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6067A -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6067A
KR20150146067A KR1020140075922A KR20140075922A KR20150146067A KR 20150146067 A KR20150146067 A KR 20150146067A KR 1020140075922 A KR1020140075922 A KR 1020140075922A KR 20140075922 A KR20140075922 A KR 20140075922A KR 20150146067 A KR20150146067 A KR 20150146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sture
user
display device
recognized
video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9354B1 (ko
Inventor
안우석
강상규
오형철
박세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5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354B1/ko
Priority to PCT/KR2014/006956 priority patent/WO2015194697A1/en
Priority to US15/320,181 priority patent/US10372225B2/en
Publication of KR20150146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06V40/23Recognition of whole body movements, e.g. for sport tra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06V40/28Recognition of hand or arm movements, e.g. recognition of deaf sign langu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은 영상 표시 기기의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영상에서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제스처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복수의 제스처 영역에서 사용자의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와 획득된 영상에서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단계와 인식된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 및 인식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제공하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TV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 디지털 TV 서비스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서비스에서는 제공할 수 없었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TV 서비스의 한 종류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시청 프로그램의 종류, 시청 시간 등을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성을 제공한다. IPTV 서비스는 이러한 양방향성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 예컨대 인터넷 검색, 홈쇼핑, 온라인 게임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최근의 스마트 TV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해서, 인식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하지만, 스마트 TV와 사용자의 거리에 따라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인식률에 차이가 발생하고,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사용자가 동작할 수 있는 제스처에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스처를 통해 스마트 TV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제어 동작마다 다른 제스처 동작들을 사용자가 기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스처 및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제스처 동작으로도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의 자세에 적합한 제스처 인식률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은 영상 표시 기기의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제스처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복수의 제스처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된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 및 인식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의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제스처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기준 오브젝트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와, 인식된 기준 오브젝트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제스처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의 인식된 기준 오브젝트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제스처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오브젝트를 기준으로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제스처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동일한 제스처가 인식되어도, 상기 인식된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의 제스처 오브젝트는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채널 전환, 음량 조절, 화면 확대, 화면 축소, 화면 이동, 포인터 이동, 화면 설정 및 음향 설정 중 하나 이상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은 획득된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인식된 사용자의 자세를 기초로 상기 인식된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 및 인식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동일한 제스처 및 동일한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가 인식되어도,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은 획득된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은 인식된 사용자의 자세 및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정도인 제스처 인식률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의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단계는 결정된 제스처 인식률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는 영상 표시 기기의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및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제스처 영역을 생성하고, 생성된 복수의 제스처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 및 인식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기준 오브젝트의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된 기준 오브젝트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제스처 영역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제어부는 동일한 제스처가 인식되어도, 상기 인식된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의 자세를 기초로 상기 인식된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 및 인식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제어부는 동일한 제스처 및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가 인식되어도,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자세 및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정도인 제스처 인식률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제어부는 결정된 제스처 인식률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 및 인식된 제스처를 기초로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채널 전환, 음량 조절, 화면 확대, 화면 축소, 화면 이동, 포인터 이동, 화면 설정 및 음향 설정 중 하나 이상의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나의 제스처 동작으로도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제스처 인식 기능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동작하는 제스처를 인식하는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획득부의 영상 획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 인식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자세 인식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멸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영역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 인식을 나타낸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 및 제스처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 표시 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 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영상 표시 기기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영상 표시 기기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영상 획득부(16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단자(terminal)를 포함할 수 있어서, 외부 장치의 커넥터(connecter)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연결된 외부 장치에 구동 전원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가 송신한 동작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제어부(170)가 송신한 음성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의 연결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포함될 수 있어서, 외부 장치의 연결을 인식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영상 표시 기기(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기기(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영상 표시 기기(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60)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6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어서, 포함된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획득부(160)는 획득한 영상을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기기(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로부터 외부 장치의 연결에 대한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에 구동 전원이 전달되도록 전원 공급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영상 획득부(160)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기초로, 획득한 영상에 포함된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인식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사용자와 영상 표시 기기(100) 간의 거리, 각도 중 하나 이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영상 획득부(160)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기초로, 획득한 영상에 포함된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인식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 표시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영상 표시 기기(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 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기기(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영상 표시 기기(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기기(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영상 표시 기기(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225), 사용자 입력부(235),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전원 버튼(291), 채널 버튼(293), 선호 채널 버튼(295) 및 LIVE 버튼(297)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버튼(291)은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버튼(293)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선호 채널 버튼(295)은 선호 채널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LIVE 버튼(297)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영상 표시 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기기(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영상표시기기(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영상 표시 기기(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100)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의 영상 획득부(160)는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한다(S101).
영상 획득부(160)는 영상 획득부(160)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부(160)의 사용자에 대한 영상 획득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획득부(160)의 영상 획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영상 획득부(160)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전면에 구비되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획득부(160)는 영상 표시 기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획득부(160)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전면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60)는 획득한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여기서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에는 사용자의 제스처 동작에 대한 영상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는 영상 표시 기기(100)에 포함되지 않고,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영상 표시 기기(100)는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한다(S103).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제어부(170)는 영상 획득부(160)가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위치란, 사용자와 영상 표시 기기(100)간의 거리, 각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 인식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와 영상 표시 기기(100) 간의 거리 d와 사용자와 영상 표시 기기(100) 간의 각도 a를 산출할 수 있다.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피사체와의 거리 및 각도를 산출하는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영상 표시 기기(100)는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자세를 인식한다(S105).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제어부(170)는 영상 획득부(160)가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자세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영상 표시 기기(100)는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신체 골격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인식된 사용자의 신체 골격을 기초로 사용자의 자세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인식된 사용자의 신체 골격을 기초로 사용자 신체의 비율, 상대적인 위치 중 하나 이상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인식된 사용자 신체의 비율, 상대적인 위치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자세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자세 인식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신체 골격, 사용자 신체의 비율, 상대적인 위치를 기초로 사용자가 서 있는 자세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머리와 사용자의 다리 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고, 사용자의 머리와 몸통, 다리 부분이 차지하는 비율이 일정값 이상이며, 머리와 몸통, 다리 부분이 이어지는 연결선이 직선에 가까우면 사용자가 서 있는 자세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신체 골격, 사용자 신체의 비율, 상대적인 위치를 기초로 사용자가 앉은 자세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머리와 사용자의 다리 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고, 사용자의 머리와 몸통, 다리 부분이 차지하는 비율이 일정값 미만이고, 머리와 몸통, 다리 부분이 이어지는 연결선이 직선에 가까우면 사용자가 앉아 있는 자세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신체 골격, 사용자 신체의 비율, 상대적인 위치를 기초로 사용자가 옆으로 누운 자세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머리와 사용자의 다리 부분이 좌우 방향으로 위치하고, 사용자의 머리와 몸통, 다리 부분이 차지하는 비율이 일정값 이상이며, 머리와 몸통, 다리 부분이 이어지는 연결선이 직선이 아니면 사용자가 옆으로 누워 있는 자세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사용자 자세 인식 설명을 위한 예시로써,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자세를 인식할 수 있다.
영상 표시 기기(100)는 인식된 사용자의 위치 및 자세를 기초로 제스처 인식률을 결정한다(S107).
제어부(170)는 인식된 사용자의 위치 및 자세를 기초로 사용자의 제스처 동작을 인식하는 정도에 대한 제스처 인식률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스처 인식률은 사용자가 제스처 동작을 유지하는 유지 시간을 나타내는 민감도, 사용자의 제스처 동작과 기 설정된 제스처 동작과의 매칭 정도를 나타내는 유사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170)는 인식된 사용자의 위치가 영상 표시 기기(100)와 일정 거리 이내이고, 인식된 사용자의 자세가 서 있는 자세이면 제스처 인식률을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 기기(100)는 사용자의 일정 수준 이상의 정확도를 갖는 제스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70)는 인식된 사용자의 위치가 영상 표시 기기(100)와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있고, 인식된 사용자의 자세가 누워 있는 자세이면 제스처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 기기(100)는 사용자의 일정 수준 이하의 정확도를 갖는 제스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상술한 제스처 인식률 결정에 대한 설명은 설명을 위한 예시로써,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영상 표시 기기(100)는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제스처 영역을 생성한다(S109).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제어부(170)는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제스처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스처 영역이란, 사용자의 제스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170)는 기준 오브젝트를 기준으로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제스처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오브젝트는 제스처 영역을 생성하는데 기준이 되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또한, 기준 오브젝트는 손, 손가락, 발, 머리, 얼굴 등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이를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멸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영역을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기준 오브젝트인 머리를 기준으로 머리 위 영역인 영역 A와 머리 아래 영역인 영역 B를 제스처 영역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기준 오브젝트와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를 기준으로 사용자에 대한 제스처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기준 오브젝트인 머리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기준의 위 영역인 영역 A 와 기준 아래 영역인 영역 b를 제스처 영역으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에 대해서도 제스처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기준 오브젝트인 머리를 기준으로 상하좌우 4개의 영역을 제스처 영역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머리를 기준으로 영역 A, 영역 B, 영역 C 및 영역 D를 제스처 영역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기준 오브젝트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를 기준으로 상하좌우 4개의 영역을 제스처 영역으로 생성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기준 오브젝트인 머리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를 기준으로 영역 A, 영역 B, 영역 C 및 영역 D를 제스처 영역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제스처 영역은 설명을 위한 예시로써,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영상 표시 기기(100)는 생성된 복수의 제스처 영역에서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를 인식한다(S111).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제스처 오브젝트를 인식하여, 생성된 복수의 제스처 영역 중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제스처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제스처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제스처 오브젝트는 제스처 동작을 하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또한, 기준 오브젝트는 손, 손가락, 발, 머리, 얼굴 등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이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 인식을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생성된 복수의 제스처 영역인 영역 A, 영역 B, 영역 C 및 영역 D에서 제스처 오브젝트인 사용자의 손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제스처 오브젝트인 사용자의 손의 위치가 제스처 영역 B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제스처 오브젝트의 제스처를 인식한다(S113).
제어부(170)는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제스처 오브젝트의 형상, 움직임 중 하나 이상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결정된 제스처 인식률을 기초로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단계 S107에서 결정된 인식률을 기초로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170)는 제스처 인식률이 기준값 이상이면, 일정 수준 이하의 정확도를 갖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70)는 제스처 인식률이 기준값 이하이면, 일정 수준 이하의 정확도를 갖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영상 표시 기기(100)는 인식된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 및 제스처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S115).
제어부(170)는 단계 S111에서 인식된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 및 단계 S113에서 인식된 제스처 오브젝트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복수의 제스처 영역 중 제스처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제스처 영역과 제스처 오브젝트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표시 기기(100)가 수행할 수 있는 제어 동작은 영상 표시 기기(100)가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제어 동작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채널 전환, 음량 조절, 화면 확대, 화면 축소, 화면 이동, 포인터 이동, 화면 설정 및 음향 설정 중 하나 이상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 및 제스처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나타낸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위치가 제스처 영역 A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제스처가 손을 편 제스처로 인식된 경우, 대응하는 제어 동작으로 채널 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위치가 제스처 영역 B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제스처가 손을 편 제스처로 인식된 경우, 대응하는 제어 동작으로 볼륨 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위치가 제스처 영역 C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제스처가 손을 편 제스처로 인식된 경우, 대응하는 제어 동작으로 채널 다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위치가 제스처 영역 D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제스처가 손을 편 제스처로 인식된 경우, 대응하는 제어 동작으로 볼륨 다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의 제스처 오브젝트가 왼손과 오른손으로 각각 다른 손이더라도 동일한 제스처인 손을 편 제스처를 동작하는 경우, 동일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제스처 오브젝트인 오른손의 위치가 제스처 영역 A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제스처가 손을 편 제스처로 인식된 경우, 대응하는 제어 동작으로 채널 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제스처 오브젝트인 왼손의 위치가 제스처 영역 B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제스처가 손을 편 제스처로 인식된 경우, 대응하는 제어 동작으로 볼륨 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제스처 오브젝트인 오른손의 위치가 제스처 영역 C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제스처가 손을 편 제스처로 인식된 경우, 대응하는 제어 동작으로 채널 다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제스처 오브젝트인 왼손의 위치가 제스처 영역 D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제스처가 손을 편 제스처로 인식된 경우, 대응하는 제어 동작으로 볼륨 다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를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위치가 제스처 영역 A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제스처가 손을 쥐는 제스처로 인식된 경우, 대응하는 제어 동작으로 재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위치가 제스처 영역 B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제스처가 손을 쥐는 제스처로 인식된 경우, 대응하는 제어 동작으로 정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위치가 제스처 영역 C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제스처가 손을 쥐는 제스처로 인식된 경우, 대응하는 제어 동작으로 메뉴 표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위치가 제스처 영역 D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제스처가 쥐는 제스처로 인식된 경우, 대응하는 제어 동작으로 음소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영상 표시 기기(100)는 사용자의 자세를 기초로 인식된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 및 제스처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워있는 자세이고, 사용자의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위치가 제스처 영역 A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제스처가 손을 펴는 제스처로 인식된 경우, 대응하는 제어 동작으로 볼륨 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워있는 자세이고, 사용자의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위치가 제스처 영역 B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제스처가 손을 펴는 제스처로 인식된 경우, 대응하는 제어 동작으로 볼륨 다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워있는 자세이고, 사용자의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위치가 제스처 영역 C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제스처가 손을 펴는 제스처로 인식된 경우, 대응하는 제어 동작으로 채널 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워있는 자세이고, 사용자의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위치가 제스처 영역 D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제스처가 손을 펴는 제스처로 인식된 경우, 대응하는 제어 동작으로 채널 다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영상 표시 기기(100)의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른 제어 동작 수행은 설명의 위한 예시로써,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제스처의 형상 또는 움직임 및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채널 전환, 음량 조절, 화면 확대, 화면 축소, 화면 이동, 포인터 이동, 화면 설정 및 음향 설정 중 하나 이상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기기(100)는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제스처에 대응하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제어 동작이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해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영상 표시 기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제스처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복수의 제스처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된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 및 인식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제스처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기준 오브젝트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와,
    인식된 기준 오브젝트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제스처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기준 오브젝트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제스처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오브젝트를 기준으로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제스처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동일한 제스처가 인식되어도, 상기 인식된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오브젝트는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채널 전환, 음량 조절, 화면 확대, 화면 축소, 화면 이동, 포인터 이동, 화면 설정 및 음향 설정 중 하나 이상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인식된 사용자의 자세를 기초로 상기 인식된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 및 인식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동일한 제스처 및 동일한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가 인식되어도,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자세 및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정도인 제스처 인식률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단계는
    결정된 제스처 인식률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13. 영상 표시 기기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및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제스처 영역을 생성하고, 생성된 복수의 제스처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 및 인식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기준 오브젝트의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된 기준 오브젝트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제스처 영역을 생성하는
    영상 표시 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일한 제스처가 인식되어도, 상기 인식된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영상 표시 기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의 자세를 기초로 상기 인식된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 및 인식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영상 표시 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일한 제스처 및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가 인식되어도,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영상 표시 기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자세 및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정도인 제스처 인식률을 결정하는
    영상 표시 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결정된 제스처 인식률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영상 표시 기기.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 및 인식된 제스처를 기초로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채널 전환, 음량 조절, 화면 확대, 화면 축소, 화면 이동, 포인터 이동, 화면 설정 및 음향 설정 중 하나 이상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영상 표시 기기.
KR1020140075922A 2014-06-20 2014-06-20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09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922A KR102209354B1 (ko) 2014-06-20 2014-06-20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PCT/KR2014/006956 WO2015194697A1 (en) 2014-06-20 2014-07-29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5/320,181 US10372225B2 (en) 2014-06-20 2014-07-29 Video display device recognizing a gesture of a user to perform a control oper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922A KR102209354B1 (ko) 2014-06-20 2014-06-20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067A true KR20150146067A (ko) 2015-12-31
KR102209354B1 KR102209354B1 (ko) 2021-01-29

Family

ID=54935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922A KR102209354B1 (ko) 2014-06-20 2014-06-20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72225B2 (ko)
KR (1) KR102209354B1 (ko)
WO (1) WO20151946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9036B2 (en) 2012-05-11 2017-04-1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ystem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user experience
CN106686437A (zh) * 2017-01-17 2017-05-17 泰康保险集团股份有限公司 智能电视操作方法及***
CN111857345A (zh) * 2020-07-23 2020-10-30 上海纯米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手势进行控制的方法及装置
CN115525203A (zh) * 2021-02-08 2022-12-27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CN115202530B (zh) * 2022-05-26 2024-04-09 当趣网络科技(杭州)有限公司 一种用户界面的手势交互方法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5334A1 (en) * 2000-10-06 2002-06-20 Yfantis Evangelos A. Hand gestures and hand motion for replacing computer mouse events
US20140172231A1 (en) * 2012-12-14 2014-06-19 Clarion Co., Ltd. Control apparatus, vehicle, and portab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6782B1 (en) * 1997-12-22 2001-01-23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 Motion-based command generation technology
JP4035610B2 (ja) * 2002-12-18 2008-01-23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インタフェース装置
JP4894741B2 (ja) * 2007-12-03 2012-03-1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5183398B2 (ja) * 2008-09-29 2013-04-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入力装置
US9746927B2 (en) * 2010-09-30 2017-08-29 France Telecom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9870141B2 (en) 2010-11-19 2018-01-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sture recognition
US9360943B2 (en) 2010-12-27 2016-06-07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feedback for gestures thereof
JP5711962B2 (ja) * 2010-12-27 2015-05-07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ジェスチャ操作入力処理装置およびジェスチャ操作入力処理方法
US9372540B2 (en) * 2011-04-19 2016-06-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gesture recognition
US9619018B2 (en) 2011-05-23 2017-04-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ultimodal interactions based on body postures
US8854433B1 (en) * 2012-02-03 2014-10-07 Aquifi, Inc. Method and system enabling natural user interface gestures with an electronic system
JP2013196047A (ja) * 2012-03-15 2013-09-30 Omron Corp ジェスチャ入力装置、制御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電子機器、ジェスチャ入力システム、および、ジェスチャ入力装置の制御方法
US9239624B2 (en) * 2012-04-13 2016-01-19 Nokia Technologies Oy Free hand gesture control of automotive user interface
KR101984683B1 (ko) * 2012-10-10 2019-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2984592B (zh) * 2012-12-05 2018-10-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字媒体内容播放转移的方法、装置和***
US8761448B1 (en) * 2012-12-13 2014-06-24 Intel Corporation Gesture pre-processing of video stream using a markered region
JP6090140B2 (ja) * 2013-12-11 2017-03-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126822B2 (en) * 2013-12-16 2018-11-13 Leap Motion, Inc. User-defined virtual interaction space and manipulation of virtual configuration
EP2924539B1 (en) * 2014-03-27 2019-04-17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ing gestures
KR102167289B1 (ko) * 2014-06-03 2020-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5334A1 (en) * 2000-10-06 2002-06-20 Yfantis Evangelos A. Hand gestures and hand motion for replacing computer mouse events
US20140172231A1 (en) * 2012-12-14 2014-06-19 Clarion Co., Ltd. Control apparatus, vehicle, and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53710A1 (en) 2017-06-01
US10372225B2 (en) 2019-08-06
KR102209354B1 (ko) 2021-01-29
WO2015194697A1 (en)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42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9567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12164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5014561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09354B1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120977A (ko)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8336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162423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70123184A (ko) 스크랩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09537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10286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201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0047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8185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102653A (ko)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9931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196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9003485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465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6491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431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4023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1291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814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1100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