을 수 있는 이어폰(101, 102)과 중간에 이어폰줄이 2줄로 갈라지는 이음부(110), 이음부 이하에는 오디오를 전달하는 오디오잭선(131)과 스마트폰 혹은 PC 등 미디어기기(10)에 꼽는 잭(140, 141)로 구성된다. FIG. 1 and FIG. 2 illustrate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earphone, which includes earphones 101 and 102 for listening to audio through earphones, a joint 110 for dividing an earphone string into two strings in the middle, An audio jack line 131 and jacks 140 and 141 which are plugged into a media device 10 such as a smart phone or a PC.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의 이어폰들은 통상적으로 중간 이음부(110)에서 2줄로 갈라져서 인간의 귀에 전달되도록 이어폰이 2줄로 구성되어 있다. 이어폰 2줄이 각각 존재함으로서 이 2줄이 서로 엉켜서 이를 푸는 데 많은 불편함을 겪고 있었다 . As shown in FIGS. 1 and 2, conventional earphones are usually divided into two lines at the middle joint part 110 and are arranged in two lines so as to be delivered to the human ear. There were two lines of earphone, and these two strings were tangled each other and were suffering from uneasiness to solve it.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줄 엉킴 방지용 신형 이어폰에 대하여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통형의 매듭부(200)을 설치하여 2줄의 이어폰이 안에 들어가 묶는 역할을 함으로써 2줄이 각기 움직여 엉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First, as shown in FIG. 3A, a new typ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ylindrical knot portion 200, and two strings of earphones are inserted and tied therein, so that two strings are tangled .

원통형의 매듭부(200)는 한쪽면이 터져 있어, 이어폰줄이 들어가고 나올 수 있도록 하며, 또한 2줄의 이어폰줄들이 매듭부 안에서 움직이는데 있어 마찰을 감소시켜 신축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역할을 한다. The cylindrical knot 200 has one side blown out to allow the earphone string to come in and out, and the two strings of earphone strings can move in the knot flexibly to reduce friction and to move flexibly.

또한, 도 3a에서 예시하듯이, 상기 매듭부(200)는 회전체부(205)와 체결되어 이어폰줄이 회전 가능하게 함으로써, 2개의 이어폰줄의 양쪽 귀에까지 연결되는 데 있어 머리의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각 줄이 연결되는 각도와 힘의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3A, the knot portion 200 is coupled to the rotary body portion 205 so that the earphone string is rotatable, so that the knot portion 200 is connected to both ears of the two earphone strings, Allow each line to move flexibly to balance the angle and force to which it connects.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러한 회전체부(205)는 고정부(204)와 회전부(203)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정부(204)는 손잡이부(210)와 체결되어 있다. 3B, the rotating body 205 is composed of a fixed portion 204 and a rotating portion 203, and the fixed portion 204 is fastened to the pull tab 210. As shown in FIG.

즉,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10)를 잡고 움직임으로써 2줄의 이어폰줄을 매듭부(200) 안에 가둔 상태에서 상하로 움직이게 하도록 하며, 매듭부(200)는 회전체부(205) 내의 회전부(203)와 일체화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2개의 이어폰줄의 단일화하는 작업과, 2줄로 갈라지는 이어폰줄의 길이 조절과 동시에 이이폰줄들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C, the knob portion 200 moves the knob portion 200 in a state where the two earphone strings are held in the knot portion 200 by moving the knob portion 210, So as to be rotatable. It is characterized by the unification of two earphone lines, the adjustment of the length of the earphone line which is split into two lines, and the rotation of these earphone lines.

도 3d에 의하면, 상기 원통형 매듭부(200) 이외에 내부가 빈 형태의 사각형 매듭부(201)를 예시하였다. 이 사각형 매듭부(201)는 한쪽 귀퉁이가 터져 있어 2개의 이어폰줄이 삽입 및 탈착이 가능하며, 이어폰줄의 단일화 및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한 2가지의 즉, 원통형 매듭부(200)나 사각형 매듭부(201) 등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Referring to FIG. 3D, a square knot 201 having an empty shape in addition to the cylindrical knot 200 is illustrated. The square knot portion 201 has one corner thereof so that two earphone lines can be inserted and removed, and the earphone line can be unified and moved up and dow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and it is construe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two embodiments, namely, the embodiments of the cylindrical knot 200 and the square knot 201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부(220)는 손잡이부(210)와 체결하여 의복 등 특정 물건에 고정시킬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FIG. 4, the clip unit 220 is fastened to the handle 210 so that it can be fixed to a specific item such as clothes.

상기 클립부(220)는 구조적으로는 벌어졌다 물었다 할 수 있도록 집게(미도시)와 스프링부(미도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의복 등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이어폰이 다른 물체 등에 엉키어 발생할 수 있는 이어폰줄의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clip portion 220 is constructed of a clip (not shown) and a spring portion (not shown) so that the clip portion 220 can be structurally opened and closed. The clip portion 220 can be fixed to clothes or the like using the clip portion 220,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risk of the earphone line which may occur.

또한, 클립부(220)는 특정한 특성이 있는 물질로 구성하여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피장착물에 고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클립부(220)를 자성체의 재료로 만들어 철성분의 손잡이부(210)에 달라 붙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립부(220)를 자성체의 재료로 만들어 철성분의 피장착물체에 달라 붙게 할 수 있다.Further, the clip portion 220 can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can be fixed to the object using such a property. For example, the clip portion 220 may b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so as to be attached to the handle portion 210 of the iron component. For example, the clip portion 220 can b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so as to stick to the object to be iron-bonded.

도 5는 매듭부(200)에 대하여 사용시와 비사용시 좌/우측 이어폰줄의 길이 조절에 대한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사용시 1의 경우는 전체 이어폰줄의 길이가 원래상태로 있는 경우이고, 사용시 2는 사용자가 2줄의 벌어지는 이어폰줄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하는 경우이며, 비사용시는 매듭부(200)를 이어폰 쪽으로 끝까지 올려 단일화함으로써 2줄의 이어폰이 엉키는 문제를 해결한다. FIG.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knot portion 200 for adjusting the lengths of the left and right earphone strings when used and when not in use. In the case of use 1, the length of the entire earphone string is in its original state. 2 is a case in which the user adjusts the length of the earphone line to be wired with two lines.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earphone line, the user unifies the knot portion 200 to the earphone end to solve the tangling problem.

여기에서 단일화를 위한 원형 매듭부(200)혹은 사각형 매듭부(201), 회전체부(205), 이동을 위한 손잡이부(210)와 위치 고정을 위한 클립부(220) 등을 결합된 형태를 통틀어 매듭부합체(200+)로 명기하였고, 2개의 이어폰줄(111, 112)이 단일화가 되어 2줄의 엉킴문제가 해결되지만, 단일화된 줄들과 스마트폰 등 기기(미도시)에 연결되는 오디오잭(140, 141)의 오디오잭선(131)과 엉킬 수 있다. Here, the circular knot portion 200 or the square knot portion 201, the rotator portion 205, the handle portion 210 for movement, and the clip portion 220 for fixing the position are combined to form a single unit, (200+), and the two earphone lines (111, 112) are unified to solve the problem of two-line tangling, but an audio jack connected to a device (not shown) such as a single line and a smartphone Can be tangled with the audio jack lines (131) of the audio output jacks (140, 141).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매듭부합체(200+)와 더불어 트랙킹동글부(160)을 사용하도록 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king dongle part 160 is used in addition to the knot joint body 200+.

도 6a와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트랙킹동글부(160)는 원형의 동글로서, 오디오잭선(131)이 감기고 풀릴 수 있도록 하는 원형회전부(161)과 오디오잭선을 감을 수 있는 트랙킹홈(16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형회전부(161)이 한쪽 끝에 구멍이 뚫려 원형회전부(161) 내부에 오디오잭선(131)의 끝부분이 고정되어 있고, 오디오잭선을 최대한 풀었다가 당겨서 길이를 조절할 때 마다 선이 정지되도록 하는 회전스톱퍼(164)로 구성되어 있다. 6A and 6B, the tracking dongle 16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ircular dongle. The dongle 160 includes a circular rotation part 161 for allowing the audio jack line 131 to be wound and unwound, a tracking groove 161 for winding the audio jack line, And the end of the audio jack line 131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circular rotation part 161 by making a hole at one end of the circular rotation part 161. When the length of the audio jack line is adjusted by pulling the audio jack line as much as possible, And a rotation stopper 164 for stopping each line.

도 6c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사용시에는 이어폰줄(111,112)의 길이와 오디오잭선(131)길이를 최대한 늘려서 사용하며, 비사용시에는 매듭부합체(200+)에 의해 이어폰줄(111, 112)의 끝까지 올려 단일화하고, 오디오잭선(131)의 길이는 트랙킹동글부(160)안에 말아 넣어 최소화된 상태로 이용한다. 6C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length of the earphone lines 111 and 112 and the length of the audio jack line 131 are maximally used. When not in use, the earphone strings 111 and 112 And the length of the audio jack line 131 is used in a minimized state by being cut into the tracking dongle part 160. [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하여 매듭부합체(200+)와 트랙킹동글부(160)를 사용하여 2개의 이어폰줄(111, 112)과 오디오잭선(131)의 엉킴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oblem of entanglement between the two earphone lines 111, 112 and the audio jack line 131 can be solved by using the knotted joint 200 + and the tracking dongle 160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매듭부합체(200+)은 이어폰의 2줄을 단일화하여 엉킴을 방지할 수 있으나 매듭부합체(200+)가 이어폰 쪽으로 상향이동한 후 좌/우측 이어폰 2줄(111, 112)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는 없다. On the other hand, the knotted joint 200 + can unify two lines of the earphone to prevent tangling. However, after the knotted joint 200+ is moved upward to the earphone, two lines of the left and right earphones 111 and 112 Can not be prevented.

이를 좀더 개선발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좌/우측 이어폰 2줄(111, 112)이 완전히 일치할 수 있도록 좌/우측 이어폰 2줄(111, 112)에 벨크로, 소형 지퍼, 한 쪽 이어폰 줄의 뒷면에 반대 에 이어폰 줄의 직경에 해당되는 크기의 홈이 있는 부품으로 함께 구성하여 반대쪽 이어폰의 줄이 결착되게 하거나, 복수개의 단추을 달아서 체결하거나, 2개의 이어폰 줄이 정해진 레일안에서 움직이도록 하는 방식 등으로 2개의 이어폰 줄이 단선화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two left and right earphones 111 and 112 are provided with a velcro, a small zipper, and a pair of earphone strings on the back side The other way is to make the earphone string of the opposite size fit together with the groove part having the siz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earphone string, or to fasten the earphone string by attaching a plurality of buttons or to move the two earphone strings in the predetermined rail. So that the earphone line is capable of performing the line drawing operation.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지퍼(230)를 설치하여 2줄의 이어폰(111, 112)을 단선화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FIG. 7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shortening two earphones 111 and 112 by installing a micro-zipper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초소형 지퍼(230)의 왼쪽과 오른쪽에 각 이어폰줄을 배치하여 구성함으로써 이어폰줄의 단선화와 이어폰줄의 갈라지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By arranging the respective earphone line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ltra-small zipper 230,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earphone line and the length of the earphone line.

도 7b는 초소형 지퍼(230)와 이의 손잡이부(232)를 이용하여 사용하는 실시예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7B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ultra-small zipper 230 and its handle portion 232 are used.

이어폰줄의 또 다른 단선화하는 다른 실시예로 도 8a에 보여 주듯이, 한 쪽 이어폰(112)뒷면에 반대 쪽 이어폰 줄(111)의 직경에 해당되는 홈이 있는 부품(113)이 구성되어 반대쪽 이어폰의(111) 줄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방법이다. As shown in FIG. 8A, another part of the earphone string is cut, and a part 113 having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opposite earphone string 111 is formed on the back of one earphone 112, And the (111) lines of FIG.

또 다른 실시예로 도 8b에는 상기한 부품에 슬라이딩 레일부(235)를 설치하여 이어폰줄들(111, 112)이 용이하게 체결되어 이동하여 이어폰줄의 단선화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이다. 8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rail part 235 is installed on the above-mentioned part to easily clip the earphone strings 111 and 112 to move the earphone string.

또한 도 8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형 이어폰줄 방식 대신에 선형이어폰줄에 돌기부와 홈부로 구성하여 요형이어폰줄(117)과 철형이어폰줄(118)을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를 슬라이딩레일부(235) 안에서 체결함으로써 2개의 이어폰줄을 단선화하는 방법이다. 8C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near earphone str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ear earphone string includes protrusions and grooves, and the earphone type earbuds 117 and the iron type earbuds 118 are fastened to each other. And the two earphone strings are shortened by fastening them in the sliding rail part 235.

도 8d는 요철방식의 이어폰줄을 결합하여 이어폰줄을 단선화하여 사용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FIG. 8D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earphone line is connected by connecting the earphone line of the concave-convex method.

비사용시에는 이어폰 쪽으로 끝부분까지 슬라이딩 레일부(235)를 올려 2개의 이어폰줄을 단선화하고, 트랙킹동글부(160)를 사용하여 오디오잭선(131)의 길이를 최소화한다.When not in use, the sliding rail portion 235 is lifted up to the end of the earphone to shorten the two earphone strings, and the length of the audio jack line 131 is minimized by using the tracking dongle portion 160.

도 9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줄의 한쪽 편에 단추을 달 수 있는 슬리브부(253, 254)를 설치하여 이 부분에 복수개의 요형단추(251)과 철형단추(252)을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2개의 이어폰줄이 단선화할 수 있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9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arphone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lurality of spout buttons 251 and a plurality of iron buttons 252 are provided at the sleeve portions 253 and 254, So that the two earphone strings can be cut in a line.

도 9b는 이어폰줄(111, 112), 슬리브부(253, 254), 요형버튼(251)과 철형버튼(252)이 체결되는 단면도이다. 9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arphone strings 111 and 112, the sleeve portions 253 and 254, and the spine button 251 and the iron button 252, respectively.

도 9c은 단선화부품(251~254)과 트랙킹동글부(160)을 사용하여 이어폰줄의 단선화와 오디오잭선의 최소화를 보여주는 실시예이다.9C is an embodiment showing the demarcation of an earphone line and the minimization of an audio jack line using the demarcation parts 251 to 254 and the tracking dongle part 160. [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목걸이 형상줄에 2개의 이어폰줄을 배치하고, 2줄의 이어폰이 각기 동작하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2줄이 엉키지 않도록 하는 매듭부(200)와 상기 매듭부와 체결되어 이를 좌우로 회전시켜 좌/우측 이어폰줄의 길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체부(205)와 상기 매듭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210)를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구성하여 2개의 이어폰줄을 단일화 혹은 단선화하고, 오디오잭선(131)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트랙킹동글부(160)를 포함한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knot portion 200 in which two earphone strings are arranged on a neckline shape string and two strings are fixed so as not to be operative, And a knob portion 210 capable of moving the knot portion can be formed by selecting one or more of them to form two or more knot portions, And a tracking dongle unit 160 for unifying or shortening the earphone line and adjusting the length of the audio jack line 131.

여기에서 목걸이 형상줄(270)에 2개의 이어폰줄 (111, 112)을 오른쪽과 왼쪽에 각각 배치하여 구성하고, 여기에 각 이어폰줄에 매듭부(200, 201), 회전체부(205), 손잡이부(210)를 설치하여 2줄의 이어폰줄을 단일화하도록 하고, 또한 트랙킹동글부(160)를 설치하여 비사용시에는 오디오잭선(131)길이를 최소화하고 엉킴 문제를 해결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제고하였다. Here, two earphone lines 111 and 112 are arrang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necklace shape line 270, and the earphone lines are provided with knot portions 200 and 201, a rotating body portion 205, And the tracking dongle 160 is provided to minimize the length of the audio jack line 131 and to solve the problem of tangling when not in use, .

한편, 매듭부(200;201) 대신에 단선화부품(230, 251~254, 113, 235)을 적용하여 목걸이줄에 각 이어폰줄을 단선화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he stripping parts 230, 251 to 254, 113, and 235 instead of the knot portions 200 (201) to cut each earphone string into a necklace string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줄의 엉킴이 없는 이어폰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earphone without the tang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미디어 기기
101 : 좌측 이어폰 , 102 : 우측 이어폰
111 : 좌측 이어폰줄 , 112 : 우측 이어폰줄
110 : 이음부
113 : 원형 이어폰줄 수용홈
117 : 요형이어폰 , 118 : 철형이어폰
131 : 오디오잭선
132 : 마이크잭선
140 : 오디오잭 절연단자 , 141 : 오디오잭 금속단자
142 : 마이크잭 절연단자 , 143 : 마이크잭 금속단자
160 : 트랙킹동글부
161 : 동글이 회전부, 163 : 트랙킹홈
164 : 회전 스톱퍼
200 : 매듭부
205 : 회전체부
210 : 손잡이부, 220 : 클립부
200+ : 매듭부합체
230 : 초소형 지퍼, 232 : 초소형지퍼의 손잡이부
235 : 슬라이딩 레일부
251 : 요형단추, 252 : 철형단추
253 : 요형단추이 달려 있는 슬리브 , 254 : 철형단추이 달려 있는 슬리브
270 : 목걸이 형상줄
10: Media devices
101: Left earphone, 102: Right earphone
111: Left earphone line, 112: Right earphone line
110: joint
113: Round Earphone Holder
117: earphone, 118: iron earphone
131: Audio jack line
132: microphone jack line
140: audio jack insulation terminal, 141: audio jack metal terminal
142: Microphone jack insulation terminal, 143: Microphone jack metal terminal
160: Tracking dongle part
161: rotating part of the dongle, 163: tracking groove
164: rotation stopper
200:
205:
210: handle portion, 220: clip portion
200+: Knot coalescing
230: miniature zipper, 232: handle of miniature zipper
235: sliding rail part
251: Shape button, 252: Iron button
253: Sleeve with button, 254: Sleeve with button
270: Necklace shape line

Claims (3)

이어폰줄 엉킴 방지용 신형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신형 이어폰은, 2줄의 이어폰이 각기 동작하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2줄이 엉키지 않도록 하는 매듭부;
상기 매듭부와 체결되어 이를 좌우로 회전시켜 2개의 귀로 연결되는 줄의 각도와 방향을 유연하게 조정하는 회전체부;
상기 매듭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
상기 매듭부에 부착되어 의복 등 특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클립부;
오디오잭선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트랙킹동글부;
상기 트랙킹동글부의 스톱퍼 역할을 하고 이어폰줄이 2줄로 갈라지는 이음부;
상기 매듭부와 이음부 사이의 2줄을 1줄로 결합하는 결합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줄 엉킴 방지용 신형 이어폰.
In a new earphone for preventing earphone line entanglement,
The new type earphone includes a knot portion to prevent two strings from being tangled by fixing two strings of earphones so that they do not operate;
A rotating body part coupled to the knot part and rotated to the left and right to flexibly adjust the angle and direction of the string connected to the two ears;
A knob portion capable of moving the knot portion;
A clip portion attached to the knot portion and fixable at a specific position such as clothes;
A tracking dongl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audio jack line;
A joint part serving as a stopper of the tracking dongle part and having an earphone string split into two lines;
A joining part for joining two lines between the knot part and the joint part in one line; Wherein the earphone cord is an earpho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벨크로, 초소형 지퍼, 이어폰줄에 슬리브를 달린 복수개의 요형단추과 철형단추, 한 쪽 이어폰 줄의 뒷면에 형성된 수용홈 또는 2개의 상광하협 이어폰 줄이 정해진 슬라이딩 레일부 안에서 움직이도록 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2개의 이어폰 줄이 단선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줄 엉킴 방지용 신형 이어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joining portion may include any one of a velcro, a miniature zipper, a plurality of spine buttons and iron buttons with a sleeve on the earphone string, a receiving groove formed on the back of one earphone string, And the two earphone lines can be disconnected using one earphone.
이어폰줄 엉킴 방지용 신형 이어폰에 있어서,
목걸이 형상줄에 2개의 이어폰줄을 배치하고, 2줄의 이어폰이 각기 동작하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2줄이 엉키지 않도록 하는 매듭부;
상기 매듭부와 체결되어 이를 좌우로 회전시켜 좌/우측 이어폰줄의 길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체부;
상기 매듭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를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구성하여 2개의 이어폰줄을 단일화 혹은 단선화하고,
오디오잭선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트랙킹동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줄 엉킴 방지용 신형 이어폰.
In a new earphone for preventing earphone line entanglement,
A knot portion in which two earphone lines are arranged on the neckline shape line and the two lines of earphone are fixed so that they do not work;
A rotating body coupled to the knot portion and rotated left and right to adjust a length of the left / right earphone line;
And a knob portion capable of moving the knot portion are formed by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m as needed to singularize or shorten the two earphone strings,
And a tracking dongl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audio jack line.
KR1020140080584A 2014-06-30 2014-06-30 New Earphone for a preventing tangle of earphone lines KR1015834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584A KR101583425B1 (en) 2014-06-30 2014-06-30 New Earphone for a preventing tangle of earphone lin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584A KR101583425B1 (en) 2014-06-30 2014-06-30 New Earphone for a preventing tangle of earphone lin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981A true KR20160001981A (en) 2016-01-07
KR101583425B1 KR101583425B1 (en) 2016-01-12

Family

ID=55168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584A KR101583425B1 (en) 2014-06-30 2014-06-30 New Earphone for a preventing tangle of earphone lin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42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608B1 (en) * 2017-10-30 2018-09-07 이현서 Earphone having wire retractab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194Y1 (en) 1999-07-21 2000-02-15 손국일 A neckwear type earphone set with length control unit
KR200336027Y1 (en) 2003-09-08 2003-12-11 주식회사 디지탈웨이 A Necklace Type Earphon of Carrying Audio
KR200387769Y1 (en) 2005-04-13 2005-06-21 크레신 주식회사 Earphone having necklace combined cor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608B1 (en) * 2017-10-30 2018-09-07 이현서 Earphone having wire retractab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3425B1 (en) 201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244B1 (en) Ear set having an automatic winding apparatus
US96484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headphone wires
US8290193B2 (en) Headphones with reduced tangling and methods
EP1932324B1 (en) Neck strap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US9496911B2 (en) Protective cover and retractable lanyard
US20100224714A1 (en) Cord adjustment device
US9414146B2 (en) Cord management and clip system for wireless audio receiver
KR101216318B1 (en) Mobile phone having funcion of winding wire of earphone
US20150163580A1 (en) Systems for earphone cable management
US2012023053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Tangling for Wired Earphones
KR101583425B1 (en) New Earphone for a preventing tangle of earphone lines
US20050148313A1 (en) Headset cord retainer
CN104581487B (en) Back sticking type earphone winder
KR101073097B1 (en) Arrangement unit for earphones
KR200462710Y1 (en) An earphone which has a variable extension line
KR200396764Y1 (en) Earphone
KR101367110B1 (en) Earphone wire winding device
KR20100033504A (en) Apparatus for cable winder of electric wire
KR200426046Y1 (en) Portable Case for MP3 Player which can be Earphone Fixed
US9615160B1 (en) Earphone system with retractable cables
KR101507395B1 (en) Wearable earphone using slapband
KR101835355B1 (en) Wireless earphone apparatus having automatic line winder
KR20180026646A (en) Smartphone accessory having arrangement earphon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1137035A (en) Neck strap
JP2007151054A (en) Smart keeper (necklace holder for stereo ear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