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5374A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5374A
KR20150125374A KR1020140052656A KR20140052656A KR20150125374A KR 20150125374 A KR20150125374 A KR 20150125374A KR 1020140052656 A KR1020140052656 A KR 1020140052656A KR 20140052656 A KR20140052656 A KR 20140052656A KR 20150125374 A KR20150125374 A KR 20150125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mobile terminal
front portion
battery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6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병화
신충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2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5374A/en
Publication of KR20150125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37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Abstract

To achieve a purpos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comprises: a front surface unit ha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middle frame coupled with the liquid crystal display, and including a bendable material; a support unit which is disposed in a rear surface direction on a front surface unit, is not bent well, has a part of a member protruding in the front surface unit direction to support a member such as the front surface unit to be bent; a screw groove formed in the middle frame to enable a screw to pass; and a screw having a screw wire geared with the screw groove to be inserted and released, and having a screw head coupled with one region of the support unit to be rotated, and applying tensile strength to the front surface unit. Accordingly, during bending movement, movement is not made while the screw and the member are separated. When the screw applies tensile strength to the front surface unit, a curvature of the front surface unit changes with another region of the support unit as a support point. Consequently, curvature of a mobile terminal in a particular range can be variably changed.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0001] MOBILE TERMINAL [0002]

본 발명은 단말기의 휘어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adjusting a degree of warp of a terminal.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A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mobile terminal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terminal can be moved.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ed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 mobile terminal.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functions of mobile terminals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re are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photographing and video shooting through a camera, voice recording, music file playback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outputting an image or video on a display unit. Some terminals are equipped with an electronic game play function or a multimedia player function. In particular, modern mobile terminals can receive multicast signals that provide visual content such as broadcast and video or television programs.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Such a terminal ha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multiple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a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broadcasting, etc. .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In order to support and enhance the functionality of such terminals,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and / or software parts of the terminal.

최근에는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개발되었고, 이에 따라 휘어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되었다.In recent years, a flexible display capable of flexing has been developed, and a curved mobile terminal has been implemented.

종래에는 디스플레이가 가변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존재했음에도, 이동 단말기의 나머지 부재 또는 부품의 물성의 제약으로 인해 휨의 상태가 고정된 상태의 휘어진 이동 단말기 밖에 존재하지 않으며, 이 이동 단말기에 힘을 가해 휘어지더라도 일시적일 뿐 힘을 빼는 경우 본 형상으로 되,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전제로 스크루와 휘어질 수 있는 부재들을 받침점을 통해 지탱할 수 있도록 하여 수시로 이동 단말기의 곡률을 변화시켜 사용할 수 돌아와 가변적인 곡률의 조정, 유지가 불가능 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고, 배터리 커버가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를 전제로 이렇게 곡률이 변화된 이동 단말기에 따라 배터리 커버가 벗겨지기 쉬운 문제를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Conventionally, even though there is a flexible display in which a display can be flexibly bent, there is no flexed mobile terminal in a state where the warping state is fixed due to restri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maining members or parts of the mobi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members, which can be screwed and warped through the fulcrum, by changing the curvature of the mobile terminal from time to time, on the premi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that can be bent. It was impossible to adjust and maintain the variable curvature when it came back to usabl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terminal and solves the problem that the battery cover is likely to peel off according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curvature changed on the premise of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battery cov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정 디스플레이 및 액정 디스플레이와 결합하는 미들 프레임을 구비하고 휘어질 수 있는 소재를 포함하는 전면부, 그리고 이 전면부의 배면 방향에 위치하고, 잘 휘어지지 않고 부재의 일부가 전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전면부 등의 부재를 휘어질 수 있도록 받쳐주는 지지부, 상기 미들 프레임에 구비되어 스크루가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나사홈, 나사선은 상기 나사홈에 맞물려 인입출되며, 나사머리는 상기 지지부의 일 영역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전면부에 인장력을 인가하는 스크루를 제공하여 휨 운동시 스크루와 부재가 이격된 상태로 거동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상기 스크루가 상기 전면부에 인장력을 인가시, 상기 지지부의 또 다른 영역을 받침점으로 상기 전면부의 곡률이 변화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a liquid crystal display; a front frame having a middle frame coupled with the liquid crystal display and including a bendable material; A part of the member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part to support the member such as the front part so as to be bent, a screw groove provided in the middle frame so that the screw passes, and the screw thread is engaged with the screw groove, And a screw head rotatably coupled to one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to provide a screw for applying a tensile force to the front portion so that the screw and the member are prevented from moving in a state where the screw and the member are separated during the bending movement, When the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support portion, the curvature of the front portion It provides a moving terminal.

또한 휘어질 수 잇는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배면방향에 위치하는 후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의 곡률이 증가시 상기 후면부의 곡률도 함께 증가하고, 상기 전면부의 곡률이 감소시 상기 후면부의 곡률도 함께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And a curvature of the rear portion increases as the curvature of the front portion increases, and when the curvature of the front portion decreases, the curvature of the rear portion increases, And the curvature of the movable terminal is also reduced.

나아가,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에 위치하는 피씨비를 더 포함하고, 피씨비의 전면부와 대향하는 면에 실장된 복수개의 부품은 나사홈이 위치한 부분에서 휘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될수록 더 두꺼운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Further, the plurality of component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PCB opposite to the front portion of the PCB further include a thicker mobile terminal that is spaced away from the portion where the screw groove is located, in the direction of bending.

한편, 스크루를 회전하는 손잡이를 더 구비하고, 이러한 손잡이는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이 배터리를 회전축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자른 단면은 원형이 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The handle may be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terminal,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battery cu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is circular.

또 후면부와 착탈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배터리커버와 후면부의 외측면에 상기 후크와 체결되는 복수개의 후크홈을 포함하고, 후크홈은 두 개의 홈이 중첩되어 배치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And a plurality of hook grooves which are fastened to the hook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portion of the battery cover, wherein the hook grooves are formed by overlapping two grooves.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기존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나머지 부재 또는 부품들의 이유로 가변적으로 휘어서 쓸 수 없고 휘어짐이 고정된 상태로 써야 했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가변적으로 일정 범위내의 이동 단말기의 곡률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conventional flexible display is present, the flexible member can not be flexibly used due to the remaining members or parts, and the curvature must be fixed. In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curvature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changed.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a 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는 본 발명과 관련된 변형되지 않은 상태의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1c 는 본 발명과 관련된 변형된 상태의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A-A' 방향에 대한 종단면도 이다.
도 3 내지 5 는 본 발명과 관련된 변형된 상태와 변형되지 않은 상태의 이동 단말기의 A-A' 방향에 대한 종단면도 이다.
도 6 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를 제외한 구성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A-A' 방향에 대한 종단면도 이다.
도 8 은 본 발명과 관련된 배터리 내장형 또는 교체 가능형 이동 단말기의 배면도와 이동 단말기의 A-A' 방향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를 제외한 구성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원형 배터리에 대한 종 단면도, 전면 사시도, 원형 배터리에 의해 휜 상태와 평평한 상태가 된 이동 단말기의 종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 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 중 하나인 교체 가능형 배터리를 가진 가변형 이동 단말기의 전원 접촉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는 본 발명과 관련된 배터리 교체가능형 이동 단말기의 A-A' 방향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1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conceptual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in an unmodified stat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FIG.
1C is a conceptual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in a modified stat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mobile terminal in the direction AA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of the mobile terminal in the AA 'direction in a modified state and an unmodified state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rear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a battery cover.
7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bile terminal in the direction AA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bile terminal along the AA 'direction and the back side of the battery built-in or replace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rear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a battery cover.
10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circular battery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perspective view thereof, an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of a mobile terminal bent and flattened by a circular battery.
11 is a view showing a power contact structure of a variable mobile terminal having a replaceable battery, which is one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battery replace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rection AA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a slate PC A tablet PC, an ultrabook, a wearable device such as a smartwatch, a smart glass, and a head mounted display (HMD). have.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 digital signage, and the like, will be.

도 1a 내지 도 1c 를 참조하면, 도 1a 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 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1A to 1C are block diagrams for explain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B and 1C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ifferent directions.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 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n interface unit 160, a memory 170, a control unit 180, ), And the lik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A are not essential for implementing a mobile terminal, so that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listed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other mobile terminal 100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server 100. [ Lt; RTI ID = 0.0 > wireless < / RTI >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100 to one or more networks.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includes a camera 121 or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 video signal, a microphone 122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n audio input unit, a user input unit 123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A touch key, a mechanical key, and the like). The voice data or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12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by a user's control command.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mobile terminal, and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tion sensor 142,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 G-sensor, a gyroscope sensor, a motion sensor, an RGB sensor, an infrared sensor, a finger scan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microphone 226, a battery gauge, an environmental sensor (for example, a barometer, a hygrometer, a thermometer, a radiation detection sensor, A thermal sensor, a gas sensor, etc.), a chemical sensor (e.g., an electronic nose, a healthcare sensor, a biometric sensor, etc.). 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combine and utilize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f the sensors.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외력에 의하여 변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은 디스플레이부(151)의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말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부(15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로 명명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전자 종이(e-paper) 및 그 조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ncludes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151, an acoustic output unit 152, a haptic tip module 153, and a light output unit 154 to generate an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can do. The display unit 151 may have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touch sensor or may be integrally formed to realize a touch screen. The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123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user and may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us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splayed using a flexible display. The display unit 151 may be configured to be deformable by an external force. The deformation may be at least one of warping, bending, folding, twisting, and curling of the display unit 151. The deformable display unit 151 may be referred to as a " flexible display unit ". Here,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both a general flexible display and an electronic paper (e-paper) or a combination thereof.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또는 말림이 가능한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 가볍고 쉽게 깨지지 않는 튼튼한 디스플레이를 말한다.A typical flexible display refers to a sturdy display that is lightweight and does not break easily, such as paper, formed on a thin, flexible substrate that can flex, bend, fold, twist, or curl like a conventional flat panel display.

또한, 전자 종이는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와 다른 점일 수 있다.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電氣泳動, electrophoresis)을 이용하여,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paper is a display technology to which general ink characteristics are applied, and the point that the reflected light is used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flat panel display. The electronic paper can be changed by using a twist ball or electrophoresis (electrophoresis) using a capsul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 1 상태(도 1b)라 한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평면이 된다. 상기 제 1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변형된 상태(예를 들어, 유한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 2 상태(도 1c)라 한다)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곡면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상태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곡면상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단위 화소(sub-pixel)의 발광이 독자적으로 제어됨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단위 화소는 하나의 색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The display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becomes flat in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is not deformed (for example, a state having an infinite radius of curva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state (Fig. 1B) . The display area may be a curved surface in a state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in the first state (for example, a state having a finite radius of curva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state (Fig. 1C)). As shown in the figure, the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second state may be time information output on the curved surface. Such visual information is realized by independently controlling the emission of a sub-pixel arranged in a matrix form. The unit pixel means a minimum unit for implementing one color.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평평한 상태인 제 1 상태(도 1b)가 아닌, 휘어진 상태(예를 들어, A-A'또는 B-B'방향으로 휘어진 상태)인 제 2 상태(도 1c)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에 외력이 가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평평한 상태(혹은 보다 덜 휘어진 상태) 또는 보다 많이 휘어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is not in the first state (FIG. 1B) in the flat state but in the second state (FIG. 1C)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is bent (for example, in a state of being bent in the direction of A-A 'or B- Lt; / RTI > In this cas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can be deformed into a flat state (or a less bent state) or a more bent stat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상태 변형은 외력에 의한 것으로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제 1 상태를 가지고 있을 때, 사용자 혹은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에 의해서, 제 2 상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The state chang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is not limited to the external force. For example,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has the first state, it may be transformed to the second state by a command of the user or the application.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조합되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80, 도 1a 참조)는 이러한 터치입력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1 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상태에서도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may be combined with a touch sensor to implement a flexible touch screen. When a touch is made to the flexible touch screen, the control unit 180 (see FIG. 1A) can perform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The flexible touch screen may be configured to sense the touch input in the first state as well as the second state.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변형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감지수단은 센싱부(140, 도 1a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may be provided with a deformation sensing means for sensing deform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 The deformation detecting means may be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140 (see FIG. 1A).

상기 변형감지수단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케이스(201)(처리 요)에 구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형과 관련된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변형된 방향, 변형된 정도, 변형된 위치, 변형된 시간 및 변형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복원되는 가속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휘어짐으로 인하여 감지 가능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The deformation detecting means may be provided in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or the case 201 to detect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form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Her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formation may be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is deformed, the degree of deformation, the deformation position, the deformation time, and the acceleration at which the deformable flexible display unit 151 is restored, In addition, the information can be various information that can be detected due to warping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th to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interface unit 160 is connected to a device having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t, an audio I / O port, a video I / O port, and an earphone port. In the mobile terminal 100,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external device to the interface unit 160, it is possible to perform appropriate control related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17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memory 17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running on the mobile terminal 100, data for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command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Also, at least a part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exist on the mobile terminal 100 from the time of shipment for the basic functions (e.g., telephone call receiving function, message receiving function, and calling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Mean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may be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180 to perform the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s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 unit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control unit 180 may process or process signals, data, information, and the like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or may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to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the user.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1A in order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FIG.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operate at least two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for driving the application program.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변형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may change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form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sensed by the deformation sensing unit,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controller.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to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which may be an internal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아울러,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배터리(미도시)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를 구현하기 위하여, 배터리 셀을 위로 쌓은 스택앤폴딩(stack and folding)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not shown)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configured to be deformable together with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by an external forc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In order to implement the battery, a stack and folding method in which battery cells are stacked on top of one another may be applied.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one another to implement a method of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on the mobile terminal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도 1b 및 1c 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B and 1C, the disclosed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bar-shaped terminal bod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folder type, a flip type, a slide type, a swing type, and a swivel type in which a watch type, a clip type, a glass type or two or more bodies are relatively movably coupled . A description of a particular type of mobile terminal, although relevant to a particular type of mobile terminal, is generally applicable to other types of mobile terminals.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Here, the terminal body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of referring to the mobile terminal 100 as at least one aggregate.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case (for example, a frame, a housing, a cover, and the like) that forms an appearance. As show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front case 101 and a rear case 10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At least one middl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A display unit 151 is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o output information. The window 151a of the display unit 151 may be mounted on the front case 101 to form a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ogether with the front case 101. [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배터리 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In some cases, electronic components may also be mounted on the rear case 102. Electronic parts that can be mounted on the rear case 102 include detachable batteries, an identification module, a memory card, and the like. In this case, a battery cover 103 for covering the mounted electronic componen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Therefore, when the battery cover 103 is separated from the rear case 102, the electronic parts mounted on the rear case 102 are exposed to the outside.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when the rear cover 103 is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a side portion of the rear case 102 can be exposed. In some cases, the rear case 102 may be completely covered by the rear cover 103 during the engagement. Meanwhile, the rear cover 103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for exposing the camera 121b and the sound output unit 152b to the outside.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se cases 101, 102, and 103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f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aluminum (Al), titanium (Ti), or the like.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case provides the internal space, unlike the above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cases provide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In this case, a unibody mobile terminal 100 in which synthetic resin or metal is connected from the side to the rear side can be realized.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배터리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waterproof unit (not shown) for preventing 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terminal body. For example, the waterproof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window 151a and the front case 101,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or between the rear case 102 and the battery cover 103, And a waterproof member for sealing the inside space of the oven.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151,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152a and 152b,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nce sensor 142, a light output unit 154, Cameras 121a and 121b, first and second operation units 123a and 123b, a microphone 122, an interface unit 160, and the like.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1B and 1C, a display unit 151, a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nce sensor 142, an optical output unit (not shown) A second operation unit 123b, a microphone 122 and an interface unit 160 ar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nd a mobile terminal 100 having a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and a second camera 121b disposed on a rear surface thereof.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However, these configurations are not limited to this arrangement. These configurations may be excluded or replaced as needed, or placed on different planes.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may not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nd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rather tha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driven by the mobile terminal 100 or UI (User Interface) and GUI (Graphic User Inte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display, a 3D display, and an e-ink display.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51 may exist in two or mor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play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r disposed integrally with one another, or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respectively.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touch sensor that senses a touch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151 so that a control command can be received by a touch method. When a touch is made to the display unit 151, the touch sensor senses the touch, and the control unit 180 generates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touch based on the touch. The content input by the touch method may be a letter or a number, an instruction in various modes, a menu item which can be designated, and the like.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may be a film having a touch pattern and disposed between the window 151a and a display (not shown) on the rear surface of the window 151a, or may be a metal wire . Alternatively, the touch sensor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display. For example, the touch sensor may be disposed on a substrate of the display or inside the display.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display unit 151 can form a touch screen together with the touch sensor.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can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123 (see FIG. 1A). In some cases, the touch screen may replace at least some functions of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may be implemented as a receiver for transmitting a call sound to a user's ear and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be implemented as a loud speaker for outputting various alarm sounds or multimedia playback sounds. ). ≪ / RTI >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The window 151a of the display unit 151 may be provided with an acoustic hole for emitting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first acoustic output unit 152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ound may be configured to be emitted along an assembly gap (for example, a gap between the window 151a and the front case 101) between the structures. In this case,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made more simple because the hole formed independently for the apparent acoustic output is hidden or hidden.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The optical output unit 154 is configured to output light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Examples of the event include a message reception, a call signal reception, a missed call, an alarm, a schedule notification, an email reception, and reception of information through an application. Th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154 to terminate the light output when the event confirmation of the user is detected.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The first camera 121a processes an image frame of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photographing mode or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and can be stored in the memory 170. [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 units 123a and 123b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as an example of a user input unit 123 oper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have.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 units 123a and 123b can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is in a tactile manner such as touch, push, scroll, or the like.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 units 123a and 123b may be employed in a manner that the user operates the apparatus without touching the user through a proximity touch, a hovering touch, or the like.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figure,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is a touch ke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may be a mechanical key, or a combination of a touch key and a touch key.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The contents input by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 units 123a and 123b can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receives a command such as a menu, a home key, a cancellation, a search, and the like,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23b receives a command from the first or second sound output unit 152a or 152b The size of the sound, and the change of the display unit 151 to the touch recognition mode.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rear input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s another example of the user input unit 123. The rear input unit is oper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nput contents may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commands such as power on / off, start, end, scrolling, and the like, the size adjustment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sound output units 152a and 152b, And the like can be inputted. The rear input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input, a push input, or a combination thereof.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The rear input unit may be disposed so as to overlap with the front display unit 151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For example, the rear input unit may be disposed at the rear upper end of the terminal body such that when the user holds the terminal body with one hand, the rear input unit can be easily operated using the index fing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osition of the rear input unit may be changed.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When a rear input unit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 new type of user interface using the rear input unit can be realized. When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is not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in place of at least a part of the functions of the first operation unit 123a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e display unit 151 may be configured as a larger screen.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with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for recognizing the fingerprint of the user, and the controller 180 may use the fingerprint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s authentication means.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may be embedded in the display unit 151 or the user input unit 123.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The microphone 122 may be provid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to receive stereophonic sound.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interface unit 160 is a path through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60 may include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another device (for example, an earphone or an external speaker),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nfrared port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or the like), or a power supply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interface unit 160 may be implemented as a socket for receiving an external card such as a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or a UIM (User Identity Module) or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And a second camera 121b may be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In this case, the second camera 121b has a photographing direction which is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camera 121a.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The second camera 121b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es arranged along at least one line. The plurality of lenses may be arranged in a matrix form. Such a camera can be named an 'array camera'. When the second camera 121b is configured as an array camera, images can be taken in various ways using a plurality of lenses, and a better quality image can be obtained.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The flash 124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amera 121b. The flash 124 shine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121b.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And a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in the terminal body.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52b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and may be used for implementing a speakerphone mode in a call.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배터리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terminal body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antenna may be embedded in the terminal body or formed in the case. For example, an antenna constituting a part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see FIG. 1A)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be drawn out from the terminal body. Alternatively, the antenna may be formed in a film type and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cover 103, or a case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may be configured to function as an antenna.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body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190 (see FIG. 1A)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battery 191 built in the terminal body or detachable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battery 191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power through a power cable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160. In addition, the battery 191 may be configured to be wirelessly chargeable through a wireless charger. The wireless charging may be implemented by a magnetic induction method or a resonance method (magnetic resonance method).

한편, 본 도면에서는 배터리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배터리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the figure, the battery cover 103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so as to cover the battery 191 to restrict the release of the battery 191 and to protect the battery 191 from external impacts and foreign matter . When the battery 191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terminal body, the battery cover 103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with an accessory that protects the appearance or supports or expands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One example of such an accessory is a cover or pouch that covers or accommodates at least on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cover or pouch may be configured to interlock with the display unit 151 to expand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other example of an accessory is a touch pen for supplementing or extending a touch input to the touch screen.

도 2 는 이동 단말기의 A-A' 방향에 대한 종단면을 도시한 것이다.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mobile terminal in the A-A 'direction.

본 발명에서 언급하고 있는 전면부(100a)는 디스플레이부(151)(윈도우, ITO필름, LCD Panel, BLU(back light unit)), 미들 프레임(104, 여기서는LCD plate가 될 수 있다.)와 프론트 케이스(10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후면부(100b)는 리어케이스(102) 또는 리어케이스(102)및 배터리 커버(103)를 지칭할 수 있다. The front part 100a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rt 151 (a window, an ITO film, an LCD panel, a back light unit (BLU)), a middle frame 104 And may include a case 101. On the other hand, the rear portion 100b may refer to the rear case 102 or the rear case 102 and the battery cover 103. [

도3은 배터리 내장형 가변형 이동 단말기에 대한 실시 예 중 하나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 예는 이동 단말기의 후면부(100b)가 지지부(107)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도3a는 전면부(100a)가 휘어지지 않은 상태를, 도3b는 전면부(100a)가 휘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3 shows one embodiment of a battery built-in variable mobile terminal.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ar portion 100b of the mobile terminal can simultaneously serve as the support portion 107. [ FIG. 3A shows a state in which the front portion 100a is not bent, and FIG. 3B shows a state in which the front portion 100a is bent.

전면부(100a)는 이동 단말기(100)의 A-A'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전면부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전면부의 미들 프레임(104)과 끝단이 고정되어 있어 전면부의 미들 프레임(104)이 휘어지는 경우 전면부의 디스플레이부(151)도 휘어지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전면부의 미들 프레임(104)은 액정 디스플레이 배면을 지지하는 금속판(LCD plate)이 될 수 있다. 한편 전면부(100a)는 휘어질 수 있는 소재로 된 것일 수 있다. 전면부의 모양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띨 수 있다. The front portion 100a may be bent in the A-A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display unit 151 of the front part is fixed to the middle frame 104 of the front part so that the display part 151 of the front part can be bent when the middle frame 104 of the front part is bent. Here, the middle frame 104 of the front part may be an LCD plate supporting the back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On the other hand, the front portion 100a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bent. The shape of the front part may be entirely rectangular.

스크루(105)의 나사선(105b)은 전면부의 미들 프레임(104)의 나사홈(106)과 맞물려 인입출 된다. 한편 스크루(105)는 스크루(105)가 전면부에 인장력을 인가하여 곡률이 변화하도록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지지부(107)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어있을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지지부(107)는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부(100b)로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The screw thread 105b of the screw 105 is engaged with the screw groove 106 of the middle frame 104 of the front part to be drawn in and out. The screw 105 may be fixed to the support 107 to support the screw 105 so that the curvature of the screw 105 is changed by applying a tensile force to the front surface thereof. Meanwhile, the support portion 107 may serve as the rear portion 100b of the mobile terminal 100 at the same time.

스크루의 나사머리(105a)를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키는 경우 스크루의 나사선(105b)은 전면부의 나사홈(106)을 따라 이동하며 나사홈(106)에 삽입되어 나사홈(106) 부근의 전면부(100a)는 스크루(105)가 고정된 지지부(107)와 가까워 질 수 있다. When the screw head 105a of the screw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screw thread 105b of the screw moves along the screw groove 106 of the front part and is inserted into the screw groove 106, 100a can be brought close to the support portion 107 to which the screw 105 is fixed.

반대로 스크루의 나사머리(105a)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전면부의 나사홈(106)은 전면부의 나사홈(106)스크루(105)의 나사선을 이동하여 나사홈(105) 부근의 전면부(100a)는 스크루(105)와 상대적으로 멀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방향과 상대적 거리관계는 반대가 될 수도 있다. Conversely, when the screw head 105a of the screw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screw groove 106 of the front part moves through the screw thread of the screw groove 106 of the front part, 100a may be relatively far away from the screw 105. [ Of cour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ion and the relative distance may be reversed.

디스플레이부(151)와 전면부(100a)의 미들 프레임(104)의 측면은 프론트케이스(101)에 결합해 있을 수 있다. 이 전면부(100a)는 지지부(107)의 중심부인 제 1 영역(108)과는 이격된 상태로 존재하고, 한편 지지부(107)의 양 끝단인 제 2영역(109)과는 접촉되거나 제 1 영역(108)보다 가까운 상태로 존재한다. 이 경우 지지부(107)는 전면부(100a)의 곡률이 변화하는데 받쳐주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전면부(100a)가 휘어지기 위해서는 전면부(100a)에 토크(torque)가 필요한데, 이 때 프론트 케이스(101)와 결합하는 면의 지지부의 제 2 영역(109)이 전면부(100a)의 측면을 잡아주고 나사홈(106)이 있는 곳에서 윗방향으로의 인력이 작용하여 토크(torque)를 발생시켜 전면부(100a)의 곡률을 변화 시킬 수 있다. The side surfaces of the display portion 151 and the middle frame 104 of the front portion 100a may be coupled to the front case 101. The front portion 100a is separated from the first region 108 which is the cent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107 and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region 109 at both ends of the support portion 107, And is closer to the region 108 than the region 108. In this case, the support portion 107 serves to support the curvature of the front portion 100a. In order to bend the front portion 100a, a torque is required on the front portion 100a. At this time, the second region 109 of the supporting portion of the surface that engages with the front case 101 contacts the side surface 100a And a force in an upward direction acts on a portion where the screw groove 106 exists to generate a torque to change the curvature of the front portion 100a.

이 경우 지지부(107)는 전면부(100a)보다 강성이 크거나, 일반적인 힘으로 휘어지지 않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upporting portion 107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rigidity higher than that of the front portion 100a or being not bent by a general force.

나아가 전면부(100a)가 휘어질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므로 전면부(100a)의 곡률이 변하기 전에는 도3 (a)와 같이 전면부(100a)와 지지부(107)의 일부는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The front part 100a and the supporting part 107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fore the curvature of the front part 100a is changed as shown in FIG. .

도 4 는 전면부(100a)와 후면부(100b)가 모두 휘어지는 가변형 이동 단말기(100)의 A-A' 방향에 대한 종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which the front portion 100a and the rear portion 100b are both bent.

상기 도 3 의 실시 예와 달리 후면부(100b)와 별도로 지지부(107)가 존재 하고 후면부(100b)는 전면부(100a)와 마찬가지로 휘어질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어 휘어질 수 있다. Unlike the embodiment of FIG. 3, the supporting portion 107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rear portion 100b, and the rear portion 100b may be bent and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bent like the front portion 100a.

스크루(105)의 나사선(105b)은 상기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전면부(100a)의 미들 프레임(104)에 존재하는 나사홈(106)과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스크루(105)의 나사머리(105a)는 지지부의 미들 프레임(104)상에 존재할 수 있다. The screw thread 105b of the screw 105 can engage with the thread groove 106 existing in the middle frame 104 of the front portion 100a as in the above embodiment. On the other hand, the screw head 105a of the screw 105 may be present on the middle frame 104 of the support.

이 때, 지지부(107)는 휘어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양 끝단의 제2 영역(109)이 지지부의 중앙부 제 1 영역(108)보다 상대적으로 전면부(100a)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지지부(107)의 전면은 돌출된 제2영역(109)에서 중앙부 제 1영역(108)로 갈수록 배면 방향으로 움푹 패여있어서 휘어지지 않은 제 1 상태(도 1b)에서는 지지부(107)의 제1 영역(108)과 전면부(100a)가 충분히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전면부(100a)가 최대로 휘어지는 제 2 상태(도 1c)의 경우에는 전면부(100a)는 지지부(107)의 중앙부 제 1 영역(108)에 가까워 지거나 접촉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region 109 at both ends of the support portion 107 may protrude toward the front portion 100a relative to the first region 108 of the support por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07 is recessed in the back surface direction from the protruded second region 109 to the central first region 108 so that the first region of the support portion 107 in the first state The front surface portion 108 and the front surface portion 100a may be sufficiently spaced. In the second state (FIG. 1C) in which the front portion 100a is bent to the maximum, the front portion 100a can be brought close to or in contact with the central first region 108 of the support portion 107. [

전면부(100a)가 지지부(107)에 의해 곡면을 이루며 휘어지는 경우 전면부(100a)의 측면과 결합한 후면부(100b)의 측면부가 전면부(100a)와 함께 전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후면부(100b)는 휘어질 수 있는 소재로 되어 있으므로, 전면부(100a)과 유사한 형상으로 휘어져, 전면부(100a)의 곡률이 증가하는 경우 후면부(100b)의 곡률도 함께 증가하고, 전면부(100a)의 곡률이 감소하는 경우 후면부(100b)의 곡률도 함께 감소할 수 있다.When the front portion 100a is curved by the support portion 107, the side portion of the rear portion 100b coupled with the side of the front portion 100a moves in the front direction together with the front portion 100a. In this case, since the rear portion 100b is made of a bendable material, when the curvature of the front portion 100a is increased, the curvature of the rear portion 100b also increases, When the curvature of the front portion 100a is reduced, the curvature of the rear portion 100b may also decrease.

도 5 는 지지부(107)에 대한 스크루(105)의 상대적 운동을 통해서 전면부(100a)와 후면부(100b)가 휘어지는 가변형 이동 단말기(100)의 단면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전면부(100a)와 후면부(100b) 사이에 존재하는 지지부(107)의 중앙의 나사홈(106)과 스크루의 나사선(105b)은 맞물려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다. 한편 스크루(105)의 양 끝단은 나사홈을 통해 지지부의 제 1 영역(108)을 관통하여 연장되어 각각 전면부의 미들 프레임(104)과 후면부(100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나아가, 전면부(100a) 또는 후면부(100b) 각각을 밀어주는 장력이나 당겨주는 인력을 모두 작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므로 회전은 가능하나 전면부 및 후면부와 위치는 변화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크루(105)가 상하운동을 하는 경우 스크루(105)의 각 끝단이 결합된 전면부(100a)와 후면부(100b)에 인장력이 인가되어, 지지부의 제 2 영역(109)을 받침점으로 작용하여 토크(torque)를 발생시켜 전면부(100a)와 후면부(100b)의 곡률이 변화하게 된다. 이 경우, 스크루(105)의 상하운동이 전면부(100a)와 후면부(100b)에 대해 동일한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결과적으로 전면부(100a)의 곡률이 증가하는 경우 후면부(100b)의 곡률도 증가하고, 전면부(100a)의 곡률이 감소하는 경우 후면부(100b)의 곡률도 감소할 수 있다.5 shows an embodiment of a cross s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which the front portion 100a and the rear portion 100b are bent through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screw 105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ortion 107. [ The screw groove 106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portion 107 existing between the front portion 100a and the rear portion 100b and the screw thread 105b of the screw can move up and down. On the other hand, both ends of the screw 105 may extend through the first region 108 of the support portion through threaded grooves and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middle frame 104 and the rear portion 100b of the front portion, respectively. Furthermore, since the front and rear portions 100a and 100b need to be acted upon by both of the tension force and the pulling force, the front and rear portions 100a and 100b can be rotated. When the screw 105 moves upward and downward,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front portion 100a and the rear portion 100b of the screw 105 to which the ends of the screw 105 are coupled, and the second region 109 of the support portion serves as a fulcrum So that the curvatures of the front portion 100a and the rear portion 100b are changed. In this case,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screw 105 acts 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ront portion 100a and the rear portion 100b. As a result, when the curvature of the front portion 100a increases, the curvature of the rear portion 100b also increases And the curvature of the rear portion 100b may also decrease when the curvature of the front portion 100a decreases.

도 6 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 중 하나인 배터리 내장형 가변형 이동 단말기에서 배터리 커버를 제외한 구성 배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 6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attery built-in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luding a battery cover.

스크루(105)는 후면부(100b) 배면에 노출되어야 하고, 동시에 전면부의 미들 프레임(104)의 나사홈에 맞물려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 때 배터리(191)는 스크루(105)와 겹치지 않도록 설계 되어야 할 수 있고, 이 경우 'ㄷ'자 모양의 배터리(191)가 될 수 있다. The screw 105 should be expos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00b and at the same time be engaged with the screw groove of the middle frame 104 of the front portion. Therefore, the battery 191 may be design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screw 105. In this case, the battery 191 may be a 'U' shaped battery 191.

도 7 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 중 하나인 피씨비(181)가 결합된 가변형 이동 단말기(100)의 A-A' 방향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variable-shape mobile terminal 100 to which the PCB 181 as one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전면부(100a)와 지지부(107) 사이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각종 성능 구현에 필요한 전자 부품(182)들이 피씨비(181)위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부품(182)들은 피씨비(181)상에 안착되므로 전면부(100a) 또는 후면부(100b)와 달리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지녀 휘어지지 않거나 휘어지더라도 그 정도가 매우 미약할 수 있다. 이 경우, 휘어지는 전면부(100a) 또는 후면부(100b)의 사이에서 부품(182)이 차지할 공간이 전면부(100a)가 평평한 제 1 상태(도 1b)와 달라질 수 있다. Electronic components 182 required for various performance implementa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coupled between the front portion 100a and the support portion 107 on the PCB 181. [ Since these parts 182 are seated on the PCB 181, unlike the front part 100a or the rear part 100b, the parts 182 have a relatively high rigidity, and even if they are not bent or warped, they may be very weak. In this case, the space occupied by the component 182 between the bent front portion 100a or the rear portion 100b may be different from the first state (FIG. 1B) in which the front portion 100a is flat.

전면부(100a)가 휘는 경우 전면부(100a)의 이동 단말기 내측은 공간은 스쿠루에 인접한 부분이 좁은 반면, 끝 단 쪽으로 이동할수록 넓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간상의 제약 또는 특성을 이용하여 전면부(100a)와 대향하는 면에 실장된 복수개의 부품(181)은 나사홈(106)이 위치한 부분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휘어지는 방향의 바깥쪽으로 갈수록 더 두꺼운 부품(181)이 될 수 있다.When the front portion 100a bends, the space inside the mobile terminal of the front portion 100a may be narrower as the space adjacent to the spool is narrower as it moves toward the end. Therefore, the plurality of parts 181 mounted on the surface facing the front part 100a by using the space constraints or the characteristics become smaller as they move outwar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is bent in the part where the screw groove 106 is located Which may be a thicker component 181.

한편, 후면부(100b)도 전면부(100a)와 함께 휘어지는 경우, 전면부의 경우와 반대로 후면부(100b)는 휘어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나사홈(106)이 위치한 부분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휘어지는 방향의 바깥쪽으로 갈수록 더 공간이 좁아지므로, 더 얇은 부품(182)을 구비 할 수 있다.When the rear portion 100b is bent along with the front portion 100a, the rear portion 100b is b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is bent in the portion where the screw groove 106 is located, As the space becomes narrower toward the outside, a thinner component 182 can be provided.

도 8 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 중 하나인 배터리 내장형 이동 단말기의 배면도와 이동 단말기의 A-A' 방향에 대한 종단면도이다.FIG. 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backplane and a mobile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스크루(105)의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 손잡이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는 배터리 내장형 이동 단말기인 경우 후면부(100b)상에 노출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뒷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이 가능하게 할 수 있고, 또는 후면부(100b)에 추가로 배터리 커버(103)가 있는 배터리 교체가능형 이동 단말기(100)인 경우(미도시)에는 배터리 커버(103)를 관통하여 사용자에게 노출되어 구비 될 수도 있고, 배터리 커버(103)를 열면 손잡이가 사용자에게 노출되어 구비 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screw 105, a handle may be present to facilitate the user to rotate. Such a handle may be exposed on the rear portion 100b in the case of a battery built-in mobile terminal and can be operated by a user on the back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lternatively, the battery cover 103 may be provided on the rear portion 100b The battery cover 103 may be exposed to the user through the battery cover 103 when the battery exchangeable mobile terminal 100 having the battery exchangeable mobile terminal 100 is opened, have.

도 9 는 면은 배터리 교체가능형 가변형 이동 단말기(100)에서 배터리 커버(103)를 제외한 배면도와 세로방향에 대한 종단면을 도시한 것이다.9 is a side view of the battery-replaceable type mobile terminal 100 excluding the battery cover 103 and showing longitudinal sections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91)는 이동단말기 내장형과 교체가능형 배터리가 존재 할 수 있다. 이 때 교체가능형 배터리는 상기 스크루(105)의 손잡이 역할을 하여, 별도의 손잡이 없이 배터리(191)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스크루(10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배터리(191)와 스크루(105)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The battery 191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built-in mobile terminal and a replaceable battery. At this time, the replaceable battery serves as a handle of the screw 105, and the screw 105 can be rotated by rotating the battery 191 without a separate knob. At this time, the battery 191 and the screw 105 can be manufactured through insert injection.

나아가 배터리(191)는 회전 가능한 모양을 띨 수 있으며 특히 배터리(191)의 회전축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자른 단면은 원형의 모양이 될 수 있다. Further, the battery 191 may have a rotatable shape, and in particular, a cross section cu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battery 191 may have a circular shape.

도 10 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 중 하나인 원형 배터리의 종 단면, 전면, 원형 배터리에 의해 휜 상태와 평평한 상태가 된 이동 단말기의 종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10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terminal, which is one of the 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bent and flattened by a longitudinal section, a front surface, and a circular battery of the circular battery.

배터리(191)의 전면은 지지부의 역할을 하거나 도와줄 수 있도록 일정한 곡률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ront surface of the battery 191 may have a constant curvature shape to serve as a support or assist.

다만 배터리(191) 자체가 지지부의 역할을 하는 경우, 전면부가 평평한 상태인 제 1 상태(도 1b)와 전면부가 휘어진 상태인 제 2 상태(도 1c)를 모두 지지할 수 있도록 배터리 전면 곡면부(191a)를 가질 수 있으며, 그 중 한 쪽 방향인 C-C' 방향의 양 끝단 부분만 배터리 전면 평면부(191b)를 가질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A-A' 방향으로 휘어지는 경우를 전제로, 배터리(191)의 C-C' 방향이 이동 단말기(100)의 A-A'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부(100a)와 배터리 전면 곡면부 (191a)와 접하여 제 2 상태(도 1c)와 같이 휘어질 수 있고(도 10 의 (c)), 반대로 배터리(191)의 C-C' 방향이 이동 단말기(100)의 B-B'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부(100a)는 배터리 전면 평면부(191b)에 접하여 제 1 상태(도 1b)와 같이 평평해 질 수 있다(도 10 의 (b)). When the battery 191 itself serves as a support, the battery 191 may be provided with a battery front curved surface portion (FIG. 1B) to support both the first state (FIG. 1B) in which the front portion is flat and the second state 191a, and only one end portion in the CC 'direction in one direction may have the battery front surface portion 191b. When the CC 'direction of the battery 191 is located in the AA'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ssuming that the mobile terminal 100 is bent in the AA 'direction, the front portion 100a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CC 'direction of the battery 191 may be bent in a direction BB' (see FIG. 10C)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battery front curved surface 191a The front portion 100a of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flattened as shown in FIG. 1B in a first state (FIG. 10B) in contact with the battery front surface portion 191b.

도 11 은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 중 하나인 교체 가능형 배터리를 가진 가변형 이동 단말기의 전원 접촉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 power contact structure of a variable mobile terminal having a replaceable battery, which is one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배터리(191)의 전원을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해주기 위해 배터리 전원 단자(192)와 이동 단말기(100)상의 전원 단자인 씨-클립(C-clip, 193)이 필요하게 되는데, 앞의 실시 예 중 배터리(191)가 회전하게 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후면부(100b)와 상대적 위치관계가 변화하게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 때 배터리의 전원 단자(192)와 이동 단말기(100)의 씨-클립(C-clip, 193)의 접촉이 유지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배터리(191) 상의 전원 단자(192)는 호 형상을 가져 배터리(191)가 회전하더라도 각 전원 단자의 접촉을 유지하여 전원을 계속 하여 공급할 수 있다.A battery power terminal 192 and a C-clip 193 as a power terminal on the mobile terminal 100 are required to supply the power of the battery 191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the rear portion 100b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changed when the battery 191 is rotated and thus the power terminal 192 of the battery and the seed- C-clip, 193) should be maintained. Accordingly, the power supply terminal 192 on the battery 191 has a arc shape, so that even when the battery 191 rotates, the contact of each power supply terminal can be maintained to continuously supply power.

한편 이 경우 전원을 공급받는 이동 단말기에 존재하는 전원 단자인 씨-클립(C-clip, 193)은 이동 단말기(100)의 분리된 피씨비(181)를 연결하는 휘어지는 추가 플렉서블 피씨비(SUB FPCB, 183)위에 위치할 수 있다.In this case, a C-clip 193, which is a power terminal present in a mobile terminal to which power is supplied, is connected to a flexible flexible PCB 183 (SUB FPCB) 183 connecting the separated PCB 181 of the mobile terminal 100 ). ≪ / RTI >

도 12 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 중 하나인 배터리 커버가 있는 이동 단말기의 A-A' 방향의 종단면 중 후크와 후크홈을 포함하는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including hooks and hook grooves in a longitudinal section in the A-A 'direction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battery cover, which is one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휘어질 수 있는 소재의 경우라도, 소재의 특성상 원래 모양대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휘어진 상태인 제 2 상태(도 1c)의 경우 스크루(105)에 의해 고정이 되어 있을 뿐, 다시 펴지기 위한 복원력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앞선 실시 예 중 도 4의 경우 배터리 커버(103)가 휘어지는 것은 전면부(100a)에 의해 종속적으로 쫓아가는 것이므로 이러한 상태에 있을 경우 배터리 커버(103)와 후면부(100b)의 외측면의 결합 상태가 불안해 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낙하 기타 외부 충격에 의해 펴진 경우인 제 1 상태(도 1b)보다 쉽게 배터리 커버(100b)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커버의 후크(194)와 결합하기 위해 존재하는 후면부 외측면에 위치하는 후크홈(195)은 두 개 이상이 중첩되도록 배치하여 제 2 상태(도 1c)로 휘어져 배터리 커버(103)와 이동 단말기(100)가 이격되는 경우에도 상단에 존재하는 후크홈(195)중 상단의 후크홈에 결합하여 배터리 커버(103)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Even in the case of a material that can be bent, it can have a restoring force to return to its original shap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Therefore, in the second state (Fig. 1C) You can have the resilience to get rid of it. 4, since the battery cover 103 is bent depending on the front portion 100a, the state of engagement between the battery cover 103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00b becomes It can become unstable. In this case, the battery cover 100b can be separated more easily than the first state (FIG. 1B) in which the battery cover 100b is expanded by falling or other external impact. Therefore, the hook grooves 195, which are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part existing to engage with the hooks 194 of the battery cover, are arranged so as to overlap with each other to be bent in the second state Even when the terminal 100 is separated, the battery cover 103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separated by engaging with the upper hook groove of the hook groove 195 existing at the upper end.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ll aspects as limiting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이동단말기 100a: 전면부
100b: 후면부 101: 프론트 케이스
102: 리어 케이스 103: 배터리 커버
104: 전면부의 배면 105: 스크루
105a: 스크루 나사머리 105b: 스크루 나사선
106: 나사홈 107: 지지부
108: 지지부의 중앙부 제 1 영역 109: 지지부의 돌출부 제 2 영역
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81: 피씨비
182: 부품 183: 추가 플렉서블 피씨비
190: 전원공급부 191: 배터리
191a: 배터리 전면 곡면부 191b: 배터리 전면 평면부
192: 배터리 전원 단자 193: 씨-클립(C-clip)
194: 후크 195: 후크홈
100: mobile terminal 100a:
100b: rear portion 101: front case
102: Rear case 103: Battery cover
104: back surface of front part 105: screw
105a: Screw thread head 105b: Screw thread
106: screw groove 107:
108: central portion first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109: protruding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second region
1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input unit
140: sensing unit 150: output unit
160: interface unit 170: memory
180: control unit 181:
182: Part 183: Additional flexible PCB
190: Power supply unit 191: Battery
191a: Battery front curved portion 191b: Battery front plane portion
192: Battery power terminal 193: C-clip
194: Hook 195: Hook groove

Claims (10)

액정 디스플레이 및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와 결합하는 미들 프레임을 구비하고, 휘어질 수 있는 소재를 포함하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의 배면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전면부 보다 높은 강성의 소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부와 이격된 제1 영역과, 상기 전면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미들 프레임에 구비된 나사홈;
나사선은 상기 나사홈에 맞물려 인입출되며, 나사머리는 상기 지지부의 제 1 영역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전면부에 인장력을 인가하는 스크루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루가 상기 전면부에 인장력을 인가시, 상기 지지부의 제 2 영역을 받침점으로 상기 전면부의 곡률이 변화하는 가변형 이동 단말기.
A front portion including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middle frame coupled with the liquid crystal display, the front portion including a bendable material;
A support portion including a material having a rigidity higher than that of the front portion and located in a rear direction of the front portion and including a first region spaced apart from the front portion and a second region protruding toward the front portion;
A screw groove provided in the middle frame;
And a screw head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region of the support portion and including a screw for applying a tensile force to the front portion,
Wherein a curvature of the front portion changes as a fulcrum of the second region of the support when the screw applies tensile force to the front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는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전면부의 곡률을 증가시키며,
상기 어느 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전면부의 곡률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crew increases the curvature of the front part when rotated in either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rein the curvature of the front portion is reduced when the cover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휘어질 수 잇는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배면방향에 위치하는 후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의 곡률이 증가시 상기 후면부의 곡률도 함께 증가하고, 상기 전면부의 곡률이 감소시 상기 후면부의 곡률도 함께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ar portion that includes a material that can be bent and that is located in the back surface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Wherein when the curvature of the front portion increases, the curvature of the rear portion also increases, and when the curvature of the front portion decreases, the curvature of the rear portion also decrea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제1 방향으로 휘어지며,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 사이에 위치하는 피씨비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피씨비의 상기 전면부와 대향하는 면에 실장된 복수개의 부품은 상기 나사홈이 위치한 부분에서 제1 방향의 바깥쪽으로 갈수록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portion is bent in a first direction,
And a PCB disposed between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parts mounted on the face of the PCB facing the front part is thicker toward the outside in the first direction at the part where the screw groove is loc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 후면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잡고 상기 스크루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andle coupled to the screw and exposed to a rear surface of the support to rotate the screw while the user grips the screw.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이동 단말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handle comprises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를 상기 배터리의 회전축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자른 단면은 원형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cross section of the battery cu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rotation axis of the battery is circula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호 형상의 전원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이동 단말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attery includes an arc-shaped power supply termin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와 착탈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배터리커버; 및
상기 후면부의 외측면에 상기 후크와 체결되는 복수개의 후크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후크홈은 두 개 이상의 홈이 중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A battery cover including a hook which is detachable from the rear por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hook groove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rear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hooks,
Wherein the hook groove is formed by overlapping two or more grooves.
액정 디스플레이 및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와 결합하는 미들 프레임을 구비하고, 휘어질 수 있는 소재를 포함하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의 배면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전면부 보다 높은 강성의 소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부와 이격된 제 1 영역과, 상기 전면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배면방향에 위치하고, 휘어질 수 있는 소재를 포함하는 후면부;
상기 지지부에 구비된 나사홈;
나사선은 상기 나사홈에 맞물려 인입출되며, 상기 나사선의 양 끝단은 상기 나사홈을 통해 상기 지지부의 제 1 영역을 관통하여 연장되어 상기 미들 프레임과 상기 후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에 인장력을 인가하는 스크루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루가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에 인장력을 인가시, 상기 지지부의 제 2 영역을 받침점으로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곡률이 변화하는 이동 단말기.
A front portion including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middle frame coupled with the liquid crystal display, the front portion including a bendable material;
A support portion including a material having a rigidity higher than that of the front portion and located in a rear direction of the front portion and including a first region spaced apart from the front portion and a second region protruding toward the front portion;
A rear portion located in a rear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and including a bendable material;
A screw groove provided in the support portion;
Wherein both ends of the screw thread extend through the first region of the support portion through the screw groove and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middle frame and the rear portion, And a screw for applying a tensile force to the rear portion,
Wherein a curvature of the front surface portion and the rear surface portion changes with the second region of the supporting portion as a fulcrum when the screw applies tensile force to the front surface portion and the rear surface portion.
KR1020140052656A 2014-04-30 2014-04-30 Mobile terminal KR2015012537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656A KR20150125374A (en) 2014-04-30 2014-04-30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656A KR20150125374A (en) 2014-04-30 2014-04-30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374A true KR20150125374A (en) 2015-11-09

Family

ID=54604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656A KR20150125374A (en) 2014-04-30 2014-04-30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5374A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6454A (en) * 2018-02-27 2018-09-2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A kind of center and terminal
CN110114737A (en) * 2016-12-07 2019-08-09 平蛙实验室股份公司 Improved touching device
CN110891382A (en) * 2018-09-10 2020-03-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Middle frame, electronic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iddle frame
US11256371B2 (en) 2017-09-01 2022-02-22 Flatfrog Laboratories Ab Optical component
US11281338B2 (en) 2017-03-28 2022-03-22 Flatfrog Laboratories Ab Touch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y
US11567610B2 (en) 2018-03-05 2023-01-31 Flatfrog Laboratories Ab Detection line broadening
US11740741B2 (en) 2017-02-06 2023-08-29 Flatfrog Laboratories Ab Optical coupling in touch-sensing systems
US11893189B2 (en) 2020-02-10 2024-02-06 Flatfrog Laboratories Ab Touch-sensing apparatus
US11943563B2 (en) 2019-01-25 2024-03-26 FlatFrog Laboratories, AB Videoconferencing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14737A (en) * 2016-12-07 2019-08-09 平蛙实验室股份公司 Improved touching device
US11281335B2 (en) 2016-12-07 2022-03-22 Flatfrog Laboratories Ab Touch device
US11740741B2 (en) 2017-02-06 2023-08-29 Flatfrog Laboratories Ab Optical coupling in touch-sensing systems
US11281338B2 (en) 2017-03-28 2022-03-22 Flatfrog Laboratories Ab Touch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y
US11256371B2 (en) 2017-09-01 2022-02-22 Flatfrog Laboratories Ab Optical component
US11650699B2 (en) 2017-09-01 2023-05-16 Flatfrog Laboratories Ab Optical component
CN108566454A (en) * 2018-02-27 2018-09-2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A kind of center and terminal
CN108566454B (en) * 2018-02-27 2020-09-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Middle frame and terminal
US11567610B2 (en) 2018-03-05 2023-01-31 Flatfrog Laboratories Ab Detection line broadening
CN110891382A (en) * 2018-09-10 2020-03-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Middle frame, electronic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iddle frame
US11943563B2 (en) 2019-01-25 2024-03-26 FlatFrog Laboratories, AB Videoconferencing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1893189B2 (en) 2020-02-10 2024-02-06 Flatfrog Laboratories Ab Touch-sens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1358B2 (en) Mobile terminal
US9690330B2 (en) Mobile terminal
KR102206242B1 (en) Mobile terminal
KR20150125374A (en) Mobile terminal
KR102149780B1 (en) Mobile terminal
KR101759950B1 (en) Mobile terminal
KR20150124710A (en) Mobile terminal case and mobile terminal
KR20160050698A (en) Mobile terminal
KR20180138009A (en) Electronic device
KR20160109611A (en)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KR20170088046A (en) Circuit structure and mobile terminal
KR102643355B1 (en) Adhesive tapes and mobile terminals
KR20160116559A (en) Mobile terminal
KR20160016412A (en) Mobile terminal case,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ase's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KR20170028018A (en) Mobile terminal
KR20170017081A (en) Mobile terminal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KR20160054777A (en) Display module and mobilterminal having it
KR20170028019A (en) Mobile terminal
KR101575503B1 (en) Mobile terminal
KR20160128121A (en) Mobile terminal
KR101592942B1 (en) Mobile terminal
KR20170034484A (en)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KR20170022143A (en) Mobile terminal
KR20150144630A (en) Mobile terminal
KR101587178B1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