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2702A -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품이송장치, 및 오프라인 쇼핑 방법 - Google Patents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품이송장치, 및 오프라인 쇼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2702A
KR20150142702A KR1020140070057A KR20140070057A KR20150142702A KR 20150142702 A KR20150142702 A KR 20150142702A KR 1020140070057 A KR1020140070057 A KR 1020140070057A KR 20140070057 A KR20140070057 A KR 20140070057A KR 20150142702 A KR20150142702 A KR 20150142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code
customer identification
product
goods
sett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호
Original Assignee
최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1020140070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2702A/ko
Priority to PCT/KR2014/005974 priority patent/WO2015190638A1/ko
Publication of KR20150142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7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품이송장치, 및 오프라인 쇼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은 상품 진열 장소에 설치되며, 개개의 상품에 부착된 식별자를 감지하여 상기 식별자로부터 고객식별코드를 획득하고, 해당 상품을 상기 획득된 고객식별코드에 매칭시키는 제1 스캐너; 상기 상품 진열 장소와 결제 장소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품을 상기 상품 진열 장소부터 상기 결제 장소까지 이송하며, 상기 결제 장소에서 특정 고객식별코드가 선택된 때 해당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을 상기 결제 장소에 제공하는 물품이송장치; 및 상기 결제 장소에 설치되어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며, 상기 물품이송장치로부터 상기 선택된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을 전달받고, 상기 상품의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상품을 고객에게 인도하는 결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품이송장치, 및 오프라인 쇼핑 방법{OFFLINE SHOPPING SYSTEM, PRODUCT TRANSFERRING APPARATUS FOR OFFLINE SHOPPING SYSTEM, AND OFFLINE SHOPPING METHOD}
본 발명은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품이송장치, 및 오프라인 쇼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온라인에서 물품을 구매하는 인터넷 구매 시스템이 개발되어 상용화됨에 따라, 굳이 오프라인의 쇼핑공간에 가지 않더라도 물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인터넷 쇼핑몰에서는 물품의 배송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온라인의 특성상 구매하는 물품의 신뢰성이 문제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온라인으로 물품을 구매시에는, 동일한 품목의 물품 중에서도 자신이 고른 특정 물품을 구매하지 못한다. 그에 따라, 오프라인에서의 쇼핑을 이용할 필요성을 느끼는 고객들이 많아지게 되었으며, 이러한 고객들의 확보를 위하여 대형 마트와 같은 오프라인 쇼핑공간이 확장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오프라인에서의 쇼핑은 매장에 준비된 카트(cart)를 이용하여 고객이 매장을 둘러보면서 구입하고자 하는 물품을 카트에 담는다. 그러나, 상기 카트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매장의 공간 활용성을 저하시키고, 고객이 많은 경우 카트가 쇼핑하는 고객들의 이동을 방해하여 불편함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7-0063896 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카트를 사용하지 않고 오프라인 쇼핑을 가능하게 하는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품이송장치, 및 오프라인 쇼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품 진열 장소에 설치되며, 개개의 상품에 부착된 식별자를 감지하여 상기 식별자로부터 고객식별코드를 획득하고, 해당 상품을 상기 획득된 고객식별코드에 매칭시키는 제1 스캐너; 상기 상품 진열 장소와 결제 장소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품을 상기 상품 진열 장소부터 상기 결제 장소까지 이송하며, 상기 결제 장소에서 특정 고객식별코드가 선택된 때 해당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을 상기 결제 장소에 제공하는 물품이송장치; 및 상기 결제 장소에 설치되어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며, 상기 물품이송장치로부터 상기 선택된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을 전달받고, 상기 상품의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상품을 고객에게 인도하는 결제장치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품이송장치에 있어서, 상품 진열 장소와 메인이송장치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상품 진열 장소에서 식별자가 부착된 상품을 제공받아 상기 메인이송장치로 이송하는 보조이송장치; 상기 보조이송장치로부터 상기 상품을 전달받아 제1 소터로 이송하는 상기 메인이송장치; 상기 메인이송장치로부터 상기 상품을 전달받아 임시보관장치로 이송하되, 상기 상품에 부착된 식별자의 고객식별코드에 따라 상기 임시보관장치의 지정된 영역으로 이송하는 상기 제1 소터(sorter); 상기 고객식별코드가 하나씩 각각 지정된 복수의 구별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소터로부터 상기 상품을 전달받아 보관하며, 결제 장소에서 특정 고객식별코드가 선택된 때 해당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을 제2 소터로 이송하는 상기 임시보관장치; 및 상기 임시보관장치로부터 상기 선택된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을 전달받아 상기 결제 장소로 이송하되, 상기 결제 장소 중에서 상기 고객식별코드의 선택이 이루어진 위치로 이송하는 상기 제2 소터를 포함하는 물품이송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고객식별코드가 포함된 식별자가 부착된 상품이 물품이송장치의 유입구에 투입되는 단계; 상기 투입된 상품의 고객식별코드가 감지되고, 해당 상품이 상기 감지된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되는 단계; 결제 장소에서 특정 고객식별코드가 선택된 때, 해당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이 상기 물품이송장치를 통하여 상기 결제 장소까지 이송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장소에서 상기 선택된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의 결제가 수행되고, 상기 상품이 고객에게 인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쇼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대형마트 운영에 있어서, 고객들이 카트를 이용하지 않고도 쇼핑을 할 수 있는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의 식별자, 제1 스캐너 및 물품이송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의 물품이송장치에 포함된 제1 소터 및 임시보관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고객이 상품의 이송 상태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도 4의 고객 무선단말기, 직원의 유/무선 단말기, 또는 상태확인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쇼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1) 및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1)에 사용되는 물품이송장치(2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1)을 나타낸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식별자(20), 제1 스캐너(100) 및 물품이송장치(200)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물품이송장치(200)에 포함된 제1 소터(230) 및 임시보관장치(24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1)은 제1 스캐너(100), 물품이송장치(200) 및 결제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캐너(100)는 상품 진열 장소(A)에 설치되며, 개개의 상품에 부착된 식별자(20)를 감지하여 상기 식별자(20)로부터 고객식별코드(21)를 획득하고, 해당 상품을 상기 획득된 고객식별코드(21)에 매칭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스캐너(100)는 상품에 부착된 식별자(20)를 감지하고, 상기 식별자(20)에 포함된 고객식별코드(21)를 읽고, 상기 고객식별코드(21)와 해당 상품을 매칭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품 진열 장소(A)는 상품들이 진열된 진열대(A-1, A-2, ..., A-n) 옆일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1 스캐너(100)는 상품에 부착되어 있는 제품코드(30)를 감지하여 상기 고객식별코드(21)와 매칭된 정보를 중앙관리서버(400, 도 4 참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품코드(30) 및 중앙관리서버(400)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식별자(20)는 개개의 상품에 부착되는 객체로서, 하나의 고객식별코드(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고객식별코드(21)는 서로 다른 고객에게 할당될 수 있고, 상기 고객식별코드(21)는 고객을 구별할 수 있는 일종의 일회성 또는 영구적 아이디(ID)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때, 한 명의 고객에게는 하나의 고객식별코드(21)가 할당될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고객식별코드(21)가 할당될 수도 있다. 하나의 고객식별코드(21)는 한 명의 고객에게만 할당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하나의 고객식별코드(21)가 복수의 고객에게 할당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고객은 자신에게 할당된 고객식별코드(21)를 선택함으로써, 결제 장소(C)에서 해당 고객식별코드(21)에 매칭된 상품들을 호출할 수 있다. 고객의 호출에 의해 상기 고객의 고객식별코드(21)에 매칭된 상품들이 물품이송장치(200)를 통해 결제 장소(C)까지 이송될 수 있고, 상기 결제 장소(C)에 설치된 결제장치(300)에서 상기 고객은 상기 상품들의 내역을 확인 후 그 대금을 결제하고 상기 상품들을 인도받을 수 있다. 상기 상품들의 대금을 결제하기 전에, 특정 상품에 대한 상기 고객의 구매의사가 변경되었을 경우, 상기 고객은 해당 상품을 즉석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고객은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10)에, 자신에게 할당된 고객식별코드(21)가 포함된 식별자(이하, 자신의 식별자)를 붙일 수 있다. 즉, 고객은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10)에 자신에게 할당된 고객식별코드(21)가 포함된 식별자(20)를 붙임으로써, 해당 상품(10)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식별자(20)가 부착된 상품(10)은 상기 제1 스캐너(100)에 놓여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상품(10)은 제1 스캐너(100)가 설치된 물품이송장치(200)의 유입구(2012)에 놓여질 수 있다.
여기서, 식별자(20)가 부착되는 개개의 상품은, 동일한 품목에 해당하는 상품들 중 어느 하나가 아니라, 동일한 품목의 상품들 중에서도 결제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특정 상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나나 진열대에 판매 단위로 포장된 바나나 묶음이 복수개 있으면, 고객은 상기 바나나 묶음들을 살펴본 후, 이 중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특정한 바나나 묶음에 자신의 식별자(20)를 붙여 해당 바나나 묶음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별자(20)는 표면에 상기 고객식별코드(21)가 인쇄된 스티커일 수 있다. 상기 고객식별코드(21)는 글자로서 인쇄될 수도 있고, 또는 바코드로서 인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고객이 매장에 들어설 때, 동일한 고객식별코드(21)가 인쇄된 복수의 스티커가 포함된 스티커 북(sticker booklet)이 각각의 고객에게 제공될 수 있다. 스티커 북을 받은 고객은, 매장을 이동하면서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개개의 상품에 자신의 식별자(20), 즉 스티커를 붙일 수 있다. 특정 스티커가 붙은 상품은 상기 제1 스캐너(100)가 설치된 물품이송장치(200)의 유입구(2012)에 놓여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스캐너(100)는 상기 상품을 해당 스티커에 인쇄된 고객식별코드(21)에 매칭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티커 북이 고객에게 제공됨으로써, 고객식별코드(21)가 고객에게 할당될 수 있다. 상기 스티커 북 자체에도 동일한 고객식별코드(21)가 인쇄될 수 있으며, 하나의 스티커 북에는 하나의 고객식별코드(21)만이 포함될 수 있다. 서로 다른 고객에게는 서로 다른 스티커 북이 제공됨으로써 각각의 고객에게 서로 다른 고객식별코드(21)가 할당될 수 있다. 또한, 한 명의 고객에게 두 개 이상의 스티커 북이 제공됨으로써 한 명의 고객에게 복수의 고객식별코드(21)가 할당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식별자(20)가 스티커의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1 스캐너(100)는 레이저 스캐너 또는 이를 포함하는 바코드 리더기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별자는 재사용 가능한 RFID 태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RFID 태그에는 상기 고객식별코드(21)가 데이터로서 저장될 수 있고, 상기 RFID 태그의 표면은 다른 물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점착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객이 매장에 들어설 때, 동일한 고객식별코드(21)가 저장된 복수의 RFID 태그가 각각의 고객에게 제공될 수 있고, 고객은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개개의 상품에 상기 RFID 태그를 붙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스캐너(100)는 RFID 리더기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스캐너(100)는 RFID 리더기와 바코드 리더기의 복합체일 수 있다. 특정 RFID태그가 붙은 상품이 상기 제1 스캐너(100)에 놓여지면, 상기 제1 스캐너(100)는 해당 RFID 태그를 읽어 상기 RFID 태그에 저장된 고객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상품을 상기 획득된 고객식별코드(21)에 매칭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스캐너(100)는 상기 개개의 상품의 제품코드(30)를 더 감지하여 해당 상품의 제품정보 및 가격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품코드(30)는 상기 상품의 포장에 바코드로서 인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품코드(30)는, 그에 대응되는 제품정보 및 가격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품코드(30)는 세계상품코드(UPC, Universal Product Code)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품코드(30)는 국제상품번호(EAN, International Article Number)일 수 있다. 상기 제1 스캐너(100)는 특정 상품의 제품코드(30)를 읽으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제품코드(30)에 대응되는 제품정보 및 가격정보를 검색함으로써 이들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품정보는 상품의 명칭, 수량, 무게, 크기정보(dimensions)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격정보는 상품의 단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스캐너(100)는 개개의 상품에 부착된 식별자(20)를 읽어 해당 상품을 특정 고객식별코드(21)에 매칭시키고, 상기 제1 스캐너(100)는 해당 상품의 제품코드(30)를 읽어 해당 상품의 제품정보 및 가격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고객식별코드(21), 상기 제품정보 및 가격정보를 결제장치(300) 또는 중앙관리서버(400, 도 4 참조)에 전달할 수 있다. 결제장치(300)는, 특정 고객이 자신이 선택한 상품들에 대한 결제를 원하는 경우, 상기 제1 스캐너(100) 또는 중앙관리서버(40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들 중 해당 고객에게 할당된 고객식별코드(21)에 매칭된 상품들의 제품정보 및 가격정보를 불러옴으로써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개개의 상품의 제품코드(30)를 감지하여 해당 상품의 제품정보 및 가격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이 상기 제1 스캐너(10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개개의 상품의 제품코드(30)는 결제 장소(C)에 설치된 결제장치(300)에서 감지될 수 있다. 결제장치(300)는 각 상품의 제품코드(30)를 감지함으로써 해당 상품의 제품정보 및 가격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의 방식과 같이, 캐시어들이 결제장치(300)를 이용하여 개개의 상품의 제품코드(30)를 스캔함으로써 상기 제품코드(30)가 감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스캐너(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이송장치(200)의 이송경로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식별자(20)가 부착된 상품이 물품이송장치(200)에 올려지는 것이 곧 상기 제1 스캐너(100)에 놓여진 것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품이 물품이송장치(200)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캐너(100)에 의해 상기 식별자(20)가 감지된 때 상기 상품의 이송이 시작될 수 있다.
물품이송장치(200)는, 상기 상품 진열 장소(A)와 결제 장소(C)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품을 상기 상품 진열 장소(A)부터 상기 결제 장소(C)까지 이송하며, 특정 고객식별코드(21)가 선택된 때 해당 고객식별코드(21)에 매칭된 상품을 상기 결제 장소(C)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품이송장치(200)는 상기 제1 스캐너(100)가 식별자(20)를 감지할 때 상기 식별자(20)가 부착된 상품의 이송을 시작하고, 해당 상품을 임시 보관 장소(B)로 이송하여 보관한 후, 상기 식별자(20)에 포함된 고객식별코드(21)가 선택될 때 상기 임시 보관 장소(B)부터 상기 결제 장소(C)까지 상기 상품을 이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임시 보관 장소(B)는 고객에 의해 선택되어 이송이 시작된 상품들을 임시로 보관할 수 있도록 매장에 별도로 마련된 공간이고, 상기 결제 장소(C)는 고객이 자신이 선택한 상품들에 대한 대금을 지급하는 장소일 수 있다. 상기 결제 장소(C)에는 결제장치(300)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물품이송장치(200)는 보조이송장치(210), 메인이송장치(220), 제1 소터(230)(sorter), 임시보관장치(240), 및 제2 소터(250)(sort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소터(230)는 제2 스캐너(23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소터(250)는 제3 스캐너(252)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이송장치(210)는 상기 상품 진열 장소(A)와 메인이송장치(22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품 진열 장소(A)에서 상기 식별자(20)가 부착된 상품을 제공받아 상기 메인이송장치(220)로 이송할 수 있다. 상품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상기 보조이송장치(210)는 상품이 투입될 수 있는 유입구(20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2012)는, 다양한 크기의 상품이 들어갈 수 있도록 소정 규모 이상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보조이송장치(210)로서 별도의 차단벽이 없는 열려진 형태의 일반적인 벨트 또는 롤러 컨베이어가 사용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고객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자신의 식별자(20)를 붙인 뒤, 상기 유입구(2012)를 통해 상기 식별자(20)가 부착된 상품을 보조이송장치(210)에 투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캐너(100)가 상기 보조이송장치(210)의 유입구(2012)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스캐너(100)는 상품이 상기 유입구(2012)에 투입될 때 해당 상품에 부착된 식별자(20)를 감지하고, 상기 식별자(20)의 고객식별코드(21)를 획득하여 해당 상품을 상기 획득된 고객식별코드(21)에 매칭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이송장치(210)는 상기 유입구(2012)에서 상기 제1 스캐너(100)가 식별자(20)를 감지할 때 상기 유입구(2012)에 투입된 상품의 이송을 시작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유입구(2012)에 상품이 투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 스캐너(100)가 식별자(20)를 감지하지 않은 경우, 상기 보조이송장치(210)는 이송을 시작하지 않고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캐너(100)가 상품의 제품코드(30)를 더 감지하도록 구성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스캐너(100)가 식별자(20) 및 제품코드(30) 중 어느 하나라도 감지하지 않은 경우, 상기 보조이송장치(210)는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2012)에 상품이 투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식별자(20) 또는 제품코드(30)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로는, 예를 들면 상기 상품이 잘못된 방향(orientation)으로 놓인 경우, 식별자(20)에 인쇄된 고객식별코드(21)가 손상된 경우, 상품의 포장에 표시된 제품코드(30)가 손상된 경우, 또는 식별자(20)가 제품코드(30) 위에 겹쳐져 부착된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조이송장치(210)가 이송을 시작하지 않기 때문에, 잼(jam)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입구(2012)에 상품이 투입되었지만 상기 제1 스캐너(100)가 식별자(20) 및 제품코드(30) 중 어느 하나라도 감지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보조이송장치(210)로부터 알람이 울릴 수 있다. 상기 알람을 들은 고객은, 식별자(20)와 제품코드(30)가 모두 감지되도록 상기 유입구(2012)에서 상품의 방향을 바꿔 놓거나, 또는 식별자(20)를 다시 부착 하는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조이송장치(210)의 유입구(2012) 근처에 상시 대기하는 직원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직원은 상기 유입구(2012)에 상품이 투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보조이송장치(210)가 이송을 시작하지 않는 경우 식별자(20)와 제품코드(30)가 모두 감지되도록 상기 상품의 방향을 바꾸는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원은, 신속한 조치를 위해, 휴대용 바코드 프린터를 소지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바코드 프린터를 이용하여, 상기 직원은 손상된 바코드를 즉석에서 복제하여 새롭게 인쇄할 수 있고, 상기 새롭게 인쇄된 바코드를 상기 상품에 붙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이송장치(210)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이송장치(210)는 상기 유입구(2012)가 상기 상품 진열 장소(A)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매장 내에는 상기 상품 진열 장소(A)가 복수개 존재하는바, 상기 복수의 상품 진열 장소(A)에 상기 보조이송장치(21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매장의 공간을 복수개로 분할하여, 각각의 분할된 공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상품 진열 장소(A) 중 하나에 상기 보조이송장치(21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보조이송장치(210)에 투입된 상품들은 모두 메인이송장치(220)로 이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이송장치(210)는 수직으로 설치된 승강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입구(2012)는 상기 승강기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이송장치(220)는 매장 공간의 상부, 예를 들어 천정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2012)를 통해 상기 식별자(20)가 부착된 상품이 승강기 내부로 투입되고, 상기 유입구(2012)에 설치된 제1 스캐너(100)에 의해 상기 상품에 부착된 식별자(20)가 감지되면, 상기 승강기의 이동부가 상승하기 시작하여 해당 상품을 메인이송장치(220)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보조이송장치(210)는 상기 유입구(2012)가 사람이 서있을 때 용이하게 접근 가능한 높이에 오게끔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이송장치(210)는 수평으로 설치된 컨베이어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메인이송장치(220)는 상기 보조이송장치(210)와 유사한 높이에서, 매장 공간의 외곽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보조이송장치(210)의 형태는 상술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인이송장치(220)는 상기 보조이송장치(210)와 제1 소터(23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보조이송장치(210)로부터 상기 식별자(20)가 부착된 상품을 전달받아 상기 제1 소터(230)로 이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메인이송장치(220)는 벨트 또는 롤러 컨베이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이송장치(220)는 천정 위와 같은 매장 공간의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사람의 눈높이에서 매장 공간의 외곽을 따라 설치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메인이송장치(220)는 상시로 동작할 수도 있고, 또는 대기 상태로 유지되다가 상품이 이송되어 오는 때에만 동작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보조이송장치(210)의 유입구(2012)에서 상기 제1 스캐너(100)에 의해 식별자(20)가 감지될 때, 상기 메인이송장치(220)가 동작하기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1 스캐너(100)에 의해 소정 시간동안 어떤 식별자(20)도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메인이송장치(220)의 동작이 정지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메인이송장치(220)의 동작은, 상기 제1 스캐너(100)에서 감지된 모든 상품이 후술되는 제2 스캐너(232)에서 감지된 것이 확인될 때 정지될 수도 있다.
제1 소터(sorter)(230)는 상기 메인이송장치(220)와 임시보관장치(24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메인이송장치(220)로부터 상기 식별자(20)가 부착된 상품을 전달받아 상기 임시보관장치(240)로 이송하되, 상기 식별자(20)의 고객식별코드(21)에 따라 상기 임시보관장치(240)의 지정된 영역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소터(230)는 상기 식별자(20)를 스캔하여 상기 고객식별코드(21)를 획득하는 제2 스캐너(2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소터(230)는 상기 메인이송장치(220)로부터 이송된 상품들이 하나의 이송경로로 모아지는 수집부(231)와, 임시보관장치(240)의 여러 영역으로 상품들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나의 이송경로가 복수개로 분기되는 분류부(2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스캐너(232)는 상기 수집부(231)와 상기 분류부(233)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스캐너(232)는 레이저 스캐너 또는 이를 포함하는 바코드 리더기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스캐너(232)는 RFID 리더기 또는 RFID 리더기와 바코드 리더기의 복합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이송장치(220)로부터 전달된 상품이 상기 수집부(231)를 지나 상기 제2 스캐너(232)를 지날 때, 상기 제2 스캐너(232)에 의해 상기 상품에 부착된 식별자(20)의 고객식별코드(21)가 획득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1 소터(230)는 상기 임시보관장치(240)가 포함하는 복수의 영역에 상기 획득된 고객식별코드(21)를 임시로 할당하여 각각의 고객식별코드(21)에 상기 임시보관장치(240)의 특정 영역을 지정하고, 상기 상품이 상기 지정된 영역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분류부(233)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소터(23)는 중앙관리서버(400)와 실시간 통신함으로써 상기 임시보관장치(240)의 복수의 영역 각각에 적절한 고객식별코드(21)를 할당할 수 있다.
상기 분류부(233)에서 분기된 복수개의 이송경로는 상기 임시보관장치(240)의 복수의 영역으로 일대일로 연장되며, 상기 상품은 상기 분류부(233)에서 상기 지정된 영역과 연결된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됨으로써 상기 지정된 영역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임시보관장치(240)의 복수의 영역에는 각각 서로 다른 고객식별코드(21)가 지정될 수도 있고, 또는 두 개 이상의 영역에 동일한 고객식별코드(21)가 지정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제1 소터(230)는 벨트 컨베이어 방식을 이용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소터(230)는 크로스벨트소터(cross belt sorter)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소터(230)는 슬라이드슈소터(slide shoe sorter)나, 틸트트레이소터(tilt tray sorter) 등 벨트 컨베이어 방식 외의 다른 이송 방식을 이용한 것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소터(230)는 상기 상품을 상기 상품의 제품코드(30)에 따라 지정된 영역으로 이송할 수 있다. 즉, 임시보관장치(240)의 각 영역에는 고객식별코드(21)뿐만 아니라, 제품코드(30)도 지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임시보관장치(240)의 하나의 영역에는 그에 대응되는 고객식별코드(21)와, 그에 대응되는 제품코드(30)가 모두 지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소터(230)는 특정 상품을 그것의 고객식별코드(21)와 제품코드(30)가 지정된 것과 모두 일치하는 영역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품의 제품정보는 상기 제2 스캐너(232)가 상기 상품의 제품코드(30)를 더 감지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임시보관장치(240)는 상기 제1 소터(230)와 제2 소터(25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소터(230)로부터 상기 식별자(20)가 부착된 상품을 전달받아 보관하고, 상기 결제장치(300)에서 특정 고객식별코드(21)가 선택된 때 해당 고객식별코드(21)에 매칭된 상품을 상기 제2 소터(250)로 이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임시보관장치(240)는 임시 보관 장소(B)에 설치될 수 있다. 임시 보관 장소(B)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객에 의해 선택되어 이송이 시작된 상품들을 임시로 보관할 수 있도록 매장에 별도로 마련된 공간을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임시보관장치(240)는, 고객식별코드(21)가 선택된 때 그에 매칭된 상품들이 제2 소터(250)를 통해 결제장치(300)로 신속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결제장치(300)가 설치되는 결제 장소(C)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시보관장치(240)는 복수의 구별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영역에는 각각 고객식별코드(21)가 지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구별된 영역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벨트 또는 롤러 컨베이어일 수 있고, 각각의 벨트 또는 롤러 컨베이어에는 특정한 고객식별코드(21)가 지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컨베이어 2401a에는 고객식별코드 1이 지정될 수 있고, 컨베이어 2401b에는 고객식별코드 2가 지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소터(230)는 상품에 부착된 식별자(20)의 고객식별코드(21)에 따라 상기 임시보관장치(240)의 지정된 영역으로 상품을 이송할 수 있다. 이로써, 동일한 고객식별코드(21)에 매칭된 상품들, 즉 동일한 고객에 의해 선택된 상품들이 상기 임시보관장치(240)의 동일한 영역으로 이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서, 고객식별코드 1을 포함한 식별자(20)가 부착된 상품들은 고객식별코드 1이 지정된 컨베이어 2401a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임시보관장치(240)의 일 영역으로 이송된 상품들은, 결제장치(300)에서 상기 영역에 지정된 고객식별코드(21)가 선택될 때까지 해당 영역에 보관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고객이 자신이 선택한 상품들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고자 할 때, 상기 결제장치(300)에서 상기 고객의 고객식별코드(21)가 선택될 수 있다. 특정 고객식별코드(21)가 선택되면, 상기 임시보관장치(240)의 영역들 중 해당 고객식별코드(21)가 지정된 영역이 이송을 시작함으로써 상기 영역에 보관중이던 상품들, 즉 해당 고객식별코드(21)에 매칭된 상품들이 제2 소터(250)로 이송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임시보관장치(240)의 영역들 중 다른 고객식별코드(21)가 지정된 영역은 이송을 시작하지 않고 보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서, 결제장치(300)에서 고객식별코드 1이 선택되는 경우, 고객식별코드 1이 지정된 컨베이어 2401a만 이송을 시작하고, 고객식별코드 2가 지정된 컨베이어 2401b는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선택된 고객식별코드(21)에 매칭된 상품들만 제2 소터(250)를 통해 결제장치(300)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임시보관장치(240)의 각 영역에 지정된 고객식별코드(21)는 결제장치(300)에서의 결제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제장치(300)에서 특정 고객식별코드(21)가 선택됨에 따라 해당 고객식별코드(21)가 지정된 영역의 상품들이 모두 제2 소터(250)로 이송되면, 해당 영역은 비워지게 된다. 그리고, 해당 영역에 지정되어 있던 고객식별코드(21)를 갖는 고객은 상품들을 결제함으로써 쇼핑을 종료하였기 때문에, 상기 고객식별코드(21)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결제장치(300)에서 상기 선택된 고객식별코드(21)에 매칭된 상품들의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고객식별코드(21)가 지정되었던 영역에 새로운 고객식별코드(21)가 지정될 수 있다. 새로운 고객식별코드(21)가 지정되면, 상기 제1 소터(230)는 상기 새로운 고객식별코드(21)에 매칭된 상품들을 해당 영역으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각 영역에 지정된 고객식별코드(21)는 상기 제1 소터(230)로부터 전달되는 상품들의 크기에 따라서도 실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고객식별코드(21)에 대해서는 먼저 하나의 영역이 지정될 수 있다. 그런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고객식별코드(21)에 매칭된 상품이 많은 경우, 해당 상품들을 모두 보관하기에는 지정된 하나의 영역의 공간이 모자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임시보관장치(240)의 복수의 영역들 중에서 다른 영역이 해당 고객식별코드(21)에 추가적으로 지정될 수 있다. 상기 추가적으로 지정되는 영역은, 그 영역에 이미 지정되어 있던 고객식별코드(21)에 대해 결제가 모두 완료된 영역이거나, 또는 지정된 고객식별코드(21)가 없는 빈 영역일 수 있다. 해당 고객식별코드(21)에 다른 영역이 추가적으로 지정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소터(230)는 해당 고객식별코드(21)에 매칭된 상품을 새롭게 지정된 영역으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결제장치(300)에서 해당 고객식별코드(21)가 선택되는 경우, 이미 지정된 영역의 상품들과 새롭게 지정된 영역의 상품들이 모두 제2 소터(250)로 이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하나의 고객식별코드(21)에 대해 추가의 영역이 더 지정되는 것은, 해당 고객식별코드(21)에 매칭된 상품들의 제품코드(30)를 기초로 산출된 각 상품의 평면크기에 기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상품의 제품코드(30) 및 그에 대응되는 제품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품정보에는, 상품의 무게 및 크기정보(dimensions)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소터(230)의 제2 스캐너(232)에서 상품의 고객식별코드(21)와 함께 상품의 제품코드(30)를 더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객식별코드(21)와 제품코드(30)가 획득될 때마다, 상기 제1 소터(230)는 획득된 고객식별코드(21)와 제품코드(30)를 상기 임시보관장치(24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임시보관장치(24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전송받은 제품코드(30)에 대응되는 상품 무게 및 크기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고, 상기 상품 무게 또는 상기 크기정보를 기초로 해당 상품의 평면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된 크기정보가 가로 100mm, 세로 200mm, 높이 300mm라면, 이 중 가장 큰 수치를 기준으로 이용하여(200 X 300) 해당 상품의 평면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시보관장치(240)는 동일한 고객식별코드(21)를 갖는 상품들(상품 10-1 내지 10-6)에 대해서 상기와 같이 산출된 각 상품의 평면크기를 축적할 수 있다. 상기 축적된 평면크기가 상기 임시보관장치(240)의 하나의 영역의 크기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고객식별코드(21)에는 추가의 영역(2401c, 도 3 참조)이 더 지정될 수 있다. 또한, 그 이후에 이송되는 상품(상품 10-7)은 새롭게 지정된 영역(2401c)으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임시보관장치(240)의 각 영역에는 제품코드(30)가 더 지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영역에는 하나의 고객식별코드(21)와 하나 이상의 제품코드(30)가 지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소터(230)의 제2 스캐너(232)에서 상품의 고객식별코드(21)와 함께 상품의 제품코드(30)를 더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소터(230)는 특정 상품을 그 상품의 고객식별코드(21)뿐만 아니라 제품코드(30)도 고려하여 상기 임시보관장치(240)의 지정된 영역으로 이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품은 그것의 제품코드(30)에 따라 지정된 복수의 영역들 중에서, 그것의 고객식별코드(21)에 따라 지정된 특정 영역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임시보관장치(240)의 복수의 영역은, 제품코드(30)에 따라 일반그룹, 냉장그룹 및 냉동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컨베이어가 일반그룹에 해당하는 제1 그룹(240-1), 냉장그룹에 해당하는 제2 그룹(240-2), 그리고 냉동그룹에 해당하는 제3 그룹(240-3)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반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에는 각각 상온 환경에서 보관 가능한 상품들의 제품코드(30)들이 지정되고, 상기 냉장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에는 각각 냉장 환경에서 보관해야 하는 상품들의 제품코드(30)들이 지정될 수 있다. 상기 냉동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에는 각각 냉동 환경에서 보관해야 하는 상품들의 제품코드(30)들이 지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임시보관장치(240)의 복수의 영역은 보온그룹(미도시)로 더 구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보온그룹에는 보온 환경에서 보관하는 것이 권장되는 상품들의 제품코드들이 지정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일반그룹의 영역들은 상온의 환경에 설치되고, 상기 냉장그룹의 영역들은 냉장 환경에 설치되며, 상기 냉동그룹의 영역들은 냉동 환경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온그룹의 영역들은 보온 환경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장그룹의 영역들은 냉장고 내부에 설치되어 해당 영역에 보관되는 상품들을 냉장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상기 냉동그룹의 영역들은 냉동고 내부에 설치되어 해당 영역에 보관되는 상품들을 냉동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보온그룹의 영역들은 열교환이 차단되는 단열장치 내부에 설치되어 해당 영역에 보관되는 상품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임시보관장치(240)로 이송된 상품들 중 냉장, 냉동 또는 보온보관이 필요한 상품들이, 상기 상품들을 선택한 고객이 결제를 원할 때까지 신선하게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임시보관장치(240)의 복수의 영역이 일반그룹, 냉장그룹, 냉동그룹 및 보온그룹 등과 같은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되면, 각 영역에는 고객식별코드(21)가 지정될 수 있다. 이 때, 서로 다른 그룹의 영역에 동일한 고객식별코드(21)가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그룹(240-1) 중 하나, 냉장그룹(240-2) 중 하나, 냉동그룹(240-3) 중 하나의 컨베이어(2401a, 2402a, 2403a)에 모두 고객식별코드 1이 동일하게 지정될 수 있다. 한편, 일반그룹에 속하는 컨베이어 2401a에는 제품코드 1~10(실온 보관 가능한 상품들의 제품코드)가 지정되고, 냉장그룹에 속하는 컨베이어 2402a에는 제품코드 11~12(냉장 보관해야 하는 상품들의 제품코드)가 지정되며, 냉동그룹에 속하는 컨베이어 2403a에는 제품코드 13~14(냉동 보관해야 하는 상품들의 제품코드)가 지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소터(230)는 상기 제2 스캐너(232)를 통해 상품들의 고객식별코드(21)와 제품코드(30)를 획득하고, 고객식별코드 1에 매칭된 상품들을 컨베이어 2401a~2403a 중 하나로 이송하되, 제품코드 1 내지 10을 갖는 상품들(상품 10-1 내지 10-6)은 컨베이어 2401a로 이송되고, 제품코드 11 및 12를 갖는 상품들(상품 10-8)은 컨베이어 2402a로, 그리고 제품코드 13 및 14를 갖는 상품들(상품 10-9)은 컨베이어 2403a로 이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냉장그룹의 영역들과 상기 냉동그룹의 영역들의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해, 상기 냉장그룹 및 상기 냉동그룹에 해당되는 영역들에는 상기 제2 스캐너(232)가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해야 하는 상품의 제품코드(30)를 감지한 때 상기 감지된 제품코드(30)를 갖는 상품의 고객식별코드(21)가 지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장그룹 및 상기 냉동그룹에 해당되는 영역들에는 고객식별코드(21)가 미리 지정되지 않고, 상기 제1소터의 제2 스캐너(232)에서 냉장 또는 냉동 보관 상품이 감지될 때 실시간으로 해당 상품의 고객식별코드(21)가 지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고객이 냉장 보관해야 하는 상품 또는 냉동 보관해야 하는 상품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도 불구하고 냉장그룹 또는 냉동그룹에 해당되는 영역에 해당 고객의 고객식별코드(21)가 지정됨으로써 냉장그룹 또는 냉동그룹의 영역이 미사용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임시보관장치(240)의 복수의 구별된 영역은, 서로 중첩되게 배치된 소정의 공간일 수 있다. 상기 공간은 균일한 부피를 가질 수 있고, 유사한 부피를 가진 카트 또는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공간에는 특정한 고객식별코드(21)가 지정될 수 있고, 상기 제1 소터(230)에 의해 상기 각 공간으로 이송된 상품들은 상기 카트 또는 박스에 담길 수 있다. 상품들은 상기 카트 또는 박스에 담긴 상태로 상기 임시보관장치(240)에 보관될 수 있으며, 결제장치(300)에서 특정 고객식별코드(21)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고객식별코드(21)가 지정된 공간의 카트 또는 박스가 제2 소터(250)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결제장치(300)에서는, 상품들이 담긴 카트 또는 박스가 이송되어 오면, 고객들은 상기 카트 또는 박스 째 상품들을 인도받을 수 있다. 이 경우, 고객들이 상품들을 옮기기 위해 카트나 박스에 담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임시보관장치(240)는 상기 메인이송장치(220)로 상품들을 회송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임시보관장치(240)는, 일정시간 이상 동안 상품들이 보관된 영역의 상품들을 상기 메인이송장치(220)로 다시 이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고객식별코드(21)에 대해 추가적으로 상품이 더 매칭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해당 고객식별코드(21)에 이미 매칭된 상품들이 상기 임시보관장치(240)의 일 영역에서 세 시간 이상 보관된 경우, 상기 임시보관장치(240)는 해당 영역에 보관된 상품들을 다시 메인이송장치(220)로 회송할 수 있다.
상기 메인이송장치(220)로 회송된 상품들은 상기 메인이송장치(220)를 통해 매장 곳곳으로 이송되면서, 원래 진열되었던 진열대에 다시 진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임시보관장치(240)의 각 영역이 벨트 또는 롤러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경우, 각 컨베이어는 상품들을 반대방향(도 1의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이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소터(230) 및 후술되는 제2 소터(250) 중 적어도 하나는 상품 회수 장소로 상품들을 이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소터(230) 및 상기 제2 소터(250)의 상기 동작은 후술되는 중앙관리서버(4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메인이송장치(220)가 상술된 실시예와는 달리 반대방향으로는 동작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상품 회수 장소는, 회송할 상품들을 수집하는 장소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하나 이상의 상품 회수 장소가 매장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품 회수 장소에 수집된 상품들은, 직원의 도움을 받아 원래 진열되었던 진열대에 다시 진열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품 회수 장소와 상기 메인이송장치(220)를 연결하는 별도의 이송장치(미도시)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상품 회수 장소에 수집된 상품들은 상기 별도의 이송장치를 통해 정방향으로 동작하는 상기 메인이송장치(220)로 이송된 후 상기 메인이송장치(220)를 통해 매장 곳곳으로 이송되면서 진열대에 다시 진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소터(230)의 분류부(233)에서 분기된 복수의 이송경로 중 하나는 상기 상품 회수 장소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소터(230)는 중앙관리서버(400)의 제어에 따라 상품들을 상기 상품 회수 장소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소터(250)의 분류부(253)에서 분기된 복수의 이송경로 중 하나도 상기 상품 회수 장소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2 소터(250)도 중앙관리서버(400)의 제어에 의해 상품들을 상기 상품 회수 장소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소터(230)가 연결된 상품 회수 장소와 상기 제2 소터(250)가 연결된 상품 회수 장소는 서로 상이한 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고, 같은 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장에는 하나의 상품 회수 장소만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상품 회수 장소는 상기 제1 소터(230)만이 상기 상품 회수 장소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품 회수 장소는 상기 전체 이송 경로 상에서 제2 소터(250)보다 상류에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소터(250)로부터 상기 제1 소터(230)로 상품을 이송하는 역방향 이송장치(260)를 통해 상기 제2 소터(250)로 이미 이송된 상품을 상기 제1 소터(230)로 회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소터(230)는, 상기 제2 소터(250)로부터 상품들을 회송받으면, 상기 상품 회수 장소로 상기 회송된 상품들을 이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의 추가적인 쇼핑 활동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에서 임시보관장치(240)에 해당 고객의 상품들이 일정시간 이상 보관된 경우, 상기 고객이 쇼핑 도중에 해당 상품들의 결제를 포기하거나 변심하여 매장을 떠난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고객에 의해 이미 선택된 상품들을 진열대에 다시 진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상품들이 다른 고객을 위해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매장 운영의 효율성이 제고될 수 있다.
제2 소터(sorter)(250)는 상기 임시보관장치(240)와 결제장치(30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임시보관장치(240)로부터 상기 선택된 고객식별코드(21)에 매칭된 상품을 전달받아 상기 결제장치(300)로 이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소터(250)는 상기 식별자(20)를 스캔하여 상기 고객식별코드(21)를 획득하는 제3 스캐너(2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스캐너(252)는 상품의 제품코드(30)를 더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소터(250) 또한, 상기 임시보관장치(240)로부터 이송된 상품들이 하나의 이송경로로 모아지는 수집부(251)와, 결제장치(300)의 여러 물품인도부(300a, 300b, ..., 300n)로 상품들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나의 이송경로가 복수개로 분기되는 분류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스캐너(252)는 상기 수집부(251)와 상기 분류부(253)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3 스캐너(252)는 레이저 스캐너 또는 이를 포함하는 바코드 리더기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3 스캐너(252)는 RFID 리더기 또는 RFID 리더기와 바코드 리더기의 복합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제장치(300)에서 특정한 고객식별코드(21)가 선택되면, 상기 임시보관장치(240) 중에서 상기 선택된 고객식별코드(21)가 지정된 영역이 이송을 시작하고, 그에 따라 상기 선택된 고객식별코드(21)에 매칭된 상품들이 상기 제2 소터(25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상품들이 상기 수집부를 지나 상기 제3 스캐너(252)를 지날 때, 상기 제3 스캐너(252)에 의해 상기 상품의 고객식별코드(21)와 제품코드(30)가 획득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2 소터(250)는 상기 획득된 고객식별코드(21)를 확인하고, 결제장치(300)의 복수의 물품인도부(300a, 300b, ..., 300n) 중에서 해당 고객식별코드(21)의 선택이 이루어진 물품인도부로 상기 상품들을 이송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제2 소터(250)는 상기 획득된 제품코드(30)를 결제장치(300)로 전송하고, 상기 결제장치(300)는 해당 고객식별코드(21)의 선택이 이루어진 물품인도부에 설치된 표시부에서 상기 제품코드(30)에 대응되는 제품정보 및 가격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소터(250)는 상기 결제장치(300)에서 선택된 고객식별코드(21)가 복수개이면, 상기 복수개의 고객식별코드(21)에 동시에 응답하여 각각의 고객식별코드(21)에 매칭된 상품들을 그에 대응되는 물품인도부로 이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장치(300)의 물품인도부 300a에서 식별코드 1이 선택됨과 동시에 물품인도부 300b에서 식별코드 2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2 소터(250)는 각 상품들의 고객식별코드(21)와 제품코드(30)를 확인하여 식별코드 1에 매칭된 상품들은 물품인도부 300a로 이송하고 식별코드 2에 매칭된 상품들은 물품인도부 300b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소터(250)는 벨트 컨베이어 방식을 이용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소터(250)는 크로스벨트소터(cross belt sorter)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소터(250)는 슬라이드슈소터(slide shoe sorter)나, 틸트트레이소터(tilt tray sorter) 등 벨트 컨베이어 방식 외의 다른 이송 방식을 이용한 것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품이송장치(200)는 역방향 이송장치(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방향 이송장치(260)는 상기 제2 소터(250)와 상기 제1 소터(230)를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소터(250)로부터 상기 제1 소터(230)로 상품을 역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역방향 이송장치(260)는 벨트 또는 롤러 컨베이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역방향 이송장치(260)는 상기 제2 소터(250)의 분류부(253)에서 분기된 복수의 이송경로 중 하나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소터(230)까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소터(250)는, 후술되는 중앙관리서버(400)의 제어에 의해, 특정 상품들을 상기 역방향 이송장치(260)로 이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역방향 이송장치(260)로 이송된 상품들은 상기 제1 소터(230)로 회송되고, 상기 제1 소터(230)에 의해 상기 임시보관장치(240)의 특정 영역으로 다시 이송되거나 상술된 상품 회수 장소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역방향 이송장치(260)로 이송되는 상품들은, 진열대로 다시 회송될 상품들이거나, 또는 고객이 결제 장소(C)를 변경하기 원하는 경우 해당 고객의 고객식별코드(21)에 매칭된 상품들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상품들은 상기 제1 소터(230), 상기 임시보관장치(240) 및 상기 제2 소터(25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의해 상기 변경된 결제 장소(C)에 설치된 결제장치(300)로 이송될 수 있다.
결제장치(300)는 상기 결제 장소(C)에 설치되며, 상기 물품이송장치(200)로부터 고객에 의해 선택된 상기 고객식별코드(21)에 매칭된 상품을 전달받고, 상기 상품의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상품을 상기 고객에게 인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제장치(300)는 상기 물품이송장치(200)의 제2 소터(250)를 통해 상품들을 전달받고, 고객은 상기 결제장치(300)에서 자신이 선택한 상품들을 확인한 뒤, 해당 상품들의 대금을 지불할 수 있다. 해당 상품들의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고객은 상기 상품들은 인도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장치(300)는 복수의 표시부와, 복수의 물품인도부(300a, 300b, ..., 300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품인도부는 상기 제2 소터(250)로부터 전달받은 상품들을 이송하여 고객에게 인도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물품인도부는 벨트 또는 롤러 컨베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물품인도부에는 그에 대응되는 표시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각 물품인도부에서 고객에게 인도되는 상품들의 제품정보 및 가격정보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고객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제품정보 및 가격정보를, 상기 물품인도부에서 인도받은 상품들과 비교함으로써, 자신이 선택한 상품들이 온전하게 이송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제장치(300)는 상기 제2 소터(250)의 제3 스캐너(252)에서 획득된 제품코드(30)를 전송받고, 그에 대응되는 제품정보 및 가격정보를 상기 표시부에서 출력할 수 있다. 즉, 상품들의 제품코드(30)가, 고객의 호출에 의해 상기 임시보관장치(240)를 떠나 상기 결제장치(300)로 이송되는 도중에 상기 제3 스캐너(252)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결제장치(300)에서 별도로 각 상품들의 제품코드(30)를 스캐닝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결제장치(300)에서, 고객은 자신이 사용한 식별자(20)의 고객식별코드(21)를 상기 복수의 물품인도부 중 하나에 입력함으로써 특정 고객식별코드(21)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특정 고객식별코드(21)가 선택되면, 해당 고객식별코드(21)에 매칭된 상품들이 상기 임시보관장치(240)로부터 호출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고객식별코드(21)에 매칭된 상품들은 상기 제2 소터(250)로 이송되고, 상기 제2 소터(250)는 해당 상품들을 상기 고객이 고객식별코드(21)를 입력한 물품인도부로 이송할 수 있다. 일 예로, 각 물품인도부는 스캐너를 포함할 수 있고, 고객은 상기 스캐너로 매장에 들어올 때 제공받은 스티커 북에 인쇄된 고객식별코드(21)를 스캔함으로써 자신의 고객식별코드(21)를 상기 물품인도부에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품인도부는 캐시어 카운터(cashier counter)일 수 있다. 이 경우, 각 물품인도부에는 캐시어가 있으면서, 고객과 함께 상기 물품인도부로 이송되는 상품들을 체크하고, 고객으로부터 상품들의 대금을 받은 후 상기 상품들을 고객에게 인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품인도부는 무인 카운터일 수 있다. 이 경우, 각 물품인도부에는 캐시어 대신 자동결제장치(300)가 설치될 수 있다. 고객은 상기 물품인도부로 이송되는 상품들을 체크하고, 상기 자동결제장치(300)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들의 대금을 지불한 뒤 상기 상품들을 인도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품인도부에 이송된 상품들에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자동결제장치(300)에서 상품들의 대금 지불이 완료된 경우에만 열려 고객이 상품들을 가져가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장치(300)가 설치되는 결제 장소(C)는 매장이 아닌 주차장일 수 있다. 이 경우, 고객은 자신이 자동차를 주차해 놓은 주차장에서 대금을 제불하고 상품들을 인도받을 수 있다. 상기 고객이 상품들을 주차장에서 인도받아 바로 자신의 자동차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고객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임시보관장치(240)가 각 주차장마다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임시보관장치(240)가 각 주차장의 결제장치(300) 가까이에 설치되므로, 상기 결제장치(300)에서 고객이 자신의 고객식별번호를 선택함으로써 자신이 고른 상품들을 호출 시 해당 상품들이 상기 결제장치(300)로 신속하게 이송될 수 있다. 또한, 고객에게 할당되는 고객식별코드(21)에 각 주차장의 고유코드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1 소터(230)의 제2 스캐너(232)에서 고객식별코드(21)가 감지될 때, 해당 고객식별코드(21)에 포함된 주차장 고유코드가 함께 획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상품이 상기 획득된 주차장 고유코드에 대응되는 주차장에 설치된 임시보관장치(240)로 이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장 고유코드가 포함된 고객식별코드(21)가 인쇄된 스티커 북은, 매장 입구가 아닌 각 주차장에 설치된 결제 장소(C) 주위에서 고객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고객은 자신이 자동차를 주차한 주차장에서 제공되는 스티커 북을 이용하여 쇼핑함으로써, 자신이 선택한 상품들이 곧바로 해당 주차장까지 이송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장치(300)는 주차장 출구에 제공될 수 있고, 고객은 자동차로 주차장을 나가면서 상품들에 대한 대금을 지불하고 상품들을 인도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드라이브 쓰루(drive through) 시스템과 같이, 고객이 자동차에 탑승한 채로 상품들에 대한 결제를 완료하고, 상품들을 인도받을 수 있어 고객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객이 매장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한 뒤, 상품들을 직접 들고 이동하지 않아도 된다. 즉, 고객이 상품을 고르고, 해당 상품에 자신의 식별자를 붙이고, 상기 식별자가 부착된 상품을 가까운 보조이송장치에 투입시키면, 해당 상품은 자동으로 결제 장소까지 이송되고, 고객은 해당 상품에 대한 대금을 지불한 뒤에 상품을 받아볼 수 있으므로, 상품을 결제 장소까지 직접 가지고 이동해야 할 필요가 없다. 고객이 매장에서 상품을 들고 이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매장에서 카트가 필요없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카트가 없는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매장에서 많은 공간의 확보를 필요로 하는 카트가 필요없게 됨에 따라, 매장의 공간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고객이 쇼핑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감소되어 매장 내 고객 회전률 향상을 통한 매출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객이 쇼핑 시 쾌적함이 향상되고, 상품들을 고른 후에 해당 상품들을 가지고 이동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들을 고른 뒤에 해당 상품들을 결제하기 전까지 매장 내 푸드코드(food court) 등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 고객 만족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객이 선택한 상품들이 결제 장소까지 이송되는 도중에 해당 상품들의 제품정보 및 가격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제 장소에서 상품들의 제품코드를 일일이 스캔해가며 제품정보 및 가격정보를 획득할 필요가 없으며, 결제 장소에서는 이미 획득된 제품정보 및 가격정보를 확인 후 대금을 지불하고 상품들을 인도받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고객 한명이 결제 장소에서 소비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어, 결제 장소에서의 대기 시간이 짧아질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결제 장소를 매장으로부터 분리하여 운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제장치를 각 주차장에 설치함으로써, 결제 장소를 매장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들이 카트를 끌고 층간 이동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에스컬레이터 및 엘리베이터의 혼잡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객이 직접 상품을 가지고 결제 장소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고객이 이미 고른 상품을 구매하지 않기로 하는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의사철회는 결제 장소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객이 상품들을 가지고 이동하는 도중에 구매하지 않기로 결정한 상품을 아무데나 놓아 해당 상품이 원래 진열된 장소에 다시 채워지지 않게 되는 경우가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에서는, 고객이 결제 장소에서 직원에게 특정 상품을 구매하지 않겠다는 의사표시를 할 수 있고, 이 경우 직원이 상기 상품을 직접 회수하여 원래 진열된 장소에 다시 채워넣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에서는 고객이 선택한 상품들이 자동으로 결제 장소까지 이송된다고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에서는, 상술된 자동이송시스템이 종래의 쇼핑 방법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즉, 일부 고객은 카트를 끌고 다니면서 자신이 선택한 상품을 직접 가지고 이동할 수 있고, 다른 고객은 상술된 자동이송시스템을 이용하여 카트 없이 쇼핑할 수 있다. 또는, 상술된 자동이송시스템을 이용하는 고객이라도, 책상, 의자와 같이 상기 자동이송시스템을 통해 이송되기 힘든 크고 무거운 상품은 카트를 이용하여 직접 가지고 결제 장소까지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1a)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고객이 상품의 이송 상태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도 4의 고객 무선단말기(510), 직원의 유/무선 단말기(530), 또는 상태확인 단말기(520)가 표시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단말기들(510, 520, 530)은, 상품의 이송 상태를 알려줄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장치를 포괄적으로 포함하며, 무선 단말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1a)은 중앙관리서버(400)를 더 포함하고, 고객 무선단말기(510), 직원 유/무선단말기(530) 및 상태확인 단말기(52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앙관리서버(400)는 제품코드가 포함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상기 제1 스캐너(100), 상기 물품이송장치(200) 및 상기 결제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앙관리서버(100)는 상기 제1 스캐너(100) 및 상기 결제장치(300)와 함께, 상기 물품이송장치(200)가 포함하는 상기 제1 소터(230), 상기 제2 스캐너(232), 상기 제2 소터(250) 및 상기 제3 스캐너(252)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품코드가 포함된 데이터베이스는 상술된 것과 같이, 상품의 제품코드 및 그에 대응되는 제품정보 및 가격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상기 중앙관리서버(400)는 상기 제1 스캐너(100), 상기 물품이송장치(200) 및 상기 결제장치(300)로부터 데이터 및 신호를 수신하고, 또 상기 장치들로 데이터 및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중앙관리서버(400)는 상기 제1 스캐너(100), 상기 물품이송장치(200) 및 상기 결제장치(300)에 데이터 및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앙관리서버(400)는 전술된 실시예에서 제1 스캐너(100), 물품이송장치(200) 및 결제장치(300)가 수행하는 각종 연산 및 제어를 대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에는 필요에 따라 각종 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앙관리서버(400)는 상기 추가로 설치된 센서에서 수집된 정보를 전달받아 관리 및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중앙관리서버(400)는 상기 추가로 설치된 센서로부터 데이터 및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센서로 데이터 및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고객 무선단말기(510)는 고객이 소유한 단말기로서, 상기 중앙관리서버(400)와 무선 연결되어 특정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의 이송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송 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무선단말기(510)는 고객의 스마트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객 무선단말기(510)는 고객의 고객식별코드를 입력받을 수 있고, 상기 중앙관리서버(400)와 통신하여 상기 입력된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들의 이송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각 상품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객식별코드를 입력받고, 상품들의 이송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은 상기 고객 무선단말기(510)에 설치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고객인식코드에 매칭된 상품들의 이송 상태는, 물품이송장치(200)에 포함된 복수의 스캐너들 중에서 각 상품의 제품코드가 가장 최근에 감지된 스캐너를 확인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된 실시예에 따르면, 물품이송장치(200)는 세 개의 스캐너를 포함할 수 있다. 첫번째는 제1 스캐너(100)이고, 두번째는 제1 소터(230)에 포함된 제2 스캐너(232)이고, 세번째는 제2 소터(250)에 포함된 제3 스캐너(252)이다. 상기 고객 무선단말기(510)가 상기 중앙관리서버(400)에 특정 고객인식코드에 매칭된 상품들의 이송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중앙관리서버(400)는 해당 고객인식코드에 대응되는 제품코드를 확인하고, 각 제품코드가 가장 최근에 감지된 스캐너가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상품의 제품코드가 가장 최근에 제1 스캐너에서 감지되었다면 해당 상품의 이송 상태는 "임시보관소로 이송중"일 수 있다. 또는, 어떤 상품의 제품코드가 가장 최근에 제3 스캐너에서 감지되었다면, 해당 상품의 이송 상태는 "계산대로 이송되어 대기중"일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고객 무선단말기(510)의 화면에 문자만 포함된 것과는 달리, 고객 무선단말기(510)에는 각 상품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각 상품의 이미지는, 각 상품의 사진 및 각 상품을 상징하는 그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고객 무선단말기(510)에는 각 상품의 이미지를 통해 각 상품의 제품정보 및 그 이송 상태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품의 제품정보 및 이송 상태를 문자뿐만 아니라 이미지를 통해서도 표시할 수 있음은, 후술되는 상태확인 단말기(520) 및 직원 유/무선 단말기(53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태확인 단말기(520)는 매장에 설치되어 고객식별코드를 입력받고, 상기 중앙관리서버(400)로부터 상기 입력된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의 이송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송 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태확인 단말기(520)는 고객식별코드를 입력받기 위한 스캐너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객이 자신의 고객식별코드를 상기 스캐너에 읽히면, 상기 입력된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의 이송 상태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상태확인 단말기(520)는 매장의 곳곳에 설치되어 고객에게 자신이 선택한 상품의 이송 상태 및 자신이 이미 고른 상품의 내역을 확인시켜 줄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고객 무선단말기(510)를 소유하지 않은 고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고객은 자신이 소유한 단말기(51) 또는 매장에 설치된 상태확인 단말기(520)를 이용하여 자신이 선택한 상품의 이송 상태 및 자신이 이미 고른 상품의 내역을 언제든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객은, 마치 종래의 오프라인 쇼핑 방법과 같이 자신이 선택한 상품을 카트에 담으면서 쇼핑할 때의 감성과 만족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다른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에서는, 고객이 카트를 사용하지 않고 쇼핑을 하면서도, 카트를 사용하여 쇼핑을 할 때와 같은 감성과 만족감을 느낄 수 있다.
한편, 직원 유/무선단말기(530)는 직원이 소유한 단말기로서, 상기 중앙관리서버(400)와 무선 연결되어 상기 물품이송장치(200)의 이상 징후를 알림받을 수 있다. 상기 물품이송장치(200)의 이상 징후는, 특정 상품의 제품코드가 전 단계의 스캐너에서는 감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음 단계의 스캐너에서는 감지되지 않는 경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앙관리서버(400)는 상기 물품이송장치(200)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상기 직원 유/무선단말기(530)에 이를 알리는 알림을 보낼 수 있다. 상기 알림에는, 스캐너에서 감지되지 않는 상품에 매칭된 고객식별코드와, 해당 상품이 마지막으로 감지된 위치에 관한 정보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직원 유/무선단말기(530)를 통하여 상기 물품이송장치(200)의 이상 징후를 알림받은 직원은, 이상이 의심되는 곳으로 가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1a)의 자동이송시스템(1a)의 작동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장소(C)는 복수의 위치에 제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결제장치(300)도 복수의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객 단말기(510), 상기 직원 유/무선 단말기(530), 및 상기 상태확인 단말기(520) 중 적어도 하나에 특정 고객식별코드(21)에 매칭된 상품들의 결제 장소(C)를 변경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중앙관리서버(400)는 해당 고객식별코드(21)에 매칭된 상품들이 변경된 결제 장소(C)로 이송되도록 상기 제1 소터(230), 상기 임시보관장치(240) 및 상기 제2 소터(2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필요 시 상술된 역방향 이송장치(260)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소터(250)로 이미 이송된 상품들이 상기 제1 소터(230)로 이송될 수 있고, 상기 제1 소터(230)로 다시 이송된 상품들은 상기 제1 소터(230), 상기 임시보관장치(240) 및 상기 제2 소터(250)에 의해 변경된 결제 장소(C)로 이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층 주차장의 고유코드가 포함된 고객식별코드(21)를 가진 고객이 어떤 이유로 지하 1층 주차장에서 자신이 고른 상품들을 인도받고 그에 대한 대금을 결제하기 원하는 경우, 해당 고객은 자신이 소유한 무선단말기(510) 또는 매장에 설치된 상태확인 단말기(520)를 이용하여 결제 장소를 변경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는, 해당 고객은 가까운 직원에게 결제 장소 변경을 부탁할 수 있으며, 해당 직원은 자신이 가진 유/무선 단말기(530)를 이용하여 결제 장소를 변경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중앙관리서버(400)는 해당 고객의 고객식별코드(21)에 매칭된 상품들이 지하 1층 주차장에 설치된 결제장치(300)로 이송되도록 상기 제1 소터(230), 상기 임시보관장치(240) 및 상기 제2 소터(2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쇼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쇼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식별자가 부착된 상품이 보조이송장치에 투입될 수 있다(S1). 구체적으로, 고객이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자신의 식별자를 붙인 후 보조이송장치의 유입구에 상기 상품을 투입시킬 수 있다. 식별자가 부착된 상품이 보조이송장치에 투입되면, 상기 상품의 식별자에 표시된 고객식별코드 및 상기 상품의 포장에 표시된 제품코드를 상기 보조이송장치의 유입구에 설치된 제1 스캐너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S2). 여기서, 상기 고객식별코드 및 상기 제품코드 중 어느 하나라도 감지되지 않은 경우, 고객 또는 직원에 의해, 상기 보조이송장치에 투입된 상품의 방향이 재배치되는 등의 추가적인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S3).
제1 스캐너에서 상기 고객식별코드 및 상기 제품코드가 모두 감지되면, 상기 상품은 보조이송장치 및 메인이송장치에 의해 제1 소터로 이송될 수 있다(S4). 그리고 나서, 상기 제1 소터에서는, 제2 스캐너에 의해 상기 상품의 고객식별코드 및 제품코드가 감지될 수 있다(S5). 상기 제2 스캐너에서 획득된 고객식별코드 및 제품코드를 기초로, 상기 상품은 제1 소터에 의해 상기 고객식별코드 및 제품코드에 따라 지정된 임시보관장치의 영역으로 이송될 수 있다(S6). 상기 임시보관장치로 이송된 상품은, 상기 임시보관장치에서 보관될 수 있다(S7).
상기 상품이 임시보관장치에서 보관되는 도중, 결제장치에서 특정 고객식별코드가 선택됨으로써 그에 매칭되는 상품들이 호출될 수 있다(S8). 상기 결제장치에서 고객식별코드가 선택된 경우, 임시보관장치가 이송동작을 시작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이 제2 소터로 이송될 수 있다(S9).
상기 제2 소터에서는, 제3 스캐너에 의해 상기 선택된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의 고객식별코드 및 제품코드가 다시 한번 감지될 수 있다(S10). 그리고, 상기 제3 스캐너에서 획득된 고객식별코드를 기초로, 상기 상품은 결제장치의 여러 물품인도부 중 하나로 이송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품이 이송되는 물품인도부는, 고객이 자신의 고객식별코드를 입력함으로써 특정 고객식별코드의 선택이 이루어진 곳일 수 있다(S11). 또한, 상기 제3 스캐너에서 획득된 제품코드를 기초로, 상기 물품인도부에 설치된 표시부에서는 상기 상품의 제품정보 및 가격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S12).
상기 제2 소터가 물품인도부로 상품을 이송하고, 표시부에도 해당 상품의 제품정보 및 가격정보가 출력되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모두 상기 물품인도부로 도착하였는지 확인될 수 있다(S13). 상기 확인 작업은, 고객 또는 캐시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물품인도부로 이송된 상품과 상기 표시부에 출력된 제품정보를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품이 모두 도착하였으면, 고객에 의해 상품의 대금이 결제될 수 있다(S14).
반면, 상품 중 어느 하나라도 도착하지 않은 경우, 고객은 상기 도착하지 않은 상품을 재호출하여 구매하기 원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5). 상기 도착하지 않은 상품을 재호출하여 구매하기 원하는 경우, 고객은 자신의 고객식별코드를 재입력하여 자신이 선택한 상품들을 재호출할 수 있다(S16). 상기 도착하지 않은 상품의 구매를 원하지 않는 경우, 그대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결제장치의 표시부에는 도착하지 않은 상품을 제외하고 재산출된 제품정보 및 가격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S17). 그리고 나서, 고객에 의해 상기 재산출된 제품정보 및 가격정보에 기초한 대금이 결제될 수 있다(S15).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에 사용되는 물품이송장치, 및 오프라인 쇼핑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1a: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10: 상품
20: 식별자 21: 고객식별코드
30: 제품코드 100: 제1 스캐너
200: 물품이송장치 210: 보조이송장치
220: 메인이송장치 230: 제1 소터
240: 임시보관장치 250: 제2 소터
300: 결제장치 400: 중앙관리서버
510: 고객 무선단말기 520: 상태확인 단말기
530: 직원 유/무선단말기

Claims (24)

  1. 상품 진열 장소에 설치되며, 개개의 상품에 부착된 식별자를 감지하여 상기 식별자로부터 고객식별코드를 획득하고, 해당 상품을 상기 획득된 고객식별코드에 매칭시키는 제1 스캐너;
    상기 상품 진열 장소와 결제 장소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품을 상기 상품 진열 장소부터 상기 결제 장소까지 이송하며, 상기 결제 장소에서 특정 고객식별코드가 선택된 때 해당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을 상기 결제 장소에 제공하는 물품이송장치; 및
    상기 결제 장소에 설치되어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며, 상기 물품이송장치로부터 상기 선택된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을 전달받고, 상기 상품의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상품을 고객에게 인도하는 결제장치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개개의 상품에 부착되는 객체로서, 하나의 고객식별코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객식별코드는 고객에게 할당되어 상기 고객을 구별짓는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표면에 상기 고객식별코드가 인쇄된 스티커이고,
    상기 고객에게 동일한 고객식별코드가 인쇄된 복수의 스티커가 포함된 스티커 북이 제공되는 것에 의해 상기 고객식별코드가 상기 고객에게 할당되는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이송장치는,
    상기 상품 진열 장소와 메인이송장치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상품 진열 장소에서 상기 상품을 제공받아 상기 메인이송장치로 이송하는 보조이송장치;
    상기 보조이송장치로부터 상기 상품을 전달받아 제1 소터로 이송하는 상기 메인이송장치;
    상기 메인이송장치로부터 상기 상품을 전달받아 임시보관장치로 이송하되, 상기 상품에 부착된 식별자의 고객식별코드에 따라 상기 임시보관장치의 지정된 영역으로 이송하는 상기 제1 소터(sorter);
    상기 고객식별코드가 하나씩 각각 지정된 복수의 구별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소터로부터 상기 상품을 전달받아 보관하며, 상기 결제장치에서 상기 특정 고객식별코드가 선택된 때 해당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을 제2 소터로 이송하는 상기 임시보관장치; 및
    상기 임시보관장치로부터 상기 선택된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을 전달받아 결제장치로 이송하되, 상기 결제장치의 복수의 물품인도부 중에서 상기 고객식별코드의 선택이 이루어진 물품인도부로 이송하는 상기 제2 소터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터와 상기 제2 소터는 상기 식별자를 스캔하여 상기 고객식별코드를 획득하는 제2 스캐너 및 제3 스캐너를 각각 포함하는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터와 상기 제2 소터는 크로스벨트소터(cross belt sorter)인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보관장치의 상기 복수의 구별된 영역은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벨트 또는 롤러 컨베이어이고,
    각각의 벨트 또는 롤러 컨베이어에는 상기 고객식별코드가 하나씩 지정되는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보관장치는,
    동일한 고객식별코드를 갖는 식별자가 부착된 복수의 상품에 대하여, 각 상품의 포장에 표시된 제품코드를 기초로 해당 제품의 평면크기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상품의 평면크기의 합산이 해당 고객식별코드가 지정된 영역보다 큰 경우 추가 영역을 해당 고객식별코드에 더 지정하는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보관장치의 상기 복수의 영역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제품코드가 더 지정되며,
    상기 제1 소터는 상기 상품을 상기 상품의 포장에 표시된 제품코드에 따라 상기 임시보관장치의 지정된 영역으로 이송하는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보관장치의 상기 복수의 영역은 상기 지정된 제품코드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되고,
    상기 복수의 그룹은 냉장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냉장그룹에 속하는 영역은 냉장 환경에 설치되는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보관장치의 상기 복수의 영역은 상기 지정된 제품코드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되고,
    상기 복수의 그룹은 냉동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냉동그룹에 속하는 영역은 냉동 환경에 설치되는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보관장치의 상기 복수의 영역은 상기 지정된 제품코드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되고,
    상기 복수의 그룹은 보온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보온그룹에 속하는 영역은 보온 환경에 설치되는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장치는 상기 복수의 물품인도부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대응되는 물품인도부로 상기 상품이 이송될 때, 상기 상품의 제품정보 및 가격정보를 자동으로 출력하는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장소는 복수의 위치에 제공되고, 각 결제 장소에는 상기 결제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물품이송장치는 제2 소터와 상기 제1 소터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 소터로부터 상기 제1 소터로 상기 상품을 이송하는 역방향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역방향 이송장치는 상기 제2 소터로부터 결제 장소의 변경을 요청하는 고객의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들을 전달받아 상기 제1 소터로 회송하는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장소는 주차장인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장치는 상기 주차장 출구에 설치되어 드라이브 쓰루(drive through)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17. 제 1 항에 있어서,
    제품코드가 포함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상기 제1 스캐너, 상기 물품이송장치 및 상기 결제장치를 제어하는 중앙관리서버; 및
    고객이 소유한 단말기로서, 상기 중앙관리서버와 무선 연결되어 특정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의 이송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송 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고객 무선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매장에 설치되어 고객식별코드를 입력받고, 상기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입력된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의 이송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송 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상태확인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19. 제 17 항에 있어서,
    매장 직원이 소유한 단말기로서, 상기 중앙관리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직원 유/무선단말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직원 유/무선단말기는,
    상기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물품이송장치의 이상 징후를 알림받거나,
    또는 상기 중앙관리서버로부터 특정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의 이송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송 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장소는 복수의 위치에 제공되고, 각 결제 장소에는 상기 결제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고객 무선단말기에 특정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들의 결제 장소를 변경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해당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들이 상기 변경된 결제 장소로 이송되도록 상기 물품이송장치를 제어하는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장소는 복수의 위치에 제공되고, 각 결제 장소에는 상기 결제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상태확인 단말기에 특정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들의 결제 장소를 변경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해당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들이 상기 변경된 결제 장소로 이송되도록 상기 물품이송장치를 제어하는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장소는 복수의 위치에 제공되고, 각 결제 장소에는 상기 결제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직원 유/무선단말기에 특정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들의 결제 장소를 변경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해당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들이 상기 변경된 결제 장소로 이송되도록 상기 물품이송장치를 제어하는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23.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품이송장치에 있어서,
    상품 진열 장소와 메인이송장치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상품 진열 장소에서 식별자가 부착된 상품을 제공받아 상기 메인이송장치로 이송하는 보조이송장치;
    상기 보조이송장치로부터 상기 상품을 전달받아 제1 소터로 이송하는 상기 메인이송장치;
    상기 메인이송장치로부터 상기 상품을 전달받아 임시보관장치로 이송하되, 상기 상품에 부착된 식별자의 고객식별코드에 따라 상기 임시보관장치의 지정된 영역으로 이송하는 상기 제1 소터(sorter);
    상기 고객식별코드가 하나씩 각각 지정된 복수의 구별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소터로부터 상기 상품을 전달받아 보관하며, 결제 장소에서 특정 고객식별코드가 선택된 때 해당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을 제2 소터로 이송하는 상기 임시보관장치; 및
    상기 임시보관장치로부터 상기 선택된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을 전달받아 상기 결제 장소로 이송하되, 상기 결제 장소 중에서 상기 고객식별코드의 선택이 이루어진 위치로 이송하는 상기 제2 소터를 포함하는 물품이송장치.
  24. 고객식별코드가 포함된 식별자가 부착된 상품이 물품이송장치의 유입구에 투입되는 단계;
    상기 투입된 상품의 고객식별코드가 감지되고, 해당 상품이 상기 감지된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되는 단계;
    결제 장소에서 특정 고객식별코드가 선택된 때, 해당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이 상기 물품이송장치를 통하여 상기 결제 장소까지 이송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장소에서 상기 선택된 고객식별코드에 매칭된 상품의 결제가 수행되고, 상기 상품이 고객에게 인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쇼핑 방법.
KR1020140070057A 2014-06-10 2014-06-10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품이송장치, 및 오프라인 쇼핑 방법 KR2015014270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057A KR20150142702A (ko) 2014-06-10 2014-06-10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품이송장치, 및 오프라인 쇼핑 방법
PCT/KR2014/005974 WO2015190638A1 (ko) 2014-06-10 2014-07-03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품이송장치, 및 오프라인 쇼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057A KR20150142702A (ko) 2014-06-10 2014-06-10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품이송장치, 및 오프라인 쇼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702A true KR20150142702A (ko) 2015-12-23

Family

ID=54833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057A KR20150142702A (ko) 2014-06-10 2014-06-10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품이송장치, 및 오프라인 쇼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142702A (ko)
WO (1) WO2015190638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5646A (ko) * 2017-07-27 2019-02-14 주식회사 지오엔지스 쇼핑몰 구매상품 출고 시스템
WO2019074346A1 (ko) * 2017-10-13 2019-04-18 (주)랩투마켓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쇼핑하기 위한 시스템 및 쇼핑 방법
KR20190143222A (ko) * 2018-06-20 2019-12-30 신한카드 주식회사 결제를 지원하는 컴퓨팅 장치 및 방법
KR102428715B1 (ko) * 2021-08-25 2022-08-04 주식회사 스마텔 스마트폰 온라인 판매시스템
WO2022158865A3 (ko) * 2021-01-20 2022-09-15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상품의 피킹, 패킹, 배송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3896A (ko) 2005-12-15 2007-06-20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1863A (ja) * 1994-05-19 1995-11-28 Hitachi Ltd Pos店舗での精算、物流方法
JP3837475B2 (ja) * 2001-07-19 2006-10-25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自動化ショッピングシステム
KR100482265B1 (ko) * 2002-10-25 2005-04-14 계영주 대형매장에서의 상품구매시스템 및 방법
JP4517824B2 (ja) * 2004-11-12 2010-08-04 日本電気株式会社 店舗システム並びにそれに用いる端末及びサーバー装置
KR20060109228A (ko) * 2005-04-14 2006-10-19 백운 상품판매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3896A (ko) 2005-12-15 2007-06-20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5646A (ko) * 2017-07-27 2019-02-14 주식회사 지오엔지스 쇼핑몰 구매상품 출고 시스템
WO2019074346A1 (ko) * 2017-10-13 2019-04-18 (주)랩투마켓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쇼핑하기 위한 시스템 및 쇼핑 방법
KR20190143222A (ko) * 2018-06-20 2019-12-30 신한카드 주식회사 결제를 지원하는 컴퓨팅 장치 및 방법
WO2022158865A3 (ko) * 2021-01-20 2022-09-15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상품의 피킹, 패킹, 배송 방법 및 시스템
KR102428715B1 (ko) * 2021-08-25 2022-08-04 주식회사 스마텔 스마트폰 온라인 판매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0638A1 (ko) 2015-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0048B2 (en) Unmanned delivery system by unmanned delivery vehicle
US7024378B2 (en) Retail system with drive-through check-out arrangement
JP6704030B2 (ja) 物流システム及び物流方法
KR20150142702A (ko)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 오프라인 쇼핑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품이송장치, 및 오프라인 쇼핑 방법
US7558743B2 (en) System for purchase check-out arrangement in retail system
KR102632537B1 (ko) 스마트무인스토어시스템을 이용하여 스마트카트에 주문상품을 담는 방법
CN108492475A (zh) 一种取货地点和相应的计算机可读介质
KR20190048674A (ko) 지능형 무인자율주행 물류 로봇
US20170200117A1 (en) Systems and methods of fulfilling product orders
WO2019130779A1 (ja) 店舗
WO2019130778A1 (ja) 無人店舗システム
US20190180226A1 (en) System and method of ordering and automated delivery system
JP2018158836A (ja) 商品搬送システム
WO2019130780A1 (ja) 店舗
KR20170008634A (ko)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카트, 스마트 쇼핑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9263018A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
EP32555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on of items from a store
JP2021111148A (ja) 注文管理装置
JPH06223091A (ja) 商品管理システム
CN117010801A (zh) 一种物流管理***
US20220185586A1 (en) Contactless customer order pick-up portal
US11049196B2 (en) Drive-through automated supermarket
KR102674705B1 (ko) 스마트 물류 관리를 위한 구역들이 구획되어 있는 스마트 물류 관리 장치
KR20090082161A (ko) 실시간 물품 집하 방법 및 시스템
KR102550009B1 (ko) 점유공간 최소화 설계의 무인자동화 비대면 제품 판매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