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0101A - 웨어러블 디바이스 전원 공급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 전원 공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0101A
KR20150120101A KR1020140045870A KR20140045870A KR20150120101A KR 20150120101 A KR20150120101 A KR 20150120101A KR 1020140045870 A KR1020140045870 A KR 1020140045870A KR 20140045870 A KR20140045870 A KR 20140045870A KR 20150120101 A KR20150120101 A KR 20150120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wristband
main body
wearable devic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동석
권용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045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0101A/ko
Publication of KR20150120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1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의 전원 공급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2 손목 밴드와 연결되며, 전원 플러그 입력 단자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외부 전원 연결 단자에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전원 플러그 및 상기 전원 플러그를 통해 공급될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가 구비된 제1 손목 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두께가 얇은 손목 시계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 전원 공급 방법{Method for providing electric power to 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 손목 시계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의 전원 공급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현재 출시되는 모바일 기기는 단순한 통화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웹 브라우징, 채팅, TV 시청, 네비게이션, 게임,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이를 위해, 모바일 기기 제조 회사들은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하고 있다.
또한, 최근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에는 모바일 뱅킹, 모바일 쿠폰, 교통 카드, 게임, 보안 등의 다양하고 복잡한 응용 소프트웨어들이 탑재되고 있다.
또한, 현재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은 고사양의 프로세서와 고해상도의 터치 스크린 화면을 구비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사용자의 요구도 다양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컴퓨팅 장치로써, 인체공학적 측면에서 착용감과 활동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다양한 컴퓨팅 기술 및 센싱 기술을 제공하는 휴대용 정보 기기일 수 있다.
일 예로, 최근에는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손목 시계 타입의 스마트 워치 제품을 출시하고 있으며, 해당 제품은 시계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 기능, 헬스 케어 기능 등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스마트 와치 제품들은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고성능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 모듈이 탑재되어야 하며, 이로 인해, 비교적 두꺼운 고성능의 배터리가 장착되어야 했다.
또한, 스마트 워치 본체 내부에 배터리가 장착되므로, 스마트 워치의 본체가 두꺼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전원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 워치 본체에 연결되는 손목 밴드의 일측에 배터리를 장착함으로써, 스마트 워치 본체의 두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전원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 팩이 장착되는 손목 밴드의 일단에 전원 공급을 위한 착탈식 연결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스마트 워치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스마트 워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 워치 본체와 배터리가 장착된 손목 밴드가 본체로부터 분리된 경우, 지속적으로 스마트 워치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전원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전원 공급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2 손목 밴드와 연결되며, 전원 플러그 입력 단자가 구비된 본체와 전원 플러그 입력 단자에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전원 플러그 및 상기 전원 플러그를 통해 공급될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가 구비된 제1 손목 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보조 배터리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1 손목 밴드가 상기 본체로부터 제거되면, 상기 보조 배터리를 통해 상기 본체가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배터리에 의해 상기 본체가 구동되면, 상기 본체에 의해 제공 가능한 기능 중 일부가 차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단되는 기능은 배터리 소모가 많은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소모가 많은 기능은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통화 기능, 게임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플랙시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손목 밴드의 일단에 상기 배터리 충전을 위한 USB 연결잭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손목 밴드의 일단에 상기 USB 연결잭과 결속시키는 USB 결속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손목 밴드의 일측에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 전력 수신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손목 밴드의 일측에 상기 배터리를 착탈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배터리 팩 하우징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손목 밴드의 일측에 메모리 카드를 착탈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카드 하우징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 플러그를 통해 상기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정보가 상기 본체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목 밴드가 구비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은 배터리가 장착된 상기 착탈식 손목 밴드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에 장착됨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인가 받아 상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내부에 보조 배터리가 구비되며, 상기 착탈식 손목 밴드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식 손목 밴드가 상기 본체로부터 제거되면, 상기 보조 배터리를 통해 상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식 손목 밴드가 상기 본체로부터 제거되면, 상기 본체에 의해 제공 가능한 기능 중 일부가 차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단되는 기능은 배터리 소모가 많은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소모가 많은 기능은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통화 기능, 게임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본체에 연결되는 손목 밴드의 일측에 배터리를 장착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 본체의 두께를 줄이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이 장착되는 손목 밴드의 일단에 전원 공급을 위한 착탈식 연결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스마트 워치 본체를 위한 전원을 효과적으로 충전하는 것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본체와 배터리가 장착된 손목 밴드가 서로 분리된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전원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배터리 장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이 장착된 착탈식 손목 밴드를 이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areable device)는 손목 밴드 형태, 반지 형태, 안경 형태 등 인체의 일부에 착용 가능하며 생체 정보 수집을 의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정보는 맥파 정보, 체온 정보, 동공 변화 정보, 눈물 감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손목 밴드 형태의 웨어어블 디바이스-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마트 워치"라 명함-는 맥파(PPG(PhotoPlethysmoGraph))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맥파 센서를 통해 맥파 다양성 정보, 심박수 정보, 혈류 지수 정보, 교감활성 정보, 부교감활성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 모바일 기기 등과 같은 디지털 정보 기기에 탑재되는 응용 소프트웨어를 “앱”이라 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응용 소프트웨어와 “앱” 또는 "어플"을 혼용해서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부(110), 센싱부(120), 출력부(130), A/V(Audio/Video) 입력부(140), 메모리부(150), 입력 키 모듈(160), 외부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전원 공급부(190), 아날로그 무브먼트(19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 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이동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근거리 통신 연결을 통해 연동되는 다른 모바일 기기-예를 들면, 스마트폰-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 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 등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 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Guide) 등의 정보가 방송 관련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 중계기, 리피터, 펨토셀, RRH(Radio Remote Head)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및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송/수신 모듈을 의미하며,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내장되거나 소정의 인터페이스 단자를 통해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근거리 통신 연결을 통해 다른 모바일 기기와 연동될 수 있다.
GPS 수신 모듈(119)은 측위 위성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거나, 획득하기 위한 모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GPS 수신 모듈(119)에 의해 획득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교통 정보, 관광 정보, 날씨 정보, 지도 정보, 일정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획득 또는 추출하고, 획득 또는 추출된 정보를 화면의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내부 또는 외부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센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센싱부(120)에 의해 수집되는 센싱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개폐 상태 정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 사용자 접촉 유무 정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방위 및 고도 정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회전 및 움직임 정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속도/가속도/감속 정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외부의 온도/습도/광도 정보, 주변 기기 연결 감지 정보-예를 들면, 배터리 팩이 장착된 착탈식 시계줄의 연결 및 분리, 이어폰 연결 및 제거-, 주변 소리 정보, 외부 통신 기기와의 연결 정보, 무선 충전을 위한 송신기 신호-예를 들면, 비콘 신호, 자기 유도 신호, 공진 주파수 신호 등을 포함함- 감지 정보 등과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내/외부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싱부(12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고 이를 제어부(180)에 전달하는 음성 인식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출력부(13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모듈(131), 음향 출력 모듈(133), 알람부(135) 및 햅틱 모듈(13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투명 커버,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투명 터치 전극들로 구성된 터치 패널과 터치 패널 하단에 배치되어 화면을 표시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은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투명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바디 중 디스플레이 모듈(131)이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3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센서와 터치 패널을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특히,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내부 영역 또는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싱 모듈(121)이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싱 모듈(121)은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의미한다. 근접 센싱 모듈(121)은 접촉식 센싱 모듈(122)에 비해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을 수 있다.
근접 센싱 모듈(12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싱 모듈(121)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33)은 호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방송 수신 모드, 알림 제어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3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33)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된 이어폰잭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알람 모듈(135)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배터리 상태 등이 있다. 또한, 알람 모듈(135)은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 소자 또는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31)이나 음향 출력 모듈(13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알람 모듈(135)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배터리 잔량이 소정 기준치 이하인 경우, 소정의 배터리 경고 알람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오직 디지털 시계만이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3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3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37)이 발생시키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햅틱 모듈(137)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3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3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37)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다양한 기능의 햅틱 모듈들이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서로 연동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4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141)와 마이크(14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4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3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4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5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4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43)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변환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 통신 모듈(113)을 통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반면, 음성 인식 모드의 경우, 수신된 음성 신호가 센싱부(12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센싱부(120)는 탑재된 음성 인식 수단을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한 후 음성 인식 결과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음성 인식 결과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마이크(143)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부(15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주소록, 수신된 문자 메시지, 일정 정보, 알람 설정 정보, 정지영상, 동영상, 응용 프로그램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150)는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키 모듈(160)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 키 모듈(160)은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널(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부(17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외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소정의 포트를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무선 인터넷 연결, 근거리 통신 연결 등을 포함한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응용 프로그램, 위젯의 설치 및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하부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 및 출력을 제어하고, 그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모듈은 상술한 무선 통신부(110), 센싱부(120), 출력부(130), A/V 입력부(140), 메모리부(150), 입력 키 모듈(160), 외부 인터페이스부(17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배터리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부(190)는 배터리 팩이 장착된 시계 줄이 스마트 워치의 본체로부터 분리됨이 감지된 경우, 내부 구비된 소용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스마트 워치 본체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이 후, 충전된 시계 줄이 스마트 워치의 본체에 연결된 경우,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내부 소용량 배터리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고, 시계 줄에 장착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스마트 워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시계 줄이 스마트 워치 본체로부터 분리된 경우, 미리 정의된 최소한의 기능만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80)는 스마트 워치의 시간 표시 기능 및 메시지 수신 기능 등 일부 기본 기능만을 제외한 나머지 기능의 사용을 차단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80)는 충전된 시계 줄이 스마트 워치의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차단된 기능이 다시 사용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는 내부 소용량 배터리의 잔량이 소정 기준치 이상 유지될 수 있도록, 시계 줄에 장착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소용량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5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배터리 장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크게 본체(200)와 본체(20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한 제1 손목 밴드(201)와 본체(200)에 일측에 고정되어 연결된 제2 손목 밴드(2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200)의 일측에는 외부 전원을 인가 받기 위한 소정 전원 플러그 입력 단자(20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손목 밴드(201)의 일단에는 전원 플러그(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손목 밴드(201)의 내부 일측에는 배터리 팩(220)을 장착하기 위한 배터리 팩 하우징(22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충전된 배터리 팩(220)을 배터리 팩 하우징(225)의 일측에 구비된 구멍부(223)를 통해 삽입할 수 있다. 여기서, 구멍부(223)의 모양은 삽입되는 배터리 팩(220)의 모양에 상응하여 형성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사용자가 전원 플러그(210)를 전원 플러그 입력 단자(205)에 삽입하면, 배터리 팩(220)의 전원이 본체(200)에 인가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본체(200) 내부의 일측에 소용량의 보조 배터리가 장착될 수도 있다. 이때, 만약, 착탈식 제1 손목 밴드(201)가 본체(200)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내부 보조 배터리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본체(2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착탈식 제1 손목 밴드(201)가 본체(200)로부터 제거되면,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일부 기본 기능만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착탈식 제1 손목 밴드(201)가 본체(200)로부터 제거되었는지 여부는 구비된 본체(200)에 구비된 센싱부(120), 전원 공급부(19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센싱부(120) 또는 전원 공급부(190)는 제1 손목 밴드(201)가 제거되면, 제1 손목 밴드(201)가 제거되었음을 지시하는 소정 제어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190)는 제1 손목 밴드(201)에 장착된 배터리 팩(220)이 배터리 팩 하우징(225)로부터 제거되어 전원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음을 감지할 수도 있다. 만약, 전원 공급부(190)는 제1 손목 밴드(201)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었음이 감지되면, 소정 제어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연이어, 제어부(180)는 내부 보조 배터리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본체(20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제어부(180)는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일부 기본 기능만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배터리 장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크게 본체(300)와 본체(30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한 제1 손목 밴드(301)와 본체(300) 다른 일측에 고정되게 연결된 제2 손목 밴드(3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300)의 일측에는 외부 전원을 인가 받기 위한 소정 전원 플러그 입력 단자(30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손목 밴드(301)의 일단에는 전원 플러그(3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손목 밴드(301)의 내부에 플랙시블 배터리(Flexible Battery, 320)가 탑재될 수 있다.
여기서, 플랙시블 배터리(320)는 접기, 펴기, 비틀림, 굽힘 등의 외부 힘에 대해서도 전기 전도성이 유지되는 특징을 가지며 제1 손목 밴드(301)의 일부분 또는 전체에 구성될 수 있다.
플랙시블 배터리(320)는 배터리 핵심 소재를 층층이 쌓아서 접은 후, 특정 전해질을 주입하는 형태의 스택앤폴딩(Stack and Folding) 방식 또는 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재, 분리막, 음극재 등을 겹친 후 둥글게 마는 와인딩(Winding) 방식 등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랙시블 배터리(320)를 제1 손목 밴드(301)에 장착함으로써, 배터리 장착 면적을 최대화시킴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위한 배터리 용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목 밴드를 플랙시블하게 유지시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플랙시블 배터리(320)가 내장된 제1 손목 밴드(301)의 일측에는 USB 연결잭(33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USB 연결잭(330)을 컴퓨터, 자동차 등의 일측에 구비된 USB 연결 포트에 연결함으로써, 플랙서블 배터리(320)를 충전시킬 수 있다.
특히, 플랙시블 배터리(320)가 내장되지 않은 반대쪽 손목 밴드(302)의 일단에는 USB 연결잭(330)을 결속하기 위한 USB 결속 수단(340)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USB 연결잭(330) 및 USB 결속 수단(340)을 통해 손목에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배터리 장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크게 본체(400)와 본체(40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한 손목 밴드(40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한 도 2의 제2 손목 밴드(202)가 본체(400) 다른 일측에 연결됨을 주의해야 한다.
여기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400)의 일측에는 외부 전원을 인가 받기 위한 전원 플러그 입력 단자(40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손목 밴드(401)의 일단에는 본체(4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플러그(4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손목 밴드의 내부 일측에는 배터리 팩(420)을 장착하기 위한 배터리 팩 하우징(42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충전된 배터리 팩(420)을 배터리 팩 하우징(425)의 일측에 구비된 제1 구멍부(423)를 통해 삽입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구멍부(423)의 모양은 삽입되는 배터리 팩(200)의 모양에 따라 형성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또한, 배터리 팩 하우증(425)의 일단에는 외부 전원 플러그(450)을 삽입하기 위한 외부 전원 입력 단자(4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 전원 플러그(450)가 외부 전원 입력 단자(440)에 연결되면, 배터리 팩(420)이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손목 밴드(401)의 내부 일측에는 메모리 카드(460)를 착탈식으로 장착할 수 있는 카드 하우징(480)이 구비될 수 있다. 카드 하우징(480)의 일측에 구비된 제2 구멍부(490)를 통해 사용자는 메모리 카드(460)를 손목 밴드(401)에 장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카드 하우징(480)에 메모리 카드(460)가 장착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카드 하우징(480)에 가입자 인증 모듈이 장착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여기서, 메모리 카드(460)는 XD 카드, SD 카드, Mini-SD 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입자 인증 모듈은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도 4의 전원 플러그(410)는 본체(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용도뿐만 아니라 메모리 카드(460)에 저장된 데이터를 본체(400)에 전송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밴드(401)는 메모리 카드(460)에 저장된 데이터를 본체(400)에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데이터 전송 플러그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본체(400)의 일측에는 데이터 전송 플러그를 연결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연결 단자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배터리 장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크게 본체(500)와 본체(50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한 손목 밴드(50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도 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한 도 2의 제2 손목 밴드(202)가 본체(500) 다른 일측에 연결됨을 주의해야 한다. 여기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500)의 일측에는 외부 전원을 인가 받기 위한 소정 전원 플러그 입력 단자(50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손목 밴드(501)의 일단에는 본체(5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플러그(510)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손목 밴드(501)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는 무선 전력 수신 수단(530)은 외부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손목 밴드(501)에 내장된 배터리 팩(520)을 충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서 무선 전력 수신 수단(530)으로의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기술로는 크게 유도 결합 방식, 공진 방식, RF 방식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유도 결합 방식은 휴대 단말기 등에 폭 넓게 사용되고 있는 비접촉식 기술인 전자기 유도 기술로서, 두 개의 코일을 서버 인접시킨 후 한 개의 코일에 전류를 흘려보내면 이때, 발생되는 자속(Magnetic Flux)이 다른 코일에 기전력을 일으키는 현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기술이다.
공진 방식은 전자기 공진(Electromagnetic Resonance) 방식으로, 전자기파나 전류 등을 활용하는 대신 전기장이나 자기장을 이용하는 기술이다.
RF 방식은 에너지가 라디오 파(Radio Wave) 형태로 직접 송수신될 수 있다는 점을 활용한 기술로서, 송신단에서 전송된 AC 라디오 파를 수신단에서 DC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기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이 장착된 착탈식 손목 밴드를 이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배터리 팩이 장착된 손목 밴드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로부터 제거된 상태에서 충전된 배터리 팩이 장착된 손목 밴드가 본체에 연결됨을 감지할 수 있다(S600 내지 S601). 여기서, 제어부(180)는 손목 밴드가 본체로부터 제거된 경우, 본체에 내장된 보조 배터리를 이용하여 본체를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보조 배터리는 충전지(rechargeable battery)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방전된 전압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전원을 통해 충전될 수 있다. 일 예로, 손목 밴드에 장착된 배터리가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외부 전원이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전원 공급부(190)가 손목 밴드에 장착된 배터리 팩으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웨어러블 디바이스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03).
연이어, 제어부(180)는 손목 밴드가 본체로부터 제거되면, 기 차단된 기능을 해제하고, 배터리 팩을 통해 인가된 전원을 이용하여 본체에 내장된 보조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S607). 여기서, 차단된 기능은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발신 통화 기능, 게임 기능 등 배터리 소모가 비교적 높은 기능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 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에 따라, 손목 밴드에 장착된 배터리 팩이 방전되거나 충전 레벨이 낮아질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배터리 팩의 충전을 위해 손목 밴드를 본체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만약, 제어부(180)가 배터리 팩이 장착된 손목 밴드가 본체로부터 제거됨이 감지되면, 본체에 내장된 보조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09 내지 S611).
연이어, 제어부(180)는 일부 배터리 소모가 많은 기능의 사용을 차단하고, 미리 지정된 기본 기능만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S613).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 100 센싱부: 120
제어부: 180 전원공급부: 190
본체: 200 전원 플러그: 210
배터리 팩: 220 플랙시블 배터리: 320
USB 연결잭: 330 무선 파워 수신 수단: 530

Claims (18)

  1. 제2 손목 밴드와 연결되며, 전원 플러그 입력 단자가 구비된 본체; 및
    상기 외부 전원 연결 단자에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전원 플러그 및 상기 전원 플러그를 통해 공급될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가 구비된 제1 손목 밴드
    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보조 배터리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1 손목 밴드가 상기 본체로부터 제거되면, 상기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통해 상기 본체가 구동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에 의해 상기 본체가 구동되면, 상기 본체에 의해 제공 가능한 기능 중 일부가 차단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되는 기능은 배터리 소모가 많은 기능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소모가 많은 기능은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통화 기능, 게임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플랙시블(Flexible) 배터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목 밴드의 일단에 상기 배터리 충전을 위한 USB 연결잭이 구비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손목 밴드의 일단에 상기 USB 연결잭과 결속시키는 USB 결속 수단이 구비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목 밴드의 일측에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 전력 수신 수단이 구비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목 밴드의 일측에 상기 배터리를 착탈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배터리 팩 하우징이 더 구비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목 밴드의 일측에 메모리 카드를 착탈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카드 하우징이 더 구비되되, 상기 전원 플러그를 통해 상기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정보가 상기 본체로 전송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2. 착탈식 손목 밴드가 구비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배터리가 장착된 상기 착탈식 손목 밴드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에 장착됨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 보조 배터리가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원 공급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손목 밴드가 상기 본체로부터 제거되면, 상기 보조 배터리를 통해 상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손목 밴드가 상기 본체로부터 제거되면, 상기 본체에 의해 제공 가능한 기능 중 일부가 차단되는 전원 공급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되는 기능은 배터리 소모가 많은 기능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소모가 많은 기능은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통화 기능, 게임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방법.
  18. 제 12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40045870A 2014-04-17 2014-04-17 웨어러블 디바이스 전원 공급 방법 KR201501201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870A KR20150120101A (ko) 2014-04-17 2014-04-17 웨어러블 디바이스 전원 공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870A KR20150120101A (ko) 2014-04-17 2014-04-17 웨어러블 디바이스 전원 공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101A true KR20150120101A (ko) 2015-10-27

Family

ID=54428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870A KR20150120101A (ko) 2014-04-17 2014-04-17 웨어러블 디바이스 전원 공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010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2033A (ko) * 2016-02-02 2017-08-1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팔찌형 보조배터리
WO2018006830A1 (zh) * 2016-07-08 2018-01-1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腕带式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20190001443A (ko) * 2017-06-27 2019-01-04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기기,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미용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9143106A1 (ko) * 2018-01-19 2019-07-25 주식회사 리베스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결합이 가능한 충전 보조 기구
KR102154836B1 (ko) * 2020-04-22 2020-09-10 주식회사 가가 안전 고리와 연동하는 작업 안전 장치
KR102155011B1 (ko) * 2020-04-22 2020-09-11 주식회사 가가 안전 고리와 연동하는 작업 벨트 안전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2033A (ko) * 2016-02-02 2017-08-1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팔찌형 보조배터리
WO2018006830A1 (zh) * 2016-07-08 2018-01-1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腕带式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10691167B2 (en) 2016-07-08 2020-06-2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ristband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003211B2 (en) 2016-07-08 2021-05-1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ristband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01443A (ko) * 2017-06-27 2019-01-04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기기,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미용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9143106A1 (ko) * 2018-01-19 2019-07-25 주식회사 리베스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결합이 가능한 충전 보조 기구
KR102154836B1 (ko) * 2020-04-22 2020-09-10 주식회사 가가 안전 고리와 연동하는 작업 안전 장치
KR102155011B1 (ko) * 2020-04-22 2020-09-11 주식회사 가가 안전 고리와 연동하는 작업 벨트 안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89770B1 (en) Watch type terminal with analog watch part and smart functions
EP2665153B1 (en) Mobile terminal
KR101727495B1 (ko) 이동 단말기
KR101810465B1 (ko) 무선 전력 전달 중 단말기의 오리엔테이션 변경을 취급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120101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전원 공급 방법
CN103518311A (zh) 无线充电的方法和装置
KR20160026467A (ko)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CN114638605A (zh) 近距离无线通信的方法和电子设备
KR20170058704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액세서리 장치
KR20170086229A (ko) 전자디바이스
KR20140040975A (ko) 이동단말기
KR20150125214A (ko)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
KR101702584B1 (ko) 이동 단말기의 무접점 충전 장치 및 방법
CN108886549B (zh) 可附接外部存储介质的电子设备
KR20150120102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정보 표시 제어 방법
KR20160095887A (ko)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101531208B1 (ko) 손목 밴드형 모바일 기기 및 그것의 화면 제어 방법
KR10248627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66762A (ko) 이동 단말기
CN110622492B (zh) 移动终端
KR20150110092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알람 및 모닝콜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50326A (ko) 이동 단말기용 충전 장치 및 그 충전 방법
KR102121987B1 (ko) 무선 전력 송수신장치,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무선 충전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711830B1 (ko) 이동 단말기
KR101246841B1 (ko) 이동 단말기, 충전 장치 및 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