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799A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799A
KR20160001799A KR1020140079101A KR20140079101A KR20160001799A KR 20160001799 A KR20160001799 A KR 20160001799A KR 1020140079101 A KR1020140079101 A KR 1020140079101A KR 20140079101 A KR20140079101 A KR 20140079101A KR 20160001799 A KR20160001799 A KR 20160001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inorganic
inorganic film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우용
이아람
차태운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9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799A/ko
Priority to US14/526,290 priority patent/US20150378206A1/en
Publication of KR20160001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45Insulating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77Cells with plural compartments or having plurality of liquid crystal microcells partitioned by walls, e.g. one microcell per pixe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4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or shape of the interlayer dielectric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59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절연 기판, 상기 절연 기판 위에 위치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화소 전극, 미세 공간 내를 채우고 있는 액정층, 상기 액정층 위에 위치하며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미세 공간에 의해 이격된 공통 전극, 상기 공통 전극 위에 위치하는 지붕층, 상기 미세 공간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공통 전극 및 상기 지붕층에 형성되어 있는 주입구, 상기 주입구를 덮도록 상기 지붕층 위에 형성되어 상기 미세 공간을 밀봉하는 덮개막, 및 상기 덮개막 위에 위치하는 보호막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막은 상이한 종류의 무기막을 복수개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널리 이용되는 컴퓨터 모니터, 텔레비전, 휴대폰 등에는 표시 장치가 필요하다. 표시 장치에는 음극선관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플라즈마 표시 장치 등이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 중 하나로서,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등 전기장 생성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표시판과 그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며, 전기장 생성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에 전기장을 생성하고 이를 통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의 배향을 결정하고 입사광의 편광을 제어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두 장의 표시판은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과 대향 표시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에는 게이트 신호를 전송하는 게이트선과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선이 서로 교차하여 형성되고,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과 연결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어 있는 화소 전극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대향 표시판에는 차광부재, 색필터, 공통 전극 등이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차광 부재, 색필터, 공통 전극이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두 장의 기판이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두 장의 기판 위에 각각의 구성 요소들을 형성함으로써, 표시 장치가 무겁고, 두꺼우며, 비용이 많이 들고, 공정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하나의 기판을 이용하여 표시 장치를 제조함으로써, 무게, 두께, 비용 및 공정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표시 장치의 일면을 통한 수분 침투를 저지하여 표시 장치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요성이 향상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절연 기판, 상기 절연 기판 위에 위치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화소 전극, 미세 공간 내를 채우고 있는 액정층, 상기 액정층 위에 위치하며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미세 공간에 의해 이격된 공통 전극, 상기 공통 전극 위에 위치하는 지붕층, 상기 미세 공간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공통 전극 및 상기 지붕층에 형성되어 있는 주입구, 상기 주입구를 덮도록 상기 지붕층 위에 형성되어 상기 미세 공간을 밀봉하는 덮개막, 및 상기 덮개막 위에 위치하는 보호막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막은 상이한 종류의 무기막을 복수개 포함한다.
상기 보호막은 유기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막은 상기 유기막과 상기 무기막은 교번하여 복수회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무기막의 재질은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티타늄(TiO2) 및 산화주석(SnO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막은 상이한 재질의 제1 무기막 및 제2 무기막이 교번하여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제1 무기막 및 제2 무기막의 두께는 약 1Å일 수 있다.
상기 유기막의 재질은 폴리아미드(polyamide), 나일론(nylon) 6, 나일론(nylon) 66,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우레아(polyurea), 폴리티오우레아(polythiourea),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아조메틴(polyazomethin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기막, 상기 제2 무기막 및 상기 유기막의 경계는 불분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기판 위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 제1 절연층 위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화소 전극 위에 희생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층 위에 공통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공통 전극 위에 유기 물질을 도포하고, 패터닝하여 지붕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층을 노출시키는 단계, 노출된 영역을 통해 상기 희생층을 제거하여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미세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미세 공간으로 액정 물질을 주입하여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붕층 위에 덮개막을 형성하여 상기 미세 공간을 밀봉하는 단계, 및 상기 덮개막 위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막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막은 유기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기막은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을 사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유기막은 분자층 증착법(Molecular Layer Deposition, MLD)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막은 상기 유기막과 상기 무기막이 교번하여 복수회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무기막의 재질은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티타늄(TiO2) 및 산화주석(SnO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막은 상이한 재질의 제1 무기막 및 제2 무기막을 교번하여 적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막의 재질은 폴리아미드(polyamide), 나일론(nylon) 6, 나일론(nylon) 66,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우레아(polyurea), 폴리티오우레아(polythiourea),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아조메틴(polyazomethin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자층 증착법과 상기 분자층 증착법에 의해 형성된 상기 유기막 및 무기막의 경계는 불분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자층 증착법에 의해 형성된 상기 무기막의 두께는 약 1 Å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은 하나의 기판을 이용하여 표시 장치를 제조함으로써, 무게, 두께, 비용 및 공정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로 침투하는 수분을 막아 표시 장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의 가요성을 향상시켜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한 화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라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V-IV선을 따라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막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막의 단면 이미지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막의 단면 이미지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막에 대한 딥핑(dipping) 평가 이미지이며, 도 15는 비교예에 대한 딥핑 평가 이미지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막 및 비교예에 대한 수분 투습도 평가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편의상 도 1에는 일부 구성 요소만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진 기판(110), 기판(110) 위에 형성되어 있는 지붕층(360)을 포함한다.
기판(110)은 복수의 화소 영역(PX)을 포함한다. 복수의 화소 영역(PX)은 복수의 화소 행과 복수의 화소 열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각 화소 영역(PX)은 제1 부화소 영역(PXa) 및 제2 부화소 영역(PX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화소 영역(PXa) 및 제2 부화소 영역(PXb)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화소 영역(PXa)과 제2 부화소 영역(PXb) 사이에는 화소 행 방향을 따라서 제1 골짜기(V1)가 위치하고 있고, 복수의 화소 열 사이에는 제2 골짜기(V2)가 위치하고 있다.
지붕층(360)은 화소 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 골짜기(V1)에서는 지붕층(360)이 제거되어 지붕층(360) 아래에 위치하는 구성 요소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주입구(307)가 형성되어 있다.
각 지붕층(360)은 인접한 제2 골짜기(V2) 사이에서 기판(110)으로부터 떨어져 형성됨으로써, 미세 공간(305)이 형성된다. 또한, 각 지붕층(360)은 제2 골짜기(V2)에서는 기판(110)에 부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미세 공간(305)의 양 측면을 덮도록 한다.
또한, 지붕층(360)은 지붕층(360) 아래에 형성되는 구성들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는바, 지붕층(360)에 의해 표시 장치의 평면이 거의 평탄화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화소 영역(PX), 제1 골짜기(V1), 및 제2 골짜기(V2)의 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하고, 복수의 지붕층(360)은 제1 골짜기(V1)에서 서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각 지붕층(360)의 일부는 제2 골짜기(V2)에서 기판(110)으로부터 떨어져 형성됨으로써 인접한 미세 공간(305)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어, 도 2 내지 도 5에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한 화소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한 화소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라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IV-IV선을 따라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막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절연 기판(110) 위에 복수의 게이트선(121), 복수의 감압 게이트선(123) 및 복수의 유지 전극선(131)을 포함하는 복수의 게이트 도전체가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선(121) 및 감압 게이트선(123)은 주로 가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게이트 신호를 전달한다. 게이트 도전체는 게이트선(121)으로부터 위아래로 돌출한 제1 게이트 전극(124h) 및 제2 게이트 전극(124l)을 더 포함하고, 감압 게이트선(123)으로부터 위로 돌출한 제3 게이트 전극(124c)을 더 포함한다. 제1 게이트 전극(124h) 및 제2 게이트 전극(124l)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돌출부를 이룬다. 이때, 제1, 제2, 및 제3 게이트 전극(124h, 124l, 124c)의 돌출 형태는 변경이 가능하다.
유지 전극선(131)도 주로 가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공통 전압(Vcom) 등의 정해진 전압을 전달한다. 유지 전극선(131)은 위 아래로 돌출한 유지 전극(129), 게이트선(121)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아래로 뻗은 한 쌍의 세로부(134) 및 한 쌍의 세로부(134)의 끝을 서로 연결하는 가로부(127)를 포함한다. 가로부(127)는 아래로 확장된 용량 전극(137)을 포함한다.
게이트 도전체(121, 123, 124h, 124l, 124c, 131)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gate insulating layer)(140)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은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화물(SiOx)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절연막(140)은 단일막 또는 다중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제1 반도체(154h), 제2 반도체(154l), 및 제3 반도체(154c)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반도체(154h)는 제1 게이트 전극(124h) 위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반도체(154l)는 제2 게이트 전극(124l) 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3 반도체(154c)는 제3 게이트 전극(124c)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반도체(154h)와 제2 반도체(154l)는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반도체(154l)와 제3 반도체(154c)도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반도체(154h)는 데이터선(171)의 아래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3 반도체(154h, 154l, 154c)는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다결정 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 금속 산화물(metal oxid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반도체(154h, 154l, 154c) 위에는 각각 저항성 접촉 부재(ohmic contact)(도시하지 않음)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저항성 접촉 부재는 실리사이드(silicide) 또는 n형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되어 있는 n+ 수소화 비정질 규소 따위의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반도체(154h, 154l, 154c) 위에는 데이터선(data line)(171), 제1 소스 전극(173h), 제2 소스 전극(173l), 제3 소스 전극(173c), 제1 드레인 전극(175h), 제2 드레인 전극(175l), 및 제3 드레인 전극(175c)을 포함하는 데이터 도전체가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선(171)은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며 주로 세로 방향으로 뻗어 게이트선(121) 및 감압 게이트선(123)과 교차한다. 각 데이터선(171)은 제1 게이트 전극(124h) 및 제2 게이트 전극(124l)을 향하여 뻗으며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1 소스 전극(173h) 및 제2 소스 전극(173l)을 포함한다.
제1 드레인 전극(175h), 제2 드레인 전극(175l) 및 제3 드레인 전극(175c)은 넓은 한 쪽 끝 부분과 막대형인 다른 쪽 끝 부분을 포함한다. 제1 드레인 전극(175h) 및 제2 드레인 전극(175l)의 막대형 끝 부분은 제1 소스 전극(173h) 및 제2 소스 전극(173l)으로 일부 둘러싸여 있다. 제2 드레인 전극(175l)의 넓은 한 쪽 끝 부분은 다시 연장되어 'U'자 형태로 굽은 제3 소스 전극(173c)을 이룬다. 제3 드레인 전극(175c)의 넓은 끝 부분(177c)은 용량 전극(137)과 중첩하여 감압 축전기(Cstd)를 이루며, 막대형 끝 부분은 제3 소스 전극(173c)으로 일부 둘러싸여 있다.
제1 게이트 전극(124h), 제1 소스 전극(173h), 및 제1 드레인 전극(175h)은 제1 반도체(154h)와 함께 제1 박막 트랜지스터(Qh)를 형성하고, 제2 게이트 전극(124l), 제2 소스 전극(173l), 및 제2 드레인 전극(175l)은 제2 반도체(154l)와 함께 제2 박막 트랜지스터(Ql)를 형성하며, 제3 게이트 전극(124c), 제3 소스 전극(173c), 및 제3 드레인 전극(175c)은 제3 반도체(154c)와 함께 제3 박막 트랜지스터(Qc)를 형성한다.
제1 반도체(154h), 제2 반도체(154l), 및 제3 반도체(154c)는 서로 연결되어 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스 전극(173h, 173l, 173c)과 드레인 전극(175h, 175l, 175c) 사이의 채널 영역을 제외하고는 데이터 도전체(171, 173h, 173l, 173c, 175h, 175l, 175c) 및 그 하부의 저항성 접촉 부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제1 반도체(154h)에는 제1 소스 전극(173h)과 제1 드레인 전극(175h) 사이에서 제1 소스 전극(173h) 및 제1 드레인 전극(175h)에 의해 가리지 않고 노출된 부분이 있고, 제2 반도체(154l)에는 제2 소스 전극(173l)과 제2 드레인 전극(175l) 사이에서 제2 소스 전극(173l) 및 제2 드레인 전극(175l)에 의해 가리지 않고 노출된 부분이 있으며, 제3 반도체(154c)에는 제3 소스 전극(173c)과 제3 드레인 전극(175c) 사이에서 제3 소스 전극(173c) 및 제3 드레인 전극(175c)에 의해 가리지 않고 노출된 부분이 있다.
데이터 도전체(171, 173h, 173l, 173c, 175h, 175l, 175c) 및 각 소스 전극(173h/173l/173c)과 각 드레인 전극(175h/175l/175c) 사이로 노출되어 있는 반도체(154h, 154l, 154c) 위에는 제1 절연층(180)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절연층(180)은 유기 절연 물질 또는 무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일막 또는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80) 위에는 각 화소 영역(PX) 내에 색필터(230)가 형성되어 있다. 각 색필터(230)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삼원색 등 기본색(primary color)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색필터(230)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삼원색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록색(cyan), 자홍색(magenta), 옐로(yellow), 화이트 계열의 색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색필터(230)는 이웃하는 데이터선(171) 사이를 따라서 열 방향으로 길게 뻗을 수도 있다.
이웃하는 색필터(230) 사이의 영역에는 차광 부재(220)가 형성되어 있다. 차광 부재(220)는 화소 영역(PX)의 경계부와 박막 트랜지스터 위에 형성되어 빛샘을 방지할 수 있다. 색필터(230)는 각 제1 부화소 영역(PXa)과 제2 부화소 영역(PXb)에 형성되고, 제1 부화소 영역(PXa)과 제2 부화소 영역(PXb) 사이에는 차광 부재(220)가 형성될 수 있다.
차광 부재(220)는 게이트선(121) 및 감압 게이트선(123)을 따라 뻗어 위아래로 확장되어 있으며 제1 박막 트랜지스터(Qh), 제2 박막 트랜지스터(Ql) 및 제3 박막 트랜지스터(Qc) 등이 위치하는 영역을 덮는 가로 차광 부재(220a)와 데이터선(171)을 따라 뻗어 있는 세로 차광 부재(220b)를 포함한다. 즉, 가로 차광 부재(220a)는 제1 골짜기(V1)에 형성되고, 세로 차광 부재(220b)는 제2 골짜기(V2)에 형성될 수 있다. 색필터(230)와 차광 부재(220)는 일부 영역에서 서로 중첩될 수도 있다.
색필터(230) 및 차광 부재(220) 위에는 제2 절연층(24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층(240)은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산화물(SiOxNy)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절연층(240)은 유기 물질로 이루어진 색필터(230) 및 차광 부재(22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제2 절연층(240), 차광 부재(220), 제1 절연층(180)에는 제1 드레인 전극(175h)의 넓은 끝 부분과 제2 드레인 전극(175l)의 넓은 끝 부분을 각각 드러내는 복수의 제1 접촉 구멍(185h) 및 복수의 제2 접촉 구멍(185l)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절연층(240) 위에는 화소 전극(191)이 형성되어 있다. 화소 전극(191)은 인듐-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인듐-아연 산화물(IZO, Indium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화소 전극(191)은 게이트선(121) 및 감압 게이트선(123)을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되어, 게이트선(121) 및 감압 게이트선(123)을 중심으로 화소 영역(PX)의 위와 아래에 배치되어 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1 부화소 전극(191h)과 제2 부화소 전극(191l)을 포함한다. 즉, 제1 부화소 전극(191h)과 제2 부화소 전극(191l)은 제1 골짜기(V1)를 사이에 두고 분리되어 있으며, 제1 부화소 전극(191h)은 제1 부화소 영역(PXa)에 위치하고, 제2 부화소 전극(191l)은 제2 부화소 영역(PXb)에 위치한다.
제1 부화소 전극(191h) 및 제2 부화소 전극(191l)은 제1 접촉 구멍(185h) 및 제2 접촉 구멍(185l)을 통하여 각기 제1 드레인 전극(175h) 및 제2 드레인 전극(175l)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박막 트랜지스터(Qh)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Ql)가 온 상태일 때 제1 드레인 전극(175h) 및 제2 드레인 전극(175l)으로부터 데이터 전압을 인가 받는다.
제1 부화소 전극(191h) 및 제2 부화소 전극(191l) 각각의 전체적인 모양은 사각형이며 제1 부화소 전극(191h) 및 제2 부화소 전극(191l) 각각은 가로 줄기부(193h, 193l), 가로 줄기부(193h, 193l)와 교차하는 세로 줄기부(192h, 192l)로 이루어진 십자형 줄기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부화소 전극(191h) 및 제2 부화소 전극(191l)은 각각 복수의 미세 가지부(194h, 194l), 부화소 전극(191h, 191l)의 가장자리 변에서 아래 또는 위로 돌출된 돌출부(197h, 197l)를 포함한다.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193h, 193l)와 세로 줄기부(192h, 192l)에 의해 4개의 부영역으로 나뉘어진다. 미세 가지부(194h, 194l)는 가로 줄기부(193h, 193l) 및 세로 줄기부(192h, 192l)로부터 비스듬하게 뻗어 있으며 그 뻗는 방향은 게이트선(121) 또는 가로 줄기부(193h, 193l)와 대략 45도 또는 135도의 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두 부영역의 미세 가지부(194h, 194l)가 뻗어 있는 방향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부화소 전극(191h)은 외곽을 둘러싸는 외곽 줄기부를 더 포함하고, 제2 부화소 전극(191l)은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하는 가로부 및 제1 부화소 전극(191h)의 좌우에 위치하는 좌우 세로부(198)를 더 포함한다. 좌우 세로부(198)는 데이터선(171)과 제1 부화소 전극(191h) 사이의 용량성 결합, 즉 커플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화소 영역의 배치 형태,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조 및 화소 전극의 형상은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화소 전극(191) 위에는 화소 전극(191)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가지고 이격되도록 공통 전극(270)이 형성되어 있다. 화소 전극(191)과 공통 전극(270) 사이에는 미세 공간(microcavity, 305)이 형성되어 있다. 즉, 미세 공간(305)은 화소 전극(191) 및 공통 전극(270)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미세 공간(305)의 폭과 넓이는 표시 장치의 크기 및 해상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공통 전극(270)은 인듐-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인듐-아연 산화물(IZO, Indium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공통 전극(270)에는 일정한 전압이 인가될 수 있고, 화소 전극(191)과 공통 전극(270) 사이에 전계가 형성될 수 있다.
화소 전극(191) 위에는 제1 배향막(1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배향막(11)은 화소 전극(191)에 의해 덮여있지 않은 제2 절연층(240) 바로 위에도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향막(11)과 마주보도록 공통 전극(270) 아래에는 제2 배향막(2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배향막(11)과 제2 배향막(21)은 수직 배향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폴리 아믹산(Polyamic acid), 폴리 실록산(Polysiloxane), 폴리 이미드(Polyimide) 등의 배향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배향막(11, 21)은 화소 영역(PX)의 가장자리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화소 전극(191)과 공통 전극(270) 사이에 위치한 미세 공간(305) 내에는 액정 분자(310)들로 이루어진 액정층이 형성되어 있다. 액정 분자(310)들은 음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며, 전계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절연 기판(110)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 있을 수 있다. 즉, 수직 배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데이터 전압이 인가된 제1 부화소 전극(191h) 및 제2 부화소 전극(191l)은 공통 전극(270)과 함께 전기장을 생성함으로써 두 전극(191, 270) 사이의 미세 공간(305) 내에 위치한 액정 분자(310)의 방향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결정된 액정 분자(310)의 방향에 따라 액정층을 통과하는 빛의 휘도가 달라진다.
공통 전극(270) 위에는 제3 절연층(35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제3 절연층(350)은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산화물(SiOxNy)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제3 절연층(350) 위에는 지붕층(360)이 형성되어 있다. 지붕층(360)은 유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붕층(360)의 아래에는 미세 공간(305)이 형성되어 있고, 지붕층(360)은 경화 공정에 의해 단단해져 미세 공간(305)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지붕층(360)은 화소 전극(191)과 미세 공간(305)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붕층(360)은 화소 행을 따라 각 화소 영역(PX) 및 제2 골짜기(V2)에 형성되며, 제1 골짜기(V1)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즉, 지붕층(360)은 제1 부화소 영역(PXa)과 제2 부화소 영역(PXb) 사이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각 제1 부화소 영역(PXa)과 제2 부화소 영역(PXb)에서는 각 지붕층(360)의 아래에 미세 공간(305)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골짜기(V2)에서는 지붕층(360)의 아래에 미세 공간(305)이 형성되지 않으며, 기판(110)에 부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골짜기(V2)에 위치하는 지붕층(360)의 두께가 각 제1 부화소 영역(PXa) 및 제2 부화소 영역(PXb)에 위치하는 지붕층(36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미세 공간(305)의 상부면 및 양측면은 지붕층(360)에 의해 덮여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공통 전극(270), 제3 절연층(350), 및 지붕층(360)에는 미세 공간(305)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주입구(307)가 형성되어 있다. 주입구(307)는 제1 부화소 영역(PXa)과 제2 부화소 영역(PXb)의 가장자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주입구(307)는 제1 부화소 영역(PXa)의 하측 변, 제2 부화소 영역(PXb)의 상측 변에 대응하여 미세 공간(305)의 측면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주입구(307)에 의해 미세 공간(305)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주입구(307)를 통해 미세 공간(305) 내부로 배향액 또는 액정 물질 등을 주입할 수 있다.
지붕층(360) 위에는 제4 절연층(370) 및 덮개막(390)이 위치할 수 있다. 덮개막(390)은 미세 공간(305)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주입구(307)를 덮도록 형성된다. 즉, 덮개막(390)은 미세 공간(305)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액정 분자(310)가 외부로 나오지 않도록 미세 공간(305)을 밀봉할 수 있다. 덮개막(390)은 액정 분자(310)과 접촉하게 되므로, 액정 분자(310)과 반응하지 않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덮개막(390)은 페릴렌(Parylen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덮개막(390)은 이중막, 삼중막 등과 같이 다중막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중막은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두 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삼중막은 세 개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인접하는 층의 물질이 서로 다르다. 예를 들면, 덮개막(390)은 유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층과 무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덮개막(390) 위에는 보호막(410)이 위치한다. 보호막(4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기막(4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복수의 무기막(412)을 포함하는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단일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막(410)은 복수회 교번하여 위치하는 무기막(412) 및 유기막(41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기막(412)은 상이한 재질을 가지는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례로써 소정의 재질인 제1 무기막(413)이 위치하고, 그 위에 다른 재질의 2 무기막(414)이 교번하여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제1 무기막(413) 및 제2 무기막(414)의 두께는 각각 약 1Å일 수 있다.
무기막(412)의 재질은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티타늄(TiO2) 및 산화주석(SnO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써 상이한 재질을 가지는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무기막(412)은 제1 무기막(413)이 산화알루미늄이고, 제2 무기막(414)이 산화티타늄일 수 있다. 또는 제1 무기막(413)이 산화알루미늄이고, 제2 무기막(414)이 산화주석일 수 있다. 무기막(412)의 재질은 전술한 일례에 한정되지 않으며, 저온 공정에서 증착 가능한 어떠한 재질도 이용 가능하다.
하나의 무기막(413, 414)을 약 1Å의 두께의 평면으로 형성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평면의 일부에 대해서는 무기막(413, 414)이 고르게 적층되지 않은 홀(hole)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홀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무기막을 다시 적층하는 경우, 각각의 층으로 구분하는 것이 어려운 무기막(41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무기막(413) 및 제2 무기막(414)이 복수회 적층된 무기막(412)은 경계가 불분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호막(410)은 유기막(4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기막(41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무기막(4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복수의 무기막(412)의 최외곽에 위치할 수 있다.
유기막(415)의 재질은 폴리아미드(polyamide), 나일론(nylon) 6, 나일론(nylon) 66,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우레아(polyurea), 폴리티오우레아(polythiourea),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아조메틴(polyazomethin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평면 형태로 위치하는 무기막(412)은 홀을 포함하는 등 고르지 못한 평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평면 위에 적층되는 유기막(415)은 홀을 채우도록 형성되거나 유사하게 홀을 포함하면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교번하여 적층된 무기막(412) 및 유기막(415)은 경계가 불분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막(410)은 상이한 종류의 무기막 및 유기막이 다양한 조합으로 교번하여 적층될 수 있다. 상이한 종류의 무기막만이 교번하여 적층하고 유기막은 적층된 무기막의 최외곽에 위치하거나, 상이한 종류의 무기막 및 유기막이 반복하여 적층될 수 있다.
다만, 각각의 무기막 및 유기막은 매우 얇은 두께로 형성되며, 각각의 무기막 및 유기막 평면에 형성되는 홀 등을 그 위에 적층되는 다른 막이 채우도록 형성되는바, 적층되는 막 사이의 경계가 다소 모호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막(410)에 따르면 무기막 등에 의해 표시 장치로 투습하는 수분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수분이 침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무기막과 유기막의 적층을 통해 보호막의 가요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표시 장치의 상하부 면에는 편광판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편광판은 제1 편광판 및 제2 편광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편광판은 절연 기판(110)의 하부 면에 부착되고, 제2 편광판은 보호막(410) 위에 부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 기판(110) 위에 일방향으로 뻗어있는 게이트선(121)과 감압 게이트선(123)을 형성하고, 게이트선(121)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게이트 전극(124h), 제2 게이트 전극(124l), 및 제3 게이트 전극(124c)을 형성한다.
또한, 게이트선(121), 감압 게이트선(123), 및 제1 내지 제3 게이트 전극(124h, 124l, 124c)와 이격되도록 유지 전극선(131)을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이어, 게이트선(121), 감압 게이트선(123), 제1 내지 제3 게이트 전극(124h, 124l, 124c), 및 유지 전극선(131)을 포함한 기판(110) 위의 전면에 실리콘 산화물(SiOx) 또는 실리콘 질화물(SiNx)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을 이용하여 게이트 절연막(140)을 형성한다. 게이트 절연막(140)은 단일막 또는 다중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어,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다결정 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 금속 산화물(metal oxide) 등과 같은 반도체 물질을 증착한 후 이를 패터닝하여 제1 반도체(154h), 제2 반도체(154l), 및 제3 반도체(154c)를 형성한다. 제1 반도체(154h)는 제1 게이트 전극(124h) 위에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제2 반도체(154l)는 제2 게이트 전극(124l) 위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며, 제3 반도체(154c)는 제3 게이트 전극(124c) 위에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어, 금속 물질을 증착한 후 이를 패터닝하여 타방향으로 뻗어있는 데이터선(171)을 형성한다. 금속 물질은 단일막 또는 다중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데이터선(171)으로부터 제1 게이트 전극(124h) 위로 돌출되는 제1 소스 전극(173h) 및 제1 소스 전극(173h)과 이격되는 제1 드레인 전극(175h)을 함께 형성한다. 또한, 제1 소스 전극(173h)과 연결되어 있는 제2 소스 전극(173l) 및 제2 소스 전극(173l)과 이격되는 제2 드레인 전극(175l)을 함께 형성한다. 또한, 제2 드레인 전극(175l)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3 소스 전극(173c) 및 제3 소스 전극(173c)과 이격되는 제3 드레인 전극(175c)을 함께 형성한다.
반도체 물질과 금속 물질을 연속으로 증착한 후 이를 동시에 패터닝하여 제1 내지 제3 반도체(154h, 154l, 154c), 데이터선(171), 제1 내지 제3 소스 전극(173h, 173l, 173c), 및 제1 내지 제3 드레인 전극(175h, 175l, 175c)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반도체(154h)는 데이터선(171)의 아래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제2/제3 게이트 전극(124h/124l/124c), 제1/제2/제3 소스 전극(173h/173l/173c), 및 제1/제2/제3 드레인 전극(175h/175l/175c)은 제1/제2/제3 반도체(154h/154l/154c)와 함께 각각 제1/제2/제3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Qh/Ql/Qc)를 구성한다.
이어, 데이터선(171), 제1 내지 제3 소스 전극(173h, 173l, 173c), 제1 내지 제3 드레인 전극(175h, 175l, 175c), 및 각 소스 전극(173h/173l/173c)과 각 드레인 전극(175h/175l/175c) 사이로 노출되어 있는 반도체(154h, 154l, 154c) 위에 제1 절연층(180)을 형성한다. 제1 절연층(180)은 유기 절연 물질 또는 무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일막 또는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 제1 절연층(180) 위의 각 화소 영역(PX) 내에 색필터(230)를 형성한다. 색필터(230)는 각 제1 부화소 영역(PXa)과 제2 부화소 영역(PXb)에 형성하고, 제1 골짜기(V1)에는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화소 영역(PX)의 열 방향을 따라 동일한 색의 색필터(230)를 형성할 수 있다. 세 가지 색의 색필터(230)를 형성하는 경우 제1 색의 색필터(230)를 먼저 형성한 후 마스크를 쉬프트 시켜 제2 색의 색필터(23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어, 제2 색의 색필터(230)를 형성한 후 마스크를 쉬프트시켜 제3 색의 색필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어, 제1 절연층(180) 위의 각 화소 영역(PX)의 경계부 및 박막 트랜지스터 위에 차광 부재(220)를 형성한다. 제1 부화소 영역(PXa)과 제2 부화소 영역(PXb)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골짜기(V1)에도 차광 부재(22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색필터(230)를 형성한 후 차광 부재(220)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차광 부재(220)를 먼저 형성한 후 색필터(23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어, 색필터(230) 및 차광 부재(220) 위에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산화물(SiOxNy)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로 제2 절연층(240)을 형성한다.
이어, 제1 절연층(180), 차광 부재(220), 및 제2 절연층(240)을 식각하여 제1 드레인 전극(175h)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제1 접촉 구멍(185h)을 형성하고, 제2 드레인 전극(175l)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제2 접촉 구멍(185l)을 형성한다.
이어, 제2 절연층(240) 위에 인듐-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인듐-아연 산화물(IZO, Indium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금속 물질을 증착한 후 패터닝하여 제1 부화소 영역(PXa) 내에 제1 부화소 전극(191h)을 형성하고, 제2 부화소 영역(PXb) 내에 제2 부화소 전극(191l)을 형성한다. 제1 부화소 전극(191h)과 제2 부화소 전극(191l)은 제1 골짜기(V1)를 사이에 두고 분리되어 있다. 제1 부화소 전극(191h)은 제1 접촉 구멍(185h)을 통해 제1 드레인 전극(175h)과 연결되도록 형성하고, 제2 부화소 전극(191l)은 제2 접촉 구멍(185l)을 통해 제2 드레인 전극(175l)과 연결되도록 형성한다.
제1 부화소 전극(191h) 및 제2 부화소 전극(191l) 각각에 가로 줄기부(193h, 193l), 가로 줄기부(193h, 193l)와 교차하는 세로 줄기부(192h, 192l)를 형성한다. 또한, 가로 줄기부(193h, 193l) 및 세로 줄기부(192h, 192l)로부터 비스듬하게 뻗어있는 복수의 미세 가지부(194h, 194l)를 형성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전극(191) 위에 감광성 유기 물질을 도포하고, 포토 공정을 통해 희생층(300)을 형성한다.
희생층(300)은 복수의 화소 열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즉, 희생층(300)은 각 화소 영역(PX)을 덮도록 형성되고, 제1 부화소 영역(PXa)과 제2 부화소 영역(PXb) 사이에 위치한 제1 골짜기(V1)를 덮도록 형성된다.
이어, 희생층(300) 위에 인듐-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인듐-아연 산화물(IZO, Indium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금속 물질을 증착하여 공통 전극(270)을 형성한다.
이어, 공통 전극(270) 위에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산화물(SiOxNy)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로 제3 절연층(35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 제3 절연층(350) 위에 유기 물질을 도포하고, 패터닝하여 지붕층(360)을 형성한다. 이때, 제1 골짜기(V1)에 위치한 유기 물질이 제거되도록 패터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붕층(360)은 복수의 화소 행을 따라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층(360)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제3 절연층(350) 및 공통 전극(270)을 패터닝한다. 먼저, 지붕층(360)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제3 절연층(350)을 건식 식각한 후 공통 전극(270)을 습식 식각한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층(360) 위에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산화물(SiOxNy)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로 제4 절연층(37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 제4 절연층(370) 위에 포토 레지스트(500)를 도포하고, 포토 공정을 통해 포토 레지스트(500)를 패터닝한다. 이때, 제1 골짜기(V1)에 위치한 포토 레지스트(500)를 제거할 수 있다. 패터닝된 포토 레지스트(500)를 마스크로 이용하여 제4 절연층(370)을 식각한다. 즉, 제1 골짜기(V1)에 위치한 제4 절연층(370)을 제거한다.
또한, 제3 절연층(350) 및 공통 전극(270)은 지붕층(360)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패터닝하게 되므로 정렬 오류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희생층(300)이 노출된 기판(110) 위에 현상액 또는 스트리퍼 용액 등을 공급하여 희생층(300)을 전면 제거하거나, 애싱(ashing) 공정을 이용하여 희생층(300)을 전면 제거한다.
희생층(300)이 제거되면, 희생층(300)이 위치하였던 자리에 미세 공간(305)이 생긴다.
화소 전극(191)과 공통 전극(270)은 미세 공간(305)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고, 화소 전극(191)과 지붕층(360)은 미세 공간(305)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다. 공통 전극(270)과 지붕층(360)은 미세 공간(305)의 상부면과 양측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지붕층(360), 제3 절연층(350), 및 공통 전극(270)이 제거된 부분을 통해 미세 공간(305)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이를 주입구(307)라 한다. 주입구(307)는 제1 골짜기(V1)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주입구(307)는 제1 부화소 영역(PXa)과 제2 부화소 영역(PXb)의 가장자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주입구(307)는 제1 부화소 영역(PXa)의 하측 변, 제2 부화소 영역(PXb)의 상측 변에 대응하여 미세 공간(305)의 측면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상이하게, 주입구(307)가 제2 골짜기(V2)를 따라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어, 기판(110)에 열을 가하여 지붕층(360)을 경화시킨다. 지붕층(360)에 의해 미세 공간(305)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어, 스핀 코팅 방식 또는 잉크젯 방식으로 배향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배향액을 기판(110) 위에 떨어뜨리면, 배향액이 주입구(307)를 통해 미세 공간(305) 내부로 주입된다. 배향액을 미세 공간(305)의 내부로 주입한 후 경화 공정을 진행하면 용액 성분은 증발하고, 배향 물질이 미세 공간(305) 내부의 벽면에 남게 된다.
따라서, 화소 전극(191) 위에 제1 배향막(11)을 형성하고, 공통 전극(270) 아래에 제2 배향막(2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배향막(11)과 제2 배향막(21)은 미세 공간(305)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화소 영역(PX)의 가장자리에서는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 배향막(11, 21)은 미세 공간(305)의 측면을 제외하고는 기판(110)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로 제1 및 제2 배향막(11, 21)에 UV를 조사하는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기판(110)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배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어, 잉크젯 방식 또는 디스펜싱 방식으로 액정 분자(310)들로 이루어진 액정 물질을 기판(110) 위에 떨어뜨리면, 액정 물질이 주입구(307)를 통해 미세 공간(305) 내부로 주입된다. 이때, 액정 물질을 홀수 번째 제1 골짜기(V1)를 따라 형성된 주입구(307)에는 떨어뜨리고, 짝수 번째 제1 골짜기(V1)를 따라 형성된 주입구(307)에는 떨어뜨리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액정 물질을 짝수 번째 제1 골짜기(V1)를 따라 형성된 주입구(307)에 떨어뜨리고, 홀수 번째 제1 골짜기(V1)를 따라 형성된 주입구(307)에는 떨어뜨리지 않을 수 있다.
홀수 번째 제1 골짜기(V1)를 따라 형성된 주입구(307)에 액정 물질을 떨어뜨리면 모세관력(capillary force)에 의해 액정 물질이 주입구(307)를 통과하여 미세 공간(305)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짝수 번째 제1 골짜기(V1)를 따라 형성된 주입구(307)를 통해 미세 공간(305)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감으로써, 액정 물질이 미세 공간(305)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또한, 액정 물질을 모든 주입구(307)에 떨어뜨릴 수도 있다. 즉, 액정 물질을 홀수 번째 제1 골짜기(V1)를 따라 형성된 주입구(307)와 짝수 번째 제1 골짜기(V1)를 따라 형성된 주입구(307)에 모두 떨어뜨릴 수도 있다.
다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절연층(370) 위에 액정 분자(310)와 반응하지 않는 물질을 증착하여 덮개막(390)을 형성한다. 덮개막(390)은 미세 공간(305)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주입구(307)를 덮도록 형성되어 미세 공간(305)을 밀봉한다.
다음 덮개막(390) 위에 보호막(410)을 형성하여 도 3 내지 도 5와 같은 표시 장치를 형성한다.
보호막(4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기막(412)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는 복수의 무기막(412)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대해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단일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막(410)은 복수회 교번하여 위치하는 무기막(412) 및 유기막(41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기막(412)은 상이한 재질을 가지는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례로써 소정의 재질인 제1 무기막(413)이 위치하고, 그 위에 다른 재질의 2 무기막(414)이 교번하여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제1 무기막(413) 및 제2 무기막(414)의 두께는 각각 약 1Å일 수 있다.
무기막(412)의 재질은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티타늄(TiO2) 및 산화주석(SnO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써 상이한 재질을 가지는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무기막(412)은 제1 무기막(413)이 산화알루미늄이고, 제2 무기막(414)이 산화티타늄일 수 있다. 또는 제1 무기막(413)이 산화알루미늄이고, 제2 무기막(414)이 산화주석일 수 있다. 무기막(412)의 재질은 전술한 일례에 한정되지 않으며, 저온 공정에서 증착 가능한 어떠한 재질도 이용 가능하다.
하나의 무기막(413, 414)을 약 1Å의 두께의 평면으로 형성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평면의 일부에 대해서는 무기막(413, 414)이 고르게 적층되지 않은 홀(hole)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홀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무기막을 다시 적층하는 경우, 각각의 층으로 구분하는 것이 어려운 무기막(41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무기막(413) 및 제2 무기막(414)이 복수회 적층된 무기막(412)은 경계가 불분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호막(410)은 유기막(4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기막(41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무기막(4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복수의 무기막(412)의 최외곽에 위치할 수 있다.
유기막(415)의 재질은 폴리아미드(polyamide), 나일론(nylon) 6, 나일론(nylon) 66,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우레아(polyurea), 폴리티오우레아(polythiourea),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아조메틴(polyazomethin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무기막(412)은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을 사용하여 형성되며, 유기막(415)은 분자층 증착법(Molecular Layer Deposition, MLD)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무기막 및 유기막을 형성하는 소스는 하나의 장치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일례로써 산화알루미늄을 증착하는 제1 소스, 산화티타늄을 증착하는 제2 소스 및 유기막을 증착하는 제3 소스가 하나의 장치에 장착되어 증착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일례에 따르면 스캐닝 장치가 1회 증착을 실시하는 경우, 산화알루미늄의 제1 무기막, 산화티타늄의 제2 무기막 및 유기막이 형성되고, 다시 스캐닝 장치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적층된 유기막 위에 산화 알루미늄의 제1 무기막, 산화티타늄의 제2 무기막 및 유기막이 다시 적층된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 따르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보호막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원자층 증착법에 의해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무기막(412)은 홀을 포함하는 등 고르지 못한 평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평면 위에 분자층 증착법을 통해 적층되는 유기막(415)은 홀을 채우도록 형성되거나 유사하게 홀을 포함하면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교번하여 적층된 무기막(412) 및 유기막(415)은 상호간에 홀을 채우거나 형성하면서 경계가 불분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막(410)은 상이한 종류의 무기막 및 유기막이 다양한 조합으로 교번하여 적층될 수 있다. 상이한 종류의 무기막만이 교번하여 적층하고 유기막은 적층된 무기막의 최외곽에 위치하거나, 상이한 종류의 무기막 및 유기막이 반복하여 적층될 수 있다.
다만, 각각의 무기막 및 유기막은 매우 얇은 두께로 형성되며, 각각의 무기막 및 유기막 평면에 형성되는 홀 등을 그 위에 적층되는 다른 막이 채우도록 형성되는바, 적층되는 막 사이의 경계가 다소 모호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막(410)에 따르면 무기막 등에 의해 표시 장치로 투습하는 수분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수분이 침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무기막과 유기막의 적층을 통해 보호막의 가요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어,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표시 장치의 상하부 면에 편광판을 더 부착할 수 있다. 편광판은 제1 편광판과 제2 편광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110)의 하부 면에 제1 편광판을 부착하고, 보호막(410) 위에 제2 편광판을 부착할 수 있다.
전술한 표시 장치에 따르면, 표시 장치의 일면에 대한 방습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성능이 향상된 표시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무기막과 유기막의 교대 적층 구조를 통해 탄성 계수(elastic modulus)의 제어가 가능한바, 가요성(flexibility)의 향상이 가능하다. 따라서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보다 적합한 보호막의 제공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막(410)을 살펴본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막의 단면 이미지이며, 전술한 표시 장치에 보호막의 실시예만 변경될 수 있다.
우선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막(410)은 복수의 무기막(412)과 복수의 무기막(412) 위에 위치하는 유기막(415)을 포함한다. 즉, 제1 무기막(413)과 제2 무기막(414)이 복수회 교번하여 적층되고, 최외곽 제2 무기막(414) 위에 유기막(415)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보호막(410)이 전체적으로 반복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무기막(413)과 제2 무기막(414)이 복수회 교번하여 적층되고 그 위에 유기막(415)이 적층되고, 다시 유기막(415) 위에 제1 무기막(413) 및 제 2 무기막(414)이 복수회 교번하여 적층되는 반복 구조가 가능하다.
도 12 내지 도 13의 적층 구조 역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다소 모호한 경계를 가짐은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적층 구조에 따르면 무기막과 유기막의 적층 구조를 통해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고, 침투하는 수분의 침투 경로를 증가시켜 표시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수분 침투 정도를 살펴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막에 대한 딥핑(dipping) 평가 이미지이며, 도 15는 비교예에 대한 딥핑 평가 이미지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막 및 비교예에 대한 수분 투습도 평가 그래프이다.
우선, 도 1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막은 장시간 딥핑 평가에도 불구하고, 수분을 방출하지 않는 표면을 나타낸다. 즉, 보호막에 대한 수분 침투가 어려워, 장시간이 지나도 보호막에서 수분이 토출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반면, 도 15는 유기막으로만 구성된 보호막에 대해 장시간 딥핑 평가를 진행한 경우이다. 비교예인 도 15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보호막의 표면에 수분이 용출되는 특징을 나타냈다. 이는 유기막으로 침투한 수분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표면으로 토출됨을 나타낸다. 즉, 유기막으로 다량의 수분이 침투하였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 14 내지 도 15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무기막을 포함하는 보호막은 유기막으로 구성된 보호막에 비해 투습 방지 능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도 16은 보호막의 재질에 따른 수분 침투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우선, PET 필름인 보호막을 사용하는 경우(Ref)를 살펴보면, 짧은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당 정도의 수분 침투량이 증가하여 약 7g/m2day 을 일정하게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다음, PET 필름에 페릴렌(Parylene)을 도포한 보호막 역시 거의 동일한 수분 침투량을 나타냈다.
다음, 에폭시(Epoxy) 필름은 짧은 시간이 경과한 후에 약 15 g/m2day를 나타내며 상당량의 수분이 침투하였음을 나타냈다.
그러나 산화알루미늄의 무기막을 포함하는 보호막(PAP)은 2g/m2day 미만의 수분 침투량을 나타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0에 가까운 수분 침투량을 나타냈다. 또한, 산화알루미늄과 산화티타늄이 교번하여 적층된 무기막을 포함하는 보호막(PATATAP)은 시간에 관계없이 거의 0에 가까운 수분 침투량을 나타냈다.
본 발명과 같이 무기막을 포함하는 보호막은 수분 차단 능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표시 장치의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 제1 배향막 21: 제2 배향막
110: 기판
121: 게이트선 123: 감압 게이트선
124h: 제1 게이트 전극 124l: 제2 게이트 전극
124c: 제3 게이트 전극 131: 유지 전극선
140: 게이트 절연막 154h: 제1 반도체
154l: 제2 반도체 154c: 제3 반도체
171: 데이터선 173h: 제1 소스 전극
173l: 제2 소스 전극 173c: 제3 소스 전극
175h: 제1 드레인 전극 175l: 제2 드레인 전극
175c: 제3 드레인 전극 180: 보호막
191: 화소 전극 191h: 제1 부화소 전극
191l: 제2 부화소 전극 220: 차광 부재
230: 색필터 240: 제1 절연층
270: 공통 전극 300: 희생층
305: 미세 공간 307: 주입구
310: 액정 분자
350: 제2 절연층 360: 지붕층
370: 제3 절연층 390: 덮개막

Claims (15)

  1. 복수의 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절연 기판,
    상기 절연 기판 위에 위치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화소 전극,
    미세 공간 내를 채우고 있는 액정층,
    상기 액정층 위에 위치하며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미세 공간에 의해 이격된 공통 전극,
    상기 공통 전극 위에 위치하는 지붕층,
    상기 미세 공간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공통 전극 및 상기 지붕층에 형성되어 있는 주입구,
    상기 주입구를 덮도록 상기 지붕층 위에 형성되어 상기 미세 공간을 밀봉하는 덮개막, 및
    상기 덮개막 위에 위치하는 보호막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막은 상이한 종류의 무기막을 복수개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보호막은 유기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막은 상기 유기막과 상기 무기막은 교번하여 복수회 적층된 표시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무기막은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티타늄(TiO2) 및 산화주석(SnO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무기막은 상이한 종류의 제1 무기막 및 제2 무기막이 교번하여 적층된 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1 무기막 및 제2 무기막의 두께는 약 1Å인 표시 장치.
  6. 제2항에서,
    상기 유기막의 재질은 폴리아미드(polyamide), 나일론(nylon) 6, 나일론(nylon) 66,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우레아(polyurea), 폴리티오우레아(polythiourea),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아조메틴(polyazomethin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4항에서,
    상기 제1 무기막, 상기 제2 무기막 및 상기 유기막의 경계는 불분명한 표시 장치.
  8. 기판 위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위에 제1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절연층 위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화소 전극 위에 희생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층 위에 공통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공통 전극 위에 제2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절연층 위에 유기 물질을 도포하고, 패터닝하여 지붕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층을 노출시키는 단계,
    노출된 영역을 통해 상기 희생층을 제거하여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미세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미세 공간으로 액정 물질을 주입하여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붕층 위에 덮개막을 형성하여 상기 미세 공간을 밀봉하는 단계, 및
    상기 덮개막 위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막은 상이한 종류의 무기막을 복수개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보호막은 유기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기막은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을 사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유기막은 분자층 증착법(Molecular Layer Deposition, MLD)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보호막은 상기 유기막과 상기 무기막이 교번하여 복수회 적층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1. 제8항에서,
    상기 무기막은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티타늄(TiO2) 및 산화주석(SnO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8항에서,
    상기 무기막은 상이한 종류의 제1 무기막 및 제2 무기막을 교번하여 적층함으로써 형성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9항에서,
    상기 유기막의 재질은 폴리아미드(polyamide), 나일론(nylon) 6, 나일론(nylon) 66,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우레아(polyurea), 폴리티오우레아(polythiourea),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아조메틴(polyazomethin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9항에서,
    상기 원자층 증착법과 상기 분자층 증착법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유기막 및 무기막의 경계는 불분명하게 형성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9항에서,
    상기 원자층 증착법에 의해 형성된 단일 무기막의 두께는 약 1 Å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40079101A 2014-06-26 2014-06-26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01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101A KR20160001799A (ko) 2014-06-26 2014-06-26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4/526,290 US20150378206A1 (en) 2014-06-26 2014-10-28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101A KR20160001799A (ko) 2014-06-26 2014-06-26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799A true KR20160001799A (ko) 2016-01-07

Family

ID=54930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101A KR20160001799A (ko) 2014-06-26 2014-06-26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378206A1 (ko)
KR (1) KR2016000179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660A (ko) * 2016-12-30 2018-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WO2019151749A1 (ko) * 2018-01-30 2019-08-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020766B2 (en) * 2018-09-28 2021-06-01 Service Support Specialties, Inc. Spin coat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11812630B2 (en) 2018-01-30 2023-11-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sealing portion extension with improved coupling for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829B1 (ko) * 2016-04-26 2023-05-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액정 표시 패널
US10756156B2 (en) * 2017-10-30 2020-08-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enhanced UV light blocking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19286A1 (en) * 2001-08-20 2004-05-19 Nova-Plasma Inc. Coatings with low permeation of gases and vapors
ATE553163T1 (de) * 2003-02-25 2012-04-15 Chemetall Gmbh Verfahren zur beschichtung von metallischen oberflächen mit einem gemisch enthaltend mindestens zwei silane
KR101107682B1 (ko) * 2004-12-31 2012-01-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소자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JP4690985B2 (ja) * 2006-09-25 2011-06-01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75554A (ko) * 2008-01-04 2009-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와 그 제조 방법
JP2010093172A (ja) * 2008-10-10 2010-04-22 Fujifilm Corp 封止デバイス
JP5617403B2 (ja) * 2010-07-15 2014-11-05 ソニー株式会社 光記録媒体
KR101605821B1 (ko) * 2010-09-10 2016-03-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5484279B2 (ja) * 2010-09-17 2014-05-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太陽電池
KR20120124011A (ko) * 2011-05-02 2012-1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30107379A (ko) * 2012-03-21 2013-10-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65558B1 (ko) * 2012-11-23 2016-10-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663595B1 (ko) * 2013-01-16 2016-10-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5914397B2 (ja) * 2013-03-19 2016-05-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機能性フィル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660A (ko) * 2016-12-30 2018-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WO2019151749A1 (ko) * 2018-01-30 2019-08-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812630B2 (en) 2018-01-30 2023-11-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sealing portion extension with improved coupling force
US11020766B2 (en) * 2018-09-28 2021-06-01 Service Support Specialties, Inc. Spin coat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78206A1 (en) 2015-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1799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595549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microcavities and an encapsulation layer that seals the plurality of microcavi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000610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94880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15766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97897A (ko) 표시 장치
KR20140141364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682079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07175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20713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95024A (ko) 표시 장치
KR20150000215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15123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85732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21389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60216546A1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50069879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36685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85622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676771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65317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02449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84550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85398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80020348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