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3480A -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 Google Patents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3480A
KR20150123480A KR1020140049797A KR20140049797A KR20150123480A KR 20150123480 A KR20150123480 A KR 20150123480A KR 1020140049797 A KR1020140049797 A KR 1020140049797A KR 20140049797 A KR20140049797 A KR 20140049797A KR 20150123480 A KR20150123480 A KR 20150123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polygonal
hollow receiving
retaining belt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9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5405B1 (ko
Inventor
최용덕
Original Assignee
최용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덕 filed Critical 최용덕
Priority to KR1020140049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405B1/ko
Publication of KR20150123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31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2Local reinforcements or stiffening inserts, e.g. wires, strings, strips 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내용물 충전시 안정적인 장방형 형태를 유지하여 동일한 규격의 컨테이너백에 최대의 적재량을 수용하되, 적재를 위한 다단 적층시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분체류가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되, 단면이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벽에 의해 외부와 구획되는 중공형 수용부와, 중앙부에 삽입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형 수용부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덮개부와, 상기 중공형 수용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바닥부와, 상기 중공형 수용부의 상단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걸이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백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수용부에는 상기 다각을 형성하는 모서리부의 이웃하는 측벽의 내면을 상호 연결하는 복수 개의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with supporting belt}
본 발명은 컨테이너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 충전시 안정적인 장방형 형태를 유지하여 동일한 규격의 컨테이너백에 최대의 적재량을 수용하되, 적재를 위한 다단 적층시 안정성이 향상된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백(container bag)은 FIBC(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빅 백(big bag), 벌크 백(bulk)으로도 불리며, 곡물이나 합성수지 재료 등 분체류를 수납하여 운송 및 보관하기 위한 산업용 포대로서, 유연성이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상기 분체류의 수납과 인출을 편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백에는 500Kg 내지 2000Kg 정도의 화학물질(chemical), 광물질(mineral), 곡류(grain), 합성수지 분말 재료, 시멘트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고 크레인(crane)이나 호이스트(hoist), 지게차 등으로 운반되어 창고에 보관되거나 트럭에 적재되어 운송된다.
한편, 최근 들어서 국제 간의 거래가 활발해짐에 따라 물동량이 증가되면서 효율적인 운송과 보관을 위해, 그리고 심화되는 경쟁에 따른 운송비와 보관비의 절감을 위해 트럭 또는 컨테이너 차량에 의해 운반되거나 창고에 적재시 더욱 안정적이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컨테이너백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도1a 및 도 1b는 종래의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컨테이너백(10,20)은 내용물이 수납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1,5)와, 상기 측벽부(1,5)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덮개부(2,6), 그리고 상기 측벽부(1,5)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바닥부(3,7)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1,5)의 상측 둘레에는 운반 로프 또는 벨트로 형성된 고리부(4,8)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측벽부(1,5)는 내용물이 수납될 때 원기둥(도 1a) 혹은 사각기둥(도 1b)을 형성하도록 봉합된다. 이때, 상기 측벽부(1)가 원기둥 형태로 봉합되는 컨테이너백(10)은 많은 내용물을 수납할 수는 있지만, 컨테이너 박스나 창고에 보관할 경우 복수 개의 컨테이너백(10) 사이가 밀착되지 않고 여유공간이 형성되어 공극률이 높아짐으로 인해 효율적인 공간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5)가 사각기둥 형태로 봉합되는 컨테이너백(20)은 트럭에 적재되거나 창고에 보관될 때 상기 컨테이너백(20) 사이의 여유공간이 줄어들어 공극률이 낮아짐으로써 상기 원기둥 형태의 컨테이너백(10)보다 더 많은 수를 적재할 수 있으나, 일정량 이상의 내용물이 수납되면 내용물 자체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측벽부(5)의 중심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여 상기 컨테이너백(20) 간에 공극(d1)이 발생하여 적재 공간을 더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백(10,20)을 다단으로 적층하여 적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컨테이너백(10,20)의 하중이 상기 측벽부(1,5)의 돌출된 부분으로 분산되어 상기 바닥부(3,7)로 하중이 집중되지 못해 안정적으로 적층되지 못하며, 이로 인해 상기 컨테이너백(10,20)이 넘어지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크게 다치거나 내부에 수납된 내용물이 쏟아져 손실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컨테이너백(10,20)에 감자 내지 쌀, 보리 등과 같은 곡물류를 수납하여 보관할 경우, 상기 곡물류가 건조되면서 보관될 수 있도록 상기 컨테이너백(10,20)은 망사 내지 그물 형태의 통기성 직물지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직물지라 함은 천연섬유재질 뿐만 아니라 합성수지재질의 섬유로 직조된 직물지를 모두 포함하여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통기성 직물지는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도록 성글게 직조됨으로써 상기 곡물류 등을 수납시 외형 변경이 용이하도록 유연하게 형성되면서도 상기 통기공을 통하여 공기 소통이 원활하므로 상기 곡물류가 상하거나 부패되지 않고 적정상태로 건조되어 장시간 보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통기성 직물지의 경우 성글게 직조됨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백(10,20)의 통기성은 확보되지만 내구성이 저하되어 상기 곡물류와 같은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측벽부(1,5)의 중심부가 과도하게 돌출될 뿐만 아니라 찢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어 소실 및 훼손됨으로써 경제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4-002780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체류가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되, 단면이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벽에 의해 외부와 구획되는 중공형 수용부와, 중앙부에 삽입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형 수용부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덮개부와, 상기 중공형 수용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바닥부와, 상기 중공형 수용부의 상단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걸이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백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수용부에는 상기 다각을 형성하는 모서리부의 이웃하는 측벽의 내면을 상호 연결하는 복수 개의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중공형 수용부를 가로방향으로 감싸도록 띠형태의 가로지지대가 구비되되, 상기 다각유지벨트의 양단부는 상기 가로지지대가 감싸진 상기 중공형 수용부의 내측면으로 구비되어 상기 가로지지대 및 상기 중공형 수용부와 동시에 재봉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중공형 수용부에는 상기 가로지지대와 세로방향으로 교차되되 상단부에 걸이부가 일체로 연장된 세로지지대가 구비되되, 상기 다각유지벨트의 양단부는 상기 가로지지대와 상기 세로지지대가 교차되는 상기 중공형 수용부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로지지대와 상기 세로지지대의 교차부 및 상기 중공형 수용부와 동시에 재봉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중공형 수용부는 단면형상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획되되, 상기 다각유지벨트의 양단부는 이웃하는 상기 측벽 내면의 대향되는 지점에 각각 고정되되, 상기한 지점은 각 측벽의 폭을 삼등분한 등분점으로 설정되며, 상기 분체류를 수납시 상기 측벽의 외측방향으로의 팽창을 제한하도록 상기 다각유지벨트의 길이는 상기 모서리부의 말단과 상기 다각유지벨트의 양단부를 각각 연결한 두 선이 이루는 각도가 직각 이하로 설정되는 길이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다각유지벨트는 상기 중공형 수용부의 내측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다각유지벨트가 상기 중공형 수용부에서 다각의 모서리부에 인접한 한 쌍의 측벽을 장력에 의해 지지견인하여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측벽이 외측으로 팽창되더라도 상기 중공형 수용부의 다각 내지 사각 형상이 유지되므로 창고에 저장시 상기 컨테이너백 간에 공극률이 낮아지고 적재공간 활용효율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내부 공간에 곡물류 등을 수납시 공기 순환이 원활하여 건조된 상태에서 장시간 보관이 용이하여 저장성이 향상되도록 상기 컨테이너백을 망사 내지 그물 형태의 유연한 통기성 직물지로 형성하더라도 상기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가 상기 중공형 수용부의 외면을 교차하도록 둘러쌈으로써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측벽부가 외측으로 팽창되는 것을 제한하므로 상기 측면부가 돌출되어 찢어지는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상기 다각유지벨트의 양단부, 상기 중공형 수용부, 그리고 상기 가로지지대와 상기 세로지지대의 교차부가 동시에 재봉됨으로써 상기 다각유지벨트가 상기 중공형 수용부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기 컨테이너백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측벽부가 외측으로 소폭 팽창하더라도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a 및 도1c는 종래의 컨테이너백과 내용물이 수납된 종래의 컨테이너백을 적재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투영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에 분체류가 충진된 상태에서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용물이 수납된 컨테이너백을 적재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투영사시도 및 측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의 변형예를 나타낸 투영사시도 및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투영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용물이 수납된 컨테이너백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용물이 수납된 컨테이너백을 적재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100)은 중공형 수용부(110), 덮개부(120), 바닥부(130) 그리고 다각유지벨트(15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백(100)은 분체류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할 수 있고, 상기 내용물이 수납된 상태에서는 기설정된 공간에 최대한 많은 양이 수납되도록 외형 변경이 용이한 유연성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컨테이너백(100)을 천연섬유재질 내지 PVC(polyvinyl chloride), 합성수지재질(polypropylene, polyethylene)로 직조된 직물지를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내부에 내용물이 충적된 상태에서도 컨테이너백(100)의 외형을 유지하는 동시에 강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컨테이너백(100)의 내측에는 경우에 따라 방수성이 있는 비닐류 등으로 제작된 내피(이너라이너)를 더 구비하여 내용물을 다중포장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중공형 수용부(110)는 곡물이나 합성수지 재료, 광물질, 시멘트 등의 분체류 내지 구황작물, 화학물질과 같은 다양한 내용물이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단면이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벽(110a,110b)에 의해 외부와 구획된다. 이때, 상기 측벽(110a,110b)은 다각형상을 이룸에 따라 복수개의 모서리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부(111)에 의해 복수개의 측벽으로 구분된다.
상세히, 상기 측벽(110a,110b)은 복수 개로 재단된 직물지의 양단부를 재봉 또는 열융착하여 연결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일체로 연장된 단일의 직물지로 구비되어 일측단부와 타측단부를 결합하는 것으로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단일의 직물지로 구비될 경우 기설정된 간격마다 절곡함에 따라 복수 개의 측벽(110a,110b)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그리하여 상기 중공형 수용부(110)의 단면형상이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재봉 또는 열융착으로 연결된 부분이나 절곡된 부분으로 상기 모서리부(111)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모서리부(111)는 도면에서와 같이 협소한 꼭지점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완만한 곡선(도 3,111a)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측벽(110a,110b)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되 기설정된 각도로 변경되어 구분되는 경계부분을 상기 모서리부(111)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중공형 수용부(110)는 복수 개의 상기 측벽(110a,110b)으로 구분되되 상하측이 개구된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된 상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덮개부(1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덮개부(120)의 중앙부에는 분체류 등의 내용물이 상기 중공형 수용부(1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삽입관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삽입관부(121)는 상기 중공형 수용부(110)와 연통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깔때기 등의 부재를 상기 삽입관부(121) 상측으로 구비하여 상기 컨테이너백(100) 내측으로 내용물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중공형 수용부(110)의 상측에 상기 덮개부(120)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내용물을 수납한 후 덮개부(120)를 덮어 밀폐할 수도 있으나, 분체류와 같은 상기 내용물이 공기 중으로 부유하거나 외부 이물질 유입이 최소화되도록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부(120)에 협소화된 상기 삽입관부(121)가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컨테이너백(100) 내측으로 내용물을 삽입한 후 내부 공간을 밀폐하도록 상기 삽입관부(121)의 외면을 조여 밀폐하는 조임끈(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삽입관부(121)는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덮개부(120)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공에 열융착 혹은 재봉되어 봉합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중공형 수용부(110)의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공형 수용부(110)의 하측에는 상기 바닥부(1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부(130)는 상기 중공형 수용부(110)의 개구된 하측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며, 경우에 따라 상기 내용물이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배출관부(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관부(미도시)는 역시 상기 삽입관부(121)와 마찬가지로 상기 중공형 수용부(110)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내부 공간을 밀폐하도록 외면에 조임끈(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중공형 수용부(110)는 상기 삽입관부(121) 및 배출관부(미도시)에 구비된 조임끈(미도시)을 조여 내부를 밀폐할 수 있으며,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배출관부(미도시)의 일측을 절단하거나 상기 배출관부(미도시)에 구비된 고정끈을 풀어 배출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바닥부(130)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배출관부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평판형의 상기 바닥부(130)를 절개하여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삽입관부(121) 및 배출관부(미도시)는 상기한 조임끈(미도시) 외에도 각각의 관부의 테두리를 열융착하거나 재봉하여 봉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그리고, 상하측이 상기 덮개부(120)와 바닥부(130)로 각각 커버된 상기 중공형 수용부(110)의 상측으로 복수 개의 걸이부(1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걸이부(140)는 상기 모서리부(111)의 각 상단부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걸이부(140)는 상기 중공형 수용부(110)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내용물이 수납 또는 배출될 수 있도록 수납장비 일측에 형성된 고정부에 걸림 고정되거나, 내용물이 수납된 상기 컨테이너백(100)을 운반시 크레인이나 호이스트 등에 걸어 인양할 수 있도록 로프 또는 벨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컨테이너백(100)은 컨테이너 박스나 창고에 보관시 적재공간 활용효율이 향상되도록 상기 중공형 수용부(110)가 바람직하게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구비된다. 즉, 상기 측벽(110a,110b)은 4개의 면으로 구분되며, 상기 측벽(110a,110b)이 연결되어 형성된 4개의 모서리부(111) 상측으로 걸이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사각기둥 형상은 이웃하는 컨테이너백(100) 간의 대향접촉되는 측벽이 밀착될 수 있으므로 컨테이너백(100) 사이의 공극률이 낮아져 한정된 공간에 더 많은 수의 컨테이너백(100)을 적재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백(100)은 상기한 천연섬유재질, PVC 등과 같은 유연성이 있는 직물지로 제작되므로 내부에 일정량 이상의 내용물이 수납되면 내용물 자체의 하중에 의해 상기 측벽(110a,110b)의 중심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배부름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웃하는 컨테이너백(100) 간의 대향접촉되는 측벽이 서로 긴밀하게 밀착되지 못하여 여유공간이 발생하므로 공극률이 높아져 적재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상세히, 상하측이 각각 덮개부(120)와 바닥부(130)로 커버되며, 상기 모서리부(111)의 상측으로 걸이부(140)가 연결된 단면이 다각 형상, 바람직하게는 사각 형상의 상기 중공형 수용부(110)의 내측으로 다각유지벨트(15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다각유지벨트(150)는 로프 또는 벨트와 같이 협소한 폭의 띠형상으로 구비되며 양단부가 상기 측벽(110a,110b)의 내면에 접착, 열융착되거나 재봉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각유지벨트(150)는 상기 모서리부(111)의 이웃하는 측벽(110a,110b)의 내면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컨테이너백(100)은 복수 개의, 바람직하게는 4개로 구분된 측벽(110a,110b)이 연결되어 단면이 사각 형상의 중공형 수용부(1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측벽(110a,110b)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되 기설정된 각도로 변경되어 구분되는 경계부분에 상기 모서리부(111)가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모서리부(111)의 양측으로 이웃하는 상기 측벽(110a,110b)의 내면을 상호 연결하도록 복수 개의 다각유지벨트(150)가 구비된다.
여기서, 각각의 상기 다각유지벨트(150)의 양단부는 상기 측벽(110a,110b)의 양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모서리부(111)로부터 상기 측벽(110a,110b)의 중심부를 향하여 일정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각각 연결된다. 즉, 상기 다각유지벨트(150)의 일단부는 상기 모서리부(111)의 일측으로 연결된 측벽(110a) 내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모서리부(111)의 타측으로 연결된 측벽(110b) 내면에 고정되어 이웃하는 상기 측벽(110a,110b) 사이의 간격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장력에 의해 지지견인된다. 그리하여, 상기 중공형 수납부에 분체류를 수납시 상기 측벽(110a,110b)이 외측방향으로 팽창되는 것을 제한하므로 상기 측벽(110a,110b)에 발생하는 배부름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각유지벨트(150)는 천연섬유재질 외에도 다양한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이웃하는 상기 측벽(110a,110b)을 내측으로 장력에 의해 지지견인될 수 있도록 신축성이 최소화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다각유지벨트(150)는 상기 모서리부(111)의 이웃하는 측벽(110a,110b)의 내면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측벽(110a,110b)이 외측으로 팽창되지 못하도록 장력에 의해 지지견인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경우 상기 측벽(110a,110b)이 외측으로 팽창됨에 따라 상기 다각유지벨트가 신장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신축성이 최소화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다각유지벨트(150)의 길이(c)는 단면이 사각 형상의 상기 중공형 수용부(110)에서 이웃하는 한 쌍의 측벽(110a,110b)이 이루는 각도가 직각 이하로 제한되도록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다각유지벨트(150)의 양단부는 이웃하는 측벽(110a,110b) 내면에 각각 고정되되 상기 모서리부(111)로부터 상호 대향되는 지점에 고정된다. 즉, 모서리부(111)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다각유지벨트(150)의 일단부가 고정된 지점(fa) 사이의 거리(a1)는 모서리부(111)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다각유지벨트(150)의 타단부가 고정된 지점(fb) 사이의 거리(b1)와 대응된다. 여기서, 상기 모서리부(111)의 말단이라 함은 이웃하는 측벽(110a,110b)이 연결된 최외곽단부의 꼭지점을 의미하며, 상기 모서리부(111)가 완만한 곡선일 경우 상기 이웃하는 측벽(110a,110b)이 연장되는 가상선의 교차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이웃하는 컨테이너백(100)가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상기 다각유지벨트(150)가 상기 모서리부(111)의 양단으로 연결된 한 쌍의 측벽(110a,110b)을 연결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측벽(110a,110b)이 상기 다각유지벨트의 장력에 의해 지지견인되므로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다각유지벨트(150)의 길이(c)는 상기 모서리부(111)의 말단과 상기 다각유지벨트(150)의 양단부가 고정된 지점(fa,fb)을 이어 형성되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의 빗변과 대응되는 길이로 설정됨으로써 상기 내용물이 수납된 상태에서도 상기 측벽(110a,110b)이 외측으로 팽창되는 것이 장력에 의해 지지견인되어 상기 중공형 수용부(110)가 단면이 사각 형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중공형 수용부(110)에 내용물이 수납시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측벽(110a,110b)이 외측으로 소폭 팽창되더라도 상기 다각유지벨트(150)의 장력에 의해 지지견인되도록 연결하므로 상기 측벽(110a,110b)간에 벌어지는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그리하여, 컨테이너백(100)간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공극률이 낮아지므로 컨테이너백(100)의 적재공간 활용효율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각유지벨트(150)의 양단부는 이웃하는 상기 측벽(110a,110b) 내면의 대향되는 지점(fa,fb)에 각각 고정되되, 상기한 지점(fa,fb)은 각 측벽(110a,110b)의 폭(a,b)을 삼등분한 등분점으로 설정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세히, 모서리부(111)의 이웃하는 측벽(110a,110b)을 연결하도록 상기 다각유지벨트(150)의 양단부가 고정된다. 즉, 하나의 측벽(110a,110b) 내면의 중심부로부터 양측으로 상호 대향되는 지점에는 한 쌍의 상기 다각유지벨트(150)의 단부가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측벽(110a)에 고정된 한 쌍의 다각유지벨트(150)의 단부 사이의 거리(a2)는 모서리부(111)의 말단으로부터 각각의 다각유지벨트(150)의 단부 사이의 거리(a1,a3)와 대응되며, 그리하여 상기 다각유지벨트(150)의 단부가 상기 측벽(110a)의 폭(a)을 삼등분한 등분점에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도 4를 보면, 상기 컨테이너백 간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상기 중공형 수용부(110)는 단면이 사각형상(w)으로 형성된다. 이때, 종래의 컨테이너백에 내용물을 수납할 경우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측벽(110a,110b)에는 외측으로 팽창되는 힘(g1)이 가해진다. 이로 인해, 상기 측벽의 중심부가 외측으로 돌출(w1)되는 배부름현상이 발생하므로 컨테이너백 간의 공극률이 높아져 적재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모서리부(111)의 이웃하는 상기 측벽(110a,110b)을 연결하도록 상기 중공형 수용부(110) 내측으로 상기 다각유지벨트(15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이웃하는 측벽(110a,110b)이 상기 다각유지벨트(150)의 장력에 의해 측벽(110a,110b)을 내측으로 지지견인하는 힘(g2)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측벽(110a,110b)이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외측으로 소폭 팽창되더라도 단면이 다각 내지 사각 형상(w2)을 유지함에 따라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백(100) 간의 공극률이 낮아져 한정된 공간에 보다 많은 컨테이너백(100)을 적재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컨테이너백(100)을 보관하는데 과도하게 넓은 장소를 필요치 않으므로 보관장소를 확보하고 유지하는데 드는 비용이 절감되어 경제성이 개선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다각유지벨트(150)의 양단부는 상기 측벽(110a,110b)의 중심부에 근접하도록 고정되거나, 반대로 상기 모서리부(111)에 근접하도록 고정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한데로 삼등분되는 각 등분점에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전자의 경우 상기 다각유지벨트(150)에 의해 상기 측벽(110a,110b)을 내측으로 지지견인하는 힘(g2)이 상기 측벽(110a,110b)의 중심부에 집중된다.
이는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측벽(110a,110b)이 외측으로 팽창되는 힘(g1)과 반대방향으로 작용되는 상기 다각유지벨트(150)의 장력에 의해 상기 측벽(110a,110b)을 내측으로 지지견인하는 힘(g2)이 상기 측벽(110a,110b)의 중심부에 집중되므로 상기 다각유지벨트(150)가 고정되는 지점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다각유지벨트(150)가 상기 측벽(110a,110b)의 중심부에 고정될 경우, 상기 중심부와 상기 모서리부(111)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어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배부름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어렵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 상기 다각유지벨트(150)의 장력에 의해 상기 측벽(110a,110b)을 내측으로 지지견인하는 힘(g2)이 상기 모서리부(111)측으로 치우쳐 작용되므로 종래의 컨테이너백(100)과 마찬가지로 상기 측벽(110a,110b)의 중앙부에 발생하는 배부름현상을 방지하기 어렵다.
즉, 상기 다각유지벨트(150)의 양단부가 각 측벽(110a,110b)의 폭을 삼등분한 등분점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상기 측벽(110a,110b)을 균일한 간격으로 지지견인하여 상기 등분점 사이의 측벽(110a,110b)이 소폭 팽창하여 내용물의 적재량이 유지되면서도 단면이 다각 내지 사각 형상을 유지하므로 공극률이 낮아져 적재효율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다각유지벨트(150)의 양단부가 부착되는 부분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므로 상기 측벽(110a,110b)에 가해지는 힘(g2)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상기 다각유지벨트(150)가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각유지벨트(150)는 상기 중공형 수용부(110)의 각 모서리부(111)에 각각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중공형 수용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다각유지벨트(150)는 상기 중공형 수용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단으로 구비된다. 그리하여, 상기 측벽(110a,110b) 사이를 더욱 균일하게 지지견인할 수 있으므로 상기 측벽(110a,110b)의 배부름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상기 컨테이너백(100) 간의 밀착력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다각유지벨트(150)는 로프 또는 벨트와 같이 협소한 폭의 띠형상으로 다단으로 구비되므로 상기 컨테이너백(100)의 내부 용적이 감소되지 않고 실질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상기 내용물의 유입 및 배출시에도 상기 다각유지벨트(150)에 상기 내용물이 걸려 간섭이 발생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각유지벨트(150)가 협소한 띠형상으로 구비되므로 상기 컨테이너백(100) 내부에 이너라이너가 더 구비되더라도 다단으로 구비된 상기 다각유지벨트(150) 사이로 상기 이너라이너가 용이하게 팽창될 수 있으므로 상기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는 내부 용적이 유지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모서리부(111)의 이웃하는 측벽(110a,110b)을 연결하도록 상기 중공형 수용부(110)와 대응되는 길이의 보강면(미도시)이 연결될 수도 있으나, 상기한 보강면(미도시)의 경우 실질적으로 상기 보강면(미도시)과 모서리부(111) 사이를 폐쇄하여 분리된 공간이 발생된다. 이로 인해, 상기 분리된 공간만큼 상기 내부 공간의 용적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분리된 공간에는 상기 내용물을 수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수납이 되더라도 상기 배출관부를 통해 배출이 어렵다.
더욱이, 상기 분리된 공간에 수납된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바닥면 전체를 절개해야 하므로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는 면적이 넓어지는데, 상기한 내용물이 분체류의 경우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져 부유되어 소실되는 양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넓게 절개되는 면적에 대응되어 상기 내용물을 받는 용기의 개구부 역시 커지므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오염되기 쉽다.
또한, 상기 보강면(미도시)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하더라도, 관통공 주위의 면부에 단턱이 발생하므로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는데 간섭이 발생하고 잔류물이 남는 것을 극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100)은 상기 다각유지벨트(150)가 협소한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중공형 수용부(110)의 단면이 다각 내지 사각형상으로 유지되면서도 상기 분체류가 수용되는 용적이 실질적으로 유지될 뿐만 아니라, 내부에 상기 내용물을 유입 및 배출하는데 간섭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사용편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투영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의 변형예를 나타낸 투영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로지지대(260) 및 세로지지대(370)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공형 수용부(210)를 가로방향으로 감싸도록 띠형태의 가로지지대(260)가 더 구비되되, 상기 다각유지벨트(250)는 상기 가로지지대(26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중공형 수용부(210), 상기 가로지지대(260) 그리고 상기 다각유지벨트(250)의 양단부가 동시에 재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로지지대(260)의 내측면이라 함은 상기 가로지지대(260)가 감싸 덧대어진 상기 중공형 수용부(210)의 내측면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컨테이너백(200,300)에는 곡물이나 합성수지 재료, 광물질, 시멘트 등의 내용물이 수납될 수 있다. 특히, 감자, 고구마와 같은 구황작물 내지 쌀, 보리 등과 같은 곡물류는 상기 컨테이너백(100)에 수납된 후 저장창고에 장시간 저장할 수 있도록 건조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구황작물 내지 곡물류가 보관되는 상기 컨테이너백(200,300)은 망사 내지 그물과 같이 조직이 성글게 직조된 직물지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세히, 망사 내지 그물 형태로 성글게 직조된 직물지에는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컨테이너백(100) 내부와 외부로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됨으로써 상기 구황작물 내지 곡물류를 보관시 적정 상태로 건조될 수 있다.
즉, 상기 중공형 수용부(210,310), 상기 덮개부(220,320) 그리고 상기 바닥부(230,330)을 망사 내지 그물 형태의 통기성 직물지로 제조함으로써 상기 통기공을 통하여 상기 컨테이너백(200,300)의 내부 공간과 외부 간에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어 상기 구황작물 내지 곡물류가 적정상태로 건조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구황작물 내지 곡물류를 수납하여 보관창고에 보관하더라도 상하거나 부패되지 않고 장시간 보관이 용이하다.
이때, 상기와 같이 통기성이 개선된 컨테이너백(200,300)의 내구성이 유지되어 상기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중공형 수용부(210)의 외면에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상기 가로지지대(2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통기성 직물지는 공기의 순환은 원활하지만 내구성이 저하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중량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찢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중공형 수용부(210)의 둘레를 가로로 둘러싸도록 상기 가로지지대(260)가 구비되되, 상기 가로지지대(260)는 신축성이 최소화된 띠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가로지지대(260)가 상기 중공형 수용부(210)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내부 공간에 내용물이 수납시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측벽부(210a,210b)가 외측으로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중공형 수용부(210)가 찢어지는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가로지지대(260)가 신축성이 최소화된 띠형상으로 구비되므로 상기 측벽부(210a,210b)가 팽창됨에 따라 상기 가로지지대(260) 역시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된 상기 측벽부(210a,210b)가 커버되는 부분이 최소화되므로 통기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로지지대(260)가 둘러싸인 상기 중공형 수용부(210)의 내면으로는 상기 다각유지벨트(2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각유지벨트(250)는 상기 가로지지대(260)가 둘러싸인 부분에 고정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로지지대(260)와 상기 다각유지벨트(250)의 단부가 동시에 재봉될 수 있다.
즉, 상기 가로지지대(260)가 둘러싸인 상기 중공형 수용부(21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다각유지벨트(250)를 구비하되 상기 가로지지대(260)와 상기 측벽(210a,210b), 그리고 상기 다각유지벨트(250)의 양단부를 동시에 재봉함으로써 상기 다각유지벨트(250)가 고정되는 지점의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측벽(210a,210b)이 외측으로 팽창되는 힘(도4의 g1)과 그와 반대방향으로 작용되는 상기 다각유지벨트(250)의 장력에 의해 상기 측벽(110a,110b)을 내측으로 지지견인하는 힘(도4의 g2)에 의해 상기 다각유지벨트(250)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지점이 분리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가로지지대(260)가 둘러싸여 두께가 보강된 상기 중공형 수용부(210)의 내측면에 상기 다각유지벨트(250)가 구비되어 상기 가로지지대(260)와 상기 중공형 수용부(210), 그리고 상기 다각유지벨트(250)의 단부가 동시에 재봉됨으로써 상기 다각유지벨트(250)가 상기 중공형 수용부(210) 내측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컨테이너백(200)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측벽부(210a,210b)가 외측으로 소폭 팽창하더라도 상기 다각유지벨트(250)가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각유지벨트(250)의 장력에 의해 상기 중공형 수용부(210)의 내측면이 지지견인됨과 동시에 상기 가로지지대(260)가 상기 중공형 수용부(21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측벽(210a,210b)이 외측으로 팽창되는 것을 제한하므로 상기 중공형 수용부(210)의 배부름현상이 방지되어 적재공간 활용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중공형 수용부(310)에는 상기 가로지지대(360)와 아울러 상기 세로지지대(37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세로지지대(370)는 상기 중공형 수용부(310)의 둘레를 가로로 둘러싼 상기 가로지지대(360)와 교차되도록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신축성이 최소화된 띠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가로지지대(360)가 상기 중공형 수용부(310)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세로지지대(370)가 상기 중공형 수용부(310)의 외면을 세로로 감싸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내부 공간에 내용물이 수납시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측벽(310a,310b)이 외측으로 팽창되는 것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지지대(360)와 마찬가지로 상기 세로지지대(370) 역시 신축성이 최소화된 띠형상으로 구비되므로 상기 측벽부(310a,310b)가 팽창됨에 따라 상기 세로지지대(370) 역시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된 상기 측벽부(310a,310b)가 커버되는 부분이 최소화되므로 통기성이 유지될 수 있다.
그리하여, 내부 공간에 곡물류 등을 수납시 공기 순환이 원활하여 건조된 상태에서 장시간 보관이 용이하여 저장성이 향상되도록 상기 컨테이너백(300)을 망사 내지 그물 형태의 유연한 통기성 직물지로 형성하더라도 상기 가로지지대(360)와 세로지지대(370)가 상기 중공형 수용부(310)의 외면을 교차하도록 둘러쌈으로써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측벽부(310a,310b)가 외측으로 팽창되는 것을 제한하므로 상기 측벽부(310a,310b)가 돌출되어 찢어지는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로지지대(360)와 세로지지대(370)가 교차되어 둘러싸인 상기 중공형 수용부(310)의 내면으로는 상기 다각유지벨트(3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각유지벨트(350)는 상기 가로지지대(360)와 상기 세로지지대(370)가 직교되는 교차부(371) 내측면에 고정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로지지대(360)와 세로지지대(370), 그리고 상기 다각유지벨트(350)의 단부가 동시에 재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차부(371) 내측면이라 함은 상기 가로지지대(360)와 세로지지대(370)가 교차되도록 둘러싼 상기 중공형 수용부(310)의 내측면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중공형 수용부(310)의 외면을 상기 가로지지대(360)와 세로지지대(370)가 교차되도록 둘러쌈으로써 상기 중공형 수용부(310)가 외측으로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중공형 수용부(310)의 배부름현상 및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찢어지는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교차부(371)와 상기 중공형 수용부(310)의 외면, 그리고 상기 다각유지벨트(350)의 양단부를 동시에 재봉함으로써 상기 다각유지벨트(350)가 상기 중공형 수용부(310) 내측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컨테이너백(300)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측벽부(310a,310b)가 외측으로 소폭 팽창하더라도 상기 다각유지벨트(350)가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로지지대(370)는 상기 중공형 수용부(310)의 외면을 세로방향으로 둘러싸되 상기 바닥부(330)를 경유하여 상호 대향되는 측벽부의 외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로지지대(370)의 일측에는 상기 중공형 수용부(310)의 상측으로 일체로 연장된 상기 걸이부(3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걸이부(340)는 상기 중공형 수용부(310)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내용물이 수납 또는 배출될 수 있도록 수납장비 일측에 형성된 고정부에 걸림 고정되거나, 내용물이 수납된 상기 컨테이너백(300)을 운반시 크레인이나 호이스트 등에 걸어 인양할 수 있도록 로프 또는 벨트 형태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세로지지대(370)와 상기 걸이부(340)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세로지지대(370)는 상기 중공형 수용부(310)와 상기 바닥부(330)를 세로방향으로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상기 걸이부(340)로 형성됨으로써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걸이부(340)가 분리되지 않으므로 사용수명이 현저히 연장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걸이부(340)를 상기 크레인이나 호이스트 등의 인양장비에 걸게 되면 상기 걸이부(340)가 상측으로 견인되는 힘이 그와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측벽(310a,310b)의 외면을 세로로 감싸는 상기 세로지지대(370)에 전달되어 상기 중공형 수용부(310)와 상기 바닥부(330)를 동시에 감싸도록 지지하므로 더욱 안정적인 상태로 운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세로지지대(3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공형 수용부(310)의 폭을 삼등분한 등분점을 지나가도록 감쌀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다각유지벨트(350)는 양단부는 상기 중공형 수용부(370) 및 상기 교차부(371)와 동시에 재봉된다.
이때, 상기 다각유지벨트(350)의 장력에 의해 상기 측벽(310a,310b)이 균일하게 지지견인될 수 있도록 상기 다각유지벨트(350)의 양단부는 상기 측벽(310a,310b)의 폭을 삼등분한 등분점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세로지지대(370)가 상기 측벽(310a,310b)의 폭을 삼등분한 등분점을 지나도록 둘러쌈으로써 상기 다각유지벨트(350)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지점이 자연스럽게 상기 등분점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한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10 : 중공형 수용부 110a,110b : 측벽
111 : 모서리부 120 : 덮개부
121 : 삽입관부 130 : 바닥부
140 : 걸이부 150 : 다각유지벨트
260 : 가로지지대 370 : 세로지지대
100,200,300 : 컨테이너백

Claims (5)

  1. 분체류가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되, 단면이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벽에 의해 외부와 구획되는 중공형 수용부와, 중앙부에 삽입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형 수용부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덮개부와, 상기 중공형 수용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바닥부와, 상기 중공형 수용부의 상단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걸이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백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수용부에는 상기 다각을 형성하는 모서리부의 이웃하는 측벽의 내면을 상호 연결하는 복수 개의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수용부를 가로방향으로 감싸도록 띠형태의 가로지지대가 구비되되, 상기 다각유지벨트의 양단부는 상기 가로지지대가 감싸진 상기 중공형 수용부의 내측면으로 구비되어 상기 가로지지대 및 상기 중공형 수용부와 동시에 재봉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수용부에는 상기 가로지지대와 세로방향으로 교차되되 상단부에 걸이부가 일체로 연장된 세로지지대가 구비되되, 상기 다각유지벨트의 양단부는 상기 가로지지대와 상기 세로지지대가 교차되는 상기 중공형 수용부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로지지대와 상기 세로지지대의 교차부 및 상기 중공형 수용부와 동시에 재봉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수용부는 단면형상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획되되,
    상기 다각유지벨트의 양단부는 이웃하는 상기 측벽 내면의 대향되는 지점에 각각 고정되되, 상기한 지점은 각 측벽의 폭을 삼등분한 등분점으로 설정되며,
    상기 분체류를 수납시 상기 측벽의 외측방향으로의 팽창을 제한하도록 상기 다각유지벨트의 길이는 상기 모서리부의 말단과 상기 다각유지벨트의 양단부를 각각 연결한 두 선이 이루는 각도가 직각 이하로 설정되는 길이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유지벨트는 상기 중공형 수용부의 내측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KR1020140049797A 2014-04-25 2014-04-25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KR101625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797A KR101625405B1 (ko) 2014-04-25 2014-04-25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797A KR101625405B1 (ko) 2014-04-25 2014-04-25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480A true KR20150123480A (ko) 2015-11-04
KR101625405B1 KR101625405B1 (ko) 2016-05-30

Family

ID=54599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797A KR101625405B1 (ko) 2014-04-25 2014-04-25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4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8812A1 (ko) * 2017-11-20 2019-05-23 박찬경 컨테이너 백
KR102162658B1 (ko) * 2019-09-10 2020-10-07 주식회사 티제이피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
KR102177538B1 (ko) * 2020-08-06 2020-11-12 농업회사법인푸른들판 주식회사 쌀 가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193B1 (ko) 2018-11-27 2019-08-13 임강섭 콘테이너 백
KR102165313B1 (ko) 2019-03-27 2020-10-14 임강섭 보강시트를 구비한 컨테이너 백
KR102151927B1 (ko) 2019-04-15 2020-09-04 임강섭 콘테이너 백
KR20200125786A (ko) 2019-04-25 2020-11-05 임재필 횡방향 보강밴드를 구비한 콘테이너 백
KR20200128284A (ko) 2019-05-02 2020-11-12 임재필 배부름 방지용 보강밴드를 구비한 콘테이너 백
KR102181187B1 (ko) 2019-10-21 2020-11-23 임강섭 일체형 횡밴드를 구비한 콘테이너 백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콘테이너 백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12028A (en) 1993-12-27 1998-01-04 Nampak Products Flexible bulk container
KR101235558B1 (ko) 2012-07-05 2013-02-22 김흥이 저온 저장용 톤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8812A1 (ko) * 2017-11-20 2019-05-23 박찬경 컨테이너 백
KR102162658B1 (ko) * 2019-09-10 2020-10-07 주식회사 티제이피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
KR102177538B1 (ko) * 2020-08-06 2020-11-12 농업회사법인푸른들판 주식회사 쌀 가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5405B1 (ko) 201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405B1 (ko)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KR101922377B1 (ko) 배플 타입 컨테이너 백
KR101235558B1 (ko) 저온 저장용 톤백
KR101397623B1 (ko) 사각 형상유지가 가능한 저온 저장용 톤백
US5073035A (en) Bulk carrying bag
JP6298333B2 (ja) 自立型フレコン
KR101696884B1 (ko) 컨테이너백
JP4959850B1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
KR101688098B1 (ko) 망사로 된 톤백 제작방법
KR101966970B1 (ko) 컨테이너 백
AU2015299917B2 (en) Container bag
KR200413209Y1 (ko) 컨테이너백
KR101964076B1 (ko) 컨테이너 백
EP3643642A1 (en) Packaging bag
JP7330105B2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KR101476400B1 (ko) 컨테이너 백
KR20160000781U (ko) 수용물을 확인할 수 있는 톤백
WO2018016537A1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KR102053797B1 (ko) 상하개방형 톤백
KR102051653B1 (ko) 저장용 포대
KR102547774B1 (ko) 컨테이너 백
KR200414979Y1 (ko) 로프 인양형 벌크 백의 보강구조
JP3100141U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KR200495734Y1 (ko) 컨테이너 백의 외피
CN213169545U (zh) 散装饲料包装用吨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