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3977A -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3977A
KR20150103977A KR1020140025725A KR20140025725A KR20150103977A KR 20150103977 A KR20150103977 A KR 20150103977A KR 1020140025725 A KR1020140025725 A KR 1020140025725A KR 20140025725 A KR20140025725 A KR 20140025725A KR 20150103977 A KR20150103977 A KR 20150103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pattern
electrode layer
sub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
김인태
이정기
홍범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5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3977A/ko
Priority to US14/638,296 priority patent/US10019126B2/en
Priority to CN201510096495.7A priority patent/CN104898878B/zh
Publication of KR20150103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39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7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sets of wires, e.g. crossed wi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기판; 기판 상에 배치되고, 위치를 감지하는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는 제1 서브패턴; 상기 제1 서브패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서브패턴; 상기 제1 서브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서브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2 전극층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기판; 기판 상에 배치되고, 위치를 감지하는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는 제1 서브패턴; 상기 제1 서브패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서브패턴; 상기 제1 서브패턴 상에 배치되는 전극층; 상기 제1 서브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1 반사방지층; 및 상기 제2 서브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2 반사방지층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윈도우; 및 상기 터치 윈도우 상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윈도우는, 기판; 기판 상에 배치되고, 위치를 감지하는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는 제1 서브패턴; 상기 제1 서브패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서브패턴; 상기 제1 서브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서브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2 전극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OUCH WINDOW AND DISPLAY WITH THE SAME}
본 기재는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전자 제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 등의 입력 장치를 접촉하는 방식으로 입력을 하는 터치 패널이 적용되고 있다.
터치 패널은 대표적으로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과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로 구분될 수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입력 장치에 압력을 가했을 때 전극 간 연결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가 검출된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손가락이 접촉했을 때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가 검출된다. 제조 방식의 편의성 및 센싱력 등을 감안하여 소형 모델에 있어서는 최근 정전 용량 방식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의 투명 전극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은 가격이 비싸고, 기판의 굽힘과 휨에 의해 물리적으로 쉽게 타격을 받아 전극으로의 특성이 악화되고, 이에 의해 플렉시블(flexible) 소자에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형 크기의 터치 패널에 적용할 경우 높은 저항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체 전극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금속 물질을 전극 형상으로 형성하여 ITO를 대체하고자 하나, 금속의 경우, 빛 반사로 인해 시인성이 증가하여 투명 전극의 패턴이 보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메쉬 형성 시, 서브패턴과 전극물질 사이에 에칭액에 의한 언더컷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서브패턴과 전극물질의 밀착력이 감소되고, 전극의 단선가능성이 있다.
실시예는 신뢰성이 향상된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기판; 기판 상에 배치되고, 위치를 감지하는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는 제1 서브패턴; 상기 제1 서브패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서브패턴; 상기 제1 서브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서브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2 전극층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기판; 기판 상에 배치되고, 위치를 감지하는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는 제1 서브패턴; 상기 제1 서브패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서브패턴; 상기 제1 서브패턴 상에 배치되는 전극층; 상기 제1 서브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1 반사방지층; 및 상기 제2 서브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2 반사방지층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윈도우; 및 상기 터치 윈도우 상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윈도우는, 기판; 기판 상에 배치되고, 위치를 감지하는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는 제1 서브패턴; 상기 제1 서브패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서브패턴; 상기 제1 서브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서브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2 전극층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제1 전극층 및 제1 전극층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전극층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전극층의 단락 또는 쇼트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층의 일부가 탈막되거나 단선되더라도 상기 제2 전극층을 통해 이를 보상할 수 있어 전기적 단락을 보상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반사방지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반사방지층을 통해,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상기 전극층의 빛 반사로 인한 시인성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반사방지층이 상기 전극층의 상면뿐만 아니라, 측면의 반사율도 낮출 수 있어, 시인성에 유리하다. 또한, 넓은 시야각에서도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층의 광학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방지층은 상기 전극층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윈도우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Ⅰ-Ⅰ’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B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의 Ⅱ-Ⅱ’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가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10)는 입력 장치(예를 들어, 손가락 등)의 위치를 감지하는 유효 영역(AA)과 이 유효 영역(AA)의 주위에 배치되는 비유효 영역(UA)이 정의되는 기판(1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유효 영역(AA)에는 입력 장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전극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비유효 영역(UA)에는 전극부(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50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비유효 영역(UA)에는 상기 배선(500)에 연결되는 외부 회로 등이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 윈도우에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면, 입력 장치가 접촉된 부분에서 정전 용량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 부분을 접촉 위치로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윈도우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판(100)은 이 위에 형성되는 전극부(200), 배선(500) 및 회로 기판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판(100)은 일례로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100)의 비유효 영역(UA)에 외곽 더미층이 형성된다. 외곽 더미층은 배선(500)과 이 배선(500)을 외부 회로에 연결하는 인쇄 회로 기판 등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게 소정의 색을 가지는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외곽 더미층은 원하는 외관에 적합한 색을 가질 수 있는데, 일례로 흑색 안료 등을 포함하여 흑색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이 외곽 더미층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원하는 로고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외곽 더미층은 증착, 인쇄, 습식 코팅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기판(100) 상에는 전극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부(200)는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전극부(200)가 기판 상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전극부(200)는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부(20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 및 타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두 종류의 전극부(2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극부(200)는 전도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극부(200)는 메쉬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메쉬 형상은 무아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랜덤하게 형성할 수 있다. 무아레 현상이란, 주기적인 줄무늬가 겹쳐져서 생기는 무늬로, 이웃한 줄무늬들이 겹쳐지면서 줄무늬의 굵기가 굵어져 다른 줄무늬에 비해 도드라져 보이는 현상이다. 따라서, 이러한 무아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도성 패턴 형상이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부(200)는 전도성 패턴 개구부(OA) 및 전도성 패턴 선부(LA)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도성 패턴 선부(LA)의 선폭이 0.1 ㎛ 내지 10 ㎛ 가 될 수 있다. 선폭이 0.1 ㎛ 이하인 전도성 패턴 선부(LA)는 제조 공정 상 불가능할 수 있다. 선폭이 10 ㎛ 이하일 경우, 전극부(200)의 패턴이 눈에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도성 패턴 선부(LA)의 선폭은 1 ㎛ 내지 10 ㎛ 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도성 패턴이 규칙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전도성 패턴 개구부(OA)는 사각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도성 패턴 개구부(OA)는 다이아몬드형, 오각형, 육각형의 다각형 형상 또는 원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도성 패턴은 불규칙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하나의 전도성 패턴 내에서 전도성 패턴 개구부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부(200)는 다양한 형상의 전도성 패턴 개구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극부(200)가 메쉬 형상을 가짐으로써, 유효 영역(AA) 상에서 상기 전극부(200)의 패턴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전극부(200)가 금속으로 형성되어도, 패턴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부(200)가 대형 크기의 터치 윈도우에 적용되어도 터치 윈도우의 저항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부(200)가 인쇄 공정으로 형성될 경우, 인쇄 품질을 향상시켜 고품질의 터치 윈도우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부(200)가 플렉서블(flexible) 또는 곡면(curved)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었을 경우 전극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의 벤딩 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극부(200)는 제1 서브패턴(210), 제2 서브패턴(220) 및 전극층(30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는 전극층(300)이 형성되기 전 제1 서브패턴(210) 및 제2 서브패턴(220)만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상기 제1 서브패턴(210) 및 제2 서브패턴(220) 상에 전극층(300)이 형성된 후의 도면이다.
상기 제1 서브패턴(210)은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서브패턴(210)은 상기 메쉬 선부(LA)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서브패턴(210)은 메쉬 형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 서브패턴(210)은 양각일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서브패턴(210)은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가진 제3 서브패턴(211) 및 제4 서브패턴(21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서브패턴(211) 및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서브패턴(2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패턴(220)은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서브패턴(220)은 상기 메쉬 개구부(OA)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서브패턴(220)은 상기 제1 서브패턴(210) 사이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패턴(220)은 양각일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패턴(220)의 선폭은 상기 제1 서브패턴(210)의 선폭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서브패턴(220)은 제5 서브패턴(2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 서브패턴(221)은 상기 제3 서브패턴(211) 및 상기 제4 서브패턴(2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5 서브패턴(221)은 상기 제3 서브패턴(211) 및 상기 제4 서브패턴(212)이 교차하는 부분과 인접한 부분(C)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패턴(210) 및 상기 제2 서브패턴(220)은 수지(resin) 또는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극층(300)은 제1 전극층(310) 및 제2 전극층(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층(310)은 상기 제1 서브패턴(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층(300)은 상기 메쉬 선부(LA)에 배치되고, 상기 전극층(300)은 메쉬 형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전극층(300)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다양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극층(300)은 Cu, Au, Ag, Al, Ti, Ni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층(320)은 상기 제2 서브패턴(2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층(320)은 상기 제2 서브패턴(220)의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전극층(320)은 메쉬 개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층(320)은 상기 제1 서브패턴(210)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서브패턴(2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전극층(320)은 상기 제5 서브패턴(22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전극층(320)은 상기 제3 서브패턴(211) 및 상기 제4 서브패턴(2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전극층(320)은 상기 제3 서브패턴(211) 및 상기 제4 서브패턴(212)이 교차하는 부분과 인접한 부분(C)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전극층(320)은 상기 제5 서브패턴(221)의 일부에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층(320)은 상기 제5 서브패턴(221) 상에서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전극층(320)은 상기 제3 서브패턴(211) 및 상기 제4 서브패턴(212)이 교차하는 부분과 인접한 부분(C) 중 일부에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층(320)은 상기 제1 전극층(310)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극층(320)은 상기 제1 전극층(3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전극층(320)은 상기 제1 전극층(31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층(320)의 두께(T2)는 상기 제1 전극층(310)의 두께(T1)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 전극층(310)의 단락 또는 쇼트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층(310)의 일부가 탈막되거나 단선되더라도 상기 제2 전극층(320)을 통해 이를 보상할 수 있어 전기적 단락을 보상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층(320)의 폭(W2)은 상기 제1 전극층(310)의 폭(W1)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전극층(320)으로 인해 상기 제1 전극층(310)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배선(500)은 상기 비유효 영역(UA)에 형성된다. 상기 배선(500)은 상기 전극부(20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할 수 이다. 상기 배선(500)은 상기 비유효 영역(UA)에 형성되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배선과 연결되는 회로 기판이 더 위치할 수 있다. 회로 기판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인쇄 회로 기판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를 설명한다. 명확하고 간략한 설명을 위해 앞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전극층(300) 상에 반사방지층(4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층(400)은 상기 전극층(3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층(400)은 상기 전극층(300)의 상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층(400)은 제1 전극층(310) 상에 배치되는 제1 반사방지층(410) 및 제2 전극층(320) 상에 배치되는 제2 반사방지층(4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반사방지층(420)은 상기 제5 서브패턴(22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반사방지층(420)은 상기 제3 서브패턴(211) 및 상기 제4 서브패턴(2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반사방지층(420)은 상기 제3 서브패턴(211) 및 상기 제4 서브패턴(212)이 교차하는 부분과 인접한 부분(C)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반사방지층(420)의 폭(W4)은 상기 제1 반사방지층(410)의 폭(W3)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층(400)은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및 금속산화질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층(300)이 제1 금속을 포함할 때, 상기 반사방지층(400)은 상기 제1 금속을 포함하는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방지층(400)은 흑화층일 수 있다.
이러한 반사방지층(400)을 통해,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상기 전극층(300)의 빛 반사로 인한 시인성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반사방지층(400)이 상기 전극층(300)의 상면뿐만 아니라, 측면의 반사율도 낮출 수 있어, 시인성에 유리하다. 또한, 넓은 시야각에서도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층(300)의 광학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방지층(400)은 상기 전극층(300)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윈도우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를 설명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전극부(200)는 제1 서브패턴(210) 및 제2 서브패턴(22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패턴(220)은 제6 서브패턴(222)을 포함한다. 상기 제6 서브패턴(222)은 상기 제1 서브패턴(210)을 따라 배치된다. 즉, 상기 제6 서브패턴(222)은 상기 제2 서브패턴(220) 중에서 상기 제1 서브패턴(210)을 따라 배치되는 패턴이다. 상기 제6 서브패턴(222)은 상기 제1 서브패턴(210)의 인접한 측면에 배치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전극층(301)은 제1 전극층(311) 및 제2 전극층(32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층(311)은 상기 제1 서브패턴(21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전극층(321)은 상기 제6 서브패턴(222)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전극층(321)은 상기 제1 서브패턴(210)을 따라서 배치된다. 즉, 상기 제2 전극층(321)은 상기 제1 전극층(311)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제2 전극층(321)은 상기 제1 전극층(311)의 인접한 측면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2 전극층(321)의 선폭은 상기 제1 전극층(311)의 선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 전극층(321)으로 인해 상기 제1 전극층(311)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층(321)은 상기 제6 서브패턴(222)의 일부에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층(321)은 상기 제6 서브패턴(222) 상에서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전극층(321)은 상기 제1 서브패턴(210)을 따라 배치되는 부분 중 일부에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를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반사방지층(401)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서브패턴(210) 상에 전극층(300)이 배치되고, 상기 반사방지층(401)은 상기 전극층(300) 상에 배치된다. 상기 반사방지층(401)은 제1 반사방지층(411) 및 제2 반사방지층(4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반사방지층(411)은 상기 제1 서브패턴(210) 상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1 반사방지층(411)은 상기 전극층(30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2 반사방지층(412)은 제2 서브패턴(220)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서브패턴(220)은 상기 제1 서브패턴(210)을 따라 배치되는 제6 서브패턴(22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반사방지층(412)은 상기 제6 서브패턴(222) 상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2 반사방지층(412)은 상기 제1 반사방지층(411)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제2 반사방지층(412)은 상기 제1 반사방지층(411)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반사방지층(412)은 상기 제1 반사방지층(411)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방지층(411)은 상기 전극층(300)의 상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2 반사방지층(412)은 상기 제1 반사방지층(411)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전극층(300)의 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2 반사방지층(412)은 상기 제1 반사방지층(411)으로부터 상기 기판(100)을 향해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 반사방지층(412)은 상기 제1 반사방지층(411)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절곡되거나 벤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사방지층(401)의 끝단은 상기 전극층(300)의 상면의 높이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 반사방지층(412)은 상기 전극층(300)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반사방지층(412)은 상기 전극층(300)의 측면의 반사율을 낮출 수 있고, 넓은 시야각에서도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상기 제2 반사방지층(412)이 상기 전극층(300)의 측면과 접촉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제2 반사방지층(412)은 상기 전극층(300)의 측면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반사방지층(412)은 상기 전극층(300)의 측면과 접촉하지 않고,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상기 제2 반사방지층(412)이 상기 제6 서브패턴(222)과 접촉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제2 반사방지층(412)은 상기 제6 서브패턴(222)과 직접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수지(resin)(201’) 상에 패턴이 형성된 몰드(M)를 위치시키고, 임프린팅(imprinting)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임프린팅 공정을 통해 제1 서브패턴(210) 및 제2 서브패턴(220)을 포함하는 기판(10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서브패턴(210) 및 상기 제2 서브패턴(220) 상에 전극물질(3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극물질(300’)은 증착 또는 도금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전극물질(300’)을 에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서브패턴(210) 및 상기 제2 서브패턴(220)의 구조와 상기 전극물질(300’)과의 접합면적 차이에 따라 에칭 면적의 차이가 발생한다. 즉, 상기 제1 서브패턴(210) 및 상기 전극물질(300’)과의 접합면적이 상기 제2 서브패턴(220) 및 상기 전극물질(300’)과의 접합면적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제1 서브패턴(210) 상에 형성되는 전극물질(300’)의 에칭이 적게 일어난다. 즉, 동일한 에칭 속도에 따라, 상기 제1 서브패턴(210) 상에 형성된 전극물질(300’)은 남게되고, 상기 제2 서브패턴(220) 상에 형성된 전극물질(300’)은 대부분 에칭되어 제거된다. 한편, 상기 제2 서브패턴(220)의 일부분에 전극물질(300’)이 남게 되어 제2 전극층(32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전극물질(300’) 상에 반사방지물질을 더 증착하여 반사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6을 참조하면 이러한 터치 윈도우(10)는 구동부인 표시패널(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윈도우(10) 및 표시패널(20)이 합착되어 디스플레이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20)은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표시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되는 표시패널은 일반적으로 상부기판(21) 및 하부기판(2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기판(22)에는 데이터라인, 게이트라인 및 박막트랜지스터(TFT)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기판(21)은 하부기판(22)과 접합되어 하부기판(22) 상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표시패널(2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어떠한 종류의 디스플레이장치인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액정표시장치(LCD),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및 전기영동 표시장치(EPD)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패널(2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기판;
    기판 상에 배치되고, 위치를 감지하는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는 제1 서브패턴;
    상기 제1 서브패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서브패턴보다 작은 선폭을 가지는 제2 서브패턴;
    상기 제1 서브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서브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2 전극층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층은 상기 제2 서브패턴의 일부에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층은 상기 제1 서브패턴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서브패턴 상에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패턴은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가진 제3 서브패턴 및 제4 서브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층은 상기 제3 서브패턴 및 상기 제4 서브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패턴은 상기 제3 서브패턴 및 상기 제4 서브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5 서브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층은 상기 제5 서브패턴 상에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서브패턴은 상기 제3 서브패턴 및 상기 제4 서브패턴이 교차하는 부분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층의 두께는 상기 제1 전극층의 두께보다 두꺼운 터치 윈도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층의 폭은 상기 제1 전극층의 폭보다 작은 터치 윈도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층은 상기 제1 전극층으로부터 연장되는 터치 윈도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층은 상기 제1 전극층과 일체로 형성되는 터치 윈도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배치되는 제1 반사방지층; 및
    상기 제2 전극층 상에 배치되는 제2 반사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방지층은 상기 제1 반사방지층으로부터 연장되는 터치 윈도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방지층은 상기 제1 반사방지층과 일체로 형성되는 터치 윈도우.
  15. 기판;
    기판 상에 배치되고, 위치를 감지하는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는 제1 서브패턴;
    상기 제1 서브패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서브패턴보다 작은 선폭을 가지는 제2 서브패턴;
    상기 제1 서브패턴 상에 배치되는 전극층;
    상기 제1 서브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1 반사방지층; 및
    상기 제2 서브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2 반사방지층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패턴은 상기 제1 서브패턴을 따라 배치되는 제6 서브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반사방지층은 상기 제6 서브패턴 상에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방지층은 상기 제1 반사방지층으로부터 연장되는 터치 윈도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방지층은 상기 제1 반사방지층과 일체로 형성되는 터치 윈도우.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방지층의 폭은 상기 제1 반사방지층의 폭보다 작은 터치 윈도우.
  20. 터치 윈도우; 및
    상기 터치 윈도우 상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윈도우는,
    기판;
    기판 상에 배치되고, 위치를 감지하는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는 제1 서브패턴;
    상기 제1 서브패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서브패턴보다 작은 선폭을 가지는 제2 서브패턴;
    상기 제1 서브패턴 상에 배치되는 전극층;
    상기 제1 서브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1 반사방지층; 및
    상기 제2 서브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2 반사방지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025725A 2014-03-04 2014-03-04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0397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725A KR20150103977A (ko) 2014-03-04 2014-03-04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4/638,296 US10019126B2 (en) 2014-03-04 2015-03-04 Touch window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CN201510096495.7A CN104898878B (zh) 2014-03-04 2015-03-04 触摸窗以及包括该触摸窗的显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725A KR20150103977A (ko) 2014-03-04 2014-03-04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3977A true KR20150103977A (ko) 2015-09-14

Family

ID=54017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725A KR20150103977A (ko) 2014-03-04 2014-03-04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19126B2 (ko)
KR (1) KR20150103977A (ko)
CN (1) CN10489887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08187B2 (en) 2022-03-02 2024-06-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position in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9667B2 (ja) * 2013-09-11 2017-09-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入力機能付き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装置
JP6027296B1 (ja) * 2015-01-30 2016-11-16 株式会社フジクラ 配線体、配線基板、及びタッチセンサ
EP3264235A4 (en) * 2015-02-27 2018-11-07 Fujikura Ltd. Wiring body, wiring substrate, touch sensor, and method for producing wiring body
WO2016178409A1 (ja) * 2015-05-01 2016-11-10 株式会社フジクラ 配線体、配線基板、及びタッチセンサ
KR102411059B1 (ko) 2015-06-10 2022-06-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533076B1 (ko) 2016-05-26 2023-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CN106201071B (zh) 2016-06-29 2019-06-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基板及其制作方法、触控显示装置
CN109212802B (zh) * 2017-07-06 2021-05-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其制备方法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54113B (en) * 2007-12-28 2011-12-11 Ind Tech Res Inst Display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0934957B1 (ko) * 2008-02-22 2010-01-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압전 폴리머 기판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기소자와 그제조방법
KR101001166B1 (ko) 2008-07-16 2010-12-15 (주)이모트 패턴 구조물 제작 방법
US20110007011A1 (en) * 2009-07-13 2011-01-13 Ocular Lcd Inc. Capacitive touch screen with a mesh electrode
US8593413B2 (en) * 2010-03-01 2013-11-26 Cando Corporation Sensory structure of capacitive touch panel and capacitive touch panel having the same
CN103052931A (zh) * 2010-07-30 2013-04-17 Lg伊诺特有限公司 触摸面板
JP5640854B2 (ja) * 2011-03-25 2014-12-17 ソニー株式会社 導電性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配線素子、情報入力装置、表示装置、電子機器、ならびに原盤
KR20120138287A (ko) 2011-06-14 2012-12-26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9154127B2 (en) * 2012-03-06 2015-10-06 Atmel Corporation Touch sensor with conductive lines having portions with different widths
CN103383605A (zh) * 2012-05-04 2013-11-06 恒颢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
JP5224203B1 (ja) * 2012-07-11 2013-07-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センサ、タッチパネル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102009880B1 (ko) * 2012-10-23 2019-08-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메탈 메쉬형 터치 스크린 패널
JP6336744B2 (ja) * 2012-12-03 2018-06-06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電極部材及びこれを含むタッチパネル
CN103176650B (zh) * 2013-03-01 2016-09-28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导电玻璃基板及其制作方法
CN103176656B (zh) * 2013-03-20 2015-05-13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触摸屏及其制造方法
US9066426B2 (en) * 2013-03-28 2015-06-23 Nanchang O-Film Tech. Co., Lt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KR20150031917A (ko) * 2013-09-17 2015-03-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극 플레이트와 이를 이용하는 전기변색 플레이트, 전기변색 미러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99613B1 (ko) * 2014-01-08 2021-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9857906B2 (en) * 2014-01-22 2018-01-02 Lg Innotek Co., Ltd. Touch window
KR102187680B1 (ko) * 2014-02-13 2020-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KR20150103601A (ko) * 2014-03-03 2015-09-11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패널
US9354659B2 (en) * 2014-03-07 2016-05-31 Lg Innotek Co., Ltd. Touch window
TWI545480B (zh) * 2015-01-07 2016-08-1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顯示裝置
KR102281850B1 (ko) * 2015-02-25 2021-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16178409A1 (ja) * 2015-05-01 2016-11-10 株式会社フジクラ 配線体、配線基板、及びタッチセンサ
JP6388558B2 (ja) * 2015-05-29 2018-09-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性フィルム、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および、タッチパネ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08187B2 (en) 2022-03-02 2024-06-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position in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98878A (zh) 2015-09-09
US20150253910A1 (en) 2015-09-10
CN104898878B (zh) 2019-07-30
US10019126B2 (en)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846B1 (ko) 터치 윈도우
KR20150044774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03977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28471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KR102191575B1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75699B1 (ko) 터치패널
TW201439875A (zh) 觸控面板與具有其之觸控裝置
KR20150036903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53238B1 (ko) 터치 윈도우
KR20150107139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37797B1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34010A (ko) 터치윈도우
KR20150084542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08843B1 (ko) 터치 윈도우
KR20150087941A (ko) 전극부재, 이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37791B1 (ko) 터치 윈도우
KR102187469B1 (ko) 터치 윈도우
KR20150087943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KR102074875B1 (ko) 터치 윈도우
KR102237787B1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059B1 (ko) 터치 윈도우
KR102212889B1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87942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98127B1 (ko) 터치 윈도우
KR102212869B1 (ko) 터치 윈도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