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6290A - 봉독 추출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및 쌀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봉독 추출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및 쌀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6290A
KR20150136290A KR1020140063570A KR20140063570A KR20150136290A KR 20150136290 A KR20150136290 A KR 20150136290A KR 1020140063570 A KR1020140063570 A KR 1020140063570A KR 20140063570 A KR20140063570 A KR 20140063570A KR 20150136290 A KR20150136290 A KR 20150136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rice
cosmetic composition
bee venom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간
방규호
박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코러스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코러스제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코러스제약
Priority to KR1020140063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6290A/ko
Publication of KR20150136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29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6Salicaceae (Willow family), e.g. pop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911Microorganisms using fungi
    • Y10S435/913Aspergill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독 추출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및 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 콜라겐 섬유의 생합성 효과 및 히아루론라제의 활성 저해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피부탄력 증진 효과 및 피부에 대한 안전성도 탁월하다.

Description

봉독 추출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및 쌀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Extract Of bee venom, extract of willow bark and extract of fermented rice Containing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nti-aging Effect}
본원발명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봉독 추출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및 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항산화 효과, 콜라겐 섬유의 생합성 효과 및 히아루론라제의 활성 저해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피부탄력 증진 효과 및 피부에 대한 안전성도 탁월하다.
최근 웰빙 및 힐링 열풍으로 인하여 피부 노화에 부쩍 관심을 모으고 있는데, 이는 근육 및 골격의 노화와 더불어 피부의 노화도 개인의 일상 생활과 심리 및 사회적 웰빙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하나의 과정이기 때문이다.
피부는 주요 감각기관이기도 하여 감염성 생물이나 물리적인 위해에 대한 신체의 일차 방어선이며 이 외에도 신체의 체온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노화방지용 화장료의 개발의 기초가 되는 피부 노화 메카니즘은 피부가 대기오염, 자외선 노출, 스트레스 또는 질병 등의 유해환경으로부터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에 계속적으로 노출되어 체내의 라디칼이 증가되고, 진피의 결합조직인 콜라겐(collagen), 엘라스틴(elastin),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등을 파괴하여 피부의 일정 부위 침하현상(주름)을 일으키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피부 노화 메카니즘은 세포막의 지질부분을 산화시켜 세포의 파괴 현상을 일으켜 피부염, 여드름 또는 피부암 등의 질병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체내의 라디칼은 멜라닌 형성과정에 관여하여 기미, 주근깨 및 주름 생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상기 피부 노화 메카니즘과 관련하여, 연령 증가에 따른 전신적, 내인성의 생리적 노화, 장기간 노출된 자외선에 의한 국소적인 외인성 광노화에 대한 연구가 주목되고 있다. 특히, 미용의 대상으로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안면, 두부 등은 광노화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밝혀져, 인체 피부나 동물 모델의 광노화 및 주름 형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광노화에 따라 피부 내부 구조가 변화하는데, 그 예로서 표피, 진피의 비후화 또는 엘라스틴의 축적, 또는 탄성섬유의 입체구조 변화 등이 보고된 바 있다. 또한 피부구조의 주요 구성성분 골격인 콜라겐과 관련하여 콜라겐 섬유의 미세섬유화, 섬유형태의 약화 등이 밝혀지고 있다.(Zheng P. and Kligman L. H., uvA-induced ultrastructural changes in hairless mouse skin : A comparison to uvBinduced damage.J. Invest. dermatol., 100, 194-199(1993)) 그러나, 콜라겐 섬유가 묶여서 형성된 콜라겐 섬유다발에 대해서는, 광노화에 의한 구조 변화, 피부 물성의 변화 등에 대하여 지금까지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고, 피부 상처 치료 과정의 연구 등에 의해 피부의 강인성 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에 관해서 알려져 있을 뿐이다.
최근, 피부 노화 연구의 주류를 이루는 것으로 밝혀진 오존층의 파괴 등으로 인한 태양광의 직간접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특히, 상기 태양광이 주름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여러가지 천연성분들을 사용하여 콜라겐 섬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개선을 위한 기존의 방법은, 아스코르브산, α-토코페롤, 레티놀 및 그 유도체, SOD 등을 함유한 화장료나 의약품을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화장료나 의약품의 가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화학적 안정성이 좋지 못하여 의약품이나 식품 분야 및 화장품 산업 분야에서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최근 천연 물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이 중 순수 천연물질이면서 강력한 항균, 항염증 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봉독(bee venom)은 여왕벌이나 일벌의 독주머니에 저장되어 있으며 태어난 이후 점차 양이 증가해 15일령의 벌에서는 약 0.3mg이 되고 소문을 지키는 나이가 되는 약 17일 이후에는 추가로 생산되지 않는 봉독의 대부분은 단백질과 펩티드 성분이므로 종종 독낭의 총 단백질 함량으로 독 생산의 성숙도를 측정한다. 꿀벌에서 얻어진 독은 효소, 폴리펩티드, 작은 분자량을 가진 다양한 물질 등으로 이루어진 아주 복잡한 혼합체이며 주요 성분으로서 지금까지 알려진 것은 약 40여 종류가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성분은 멜리틴(melitin), 포스포리파제(phospholipase), 히알루론다제(hyalurondase A₂), 히스타민(histamine), 아파민(apamin), 아돌라핀(adolapin), 엠시디 펩타이드(MCD peptide), 도파민(dopamine), 프로테아제 억제인자(protease inhibitor), 세카핀(secapine), 델티아핀(tertiapin), 프로가민 A, B(procamine A, B), 알파-글루코시다제(α-glucosidase), 리소포스포리파제(lysophospholipase)으로, 특히 주성분인 주성분인 멜리틴(melittin)은 항염증과 항균작용, 강력한 진통작용, 면역증강 등의 역할을 한다. 봉독은 그람 음성 및 양성균에 대해 모두 항균작용을 보이나, 그람 양성균에서 더 강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봉독은 자외선에 의해 손상된 피부의 재생을 촉진하며, 부작용과 잔류에 대한 위험성이 적어 봉침요법으로 오래전부터 관절염, 통풍 등의 질환에 사용되어 오고 있다.
국내산 꿀벌(Apis mellifera)의 봉독은 전기 충격법을 이용한 봉독 채집장치를 이용하여 꿀벌의 피해 없이 순수한 봉독만을 다량으로 채취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동결 건조하여 정제 봉독을 얻을 수 있다.
버드나무는 버드나무과(Salicaceae) 버드나무속(Salix)에 속하는 관목 및 교목으로서 대부분 북온대지방이 원산지이며, 낙엽교목으로서 10-15㎝ 정도에 달하며, 가지는 아래로 처지고, 소가지는 갈색 또는 적갈색이다. 잎은 날카로운 톱니형으로, 끝이 길고 뾰족하고, 꽃은 3-4월에 피며 열매가 맺는 시기는 5월이다. 잎을 유엽(柳葉), 꽃을 유화(柳花), 과실을 유실(柳實), 속 질긴 껍질을 유백피(柳白皮)라 하여 약용으로 사용한다. 중국이 원산지로, 우리나라에서는 전남, 경기에서 자라며, 그밖에 중국과 유럽의 들판에서 자란다. 큰 버드나무로는 살릭스 니그라(S. nigra), 살릭스 프라길리스(S. fragilis), 살릭스 알바(S. alba) 등 3종이 있는데 모두 키가 20㎝ 이상 자란다. 살릭스 니그라는 북아메리카에서 자라며, 나머지 둘은 유라시아가 원산지이지만 지금은 귀화식물로 널리 퍼져 자라고 있다.
쌀은 세계 인구의 절반이 주식으로 사용하는 세계 3대 곡물 중 하나인 귀중한 식량자원이며, 특히 아시아권에서는 다른 작물과 대치될 수 없는 국가 핵심 자원이다. 벼의 겉껍질인 왕겨를 벗기고 도정하지 않은 상태의 쌀을 현미라고 하고, 현미를 정미하여 쌀겨와 쌀눈을 벗겨낸 상태의 쌀을 백미라고 한다.
벼(Oryza sativa)는 벼과 벼속에 속하는 1년생초로 전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쌀의 성분은 탄수화물 70~85%, 단백질 6.5~8.0%, 지방 1.0~2.0% 정도이고 전세계 인구의 절반정도가 주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벼는 인간이 섭취하는 열량의 약 21%를 차지하며 120여 개국에서 재배되는 매우 중요한 농작물이다. 현미의 경우 겨층과 호분층에 단백질, 지질, 섬유질 및 회분 등이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무기질이나 비타민 함량이 2~3배로 높아서 영양적으로 매우 좋다고 알려져 있다.
백미로 도정되는 과정에서 배아 부분은 대개 떨어져 나가게 되는데 이를 상당히 남도록 배아미 도정기로 도정하게 되면 백미의 밥맛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배아에 들어 있는 단백질 및 지질을 비롯하여 무기질과 비타민 등 주요 영양성분을 더 많이 섭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급격한 서구화, 환경오염 등으로부터 피부 노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서, 봉독 추출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및 쌀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노화방지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봉독 추출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및 쌀 발효 추출물을 혼합한 추출물의 경우 항산화 효과, 콜라겐 섬유의 생합성 효과 및 히아루론라제의 활성 저해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피부탄력 증진 효과, 및 피부에 대한 안전성도 탁월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봉독 추출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및 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봉독 추출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및 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성분 중 상기 봉독은 벌의 독선에서 분비되는 분비물을 의미하며, 벌의 독선 분비물이기만 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봉독은 전기충격법에 의해서 봉독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봉독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0.0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봉독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0.001 내지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봉독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0.01 내지 8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의 의도한 효과를 나타내기에 적절할 뿐만 아니라, 조성물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으며, 비용 대비 효과의 측면에서도 상기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봉독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낮은 경우에는 봉독 성분에 의한 피부 미백 또는 피부 보습 효과 등을 충분히 얻을 수 없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 증가에 비해 효과의 증가가 크지 않을 수 있다.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에서 사용하는 버드나무 껍질은 살릭스 니그라(S. nigra), 살릭스 프라길리스(S. fragilis) 또는 살릭스 알바(S. alba)이며, 바람직하게는 살릭스 니그라(S. nigra) 또는 살릭스 알바(S. alba)이다.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은 천연 추출물이어서 살리실산을 직접 사용하는 경우보다 무자극성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버드나무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각각 0.0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0.01 내지 8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5 내지 5 중량%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상기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은 여과 또는 원심 분리하여 용액, 엑기스 또는 분말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제공 형태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은 다음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버드나무 껍질을 분쇄하는 제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분쇄한 분쇄물을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다가 알코올;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은 혼합 용매에 넣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환류 추출기에서 일정 시간 끓이거나, 가열하여 추출한 다음, 여과한 후 잔사를 같은 방법으로 일정 횟수 더 추출하는 제 2단계; 상기 각각의 추출액을 합하여 상온에서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 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50℃ 내지 80℃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는 제 3단계를 통해서 버드나무 껍질 건조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외에 상당 시간 동안 실온에서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제조시에 함유되는 버드나무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그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기대하는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으며, 10중량%를 초과하면 첨가량 만큼의 현저한 효과 상승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쌀발효 추출물" 은 쌀을 발효시켜 얻은 쌀 발효물 또는 상기 발효물로부터 생기는 산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쌀발효 추출물이란 쌀 발효물 자체를 의미하거나, 또는 쌀 발효물을 용매(물 또는 에탄올 등 유기용매)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으로 추출한 농축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쌀발효 추출물은 여과 또는 원심 분리하여 용액, 엑기스 또는 분말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제공 형태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쌀발효 추출물은 다음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1) 쌀을 물과 혼합하여 불리고 가열 호화시키는 단계,
2) 상기 호화한 쌀에 누룩을 0.05 내지 10 중량%로 첨가하여 20 내지 40℃에서 10 내지 30시간 동안 당화시키는 단계,
3) 15 내지 40℃ 에서 1일 내지 10일 동안 배양시키는 단계, 및
4) 살균 및 농축 단계.
상기 단계 1)은 물과 혼합하여 쌀을 불리고 가열 호화시키는 단계이다. 이 때, 물은 쌀 100 중량%에 대해 100~50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0~400 중량%로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에서 1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시간 동안 불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쌀을 물에 불려 적당한 수분을 함유하게 한 뒤 열을 가하여 쌀을 찌게 되면, 쌀의 전분 입자가 겔(gel) 상태로 호화(gelatinization)되어 쌀의 미셀(micelle) 입자 사이가 넓게 형성되어 각종 효소의 작용을 용이하게 되므로, 이후 단계 3)의 배양 단계에서 발효를 촉진시킬 수 있다. 가열 호화 단계는, 5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 의 열을 가하여 대략 30 내지 120분간,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분간 수행할 수 있으나, 상기 조건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단계 2)는 상기 호화한 쌀에 누룩을 첨가하여 당화시키는 단계이다. 본 단계는 쌀의 전분질을 당화시켜 단당류를 생성하고, 이러한 단당류에 의해 다음 단계에서의 발효를 더 쉽게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누룩은 쌀의 전분질을 당화시킬 뿐 아니라 잡균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당화 과정에는 누룩 곰팡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누룩을 사용할 수 있다. 누룩은, 백국균(Aspergillus kawachii, Aspergillus shirousamii 등), 황국균(Aspergillus oryzae 등), 흑국균(Aspergillus niger, Aspergillus awamori, Aspergillus usamii 등) 및 리조푸스 속(Rhizopus sp.)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누룩으로 백국균을 사용하였다.
누룩은 호화한 쌀 100 중량%에 대해 0.05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중량%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누룩이 활성을 유지할 수 있는 온도인 10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에서 10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시간 정도 경과하면 여러 가지 효소들이 침출되어 쌀 전분에 작용하여 당화가 진행된다.
단계 3)은 상기 당화가 진행된 쌀을 배양시켜 발효를 진행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는 상기 당화가 진행된 쌀을 15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 에서 1일 내지 10일 동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일간 배양시킬 수 있다. 상기 배양 단계에 의하여 쌀의 미셀 입자 사이가 넓게 확산되어 각종 효소의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발효가 더욱 확실히 진행될 수 있다.
단계 4)는 발효가 완료된 쌀발효 추출물을 살균 및 농축하는 단계이다. 살균 및 농축은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대로 수행할 수 있으며, 살균 및 농축된 쌀발효 추출물은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 등으로 분말화하여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쌀발효 추출물은, 지방(조지방, 포화지방 및 트랜스지방) 및 콜레스테롤이 없거나 거의 함유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쌀발효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영양 조성을 포함할 수 있다:
수분 0~10 중량%, 회분 0~3 중량%, 탄수화물 60~95 중량%, 당류 5~30 중량%, 조단백 0~10 중량%, 조지방 0~0.1중량%, 포화지방 0~0.1 중량%, 트랜스지방 0~0.1 중량%, 콜레스테롤 0~0.1mg/100g, 및 나트륨 0~500mg/100g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 수분 7.0 중량%, 회분 1.1 중량%, 탄수화물 83.4 중량%, 당류 20.7 중량%, 조단백 8.5 중량%, 조지방 0.0 중량%, 포화지방 0.0 중량%, 트랜스지방 0.0 중량%, 콜레스테롤 0mg/100g, 및 나트륨 47.08mg/100g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쌀발효 추출물은 베타-글루칸을 2 내지 4 중량% 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쌀 추출물과 쌀의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의 제조 방법은 쌀을 건조 과정을 거치어 수분 5 중량% 이하로 조정하는 단계, 쌀을 건조 과정을 거치어 수분 5 중량% 이하로 조정 혼합하여 80 내지 100℃ 에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습식 열처리를 하여 제균 효과와 동시에 원료의 영양 성분이 용출되어 발효가 잘 되도록 화학적 조건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친 후 섭씨 30℃ 내지 60℃ 와 pH 5.5 내지 8.5 및 혐기적인 발효 조건에서 쌀을 건식배양 조건하에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와 같은 바실러스속 미생물을 이용하여 고체 발효하여 유용 성분을 생산한 후 살균 단계를 거치어 정제수로 추출하여 추출액을 회수하고 이를 농축하여 정제한다. 더욱 정제하고자 할 때는 섭씨 4℃ 에서 한외 여과하여 정제할 수 있다. 이때 분리된 추출물을 건조하여 건조중량을 측정하여 생산성을 계산한다.
본 발명의 고체 발효에 사용된 바실러스속 균주의 특성은 그람 양성균으로서 내생 포자 형성능이 있으며, 장간균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한 호기성 또는 통성 혐기성 조건에서 생장이 가능하지만 혐기적인 조건에서는 생장이 불가능하며 카탈라아제(catalase) 생산 및 카제인과 젤라틴, 전분 분해능의 특징을 가진다. 생장 조건으로서는 7% 식염수 조건에서 생장이 가능하며 발효 조건인 약 45℃ 에서 생장이 가능하며 약 pH 5.0 내지 7.5에서 생장이 활발하다. 또한 글루코오스, 아라비노오스, 크실로오스, 만니톨을 이용하여 산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제조된 쌀 추출물과 쌀의 발효추출물의 혼합물을 0.001 내지 20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2 중량%가 되게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에 사용된 쌀 원료는 현미, 백미 등의 형태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쌀의 고체 발효 추출물과 혼합하여 한외 여과 과정을 거치어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분획물을 포함하는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쌀 추출물과 쌀의 발효 추출물의 혼합 형태는 0.001 중량% 이하는 첨가시에 본 발명의 항산화 효과와 보습 탄력 기능이 미흡하게 나타나며, 20 중량% 이상 사용하는 경우 최종 제품에서 고유 풍미에 따른 고유취와 색상이 강하게 나타나 최종 제품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의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페이셜에센스(마스크), 영양로션, 영양크림, 선블록크림, 바디로션, 바디에센스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이하에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대표적인 영양 크림과 영양 화장수 조성물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의 항노화 효과가 우수한 추출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 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비누, 훼이셜폼, 바디클렌져와 같은 세안, 세정료 및 샴푸, 린스와 같은 모발용 제품에도 응용 가능하고, 마스크 팩과 같은 패치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피부 외용제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성분, 예를 들면 수성성분, 유성성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방부제, 향료 색소 등과 함께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로는 레시틴, 잔탄검, 세틸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레시틴은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및 올레산의 천연에 존재하는 디글리세라이드 혼합물로 포스포린산의 콜린에스터에 결합되어 있으며 대부분 달걀이나 콩에서 추출할 수 있으며, 피부컨디셔닝제, 피부유연화제, 계면활성제-유화제로 사용된다.
잔탄검은 콩 불마름병균으로 탄수화물을 순수배양 발효하여 얻은 고분자량의 헤테로폴리사카라이드검으로 주로 식물의 다당류에서 추출하며 점성을 증가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피부에 탄력을 높여주는 효과를 내어 유화안정제, 계면활성제-유화제, 점증제-수용성으로 사용한다. 세틸알코올은 코코넛에서 추출한 알코올로 윤활제 역할을 하고 화장품에 포함된 물과 기름 성분을 잘 섞어 주며, 유화안정제, 점도조절제의 역할을 하여 함유시 점도가 높은 화장품을 만들 수 있고 화장품의 보습력을 상승시키고 피부를 매끄럽게 하며 유분기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히알루론산, 부틸렌글라이콜, 알란토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글리세린은 복합성 용제이며 활성성분으로 고정시키는 기능이 있어 피부를 매끄럽게 해주며, 향료, 피부보습제, 피부보호제, 점도감소제 등의 효과가 있다. 안정하고 보습효과가 뛰어나 화장품에 주로 사용된다. 히알루론산은 단백질과 다당류의 결합체로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이라고도 불리며 진피의 연결조직 섬유질-콜라겐과 엘라스틴에 접착되어 그 사이를 메우고 있으며, 고분자 화합물이므로 분자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화장품으로 사용 시 진피에까지 영향을 주지는 못하고 수용성물질들의 중합체이기 때문에 표피에 수분을 강력하게 붙잡는 역할을 하는 천연 보습제로서, 인간의 피부나 지렁이 등에 많이 존재하며 피부컨디셔닝제, 점증제, 보습제의 역할을 한다. 부틸렌글라이콜은 입자가 큰 유기체 알코올로서 피부에 수분을 끌어당겨 간직하는 강력한 보습제로 사용된다. 알란토인은 질소비료에서 자연적으로 생산되는 물질로 피부의 보습기능뿐만 아니라 상처를 치유하고 궤양을 관리하는 기능, 트고 거칠어진 피부를 개선하여 매끄럽게 만들어 주는 기능을 담당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방부제로서 천연보존료 GSE(Grapefruit Seed Extract), MSE(Multi-Scutellaria Etracts)를 사용할 수 있다. GSE는 자몽종자추출물이며, MSE는 꿀풀과 식물인 황금의 뿌리에서 추출한 것으로, 각종 피부의 염증이나 피부트러블에 항균효과가 있고, 항산화 작용과 미백효과, 노화방지에 도움을 준다.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반고형 제제인 크림제, 로션제, 유화제, 리니멘트제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한 착색제, 착향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계면활성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액상 제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물, 알코올,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 같은 용액제, 현탁액제, 유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한 착색제, 착향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부 외용제는 바세린, 스테아릴알콜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기제; 폴리소르베이트, 솔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계면활성제; 글리세린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보습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용제; 및 착향제, 착색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등을 균질하게 혼합하는 통상의 피부 외용제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봉독 추출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및 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 콜라겐 섬유의 생합성 효과, 히아루론라제의 활성 저해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피부탄력 증진 효과 및 피부에 대한 안전성도 탁월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참고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봉독의 수득 및 봉독 추출물의 제조
전기 충격법에 의해 봉독을 얻었다. 전기 충격법을 통해 얻은 봉독에 증류수를 부어 봉독에서 벌 또는 이물질을 부유시켰다. 부유된 벌 또는 이물질을 걸러내고 정제된 봉독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봉독을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득한 봉독의 3배 부피에 해당하는 70% 에탄올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5회 교반하면서 추출하여 탈지시켰다. 탈지된 봉독에 다시 4배 부피의 70% 에탄올을 첨가하고 3회 환류 추출한 후, 15℃에서 2일간 침적시켰다. 침적물에 대한 여과 및 원심 분리 과정을 거쳐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엑기스를 얻었다. 얻어진 엑기스를 물에 현탁한 후, 에테르를 이용하여 색소를 제거한 다음, 수층을 부탄올로 5회 추출하여 제거하였다. 수득한 유기 용매 층을 감압 농축하여 엑기스를 얻었다. 얻어진 엑기스를 메탄올에 녹인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추가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건조시켜 봉독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의 제조
시판되는 버드나무 껍질(S. Nigra Bark)을 구입하여 분쇄한 분쇄물 100g을 용매 정제수 3L에 넣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환류 추출기에서 3시간 끓여 추출한 다음, 1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잔사를 같은 방법으로 1회 더 추출한다. 각각의 추출액을 합하여 상온에서 와트만(Whatman) 여과지로 2번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 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버드나무 껍질 건조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3. 쌀 발효 추출물의 제조
쌀을 15~25℃에서 2~6시간 불리고, 6배수의 물을 이용하여 불린 쌀을 80℃로 호화시킨 후 온도를 약 30℃로 낮추고 10%가 되게끔 누룩가루를 넣어 비볐다. 다음으로, 30℃ 에서 12시간 동안 두어 당화 과정을 진행하였고, 25℃ 에서 48시간 동안 두어 배양단계를 거친 후, 살균 및 여과 농축하여 분말화(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쌀발효 추출물에 대하여 지표물질로 베타-글루칸(beta-glucan)을 선정하여 "건강기능식품공전 II.3.4.3 베타글루칸"에 따라 분석한 결과, 쌀발효 추출물 내에 베타-글루칸이 2~4%, 정확하게는 3% 로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쌀발효 추출물 내 포함된 영양 성분은 다음과 같음을 확인하였다:
수분 7.0 중량%, 회분 1.1 중량%, 탄수화물 83.4 중량%, 당류 20.7 중량%, 조단백8.5 중량%, 조지방 0.0 중량%, 포화지방 0.0 중량%, 트랜스지방 0.0 중량%, 콜레스테롤 0mg/100g, 및 나트륨 47.08mg/100g, 열량 368kcal.
제조예 4. 복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에서 제조된 봉독 추출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및 쌀 발효 추출물을 각각 0.5 : 0.5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하기 제조예 및 실험예에서 사용하였다.
제조예 5. 영양크림의 제조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여 영양크림을 제조하되, 영양크림 총중량 대비 봉독, 버드나무 껍질, 쌀발효 추출물의 총 중량이 8.00 중량% 함유되도록 하였다.
우선, 하기의 표 1의 조성비에 따라, 정제수, 복합 추출물, 카보머(Carbomer), 디소듐 이디티에이(Disodium EDTA),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메틸파라벤(Methyl Paraben)을 계량하여 80±2 ℃ 에서 혼합하여 수상(water phase)을 완성하였다. 또한, 하기의 표 1의 조성비에 따라, 프로필파라벤(Propyl Paraben), 마카데미아넛 오일(Macademia Nut oil), 미네랄 오일(mineral oil), 디메치콘(Dimethicon),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 Capric Triglyceride)를 계량하여 80±2 ℃ 에서 혼합하여 유상(oil phase)을 완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유상(oil phase)을 수상(water phase)에 첨가하면서 두 개의 상(phase)이 서로 섞이도록 하여 에멀젼 형태의 혼합물을 만들었다. 상기 혼합물에 중화제인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을 첨가하고 45 ℃까지 냉각시킨 후, 향료(Argeville社, M.A. CO 25106B)를 첨가하고 35 ℃까지 냉각시켜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봉독 추출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및 쌀발효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고, 정제수의 중량비를 84.95%로 하여, 하기의 표 1의 조성비에 따라 대조군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명 복합추출물 함유 영양크림 대조군 영양크림
수상 1 정제수 76.95 84.95
2 복합추출물 8.00 -
3 카보머 0.15 0.15
4 디소듐 이디티에이 0.05 0.05
5 부틸렌글리콜 4.00 4.00
6 메틸파라벤 0.20 0.20
유상 7 프로필 파라벤 0.10 0.10
8 마카데미아 넛 오일 4.00 4.00
9 미네랄 오일 3.00 3.00
10 디메치콘 1.00 1.00
1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2.00 2.00
중화제 12 트릴에탄올아민 0.25 0.25
첨가제 13 향료 0.30 0.30
제조예 6. 영양 화장수의 제조
상기 제조예 4에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여 영양 화장수를 제조하되, 영양 화장수 총중량 대비 상기 추출물이 8.00 중량% 함유되도록 하였다.
우선, 하기의 표 2의 조성비에 따라, 정제수, 봉독 추출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쌀발효 추출물, 카보머, 디소듐 이디티에이, 부틸렌글리콜, 메틸파라벤을 계량하여 80±2 ℃ 에서 혼합하여 수상(water phase)을 완성하였다. 또한, 하기의 표 3의 조성비에 따라, 프로필파라벤, 마카데미아 넛 오일, 미네랄 오일, 디메티콘,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Sorbitan Sesquioleate), 폴리소르베이트 60(Polysorbate 60)을 계량하여 80±2 ℃ 에서 혼합하여 유상(oil phase)을 완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유상(oil phase)을 수상(water phase)에 첨가하면서 두 개의 상(phase)이 서로 섞이도록 하여 에멀젼 형태의 혼합물을 만들었다. 상기 혼합물에 중화제인 트리에탄올아민을 첨가하고 45 ℃까지 냉각시킨 후, 향료(Argeville社, M.A. CO 25106B)를 첨가하고 35 ℃까지 냉각시켜서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대조군으로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고, 정제수의 중량비를 86.13%로 하여, 하기의 표 2의 조성비에 따라 대조군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명 복합추출물 함유 영양화장수 대조군 영양 화장수
수상 1 정제수 78.13 86.13
2 복합추출물 8.00 -
3 카보머 0.15 0.15
4 디소듐 이디티에이 0.20 0.20
5 부틸렌글리콜 1.00 1.00
6 메틸파라벤 0.20 0.20
유상 7 프로필 파라벤 0.10 0.10
8 마카데미아 넛 오일 2.00 2.00
9 미네랄 오일 6.00 6.00
10 디메치콘 2.00 2.00
11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 0.40 0.40
12 폴리소르베이트 60 1.60 1.60
중화제 13 트릴에탄올아민 0.15 0.15
첨가제 14 향료 0.25 0.25
실험예 1. 복합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제조예 4에 의해 제조된 복합 추출물이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펜톤 반응에 의한 지질 과산화 반응계(Lipid peroxidation system)를 이용하여 티오부틸레이트 아세트산(TBA)시험을 하였다.
우선, 에틸리놀레이트 10 mL에 0.2% 소듐도데실설폭시드(SDS), 염화제일철 10 mol, 과산화수소 2 mol을 첨가하여, 25 mM 트리즈마(Trizma)염산/0.75 mM 염화칼륨 완충용액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제조예 4의 복합 추출물 0.01 g을 디메틸설폭시드(DMSO)용액 0.1 mL에 용해시켰다. 상기 복합 추출물이 용해된 용액과 25 mM 트리즈마(Trizma)염산/0.75 mM 염화칼륨 완충용액 5 mL를 혼합한 후, 55 ℃에서 16시간 동안 배양시키고, 4% 부틸히드록실 톨루엔 50 mL 를 첨가한 후, 반응을 정지시킨 다음, 0.3 mL 시험관에 넣었다. 상기 0.3 mL 시험관에 0.05M 염산 3.0 mL 및 부탄올 4.0 mL 를 넣고, 원심 분리하여 535 nm에서 시료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복합 추출물을 넣지 않은 시료를 대조군으로 하여, 53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광도의 측정 결과는 하기의 표 3에 나타냈다.
제조예 흡광도
제조예 4의 복합 추출물 0.311
대조군 0.075
상기 표 3의 흡광도를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를 계산하였다. 항산화 효과는 하기의 식에 의해 계산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하기의 표 4에 나타냈다.
시험군 흡광도 - 대조군 흡광도
항산화 효과 = ------------------------------ X 100
대조군 흡광도
시료 항산화 효과(%)
제조예 4의 복합 추출물 89.25
비타민 E 45.20
상기의 표 4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에탄올 : 부틸렌글리콜 : 증류수를 2 : 1 : 1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얻은 제조예 4의 복합 추출물(본원발명)의 항산화 효과는 89.25 의 수치로 나타난 반면에, 항산화 효과가 있다고 널리 알려져 있는 비타민 E의 항산화 효과는 45.20 에 불과하였다. 상기의 결과로 부터, 본원발명의 복합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복합 추출물의 콜라겐 섬유 생합성 효과
제조예 4에 의해 제조된 복합 추출물이 콜라겐 섬유를 생합성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는 시험을 하였다.
우선, 인간의 섬유 아세포(normal human fibroblast : ATCC-28)를 배양용 플라스크에 넣고 70 ~ 8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배양된 섬유 아세포에 복합추출물로 처리하되, 섬유 아세포 총 중량대비 복합추출물, 0.01 중량%, 0.10 중량%, 1.00 중량% 의 세 종류의 비율로 처리하였다. 그 후, 상용의 콜라겐 섬유 생합성 측정용 키트(BCA protein assay kit, pierce 23225)를 사용하여, 복합 추출물로 처리된 섬유 아세포의 콜라겐 섬유 생합성율(%)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무처리한 섬유 아세포를 대조군으로 하되,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경우는 대조군 1로 하고, 자외선을 조사한 경우는 대조군 2로 하여,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친 후, 섬유 아세포의 콜라겐 섬유 생합성율(%)을 측정하였다.
상기에서 측정된 콜라겐 섬유 생합성율(%)은 하기의 표 5에 나타냈다.
시료 콜라겐 섬유 생합성율(%)
복합 추출물 0.01(%) 복합 추출물 0.10(%) 복합추출물 1.00(%)
복합추출물을 처리한 섬유아세포 176 184 197
대조군 1 96 96 96
대조군 2 68 68 68
상기의 표 5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에탄올 : 부틸렌글리콜 : 증류수를 2 : 1 : 1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얻은 제조예 4의 복합추출물로 처리한 섬유 아세포의 콜라겐 섬유 생합성율(%)은 복합 추출물로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1 또는 대조군 2에 비해서 약 2배 이상의 콜라겐 섬유 생합성율(%)을 보였다.
상기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복합추출물을 처리한 섬유 아세포의 콜라겐 섬유 생합성율이 높다는 사실은, 본원발명의 복합 추출물이 노화, 특히 광노화에 생기는 주름을 방지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실험예 3. 복합 추출물의 히아루론라제의 활성 저해 효과
제조예 4에 의해 제조된 복합 추출물이 히아루론라제(sigma, 타입 4)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는 시험을 하였다. 상기 히아루론라제는 세포의 수분 보유에 관여하는 히아루론산을 분해하는 효소로서, 히아루론라제의 활성이 저해되면 히아루론산의 안정성이 높아지므로, 세포의 수분 보유능이 높아질 수 있다.
우선, 복합 추출물 10 mg을 0.1M 아세트산 완충용액(pH 4.0) 100 mL에 용해시켜서 시험관에 넣어 두었다. 그 후, 히아루론라제 0.1 mg 을 용해시킨 아세트산 50 mL를 상기 시험관에 첨가하고, 37 ℃에서 20 분 동안 방치하였다.
다음으로, 히아루론산 나트륨 200 mg을 용해시킨 아세트산 완충용액 250 mL를 상기 시험관에 첨가하여, 37 ℃에서 40 분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 상기 시험관에 0.4M 수산화나트륨 100 mL를 가하고, 냉각시켰다.
다음으로, 상기 시험관에 붕소산 완충용액(pH 9.0) 100 mL를 첨가하여 37 ℃에서 20 분동안 항온시킨 시료를 58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무처리한 시료를 대조군으로 하여, 58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광도의 측정 결과는 하기의 표 6에 나타냈다.
시료 흡광도
복합추출물 0.198
대조군 0.102
상기 표 6의 흡광도를 이용하여, 히아루론라제의 활성 저해 효과를 계산하였다. 히아루론라제의 활성 저해 효과는 하기의 식에 의해 계산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하기의 표 7에 나타냈다.
시험군 흡광도 - 대조군 흡광도
히알루론라제의 활성저해 효과 = ------------------------------ X 100
대조군 흡광도
시료 히아루론라제의 활성 저해 효과(%)
복합 추출물 92.77
상기의 표 7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에탄올 : 부틸렌글리콜 : 증류수를 2 : 1 : 1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얻은 제조예의 복합 추출물의 히아루론라제의 활성 저해 효과는 92.77% 였다. 상기의 결과로 부터, 본원발명의 복합추출물은 히아루론라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매우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영양크림의 피부 탄력 증진 효과
상기 제조예 5에서 제조한 영양크림 및 대조군 영양크림이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시험을 하였다.
상기 시험을 위하여, 28 세 이상 40 세 미만의 건강한 여성 35명(평균 연령 34세)을 선정하여 2그룹으로 나눈 후, 각각의 그룹에 영양크림, 대조군 영양크림을 눈가를 중심으로 12주 동안 1일 2회 사용하도록 하였다.
상기 영양크림을 사용하기 전(0주)의 피부탄력과 상기 영양크림을 12주 동안 사용한 후의 피부 탄력은 20 ~ 25℃의 온도 및 상대습도 60%의 분위기에서 피부탄력측정기(Cutometer SEM575, Courage+Khazaka社)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실탄성계수(Net elasticity, R5)를 계산할 수 있으며, 실탄성계수가 1에 가까울수록 피부 탄력 증진효과가 우수함을 의미한다. 상기 실탄성계수는 하기의 식에 의해 계산되며, 그 결과는 표 8에 나타냈다.
실탄성계수(R5) = R5(12주) - R5(0주)
실탄성계수(R5)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크림 0.19
대조군 영양크림 0.015
상기의 표 8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제조예의 복합 추출물(본원발명)이 함유된 영양크림을 사용한 경우의 실탄성계수는 0.19 였다. 복합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대조군 영양크림에 비해 1267%나 높았다. 결론적으로, 본원발명의 복합 추출물이 함유된 영양크림은 피부탄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세포독성 실험
실시예 4에서 제조한 복합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마우스 유래 피부섬유아세포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대수증식기의 마우스 피부섬유아세포를 웰당 10,000개로 96웰 플레이트에 접종하여 디엠이엠(DMEM)배지 80 ㎕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복합 추출물의 최종농도가 0, 50, 100, 200, 500 g/㎖가 되도록 디메틸설폭시드에 희석하여 제조한 희석용액을 10㎕ 가하고, 20시간 추가로 배양한 후, 5 ㎎/㎖의 MTT 용액을 15 ㎕씩 첨가하고 4시간 후에 디메틸설폭시드 용액을 웰당 150 ㎕씩 가해 용해시킨 다음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복합추출물의 세포독성은 세포 생존률(%)로 나타내었으며, 하기의 식으로 산출하였다.
추출물 처리시 흡광도
세포생존율(%) = ---------------------- X 100
대조군 흡광도
복합 추출물의 처리농도(ug/ml) 세포 생존률 (%)
0 100
50 102.4
100 100.7
200 104.2
500 101.3
상기 표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 추출물은 그 자체로서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실험예 6. 인체에 대한 1차 자극성 시험(폐쇄 첩포)
복합 추출물의 안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인체 첩포 시험(human patch test)을 통하여 인체에 대한 1 차 자극시험을 시행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CTFA 가이드라인(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D.C., 20036, 1991)에 따라 실시하였다. 핀 쳄버(Finn Chamber)에 시료 및 용액 15 ㎎/15 ㎕를 적하시킨 후, 이것을 시험 부위인 인체의 팔에 얹어 테이프로 고정시켰다. 이어서, 24시간 동안 첩포한 다음 첩포를 제거하고, 다시 2시간 경과한 후 시험 부위의 피부 반응을 다음 기준에 따라 판정하였다. 다음 표 10은 판정 기준을 나타내고, 표 11는 각 시료의 피부 자극 지수를 나타낸다.
반응 점수 증상 및 판단기준
- 0 아무런 반응이 없음
+/- 0.5 약한 홍반
+ 1 명확한 홍반
++ 2 부종을 동반한 심한 홍반
+++ 3 심한 홍반, 수포, 부종 동반
피부 자극 지수=[Σ(점수×자극의 수)]/전체 시험자수×총 자극 평가 횟수
시료 피검자수 피부자극지수
봉독 추출물 1% 30 0.0
버드나무 껍질 추출액 2% 30 0.0
쌀 발효 추출물 2% 30 0.0
복합 추출물 30 0.0
상기 표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봉독 추출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쌀 발효 추출물 뿐만 아니라 봉독, 버드나무 껍질 및 쌀 발효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 추출물도 피부에 매우 안전한 성분임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봉독 추출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및 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독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0.0001 내지 30 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독 추출물은 전기충격법에 의해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에서 사용하는 버드나무 껍질은 살릭스 니그라(S. nigra), 살릭스 프라길리스(S. fragilis) 또는 살릭스 알바(S. alb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쌀 발효 추출물은 쌀을 발효시켜 얻은 쌀 발효물 또는 상기 발효물로부터 생기는 산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은 버드나무 껍질을 분쇄하는 제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분쇄한 분쇄물을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다가 알코올;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은 혼합 용매에 넣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환류 추출기에서 일정 시간 끓이거나, 가열하여 추출한 다음, 여과한 후 잔사를 같은 방법으로 일정 횟수 더 추출하는 제 2단계; 상기 각각의 추출액을 합하여 상온에서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 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50℃ 내지 80℃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쌀발효 추출물은 1) 쌀을 물과 혼합하여 불리고 가열 호화시키는 단계; 2) 상기 호화한 쌀에 누룩을 0.05 내지 10 중량%로 첨가하여 20 내지 40℃에서 10 내지 30시간 동안 당화시키는 단계; 3) 15 내지 40℃ 에서 1일 내지 10일 동안 배양시키는 단계, 및 4) 살균 및 농축 단계;를 포함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누룩은 백국균(Aspergillus kawachii, Aspergillus shirousamii 등), 황국균(Aspergillus oryzae 등), 흑국균(Aspergillus niger, Aspergillus awamori, Aspergillus usamii 등) 또는 리조푸스 속(Rhizopus sp.)에서 선택가능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방지로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063570A 2014-05-27 2014-05-27 봉독 추출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및 쌀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62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570A KR20150136290A (ko) 2014-05-27 2014-05-27 봉독 추출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및 쌀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570A KR20150136290A (ko) 2014-05-27 2014-05-27 봉독 추출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및 쌀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290A true KR20150136290A (ko) 2015-12-07

Family

ID=54872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570A KR20150136290A (ko) 2014-05-27 2014-05-27 봉독 추출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및 쌀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62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62686A (zh) * 2017-12-20 2018-05-22 广州容骏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dsp广告投放反作弊***
CN113599498A (zh) * 2021-08-13 2021-11-05 陈日和 复合抑菌肽及制备方法、快速止痛蜂毒调理膏及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62686A (zh) * 2017-12-20 2018-05-22 广州容骏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dsp广告投放反作弊***
CN113599498A (zh) * 2021-08-13 2021-11-05 陈日和 复合抑菌肽及制备方法、快速止痛蜂毒调理膏及制备方法
CN113599498B (zh) * 2021-08-13 2023-09-26 广东日和堂医药科技有限公司 复合抑菌肽及制备方法、快速止痛蜂毒调理膏及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529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02687B1 (ko)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303295B1 (ko) 겨우살이 발효추출물, 모근 발효추출물 및 콩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증식 촉진 또는 손상된 피부 회복 촉진용 발효 화장료 조성물
KR20090081178A (ko) 야생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43588B1 (ko)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20120140141A (ko)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2092B1 (ko) 알로에베라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1810A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산자나무 발효 추출물 및 이를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2811A (ko) 녹차추출물의 효모발효액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150074537A (ko) 바실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15497A (ko) 천삼, 녹각영지, 백호은침으로 구성된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136290A (ko) 봉독 추출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및 쌀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102712A (ko) 따나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 조성물
KR20120092229A (ko) 조직 배양한 유채와 석류, 산삼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06007B1 (ko)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2715A (ko)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3918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71924B1 (ko) 개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러지 완화용 피부 외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534074B1 (ko) 곡류 추출물 및 곡류발아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화장품
KR101326102B1 (ko) 홍국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7303255B (zh) 具有抗炎、抗过敏和特应性皮肤改善作用的高粱发酵产物,其制备方法及其化妆料组合物
KR101214344B1 (ko) 쌀겨와 감초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22448A (ko)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07560B1 (ko) 빗죽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