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241U - Cold drink cup holder - Google Patents

Cold drink cup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241U
KR20160001241U KR2020140007267U KR20140007267U KR20160001241U KR 20160001241 U KR20160001241 U KR 20160001241U KR 2020140007267 U KR2020140007267 U KR 2020140007267U KR 20140007267 U KR20140007267 U KR 20140007267U KR 20160001241 U KR20160001241 U KR 201600012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up holder
grip portion
present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26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경수
Original Assignee
최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수 filed Critical 최경수
Priority to KR20201400072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241U/en
Publication of KR201600012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241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크아웃 컵을 감싸는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는 컵의 하단을 받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외곽 끝단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컵의 외측면을 감싸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컵과 본 고안에 따른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와의 사이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돌기;로 구성되어 차가운 음료를 담은 컵의 외측 표면에 맺히는 물방울로 파지부가 미끄럽지 않도록 하고, 물방울을 컵홀더 내에 저장하여 주변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which encloses a take-out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d drink cup holder comprises: a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cup; A grip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an out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And a side surface protrusion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cup and the cold beverag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urface protrusion is formed by water droplet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containing the cold beverage, It is possible to keep the surroundings neat by storing water droplets in the cup holder so as not to be slippery.

Description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 {Cold drink cup holder}Cold drink cup holder < RTI ID = 0.0 >

본 고안은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가운 음료를 담아 음용 하는 1회용 컵에 있어서 컵의 외면에 결로현상으로 형성되는 수분으로 인하여 컵의 파지부가 미끄러워지고 흐르는 물방울로 불편을 겪지 않도록 차가운 음료용 컵과 일정한 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결로현상으로 인한 수분을 격리하므로 컵의 파지부가 미끄럽지 않고 물방울이 컵에서 흘러 떨어지는 현상을 개선한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osable cup for drinking a cold beverage, in which the moisture formed by the condensa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makes the grip of the cup slipper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for a cold beverage, in which a cold beverage cup and a certain space are provided to isolate moisture due to the condensation phenomenon, thereby preventing the grip portion of the cup from being slippery and allowing water droplets to flow out of the cup.

일반적으로 여름철에 아이스커피, 아이스티를 비롯한 다양한 차가운 음료를 테이크아웃(Take-out)하면 1회용 용기에 상기 음료를 담아 음용 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1회용 음료 용기를 컵(cup)이라 지칭한다. 이때, 차가운 음료의 온도로 인해 컵의 외면 온도는 주변공기의 이슬점 온도보다 낮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컵의 외면에는 공기중의 수증기가 액화하여 이슬이 맺히게 된다. 이 이슬은 컵을 파지하는 부분을 포함하여 컵의 외면에 고르게 맺히고 흐르게 되어 컵을 잡은 손이 미끄럽게 만들 뿐만 아니라, 컵을 놓은 장소에 물이 고이게 되기까지 한다. 그래서, 차가운 음료를 테이크아웃하여 음용 할 때에 컵을 종이냅킨(napkin)으로 감싸거나 하부를 받쳐야 하는 불편함이 따라왔다.Generally, in the summer, various cold drinks such as iced coffee, iced tea, and the like are taken out to drink in the disposable container. Hereinafter, the disposable beverage container is referred to as a cup. At this time, due to the temperature of the cold beverage, the outer surface temperature of the cup is formed to be lower than the dew-point temperature of the ambient air, so that the water vapor in the air is liquefi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This dew is evenly distribu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including the part holding the cup, so that not only does the hand holding the cup make it slippery, but also the place where the cup is placed becomes watery. So, when drinking cold drinks and taking them out, there was the inconvenience of wrapping the cups with paper napkins or supporting the lower part.

본 고안은 차가운 음료용 컵의 외부에 결로로 인한 물방울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물방울이 맺혀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파지부의 결로를 예방하므로 컵의 미끄러운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컵홀더에 관련한 것으로, 종래의 컵홀더에 관련된 내용으로는 등록실용 20-0154069, 등록특허 10-1003803, 공개특허 10-2014-0028487, 공개특허 10-2013-0125003에서 편리하게 컵을 수납할 수 있는 손잡이가 컵홀더의 측면에 형성 또는 컵홀더의 일부가 손잡이로 변형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의 파지 편의성을 높이는 기술, 뜨거운 음료를 담은 컵의 외면에 보온재가 형성된다거나 다양한 크기의 1회용 컵에 사용될 수 있도록 크기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기술들이었다. 1회용 음료를 담는 컵을 파지하기 위한 편리성에 대한 재고와 방온등의 목적으로 고안된 기술들이 다수를 이뤄왔고, 차가운 음료를 담는 컵 외부표면에 결로현상을 방지하거나 개선하는 기술의 개진은 부족하였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capable of preventing the condensation of water from flowing and preventing the condensation of the grip portion by securing a space in which water droplets due to condensation can be stored on the outside of the cold beverage cup, The contents relating to the conventional cup holder are disclosed in the registration room 20-0154069, the registered patent 10-1003803, the patent 10-2014-0028487, the patent 10-2013-0125003, The cup holder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holder or a part of the cup holder may be deformed by a handle. The cup holder may be formed of a heat-retaining material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And a size adjusting means. There have been a number of techniques devised for the purpose of stocking and warming the convenience of gripping cups containing disposable beverages, and there has been a lack of technology to prevent or improve condensation on the outer surface of cups containing cold beverages.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에 컵 표면과 일정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돌기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손이 파지하는 컵홀더에는 물방울이 맺히지 않도록 하고, 결로현상으로 인한 물방울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up holder for a cold beverage in which a protrusion is formed so as to secure a certain space with the cup surface so that water drops are not formed on the cup holder held by the user's hand And to prevent a water droplet from flowing due to a condensation phenomenon.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음료의 컵을 감싸는 컵홀더에 있어서, 컵의 하단부를 받치는 부위인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외곽 끝단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파지되는 부분으로 컵의 외측면을 감싸게 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의 내주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한 개 이상 돌출되어 형성되어 수용되는 컵과의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측면돌기;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컵의 하단과 접하면서 수분이 맺히고 저장될 수 있는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한 개 이상의 지지돌기가 포함되고, 상기 측면돌기는 파지부의 상단에서 연장형성되어 톰슨가공(Thomson process)으로 내측면으로 접힐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파지부의 내측면이 수분을 흡수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스폰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p holder for wrapping a cup of beverage, the cup holder comprising: A grasping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an out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as a grasped portion; And at least one side protrusion protruding inwardly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portion to form a space between the cup and the cup. Preferably, the side protrusion is protruded upward from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side projections are formed so as to extend from the upper end of the grip portion and to be folded inward by a Thomson process. Further,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grip portion is constituted by a sponge for absorbing and storing moisture, which can be achieved by the cup holder for a cold beverage.

본 고안에 따르면 차가운 음료를 담아서 테이크아웃 하게 되는 컵을 사용함에 있어서, 표면에 결로현상으로 맺히게 되는 수분으로 파지부가 미끄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컵홀더가 차가운 음료가 담긴 컵의 외주면과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되므로 체온으로 음료가 더워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컵이 외주면에 맺힌 물방울이 컵홀더의 내부 공간에 저장이 되어 흐르는 물방울로 주변이 젖거나 지저분해 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rip portion from slipping due to moisture that is formed as a condensation phenomenon on the surface when using the cup to be taken out by containing a cold drink, and the cup holder can prevent the outer periphery of the cup containing the cold drink Since the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not only the beverage is prevented from being warmed by the body temperature but also the water droplet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are sto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up holder to prevent the periphery from being wetted or dirty by flowing water droplets .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에서 톰슨가공된 측면돌기가 포함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에서 톰슨가공된 측면돌기가 포함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의 파지부 내측면이 엠보싱 처리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의 파지부 내측면이 엠보싱 처리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의 파지부가 주름지게 구성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의 파지부가 주름지게 구성된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의 파지부의 주름형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의 측면돌기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ld drink cup hol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Thompson side lug.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ld drink cu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Thompson processed side projection;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ld drink cu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ssed in the inside of the grip portion. FIG.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ssed side surface of a grip portion of a cup holder for a cold beve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grip portion of a cup holder for a cold beve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grip portion of a cold drink cu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a wrinkle shape of a grip portion of a cold drink cu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side projections of a cold drink cu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in nature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carry out the invention and that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imited It does not mean anything.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In addition, the size and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terms defined in particular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the operato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on the basis of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에서 톰슨가공된 측면돌기(400)가 포함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including a Thompson side lug 400 in a cold drink cu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는 차가운 음료를 테이크아웃 할 때에 상용되는 플라스틱 재질로 된 컵(100)의 하단을 받치는 받침부(200), 상기 받침부(200)의 외곽 끝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측으로는 컵(100)을 수용할 수 있는 개방부가 형성된 파지부(300), 및 상기 파지부(300)의 내주면에서 한 개 이상 돌출되어 파지부(300)의 내주면과 수용되는 컵(10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측면돌기(400)를 포함한다.1 and 2, the cold beverage cup holder includes a support part 200 for supporting a lower end of a cup 100 made of a plastic material that is used when a cold beverage is taken out, A grip portion 300 extending upward from the grip portion 300 and having an opening portion capable of receiving the cup 100 at an upper side thereof and a grip portion 300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portion 300 to receive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rip portion 300, And a side surface protrusion 400 on which the cup 100 forms a space with a predetermined gap therebetween.

받침부(200)는 원형 내지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컵(100)의 바닥면과 대응되어 받쳐주는 것으로 컵(100)이 수용된 상태로 음료가 쏟아지지 않도록 세워 놓을 수 있는 면적을 가지고 형성된다. 이때, 받침부(200)의 중앙부분 혹은 다수의 부위에 지지돌기(210)가 형성되어 컵(100)의 하단과 받침부(200)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게 되고, 확보된 공간으로 결로현상으로 인한 물방울이 저장되고, 형성된 공기층에 의해 단열효과도 얻을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20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nd may be formed with an area that can be set up so as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being poured in a state where the cup 100 is received by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up 100 do. At this time, the support protrusions 210 are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or a plurality of portions of the support portion 200 to secure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cup 100 and the support portion 200, Water droplets due to development are stored, and a heat insulating effect can be obtained by the formed air layer.

상기 지지돌기(210)는 받침부(200)의 중앙부분에서 상방으로 원형 내지 다각형의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되면 될 것이고, 받침부(200)의 외측 가장자리에 복수개가 상방으로 형성되어 컵(100)이 받침부(200)로부터 일정공간 상방에서 거치 되도록 하여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The supporting protrusions 210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upwar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ceiving unit 200. A plurality of the supporting protrusions 210 may be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receiving unit 200, May be mounted on a predetermined space above the support unit 2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Various configurations applicable in the related art may be appli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파지부(300)는 상기 받침부(200)의 외곽 끝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받침부(200)의 지름 내지 단면적보다 상방으로 갈수록 넓은 지름 내지 단면적을 지니도록 형성되어 상방이 개방된 형태로 컵(100)이 수용될 수 있게 구성된다.The grip portion 300 is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out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200 and has a diameter or a cross-sectional area that is larger than a diameter or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ceiving portion 200, So that the cup 100 is accommodated.

상기 파지부(300)는 컵(100)의 외측면을 둘러서 감싸는 형태로 컵(100) 높이의 50%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중에 유통되는 대다수의 1회용 음료 컵(100)이 원형의 단면을 가지므로 상방이 넓고 개방형으로, 하방이 좁은 원통형으로 받침부(200)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grip portion 300 is formed to be 50% or more of the height of the cup 100 so as to surround and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100, and a majority of the disposable beverage cup 100, And is formed so as to be coupled with the receiving unit 200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wide upper part and an open lower part and a narrow downward part.

상기 파지부(300)의 내주면으로는 측면돌기(400)가 한 개 이상 다수개 형성되어 컵(100)과 파지부(300)가 대응되는 컵(100)의 외측면과 파지부(300)의 내측면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측면돌기(400)는 파지부(300)의 내측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컵(100)이 본 고안에 따른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에 수용되었을 때 컵(100)을 측면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One or more side projections 400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unit 300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100 corresponding to the cup 100 and the grip unit 3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unit 300 So that a space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ner side. The side surface protrusion 400 protrud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grip part 300. When the cup 100 is received in the cold drink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plays a supporting role from the side.

일 실시예로 상기 측면돌기(400)는 파지부(300)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다수개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파지부(300)와 측면돌기(400)의 접하는 선을 톰슨가공하여 가벼운 외력으로도 접힐 수 있도록 구비한 뒤 컵(100)을 수용시에는 도 2의 단면도를 참조하여 상기 측면돌기(400)를 파지부(300)를 기준하여 내측으로 밀어 접음으로써 직각에 가깝도록 하여 컵(100)의 외측면과 접혀진 측면돌기(400)의 끝단이 서로 닿도록하여 컵(100)을 수용하게 된다.A plurality of the side projections 400 are formed so as to extend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grip portion 300 and the contact lines between the grip portion 300 and the side projections 400 are formed by Thompson, Referring to the sectional view of FIG. 2, when the rear cup 100 is folded, the side protrusion 400 is pushed inward with respect to the grip unit 300 so as to be close to a right angle, And the end of the folded side protrusion 40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receive the cup 100.

상기한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의 받침부(200) 및 파지부(300)가 수용될 컵의 하단과 측면을 감싸게 되며 파지부(3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측면돌기(400) 및 받침부(200)에서 상방으로 형성되는 지지돌기(210)에 의하여 컵(100)의 외측면과 하단이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 채로 지지 되는 것으로 차가운 음료가 담겨진 컵(100)과 본 고안에 따른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의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단열효과를 담보할 수 있고, 컵(100)의 외주면에 맺혀 흐르는 물방울이 외부와 단절되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up portion 200 and the grip portion 300 of the cold beverag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wrapped around the lower end and the side of the cup to be accommodated, and the side projections 400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rip portion 300 And a support protrusion 210 formed on the support part 200 to support the cup 100. The cup 100 has an outer surface and a lower end formed with a predetermined space. An air layer may be formed between the cup holder for cold beverage to ensure a heat insulating effect and water droplet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100 may be disconnected from the outside.

도 3 내지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의 파지부(300) 내측면이 엠보싱(410) 처리된 사시도 몇 평면도이고, 도 5 내지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의 파지부(300)가 주름지게 구성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3 to 4 are a plan view of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ide of the grip portion 300 of the cup holder for a cold beve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to 6 illustrate a sid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rip portion 300 of the cold drink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rrugated.

도 3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의 일 실시예로 상기 파지부(300)는 내측면이 다수개의 돌출되어 있는 선이나 면으로 구성될 수 있는 엠보싱(410) 처리로 상기 측면돌기(400)를 구성하여 컵(100)과 파지부(300) 사이에 공기 단열층이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3 to 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cold drink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portion 300 may be formed by embossing (410) processing in which the inner side may be formed by a plurality of projected lines or faces The space between the cup 100 and the grip unit 300 can be secured by forming the side projection 400.

도 5 내지 6을 참조하면, 상기 파지부(300)는 주름져 있는 부재로 형성되어 주름내측(310)이 상기된 측면돌기(400)의 역할을 하게 되고, 주름외측(320)을 손으로 잡음으로 파지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주름내측(310)이 컵(100)의 외측면과 맞닿아 컵(100)을 지지해주면서 주름져 있는 공간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단열효과를 얻게 되며 물방울이 저장되는 공간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5 to 6, the grip portion 300 is formed of a wrinkled member so that the inside corrugated surface 310 functions as the side surface protrusion 400, and the corrugated outer side 320 is hand- As shown in Fig. The corrugated inner side 310 abuts against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100 to support the cup 100, and an air layer is formed in the corrugated space to obtain a heat insulating effect and a space for storing water drops can be secured.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부(300)의 외주면으로 고르형태의 손잡이(미도시)를 형성하거나 파지부(300)의 외주면에 미끄럼방지 주름(미도시)을 형성하여 파지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Preferably, grips (not shown)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portion 300 or non-slip wrinkles (not shown)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portion 300 to improve gripping convenience. However, As an example, various configurations applicable in the art may be appli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의 파지부(300)의 주름형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의 측면돌기(400)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a corrugated shape of the grip portion 300 of the cold drink cu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front view of the side wall of the cup holder for a cold dr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00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여, 파지부(300)에는 받침부(200)에 가까운 하측에서는 좁은 주름이 잡혀있고 상측으로 갈수록 주름의 골이 커지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컵(100)과 본 고안에 따른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 사이의 공기층이 하측은 좁고 상측은 넓게 만들어, 컵(100)을 기울이게 되었을 때, 컵(100)의 표면에서 결로현상으로 생성되어 받침부(200) 및 파지부(300)의 내부에 고여있던 물이 외부로 쏟아지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유체의 흐름이 단면적이 넓어지며 속도가 느려지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7, the grip portion 300 may have a narrow wrinkle at the lower side near the receiving portion 200 and a larger wrinkle point toward the upper side. This is because the cup 100 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layer between the cup holder 100 and the cup holder 100 is narrow and the upper side of the cup holder 100 is narrow and the cup 100 is tilted, By using the principle that the flow of the fluid is widened and the speed is slowed by preventing the water that has accumulated inside from being poured out.

도 8을 참조하여, 측면돌기(400)는 일정한 모서리를 갖는 형태, 반원형태 및 사각형 형태등으로 다양하게 실시가 될 수 있고, 음료가 담겨 수용되는 컵(100)과 본 고안에 따른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의 사이에 공기층 및 수분 저장공간을 만들 수 있다면 당해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8, the side surface protrusions 400 can be variously formed in a shape having a constant edge, a semicircular shape, a rectangular shape, etc., and can be used for a cup 100 in which a beverage is contained and a cold beverage If an air layer and a moisture storage space can be formed between the cup holders, various configurations applicable to the related art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고안에 따른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는 1회용 플라스틱 컵을 만드는 재질로서 재활용이 가능하고 투명한 특성을 지니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내지 재활용이 불가하고 투명도는 떨어지나 경제성이 높은 PS(polystyrene)로 실시 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재질뿐만 아니라 편면 골판지등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종이재질로 본 고안에 따른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를 제작시에는 내측에 고이게 되는 물방울이 외부로 침습되지 않도록 받침부(200)의 상단 및 파지부(300)의 내측면은 폴리에틸렌 혹은 왁스를 코팅하거나 적층 또는 함침시켜 내수성을 확보한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up holder for a cold beverage is made of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which can be recycled as a disposable plastic cup and has transparency characteristics, and can be made of PS (polystyrene) It can be made of plastic material as well as single sided cardboard. When the cup holder for a cold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paper material,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unit 200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olding unit 300 are coated with polyethylene or wax so that the water droplets, Laminated or impregnated to ensure water resistance. Various configurations applicable to the technical field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는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어, 차가운 음료가 담긴 컵(100)을 상방을 통하여 수용하게 되고, 컵(100)의 외측면과 하단부가 측면돌기(400) 및 지지돌기(210)로 지지 되어 고정되므로 컵(100)의 외측면과 하단에 일정 간격의 공기층 형성으로 단열효과를 얻게 되어 손으로 파지시 체온이 음료의 온도에 간섭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며 차가운 음료로 인하여 발생하는 결로현상에 의한 물방울이 본 고안고안른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 내부에 저장되게 하는 것으로 차가운 음료가 담긴 컵(100)을 사용함에 있어 물방울 맺힘으로 겪어왔던 불편함을 해소하게 되는 것이다.
The cup holder for a cold beverag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opened upward to accommodate the cup 100 containing the cool beverage through the upper portion, Since the side and lower ends are supported and fixed by the side projections 400 and the support protrusions 210, an insulating effect is obtained by forming air layers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and lower ends of the cup 100, And the water drops due to the condensation phenomenon caused by the cold beverage are stored in the cup holder for the cold beverage, which is desig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of using the cup 100 containing the cold beverage, I am relieved of the inconveniences I have come across.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0 : 컵 200 : 받침부
210 : 지지돌기 300 : 파지부
310 : 주름내측 320 : 주름외측
400 : 측면돌기 410 : 엠보싱
100: cup 200:
210: support protrusion 300:
310: wrinkle inside 320: wrinkle outside
400: side projection 410: embossing

Claims (4)

음료컵을 감싸는 컵홀더에 있어서,
상기 컵의 하단을 받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외곽 끝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측에는 컵을 수용할 수 있는 개방부가 형성된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의 내주면에서 한 개 이상 돌출되어 수용되는 컵과의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
A cup holder for wrapping a beverage cup,
A receiving part for supporting a lower end of the cup;
A grip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an out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having an opening portion capable of receiving a cup at an upper side thereof; And
And a side surface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portion to form a space with the cup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음료컵을 감싸는 컵홀더에 있어서,
상기 컵의 하단을 받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외곽 끝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측에는 컵을 수용할 수 있는 개방부가 형성된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내측면으로 접힐 수 있게 이루어지는 한 개 이상의 측면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
A cup holder for wrapping a beverage cup,
A receiving part for supporting a lower end of the cup;
A grip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an out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having an opening portion capable of receiving a cup at an upper side thereof; And
And one or more side projections extending up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grip portion and foldable to an inner side.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컵의 하단과 받침부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한 개 이상의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one or more supporting protrusions projecting upward from the receiving portion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cup and the receiving portion.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내주면이 수분을 흡수하고 저장할 수 있는 스폰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가운 음료용 컵홀더.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portion is composed of a sponge capable of absorbing and storing moisture.
KR2020140007267U 2014-10-06 2014-10-06 Cold drink cup holder KR20160001241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267U KR20160001241U (en) 2014-10-06 2014-10-06 Cold drink cup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267U KR20160001241U (en) 2014-10-06 2014-10-06 Cold drink cup hol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241U true KR20160001241U (en) 2016-04-15

Family

ID=55790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267U KR20160001241U (en) 2014-10-06 2014-10-06 Cold drink cup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241U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286U (en) 2016-10-26 2018-05-04 주식회사 에드파 Take-out cup with the holder for dew condensation water
KR102007934B1 (en) 2018-08-24 2019-08-06 이주훈 cup holder
KR20220059876A (en) * 2020-11-03 2022-05-10 이차혁 cup hold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286U (en) 2016-10-26 2018-05-04 주식회사 에드파 Take-out cup with the holder for dew condensation water
KR102007934B1 (en) 2018-08-24 2019-08-06 이주훈 cup holder
KR20220059876A (en) * 2020-11-03 2022-05-10 이차혁 cup hol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2176B2 (en) Beverage holding device
US20070295738A1 (en) Double rimmed beverage cup and holder
US20060283868A1 (en) Beverage container accessory
KR20160001241U (en) Cold drink cup holder
CA2852809A1 (en) Beverage cups
US20150173544A1 (en) Coaster
US20150342380A1 (en) Recyclable, thermally insulated plastic container
US8770429B2 (en) Coffee mug liner
US20120160859A1 (en) Cup Holder and Cup with Handle
US20160194113A1 (en) Liquid Absorbing Cupholder
KR20140028487A (en) Holder for disposable cup
JP2020508731A (en) Paper cup with heat conduction prevention plate
US20140175105A1 (en) Insulated beverage container for both heated and chilled liquids
KR20110003713U (en) Cup holder
KR20100008331U (en) Portable paper cup holder
JP3195580U (en) Structure of packaging container with cardboard jacket
KR20150048573A (en) Multi purpose packing box for food
GB2481972A (en) Beverage Container Transportation Device
US20090026213A1 (en) Container with integrally insulating holder
US20160095456A1 (en) Cup holder with a handle
CA2529000C (en) Foldable air insulating sleeve
JP3753788B2 (en) Beverage container
KR101209942B1 (en) Paper cup
KR200476138Y1 (en) A beverage container of dew spill-proof
KR102544430B1 (en) cup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