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3917A - 항바이러스 화합물 - Google Patents

항바이러스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3917A
KR20150123917A KR1020157027219A KR20157027219A KR20150123917A KR 20150123917 A KR20150123917 A KR 20150123917A KR 1020157027219 A KR1020157027219 A KR 1020157027219A KR 20157027219 A KR20157027219 A KR 20157027219A KR 20150123917 A KR20150123917 A KR 20150123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chloro
phenyl
triazol
amine
benz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7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칭지에 딩
난 지앙
로버트 제이 웨이커트
Original Assignee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filed Critical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ublication of KR20150123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91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9/08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 C07D249/10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49/14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961,2,4-Tr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9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omep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21Interferons [IF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개시한다:
[화학식 I]
Figure pct00138

상기 식에서, 변수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HCV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사용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항바이러스 화합물{ANTIVIRAL COMPOUNDS}
본 발명은 C형 간염 바이러스(HCV)의 억제제로서, HCV 감염의 억제제로서, 및 C형 간염 감염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C형 간염 바이러스(HCV) 감염은 전세계적으로 1억 7천만 명 및 미국에서 3백만 내지 4백만 명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건강 문제이다(문헌[Armstrong, G.L., et al., Ann. Intern. Med. 2006, 144:705-714]; 및 문헌[Lauer, G.M., et al., N. Eng. J. Med. 2001, 345:41-52] 참조). HCV 감염은 상당수의 감염된 개인에서 만성 간 질환(예컨대, 간경변 및 간세포 암종)을 유발한다. 간경변 및 간세포 암종과 관련된 만성 HCV 감염은 또한 미국에서 간 이식의 주된 원인이다. HCV 감염에 대한 현재의 치료법은 뉴클레오시드-유사체 리바비린과 조합된 페길화된 인터페론-α를 사용하는 면역 요법을 포함한다. 리바비린 및 HCV NS3 프로테아제 억제제로 최근에 승인된 인시베크(Incivek) 또는 빅트렐리스(Victrelis) 중 하나와 조합된 페길화된 인터페론-α가, 유전자형 1 HCV에 감염된 환자(가장 치료하기 힘든 환자 집단)의 치료를 위한 현재의 표준 처치법이다. 그러나, 현재의 HCV 치료법은 최적이 아닌(suboptimal) 지속적인 바이러스학적 반응 속도로 절충되며, 심한 부작용뿐만 아니라 상기 프로테아제 억제제에 대한 내성이 수반된다. 따라서, 더 나은 효능, 안전성 및 내성 프로파일을 갖는 개선된 항바이러스성 약물에 대한 분명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HCV에 의한 인간 간세포의 감염(HCV 도입으로도 공지됨)은, 바이러스에 의해 코딩된 외피 당단백질 E1 및 E2와 숙주 세포 보조-수용체(co-receptor)의 기능적 상호작용, 및 이어서 수용체-매개된 세포내 이입 과정에 의해 매개된다. 이러한 HCV 도입 단계가 치료적 개입의 추정적 표적이다. 또한, 바이러스에 의해 코딩된 몇몇 효소, 예컨대 메탈로프로테아제(NS2-3), 세린 프로테아제(NS3, 아미노산 잔기 1 내지 180개), 헬리카제(NS3, 전장), NS3 프로테아제 보조 인자(NS4A), 막 단백질(NS4B), 아연 금속단백질(NS5A) 및 RNA-의존성 RNA 폴리머라제(NS5B)가 치료적 개입의 추정적 표적이다.
숙주 세포 내로의 HCV 도입의 생물학을 연구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E1 및 E2 당단백질이 레트로바이러스의 당단백질을 기능적으로 대체하는 데 사용되는 위형화(pseudotyping) 시스템이 개발되었다(문헌[Bartosch, B., Dubuisson, J. and Cosset, F.-L. J. Exp. Med. 2003, 197:633-642]; 및 문헌[Hsu, M.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2003, 100:7271-7276] 참조). 이러한 시스템은, 천연 바이러스와 유사한 것으로 생각되는 방식으로 숙주 세포에 결합하여 숙주 세포로 도입되는 HCV 유사-입자를 생성함으로써, 이러한 입자가 바이러스 도입 단계를 연구하는 편리한 도구가 되게 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과정을 차단하는 억제제를 동정하게 한다.
HCV 감염의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치료법을 개발하는 것에 대한 분명하고 오랫동안 느껴온 필요성이 존재한다. 특히, HCV 바이러스 도입 및 복제를 선택적으로 억제하고, HCV-감염된 환자를 치료하고, 간 이식 환자를 HCV 재-감염으로부터 보호하는데 유용한 화합물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HCV 감염의 예방에 효과적인 신규 화합물을 개시한다. 추가적으로, 개시된 화합물은, 예를 들어 이의 작용 기작, 결합, 감염 예방, 억제 효능 및 표적 선택도에 대한 약학 용도의 이점을 제공한다.
본원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H, 할로, 저급 알킬, 페닐, 저급 알콕시, 저급 알킬 설폰일,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벤질, 아미노, 알킬 아미노, 다이알킬 아미노 또는 할로 저급 알킬이고;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 아미노 또는 할로 저급 알킬이고;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하거나 H 또는 벤질이고;
X는 CX' 또는 N이고;
X'은 H, 할로 또는 시아노이다.
본원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치료적 효과량을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HCV)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치료적 효과량을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HCV)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정의
본원에서 단수형 개체는 하나 이상의 개체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화합물 또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지칭한다. 마찬가지로, 단수형, "하나 이상" 및 "적어도 하나"가 본원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전이구 또는 청구범위의 본문에 사용된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개방-종지형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즉, 상기 용어는 "적어도 ~을 갖는" 또는 "적어도 ~을 함유하는"이라는 표현과 동의어로 해석되어야 한다. 방법의 문맥에 사용되는 경우,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이러한 방법이 적어도 언급된 단계를 포함하지만, 부가적인 단계도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문맥에 사용되는 경우,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 적어도 언급된 특징 또는 성분을 포함하지만, 부가적인 특징 또는 성분도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달리 구체적으로 지시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또는"이라는 용어는 "및/또는"의 "포괄적" 의미로 사용되고 "~중 하나"의 "독점적" 의미로 사용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독립적으로"라는 용어는, 동일한 화합물 내에서 동일하거나 상이한 정의를 갖는 변수의 존재 또는 부재와 무관하게 임의의 경우에 변수가 적용됨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R"이 2회 나타나고 "독립적으로 탄소 또는 질소"로 정의되는 화합물에서, R"은 둘다 탄소이거나, R"은 둘다 질소이거나, 하나의 R"은 탄소이고 나머지는 질소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거나 청구되는 화합물을 도시하거나 기술하는 임의의 잔기 또는 화학식에서 임의의 변수가 1회보다 많이 나타나는 경우, 각각의 경우 그의 정의는 모든 다른 경우의 그의 정의와 독립적이다. 또한, 치환기 및/또는 변수의 조합은 그러한 화합물이 안정한 화합물을 제공하는 경우에만 허용된다.
결합의 말단에서의 "*" 기호 또는 결합을 관통하여 도시된 "
Figure pct00002
" 기호는 각각, 하나의 작용기 또는 다른 화학적 잔기가 분자의 나머지(이는 분자의 일부임)에 대해 부착되는 지점을 지칭한다. 따라서, 예컨대 R4
Figure pct00003
또는
Figure pct00004
인 MeC(=O)OR4
Figure pct00005
이다.
고리 시스템 내로 도시된 결합(별개의 정점에서 연결된 결합과는 상반됨)은 결합이 임의의 적합한 고리 원자에 부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원에서 "임의적" 또는 "임의적으로"라는 용어는, 후속적으로 기술된 사건 또는 상황이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기재가 사건 또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 및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포함함을 의미한다. 예컨대, "임의적으로 치환된"은 임의적으로 치환된 잔기가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치환기가 "부재하다"고 지정된 경우, 이러한 치환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본원에서 "약"이라는 용어는, 대략, 근처의, 개략적으로 또는 대충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약"이라는 용어가 수치 범위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이는 개시된 수치 값 상하로 경계를 확장함으로써 범위를 수식한다. 일반적으로, "약"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언급된 값의 상하 20%의 편차만큼의 수치 값을 수식하기 위해 이용된다.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은 호변 이성질성을 나타낼 수 있다. 호변 이성질성 화합물은 2개 이상의 상호전환가능한 종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양성자성(prototropic) 호변 이성질체는 2개의 원자 사이에서 공유 결합된 수소 원자의 이동으로부터 유래한다. 호변 이성질체는 일반적으로 평형으로 존재하고, 개별적인 호변 이성질체를 단리하기 위한 시도는 통상적으로 혼합물을 생성하며, 이 혼합물의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은 화합물들의 혼합물과 일치한다. 평형의 위치는 분자 내의 화학적 특징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많은 지방족 알데하이드 및 케톤, 예컨대 아세트알데하이드에서는 케토 형태가 우세한 반면, 페놀에서는 에놀 형태가 우세하다. 통상적인 양성자성 호변 이성질체는 케토/에놀
Figure pct00006
, 아미드/이미드산
Figure pct00007
및 아미딘
Figure pct00008
호변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이들 중 후자 2개는 특히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환형 고리에서 통상적이며,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의 모든 호변 이성질체 형태를 포괄한다.
본원에 사용된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방법론 및 물질을 본원에 참고한다. 약리학의 일반적인 원리를 설명하는 표준 참고 문헌은 문헌[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10th Ed., McGraw Hill Companies Inc., New York (2001)]을 포함한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물질 및/또는 방법을 본 발명의 실시에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물질 및 방법은 기술된다. 하기 명세서 및 실시예에 참고된 물질, 시약 등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상업적인 공급원으로부터 입수가능하다.
본원에 기술된 정의가 더해져 화학적으로 관련된 조합, 예컨대 "헤테로알킬아릴", "할로알킬헤테로아릴", "아릴알킬헤테로사이클릴", "알킬카본일", "알콕시알킬"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알킬"이라는 용어가 "페닐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에서와 같이 다른 용어 뒤에서 접미사로서 사용되는 경우, 이는 다른 구체적으로 명명된 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치환된 알킬 기(상기 정의된 바와 같음)를 지칭한다. 따라서, 예컨대, "페닐알킬"은 1 또는 2개의 페닐 치환기를 갖는 알킬 기를 지칭하고, 이에 따라 벤질, 페닐에틸 및 바이페닐을 포함한다. "알킬아미노알킬"은 1 또는 2개의 알킬아미노 치환기를 갖는 알킬 기이다. "하이드록시알킬"은 2-하이드록시에틸, 2-하이드록시프로필, 1-(하이드록시메틸)-2-메틸프로필, 2-하이드록시부틸, 2,3-다이하이드록시부틸, 2-(하이드록시메틸), 3-하이드록시프로필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원에서 "하이드록시알킬"이라는 용어는, 하기 정의된 헤테로알킬 기의 부분 집합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된다. "-(아르)알킬"이라는 용어는, 비치환된 알킬 또는 아르알킬 기를 지칭한다. "(헤테로)아릴" 또는 "(헤트)아릴"이라는 용어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카본일" 또는 "아실"이라는 용어는 화학식 -C(=O)R(이때, R은 수소 또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저급 알킬임)의 기를 나타낸다.
본원에서 "에스터"라는 용어는 화학식 -C(=O)OR(이때, R은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저급 알킬임)의 기를 나타낸다.
본원에서 "알킬"이라는 용어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포화된 1가 비분지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 잔기를 나타낸다. "저급 알킬"이라는 용어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 잔기를 나타낸다. 본원에서 "C1 -10 알킬"이라는 용어는, 1 내지 10개의 탄소로 구성된 알킬을 지칭한다. 알킬 기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저급 알킬 기,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tert-부틸 또는 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헥실, 헵틸 및 옥틸을 포함한다.
"알킬"이라는 용어가 "페닐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에서와 같이 다른 용어에 후행하는 접미사로서 사용되는 경우, 이는 다른 구체적으로 지칭된 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알킬 기(상기 정의된 바와 같음)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예컨대 "페닐알킬"은 R'R"- 라디칼을 나타내고, 이때 R'은 페닐 라디칼이고, R"은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렌 라디칼이며, 이때 상기 페닐알킬 잔기의 부착점은 알킬렌 라디칼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아릴알킬 라디칼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벤질, 페닐에틸, 3-페닐프로필을 포함한다. "아릴알킬" 또는 "아르알킬"이라는 용어는, R'이 아릴 라디칼인 것을 제외하고는 유사하게 해석된다. "(헤트)아릴알킬" 또는 "(헤트)아르알킬"이라는 용어는, R'이 임의적으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라디칼인 것을 제외하고는 유사하게 해석된다.
본원에서 "할로알킬" 또는 "할로 저급 알킬" 또는 "저급 할로알킬"이라는 용어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 잔기를 지칭하며, 이때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다.
본원에서 "알킬렌" 또는 "알킬렌일"이라는 용어는,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포화된 2가 선형 탄화수소 라디칼(예컨대, (CH2)n), 또는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포화된 2가 분지형 탄화수소 라디칼(예컨대, -CHMe- 또는 -CH2CH(i-Pr)CH2-)을 나타낸다. 메틸렌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알킬렌 기의 빈 원자가(open valence)는 동일한 원자에 부착되지 않는다. 알킬렌 라디칼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메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2-메틸-프로필렌, 1,1-다이메틸-에틸렌, 부틸렌, 2-에틸부틸렌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알콕시"라는 용어는, -O-알킬 기(이때, 알킬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음), 예컨대 메톡시, 에톡시, n-프로필옥시, i-프로필옥시, n-부틸옥시, i-부틸옥시, tert-부틸옥시, 펜틸옥시, 헥실옥시 및 이들의 이성질체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저급 알콕시"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저급 알킬" 기를 갖는 알콕시 기를 나타낸다. 본원에서 "C1 -10 알콕시"는 -O-알킬(이때, 알킬은 C1-10임)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할로알콕시" 또는 "할로 저급 알콕시" 또는 "저급 할로알콕시"라는 용어는 저급 알콕시 기를 지칭하며, 이때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다.
본원에서 "하이드록시알킬"이라는 용어는, 상이한 탄소 원자 상의 1 내지 3개의 수소 원자가 하이드록실 기로 대체된 알킬 라디칼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설핀일"이라는 용어는 -SO- 기를 나타낸다.
본원에서 "설폰일"이라는 용어는 -SO2- 기를 나타낸다.
본원에서 "알킬설폰일" 및 "아릴설폰일"이라는 용어는 화학식 -S(=O)2R의 기를 지칭하며, 이때 R은 각각 알킬 또는 아릴이고, 알킬 및 아릴은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원에서 "헤테로알킬설폰일"이라는 용어는 화학식 -S(=O)2R의 기를 지칭하며, 이때 R은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헤테로알킬"이다.
본원에서 "저급 알킬 설폰일아미도"라는 용어는, 화학식 -S(=O)2NR2(이때,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3 알킬이고, 저급 알킬은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의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트라이플루오로메틸 설폰일"이라는 용어는 화학식 -S(=O)2CF3의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트라이플루오로메틸 설핀일"이라는 용어는 화학식 -S(=O)CF3의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트라이플루오로메틸 설판일"이라는 용어는 화학식 -SCF3의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니트로"라는 용어는 화학식 -N+(=O)O-의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카복시"라는 용어는 화학식 -C(=O)R2(이때,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3 알킬이고, 저급 알킬은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의 기를 지칭한다.
"사이클로알킬"이라는 용어는, 3 내지 10개의 고리 탄소 원자의 1가 포화된 일환형 또는 이환형 탄화수소 기를 나타낸다. 특정 양태에서, 사이클로알킬은 3 내지 8개의 고리 탄소 원자의 1가 포화된 일환형 탄화수소 기를 나타낸다. "이환형"이란,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를 공통으로 갖는 2개의 포화된 탄소환으로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특정 사이클로알킬 기는 일환형이다. 일환형 사이클로알킬의 예는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탄일,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또는 사이클로헵틸이다. 이환형 사이클로알킬의 예는 바이사이클로[2.2.1]헵탄일 또는 바이사이클로[2.2.2]옥탄일이다.
본원에서 "아미노"라는 용어는 화학식 -NR'R"(이때, R' 및 R"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콕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임)의 기를 나타낸다. 다르게는, R' 및 R"은 이들이 부착된 질소와 함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할 수 있다. "1급 아미노"라는 용어는, R' 및 R"이 둘다 수소인 기를 나타낸다. "2급 아미노"라는 용어는, R'이 수소이고, R"은 수소가 아닌 기를 나타낸다. "3급 아미노"라는 용어는, R' 및 R"이 둘다 수소가 아닌 기를 나타낸다. 특정 2급 및 3급 아민은 메틸아민, 에틸아민, 프로필아민, 이소프로필아민, 페닐아민, 벤질아민 다이메틸아민, 다이에틸아민, 다이프로필아민 및 다이이소프로필아민이다.
본원에서 "아미도"라는 용어는, 화학식 -C(=O)NR'R" 또는 -NR'C(=O)R"(이때, R' 및 R"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콕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임)의 기를 나타낸다.
"헤테로아릴"이라는 용어는,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나머지 고리 원자가 탄소인, 5 내지 12개의 고리 원자의 1가 방향족 헤테로환형의 일환형 또는 이환형 고리 시스템을 나타낸다. 헤테로아릴 잔기의 예는 피롤일, 푸란일, 티엔일, 이미다졸릴, 옥사졸릴, 티아졸릴, 트라이아졸릴, 옥사다이아졸릴, 티아다이아졸릴, 테트라졸릴, 피리딘일, 피라진일, 피라졸릴, 피리다진일, 피리미딘일, 트라이아진일, 아제핀일, 다이아제핀일, 이속사졸릴, 벤조푸란일, 이소티아졸릴, 벤조티엔일, 인돌일, 이소인돌일, 이소벤조푸란일, 벤즈이미다졸릴, 벤즈옥사졸릴, 벤조이속사졸릴, 벤조티아졸릴, 벤조이소티아졸릴, 벤조옥사다이아졸릴, 벤조티아다이아졸릴, 벤조트라이아졸릴, 푸린일, 퀴놀린일, 이소퀴놀린일, 퀴나졸린일 또는 퀴녹살린일을 포함한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라는 용어는,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나머지 고리 원자가 탄소인, 3 내지 9개의 고리 원자의 포화되거나 부분적으로 불포화된 1가 일환형 또는 이환형 고리 시스템을 나타낸다. 특정 양태에서,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나머지 고리 원자가 탄소인, 4 내지 7개의 고리 원자의 포화된 1가 일환형 고리 시스템이다. 포화된 일환형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예는 아지리딘일, 옥시란일, 아제티딘일, 옥세탄일, 피롤리딘일,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일, 테트라하이드로티엔일, 피라졸리딘일, 이미다졸리딘일, 옥사졸리딘일, 이속사졸리딘일, 티아졸리딘일, 피페리딘일,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란일, 피페라진일, 모폴린일, 티오모폴린일, 1,1-다이옥소-티오모폴린-4-일, 아제판일, 다이아제판일, 호모피페라진일 또는 옥사아제판일이다. 포화된 이환형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예는 8-아자-바이사이클로[3.2.1]옥틸, 퀴누클리딘일, 8-옥사-3-아자-바이사이클로[3.2.1]옥틸, 9-아자-바이사이클로[3.3.1]노닐, 3-옥사-9-아자-바이사이클로[3.3.1]노닐 또는 3-티아-9-아자-바이사이클로[3.3.1]노닐이다. 부분적으로 불포화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예는 다이하이드로푸릴, 이미다졸린일, 다이하이드로-옥사졸릴, 테트라하이드로-피리딘일, 또는 다이하이드로피란일이다.
HCV 도입의 억제제
본원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9
상기 식에서,
R1은 H, 할로, 저급 알킬, 페닐, 저급 알콕시, 저급 알킬 설폰일,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벤질, 아미노, 알킬 아미노, 다이알킬 아미노 또는 할로 저급 알킬이고;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 아미노 또는 할로 저급 알킬이고;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하거나 H 또는 벤질이고;
X는 CX' 또는 N이고;
X'은 H, 할로 또는 시아노이다.
본원은 R4가 부재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원은 R5가 H인,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원은 R2 및 R3가 Cl인,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원은 X가 N인, 임의의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원은 X가 CX'이고, X'이 H인, 임의의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대안적으로 제공한다.
본원은 X가 CX'이고, X'이 할로 또는 시아노인, 임의의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원은 R1이 H, 할로, 저급 알킬, 페닐, 저급 알콕시, 저급 알킬 설폰일,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벤질, 아미노, 알킬 아미노, 다이알킬 아미노 또는 할로 저급 알킬인, 임의의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원은 R5가 벤질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원은 R4가 부재하고, R5가 벤질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원은 R2가 아미노 또는 Cl이고, R3가 H 또는 Cl이고, X가 CX'이고, X'이 H 또는 F인,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원은 R4가 벤질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원은 R5가 부재하고, R4가 벤질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원은 R2가 아미노 또는 Cl이고, R3가 H 또는 Cl이고, X가 CX'이고, X'이 H 또는 F인,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원은
(3,5-다이클로로-페닐)-(5-메틸-1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3,5-다이클로로-페닐)-(5-페닐-1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5-아미노메틸-1H-[1,2,4]트라이아졸-3-일)-(3,5-다이클로로-페닐)-아민;
(3,5-다이클로로-페닐)-(5-플루오로-2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3,5-다이클로로-페닐)-(5-메톡시메틸-2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2,6-다이클로로-피리딘-4-일)-(5-메톡시메틸-2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5-브로모-2H-[1,2,4]트라이아졸-3-일)-(3,5-다이클로로-페닐)-아민;
(3,5-다이클로로-페닐)-(5-메톡시-2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2,6-다이클로로-피리딘-4-일)-(5-메톡시-2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4-(5-메톡시-2H-[1,2,4]트라이아졸-3-일아미노)-2-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조니트릴;
(4-브로모-3,5-다이클로로-페닐)-(5-메톡시-2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5-클로로-2H-[1,2,4]트라이아졸-3-일)-(3,5-다이클로로-페닐)-아민;
(3,5-다이클로로-페닐)-(5-메탄설폰일-2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4-브로모-3,5-다이클로로-페닐)-(5-메탄설폰일-2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N3-(3,5-다이클로로-페닐)-N5,N5-다이메틸-1H-[1,2,4]트라이아졸-3,5-다이아민;
N3-(4-브로모-3,5-다이클로로-페닐)-N5,N5-다이메틸-1H-[1,2,4]트라이아졸-3,5-다이아민;
(2H-[1,2,4]트라이아졸-3-일)-(3,4,5-트라이클로로-페닐)-아민;
(4-브로모-3,5-다이클로로-페닐)-(2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N3-(3,5-다이클로로-페닐)-N5-메틸-1H-[1,2,4]트라이아졸-3,5-다이아민;
2,6-다이클로로-4-(2H-[1,2,4]트라이아졸-3-일아미노)-벤조니트릴;
4-(5-메틸아미노-1H-[1,2,4]트라이아졸-3-일아미노)-2-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조니트릴;
(3,5-다이클로로-페닐)-(5-트라이플루오로메틸-1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1-벤질-1H-[1,2,4]트라이아졸-3-일)-(3,5-다이클로로-페닐)-아민;
(2-벤질-2H-[1,2,4]트라이아졸-3-일)-(3,5-다이클로로-페닐)-아민;
(3,5-다이클로로-페닐)-(1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2-벤질-2H-[1,2,4]트라이아졸-3-일)-(3,5-다이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민;
(1-벤질-1H-[1,2,4]트라이아졸-3-일)-(3,5-다이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민;
(3,5-다이클로로-4-플루오로-페닐)-(1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N-(1-벤질-1H-[1,2,4]트라이아졸-3-일)-벤젠-1,3-다이아민;
(2,6-다이클로로-피리딘-4-일)-(1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3,5-다이클로로-4-플루오로-페닐)-(5-모폴린-4-일-1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3,5-다이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1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3,5-다이클로로-페닐)-(5-이소부틸-1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및
(5-벤질-1H-[1,2,4]트라이아졸-3-일)-(3,5-다이클로로-페닐)-아민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원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치료 효과량을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HCV)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은 면역 체계 억제제의 치료 효과량을 환자에게 투여함을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치료 효과량을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HCV)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은 HCV의 복제를 억제하는 항바이러스제의 조합물을 투여함을 추가로 포함하는 임의의 상기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은 면역 체계 조절제, HCV의 복제를 억제하는 항바이러스제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투여함을 추가로 포함하는 임의의 상기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은 면역 체계 조절제가 인터페론 또는 화학적으로 유도체화된 인터페론인 상기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은 면역 체계 조절제, HCV의 복제를 억제하는 항바이러스제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투여함을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항바이러스제가 HCV 프로테아제 억제제, HCV 폴리머라제 억제제, HCV 헬리카제 억제제, HCV NS5A 억제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임의의 상기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은 HCV의 예방용 약제의 제조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원은 HCV의 치료용 약제의 제조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원은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조성물, 방법 또는 용도를 제공한다.
화합물
본 발명에 포함되고 본 발명의 범주 이내인 대표적인 화합물의 예를 하기 표에 제시한다. 당업자로 하여금 본 발명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실시예 및 제법을 제공한다. 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되며,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고 대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본원에 사용된 명명법은 IUPAC 체계화 명명법의 생성을 위한 바일슈타인 인스티튜트(Beilstein Institute) 컴퓨터화된 시스템인 오토놈(AUTONOM) v.4.0에 기초한다. 도시된 구조와 그 구조에 제시된 명칭이 불일치하는 경우, 도시된 구조 쪽에 좀더 무게를 두어야 한다. 또한, 구조 또는 구조의 일부의 입체화학이, 예를 들어 굵은 글자체 또는 점선으로 지시되지 않는 경우, 이러한 구조 또는 구조의 일부는 모든 입체 이성질체를 포괄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하기 표 I은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의 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표 I]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합성
일반적 반응식
하기 반응식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절차 1]
Figure pct00016
[절차 2]
Figure pct00017
[절차 3]
Figure pct00018
[절차 4]
Figure pct00019
투여량 및 투여
본 발명의 화합물은 광범위한 경구 투여 형태 및 담체에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 투여는, 정제, 코팅된 정제, 당의정, 경질 및 연질 젤라틴 캡슐, 용액, 에멀젼, 시럽 또는 현탁액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다른 투여 경로 중 특히, 연속(정맥내 드립) 국소 비경구, 근육내, 정맥내, 피하, 경피(침투 증강제를 포함할 수 있음), 협측, 비강, 흡입 및 좌제를 포함하는 기타 투여 경로로 투여될 때 효과적이다. 바람직한 투여 방식은 일반적으로, 활성 성분에 대한 환자의 반응 및 고통의 정도에 따라 조정될 수 있는 편리한 일일 투여량 요법을 이용하는 경구식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그의 약학적으로 이용가능한 염은, 하나 이상의 통상적인 부형제, 담체 또는 희석제와 함께, 약학 조성물 및 단위 투여량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 및 단위 투여량 형태는, 추가적인 활성 화합물 또는 주성분(principle)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통상적인 비율의 통상적인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단위 투여량 형태는, 사용될 의도하는 일일 투여량 범위에 상응하는 임의의 적합한 효과량의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정제 또는 충전된 캡슐, 반고형제, 분말, 서방성 제형과 같은 고체로; 용액, 현탁액, 에멀젼, 엘릭서 또는 경구용의 충전된 캡슐과 같은 액체로; 직장 또는 질 투여용의 좌제의 형태로; 또는 비경구적 용도를 위한 멸균 주사 용액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인 제제는 약 5 내지 약 95 중량%의 활성 화합물을 포함할 것이다. "제제" 또는 "투여 형태"라는 용어는, 활성 화합물의 고체 및 액체 제형 둘다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당업자는 활성 성분이 표적 장기 또는 조직에 따라 또한 목적하는 투여량 및 약동학적 파라미터에 따라 상이한 제제로 존재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본원에서 "부형제"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안전하고, 무독성이고, 생물학적으로나 또는 이외에도 바람직한 화합물을 지칭하고, 수의학적 용도뿐만 아니라 인간의 약학 용도를 위해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의도하는 투여 경로 및 표준 약학 실무를 감안하여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적합한 약학 부형제, 희석제 또는 담체와 혼합되어 투여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일반적으로 안전하고, 무독성이고, 생물학적으로나 또는 그외에도 바람직하며, 약학 조성물 제조에 유용한 것을 의미하고, 수의학적 용도뿐만 아니라 인간의 약학 용도에도 허용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활성 성분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형태는 비-염 형태에서는 없는, 활성 성분에 대한 바람직한 약동학적 특성을 초기에 부여할 수 있고, 심지어는 신체에서의 그의 치료 활성과 관련하여 활성 성분의 약력학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줄 수도 있다.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라는 어구는, 약학적으로 허용되고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약리학적 활성을 보유하는 염을 의미한다. 상기 염은 하기를 포함한다: (1) 염산, 브롬화 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으로 형성되거나,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헥산산, 사이클로펜탄프로피온산, 글리콜산, 피루브산, 락트산, 말론산, 숙신산, 말산, 말레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3-(4-하이드록시벤조일)벤조산, 신남산, 만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1,2-에탄-다이설폰산, 2-하이드록시에탄설폰산, 벤젠설폰산, 4-클로로벤젠설폰산, 2-나프탈렌설폰산, 4-톨루엔설폰산, 캠퍼설폰산, 4-메틸바이사이클로[2.2.2]-옥트-2-엔-1-카복시산, 글루코헵톤산, 3-페닐프로피온산, 트라이메틸아세트산, tert-부틸아세트산, 라우릴 황산, 글루콘산, 글루탐산, 하이드록시나프토산, 살리실산, 스테아르산, 무콘산 등과 같은 유기산으로 형성된 산 부가 염; 또는 (2) 모 화합물에 존재하는 산성 양성자가 금속 이온,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이온, 알칼리 토 이온 또는 알루미늄 이온에 의해 대체되는 경우 형성되거나, 에탄올아민, 다이에탄올아민, 트라이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N-메틸글루카민 등과 같은 유기 염기로 배위되는 경우 형성되는 염.
고체 형태 제제는, 분말, 정제, 필, 캡슐, 샤쉐, 좌제 및 분산가능한 과립을 포함한다. 고체 담체는, 희석제, 향미제, 가용화제, 윤활제, 현탁화제, 결합제, 보존제, 정제 붕해제 또는 캡슐화 물질로서도 작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성분일 수 있다. 분말에서, 담체는 일반적으로, 미분된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물을 이루는 미분된 고체이다. 정제에서, 활성 성분은 일반적으로 적합한 비율로 필요한 결합 용량을 가진 담체와 혼합되고, 원하는 모양 및 크기로 압착된다. 적합한 담체는, 비제한적으로 탄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활석, 당, 락토스, 펙틴, 덱스트린, 전분, 젤라틴, 트래거캔트, 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저융점 왁스, 코코아 버터 등을 포함한다. 고체 형태 제제는, 활성 성분에 추가하여, 착색제, 향미제, 안정화제, 완충제, 인공 및 천연 감미제, 분산제, 증점제, 가용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제형이 또한 경구 투여에 적합하고, 이는 에멀젼, 시럽, 엘릭서, 수용액, 수성 현탁액을 포함하는 액체 제형을 포함한다. 이는, 사용 직전에 액체 형태 제제로 전환시키려는 의도의 고체 형태 제제를 포함한다. 에멀젼은 용액, 예를 들어 수성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에서 제조될 수 있거나, 레시틴,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또는 아카시아와 같은 에멀젼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수용액은, 활성 성분을 물에 용해시키고, 적합한 착색제, 향미제, 안정화제 및 증점제를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수성 현탁액은 미분된 활성 성분을, 천연 또는 합성 검, 수지, 메틸 셀룰로스,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및 기타 널리 공지된 현탁화제와 같은 점성 물질과 함께 물에 분산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주사, 예를 들어 볼루스 주사 또는 연속 주입)를 위해 제형화될 수 있고, 앰풀, 사전-충전된 주사기, 소용량 주입물, 또는 보존제가 첨가된 다중-투여 용기에 단위 투여량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유성 또는 수성 비히클 중의 현탁액, 용액, 또는 에멀젼의 형태로, 예를 들어 수성 폴리에틸렌 글리콜 중의 용액과 같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유성 또는 비수성 담체, 희석제, 용매 또는 비히클의 예는,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식물성 오일(예를 들어, 올리브 오일) 및 주사가능한 유기 에스터(예를 들어, 에틸 올레에이트)를 포함하고, 보존제, 습윤제, 에멀젼화제 또는 현탁화제, 안정화제 및/또는 분산제와 같은 제형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다르게는, 활성 성분은 멸균 고체의 무균 단리에 의해 또는 적합한 비히클(예컨대, 멸균되고 발열원이 없는 물)을 이용하여 사용하기 전에 구성하기 위한 용액으로부터의 동결건조에 의해 수득되는 분말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피부에 바르는 연고, 크림 또는 로션으로서, 또는 경피 패치로서 국소 투여용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연고 및 크림은, 예를 들어 적합한 증점제 및/또는 겔화제를 첨가하여 수성 또는 유성 베이스를 이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로션은 수성 또는 유성 베이스를 이용해 제형화될 수 있고, 또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에멀젼화제, 안정화제, 분산제, 현탁화제, 증점제 또는 착색제를 포함할 것이다. 구강에서의 국소 투여에 적합한 제형은, 향미된 베이스(일반적으로, 수크로스 및 아카시아 또는 트래거캔트) 중에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로젠지; 불활성 베이스(젤라틴과 글리세린 또는 수크로스와 아카시아) 중에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향정(pastille); 및 적합한 액체 담체 중에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구강 세정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좌제로 투여하기 위해 제형화될 수 있다.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또는 코코아 버터의 혼합물과 같은 저융점 왁스를 먼저 용융시키고, 활성 성분을, 예를 들어 교반하면서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이어서, 용융된 균질 혼합물을 통상적인 크기의 성형 틀에 부어 냉각하고, 고체화시킨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질 투여용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활성 성분에 추가하여 상기 담체들을 포함하는 페서리, 탐폰, 크림, 겔, 페이스트, 발포제 또는 스프레이가 당분야에서 적합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비강 투여용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용액 또는 현탁액은 통상적인 수단, 예를 들어 점적기, 피펫 또는 스프레이를 이용하는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비강으로 직접 적용된다. 제형은 단일 또는 다중 투여량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점적기 또는 피펫의 후자의 경우, 이는 적당한 소정 부피의 용액 또는 현탁액을 환자에게 투여하여 달성될 수 있다. 스프레이의 경우, 이는, 예를 들어 계량 분무화 스프레이 펌프(metering atomizing spray pump)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비강내 투여를 비롯한, 특히 호흡기에 대한 에어로졸 투여용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약 5 ㎛의 작은 입자 크기를 갖는다. 상기 입자 크기는, 당분야에 공지된 수단, 예를 들어 미분화(micronization)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활성 성분은 클로로플루오로탄소(CFC), 예를 들어 다이클로로다이플루오로메탄, 트라이클로로플루오로메탄 또는 다이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또는 이산화탄소 또는 기타 적합한 기체와 같은 적합한 추진체와 함께 압축 팩에 제공된다. 에어로졸은 또한 편리하게는 레시틴과 같은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약물의 투여량은 계량된 밸브로 제어될 수 있다. 다르게는, 활성 성분은 건조 분말, 예를 들어 락토스, 전분, 전분 유도체, 예컨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스 및 폴리비닐피롤리딘(PVP)과 같은 적합한 분말 베이스 중의 화합물의 분말 믹스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분말 담체는 비강에서 겔을 형성할 것이다. 분말 조성물은, 예를 들어, 흡입기에 의해 분말이 투여될 수 있는, 예컨대 젤라틴 또는 블리스터 팩의 캡슐 또는 카트리지 내에 단위 투여량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형은 활성 성분의 서방형 또는 제어형 방출 투여에 맞춰진 장용 코팅을 이용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경피 또는 피하 약물 전달 장치 내에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전달 시스템은 화합물의 서방형 방출이 필요할 때 및 치료 요법에 대한 환자의 순응이 중요할 때 유리하다. 경피 전달 시스템에서의 화합물들은 종종 피부-접착성 고체 지지체에 결합된다. 해당 화합물들은 또한 침투 증강제, 예를 들어, 아존(Azone, 1-도데실아자-사이클로헵탄-2-온)과 조합될 수 있다. 서방형 방출 전달 시스템은 수술 또는 주사에 의해 피하 층으로 피하 삽입된다. 피하 이식물은 지용성 막(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또는 생분해성 중합체(예를 들어, 폴리락트산)로 화합물을 캡슐화시킨다.
약학 담체, 희석제 및 부형제와 함께 하는 적합한 제형은 문헌[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1995, edited by E.W. Martin, Mack Publishing Company, 19th edition, Easton, Pennsylvania]에 기술되어 있다. 숙련된 제형 과학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불안정하게 하거나 그의 치료 활성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구체적인 투여 경로를 위한 다양한 제형을 제공하기 위해 명세서의 교시 내에서 제형을 개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예컨대 물 또는 기타 비히클에 더욱 가용성이 되도록 하기 위한 개질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는 약간의 개질(염 제형화, 에스터화 등)로 쉽게 달성될 수 있다. 환자에게 최대한 유리한 효과를 제공하도록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동학적 특성을 조정하기 위해서, 특정 화합물의 투여 경로 및 투여 요법을 개질하는 것도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본원에서 "치료 효과량"이라는 용어는, 개인에서 질환의 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양을 의미한다. 투여량은 각각의 특별한 경우에서 개인의 필요요건에 맞춰질 것이다. 해당 투여량은, 치료될 질환의 중증도, 환자의 연령 및 일반적인 건강 상태, 환자가 처방받는 중인 기타 약제, 투여 경로 및 형태 및 관련 의료진의 선호도 및 경험과 같은 많은 인자들에 좌우되는 광범위한 한계 내에서 다양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으로, 1일 당 약 0.01 내지 약 1000 mg/체중 kg의 일일 투여량이 단독 요법 및/또는 병용 요법에서 적당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일 투여량은, 1일 당 약 0.1 내지 약 500 mg/체중 kg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약 100 mg/체중 kg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약 10 mg/체중 kg이다. 따라서, 70 kg 성인에 대한 투여에 대해서는 투여량 범위는 1일 당 약 7 mg 내지 0.7 g이다. 일일 투여량은 단일 투여량으로, 또는 전형적으로 분할 투여량(1일 당 1 내지 5회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치료는 화합물의 최적 투여량보다는 더 적은, 더 적은 투여량으로 개시된다. 이후, 개별 환자에 대한 최적 효과에 도달할 때까지, 투여량은 조금씩 증가된다. 본원에 기재된 질환 치료에서 당업자는, 과도한 실험과정 없이도, 개인의 지식, 경험 및 본원의 개시내용을 바탕으로, 주어진 질환 및 환자를 위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치료 효과량을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약학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단위 투여량 형태이다. 상기 형태에서, 제제는 적당량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단위 투여량으로 분할되어 있다. 단위 투여량 형태는, 개별적 분량의 제제를 함유하도록 포장된 제제, 예컨대 바이알 또는 앰풀에 포장된 정제, 캡슐 및 분말일 수 있다. 또한, 단위 투여량 형태는 캡슐, 정제, 샤쉐 또는 로젠지 자체일 수 있거나, 적당한 개수의 임의의 포장된 형태일 수 있다.
적응증 및 치료 방법
본원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치료 효과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HCV)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은 면역 체계 억제제의 치료 효과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함을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치료 효과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HCV)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은 면역 체계 조절제 또는 HCV의 복제를 억제하는 항바이러스제,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투여함을 추가로 포함하는 임의의 상기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은 상기 면역 체계 조절제가 인터페론 또는 화학적으로 유도체화된 인터페론인 상기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은 면역 체계 조절제 또는 HCV의 복제를 억제하는 항바이러스제,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투여함을 추가로 포함하는 임의의 상기 방법을 제공하며, 이때 상기 항바이러스제는 HCV 프로테아제 억제제, HCV 폴리머라제 억제제, HCV 헬리카제 억제제, HCV NS5A 억제제 및 이들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병용 요법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이의 이성질체 형태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단독으로, 또는 바이러스 또는 세포 요소 또는 HCV의 생활 주기와 관련된 기능을 표적으로 하는 다른 화합물과의 조합으로 사용되는 경우, HCV 감염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다. 본 발명에 유용한 화합물의 부류는, 비제한적으로 모든 부류의 HCV 항바이러스제를 포함한다.
병용 요법을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과 조합으로 사용되는 경우 유용할 수 있는 제제의 기계론적 부류는, 예를 들어 HCV 폴리머라제의 뉴클레오시드 및 비-뉴클레오시드 억제제, 프로테아제 억제제, 헬리카제 억제제, NS4B 억제제, NS5A 억제제; 내부 리보솜 도입 부위(IRES)를 기능적으로 억제하는 약제, 및 HCV 세포 부착 또는 바이러스 도입, HCV RNA 번역, HCV RNA 전사, 복제 또는 HCV 성숙, 어셈블리 또는 바이러스 방출을 억제하는 다른 약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이러한 부류의 특정 화합물은, 비제한적으로 거대환형, 헤테로환형 및 선형 HCV 프로테아제 억제제, 예컨대 텔라프레비어(telaprevir, VX-950), 보세프레비어(boceprevir, SCH-503034), 날라프레비어(narlaprevir, SCH-900518), ITMN-191(R-7227), TMC-435350(TMC-435로도 알려짐), MK-7009, BI-201335, BI-2061(실루프레비어(ciluprevir)), BMS-650032, ACH-1625, ACH-1095(HCV NS4A 프로테아제 보조 인자 억제제), VX-500, VX-813, PHX-1766, PHX2054, IDX-136, IDX-316, ABT-450 EP-013420(및 동종체) 및 VBY-376을 포함하고; 본 발명에 유용한 뉴클레오시드 HCV 폴리머라제(레플리카제) 억제제는, 비제한적으로 R7128, PSI-7851, IDX-184, IDX-102, R1479, UNX-08189, PSI-6130, PSI-938, PSI-879, 및 2'-C-메틸 개질된 뉴클레오시드 또는 뉴클레오티드, 4'-아자 개질된 뉴클레오시드 또는 뉴클레오티드, 및 7'-데아자 개질된 뉴클레오시드 또는 뉴클레오티드로부터 유도된 것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뉴클레오시드 및 뉴클레오티드 유사체 및 HCV 억제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비-뉴클레오시드 HCV 폴리머라제(레플리카제) 억제제는 비제한적으로 HCV-796, HCV-371, VCH-759, VCH-916, VCH-222, ANA-598, MK-3281, ABT-333, ABT-072, PF-00868554, BI-207127, GS-9190, A-837093, JKT-109, GL-59728 및 GL-60667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사이클로필린(cyclophyllin) 및 면역필린(immunophyllin) 길항제(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DEBIO 화합물, NM-811, 사이클로스포린 및 이들의 유도체), 키나제 억제제, 열 충격 단백질의 억제제(예를 들어, HSP90 및 HSP70), 비제한적으로 다음을 포함할 수 있는 다른 면역조절제와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인터페론(-알파, -베타, -오메가, -감마, -람다 또는 합성), 예컨대 인트론 A, 로페론-A, 칸페론(Canferon)-A300, 애드바페론(Advaferon), 인퍼젠(Infergen), 휴모페론(Humoferon), 수미페론(Sumiferon) MP, 알파페론(Alfaferone), IFN-β, 페론(Feron) 등;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화된(페길화된) 인터페론 화합물, 예컨대 PEG 인터페론-α-2a(페가시스(Pegasys)), PEG 인터페론-α-2b(PEG인트론(Intron)), 페길화된 IFN-α-con1 등; 인터페론 화합물의 장시간 작용성 제형 및 유도체화, 예컨대 알부민-융합 인터페론, 알부페론(Albuferon), 락테론 등; 다양한 유형의 조절된 전달 시스템을 갖는 인터페론(예를 들어, ITCA-638, DUROS 피하 전달 시스템으로 전달되는 오메가-인터페론); 세포 내 인터페론의 합성을 자극하는 화합물, 예컨대 레시퀴모드(resiquimod) 등, 인터류킨; 1형 도움 T 세포 반응의 발달을 강화하는 화합물, 예컨대 SCV-07 등; TOLL-유사 수용체 작용제, 예컨대 CpG-10101(액틸론(actilon)), 이소토라빈(isotorabine), ANA773 등; 티모신 α-1; ANA-245 및 ANA-246; 히스타민 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프로파거마늄(propagermanium); 테트라클로로데카옥사이드; 앰플리겐(ampligen); IMP-321; KRN-7000; 항체, 예컨대 시바시르(civacir), XTL-6865 등 및 예방용 및 치료용 백신, 예컨대 인노백(InnoVac) C, HCV E1E2/MF59 등. 또한, NS5A 억제제, I형 인터페론 수용체 작용제(예를 들어, IFN-α) 및 II형 인터페론 수용체 작용제(예를 들어, IFN-γ)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의의 상기 방법은 TNF-α 길항제의 효과량의 투여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병용 요법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TNF-α 길항제는 엔브렐(ENBREL), 레미카드(REMICADE) 및 휴미라(HUMIRA)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HCV 감염의 치료에 효과적으로 여겨지는 항원충제 및 다른 항바이러스제,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전구 약물 니타족사나이드와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니타족사나이드는 본 발명에 개시된 화합물뿐만 아니라 HCV 감염의 치료에 유용한 다른 제제, 예컨대 페그인터페론(peginterferon) α-2a 및 리바비린과 조합되어 약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인터페론 및 페길화된 인터페론, 리바비린 또는 이의 유사체(예를 들어, 타라바바린, 레보비론), 마이크로RNA, 작은 간섭 RNA 화합물(예를 들어, SIRPLEX-140-N 등), 뉴클레오티드 또는 뉴클레오시드 유사체, 면역글로불린, 간장보호제(hepatoprotectant), 항염증제 및 다른 NS5A 억제제의 대안적인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HCV 생활 주기 내 다른 표적의 억제제는 NS3 헬리카제 억제제; NS4A 보조 인자 억제제;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억제제, 예컨대 ISIS-14803, AVI-4065 등; 벡터-코딩된 짧은 헤어핀 RNA(shRNA); HCV 특이 리보자임, 예컨대 헵타자임, RPI, 13919 등; 도입 억제제, 예컨대 HepeX-C, HuMax-HepC 등; 알파 글루코시다제 억제제, 예컨대 셀코시비어(celgosivir), UT-231B 등; KPE-02003002 및 BIVN 401 및 IMPDH 억제제를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HCV 억제제 화합물은 하기 문헌에 개시된 것을 포함한다: 미국 특허 제5,807,876호; 제6,498,178호; 제6,344,465호; 및 제6,054,472호;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WO 97/40028호; 제WO 98/40381호; 제WO 00/56331호, 제WO 02/04425호; 제WO 03/007945호; 제WO 03/010141호; 제WO 03/000254호; 제WO 01/32153호; 제WO 00/06529호; 제WO 00/18231호; 제WO 00/10573호; 제WO 00/13708호; 제WO 01/85172호; 제WO 03/037893호; 제WO 03/037894호; 제WO 03/037895호; 제WO 02/100851호; 제WO 02/100846호; 제WO 99/01582호; 제WO 00/09543호; 제WO 02/18369호; 제WO 98/17679호; 제WO 00/056331호; 제WO 98/22496호; 제WO 99/07734호; 제WO 05/073216호, 제WO 05/073195호; 및 제WO 08/021927호.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리바비린과 인터페론의 조합은 본 발명의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와 다중 병용 요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부류 또는 화합물에 제한되지 않고 생물학적으로 활성제의 공지된 새로운 화합물 및 조합을 고려한다. 본 발명의 병용 요법은, 본 발명의 화합물과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합물과의 임의의 화학적으로 상용성인 조합이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항바이러스 활성 또는 상기 약학 조성물 자체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제거하지 않는 한, 이러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병용 요법은 순차적일 수 있거나, 즉 먼저 하나의 약품 및 이어서 두 번째 약품을 사용하는 치료법일 수 있거나(예를 들어, 각각의 치료법이 상이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또는 하나의 치료법이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고 다른 치료법이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활성제를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약품 둘다를 동시에(병행으로) 사용하는 치료법일 수 있다. 순차적 요법은 제1치료법 이후 제2치료법을 시작하기 이전에 적당한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약품 둘다를 동시에 사용하는 치료법은 동일한 일일 투여량 또는 분리된 투여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병용 요법은 2개의 약품으로 제한될 필요가 없고, 3개 이상의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동시 및 순차적 병용 요법의 투여량은 병용 요법의 성분의 흡수율, 분배율, 대사율 및 배설률뿐만 아니라 당업자에 공지된 다른 요인에 의존할 수 있다. 또한, 투여량 값은 치료될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특정 개체에 대한 특정 투여량 섭생법 및 일정은 개인의 필요에 따라, 그리고 병용 요법을 투여하거나 관리하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시간에 걸쳐 조정될 수 있다.
본원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치료 효과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HCV)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은 면역 체계 억제제의 치료 효과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함을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치료 효과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HCV)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은 면역 체계 조절제 또는 HCV의 복제를 억제하는 항바이러스제,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투여함을 추가로 포함하는 임의의 상기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은 상기 면역 체계 조절제가 인터페론 또는 화학적으로 유도체화된 인터페론인 상기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은 면역 체계 조절제 또는 HCV의 복제를 억제하는 항바이러스제,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투여함을 추가로 포함하는 임의의 상기 방법을 제공하며, 이때 상기 항바이러스제는 HCV 프로테아제 억제제, HCV 폴리머라제 억제제, HCV 헬리카제 억제제, HCV NS5A 억제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실시예
약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약어는 다음을 포함한다: 아세틸(Ac), 아조-비스-이소부티릴니트릴(AIBN), 기압(Atm), 9-보라바이사이클로[3.3.1]노난(9-BBN 또는 BBN), 2,2'-비스(다이페닐포스피노)-1,1'-바이나프틸(BINAP), tert-부톡시카본일(Boc), 다이-tert-부틸 파이로카본에이트 또는 boc 무수물(BOC2O), 벤질(Bn), 부틸(Bu), 화합물 초록 등록 번호(CASRN), 벤질옥시카본일(CBZ 또는 Z), 카본일 다이이미다졸(CDI), 1,4-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2.2.2]옥탄(DABCO), 다이에틸아미노황 트라이플루오라이드(DAST), 다이벤질리덴아세톤(dba), 1,5-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4.3.0]논-5-엔(DBN), 1,8-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5.4.0]운데크-7-엔(DBU), N,N'-다이사이클로헥실카보다이이미드(DCC), 1,2-다이클로로에탄(DCE), 다이클로로메탄(DCM), 2,3-다이클로로-5,6-다이시아노-1,4-벤조퀴논(DDQ), 다이에틸 아조다이카복시레이트(DEAD), 다이-이소-프로필아조다이카복시레이트(DIAD), 다이-이소-부틸알루미늄수소화물(DIBAL 또는 DIBAL-H), 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N,N-다이메틸 아세트아미드(DMA), 4-N,N-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DMAP), N,N-다이메틸폼아미드(DMF), 다이메틸 설폭사이드(DMSO), 1,1'-비스-(다이페닐포스피노)에탄(dppe), 1,1'-비스-(다이페닐포스피노)페로센(dppf), 1-(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보다이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EDCI), 2-에톡시-1-에톡시카본일-1,2-다이하이드로퀴놀린(EEDQ), 에틸(Et), 에틸 아세테이트(EtOAc), 에탄올(EtOH), 2-에톡시-2H-퀴놀린-1-카복시산 에틸 에스터(EEDQ), 다이에틸 에터(Et2O), 에틸 이소프로필 에터(EtOiPr), O-(7-아자벤조트라이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유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아세트산(HATU), 아세트산(HOAc), 1-N-하이드록시벤조트라이아졸(HOBt),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이소-프로판올(IPA), 이소프로필마그네슘 클로라이드(iPrMgCl), 헥사메틸 다이실라잔(HMDS),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LCMS), 리튬 헥사메틸 다이실라잔(LiHMDS), 메타-클로로퍼옥시벤조산(m-CPBA), 메탄올(MeOH), 융점(mp), MeSO2-(메실 또는 Ms), 메틸(Me), 아세토니트릴(MeCN), m-클로로퍼벤조산(MCPBA), 질량 스펙트럼(ms), 메틸 t-부틸 에터(MTBE), 메틸 테트라하이드로푸란(MeTHF), N-브로모석신이미드(NBS), n-부틸리튬(nBuLi), N-카복시무수물(NCA), N-클로로석신이미드(NCS), N-메틸모폴린(NMM), N-메틸피롤리돈(NMP), 피리디늄 클로로크로메이트(PCC), 다이클로로-((비스-다이페닐포스피노)페로센일)팔라듐(II)(Pd(dppf)Cl2), 팔라듐(II) 아세테이트(Pd(OAc)2), 트리스(다이벤질리덴아세톤)다이팔라듐(0)(Pd2(dba)3), 피리디늄 다이크로메이트(PDC), 페닐(Ph), 프로필(Pr), 이소-프로필(i-Pr), 평방 인치 당 파운드(psi), 피리딘(pyr), 1,2,3,4,5-펜타페닐-1'-(다이-tert-부틸포스피노)페로센(Q-Phos), 실온(상온, rt 또는 RT), 2급-부틸리튬(sBuLi), tert-부틸다이메틸실릴 또는 tert-BuMe2Si(TBDMS), 테트라-n-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TBAF), 트라이에틸아민(TEA 또는 Et3N),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1-옥실(TEMPO), 트라이플레이트 또는 CF3SO2-(Tf),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TFA), 1,1'-비스-2,2,6,6-테트라메틸헵탄-2,6-다이온(TMHD), O-벤조트라이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유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BTU), 박막 크로마토그래피(TLC),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트라이메틸실릴 또는 Me3Si(TMS), p-톨루엔설폰산 일수화물(TsOH 또는 pTsOH), 4-Me-C6H4SO2- 또는 토실(Ts), 및 N-우레탄-N-카복시무수물(UNCA). 접두사 노말(n), 이소(i-), 2급(s-), 3급(tert-) 및 네오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명명법은, 알킬 잔기와 함께 사용될 경우 이들의 통상적인 의미를 갖는다(문헌[J. Rigaudy and D. P. Klesney, Nomenclature in Organic Chemistry, IUPAC 1979 Pergamon Press, Oxford.] 참조).
일반적인 조건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실시예 부분에서 기술되는 예시적 합성 반응에 도시된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출발 물질 및 시약은 상업적 공급처(예컨대, 알드리치 케미칼 캄파니(Aldrich Chemical Co.))로부터 입수가능하거나, 참고문헌(예컨대, 문헌[Fieser and Fieser's Reagents for Organic Synthesis; Wiley & Sons: New York, 1991, Volumes 1-15]; 문헌[Rodd's Chemistry of Carbon 화합물s, Elsevier Science Publishers, 1989, Volumes 1-5 and Supplementals]; 및 문헌[Organic Reactions, Wiley & Sons: New York, 1991, Volumes 1-40] 참조)에 개시된 절차에 따라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된다. 실시예 부분에 도시된 합성 반응식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는 몇몇 예시적인 방법일 뿐이며, 본원에 함유된 개시내용에 대한 분야의 당업자는 이러한 합성 반응식의 다양한 개질을 수행할 수 있고 생각해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필요에 따라, 이러한 합성 반응식의 출발 물질 및 중간체는 통상적인 기술,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여과, 증류, 결정화,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사용하여 단리되고 정제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통상적인 수단(예컨대, 물리 상수 및 스펙트럼 데이터)을 사용하여 특징규명될 수 있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원에 개시된 반응은 전형적으로 불활성 대기하에 대기압 및 약 -78 내지 약 150℃, 흔히 약 0 내지 125℃의 반응 온도 범위에서, 더욱 흔히 그리고 편리하게는 대략 실온(또는 상온), 예를 들어 약 20℃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 상의 다양한 치환기는 출발 물질 내에 존재하거나, 공지된 치환 방법 또는 전환 반응에 의해, 중간체 중 임의의 하나에 부가되거나, 최종 생성물의 형성 후에 부가될 수 있다. 치환기 자체가 반응성인 경우, 치환기는 당분야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보호될 수 있다. 다양한 보호기가 당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가능한 기의 예는 문헌["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by Green et al., John Wiley and Sons, 1999]에서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트로 기는 질화에 의해 부가될 수 있고, 이러한 니트로 기는 다른 기로 전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환원에 의해 아미노로, 아미노 기의 다이아조화 및 다이아조 기의 할로겐 대체로 인해 할로겐으로 전환될 수 있다. 아실 기는 프리델-크라프츠(Friedel-Crafts) 아실화에 의해 부가될 수 있다. 이어서, 이러한 아실 기는 볼프-키쉬너(Wolff-Kishner) 환원 및 클레멘슨(Clemmenson) 환원을 비롯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상응하는 알킬 기로 변환될 수 있다. 아미노 기는 알킬화되어 모노- 및 다이-알킬아미노 기를 형성할 수 있고, 머캅토 기 및 하이드록시 기는 알킬화되어 상응하는 에터를 형성할 수 있다. 1급 알콜은 당분야에 공지된 산화제에 의해 산화되어 카복시산 또는 알데하이드를 형성할 수 있고, 2급 알콜은 산화되어 케톤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치환 또는 변경 반응은, 출발 물질, 중간체, 또는 단리된 생성물을 비롯한 최종 생성물의 분자 전체에 걸쳐 다양한 치환기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조 실시예
실시예 1
(3,5- 다이클로로 - 페닐 )-(5- 메틸 -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1)
Figure pct00020
N-(3,5- 다이클로로페닐카마보티오일 ) 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21
아세톤(5 mL) 중의 암모늄 티오시아네이트(587 mg, 7.72 mmol, 당량: 1.25)의 용액에 아세틸 클로라이드(607 mg, 550 μl, 7.74 mmol, 당량: 1.25)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고, 고체를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아세톤(5 mL) 중의 3,5-다이클로로아닐린(1 g, 6.17 mmol, 당량: 1.00)의 용액에 첨가하고 환류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실온으로 냉각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현탁액 농축하고 크로마토그래피(40 g 아나로직스(Analogix), 100% 헥산 → 1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하여 목적 생성물(1.128 g, 70%)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Z)-1-(2-(3,5- 다이클로로페닐이미노 )-1,3- 티아제티딘 -3-일) 에탄온
Figure pct00022
아세톤(5 mL) 중의 N-(3,5-다이클로로페닐카마보티오일)아세트아미드(300 mg, 1.14 mmol, 당량: 1.00), 다이요오도메탄(916 mg, 276 μl, 3.42 mmol, 당량: 3) 및 트라이에틸아민(346 mg, 477 μl, 3.42 mmol, 당량: 3)의 용액을 환류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고 크로마토그래피(25 g 톰슨(Thomson), 100% 헥산 → 1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하여 약 1.7:1 비의 출발 물질 및 생성물을 함유하는 목적 생성물(159 mg, 51%)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고, 이를 혼합물로서 후속 단계에 사용하였다
(3,5- 다이클로로 - 페닐 )-(5- 메틸 -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1)
Figure pct00023
아세토니트릴(5 mL) 중의 (Z)-1-(2-(3,5-다이클로로페닐이미노)-1,3-티아제티딘-3-일)에탄온(159 mg, 578 μmol, 당량: 0.956) 및 하이드라진(194 mg, 190 μL, 6.04 mmol, 당량: 10)의 용액을 환류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크로마토그래피(11 g 수펠코(Supelco) 100% CH2Cl2 → 5% 메탄올/CH2Cl2)하여 목적 생성물 및 다른 불순물을 함유하는 고체(40 mg)를 수득하였다. 분취 플레이트 크로마토그래피로 추가적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20 mg, 14%)을 회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300MHz, DMSO) δ: 13.04 (s, 1H), 9.56 (s, 1H), 7.57 (d, J = 2 Hz, 2H), 6.90 (t, J = 2 Hz, 1H) ppm
실시예 2
(3,5- 다이클로로 - 페닐 )-(5- 페닐 -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2)
Figure pct00024
N-(3,5- 다이클로로페닐카마보티오일 ) 벤즈아미드
Figure pct00025
아세톤(15 mL) 중의 벤조일 이소티오시아네이트(1.01 g, 6.17 mmol, 당량: 1.00)의 용액에 3,5-다이클로로아닐린(1 g, 6.17 mmol, 당량: 1.00)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을 나타냈다. 반응 생성물을 50℃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얼음 물에 주의하여 부었다(pH 5).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목적 생성물(1.85 g, 92%)을 회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Z)-N-(3-(3,5- 다이클로로페닐 )-1,3- 티아제티딘 -2- 일리덴 ) 벤즈아미드
Figure pct00026
아세톤(15 mL) 중의 N-(3,5-다이클로로페닐카마보티오일)벤즈아미드(1 g, 3.07 mmol, 당량: 1.00), 다이요오도메탄(2.49 g, 750 μl, 9.3 mmol, 당량: 3.02) 및 트라이에틸아민(944 mg, 1.3 ml, 9.33 mmol, 당량: 3.03)의 용액을 환류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고 크로마토그래피(40 g 아나로직스 100% 헥산 → 1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하여 목적 생성물(255 mg, 25%)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3,5- 다이클로로 - 페닐 )-(5- 페닐 -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2)
Figure pct00027
아세토니트릴(10 mL) 중의 (Z)-N-(3-(3,5-다이클로로페닐)-1,3-티아제티딘-2-일리덴)벤즈아미드(318 mg, 943 μmol, 당량: 1.00) 및 하이드라진(302 mg, 296 μL, 9.43 mmol, 당량: 10)의 용액을 7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크로마토그래피(23 g 수펠코, 0 → 3% 메탄올/CH2Cl2)하여 목적 생성물(81 mg, 28%)을 회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300MHz, DMSO) δ: 13.90 (s, 1H), 9.81 (s, 1H), 7.95 (m, 2H), 7.64 (d, J = 2 Hz, 2H), 7.53 (m, 3H), 6.93 (t, J = 2 Hz, 1H) ppm
실시예 3
(5- 아미노메틸 -2H-[1,2,4]- 트라이아졸 -3-일)-(3,5- 다이클로로페닐 )-아민(화합물 3)
Figure pct00028
N-(3,5- 다이클로로페닐카마보티오일 )-2-(1,3- 다이옥소이소인돌린 -2-일) 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29
암모늄 티오시아네이트(705 mg, 9.26 mmol, 당량: 1.25) 및 3,5-다이클로로아닐린(1.2 g, 7.41 mmol, 당량: 1.00)을 아세톤(5 ml)에 용해시켰다. 2-(1,3-다이옥소이소인돌린-2-일)아세틸 클로라이드(2.12 g, 9.11 mmol, 당량: 1.23)를 용액으로서 아세톤(8 ml)에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5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목적 생성물(3.5 g)을 회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MS +m/z: 409.8 (M+1)
1H NMR (300 MHz, DMSO-d6) δ ppm 4.58 (s, 2 H) 7.49 (t, J=1.89 Hz, 1 H) 7.73 (d, J=1.89 Hz, 2 H) 7.86 - 7.96 (m, 4 H) 11.95 (s, 1 H) 12.05 (s, 1 H)
2-(2-{2-[3,5- 다이클로로 - 페닐이미노 ]-[1,3] 티아제티딘 -3-일}-2-옥소-에틸)-이소인돌-1,3- 다이온
Figure pct00030
N-(3,5-다이클로로페닐카마보티오일)-2-(1,3-다이옥소이소인돌린-2-일)아세트아미드(500 mg, 1.1 mmol, 당량: 1.00), 다이요오도메탄(886 mg, 267 μl, 3.31 mmol, 당량: 3) 및 트라이에틸아민(335 mg, 461 μl, 3.31 mmol, 당량: 3)을 아세톤(8 ml)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80℃로 17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목적 생성물(512 mg, 55%)을 옅은 갈색 고체(512 mg)로 수득하고, 이를 추가적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MS +m/z: 421.8 (M+1)
(5- 아미노메틸 -2H-[1,2,4] 트라이아졸 -3-일)-(3,5- 다이클로로 - 페닐 )-아민(화합물 3)
Figure pct00031
2-(2-{2-[3,5-다이클로로-페닐이미노]-[1,3]티아제티딘-3-일}-2-옥소-에틸)-이소인돌-1,3-다이온(512 mg, 609 μmol, 당량: 1.00)을 아세토니트릴(4 ml)에 현탁화하였다. 하이드라진(452 mg, 14.1 mmol, 당량: 23.2)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9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체를 아세토니트릴(20 ml)로 세척하였다. 생성된 필터 케이크(419 mg)는 부산물 2,3-다이하이드로-프탈아진-1,4-다이온을 함유하였다. 미가공 물질을 분취 HPLC(물 중 0.1% TFA/AcCN 중 0.1% TFA, 95% → 10%)로 16분 동안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9 mg, 6%)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MS +m/z: 258.0/260.0. (M+1)
1H NMR (300 MHz, MeOD) δ ppm 3.32 (dt, J=3.30, 1.56 Hz, 2 H) 4.18 (s, 2 H) 5.51 (s, 1 H) 6.94 - 7.01 (m, 1 H) 7.58 (d, J=1.89 Hz, 2 H)
실시예 4
(3,5- 다이클로로 - 페닐 )-(5- 플루오로 -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4)
Figure pct00032
5- 브로모 -3- 플루오로 -1H-[1,2,4] 트라이아졸
Figure pct00033
25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서, 1-벤질-3-브로모-5-플루오로-1H-1,2,4-트라이아졸(940 mg, 3.67 mmol, 당량: 1.00) 및 N-브로모석신이미드(784 mg, 4.4 mmol, 당량: 1.20)를 CCl4(15 ml)와 합하여 백색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250 W 램프를 사용한 조명에 의한 교반하에 가열하여 환류하였다. 6시간 후에, (반응을 FNMR에 의해 면밀히 모니터링하였음) 혼합물을 냉각하고 여과하고 농축하하였다. 잔사를 즉시 THF(9 mL)에 용해시키고, 물(3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용액을 Et2O(20 mL)로 희석하고 2.5 N NaOH(10 mLx3)로 추출하였다. 합한 수상을 pH 약 3까지 진한 HCl 용액으로 산성화시키고 EtOAc(3x20 mL)로 추출하고, EtOAc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여 생성물(550 mg, 90%)을 수득하였다. FNMR(DMSO) 114.8.
5- 브로모 -3- 플루오로 -1-(4- 메톡시 -벤질)-1H-[1,2,4] 트라이아졸
Figure pct00034
5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서, 수소화 나트륨(133 mg, 3.31 mmol, 당량: 1.00)을 DMF(10 mL)와 합하여 백색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DMF(5 mL) 중의 1-(클로로메틸)-4-메톡시벤젠(675 mg, 4.31 mmol, 당량: 1.3)을 0℃에서 적가하였다. 첨가 후에, 반응 생성물을 30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DMF(5 mL) 중의 1-(클로로메틸)-4-메톡시벤젠(675 mg, 4.31 mmol, 당량: 1.3)을 적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용액에 EtOAc(50 mL)를 첨가하고 H2O(50 mL) 및 염수(50 mL)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휘발물을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 = 80/20)로 단리하여 오일(300 mg, 32%)을 수득하였다.
(3,5- 다이클로로 - 페닐 )-[5- 플루오로 -2-(4- 메톡시 -벤질)-2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
Figure pct00035
25 mL 둥근 병에서, 5-브로모-3-플루오로-1-(4-메톡시벤질)-1H-1,2,4-트라이아졸(200 mg, 699 μmol, 당량: 1.00)을 DMF(5.00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나트륨 2-메틸프로판-2-올레이트(134 mg, 1.4 mmol, 당량: 2.00) 및 3,5-다이클로로아닐린(136 mg, 839 μmol, 당량: 1.20)을 첨가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질소에 의해 5분 동안 탈기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85℃로 밤새 질소하에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H2O(20 mL)로 희석하고 EtOAc(30x2 mL)를 첨가하고, 생성물을 추출하고,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하고, 용액을 농축하고, 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 = 70/30)로 정제하여 화합물(50 mg, 20%)을 수득하였다.
(3,5- 다이클로로 - 페닐 )-(5- 플루오로 -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4)
Figure pct00036
10 mL 둥근 병에서, (3,5-다이클로로-페닐)-[5-플루오로-2-(4-메톡시-벤질)-2H-[1,2,4]트라이아졸-3-일]-아민(50 mg, 136 μmol, 당량: 1.00)을 TFA(5.00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65℃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한 후에, EtOAc(30 mL)로 희석하였다. 용액을 포화 NaHCO3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휘발물을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화합물을 분취 TLC로 단리하여 회백색 고체(12 mg, 36%)를 수득하였다. MH+ 247.1
실시예 5
(3,5- 다이클로로 - 페닐 )-(5- 메톡시메틸 -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5)
Figure pct00037
(3,5- 다이클로로 - 페닐 )-[2-(4- 메톡시 -벤질)-5- 메톡시메틸 -2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
Figure pct00038
25 mL 둥근 병에서, 5-브로모-1-(4-메톡시벤질)-3-(메톡시메틸)-1H-1,2,4-트라이아졸(250 mg, 801 μmol, 당량: 1.00)을 DMF(5.00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3,5-다이클로로아닐린(156 mg, 961 μmol, 당량: 1.20) 및 나트륨 2-메틸프로판-2-올레이트(154 mg, 1.6 mmol, 당량: 2.00)를 첨가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질소에 의해 5분 동안 탈기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85℃로 밤새 질소하에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H2O(20 mL)로 희석하고 에터(30x2 mL)를 첨가하고, 생성물을 추출하고,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하고, 용액을 농축하고, 화합물을 컬럼(헥산/EtOAc = 70/30)으로 정제하여 화합물(30 mg, 9.5%)을 수득하였다. MH+ 393.0
(3,5- 다이클로로 - 페닐 )-(5- 메톡시메틸 -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5)
Figure pct00039
10 mL 둥근 병에서, (3,5-다이클로로-페닐)-[2-(4-메톡시-벤질)-5-메톡시메틸-2H-[1,2,4]트라이아졸-3-일]-아민(30 mg, 76.3 μmol, 당량: 1.00)을 TFA(2.5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65℃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한 후에, EtOAc(30 mL)로 희석하였다. 용액을 포화 NaHCO3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휘발물을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화합물을 분취 TLC로 단리하여 회백색 고체(17 mg, 82%)를 수득하였다. MH+ 273.0
실시예 6
(2,6- 다이클로로 -피리딘-4-일)-(5- 메톡시메틸 -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6)
Figure pct00040
(2,6- 다이클로로 -피리딘-4-일)-[2-(4- 메톡시 -벤질)-5- 메톡시메틸 -2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Figure pct00041
25 mL 둥근 병에서, 5-브로모-1-(4-메톡시벤질)-3-(메톡시메틸)-1H-1,2,4-트라이아졸(400 mg, 1.28 mmol, 당량: 1.00)을 DMF(8.00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2,6-다이클로로피리딘-4-아민(251 mg, 1.54 mmol, 당량: 1.20) 및 나트륨 2-메틸프로판-2-올레이트(246 mg, 2.56 mmol, 당량: 2.00)를 첨가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질소에 의해 5분 동안 탈기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85℃로 밤새 질소하에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H2O(20 mL)로 희석하고, 에터(30x2 mL)를 첨가하고, 생성물을 추출하고,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하고, 용액을 농축하고, 화합물을 컬럼(헥산/EtOAc = 70/30)으로 정제하여 화합물(60 mg, 12%)을 수득하였다. MH+ 394.0
(2,6- 다이클로로 -피리딘-4-일)-(5- 메톡시메틸 -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6)
Figure pct00042
10 mL 둥근 병에서, (2,6-다이클로로-피리딘-4-일)-[2-(4-메톡시-벤질)-5-메톡시메틸-2H-[1,2,4]트라이아졸-3-일]-아민(60 mg, 152 μmol, 당량: 1.00)을 TFA(2.5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65℃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한 후에, EtOAc(30 mL)로 희석하였다. 용액을 포화 NaHCO3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휘발물을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화합물을 분취 TLC로 단리하여 회백색 고체(28 mg, 67%)를 수득하였다. MH+ 274.0
실시예 7
(5- 브로모 -1H-[1,2,4] 트라이아졸 -3-일)-(3,5- 다이클로로 - 페닐 )-아민(화합물 7)
Figure pct00043
[5- 브로모 -2-(4- 메톡시 -벤질)-2H-[1,2,4] 트라이아졸 -3-일]-(3,5- 다이클로로 -페닐)-아민
Figure pct00044
25 mL 둥근 병에서, 3,5-다이브로모-1-(4-메톡시벤질)-1H-1,2,4-트라이아졸(1 g, 2.88 mmol, 당량: 1.00)을 DMF(8.00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3,5-다이브로모-1-(4-메톡시벤질)-1H-1,2,4-트라이아졸(1 g, 2.88 mmol, 당량: 1.00) 및 나트륨 2-메틸프로판-2-올레이트(554 mg, 5.76 mmol, 당량: 2.00)를 첨가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질소에 의해 5분 동안 탈기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85℃로 밤새 질소하에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H2O(20 mL)로 희석하고, 에터(30x2 mL)를 첨가하여 생성물을 추출하고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하고, 용액을 농축하고, 화합물을 컬럼(헥산/EtOAc = 70/30)으로 정제하여 화합물(380 mg, 31%)을 수득하였다. MH+ 428.8
(5- 브로모 -1H-[1,2,4] 트라이아졸 -3-일)-(3,5- 다이클로로 - 페닐 )-아민(화합물 7)
Figure pct00045
10 mL 둥근 병에서, [5-브로모-2-(4-메톡시-벤질)-2H-[1,2,4]트라이아졸-3-일]-(3,5-다이클로로-페닐)-아민(380 mg, 888 μmol, 당량: 1.00)을 TFA(2.5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65℃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한 후에, EtOAc(30 mL)로 희석하였다. 용액을 포화 NaHCO3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휘발물을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화합물을 분취 TLC로 단리하여 회백색 고체(230 mg, 84%)를 수득하였다. MH+ 308.8
실시예 8
(3,5- 다이클로로 - 페닐 )-(5- 메톡시 -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8)
Figure pct00046
5- 브로모 -3- 메톡시 -1-(4- 메톡시 -벤질)-1H-[1,2,4] 트라이아졸
Figure pct00047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서, 3-브로모-5-메톡시-1H-1,2,4-트라이아졸(650 mg, 2.19 mmol, 당량: 1.00), 1-(클로로메틸)-4-메톡시벤젠(343 mg, 2.19 mmol, 당량: 1) 및 N-에틸-N-이소프로필프로판-2-아민(566 mg, 4.38 mmol, 당량: 2)을 아세토니트릴(101 ml)과 합하여 옅은 황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요오드화 칼륨(182 mg, 1.1 mmol, 당량: 0.5)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가열하여 2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혼합물을 냉각하고 물(50 mL)에 붓고 EtOAc(3x50 mL)로 추출하고, 합한 추출물을 물(50 mL) 및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여 미가공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 = 70/30)로 정제하여 오일(0.13 g, 20%)을 수득하였다.
(3,5- 다이클로로 - 페닐 )-[5- 메톡시 -2-(4- 메톡시 -벤질)-2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
Figure pct00048
25 mL 둥근 병에서, 5-브로모-3-메톡시-1-(4-메톡시벤질)-1H-1,2,4-트라이아졸(130 mg, 436 μmol, 당량: 1.00)을 DMF(2.5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3,5-다이클로로아닐린(84.8 mg, 523 μmol, 당량: 1.20) 및 나트륨 2-메틸프로판-2-올레이트(83.8 mg, 872 μmol, 당량: 2.00)를 첨가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질소에 의해 5분 동안 탈기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85℃로 밤새 질소하에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H2O(20 mL)로 희석하고, 에터(30x2 mL)를 첨가하여 생성물을 추출하고,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하고, 용액을 농축하고, 화합물을 컬럼(헥산/EtOAc = 70/30)으로 정제하여 화합물(50 mg, 30%)을 수득하였다. MH+ 378.9
(3,5- 다이클로로 - 페닐 )-(5- 메톡시 -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8)
Figure pct00049
10 mL 둥근 병에서, 3,5-다이클로로-페닐)-[5-메톡시-2-(4-메톡시-벤질)-2H-[1,2,4]트라이아졸-3-일]-아민(50 mg, 132 μmol, 당량: 1.00)을 TFA(5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65℃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한 후에, EtOAc(30 mL)로 희석하였다. 용액을 포화 NaHCO3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휘발물을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화합물을 분취 TLC로 단리하여 회백색 고체(18 mg, 53%)를 수득하였다. MH+ 259.0
실시예 9
(2,6- 다이클로로 -피리딘-4-일)-(5- 메톡시 -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9)
Figure pct00050
(2,6- 다이클로로 -피리딘-4-일)-[5- 메톡시 -2-(4- 메톡시 -벤질)-2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
Figure pct00051
25 mL 둥근 병에서, 5-브로모-3-메톡시-1-(4-메톡시벤질)-1H-1,2,4-트라이아졸(170 mg, 570 μmol, 당량: 1.00)을 DMF(2.5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2,6-다이클로로-피리딘-4-일아민(93 mg, 570 μmol, 당량: 1.00) 및 나트륨 2-메틸프로판-2-올레이트(110 mg, 1.14 mmol, 당량: 2.00)를 첨가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질소에 의해 5분 동안 탈기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85℃로 밤새 질소하에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H2O(20 mL)로 희석하고, 에터(30x2 mL)를 첨가하여 생성물을 추출하고,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하고, 용액을 농축하고, 화합물을 컬럼(헥산/EtOAc = 70/30)으로 정제하여 화합물(120 mg, 55%)을 수득하였다. MH+ 380.0
(2,6- 다이클로로 -피리딘-4-일)-(5- 메톡시 -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9)
Figure pct00052
10 mL 둥근 병에서, (2,6-다이클로로-피리딘-4-일)-[5-메톡시-2-(4-메톡시-벤질)-2H-[1,2,4]트라이아졸-3-일]-아민(120 mg, 316 μmol, 당량: 1.00)을 TFA(5.0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65℃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한 후에, EtOAc(30 mL)로 희석하였다. 용액을 포화 NaHCO3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휘발물을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화합물을 분취 TLC로 단리하여 회백색 고체(42 mg, 51%)를 수득하였다. MH+ 259.8
실시예 10
4-(5- 메톡시 -1H-[1,2,4] 트라이아졸 -3- 일아미노 )-2- 트라이플루오로메틸 - 벤조니트릴 (화합물 10)
Figure pct00053
4-[5- 메톡시 -2-(4- 메톡시 -벤질)-2H-[1,2,4] 트라이아졸 -3- 일아미노 ]-2- 트라이플루오로메틸 - 벤조니트릴
Figure pct00054
25 mL 둥근 병에서, 5-브로모-3-메톡시-1-(4-메톡시벤질)-1H-1,2,4-트라이아졸(170 mg, 570 μmol, 당량: 1.00)을 DMF(2.95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4-아미노-2-(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조니트릴(106 mg, 570 μmol, 당량: 1.00) 및 나트륨 2-메틸프로판-2-올레이트(110 mg, 1.14 mmol, 당량: 2.00)를 첨가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질소에 의해 5분 동안 탈기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85℃로 밤새 질소하에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H2O(20 mL)로 희석하고, 에터(30x2 mL)를 첨가하여 생성물을 추출하고,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하고, 용액을 농축하고, 화합물을 컬럼(헥산/EtOAc = 70/30)으로 정제하여 화합물(100 mg, 44%)을 수득하였다. MH+ 404.1
4-(5- 메톡시 -1H-[1,2,4] 트라이아졸 -3- 일아미노 )-2- 트라이플루오로메틸 - 벤조 니트릴(화합물 10)
Figure pct00055
10 mL 둥근 병에서, 4-[5-메톡시-2-(4-메톡시-벤질)-2H-[1,2,4]트라이아졸-3-일아미노]-2-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조니트릴(100 mg, 248 μmol, 당량: 1.00)을 TFA(5.0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65℃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한 후에, EtOAc(30 mL)로 희석하였다. 용액을 포화 NaHCO3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휘발물을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화합물을 분취 TLC로 단리하여 회백색 고체(32 mg, 46%)를 수득하였다. MH+ 283.9
실시예 11
(4- 브로모 -3,5- 다이클로로 - 페닐 )-(5- 메톡시 -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11)
Figure pct00056
(4- 브로모 -3,5- 다이클로로 - 페닐 )-[5- 메톡시 -2-(4- 메톡시 -벤질)-2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
Figure pct00057
25 mL 둥근 병에서, 5-브로모-3-메톡시-1-(4-메톡시벤질)-1H-1,2,4-트라이아졸(170 mg, 570 μmol, 당량: 1.00)을 DMF(2.95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4-브로모-3,5-다이클로로아닐린(137 mg, 570 μmol, 당량: 1.00) 및 나트륨 2-메틸프로판-2-올레이트(110 mg, 1.14 mmol, 당량: 2.00)를 첨가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질소에 의해 5분 동안 탈기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85℃로 밤새 질소하에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H2O(20 mL)로 희석하고, 에터(30x2 mL)를 첨가하여 생성물을 추출하고,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하고, 용액을 농축하고, 화합물을 컬럼(헥산/EtOAc = 70/30)으로 정제하여 화합물(90 mg, 35%)을 수득하였다. MH+ 459.0
(4- 브로모 -3,5- 다이클로로 - 페닐 )-(5- 메톡시 -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11)
Figure pct00058
10 mL 둥근 병에서, (4-브로모-3,5-다이클로로-페닐)-[5-메톡시-2-(4-메톡시-벤질)-2H-[1,2,4]트라이아졸-3-일]-아민(90 mg, 196 μmol, 당량: 1.00)을 TFA(5.0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65℃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한 후에, EtOAc(30 mL)로 희석하였다. 용액을 포화 NaHCO3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휘발물을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화합물을 분취 TLC로 단리하여 회백색 고체(35 mg, 53%)를 수득하였다. MH+ 338.8
실시예 12
(5- 클로로 -1H-[1,2,4] 트라이아졸 -3-일)-(3,5- 다이클로로 - 페닐 )-아민(화합물 12)
Figure pct00059
[5- 클로로 -2-(4- 메톡시 -벤질)-2H-[1,2,4] 트라이아졸 -3-일]-(3,5- 다이클로로 -페닐)-아민
Figure pct00060
25 mL 둥근 병에서, 3,5-다이클로로-1-(4-메톡시벤질)-1H-1,2,4-트라이아졸(300 mg, 1.16 mmol, 당량: 1.00)을 DMF(2.6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3,5-다이클로로아닐린(188 mg, 1.16 mmol, 당량: 1.00) 및 나트륨 2-메틸프로판-2-올레이트(223 mg, 2.32 mmol, 당량: 2.00)를 첨가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질소에 의해 5분 동안 탈기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85℃로 밤새 질소하에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H2O(20 mL)로 희석하고, 에터(30x2 mL)를 첨가하여 생성물을 추출하고,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하고, 용액을 농축하고, 화합물을 컬럼(헥산/EtOAc = 70/30)으로 정제하여 화합물(360 mg, 81%)을 수득하였다. MH+ 384.0
(5- 클로로 -1H-[1,2,4] 트라이아졸 -3-일)-(3,5- 다이클로로 - 페닐 )-아민(화합물 12)
Figure pct00061
10 mL 둥근 병에서, [5-클로로-2-(4-메톡시-벤질)-2H-[1,2,4]트라이아졸-3-일]-(3,5-다이클로로-페닐)-아민(360 mg, 938 μmol, 당량: 1.00)을 TFA(5.0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65℃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한 후에, EtOAc(30 mL)로 희석하였다. 용액을 포화 NaHCO3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휘발물을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화합물을 분취 TLC로 단리하여 회백색 고체(183 mg, 74%)를 수득하였다. MH+ 264.8
실시예 13
(3,5- 다이클로로 - 페닐 )-(5- 메탄설폰일 -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13)
Figure pct00062
5- 브로모 -3- 메탄설폰일 -1-(4- 메톡시 -벤질)-1H-[1,2,4] 트라이아졸
Figure pct00063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서, 3-클로로-5-(메틸설폰일)-1H-1,2,4-트라이아졸(1 g, 5.51 mmol, 당량: 1.00), 1-(클로로메틸)-4-메톡시벤젠(862 mg, 5.51 mmol, 당량: 1) 및 N-에틸-N-이소프로필프로판-2-아민(1.42 g, 11.0 mmol, 당량: 2)을 아세토니트릴(50 mL)과 합하여 옅은 황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요오드화 칼륨(457 mg, 2.75 mmol, 당량: 0.5)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가열하여 2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혼합물을 냉각하고 물(50 mL)에 붓고 EtOAc(3x50 mL)로 추출하고, 합한 추출물을 물(50 mL) 및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여 미가공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 = 70/30)로 정제하여 오일(0.98 g, 59%)을 수득하였다.
(3,5- 다이클로로 - 페닐 )-[5- 메탄설폰일 -2-(4- 메톡시 -벤질)-2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
Figure pct00064
25 mL 둥근 병에서, 5-클로로-1-(4-메톡시벤질)-3-(메틸설폰일)-1H-1,2,4-트라이아졸(200 mg, 663 μmol, 당량: 1.00)을 DMF(2.6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3,5-다이클로로아닐린(107 mg, 663 μmol, 당량: 1.00) 및 나트륨 2-메틸프로판-2-올레이트(127 mg, 1.33 mmol, 당량: 2.00)를 첨가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질소에 의해 5분 동안 탈기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85℃로 밤새 질소하에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H2O(20 mL)로 희석하고, 에터(30x2 mL)를 첨가하여 생성물을 추출하고,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하고, 용액을 농축하고, 화합물을 컬럼(헥산/EtOAc = 70/30)으로 정제하여 화합물(150 mg, 53%)을 수득하였다. MH+ 427.0
(3,5- 다이클로로 - 페닐 )-(5- 메탄설폰일 -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13)
Figure pct00065
10 mL 둥근 병에서, (3,5-다이클로로-페닐)-[5-메탄설폰일-2-(4-메톡시-벤질)-2H-[1,2,4]트라이아졸-3-일]-아민(150 mg, 351 μmol, 당량: 1.00)을 TFA(5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65℃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한 후에, EtOAc(30 mL)로 희석하였다. 용액을 포화 NaHCO3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휘발물을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화합물을 분취 TLC로 단리하여 회백색 고체(25 mg, 23%)로 수득하였다. MH+ 306.9
실시예 14
(4- 브로모 -3,5- 다이클로로 - 페닐 )-(5- 메탄설폰일 -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14)
Figure pct00066
(4- 브로모 -3,5- 다이클로로 - 페닐 )-[5- 메탄설폰일 -2-(4- 메톡시 -벤질)-2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Figure pct00067
25 mL 둥근 병에서, 5-클로로-1-(4-메톡시벤질)-3-(메틸설폰일)-1H-1,2,4-트라이아졸(200 mg, 663 μmol, 당량: 1.00)을 DMF(3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4-브로모-3,5-다이클로로아닐린(160 mg, 663 μmol, 당량: 1.00) 및 나트륨 2-메틸프로판-2-올레이트(127 mg, 1.33 mmol, 당량: 2.00)를 첨가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질소에 의해 5분 동안 탈기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85℃로 밤새 질소하에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H2O(20 mL)로 희석하고, 에터(30x2 mL)를 첨가하여 생성물을 추출하고,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하고, 용액을 농축하고, 화합물을 컬럼(헥산/EtOAc = 70/30)으로 정제하여 화합물(180 mg, 54%)을 수득하였다. MH+ 507.0
(4- 브로모 -3,5- 다이클로로 - 페닐 )-(5- 메탄설폰일 -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14)
Figure pct00068
10 mL 둥근 병에서, (4-브로모-3,5-다이클로로-페닐)-[5-메탄설폰일-2-(4-메톡시-벤질)-2H-[1,2,4]트라이아졸-3-일]-아민(180 mg, 356 μmol, 당량: 1.00)을 TFA(5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65℃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한 후에, EtOAc(30 mL)로 희석하였다. 용액을 포화 NaHCO3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휘발물을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화합물을 분취 TLC로 단리하여 회백색 고체(80 mg, 58%)를 수득하였다. MH+ 386.8
실시예 15
N *3* -(3,5- 다이클로로 - 페닐 )-N *5* ,N *5* - 다이메틸 -1H-[1,2,4] 트라이아졸 -3,5- 다이아민 (화합물 15)
Figure pct00069
[5- 브로모 -1-(4- 메톡시 -벤질)-1H-[1,2,4] 트라이아졸 -3-일]- 다이메틸 -아민
Figure pct00070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서, 3-브로모-N,N-다이메틸-1H-1,2,4-트라이아졸-5-아민(1.5 g, 7.85 mmol, 당량: 1), 1-(클로로메틸)-4-메톡시벤젠(1.23 g, 7.85 mmol, 당량: 1) 및 N-에틸-N-이소프로필프로판-2-아민(2.03 g, 15.7 mmol, 당량: 2)을 아세토니트릴(50 mL)과 합하여 옅은 황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요오드화 칼륨(652 mg, 3.93 mmol, 당량: 0.5)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가열하여 2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혼합물을 냉각하고 물(50 mL)에 붓고 EtOAc(3x50 mL)로 추출하고, 합한 추출물을 물(50 mL) 및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여 미가공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 = 70/30)로 정제하여 오일(2.0 g, 82%)을 수득하였다. MH+ 312.9
N *5* -(3,5- 다이클로로 - 페닐 )-1-(4- 메톡시 -벤질)-N *3* ,N *3* - 다이메틸 -1H-[1,2,4]트라이아졸-3,5- 다이아민
Figure pct00071
25 mL 둥근 병에서, 5-브로모-1-(4-메톡시벤질)-N,N-다이메틸-1H-1,2,4-트라이아졸-3-아민(1 g, 3.21 mmol, 당량: 1.00)을 DMF(18.4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3,5-다이클로로아닐린(521 mg, 3.21 mmol, 당량: 1.00) 및 나트륨 2-메틸프로판-2-올레이트(618 mg, 6.43 mmol, 당량: 2.00)를 첨가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질소에 의해 5분 동안 탈기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85℃로 밤새 질소하에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H2O(20 mL)로 희석하고, 에터(30x2 mL)를 첨가하여 생성물을 추출하고,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하고, 용액을 농축하고, 화합물을 컬럼(헥산/EtOAc = 70/30)으로 정제하여 화합물(40 mg, 3%)을 수득하였다. MH+ 392.1
N *3* -(3,5- 다이클로로 - 페닐 )-N *5* ,N *5* - 다이메틸 -1H-[1,2,4] 트라이아졸 -3,5- 다이아민 (화합물 15)
Figure pct00072
10 mL 둥근 병에서, N*5*-(3,5-다이클로로-페닐)-1-(4-메톡시-벤질)-N*3*,N*3*-다이메틸-1H-[1,2,4]트라이아졸-3,5-다이아민(52 mg, 133 μmol, 당량: 1.00)을 TFA(5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65℃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한 후에, EtOAc(30 mL)로 희석하였다. 용액을 포화 NaHCO3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휘발물을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화합물을 분취 TLC로 단리하여 회백색 고체(23 mg, 64%)를 수득하였다. MH+ 273.8
실시예 16
N *3* -(4- 브로모 -3,5- 다이클로로 - 페닐 )-N *5* ,N *5* - 다이메틸 -1H-[1,2,4] 트라이아졸 -3,5- 다이아민 (화합물 16)
Figure pct00073
N *5* -(4- 브로모 -3,5- 다이클로로 - 페닐 )-1-(4- 메톡시 -벤질)-N *3* ,N *3* - 다이메틸 -1H-[1,2,4]트라이아졸-3,5- 다이아민
Figure pct00074
25 mL 둥근 병에서, 5-브로모-1-(4-메톡시벤질)-N,N-다이메틸-1H-1,2,4-트라이아졸-3-아민(1 g, 3.21 mmol, 당량: 1.00)을 DMF(18.4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4-브로모-3,5-다이클로로아닐린(774 mg, 3.21 mmol, 당량: 1.00) 및 나트륨 2-메틸프로판-2-올레이트(618 mg, 6.43 mmol, 당량: 2.00)를 첨가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질소에 의해 5분 동안 탈기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85℃로 밤새 질소하에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H2O(20 mL)로 희석하고, EtOAc(30x2 mL)를 첨가하여 생성물을 추출하고,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하고, 용액을 농축하고, 화합물을 컬럼(헥산/EtOAc = 70/30)으로 정제하여 화합물(40 mg, 3%)을 수득하였다. MH+ 472.0
N *3* -(4- 브로모 -3,5- 다이클로로 - 페닐 )-N *5* ,N *5* - 다이메틸 -1H-[1,2,4] 트라이아졸 -3,5- 다이아민 (화합물 16)
Figure pct00075
10 mL 둥근 병에서, N*5*-(4-브로모-3,5-다이클로로-페닐)-1-(4-메톡시-벤질)-N*3*,N*3*-다이메틸-1H-[1,2,4]트라이아졸-3,5-다이아민(55 mg, 117 μmol, 당량: 1.00)을 TFA(5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65℃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한 후에, EtOAc(30 mL)로 희석하였다. 용액을 포화 NaHCO3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휘발물을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화합물을 분취 TLC로 단리하여 회백색 고체(15 mg, 37%)를 수득하였다. MH+ 351.9
실시예 17
(1H-[1,2,4] 트라이아졸 -3-일)-(3,4,5- 트라이클로로 - 페닐 )-아민(화합물 17)
Figure pct00076
5- 브로모 -1-(4- 메톡시 -벤질)-1H-[1,2,4] 트라이아졸
Figure pct00077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서, 3-브로모-1H-1,2,4-트라이아졸(3 g, 20.3 mmol, 당량: 1.00), 1-(클로로메틸)-4-메톡시벤젠(3.18 g, 20.3 mmol, 당량: 1) 및 N-에틸-N-이소프로필프로판-2-아민(5.24 g, 40.6 mmol, 당량: 2)을 아세토니트릴(101 ml)과 합하여 옅은 황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요오드화 칼륨(1.68 g, 10.1 mmol, 당량: 0.5)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가열하여 2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혼합물을 냉각하고 물(50 mL)에 붓고 EtOAc(3x50 mL)로 추출하고, 합한 추출물을 물(50 mL) 및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여 미가공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 = 70/30)로 정제하여 오일(1.1 g, 20%)을 수득하였다.
[2-(4- 메톡시 -벤질)-2H-[1,2,4] 트라이아졸 -3-일]-(3,4,5- 트라이클로로 - 페닐 )-아민
Figure pct00078
25 mL 둥근 병에서, 5-브로모-1-(4-메톡시벤질)-1H-1,2,4-트라이아졸(200 mg, 746 μmol, 당량: 1.00)을 DMF(9.18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3,4,5-트라이클로로아닐린(147 mg, 746 μmol, 당량: 1.00) 및 나트륨 2-메틸프로판-2-올레이트(143 mg, 1.49 mmol, 당량: 2.00)를 첨가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질소에 의해 5분 동안 탈기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85℃로 밤새 질소하에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H2O(20 mL)로 희석하고, 에터(30x2 mL)를 첨가하여 생성물을 추출하고,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하고, 용액을 농축하고, 화합물을 컬럼(헥산/EtOAc = 70/30)으로 정제하여 화합물(60 mg, 21%)을 수득하였다. MH+ 385.0
(1H-[1,2,4] 트라이아졸 -3-일)-(3,4,5- 트라이클로로 - 페닐 )-아민(화합물 17)
Figure pct00079
10 mL 둥근 병에서, [2-(4-메톡시-벤질)-2H-[1,2,4]트라이아졸-3-일]-(3,4,5-트라이클로로-페닐)-아민(60 mg, 156 μmol, 당량: 1.00)을 TFA(5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65℃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한 후에, EtOAc(30 mL)로 희석하였다. 용액을 포화 NaHCO3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휘발물을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화합물을 분취 TLC로 단리하여 회백색 고체(18 mg, 44%)를 수득하였다. MH+ 264.8
실시예 18
(4- 브로모 -3,5- 다이클로로 - 페닐 )-(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18)
Figure pct00080
(4- 브로모 -3,5- 다이클로로 - 페닐 )-[2-(4- 메톡시 -벤질)-2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
Figure pct00081
1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서, 나트륨 2-메틸프로판-2-올레이트(108 mg, 1.12 mmol, 당량: 1.5), 3-브로모-1-(4-메톡시벤질)-1H-1,2,4-트라이아졸(200 mg, 746 μmol, 당량: 1.00) 및 4-브로모-3,5-다이클로로아닐린(180 mg, 746 μmol, 당량: 1.00)을 DMF(3 ml)와 합하여 짙은 갈색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질소에 의해 5분 동안 탈기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85℃로 밤새 질소하에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H2O(20 mL)로 희석하고, 에터(30x2 mL)를 첨가하여 생성물을 추출하고,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하고, 용액을 농축하고, 화합물을 컬럼(헥산/EtOAc = 70/30)으로 정제하여 화합물(58 mg, 18%)을 수득하였다. MH+ 429.0
(4- 브로모 -3,5- 다이클로로 - 페닐 )-(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18)
Figure pct00082
10 mL 둥근 병에서, (4-브로모-3,5-다이클로로-페닐)-[2-(4-메톡시-벤질)-2H-[1,2,4]트라이아졸-3-일]-아민(58 mg, 135 μmol, 당량: 1.00)을 TFA(5.00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65℃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한 후에, EtOAc(30 mL)로 희석하였다. 용액을 포화 NaHCO3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휘발물을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화합물을 분취 TLC로 단리하여 회백색 고체(15 mg, 36%)를 수득하였다. MH+ 308.8
실시예 19
N *3* -(3,5- 다이클로로 - 페닐 )-N *5* - 메틸 -1H-[1,2,4] 트라이아졸 -3,5- 다이아민 (화합물 19)
Figure pct00083
(4- 메톡시 -벤질)-[2-(4- 메톡시 -벤질)-5-니트로-2H-[1,2,4] 트라이아졸 -3-일]-메틸-아민
Figure pct00084
10 mL 밀폐된 관에, 5-브로모-1-(4-메톡시벤질)-3-니트로-1H-1,2,4-트라이아졸(1 g, 3.19 mmol, 당량: 1.00) 및 1-(4-메톡시페닐)-N-메틸메탄아민(966 mg, 6.39 mmol, 당량: 2.00)을 합하고, 혼합물을 150℃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냉각하고, CH2Cl2(50 mL)를 첨가하고 H2O(50 mL) 및 염수(50 mL)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휘발물을 감압하에 제거하여 미가공 생성물(1.15 g, 94% 미가공물)을 수득하였다. MH+ 490.3
1,N *5* - 비스 -(4- 메톡시 -벤질)-N *5* - 메틸 -1H-[1,2,4] 트라이아졸 -3,5- 다이아민
Figure pct00085
100 mL 둥근 병에서, N,1-비스(4-메톡시벤질)-N-메틸-3-니트로-1H-1,2,4-트라이아졸-5-아민(1100 mg, 2.87 mmol, 당량: 1.00) 및 아연(938 mg, 14.3 mmol, 당량: 5.00)을 포화 NH4Cl 수용액/THF(1:1)의 용액(60.0 ml)과 합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혼합물을 CH2Cl2(50 mLx2)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휘발물을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단리하여 옅은 황색 고체(0.95 g, 94%)를 수득하였다. MH+ 354.1
N *3* -(3,5- 다이클로로 - 페닐 )-1,N *5* - 비스 -(4- 메톡시 -벤질)-N *5* - 메틸 -1H-[1,2,4]트라이아졸-3,5- 다이아민
Figure pct00086
25 mL 밀폐된 관에서, 나트륨 tert-부톡사이드(97.9 mg, 1.02 mmol, 당량: 1.20), 비스(다이벤질리덴아세톤)팔라듐(48.8 mg, 84.9 μmol, 당량: 0.1) 및 2-다이-tert-부틸포스피노-2',4',6'-트라이이소프로필바이페닐(36.0 mg, 84.9 μmol, 당량: 0.1)을 톨루엔(5 mL)과 합하여 짙은 갈색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N5,1-비스(4-메톡시벤질)-N5-메틸-1H-1,2,4-트라이아졸-3,5-다이아민(300 mg, 849 μmol, 당량: 1.00) 및 1-브로모-3,5-다이클로로벤젠(230 mg, 1.02 mmol, 당량: 1.20)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아르곤으로 15분 동안 탈기한 후에, 110℃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EtOAc(50 mL)로 희석하고 H2O(25 mL) 및 염수(25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휘발물을 감압하에 제거하여 오일을 수득하고, 이로부터 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 = 70/30)로 정제하여 회백색 고체(140 mg, 33%)를 수득하였다. MH+ 498.2
N *3* -(3,5- 다이클로로 - 페닐 )-N *5* - 메틸 -1H-[1,2,4] 트라이아졸 -3,5- 다이아민 (화합물 19)
Figure pct00087
10 mL 둥근 병에서, N*3*-(3,5-다이클로로-페닐)-1,N*5*-비스-(4-메톡시-벤질)-N*5*-메틸-1H-[1,2,4]트라이아졸-3,5-다이아민(140 mg, 281 μmol, 당량: 1.00)을 TFA(5.00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65℃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한 후에, EtOAc(30 mL)로 희석하였다. 용액을 포화 NaHCO3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휘발물을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화합물을 분취 TLC로 단리하여 회백색 고체(30 mg, 41%)를 수득하였다. MH+ 257.8
실시예 20
2,6- 다이클로로 -4-(1H-[1,2,4] 트라이아졸 -3- 일아미노 )- 벤조니트릴 (화합물 20)
Figure pct00088
2,6- 다이클로로 -4-[2-(4- 메톡시 -벤질)-2H-[1,2,4] 트라이아졸 -3- 일아미노 ]- 벤조니트릴
Figure pct00089
25 mL 둥근 병에서, 5-브로모-1-(4-메톡시벤질)-1H-1,2,4-트라이아졸(250 mg, 932 μmol, 당량: 1.00)을 DMF(5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나트륨 2-메틸프로판-2-올레이트(179 mg, 1.86 mmol, 당량: 2.00) 및 4-아미노-2,6-다이클로로벤조니트릴(349 mg, 1.86 mmol, 당량: 2.00)을 첨가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질소에 의해 5분 동안 탈기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85℃로 밤새 질소하에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H2O(20 mL)로 희석하고, 에터(30x2 mL)를 첨가하여 생성물을 추출하고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하고, 용액을 농축하고, 화합물을 컬럼(헥산/EtOAc = 70/30)으로 정제하여 화합물(70 mg, 20%)을 수득하였다. MH+ 374.0
2,6- 다이클로로 -4-(1H-[1,2,4] 트라이아졸 -3- 일아미노 )- 벤조니트릴 (화합물 20)
Figure pct00090
10 mL 둥근 병에서, 2,6-다이클로로-4-[2-(4-메톡시-벤질)-2H-[1,2,4]트라이아졸-3-일아미노]-벤조니트릴(70 mg, 187 μmol, 당량: 1.00)을 TFA(5.00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65℃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한 후에, EtOAc(30 mL)로 희석하였다. 용액을 포화 NaHCO3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휘발물을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화합물을 분취 TLC로 단리하여 회백색 고체(35 mg, 74%)로 수득하였다. MH+ 253.8
실시예 21
4-(5- 메틸아미노 -1H-[1,2,4] 트라이아졸 -3- 일아미노 )-2- 트라이플루오로메틸 -벤조니트릴(화합물 21)
Figure pct00091
4-{1-(4- 메톡시 -벤질)-5-[(4- 메톡시 -벤질)- 메틸 -아미노]-1H-[1,2,4] 트라이아졸 -3- 일아미노 }-2- 트라이플루오로메틸 - 벤조니트릴
Figure pct00092
25 mL 밀폐된 관에, 나트륨 2-메틸프로판-2-올레이트(81.6 mg, 849 μmol, 당량: 1.00), 비스(다이벤질리덴아세톤)팔라듐(48.8 mg, 84.9 μmol, 당량: 0.1) 2-다이-tert-부틸포스피노-2',4',6'-트라이이소프로필바이페닐(36.0 mg, 84.9 μmol, 당량: 0.1)을 톨루엔(5.00 ml)과 합하여 짙은 갈색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N5,1-비스(4-메톡시벤질)-N5-메틸-1H-1,2,4-트라이아졸-3,5-다이아민(300 mg, 849 μmol, 당량: 1.00) 및 4-브로모-2-(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조니트릴(212 mg, 849 μmol, 당량: 1.00)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아르곤으로 15분 동안 탈기한 후에, 110℃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EtOAc(50 mL)로 희석하고 H2O(25 mL) 및 염수(25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휘발물을 감압하에 제거하여 오일을 수득하고, 이로부터 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 = 70/30)로 정제하여 회백색 고체(110 mg, 25%)를 수득하였다. MH+ 523.1
4-(5- 메틸아미노 -1H-[1,2,4] 트라이아졸 -3- 일아미노 )-2- 트라이플루오로메틸 -벤조니트릴(화합물 21)
Figure pct00093
10 mL 둥근 병에서, 4-{1-(4-메톡시-벤질)-5-[(4-메톡시-벤질)-메틸-아미노]-1H-[1,2,4]트라이아졸-3-일아미노}-2-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조니트릴(110 mg, 211 μmol, 당량: 1.00)을 TFA(5.00 mL)와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65℃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한 후에, EtOAc(30 mL)로 희석하였다. 용액을 포화 NaHCO3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휘발물을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화합물을 분취 TLC로 단리하여 회백색 고체(45 mg, 76%)를 수득하였다. MH+ 282.9
실시예 22
(3,5- 다이클로로 - 페닐 )-(5- 트라이플루오로메틸 -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22)
Figure pct00094
1-(3,5- 다이클로로 - 페닐 )-3-(2,2,2- 트라이플루오로 -아세틸)- 티오우레아
Figure pct00095
0℃에서 다이클로로메탄(13.2 g, 10.0 ml, 155 mmol, 당량: 34.4) 중의 1-(3,5-다이클로로페닐)티오우레아(1 g, 4.52 mmol, 당량: 1.00)의 용액에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9.37 g, 6.3 ml, 44.6 mmol, 당량: 9.86)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점진적으로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크로마토그래피(80 g 아나로직스, 100% 헥산 → 10% EtOAc/헥산)하여 목적 생성물(952 mg, 64%)을 옅은 갈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N-[3-(3,5- 다이클로로 - 페닐 )-[1,3] 티아제티딘 -(2Z)- 일리덴 ]-2,2,2- 트라이플루오로 - 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96
아세톤 중의 N-(3,5-다이클로로페닐카마보티오일)-2,2,2-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399 mg, 1.26 mmol, 당량: 1.00), 다이요오도메탄(996 mg, 300 μl, 3.72 mmol, 당량: 2.96) 및 트라이에틸아민(381 mg, 525 μl, 3.77 mmol, 당량: 2.99)의 용액을 환류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고 크로마토그래피(40 g 아나로직스 100% 헥산 → 10% EtOAc/헥산)하여 목적 생성물(55 mg, 13%)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3,5- 다이클로로 - 페닐 )-(5- 트라이플루오로메틸 -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22)
Figure pct00097
아세토니트릴(3.93 g, 5 mL, 95.7 mmol, 당량: 233) 중의 (Z)-N-(3-(3,5-다이클로로페닐)-1,3-티아제티딘-2-일리덴)-2,2,2-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135 mg, 410 μmol, 당량: 1.00) 및 하이드라진(131 mg, 129 μL, 4.1 mmol, 당량: 10)의 용액을 7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미가공 잔사를 분취 TLC(5% MeOH/DCM)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44 mg, 36%)을 황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 NMR (300MHz, DMSO) δ: 13.80 (s, 1H), 10.15 (s, 1H), 7.56 (d, J = 2 Hz, 2H), 7.10 (m, 1H) ppm
실시예 23
(1-벤질-1H-[1,2,4] 트라이아졸 -3-일)-(3,5- 다이클로로 - 페닐 )-아민(화합물 23)
Figure pct00098
1-벤질-1H-[1,2,4] 트라이아졸 -3- 일아민 ,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염; 2-벤질-2H-[1,2,4]트라이아졸-3- 일아민 ,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Figure pct00099
MeOH 중의 메톡사이드(24.0 ml, 12.0 mmol, 당량: 1.01)의 용액에 1H-1,2,4-트라이아졸-5-아민(1.002 g, 11.9 mmol, 당량: 1.00)을 첨가하였다. 트라이아졸을 완전히 용해시킬 때까지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농축하여 주황색 오일을 수득하고, 이를 DMF(13 mL)에 재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브로모메틸)벤젠(2.04 g, 1.42 ml, 11.9 mmol, 당량: 1.00)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아르곤 대기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잔사(고체/오일)를 고온의 CHCl3로 마쇄하고 여과하였다. 질소 스트림하에 농축하고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역상, 물 중 5 내지 100% 아세토니트릴(각각 0.1% TFA 함유))를 다중 실행하여 정제하였다. 각각의 실행으로부터 용리된 주요 구성성분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였다. 질소 스트림하에 농축하여 목적 생성물(0.987 g)을 40:60 비로 수득하였다.
(1-벤질-1H-[1,2,4] 트라이아졸 -3-일)-(3,5- 다이클로로 - 페닐 )-아민(화합물 23)
Figure pct00100
1-벤질-1H-1,2,4-트라이아졸-5-아민 2,2,2-트라이플루오로아세테이트(이성질성 혼합물)(292 mg, 1.01 mmol, 당량: 1.24), 1-브로모-3,5-다이클로로벤젠(185 mg, 819 μmol, 당량: 1.00), 나트륨 tert-부톡사이드(341 mg, 3.55 mmol, 당량: 4.33), 트리스(다이벤질리덴아세톤)다이팔라듐(0)(18.7 mg, 20.5 μmol, 당량: 0.025) 및 2-다이-tert-부틸포스피노-2',4',6'-트라이이소프로필바이페닐(34.8 mg, 81.9 μmol, 당량: 0.10)의 혼합물을 2 내지 5 mL 마이크로파 용기에 두었다. 용기를 밀폐하였다. 시스템을 진공화하고 질소로 재 충전하였다(2x). 톨루엔을 첨가하고 오일 배쓰에서 11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건조하고(Na2SO4) 셀라이트 상에 농축하였다. 미가공 물질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SF40-80g, 헥산 중 25 내지 50% EtOAc)로 정제하여 2개의 주요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보다 극성인 분획이 목적 생성물(116 mg)이었고, 이를 메탄올로 마쇄하고 여과하고 에터로 헹궈 목적 생성물(42 mg, 16%)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덜 극성인 분획을 이성질성 생성물, (2-벤질-2H-[1,2,4]트라이아졸-3-일)-(3,5-다이클로로-페닐)-아민으로 결정하였다.
MS m/z 319 [M+H]
실시예 24
(2-벤질-2H-[1,2,4] 트라이아졸 -3-일)-(3,5- 다이클로로 - 페닐 )-아민(화합물 24)
Figure pct00101
1-벤질-1H-1,2,4-트라이아졸-5-아민 2,2,2-트라이플루오로아세테이트(이성질성 혼합물)(292 mg, 1.01 mmol, 당량: 1.24), 1-브로모-3,5-다이클로로벤젠(185 mg, 819 μmol, 당량: 1.00), 나트륨 tert-부톡사이드(341 mg, 3.55 mmol, 당량: 4.33), 트리스(다이벤질리덴아세톤)다이팔라듐(0)(18.7 mg, 20.5 μmol, 당량: 0.025) 및 2-다이-tert-부틸포스피노-2',4',6'-트라이이소프로필바이페닐(34.8 mg, 81.9 μmol, 당량: 0.10)의 혼합물을 2 내지 5 mL 마이크로파 용기에 두었다. 용기를 밀폐하였다. 시스템을 진공화하고 질소로 재충전하였다(2x). 톨루엔을 첨가한 후에, 오일 배쓰에서 11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건조하고(Na2SO4) 셀라이트 상에 농축하였다. 미가공 물질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SF40-80g, 헥산 중 25 내지 50% EtOAc)로 정제하여 2개의 주요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덜 극성인 분획이 무색 오일로서 목적 생성물(42 mg, 16%), (2-벤질-2H-[1,2,4]트라이아졸-3-일)-(3,5-다이클로로-페닐)-아민이었다. 보다 극성인 분획이 이성질성 생성물, (1-벤질-1H-[1,2,4]트라이아졸-3-일)-(3,5-다이클로로-페닐)-아민이었다.
MS m/z 319 [M+H]
실시예 25
(3,5- 다이클로로 - 페닐 )-(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25)
Figure pct00102
2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서, 1-벤질-N-(3,5-다이클로로페닐)-1H-1,2,4-트라이아졸-3-아민(화합물 23, 0.208 g, 652 μmol, 당량: 1.00)을 MeOH(30 mL)와 합하여 옅은 황색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염화 수소(다이옥산 중)(6.5 mL, 26.0 mmol, 당량: 39.9)를 첨가하였다. 고체가 신속히 용액이 되어 옅은 황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시스템을 진공화하고 질소로 재충전하였다(2x). 탄소 상의 팔라듐(340 mg, 319 μmol, 당량: 0.490)을 첨가하였다. 시스템을 진공화하고 질소로 재충전한 후에, 진공화하고 수소로 재충전하였다(2x). 밤새 실온에서 수소 대기하에 교반하였다. LCMS는 16시간 후 불완전한 전환을 지시하였다. 추가적 촉매(0.215 g)를 첨가하고 수소로 재충전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LCMS는 38시간의 총 반응 시간 후 거의 완전한 전환을 지시하였다. 전체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의 베드를 통해 여과하고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잔사를 EtOAc와 물 사이에 분배하고 포화 NaHCO3로 중화시켰다.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셀라이트 상에 농축하였다. 미가공 물질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SF25-40g, 헥산 중 50 내지 100% EtOAc)로 정제하여 적은 불순물을 갖는 목적 생성물(55 mg)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크로마토그래피한 물질을 에터/헥산으로 마쇄하였다. 고체를 수집하고 가열하면서 하우스 진공하에 건조하여 목적 생성물(43 mg, 29%)을 회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MS m/z 229 [M+H]
실시예 26
(2-벤질-2H-[1,2,4] 트라이아졸 -3-일)-(3,5- 다이클로로 -4- 플루오로 - 페닐 )-아민(화합물 26)
Figure pct00103
1-벤질-5- 브로모 -1H-[1,2,4] 트라이아졸
Figure pct00104
5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서, 5-브로모-1H-1,2,4-트라이아졸(0.685 g, 4.63 mmol, 당량: 1.00)을 MeOH 중 0.5 M 나트륨 메톡사이드(9.26 ml, 4.63 mmol, 당량: 1.00)와 합하여 옅은 황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용액을 5 내지 10분 동안 교반한 후에 농축하였다. 고체 잔사를 DMF(5.00 ml)에 용해시키고, (브로모메틸)벤젠(792 mg, 550 μl, 4.63 mmol, 당량: 1.00)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질소 대기하에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2x) 및 염수(1x)로 세척하였다. 각각의 수상을 EtOAc로 역세척하였다. 2개의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셀라이트 상에 농축하였다. 미가공 물질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SF25-40g, 헥산 중 25 내지 50% EtOAc)로 정제하여 2개의 주요 구성성분을 수득하였다. 덜 극성인 분획을 목적 생성물, 1-벤질-5-브로모-1H-1,2,4-트라이아졸(0.197 g, 827 μmol, 17.9 % 수율)로 결정하였다. 보다 극성인 분획을 화합물 27의 절차에 기재된 이성질체, 1-벤질-3-브로모-1H-1,2,4-트라이아졸(0.612 g, 2.57 mmol, 55.5 % 수율)로 결정하였다.
(2-벤질-2H-[1,2,4] 트라이아졸 -3-일)-(3,5- 다이클로로 -4- 플루오로 - 페닐 )-아민(화합물 26)
Figure pct00105
10 내지 20 mL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1-벤질-5-브로모-1H-1,2,4-트라이아졸(170 mg, 714 μmol, 당량: 1.00), 3,5-다이클로로-4-플루오로아닐린(154 mg, 857 μmol, 당량: 1.20), 나트륨 tert-부톡사이드(230 mg, 2.39 mmol, 당량: 3.35), 트리스(다이벤질리덴아세톤)다이팔라듐(0)(16.8 mg, 18.3 μmol, 당량: 0.0257) 및 다이-tert-부틸(2',4',6'-트라이이소프로필바이페닐-2-일)포스핀(32.9 mg, 77.5 μmol, 당량: 0.109)을 합하였다. 시스템을 진공화하고 질소로 재충전하였다. 톨루엔(2.0 ml)을 첨가하여 짙은 적색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10℃로 가열하고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와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제거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셀라이트 상에 농축하였다. 미가공 물질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SF15-24g, 헥산 20 내지 50% EtOAc, 9분)를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 및 불순물을 함유하는 갈색 오일성 잔사(47 mg)를 수득하였다. 이어서, 이 물질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선파이어 프렙(Sunfire Prep) C18 OBD [5 uM; 30x100 mm], 물 중 40 내지 95% 아세토니트릴(각각 0.1% 폼산 함유))를 다중 실행하여 재정제하였다. 각각의 실행의 분획을 함유하는 생성물을 합하고 농축한 후에 냉동 건조하였다. 냉동 건조된 물질을 EtOAc에 용해시키고 포화 중탄산 나트륨(중화시키기 위함)으로 추출한 후에 물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건조하고(Na2SO4) 농축하였다. 잔사를 아세토니트릴-물에 용해시키고 냉동 건조하여 목적 생성물(37 mg, 15%)을 회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MS m/z 337 [M+H]
실시예 27
(1-벤질-1H-[1,2,4] 트라이아졸 -3-일)-(3,5- 다이클로로 -4- 플루오로 - 페닐 )-아민(화합물 27)
Figure pct00106
1-벤질-3- 브로모 -1H-[1,2,4] 트라이아졸
Figure pct00107
5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서, 5-브로모-1H-1,2,4-트라이아졸(0.685 g, 4.63 mmol, 당량: 1.00)을 MeOH 중의 0.5 M 나트륨 메톡사이드(9.26 ml, 4.63 mmol, 당량: 1.00)와 합하여 옅은 황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용액을 5 내지 10분 동안 교반한 후에, 농축하였다. 고체 잔사를 DMF(5.00 ml)에 용해시키고, (브로모메틸)벤젠(792 mg, 550 μl, 4.63 mmol, 당량: 1.00)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질소 대기하에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2x) 및 염수(1x)로 세척하였다. 각각의 수상을 EtOAc로 역세척하였다. 2개의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셀라이트 상에 농축하였다. 미가공 물질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SF25-40g, 헥산 중 25 내지 50% EtOAc)로 정제하여 2개의 주요 구성성분을 수득하였다. 보다 극성인 분획을 목적 생성물, 1-벤질-3-브로모-1H-1,2,4-트라이아졸(0.612 g, 2.57 mmol, 55.5 % 수율)로 결정하였다. 덜 극성인 분획을 화합물 26의 절차에 기재된 이성질성 생성물, 1-벤질-5-브로모-1H-1,2,4-트라이아졸로 결정하였다.
(1-벤질-1H-[1,2,4] 트라이아졸 -3-일)-(3,5- 다이클로로 -4- 플루오로 - 페닐 )-아민(화합물 27)
Figure pct00108
10 내지 20 mL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1-벤질-3-브로모-1H-1,2,4-트라이아졸(217 mg, 911 μmol, 당량: 1.00), 3,5-다이클로로-4-플루오로아닐린(228 mg, 1.27 mmol, 당량: 1.39), 나트륨 tert-부톡사이드(308.6 mg, 3.21 mmol, 당량: 3.52), 트리스(다이벤질리덴아세톤)다이팔라듐(0)(21.1 mg, 23.0 μmol, 당량: 0.0253) 및 다이-tert-부틸(2',4',6'-트라이이소프로필바이페닐-2-일)포스핀(39.4 mg, 92.8 μmol, 당량: 0.102)을 합하였다. 시스템을 진공화하고 질소로 재충전하였다(2x). 이어서, 톨루엔(2.6 m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10℃로 가열하고 19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와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셀라이트 상에 농축하였다. 미가공 물질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SF25-40g, 헥산 중 25 내지 50% EtOAc)로 정제하고, 분획을 합하고 농축하고 마쇄하여 목적 생성물(55 mg, 18%)을 수득하였다. 제2크롭의 고체를 여과액으로부터 침전시켜 적은 불순물을 갖는 목적 생성물(28 mg, 9%)을 수득하였다. 모액을 합하고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역상, 선파이어 프렙 C18 OBD [5 uM; 30x100 mm], 물 중 50 내지 95% 아세토니트릴(각각 0.1% TFA 함유))를 다중 실행하여 정제하였다. 각각의 실행으로부터 생성물-함유 분획을 합하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EtOAc에 용해시키고 포화 NaHCO3로 세척하여 TFA를 중화시켰다. 유기상을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고체 잔사를 에터로 마쇄하고, 고체를 여과하고 건조하여 목적 생성물(21 mg, 7%)을 수득하였다.
MS m/z 337 [M+H]
실시예 28
(3,5- 다이클로로 -4- 플루오로 - 페닐 )-(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28)
Figure pct00109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를 1-벤질-N-(3,5-다이클로로-4-플루오로페닐)-1H-1,2,4-트라이아졸-3-아민(화합물 27, 113 mg, 335 μmol, 당량: 1.00)으로 충전하였다. 메탄올(15.0 ml)을 첨가하여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염화 수소(다이옥산 중)(3.35 ml, 13.4 mmol, 당량: 40) 용액을 첨가하고, 고체가 신속히 용액이 되었다. 이 용액을 진공화하고 질소로 재충전하였다(2x). 탄소 상의 팔라듐(187 mg, 176 μmol, 당량: 0.524)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진공화하고 질소로 재충전한 후에, 수소로 재충전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수소 대기하에 교반하였다. LCMS는 불완전한 전환을 지시하였다. 추가적 촉매(83 mg)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진공화하고 수소로 재충전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LCMS는 생성물로의 추가적 전환을 지시하였으나 불완전한 반응이었다. 수소로 재충전하고 추가적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는 반응이 완료됨을 보여주었다. 전체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의 베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잔사를 EtOAc와 물 사이에 분배한 후에, 포화 중탄산 나트륨으로 중화시켰다. 유기상을 제거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하고(Na2SO4) 셀라이트 상에 농축하였다. 미가공 물질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SF15-24g, 헥산 중 50 내지 100% EtOAc)로 정제하였다. 정제된 생성물을 아세토니트릴-물에 용해시키고 냉동 건조하여 목적 생성물(26 mg, 32%)을 회백색 생성물로 수득하였다.
MS m/z 247 [M+H]
실시예 29
N-(1-벤질-1H-[1,2,4] 트라이아졸 -3-일)-벤젠-1,3- 다이아민 (화합물 29)
Figure pct00110
1-벤질-3- 브로모 -1H-[1,2,4] 트라이아졸
Figure pct00111
25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서, 5-브로모-1H-1,2,4-트라이아졸(0.207 g, 1.4 mmol, 당량: 1.00)을 MeOH 중 나트륨 메톡사이드(2.8 mL, 1.4 mmol, 당량: 1.00)와 합하여 옅은 황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5분 동안 교반하고 농축하였다. 고체 잔사를 DMF(1.51 mL)에 용해시키고, (브로모메틸)벤젠(239 mg, 166 μL, 1.4 mmol, 당량: 1.00)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질소 대기하에 교반하였다. 약 10시간 후에, 반응 생성물을 EtOAc로 희석하였다. 이 유기상을 물(2x) 및 염수(1x)로 세척한 후에, 셀라이트 상에 농축하였다. 미가공 물질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SF15-24g, 헥산 중 25 내지 50% EtOAc)으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209 mg, 63%)을 수득하였다.
[3-(1-벤질-1H-[1,2,4] 트라이아졸 -3- 일아미노 )- 페닐 ]- 카밤산 tert -부틸 에스터
Figure pct00112
10 내지 20 mL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1-벤질-3-브로모-1H-1,2,4-트라이아졸(145.7 mg, 612 μmol, 당량: 1.00), tert-부틸 3-아미노페닐카바메이트(157.8 mg, 758 μmol, 당량: 1.24), 나트륨 tert-부톡사이드(176.5 mg, 1.84 mmol, 당량: 3.00), 트리스(다이벤질리덴아세톤)다이팔라듐(0)(14.0 mg, 15.3 μmol, 당량: 0.0250) 및 2-다이-tert-부틸포스피노-2',4',6'-트라이이소프로필바이페닐(26.7 mg, 62.8 μmol, 당량: 0.103)을 톨루엔(1.75 ml)과 합하여 적색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혼합물을 오일 배쓰에서 110℃에서 가열하고 신속하게 갈색이 되고 농후해졌다. 15시간 후에, 반응 생성물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와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층을 분리하였다. 수상을 추가적 EtOAc(2x)로 세척하였다. 각각의 유기상을 염수(1x)로 역세척하였다. 유기상을 합하고 셀라이트 상에 농축하였다. 미가공 물질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SF25-40g, 헥산 중 30 내지 100% EtOAc, 12분)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48 mg)을 수득하였다.
N-(1-벤질-1H-[1,2,4] 트라이아졸 -3-일)-벤젠-1,3- 다이아민 (화합물 29)
Figure pct00113
10 mL 배모양 플라스크에서, tert-부틸 3-(1-벤질-1H-1,2,4-트라이아졸-3-일아미노)페닐카바메이트(75.6 mg, 207 μmol, 당량: 1.00)를 다이옥산(2.0 ml)과 합하여 옅은 갈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염화 수소(다이옥산 중)(2.0 ml, 8.00 mmol, 당량: 38.7)를 첨가하고, 용액을 실온에서 질소 대기하에 교반하였다. 반응은 초기에 투명한 용액이었고, 이어서 고체가 용액으로부터 가라앉기 시작하였다. 4시간 후에, 반응은 거의 완전한 것으로 보였고, 이를 질소 스트림하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EtOAc와 물 사이에 분배한 후에, 포화 중탄산 나트륨으로 중화시켰다. 수상을 제거하고 EtOAc(2x)로 추출하였다. 각각의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3개의 유기상을 합하고 셀라이트 상에 농축하였다. 미가공 물질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SF15-12g, 헥산 중 30 내지 100% EtOAc, 7분)로 정제하여 불순물을 함유하는 목적 생성물(42 mg)을 수득하였다. 이 물질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로 다시 정제하였다. 생성물-함유 분획을 합하고 농축하고 냉동 건조하였다. 잔사를 EtOAc에 용해시키고 중탄산 나트륨으로 세척한 후에,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하고(Na2SO4) 농축하였다. 이어서, 잔사를 아세토니트릴-물에 용해시키고 냉동 건조하여 목적 생성물(10 mg, 18%)을 회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MS m/z 266 [M+H]
실시예 30
(2,6- 다이클로로 -피리딘-4-일)-(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30)
Figure pct00114
3- 브로모 -1-(4- 메톡시 -벤질)-1H-[1,2,4] 트라이아졸
Figure pct00115
10 내지 20 mL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5-브로모-1H-1,2,4-트라이아졸(0.734 g, 4.96 mmol, 당량: 1.00), 1-(클로로메틸)-4-메톡시벤젠(1.15 g, 1.00 mL, 7.37 mmol, 당량: 1.49) 및 N,N-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1.29 g, 1.74 mL, 9.96 mmol, 당량: 2.01)을 아세토니트릴(14.0 mL)과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요오드화 칼륨(424 mg, 2.55 mmol, 당량: 0.515)을 첨가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오일 배쓰에서 80℃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생성물은 황색아 된 후에, 갈색으로 짙어졌다. 추가적 고체는 용액으로부터 침전하는 것으로 보였다. 약 3시간 후에,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NOE에 의해 확인된 보다 극성의 구성성분으로서 목적 생성물(575 mg, 43%)을 수득하였다. 덜 극성인 구성성분(267 mg, 20%)을 위치 이성질체, 5-브로모-1-(4-메톡시-벤질)-1H-[1,2,4] 트라이아졸로 결정하였다.
(2,6- 다이클로로 -피리딘-4-일)-[1-(4- 메톡시 -벤질)-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
Figure pct00116
2 내지 5 mL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2,6-다이클로로피리딘-4-아민(121 mg, 742 μmol, 당량: 1.24), 나트륨 tert-부톡사이드(172 mg, 1.79 mmol, 당량: 3.00), 트리스(다이벤질리덴아세톤)다이팔라듐(0)(32.4 mg, 35.4 μmol, 당량: 0.0593) 및 다이-tert-부틸(2',4',6'-트라이이소프로필바이페닐-2-일)포스핀(62.2 mg, 146 μmol, 당량: 0.245)을 합하였다. 시스템을 진공화하고 질소로 재충전하였다(2x). 이어서, 톨루엔(1.66 ml) 중의 3-브로모-1-(4-메톡시벤질)-1H-1,2,4-트라이아졸(160 mg, 597 μmol, 당량: 1.00)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5분 동안 교반한 후에, 11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EtOAc와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하고 진공에서 셀라이트 상에 농축하였다. 미가공 물질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SF15-12g, 헥산 중 20 내지 100% EtOAc)로 정제하여 불순한 분획을 수득하였다. 생성물-함유 분획을 합하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공기에 개방하여 실온에서 가라앉혔다. 용매가 서서히 증발하였을 때, 고체가 침전하기 시작했다. 고체를 수집하고, 목적 생성물이 소량의 불순물로 오염된 것을 보였다. 모액을 셀라이트 상에 농축하고 다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SF15-24g, DCM 중 2 내지 5% MeOH)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150 mg, 72%)을 옅은 황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2,6- 다이클로로 -피리딘-4-일)-(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30)
Figure pct00117
10 내지 20 mL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2,6-다이클로로-N-(1-(4-메톡시벤질)-1H-1,2,4-트라이아졸-3-일)피리딘-4-아민(145 mg, 414 μmol, 당량: 1.00)을 TFA(8 mL)와 합하여 황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로 12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농축하였다. 잔사를 EtOAc에 취하고 포화 NaHCO3 및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하고(Na2SO4) 셀라이트 상에 농축하였다. 미가공 물질을 정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제1크로마토그래피한 후에 역상 HPLC하여 2,6-다이클로로-N-(1H-1,2,4-트라이아졸-3-일)피리딘-4-아민(50 mg, 217 μmol, 52.5 % 수율)을 수득하였다. 물질을 유사하게 제조된 생성물의 또다른 배취와 합하였다. 합한 로트를 EtOAc에 취하고 중탄산염으로 세척한 후에(TFA의 제거를 위함)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건조하고(Na2SO4) 농축하였다. 잔사를 고온의 EtOAc에 용해시키고 약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따뜻한 동안에, 용액을 면 플러그를 통해 여과하여 임의의 불용성 입자를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계속 냉각시키고, 고체는 용액으로부터 결정화하기 시작하였다. 혼합물을 작은 부피로 농축하고 헥산으로 희석하였다. 고체를 여과로 수집하고 EtOAc-헥산(약 1:1)로 세척하였다. 진공하에 80℃에서 밤새 건조하여 목적 생성물(58 mg, 60%)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MS m/z 230, 232 [M+H]
실시예 31
(3,5- 다이클로로 -4- 플루오로 - 페닐 )-(5- 모폴린 -4-일-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31)
Figure pct00118
3- 브로모 -1-(4- 메톡시 -벤질)-5-니트로-1H-[1,2,4] 트라이아졸
5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서, 5-브로모-3-니트로-1H-1,2,4-트라이아졸(4.00 g, 20.7 mmol, 당량: 1.00), 1-(클로로메틸)-4-메톡시벤젠(3.25 g, 2.81 ml, 20.7 mmol, 당량: 1.00) 및 N,N-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5.36 g, 7.24 ml, 41.5 mmol, 당량: 2.00)을 아세토니트릴(207 ml)과 합하여 황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요오드화 칼륨(1.72 g, 10.4 mmol, 당량: 0.50)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5℃로 가열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하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EtOAc(200 mL)에 취하고 물(100 mL) 및 염수(10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하고 진공에서 셀라이트 상에 농축하였다. 미가공 물질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실리사이클(Silicycle) 330 g, 헥산 중 0 내지 100% EtOAc)로 정제하여 덜 극성인 분획으로서 목적 생성물(1.61 g, 25%) 및 보다 극성인 분획으로서 이성질성 생성물 (5-브로모-1-(4-메톡시-벤질)-3-니트로-1H-[1,2,4]트라이아졸)(3.26 g, 50%)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19
4-[5- 브로모 -2-(4- 메톡시 -벤질)-2H-[1,2,4] 트라이아졸 -3-일]- 모폴린
Figure pct00120
2 내지 5 mL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3-브로모-1-(4-메톡시벤질)-5-니트로-1H-1,2,4-트라이아졸(199.1 mg, 636 μmol, 당량: 1.00) 및 모폴린(111 mg, 110 μl, 1.27 mmol, 당량: 2.00)을 THF(1.2 ml)와 합하여 황색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오일 배쓰에서 85℃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반응 용액을 EtOAc로 희석하였다. 물(1x) 및 염수(3x)로 세척하였다. 미가공 물질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SF15-12g, 헥산 중 20 내지 100% EtOAc)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120 mg, 53%)을 수득하였다.
(3,5- 다이클로로 -4- 플루오로 - 페닐 )-[1-(4- 메톡시 -벤질)-5- 모폴린 -4-일-1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Figure pct00121
2 내지 5 mL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4-(3-브로모-1-(4-메톡시벤질)-1H-1,2,4-트라이아졸-5-일)모폴린(133.5 mg, 378 μmol, 당량: 1.00), 3,5-다이클로로-4-플루오로아닐린(81.6 mg, 454 μmol, 당량: 1.20), 나트륨 tert-부톡사이드(109 mg, 1.13 mmol, 당량: 3.00), 트리스(다이벤질리덴아세톤)다이팔라듐(0)(20.8 mg, 22.7 μmol, 당량: 0.06) 및 다이-tert-부틸(2',4',6'-트라이이소프로필바이페닐-2-일)포스핀(38.5 mg, 90.7 μmol, 당량: 0.24)을 합하였다. 시스템을 진공화하고 질소로 재충전하였다(2x). 이어서, 톨루엔(1.08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5분 동안 교반한 후에, 85℃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EtOAc와c와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제거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하고(Na2SO4) 셀라이트 상에 농축하였다. 미가공 물질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SF15-24g, 헥산 중 20 내지 100% EtOAc)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90 mg, 53%)을 수득하였다.
(3,5- 다이클로로 -4- 플루오로 - 페닐 )-(5- 모폴린 -4-일-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31)
Figure pct00122
1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서, N-(3,5-다이클로로-4-플루오로페닐)-1-(4-메톡시벤질)-5-모폴리노-1H-1,2,4-트라이아졸-3-아민(85.1 mg, 188 μmol, 당량: 1.00)을 TFA(1.50 ml)와 합하여 옅은 갈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5℃로 가열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후에, 미가공 반응 혼합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선파이어 프렙 C18 OBD [5 uM; 30x100 mm], 물 중 5 내지 95% 아세토니트릴(각각 0.1% TFA 함유))로 직접 정제하였다. 생성물-함유 분획을 합하고 농축하고 밤새 냉동 건조하였다. 냉동 건조된 물질을 EtOAc에 용해시키고 포화 NaHCO3로 세척한 후에(유리 염기의 형성을 위함)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건조하고(Na2SO4) 필름으로 농축하였다. 에터를 첨가하고, 플라스크 벽 위의 필름을 신속히 고화시켰다. 고체를 수집하고 진공에서 80℃에서 10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NMR은 에터의 전체 몰이 여전히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고체를 아세토니트릴-물에 재용해시키고 냉동 건조하여 목적 생성물(24 mg, 38%)을 회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MS m/z 332, 334 [M+H]
실시예 32
(3,5- 다이클로로 - 페닐 )-(5-이소프로필-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32)
Figure pct00123
1-(3,5- 다이클로로 - 페닐 )-3- 이소부티릴 - 티오우레아
Figure pct00124
25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서, 암모늄 티오시아네이트(587 mg, 7.72 mmol, 당량: 1.25)를 아세톤(5 mL)과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이소부티릴 클로라이드(822 mg, 815 μL, 7.72 mmol, 당량: 1.25)를 첨가하였다. 백색 고체는 용액으로부터 즉시 가라앉기 시작했고, 혼합물은 매우 농후해졌다. 실온에서 질소하에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여과하여 고체를 제거하고 아세톤(2 mL)으로 세척하였다. 황색 여과액을 아세톤(3 mL) 중의 3,5-다이클로로아닐린(1.00 g, 6.17 mmol, 당량: 1.00)의 무색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은 황색이었고 약간 탁했다. 가열하여 6.5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한 후에, 셀라이트 상에 농축하였다. 미가공 물질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SF25-40g, 헥산 중 0 내지 20% EtOAc)로 정제하여 불순한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헥산 중 13% EtOAc 동용매 시스템을 사용하여 추가적 정제하였다. 각각의 크로마토그래피의 순수한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농축하여 목적 생성물(1.53 g, 85%)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2-[(Z)-3,5- 다이클로로 - 페닐이미노 ]-[1,3] 티아제티딘 -3-일}-2- 메틸 -프로판-1-온
Figure pct00125
25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서, N-(3,5-다이클로로페닐카마보티오일)이소부티르아미드(0.512 g, 1.76 mmol, 당량: 1.00), 다이요오도메탄(1.41 g, 426 μL, 5.27 mmol, 당량: 3.00) 및 트라이에틸아민(534 mg, 735 μL, 5.27 mmol, 당량: 3.00)을 아세톤(7.5 mL)과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가열하여 환류하고 밤새 N2 대기하에 교반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여과하여 불용성 Et3N.HI 염을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고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SF25-40g, 헥산 중 10% EtOAc)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193 mg, 36%)을 수득하였다.
(3,5- 다이클로로 - 페닐 )-(5-이소프로필-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32)
Figure pct00126
10 내지 20 mL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Z)-1-(2-(3,5-다이클로로페닐이미노)-1,3-티아제티딘-3-일)-2-메틸프로판-1-온(190 mg, 627 μmol, 당량: 1.00)을 아세토니트릴(5.0 mL)과 합하여 무색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바이알을 캡핑하고 질소로 충전하였다. 하이드라진(204 mg, 200 μL, 6.37 mmol, 당량: 10.2)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5분 동안 교반하였다. 고체의 대부분은 용액이 되었다. 오일 배쓰에서 85 내지 9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였다. 미가공 물질을 초기에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SF15-24g, DCM 중 MeOH)로 정제하였으나, 정제가 성공적이지 못했다. 이어서, 제2크로마토그래피를 HPLC(역상, 선파이어 프렙 C18 OBD [5 uM; 30x100 mm], 물 중 5 내지 95% 아세토니트릴(각각 0.1% TFA 함유))로 다중 실행으로 수행하였다. 생성물-함유 분획을 합하고 냉동 건조하였다. 냉동 건조된 물질을 용해시키고 포화 NaHCO3으로 세척하여 임의의 TFA를 중화시키고 유리 염기를 형성하였다. 유기상을 건조하고(Na2SO4) 농축하였다. 잔사를 마쇄하고, 고체를 수집하여 건조하여 목적 생성물(69 mg, 40%)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MS m/z 271, 273 [M+H]
실시예 33
(3,5- 다이클로로 - 페닐 )-(5-이소부틸-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33)
Figure pct00127
1-(3,5- 다이클로로 - 페닐 )-3-(3- 메틸 - 부티릴 )- 티오우레아
Figure pct00128
25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서, 암모늄 티오시아네이트(587 mg, 7.72 mmol, 당량: 1.25)를 아세톤(5 mL)과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3-메틸부타노일 클로라이드(930 mg, 940 μL, 7.71 mmol, 당량: 1.25)를 첨가하였다. 백색 고체가 즉시 용액으로부터 침전하기 시작하였다. 1시간 후에, 현탁액을 여과하여 고체를 제거하고 아세톤(2 mL)으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아세톤(5 mL) 중의 3,5-다이클로로아닐린(1.0 g, 6.17 mmol, 당량: 1.00)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가열하여(오일 배쓰 온도는 70℃이었음) 6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SF25-40g, 헥산 중 10% EtOAc)로 정제하여 불순한 분획을 수득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40 g; 헥산 중 12% EtOAc)로 추가적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1.392 g, 74%)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2-[(Z)-3,5- 다이클로로 - 페닐이미노 ]-[1,3] 티아제티딘 -3-일}-3- 메틸 -부탄-1-온
Figure pct00129
10 내지 20 mL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N-(3,5-다이클로로페닐카마보티오일)-3-메틸부탄아미드(0.500 g, 1.64 mmol, 당량: 1.00), 다이요오도메탄(1.31 g, 395 μl, 4.9 mmol, 당량: 2.99) 및 트라이에틸아민(497 mg, 685 μl, 4.91 mmol, 당량: 3.00)을 아세톤(7.1 ml)과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5 내지 70℃로 가열하고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여과하여 Et3N.HI를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고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SF25-40g, 헥산 중 15% EtOAc)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235 mg, 45%)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3,5- 다이클로로 - 페닐 )-(5-이소부틸-1H-[1,2,4] 트라이아졸 -3-일)-아민(화합물 33)
Figure pct00130
10 내지 20 mL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Z)-1-(2-(3,5-다이클로로페닐이미노)-1,3-티아제티딘-3-일)-3-메틸부탄-1-온(0.324 g, 1.02 mmol, 당량: 1.00)을 아세토니트릴(8.0 mL)과 합하여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하이드라진(327 mg, 320 μL, 10.2 mmol, 당량: 9.98)을 첨가하였다. 바이알을 캡핑하고, 용기를 질소로 충전하였다. 고체가 용액이 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85 내지 90℃로 가열하고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색상이 무색에서 녹색으로 변하고, 다시 무색이 되었다. 실온으로 냉각하자마자, 백색 고체가 용액으로부터 가라앉았다. 고체를 수집하고 아세토니트릴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목적 생성물(228 mg, 78%)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MS m/z 285, 287 [M+H]
실시예 34
(5-벤질-1H-[1,2,4] 트라이아졸 -3-일)-(3,5- 다이클로로 - 페닐 )-아민(화합물 34)
Figure pct00131
1-(3,5- 다이클로로 - 페닐 )-3- 페닐아세틸 - 티오우레아
Figure pct00132
25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서, 암모늄 티오시아네이트(587 mg, 7.72 mmol, 당량: 1.25)를 아세톤(5 mL)과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2-페닐아세틸 클로라이드(1.17 g, 1.0 ml, 7.56 mmol, 당량: 1.23)를 첨가하였다. 백색 고체가 용액으로부터 즉시 침전하기 시작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5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현탁액을 여과하여 고체를 제거하고, 고체를 아세톤(3 mL)으로 세척하였다. 여과액 및 세척액을 아세톤(2 mL) 중의 3,5-다이클로로아닐린(1.00 g, 6.17 mmol, 당량: 1.00)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바이알을 캡핑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0℃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크로마토그래피하여 불순한 분획을 수득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추가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1.608 g, 77%)을 옅은 황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2-[(Z)-3,5- 다이클로로 - 페닐이미노 ]-[1,3] 티아제티딘 -3-일}-2- 페닐 - 에탄온
Figure pct00133
10 내지 20 mL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N-(3,5-다이클로로페닐카마보티오일)-2-페닐아세트아미드(0.500 g, 1.47 mmol, 당량: 1.00) 및 다이요오도메탄(1.2 g, 360 μL, 4.46 mmol, 당량: 3.03)을 아세톤(6.4 mL)과 합하여 무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트라이에틸아민(450 mg, 620 μL, 4.45 mmol, 당량: 3.02)을 첨가하였다. 주황색 반응 혼합물을 70℃로 가열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이 옅은 황색으로 옅어진 후에, 고체가 용액으로부터 침전하기 시작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하고 여과하여 Et3N.HI 염을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고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농축하고 에터로 마쇄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흡입하에 기건하여 목적 생성물(154 mg, 30%)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5-벤질-1H-[1,2,4] 트라이아졸 -3-일)-(3,5- 다이클로로 - 페닐 )-아민(화합물 34)
Figure pct00134
10 내지 20 mL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Z)-1-(2-(3,5-다이클로로페닐이미노)-1,3-티아제티딘-3-일)-2-페닐에탄온(152 mg, 433 μmol, 당량: 1.00) 및 하이드라진(139 mg, 136 μL, 4.33 mmol, 당량: 10.0)을 아세토니트릴(3.3 mL)과 합하였다. 혼합물을 오일 배쓰에서 9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여과하였다.
이어서, 고체 및 모액을 역상 HPLC로 다중 실행으로 정제하였다. 각각의 실행으로부터 생성물-함유 분획을 합하고 냉동 건조하였다.
생성된 고체, 필시 TFA 염을 EtOAc에 용해시키고 수성 NaHCO3로 세척하여 TFA를 중화시켰다. 이어서, 유기상을 중성 pH까지 물(3x)로 세척하고 건조하고(Na2SO4) 농축하였다. 고체 잔사를 아세토니트릴로 마쇄하였다. 고체를 수집하고 진공 오븐에서 100℃에서 4시간 동안 건조하여 목적 생성물(84 mg, 60%)을 백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MS m/z 319, 321 [M+H]
생물학적 실시예
위형화된 ( pseudotyped ) HCV 입자( HCVpp ) 리포터 분석을 사용한, 화합물의 HCV GT1b GT1a 도입 억제 활성 결정
위형화된 바이러스 입자의 생성을 위한 포유동물 발현 플라스미드
HCV 코어 단백질의 마지막 60개 아미노산 및 모든 HCV E1 및 E2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을 pcDNA3.1(+) 벡터 내로 클로닝함으로써, GT1a H77 균주(문헌[Proc Natl Acad Sci USA 1997 94:8738-43] 참조) 또는 GT1b Con1 균주(문헌[Science 1999 285:110-3] 참조)의 HCV E1 및 E2 외피 단백질을 발현하는 플라스미드를 구축하였다. 수포성 구내염 바이러스의 당단백질 G(VSV G)를 발현하는 플라스미드 pVSV-G는 클론테크(Clontech)(카탈로그 번호 631530)로부터 입수하였다. HIV 외피 단백질의 일부를 추가로 제거함으로써, 반딧불이 루시퍼라제 리포터 유전자를 발현하는 HIV 패키징 구축물을 외피 결함성 pNL.4.3.Luc-R-.E- 벡터(문헌[Virology 1995 206:935-44] 참조)에 기초하여 개질하였다.
일시적으로 형질감염된 HEK -293T 세포에서 위형화된 바이러스 입자의 생성
일시적으로 형질감염된 HEK-293T 세포(ATCC 카탈로그 번호 CRL-573)로부터 위형화된 HCV GT1a 및 GT1b 입자(HCVpp) 및 위형화된 VSV G 입자(VSVpp)를 생성하였다. HCVpp를 생성하기 위해, 폴리에틸렌이민(폴리사이언시스(Polysciences) 카탈로그 번호 23966)을 형질감염 시약으로 사용함으로써, 동량의, HCV 외피 단백질을 발현하는 플라스미드와 HIV 패키징 게놈으로, HEK-293T 세포를 형질감염시켰다. VSVpp를 생성하기 위해, 폴리에틸렌이민을 사용하여, 동량의, VSV G를 발현하는 동량의 플라스미드와 HIV 패키징 게놈으로, HEK-293T 세포를 형질감염시켰다. 형질감염시키고 24시간 후에, 형질감염 혼합물을 함유하는 세포 배양 배지를, 10% 소 태아 혈청(인비트로겐(Invitrogen) 카탈로그 번호 10082-147) 및 2 mM L-글루타민(인비트로겐 카탈로그 번호 25030-081)이 보충된 새로운 둘베코(Dulbecco)의 개질된 이글(Eagle) 배지(DMEM-글루타맥스(Glutamax, 상표)-I; 인비트로겐 카탈로그 번호 10569-010)로 대체하였다. 형질감염시키고 48시간 후 상청액을 모으고, 살균된 0.45 μm 필터를 통해 여과하였다. 상청액의 분취량을 동결시켜, 사용 시까지 -80℃에서 저장하였다.
높은 CD81 발현 수준을 갖는 고(high)-Huh7 CD81 세포를, FITC-표지된 CD81 항체 JS-81(비디 바이오사이언시스(BD Biosciences) 카탈로그 번호 561956)을 사용하는 유동 세포계측 분류(sorting)에 의해 농화시켜(enrich), 더 효율적으로 HCV가 도입되게 하였다. 이 고-Huh7 CD81 세포를 둘베코의 개질된 이글 배지(DMEM-글루타맥스(상표)-I; 인비트로겐 카탈로그 번호 10569-010) 내에서 배양하였다.  이 배지는 10% 소 태아 혈청(인비트로겐 카탈로그 번호 10082-147)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인비트로겐 카탈로그 번호 15070-063)이 보충된 것이었다. 세포를 37℃의 가습된 5% CO2 대기 내에 유지하였다.
고- Huh7 CD81 세포에서 화합물의 HCVpp 도입 억제 활성의 결정
고-Huh7 CD81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퍼킨 엘머(Perkin Elmer), 카탈로그 번호 6005660) 내에서 웰 당 8000 세포의 세포 밀도로 평판 배양하였다. 10% 소 태아 혈청(인비트로겐 카탈로그 번호 10082-147)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인비트로겐 카탈로그 번호 15070-063)이 보충된 100 μL의 둘베코의 개질된 이글 배지(DMEM-글루타맥스(상표)-I, 인비트로겐 카탈로그 번호 10569-010) 중에서 세포를 평판 배양하였다. 세포를 37℃ 및 5% CO2에서 24시간 동안 평형화시키고, 이때 화합물 및 위형화된 바이러스를 가했다. 분석 당일에, HCVpp 분취량을 37℃의 수조 내에서 해동하고, 사용 시까지 4℃로 유지하였다. 화합물(또는 대조군으로서의 배지)을 DMEM-글루타맥스(상표)-I 내에서 2% DMSO 및 2%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사용하여 3배 희석 시리즈로 희석하였다. 각각의 배양 웰에서 100 μL의 평판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이어서 50 μL 화합물 희석액 및 50 μL 해동된 HCVpp를 가했다. 화합물 및 HCVpp를 첨가하고 72시간 후, 제조사의 지침을 따라 스테디-글로(Steady-Glo) 루시퍼라제 분석 시스템(프로메가(Promega), 카탈로그 번호 E2520)을 사용하여, 반딧불이 루시퍼라제 리포터 신호를 판독하였다. EC50 값은, 화합물이 없는 대조군 시료에 비해, 반딧불이 루시퍼라제 리포터 수준의 50% 감소가 관찰되는 화합물 농도로서 정의되었으며, 화합물 투여량-반응 데이터를 비-선형 피팅함으로써 결정되었다.
고- Huh7 CD81 세포에서 화합물 선택도의 결정
Huh7 hCD81 세포 분석 플레이트 및 화합물 희석액을 HCVpp 분석과 동일한 포멧으로 구성하였다.  세포를 평판 배양하고 24시간 후, 해동된 VSVpp를, 10% 소 태아 혈청이 보충된 DMEM-글루타맥스(상표)-I 내에서 800배 희석하였다. 배양 웰로부터 세포 평판 배양 배지를 제거한 후, 이 웰에 50 μL의 화합물 희석액 및 50 μL의 희석된 VSVpp를 가했다. 화합물 및 VSVpp를 첨가하고 72시간 후, 스테디-글로 루시퍼라제 분석 시스템(프로메가, 카탈로그 번호 E2520)을 사용하여 반딧불이 루시퍼라제 리포터 신호를 판독하였다. EC50 값은, 화합물이 없는 대조군 시료에 비해, 반딧불이 루시퍼라제 리포터 수준의 50% 감소가 관찰되는 화합물 농도로서 정의되었으며, 화합물 투여량-반응 데이터를 비-선형 피팅함으로써 결정되었다. 최대 억제%가 90% 미만 70% 초과인 경우, EC50은 어림값으로 기록되었다.
대표적인 분석 데이터는 하기 표 II에서 발견할 수 있다:
[표 II]
Figure pct00135
Figure pct00136
전술된 발명은 명료함 및 이해를 목적으로 예시 및 실시예에 의해 자세히 기술되었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변화 및 변형이 수행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설명은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됨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상기 설명을 기준으로 하여 결정되어서는 안되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기준으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등가물로 자격이 부여된 전체 범주를 포괄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본원에 인용된 모든 특허, 특허 출원 및 문헌은, 각각의 개별 특허, 특허 출원 또는 문헌이 개별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동일한 정도로 모든 목적을 위해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혼입된다.

Claims (20)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I]
    Figure pct00137

    상기 식에서,
    R1은 H, 할로, 저급 알킬, 페닐, 저급 알콕시, 저급 알킬 설폰일,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벤질, 아미노, 알킬 아미노, 다이알킬 아미노 또는 할로 저급 알킬이고;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 아미노 또는 할로 저급 알킬이고;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재하거나 H 또는 벤질이고;
    X는 CX' 또는 N이고;
    X'은 H, 할로 또는 시아노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4가 부재하는, 화합물.
  3. 제2항에 있어서,
    R5가 H인, 화합물.
  4. 제3항에 있어서,
    R2 및 R3가 Cl인, 화합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가 N인, 화합물.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가 CX'이고, X'이 H인, 화합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가 CX'이고, X'이 할로 또는 시아노인, 화합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이 H, 할로, 저급 알킬, 페닐, 저급 알콕시, 저급 알킬 설폰일,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벤질, 아미노, 알킬 아미노, 다이알킬 아미노 또는 할로 저급 알킬인, 화합물.
  9. 제2항에 있어서,
    R5가 벤질인, 화합물.
  10. 제1항에 있어서,
    R5가 부재하고, R4가 벤질인, 화합물.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R2가 아미노 또는 Cl이고, R3가 H 또는 Cl이고, X가 CX'이고, X'이 H 또는 F인, 화합물.
  12. (3,5-다이클로로-페닐)-(5-메틸-1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3,5-다이클로로-페닐)-(5-페닐-1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5-아미노메틸-1H-[1,2,4]트라이아졸-3-일)-(3,5-다이클로로-페닐)-아민;
    (3,5-다이클로로-페닐)-(5-플루오로-2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3,5-다이클로로-페닐)-(5-메톡시메틸-2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2,6-다이클로로-피리딘-4-일)-(5-메톡시메틸-2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5-브로모-2H-[1,2,4]트라이아졸-3-일)-(3,5-다이클로로-페닐)-아민;
    (3,5-다이클로로-페닐)-(5-메톡시-2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2,6-다이클로로-피리딘-4-일)-(5-메톡시-2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4-(5-메톡시-2H-[1,2,4]트라이아졸-3-일아미노)-2-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조니트릴;
    (4-브로모-3,5-다이클로로-페닐)-(5-메톡시-2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5-클로로-2H-[1,2,4]트라이아졸-3-일)-(3,5-다이클로로-페닐)-아민;
    (3,5-다이클로로-페닐)-(5-메탄설폰일-2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4-브로모-3,5-다이클로로-페닐)-(5-메탄설폰일-2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N3-(3,5-다이클로로-페닐)-N5,N5-다이메틸-1H-[1,2,4]트라이아졸-3,5-다이아민;
    N3-(4-브로모-3,5-다이클로로-페닐)-N5,N5-다이메틸-1H-[1,2,4]트라이아졸-3,5-다이아민;
    (2H-[1,2,4]트라이아졸-3-일)-(3,4,5-트라이클로로-페닐)-아민;
    (4-브로모-3,5-다이클로로-페닐)-(2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N3-(3,5-다이클로로-페닐)-N5-메틸-1H-[1,2,4]트라이아졸-3,5-다이아민;
    2,6-다이클로로-4-(2H-[1,2,4]트라이아졸-3-일아미노)-벤조니트릴;
    4-(5-메틸아미노-1H-[1,2,4]트라이아졸-3-일아미노)-2-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조니트릴;
    (3,5-다이클로로-페닐)-(5-트라이플루오로메틸-1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1-벤질-1H-[1,2,4]트라이아졸-3-일)-(3,5-다이클로로-페닐)-아민;
    (2-벤질-2H-[1,2,4]트라이아졸-3-일)-(3,5-다이클로로-페닐)-아민;
    (3,5-다이클로로-페닐)-(1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2-벤질-2H-[1,2,4]트라이아졸-3-일)-(3,5-다이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민;
    (1-벤질-1H-[1,2,4]트라이아졸-3-일)-(3,5-다이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민;
    (3,5-다이클로로-4-플루오로-페닐)-(1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N-(1-벤질-1H-[1,2,4]트라이아졸-3-일)-벤젠-1,3-다이아민;
    (2,6-다이클로로-피리딘-4-일)-(1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3,5-다이클로로-4-플루오로-페닐)-(5-모폴린-4-일-1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3,5-다이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1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3,5-다이클로로-페닐)-(5-이소부틸-1H-[1,2,4]트라이아졸-3-일)-아민; 및
    (5-벤질-1H-[1,2,4]트라이아졸-3-일)-(3,5-다이클로로-페닐)-아민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의 치료적 효과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HCV)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면역 체계 억제제의 치료적 효과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함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의 치료적 효과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HCV)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HCV의 복제를 억제하는 항바이러스제의 조합물을 투여함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면역 체계 조절제, HCV의 복제를 억제하는 항바이러스제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투여함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면역 체계 조절제가 인터페론 또는 화학적으로 유도체화된 인터페론인,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항바이러스제가 HCV 프로테아제 억제제, HCV 폴리머라제 억제제, HCV 헬리카제 억제제, HCV NS5A 억제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0.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157027219A 2013-03-05 2014-03-03 항바이러스 화합물 KR201501239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72936P 2013-03-05 2013-03-05
US61/772,936 2013-03-05
PCT/EP2014/054016 WO2014135472A1 (en) 2013-03-05 2014-03-03 Antiviral compoun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917A true KR20150123917A (ko) 2015-11-04

Family

ID=50190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7219A KR20150123917A (ko) 2013-03-05 2014-03-03 항바이러스 화합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60002180A1 (ko)
EP (1) EP2964626A1 (ko)
JP (1) JP2016510050A (ko)
KR (1) KR20150123917A (ko)
CN (1) CN105051026A (ko)
BR (1) BR112015021001A2 (ko)
CA (1) CA2900826A1 (ko)
MX (1) MX2015010892A (ko)
RU (1) RU2015136816A (ko)
WO (1) WO20141354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61512A1 (en) * 2018-05-04 2021-08-26 Inflazome Limited Novel compounds
CN111518042B (zh) * 2020-05-29 2021-07-30 赣南师范大学 一种1,2,4-***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
CN115047117B (zh) * 2022-07-18 2023-06-16 北京云鹏鹏程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同时测定利奈唑胺中3种遗传毒杂质的检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23586A1 (de) * 2001-05-08 2002-11-28 Schering Ag 3,5-Diamino-1,2,4-triazole als Kinase Inhibitoren
ES2283851T3 (es) * 2002-08-13 2007-11-01 Warner-Lambert Company Llc Derivados de pirimidin-2,4-diona como inhibidores de las metaloproteinasas de matriz.
US20090018150A1 (en) * 2003-07-24 2009-01-15 Asterand Uk Limited 5-Ht2b Receptor Antagonists
US8492415B2 (en) * 2007-07-03 2013-07-23 Yale University Azoles and related derivatives as non-nucleos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s (NNRTIs) in antiviral therapy (HIV)
AU2012363873B2 (en) * 2012-01-06 2017-11-23 Anji Pharmaceuticals Inc. Biguanid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ing metabolic disorders
US20140010783A1 (en) * 2012-07-06 2014-01-09 Hoffmann-La Roche Inc. Antiviral compounds
MX2015011126A (es) * 2013-03-05 2015-11-11 Hoffmann La Roche Compuestos antivira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10050A (ja) 2016-04-04
US20160002180A1 (en) 2016-01-07
EP2964626A1 (en) 2016-01-13
MX2015010892A (es) 2015-12-03
WO2014135472A1 (en) 2014-09-12
RU2015136816A (ru) 2017-04-07
CA2900826A1 (en) 2014-09-12
CN105051026A (zh) 2015-11-11
BR112015021001A2 (pt) 201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8715B2 (ja) 抗ウイルス化合物
JP6039067B2 (ja) 抗ウイルス剤としてのトリアゾール化合物
US9511059B2 (en) Antiviral compounds
KR20150123917A (ko) 항바이러스 화합물
US9382218B2 (en) N-heteroaryl substituted aniline derivatives as HCV-antivirals
JP6122514B2 (ja) 抗ウイルス化合物
JP6093456B2 (ja) 抗ウイルス性化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