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7550A - 홈 스크린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홈 스크린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7550A
KR20150117550A KR1020140043189A KR20140043189A KR20150117550A KR 20150117550 A KR20150117550 A KR 20150117550A KR 1020140043189 A KR1020140043189 A KR 1020140043189A KR 20140043189 A KR20140043189 A KR 20140043189A KR 20150117550 A KR20150117550 A KR 20150117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home screen
user mod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현
나석희
이상기
이석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3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7550A/ko
Priority to US14/683,790 priority patent/US20150293686A1/en
Publication of KR20150117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5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선정된 터치가 입력되는지 감지하는 동작, 상기 선정된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 모드별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동작,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홈 스크린의 설정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홈 스크린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Description

홈 스크린 제어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 SCREEN}
본 발명은 용이하게 홈 스크린을 제어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의 기능이 점차 발전하면서, 음성통화, 문자 메시지 전송 등의 1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노트북과 같이, 문서 작성, 동영상 편집,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더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휴대 단말기가 점차 많은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있지만, 각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 메뉴를 선택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종래에는, 홈 스크린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 메뉴를 선택해야 하고, 특히 여러 페이지를 가지는 하나의 홈 스크린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홈 스크린에 하나의 페이지를 추가할 경우에는 비어있는 기본 템플릿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홈 스크린 내에 페이지가 많아지면, 원하는 페이지를 찾기 어렵고, 사용자 모드별 홈 스크린을 인덱싱하기가 불가능하며, 홈 스크린 내 하나의 페이지씩 구성할 수 있어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다양한 일실시예는 선정된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 모드별 홈 스크린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홈 스크린을 설정할 수 있는 홈 스크린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홈 스크린 제어 방법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선정된 터치가 입력되는지 감지하는 동작, 상기 선정된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 모드별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동작,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홈 스크린의 설정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선정된 터치가 입력되는지 감지하고, 상기 선정된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 모드별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홈 스크린의 설정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다양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용이하게 홈 스크린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홈 스크린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모드별 홈 스크린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선정된 터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홈 스크린을 설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갖춘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자면, 전자 장치는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또는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홈 스크린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홈 스크린 제어 방법은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동작(110)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선정된 터치가 입력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선정된 터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홈 스크린 설정 화면으로 바로가기 위한 입력으로, 상기 전자 장치에 디폴트로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비화면영역으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영역으로 터치가 이동하는 경우, 선정된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화면영역(V/A: View Area)은 텍스트, 이미지 등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비화면영역은 상기 화면영역의 가장자리를 둘러싼 베젤영역(Bezel Area)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비화면영역은 배선이나 접점 또는 패턴을 가리기 위하여 검정색, 흰색, 분홍색 등의 다양한 색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색상이 인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비화면영역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화면영역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비화면영역의 하단 또는 상단으로부터 상기 화면영역으로 이동하는 터치에 대해 선정된 터치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하나 이상의 멀티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선정된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멀티 터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서로 다른 두 개의 좌표에서 동시에 터치가 입력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제1 좌표 및 상기 제1 좌표와 상이한 제2 좌표에서 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1 좌표의 터치 및 상기 제2 좌표의 터치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선정된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영역 내 선정된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상기 선정된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선정된 영역은 상기 화면영역 내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서, 상기 전자 장치에 디폴트로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동작(120)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선정된 터치가 입력되는지 판단하여, 상기 선정된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동작(130)을 수행하고, 상기 선정된 터치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동작(120)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130)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 모드별 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종래에는, 홈 스크린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 메뉴를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선정된 터치가 입력되면, 바로 사용자 모드별 홈 스크린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전체 화면영역 또는 상기 전체 화면영역의 일부 화면영역에 사용자 모드별 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모드는 상기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특성에 맞는 홈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 모드는 일반모드(Normal Mode), 이지모드(Easy Mode), 키즈모드(Kids Mode) 및 게스트모드(Guest Mod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일반모드는 일반적인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모드로서, 상기 전자 장치 제조 시에 디폴트로 설정되는 모드일 수 있다. 상기 이지모드는 눈이 좋지 않은 사용자를 위한 모드로서, 상기 전자 장치에 표시되는 아이콘이나 글씨체가 상기 일반모드에 비해 크게 표시되는 모드일 수 있다. 상기 키즈모드는 나이가 어린 사용자를 위한 모드로서, 전화, 결제 등의 서비스를 제외한 아이가 사용해도 무방한 기능만을 포함하는 모드일 수 있다. 상기 게스트모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원래 소유주가 아닌 타인을 위한 모드로서, 상기 소유주의 개인정보를 유출할 수 있는 기능(연락처, 메모장, 사진 등)을 제외한 기능만을 포함하는 모드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모드에 포함되는 기능들은 상기 전자 장치에 디폴트로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홈 스크린은 상기 사용자 모드에 따라 특화된 홈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지모드의 홈 스크린은 상기 일반모드의 홈 스크린보다 비교적 크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키즈모드의 홈 스크린은 상기 일반모드의 홈 스크린에 비해 비교적 단순하고, 쉽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게스트모드의 홈 스크린은 상기 일반모드의 홈 스크린에 포함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연락처, 메모장, 사진 중 적어도 하나)을 제외한 기능만을 포함한 홈 스크린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주제별 홈 스크린을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주제는 사용자가 관심 있어하는 분야 특성에 맞는 홈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주제는 베이직(Basic), 오락(Entertainment), 카메라(Camera), 여행(Travel)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직은 상기 일반모드와 유사한 기본모드로서, 상기 전자 장치 제조 시에 디폴트로 설정되는 모드일 수 있다. 상기 오락은 오락과 관련된 기능, 어플리케이션, 컨텐츠 등을 포함하는 홈 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카메라와 관련된 기능, 어플리케이션, 컨텐츠 등을 포함하는 홈 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여행은 여행과 관련된 기능, 어플리케이션, 컨텐츠 등을 포함하는 홈 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 및 다른 사용자 모드의 항목들을 표시하거나, 또는 제1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 및 스크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홈 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 모드에 포함되는 다른 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다른 사용자 모드의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다른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스크롤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다른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동작(130)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홈 스크린의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을 추가, 삭제 및 편집 중 어느 하나의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추가"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 이력을 기반으로 추가 요청된 사용자 모드와 연관된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추천 홈 스크린 템플릿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종래와 같이 단순히 빈 템플릿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사용자 이력에 따라 사용자별로 특화된 추천 홈 스크린 템플릿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추가"를 선택한 경우, 추가 요청된 사용자 모드와 연관된 기본 홈 스크린 템플릿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본 홈 스크린 템플릿에 추가할 컨텐츠를 선택받을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사용자 이력으로 검색이 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가 빈 템플릿을 선택한 경우, 기본 홈 스크린 템플릿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기본 홈 스크린 템플릿에 원하는 컨텐츠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모드별 홈 스크린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 모드별 각각의 홈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A 홈 스크린(210), B 홈 스크린(220), C 홈 스크린(23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홈 스크린은 주제 또는 사용자 모드에 따라 하나의 그룹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그룹에는 복수개의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A 홈 스크린(210)은 A-1 내지 A-3의 페이지를 포함하고, B 홈 스크린(220)은 B-1 내지 B-3의 페이지를 포함하며, C 홈 스크린(230)은 C-1 내지 C-3의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선정된 터치가 입력되면, 도 2와 같은 사용자 모드별 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선정된 터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는 홈 스크린 설정 화면으로 바로가기 위한 선정된 터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선정된 터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디폴트로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터치스크린의 비화면영역으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영역으로 터치가 이동하거나, 하나 이상의 멀티 터치이거나, 선정된 영역에 감지되는 터치 중 적어도 하나를 선정된 터치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비화면영역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화면영역으로 이동하는 터치(310)를 선정된 터치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비화면영역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화면영역으로 이동하는 터치(320)를 선정된 터치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비화면영역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화면영역으로 이동하는 터치를 선정된 터치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영역 내 선정된 영역에 감지되는 터치(330)를 선정된 터치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제1 좌표의 터치 및 상기 제1 좌표와 상이한 제2 좌표의 터치가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멀티 터치(340)를 선정된 터치로 설정할 수 있다. 멀티 터치(340)는 핀치(Pinch) 터치일 수 있다. 예컨대, 멀티 터치(340)는 서로 다른 지점에서 동시에 감지된 두 개의 터치가 줌인(Zoom-In), 줌아웃(Zoom-Out), 트위스트되는 터치일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는 선정된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 모드별 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a를 참고하면, 제1 실시예로,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사용자 모드(Basic)의 홈 스크린(411) 및 다른 사용자 모드의 항목들(412)을 표시할 수 있다(410). 이때, 홈 스크린(411)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 모드에 포함되는 다른 홈 스크린(411a)을 표시할 수 있다(413). 홈 스크린(411)에 입력되는 터치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터치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다른 사용자 모드의 항목들(412) 중 어느 하나의 항목(412a)을 선택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다른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414).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전체 화면영역에 제1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411) 및 다른 사용자 모드의 항목들(412)을 표시할 수 있다(410).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비화면영역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화면영역으로 이동하는 터치에 대해 도 4a와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b 참고하면, 제2 실시예로,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사용자 모드(Basic)의 홈 스크린(421) 및 스크롤(422)을 표시할 수 있다(420). 이때, 홈 스크린(421)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 모드에 포함되는 다른 홈 스크린(421a)을 표시할 수 있다. 홈 스크린(421)에 입력되는 터치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터치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스크롤(422)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422a), 다른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423, Travel)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체 화면영역의 일부 화면영역에 제1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421) 및 스크롤(422)을 표시할 수 있다(420).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비화면영역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화면영역으로 이동하는 터치에 대해 도 4b와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c를 참고하면, 제3 실시예로, 상기 전자 장치는 화면영역 내 선정된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430), 사용자 모드별 레이블(431a 내지 431c)을 표시할 수 있다(431). 상기 레이블은 각 홈 스크린을 의미하는 기호, 이름, 이미지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431a)의 레이블, 제2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431b)의 레이블, 제3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431c)의 레이블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된 레이블(431a 내지 431c) 중 어느 하나의 레이블(431b)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선택된 레이블(431b)의 사용자 모드와 연관된 홈 스크린(432)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체 화면영역의 일부 화면영역에 사용자 모드별 레이블(431a내지 431c)을 표시할 수 있다(431). 상기 전자 장치는 화면영역 내 선정된 영역에 감지되는 터치에 대해 도 4c와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d를 참고하면, 제4 실시예로,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441) 및 스크롤(442)을 표시할 수 있다(440). 이때, 홈 스크린(441)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 모드에 포함되는 다른 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홈 스크린(441)에 입력되는 터치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터치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스크롤(442)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제2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451, Entertainment) 및 스크롤(452)을 표시할 수 있다(450). 상기 전자 장치는 450 화면에서 스크롤(452)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제3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461, Travel) 및 스크롤(462)을 표시할 수 있다(460).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체 화면영역에 제1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441) 및 스크롤(442)을 표시할 수 있다(440). 상기 전자 장치는 멀티 터치에 대해 도 4d와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홈 스크린을 설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을 추가, 삭제 및 편집 중 어느 하나의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 모드와 연관된 홈 스크린에 "추가"를 선택받을 수 있다(510). 상기 추가는 상기 홈 스크린에서 (+)를 선택하거나, "Add template"를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 이력을 기반으로 추가 요청된 사용자 모드와 연관된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추천 홈 스크린 템플릿을 표시할 수 있다(520).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추천 홈 스크린 템플릿과 기본 홈 스크린 템플릿(기본)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추천 홈 스크린 템플릿은 컨텐츠(음악, 메시지,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연락처, SNS, 스케줄 등)에 따라 특화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기본 홈 스크린 템플릿 및 상기 추천 홈 스크린 템플릿의 레이아웃(Layout)은 추가 요청된 홈 스크린 특성을 고려한 것일 수 있다.
종래에는 홈 스크린에 하나의 페이지를 추가할 경우에는 비어있는 기본 템플릿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홈 스크린 내에 페이지가 많아지면, 원하는 페이지를 찾기 어렵고, 사용자 모드별 홈 스크린을 인덱싱하기가 불가능하며, 홈 스크린 내 하나의 페이지씩 구성할 수 있어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단순히 빈 템플릿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사용자 이력에 따라 사용자별로 특화된 추천 홈 스크린 템플릿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장치는 추가 요청된 사용자 모드와 연관된 기본 홈 스크린 템플릿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본 홈 스크린 템플릿에 추가할 컨텐츠를 선택받을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사용자 이력으로 검색이 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가 빈 템플릿을 선택한 경우, 기본 홈 스크린 템플릿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기본 홈 스크린 템플릿에 원하는 컨텐츠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기본 홈 스크린 템플릿이 선택된 경우, 홈 스크린에 상기 기본 홈 스크린 템플릿(530a)을 추가할 수 있다(530).
도 6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 모드별 홈 스크린에 포함된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610). 이때, "삭제(-)"를 선택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삭제 요청된 페이지를 홈 스크린(Entertainment)에서 삭제할 수 있다(620). 또는, "추가(+)"를 선택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기본 홈 스크린 템플릿 및 추천 홈 스크린 템플릿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템플릿을 홈 스크린(Entertainment)에 추가할 수 있다. 상기 기본 홈 스크린 템플릿 및 상기 추천 홈 스크린 템플릿의 레이아웃은 "Entertainment"의 홈 스크린 특성을 고려한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홈 스크린 제어 방법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선정된 터치가 입력되는지 감지하는 동작, 상기 선정된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 모드별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동작,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홈 스크린의 설정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하는 동작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영역을 둘러싼 비화면영역으로부터 상기 화면영역으로 터치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선정된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하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멀티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선정된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제1 좌표 및 상기 제1 좌표와 상이한 제2 좌표에서 터치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좌표의 터치 및 상기 제2 좌표의 터치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선정된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하는 동작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영역 내 선정된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상기 선정된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사용자 모드별 레이블을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표시된 레이블 중 어느 하나의 레이블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레이블의 사용자 모드와 연관된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전체 화면영역 또는 상기 전체 화면영역의 일부 화면영역에 사용자 모드별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주제별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제1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 및 다른 사용자 모드의 항목들을 표시하는 동작, 또는 제1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 및 스크롤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홈 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모드에 포함되는 다른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다른 사용자 모드의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다른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스크롤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다른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을 추가, 삭제 및 편집 중 어느 하나의 설정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하는 동작은 사용자 이력을 기반으로 추가 요청된 사용자 모드와 연관된 컨텐츠를 검색하는 동작, 및 상기 검색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추천 홈 스크린 템플릿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하는 동작은 추가 요청된 사용자 모드와 연관된 기본 홈 스크린 템플릿을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본 홈 스크린 템플릿에 추가할 컨텐츠를 선택받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700)는 제어모듈(710), 터치스크린(720), 메모리(730), 통신모듈(740) 및 출력모듈(750)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720)은 선정된 터치가 입력되는지 감지하고, 상기 선정된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 모드별 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720)은 주제별 홈 스크린을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선정된 터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홈 스크린 설정 화면으로 바로가기 위한 입력으로, 상기 전자 장치에 디폴트로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720)은 입력모듈과 표시모듈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입력모듈은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키들은 메뉴 불러오기 키, 화면 온/오프 키, 전원 온/오프 키 및 볼륨 조절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모듈은 사용자 설정 및 전자 장치(7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이벤트를 생성하여 제어모듈(710)로 전달한다. 키 이벤트는 전원 온/오프 이벤트, 볼륨 조절 이벤트, 화면 온/오프 이벤트, 셔터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모듈은 제어모듈(710)의 제어 하에 이미지를 화면(screen on which at least one image is shown)에 표시한다. 즉, 제어모듈(710)이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할 이미지로 처리(예컨대, 디코딩(decoding))하여 버퍼에 저장하면, 상기 표시모듈은 버퍼에 저장된 이미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표시모듈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또는 플랙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터치스크린(720)은 사용자 모드별 레이블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레이블 중 어느 하나의 레이블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레이블의 사용자 모드와 연관된 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터치스크린(720)은 전체 화면영역 또는 상기 전체 화면영역의 일부 화면영역에 사용자 모드별 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720)은 제1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 및 다른 사용자 모드의 항목들을 표시하거나, 또는 제1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 및 스크롤을 표시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720)은 1)상기 홈 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모드에 포함되는 다른 홈 스크린을 표시하고, 2)상기 다른 사용자 모드의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다른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을 표시하고, 및 3)상기 스크롤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다른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모듈(710)은 터치스크린(720)의 비화면영역으로부터 상기 화면영역으로 터치가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화면영역 내 선정된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상기 선정된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모듈(710)은 터치스크린(720)의 제1 좌표 및 상기 제1 좌표와 상이한 제2 좌표에서 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1 좌표의 터치 및 상기 제2 좌표의 터치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선정된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화면영역은 텍스트, 이미지 등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비화면영역은 상기 화면영역의 가장자리를 둘러싼 베젤영역일 수 있다. 제어모듈(71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홈 스크린의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모듈(710)은 전자 장치(7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전자 장치(700)의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배터리에서 상기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제어모듈(710)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GPU(graphic processing unit)를 포함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CPU는 자료의 연산 및 비교와, 명령어의 해석 및 실행 등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적인 제어 유닛이다. GPU는 CPU를 대신하여, 그래픽과 관련한 자료의 연산 및 비교와, 명령어의 해석 및 실행 등을 수행하는 그래픽 제어 유닛이다. CPU와 GPU은 각각, 두 개 이상의 독립 코어(예, 쿼드 코어(quad-core))가 단일 집적 회로로 이루어진 하나의 패키지(package)로 통합될 수 있다. 또한 CPU와 GPU는 하나의 칩으로 통합(SoC; System on Chip)된 것일 수 있다. 또한 CPU와 GPU는 멀티 레이어(multi layer)로 패키징(packaging)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CPU 및 GPU를 포함하는 구성은 AP(Application Processor)라고 지칭될 수 있다.
제어모듈(710)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을 추가, 삭제 및 편집 중 어느 하나의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모듈(710)은 추가 요청된 사용자 모드와 연관된 기본 홈 스크린 템플릿을 터치스크린(720)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사용자 이력을 기반으로 추가 요청된 사용자 모드와 연관된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추천 홈 스크린 템플릿을 터치스크린(720)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730)는 전자 장치(700)의 동작을 위해 요구되는 소프트웨어, 및 전자 장치(700)의 사용에 의해 수신되거나 또는 생성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것이다. 메모리(730)는 제어모듈(710)이 그로부터 판독하거나 또는 그에 기록할 수 있는 디지털 스토리지의 임의의 형식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메모리(730)는 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730)는 제어모듈(710)의 보조기억장치(secondary memory unit)로써, 디스크, 램(RAM), 롬(ROM) 및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730)는 전자 장치(700)에서 생성된 데이터(예컨대, 연락처) 그리고 통신모듈(740)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예, 메시지, 동영상 파일)를 저장한다. 메모리(730)는 이미지(예컨대, 키패드, 동영상, 메시지 등)의 크기 정보 및 이미지의 표시 영역 정보를 포함한다.
통신모듈(740)은 제어모듈(710)의 제어 하에,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장치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모듈(740)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통신모듈(740)은 이동 통신 모듈(예컨대, 3세대(3-Generation) 이동통신모듈, 3.5(3.5-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또는 4(4-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등), 디지털 방송 모듈(예컨대, DMB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예, 와이파이(Wi-Fi)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을 포함한다.
출력모듈(750)은 마이크(MIC) 및 스피커(SPK)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모듈(750)은 스피커(SPK) 및 마이크(MIC)와 결합하여 음성 인식, 음성 녹음, 디지털 레코딩(recording) 및 통화를 위한 오디오 신호(예, 음성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수행한다. 출력모듈(750)은 제어모듈(71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로 D/A 변환하고 증폭한 후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출력모듈(750)은 마이크(MIC)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로 A/D 변환한 후 제어모듈(710)로 제공한다. 스피커(SPK)는 오디오 신호를 음파(sound wave)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마이크(MIC)는 사람이나 기타 소리원(sound source)들로부터 전달된 음파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선정된 터치가 입력되는지 감지하고, 상기 선정된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 모드별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홈 스크린의 설정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비화면영역으로부터 상기 화면영역으로 터치가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화면영역 내 선정된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상기 선정된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제1 좌표 및 상기 제1 좌표와 상이한 제2 좌표에서 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1 좌표의 터치 및 상기 제2 좌표의 터치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선정된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사용자 모드별 레이블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레이블 중 어느 하나의 레이블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레이블의 사용자 모드와 연관된 홈 스크린을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체 화면영역 또는 상기 전체 화면영역의 일부 화면영역에 사용자 모드별 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주제별 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제1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 및 다른 사용자 모드의 항목들을 표시하거나, 또는 제1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 및 스크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1)상기 홈 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모드에 포함되는 다른 홈 스크린을 표시하고, 2)상기 다른 사용자 모드의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다른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을 표시하고, 및 3)상기 스크롤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다른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을 추가, 삭제 및 편집 중 어느 하나의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추가 요청된 사용자 모드와 연관된 기본 홈 스크린 템플릿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사용자 이력을 기반으로 추가 요청된 사용자 모드와 연관된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추천 홈 스크린 템플릿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700: 전자 장치 710: 제어모듈
720: 터치스크린 730: 메모리
740: 통신모듈 750: 출력모듈

Claims (22)

  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의 홈 스크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선정된 터치가 입력되는지 감지하는 동작;
    상기 선정된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 모드별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동작;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홈 스크린의 설정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동작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영역을 둘러싼 비화면영역으로부터 상기 화면영역으로 터치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선정된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멀티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선정된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제1 좌표 및 상기 제1 좌표와 상이한 제2 좌표에서 터치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좌표의 터치 및 상기 제2 좌표의 터치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선정된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동작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영역 내 선정된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상기 선정된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사용자 모드별 레이블을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표시된 레이블 중 어느 하나의 레이블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레이블의 사용자 모드와 연관된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전체 화면영역 또는 상기 전체 화면영역의 일부 화면영역에 사용자 모드별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주제별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제1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 및 다른 사용자 모드의 항목들을 표시하는 동작; 또는
    제1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 및 스크롤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홈 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모드에 포함되는 다른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다른 사용자 모드의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다른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스크롤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다른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을 추가, 삭제 및 편집 중 어느 하나의 설정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하는 동작은,
    사용자 이력을 기반으로 추가 요청된 사용자 모드와 연관된 컨텐츠를 검색하는 동작; 및
    상기 검색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추천 홈 스크린 템플릿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하는 동작은,
    추가 요청된 사용자 모드와 연관된 기본 홈 스크린 템플릿을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본 홈 스크린 템플릿에 추가할 컨텐츠를 선택받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4. 선정된 터치가 입력되는지 감지하고, 상기 선정된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 모드별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홈 스크린의 설정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비화면영역으로부터 상기 화면영역으로 터치가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화면영역 내 선정된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상기 선정된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전자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제1 좌표 및 상기 제1 좌표와 상이한 제2 좌표에서 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1 좌표의 터치 및 상기 제2 좌표의 터치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선정된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전자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사용자 모드별 레이블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레이블 중 어느 하나의 레이블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레이블의 사용자 모드와 연관된 홈 스크린을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체 화면영역 또는 상기 전체 화면영역의 일부 화면영역에 사용자 모드별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주제별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제1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 및 다른 사용자 모드의 항목들을 표시하거나, 또는 제1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 및 스크롤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1)상기 홈 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모드에 포함되는 다른 홈 스크린을 표시하고, 2)상기 다른 사용자 모드의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다른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을 표시하고, 및 3)상기 스크롤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다른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모드의 홈 스크린을 추가, 삭제 및 편집 중 어느 하나의 설정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추가 요청된 사용자 모드와 연관된 기본 홈 스크린 템플릿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사용자 이력을 기반으로 추가 요청된 사용자 모드와 연관된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추천 홈 스크린 템플릿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KR1020140043189A 2014-04-10 2014-04-10 홈 스크린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5011755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189A KR20150117550A (ko) 2014-04-10 2014-04-10 홈 스크린 제어 방법 및 장치
US14/683,790 US20150293686A1 (en) 2014-04-10 2015-04-1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189A KR20150117550A (ko) 2014-04-10 2014-04-10 홈 스크린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550A true KR20150117550A (ko) 2015-10-20

Family

ID=54265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189A KR20150117550A (ko) 2014-04-10 2014-04-10 홈 스크린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293686A1 (ko)
KR (1) KR2015011755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20289S1 (en) * 2015-08-12 201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63332S1 (en) 2015-08-12 2019-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EP3261081A1 (en) * 2016-06-22 2017-12-27 GE Aviation Systems Limited Natural travel mode description system
US20230367451A1 (en) * 2022-05-10 2023-11-16 Apple Inc. User interface suggestions for electronic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958B1 (ko) * 2005-06-15 200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의 홈 스크린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613838B1 (ko) * 2009-05-19 201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홈 스크린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718999B1 (ko) * 2010-10-11 2017-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789332B1 (ko) * 2011-06-03 2017-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방법
US20140053189A1 (en) * 2012-08-17 2014-02-2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home screen
KR20150051292A (ko) * 2013-11-01 2015-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93686A1 (en) 201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74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9959033B2 (en) Information navigation on electronic devices
KR102397602B1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Emmanouilidis et al. Mobile guides: Taxonomy of architectures, context awareness,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US94177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1004348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thereof
EP2701055A2 (en)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20160031233A (ko) 날짜에 따른 특화 모드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CN105872683A (zh) 图像显示设备和方法
US109222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uto-naming of conten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140027825A (ko) 리스트 스크롤 바 제어 방법 및 모바일 장치
KR20110090614A (ko)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및 그 표시부의 표시 제어 방법
KR102124191B1 (ko)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50012855A1 (en) Portable device for providing combined ui compon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50111221A (ko) 페이지 구성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KR102215178B1 (ko) 전자장치에서 사용자 입력 방법 및 장치
AU2014287956A1 (en) Method for display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20259522A1 (zh) 一种内容查找方法、相关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125212B1 (ko) 전자 필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8475204A (zh) 自动设置壁纸的方法、终端设备和图形用户界面
KR20150107382A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콘텐츠 표시방법
US2015029368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 screen
KR102019975B1 (ko) 디아비스 및 그의 컨텐츠 검색 방법
KR102192159B1 (ko)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2014006451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검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