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4302A -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 검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 검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4302A
KR20150104302A KR1020140025850A KR20140025850A KR20150104302A KR 20150104302 A KR20150104302 A KR 20150104302A KR 1020140025850 A KR1020140025850 A KR 1020140025850A KR 20140025850 A KR20140025850 A KR 20140025850A KR 20150104302 A KR20150104302 A KR 20150104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detection
touch
information
detection sensitivity
hov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5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4302A/ko
Priority to US14/639,192 priority patent/US9791963B2/en
Priority to EP15157858.0A priority patent/EP2916202A1/en
Priority to CN201580011985.0A priority patent/CN106062686A/zh
Priority to PCT/KR2015/002153 priority patent/WO2015133847A1/en
Publication of KR20150104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3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3/209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specific for a flat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 검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 패널에 디스플레이될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터치 검출 영역의 적어도 일부인 부분 영역을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부분 영역의 터치 검출 감도가,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 검출 감도 보다 높도록 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도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 검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USER INPUT DETECTION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 검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폰(smart phone) 또는 태블릿(tablet) PC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는, 터치 스크린 패널(TSP: touch screen panel)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다양한 입력 수단(예: 손가락(finger)(111) 또는 펜(pen) 등)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 100에 사용자 입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 패널 100의 표면을 접촉하는 입력(예: 표면 터치(surface touch))를 하거나,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 100의 표면에 근접(예: d = 1cm 이내)하되 접촉하지 않는 입력(예: 호버링 터치(hovering touch))를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입력 수단 중 하나인 펜은, 터치 스크린 패널이 터치를 검출할 수 있는 전자 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표면에 접촉하지 않는 입력 중 하나인 호버링 터치는, 플로팅 터치(floating touch) 등으로 다양하게 일컬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호버링 터치라고 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입력 수단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입력을 검출함에 있어서,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 패널의 표면 터치를 검출하거나, 표면 터치와 호버링 터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표면 터치와 호버링 터치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 검출을 위한 감도(touch detection sensitivity)를, 상기 표면 터치를 검출할 때의 터치 검출을 위한 감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 검출을 위한 감도를 높게 하면 전원 소모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전체 영역(full area)의 터치 검출을 위한 감도를 높게 하면 전원 소모가 급격히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 검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 패널에 디스플레이될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터치 검출 영역의 적어도 일부인 부분 영역을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부분 영역의 터치 검출 감도가,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 검출 감도 보다 높도록 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표면 터치와 호버링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검출 감도를 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에 디스플레이될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터치 검출 영역의 적어도 일부인 부분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부분 영역의 검출 감도를,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에 대해 설정된 검출 감도 보다 높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 검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는, 예컨대,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가 호버링 터치(hovering touch)를 검출하면서도, 전원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 상황(screen context)에 따라, 터치 스크린 패널의 일부 영역을 선별하여 터치 검출 감도를 상향 조정함으로써, 호버링 터치를 정상적으로 검출하면서도 전원 소모량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 검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 패널에 표시되는 정보(예: 메시지, 영상, 전화번호 등)에 따라 터치 검출을 위한 감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 패널에 표시되는 정보 또는 사용자 입력 검출을 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영역이 가지는 중요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사용자 입력 검출을 위한 터치 스크린 패널 영역의 터치 검출 감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 수단에 따라,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 검출 감도를 변경하여, 사용자 입력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터치 스크린 패널의 표면 터치와 호버링 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하드웨어의 블록 도면이다.
도 4는 정전식 터치 스크린 패널의 표면 터치와 호버링 터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호버링 터치 검출 제어 정보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 검출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호버링 터치 검출 모드의 설정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상황 결정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 설정과 터치 검출 감도 조정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호버링 터치와 표면 터치의 검출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에어뷰 설정 메뉴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문자 메시지 미리 보기의 동작에 대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진행 미리 보기의 동작에 대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축 번호 미리 보기의 동작에 대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present disclosure)를 설명한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개시 가운데 사용될 수 있는“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 가운데 “제 1,”“제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본 개시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터치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터치 기능을 갖춘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자면, 전자 장치는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 machine) 또는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터치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이용되는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201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 200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 201는 버스 210, 프로세서 220, 메모리 230, 입출력 인터페이스 240, 디스플레이 250, 통신 인터페이스 260 및 검출 감도 조절 모듈 2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 21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전술한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을 전달하는 회로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220는, 예를 들면, 상기 버스 210를 통해 전술한 다른 구성요소들(예: 상기 메모리 230,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240, 상기 디스플레이 25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260, 또는 상기 검출 감도 조절 모듈 270 등)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명령을 해독하고, 해독된 명령에 따른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230는, 상기 프로세서 2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240, 상기 디스플레이 25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260, 또는 상기 검출 감도 조절 모듈 270 등)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프로세서 2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230는, 예를 들면, 커널 231, 미들웨어 23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233 또는 어플리케이션 234 등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널 231은 나머지 다른 프로그래밍 모듈들, 예를 들면, 상기 미들웨어 232, 상기 API 2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234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상기 버스 210, 상기 프로세서 220 또는 상기 메모리 2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널 231은 상기 미들웨어 232, 상기 API 2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234에서 상기 전자 장치 2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하여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들웨어 232는 상기 API 2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234이 상기 커널 23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웨어 232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234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234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전자 장치 201의 시스템 리소스(예: 상기 버스 210, 상기 프로세서 220 또는 상기 메모리 2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배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제어(예: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I 233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234이 상기 커널 231 또는 상기 미들웨어 232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234는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달력 어플리케이션, 알람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health care) 어플리케이션(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등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234은 상기 전자 장치 2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204) 사이의 정보 교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정보 교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알림 전달(notification relay)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전자 장치 201 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발생한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204)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204)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 201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204)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기능(예: 외부 전자 장치 자체(또는, 일부 구성 부품)의 턴온/턴오프 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또는, 해상도) 조절),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예: 통화 서비스 또는 메시지 서비스)를 관리(예: 설치, 삭제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234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204)의 속성(예: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가 MP3 플레이어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234은 음악 재생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외부 전자 장치가 모바일 의료기기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234은 건강 관리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234은 전자 장치 201에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예: 서버 206 또는 전자 장치 204)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240은, 입출력 장치(예: 센서, 키보드 또는 터치 스크린)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예를 들면, 상기 버스 210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 220, 상기 메모리 23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260, 또는 상기 검출 감도 조절 모듈 27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240은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프로세서 220 또는 상기 검출 감도 조절 모듈 27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240은, 예를 들면, 상기 버스 210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 220, 상기 메모리 23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260, 또는 상기 검출 감도 조절 모듈 27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기 입출력 장치(예: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240은 상기 프로세서 220를 통하여 처리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250은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예: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260은 상기 전자 장치 201와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 204 또는 서버 206) 간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260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 262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cellular 통신(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 262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일 수 있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 는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 인터넷(internet),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또는 전화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 201와 외부 장치 간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예: transport layer protocol, data link layer protocol 또는 physical layer protocol))은 어플리케이션 234,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233, 상기 미들웨어 232, 커널 231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 26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지원될 수 있다.
상기 검출 감도 조절 모듈 270은, 다른 구성요소들(예: 상기 프로세서 220, 상기 메모리 230,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240, 또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260 등)로부터 획득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처리하고, 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검출 감도 조절 모듈 270은, 상기 디스플레이 250에 표시될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240를 통해, 터치 스크린과 관련된 검출 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어떤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검출 감도 조절 모듈 270은 상기 프로세서 220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다. 후술하는 내용을 통하여, 상기 검출 감도 조절 모듈 270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가 제공된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 있어서, 표면 터치와 호버링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과,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검출 감도를 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에 디스플레이될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터치 검출 영역의 적어도 일부인 부분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부분 영역의 검출 감도를,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에 대해 설정된 검출 감도 보다 높게 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301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상기 전자 장치 301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 2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 301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310, 통신 모듈 320,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324, 메모리 330, 센서 모듈 340, 입력 장치 350, 디스플레이 360, 인터페이스 370, 오디오 모듈 380, 카메라 모듈 391, 전력관리 모듈 395, 배터리 396, 인디케이터 397 및 모터 398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P 310는 운영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AP 3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 3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AP 3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 320(예: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260)은 상기 전자 장치 301(예: 상기 전자 장치 201)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들(예: 전자 장치 204 또는 서버 206) 간의 통신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모듈 320은 셀룰러 모듈 321, Wifi 모듈 323, BT 모듈 325, GPS 모듈 327, NFC 모듈 328 및 RF(radio frequency) 모듈 32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룰러 모듈 321은 통신망(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룰러 모듈 321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 32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모듈 321은 상기 AP 31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셀룰러 모듈 321은 멀티 미디어 제어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모듈 3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룰러 모듈 321은, 예를 들면, SoC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상기 셀룰러 모듈 321(예: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상기 메모리 330 또는 상기 전력관리 모듈 395 등의 구성요소들이 상기 AP 310와 별개의 구성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AP 310가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 321)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AP 310 또는 상기 셀룰러 모듈 321(예: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은 각각에 연결된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P 310 또는 상기 셀룰러 모듈 321은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거나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상기 Wifi 모듈 323, 상기 BT 모듈 325, 상기 GPS 모듈 327 또는 상기 NFC 모듈 328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셀룰러 모듈 321, Wifi 모듈 323, BT 모듈 325, GPS 모듈 327 또는 NFC 모듈 328이 각각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었으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321, Wifi 모듈 323, BT 모듈 325, GPS 모듈 327 또는 NFC 모듈 328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 321, Wifi 모듈 323, BT 모듈 325, GPS 모듈 327 또는 NFC 모듈 328 각각에 대응하는 프로세서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 321에 대응하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및 Wifi 모듈 323에 대응하는 Wifi 프로세서)는 하나의 SoC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RF 모듈 329는 데이터의 송수신, 예를 들면, RF 신호의 송수신을 할 수 있다. 상기 RF 모듈 329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또는 LNA(low noise ampl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 모듈 329는 무선 통신에서 자유 공간상의 전자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부품, 예를 들면, 도체 또는 도선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셀룰러 모듈 321, Wifi 모듈 323, BT 모듈 325, GPS 모듈 327 및 NFC 모듈 328이 하나의 RF 모듈 329을 서로 공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321, Wifi 모듈 323, BT 모듈 325, GPS 모듈 327 또는 NFC 모듈 3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 324는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일 수 있으며, 전자 장치의 특정 위치에 형성된 슬롯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 324는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330(예: 상기 메모리 230)는 내장 메모리 332 또는 외장 메모리 3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장 메모리 3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NAND flash memory, NOR flash memory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내장 메모리 332는 Solid State Drive (SSD)일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 334는 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또는 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 3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 301과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 301는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저장 장치(또는 저장 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 340은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 3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 3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340A, 자이로 센서 340B, 기압 센서 340C, 마그네틱 센서 340D, 가속도 센서 340E, 그립 센서 340F, 근접 센서 340G, color 센서 3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 340I, 온/습도 센서 340J, 조도 센서 3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 3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센서 모듈 3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미도시),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미도시),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미도시),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미도시), IR(infra red) 센서(미도시), 홍채 센서(미도시) 또는 지문 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 3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 350은 터치 패널(touch panel) 3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 354, 키(key) 356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 35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 3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터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 3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정전식의 경우, 물리적 접촉 또는 근접 검출이 가능하다. 상기 터치 패널 3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 패널 352은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펜 센서 354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 또는 별도의 검출용 쉬트(sheet)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키 3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 358는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도구를 통해, 전자 장치 301에서 마이크(예: 마이크 388)로 음파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서, 무선 검출이 가능하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 301는 상기 통신 모듈 320를 이용하여 이와 연결된 외부 장치(예: 컴퓨터 또는 서버)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360(예: 상기 디스플레이 250)은 패널 362, 홀로그램 장치 364 또는 프로젝터 36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362은, 예를 들면, LCD(liquid-crystal display) 또는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일 수 있다. 상기 패널 3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패널 362은 상기 터치 패널 352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홀로그램 장치 364은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 36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 3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360은 상기 패널 362, 상기 홀로그램 장치 364, 또는 프로젝터 36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370는,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372, USB(universal serial bus) 3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 376 또는 D-sub(D-subminiature) 37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370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 26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 37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 380은 소리(sound)와 전기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 38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 24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 380은, 예를 들면, 스피커 382, 리시버 384, 이어폰 386 또는 마이크 3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 391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미도시), ISP(image signal processor, 미도시) 또는 플래쉬 (flash, 미도시)(예: LED 또는 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 모듈 395은 상기 전자 장치 3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력 관리 모듈 395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MIC는, 예를 들면, 집적회로 또는 SoC 반도체 내에 탑재될 수 있다. 충전 방식은 유선과 무선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충전 IC는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충전기로부터의 과전압 또는 과전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 IC는 유선 충전 방식 또는 무선 충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충전 IC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으로는,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이 있으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의 회로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 3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396는 전기를 저장 또는 생성할 수 있고, 그 저장 또는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 30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396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또는 태양 전지(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 397는 상기 전자 장치 301 혹은 그 일부(예: 상기 AP 3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모터 3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자 장치 301는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TV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우(media flow)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술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정전식 터치 스크린 패널의 표면 터치와 호버링 터치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430) 입력이 터치 스크린 패널에 없을 수 있다. 이런 경우(예: 터치(touch))이 없는 경우), 송신 측(Tx) 420의 트랜스미터(transmitter)에서 송신되는 펄스 신호는, 수신 측(Rx)의 리시버(receiver) 410로 제1 정도(degree)(예: 모두)가 수신될 수 있다. 이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 측 420의 트랜스미터와 수신 측 410의 리시버 간의 전압(예: V_coup. = 약 1.0V)은, 지정된(예: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전압(예: V_ref. = 약 1.0V)으로 검출될 수 있다.
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430)의 입력이 있는 경우, 송신 측의 트랜스미터에서 송신되는 펄스 신호의 제2 정도(예: 일부분만)가, 수신 측의 리시버로 수신될 수 있다. 이에 연관되어, 상기 트랜스미터에서 송신되는 펄스 신호 중 일부가, 터치 입력(예: 터치된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전자 펜)으로 유도되기 때문에, 상기 리시버에는 제2 정도의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정도는, 예를 들면, 제 2 정도보다 클 수 있다. 이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 측의 트랜시버와 수신 측의 리시버 간의 전압(예: V_coup. = 약 0.5V)은, 지정된(예: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전압(예: V_ref. = 약 1.0V) 보다 낮은 전압으로 감지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상기 지정된 제1 기준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생성됨을 감지하여, 사용자 입력의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430)의 호버링 터치가 있는 경우, 송신 측의 트랜스미터에서 송신되는 펄스 신호의 제3 정도(예: 일부분만)가, 수신 측의 리시버로 수신될 수 있다. 이에 연관되어, 상기 트랜스미터에서 송신되는 펄스 신호 중 일부가, 호버링 터치 입력(예: 터치된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전자 펜)으로 유도되기 때문에, 상기 리시버에는 제3 정도의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3 정도는, 예를 들면, 제 1 정도 보다는 작고 제 2 정도보다 클 수 있다. 이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 측의 트랜시버와 수신 측의 리시버 간의 전압(예: V_coup. = 약 0.25V)은, 지정된(예: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전압(예: V_ref. = 약 0.5V) 보다 낮은 전압으로 감지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상기 지정된 제2 기준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생성됨을 감지하여, 호버링 터치 입력의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신 측의 트랜스미터와 수신 측의 리시버 간의 전압은, 상기 기준 전압(예: V_ref. = 약 1.0V) 보다 낮은 전압으로 검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송신 측의 트랜스미터와 수신 측의 리시버 간의 전압을 커플링 전압이라고 하고, 특히 상기 기준 전압에서 하강(falling)하는 전압(coupling voltage)은, 하강 커플링 전압(V_fall.) 등으로 다양하게 일컬어 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패널을 표면 터치(surface touch)하는 경우, 상기 하강 커플링 전압은, V_fall.= 약 - 0.5V 로 검출될 수 있다. 반면,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패널을 비접촉 상태로 호버링 터치(hovering touch)하는 경우, 상기 하강 커플링 전압은, V_fall.= 약 - 0.25V 로 검출될 수 있다.
도 4(d)에 도시된 그래프는 표면 터치와 호버링 터치시에 검출되는 하강 커플링 전압을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 입력이 없을 때에는, 상기 하강 커플링 전압이 발생하지 않고, 표면 터치 또는 호버링 터치 중 어느 하나가 있을 때에, 상기 하강 커플링 전압이 발생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표면 터치시에 발생하는 하강 커플링 전압의 진폭은, 상기 호버링 터치에서 발생하는 하강 커플링 전압의 진폭 보다 높을수 있다.
즉, 상기 호버링 터치로 인해 검출되는 하강 커플링 전압의 진폭은, 상기 표면 터치로 인해 검출되는 하강 커플링 전압의 진폭 보다 낮기 때문에,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사용자 입력 검출을 위한 터치 검출 감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상기 호버링 터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 검출 감도를 상향 조정할 수 있다. 이와 연관되어,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리시버에 생성되는 전압을 증가시키므로, 전원 소모량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전체 영역(full area)의 터치 검출 감도를 상향 조정하게 되면, 전원 소모량이 급격히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표면 터치와 호버링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과,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검출 감도를 조정하는 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에 디스플레이될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터치 검출 영역의 적어도 일부인 부분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부분 영역의 검출 감도를,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에 대해 설정된 검출 감도 보다 높게 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호버링 터치 검출 제어 정보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프로세서 220는, 상기 획득된 정보와, 상기 전자 장치 내에 저장된 호버링 터치 검출 제어 정보의 스크린 상황 정보를 비교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 상황을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상황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상에 문자 메시지 타이틀, 진행 바, 또는 단축 번호 등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 등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호버링 터치 검출 제어 정보에는, 각 동작(operation) 별 스크린 상황(screen context) 정보,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hovering touch detection area) 정보, 또는 터치 검출 감도(touch detection sensitivity)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연관되어, 상기 제어 정보는 각 엔트리(entry)(예: screen context 1, screen context 2, 또는 screen context 3 등)로 연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크린 상황 정보는, 문자 메시지 미리 보기(text message preview) 500의 동작, 진행 미리 보기(progress preview) 510의 동작, 또는 단축 번호 미리 보기(speed dial preview) 520의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 정보는, 문자 메시지 타이틀(title), 진행 바(progress bar), 또는 단축 번호(speed dial)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전자 장치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역들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다수의 위치 좌표 값(예: X, Y)들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검출 감도 정보는, 상기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의 터치 검출 감도를, 나머지 영역의 터치 검출 감도 보다 상향 조정하기 위한 조정 값이다. 예컨대,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으로 선별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의 터치 검출 감도를 100% 라고 할 때, 상기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의 터치 검출 감도는, 100%을 초과하는 조정 값으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검출 감도 정보는, 스크린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조정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문자 메시지 미리 보기의 동작에 대응되는 제1 스크린 상황의 경우, 터치 검출 감도는 150% 로 설정되고, 진행 미리 보기의 동작에 대응되는 제2 스크린 상황의 경우, 터치 검출 감도는 180% 로 설정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스크린 상황의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들 중 중요도가 높은 제3 영역(area 3)은, 200% 로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검출 감도 정보는, 손가락(finger) 모드와 펜(pen)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조정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사용할 때의 호버링 터치의 정확도는, 사용자가 펜을 사용할 때의 호버링 터치의 정확도 보다 낮을 수 있으므로,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손가락 모드의 터치 검출 감도를 펜 모드의 터치 검출 감도 보다 10%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호버링 터치 검출 제어 정보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으로 인해 스크린 상황이 새로 발생할 때 변경(예: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호버링 터치 검출 제어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 220가 상시 기준 데이터로서 참조하는 정보인 룩업(look up) 테이블 형태로 관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호버링 터치의 제어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 검출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프로세서 2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해, 표면 터치와 호버링 터치를 모두 검출할 수 있는 호버링 터치 검출 모드를 설정하거나, 표면 터치만을 검출할 수 있는 표면 터치 검출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표면 터치 검출 모드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전체 영역에 대해 동일한 검출 감도를 설정하는 것이고, 상기 호버링 터치 검출 모드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일부 영역에 대해 검출 감도를 상향 조정하여 호버링 터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 220는, 동작 S60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상기 호버링 터치 검출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호버링 터치 검출 모드는 어플리케이션 별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별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연관되어, 상기 전자 장치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220는, 동작 S61에서, 비휘발성 메모리 등에 저장된 호버링 터치 검출 제어 정보(hovering touch detection control information)를 검색하여, 현재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스크린 상황(screen context)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문자 메시지(text message) 프로그램이고, 현재의 동작이, 문자 메시지 미리 보기(text message preview)의 동작이면, 상기 프로세서 220는, 상기 호버링 터치 검출 제어 정보를 검색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 상황을, 제1 스크린 상황(screen context 1)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220는, 동작 S62에서, 상기 제1 스크린 상황에 연계된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의 위치 좌표 값들을 검색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의 일부 영역을 선별한 후, 동작 S63에서,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220는, 동작 S64에서, 상기 제1 스크린 상황에 연계된 터치 검출 감도의 조정 값을 검색하여, 상기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의 터치 검출 감도를, 나머지 영역의 터치 검출 감도 보다 더 높게 상향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220는, 상기와 같이 제1 스크린 상황에 맞게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의 터치 검출 감도를 높게 상향 조정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 등이 터치 스크린 패널에 접근하는 지를 검출하는 호버링 터치 검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220는, 동작 S65에서, 상기 호버링 터치가 검출되면, 호버링 터치가 검출된 영역에 해당하는 프리뷰(preview)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동작 S66에서, 표면 터치가 검출되면, 표면 터치가 검출된 영역에 해당하는 기능(function)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호버링 터치 검출 모드의 설정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 220는, 동작 70에서, 사용자의 요청 등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260을 통해, 사용자 선택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후, 동작 71에서, 사용자가, 터치 검출 방식 메뉴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터치 검출 방식 메뉴를 선택하지 않으면, 상기 프로세서 220는, 동작 S72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메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터치 검출 방식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프로세서 220는, 동작 S73에서, 터치 검출 방식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후 동작 S74에서, 호버링 터치 검출 모드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호버링 터치 검출 모드를 선택하지 않으면, 상기 프로세서 220는, 동작 S75에서, 표면 터치 검출 모드를 설정하고, 동작 S76에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전체 영역의 터치 검출 감도를 지정된 수치(예: 10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판단 결과, 호버링 터치 검출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프로세서 220는, 동작 S77에서, 호버링 터치 검출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면 터치 검출 모드 또는 호버링 터치 검출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 220는, 표면 터치 검출 모드가 선택되면,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전체 영역의 터치 검출 감도를, 지정된(예: 사전에 설정된) 수치(예: 100%) 로 조정할 수 있다. 반면, 호버링 터치 검출 모드가 선택되면, 스크린 상황을 결정하는 다음 단계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상황 결정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 220는, 동작 S80에서, 호버링 터치 검출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S81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동작과 연관된 호버링 터치의 제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메시지(text message)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현재의 동작이, 문자 메시지 미리 보기(preview)의 동작이면, 상기 프로세서 220는, 호버링 터치 검출 제어 정보를 검색하여, 현재의 동작인 문자 메시지 미리 보기와, 상기 호버링 터치 검출 제어 정보 내에 저장된 스크린 상황(screen context)들을, 동작 S82에서, 비교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220는, 동작 S83에서,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문자 메시지 미리 보기에 대응되는 유효한 스크린 상황이, 상기 호버링 터치 검출 제어 정보 내에 존재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유효한 스크린 상황이 존재하지 않으면, 동작 S84에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전체 영역의 터치 검출 감도를, 표면 터치 검출 모드의 터치 검출 감도 보다 높게 상향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호버링 터치 검출 제어 정보 내에 존재하지 않은 스크린 상황의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전체 영역의 터치 검출 감도를 상향 조정하여, 호버링 터치 검출 동작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판단 결과, 유효한 스크린 상황이 존재하면, 동작 S85에서, 상기 문자 메시지 미리 보기의 동작에 대응되는 제1 스크린 상황을, 터치 스크린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 상황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 설정과 터치 검출 감도 조정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 220는, 동작 S90에서, 상기 스크린 상황과 연관된 상기 호버링 터치 제어 정보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상황이 상기 호버링 터치 제어 정보 내에 존재하면, 상기 스크린 상황에 연관된 상기 호버링 터치 제어 정보의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S91에서, 문자 메시지 미리 보기의 동작에 대응되는 제1 스크린 상황(screen context 1)이 검색되면, 상기 제1 스크린 상황에 연계된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area 1, area 2, area 3..)의 위치 좌표 값들을 검색한 후, 상기 위치 좌표 값들과,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 영역을 매칭시켜,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220는, 동작 S92에서, 상기 제1 스크린 상황에 연계된 터치 검출 감도를 검출할 수 있다. 이후, 동작 S93에서, 상기 호버링 검출 영역에 적용하여, 나머지 영역의 터치 검출 감도 보다 높게 상향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으로 설정되지 않은 영역의 터치 검출 감도를 100% 라고 하면, 상기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의 터치 검출 감도는, 100%를 초과하는 조정 값(예: 150%)으로 상향 조정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 220는, 사용자가 손가락(finger)을 사용하는 경우와 펜(pen)을 사용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상기 터치 검출 감도를 서로 다르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사용하는 경우, 150%로 상향 조정하고, 펜을 사용하는 경우, 140%로 상향 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펜은, 터치 스크린 패널이 터치를 검출할 수 있는 전자 펜일 수 있다. 상기 터치 검출 감도는, 백분율(%)의 조정 값이거나, 또는 수신 측(Rx) 리시버의 증폭 전압을 조정하기 위한 특정 수치의 조정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정 값은, 실험 결과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에 대한 터치 검출 감도는,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의 중요도 등에 따라 서로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의 터치 검출 감도가,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 검출 감도 보다 높도록, 표면 터치 검출 영역의 터치 감도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 검출 감도가 150%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의 터치 감도는 그대로 150%를 유지하되, 나머지 다른 영역인 표면 터치 검출 영역의 터치 감도를 100%로 감소시켜 전원 소모를 줄일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호버링 터치와 표면 터치의 검출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 220는, 동작 S100에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일부 영역을,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으로 선별하여 설정한 후, 터치 검출 감도를 상향 조정한 상태에서, 수신 측(Rx) 리시버의 하강 커플링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하강 커플링 전압은,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검출되는 값이다. 임의의 한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에서, 사전에 설정된 기준 범위(예: 약 0.25V~1.0V) 이내의 하강 커플링 전압이 검출되면, 호버링 터치 또는 표면 터치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0.25V~0.45V 범위의 하강 커플링 전압이 검출되면, 호버링 터치로 판단할 수 있고, 약 0.46V~1.0V 범위의 하강 커플링 전압이 검출되면, 표면 터치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220는, 동작 S101에서, 상기 판단 결과, 호버링 터치가 검출되면, 동작 S102에서, 해당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에 대응되는 프리뷰(preview)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동작 S101에서 호버링 터치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나 동작 S103에서, 표면 터치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표면 터치가 검출이 되면, 동작 S104에서, 해당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function)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 220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다수의 문자 메시지 타이틀(tile)이, 리스트(list) 형태로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 임의의 한 문자 메시지 타이틀이 사용자에 의해 호버링 터치되면, 해당 문자 메시지를 프리뷰(preview) 상태로 간략하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220은, 상기 임의의 한 문자 메시지 타이틀이 사용자에 의해 표면 터치되면, 해당 문자 메시지의 전체 내용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호버링 터치를 통해 간략한 정보를 미리 확인하고, 표면 터치를 통해 전체 정보를 상세히 확인할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설정 메뉴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설정 메뉴 화면 1100은 상기 호버링 터치 검출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정 메뉴 화면 1100은 호버링 터치를 이용해서 프리뷰 동작을 수행하는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호버링 터치를 이용해서 프리뷰 동작을 수행하는 모드는 에어뷰(airview) 1101로 일컬어 질 수 있다. 또는, 호버링 프리뷰(hovering preview) 또는 호버뷰(hoverview) 등과 같이, 임의의 명칭으로 일컬어질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버링 터치 검출 모드의 사용여부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동작에 대한 호버링 터치 사용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설정 메뉴 화면(예: 에어뷰 설정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에어뷰 설정 메뉴 화면 1100에는, 문자 메시지 미리 보기(text message preview) 1102, 진행 미리 보기(progress preview) 1103, 단축 번호 미리 보기(speed dial preview) 1104, 또는 웹 페이지 미리 보기(web page preview) 1105 중 적어도 하나 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뷰 설정 메뉴 화면 1100에는,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동작들에 대한 호버링 터치의 동작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온/오프(On/Off) 버튼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온/오프 버튼을 이용하여 에어뷰 동작을 오프(Off)시키면, 상기 프로세서 220는, 호버링 터치 검출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표면 터치 검출 동작만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상기 온/오프 버튼을 이용하여 에어뷰 동작을 온(On)시키되, 문자 메시지 미리 보기 동작을 오프(Off)시키면, 문자 메시지 미리 보기 1102의 동작 수행시, 호버링 검출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표면 터치 검출 동작만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에어뷰 설정 메뉴 화면을 통해, 호버링 터치 검출 동작을 온/오프시킬 수 있으며, 호버링 터치 검출 동작을 원하는 모드에만 선택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문자 메시지 미리 보기의 동작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문자 메시지 미리 보기의 동작에서 호버링 터치의 검출 감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메시지 미리 보기의 동작에 대응되는 제1 스크린 상황이면, 각 문자 메시지 타이틀(title)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들 1200, 1201, 1202, 1203을,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으로 선별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후, 터치 검출 감도를 나머지 영역에 비해 높게 상향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1204가 임의의 한 문자 메시지 타이틀을 선택하여 호버링 터치를 하면, 해당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간략하게 프리뷰 1205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진행 미리 보기의 동작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 220는, 진행 미리 보기의 동작에 대응되는 제2 스크린 상황이면, 가로 길이의 진행 바(progress bar) 1300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으로 선별하여 설정한 후, 터치 검출 감도를 나머지 영역에 비해 높게 상향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1301가 진행 바의 임의의 한 위치(position) 1302를 선택하여 호버링 터치를 하면, 해당 위치를 대표하는 축소 영상(thumbnail picture) 1303을 간략하게 프리뷰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4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축 번호 미리 보기의 동작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 220는, 단축 번호 미리 보기의 동작에 대응되는 제3 스크린 상황이면, 단축 번호(speed dial) 1400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들을,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으로 선별하여 설정한 후, 터치 검출 감도를 나머지 영역에 비해 높게 상향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1401가 임의의 한 단축 번호 1402를 선택하여 호버링 터치를 하면, 해당 단축 번호에 연계된 사람 이름과 전화 번호 등을 간략하게 프리뷰 1403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호버링 터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프리뷰 상태로 간략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 검출 방법은,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 패널에 디스플레이될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터치 검출 영역의 적어도 일부인 부분 영역을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부분 영역의 검출 감도를,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에 대해 설정된 검출 감도 보다 높게 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적용되는 전자 장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일부 영역만을 선별하여 터치 검출 감도를 상향 조정하기 때문에, 호버링 터치를 검출하면서도, 전원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더 나아가,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의 터치 검출 감도를, 각각의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의 중요도 등에 따라, 서로 다른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 모드와 펜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값으로 조정하여, 호버링 터치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에 따른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개시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래밍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예: 상기 프로세서 2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 230가 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 220에 의해 구현(implement)(예: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 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 (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와,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그리고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예: 프로그래밍 모듈)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개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본 개시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래밍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모듈, 프로그래밍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터치 스크린 패널에 디스플레이될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터치 검출 영역의 적어도 일부인 부분 영역을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부분 영역의 검출 감도를,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에 대해 설정된 검출 감도 보다 높게 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네트워크 환경 201: 전자 장치
204: 전자 장치 206: 서버
210: 버스 22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31: 커널
232: 미들웨어 23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234: 어플리케이션 240: 입출력 인터페이스
250: 디스플레이 260: 통신 인터페이스
262: 네트워크 270: 검출 감도 조절 모듈

Claims (26)

  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 패널에 디스플레이될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터치 검출 영역의 적어도 일부인 부분 영역을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부분 영역의 터치 검출 감도가,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 검출 감도 보다 높도록 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기능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터치 검출 영역을, 표면 터치를 검출하기 위한 제1 부분 영역과 호버링 터치를 검출하기 위한 제2 부분 영역으로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제2 부분 영역의 검출 감도를 상기 제1 부분 영역의 검출 감도보다 높게 조정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하는 동작 이후, 상기 부분 영역에서 호버링 터치가 검출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획득된 정보와, 상기 전자 장치 내에 저장된 호버링 터치 검출 제어 정보의 스크린 상황 정보를 비교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 상황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호버링 터치 검출 제어 정보는, 각 동작 별 스크린 상황 정보,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 정보, 또는 터치 검출 감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각 엔트리로 연계하여 저장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상황 정보는, 문자 메시지 미리 보기의 동작, 진행 미리 보기의 동작, 또는 단축 번호 미리 보기의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응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 정보는, 문자 메시지 타이틀, 진행 바, 또는 단축 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 정보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일부 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좌표 값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검출 감도 정보는, 상기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의 터치 검출 감도를, 나머지 영역의 터치 검출 감도 보다 상향 조정하기 위한 조정 값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검출 감도 정보는, 상기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조정 값이 저장되거나, 손가락 모드와 펜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조정 값이 저장되는 방법.
  13. 전자 장치에 있어서,
    표면 터치와 호버링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검출 감도를 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에 디스플레이될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터치 검출 영역의 적어도 일부인 부분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부분 영역의 터치 검출 감도가,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 검출 감도 보다 높도록 조정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기능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를 획득하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터치 검출 영역을, 표면 터치를 검출하기 위한 제1 부분 영역과 호버링 터치를 검출하기 위한 제2 부분 영역으로 설정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부분 영역의 검출 감도를 상기 제1 부분 영역의 검출 감도보다 높게 조정하는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의 종류에 기반하여, 상기 부분 영역을 설정하지 않도록 결정하는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부분 영역에서 사용자의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추가 정보의 표시에 반응하여, 상기 부분 영역에서 사용자의 다른 입력이 추가적으로 검출되면, 상기 추가 정보와 연관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정보와, 상기 전자 장치 내에 저장된 호버링 터치 검출 제어 정보의 스크린 상황 정보를 비교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 상황을 결정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호버링 터치 검출 제어 정보는, 각 동작 별 스크린 상황 정보,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 정보, 그리고 터치 검출 감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각 엔트리로 연계하여 저장하는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상황 정보는, 문자 메시지 미리 보기의 동작, 진행 미리 보기의 동작, 또는 단축 번호 미리 보기의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응되는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 정보는, 문자 메시지 타이틀, 진행 바, 또는 단축 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 정보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일부 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좌표 값을 포함하는 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검출 감도 정보는, 상기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의 터치 검출 감도를, 나머지 영역의 터치 검출 감도 보다 상향 조정하기 위한 조정 값을 포함하는 장치.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검출 감도 정보는, 상기 호버링 터치 검출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조정 값이 저장되거나, 손가락 모드와 펜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조정 값이 저장되는 장치.
  26. 터치 스크린 패널에 디스플레이될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터치 검출 영역의 적어도 일부인 부분 영역을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부분 영역의 터치 검출 감도가,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 검출 감도 보다 높도록 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KR1020140025850A 2014-03-05 2014-03-05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 검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10430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850A KR20150104302A (ko) 2014-03-05 2014-03-05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 검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4/639,192 US9791963B2 (en) 2014-03-05 2015-03-05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user input in an electronic device
EP15157858.0A EP2916202A1 (en) 2014-03-05 2015-03-05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user input in an electronic device
CN201580011985.0A CN106062686A (zh) 2014-03-05 2015-03-05 用于检测电子设备中的用户输入的方法和装置
PCT/KR2015/002153 WO2015133847A1 (en) 2014-03-05 2015-03-05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user input in an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850A KR20150104302A (ko) 2014-03-05 2014-03-05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 검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302A true KR20150104302A (ko) 2015-09-15

Family

ID=52627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850A KR20150104302A (ko) 2014-03-05 2014-03-05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 검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91963B2 (ko)
EP (1) EP2916202A1 (ko)
KR (1) KR20150104302A (ko)
CN (1) CN106062686A (ko)
WO (1) WO20151338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19132B2 (en) * 2014-06-19 2020-07-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evice
CN105718056B (zh) * 2016-01-19 2019-09-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手势识别方法及装置
US10353478B2 (en) 2016-06-29 2019-07-16 Google Llc Hover touch input compensation in augmented and/or virtual reality
CN106293213B (zh) * 2016-08-01 2020-05-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调整压力感应区域灵敏度的方法及电子设备
KR102593838B1 (ko) * 2016-09-20 2023-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6618187A (zh) * 2016-10-12 2017-05-10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家用电器的防溢出方法、防溢出设备及家用电器
US10782852B1 (en) * 2016-12-11 2020-09-22 Snap Inc. Contextual action mechanisms in chat user interfaces
CN107291294B (zh) * 2017-06-21 2021-01-29 滁州学院 一种触控屏灵敏度的控制方法及移动终端
KR102411283B1 (ko) * 2017-08-23 2022-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력 검출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9254689B (zh) * 2018-09-26 2022-02-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接近检测方法和装置
US11314288B2 (en) * 2018-11-30 2022-04-26 Dell Products L.P.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stylus dock
US11036368B1 (en) * 2019-03-29 2021-06-15 Snap Inc. Messaging system with message transmission user interface
US11019011B1 (en) * 2019-03-29 2021-05-25 Snap Inc. Messaging system with discard user interface
CN110210197B (zh) * 2019-05-16 2021-05-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屏幕灵敏度调整方法及移动终端
EP3761158A1 (en) 2019-07-02 2021-01-06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for adapting sensitivity of a pointing device, computer program and image evaluation device
CN111610882B (zh) * 2020-05-20 2023-05-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检测方法、装置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3744B2 (en) * 1994-08-15 2016-12-06 Apple Inc. Control systems employing novel physical controls and touch screens
US20050275626A1 (en) * 2000-06-21 2005-12-15 Color Kinetics Incorporated Entertainment lighting system
US8381135B2 (en) * 2004-07-30 2013-02-19 Apple Inc. Proximity detector in handheld device
US20080266129A1 (en) * 2007-04-24 2008-10-30 Kuo Ching Chiang Advanced computing device with hybrid memory and eye control module
US7956846B2 (en) * 2006-01-05 2011-06-07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ontent-dependent touch sensitivity
JP2008197934A (ja) * 2007-02-14 2008-08-28 Calsonic Kansei Corp 操作者判別方法
US8432372B2 (en) * 2007-11-30 2013-04-30 Microsoft Corporation User input using proximity sensing
US9335868B2 (en) * 2008-07-31 2016-05-10 Apple Inc. Capacitive sensor behind black mask
KR101513037B1 (ko) 2008-11-04 2015-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센서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KR101737829B1 (ko) * 2008-11-10 2017-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모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US8411045B2 (en) * 2008-12-15 2013-04-02 Sony Corporation Touch sensitive displays with coplanar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ensor pads and related touch panels
KR20100069842A (ko) 2008-12-17 2010-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및 그 방법
US8406816B2 (en) * 2009-02-03 2013-03-2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virtual rotary dial pad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134539B2 (en) * 2009-03-30 2012-03-13 Eastman Kodak Company Digital picture frame having near-touch and true-touch
US9046967B2 (en) * 2009-07-02 2015-06-02 Uusi, Llc Vehicle accessory control interface having capactive touch switches
US20110022307A1 (en) * 2009-07-27 2011-01-27 Htc Corporation Method for operating navigation frame, navigation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8892299B2 (en) * 2009-10-05 2014-11-18 Tesla Motors, Inc. Vehicle user interface with proximity activation
US8347221B2 (en) * 2009-10-07 2013-01-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
US20110313870A1 (en) * 2009-10-13 2011-12-22 Skycore LLC, Initiating and Enabling Secure Contactless Transactions and Services with a Mobile Device
US20110163982A1 (en) * 2009-11-05 2011-07-07 Wadia Bahar N Solid state positive force touch sensing
KR101726623B1 (ko) * 2010-03-16 2017-04-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US9311724B2 (en) * 2010-04-23 2016-04-12 Handscape Inc. Method for user input from alternative touchpads of a handheld computerized device
KR101674011B1 (ko) * 2010-06-07 2016-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US8508347B2 (en) * 2010-06-24 2013-08-13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ity based input
US9268431B2 (en) * 2010-08-27 2016-02-23 Apple Inc. Touch and hover switching
JP5263355B2 (ja) * 2010-09-22 2013-08-14 株式会社ニコン 画像表示装置及び撮像装置
US8890818B2 (en) * 2010-09-22 2014-11-18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ity based input
JP2012098828A (ja) * 2010-10-29 2012-05-24 Minebea Co Ltd 電子機器の入力装置及び入力制御方法
US20120127179A1 (en) * 2010-11-19 2012-05-24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user interface
US8907903B2 (en) * 2011-01-13 2014-12-09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Handing control of an object from one touch input to another touch input
KR101770262B1 (ko) * 2011-03-16 201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JP5669263B2 (ja) * 2011-04-11 2015-02-12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
US20120287065A1 (en) * 2011-05-10 2012-11-15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US9304668B2 (en) * 2011-06-28 2016-04-0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izing a display screen of a user interface
KR101853277B1 (ko) * 2011-07-18 2018-04-30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
JP5400930B2 (ja) 2011-09-14 2014-01-29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コントローラ、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及び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の動作方法
US9495012B2 (en) * 2011-09-27 2016-11-15 Z124 Secondary single screen mode activation through user interface activation
US8659566B2 (en) 2011-10-14 2014-02-25 Himax Technologies Limited Touch sens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869083B1 (ko) 2011-12-01 2018-06-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정전 용량식 터치 스크린의 터치 감도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130300668A1 (en) * 2012-01-17 2013-11-14 Microsoft Corporation Grip-Based Device Adaptations
KR20130095968A (ko) * 2012-02-21 2013-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에서 응용 프로그램의 폴더를 구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30249950A1 (en) * 2012-03-21 2013-09-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and gestures with the non-dominant hand
JP5904440B2 (ja) * 2012-04-20 2016-04-13 シャープ株式会社 操作入力装置、操作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78957B1 (ko) * 2012-05-09 2019-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 및 설치 방법
JP2014035623A (ja) * 2012-08-08 2014-02-24 Sharp Corp 操作入力装置、操作入力方法、操作入力プログラム及び電子機器
KR102009926B1 (ko) * 2012-08-08 201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039343B2 (ja) * 2012-10-04 2016-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10176156B2 (en) * 2012-10-30 2019-01-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inked note-taking
KR20140091297A (ko) * 2013-01-11 201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감도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6078375B2 (ja) * 2013-02-22 2017-02-08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電子機器の動作方法
JP2014174851A (ja) * 2013-03-11 2014-09-22 Japan Display Inc タッチセンサ装置、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20140282269A1 (en) * 2013-03-13 2014-09-18 Amazon Technologies, Inc. Non-occluded display for hover interactions
US20140267104A1 (en) * 2013-03-18 2014-09-18 Qualcomm Incorporated Optimized adaptive thresholding for touch sensing
KR101963317B1 (ko) * 2013-04-08 2019-03-28 주식회사 지2터치 정전식 터치 검출수단 및 검출방법
KR20140137081A (ko) * 2013-05-22 2014-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태 전환 제어와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기기
KR102140791B1 (ko) * 2013-10-11 2020-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컨트롤러, 터치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 및 터치 센싱 방법
US9606664B2 (en) * 2013-11-13 2017-03-28 Dell Products, Lp Dynamic hover sensitivity and gesture adaptation in a dual display system
JP2015141555A (ja) * 2014-01-29 2015-08-03 シナプティクス・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合同会社 タッチ検出回路及びそれを備える半導体集積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62686A (zh) 2016-10-26
WO2015133847A1 (en) 2015-09-11
EP2916202A1 (en) 2015-09-09
US9791963B2 (en) 2017-10-17
US20150253923A1 (en) 2015-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9006B1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US97919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user input in an electronic device
KR102383103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화면 표시 방법
KR102213190B1 (ko) 홈스크린 구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KR20150099297A (ko)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KR20150134906A (ko) 화면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60018954A1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50091839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
KR20150106719A (ko) 전자 장치의 촬영 위치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KR20150145583A (ko)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135837A (ko) 디스플레이 운용 전자장치 및 방법
US20150339047A1 (en) Method of displaying for user interface effec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50122476A (ko) 제스처 센서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60017904A (ko)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KR20160001438A (ko) 이어 잭 오작동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177802B1 (ko) 멀티 심이 구비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60050983A (ko)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하나 이상의 아이템들을 선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160001076A (ko) 데이터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20150137472A (ko) 전자 장치의 컨텐츠 출력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102241831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운영 방법
KR20160004712A (ko)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통신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KR20160029510A (ko) 인덱스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50125338A (ko) 텍스트 입력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60028299A (ko) 메시지를 구성하는 전자 장치와 방법 및 메시지를 수신하여 실행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방법
KR20150105005A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