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8600A - Anti-reflection film having improved scratch resistance - Google Patents

Anti-reflection film having improved scratch resist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8600A
KR20150108600A KR1020140031586A KR20140031586A KR20150108600A KR 20150108600 A KR20150108600 A KR 20150108600A KR 1020140031586 A KR1020140031586 A KR 1020140031586A KR 20140031586 A KR20140031586 A KR 20140031586A KR 20150108600 A KR20150108600 A KR 20150108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ent
boiling point
scratch resistance
acrylat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5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함시우
김지석
김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140031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8600A/en
Publication of KR20150108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600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1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reflective film with excellent scratch resistan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iacetyle cellulose film as a backing layer; a hard coating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triacetyle cellulose film. A hard coating composition of the hard coating layer comprises: 6 to 9 functional oligomers and 3 kinds of functional monomers; and a curable resin, an aggressive solvent, silica particles and a light initiator. The aggressive solvent mixes the low-boiling point solvent and the high-boiling point solv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ilica particles of 4.0 μm to 4.5 μm. The anti-reflective film with excellent scratch resistance manufactured by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haze value of 1-2.5 % lower than the haze change value of the existing anti-reflective film when scratch resistance is measured.

Description

내찰상성이 우수한 반사방지 필름{Anti-reflection film having improved scratch resistanc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reflection film having improved scratch resistance,

본 발명은 반사방지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재층으로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과 상기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하드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드코팅층의 하드코팅 조성물은 (a) 6 내지 9관능 올리고머 및 기능성 모노머 3종, 및 (b) 경화성 수지, 침식성 용제, 실리카 입자 및 광 개시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침식성 용제는 저비점류 용제 및 고비점류 용제를 혼합 사용하며, 상기 실리카 입자의 크기는 4.0㎛ 내지 4.5㎛인 것을 포함하는 내찰상성이 우수한 반사방지 필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reflection film, and more particularly to a antireflection film comprising a triacetyl cellulose film as a base layer and a hard coating layer on at least one side of the triacetylcellulose film, wherein the hard coating composition of the hard coating layer comprises (a) (B) a curable resin, an erodible solvent, silica particles and a photoinitiator, wherein the erosive solvent is a mixture of a low-boiling-point solvent and a high-boiling-point solvent, and the size of the silica particles is And an antireflective film having an excellent scratch resistance including those having a thickness of 4.0 탆 to 4.5 탆.

본 발명에서 제조된 내찰상성이 우수한 반사방지 필름은 내찰상성 평가 시, 기존의 반사방지 필름의 헤이즈 변화값 보다 낮은 1 내지 2.5%의 헤이즈 변화값을 나타낸다.
The antireflective film produced in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 haze change value of 1 to 2.5% lower than the conventional antireflection film haze change value in the scratch resistance evaluation.

최근의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브라운관(CRT), 전자발광 디스플레이(EL) 등과 같은 화상표시장치(FPD)는 성능의 개선을 위해서 기술 개발이 치열하며, 이동-디스플레이(Mobile-Display), 노트북, 모니터, TV, PC, 디지털 카메라, PDA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 중 LCD는 광 시야각, 고 해상도, 고속 응답성, 우수한 색재현성 등이 요구되어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Recently, image display devices (FPD)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 (LCD), plasma display (PDP), cathode ray tube (CRT) an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EL) -Display), a notebook, a monitor, a TV, a PC, a digital camera, and a PDA. Among them, LCD is required to have wide viewing angle, high resolution, fast response, excellent color reproducibility, and focuses on technology development to meet this demand.

이러한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눈으로 보게 되는 화면의 이미지는 외부광(입사광)이 디스플레이 표면에서 반사 또는 상비침 현상에 의한 콘트라스트 저하, 시인성 저하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In such a display, the image of the screen viewed by the eye must solve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of contrast and visibility due to external light (incident light) reflected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or by the phenomenon of phase inversion.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요철을 형성하고 형성된 표면요철에 의해 입사광을 산란시킴으로서 정반사율을 저감시켜서 반사광의 눈부심을 완화하여 시인성을 개선하는 방현(Anti-glare; AG)필름이 디스플레이 전면에 배치되어 사용하고 있으며, 저굴절 물질과 고굴절 물질을 교대로 코팅 및 적층하여 계면 반사과정에서 상쇄간섭을 통해 입사광의 반사율을 낮추는, 반사방지(Anti-reflection; AR)필름도 사용되고 있다.An anti-glare (AG) film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for reducing irregularities and reducing visibility of reflected light by scattering incident light by forming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irregularities to improve visibility Anti-reflection (AR) films are also used, which alternately coat and laminate low refractive materials and high refractive materials to lower the reflectance of incident light through destructive interference during interfacial reflection.

상기 방현 필름은 한 가지 일례로 투명기재 표면에 수 ㎛ 크기의 실리카(이산화규소) 입자 등의 필러를 포함하는 수지를 코팅하여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방현 필름은 샌드블라스트, 앰보싱 롤, 화학 식각 등을 이용한 응집성 실리카 등의 입자의 응집에 의해 표면에 요철구조가 형성되도록 하는 타입, 코팅 후 방현층을 형성하는 하드코팅제에 막 두께 이상의 입자지름을 갖는 필러를 수지 중에 혼입하여 필러에 의한 표면 요철을 형성하는 타입, 또는 층 표면에 요철을 가진 필러를 라미네이트하여 요철형상을 전사하는 타입이 있다. 이들 기술 중 현재 주가 되는 것은, 하드코팅제에 무기 또는 유기 입자가 분산된 수지로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타입이 선호되고 있다.For example, the antiglare film is formed by coating a resin containing a filler such as silica (silicon dioxide) particles having a size of several micrometers on the surface of a transparent substrate. Such an antiglare film is a type in which a concavo-convex structure is formed on the surface by aggregation of particles such as cohesive silica using sandblast, amboshing roll, chemical etching or the like, a type in which a hard coating agent for forming an anti- Or a filler having a concavity and convexity is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layer to transfer the concavo-convex shape. Among these techniques, currently preferred is a type in which a light-scattering coating composition is prepared with a resin in which inorganic or organic particles are dispersed in a hard coating agent.

이러한 유기 및 무기 입자가 분산된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방현성 코팅 조성물을 투명기재에 도포하고 건조, 경화시켜 제조하는데, 표면요철은 사용한 입자의 크기나 함량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유기 및 무기 입자를 함유하는 방현 필름은 평균 입경이 큰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내부의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표시 화소가 큰 표면요철의 렌즈역할에 의해 일그러지는 현상인 번쩍거림의 문제점이 생긴다. 반면 평균 입경이 작은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면 번쩍거림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필름 표면에 백화 현상이 생겨 해상도, 콘트라스트 및 투명성 등의 광학적 특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안정적인 입자들의 분산을 위해서는 별도의 밀링 장비를 이용한 밀링 과정을 거치게 되나 수 내지 수십㎛의 크기의 입자들의 코팅 조성물 내 응집 및 침강 문제가 조성물 내 균일한 입자의 분산을 어렵게 하며 실제 코팅 공정 시 각종 결함들의 주원인이 되고 있다.The antireflective coating composition composed of the thermosetting or thermoplastic resin in which the organic and inorganic particles are dispersed is applied to a transparent substrate, followed by drying and curing. The surface irregularities vary depending on the size and content of the particles used. When an antiglare film containing such organic and inorganic particles is used, particles having a large average particle diameter cause a problem of flashing, which is a phenomenon in which a display pixel coming out from a light source inside the display is distorted by a lens functioning as a large surface irregularit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sing particles having a small average particle size, it is possible to prevent flickering on the screen, but the film surface is whitened and the optical characteristics such as resolution, contrast and transparency are deteriorated. In order to stabilize the dispersion of particles, a milling process is performed using a separate milling machine. However, the problem of agglomeration and sedimentation of particles having a size of several to several tens of micrometers in a coating composition makes it difficult to disperse uniform particles in the composition, It is becoming the main cause of various defects.

한편, 반사방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 필름은 예를 들어 가시광선 영역에서 사용하는 반사방지 필름의 경우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콘트라스트 및 화상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표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진 지점에 장착되며, 이는 색감 향상을 위한 선택 흡수층 및 전자파 차폐를 위한 전자파 차폐층 등과 함께 광학 필터의 구성 요소가 되기도 한다. 또한, 근적외선 영역에서 사용하는 반사방지 필름의 경우에는 광통신 및 광전자 소자 등의 다양한 분야에 폭넓게 이용된다.
On the other hand, antireflection triacetyl cellulose (TAC) films are widely used in 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a plasma display panel (PDP) in the case of an antireflection film used in the visible light region, for example,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image quality, is mount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ich is a component of an optical filter together with an optional absorbing layer for improving color feeling and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In the case of an antireflection film used in the near-infrared region, it is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optical communication and optoelectronic devices.

종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반사방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 필름은 각종 디스플레이 패널,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PDP), 브라운관 (CRT), 전자발광 디스플레이 (EL) 등의 패널에 표면 보호하기 위한 하드코팅 필름(Hard-coating film)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하드코팅 필름은 보호 대상이 되는 표면에 하드코팅성을 부여함과 더불어, 지문, 마커 등에 의한 표시에 대해서 내성을 부여하기도 하고, 보호 대상 표면의 오염시에 오염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특성, 즉 방오성 (Antifouling)도 부여한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used antireflection triacetyl cellulose (TAC) films are widely used in various display panel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DP), a cathode ray tube (CRT) And is widely used as a hard-coating film for protecting the surface of the panel. In addition, such a hard coating film imparts hard coatability to the surface to be protected, gives resistance to the indication by fingerprints, markers, and the like, and also easily removes contaminants when the surface to be protected is contaminated , That is, antifouling property.

일반적으로 코팅은 물체의 표면을 다른 물질로 도포하는 것을 말하며, 이를 통하여 코팅된 물체를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하고 긁힘방지 등의 역할을 하여 코팅된 물질의 외관을 오랜시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general, the coating means coating the surface of an object with another material, thereby protecting the coated object from external stimuli and preventing scratches,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coated material can be kept clean for a long time.

종래 하드코팅제에 포함되는 고분자로는 아크릴성 중합체, 우레탄 중합체, 에폭시 중합체, 규소 중합체, 또는 실리카 화합물을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고분자는 모노머나 올리고머 형태로 존재하며, 이들에 광개시제를 부가하여 열이나 UV에 의해 중합물을 형성시킴으로써 하드코팅성을 갖게 된다.As the polymer included in the conventional hard coating agent, an acrylic polymer, a urethane polymer, an epoxy polymer, a silicon polymer, or a silica compound is mainly used. These polymers exist in the form of monomers or oligomers, and a photoinitiator is added to them to form a polymeric material by heat or UV, resulting in hard coatability.

종래 한국 공개특허 제2013-0026269호(출원인: 동우화인켐 주식회사)에서는 고분자로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광개시제 및 침식성 용제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제1,277,551호(출원인: 에스케이씨 주식회사)에서는 하드코팅 필름에 관한 것으로 기재층, 상기 기재층에 형성되는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하드코팅층은 고분자로 2관능 이상의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와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또는 에틸렌글리콜을 갖지 않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광개시제를 포함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고분자는 모노머나 올리고머 형태로 존재하며, 이들에 광개시제를 부가하여 열이나 UV에 의해 중합물을 형성시킴으로써 하드코팅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대부분의 코팅제는 가교밀도를 증가시킬수록 내마모성은 증가한다.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3-0026269 (filed by Dongwha Fine Chemical Co., Ltd.), a hard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an acrylate compound, a photoinitiator and an erosive solvent is described as a polymer. Korean Patent No. 1,277,551 (filed by SK Corporation) discloses a hard coating film comprising a substrate layer and a hard coat layer formed on the substrate layer, wherein the hard coat layer comprises a polymer having an acrylate-based monomer And polyfunctional acrylate-based monomers having no polyfunctional urethane acrylate oligomer and / or ethylene glycol, and photoinitiators. These polymers exist in the form of monomers or oligomers, and a photoinitiator is added to them to form a polymeric material by heat or UV, resulting in hard coatability. In most of these coatings, the abrasion resistance increases as the crosslink density increases.

이러한 기능성 광학 코팅필름은 Curl과 경도, 그리고 부착력 등을 고려하기 위하여 UV 레진(UV-resin)을 제조하여 이용하였다. 기존의 하드코팅 제품의 물성 특성은 Curl 제어를 위하여 에어(Air)면 코팅시 부착력이 0B 내지 2B 수준이었다. 따라서, 저Curl 및 부착력이 확보되고, 헤이즈(Haze)와 시인성 조절을 위하여 레진(Resin)의 굴절율, 실리카 입자의 사이즈 및 입도분포를 고려하여 경화된 하드코팅막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 왔다.In order to consider the curl, hardness, and adhesion, UV-resin was prepared and used for the functional optical coating film. The physical properties of conventional hard coating products were 0B to 2B adhesion on air surface coating for Curl control. Therefore, studies have been made on cured hard coating films in consideration of the refractive index of Resin, the size of silica particles and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order to secure low Curl and adhesion, and to control haze and visibility.

그러나, 이러한 기능성 광학 코팅필름을 형성하는 경우에 코팅층의 표면 반사광; 및 기재필름과 코팅층 사이의 계면 반사광 사이에 간섭이 일어나게 되면서 무지개 형상의 간섭무늬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투명 하드코팅 필름을 터치 패널 등에 적용하면, 투명 하드코팅막의 불균일로 인해 간섭무늬가 생기는 경우가 많다. However, in the case of forming such a functional optical coating film, the surface reflection light of the coating layer; And interfacial reflection light between the base film and the coating layer, irregular interference fringes are generated. For example, when a generally used transparent hard coating film is applied to a touch panel or the like, interference patterns often occur due to non-uniformity of the transparent hard coating film.

이러한 간섭무늬를 해소하기 위해서 투명 하드코팅 필름을 구성하는 투명 고분자 필름과 투명 하드코팅막 사이에 추가 적층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도 있으나, 필름 전체적인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eliminate such interference fringes, an additional laminated structure may be formed between the transparent polymer film and the transparent hard coating layer constituting the transparent hard coating film.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film is increased.

그러나 코팅막은 도막두께가 얇은 경우 쉽게 긁혀 오히려 외관이 지저분해지고, 경도를 높이기 위해 도막 두께를 두껍게 할 경우 헤이즈(Haze)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when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is small, the coating film is easily scratched and the appearance becomes dirty. When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hardness, haze is increased.

또한, Curl과 경도, 그리고 부착력 특성의 경우 반비례 관계가 성립되는 물성이므로 사실상 제품화 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In addition, curl, hardness, and adhesive force characteristics are inferior to each other in physical properties.

본 발명은 반사방지 필름의 Curl과 경도 특성이 경우 반비례 관계이므로 수지의 관능기 및 경화율을 최적화하여 구현하고,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침식성 용제로 저비점류 용제 및 고비점류 용제를 혼합하여 제조된 반사방지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reflection film produced by mixing a low boiling point solvent and a high boiling point solvent as an erodible solvent in order to optimize a functional group and a hardening rate of a resin because Curl of the antireflection film is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hardness characteristic, And to provide a film.

또한, 기존에 문제시되었던 내찰상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지의 물성, 입자의 크기 등을 최적화한 반사방지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ireflection film that optimizes physical properties and particle size of a resi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cratch resistance which has been a problem in the prior art.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반사방지 필름은 기재층으로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과 상기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하드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드코팅층의 하드코팅 조성물은 (a) 6 내지 9관능 올리고머 및 기능성 모노머 3종, 및 (b) 경화성 수지, 침식성 용제, 실리카 입자 및 광 개시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침식성 용제는 저비점류 용제 및 고비점류 용제를 혼합 사용하며, 상기 실리카 입자의 크기는 4.0㎛ 내지 4.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reflection film comprises a triacetylcellulose film as a base layer and a hard coating layer on at least one side of the triacetylcellulose film, and the hard coating composition of the hard coating layer comprises (a) (B) a curable resin, an erosive solvent, silica particles and a photoinitiator, wherein the erosive solvent is a mixture of a low-boiling-point solvent and a high-boiling-point solvent, and the size of the silica particles is 4.0 Mu m to 4.5 mu m.

또한, 상기 6 내지 9 관능의 올리고머는 우레탄(메타)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ligomer having 6 to 9 functional groups is one selected from a urethane (meth) acrylate oligomer and a polyester acrylate oligomer.

또한, 상기 기능성 모노머는 고굴절 모노머로 이소시안네이트계, 아크릴계 및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중에서 선택된 2종 또는 3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unctional monomer may be a high refractive monomer, and may be two or more selected from isocyanate-based, acrylic-based, and acrylate-based monomers.

또한, 상기 저비점류 용제는 비점이 100℃미만으로 아세톤,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 트리클로로에탄, 테트라히드로푸란, 메틸에틸케톤,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부탄올, 이소부틸알콜, 디이소프로필에테르 중 1종 또는 2종 이상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 boiling point solvent may be a solvent having a boiling point of less than 100 캜 and containing acetone,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butyl acetate, chloroform, methylene chloride, trichloroethane, tetrahydrofuran, methyl ethyl ketone, methanol, ethanol, isopropyl alcohol, , Isobutyl alcohol, and diisopropyl ether.

또한, 상기 고비점류 용제는 비점이 100℃이상으로 시클로헥사논, 니트로메탄, 1,4-디옥산, 디옥솔란, N-메틸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중 중 1종 또는 2종 이상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above-mentioned high boiling point solvent may have a boiling point of 100 ° C or higher, and may be selected from cyclohexanone, nitromethane, 1,4-dioxane, dioxolane, N-methylpyrrolidone, N, Ethylcellosolve, butylcellosolve, ethylcellosolve, and butylcellosolve.

또한, 상기 광 개시제의 주 개시제는 장파장 개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initiator of the photoinitiator is a long wavelength initiator.

또한, 상기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된 반사방지 필름은 Curl이 1mm 이하, 경도가 2H 4/5, 부착력이 5B, 내찰성 전후의 헤이즈 변화가 1 내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antireflection film produc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has Curl of 1 mm or less, hardness of 2H 4/5, adhesion of 5 B, and haze change of 1 to 2.5% before and after abrasion resistance.

본 발명의 반사방지 필름은 침식성 용제로써 저비점류 용제 및 고비점류 용제를 혼합 사용하며, 4.0㎛ 내지 4.5㎛ 크기의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여 내찰상성, 부착력이 우수하고 기존의 반사방지 필름 대비 헤이즈 값이 낮은 효과가 있다.
The antireflectio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bination of a low-boiling-point solvent and a high-boiling-point solvent as an erosive solvent, and contains silica particles having a size of 4.0 탆 to 4.5 탆 and has excellent scratch resistance and adhesion, It has a low effect.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등에서 사용된 용어 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한 것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청구범위가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이 명백하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ike are merely illustrative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반사방지 필름은 기재와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하드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드코팅층의 하드코팅 조성물은 (a) 6 내지 9관능 올리고머 및 기능성 모노머 3종, 및 (b) 경화성 수지, 침식성 용제, 실리카 입자 및 광 개시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침식성 용제는 저비점류 용제 및 고비점류 용제를 혼합 사용하며, 상기 실리카 입자의 크기는 4.0㎛ 내지 4.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ntireflectio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material and a hard coating layer on at least one side of the base material, wherein the hard coating composition of the hard coating layer comprises (a) 6 to 9 functional oligomers and 3 functional monomers, and (b) Wherein the erosive solvent is a mixed solvent of a low boiling point solvent and a high boiling point solvent, and the size of the silica particles is 4.0 탆 to 4.5 탆.

이하, 본 발명을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each configuration.

기재materials

본 발명의 기재는 예를 들면, 노르보르넨이나 다환 노르보르넨계 단량체와 같은 시클로올레핀을 포함하는 단량체의 단위를 갖는 시클로올레핀계 유도체,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이소부틸에스테르셀룰로오스, 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부티릴셀룰로오스 또는 아세틸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등에서 선택되는 셀룰로오스,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에폭시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미연신 1축 또는 2축 연신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 example, a cycloolefin-based derivative having a unit of a monomer including a cycloolefin such as norbornene or a polycyclic norbornene monomer, diacetylcellulose, triacetylcellulose, acetylcellulose butyrate, Cellulose acetate, vinyl acetate copolymer, polyester, polystyrene, polyamide, polyetherimide, polyacryl, polyimide, polyethersulfone, polyether sulfone, polyether sulfone, polyether sulfone, Polyvinyl alcohol, polyvinyl acetal, polyether ketone, polyether ether ketone, polyethersulfone, polymethylmethacryl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carbonate, polyurethane, and epoxy. An unoriented uniaxial or biaxial oriented film can be used.

이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1축 또는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나,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면서 필름의 대형화에 대응할 수 있는 시클로올레핀계 유도체 필름, 투명성 및 광학적으로 이방성이 없다는 점으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이 적합하다.
Of these, preferred are monoaxially or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s which are excellent in transparency and heat resistance, cycloolefin-based derivative films which are excellent in transparency and heat resistance and capable of coping with the enlargement of the film, transparency and optical anisotropy, Acetylcellulose films may be suitably used, but triacetylcellulose films are preferred.

하드코팅층의 하드코팅 조성물The hard coat composition of the hard coat layer

(a) 6 내지 9관능 올리고머 및 기능성 모노머 3종, 및(a) 6 to 9 functional oligomers and 3 functional monomers, and

(b) 경화성 수지, 침식성 용제, 실리카 입자 및 광 개시제로 이루어진다.
(b) a curable resin, an erosive solvent, silica particles and a photoinitiator.

상기 6 내지 9관능의 올리고머는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들어, 우레탄(메타)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이 있고, 더 구체적인 예로는 (메타) 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알릴 기등의 에틸렌성 이중결합을 갖는 관능기 등을 사용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urethane (meth) acrylate oligomer, polyester acrylate oligomer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6 to 9 functional oligomers. More specific examples include (meth) acryloyl group, A vinyl group, and an allyl group, and the lik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들에서 관능기는 반응 가능한 작용기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6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6개의 아크릴레이트 그룹(-O-CO-H=CH2) 각각에 포함된 C=C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exafunctional urethane acrylate oligomer may have a C = C bond included in each of six acrylate groups (-O-CO-H = CH2). In the acrylate oligomer, the functional group means a reactive functional group. .

상기 우레탄(메타)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관능기 수가 큰 경우에는, 얻을 수 있는 표면 보호층의 내상성이 뒤떨어지게 되는 것과 동시에, 내후성도 저하하는 경향이 보여 또 표면에 파도를 일으켜 경면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보인다. 한편, 관능기 수가 작은 경우에는, 가교 밀도가 저하해, 내상성이 부족한 것부터, 관능기가 수라고 해서는, 6 내지 9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시간 경과로의 내상성(내후시험 후의 내상성)을 향상시키려면, 보다 관능기 수의 낮은 6 내지 8정도의 것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결과가 된다. 즉, 관능기 수가 비싸면 높을수록, 내상성, 즉 하드코트성이 우수한다고 하는 것이 아니고, 하드코트성에는 적당한 부드러움도 필요함으로, 가장 바람직한 관능기의 수는 6 내지 9이다.When the number of functional groups of the urethane (meth) acrylate oligomer is large, the surface resistance of the obtained surface protective layer is inferior and the weather resistance tends to decrease. Also, the surface tends to cause a wave on the surface, I see this. On the other hand, when the number of functional groups is small, the crosslinking density is lowered and the resistance to imbrication is insufficient. Therefore, the number of functional groups is preferably from 6 to 9.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mprove the durability (resistance to shrinkage after the weathering test) over tim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durability is about 6 to 8, which is lower than the number of functional groups. That is, the higher the number of functional groups, the more excellent the resistance to scratches, that is, the hard coat property, and the hard coat property requires moderate softness, so that the most desirable number of functional groups is 6 to 9.

또한, 6관능 이하 또는 9관능 이상의 올리고머 및 모노머를 사용하는 것 보다 6 내지 9관능의 올리고머 및 모노머를 사용하는 경우, 우수한 표면 경도를 구현할 수 있어서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고, 제조공정중 또는 사용중에 Curl 현상의 발생을 억제해준다.In addition, when oligomers and monomers having 6 to 9 functional groups are used, oligomer and monomer having 6 or less functional groups or 9 or more functional groups are used, excellent surface hardness can be realized and scratch resistance is excellent, Curl phenomenon is suppressed.

상기 6관능 내지 9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미원상사의 Miramer PU510, PU20, PU640, HS 켐트론 社의 UA-8560TL, UA-800, AGI 社의 230A2, 670A2, 675, Cytec 社E의 Ebecryl 1290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hexafunctional to 9-functional urethane acrylate oligomers are commercially available from Miramer PU510, PU20, PU640, HS Chemtron UA-8560TL, UA-800, AGI 230A2, 670A2, 675, Ebecryl 1290 from Cytec E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6관능 내지 9관능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미원상사의 Miramer PS610, AGI 社의 706, 707, Cytec 社의 Ebecryl 830, Ebecryl 837, 폴리네트론 社의 PN-5600, HS 켐트론 社의 UVT-600si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urther, the above-mentioned hexafunctional to 9-functional polyester acrylate oligomers are commercially available as Miramer PS610 from MIYON, 706 and 707 from AGI, Ebecryl 830 and Ebecryl 837 from Cytec, PN-5600 from Polynetron, UVT-600si, and the like may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본 발명의 하드코팅 조성물인 기능성 모노머는 고굴절 모노머로써 3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들어, 이소시안네이트계, 아크릴계, 아크릴레이트계 등이 있으며, 더 구체적인 예로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벤질아크릴레이트(benzyl acrylate, BZA), 벤질메타크릴레이트(benzyl metaacrylate, BZMA),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phenoxy ethyl acrylate),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2-hydroxy-3-phenoxy propyl acrylate), 페닐티오에틸아크릴레이트(phenylthio ethyl acrylate), 큐밀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Cumyl phenoxy ethyl acrylate), 올소-페닐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o-phenyl phenoxy ethyl acrylate), 2-하이드록시-3-페닐페녹시 프로필아크릴레이트(2-hydroxy-3-(phenylphonoxy)propyl acrylate)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2-hydroxy-3-phenoxy propyl acrylate), 1,6-핵산디올프로판아크릴레이트(1,6-hexanediolpropane dimethylacrylate), 페녹시 에틸아크릴레이트(phenoxyethyl acrylate, PHEA), 2-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2-ethoxyethyl acrylate),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isobornyl acrylate),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이트 (pentaerythritol triacrylat, PETA),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dipentaerythritol pentaacrylate, DPPA),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dipentaerythritol hexacrylate, DPH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TA),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 acrylate, HEA) 등을 들 수 있다.The functional monomer used as the hard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t least three kinds of high refractive index monomers,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isocyanate-based, acrylic-based and acrylate-based monomers. More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acrylate-based monomers Benzyl acrylate (BZA), benzyl methacrylate (BZMA), phenoxy ethyl acrylate, 2-hydroxy-3-phenoxypropyl acrylate, 3-phenoxy propyl acrylate, phenylthioethyl acrylate, cumyl phenoxy ethyl acrylate, o-phenyl phenoxy ethyl acrylate, 2- 2-hydroxy-3-phenoxy propyl acrylate, 1-hydroxy-3-phenoxy propyl acrylate, 2-hydroxy- 6-nucleic acid But are not limited to, 1,6-hexanediolpropane dimethylacrylate, phenoxyethyl acrylate (PHEA), 2-ethoxyethyl acrylate, isobornyl acrylat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polymeric material such as pentaerythritol triacrylate (PETA), dipentaerythritol pentaacrylate (DPPA), dipentaerythritol hexacrylate (DPHA),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TA),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butyl acrylate, and 2-hydroxyethyl acrylate (HEA).

한편, 경화성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자외선 또는 전자선에 의해 경화하는 수지인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specific examples of the curable resin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n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an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a thermosetting resin, or the like, which is a resin that is cured by ultraviolet rays or electron beams.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아크릴레이트계 작용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예를 들면 비교적 저분자량의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스피로아세탈 수지, 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티올폴리엔 수지, 다가 알콜 등의 다작용기 화합물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올리고머 또는 프레폴리머, 반응성 희석제가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Specific examples of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include an acrylate-based compound having an acrylate-based functional group such as a polyester resin, a polyether resin, an acrylic resin, an epoxy resin, a urethane resin, an alkyd resin, a spiroacetal resin, Oligomers or prepolymers of polyfunctional compounds such as polybutadiene resins, polythiol polyene resins and polyhydric alcohols such as (meth) acrylates, and reactive diluent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메틸스티렌, N-비닐피로리돈 등의 단작용기 모노머 및 다작용기 모노머, 예를 들면 폴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알킬레이트, 헥산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눌산변성 디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눌산변성 트리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F변성 디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Specific examples of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include monofunctional monomers and polyfunctional monomers such as ethyl (meth) acrylate, ethylhexyl (meth) acrylate, styrene, methylstyrene and N-vinylpyrrolidone, Tri (meth) acrylate, tri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tri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Meth) acrylate, isocyanuric acid-modified diacrylate, isocyanuric acid-modified triacrylate, bisphenol F-modified (meth) acrylate, Diacrylate,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열경화성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멜라닌 수지, 구아나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아미노알키드 수지, 멜라민-요소 공축합 수지, 규소 수지, 폴리 실록산 수지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Specific examples of the thermosetting resin include phenol resin, urea resin, diallyl phthalate resin, melamine resin, guanamine resi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polyurethane resin, epoxy resin, aminoalkyd resin, melamine- Polysiloxane resin,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한편, 침식성 용제는 광투과성 기재에 대해서 침식성이 있는 용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침식성 용제의 "침식성"이란 광투과성 기재에 대해서 침식성, 침투성, 팽윤성, 습윤성 등의 모든 개념을 포함하는 의미이다.On the other hand, an erodible solvent is used for the light-transmitting substrat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rosion property" of the erosive solvent means all concepts including erosion property, permeability, swelling property, wettability and the like to the light transmitting substrate.

상기 침식성 용제의 구체 예로서는 이소프로필알콜,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콜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 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 테트라클로르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세테이트계 및 케톤계를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corrosive solvent include alcohols such as isopropyl alcohol, methanol and ethanol; Ketones such as methyl ethyl ketone, methyl isobutyl ketone, and cyclohexanone; Esters such as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and butyl acetate; Halogenated hydrocarbons such as chloroform, methylene chloride, and tetrachloroethane, and mixtures thereof. Acetate-based and ketone-based solvents are preferred.

바람직하게 상기 침식성 용제는 하드코팅층 내에 계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비점의 차이가 있는 적어도 두가지 용제의 조합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Preferably, the erosive solvent is constituted by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solvents having different boiling points in order to form an interface in the hard coat layer.

상기 침식성 용제는 제1용제와 제2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용제와 제2용제는 비점 차가 10℃ 내지 100℃인 것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The corrosive solvent may include a first solvent and a second solvent, and the first solvent and the second solvent may have a specific viscosity of 10 ° C to 100 ° C.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식성 용제는 제1용제와 제2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용제는 비점이 100℃미만인 용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용제는 비점이 100℃이상인 용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erosive solvent comprises a first solvent and a second solvent, wherein the first solvent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solvent having a boiling point lower than 100 ° C, and the second solvent has a boiling point of 100 ° C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at least one solvent.

비점이 100℃미만인 제1용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아세톤,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 트리클로로에탄, 테트라히드로푸란, 메틸에틸케톤,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부탄올, 이소부틸알콜, 디이소프로필에테르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메틸에틸케톤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first solvent having a boiling point lower than 100 ° C include acetone,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butyl acetate, chloroform, methylene chloride, trichloroethane, tetrahydrofuran, methyl ethyl ketone, methanol, ethanol, isopropyl alcohol, Butyl alcohol, diisopropyl ether and the like. Of these, butyl acetate, ethyl acetate, butyl acetate, methyl ethyl ketone and the like can be given.

비점이 100℃이상인 제2용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시클로헥사논, 니트로메탄, 1,4-디옥산, 디옥솔란, N-메틸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헥사논,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브틸셀로솔브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second solvent having a boiling point of 100 占 폚 or higher include cyclohexanone, nitromethane, 1,4-dioxane, dioxolane, N-methylpyrrolidone, N, N-dimethylformamide, methylcellosolve, Chlorobenzene, rosorb, and butyl cellosolve. Cyclohexanone, methylcellosolve, ethylcellosolve, and butylcellosolve are preferable.

상기 비점이 100℃ 미만인 제1용제와 비점이 100℃이상인 제2용제의 혼합비율은 1:9 내지 9:1의 비율이 적합하다. 상기 제1용제와 제2용제의 혼합비율이 1:9 미만일 경우 간섭줄무늬를 개선하기 어렵고 혼합비율이 9:1을 초과하는 경우 기재 침식이 너무 되어 헤이즈를 띨 수 있다.The mixing ratio of the first solvent having a boiling point of less than 100 ° C and the second solvent having a boiling point of 100 ° C or more is preferably 1: 9 to 9: 1. If the mixing ratio of the first solvent and the second solvent is less than 1: 9,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interference fringe. If the blending ratio exceeds 9: 1, substrate erosion may be too much to cause haze.

상기 침식성 용제는 하드코팅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9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brasive solvent is preferably used in an amount of 1 to 9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hard coat composition.

상기 침식성 용제의 함량이 상기의 기준으로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희석이 어려워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9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원하는 코팅 두께로 코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f the amount of the erodible solvent is less than 1 part by weight, dilution is difficult and workability is lowered. If the amount is more than 95 parts by weight, coating with a desired coating thickness is difficult.

한편, 실리카 입자의 크기는 4.0㎛ 내지 4.5㎛이며, 광개시제는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사의 이가큐어, 다로큐어 시리즈, 다우케미칼사의 시라큐어 시리즈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 단파장 개시제로는 시바스페셜티의 이가큐어 184, 장파장 개시제로는 이가큐어 819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size of the silica particles is 4.0 탆 to 4.5 탆. As the photoinitiator, it is possible to use IGACURE, DAROCURE series of Ciba Specialty Chemicals, and Syracur series of DOW CHEMICALS.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short- 184, and Irgacure 819 are widely used as the long wavelength initiato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광개시제로 주 개시제로는 장파장 개시제를 사용하고, 단파장 개시제를 소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long wavelength initiator as a main initiator and a small amount of a short wavelength initiator as a photoinitiator.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층은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을 광투광성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시킨 다음 경화시켜 형성된다.The hard coating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applying the hard coating composition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a light-transmitting substrate and then curing.

본 발명에 있어서 기재상에 수지와 침투성 용제의 혼합물이 도포하면, 이 혼합물이 광투과성 기재 내에 침투(습윤)한다. 그 후 혼합물 중의 수지를 경화·건조시킴으로써 용제는 증발하고, 기재상에 하드코팅층이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mixture of a resin and a penetrating solvent is applied on a substrate, the mixture penetrates (wet) into the light-transmitting substrate. Thereafter, the resin in the mixture is cured and dried to evaporate the solvent, and a hard coat layer is formed on the substrate.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의 도포는 다이코터, 에어 나이프, 리버스 롤, 스프레이, 블레이드, 캐스팅, 그라비아 및 스핀코팅 등의 적당한 방식으로 할 수 있다.
The application of the hard coating composition can be carried out in a suitable manner such as die coater, air knife, reverse roll, spray, blade, casting, gravure and spin coating.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하드코팅 필름이 적용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isplay device to which the above-mentioned hard coating film is applied.

일례로, 본 발명의 하드코팅 필름이 형성된 편광판을 화상 표시 장치에 내장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이 적용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드코팅 필름을 화상 표시 장치의 윈도우에 부착시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 필름이 적용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an image display apparatus to which the hard coat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an be provided by incorporating the polarizing plate on which the hard coat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n image display apparatus to which the hard coat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by attaching the hard coat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window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의 하드코팅 필름은 반사형, 투과형, 반투과형 LCD 또는 TN형, STN형, OCB형, HAN형, VA형, IPS형 등의 각종 구동 방식의 LCD에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드코팅 필름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드 에미션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무기 EL 디스플레이, 전자 페이퍼 등의 각종 표시 장치에도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The hard coat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ferably used for reflective, transmissive, semi-transmissive LCD or LCDs of various driving types such as TN type, STN type, OCB type, HAN type, VA type and IPS type. In addition, the hard coat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ferably used for 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a plasma display, a field emission display, an organic EL display, an inorganic EL display, and an electronic paper.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될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s. However, these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실시예 1Example 1

6관능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로 Cytec 社의 DPHA (분자량: 578) 1종과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2종을 배합한 후, 주 개시제로 장파장 개시제 미원 TPO 와 소량의 단파장 개시제 시바스페셜티의 이가큐어 184를 첨가하고, 경화성 수지를 혼합한다. 그리고, 침식성 용제로 저비점류 용제인 이소프로필알콜(b.p 82.6℃, 대정화금)와 고비점류 용제인 메틸이소부틸케톤(b.p 117℃, 대정화금) 및 부틸아세테이트(b.p 127℃, 대정화금)의 혼합 용제 및 4.0㎛ 내지 4.5㎛ 크기의 실리카 입자를 첨가하여 하드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One type of DPHA (molecular weight: 578) of Cytec Corporation was blended with two kinds of acrylate monomers as a hexafunctional urethane acrylate oligomer, and a long wavelength initiator TPO and a small amount of short wavelength initiator Ciba Specialty IGACURE 184 And the curable resin is mixed. Isopropyl alcohol (bp 82.6 ° C, purified water), which is a low boiling point solvent and methyl isobutyl ketone (bp 117 ° C, purified water), which is a high boiling solvent, and butyl acetate (bp 127 ° C, ) And silica particles having a size of 4.0 mu m to 4.5 mu m were added to prepare a hard coating composition.

상기 제조된 하드코팅 조성물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기재 위에 도포하였다.
The hard coating composition prepared above was applied onto a triacetylcellulose film substrate.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상기 실시예 1에서 용제를 고비점류 용제인 메틸이소부틸케톤(b.p 117℃, 대정화금) 및 부틸아세테이트(b.p 127℃, 대정화금)를 이소프로릴알콜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olvent was methylisobutylketone (bp 117 ° C, purified water), which is a high boiling solvent, and butyl acetate (bp 127 ° C, purified water) Respectively.

물성 측정 방법How to measure property

내찰상성 : 스틸울(Steel Wool)을 이용하여 200g의 하중으로 15회 왕복으로 문지른 후 흠집의 여부를 판단 하였다.Scratch resistance: Scrubbing was carried out 15 times using a steel wool under a load of 200 g, and it was judged whether or not the scratched surface was scratched.

헤이즈 : 무라카미사의 HM-150 측정기로 내찰상성 전후의 결과를 측정하였다.
Hayes: The results before and after scratch resistance were measured with an HM-150 measuring instrument manufactured by Murakami Corporation.

실시예 1Example 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내찰상성 전후 헤이즈 변화Haze change before and after scratching 1~ 2.5% 변화1 to 2.5% change 5~6% 변화5 to 6% change

상기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대비해보면, 실시예 1이 비교예 1보다 내찰상성이 우수하며, 헤이즈 변화 폭이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As can be seen from Table 1, in comparison with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the scratch resistance of Example 1 was superior to that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variation range of haze was small.

Claims (7)

기재층으로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과
상기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하드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드코팅층의 하드코팅 조성물은
(a) 6 내지 9관능 올리고머 및 기능성 모노머 3종, 및
(b) 경화성 수지, 침식성 용제, 실리카 입자 및 광 개시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침식성 용제는 저비점류 용제 및 고비점류 용제를 혼합 사용하며, 상기 실리카 입자의 크기는 4.0㎛ 내지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찰상성이 우수한 반사방지 필름.
As the substrate layer, triacetylcellulose film and
Wherein the triacetylcellulose film comprises a hard coating layer on at least one side thereof,
The hard coat composition of the hard coat layer comprises
(a) 6 to 9 functional oligomers and 3 functional monomers, and
(b) a curable resin, an erodible solvent, silica particles and a photoinitiator,
Wherein the erosive solvent is a mixture of a low-boiling-point solvent and a high-boiling-point solvent, and the size of the silica particles is 4.0 탆 to 4.5 탆.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6 내지 9 관능의 올리고머는 우레탄(메타)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찰상성이 우수한 반사방지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ntireflection film excellent in scratch resistance, wherein the oligomer having 6 to 9 functional groups is one selected from urethane (meth) acrylate oligomer and polyester acrylate oligom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모노머는 이소시안네이트계, 아크릴계 및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중에서 선택된 2종 또는 3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찰상성이 우수한 반사방지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unctional monomer is at least two kinds selected from isocyanate-based, acrylic-based, and acrylate-based monomers, and at least three kinds of functional monomers are excellent in scratch resistan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비점류 용제는 비점이 100℃미만으로 아세톤,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 트리클로로에탄, 테트라히드로푸란, 메틸에틸케톤,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부탄올, 이소부틸알콜, 디이소프로필에테르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찰상성이 우수한 반사방지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 boiling point solvent is a solvent having a boiling point of less than 100 캜 and having a boiling point of less than 100 캜 and having a boiling point of less than 100 캜 such as acetone,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butyl acetate, chloroform, methylene chloride, trichloroethane, tetrahydrofuran, methyl ethyl ketone, methanol, Butyl alcohol, diisopropyl ether, and the lik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비점류 용제는 비점이 100℃이상으로 시클로헥사논, 니트로메탄, 1,4-디옥산, 디옥솔란, N-메틸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찰상성이 우수한 반사방지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bove-mentioned high-boiling solvent is preferably a solvent having a boiling point of 100 ° C or higher, such as cyclohexanone, nitromethane, 1,4-dioxane, dioxolane, N-methylpyrrolidone, N, N-dimethylformamide, methylcellosolve, Wherein the antireflection film is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 gel, rosorb and butyl cellosol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개시제의 주 개시제는 장파장 개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찰상성이 우수한 반사방지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initiator of the photoinitiator is a long wavelength initiator.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 필름은 Curl이 1mm 이하, 경도가 2H 4/5, 부착력이 5B, 내찰상성 전후의 헤이즈 변화가 1 내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찰상성이 우수한 반사방지 필름.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antireflection film has a curl of 1 mm or less, a hardness of 2H4 / 5, an adhesion force of 5B, and a haze change of 1 to 2.5% before and after scratch resistance.
KR1020140031586A 2014-03-18 2014-03-18 Anti-reflection film having improved scratch resistance KR2015010860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586A KR20150108600A (en) 2014-03-18 2014-03-18 Anti-reflection film having improved scratch resist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586A KR20150108600A (en) 2014-03-18 2014-03-18 Anti-reflection film having improved scratch resist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600A true KR20150108600A (en) 2015-09-30

Family

ID=54246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586A KR20150108600A (en) 2014-03-18 2014-03-18 Anti-reflection film having improved scratch resist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860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953A (en) * 2016-08-11 2018-0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otective film for window film, optical member compris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953A (en) * 2016-08-11 2018-0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otective film for window film, optical member compris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473B1 (en) Anti-reflective film, anti-reflective film production method, polarization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1381530B1 (en)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US8124215B2 (en) Hard-coated antiglare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optical devic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US9989688B2 (en)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bright-place contrast in image display apparatus
US20080026182A1 (en) Hard-coated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ard-coated film
KR101649015B1 (en) Optical laminat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6058574A (en) Hard coat film
CN110895356B (en) Antireflection film, method for producing antireflection film, optical member,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1994489B1 (en) Hard coat film, polarizer, front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1224241B1 (en) Optical layered product
JP2020067582A (en) Antireflection film
JP6689564B2 (en) Antirefl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161087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JP6815955B2 (en) Laminates, polarizing plates, liquid crystal display panels and image display devices
KR101809757B1 (en) Hard coat film, method of producing hard coat film, polarizer, display front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60150335A (en) Anti-reflection film with excellent adhesive power
JP6048010B2 (en) Laminated body,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panel, touch panel sensor, touch panel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90106752A (en)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50108600A (en) Anti-reflection film having improved scratch resistance
JP6048009B2 (en) Laminated body,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panel, touch panel sensor, touch panel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TWI827243B (en) Display
KR20120128739A (en) Anti-refl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50108599A (en) Anti-reflection film having improved anti-glare and visibility
KR20100132785A (en) Anti-refl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60150334A (en) Anti-reflection film with easily controlling visibility and anti-glare proper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