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5508A - Smoking Booth - Google Patents

Smoking Boo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5508A
KR20150105508A KR1020140026466A KR20140026466A KR20150105508A KR 20150105508 A KR20150105508 A KR 20150105508A KR 1020140026466 A KR1020140026466 A KR 1020140026466A KR 20140026466 A KR20140026466 A KR 20140026466A KR 20150105508 A KR20150105508 A KR 20150105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smoking
outside
booth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4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병옥
Original Assignee
나병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병옥 filed Critical 나병옥
Priority to KR1020140026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5508A/en
Publication of KR20150105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50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94Booths for smo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til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s a smoking booth installed in public places such as a public office, a business site, and a park to provide a smoking space for smokers. The smoking booth comprises: a main body part (110) made up by a plurality of sidewalls (111) and a ceiling wall (112) to define a closed smoking space inside; a smoke remover (120) mounted in one side of the ceiling wall (112) to take air from the inside of the smoking space and heat the intake air using a flame in order to combust and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from cigarette smoke (S) included in the air to the outside; and an outside air inlet (130) which is placed at the bottom of one side of the sidewalls (111) and has a plurality of outside air inlets (131) for connecting the smoking space to the outside of the smoking booth to produce an air current flowing upward from the bottom using an inside air current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smoke remover (120).

Description

흡연부스{Smoking Booth}Smoking booth {Smoking Booth}

본 발명은 흡연부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연부스 내에서 발생되는 담배연기를 효율적으로 정화하여 부스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흡연부스 외부의 주변 사람이 담배연기에 의해 간접흡연하게 되는 것이 방지되는 흡연부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oking booth,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smoking booth which efficiently purifies cigarette smoke generated in a smoking booth and discharges the cigarette smoke to the outside of a booth so as to prevent a person around the smoking booth from being indirectly smoked by cigarette smoke It is about the booth.

통상적으로 흡연부스는 관공서, 영업장 및 공원 등의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흡연자의 흡연공간을 제공하는 시설물로써, 흡연에 의해 내부에서 발생되는 담배연기를 여과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비되었다.Generally, the smoking booth is installed in a public place such as a public office, a business place, and a park to provide a smoking space of a smoker, and the smoke is filter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smoking.

또한, 종래의 흡연부스에 설치된 여과장치의 경우 부스 내부의 내기를 흡입하고 필터 등을 통과시킨 후 외부로 배기시킴으로써 담배연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filtration apparatus installed in the smoking booth,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cigarette smoke can be removed by sucking the inside of the booth, passing the filter, and exhausting it to the outside.

그러나, 이러한 필터를 이용한 여과처리 방식의 경우, 정화시간이 길어질 수록 필터에 축적되는 이물질이 증가하게 되어 점차적으로 여과성능이 저하될 수 밖에 없으며, 적시에 필터교환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필터에 축적된 이물질로 인해 외부로 악취가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수시로 필터로 교체해야 함에 따라 유지관리 비용 및 인건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filtration method using such a filter, as the purifying time becomes longer, the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filter increases, and the filtration performance gradually decreases. If the filter is not replaced in a timely mann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due to the foreign substance, and therefore,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cost and the labor cost are increased due to frequent replacement with the filter.

또한, 겨울철과 같이 외부 공기가 차가운 경우, 부스 내부와 외부 간의 온도차이로 인해 부스 내부 벽면에 결로가 발생되며, 발생된 결로에 담배연기의 이물질이 흡착되면서 벽면이 지저분하게 되며 심해질 경우 흡착된 이물질에서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lso, when the outside air is cold as in winter, condensation occurs on the inner wall of the booth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the booth. The foreign matter of the cigarette smoke is adsorbed on the generated condensation and the wall becomes dirty.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malodor occurs.

더불어, 담배연기를 필터링하는 여과장치의 경우 수동조작으로 동작되면서 기설정된 흡기량으로 부스안의 내기를 흡입하도록 동작되는데, 이로 인해 부스 내부에 흡연자가 많아질 경우 여과되어 배출되는 배기량보다 내부에서 생성되는 담배연기량이 많아지게 되어 여과효율이 저하되며, 부스 내부에 흡연자가 없거나 상대적으로 적을 경우에도 일정한 배기량으로 여과장치가 구동함에 따라 불필요하게 전력소모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filter device for filtering cigarette smoke, the filter device is operated by manual operation while sucking the inside of the booth at a predetermined intake amount. When the number of smokers increases in the booth, The amount of smoke is increased and the filtration efficiency is lowered. Even if there is no smoker in the booth or the volume is relatively smal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wer consumption is increased unnecessarily as the filtration device is driven with a certain amount of displacement.

더욱이, 여과장치가 정상적으로 구동되더라도 출입문을 통해 흡연자가 출입하면서 열려진 출입문을 통해 외부로 담배연기가 배출되어 부스 주변을 지나는 사람들에게 간접흡연 여건을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 even if the filtration apparatus is normally operated, the smoker enters and exits through the entrance door, and the smok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 door, thereby providing the second-hand smoke condition to the people passing the booth.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8659호(2013.05.22), 흡연 부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68659 (2013.05.22), smoking booth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연공간 내부의 담배연기를 화염으로 가열하여 담배연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연소시킨 후 외부로 배출시켜 필터교환이 불필요하거나 필터교환 주기를 연장시킴으로써 유지관리비용 및 인건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흡연부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igarette smoke generating apparatus, which is capable of heating a cigarette smoke in a cigarette smoke by a flame, burning a foreign substance contained in the cigarette smoke, And to provide a smoking booth which can drastically reduce the maintenance cost and labor cost by extending the replacement cyc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황토판을 벽체로 이용함으로써 결로를 방지하고, 출입문을 통해 흡연자가 출입하더라도 상기 출입문을 통해 부스 내부의 담배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흡연부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oking booth which can prevent condensation by using a loess plate as a wall and can prevent smoking of smoke inside the booth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ntrance door even if a smoker goes in and out through a door It is 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흡연부스는, 복수 개의 측벽(111)과 천정벽(112)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밀폐된 흡연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110); 상기 천정벽(112)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흡연공간 내부의 내기를 흡입하며, 흡입된 내기를 화염으로 가열하여 내기에 포함된 담배연기(S)를 연소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제연기(120);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와 외부를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 개의 외기유입공(131)으로 이루어져 상기 측벽(111)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연기(120)로 내기가 흡입되는 기류(A)에 의해 외기를 유입하여 흡연공간 내에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하는 기류(B)를 생성시키는 외기유입부(130); 상기 흡연공간 내에 배치되어 내부의 흡연자를 감지하는 흡연자 감지센서(140); 상기 흡연공간 내에 배치되어 내부에서 생성되는 담배연기(S)의 연기량을 감지하는 연기량 감지센서(160); 및 상기 흡연자 감지센서(140) 및 연기량 감지센서(160)로부터 전송되는 각 감지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연기(120)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oking cigaret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main body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side walls and a ceiling wall to form a closed smoking space; A smoke generator 120 mounted on one side of the ceiling wall 112 for sucking indoor air in the smoking space and heating the sucked indoor air by a flame to burn the cigarette smoke S contained in the indoor air to discharge it to the outside, ; A plurality of external air inflow holes 131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and arrang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ide wall 111 and having a flow A, An outside air inflow part 130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smoking space and generating an air current B rising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A smokers detection sensor (140) disposed in the smoking space to sense an inside smoker; A smoke amount detection sensor (160) disposed in the smoking space and sensing a smoke amount of the smoke (S) generated in the smoke space; And a control unit 150 drivingly controlling the fume generator 120 according to sens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smoke sensor 140 and the smoke amount sensor 160.

여기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흡연자 감지센서(140)의 감지데이터에 따라 흡연공간 내에 흡연자가 감지되는 경우에만 상기 제연기(120)를 구동시키고, 일정 대기시간 동안 감지데이터가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제연기(120)의 제연구동을 정지시키며, 상기 연기량 감지센서(160)의 감지데이터에 따라 상기 흡연공간 내부의 연기량이 일정 기준치보다 적은 것을 판단되면 상기 제연기(120)를 통해 배출되는 내기의 배출량을 감소시키고, 상기 연기량이 일정 기준치보다 많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연기(120)를 통해 배출되는 내기의 배출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Here, the control unit 150 drives the fume generator 120 only when a smoker is detected in the smoking space according to the sensed data of the smoker sensor 140, and if the sensed data is not transmitted during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When the amount of smoke in the smoking spac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sensing data of the smoke amount detection sensor 160, the smoke is discharged through the smoke outlet 12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mission amount of the inside air and to increase the amount of the insid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dryer 12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smoke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또한,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흡연공간의 내부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71); 상기 카메라(171)에 의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51);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151)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통신망(10)을 통해 전송하는 데이터통신부(152); 및 상기 흡연부스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관리장소에 배치되어 상기 통신망(10)을 통해 상기 데이터통신부(152)로부터 수신되는 영상데이터를 화면창(181)에 디스플레이하는 관리자 단말(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camera 171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10 to capture an internal image of the smoking space; A database 151 for storing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camera 171; A data communication unit 152 for transmitting imag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51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50;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180) disposed at a management site spaced apart from the smoking booth and displaying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data communication unit (152)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on a screen window (181) can do.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180)에는 소정의 안내 및 경고 방송을 위한 관리자 마이크(182)가 구비되거나, 상기 데이터베이스(151)에는 안내 및 경고 방송에 대한 음성데이터가 기저장되며,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상기 관리자 마이크(182)로 입력된 음성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51)에 저장된 음성데이터가 출력되는 부스스피커(185)가 구비되어, 상기 관리자 단말(1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 안내 및 경고 방송이 출력될 수 있다.The administrator terminal 180 is provided with an administrator microphone 182 for a predetermined announcement and warning broadcast or voice data for announcement and warning broadcast is stored in the database 151. The main body 110 A speaker 185 for outputting the voice data input to the manager microphone 182 or the voic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51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80 of the main body 180. Under the control of the administrator terminal 180, A warning and warning broadcast may be output to the in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110.

또한, 복수 개의 측벽(111)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측벽(111)에는 흡연자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문(114)이 배치되되, 상기 출입문(114)이 배치된 측벽(111) 상에서 상기 출입문(114)의 문틀(115)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흡연공간을 향해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출입문(114)의 개방에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내기의 기류(C)를 차단하는 연기배출 차단판(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 opening 114 through which the smoker can enter and exit is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side walls 111 of the plurality of side walls 111. The side door 111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111 on which the door 114 is disposed, A smoke exhaust blocking plate 190 disposed around the door frame 115 and extending laterally toward the smoking space to block the airflow C of the indoor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door 114; .

한편, 상기 연기배출 차단판(190) 또는 문틀(115)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개방된 출입문(1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담배연기(S)를 흡입하여 상기 흡연공간 또는 제연기(120)의 내기 유입라인으로 배출하는 복수 개의 연기흡입부(191)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at least one of the smoke discharge blocking plate 190 and the door frame 115 sucks the cigarette smoke 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ed door 114, A plurality of smoke suction units 191 for discharging the air into the air inflow line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본 발명에 따른 흡연부스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smoking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흡연공간 내부의 담배연기를 화염으로 가열하여 담배연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연소시킨 후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필터교환이 불필요하거나 필터교환 주기를 더욱 연장시킬 수 있어 유지관리비용 및 인건비가 획기적으로 절감된다.First, by heating the cigarette smoke inside the cigarette space with flames, th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igarette smoke are burn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which eliminates the need for filter replacement or further improves the filter replacement cycle, thereby drastically reducing maintenance and labor costs. do.

둘째, 흡연부스의 측벽과 천정벽에 황토성분이 포함된 황토판을 배치하여 흡연공간 내부의 습도가 조절되며 이물질의 흡착이 방지되므로 겨울철과 같이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가 커지더라도 벽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며, 이로 인해 이물질의 흡착에 의한 담배연기의 악취를 감소시킬 수 있다.Second, by placing a loess plate containing a loess material on the side wall and the ceiling wall of the smoking booth, the humidity inside the smoking space is controlled and the adsorption of the foreign matter is prevented. Therefore, even if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increases, This can reduce the odor of the cigarette smoke due to the adsorption of foreign matter.

셋째, 본체부에는 흡연공간 내부에 출입한 흡연자를 감지하는 흡연자 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흡연자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데이터를 이용하여 부스 내부에 흡연자가 위치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제연기를 구동시키고 흡연자가 위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연기의 구동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제연기에 의한 공기정화 효율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제연기 구동에 필요한 소비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Third,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smoker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smoker entering and leaving the inside of the smoking space, and selectively activates the smoker only when the smoker is located inside the booth using the sensed data sensed by the smoker's sensor When the smoker is not located, the driving of the smokestack can be automatically stopped, so that the consumption of power consumption necessary for driving the smokestack can be minimized while maintaining the air cleaning efficiency by the smokestack.

넷째, 상기 본체부 내에는 흡연공간 내부에서 생성되는 담배연기의 연기량을 감지하는 연기량 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연기량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데이터를 이용하여 부스 내부에서 발생되는 담배연기의 연기량에 따라 제연기의 구동상태를 적절하게 자동제어할 수 있으므로 제연기에 의한 공기정화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Fourthly, a smoke amount detecting sensor for detecting the smoke amount of the cigarette smoke generated in the smoking space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part, and the cigarette smoke generated in the booth using the sensed data sensed by the smoke amount detecting sensor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purifying the air by the smoke fumer because the driving state of the smoke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moke amount of the smoke.

다섯째, 흡연공간 내에 배치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 배치된 관리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흡연부스 내에서 화재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거나, 노숙자 및 불량청소년 등과 같은 불청객이 부스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적시에 인식하여 관리자가 즉각적으로 조치할 수 있다.Fifth, a manager disposed at a remote location can monitor the image data taken by a camera disposed in a smoking space, so that a safety accident such as a fire in the smoking booth may occur, or an uninvited person such as a homeless person or a bad youth may enter the booth So that the manager can take immediate action.

또한, 청소 및 정비를 위해 관리자가 수시로 이동하여 부스 내부를 점검하지 않더라도 상기 영상데이터를 통해 재털이 교체나 내부 청소시기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보다 쾌적한 흡연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 even if the manager moves from time to time for cleaning and maintenance and the inside of the booth is not inspected, since the ashtray can be replaced or the inside cleaning time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image data,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manager and to provide a more pleasant smoking environment have.

여섯째, 출입문의 문틀에는 흡연공간을 향해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연기배출 차단판이 배치되어 출입문이 열리는 동작에 의해 내부의 담배연기가 측벽을 타고 출입문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출입문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담배연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Sixth, the door frame of the door is provided with a smoke discharge blocking plate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toward the smoking space, so that smoke inside the smoking cigarett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door through the side wall by the operation of opening the door, Cigarette smoke can be minimized.

더욱이 상기 문틀이나 연기배출 차단판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개방된 출입문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담배연기를 흡입하여 상기 흡연공간 또는 제연기의 내기 흡입라인으로 배출하는 연기흡입부가 배치되므로 상기 출입문을 통해 담배연기가 배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Further, since at least one of the door frame and the smoke discharge blocking plate is provided with a smoke suction portion for sucking the cigarette smok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n opened door and discharging the cigarette smoke to the smoke suction line of the smoke or smok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smoke from being discharg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moking cigaret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moking cigaret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smoking boot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100)는, 관공서나 영업장 및 공원 등의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흡연자의 흡연공간을 제공하는 시설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 제연기(120), 외기유입부(130), 흡연자 감지센서(140), 연기량 감지센서(16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The smoking booth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acility installed in a public place such as a public office, a business place and a park to provide a smoking space of a smoker. As shown in Figs. 1 to 3, A smokestack sensor 110, a smoke 120, an outside air inlet 130, a smoker sensor 140, a smoke amount sensor 160, and a controller 150.

먼저, 본체부(11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100)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기본골조로서, 복수 개의 측벽(111)과 천정벽(112)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밀폐된 흡연공간을 형성한다.The main body 110 is a basic framework for forming the base of the smoking booth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ide walls 111 and a ceiling wall 112, .

여기서, 측벽(111)의 외부면에는 소정의 광고내용이 도안된 광고판(119)이 배치되어 부수적인 광고수익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10)의 외부에는 흡연부스(100)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간판(118)이 배치될 수 있다. Here, the advertisement board 119 having a predetermined advertisement content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111 to receive supplemental advertisement revenue. The main body 110 may include a smoking booth (not shown) A signboard 118 may be disposed to indicate the location of the signboard 100.

또한, 상기 흡연공간 내부에는 흡연시 담뱃재를 털거나 흡연후 담배꽁초를 수거하기 위한 재털이부(117)가 배치되며, 천정벽(112)에는 내부의 흡연공간의 담배연기(S)를 정화하기 위한 제연기(120)가 장착된다.In addition, the ash tray 117 for collecting the cigarette butts after smoking or smoking the cigarette butts at the time of smoking is disposed in the inside of the smoking space, and the tobacco smoke S in the inside smoking space is disposed in the ceiling wall 112 The smoke 120 is mounted.

상기 제연기(120)는, 본체부(110) 내부의 흡연공간에서 발생되는 담배연기(S)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정화수단으로서, 상기 천정벽(112)의 일측에 장착되며 복수 개의 내기유입공(121)을 통해 정화시키기 위한 흡연공간의 내기를 흡입하고, 복수 개의 내기배출공(122)을 통해 정화된 내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된다.The smoke generator 120 is a purifying means for purifying the cigarette smoke S generated in the smoking space inside the main body 110 and discharging the smoke to the outside. The purifier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ceiling wall 112, And sucks the inside of the smoking space for purifying through the inside air inlet hole 121 and discharges the purified inside air through the plurality of inside air outlet holes 122 to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내기'는 흡연부스(100) 내부의 공기 즉, 담배연기(S)를 포함하는 오염된 공기를 의미하며, 후술되는 '외기'는 흡연부스(100) 외부의 공기 즉, 오염되지 않은 신선한 공기를 의미한다. Hereinafter, the 'inside air' refers to the air inside the smoking booth 100, that is, the air including the tobacco smoke S. The 'outside air' to be described later is the air outside the smoking booth 100, It means fresh air.

또한, 상기 제연기(120)의 경우 흡입된 내기를 화염으로 가열하여 상기 내기에 포함된 담배연기(S)의 이물질을 연소시켜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필터교환이 불필요하거나 필터교환 주기를 연장시킴으로써 유지관리비용 및 인건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ume generator 120, the inhaled air is heated by a flame to burn foreign substances of the cigarette smoke S contained in the inside air to discharge the air to the outside. The maintenance cost and the labor cost can be drastically reduced.

더불어, 상기 제연기(120)에는 강제순환 프로펠러와 같이 내기유입공(121)을 통해 유입되는 내기의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내기흡입장치 또는 외기배출공(1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내기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내기배출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흡입된 내기를 가열하기 위한 화염 발화장치는 내기 흡입경로 또는 외기 배출경로 상에 배치되어 유동하는 공기를 향해 화염을 분사하여 담배연기(S)의 이물질이 갖는 연소온도까지 가열함으로써 상기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moke (120) is supplied with an amount of discharge of the internal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ternal air discharge hole (122) for controlling the inflow amount of the in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ernal air inlet hole (121) And a flame ignition device for heating the sucked inside air is disposed on the exhaust air suction path or the outdoor air discharge path so as to inject a flame toward the flowing air, The foreign matter can be efficiently burned by heating up to the combustion temperature of the foreign matter.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연기(120)는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내기흡입장치, 내기배출장치 및 화염 발화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연기 구동부(123)에 의해 제어되어 세부적인 제연구동이 제어된다.3, the fume generator 120 is driven by a fume generator driving unit 123 that controls the indoor air suction apparatus, the indoor air discharge apparatus, and the flame ignition apparatus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50 And the detailed research work is controlled.

상기 외기유입부(130)는, 제연기(120)의 내기 배출에 따라 신선한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흡연공간 내에서 상승기류를 생성시키는 공기유입수단으로서, 상기 측벽(111)의 일측에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흡연공간과 흡연부스(100)의 외부를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 개의 외기유입공(131)이 형성되어 상기 제연기(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내기의 기류(A)에 의해 도 2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하는 기류(B)를 생성시킨다.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130 is an air inflow means for introducing fresh outside air in accordance with the exhaust of the smoke in the smoke 120 to generate a rising air flow in the smoking space, And a plurality of outside air inflow holes 131 for communicating the outside of the smoking space 100 with the smoking space are formed and airflow A of the insid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exhausting unit 120, And generates an airflow B rising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as indicated by an arrow.

이러한 상승기류(B)에 의해 흡연공간 전체로 확산된 담배연기(S)가 제연기(120)의 내기유입공(121)을 향하도록 안내되므로 상기 제연기(120)에 의한 정화효율을 증대시키며 담배연기(S)를 정화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Since the tobacco smoke S diffused into the entire smoking space is guided toward the air inflow hole 121 of the dryer 120 by the upward airflow B, the efficiency of purifying the air by the dryer 120 is increas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required to purify the smoke (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111)과 천정벽(11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벽면에는 황토성분을 포함하는 황토판(113)이 배치되어 상기 흡연공간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고 상기 담배연기(S)에 포함된 이물질이 흡착되도록 하여, 외부와의 온도차에 의해 측벽(111)이나 천정벽(112)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2, a loess plate 113 containing a loess material is disposed on a wall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side wall 111 and the ceiling wall 112 to adjust the humidity inside the smoking space, S can be adsorbed on the side wall 111 or the ceiling wall 112 due to a difference in temperature from the outsid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100)는, 흡연공간 내에 흡연자가 위치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제연기(120)에 의한 정화구동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상기 흡연공간 내부에 출입한 흡연자를 감지하는 흡연자 감지센서(140) 및, 상기 제연기(120)의 제연구동을 중앙제어하는 제어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In the meantime, the smoking booth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so as to selectively perform purifying operation by the smokers 120 only when a smoker is located in the smoking space. To this end, A smoker detection sensor 140 for sensing a smoker entering and exiting the inside of the smoking space, and a control unit 150 for centrally controlling the research operation of the smokers 120 .

상기 제어부(150)는, 흡연자 감지센서(140)로부터 감지데이터를 통해 흡연공간 내에 흡연자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연기(120)의 구동을 개시하여 흡연공간 내의 내기를 제연기(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흡연자 감지센서(140)로부터 마지막 감지데이터가 전달된 후 일정 대기시간 동안 감지데이터가 전달되지 않으면 흡연공간 내에 흡연자가 위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연기(120)의 제연구동을 정지시키도록 동작한다.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that the smoker is located in the smoking space through the sensed data from the smoker's sensor 140 and starts driving the smokers 120 to move the inside air in the smoker's room to the smokers 120 If the sensed data is not delivered for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after the last sensed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smokers detection sensor 140, it is determined that the smoker is not located in the smoking space, And operates to stop the research work.

여기서, 흡연자 감지센서(140)로부터 감지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더라도 상기 일정 대기시간 경우 제연기(120)를 정지시킴으로써 마지막 흡연자에 의해 발생된 담배연기(S)가 충분히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Here, even if no sensed data is received from the smoker sensor 140, the smoke 120 generated by the last smoker can be sufficiently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stopping the smokers 120 in the case of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100)는, 흡연공간 내에서 생성되는 담배연기(S)의 연기량에 따라 제연기(120)의 구동상태를 구분하여 제어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상기 흡연공간 내부에서 생성되는 담배연기(S)의 연기량을 감지하여 감지데이터를 제어부(150)로 전달하는 연기량 감지센서(16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연기량 감지센서(160)에 의해 흡연공간 내부의 연기량이 기설정된 기준치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연기(120)를 통해 배출되는 내기의 배출량을 감소시키며, 상기 연기량이 기준치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연기(120)를 통해 배출되는 내기의 배출량을 증대시키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the smoke booth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driving state of the smoke extinguisher 120 according to the smoke amount of the smoke S generated in the smoking space. And a smoke amount detection sensor 160 for detecting the amount of smoke of the cigarette smoke S generated in the smoking space and delivering the sensed data to the controller 150 in the main body 110, If the amount of smoke in the smoking space is determined to be relatively small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by the smoke amount sensor 160, the controller 150 may reduce the amount of the indoor air discharged through the smoke outlet 12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smoke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amount of the exhaust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smoke 120 is increased.

여기서, 상기 담배연기(S)의 연기량이 많고 적음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치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151)에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150)는 기설정된 기준치 데이터와 연기량 감지센서(160)에서 감지된 감지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담배연기(S)의 연기량에 따라 제연기(120)의 구동상태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Here, the reference value data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moke amount of the cigarette smoke S is high or low is stored in the database 151, and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smoke amount sensing Data can b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the driving state of the smoke extinguisher 120 can be appropriate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smoke of the smoke tobacco S.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100)는 흡연공간 내부를 모니터링하여 안전사고 예방 및 부스의 유지관리에 이용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는 흡연공간의 내부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71)가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171)에 의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51)와,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151)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통신망(10)을 통해 전송하는 데이터통신부(152) 및, 상기 흡연부스(10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관리장소에 배치되어 통신망(10)을 통해 상기 데이터통신부(152)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데이터를 화면창(181)에 디스플레이하는 관리자 단말(18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smoking booth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nitor the inside of the smoking spac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nd to maintain the booth. For this purpose, A database 151 for storing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camera 171 and a control unit 150 for controlling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51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50. [ A data communication unit 152 for transmitting data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and a video communication unit 152 disposed at a management sit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moking booth 100 and adapted to receiv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data communication unit 152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180 for displaying the displayed image on a screen window 181.

또한, 상기 관단에 소정의 안내 및 경고 방송을 위한 관리자 마이크(182)가 구비되거나, 상기 데이터베이스(151)에는 안내 및 경고 방송에 대한 음성데이터가 기저장되며,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상기 관리자 마이크(182)로 입력된 음성데이터 또는 데이터베이스(151)에 저장된 음성데이터가 출력되는 부스스피커(185)가 구비되어, 상기 관리자 단말(180)의 제어에 의해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안내 및 경고 방송이 출력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dministrator microphone 182 for predetermined announcement and warning broadcasts is provided at the terminal, or audio data for announcement and warning broadcasts are stored in the database 151, A booth speaker 185 for outputting voice data input to the manager microphone 182 or voic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51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under the control of the administrator terminal 180 Guidance and warning broadcasts can be output.

상기 부스스피커(185)는 제어부(15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부스스피커(185)로 매칭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안내 및 경고음성이 출력되도록 음성출력 제어하는 스피커 출력부(184)를 통해 제어부(150)에 의한 출력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oth speaker 185 is connected to the booth speaker 185 through a speaker output unit 184 for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matched to the booth speaker 185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50, The output control by the control unit 150 can be performed.

이러한, 안내 및 경고 방송을 통해 흡연부스(100) 내에 안전사고가 발생하거나 노숙자 등의 불청객이 위치한 경우, 음성출력을 통해 대피장소로 안내하거나 노숙자의 위치를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관리자의 편의가 증대된다.When a safety accident occurs in the smoking booth 100 through the guidance and warning broadcast, or when an uninvited person such as a homeless person is located, it is possible to guide the user to the evacuation place through the voice output or to move the position of the homeless person to the outside. Increase.

한편, 본체부(11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측벽(111)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측벽(111)에는 흡연자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문(114)이 배치되는데, 상기 제연기(120)가 정상구동하더라도 출입문(114)을 통해 흡연공간 내의 담배연기(S)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In the meantime, a door 114 through which a smoker can enter and exit is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wall 111 of the plurality of side walls 111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Even if the smoke 120 is driven normally, The tobacco smoke S in the smoking spac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14.

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100)는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출입문(114)이 배치된 측벽(111) 상에서 출입문(114)의 문틀(115)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흡연공간을 향해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연기배출 차단판(190)이 구비될 수 있다.2, 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the smoking booth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or 115 on the side wall 111 on which the door 114 is disposed, And a smoke discharge blocking plate 190 disposed around the smoking space and extending laterally toward the smoking space.

도면에서와 같이, 측방향을 향해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된 상기 연기배출 차단판(190)에 의해, 출입문(114)이 개방되는 동작에 의해 측벽(111)을 따라 상기 출입문(114)으로 배출되는 담배연기(S)의 기류(C)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부스 외부의 인원이 출입문(1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담배연기(S)로 인해 간접흡연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smoke outlet blocking plate 190, which is horizontally extended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ateral direction, is discharged to the door 114 along the side wall 111 by the operation of opening the door 114 It is possible to block the airflow C of the tobacco smoke S so that the passengers outside the booth can be prevented from passing through tobacco smoke S which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oorway 114. [

또한, 상기 출입문(114)이 외부로 열리게 되면 상기 본체부(110) 내부의 흡연공간의 압력이 순간적으로 낮아지게 되면서 개방된 출입문(114)을 통해 담배연기(S)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114)은 상기 문틀의 일측에 배치된 힌지축(116)을 기준으로 상기 흡연공간의 내부를 향해 회동되어 열리고 외부를 향해 닫히는 여닫이 문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door 114 is opened to the outside, the pressure of the smoking space inside the main body 110 is instantaneously lowered, and the cigarette smoke S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ed door 114 .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door 114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nged door that is rotated toward the inside of the smoking space with respect to the hinge shaft 116 disposed at one side of the door frame and closed toward the outside desirable.

더불어, 상기 연기배출 차단판(190) 또는 문틀(115)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개방된 출입문(1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담배연기(S)를 흡입하여 상기 흡연공간 또는 제연기(120)의 내기 유입라인으로 배출하는 연기흡입부(191)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smoke discharge blocking plate 190 and the door frame 115 sucks the cigarette smoke 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ed door 114, It is preferable that the smoke suction portions 191 to be discharged to the air inflow line ar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따라서, 출입문(114)이 개방되더라도 상기 연기배출 차단판(190)에 의해 출입문(1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담배연기(S)가 1차적으로 차단되며, 상기 연기흡입부(191)에 의해 연기배출 차단판(190)을 통과한 담배연기(S)가 2차적으로 차단되므로 출입문(114) 개방에 따른 담배연기(S)의 외부 배출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기흡입부(191) 대신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에어커튼 기능을 제공하는 에어분사노즐이 배치될 수도 있다.Therefore, even if the door 114 is opened, the cigarette smoke 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oor 114 is primarily blocked by the smoke discharge blocking plate 190, and the smoke suction unit 191 Since the cigarette smoke S passing through the smoke discharge blocking plate 190 is secondarily block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ternal discharge of the cigarette smoke S due to the opening of the door 114. [ In place of the smoke suction unit 191, an air injection nozzle for spraying high-pressure air to provide an air curtain function may be dispose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100)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흡연공간 내부의 담배연기(S)를 화염으로 가열하여 담배연기(S)에 포함된 이물질을 연소시킨 후 외부로 배출시켜 필터교환이 불필요하거나 필터교환 주기를 연장시킴으로써 유지관리비용 및 인건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By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smoking booth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tobacco smoke S in the smoking space is heated by the flame to remove th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tobacco smoke S, The filter replacement is unnecessary or the filter replacement cycle is prolonged, so that maintenance and labor costs can be drastically reduced.

또한, 본체부(110)에는 흡연공간 내부에 출입한 흡연자를 감지하는 흡연자 감지센서(140)가 구비되고, 상기 흡연자 감지센서(140)에 의해 감지된 감지데이터를 이용하여 부스 내부에 흡연자가 위치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제연기(120)를 구동시키고 흡연자가 위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연기(120)의 구동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제연기(120)에 의한 공기정화 효율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제연기(120) 구동에 필요한 소비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smokers detection sensor 140 for detecting smokers entering and leaving the inside of the smoking space and a smoker is located inside the booth using sensed data detected by the smokers detection sensor 140 The smoke eliminator 120 can be selectively stopped only when the smoke eliminator 120 is driven and the smoke eliminator 120 can be automatically stopped when the smokers are not positioned. Consuming power consumption required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120 can be minimized.

더불어, 상기 본체부(110) 내에는 흡연공간 내부에서 생성되는 담배연기(S)의 연기량을 감지하는 연기량 감지센서(160)가 구비되고, 상기 연기량 감지센서(160)에 의해 감지된 감지데이터를 이용하여 부스 내부에서 발생되는 담배연기(S)의 연기량에 따라 제연기(120)의 구동상태를 적절하게 자동제어할 수 있으므로 제연기(120)에 의한 공기정화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smoke amount detecting sensor 160 for detecting the amount of smoke of the cigarette smoke S generated in the smoking space, and the smoke amount detecting sensor 160 detects the smoke amount Since the driving state of the smoke generator 120 can be appropriately and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moke amount of the smoke smoke S generated in the booth using the sensed data, the air purification efficiency by the smoke generator 120 can be maximized have.

그리고, 흡연공간 내에 배치된 카메라(171)를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 배치된 관리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흡연부스(100) 내에서 화재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거나, 노숙자 및 불량청소년 등과 같은 불청객이 부스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적시에 인식하여 관리자가 즉각적으로 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manager located at a remote place can monitor by using the image data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71 disposed in the smoking space, a safety accident such as a fire may occur in the smoking booth 100, Etc., are located in the booth so that the manager can immediately take action.

또한, 청소 및 정비를 위해 수시로 부스 내부를 점검하지 않더라도 상기 영상데이터를 통해 재털이 교체나 내부 청소시기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보다 쾌적한 흡연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inside of the booth is not inspected from time to time for cleaning and maintenance, since the ashtray can be replaced or the inside cleaning time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image data, the convenience of the manager can be increased and a more comfortable smoking environment can be provid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흡연부스 110...본체부
113...황토판 120...제연기
130...외기유입부 131...외기유입공
140...흡연자 감지센서 150...제어부
151...데이터베이스 152...데이터통신부
160...연기량 감지센서 171...카메라
180...관리자 단말 181...화면창
182...관리자 마이크 185...부스스피커
190...연기배출 차단판 191...연기흡입부
S...담배연기
100 ... smoking booth 110 ... body part
113 ... loess plate 120 ... smoke
130 ... outside air inlet portion 131 ... outside air inlet hole
140 ... Smoker detection sensor 150 ... Control unit
151 ... Database 152 ... Data communication section
160 ... smoke amount detection sensor 171 ... camera
180 ... manager terminal 181 ... screen window
182 ... Manager Mike 185 ... Booth Speaker
190 ... smoke outlet blocking plate 191 ... smoke inlet
S ... tobacco smoke

Claims (5)

복수 개의 측벽(111)과 천정벽(112)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밀폐된 흡연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110);
상기 천정벽(112)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흡연공간 내부의 내기를 흡입하며, 흡입된 내기를 화염으로 가열하여 내기에 포함된 담배연기(S)를 연소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제연기(120);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와 외부를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 개의 외기유입공(131)으로 이루어져 상기 측벽(111)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연기(120)로 내기가 흡입되는 기류(A)에 의해 외기를 유입하여 흡연공간 내에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하는 기류(B)를 생성시키는 외기유입부(130);
상기 흡연공간 내에 배치되어 내부의 흡연자를 감지하는 흡연자 감지센서(140);
상기 흡연공간 내에 배치되어 내부에서 생성되는 담배연기(S)의 연기량을 감지하는 연기량 감지센서(160); 및
상기 흡연자 감지센서(140) 및 연기량 감지센서(160)로부터 전송되는 각 감지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연기(120)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흡연자 감지센서(140)의 감지데이터에 따라 흡연공간 내에 흡연자가 감지되는 경우에만 상기 제연기(120)를 구동시키고, 일정 대기시간 동안 감지데이터가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제연기(120)의 제연구동을 정지시키며, 상기 연기량 감지센서(160)의 감지데이터에 따라 상기 흡연공간 내부의 연기량이 일정 기준치보다 적은 것을 판단되면 상기 제연기(120)를 통해 배출되는 내기의 배출량을 감소시키고, 상기 연기량이 일정 기준치보다 많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연기(120)를 통해 배출되는 내기의 배출량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
A main body 110 comprising a plurality of side walls 111 and a ceiling wall 112 to form a closed smoking space therein;
A smoke generator 120 mounted on one side of the ceiling wall 112 for sucking indoor air in the smoking space and heating the sucked indoor air by a flame to burn the cigarette smoke S contained in the indoor air to discharge it to the outside, ;
A plurality of external air inflow holes 131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and arrang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ide wall 111 and having a flow A, An outside air inflow part 130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smoking space and generating an air current B rising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A smokers detection sensor (140) disposed in the smoking space to sense an inside smoker;
A smoke amount detection sensor (160) disposed in the smoking space and sensing a smoke amount of the smoke (S) generated in the smoke space; And
And a control unit 150 for controlling the smoke generator 120 according to the sensed data transmitted from the smokers sensing sensor 140 and the smoke amount sensing sensor 160,
The control unit 150 drives the smoke generator 120 only when the smoker is detected in the smoking space according to the sensed data of the smoker sensor 140. If the sensed data is not transmitted during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smoke in the smoking space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detection data of the smoke amount detection sensor 160, And increases the discharge amount of the indoor air discharged through the smoke outlet (12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moke amount exceeds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흡연공간의 내부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71);
상기 카메라(171)에 의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51);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151)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통신망(10)을 통해 전송하는 데이터통신부(152); 및
상기 흡연부스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관리장소에 배치되어 상기 통신망(10)을 통해 상기 데이터통신부(152)로부터 수신되는 영상데이터를 화면창(181)에 디스플레이하는 관리자 단말(1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흡연부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amera (171)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10) and photographing an internal image of the smoking space;
A database 151 for storing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camera 171;
A data communication unit 152 for transmitting imag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51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50; And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180) disposed in a management place spaced apart from the smoking booth and displaying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data communication unit (152)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on a screen window (181) Smoking booths that feature tha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180)에는 소정의 안내 및 경고 방송을 위한 관리자 마이크(182)가 구비되거나, 상기 데이터베이스(151)에는 안내 및 경고 방송에 대한 음성데이터가 기저장되며,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상기 관리자 마이크(182)로 입력된 음성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51)에 저장된 음성데이터가 출력되는 부스스피커(185)가 구비되어, 상기 관리자 단말(1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 안내 및 경고 방송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anager terminal 180 is provided with a manager microphone 182 for a predetermined announcement and warning broadcast or the database 151 stores voice data for announcement and warning broadcasts, A booth speaker 185 for outputting voice data input to the manager microphone 182 or voic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51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And a warning and warning broadcast is output to the interior of the smoking booth.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측벽(111)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측벽(111)에는 흡연자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문(114)이 배치되되, 상기 출입문(114)이 배치된 측벽(111) 상에서 상기 출입문(114)의 문틀(115)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흡연공간을 향해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출입문(114)의 개방에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내기의 기류(C)를 차단하는 연기배출 차단판(1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door 114 is provided on one of the side walls 111 so as to allow a smoker to enter and exit the door 114. The door 114 of the door 114 is disposed on the side wall 111 on which the door 114 is disposed. And a smoke discharge blocking plate 190 disposed around the smoking space and extending laterally toward the smoking space to block the airflow C of the insid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door 114 Wherein the smoking booth is a smoking booth.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배출 차단판(190) 또는 문틀(115)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개방된 출입문(1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담배연기(S)를 흡입하여 상기 흡연공간 또는 제연기(120)의 내기 유입라인으로 배출하는 복수 개의 연기흡입부(191)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moke exhausting plate 190 or the door frame 115 sucks the cigarette smoke 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ed door 114 to prevent the inflow of smoke And a plurality of smoke suction units (191) for discharging the smoke to the line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KR1020140026466A 2014-03-06 2014-03-06 Smoking Booth KR2015010550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466A KR20150105508A (en) 2014-03-06 2014-03-06 Smoking Boo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466A KR20150105508A (en) 2014-03-06 2014-03-06 Smoking Boot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508A true KR20150105508A (en) 2015-09-17

Family

ID=54244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466A KR20150105508A (en) 2014-03-06 2014-03-06 Smoking Boo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5508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0112A (en) * 2019-03-09 2019-06-21 成都中增科教设备有限公司 A kind of Development of intelligent laboratory
KR20200065169A (en) 2018-11-29 2020-06-09 주식회사 피디텍 Indoor smoking booth
KR20200129348A (en) * 2019-05-08 2020-11-18 최선미 Smoking booth and method of managing the same
KR20210123521A (en) 2020-04-03 2021-10-14 류길수 Smoking booth where air flow descends
KR20220093022A (en) 2020-12-26 2022-07-05 김민성 enviroment firendly cleaninng machine
CN114755972A (en) * 2022-04-25 2022-07-15 泰州机电高等职业技术学校 Toilet smoking warning system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169A (en) 2018-11-29 2020-06-09 주식회사 피디텍 Indoor smoking booth
CN109920112A (en) * 2019-03-09 2019-06-21 成都中增科教设备有限公司 A kind of Development of intelligent laboratory
KR20200129348A (en) * 2019-05-08 2020-11-18 최선미 Smoking booth and method of managing the same
KR20210123521A (en) 2020-04-03 2021-10-14 류길수 Smoking booth where air flow descends
KR20220093022A (en) 2020-12-26 2022-07-05 김민성 enviroment firendly cleaninng machine
CN114755972A (en) * 2022-04-25 2022-07-15 泰州机电高等职业技术学校 Toilet smoking warning system
CN114755972B (en) * 2022-04-25 2024-04-19 泰州机电高等职业技术学校 Smoking warning system for toil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05508A (en) Smoking Booth
KR101898674B1 (en) The Portable Device for Person which can remove a harmful germ and the smoke, nicotine, tar etc. when people smoke cigarette using a demister filter
KR101911709B1 (en) Smoking booth
KR101339988B1 (en) Clean smoking booth system for preventing involuntary smoking
KR101283074B1 (en) Smoking booth
KR20150095491A (en) Smoking booth and the control method
KR102243305B1 (en) Air shower apparatus for domestic
WO2021096088A1 (en) Smoking booth
KR200477107Y1 (en) Smoking booth
KR20180065226A (en) Air clean intelligent smoking booth
KR20090001604U (en) Expedient appatatus for smoking zone
KR20160025211A (en) Smoking booth with forced intake and exhaust ventilation system
KR101619857B1 (en) Smoking for both
KR20150095489A (en) Smoking booth for air circulation system
KR20140004675U (en) smoking booth for installation of indoor
KR102275290B1 (en) Smoking Booth
JPH03128004A (en) Tobacco-smoke diffusion preventing partition
KR20150095490A (en) Smoking booth and the control method
JP2006250396A (en) Smoking room with air cleaning function
KR101676811B1 (en) Movable booth
CN208669010U (en) Outdoor intelligent environment-friendly smoking room
KR102063096B1 (en) Portable Tobacco Fumes Purification Apparatus
KR20200035518A (en) Self-purification smoking boot using solar energy
KR20140001423U (en) Smoking booth
KR101678609B1 (en) Air purification Boo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