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5626A -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5626A
KR20150105626A KR1020157016925A KR20157016925A KR20150105626A KR 20150105626 A KR20150105626 A KR 20150105626A KR 1020157016925 A KR1020157016925 A KR 1020157016925A KR 20157016925 A KR20157016925 A KR 20157016925A KR 20150105626 A KR20150105626 A KR 20150105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tanium
dental
unit
titanium dioxide
im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6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스 마그너스 비유르스텐
스벤-에릭 닐손
니클라스 악센
욘스 구나 힐본
Original Assignee
티그란 테크놀로지즈 에이비 (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그란 테크놀로지즈 에이비 (피유비엘) filed Critical 티그란 테크놀로지즈 에이비 (피유비엘)
Publication of KR20150105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62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3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with a surface layer, coating
    • A61C8/0015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with a surface layer, coating being a conversion layer, e.g. oxid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61C5/77Methods or devices for making crow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61C5/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8Silver;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30Compositions for temporarily or permanently fixing teeth or palates, e.g. primers for dental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4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02Inorganic materials
    • A61L27/04Metals or alloys
    • A61L27/06Titanium or titanium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1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inorganic materials
    • A61L2300/102Metals or metal compounds, e.g. salts such as bicarbonates, carbonates, oxides, zeolites, silicates
    • A61L2300/104Silver, e.g. silver sulfadiaz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4Biocides, antimicrobial agents, antiseptic agents
    • A61L2300/406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Anti-inflammatory agents, e.g. NS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2Tissue-regenerating or healing or proliferativ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2Tissue-regenerating or healing or proliferative agents
    • A61L2300/414Growth f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04Force
    • F04C2270/042Force radial
    • F04C2270/0421Controlled or regul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567Dental appliance making
    • Y10T29/49568Orthodontic device ma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rmat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타늄을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을 설명하고,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용 표면(단부) 및 연결 단부 외의 임플란트 유닛의 전체를 덮는 측부 표면(lateral surface)을 갖고, 측부 표면은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의 층을 포함하고, 적어도 연결용 단부는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나사, 지대치(abutment), 임플란트 부품, 브리지(bridge) 또는 크라운(crown)과 같은 풀-바디 임플란트(full-body implant), 및 입자, 그레인 또는 과립과 같은 보다 작은 임플란트 바디 둘 모두에 관련된다. 보다 작은 임플란트 바디의 경우에, 본 발명은, 백색화된 이식가능한 치과용 유닛에 관련되는데, 상기 치과용 유닛은 티타늄 금속 또는 티타늄 합금의 형태로 그리고/또는 산화티타늄의 형태로 티타늄을 포함하고, 상기 치과용 유닛은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표면을 갖고, 그 표면은 또한 표면에 결합된 불화물을 포함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또한 백색화된 이식가능한 치과용 유닛의 제조 방법에 관련되고, 상기 방법은,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표면을 갖는 백색화된 이식가능한 치과용 유닛의 제조를 위해, 불화물 이온의 존재시에 고체 또는 다공성이고 티타늄을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의 열산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DENTAL IMPLANT UNIT}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 예를 들어 치과용 임플란트용 지대치(abutment)에 관한 것이다.
상이한 유형의 지대치 및 치과용 임플란트가 존재한다. 많은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대해 공통적인 것은 임플란트 유닛, 및 매칭 표면을 가짐으로써, 예를 들어 시멘트 또는 접착제에 의해 고정할 수 있는 나사 단부(screw end)를 갖는 하나의 부품 및 매칭하는 나사산형성 단부(matching threaded end) 또는 표면을 갖는 다른 부품에 의해서, 임플란트 유닛에 연결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지대치와 같은 구성요소들이다. 이어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마지막으로 치과용 크라운(dental crown)에 연결된다.
많은 치과용 임플란트에는 기존의 미학적인 문제가 알려져 있다. 그 부품들 중 많은 것이 티타늄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그들은 환자의 구강 내에서 직접 보이거나 또는 환자의 잇몸을 통해 보이게 될 수도 있는 어두운 금속 표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개선된 치과용 구성요소 또는 그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관련되지만, 이 치과용 구성요소(들)는 또한 다른 관련된 가능한 문제의 제거를 시사한다. 이러한 문제는 이하에서 추가로 논의된다.
상기 진술된 목적은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에 의해 달성되는데,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은 티타늄을 포함하고,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용 표면(단부) 및 연결 단부 외의 임플란트 유닛의 전체를 덮는 측부 표면(lateral surface)을 갖고, 측부 표면은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의 층을 포함하고, 적어도 연결용 단부는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러한 제1 실시 형태가 나사, 지대치, 임플란트 부품, 브리지(bridge) 또는 크라운과 같은 이른바 풀-바디(full-body)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에 관한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또한 입자, 그레인 또는 과립과 같은, 다른 유형의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을 구현하고,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의 제조 방법에 관련하여 이하에 추가로 논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풀-바디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의 하나의 특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고,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은 또한, 제1 단부 및 제2 단부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로부터 그리고 임플란트 유닛 둘레로 연장되는 측부 표면을 갖고, 측부 표면은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의 층을 포함하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지 않는다.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은 연결 요소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은, 나사, 링커(linker) 등과 같은, 하나 또는 몇몇 지대치 부품을 포함하는 지대치일 수도 있다. 또한, "몇몇 부품" 지대치는 본 발명에 따른 브리지 치과용 시스템에 제공될 수도 있고, 또는 예컨대, 단일 유닛 수복을 위해 제공되는 몇몇 연결가능한 부품을 갖는 지대치일 수도 있다. 게다가, 상기 언급된 것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은 단일 임플란트 또는 브리지와 같은, 임플란트 부품일 수도 있거나, 또는 사실상 하나 또는 몇몇 크라운들을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모든 것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의 조합도 물론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대치와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은 현재 시중에 존재하는 임의의 유형일 수도 있다. 몇몇 기존의 유형의 지대치를 언급하기 위해, 그 중에서도 브리지 지대치, 및 부분 의치 지대치 그리고 보철 임플란트 지대치가 있다.
현재 알려진 보철 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 및 지대치는 상이한 재료, 예를 들어 티타늄 또는 금과 같은 금속, 또는 이산화지르코늄(지르코니아)과 같은 세라믹 재료, 또는 PEEL(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지르코니아는 치과용 임플란트 수복의 미학을 더 양호하게 보완하기 위해 자주 사용된다. PEEK는 임시 지대치를 위해 때때로 사용된다. 보철 지대치는 나사를 통해 치과용 임플란트에 연결된다. 나사는 지대치 나사가 느슨해질 위험이 없도록 단단히 조여질 필요가 있다.
또한,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이라는 표현은 티타늄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의 이산화티타늄으로 산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이것은 화학 변환이 일어났음을 의미한다. 게다가, 이것은 또한, 추가적인 산화티타늄 재료를 표면에 적용하는 스퍼터링 또는 분무와 같은 방법, 또는 기타 그러한 코팅 기법이 이산화티타늄 층을 혼입하는 특징부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라 고려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기존의 대안과 비교할 때, 기계적 이점뿐만 아니라 우수한 미학을 나타내는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이 제공된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지르코늄 세라믹이 약간 백색인(whitish) 치과용 임플란트 및 지대치를 제공하기 위한 재료로서 현재 사용되고 있다. 지르코늄 세라믹은, 치과용 임플란트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은, 화학적 상변환을 나타내는 관점에서 단점을 갖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현재 이용되는 다른 기법은, 예컨대, 금속의 어두운 표면을 갖는, 임플란트 및 지대치 상에 백색 컬러로 분무 코팅하는 것이다. 이 기법의 문제는 이러한 코팅의 열화 및 마멸(abrasion)이다. 표면의 그의 백색 외관이 흐려짐에 따라, 환자는 이따금 새로운 백색 코팅을 수행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환자의 구강 내에서 보이는, 예컨대 잇몸을 통해서도 또한 보이는, 모든 종류의 임플란트 및 임플란트 부품, 예를 들어 지대치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은 지대치이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지대치는 하나의 편부(piece)일 수 있거나, 또는 서로 연결가능하거나 또는 예컨대 브리지의 상이한 부분에 연결가능한 몇몇 편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은 지대치이고, 지대치는 임플란트 연결 단부 및 크라운 연결 단부를 갖고, 지대치는 또한 임플란트 연결 단부 내지 크라운 연결 단부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고 임플란트 연결 단부 내지 크라운 연결 단부로부터 지대치 둘레로 연장되는 측부 표면을 갖고, 측부 표면은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의 층을 포함하고, 임플란트 연결 단부는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개시된 것과 관련하여, 지대치의 "임플란트 연결 단부"라는 표현은 연결되어 있을 때 임플란트를 향해 대면하는 그 단부를 의미하지만, 하나 정도의 연결 나사는 지대치의 그 단부와 실제 임플란트 편부 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상적으로 지대치가 크라운에 직접 연결되지만, 크라운 연결 단부에 대해서도 동일한 내용이 또한 유효하다. 오직 설명의 이유로, 제1 단부 및 제2 단부 또는 임플란트 연결 단부 및 크라운 연결 단부에 대한 가능한 동의어는 각각, 예컨대 근위 단부(proximal end) 및 원위 단부(distal end)일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임플란트 구조물은 연속 나사 유닛을 통해 부착되지 않고 다른 수단에 의해 링크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하나의 이러한 예는 크라운이 제자리에 접착되는 지대치이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 예컨대 지대치, 또는 임플란트 등이 사용된다. 또한, 전술한 것과 같은 지대치에 대해서도, 단지 임플란트 연결 단부는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은 분명한데, 이는 이 부분이 기계적 잠금이 있을 수 있는 유일한 단부이기 때문이다. 다른 단부는 크라운이 적합한 접착제의 사용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단지 허용해야만 한다.
다른 특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은 하나 초과의 편부를 포함하는 지대치이고, 모든 연결가능한 단부는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은 임플란트이고, 측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의 층을 포함한다.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의 층을 포함하는 것이 중요한 임플란트의 일부분은, 예컨대 잇몸을 통해서, 보이거나 또는 보일 위험성이 있는 그 부분이다. 이하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측부 표면 전체는 또한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의 층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적어도 지대치에 연결가능한 단부는 연결가능한 부분에서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은 크라운이다. 크라운 전체는 적합하게, 즉, 지대치에 연결가능한 단부의 그 일부분 외에,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의 층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은 브리지이다. 브리지 전체는 적합하게, 즉, 인공 치아(artificial teeth) 또는 지대치에 연결가능한 표면의 그 일부분 외에,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의 층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염증(anti-inflammatory) 특성의 제공뿐만 아니라 기계적 내성의 관점에서의 두 이점 모두를 갖는 우수한 재료 형태에 의해 약간 백색인 컬러가 획득된다. 상기로부터, "합성으로 생성된"이라는 표현은 이산화티타늄이 적어도 천연 발생 이산화티타늄만 있는 것이 아님을 의미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천연 이산화티타늄은 티타늄 금속이 공기와 접촉할 때에 티타늄 표면 상에 소량 존재한다. 티타늄이 공기 또는 물에 노출될 때, 산화물 층이 자발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자발적으로 형성된 산화물 층은 4 내지 10 nm 두께이고, 대부분 TiO2, Ti(IV)로 이루어지고, 보다 작은 양의 Ti(III) 및 Ti(II)가 산화물 중에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천연 표면은 산화물의 양이 매우 작기 때문에 그와 같이 약간 백색은 아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은 표면이 백색화되는 양으로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의 원래의 재료가 티타늄이더라도, 또한 다른 금속과 같은 다른 재료, 또는 미량의 불순물이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임플란트는 다른 금속 함량을 가질 수도 있어서, 기본 재료는 사실상 티타늄 합금일 수도 있다. 표면 내에/상에 기존의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 외측을 갖는 순수 티타늄 "코어(core)"가 물론 본 발명의 매우 관심있는 실시 형태이다. 또한, 측부 표면의 모든 중요한 부분에 약간 백색인 임플란트 유닛, 예컨대 크라운 또는 지대치를 제공하는 것에 관심이 있지만, 제공된 이산화티타늄의 두께는 달라질 수도 있다. 게다가, 임플란트의 측부 표면의 부분이 백색화되는 것이 중요하지 않다면, 이러한 부분은 산화물 층을 포함할 필요가 없다.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연결 단부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특징은 또한 매우 중요하다. 예컨대, 지대치의 임플란트 연결 단부가, 나사산형성 공동(threaded cavity) 또는 나사 부품과 같은, 몇몇 종류의 연결 유닛을 포함하므로, 이 부품은 산화되지 않아야 된다. 이것은 이러한 연결가능한 부분에 대한 재료 특성의 관점에서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특성의 예는, 치수 정확성 및 표면이 나사산형성 부품과 함께 나사결합을 허용하기에 충분히 평활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 부품은, 예컨대 "나사와 나사산" 연결에 의해 연결되도록 의도되기 때문에, 그 부품은 여전히 표면에서 금속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것은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이 나사이거나, 지대치 전체이거나, 지대치의 단지 링커이거나, 임플란트 부품이거나 또는 브리지 등인 경우에 관계없이 유효하다.
또한, 이산화티타늄은 몇몇 이점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산화물은 치과 용도에서 미학적인 이유로 유리한 약간 백색인 컬러를 갖는다. 게다가, 이산화티타늄은 티타늄 금속에 비교해서 양호한 기계적 특성을 갖고, 부서지기 쉽고 그리고 단단하지 않으므로, 절단 및 형상화하기 쉽다. 그러나, 이산화티타늄은 티타늄 금속이 견딜 수도 있는 그러한 높은 응력을 지탱하지 못한다. 게다가, 이산화티타늄은 또한 항염증 및 뼈 생성(bone generating)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시중에는 지대치와 같은 이산화티타늄 백색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이 없으며, 특히, 금속으로 된 "보호된" 연결가능한 단부를 갖는 어떠한 것도 없다. 그러나, 어느 정도까지 또한 산화티타늄을 혼입할 수도 있는 임플란트가 존재한다는 것을 언급할 것이다. 예를 들어, WO2008/128756호에는 임플란트가 바디, 뼈에 임플란트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수단, 및 리세스(recess)를 포함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가 개시되어 있다. 임플란트의 외부 표면은 조직 성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처리된 표면을 구비할 수도 있고, 처리된 표면은, 낮은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개방 기공을 갖는, 결정질 및 포스페이트 풍부 산화티타늄 미세 구조화된 표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해되어야 하는 바와 같이, WO2008/128756호에 따른 임플란트의 표면은 산화되지 않고 약간 백색으로 만들어진다. 또한, 실제 표면 코팅은 사실상 향상된 조직 성장을 허용하기 위해 다공성인 포스페이트 풍부 산화티타늄이다.
또한, JP2007098054호에는 치과용 임플란트 및 지대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지대치는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 또는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 플루오라이드에 의해 덮이는 산화티타늄 분말을 함유하는 코팅을 갖는다. 코팅은 치태(dental plaque)의 축적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된다고 한다. 이 경우에도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것과 같은, 백색 측부 표면을 시사하는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 최외부 층을 갖는 지대치는 제공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것과 같은 보호 단부 부분에 대해 전혀 암시가 없다.
예컨대, 옥살산으로 산 에칭하는 것과 같이, 치과용 임플란트 및 지대치 등과 같은 연관 부품을 개질시키는 다른 공지된 방법이 또한 있다. 이러한 방법은 또한, 예컨대 티타늄의 표면을 백색화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오직 개질하기 위해 현재 이용되는 다른 공지된 표면 처리는 블라스팅(blasting)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것과 같이, 산화되지 않아야 하는 부분을 또한 확실하게 보호하게 하는 경우가 특히 아닐때, 합성 이산화티타늄을 생성하기 위해 티타늄 표면의 실제 완전 산화가 이루어지는 방법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이산화티타늄 백색 표면을 포함하는 다른 기존의 제품, 또한 치과용 제품이 있다고 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WO2009/154560호에는 사람 또는 동물의 악안면 부위에서의 이식(implantation)을 위한 다공성 이산화티타늄 블록이 개시되어 있는데, 다공성 블록은 이산화티타늄으로 제조되고, 적어도 60%의 다공도를 갖고; 사람 또는 동물의 열화된 치조돌기(alveolar process)의 적어도 일부분을 끼워 맞추도록 형상화되는 기하학적 구조물이다. 상기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WO2009/154560호에 기재된 제품은 지대치 또는 크라운과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이 아니다. 게다가, WO2009/154560호의 발명은 뼈 내성장(bone ingrowth)을 유발하기 위해 의도된 부분에서 다공성인 블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다른 뼈-비접촉 표면은 조직 내성장에 대항하기 위해 비다공성이다.
게다가, WO2008/103081호에는 항염증 또는 항균 효과, 또는 둘 모두를 갖는 임플란트가 기재되어 있는데, 임플란트는 사람 또는 동물체에 이식을 위해 의도되고, 임플란트는 적어도 하나의 다공성 그레인 또는 과립을 포함하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다공성 그레인 또는 과립은 티타늄, 하나 이상의 산화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을 포함하고, 그의 표면 상에 산화티타늄 층을 갖고; 기하학적 중심을 통해서, 하나의 측부로부터 대향 측부로의 최대 5 mm의 평균 길이를 갖고, BET 방법에 따라 적어도 0.15 m²/g의 평균 비표면적을 갖는다. WO2008/103081호에 따르면, “임플란트”라는 표현은 하나의 그레인 또는 과립, 또는 함께 결합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은 입자들 및/또는 그레인들의 응집체를 포함하는, 단일 편부 바디의 형태를 의미한다. WO2008/103081호에 개시된 발명의 하나의 특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임플란트는 그의 표면 상에 약간 황색의 그리고/또는 약간 백색인 적어도 500 nm의 실질적인 두께를 갖는 산화티타늄 층을 갖는다.
또한 산화티타늄 층을 가질 가능성이 있는 다른 치과 관련 제품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WO2010/097214호에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위치 및 배향을 표시하기 위한 위치 표시자가 개시되어 있다. 위치 표시자는 티타늄과 같이 광학적으로 불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예컨대, 양극 산화(anodic oxidation)를 통해 가해지는 다공성 산화티타늄의 층을 갖는, 광학 스캐너에 의해 검출가능한 외부 표면을 갖는다.
또한 WO2008/103081호 및 WO2010/097214호 둘 모두의 경우에, 그들 중 어느 것도 본 발명에 따른 것과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 예컨대 지대치에 관련되지 않음이 분명하다. 게다가, 본 발명의 보호 특징부는 이들 문헌들 중 어디에도 드러나거나 또는 암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정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상이한 태양 및 특정 실시 형태가 이하에서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측부 표면 전체는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의 층을 포함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층의 두께는 측부 표면 위에서 달라질 수도 있다. 또한, 이는 본 발명에 따라, 예를 들어 주연 부분과 같은 몇몇 부분이 이산화티타늄에 의해 덮여있지 않은 표면이라면 또한 가능하다. 중요한 것은, 또한 예컨대, 잇몸을 통해서 보이는 표면이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여 그와 같이 약간 백색이라는 것이다. 상기 특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측부 표면 전체는 백색 또는 약간 백색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환자의 구강 내에서 사용될 때, 즉 잇몸을 통해서도 또한 보이는 측부 표면의 모든 부분이 백색 또는 약간 백색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의 층은 400 nm 초과의 두께를 갖는다. 두께는 예컨대, 400 nm로부터, 예를 들어 500 nm로부터, 예컨대 최대 700 nm 또는 예컨대 최대 1 mm 또는 심지어 더 두꺼운 범위에 있을 수도 있다. 두께는 물론 약간 백색인 외관을 보장하는 것에 관련하여 관심이 있고, 가시광이 400 내지 700 nm의 파장을 갖는 동안, 적어도 500 nm의 두께는 약간 백색인 외관을 보장하는 것에 특별한 관심이 있다. 그러나, 약간 황색인 그리고/또는 약간 백색인 외관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임플란트에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의 화학 특성을 유지하는 것에 여전히 관심이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1 또는 제2 단부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단부, 예컨대 지대치의 경우에 임플란트 연결 단부는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지 않는다. 적합하게, 이러한 연결가능한 단부는, 단지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의 코어로서, 티타늄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단부 및 제2 단부 둘 모두는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 연결 단부가 또한, 예컨대 크라운과 나사를 부착가능하게 할 목적으로 나사산형성된 것과 같은, 연결가능한 부분을 가질 때, 여기에도 역시, 금속 특성이 바람직하다.
약간 백색인 외관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은 또한 이산화티타늄 표면에 관련이 있는 항염증 및/또는 항균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특성은 물론 임플란트 시스템과 밀접하게 접촉하여 둘러싸는 조직의 전염병 또는 세균 공격을 방지하는 것에 관심이 있을 수도 있다. 티타늄은 염증을 감소시키고 또한 다른 재료보다 감염에 덜 민감하다고 보고되어 있다. 티타늄의 반응성 산소 화학종(ROS)과의 화학 상호작용으로 인한 티타늄의 고유한 특성을 기술하는 기존의 리포트가 또한 있다. 티타늄의 촉매 특성은 산화티타늄만으로 구성되는 표면에 존재하고 있는 표면 상의 산화티타늄에 관련된다고 나타나 있다. 티타늄의 유익한 특성은 살아 있는 조직 환경과의 그의 화학 상호작용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항염증 및/또는 항균 특성 또는 다른 가능한 추가 특성은 예컨대, 첨가제의 사용에 의해 향상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측부 표면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로 보완된다.
하나의 특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첨가제는 은(silver)이다. 은의 제균 및 정균 효과가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은은 소정 용도를 위한 적합한 첨가제 선택이 될 수도 있다. 또 다른 특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뼈 형태발생 인자(bone morphogenic factor), 안드로네이트(andronate), 알파-케토 글루타레이트(alfa-keto glutarate), 심바스타틴(simvastatin), 젠타마이신, 포스포네이트 분자 또는 합성 유형 I 콜라겐, 적어도 하나의 활성 에나멜 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표면 상에 혼입하는 추가적인 항생물질의 사용은 세균 공격의 방지를 위한 추가된 보장책일 수도 있다. 에나멜 물질의 가능성과 관련하여, 이러한 물질은, 예컨대, 가능하게는 프로필렌 글리콜 알기네이트(PGA)와도 혼합되는, 예컨대, 에나멜 매트릭스, 에나멜 매트릭스 유도체 또는 에나멜 매트릭스 단백질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도 있다고 언급될 수도 있다. 상이한 첨가제의 조합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임플란트, 지대치 또는 크라운, 또는 이들의 조합인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을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 관련된다. 게다가, 임플란트 키트는 또한 보완 나사 및 부착 유닛 등과 같은 다른 필요한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는, 산화되지 않거나 또는 사실상 심지어 티타늄으로 되어 있지 않은, 나사, 임플란트 부품 등과 같은 하나 또는 몇몇 종래의 임플란트 유닛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지대치 또는 크라운을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는 상기에 따른 산화된 티타늄 지대치, 그리고 종래의 티타늄 임플란트 및 임의 유형의 크라운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의 특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키트는 또한, 은, 뼈 형태발생 인자, 안드로네이트, 알파-케토 글루타레이트, 심바스타틴, 젠타마이신, 포스포네이트(들) 또는 합성 유형 I 콜라겐, 적어도 하나의 활성 에나멜 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한다. 상기 개시된 것들 외의 가능한 첨가제는, 예컨대 NaCl(수용액), 히알루론산, PEG, 프로필렌 글리콜 알기네이트(PGA), 티타늄 과산화 겔, 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보메틸 셀룰로오스, 덱스트란, 고점성 중합체 겔, 단백질 용액,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유체 비히클(fluid vehicle)이다. 예를 들어, 가능하게는 상기에 따른 것과 같은 다른 첨가제도 또한 포함하는, 주위 온도 초과 및 37℃ (체온) 미만인 용융 온도를 갖는 겔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에 포함하기 위해 가능한 첨가제이다.
본 발명은 또한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백색화된 이식가능한 치과용 유닛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고, 상기 방법은,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표면을 갖는 백색화된 이식가능한 치과용 유닛의 제조를 위해, 불화물 이온의 존재시에 고체 또는 다공성일 수도 있고 티타늄을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의 열산화를 포함한다.
열산화는 표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서, 그러나 표면 전체의 상당한 커버리지 상에서 적합하게, 예컨대, 이식 후에 보일 수도 있는 표면의 적어도 모든 부분 상에서 수행된다. 또한, 열산화는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 전체를 통하여 완전할 필요는 없다. 나사, 지대치, 임플란트 부품, 브리지 또는 크라운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풀-바디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에 대해, 산화는 단지 표면만이 백색화되도록 수행될 수도 있다는 것이 사실이고, 이는 산화가 바디의 일부분에만 이루어지고 전체를 통해서는 그렇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완전 산화 및 비완전 산화 둘 모두가 본 발명에 따라 가능하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은 또한 다공성 및 비다공성 둘 모두의, 입자, 그레인 또는 과립의 형상으로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완전 산화 및 부분 산화 둘 모두가 가능하다. 이것은 이하에서 추가로 논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몇몇 이점을 갖는다. 불화물 이온이 몇몇 형태로 존재하고 산화를 위한 촉매로서 작용하므로, 산화는 보다 낮은 온도에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산화는 800℃ 미만, 예를 들어 700℃ 미만 또는 심지어 600℃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의 표면과 접촉하고 존재하는 불화물 이온의 두 번째 이점은 불화물에 의해 제공되는 증가된 뼈 성장 및 내성장 촉진 효과이다. 임플란트 상에 불화물을 접착시키는 일은, 본 발명에 따른 것과 같이 산화를 통해서가 아닌, 과거에는 예를 들어 습식 화학 방법에 의해 이루어졌다.
추가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불화물 이온은 산화 이전에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의 표면과 접촉하게 된다고 볼 수도 있다. 이것은 불화물 이온을 위한 캐리어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불화물 이온은, 고체 상태 형태로 또는 용질로서, 불화나트륨과 같은 불화물 염으로서 이용가능할 수도 있다. 하나의 예는 에폭시화된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이하의 추가 논의를 참조)과 같은, 가교결합된 에폭시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불소화 작용제는 임플란트 유닛 표면의 코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액체 중합체 재료에 분산될 수 있다. 중합체는 코팅시에 증발하는 용매의 사용에 의해 액화되는 중합체 또는 보다 낮은 분자량 전구체일 수 있다. 이어서, 불소화 작용제를 함유하는 중합체 코팅된 나사 또는 다른 임플란트 유닛은 오븐에서, 바람직하게는 공기의 존재 하에서, 가열된다. 불소 함유 화합물, 예컨대 NaF인 불소화 작용제를 위한 이러한 캐리어는, 하기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1) 상기 언급된 성분을 함유하는 코팅의 형성;
2) 가열시에 대상물을 적하하도록 액화하지 않는 코팅의 형성;
3) 차르(char)의 형성 없이 승온에서 공기의 존재시에 청정 열분해를 겪음;
4) 불소 함유 작용제를 제외하고 변색, 독성을 야기할 수 있는 어떠한 잔여물도 남기지 않음.
이들 요건을 충족하는 바람직한 중합체는, 차르 형성 없이 200 내지 300℃의 온도에서 청정하게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이다. 그러나, 중합체는 열분해될 때까지 성분을 유지하도록 임플란트 유닛의 표면 상에 머무르는 코팅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성취하는 방법은 α-, Ω-기능화된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의 사용을 포함한다. 전형적인 예는 중합가능한 말단 기 및 2(또는 그 이상) 성분 축합 유형 시스템을 포함한다. 가교결합에 대기시간(latency)을 갖는 시스템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산화 동안 생성되는 이산화티타늄의 감소되어 획득되는 결정성인데, 이는 사용되는 감소된 온도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감소된 결정성은 향상된 기계적 안정성을 제공하므로, 생성되는 바디들은 후속 단계에서 형상화하고 작업하는 데 더 용이하다.
또한, 사용되는 감소된 온도의 하나의 이점은 임플란트 부품(어쩌면 지대치와 함께) 및 또한 자기(porcelain)로 만들어진 크라운 둘 모두를 포함하는 풀-바디 임플란트의 산화의 가능성이다. 이러한 경우에 표준 산화 온도를 사용하는 것은 자기 크라운 상에 흑색화된 부분 또는 적어도 흑색화된 스트립을 생성할 위험성을 높게 한다. 이것은 물론 미학적인 이유로 최적이 아니다.
상기 논의로부터 이해될 수도 있듯이,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가 가능한 백색화된 이식가능한 치과용 유닛에 관련된다. 따라서,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백색화된 이식가능한 치과용 유닛이 개시되는데, 상기 치과용 유닛은 티타늄 금속 또는 티타늄 합금의 형태로 그리고/또는 산화티타늄의 형태로 티타늄을 포함하고, 상기 치과용 유닛은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표면을 갖고, 그 표면은 또한 표면에 결합된 불화물을 포함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나사, 지대치, 임플란트 부품, 브리지 또는 크라운과 같은 풀-바디 임플란트, 및 입자, 그레인 또는 과립과 같은 보다 작은 임플란트 바디 둘 모두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된다. 또한, 백색화된 이식가능한 치과용 유닛은 완전 산화되거나 또는 이산화티타늄 표면을 갖는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 코어를 가질 수도 있다. 하나의 특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산화는 표면에서만 이루어진다. 그 경우에, 코어는 금속 또는 합금의 형태로 티타늄을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식가능한 치과용 유닛은 풀-바디 임플란트이고, 이식가능한 치과용 유닛의 코어는 티타늄을 포함한다. 입자, 그레인 또는 과립과 같은 보다 작은 바디의 경우에도 또한, 이들은 완전 산화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하나의 특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식가능한 치과용 유닛은 입자, 그레인 또는 과립이고, 입자, 그레인 또는 과립은 금속 또는 합금의 형태로 금속 티타늄을 포함한다. 금속 티타늄은 입자, 그레인 또는 과립의 코어에 위치될 수도 있고, 여기서 입자, 그레인 또는 과립은 이어서 표면에 이산화티타늄 층을 갖는다. 이것은 고온에서의 표준 산화가 수행될 때 가능하지 않은데, 이는 그러한 경우에 이러한 작은 바디의 산화를 제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입자, 그레인 또는 과립은 물론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완전 산화될 수도 있다. 추가로, 입자가 전형적으로 마이크로미터 크기일 수도 있다고 볼 수도 있다. 그레인 또는 과립은 최대 1 밀리미터 크기, 전형적으로 200 마이크로미터 내지 최대 1 밀리미터일 수도 있다. 또한, 그레인 또는 과립은 다공성일 수도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표면 상에서 티타늄으로 이루어진 맞춤형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보호 가스에 의해 또는 보호 코팅에 의해 산화로부터 보호되는 환경에서 300℃ 초과의 온도에서 산화된다. 보호 코팅은, 예컨대 페이스트(paste)일 수도 있다. 이 방법과 관련하여 하나의 특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양 단부는 보호 가스에 의해 또는 보호 코팅에 의해 산화로부터 보호된다.
산화 동안 티타늄 금속의 실제 보호는 보호되고 있는 그 또는 그들 단부 부분들에 대해 적용된 층의 사용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층은, 예컨대, 실리카를 포함하는 재료와 같은, 세라믹 글레이즈 원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의 가능한 예는 물 유리(규산나트륨)이다. 이 재료는 결정수 겔로서 금속에 적용될 수도 있다. 물 부분은 열처리 동안 제거되지만, 규산나트륨의 보호막은 남아 있다. 다른 페이스트의 예는, 주도(consistency), 강도 및 내성을 조정하기 위한 첨가제 및 물 유리를 포함하는 그러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지대치와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의 제조 방법이 제공되는데, 적어도 표면 상에서 티타늄으로 이루어진 실린더가 먼저 300℃ 초과의 온도에서 산화되고, 이어서 다음으로는 산화가 완료된 실린더가 단부가 형상화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으로 절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이한 방식으로 산화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300℃ 내지 600℃와 같은 비교적 낮은 온도를 사용하는 것은 산화가 보다 천천히 발생할 것임을 의미한다.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온도를 증가시키는 것 외에, 산소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비록 이것이 산화 반응을 가속화하지만, 그것은 또한 제어되지 않은 산화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보다 높은 온도 및 제어된 산소 레벨은 산화가 합리적인 한계 내에서 산화 시간을 유지하고 제어가능하고 위험하지 않은 반응을 갖기 위해 바람직하다. 다른 특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산화는 적어도 80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한번 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합성 이산화티타늄의 층을 생성하는 것과 관련하여 산화를 수반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산화는 승온에서 산소의 첨가에 의해 표면 티타늄 재료를 이산화티타늄으로 변환시킨다. 산소의 첨가 후에, "용존" 산소를 유지하는 금속은 이산화티타늄 결정질 형태로 재결정화된다. 언급된 바와 같이, 표면에 이산화티타늄 입자를 첨가하는 기법은 고려되지 않는다. 그러나, 그러한 코팅 기법은 본 발명에 따른 측부 표면에 대한 은, 항생물질 등과 같은 가능한 첨가제의 적용에 관심이 있을 수도 있다.
상기로부터 이해될 수도 있고 그리고 또한 산화 조건을 논의할 때 관련이 있는 바와 같이, 상이한 형태의 산화티타늄들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산화티타늄 형태는 비화학량론적 산화물인 산화티타늄(II)(일산화티타늄, TiO), 산화티타늄(III)(삼산화이티타늄, Ti2O3), 오산화삼티타늄(Ti3O5) 및 산화티타늄(IV)(이산화티타늄, TiO2)이다. 그러나, TiO2와 Ti3O5 사이의 조성물과 같은 다른 산화물이 또한 존재하고, 그들은 일반식 TinO2n - 1를 갖고, 여기서 n은 4 내지 9의 범위이다. 특히 언급할 만한, 산화티타늄(II)(TiO)는 1500℃의 온도에서 이산화티타늄 및 티타늄 금속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산화티타늄(III)은 1600℃의 온도에서 이산화티타늄을 티타늄 금속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산화물 형태인 산화티타늄(IV) 또는 이산화티타늄은 티타늄의 천연 발생 산화물이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은 천연 발생 루틸(rutile), 아나타제(anatase) 및 브루카이트(brookite)로서 천연에서 발생하고, 이 중 루틸이 가장 안정한 형태이다. 티타늄의 항염증 및 살균 특성의 원천으로서, 산화티타늄의 결정질 동종형태, 아나타제 및 루틸은 촉매 반응에서 비정질 산화티타늄보다 더 효율적이라는 것이 이미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측부 표면의 이산화티타늄은 아나타제 및 루틸,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결정질 동종형태에서 대부분 제공된다.

Claims (24)

  1.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으로서,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은 티타늄을 포함하고,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용 표면(단부) 및 연결 단부 외의 상기 임플란트 유닛의 전체를 덮는 측부 표면(lateral surface)을 갖고, 상기 측부 표면은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의 층을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연결용 단부는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지 않는,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은 티타늄을 포함하고,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고,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고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로부터 그리고 상기 임플란트 유닛 둘레로 연장되는 측부 표면을 갖고, 상기 측부 표면은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의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지 않는,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은 지대치(abutment)인,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은 지대치이고, 상기 지대치는 임플란트 연결 단부 및 크라운(crown) 연결 단부를 갖고, 상기 지대치는 또한, 상기 임플란트 연결 단부 내지 상기 크라운 연결 단부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고 상기 임플란트 연결 단부 내지 상기 크라운 연결 단부로부터 상기 지대치 둘레로 연장되는 측부 표면을 갖고, 상기 측부 표면은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의 층을 포함하고, 상기 임플란트 연결 단부는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지 않는,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은 하나 초과의 편부(piece)를 포함하는 지대치이고, 모든 연결가능한 단부는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지 않는,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은 임플란트이고, 상기 측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의 층을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은 크라운인,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표면 전체는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의 층을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표면은 약간 백색인(whitish),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의 층은 400 nm 초과의 두께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둘 모두는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지 않는,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표면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은(silver)인,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뼈 형태발생 인자(bone morphogenic factor), 안드로네이트(andronate), 알파-케토 글루타레이트(alfa-keto glutarate), 심바스타틴(simvastatin), 젠타마이신, 포스포네이트(들) 또는 합성 유형 I 콜라겐, 적어도 하나의 활성 에나멜 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인,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
  15. 백색화된 이식가능한 치과용 유닛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표면을 갖는 백색화된 이식가능한 치과용 유닛의 제조를 위해, 불화물 이온의 존재시에 고체 또는 다공성이고 티타늄을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의 열산화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는 800℃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불화물 이온은 상기 산화 이전에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의 상기 표면과 접촉하게 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불화물 이온은 상기 불화물 이온을 위한 캐리어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산화 이전에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의 상기 표면과 접촉하게 되는, 방법.
  19. 백색화된 이식가능한 치과용 유닛으로서, 상기 치과용 유닛은 티타늄 금속 또는 티타늄 합금의 형태로 그리고/또는 산화티타늄의 형태로 티타늄을 포함하고, 상기 치과용 유닛은 합성으로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표면을 갖고, 상기 표면은 또한 상기 표면에 결합된 불화물을 포함하는, 백색화된 이식가능한 치과용 유닛.
  20. 제19항에 있어서,
    코어는 티타늄을 포함하는, 백색화된 이식가능한 치과용 유닛.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가능한 치과용 유닛은 풀-바디 임플란트(full-body implant)이고, 상기 이식가능한 치과용 유닛의 코어는 티타늄을 포함하는, 백색화된 이식가능한 치과용 유닛.
  22.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가능한 치과용 유닛은 입자, 그레인 또는 과립인, 백색화된 이식가능한 치과용 유닛.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가능한 치과용 유닛은 입자, 그레인 또는 과립이고, 상기 이식가능한 치과용 유닛은 금속 티타늄을 포함하는, 백색화된 이식가능한 치과용 유닛.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 그레인 또는 과립은 완전 산화되는, 백색화된 이식가능한 치과용 유닛.
KR1020157016925A 2012-12-27 2013-12-20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 KR201501056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251514A SE536899C2 (sv) 2012-12-27 2012-12-27 Dental implantatenhet
SE1251514-4 2012-12-27
PCT/SE2013/051593 WO2014104966A1 (en) 2012-12-27 2013-12-20 Dental implant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626A true KR20150105626A (ko) 2015-09-17

Family

ID=51021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6925A KR20150105626A (ko) 2012-12-27 2013-12-20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57210B2 (ko)
EP (1) EP2938287A4 (ko)
KR (1) KR20150105626A (ko)
CN (1) CN104955416A (ko)
BR (1) BR112015015367A2 (ko)
SE (1) SE536899C2 (ko)
WO (1) WO20141049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34033A1 (en) 2014-12-16 2016-06-22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implant
WO2016182500A1 (en) * 2015-05-12 2016-11-17 Tigran Technologies Ab (Publ) Whitening of metals
WO2021030882A1 (pt) * 2019-08-16 2021-02-25 Dos Santos Pavei Bruno Aperfeiçoamento introduzido em implante dentário
EP3888588A1 (en) * 2020-03-30 2021-10-06 Institut Straumann AG Method for manufacturing a glazed dental prosthesis
CN112826979B (zh) * 2021-02-25 2023-02-24 泉州新致美义齿有限公司 一种种植桥架修复体及其制备方法
CN114481010A (zh) * 2021-12-30 2022-05-13 西安九洲生物材料有限公司 一种提高金属齿科医疗器械表面硬度和力学性能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68153B (sv) 1990-10-08 1992-11-16 Astra Meditec Ab Saett foer ytbehandling av implantat av titan eller titanlegering
JPH07328036A (ja) * 1994-06-15 1995-12-19 Nikon Corp 骨内インプラ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620323A (en) 1994-08-22 1997-04-15 Bressman; Robert A. Dental restoration structure
JP2002248163A (ja) * 2001-02-26 2002-09-03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水溶液合成により表面に直接酸化チタン層を形成した生体活性酸化チタン被覆材料
SE523288C2 (sv) * 2002-07-19 2004-04-06 Astra Tech Ab Ett implantat och ett förfarande för behandling av en implantatyta
US20040053197A1 (en) * 2002-09-16 2004-03-18 Zoran Minevski Biocompatible implants
SE526749C2 (sv) * 2003-12-11 2005-11-01 Nobel Biocare Ab Anordning vid dentalt implantat samt förfarande för dess framställning
ITBO20040653A1 (it) * 2004-10-22 2005-01-22 Guya Bioscience S R L Metodo per la preparazione d'impianti endossei con elevata osteointegrazione tramite film sottili superficiali di anatasio
US20060229715A1 (en) * 2005-03-29 2006-10-12 Sdgi Holdings, Inc. Implants incorporating nanotube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DE102006021968B4 (de) * 2006-05-04 2013-08-22 Eberhard-Karls-Universität Tübingen Enossales Implantat mit Anatasbesch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K2121053T3 (da) * 2006-12-21 2013-10-28 Corticalis As Metaloxidskeletter
CN101514353A (zh) * 2009-02-19 2009-08-26 上海交通大学 SGAE标签3’端cDNA片段的克隆方法
US20110183281A1 (en) * 2009-04-07 2011-07-28 University Of Arkansas Ceramic surface coatings for dental applications
SE0950972A1 (sv) * 2009-12-17 2011-06-18 Tigran Technologies Ab Publ Poröst block av titan eller titanlegering
TWI480026B (zh) * 2010-01-14 2015-04-11 Univ Nat Taipei Technology 具螺紋構造生醫植體及其選擇性表面處理的方法
CN102232875B (zh) * 2010-04-21 2013-05-01 国立台北科技大学 具螺纹构造生医植体结构及其选择性表面处理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5015367A2 (pt) 2017-07-11
US20150351874A1 (en) 2015-12-10
EP2938287A4 (en) 2016-08-10
WO2014104966A1 (en) 2014-07-03
SE536899C2 (sv) 2014-10-21
US9757210B2 (en) 2017-09-12
SE1251514A1 (sv) 2014-06-28
EP2938287A1 (en) 2015-11-04
CN104955416A (zh) 201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7210B2 (en) Dental implant unit
Abbasi et al. Bioactive glasses in dentistry: a review
Gul et al. Bioceramics: Types and clinical applications
Jemat et al. Effects of TiO2 on microstructural, mechanical properties and in-vitro bioactivity of plasma sprayed yttria stabilised zirconia coatings for dental application
Singer et al. Biomimetic approaches and materials in restorative and regenerative dentistry
Nasar Hydroxyapatite and its coatings in dental implants
Xavier et al. Advanced nanomaterials: promises for improved dental tissue regeneration
US20100104648A1 (en) Treatment of inflammatory and/or bacterial conditions with particles of microstructure
Sun et al. Surface modifications for zirconia dental implants: a review
Rifane et al. Impact of silanization of different bioactive glasses in simplified adhesives on degree of conversion, dentin bonding and collagen remineralization
Udduttula et al. Bioinert ceramic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CA2656355A1 (en) Material primarily for medical, long-term in vivo use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Pai et al. Polyetheretherketone in prosthodontics–A review
Duraisamy et al. Nanocomposites Used In Prosthodontics And Implantology-A Review
Cao et al. Novel Protein‐Repellent and Antibacterial Resins and Cements to Inhibit Lesions and Protect Teeth
Swain et al. Ceramic coatings for dental implant applications
Pal et al. Nanoparticles in prosthodontics-boon or bane
Glasses An Introduction to Bioceramics
Gremillard et al. Materials for hard tissue applications: An overview
Agrawal et al. Polyetheretherketone (PEEK) and its application in prosthodontics: A review.
Godbole et al. Poly Ether Ether Ketone (PEEK) Applications in Prosthodontics
Gürsoy et al. Nanoparticles and their application in prosthetic dentistry
Raina Bioactive Glass in Dentistry: A Review
Girigoswami et al. Nanoparticles used in dental applications
Coutinho et al. Nanotechnology and prosthodontics: current trends and fu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