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8688A - Single type board to board connector - Google Patents

Single type board to board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8688A
KR20150118688A KR1020140044535A KR20140044535A KR20150118688A KR 20150118688 A KR20150118688 A KR 20150118688A KR 1020140044535 A KR1020140044535 A KR 1020140044535A KR 20140044535 A KR20140044535 A KR 20140044535A KR 20150118688 A KR20150118688 A KR 20150118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connector
contact
unit hous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5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지웅
Original Assignee
강지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지웅 filed Critical 강지웅
Priority to KR1020140044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8688A/en
Publication of KR20150118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68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gle type board to board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ngle type board to board connector which serially connects a single type board to a data line formed on the other board as a single type connector using one connector of two boards which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

Description

싱글형 보드 투 보드 커넥터{Single type board to board connector}Single type board to board connector

본 발명은 싱글형 보드 투 보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연결되는 2개의 보드 중 어느 하나만 커넥터를 사용하는 싱글형 커넥터로서, 싱글형 커넥터를 다른 하나의 보드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에 직접 연결하는 싱글형 보드 투 보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gle-type board-to-board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ngle-type connector using only one of two boards connected to each other, in which a single-type connector is directly connected to a data line To-board connector.

일반적으로, 보드 투 보드 커넥터(board to board connector)는 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컴퓨터 및 휴대폰을 비롯한 각종 전자통신기기에 내장된 보드들을 상호 접속하여 데이터를 주고받게 하는 연결수단이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general, a board to board connector is a mean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circuits to each other, and is a connecting means for interconnection of boards incorporated in various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a computer and a mobile phone to exchange data.

그 예로 보드 투 보드 커넥터는 휴대폰 화면에 영상이나 문자를 표출하기 위해 LCD 패널과 메인 기판을 연결하거나 혹은 이동통신, 음악재생 및 카메라 촬영 기능 등을 구현하는 PCB 기판과 PCB 기판을 연결하는 경우에 사용된다.For example, the board-to-board connector is used to connect the LCD panel to the main board to display video or text on the screen of a mobile phone, or to connect a PCB board to a PCB board that implements mobile communication, music playback, and camera shooting functions. do.

예컨대, 도 1의 (a)와 같은 LCD 패널(10)을 메인 기판(20)에 연결하기 위해 커넥터가 사용된다. 이때, 도 1의 (b)와 같이 LCD 패널(10)의 드라이브 기판(11)에 연성회로(12) 연결되고 연성회로(12)에는 숫 커넥터(M)가 구비된다. 아울러, 메인 기판(20)에는 암 커넥터(F)를 구비한다. 따라서, 암수 한 쌍의 커넥터(M, F)를 서로 결합하여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For example, a connector is used to connect the LCD panel 10 shown in FIG. 1 (a) to the main board 20. 1 (b), the flexible circuit 12 is connected to the drive substrate 11 of the LCD panel 10, and the flexible circuit 12 is provided with the male connector M, as shown in FIG. 1 (b). In addition, the main board 20 is provided with a female connector F. Thus, the male and female connectors M and F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enable data transmission.

또한, 도 2의 (a)와 같이 PCB 기판(20a)과 PCB 기판(20b)을 연결하는 경우에도 일측 PCB 기판(20a)에는 숫 커넥터(M)를 구비하고, 타측 PCB 기판(20b)에는 암 커넥터(F)를 구비하여, 도 2의 (b)와 같이 암수 한 쌍의 커넥터(M, F)를 서로 결합한다.2 (a), a male connector M is provided on one side PCB board 20a and a female connector M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PCB board 20b. Further, in case of connecting the PCB board 20a and the PCB board 20b as shown in FIG. A connector F is provided to couple the pair of male and female connectors M and F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2 (b).

물론, 그 이외에도 한국등록특허 제10-0803026호, 한국등록특허 제10-1212808호, 한국등록특허 제10-0602275호 및 등록실용신안 제20-0234327호 등에서도 다양한 장치에 다양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보드 투 보드 커넥터가 소개되고 있다.Of course, Korean Patent No. 10-0803026, Korean Patent No. 10-1212808, Korean Patent No. 10-0602275, and Registration No. 20-0234327 are also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various devices. Board-to-board connectors are being introduced.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은 공통적으로 보드들 간의 연결을 위해 일측 보드에는 숫 커넥터(M)를 구비하고, 타측 보드에는 암 커넥터(F)를 구비함으로써, 이들 암수 한 쌍의 커넥터(M, F)를 끼움 결합하는 방식이 사용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rt as described above, the male connector M is provided on one board and the female connector F is provided on the other board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boards, so that the pair of male and female connectors M and F ) Is inserted and used.

따라서, 암 커넥터(F)와 숫 커넥터(M) 모두를 사용해야 하므로 이들을 결합시킨 상태의 두께(혹은, 높이)가 두꺼워지게 된다. 특히 최근의 스마트 폰은 휴대성 및 디자인적 요소를 고려하여 그 두께가 점점 얇아지고 있는데 암수 커넥터(M, F)는 그 한계를 결정짓는 물리적 요인으로 작용한다.Therefore, both the female connector F and the male connector M must be used, so that the thickness (or the height) in a state where the male connector F and the male connector M are combined becomes thick. In recent years, smart phones have become thinner in consideration of portability and design factors, and male and female connectors (M, F) are physical factors that determine their limitations.

또한, 종래에는 숫 커넥터(M)가 암 커넥터(F) 내부로 끼워지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경우 암수 단자(혹은, 핀)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기생 임피던스 등에 의해 데이터 전송 특성이 저하되며, 이는 데이터 전송 속도(bps)가 빨라질수록 더욱 큰 문제가 되었다.In the prior art, the male connector M is inserted into the female connector F. In this case, the data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re degraded due to parasitic impedances generated between the male and female terminals (or pins) The faster the transmission speed (bps), the bigger the problem.

또한, 암 커넥터(F)와 숫 커넥터(M) 모두를 구비하는 경우 비용이 증가함은 물론, 커넥터(F, M)를 각각 보드에 실장하기 위한 제조시간도 증가하며, 커넥터를 서로 끼워 맞추는 과정에서 접속 불량이나 접지불량이 발생하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하였다.
In addition, both of the female connector F and the male connector M increase in cost, and the manufacturing time for mounting the connectors F and M on the board is also increased, There are various problems such as connection failure and ground failure.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연결되는 2개의 보드 중 어느 하나만 커넥터를 사용하는 싱글형 커넥터로서, 싱글형 커넥터를 다른 하나의 보드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에 직접 연결하는 싱글형 보드 투 보드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ngle-type connector using only one of two boards connected to each other, Board-to-board connector.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싱글형 보드 투 보드 커넥터는 커넥터가 없는 제2 보드의 제2의 데이터 라인에 연결되는 싱글형 보드 투 보드 커넥터에 있어서, 각각 하나의 커넥터 핀이 설치되는 단위 하우징이 핀 수만큼 복수개 연결된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단위 하우징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단위 하우징의 하부에 노출되어 제1 보드의 제1 데이터 라인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와, 상기 단위 하우징의 상부에 노출되어 상기 제2 보드의 제2 데이터 라인에 접촉되는 컨택부 및 상기 접속 단자와 컨택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커넥터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a single type board-to-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ngle board-to-board connector connected to a second data line of a second board having no connector, wherein a unit housing, A plurality of connector housings connected in number; And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unit housing and expos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nit housing to be connected to a first data line of the first board and a connection terminal expos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unit housing, And a connector pin having a contact portion to be in contact with and a connection por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nection terminal and the contact portion.

이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컨택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연결부이고, 상기 제1 보드에 연결시 상기 컨택부는 상기 탄성 연결부에 의해 탄성 지지된 상태에서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connecting portion is an elastic connecting portion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contact portion, and when the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board, the contact portion is preferably pressed in a state of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connecting portion.

또한, 일단이 상기 접속 단자에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의 제1 탄성부 및 일단은 상기 제1 탄성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컨택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의 제2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first elastic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and having a convex shape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elastic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elastic portion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ntact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elastic portion has a convex shape.

또한, 상기 접속 단자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접속 단자가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단자 걸림편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위 하우징의 내측 벽면에는 상기 단자 걸림편이 끼워지는 단자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terminal latching protrusion for fixing the connection terminal so as not to mo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is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connection terminal, and a terminal latching groove for fitting the terminal latching piece is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unit housing desirable.

또한, 상기 컨택부의 전방 단부에는 상기 단위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꺽인 절곡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단부에는 컨택 걸림편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위 하우징의 내측 벽면에는 상기 컨택 걸림편이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리는 고정 단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bent portion is formed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unit housing. The contact holding portion is protruded from the end portion of the bent portion. The contact holding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unit housing, It is preferable that a fixing step is formed so as not to be separated by the fixing step.

또한, 상기 단위 하우징은 상기 접속 단자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단위 하우징의 하부 전단부에 형성된 단자 인출구와; 상기 컨택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단위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된 컨택 인출구; 및 상기 연결부가 상기 단위 하우징 내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단위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단자 인출구 및 컨택 인출구에 연결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nit housing includes a terminal outlet formed at a lower front end of the unit housing so that the connection terminal is drawn out to the outside; A contact outlet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unit housing such that the contact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unit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outlet and the contact outlet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is seated inside the unit housing.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하나의 보드에만 커넥터를 사용하는 싱글형 커넥터로서 그 싱글형 커넥터를 다른 보드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에 직접 접촉시켜 연결한다. 따라서, 암수 한 쌍의 커넥터를 모두 구비할 필요 없이 하나의 커넥터만 사용하면 되게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 single-type connector that uses a connector only on one board, and connects the single-type connector directly to a data line formed on another board. Therefore, only one connector can be used without having to have both male and female connector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보드 투 보드 커넥터를 나타낸 제1 실시예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보드 투 보드 커넥터를 나타낸 제2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싱글형 보드 투 보드 커넥터의 제1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싱글형 보드 투 보드 커넥터의 제2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싱글형 보드 투 보드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싱글형 보드 투 보드 커넥터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싱글형 보드 투 보드 커넥터의 단위 하우징 및 커넥터 핀을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싱글형 보드 투 보드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싱글형 보드 투 보드 커넥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싱글형 보드 투 보드 커넥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이다.
FIG. 1 is a first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board-to-board connector.
2 is a second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board-to-board connector.
3 is a first use state view of a single type board-to-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ond use state diagram of a single type board-to-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ingle type board-to-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ottom view of a single board-to-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unit housing and a connector pin of a single type board-to-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of a single type board-to-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single type board-to-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single type board-to-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글형 보드 투 보드 커넥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single-type board-to-board conne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3의 (a)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싱글형 보드 투 보드 커넥터(100)는 일 예로 LCD 패널(10)과 메인 보드(20)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이때, LCD 패널(10)에는 접속 패드(P)가 형성되어 있고, 메인 보드(20)는 싱글형 보드 투 보드 커넥터(100)(이하, '싱글형 커넥터'라 함)가 구비된다. 물론, 그 반대도 가능하다.3 (a), the single-type board-to-board connec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connect the LCD panel 10 and the main board 20, for example. At this time, a connection pad P is formed on the LCD panel 10, and the main board 20 is provided with a single board-to-board connector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ingle-type connector"). Of course, the opposite is also possible.

또한, LCD 패널(10)의 접속 패드(P)는 복수개이고 각각은 데이터 라인(예: 픽셀 구동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LCD 패널(10)에서 커넥터를 제거한 상태 그대로에 해당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onnection pads P of the LCD panel 10 are connected to data lines (e.g., pixel drive lines), respectively. This configuration corresponds to the state in which the connectors are removed from the LCD panel 10.

반면, 메인 보드(20)의 싱글형 커넥터(100)는 커넥터 하우징(110) 및 커넥터 핀(120)을 포함한다. 커넥터 핀(120)은 접속 단자(121) 및 컨택부(122)를 포함하고, 접속 단자(121)는 무연 솔더에 의해 메인 보드(20)의 데이터 라인에 용접된다.On the other hand, the single type connector 100 of the main board 20 includes the connector housing 110 and the connector pin 120. The connector pin 120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121 and a contact portion 122. The connection terminal 121 is welded to the data line of the main board 20 by lead-free solder.

따라서, 도 3의 (b)와 같이 커넥터 핀(120)의 컨택부(122)와 접속 패드(P)의 위치가 일치되도록 LCD 패널(10)과 메인 보드(20)를 정렬시킨 상태에서, LCD 패널(10)과 메인 보드(20)를 결합하면 보드 투 보드 커넥팅(board to board connecting)이 이루어진다. 3 (b), the LCD panel 10 and the main board 20 are aligned so that the contact portions 122 of the connector pins 120 are aligned with the connection pads P, When the panel 10 and the main board 20 are combined, board to board connecting is performed.

다만, LCD 패널(10)과 메인 보드(20)의 고정은 접착 테이프, 실리콘, 접착재 및 볼트 등을 비롯하여 공지의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LCD 패널(10)과 메인 보드(20)를 가압하여 서로 결합되면 컨택부(122)가 약간 눌리면서 접속 패드(P)에 접촉한다.The LCD panel 10 and the main board 20 may be fixed by various known methods such as adhesive tape, silicone, adhesive, bolt, etc., and the LCD panel 10 and the main board 20 may be pressed The contact portion 122 contacts the contact pad P with a slight push.

이와 같이 본 발명은 LCD 패널(10)에는 별도의 커넥터를 구비하지 않고, 오직 메인 보드(20)에만 본 발명의 싱글형 커넥터(100)를 구비하면 된다. 물론, 그 반대로 LCD 패널(10)에 싱글형 커넥터(100)를 구비하면 메인 보드(20)에는 별도의 커넥터를 구비하지 않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LCD panel 10 may be provided with only the main board 20 and the single-type conn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a separate connector. In contrast, if the LCD panel 10 is provided with the single-type connector 100, the main board 20 does not have a separate connector.

아울러, 싱글형 커넥터(100)를 사용하지 않는 다른 보드는 데이터 라인(예: 기판에 인쇄된 전도성 재질의 라인)이나, 상기 데이터 라인 위에 실장된 접속 패드(P) 등을 그 자체로서 보드 간 연결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한다. Other boards that do not use the single-type connector 100 may connect the data lines (e.g., lines of a conductive material printed on the board), the connection pads (P) mounted on the data lines, It is used as a means for.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처럼 암 커넥터(F)와 숫 커넥터(M) 모두를 사용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싱글형 커넥터(100)만 사용하면 되므로 이들을 결합시킨 상태의 두께(혹은, 높이)를 최소화한다.Therefore,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use both the female connector F and the male connector M as in the prior art, only one single-type connector 100 need be used, so that the thickness (or height) .

또한, 본 발명은 종래처럼 숫 커넥터(M)가 암 커넥터(F) 내부로 끼워지는 방식이 아니므로 암수 단자(혹은, 핀)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기생 임피던스 성분 등을 감소시켜 데이터 전송 특성을 향상시킨다. Furth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method in which the male connector M is fitted into the female connector F as in the conventional art, parasitic impedance components generated between male and female terminals (or pins) are reduced to improve data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

또한, 본 발명은 종래처럼 암 커넥터(F)와 숫 커넥터(M) 모두를 구비하는 경우에 비해 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커넥터를 보드에 실장하는 제조시간도 감소하며, 커넥터를 서로 끼워 맞추는 과정에서 접속 불량이나 접지불량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cost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both the female connector F and the male connector M are provided, as well as the manufacturing time for mounting the connector on the board is reduced, and in the process of fitting the connectors to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connection failure or grounding failure.

다만, 도 4와 같이 PCB 기판(20a, 20b) 역시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보드'에 포함되므로 본 발명은 PCB 기판(20a)과 PCB 기판(20b)을 서로 연결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때 PCB 기판(20a, 20b)은 보통 음악 재생, 카메라 촬영 등을 비롯한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However, since the PCB boards 20a and 20b are also included in the 'board' as shown in FIG. 4,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connecting the PCB board 20a and the PCB board 20b to each other. The PCB substrates 20a and 20b are generally us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including music reproduction, camera shooting, and the like.

이와 같이 보드 투 보드 커넥팅의 다른 예로서 PCB 기판(20a, 20b)끼리 연결하는 경우에도, 일측 PCB 기판(20b)에는 별도의 커넥터 없이 자체에 구비된 접속 패드(P)만을 사용하고, 타측 PCB 기판(20a)에는 본 발명의 싱글형 커넥터(100)가 구비된다. As another example of the board-to-board connection, when the PCB boards 20a and 20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nly one of the connection pads P provided on the one PCB board 20b is used without using a separate connector, The single conn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connector 20a.

도 4에서는 15핀 커넥터를 예로 들었기 때문에, 싱글형 커넥터(100)의 접속 단자(121)는 15개이고, 이들 접속 단자(121)는 각각 데이터 라인(21a)에 용접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때 PCB 기판(20a, 20b)을 서로 결합하면 싱글형 커넥터(100)의 컨택부(122)가 접속 패드(P)에 각각 연결된다.
Since the 15-pin connector is taken as an example in Fig. 4, there are 15 connection terminals 121 of the single-type connector 100, and these connection terminals 121 are respectively welded to the data line 21a. At this time, when the PCB boards 20a and 20b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contact portions 122 of the single-type connector 100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ds P, respectively.

한편, 도 5를 통해 좀더 상세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싱글형 커넥터(100)는 몸체를 구성하는 커넥터 하우징(110)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 내에 설치된 커넥터 핀(120)을 포함한다.5, the single-type conn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or housing 110 constituting a body and a connector pin 120 installed in the connector housing 110. As shown in FIG.

커넥터 하우징(110)은 복수개의 단위 하우징(U)들로 이루어지는데, 단위 하우징(U)은 핀 수만큼 일렬로 연결되어 있고, 단위 하우징(U)에는 각각 커넥터 핀(120)이 설치된다.The connector housing 11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unit housings U. The unit housings U are connected in series by the number of pins and connector pins 120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unit housing U.

도 5에서는 15핀 타입 싱글형 커넥터(100)를 예로 들었기 때문에, 15개의 커넥터 핀(120)이 15개의 단위 하우징(U)에 설치되어 하나의 싱글형 커넥터(100)를 구성한다.5, fifteen connector pins 120 are installed in fifteen unit housings U to form one single-type connector 100 because the fifteen-pin type single-type connector 100 is taken as an example.

서로 면접하는 단위 하우징(U)들 사이에 길게 형성된 홈은 이물질 도피홈(130)으로서, 이물질 도피홈(130)은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어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배출되는 통로로 사용된다.The groove formed between the unit housings U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a foreign matter escape groove 130. The foreign matter escape groove 130 has a predetermined depth and is used as a passage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re discharged.

이때, 커넥터 핀(120)의 접속 단자(121)는 단위 하우징(U)의 하부를 통해 노출된다. 다만, 저면도인 도 6과 같이 접속 단자(121)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 커넥터 핀(120)과의 연결을 쉽게 한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terminal 121 of the connector pin 120 is exposed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unit housing U. However, as shown in FIG. 6, which is a bottom view, the connection terminal 121 protrudes forward to facilitate connection with the connector pin 120.

커넥터 핀(120)의 컨택부(122)는 단위 하우징(U)의 상부를 통해 노출된다. 또한, 컨택부(122)는 단위 하우징(U) 내부에 위치한 연결부(123)를 통해 상기한 접속 단자(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contact portion 122 of the connector pin 120 is expos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unit housing U. The contact portion 12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21 through a connection portion 123 located inside the unit housing U.

이와 같이 접속 단자(121)는 그 하부에 배치된 제1 보드(예: LCD 모듈이나 PCB 기판 등)의 데이터 라인에 용접되고, 컨택부(122)는 그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보드의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보드와 제2 보드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In this manner, the connection terminal 121 is welded to the data line of the first board (e.g., an LCD module or a PCB substrate)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the contact portion 122 is welded to the data line of the second board Lt; / RTI > Thus, data transfer between the first board and the second board is enabled.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핀(120)은 일 예로 전도성 재질의 판을 성형하여 제작된다. 이때, 커넥터 핀(1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 단자(121), 컨택부(122) 및 연결부(12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a), the connector pin 120 is manufactured by molding a plate of a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At this time, the connector pin 120 includes the connection terminal 121, the contact portion 122, and the connection portion 123 as described above.

또한, 바람직하게는 접속 단자(121)의 후방측 단부에 단자 걸림편(124)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컨택부(122)의 전방 단부에는 컨택 걸림편(125)이 형성되어 있다.A terminal engaging piece 124 is preferably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terminal 121 and a contact engaging piece 125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contact portion 122. [

이때, 접속 단자(121)와 컨택부(122) 사이에 구비된 연결부(123)는 컨택부(122)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연결부(123)인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ortion 123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 121 and the contact portion 122 is preferably an elastic connection portion 123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contact portion 122.

일 예로 탄성 연결부(123)는 제1 탄성부(123a) 및 제2 탄성부(123b)로 이루어지며, 이들 제1 탄성부(123a) 및 제2 탄성부(123b)에 의해 탄성 구조체를 이룬다.For example, the elastic connecting part 123 includes a first elastic part 123a and a second elastic part 123b. The first elastic part 123a and the second elastic part 123b constitute an elastic structure.

이때, 제1 탄성부(123a)는 일단이 접속 단자(121)에 연결되고 제1 방향(즉, 상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2 탄성부(123b)는 일단은 제1 탄성부(123a)에 연결되고 타단은 컨택부(122)에 연결되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즉, 하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first elastic part 123a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21 and formed in a convex shape in the first direction (i.e., upward). The second elastic part 123b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elastic part 123a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ntact part 122 and convex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e., lower side).

따라서, 다른 보드와 결합에 의해 가압되면 컨택부(122)가 탄성 연결부(123)에 의해 탄성 지지되므로 컨택부(122)에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고, 그에 따라 다른 보드에 구비된 데이터 라인이나 접속 패드(P)와의 확실한 접촉을 가능하게 한다.Therefore, when the contact portion 122 is pressed by the other board, the contact portion 122 is resiliently supported by the elastic connection portion 123, so that an elastic restoring force acts on the contact portion 122, (P).

또한, 제1 탄성부(123a)는 다른 보드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컨택부(122)가 일정 깊이 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stopper) 역할도 하며, 유사하게 제2 탄성부(123b)는 하측 개방부(113c)를 통해 보드에 지지되어 역시 스토퍼 역할을 한다.The first elastic portion 123a also serves as a stopper to prevent the contact portion 122 from falling down over a certain depth as it is pressed by the other board. Similarly, the second elastic portion 123b serves as a stopper And is supported by the board through the opening 113c to serve as a stopper.

단자 걸림편(124)은 접속 단자(121)가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접속 단자(121)의 내측 방향 단부에 돌출 형성된다. 그에 대응하여 단위 하우징(U)의 내측 벽면에는 단자 걸림편(124)이 끼워지는 단자 걸림홈(114)이 형성되어 있다.The terminal engaging piece 124 prevents the connection terminal 121 from mov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side end of the connection terminal 121. [ Corresponding to this, a terminal engagement groove 114 is formed i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unit housing U to receive the terminal engagement piece 124.

접속 단자(121)는 보통 보드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혹은 접속 패드)에 무연 솔더를 이용하여 용접되는데, 만약 접속 단자(121)가 움직이게 되면 데이터 라인 과의 접속점에 힘을 전달되어, 이들이 서로 분리되거나 불완전 접속이 발생한다.The connection terminal 121 is usually welded to the data line (or connection pad) formed on the board using lead-free solder. If the connection terminal 121 moves, a force is transmitted to a connection point with the data line, Incomplete connection occurs.

특히, 보드와 보드 간 결합시 이들을 서로 적층시킨 후 가압을 하는데, 이때 컨택부(122)를 통해 연결부(123)로 전달된 힘은 접속 단자(121)까지 전달되므로, 위와 같이 데이터 라인과의 접속점에 힘을 가하게 된다.Since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part 123 through the contact part 122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21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oint to the data line, as described above, .

따라서, 데이터 전송에 오류(신호 크기 감소나 신호 왜곡)가 발생하거나 데이터 전송 속도가 현저히 느려지므로, 본 발명에서는 단자 걸림편(124)을 이용하여 접속 단자(121)가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terminal 121 is fixed (fixed) so as not to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using the terminal latching piece 124 because an error (signal size reduction or signal distortion) occurs in the data transmission or the data transmission speed is considerably slow. .

컨택 걸림편(125)은 커넥터 핀(1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컨택부(122)의 전방 단부에는 단위 하우징(U)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꺽인 절곡부가 연장 형성되고, 절곡부의 단부에는 컨택 걸림편(125)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The contact engaging piece 125 is provided to prevent detachment of the connector pin 120. The contact engaging piece 125 is formed 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122 so as to extend downward to be inserted into the unit housing U, And a contact engaging piece 125 protrudes from the end.

그에 대응하여 단위 하우징(U)의 내측 전방부 벽면에는 컨택 걸림편(125)이 걸리는 고정 단턱(11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 핀(120)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탄성 연결부(123)에 의해 탄성력이 컨택부(122)에 전달되더라도 컨택부(122)가 정자세를 유지하게 한다.
Correspondingly, a fixing step 115 is formed on the inner front wall surface of the unit housing U to receive the contact engaging piece 125. Thus, the connector pin 120 is prevented from coming off. In addition,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ity of the resilient connection portion 123 allows the contact portion 122 to maintain a stable state even when the resilient force is transmitted to the contact portion 122.

다음, 도 7의 (b)에는 단위 하우징(U)의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위 하우징(U)은 그 내부에 커넥터 핀(1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단자 인출구(111), 컨택 인출구(112) 및 수용부(113)를 포함한다. 또한, 단자 걸림홈(114) 및 고정 단턱(115)을 더 포함한다.Next, Fig. 7 (b) is a sectional view of the unit housing U. As shown in Fig. The unit housing U includes a terminal outlet 111, a contact outlet 112, and a receiving portion 113 to accommodate the connector pin 120 therein. Further, it further includes a terminal latching groove 114 and a fixing step 115.

단자 인출구(111)는 접속 단자(121)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단위 하우징(U)의 하부 전단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커넥터 핀(120)의 접속 단자(121)가 단자 인출구(111)를 통해 전방으로 인출된다.The terminal outlet 111 is formed in the lower front end of the unit housing U so that the connection terminal 121 is drawn out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connection terminal 121 of the connector pin 120 is pulled forward through the terminal outlet 111.

다만, 단자 인출구(111)의 전방측 연단부에는 단위 하우징(U)이 접속 단자(121)로부터 이격되도록 단자 도피홈(111a)이 형성되어 있는데, 단자 도피홈(111a)은 접속 단자(121)와 데이터 라인을 무연 솔더로 용접시 고온의 열이 단위 하우징(U)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A terminal escape groove 111a is formed in the front end of the terminal outlet 111 so that the unit housing U is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121. The terminal escape groove 111a is formed in the connecting terminal 121, And the data lines are welded to lead-free solder, the high-temperature heat is prevented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unit housing (U).

컨택 인출구(112)는 컨택부(12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단위 하우징(U)의 상부에 형성된다. 컨택 인출구(112)의 개구 형상은 가급적 컨택부(122)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단위 하우징(U)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contact outlets 112 ar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nit housing U so that the contact portions 122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e opening shape of the contact outflow opening 112 is preferably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contact portion 122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unit housing U.

수용부(113)는 연결부(123)가 안착되도록 단위 하우징(U)의 내부에 일정 넓이의 공간을 갖는다. 이러한 수용부(113)는 그 전후방에 지지벽(113a, 113b)이 형성되어 있어서 커넥터 핀(120)의 전후방을 지지하고, 하부에는 개방부(113c)가 있어서 커넥터 핀(120)이 이를 통해 상측으로 삽입 조립된다.The receiving portion 113 has a certain space in the interior of the unit housing U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123 is seated. The receptacle 113 has front and rear support walls 113a and 113b for support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connector pin 120 and an opening 113c at the bottom for supporting the connector pin 120, .

또한, 수용부(113)의 하부는 단자 인출구(111)와 연결되고 수용부(113)의 상부는 컨택 인출구(112)에 연결되어 있어서, 일체로 성형된 커넥터 핀(120)이 단위 하우징(U) 내에 설치된다.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113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outlet 111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113 is connected to the contact outlet 112 so that the integrally formed connector pin 120 is connected to the unit housing U .

단자 걸림홈(114)은 커넥터 핀(120)을 기준으로 단위 하우징(U)의 좌우측 벽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고, 그 위치는 커넥터 핀(120)의 단자 걸림편(124)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한다. 따라서, 단자 걸림홈(114)에 단자 걸림편(124)이 끼워진다.The terminal engaging groove 114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left and right side wall surfaces of the unit housing U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 pin 120 and corresponds to a position where the terminal engaging piece 124 of the connector pin 120 is formed do. Therefore, the terminal engaging piece 124 is fitted into the terminal engaging groove 114.

고정 단턱(115)은 커넥터 핀(120)이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커넥터 핀(120)이 정자세를 유지하게 돕는 것으로, 단위 하우징(U)의 전방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다.The fixing step 115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front of the unit housing U so as to prevent the connector pin 120 from being separated upwardly and to keep the connector pin 120 in a stationary state.

도 7의 (c)에는 커넥터 핀(120)이 단위 하우징(U) 내에 설치된 상태를 단면으로 표현하였으며, 이를 통해 커넥터 핀(120)의 접속 단자(121) 및 컨택부(122)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결합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7C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pin 120 is installed in the unit housing U and only the connection terminal 121 and the contact portion 122 of the connector pin 120 are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combined state.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 8의 (a)와 같이 보드들을 서로 결합하기 이전에는 커넥터 핀(120)의 컨택부(122)가 단위 하우징(U)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 후 도 8의 (b)와 같이 보드들을 결합하면 컨택부(122)가 보드에 의해 가압되어 단위 하우징(U) 내부로 들어간 상태에서 접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8 (a), the contact portion 122 of the connector pin 120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unit housing U before the boards are coupled to each other. 8 (b), when the boards are coupled, the contact portion 122 is pressed by the board and remains in contact with the unit housing U while being inside.

이하, 본 발명의 싱글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커넥터 핀 및 커넥터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or pin and the connector housing constituting the single-typ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핀(120)은 접속 단자(121), 컨택부(122), 연결부(123), 단자 걸림편(124) 및 컨택 걸림편(125)을 포함한다.9, the connector pin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121, a contact portion 122, a connection portion 123, a terminal locking piece 124, 125).

다만, 위에서 설명한 컨택부(122)는 편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음에 비해, 도 9에서는 컨택부(122')가 약간 둥근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However, the contact portion 122 described above has a flat shape, whereas the contact portion 122 'has a slightly rounded shape in FIG. 9.

컨택부(122')를 둥근 형상으로 하면 데이터 라인과의 접촉 표면적은 줄어든 반면, 탄성력은 더욱 커지기 때문에 이러한 형상을 사용하여도 확실한 커넥팅을 가능하게 한다.
When the contact portion 122 'has a round shape, the contact surface area with the data line is reduced, but the elastic force becomes larger, so that reliable connection is possible even by using such a shape.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싱글형 커넥터(100)는 커넥터 핀(120)의 형상이 위에서 설명한 것과 비교하여 차이가 있고, 그에 따라 단위 하우징(U) 역시 차이가 발생한다.10, the single-type connecto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connector pin 120 in that the shape of the connector pin 120 is different from that described above, There is also a difference.

도 10의 (a)와 같이 커넥터 핀(120)은 전도성 재질의 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접속 단자(121), 컨택부(122), 연결부(123), 단자 걸림편(124) 및 컨택 걸림편(125)을 포함한다.10 (a), the connector pin 120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121, a contact portion 122, a connection portion 123, a terminal locking piece 124, 125).

이때, 접속 단자(121)는 단위 하우징(U)의 전방부 하단을 통해 인출되고 컨택부(122)는 단위 하우징(U)의 상부를 통해 인출되어, 접속 단자(121)는 자신이 설치된 제1 보드의 데이터 라인에 고정되고 컨택부(122)는 그와 다른 제2 보드의 데이터 라인에 접촉한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terminal 121 is drawn out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rt of the unit housing U and the contact part 122 is drawn out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unit housing U, Is fixed to the data line of the board and the contact portion 122 contacts the data line of the second board different from the contact line.

연결부(123)는 컨택부(122)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연결부(123)로서 제1 탄성부(123a) 및 제2 탄성부(123b)를 포함하며, 그 방향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다르게 전후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The connection part 123 includes a first elastic part 123a and a second elastic part 123b as an elastic connection part 123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contact part 122. The direction of the protrusion is different from the above- .

즉, 제1 탄성부(123a)는 일단이 접속 단자(121)에 연결되고 제1 방향(즉, 후방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2 탄성부(123b)는 일단은 제1 탄성부(123a)에 연결되고 타단은 컨택부(122)에 연결되며 제2 방향(즉, 전방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first elastic portion 123a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21 and formed in a convex shape in the first direction (i.e., the rear side). The second elastic portion 123b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elastic portion 123a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ntact portion 122 and convex in the second direction (i.e., the front side).

단자 걸림편(124)은 접속 단자(121)가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접속 단자(121)의 내측 단부에 돌출 형성된다. 특히 여기서는 단자 걸림편(124)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단위 하우징(U)의 내측 벽면에 형성된 단자 걸림홈(114) 역시 수평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The terminal engaging piece 124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end of the connection terminal 121 to prevent the connection terminal 121 from mov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particular, the terminal latching piece 124 is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terminal latching groove 114 formed i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unit housing U is also form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컨택 걸림편(125)은 커넥터 핀(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으로, 컨택부(122)의 후방 단부에는 단위 하우징(U)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꺽인 절곡부가 연장 형성되고, 절곡부의 단부에는 컨택 걸림편(125)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The contact engaging piece 125 prevents the connector pin 120 from separating from the rear end of the contact portion 122. The contact engaging piece 125 extends downward to be inserted into the unit housing U at the rear end of the contact portion 122, A contact engaging piece 125 is formed to protrude therefrom.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 핀(120)의 연결부(123)를 구성하는 제1 탄성부(123a) 및 제2 탄성부(123b)의 굴곡 방향에 차이가 있다. 또한, 커넥터 핀(120)의 컨택 걸림편(125)이 전방이 아닌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bending directions of the first elastic portion 123a and the second elastic portion 123b constituting the connection portion 123 of the connector pin 120. [ Fur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contact engaging piece 125 of the connector pin 120 is formed on the rear side rather than on the front side.

아울러, 도 10의 (b)와 같이 단위 하우징(U)은 단자 인출구(111), 컨택 인출구(112), 수용부(113), 단자 걸림홈(114) 및 고정 단턱(115)을 포함하고, 이러한 구성들은 이상과 같이 변형된 커넥터 핀(120)에 대응하여 그 설치 방향이 다소 다름을 알 수 있다.10 (b), the unit housing U includes a terminal outflow opening 111, a contact outflow opening 112, a housing portion 113, a terminal engagement groove 114, and a fixing step 115, It can be seen that these structures are slightly different in installation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or pin 120 modified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 핀(120)을 구성하는 탄성 연결부(123)는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을 선택할 수 있고, 커넥터 핀(120)을 구성하는 컨택 걸림편(125) 역시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면 다양한 형상 및 설치 방향을 선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connecting part 123 of the connector pin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lected in various shapes to achieve the object, and the contact engaging piece 125 constituting the connector pin 120 can also be used for the purpose It can be seen that various shapes and installation directions can be selected if achievable.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you have, you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110: 커넥터 하우징 U: 단위 하우징
111: 단자 인출구 111a: 단자 도피홈
112: 컨택 인출구 113: 수용부
114: 단자 걸림홈 115: 고정 단턱
120: 커넥터 핀 121: 접속 단자
122: 컨택부 123: (탄성)연결부
124: 단자 걸림편 125: 컨택 걸림편
130: 이물질 도피홈
110: connector housing U: unit housing
111: Terminal lead-out port 111a: Terminal lead-
112: contact outlet 113: receptacle
114: terminal engaging groove 115:
120: Connector pin 121: Connection terminal
122: contact part 123: (elastic) connection part
124: terminal latching piece 125: contact latching piece
130: Foreign body escape groove

Claims (6)

커넥터가 없는 제2 보드의 제2의 데이터 라인에 연결되는 싱글형 보드 투 보드 커넥터에 있어서,
각각 하나의 커넥터 핀(120)이 설치되는 단위 하우징(U)이 핀 수만큼 복수개 연결된 커넥터 하우징(110); 및
상기 단위 하우징(U)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단위 하우징(U)의 하부에 노출되어 제1 보드의 제1 데이터 라인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121)와, 상기 단위 하우징(U)의 상부에 노출되어 상기 제2 보드의 제2 데이터 라인에 접촉되는 컨택부(122) 및 상기 접속 단자(121)와 컨택부(12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23)를 구비한 커넥터 핀(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형 보드 투 보드 커넥터.
A single-type board-to-board connector connected to a second data line of a second board without a connector,
A connector housing (110) having a plurality of unit housings (U) each having one connector pin (120); And
A connection terminal 121 installed in the unit housing U and expos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nit housing U and connected to a first data line of the first board; And a connector pin (120) having a contact portion (122) contacting the second data line of the second board and a connection portion (123)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nection terminal (121) and the contact portion (122) Wherein the single board-to-board connector is a single board-to-board conn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3)는 상기 컨택부(122)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연결부(123)이고, 상기 제1 보드에 연결시 상기 컨택부(122)는 상기 탄성 연결부(123)에 의해 탄성 지지된 상태에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형 보드 투 보드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part 123 is an elastic connecting part 123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contact part 122. When the connecting part 123 is connected to the first board, the contact part 122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connecting part 123 Wherein the connector is pressuriz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연결부(123)는
일단이 상기 접속 단자(121)에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의 제1 탄성부(123a); 및
일단은 상기 제1 탄성부(123a)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컨택부(122)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의 제2 탄성부(12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형 보드 투 보드 커넥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lastic connecting part 123
A first elastic portion 123a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21 and having a convex shape in a first direction; And
And a second elastic part 123b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elastic part 123a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ntact part 122 and having a convex shape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Features single-type board-to-board conn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121)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접속 단자(121)가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단자 걸림편(124)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위 하우징(U)의 내측 벽면에는 상기 단자 걸림편(124)이 끼워지는 단자 걸림홈(11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형 보드 투 보드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erminal engaging piece 124 is formed at an inner end of the connection terminal 121 so as to fix the connection terminal 121 so as not to mo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 terminal engaging groove (114) into which the piece (124) is inserted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부(122)의 전방 단부에는 상기 단위 하우징(U)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꺽인 절곡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단부에는 컨택 걸림편(125)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위 하우징(U)의 내측 벽면에는 상기 컨택 걸림편(125)이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리는 고정 단턱(1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형 보드 투 보드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the front end of the contact portion 122, a bent portion bent downward is inserted to be inserted into the unit housing U, and a contact engaging piece 125 protrudes from an end of the bent portion, (115) is formed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U-shaped board (U) so that the contact engaging piece (125) is not separated up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하우징(U)은
상기 접속 단자(121)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단위 하우징(U)의 하부 전단부에 형성된 단자 인출구(111)와;
상기 컨택부(12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단위 하우징(U)의 상부에 형성된 컨택 인출구(112); 및
상기 연결부(123)가 상기 단위 하우징(U) 내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단위 하우징(U)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단자 인출구(111) 및 컨택 인출구(112)에 연결되는 수용부(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형 보드 투 보드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nit housing (U)
A terminal outlet 111 formed at a lower front end of the unit housing U so that the connection terminal 121 is drawn out;
A contact outlet 112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nit housing U such that the contact portion 122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nd an accommodating portion 113 formed inside the unit housing U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123 is seated inside the unit housing U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outflow opening 111 and the contact outflow opening 112 And a single board-to-board connector.
KR1020140044535A 2014-04-15 2014-04-15 Single type board to board connector KR2015011868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535A KR20150118688A (en) 2014-04-15 2014-04-15 Single type board to board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535A KR20150118688A (en) 2014-04-15 2014-04-15 Single type board to board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688A true KR20150118688A (en) 2015-10-23

Family

ID=54427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535A KR20150118688A (en) 2014-04-15 2014-04-15 Single type board to board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868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7942B2 (en) Connector having metal shell with anti-displacement structure
US9502837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and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KR102036598B1 (en)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TW201421820A (en) Low-profile mezzanine connector
US8485832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5135816A (en) Terminal, electric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TW200843215A (en) Connector capable of absorbing an error in mounting position
KR102345677B1 (en) Vertical type direct PCB Connector
CN111527650B (en) Printed Circuit Board (PCB) direct connector
JP4722712B2 (en) Portable radio terminal or small electronic device using multipolar connector and multipolar connector
KR20100043273A (en) Board to board connector
CN110383587A (en) Connector, head and attachment device
CN100517164C (en) Portable computer
US20150318631A1 (en) Flexible cable connector
CN212784017U (en) Socket connecting device and plug connecting device
US7104807B1 (en) Apparatus for an improved peripheral electronic interconnect device
US20090221161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ver
KR20170072945A (en) Hermaphroditic electrical connector
JP4117888B2 (en) Connector device
US7736155B2 (en) Connector
KR20210054449A (en) Substrate Connector
US20110136393A1 (en) Displayport structure
KR100608830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ground-spring-finger
KR20150118688A (en) Single type board to board connector
CN111628316A (en) Board-to-board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