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9755A - 항균커버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항균커버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9755A
KR20150119755A KR1020140045584A KR20140045584A KR20150119755A KR 20150119755 A KR20150119755 A KR 20150119755A KR 1020140045584 A KR1020140045584 A KR 1020140045584A KR 20140045584 A KR20140045584 A KR 20140045584A KR 20150119755 A KR20150119755 A KR 20150119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acterial
cover
display unit
displa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5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9755A/ko
Priority to US14/688,297 priority patent/US9565280B2/en
Publication of KR20150119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97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7Hygienic or sanitary devices on telephone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092Interfacing with an external cover providing additional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항균커버를 구비하는 전자장치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표시부를 구비하는 본체 및 본체에 제공되며, 그 일면으로 항균모듈을 구비하는 항균커버부를 포함하고, 항균커버부가 표시부를 커버하면, 표시부는 특정 파장의 광을 조사하며, 항균모듈은 상기 특정파장의 광에 대해 활성화되어 상기 표시부를 항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Description

항균커버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ANTIBIOTIC COV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REFOF}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컨데 항균커버를 구비한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전자장치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최근에는 휴대 전화기, MP3 플레이어, 피엠피(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전자책 등으로,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다양한 콘텐츠를 접할 수 있는 전자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장치에는 무선 송수신의 기능뿐만 아니라 사진, 음악 동영상, 멀티미디어, 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집약되고 있다. 또한 최근 전자장치는 휴대성이나 간편성 및 다양한 멀티 기능들이 탑재됨에 따라 사용자는 실, 내외는 물론 어느 환경에서나 전자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대부분의 시간을 전자장치를 휴대하면서 생활하게 된다.
이러한 전자장치의 전면에는 상기와 같은 멀티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표시부가 제공된다. 최근의 스마트 폰이라 불리는 전자장치의 경우, 전자장치의 전면 전체가 터치에 의해 감응하며 대형화된 표시부가 제공되는 실정이다.
터치에 감응하는 표시부를 가지는 전자장치의 경우, 사용자는 언제든 화면에 손을 접촉하게 된다. 또한, 표시부는 전자장치의 일면에 제공되어 항상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구성이다. 이에 표시부에는 외부 환경의 노출이나 사용자의 손에 다양한 접촉으로 표시부에 지문을 포함한 외부 환경에 따른 이물질이 접촉될 수 있다. 표시부에는 사용자의 손의 접촉에 따른 지문이 남는 것은 물론이고, 손의 표면에 오염원들이 그대로 표시부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가 외부 환경에 노출됨에 따라 외부의 오염원들이 표시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의 전자장치의 표시부에는 사용자의 손의 잦은 접촉이나 사용에 따라 각종 오염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이러한 오염원을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도록 표시부에 항균 물질을 직접 도포하거나, 항균효과가 있는 필름을 붙여 사용하게 된다. 즉 잦은 접촉이나 외부의 노출되는 환경에 의해 발생되는 오염을 저하시키기 위해 전자장치와는 별도의 비용을 들여 표시부에 항균력을 향상시킬 수밖에 없다. 또한, 표시부에 별도로 항균 물질을 도포하는 경우, AF 코팅(Anti Fouling coating)이 된 표시부 상에 항균 물질이 도포됨으로써, 도포된 항균 물질의 접착력이 낮아질 수밖에 없다. 이에, 표시부에 도포된 항균물질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일정한 수준의 항균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이에, 잦은 접촉이나 외부 노출로 인해 발생되는 각종 오염을 저하시키기 위해 전자장치, 구체적으로 표시부를 항균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별도의 비용을 들이지 않으면서 표시부를 항균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 표시부를 향균시킬 수 있는 장치가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항균커버를 구비한 전자장치는, 항균커버를 구비한 전자장치에 있어서, 표시부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제공되며, 그 일면으로 항균모듈을 구비하는 항균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항균커버부가 상기 표시부를 커버하면, 상기 표시부는 특정 파장의 광을 조사하며, 상기 항균모듈은 상기 특정파장의 광에 대해 활성화되어 상기 표시부를 항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표시부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제공되며 상기 본체를 커버하는 일반커버부; 상기 일반커버부를 대체하여 상기 본체를 커버하고, 그 일면으로 항균모듈을 구비하는 항균커버부; 및 상기 일반커버부와 상기 항균커버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것을 인지하고, 상기 항균커버부의 장착 시 항균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항균모드의 실행에 따라 상기 표시부는 특정 파장의 광을 활성화하고, 상기 항균모듈은 상기 특정파장의 광에 대해 활성화되어 상기 표시부를 항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항균커버는, 전자장치에 제공되는 항균커버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의 본체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커버; 및 상기 후면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전면에 위치되는 표시부를 개폐하며 커버하는 전면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커버의 일면에는 상기 표시부와 대면되어 상기 표시부를 항균하는 항균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후면커버에는 상기 본체에 상기 항균모듈이 제공되는 커버장치의 결합을 상기 본체가 인지할 수 있게 제공하는 알림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표시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에 특정 파장의 광에 따라 항균 물질이 분포되는 항균모듈을 제공함으로써, 표시부의 잦은 접촉이나 외부 노출로 인해 발생되는 각종 오염을 항균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표시부가 커버부에 덮여 있을 때, 표시부에서 특정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것만으로 표시부를 항균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비용을 들이지 않아도 된다.
또한,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전자장치는 항균모듈이 제공되는 커버부가 제공되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음은 물론 커버부가 표시부를 커버되는 특정 시간에 표시부를 향균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항균 커버를 구비한 전자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항균커버를 구비한 전자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항균커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항균커버부가 전자장치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항균커버를 구비한 전자장치의 사용상태 및 항균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항균커버를 구비한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항균커버를 구비한 전자장치에서, 감지모듈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항균커버를 구비한 전자장치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항균커버를 구비한 전자장치에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일부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등과 같은 도면에 보이는 것을 기준으로 기술된 상대적인 용어들은 '제1', '제2' 등과 같은 서수들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서수들에 있어서 그 순서는 언급된 순서나 임의로 정해진 것으로서, 그 순서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전자장치는 단말, 휴대 단말, 이동 단말, 통신 단말, 휴대용 통신 단말, 휴대용 이동 단말,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는 스마트폰, 휴대폰, 내비게이션 장치, 게임기, TV, 차량용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일 수 있다. 전자장치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포켓 사이즈의 휴대용 통신 단말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장치는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10)에 제공되는 항균커버는 플립커버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항균커버는 플립커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부(120)를 커버할 수 있으며, 그 일면으로 표시부(120)에 대응되게 항균모듈(240)이 제공되는 커버라면 항균커버는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나 구성으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 항균 커버는 플립커버를 예를 들며, 또한, 플립커버가 전자장치(10)의 본체(110)의 후면을 직접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한 몸체(one-piece)타입 플립커버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항균 커버를 구비한 전자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항균커버를 구비한 전자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원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항균 커버를 구비한 전자장치(10)는 본체(110)와, 항균커버부(200)를 포함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일반커버부(미도시)와, 제어부(17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커버부'라는 것은 항균커버부(200) 이외의 모든 커버를 통칭하는 것으로, 전자장치(10)에 제공되어 전자장치(10)를 커버하는 구성물을 의미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110)는 바 형상을 가지며, 전면으로 대형화된 표시부(120)를 구비하고, 후면으로 배터리(미도시)가 장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표시부(120)는 접촉이나, 근거리 근접에 따란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110)에는 후술하는 항균커버부(200)와 일반커버부의 장착 여부를 인지할 수 있는 감지모듈(190, 290) 중 검출부(190)가 제공될 수 있다(후술하는 도 3 및 도 4 참조). 검출부(190)(detecting element)는 후술하는 항균커버부(200)에 제공되는 신호부(290)(signal portion)를 인지하여, 신호부(290)의 유무에 따라 항균커버부(200)의 장착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검출부(190)는 본체(110)의 후면,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장착공간을 구비한 리어케이스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검출부(190)의 실장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검출부(190)는 본체(110)의 측면에 제공될 수도 있고, 표시부(120) 주변부에 제공될 수도 있는 등, 항균커버부(200)가 본체(110)에 제공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면, 검출부(190)의 위치는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표시부(120)의 주변 둘레를 따라 검출부(190)가 제공될 수 있고, 후술하나, 검출부(190)에 반응하는 신호부(290)는 항균모듈(240)의 주변둘레로 검출부(190)에 맞물리게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항균커버부(200)가 표시부(120)에 장착됨을 인지됨에 따라 항균모드(M)가 실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체(110)에는 제어부(170)가 제공될 수 있다(도 2 및 도 7 참조). 제어부(170)는 검출부(190)로 감지된 값을 인가받아, 설정된 모드에 따라 본체(110)의 표시부(120)를 통해 특정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70)는 항균커버부(200)가 제공된 본체(110)가 항균모드(M)로 실행될 수 있게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70)는, 검출부(190)가 항균커버부(200)의 결합 유무를 감지함에 따라 표시부(120)를 설정 모드에 맞춰 제어할 수 있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항균커버부(200)의 유무의 착탈을 검출하는 검출부(190)나 이에 따른 신호부(290)가 별도로 제공되지 않아도,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제어부(170)는 항균모드(M)를 실행할 수 있게 제어할 수도 있다. 즉, '항균모드(M)'를 실행할 수 있는 사용자 설정, 예를 들어 항균어플과 같은 구성을 통해 항균모드(M)를 실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항균커버부(200)의 착탈 유무에 따라 항균모드(M)를 제어할 수도 있고, 사용자 설정에 따라 항균모드(M)를 제어할 수 있는 것과 같이 다양한 변형이나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검출부(190)는 압력센서 또는 홀 센서와 같은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술하나, 검출부(190)가 압력센서로 이루어지는 경우, 후술하는 신호부(290)는 압력센서에 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검출부(190)가 홀 센서로 이루어지는 경위 후술하는 신호부(290)는 홀 센서에 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검출부(190)의 구체적인 내용은 감지모듈(190, 290)을 설명할 때,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항균커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항균커버부가 전자장치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앞서 언급하였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항균커버부(200)는 플립커버(flip cover)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항균커버부(200)는 전면커버(220)와, 후면커버(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커버(220)는 본체(110)의 표시부(120)를 커버하며, 사용에 따라 후면커버(210)에서 회전되어 표시부(120)를 온/오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전면커버(220)의 내측, 구체적으로 표시부(120)와 대면되는 내측면에는 항균모듈(24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항균모듈(240)은 표시부(120)와 그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전면커버(220)가 본체(110)의 전면을 커버하면, 항균모듈(240)과 표시부(120)는 서로 동일 크기로 대면되게 구비된다. 그러나, 항균모듈(240)의 크기는 전면커버(220)의 형태나 구성 또는 위치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커버(220)에 표시부(120)의 일부가 보일 수 있도록 투명 창(미도시)이 제공되는 경우, 투명 창을 제외하고 항균물질(a)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투명 창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표시부(120)만 항균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도시되진 않았으나, 투명창이 형성된 부분으로 접이식 항균모듈(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이식 항균모듈(240)이 제공되는 경우, 접이식 항균모듈은 항균모듈(240)의 단부에 연장형성되며, 투명 창 영역에서 접철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접이식 항균모듈은 일반적인 사용환경에서는 투명창 부분을 가리지 않도록 접철되어 있다가, 항균모드(M)의 사용환경에서는 접철된 부분이 펼쳐져 투명 창 부분을 커버하도록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사용환경에서는 투명 창을 통해 표시부(120)의 일부 영역을 확인할 수 있게 되며, 항균모드(M)의 사용환경에서 접이식 항균모듈을 펼쳐 투명 창 부분에 위치시킴으로써, 표시부(120) 전체와 대면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표시부(120)에서 특정 파장의 광이 조사되면, 투명 창 이외의 부분과 대면되는 항균모듈(240)과 투명창 부분의 접이식 항균모듈이 특정 광과 반응하여 항균물질(a)이 도포되면서 표시부(120) 전체를 항균할 수 있게 된다.
후면커버(210)는 본체(110)의 후면, 구체적으로 리어케이스를 커버하며, 리어케이스의 주변둘레를 따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전면커버(220)는 후면커버(210)의 일측에 연결부재(2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면 커버는 본체(110)의 리어케이스에 직접 결합되는 구성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배터리장착부가 구비된 리어케이스에 직접 결합되어 전자장치(10)의 후면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후면커버(210)에는 후술하는 감지모듈(190, 290) 중 신호부(290)가 제공될 수 있다.
신호부(290)는 본체(110)에 제공되는 검출부(190)와 대응하여 후면커버(210)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검출부(190)가 항균커버부(200)의 결합을 인지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출부(190)는 압력센서 또는 홀 센서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신호부(290)는 압력센서 또는 홀 센서로 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돌기 또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항균커버를 구비한 전자장치의 사용상태 및 항균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항균커버부(200)가 본체(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면커버(220)를 오픈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표시부(120)의 접촉을 통해 다양한 입력을 구현할 수 있다. 표시부(120)의 표면에는 사용자의 손에 의한 오염원이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 표시부(120)의 표면에 오염원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항균커버부(200)가 표시부(120)를 커버하면, 항균모듈(240)은 표시부(120)와 서로 접촉하게 된다. 후술하는 설정된 항균모드(M)에 따라, 표시부(120)에서는 특정파장을 가진 광이 조사될 수 있다.
앞서도 언급하였듯이, 항균모듈(240)은 표시부(120)에서 발광되는 특정 파장의 광에 대해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항균모듈(240)은 이산화티타늄(TiO2)을 포함하는 광촉매 물질(Photocatalyst)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산화티타늄은 385nm의 파장대(자외선 영역대)를 갖는 빛을 받으면 전자가 여기되면서, 전자(electron), 전공대(electron hole)가 형성되어 강한 산화력을 가진 하이드록시 라티칼(-OH)과 수퍼 옥사이드를 생성한다. 하이드록시 라디칼과 수퍼 옥사이드는 표시부(120)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세균, 즉 유기화합물과 반응하여 유기화합물을 산화 분해시켜 표시부(120)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원들을 살균하여 항균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항균모듈(240)은 자외선 영역의 파장대에 반응하며, 비교적 안정적인 이산화티타늄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구성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시광에 반응하는 산화티타늄과 같은 광촉매를 사용할 수도 있는 등, 표시부(120)에서 발생되는 특정 파장의 광과 반응하여 오염원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물질이라면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항균커버를 구비한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검출부(190)로 신호가 인지됨에 따라 설정된 항균모드(M)를 활성화시킨다. 즉, 제어부(170)는 표시부(120)에서 특정 파장의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항균모드(M)는 세가지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항균커버부(200)의 장착에 따라 전자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항균모드(M)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에 따른 항균모드(M)는 제1항균모드(M1)와, 제2항균모드(M2) 및 제3항균모드(M3) 중 적어도 하나의 항균모드(M)로 설정될 수 있다.
제1항균모드(M1)는 항균커버부(200)가 표시부(120)를 커버함과 아울러 상기 표시부(120)를 항균할 수 있게 설정된 모드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보면, 제1항균모드(M1)는 항균커버부(200), 더 구체적으로 전면커버(220)가 표시부(120)를 커버하면, 전면커버(220)가 표시부(120)를 커버함에 따라 표시부(120)에서 소정 시간 동안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설정된 모드이다. 따라서, 제1항균모드(M1)로 설정된 경우, 전면커버(220)가 표시부(120)를 커버하면, 표시부(120)에서는 소정 시간 동안 특정 파장이 조사될 수 있다. 이에, 특정 파장에 반응하는 항균모듈(240)에서는 항균물질(a)이 방출되고, 방출된 항균물질(a)에 의해 표시부(120)가 살균될 수 있다.
제2항균모드(M2)는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시간에 표시부(120)를 항균할 수 있도록 설정된 모드인다. 즉, 제2항균모드(M2)는 특정 시간,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장치(10)의 사용이 줄어드는 시간에 소정 시간 동안 표시부(120)에서 특정 파장을 조사하도록 설정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새벽 1시로 특정 시간을 설정하면, 제어부(170)는 설정된 시간에 표시부(120)가 특정 파장이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새벽 4시 및 오후 15시로 두 개의 항균모드(M)를 설정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각각의 설정된 시간에 소정 시간 동안 표시부(120)가 특정 파장의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예를 든 시간에 표시부(120)에서 특정 파장의 광이 조사됨으로써, 표시부(120)와 대면된 항균모듈(240)에서는 표시부(120)에서 조사되는 광에 따라 특정 항균물질(a)이 방출되고, 방출된 물질이 표시부(120) 표면의 오염원과 결합됨으로써 살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제3항균모드(M3)는 항균커버부(200)가 표시부(120)를 커버함과 아울러 커버한 순간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부터 소정시간 동안 표시부(120)를 항균할 수 있도록 설정된 모드이다. 즉, 전면커버(220)가 표시부(120)를 커버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더 이상 전면 커버의 오픈이 발생되지 않게 되면, 제어부(170)는 표시부(120)에서 특정 파장의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전면커버(220)가 표시부(120)에 커버된 상태로 10분이 경과되면, 표시부(120)에서 특정 파장의 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전면커버(220)를 덮어 표시부(120)를 커버하도록 한 후, 10분이 경과되면, 표시부(120)는 특정 파장의 광이 소정시간 동안 조사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표시부(120)에 대면된 항균모듈(240)에서는 특정 파장에 대한 항균물질(a)이 방출될 수 있다. 항균물질(a)이 방출되면, 항균물질(a)은 표시부(120)의 오염원과 반응하게 되고, 오염원이 살균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항균커버를 구비한 전자장치에서, 감지모듈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하였듯이 본체(110)에 항균커버부(200)가 장착되면, 이를 감지하고, 항균모드(M)를 실행할 수 있도록 전자장치(10)에는 감지모듈(190, 290)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모듈(190, 290)은 검출부(190)와 신호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모듈(190, 290) 중 검출부(190)가 압력센서로 이루어지고, 신호부(290)는 압력센서를 가압할 수 있도록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10)의 후면, 즉 리어케이스의 소정 위치에는 가압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항균커버부(200),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후면커버(210)의 내측에는 가압센서의 위치와 맞물리도록 돌기가 제공될 수 있다. 후면커버(210)가 리어케이스에 체결 시, 돌기가 제공되지 않은 일반커버부라면, 가압센서의 위치에 돌기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가압센서에는 아무런 신호가 가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70)에는 아무런 신호가 인가되지 않고, 항균모드(M)의 실행을 위한 어떠한 신호도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는 달리, 항균커버부(200)가 본체(110)에 체결되어, 후면커버(210)에 제공된 돌기가 리어케이스에 제공된 가압센서를 가압하게 된다. 가압센서가 돌기에 의한 가압되면, 가압센서에 가해진 신호 값이 제어부(170)에 인가된다. 인가된 신호 값에 따라 제어부(170)는 설정된 항균모드(M)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감지모듈의 다른 실시 예로서, 감지모듈(190, 290) 중 검출부(190)가 홀 센서로 이루어지고, 신호부(290)는 홀 센서와 반응할 수 있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10)의 후면, 즉 리어케이스의 소정 위치에는 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항균커버부(200),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후면커버(210)의 내측에는 홀 센서의 위치와 맞물리며, 홀 센서를 반응시킬 수 있게 자성제가 제공될 수 있다. 후면커버(210)가 리어케이스에 체결 시, 자성체가 제공되지 않은 일반커버부라면, 홀 센서에는 아무런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다. 이에, 제어부(170)에는 아무런 신호가 인가되지 않고, 항균모드(M)의 실행을 위한 어떠한 신호도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는 달리, 항균커버부(200)가 본체(110)에 체결되면, 홀 센서에는 후면커버(210)에 제공된 자성체에 반응하여 신호가 발생된다. 홀 센서에 자성체에 의한 신호값이 인가되면, 인가된 신호값에 따라 제어부(170)는 설정된 항균모드(M)를 실행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검출부(190)와 신호부(290)는 가압센서와,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검출부(190)와 신호부(290)가 각각 홀 센서와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10)의 후면에는 홀 센서가 실장되고, 등, 특정 신호를 가지는 신호부(290)와, 특정 신호에 반응하는 검출부(190)를 구비하는 구성이라면 그 구성들은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앞서서도 언급한 검출부(190)와 신호부(290)의 제공 없이도 항균모드(M)로 실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설정에 따라 항균모드(M)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항균커버부(200)가 본체(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항균어플과 같은 사용자 설정을 통해 표시부(120)를 항균할 수 있게 항균모드(M)를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항균커버를 구비한 전자장치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70)는 감지모듈(190, 290)에 의해 항균커버부(200)의 착탈 유무에 따라 항균모드(M)의 실행여부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검출부(190)에 신호부(290)에 의한 신호가 인지되었는지 여부를 먼저 감지할 수 있다(S100). 검출부(190)에 신호부(290)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 본체(110)에는 항균커버부(200)가 착탈되지 않거나, 또는 일반커버부가 체결된 것으로서, 항균모드(M)는 실행되지 않는다. 이와는 반대로 검출부(190)에 신호부(290)의 신호가 인지된 경우, 인지된 신호 값은 제어부(170)로 전달되고, 제어부(170)는 항균모드(M)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항균모드(M)를 활성화시킨다(S200). 여기서 '활성화'의 의미는 설정된 항균모드(M)를 구동시킬 수 있는 예비 상태를 일컫는다. 항균모드(M)가 활성화되면, 전자장치(10)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균모드(M)에 따라 표시부(120)를 항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S310, S320, S330).
예를 들어 제1항균모드(M1)로 설정되어 있다면(S310), 항균커버부(200)가 본체(110)에 장착되면, 제1항균모드(M1)가 활성화된다. 이에, 제1항균모드(M1)에 따라 표시부(120)를 항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전면커버(220)가 표시부(120)를 커버하면, 커버된 순간부터 표시부(120)는 특정 파장의 광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특정 파장의 광의 조사와 함께, 표시부(120)와 대면되어 있는 항균모듈(240)에서는 특정파장의 광으로 인해 항균물질(a)이 방출될 수 있고, 방출된 항균물질(a)이 표시부(120)의 표면과 접촉하면서 표시부(120) 표면에 있는 오염원을 살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제2항균모드(M2)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S320), 항균커버부(200)가 본체(110)에 장착되면 제2항균모드(M2)가 활성화된다. 이에, 설정된 제2항균모드(M2)에 따라 표시부(120)를 항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시간, 예를 들어 새벽 1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새벽1시에 표시부(120)에서는 특정 파장의 광이 소정시간 동안 조사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표시부(120) 상으로 전면커버(220)를 커버한 상태로 사용하지 않는 상태이다. 따라서, 표시부(120)에서 발광되는 특정 파장의 광에 따라 표시부(120)와 대면되어 있는 항균모듈(240)에서는 항균물질(a)이 방출될 수 있다. 방출되는 항균물질(a)은 표시부(120)의 표면에 오염원을 살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제3항균모드(M3)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S330), 항균커버부(200)가 본체(110)에 장착되면 제3항균모드(M3)가 활성화된다. 이에, 설정된 제3항균모드(M3)에 따라 표시부(120)를 항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전면커버(220)가 표시부(120)를 커버함과 아울러 커버한 순간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예를 들어 10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10분이 경과되면, 표시부(120)에서는 특정 파장의 광이 소정시간 동안 발광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120)에서 발광되는 특정 파장의 광에 따라 표시부(120)와 대면되어 있는 항균모듈(240)에서는 항균물질(a)이 방출될 수 있다. 방출되는 항균물질(a)은 표시부(120)의 표면에 오염원을 살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항균커버를 구비한 전자장치에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항균커버를 구비한 전자장치(10)의 흐름이 앞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와 다른 점은 감지모듈(190, 290)의 유무이다. 구체적으로 앞선 실시 예에서는 감지모듈(190, 290)을 통해 항균커버부(200)의 착탈유무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각각의 항균모드(M)를 활성화시키는 것이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항균모드(M)를 활성화시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항균모드(M)의 흐름도에서 앞선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이나 설명은 앞선 설명을 준용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항균커버부(200)를 본체(110)에 결합한 후, 항균어플 등과 같은 사용자 설정을 실행한다(S100). 사용자 설정에 의해 제어부(170)는 항균모드(M)를 활성화되게 제어 할 수 있다(S200). 만약 일반커버부가 본체(110)에 장착되거나, 또는 항균커버부(200)가 제공된 상태에서 사용자 설정을 실행시키지 않으면, 표시부(120)의 항균모드(M)는 실행되지 않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항균커버부(200)를 본체(110)에 결합한 후, 사용자 설정을 통해 항균모드(M)를 활성화시키면, 전자장치(10)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항균모드(M)에 따라 표시부(120)를 항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S310, S320, S33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항균커버를 구비한 전자장치(10)는 항균커버부(200)가 표시부(120)를 커버하면 설정에 따라 표시부(120)의 표면을 살균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항균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사용자는 항균모듈(240)이 구비된 전면커버(220)를 표시부(120) 상에 커버하도록 하면, 표시부(120)의 오염원을 살균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전자장치 110: 본체
120: 표시부 170: 제어부
190: 검출부 200: 항균커버부
210: 전면커버 220: 후면커버
230: 연결부재 240: 항균모듈
290: 신호부

Claims (25)

  1. 항균커버를 구비한 전자장치에 있어서,
    표시부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제공되며, 그 일면으로 항균모듈을 구비하는 항균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항균커버부가 상기 표시부를 커버하면, 상기 표시부는 특정 파장의 광을 조사하며, 상기 항균모듈은 상기 특정파장의 광에 대해 활성화되어 상기 표시부를 항균하는 항균커버를 구비한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모듈은 광촉매 물질(Photocatalyst)을 포함하는 항균커버를 구비한 전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물질은 이산화티타늄(TiO2)을 포함하는 항균커버를 구비한 전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항균커버부에는 상기 항균커버부의 착탈유무를 감지하는 감지모듈이 더 포함되는 항균 커버를 구비한 전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항균커버부에 구비되는 신호부;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신호부와 맞물려 상기 신호부의 신호를 감지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항균커버를 구비한 전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의 신호 인지값에 따라 상기 상기 표시부에서 특정 파장의 광을 조사하여 항균모드를 실행하게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는 항균커버를 구비한 전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모드는,
    상기 항균커버부가 상기 표시부를 커버함과 아울러 상기 표시부를 항균하는 제1항균모드와,
    상기 항균커버부가 상기 표시부를 커버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시간에 상기 표시부를 항균하는 제2항균모드; 및
    상기 항균커버부가 상기 표시부를 커버함과 아울러 소정 시간 이후 소정 시간 동안 표시부를 항균하는 제3항균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모드를 포함하는 항균커버를 구비한 전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항균모드 시,
    상기 항균커버부가 상기 표시부를 커버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가 특정 파장의 광을 소정 시간 동안 조사하여 상기 표시부를 항균하도록 제어하는 항균커버를 구비한 전자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항균모드 시,
    상기 항균커버부가 상기 표시부를 커버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설정된 시간이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가 특정 파장의 광을 소정 시간 동안 조사하여 상기 표시부를 항균하도록 제어하는 항균커버를 구비한 전자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항균모드 시,
    상기 항균커버부가 상기 표시부를 커버한 상태에서, 커버된 상태가 설정된 소정 시간 흐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가 특정 파장의 광을 소정시간 동안 조사하여 상기 표시부를 항균하도록 제어하는 항균커버를 구비한 전자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가압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호부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항균커버를 구비한 전자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홀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호부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항균커버를 구비한 전자장치.
  13. 전자장치에 있어서,
    표시부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제공되며 상기 본체를 커버하는 일반커버부;
    상기 일반커버부를 대체하여 상기 본체를 커버하고, 그 일면으로 항균모듈을 구비하는 항균커버부; 및
    상기 일반커버부와 상기 항균커버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모듈;
    상기 감지모듈의 신호 값에 따라 항균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항균모드의 실행에 따라 상기 표시부는 특정 파장의 광을 활성화하고, 상기 항균모듈은 상기 특정파장의 광에 대해 활성화되어 상기 표시부를 항균하는 전자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모드는,
    상기 항균커버부가 상기 표시부를 커버함과 아울러 상기 표시부를 항균하는 제1항균모드와,
    상기 항균커버부가 상기 표시부를 커버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시간에 상기 표시부를 항균하는 제2항균모드 및
    상기 항균커버부가 상기 표시부를 커버함과 아울러 소정 시간 이후 소정 시간 동안 표시부를 항균하는 제3항균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모드를 통해 상기 표시부를 항균하게 제어하는 전자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모듈은 상기 항균커버부의 일면으로 상기 표시부와 대면되는 면에 제공되는 전자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모듈은 이산화티타늄(TiO2)을 포함하는 광촉매 물질(Photocatalyst)로 이루어지는 전자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커버부는,
    상기 본체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커버; 및
    상기 후면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표시부를 개폐하며 커버하며, 상기 표시부와 대면되는 일면으로 상기 항균모듈이 제공되는 전면커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는 검출부; 및
    상기 후면커버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검출부와 맞물려 상기 검출부에 신호를 제공하는 신호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가압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호부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전자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홀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호부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전자장치.
  21. 전자장치에 제공되는 항균커버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의 본체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커버; 및
    상기 후면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전면에 위치되는 표시부를 개폐하며 커버하는 전면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커버의 일면에는 상기 표시부와 대면되어 상기 표시부를 항균하는 항균모듈이 구비되는 항균커버.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가 상기 표시부를 커버하면, 상기 전자장치는 항균모드를 실행하는 항균커버.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모듈은 상기 표시부에서 발광되는 특정 파장의 광에 대해 활성화되는 항균커버.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모듈은 이산화티타늄(TiO2)을 포함하는 광촉매 물질(Photocatalyst)로 이루어지는 항균커버.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에는 상기 본체의 검출부에 상기 항균커버부의 결합을 상기 본체가 인지할 수 있게 제공하는 신호부가 더 구비되는 항균커버.

KR1020140045584A 2014-04-16 2014-04-16 항균커버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KR2015011975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584A KR20150119755A (ko) 2014-04-16 2014-04-16 항균커버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US14/688,297 US9565280B2 (en) 2014-04-16 2015-04-16 Antifungal cov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584A KR20150119755A (ko) 2014-04-16 2014-04-16 항균커버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755A true KR20150119755A (ko) 2015-10-26

Family

ID=54323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584A KR20150119755A (ko) 2014-04-16 2014-04-16 항균커버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65280B2 (ko)
KR (1) KR201501197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913B1 (ko) * 2020-09-02 2021-06-18 용원주 항균 및 살균기능을 갖는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11745A (ja) * 2016-05-24 2017-11-30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滅菌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560744B1 (ko) * 2018-09-07 2023-07-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0515576B (zh) 2019-07-08 2021-06-01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及装置
IT202000016369A1 (it) * 2020-07-07 2022-01-07 Stefano Guarino Protezioni antivirali e antibatteriche per smart device.
CN114901010A (zh) * 2022-05-07 2022-08-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2348A (en) * 1989-12-07 1993-04-13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Thiarubrine antifungal agents
US5848152A (en) * 1995-09-26 1998-12-08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interchangeable faceplates and active keypad cover
JP3573392B2 (ja) * 1996-12-09 2004-10-06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光触媒体、光源および照明器具
WO2001042140A1 (en) * 1999-12-13 2001-06-14 Jonathan Sherman Nanoparticulate titanium dioxide coatings, an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and use thereof
KR200198713Y1 (ko) 2000-05-08 2000-10-02 누리데이타시스템주식회사 광촉매가 코팅된 휴대용 전화기
FI116344B (fi) * 2000-10-11 2005-10-31 Nokia Corp Viestintälaite
KR100450929B1 (ko) * 2001-11-19 2004-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윙 폴더 단말기
US7449194B2 (en) * 2002-01-08 2008-11-11 Microactive Corp. Antimicrobial body covering articles
TWI255630B (en) * 2004-02-20 2006-05-21 Hon Hai Prec Ind Co Ltd Self-cleaning mobile phone
NZ569756A (en) * 2005-12-12 2011-07-29 Allaccem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eparing antimicrobial films and coatings utilising polycyclic bridged ammonium salts
JP5957175B2 (ja) * 2008-03-04 2016-07-27 株式会社東芝 抗菌性膜および抗菌性部材
JPWO2009116363A1 (ja) * 2008-03-21 2011-07-21 株式会社きもと 光学用フィルム、積層体及びタッチパネル
JPWO2009145209A1 (ja) * 2008-05-27 2011-10-13 Toto株式会社 光触媒塗装体
US20110216029A1 (en) * 2008-11-28 2011-09-08 Kimoto Co., Ltd Sheet with reformed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20004497U (ko) 2010-12-15 2012-06-25 김종호 탈부착식 휴대폰 케이스가 구비된 접이식 반 지갑
US9517459B2 (en) * 2011-06-07 2016-12-13 Daicel Corporation Photocatalytic coating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14152729A2 (en) * 2013-03-14 2014-09-25 Matthew Weiner Finger splint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913B1 (ko) * 2020-09-02 2021-06-18 용원주 항균 및 살균기능을 갖는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65280B2 (en) 2017-02-07
US20150304467A1 (en)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9755A (ko) 항균커버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EP3043244B1 (en) Device with a self-sterilizing touch screen
US9519077B2 (en) Proximity sensors with optical and electrical sensing capabilities
Zhang et al. Extending mobile interaction through near-field visible light sensing
US20170211973A1 (en) Light Sensor Windows For Electronic Devices
US8666456B2 (en)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US8039779B2 (en) Electronic device
US20100090854A1 (en) Mobile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TWI538600B (zh) 殼體結構
CN105340186A (zh) 比吸收率缓和
CN102668524B (zh) 用于用户接口的输入设备
WO2014035557A1 (en) Electronic device with adaptive proximity sensor threshold
US20120211656A1 (en) Mobile device with proximity sensor
KR102353514B1 (ko)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40126950A (ko) 보호 커버를 구비한 휴대형 전자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20170090608A1 (en) Proximity Sensor with Separate Near-Field and Far-Field Measurement Capability
US10775902B2 (en) Stylus with glass component
HK1089274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functions and/or data of a vehicle
KR20230054429A (ko) 전자 디바이스들을 위한 변조 방지 표시기들
KR200433949Y1 (ko) 차량용 디지털 도어 잠금장치
EP2493156B1 (en) Mobile device with proximity sensor
EP302305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light
TWI447066B (zh) Distance sensing circuit and touch electronic device
KR102408032B1 (ko) 전자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에 연동된 생체 센서의 제어 방법
KR20180080475A (ko)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