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744U - 미닫이 도어용 호차 - Google Patents

미닫이 도어용 호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744U
KR20160001744U KR2020140008363U KR20140008363U KR20160001744U KR 20160001744 U KR20160001744 U KR 20160001744U KR 2020140008363 U KR2020140008363 U KR 2020140008363U KR 20140008363 U KR20140008363 U KR 20140008363U KR 20160001744 U KR20160001744 U KR 201600017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e
moving plate
rolle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3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숙
Original Assignee
김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숙 filed Critical 김현숙
Priority to KR20201400083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744U/ko
Publication of KR201600017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74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구본체에 설치된 레일에 대해 도어에 설치된 롤러의 높낮이를 탄력적으로 조절하여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미닫이 도어용 호차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고안은, 도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밀착 결합되는 고정판과, 고정판에 대해 탄력적으로 상하수직 이동 가능하도록 밀착 결합되는 이동판과, 고정판과 이동판에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이동판의 상하수직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부재와, 그 조절부재를 매개로 고정판과 이동판 사이에 이탈없이 개재되어 고정판에 대해 이동판이 수직이동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와, 이동판의 상단부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그 이동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가구본체의 상부 및 하부 레일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하는 롤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이동판에 결합된 롤러가 레일에 탄성적으로 끼워 결합됨으로써, 도어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또 레일의 수평상태가 불균형하게 변형되어도 그 변형에 대응하여 롤러의 높낮이가 가변 조절됨으로써, 도어 개폐의 원활성 확보는 물론 도어가 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미닫이 도어용 호차{Roller for sliding door}
본 고안은 예컨대, 옷장이나 이불장 등과 같은 장롱이나 붙박이장 등의 미닫이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 개폐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도어가 소음없이 부드럽게 여닫히도록 유도하는 미닫이 도어용 호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개폐과정 중 도어가 레일로부터 이탈없이 안전하게 슬라이딩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 중 레일의 수평상태가 불균형하게 변형되어도 롤러의 높낮이를 탄력적으로 가변 조절하여 마찰소음을 최소화하고, 또 레일에 대해 롤러의 설치 높이가 부정확한 경우 롤러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도어가 원활하게 개폐되도록 하는 미닫이 도어용 호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장이나 이불장 등과 같은 장롱이나 붙박이장 등에는 여닫이식 보다 도어의 개폐 설치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개폐동작의 원활함을 위해서 미닫이식 도어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미닫이식 도어에는 레일상에서 슬라이딩 개폐동작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어용 호차가 설치되는 바, 상기 도어용 호차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감싸면서 이를 회전되게 하여주는 하우징 및 도어에 고정되도록 하여 주는 고정수단의 조합으로 구성된 것으로, 도어의 저면에 설치되는 롤러가 레일상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미닫이식 도어를 쉽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여 주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도어용 호차는 도어의 개폐과정 중에 롤러가 문틀 등에 설치된 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되기 위해서는 레일이 수평상태를 정확하게 유지해야 함은 물론 도어에 설치된 롤러의 높낮이가 적정하게 위치되어야 만이 도어의 하부면이 문틀과 마찰을 일으키거나 도어의 상부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미닫이식 도어용 호차는, 미닫이 도어에 롤러의 높낮이를 적정위치로 정확하게 설치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뿐 아니라 사용 중 레일에 이물질이 증착되거나 외부의 충격 등으로 레일의 수평상태, 즉 레일의 높낮이가 불균형하게 변형될 경우에 롤러와 레일 간에 심한 마찰이 발생되어 소음발생을 유발하고, 아울러 롤러가 레일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아닌 마찰이동 또는 유격(裕隔)이동을 함으로써, 도어의 개폐가 어렵게 되며, 특히 도어의 상부에 틈새가 발생하여 도어가 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미닫이식 도어의 이탈 방지와 함께 문틀과의 마찰방지를 위해 도어에 설치되는 롤러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도어가 레일상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동작을 하여 개폐되도록 유도하여 주는 도어용 호차가 다양한 형태로 제안되어 실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의 도어용 호차의 일예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1047호(2010. 11. 10. 공개)의 구성에 있어서는, 도어의 하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며 하부가 개구된 중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축으로 결합된 회동브라켓과, 상기 회동브라켓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롤러와, 상기 도어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조절가능하며 상기 회동브라켓과 결합되어 그 회동브라켓의 회동각을 조절하는 이동너트와 조절볼트를 갖는 회동각 조절부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1047호의 경우에는 도어의 설치상태에서 상기 회동각 조절부의 조절볼트를 제자리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이동너트가 상기 조절볼트를 따라 전후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너트의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회동브라켓이 하우징의 내부에서 힌지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이에 결합된 상기 롤러가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은폐되어 도어의 높이가 안정되게 조절이 되어지고, 이것에 의해 도어의 상부 틈새 발생 및 문틀과의 마찰 없이 상기 롤러가 레일상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되어지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레일의 수평불균형이나 도어의 상부 틈새발생으로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동작에 문제가 있을 경우, 회동각 조절부의 조절볼트를 조작하여 회동브라켓에 결합된 상기 롤러의 높낮이를 도어의 설치상태에서 조절해 준다는 이점은 있으나 도어를 설치하기 전에 롤러의 높낮이를 먼저 조절한 상태에서 레일에 끼워 넣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초기에 롤러와 레일과의 이격거리를 충분하게 확보한 상태에서 도어를 설치하고 그리고 도어 설치 후에 다시 롤러의 높낮이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조절해 주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또한, 장기간 사용 또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레일의 수평상태가 변형될 경우, 즉 레일의 높낮이가 구간마다 약간씩 다를 경우에는 롤러의 높낮이 조절만으로 도어의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을 기대하기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예컨대 어느 한 구간에서는 레일의 높이가 높고 다른 구간에서는 레일의 높이가 낮을 경우에 있어서, 높은 구간에서는 높낮이 조절된 롤러와 레일간에 마찰음이 발생할 것이고, 낮은 구간에서는 도어의 상부에 틈새가 발생되어 롤러가 레일로부터 이탈되는 일이 반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에 상기 변형된 레일 전체를 새로 교체해 주거나 아니면 레일 전체에 대해 수평상태를 일일이 잡아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경우, 상술한 문제점들을 인식하면서도 이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배경 하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를 상부로 밀어올려 레일상에 끼울 때, 롤러의 상하수직 탄력작용으로 레일에 끼워지도록 하여, 도어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또 레일의 수평상태가 불균형하게 변형되어도 그 변형에 대응하여 상하수직 탄력작용으로 롤러의 높낮이가 가변 조절되어지게 함으로써, 도어 개폐의 원활성 확보는 물론 도어가 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는 미닫이 도어용 호차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도어용 호차는, 도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고정되는 고정판에,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고정판에 대해 탄력적으로 상하수직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판을 밀착 결합하고 상기 이동판의 상단부에는 그 상단부로부터 일부 돌출되도록 롤러를 결합하여 줌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설치상태에서 레일에 대해 롤러의 설치 높이가 부정확한 경우에 롤러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도어의 상부에 틈새발생 없이 도어가 원활하게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하는 미닫이 도어용 호차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도어용 호차는 상기 고정판과 상기 이동판의 사이에 탄성부재의 탄력을 조절하여 롤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켜 그 조절부재의 제자리 회전으로 상기 이동판을 상기 고정판에 대해 탄력 상승 및 탄력 하강시켜 줌으로써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호차에 의하면, 하단부가 3등분으로 분할되어, 중앙은 상단부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구가, 그리고 등분된 양측은 외향으로 직각 절곡된 지지편을 가지고 도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일면이 밀착 결합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지지편과 이격된 위치에 서로 대칭되도록 하단부의 양측에 결합편이 직각 절곡되어 형성되며, 중앙에는 수직하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편을 가지고 상기 고정판에 대해 탄력적으로 상하수직 이동 가능하도록 밀착 결합되는 이동판; 상기 고정판의 지지편과 상기 이동판의 결합편에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이동판의 상하수직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부재; 상기 조절부재를 매개로 상기 고정판의 지지편과 상기 이동판의 결합편 사이에 이탈없이 개재되어 상기 이동판이 수직이동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코일형의 탄성부재; 및 상기 이동판의 상단부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이동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가구본체의 상부 및 하부 레일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하는 롤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동판의 양측과 상기 가이드편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가이드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판의 상하수직 이동을 안내하면서 그 이동판이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이탈이 없도록 일단이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판의 가이드장공들에 끼움 결합되는 가이드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조절부재는, 일측에 머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볼트타입으로 이루어지며, 그 볼트타입의 나사부에는 탄성부재의 탄성작용을 방해없이 자유롭게 유지시켜 주는 튜브가 끼워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롤러의 상하수직 탄력작용으로 레일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설치작업이 용이할 뿐 아니라 레일의 수평상태가 불균형하게 변형되어도 그 변형에 대응하여 롤러의 높낮이가 가변 조절됨으로써, 도어 개폐의 원활성은 물론 도어가 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미닫이 도어용 호차에 의하면, 도어에 고정되는 고정판에,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고정판에 대해 탄력적으로 상하수직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판을 밀착 결합하고 상기 이동판의 상단부에는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주는 것에 의해 도어를 상부로 밀어올려 레일상에 끼울 때, 롤러의 상하수직 탄력작용으로 충분한 끼움공간이 제공되어지게 되고, 설치 후에는 탄성부재에 의해 롤러가 다시 원위치로 탄력 복원되므로 결과적으로 도어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되며, 또 도어가 설치된 상태에서 레일의 수평상태가 불균형하게 변형되어도 그 변형에 대응하여 롤러의 높낮이가 탄력적으로 가변되어짐으로 도어 개폐의 원활성은 물론 도어가 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가 설치된 상태에서 레일에 대해 롤러의 설치 높이가 부정확한 경우에 조절부재를 통해 롤러의 높낮이를 누구나 간편하게 조절할 수가 있어, 도어의 상부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고 도어가 원활하게 슬라이딩 개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실시된 미닫이 도어용 호차를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미닫이 도어용 호차를 미닫이 도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미닫이 도어의 상단부에 설치된 호차를 나타내어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호차가 설치된 미닫이 도어를 가구본체의 상부 레일에 끼우는 과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가구본체에 도어가 설치된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하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실시된 미닫이 도어용 호차를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미닫이 도어용 호차를 미닫이 도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미닫이 도어의 상단부에 설치된 호차를 나타내어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호차(10)는, 도어(2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밀착 결합되는 고정판(100)과, 고정판(100)에 대해 탄력적으로 상하수직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판(100)에 밀착 결합되는 이동판(200)과, 고정판(100)과 이동판(200)에 결합되어 그 이동판(100)의 상하수직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부재(300)와, 이동판(200)이 탄성적으로 상하수직 이동하도록 그 이동판(20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400)와, 이동판(2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가구본체(30)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레일(40)을 따라 탄력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롤러(500)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이때, 고정판(100)은 사각 판형으로, 하단부 전체가 3등분으로 분할되어, 그 등분된 중앙부에는 상단부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구(120)가 형성되고, 그리고 등분된 양측부에는 외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편(110)(110a)을 갖는다. 또한, 고정판(100)의 양측단에는 그 고정판(100)을 도어(20)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고정구(130)가 수직방향으로 배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판(10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다수 개의 나사가 고정구(130)를 통해 끼워져 도어(20)의 후면 상단부 및 하단부에 밀착 체결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호차(10)가 도어(20)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이동판(200)은 고정판(100)과 결합 시에 그 고정판(100)의 지지편(110)(110a)과 이격된 위치에서 서로 대칭되도록 하단부의 양측에 결합편(210)(210a)이 직각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판(200)의 중앙에는 그 이동판(200)의 하단부로부터 수직하향으로 연장되어 고정판(100)의 절개구(120)로 자유롭게 출입되는 가이드편(220)이 형성되며, 이동판(200)의 좌우측과 가이드편(220)에는 가이드장공(230)(230a),(240)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이후에 설명될 가이드축(250)과 함께 이동판(200)을 상하수직으로 안내하면서 그 이동판(200)이 고정판(100)으로부터 이탈이 없도록 결합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동판(200)은, 결합편(210)(210a)과 가이드편(220)이 고정판(100)의 지지편(110)(110a)과 절개구(120)에 대향하도록 고정판(100)의 전면에 밀착 결합되는데, 이때, 탄성부재(400)에 의해서 고정판(100)에 대해 탄력적으로 상하수직 이동가능하게 가이드축(250)으로 밀착 결합된다. 여기서 가이드축(250)은 그 일단이 고정판(100)에 고정되고 타단이 각각 가이드장공(230)(230a),(240)을 통해 끼움 결합되는 리벳(rivet)형으로 구성된다.
한편, 전술한 조절부재(300)는, 일측에 머리부(3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나사부(320)가 형성된 길이가 긴 볼트타입으로 이루어지며, 나사부(320)에는 탄성부재(400)의 탄성작용을 방해없이 자유롭게 유지시켜 주는 튜브(330)가 끼워지는데, 이때 튜브(330)는 나사부(320)의 전체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러한 조절부재(300)의 결합에 있어서는 먼저 튜브(330)가 끼워진 나사부(320)를 고정판(100)의 지지편(110)(110a)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통해서 이동판(200의 결합편(210)(210a)에 형성된 체결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그 조절부재(300)의 조절에 의해 이동판(200)의 상하수직 이동이 조절된다.
그리고 전술한 탄성부재(400)는, 조절부재(300)의 튜브(330)상에 끼워져 그 일단은 고정판(100)의 지지편(110)(110a)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고, 타단은 이동판(200)의 결합편(210)(210a)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코일스프링 타입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판(100)에 대해 상기 이동판(200)이 탄성적으로 상하수직 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롤러(500)는, 이동판(200)의 상부에 회전축(510)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때 이동판(200)의 상단부로 일부 돌출되게 결합되어, 가구본체(30)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레일(40)에 끼워지게 되고, 그 레일(40)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구름운동하여, 도어(20)가 개폐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결합된 본 고안의 미닫이 도어용 호차를 도어에 설치하는 과정과 도어를 가구본체에 설치하는 과정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차례대로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20)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양측에 본 고안의 미닫이 도어용 호차(10)를 밀착시킨 다음 고정판(100)의 고정구(130)를 통해 나사를 끼워 도어(20)에 체결하면 고정판(100)이 도어(20)의 후면에 견고하게 결합되는데, 이때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판(200)의 상단부가 도어(20)의 상단부와 평행하도록 결합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호차(10)가 도어(20)에 밀착 결합된 상태에서 도어(20)를 가구본체(30)의 레일(40)에 끼우기 위해서는 먼저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20)를 비스듬하게 들어올려 가구본체(30)의 상부에 형성된 레일(40)에 미닫이 도어용 호차(10)의 롤러(500)를 일치되게 근접 접촉시킨다.
이후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0)를 수직상태로 밀어올리게 되면 이동판(200)의 상부에 설치된 롤러(500)가 레일(40)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면서 끼움 결합된다. 이때 도어(20)를 계속 밀어올림에 따라 이동판(200)은 고정판(100)에 대해 가이드장공(220)(230),(240)에 끼워진 리벳타입의 가이드축(250)을 따라 탄성적으로 수직하향 이동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고정판(100)의 지지편(110)(110a)과 이동판(200)의 결합편(210)(210a)에 개재된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400)가 조절부재(300)의 튜브(330)를 매개로 압축된다.
이와 같이, 도어(20)를 수직상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롤러(500)가 레일(40)에 탄성적으로 지지됨과 아울러 이동판(200)이 고정판(100)에 대해 수직하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그 이동판(200)의 이동거리만큼 도어(20)를 더 들어올릴 수 있게 되어, 결국 도어(20)의 하단부와 가구본체(30)의 하부면과의 충분한 이격거리가 확보된다. 이것에 의해 도어(20)의 하단부에 설치된 미닫이 도어용 호차(10)의 롤러(500) 역시 가구본체(30)의 하부면에 설치된 레일에 간편하게 끼울수 있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도어(20)를 가구본체(30)에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계속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본체(30)의 상부 및 하부면에 설치된 레일(40)에 롤러(500)를 탄성적으로 끼움 결합한 다음 들어올렸던 도어(20)를 놓게 되면, 압축되었던 탄성부재(400)가 탄력적으로 팽창되면서 이동판(200)을 고정판(100)에 대해 수직상향으로 밀어주게 됨으로써, 롤러(500)가 가구본체(30)의 상부 레일(40)에 탄성적으로 계속 끼워져 지지가 되고, 도어(20)의 하단부에 설치된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호차는 도어(20)의 중량에 의해 상부에 설치된 호차와 반대작용을 하게 된다. 즉, 이동판은 고정판에 대해 수직상향으로 이동하고 탄력적으로 팽창되었던 탄성부재는 도어(20)의 중량에 의해 압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20)가 가구본체(30)에 설치되고, 또한 레일(40)의 수평상태가 균일한 상태에서 그 레일(40)에 대해 롤러(500)의 설치 높이가 부정확한 경우, 예컨대, 롤러(500)의 설치 높이가 낮아 도어(20)의 상부에 틈새가 발생하거나 롤러(500)가 레일(40)로부터 이탈될 염려가 있을 경우에 조절부재(300)의 머리부(310)를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주면 나사부(320) 역시 고정판(100)의 지지편(110)(110a)을 매개로 동일한 방향으로 제자리 회전하게 되고, 나사부(320)가 제자리 회전하면 그 나사부(320)와 결합편(210)(210a)에 의해 결합되어진 이동판(200)이 조절부재(300)의 나사부(320)를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국, 이동판(200)에 결합된 롤러(500)가 상승하면서 레일(40)에 탄성적으로 끼움 결합이 이루어져 도어(20)의 상부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을 뿐 아니라 레일(40)로부터 롤러(500)가 이탈되는 일이 없게 된다.
반대로, 레일(40)에 대해 롤러(500)의 설치 높이가 높을 경우, 이런 경우에 있어서는 레일(40)과 롤러(500)가 서로 강하게 압착되어 마찰소음을 일으키게 되므로, 전술한 조절부재(300)의 머리부(310)를 시계방향으로 돌려주면 이동판(200)이 조절부재(300)의 나사부(320)를 따라 수직하향 이동을 하면서 탄성부재(400)를 압축하게 되고, 또한 이동판(200)에 결합된 롤러(500) 역시 하강하면서 레일(40)에 적정한 탄성력으로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도어(20)의 슬라이딩 개폐 때 마찰소음 없이 롤러(500)가 회전축(510)을 중심으로 부드럽게 구름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도어(20)가 적정한 높이로 가구본체(30)의 레일(4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부측의 레일(40)이 하부로 불균형하게 돌출되어 변형된 경우에는 도 5a와 같이 롤러(500)가 눌리게 되므로 이에 결합된 이동판(200)이 수직하향으로 이동을 하면서 탄성부재(400)를 압축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탄성부재(400)에 의해 이동판(200)이 고정판(100)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함으로써, 롤러(500)의 높이가 탄성적으로 가변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b와 같이, 상부측 레일(40)의 높이가 다시 높아지면 압축되었던 탄성부재(400)의 팽창 탄력에 의해 롤러(500)의 높이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호차는 이동판(200)의 롤러(500)가 레일(40)의 수평상태 불균형에 대응하여 높낮이의 가변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탄성부재(400)에 의해 롤러(500)의 높낮이 동작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 시 충격소음이 발생되지 않고, 도어가 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게 되며, 또한 롤러(500)의 설치 위치가 부정확한 경우, 조절부재(300)를 통해 누구나 간편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0 : 고정판 200 : 이동판
300 : 조절부재 400 : 탄성부재
500 : 롤러

Claims (3)

  1. 하단부가 3등분으로 분할되어, 중앙은 상단부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구가, 그리고 등분된 양측은 외향으로 직각 절곡된 지지편을 가지고 도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일면이 밀착 결합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지지편과 이격된 위치에 서로 대칭되도록 하단부의 양측에 결합편이 직각 절곡되어 형성되며, 중앙에는 수직하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편을 가지고 상기 고정판에 대해 탄력적으로 상하수직 이동 가능하도록 밀착 결합되는 이동판;
    상기 고정판의 지지편과 상기 이동판의 결합편에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이동판의 상하수직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부재;
    상기 조절부재를 매개로 상기 고정판의 지지편과 상기 이동판의 결합편 사이에 이탈없이 개재되어 상기 이동판이 수직이동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이동판의 상단부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이동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가구본체의 상부 및 하부 레일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하는 롤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호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의 양측과 상기 가이드편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가이드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판의 상하수직 이동을 안내하면서 그 이동판이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이탈이 없도록 일단이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판의 가이드장공들에 끼움 결합되는 가이드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호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일측에 머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볼트타입으로 이루어지며, 그 볼트타입의 나사부에는 탄성부재의 탄성작용을 방해없이 자유롭게 유지시켜 주는 튜브가 끼워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호차
KR2020140008363U 2014-11-14 2014-11-14 미닫이 도어용 호차 KR201600017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363U KR20160001744U (ko) 2014-11-14 2014-11-14 미닫이 도어용 호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363U KR20160001744U (ko) 2014-11-14 2014-11-14 미닫이 도어용 호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744U true KR20160001744U (ko) 2016-05-24

Family

ID=56098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363U KR20160001744U (ko) 2014-11-14 2014-11-14 미닫이 도어용 호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74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741A (ko) * 2016-06-28 2018-01-05 전창현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
KR20200116701A (ko) * 2019-04-02 2020-10-13 (주)명진 창호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
KR20210016920A (ko) 2019-08-06 2021-02-17 최의영 슬라이드식 도어의 롤러 어셈블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741A (ko) * 2016-06-28 2018-01-05 전창현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
KR20200116701A (ko) * 2019-04-02 2020-10-13 (주)명진 창호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
KR20210016920A (ko) 2019-08-06 2021-02-17 최의영 슬라이드식 도어의 롤러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24212B1 (en)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20100283359A1 (en) Installation system and door positioning device for appliances
RU272486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движных дверей и гардеробных дверей, снабженное несколькими регулировками
EP1640537B1 (en) Device for stopping with shock absorption and stabilizing sliding doors and shutters
JP2010261301A (ja) 旋回可能に保持された仕切り要素の変位装置及び家具製品
CA2535213A1 (en) Integrated sliding door/panel system
KR20160001744U (ko) 미닫이 도어용 호차
TWI729806B (zh) 用於引導至少一個門扇的引導系統
TWI712729B (zh) 用於家具部件之可移動安裝的引導滑塊、具有該引導滑塊的引導系統以及具有該引導系統的家具
KR101138288B1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KR100948435B1 (ko) 미닫이식 도어 하부 롤러장치
KR101369499B1 (ko) 미닫이 도어의 상부롤러장치
US10947762B2 (en) Articulating mounting bracket for hanging doors
KR200489994Y1 (ko)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EP2526245B1 (en) Door leaf system for closing and/or opening an entrance
KR101831849B1 (ko) 닫힘수단이 구비된 미닫이문
KR20110010934U (ko) 슬라이딩 도어용 높낮이 조절형 로울러장치
RU2729627C2 (ru) На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кользящего элемента, предмет мебели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скользящего элемента
KR200188830Y1 (ko) 미닫이식 도어용 롤러 조립체
KR102197056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상부 레일 높이 조절장치
KR20160001745U (ko) 미닫이 도어용 호차
KR20170001897U (ko)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프레임
KR101857197B1 (ko) 슬라이딩 도어용 하부 롤러장치
KR101902476B1 (ko) 도어용 경첩
KR20220001936U (ko) 미닫이 도어용 호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