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961A - Wireless charging modul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 Google Patents

Wireless charging modul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961A
KR20150094961A KR1020140015911A KR20140015911A KR20150094961A KR 20150094961 A KR20150094961 A KR 20150094961A KR 1020140015911 A KR1020140015911 A KR 1020140015911A KR 20140015911 A KR20140015911 A KR 20140015911A KR 20150094961 A KR20150094961 A KR 20150094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ing
charging module
unit
connector
port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9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준동
채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40015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4961A/en
Priority to PCT/KR2014/002372 priority patent/WO2014148853A1/en
Priority to PCT/KR2014/011856 priority patent/WO2015122611A1/en
Publication of KR20150094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96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wireless charging module, a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module which wirelessly charges portable devices; and a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connected with the attachable/detachable wireless charging module.

Description

무선 충전 모듈,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및 무선 충전 장치{WIRELESS CHARGING MODUL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WIRELESS CHARGING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module, a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충전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충전 모듈,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및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harging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charging module, a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최근,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태블릿 PC 등과 같이 이동성 및 휴대성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휴대 기기들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기기들은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으며,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배터리를 재충전하여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배터리 충전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크게 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명 방식, 및 전자기파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에 적용되는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여러 개의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portab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mobile phone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MP3 players, digital cameras, notebooks, and tablet PCs have been widely used to meet user's demands for mobility and portability. Generally, portable devices have a built-in battery and recharge the battery when the battery is discharged. Here, a technique for wirelessly charging a battery to maximize the convenience of charging the battery is being developed.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a magnetic induction system, a magnetic resonance system, and an electromagnetic wave system. In this case, a plurality of wireless charging devices must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scheme applied to the portable device.

한편, 휴대 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경우,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가 소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무선 충전 여부가 결정되는데, 최근의 휴대 기기들은 그 종류 및 크기가 다양하기 때문에 각 휴대 기기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휴대 기기까지의 거리가 달라지게 된다. 반면, 종래의 무선 충전 장치는 충전 모듈이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휴대 기기를 충전하기 때문에, 휴대 기기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휴대 기기가 제대로 무선 충전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무선 충전하는 동안 휴대 기기를 일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수단이 없어 외부 충격이 발생하거나 흔들림이 발생하였을 때 휴대 기기가 제 위치를 벗어나 무선 충전이 안되거나 무선 충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Meanwhile, when charging the portable device wirelessly, whether or not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ortable device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s determined. Since recent types of portable devices have various types and sizes, The distance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o the mobile device will vary depending on the type and size of the mobile device. 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wireless charging device, since the charging module is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to charge the portable device, the portable device may not be properly charged depending on the type and size of the portable device. Furth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when the portable device is not in a fixed position during wireless charging, the portable device is out of position when an external shock or shaking occurs.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5886호(2012.08.21)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2-0005886 (Aug. 21, 2012)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무선 충전 방식에 적용할 수 있는 무선 충전 모듈,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및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wireless charging module, a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wireless charging schem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충전 모듈,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및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wireless charging module, a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하거나 무선 충전하는 동안 휴대 기기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무선 충전 모듈,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및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module, a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capable of fixing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device while guiding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device or wirelessly charging the portable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 모듈; 및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을 수납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를 포함한다.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module that wirelessly charges a portable device; And a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for receiving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상기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 방식과 대응되는 무선 충전 모듈이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에 교환 장착될 수 있다.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mode can be exchang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ccor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of the portable device.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자기 공명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및 전자기파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자기 공명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및 전자기파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의 제1 커넥터는 서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는, 상기 제1 커넥터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1 커넥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one of a wireless charging module of a magnetic induction type, a wireless charging module of a magnetic resonance type, and a wireless charging module of an electromagnetic wave type,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of the magnetic induction type, And a first connector of a wireless charging module of an electromagnetic wave type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with each other, and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includes a second connector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or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can do.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무선 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module may include a wireless charging unit movably form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 수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무선 충전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무선 충전부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cludes: a housing part accommodat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 wireless charging unit movably formed in the housing unit; And a movement adjusting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unit and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er unit and capable of moving the wireless charger unit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상기 이동 조정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무선 충전부를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movement adjusting unit can be slidably moved along one side of the housing unit to move the wireless charger unit in a direction parallel to one side of the housing unit.

상기 이동 조정부는, 축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축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부를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movement adjusting unit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bout an axis, and the wireless charger unit can be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surface of the housing unit along the axis rotation direction.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는, 상기 휴대 기기의 전부 또는 일부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휴대 기기 거치부; 및 상기 휴대 기기 거치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휴대 기기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comprises: a portable device mounting portion in which all or a part of the portable device is inserted; And at least one portable device guide portion formed in the portable device mount portion and guiding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device.

상기 휴대 기기 가이드부는, 상기 휴대 기기를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무선 충전부와 대응되는 위치로 가이드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The portable device guide unit may guide and fix the portable devic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unit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로 삽입하여 수납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로 삽입되는 깊이가 조절될 수 있다.The wireless recharging module is inserted into the wireless recharging module deck so that the depth of insertion of the wireless recharging module into the wireless recharging module deck can be adjusted.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삽입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요철부; 및 상기 무선 충전 모듈에 형성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삽입 시 상기 요철부와 맞물려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이 고정되도록 하거나 상기 요철부의 돌기를 타고 넘으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이 이동되도록 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omprises: a concave / convex portion form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to protr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along an inserting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a protrusion formed o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to allow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to be fixed by being engaged with the uneven portion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inserted or to allow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to move while riding on the projection of the uneven portion have.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 형성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이 인출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인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guide rail form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for guiding movement of the protrusion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withdrawn, wherein one side of the protrusion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ing The module can be moved in the drawing direction.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인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module may be formed to be capable of being drawn into or drawn out from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movable in a drawing direction or a drawing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내에 형성되는 무선 충전부;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내의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커넥터; 상기 무선 충전부와 상기 제1 커넥터를 연결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및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 형성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인입 시 상기 제1 커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harging unit form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 first connector movably formed along a guide groove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 flexible cable connecting the wireless charging unit and the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form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inserted.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부의 위치가 상기 휴대 기기의 전력 수신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인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module may move in a pull-in direction or a pull-out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unit corresponds to the power receiving unit of the portable device.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내에 형성되는 무선 충전부; 상기 무선 충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에서 돌출하여 형성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 형성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인입 또는 인출 시 상기 제1 커넥터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넥터와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는 제2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harging unit form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 first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er and protruding from the wireless charger module; And a second connector form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includ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first connector is pulled in or out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pulled in or pulled out and which maintains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first connector .

상기 제1 커넥터의 상측에는 상기 제1 커넥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접속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커넥터의 내부에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인입 또는 인출 시 상기 접속 패턴을 따라 상기 접속 패턴과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A connection pattern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nnecto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ttern along the connection pattern when the first connector is pulled out or drawn out, May be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은,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 모듈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무선 충전 모듈 데크에 수납되어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charging module for wirelessly charging a portable device.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housed in a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자기 공명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및 전자기파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중 어느 하나이고,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자기 공명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및 전자기파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중 상기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방식과 대응되는 무선 충전 모듈이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에 장착될 수 있다.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one of a wireless charging module of a magnetic induction type, a wireless charging module of a magnetic resonance type, and a wireless charging module of an electromagnetic wave type,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being a magnetic induction type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a wireless charging module corresponding to a wireless charging method of the portable device among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type may be mounted o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상기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자기 공명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및 전자기파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의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와 결합되는 제1 커넥터는 서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 coupl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of the magnetic induction type wireless charging module, the magnetic resonance type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the electromagnetic wave type wireless charging module may b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무선 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module may include a wireless charging unit movably form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 수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무선 충전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무선 충전부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cludes: a housing part accommodat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 wireless charging unit movably formed in the housing unit; And a movement adjusting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unit and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er unit and capable of moving the wireless charger unit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상기 이동 조정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무선 충전부를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movement adjusting unit can be slidably moved along one side of the housing unit to move the wireless charger unit in a direction parallel to one side of the housing unit.

상기 이동 조정부는, 축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축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부를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movement adjusting unit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bout an axis, and the wireless charger unit can be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surface of the housing unit along the axis rotation direction.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로 삽입하여 수납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로 삽입되는 깊이가 조절될 수 있다.The wireless recharging module is inserted into the wireless recharging module deck so that the depth of insertion of the wireless recharging module into the wireless recharging module deck can be adjusted.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삽입 시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삽입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요철부와 맞물려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이 고정되도록 하거나 상기 요철부의 돌기를 타고 넘으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이 이동되도록 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wireless recharging module is adapted to engage with a concavo-convex portion formed by protruding a plurality of projections along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wireless recharging module in the wireless recharging module deck when the wireless recharging module is inserted, And a protrusion for allowing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to move while riding on the projection of the concave / convex portion.

상기 돌출부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이 인출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의 일측이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인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pulled out, one side of the protrusion can move along the guide rail form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in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인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module may be formed to be capable of being drawn into or drawn out from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movable in a drawing direction or a drawing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 형성되는 무선 충전부; 상기 하우징부 내의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무선 충전부와 상기 제1 커넥터를 연결하는 플렉서블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인입 또는 인출 방향으로의 이동 시에도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의 제2 커넥터와 전기적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cludes: a housing part; A wireless charging unit formed in the housing unit; A first connector movably formed along a guide groove in the housing portion; And a flexible cable for connecting the wireless charging unit and the first connector, wherein the first connec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moved in the pull-in or pull- Lt; / RTI >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부의 위치가 상기 휴대 기기의 전력 수신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인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module may move in a pull-in direction or a pull-out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unit corresponds to the power receiving unit of the portable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 데크는,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 모듈이 수납되는 수납홈을 구비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 내에서 상기 수납홈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한다.A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ortion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a wireless charging module for wirelessly charging a portable device; And a connector port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in the base portion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 방식과 대응되는 무선 충전 모듈이 교환 장착될 수 있다.The connector unit may be replaced with a wireless charging module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scheme according to a wireless charging scheme of the portable device.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커넥터부와 결합되도록 서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1 커넥터를 각각 구비한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자기 공명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및 전자기파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무선 충전 모듈과 결합될 수 있다.The connector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agnetic induction type wireless charging module, a magnetic resonance type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an electromagnetic wave type wireless charging module each having a first connector formed at the same position to be coupled to the connector unit May be combined with a wireless charging module.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는, 상기 휴대 기기의 전부 또는 일부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휴대 기기 거치부; 및 상기 휴대 기기 거치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휴대 기기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comprises: a portable device mounting portion in which all or a part of the portable device is inserted; And at least one portable device guide portion formed in the portable device mount portion and guiding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device.

상기 휴대 기기 가이드부는, 상기 휴대 기기를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무선 충전부와 대응되는 위치로 가이드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The portable device guide unit may guide and fix the portable devic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unit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는,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충전 상태 및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알려주는 상태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may further include a status notification unit formed on the base unit and indicating at least one of a charging status of the portable device and a receiving status of the portable device.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수납홈으로 삽입하여 수납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삽입되는 깊이가 조절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depth of inser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can be adjusted.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삽입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요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삽입 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에 형성되는 돌출부가 상기 요철부와 맞물려 고정되거나 상기 요철부의 돌기를 타고 넘으면서 이동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may further include a concave-convex portion formed by protruding a plurality of projections along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cludes: The protrusions formed o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may be fixedly engaged with the protrusions or moved over the protrusions of the protrusions.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 형성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이 인출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인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further comprises a guide rail form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guiding movement of the protrusion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withdrawn, It is possible to move in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charging module.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수납홈으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인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module may be formed to be capable of being drawn into or drawn out from the receiving groove and movable in a drawing direction or a drawing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 형성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제1 커넥터와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는 제2 커넥터; 상기 제2 커넥터 내에 형성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인입 또는 인출 시 상기 제1 커넥터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삽입홈; 및 상기 제2 커넥터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인입 또는 인출 시 상기 제1 커넥터에 형성된 접속 패턴을 따라 상기 접속 패턴과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comprising: a second connector form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maintaining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first connector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second connector and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is inserted or extracted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inserted or extracted; And a connection member formed in the second connecto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ttern along a connection pattern formed in the first connector when the first connector is pulled out or drawn ou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충전 모듈이 무선 충전 모듈 데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그와 대응되는 무선 충전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을 무선 충전 모듈 데크에 교환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하나의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다양한 무선 충전 방식의 휴대 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선 충전 모듈 내의 무선 충전부를 이동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무선 충전부를 휴대 기기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켜 무선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선 충전 모듈 데크에 거치되는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부의 위치로 가이드하여 유도함으로써, 하나의 무선 충전 모듈을 통해 다양한 크기의 휴대 기기들을 무선 충전시키면서 무선 충전 효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서 무선 충전 모듈 자체를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무선 충전 모듈의 무선 충전부를 휴대 기기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무선 충전 모듈과 무선 충전 모듈 데크는 전기적 접속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so that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of the wireless charging type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of the portable device is replaced . In this case, various wireless charging type portable devices can be charged through one wireless charging device. In addition, by forming the wireless charging unit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so as to be movable, the wireless charging unit can be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able device, thereby improving the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Also, by guiding and guiding the portable device plac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to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unit,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can be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while wirelessly charging portable devices of various sizes through one wireless charging module. In addition, by making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tself movable with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the wireless charging unit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can be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able device. At this time,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can maintain the electrical conn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여러 개의 무선 충전 모듈 중 어느 하나가 무선 충전 모듈 데크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 가이드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무선 충전 모듈이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서 위치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무선 충전 모듈의 삽입 깊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무선 충전 모듈과 무선 충전 모듈 데크 간의 전기적 접속이 유지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무선 충전 모듈과 무선 충전 모듈 데크 간의 전기적 접속이 유지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one of a plurality of wireless charging modules is mounted on a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in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device guide unit is formed in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mov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depth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adjusted i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is maintained i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is maintained i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an exemplary embodiment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lso,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a means for efficiently describ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베이스부(141)의 내부를 도시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nside of the base portion 141 is shown. 3 is a front view showing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는 무선 충전 모듈(102) 및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를 포함한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차량 구조물(예를 들어, 센터페시아, 글로브 박스, 차량 도어, 센터 콘솔, 암레스트, 차량 좌석 등) 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100)는 실내 구조물(예를 들어, 가구, 벽면, 전자 기기 등) 내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100)는 별도의 구조물에 장착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100)는 책상 또는 탁자 등에 놓인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1 to 3,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and a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may be mounted within a vehicle structure (e.g., center fascia, glove box, vehicle door, center console, arm rest, vehicle seat, etc.).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may also be mounted within an interior structure (e.g., furniture, walls, electronics, etc.). Als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may be used independently without being mounted on a separate structure. For exampl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can be used on a desk or table.

무선 충전 모듈(102)은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휴대 기기(5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태블릿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휴대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2)은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 내에 수납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2)은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그와 대응되는 무선 충전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102)를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에 교환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 내에 장착된 무선 충전 모듈(102)의 무선 충전 방식이 자기 유도 방식이고, 무선 충전시키고자 하는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 방식이 자기 공명 방식인 경우,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102)을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에서 탈착시킨 후, 자기 공명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102)을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에 교환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 내에 장착된 무선 충전 모듈(102)의 무선 충전 방식이 자기 유도 방식 중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방식이고, 무선 충전시키고자 하는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 방식이 자기 유도 방식 중 PMA(Power Matters Alliance) 방식인 경우, WPC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102)을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에서 탈착시킨 후, PMA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102)을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에 교환 장착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2)의 무선 충전 방식은 자기 유도 방식(WPC 방식 및 PMA 방식), 자기 공명 방식, 및 전자기파 방식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 모듈(102)의 무선 충전 방식은 그 이외에 다양한 무선 충전 방식(앞으로 개발될 무선 충전 방식도 포함)일 수 있다.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wirelessly charges the portable device 50. The portable device 50 may be, for example,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a tablet PC,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Equipment may be applied.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may be housed with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may be removably coupled 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In this case,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of the wireless charging type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of the portable device 50 can be exchanged and install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For example, when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mount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is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and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of the portable device 50 to be wirelessly charged is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of the magnetic resonance type may be replac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after the magnetic charging module 102 is detach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install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may be a wireless charging system of the magnetic induction type and a wireless charging system of the portable device 50 to be wirelessly charged In the case of the PMA (Power Matrix Alliance) scheme,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of the WPC scheme is detach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and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of the PMA scheme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t can be exchanged and mounted on the deck 104.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may be any of a magnetic induction method (WPC method and PMA method), a magnetic resonance method, and an electromagnetic wave metho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may be various wireless charging methods (including wireless charging method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무선 충전 모듈(102)은 하우징부(111), 무선 충전부(113), 충전 제어부(115), 충전부 수납부(117), 이동 조정부(119), 제1 커넥터(121), 제1 가이드부(123), 및 제2 가이드부(125)를 포함한다.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includes a housing unit 111, a wireless charging unit 113, a charging control unit 115, a charging unit storage unit 117, a movement adjusting unit 119, a first connector 121, 123, and a second guide portion 125. [

하우징부(111)는 무선 충전 모듈(102)의 케이스 역할을 한다. 하우징부(111)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 내에 수납될 수 있다. 하우징부(111)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의 일측에서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의 내부로 슬라이드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부(111)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에 안착되어 수납될 수도 있다.The housing part 111 serves as a case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The housing portion 111 may be hous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The housing part 111 may be inserted in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from one side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and inserted therei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housing part 111 may be seated and accommodat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at the top or bottom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

무선 충전부(113)는 휴대 기기(50)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여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무선 충전부(113)는 하우징부(111) 내에서 충전부 수납부(117)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부(113)는 전력 송신부(113-1) 및 받침부(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송신부(113-1)는 받침부(113-2) 상에 형성된다. 전력 송신부(113-1)는 무선 전력을 방사하여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전력 송신부(113-1)는 예를 들어, 충전 코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전력 송신부(113-1)는 충전 코일이 여러 번 권선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력 송신부(113-1)는 충전 코일이 원형으로 권선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전 코일이 타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형태로 권선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력 송신부(113-1)로는 안테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받침부(113-2)는 전력 송신부(113-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무선 충전부(113)는 하우징부(111)의 폭 방향 및 하우징부(111)의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50)의 종류 및 크기에 관계 없이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wireless charging unit 113 transmits wireless power to the portable device 50 to charge the portable device 50 wirelessly.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3 may be formed in the charging unit housing unit 117 in the housing unit 111.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3 may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unit 113-1 and a receiving unit 113-2. The power transmitting section 113-1 is formed on the receiving section 113-2. The power transmitter 113-1 radiates radio power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portable device 50. [ For example, a charging coil may be used as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13-1. At this tim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13-1 may be formed by winding the charging coil several times. The power transmitting unit 113-1 may be formed by winding the charging coil in a circular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harging coil may be formed by winding in the form of an ellipse or a rectangle. An antenna may be used as the power transmitting unit 113-1. The receiving portion 113-2 serves to support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113-1.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3 may be formed to be movable in at least one of a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unit 111 and a length direction of the housing unit 111. [ In this case, wireless charging of the portable device 50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regardless of the type and size of the portable device 50.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충전 제어부(115)는 하우징부(111) 내에 형성된다. 충전 제어부(115)는 무선 충전부(113)의 동작을 제어한다. 충전 제어부(115)는 플렉서블 케이블(127)을 통해 전력 송신부(1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충전 제어부(115)와 전력 송신부(113-1)를 플렉서블 케이블(127)로 연결하는 경우, 무선 충전부(113)가 하우징부(111) 내에서 이동하더라도 충전 제어부(115)와 전력 송신부(113-1)를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The charge control section 115 is formed in the housing section 111. The charging control unit 115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3. [ The charge control unit 115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13-1 through the flexible cable 127. [ Even when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3 moves within the housing unit 111, the charging control unit 115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13-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flexible cable 127, 1) can be stably connected.

충전부 수납부(117)는 하우징부(111) 내에서 무선 충전부(113)를 수납한다. 충전부 수납부(117)는 내부에 무선 충전부(113)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구비한다. 무선 충전부(113)는 충전부 수납부(117) 내에서 고정되어 수납될 수 있다. 충전부 수납부(117)는 하우징부(111)의 폭 방향 및 하우징부(111)의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무선 충전부(113)는 충전부 수납부(117)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The charging part housing part 117 houses the wireless charging part 113 in the housing part 111. [ The charging part housing part 117 has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part 113 can be housed.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3 can be fixed and accommodated in the charging unit storage unit 117. [ The charging part housing part 117 may be formed to be movable in at least one of a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part 111 and a length direction of the housing part 111. [ At this time,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3 moves together with the charging unit storage unit 117.

이동 조정부(119)는 하우징부(111)의 전면을 관통하여 충전부 수납부(117)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 조정부(119)는 하우징부(111)의 측면을 관통하여 충전부 수납부(117)와 결합될 수도 있다. 충전부 수납부(117)의 이동 조정부(119)를 향하는 측면에는 결합부(117-a)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조정부(119)의 일측은 하우징부(111)의 전면(즉, 하우징부(111)의 일측)에서 돌출될 수 있다. 이동 조정부(119)의 타측은 결합부(117-a)와 결합될 수 있다. 이동 조정부(119)의 타측은 결합부(117-a)를 관통하면서 결합부(117-a)와 결합될 수 있다. 이동 조정부(119)의 외주면에는 나사부(119-a)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17-a)에는 나사부(119-a)와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동 조정부(119)와 결합부(117-a)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The movement adjusting unit 119 may be coupled with the charging unit storage unit 117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unit 111.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movement adjusting section 119 may be coupled with the charging section accommodating section 117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section 111. The engaging portion 117-a may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charging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117 facing the movement adjusting portion 119. One side of the movement adjusting section 119 may protrud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section 111 (i.e., one side of the housing section 111). The other side of the movement adjusting section 119 can be engaged with the engaging section 117-a. The other side of the movement adjusting section 119 can be engaged with the engaging section 117-a while penetrating the engaging section 117-a. A screw portion 119-a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vement adjusting portion 119. A thread corresponding to the threaded portion 119-a is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117-a so that the movement adjustment portion 119 and the coupling portion 117-a can be screwed together.

여기서, 사용자가 하우징부(111)의 전면에서 돌출된 이동 조정부(119)의 일측을 회전시키면, 충전부 수납부(117)의 결합부(117-a)가 이동 조정부(119)의 나사부(119-a)를 따라(즉, 하우징부(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무선 충전부(113)는 충전부 수납부(117)에 수납되므로, 충전부 수납부(117)와 함께 하우징부(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동 조정부(119)의 일측의 회전 방향에 따라 충전부 수납부(117)가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하우징부(111)의 전면에는 휴대 기기(50)의 기종 또는 크기에 따라 이동 조정부(119)를 어느 방향으로 얼마만큼 회전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설명이 표시될 수 있다. 하우징부(111)의 전면 및 하우징부(111)의 전면에서 돌출된 이동 조정부(119)의 일측에는 이동 조정부(119)의 회전 횟수(또는 회전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기준선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When the user rotates one side of the movement adjusting portion 119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111, the engaging portion 117-a of the charging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117 is engaged with the screw portion 119- (that i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portion 111).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3 is accommodated in the charging unit housing unit 117 and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unit 111 together with the charging unit housing unit 117. [ At this time, the charging part accommodating part 117 moves upward or downwar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movement adjusting part 119. A description may be display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11 as to how much the movement adjusting part 119 should be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r size of the portable device 50. [ A reference line may be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11 and on one side of the movement adjusting part 119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11 so as to check the number of rotations .

이동 조정부(119)의 종단에는 걸림부(119-b)가 형성될 수 있다. 충전부 수납부(117)의 결합부(117-a)가 나사부(119-a)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걸림부(119-b)에 걸림되어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게 된다. 나사부(119-a)의 길이는 충전부 수납부(117)가 하우징부(1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된다. 걸림부(119-b)는 결합부(117-a)의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결합부(117-a)가 나사부(119-a)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At the end of the movement adjusting section 119, a latching part 119-b may be formed. When the engaging portion 117-a of the recharging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117 moves downward along the screw portion 119-a, the engaging portion 117-b is caught by the engaging portion 119-b to restrict the downward movement. The length of the threaded portion 119-a becomes a distance at which the charging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117 can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portion 111. [ The engaging portion 119-b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engaging portion 117-a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reby preventing the engaging portion 117-a from escaping from the screw portion 119-a.

여기서는, 무선 충전부(113)가 충전부 수납부(117)에 수납되고, 이동 조정부(119)가 충전부 수납부(117)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전부 수납부(117) 없이 이동 조정부(119)가 무선 충전부(113)에 직접 결합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조정부(119)의 나사부(119-a)가 무선 충전부(113)의 받침부(113-2)와 나사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받침부(113-2)에는 나사부(119-a)가 삽입되는 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홀(미도시)에는 나사부(119-a)와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Here, although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3 is shown as being housed in the charging unit housing unit 117 and the movement adjusting unit 119 is coupled to the charging unit housing unit 117,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adjustment unit 119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3. [ For example, the screw portion 119-a of the movement adjusting portion 119 may be screwed to the receiving portion 113-2 of the wireless charging portion 113. [ At this time, an insertion hol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screw 119-a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113-2. In the insertion hole (not shown), a thread corresponding to the screw 119- .

한편, 하우징부(111)의 전면에는 하우징부(111)의 폭 방향을 따라 가이드 슬릿(129)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조정부(119)는 가이드 슬릿(129)을 따라 하우징부(111)의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충전부 수납부(117)(그리고, 무선 충전부(113))는 이동 조정부(119)와 함께 하우징부(111)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하우징부(111)의 전면에는 이동 조정부(119)의 이동 거리에 따른 눈금이 예를 들어, cm 또는 mm 단위로 표시되거나, 휴대 기기(50)의 기종 또는 크기에 따른 식별자(즉, 휴대 기기(50)의 기종 또는 크기에 따라 이동 조정부(119)를 폭 방향으로 얼마만큼 이동시켜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조정부(119)를 통해 충전부 수납부(117)를 하우징부(111)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무선 충전부(113)가 하우징부(111) 내에서 하우징부(111)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휴대 기기(50)의 기종 또는 크기에 따라 무선 충전부(113)를 무선 충전 효율이 최대가 되는 위치(또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위치)(즉, 휴대 기기(50)의 전력 수신부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11, a guide slit 129 may be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part 111. The movement adjusting section 119 can mov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section 111 along the guide slit 129. [ At this time, the charging part housing part 117 (and the wireless charging part 113) moves together with the movement adjusting part 119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part 111. A scale corresponding to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vement adjusting unit 119 may be display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unit 111 in units of cm or mm or an identifier according to the type or size of the portable device 50 An identifier indicating how much the movement adjusting unit 119 should be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according to the type or size of the display unit 50). The charging part housing part 117 can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part 111 through the movement adjusting part 119 so that the wireless charging part 113 can be moved in the housing part 111 So that it can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part 111. Therefore, depending on the type or size of the portable device 50,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3 can be set at a position where the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becomes the maximum (or a position where wireless charging is possible) (i.e.,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wer receiving unit of the portable device 50 ). ≪ / RTI >

여기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이동 조정부(119)를 조작하여 무선 충전부(113)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 조정부(119)는 전자식으로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 및 기어 등을 이용하여 이동 조정부(119)를 회전시키거나 가이드 슬릿(129)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무선 충전부(113)를 하우징부(111)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자동 이동시킬 수도 있다.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user manually operates the movement adjusting unit 119 to move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3,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movement adjusting unit 119 can be operated electronically. The wireless charger 113 is automatically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part 111 by rotating the movement adjusting part 119 or moving the guide adjusting part 119 along the guide slit 129 by using a motor, .

또한, 무선 충전 장치(100)는 무선 충전부(113)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충전부 위치 확인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 위치 확인부(미도시)는 무선 충전부(113)의 이동 동작과 연동하여 무선 충전부(113)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충전부 위치 확인부(미도시)는 예를 들어, 무선 충전부(113)의 중심에 형성되는 조명(또는 인디케이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부(111) 및 베이스부(141)는 상기 조명에서 발생하는 빛을 확인할 수 있는 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전부 위치 확인부(미도시)는 무선 충전부(113)가 이동하는 영역과 대응되는 부분의 하우징부(111) 및 베이스부(141)를 투명 재질로 형성하여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무선 충전부(113)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구현 할 수도 있다. 또는, 충전부 위치 확인부(미도시)는 받침부(113-1)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unit position checking unit (not shown) for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3. The charging unit position confirming unit (not shown) notifies the user of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3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3. (Not shown) may include a light (or an indicator) formed at the center of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3, for example. At this time, the housing part 111 and the base part 141 may be made of a material (for example, plastic) capable of confirming light generated in the illumin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charging unit position determination unit (not shown) may be realized by forming the housing unit 111 and the base unit 141, which correspond to the region where the wireless charger unit 113 moves, The user may confirm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3. [ Alternatively, the charger positioning unit (not shown) may include a projec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receiving unit 113-1.

제1 커넥터(121)는 하우징부(111)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21)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이다. 무선 충전 모듈(102)은 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명 방식, 및 전자기파 방식 모두 제1 커넥터(121)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무선 충전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102)을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에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The first connector 121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part 111. The first connector 121 is a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may b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with the first connector 121 in both the magnetic induction type, the magnetic resonance type, and the electromagnetic wave type. In this case,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of the wireless charging type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of the portable device 50 can be mount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

제1 가이드부(123)는 하우징부(111)의 내부에서 하우징부(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1 가이드부(123)는 충전부 수납부(117)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가이드부(123)는 충전부 수납부(117)의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가이드부(123)는 충전부 수납부(117)가 하우징부(1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충전부 수납부(117)는 이동 조정부(119)의 회전 시 제1 가이드부(123)를 따라 하우징부(1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 가이드부(123)는 충전부 수납부(117)의 측면과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가이드부(123)는 충전부 수납부(117)의 측면을 단순 지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first guide part 123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part 111 in the housing part 111. [ The first guide part 123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harging part housing part 117.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guide part 123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harging part housing part 117. The first guide part 123 serves to guide the charging part housing part 117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part 111. That is, the charging part housing part 117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part 111 along the first guide part 123 when the movement adjusting part 119 rotates. The first guide part 123 can be slidably engaged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harging part housing part 117.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irst guide part 123 may be formed to simply support the side surface of the charging part housing part 117.

제2 가이드부(125)는 하우징부(111)의 내부에서 하우징부(111)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2 가이드부(125)는 충전부 수납부(117)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25)는 충전부 수납부(117)가 하우징부(111)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충전부 수납부(117)는 이동 조정부(119)가 가이드 슬릿(129)을 따라 이동할 때 제2 가이드부(125)를 따라 하우징부(111)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 가이드부(125)는 충전부 수납부(117)의 하부면과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가이드부(125)는 충전부 수납부(117)의 하부면을 단순 지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second guide portion 125 is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portion 111 in the housing portion 111. [ The second guide portion 125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harging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117. The second guide part 125 serves to guide the charging part accommodating part 117 to mov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part 111. That is, the charging part housing part 117 mov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part 111 along the second guide part 125 when the movement adjusting part 119 moves along the guide slit 129. The second guide portion 125 can be slidably engaged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harging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117.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guide part 125 may be formed to simply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charging part receiving part 117.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는 무선 충전 모듈(102)을 수납한다.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는 베이스부(141), 수납홈(143), 제2 커넥터(145), 휴대 기기 거치부(147), 커버(149), 자외선 조사부(151), 유선 접속부(153), 및 상태 알림부(155)를 포함한다.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는 차량 구조물 또는 실내 구조물 내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구조물에 장착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houses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includes a base portion 141, a receiving groove 143, a second connector 145, a portable device mounting portion 147, a cover 149, an ultraviolet irradiating portion 151, a wire connecting portion 153 ), And a status notification unit 155.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may be mounted in a vehicle structure or an indoor structu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used independently without being mounted on a separate structure.

베이스부(141)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부(141)는 휴대 기기(50)와 같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베이스부(141)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사다리꼴, 정사각형, 오각형 등)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ase portion 141 may be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base portion 14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such as the portable device 50. However, the shape of the base portion 141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formed in various other shapes (e.g., circular, oval, trapezoid, square, pentagon, etc.).

수납홈(143)은 베이스부(141)에 형성된다. 수납홈(143)에는 무선 충전 모듈(102)이 수납된다. 여기서는, 베이스부(141)의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수납홈(143)이 형성되어 무선 충전 모듈(102)이 베이스부(141)의 일측에서 수납홈(143)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부(141)의 상부 또는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수납홈(143)이 형성되어 무선 충전 모듈(102)이 베이스부(141)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수납홈(143)에 안착될 수도 있다. The receiving groove 143 is formed in the base portion 141. A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is housed in the receiving groove 143. Although the receiving groove 143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141 is open and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43 from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141, The receiving groove 143 is formed so that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41 is opened so that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can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43 in the upper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41, Lt; / RTI >

제2 커넥터(145)는 수납홈(143)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넥터(145)는 무선 충전 모듈(102)의 제1 커넥터(12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모듈(102)이 수납홈(143)에 삽입되면서 제1 커넥터(121)와 제2 커넥터(145)가 접속될 수 있다. 제2 커넥터(145)는 베이스부(141) 내에 형성되는 전원 공급부(16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61)는 무선 충전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공급부(161)는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전원부(예를 들어, 상용 전원 또는 차량 배터리 등)와 연결될 수도 있다.The second connector 145 may be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143. The second connector 14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21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or 121 and the second connector 145 may be connected while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43. The second connector 145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61 formed in the base portion 141. The power supply unit 161 serves to supply power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The power supply unit 161 may be a batter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 power source (e.g., a commercial power source, a vehicle battery, or the like).

휴대 기기 거치부(147)는 베이스부(141)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거치부(147)는 베이스부(141)의 일측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휴대 기기 거치부(147)는 휴대 기기(50)를 거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휴대 기기 거치부(147)는 휴대 기기(5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수납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휴대 기기(50)의 일부가 휴대 기기 거치부(147)에 삽입되는 경우, 휴대 기기(50)는 베이스부(141)의 상면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거치부(147)는 휴대 기기(50)의 측면이 안착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휴대 기기 거치부(147)의 내면에는 보호 패드(165)가 형성될 수 있다. 보호 패드(165)는 휴대 기기 거치부(147)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 패드(165)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거치부(147)에 수납될 때, 휴대 기기(50)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보호 패드(165)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거치부(147) 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호 패드(165)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 패드(165)에는 복수 개의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The portable device mounting portion 147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ase portion 14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portable device mounting portion 147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141. The portable device mounting portion 147 serves to mount the portable device 50. The portable device mounting portion 147 may be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so that a part of the portable device 50 is inserted. When a part of the portable device 50 is inserted into the portable device mounting portion 147, the portable device 50 is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4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ortable device mounting portion 147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ide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50 can be seated. A protective pad 165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mounting portion 147. The protective pad 165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mounting portion 147,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otection pad 165 can reduce the impact applied to the portable device 50 when the portable device 50 is housed in the portable device mounting portion 147. In addition, the protection pad 165 may prevent the portable device 50 from sliding in the portable device mounting portion 147. The protection pad 165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e.g., rubber, silicone, urethane, etc.). The protection pad 165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커버(149)는 휴대 기기 거치부(147)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커버(149)는 힌지(143)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휴대 기기 거치부(147)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149)는 베이스부(141)의 상단 또는 베이스부(141)의 일측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커버(149)는 휴대 기기 거치부(147)에 거치된 휴대 기기(50)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커버(149)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149)는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여 형성되거나 표면에 자외선 차단 코팅제가 도포될 수 있다. The cover 149 can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ortable device mount 147. At this time, the cover 149 can be hinged to the portable device mount 147 rotatably through the hinge 143.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ver 149 may be rotatably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base portion 141 or one side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41. [ The cover 149 serves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portable device 50 held by the portable device mounting portion 147. The cover 149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cover 149 may be formed to include an ultraviolet screening agent or may be coated with an ultraviolet screening coating on the surface.

자외선 조사부(151)는 무선 충전 장치(100)에 거치된 휴대 기기(50)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휴대 기기(50)를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자외선 조사부(151)는 커버(149)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부(141)의 전면(즉, 휴대 기기(50)가 지지되는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자외선 조사부(151)는 예를 들어, LED 또는 자외선 램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51)는 무선 충전부(113)와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휴대 기기(50)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151)는 무선 충전 부(113)와 별도로 동작할 수도 있다. 자외선 조사부(151)는 커버(149)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조사부(151)는 커버(149)가 닫히는 경우 온(ON) 동작하고, 커버(149)가 열리는 경우 오프(OFF) 될 수 있다.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151 irradiates ultraviolet rays to the portable device 50 placed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to sterilize the portable device 50.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151 may b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cover 149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unit 141 (that is, the surface on which the portable device 50 is supported).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151 may be, for example, an LED or an ultraviolet lamp.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151 can operate together with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3. In this case, the portable device 50 can be sterilized while the battery of the portable device 50 is being charg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151 may operate separately from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3.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151 can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149. [ For example,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151 may be turned on when the cover 149 is closed, and may be turned off when the cover 149 is opened.

유선 접속부(153)는 휴대 기기 거치부(147)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선 접속부(153)는 베이스부(141)에 형성될 수도 있다. 유선 접속부(153)는 케이블(예를 들어, 데이터 케이블, 충전 케이블, 데이터 및 충전 케이블 등)을 통해 휴대 기기(50)와 유선 연결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는 유선 접속부(153)를 통해 유선 충전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유선 충전 및 무선 충전 동작을 함께 수행하여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도 있다.The wired connection unit 153 may be formed in the portable device mounting portion 147.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wired connection part 153 may be formed in the base part 141. [ The wired connection unit 153 can be wired to the portable device 50 via a cable (e.g., a data cable, a charging cable, data, and a charging cable). The portable device 50 can be wired via the wired connection unit 153. [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may charge the battery of the portable device 50 by performing the wire charging and the wireless charging operations together.

상태 알림부(155)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알려줄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는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전원 상태, 무선 충전 모듈(102)의 동작 상태(즉,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 자외선 조사부(151)의 동작 상태, 및 유선 접속부(153)의 접속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는 각 구성들(예를 들어, 무선 충전 모듈(102), 자외선 조사부(151) 등)의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뿐만 아니라, 각 구성들의 동작 지속 시간 및 진행 정도(예를 들어, 자외선 조사부(151)의 살균 시간, 무선 충전 모듈(102) 또는 유선 접속부(153)를 통한 휴대 기기(50)의 충전 시 충전 진행 정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는 예를 들어, 착신 신호 수신(즉, 전화가 걸려온 경우), 문자 수신, 이메일 수신, 및 SNS 메시지 수신(예를 들어, 카카오톡, 카카오 스토리, 페이스북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알림부(155)는 휴대 기기 거치부(147)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태 알림부(155)는 베이스부(141)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태 알림부(155)는 표시 알림부(155-1) 및 음성 출력 알림부(155-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atus notification unit 155 may inform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stat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nd the reception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50. [ The operation stat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may be determined by, for example, a power stat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n operation state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i.e., a charging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50) , And a connection state of the wire connection unit 153. [0064] The operation stat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is not limited to the ON or OFF state of each of the components (for example,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the ultraviolet irradiating unit 151, etc.) (For example, sterilizing time of the ultraviolet irradiating unit 151, degree of progress of charging when the mobile device 50 is charged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or the wired connection 153), and the like have. The receiving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50 may include, for example, receiving an incoming signal (that is, receiving a call), receiving a character, receiving an email, and receiving an SNS message (for example, a kakao talk, a cacao story, Or the like. The status notification unit 155 may be formed in the portable device mounting unit 147.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tatus informing unit 155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unit 141. The status notification unit 155 may include a display notification unit 155-1 and a voice output notification unit 155-2.

표시 알림부(155-1)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시각적 형태로 표시해 줄 수 있다. 표시 알림부(155-1)에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들이 도안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표시 알림부(155-1)에는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전원 상태 표시부(ⓐ),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 표시부(ⓑ)(무선 충전 및 유선 충전), 자외선 조사부(151)의 동작 상태 표시부(ⓒ),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 표시부(ⓓ) 등이 도안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알림부(155-1)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에 대응하는 도안화된 부분에 조명이 켜지는 것을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notification unit 155-1 may display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stat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nd a reception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50 in a visual form. The display notification unit 155-1 may display the operation states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nd the reception states of the portable device 50 in a form of a graphic. For example, the display notifying unit 155-1 displays a power state display unit (a)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 charging state indicator (b) (wireless charging and wired charging) of the portable device 50, An operation state display unit (C) of the portable device (151), a reception state display unit (D) of the portable device (50), and the like. The display notification unit 155-1 notifi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through illumination of a draw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ption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50 And the incoming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50 can be visually displayed.

음성 출력 알림부(155-2)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음성으로 출력(즉, 소리로 알려줌)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알림부(155)는 표시 알림부(155-1) 및 음성 출력 알림부(155-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The voice output notification unit 155-2 can output (that is, notify) the at least one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nd the incoming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50 by voice. The state notifying unit 155 notifi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nd the reception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50 through at least one of the display notification unit 155-1 and the audio output notification unit 155-2 To the us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충전 모듈(102)이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그와 대응되는 무선 충전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102)을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에 교환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하나의 무선 충전 장치(100)를 통해 다양한 무선 충전 방식의 휴대 기기(50)를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so that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of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of the portable device 50 (102) 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In this case, various wireless charging type portable devices 50 can be charged through on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여러 개의 무선 충전 모듈 중 어느 하나가 무선 충전 모듈 데크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one of a plurality of wireless charging modules is mounted on a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in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제1 무선 충전 모듈(102-1)은 자기 유도 방식이고, 제2 무선 충전 모듈(102-2)은 자기 공명 방식이고, 제3 무선 충전 모듈(102-3)은 전자기파 방식이라고 가정한다. 제1 무선 충전 모듈(102-1) 내지 제3 무선 충전 모듈(102-3)은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에 장착될 수 있는 일군의 무선 충전 모듈 세트가 된다. 여기서, 자기 유도 방식은 무선 충전 모듈의 전력 송신부에서 자기장을 발생시키면 휴대 기기의 전력 수신부에서 전기가 유도되는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한 방식이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자기 유도 방식은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방식과 PMA(Power Matters Alliance)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자기 공명 방식은 무선 충전 모듈의 전력 송신부에서 공진 주파수로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휴대 기기의 전력 수신부를 상기 공진 주파수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로 설계하여 에너지가 집중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전자기파 방식은 무선 충전 모듈의 전력 송신부에서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면 휴대 기기의 전력 수신부에서 안테나 및 정류기를 조합한 렉테나(Rectenna)를 이용하여 전자기파를 수신한 후 전력으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Referring to FIG. 4, the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102-1 is a magnetic induction type,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module 102-2 is a magnetic resonance type, the third wireless charging module 102-3 is an electromagnetic wave Method. The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102-1 to the third wireless charging module 102-3 become a set of wireless charging modules that can be mount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 Here,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is a method using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principle in which electricity is induced in a power receiving portion of a portable device when 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in a power transmitting por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s described above,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can be classified into a WPC (Wireless Power Consortium) method and a PMA (Power Matrix Alliance) method. In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at a resonant frequency in a power transmission unit of a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a power reception unit of a portable device is designed to have a resonance frequency equal to the resonance frequency, thereby transferring energy intensively. In the electromagnetic wave system, when an electromagnetic wave is generated in a power transmission unit of a wireless charging module, electromagnetic wave is received by a rectenna combining an antenna and a rectifier in a power receiving unit of a portable device and converted into electric power.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제1 무선 충전 모듈(102-1), 제2 무선 충전 모듈(102-2), 및 제3 무선 충전 모듈(102-3) 중 어느 하나가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의 수납홈(143)으로 삽입되어 장착되게 된다. 제1 무선 충전 모듈(102-1), 제2 무선 충전 모듈(102-2), 및 제3 무선 충전 모듈(102-3)의 제1 커넥터(121)를 동일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어느 무선 충전 모듈이 선택되더라도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ny one of the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102-1,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module 102-2, and the third wireless charging module 102-3 may be wirelessly charged accor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of the portable device 50. [ And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43 of the module deck 104 to be mounted. By forming the first wireless charging module 102-1, the second wireless charging module 102-2 and the first connector 121 of the third wireless charging module 102-3 at the same position, So that 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even if the module is selected.

휴대 기기 거치부(147) 내에는 휴대 기기(50)의 위치를 가이드해주는 휴대 기기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휴대 기기 가이드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A portable device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device 50 may be formed in the portable device mounting portion 147.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device guide unit is formed in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a)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거치부(147) 내부에는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71) 및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7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71)는 휴대 기기 거치부(147)의 일측 내벽에 형성되고,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74)는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71)와 대향하는 휴대 기기 거치부(147)의 타측 내벽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71)는 제1 탄성 부재(171-1) 및 제1 탄성 부재(171-1)와 힌지 결합되는 제1 가이드 부재(17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74)는 제2 탄성 부재(174-1) 및 제2 탄성 부재(174-1)와 힌지 결합되는 제2 가이드 부재(17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171-1) 및 제2 탄성 부재(174-1)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A, the first portable device guide portion 171 and the second portable device guide portion 174 may be formed in the portable device mounting portion 147. The first portable device guide portion 171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one side of the portable device mounting portion 147 and the second portable device guide portion 174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portable device mounting portion 147 facing the first portable device guide portion 171. [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wall of the other side of the side wall 147. The first portable device guide unit 171 may include a first elastic member 171-1 and a first guide member 171-2 hinged to the first elastic member 171-1. The second portable device guide unit 174 may include a second elastic member 174-1 and a second guide member 174-2 hinged to the second elastic member 174-1. The first elastic member 171-1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174-1 may be a torsion spring.

도 5의 (b)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거치부(147)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71) 및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74)는 휴대 기기(50)의 양측을 압박하여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50)가 고정되는 위치는 전력 송신부(113-1)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5B, when the portable device 50 is inserted into the portable device mount 147, the first portable device guide portion 171 and the second portable device guide portion 174 The user pushes both sides of the portable device 50 to fix the portable device 5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t this time, the position at which the portable device 50 is fixed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13-1.

구체적으로,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거치부(147)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제1 가이드 부재(171-2)는 휴대 기기(50)에 의해 휴대 기기 거치부(147)의 일측 내벽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 가이드 부재(174-2)는 휴대 기기(50)에 의해 휴대 기기 거치부(147)의 타측 내벽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 가이드 부재(171-2)가 제1 탄성 부재(171-1)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일측을 압박하고, 제2 가이드 부재(174-2)가 제2 탄성 부재(174-1)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타측을 압박하여 휴대 기기(50)가 소정 위치(즉, 전력 송신부(113-1)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Specifically, when the portable device 50 is inserted into the portable device mounting portion 147, the first guide member 171-2 is held by the portable device 50 on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portable device mounting portion 147 And the second guide member 174-2 is rotated by the portable device 50 to the inner wall of the other side of the portable device mounting portion 147. [ At this time, the first guide member 171-2 presses one side of the portable device 5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71-1, the second guide member 174-2 presses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71-1, The other side of the portable device 50 is pres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74-1 so that the portable device 50 can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e.,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 power transmission portion 113-1).

이와 같이,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71) 및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74)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전력 송신부(113-1)의 위치로 유도함으로써, 하나의 무선 충전 모듈(102)을 통해 다양한 크기의 휴대 기기(50)들을 무선 충전시키면서 무선 충전 효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거치부(147)에 거치된 상태에서, 휴대 기기(50)(보다 자세하게는 휴대 기기(50)의 전력 수신부)와 무선 충전 모듈(102)(보다 자세하게는 전력 송신부(113-1))의 위치가 서로 대응되지 않으면, 무선 충전이 어려울 뿐더러 무선 충전이 이루어진다 해도 무선 충전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특히, 휴대 기기(50)는 기종에 따라 다양한 크기(예를 들어, 갤럭시 노트 시리즈, 갤럭시 S 시리즈, 아이폰 시리즈 등)를 가지는데, 휴대 기기(50)의 크기에 따라 휴대 기기(50)의 전력 수신부의 위치도 달라지므로, 하나의 무선 충전 모듈(102)로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50)들을 무선 충전시키기 어렵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 기기 가이드부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위치를 전력 송신부(113-1)의 위치로 유도하여 고정시키기 때문에, 하나의 무선 충전 모듈(102)을 통해 다양한 크기의 휴대 기기(50)들을 무선 충전시키면서 무선 충전 효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Thus, by guiding the portable device 50 to the position of the power transmitting section 113-1 through the first portable device guide section 171 and the second portable device guide section 174, on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The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while wirelessly charging portable devices 50 of various sizes. That is, the portable device 50 (more specifically, the power receiving unit of the portable device 50) and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more specifically, the portable device 50) Power transmission unit 113-1) do not correspond to each other, wireless charging is difficult, and even if wireless charging is performed, the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is lowered. Particularly, the portable device 50 has various sizes (for example, a Galaxy Note series, a Galaxy S series, an iPhone series, etc.)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portable device 50 Since the position of the receiving unit is changed, it is difficult to wirelessly charge the portable devices 50 having various sizes with the singl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device 50 is guided to the position of the power transmitter 113-1 through the portable device guide unit and fixed, The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while charging the portable devices 50 wirelessly.

여기서는, 휴대 기기 거치부(147)의 양측 내벽에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171) 및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174)가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거치부(147)의 일측 내벽 및 타측 내벽 중 어느 하나에 휴대 기기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휴대 기기 가이드부는 휴대 기기 거치부(147)의 일측 내벽 및 타측 내벽 중 적어도 하나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휴대 기기 가이드부가 토션 스프링 및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가이드부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Here, the first portable device guide portion 171 and the second portable device guide portion 174 are illustrated as being formed on the inner wall of both sides of the portable device mounting portion 147,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ortable device mounting portion 147 may be formed on one side inner wall and the other side inner wall. Also, a plurality of the portable device guide portions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wall and the inner wall of the other side of the portable device mounting portion 147. Here, the portable device guide unit includes the torsion spring and the guide memb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ortable device guide unit may be formed of a leaf spring.

한편, 무선 충전 모듈(102)은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 내에서 무선 충전 모듈(102)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무선 충전 모듈이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서 위치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Meanwhile,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can move in the insertion direction or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mov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모듈(102)에는 돌출부(18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의 내부에는 무선 충전 모듈(102)의 삽입 방향을 따라 요철부(185)가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185)는 수납홈(143)의 내측 방향으로 복수 개의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2)이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돌출부(181)가 요철부(185)의 어느 돌기와 맞물려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무선 충전 모듈(102)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무선 충전 모듈(102)이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6, a protrusion 181 may be form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The uneven portion 185 may be form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along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 185 may be formed by projecting a plurality of projections inward of the receiving groove 143. As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is inserted in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the projection 181 can be engaged with any projection of the concave / convex portion 185 and fixed. At this time, the depth at which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is inserte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무선 충전 모듈의 삽입 깊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요철부(185)는 수납홈(143) 내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185)의 일측에는 복수 개의 돌기(185a)가 무선 충전 모듈(102)의 삽입 방향을 따라 수납홈(143)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기(185a)는 무선 충전 모듈(102)의 삽입 방향으로 편향되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돌기(185a)는 일단이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부(181)는 무선 충전 모듈(102)이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의 내부로 삽입될 때, 요철부(185)와 맞물려 무선 충전 모듈(102)을 고정시키거나, 요철부(185)의 돌기(185a)를 타고 넘으면서 무선 충전 모듈(102)이 이동되도록 한다.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depth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adjusted i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185 may be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43. A plurality of protrusions 185a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protrusion 185 so as to protrude inward of the receiving groove 143 along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 At this time, the protrusion 185a may be inclined to be deflect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otrusion 185a may be formed in a pointed shape at one end, and may be made of, for example, an elastic material. The protruding portion 181 may be formed by fixing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by engaging with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 185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is inserted in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So that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is moved while riding over the projection 185a.

돌출부(181)는 지지 부재(181a), 돌출 부재(181b), 탄성 부재(181c) 및 걸림부(181d)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181a)는 돌출부(181)의 몸체로서, 일단이 무선 충전 모듈(102)의 일측에 결합된다. 지지 부재(181a)의 일단은 무선 충전 모듈(102)의 일측에 힌지(미도시) 결합되어 수납홈(143)의 폭 방향으로 이동(a↔b 방향)(즉, 회전)할 수 있다. 지지 부재(181a)의 타단에는 돌출 부재(181b)가 요철부(185)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걸림부(114d)는 지지 부재(181a)의 타단을 관통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181a)의 일측에는 탄성 부재(114c)가 고정될 수 있다. 탄성 부재(114c)는 일단이 지지 부재(181a)의 일측에 고정되며 타단이 무선 충전 모듈(102)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 부재(114c)는 예를 들어, 스프링일 수 있다. The protruding portion 181 may include a supporting member 181a, a protruding member 181b, an elastic member 181c, and a latching portion 181d. The support member 181a is a body of the protrusion 181 and has one e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 One end of the support member 181a is hinged (not shown) to one side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and can move in the direction of a width (a↔b direction) (i.e., rotate) of the receiving groove 143.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member 181a, a protruding member 181b may protrude toward the protrusion 185. [ Further, the latching portion 114d to be described later may protrude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member 181a. An elastic member 114c may be fix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181a.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114c may be fixed to one side of the supporting member 181a and the other end may be fixed 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 The elastic member 114c may be, for example, a spring.

돌출 부재(181b)는 지지 부재(181a)의 타단에서 요철부(185)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출 부재(181b)는 요철부(185)와 맞물릴 수 있도록 일단이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 부재(181b)는 예를 들어,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otruding member 181b is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other end of the supporting member 181a toward the concave / convex portion 185. [ The protruding member 181b may be formed so that one end thereof is sharpened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recessed / The protruding member 181b may be made of, for example, an elastic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부(185)의 일단은 돌기(185a)가 형성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81)는 돌출 부재(181b)가 요철부(185)의 돌기(185a)와 접촉하기 전에는 탄성 부재(114c)의 탄성력에 의해 a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무선 충전 모듈(102)이 삽입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돌출 부재(181b)는 요철부(185)의 돌기(185a)와 맞물려 고정되거나 탄성 부재(114c)에 의해 돌기(185a)로부터 고정 해제 되는 과정을 반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모듈(102)이 무선 충전 모듈(102)의 삽입 방향으로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받는 경우, 돌출 부재(181b)는 무선 충전 모듈(102)의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여 c 위치에 고정된다. 이후, 무선 충전 모듈(102)이 다시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받는 경우, 돌출 부재(181b)는 요철부(185)를 따라 이동하여 d 위치에 고정된다. 즉, 돌출 부재(181b)는 무선 충전 모듈(102)이 삽입됨에 따라 c, d, e, f… 위치에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고정된다. 돌기(185a)가 무선 충전 모듈(102)의 삽입 방향으로 편향되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돌출 부재(181b)의 이동 및 고정이 좀 더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7, one end of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 185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projection 185a is formed. The projecting portion 181 is positioned at a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14c before the projecting member 181b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ojection 185a of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 185. [ Thereafter, as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moves in the insertion direction, the protruding member 181b is engaged with the protrusion 185a of the protrusion 185, or is released from the protrusion 185a by the elastic member 114c Repeat the process.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receives a pressure larger than a predetermined size in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the protrusion member 181b moves in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Respectively. Thereafter,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again receives a pressur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or more, the projecting member 181b moves along the concave / convex portion 185 and is fixed at the position d. That is, as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is inserted, the protruding members 181b are connected to the c, d, e, f ... Position while being sequentially moved. As the protrusion 185a is inclined to be deflected in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the movement and fixing of the protruding member 181b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돌출 부재(181b)가 g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 모듈(102)이 다시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받는 경우, 돌출 부재(181b)는 요철부(185)를 이탈하게 되며 가이드 레일(181e)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걸림부(181d)는 지지 부재(181a)의 타단을 관통하여 가이드 레일(181e)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81d)는 예를 들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7에서는 돌출부(181)가 요철부(185)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무선 충전 모듈(102)의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181)의 돌출 부재(181b)는 실제로 c, d, e, f…g 위치에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고정됨에 유의한다(요철부(185)는 도시된 것보다 왼쪽에 위치함).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again receives a pressur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or more in a state where the protruding member 181b is fixed to the g position, the protruding member 181b is detached from the protruding portion 185 and the guide rail 181e, As shown in FIG. The engaging portion 181d may protrude toward the guide rail 181e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member 181a. The latching portion 181d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7, the protrusion 181 is spaced apart from the protrusion 185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move in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Howev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otruding members 181b of the first, second, g position (the uneven portion 185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가이드 레일(181e)은 수납홈(143)의 내측벽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부(181d)의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가이드 레일(181)은 무선 충전 모듈(102)의 인출 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181e)은 예를 들어, 걸림부(181d)의 직경보다 수 mm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돌출 부재(181b)가 g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 모듈(102)이 다시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받는 경우, 돌출 부재(181b)는 요철부(185)를 이탈하게 되고, 걸림부(181d)는 가이드 레일(181e)의 입구, 즉 h 위치에 진입하게 되며 이후 가이드 레일(181e)을 따라 무선 충전 모듈(102)의 인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81e)은 요철부(185)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걸림부(181d)가 가이드 레일(181e)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돌출부(181)의 일측에 고정된 탄성 부재(181c)는 소정 거리만큼 늘어나게 된다. 이후, 걸림부(181d)가 가이드 레일(181e)의 출구, 즉 i 위치를 지나 가이드 레일(181e)을 이탈하게 되면, 돌출부(181)는 탄성 부재(181c)의 탄성력에 의해 b 위치에서 다시 a 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돌출부(181)가 a 위치로 복귀하는 경우, 무선 충전 모듈(102)의 일측은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The guide rail 181e can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ide wall of the receiving groove 143 and provide a moving path of the engaging portion 181d. The guide rail 181 is formed in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The guide rail 181e may have a width that is several mm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engaging portion 181d, for example.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again receives a pressur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or more in a state where the protruding member 181b is fixed to the g position, the protruding member 181b comes off the protruding portion 185 and the engaging portion 181d Enters the entrance of the guide rail 181e, that is, the h position, and then moves along the guide rail 181e in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The guide rail 181e is spaced apart from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185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when the engaging portion 181d moves along the guide rail 181e, The member 181c is extend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after, when the engaging portion 181d moves away from the guide rail 181e through the exit of the guide rail 181e, that is, the position i, the projecting portion 181 is retracted again from the position b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81c Return to the pos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otrusion 181 returns to the position a, one side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여기서, 무선 충전 모듈(102)이 무선 충전 모듈(102)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무선 충전 모듈(102)과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와의 전기적 접속은 유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무선 충전 모듈과 무선 충전 모듈 데크 간의 전기적 접속이 유지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Here,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and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moves in the insertion direction or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8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a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is maintained in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커넥터(121)는 무선 충전 모듈(102)의 타측에 형성된다. 제1 커넥터(121)는 하우징부(111)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167) 내에서 가이드 홈(167)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167)은 하우징부(111)의 길이 방향(즉, 무선 충전 모듈(102)의 삽입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21)의 일측은 가이드 홈(167) 내에 위치하고, 제1 커텍터(121)의 타측은 무선 충전 모듈(102)에서 제2 커넥터(145) 방향으로 돌출 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21)의 일측은 플렉서블 케이블(169)을 통해 충전 제어부(1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가이드 홈(167)에는 무선 충전 모듈(102)과 제1 커넥터(121)를 연결하는 탄성 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 부재(미도시)는 제1 커넥터(121)에 제2 커넥터(145)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first connector 121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The first connector 121 may be form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groove 167 in the guide groove 167 formed in the housing part 111. [ The guide groove 167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part 111 (i.e.,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or 121 may be located in the guide groove 167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or 121 may protrude from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toward the second connector 145.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or 12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e control unit 115 through a flexible cable 169. An elastic member (not shown) for connecting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and the first connector 121 may be formed in the guide groove 167.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not shown) may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first connector 121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or 145.

여기서, 무선 충전 모듈(102)이 무선 충전 모듈(102)의 삽입 방향으로 계속적인 압력을 받으면, 돌출 부재(181b)는 요철부(185)를 따라 이동하여 요철부(185)의 종단부에 이르게 된다. 그러면, 제1 커넥터(121)는 제2 커넥터(145)에 삽입되면서 접속되게 된다(도 8의 (a)). 즉, 제1 커넥터(121)는 수 커넥터로 이루어지고, 제2 커넥터(145)는 암 커넥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와 반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2 커넥터(145)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 내에서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 부재(181b)는 요철부(185)의 g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커넥터(121) 및 제2 커넥터(145)가 접속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 모듈(102)이 다시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받는 경우, 돌출 부재(181b)는 가이드 레일(181e)을 따라 이동하여 a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 경우, 플렉서블 케이블(169)이 늘어나면서 무선 충전 모듈(102)이 인출되고, 무선 충전 모듈(102)의 일측은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도 8의 (b)).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receives continuous pressure in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the protruding member 181b moves along the concave / convex portion 185 and reaches the end portion of the concave / convex portion 185 do. Then, the first connector 121 is inser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or 145 (Fig. 8 (a)). That is, the first connector 121 may be a male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145 may be a female connecto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the opposite manner. The second connector 145 may be fixedly formed with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At this time, the protruding member 181b can be fixed to the g position of the concave / convex portion 185.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again receives a pressur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or more with the first connector 121 and the second connector 145 connected thereto, the protruding member 181b moves along the guide rail 181e And returns to the a position. In this case, the flexible cable 169 is extended to draw out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and one side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FIG. 8 (b) ).

이와 같이, 무선 충전 모듈(102)의 일측이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 모듈(102)의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여 무선 충전 모듈(102)의 전력 송신부(113-1)가 휴대 기기(50)의 전력 수신부와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모듈(102)을 무선 충전 모듈(102)의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전력 송신부(113-1)의 위치를 휴대 기기(50)의 전력 수신부와 대응되는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커넥터(121)는 제2 커넥터(145)와 접속되어 있고, 충전 제어부(115)와 제1 커넥터(121)는 플렉서블 케이블(169)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무선 충전 모듈(102)이 무선 충전 모듈(102)의 삽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무선 충전 모듈(102)(보다 자세하게는 충전 제어부(115))과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 간의 전기적 접속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충전 제어부(115) 및 제1 커넥터(121)가 플렉서블 케이블(169)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전 제어부(115)와 제1 커넥터(121)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In this way, in a state where one side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is drawn out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the depth of inser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is adjusted so that the electric power transmission unit 113-1 may correspond to the power receiving unit of the portable device 50. [ That is, the posi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13-1 can be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wer receiving unit of the portable device 50 while moving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in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Since the first connector 121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145 and the charge controller 115 and the first connector 121 are connected by the flexible cable 169,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more specifically, the charging controller 115) and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moves in the insertion direction or the drawing direction . The charging controller 115 and the first connector 121 are connected by the flexible cable 169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harging controller 115 and the first connector 121 may be integrally formed have.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서, 무선 충전 모듈과 무선 충전 모듈 데크 간의 전기적 접속이 유지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is maintained i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제1 커넥터(121)는 무선 충전 모듈(102)의 타측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121)는 무선 충전 모듈(102)의 타측에서 하우징부(111)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21)는 충전 제어부(1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충전 제어부(11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21)의 상측에는 접속 패턴(12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넥터(145)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 내에 고정되어 형성된다. 제2 커넥터(145)의 내부에는 제1 커넥터(121)가 삽입되는 삽입홈(145-1)이 형성된다. 제2 커넥터(145)의 내부에는 접속 부재(144)가 형성될 수 있다. 접속 부재(144)는 접속 지지부(144-1) 및 접촉부(144-2)를 포함한다. 접속 지지부(144-1)는 제2 커넥터(145)의 내부 타측에서 일측 방향(즉, 무선 충전 모듈(102)의 인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속 지지부(144-1)의 타측은 제2 커넥터(145)의 내부 타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접촉부(144-2)는 접속 지지부(144-1)의 종단(즉, 접속 지지부(144-1)의 일측)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144-2)는 제1 커넥터(121)의 접속 패턴(121-1)과 접촉하는 부분이다. Referring to FIG. 9, the first connector 121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or 121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11 on the other side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The first connector 12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e controller 115 and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harge controller 115. A connection pattern 121-1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nnector 121. The second connector 145 is fixedly form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Inside the second connector 145, an insertion groove 145-1 into which the first connector 121 is inserted is formed. A connecting member 144 may be formed inside the second connector 145. The connection member 144 includes a connection supporting portion 144-1 and a contact portion 144-2. The connection support portion 144-1 may be formed in one direction from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nector 145 (i.e., in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supporting portion 144-1 may be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nector 145. The contact portion 144-2 may b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connection supporting portion 144-1 (i.e., one side of the connection supporting portion 144-1). The contact portion 144-2 i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attern 121-1 of the first connector 121. [

여기서, 무선 충전 모듈(102)이 무선 충전 모듈(102)의 삽입 방향으로 계속적인 압력을 받으면, 돌출 부재(181b)는 요철부(185)를 따라 이동하여 요철부(185)의 종단부에 이르게 된다. 그러면, 제1 커넥터(121)가 제2 커넥터(145)의 삽입홈(145-1)으로 삽입되면서 접속 부재(144)를 통해 제2 커넥터(14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도 9의 (a)). 접촉부(144-2)는 제1 커넥터(121)가 삽입홈(145-1)으로 삽입됨에 따라 접속 패턴(121-1)의 타측에서 일측에 이르기까지 접속 패턴(121-1)을 따라 접속 패턴(121-1)과 접촉하게 된다. 이렇게 제1 커넥터(121) 및 제2 커넥터(145)가 접속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 모듈(102)이 다시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받는 경우, 돌출 부재(181b)는 가이드 레일(181e)을 따라 이동하여 a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 경우, 무선 충전 모듈(102)이 인출되고, 무선 충전 모듈(102)의 일측은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도 9의 (b)). 접촉부(144-2)는 제1 커넥터(121)가 삽입홈(145-1)에서 인출됨에 따라 접속 패턴(121-1)의 일측에서 타측에 이르기까지 접속 패턴(121-1)을 따라 접속 패턴(121-1)과 접촉하게 된다. 제1 커넥터(121)의 타측이 삽입홈(145-1)을 벗어나는 않는 한도에서 무선 충전 모듈(102)이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receives continuous pressure in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the protruding member 181b moves along the concave / convex portion 185 and reaches the end portion of the concave / convex portion 185 do. The first connector 12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45-1 of the second connector 145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145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144 a)). The contact portion 144-2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ttern 121-1 along the connection pattern 121-1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attern 121-1 as the first connector 12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45-1. (121-1).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again receives a pressur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or more with the first connector 121 and the second connector 145 connected thereto, the protruding member 181b moves along the guide rail 181e And returns to the a position. In this case,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is taken out and one side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FIG. 9 (b)). The contact portion 144-2 extends along the connection pattern 121-1 from one side of the connection pattern 121-1 to the other side as the first connector 121 is pulled out from the insertion groove 145-1, (121-1).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can be pulled out unless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or 121 comes out of the insertion groove 145-1.

이와 같이, 무선 충전 모듈(102)의 일측이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 모듈(102)의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여 무선 충전 모듈(102)의 전력 송신부(113-1)가 휴대 기기(50)의 전력 수신부와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충전 모듈(102)이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즉, 제1 커넥터(121)가 삽입홈(145-1)으로 삽입됨에 따라), 접촉부(144-2)는 접속 패턴(121-1)의 타측에서 일측에 이르기까지 접속 패턴(121-1)과 계속적으로 접촉하게 되므로, 무선 충전 모듈(102)(보다 자세하게는 충전 제어부(115))과 무선 충전 모듈 데크(104) 간의 전기적 접속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in a state where one side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is drawn out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the depth of inser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is adjusted so that the electric power transmission unit 113-1 may correspond to the power receiving unit of the portable device 50. [ At this time, as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is inserted in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04 (i.e., as the first connector 12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45-1), the contact portions 144-2 Is continuous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attern 121-1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attern 121-1 so that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2 (more specifically, the charging control section 115)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decks 104 can be maintained.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00 : 무선 충전 장치
102 : 무선 충전 모듈
104 : 무선 충전 모듈 데크
111 : 하우징부
113 : 무선 충전부
113-1 : 전력 송신부
113-2 : 받침부
115 : 충전 제어부
117 : 충전부 수납부
117-a : 결합부
119 : 이동 조정부
119-a : 나사부
119-b : 걸림부
121 : 제1 커넥터
121-1 : 접속 패턴
123 : 제1 가이드부
125 : 제2 가이드부
127 : 플렉서블 케이블
129 : 가이드 슬릿
141 : 베이스부
143 : 수납홈
145 : 제2 커넥터
144 : 접속 부재
144-1 : 접속 지지부
144-2 : 접촉부
145-1 : 삽입홈
147 : 휴대 기기 거치부
149 : 커버
151 : 자외선 조사부
153 : 유선 접속부
155 : 상태 알림부
155-1 : 표시 알림부
155-2 : 음성 출력 알림부
161 : 전원 공급부
163 : 힌지
167 : 가이드 홈
169 : 플렉서블 케이블
171 : 제1 휴대 기기 가이드부
171-1 : 제1 탄성 부재
171-2 : 제1 가이드 부재
174 : 제2 휴대 기기 가이드부
174-1 : 제2 탄성 부재
174-2 : 제2 가이드 부재
181 : 돌출부
181a : 지지 부재
181b : 돌출 부재
181c : 탄성 부재
181d : 걸림부
181e : 가이드 레일
185 : 요철부
185a : 돌기
100: Wireless charging device
102: Wireless charging module
104: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111: housing part
113:
113-1: Power transmitter
113-2:
115:
117: Charging part storage part
117-a:
119:
119-a:
119-b:
121: first connector
121-1: connection pattern
123: first guide portion
125: second guide portion
127: Flexible cable
129: guide slit
141: Base portion
143: Storage groove
145: second connector
144:
144-1:
144-2:
145-1: Insertion groove
147: Portable device mount
149: cover
151: ultraviolet ray irradiation part
153: Wired connection
155: Status notification section
155-1: Display notification unit
155-2: Audio output notification unit
161: Power supply
163: Hinge
167: Guide groove
169: Flexible cable
171: First portable device guide portion
171-1: first elastic member
171-2: first guide member
174: second portable device guide portion
174-1: second elastic member
174-2: second guide member
181:
181a: Support member
181b:
181c: elastic member
181d:
181e: guide rail
185:
185a: projection

Claims (41)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 모듈; 및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을 수납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A wireless charging module that wirelessly charges the portable device; And
And a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for receiving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 방식과 대응되는 무선 충전 모듈이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에 교환 장착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mode is exchangeably mounted o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ccor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of the portable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자기 공명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및 전자기파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자기 공명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및 전자기파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의 제1 커넥터는 서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는, 상기 제1 커넥터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1 커넥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module of a magnetic induction type, a wireless charging module of a magnetic resonance type, and a wireless charging module of an electromagnetic wave type,
The first connector of the magnetic induction type wireless charging module, the magnetic resonance type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the electromagnetic wave type wireless charging module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comprises a second connector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or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무선 충전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cludes:
And a wireless charging unit movably form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 수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무선 충전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무선 충전부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조정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cludes:
A housing part accommodat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 wireless charging unit movably formed in the housing unit; And
And a movement adjusting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unit and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ing unit and capable of moving the wireless charging unit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 조정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무선 충전부를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comprises:
Wherein the wireless charger unit is slidably movable along one side of the housing unit to move the wireless charger unit in a direction parallel to one side of the housing uni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 조정부는,
축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축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부를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comprises:
And the wireless charging unit can be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surface of the housing part along the axis rotation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는,
상기 휴대 기기의 전부 또는 일부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휴대 기기 거치부; 및
상기 휴대 기기 거치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휴대 기기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comprises:
A portable device mounting part in which all or a part of the portable device is inserted and stored; And
And at least one portable device guide portion formed in the portable device mounting portion and guiding a position of the portable devic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가이드부는,
상기 휴대 기기를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무선 충전부와 대응되는 위치로 가이드하여 고정시키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portable device guide unit includes:
And guides the portable devic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wireless charging unit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로 삽입하여 수납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로 삽입되는 깊이가 조절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inserted in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for storage,
Wherein the depth of insertion in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adjusted.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삽입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요철부; 및
상기 무선 충전 모듈에 형성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삽입 시 상기 요철부와 맞물려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이 고정되도록 하거나 상기 요철부의 돌기를 타고 넘으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이 이동되도록 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long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Further comprising a protrusion formed on the wireless recharging module, the protrusion being adapted to engage with the concave-convex portion when inserting the wireless recharging module to allow the wireless recharging module to be fixed, or to allow the wireless recharging module to move while riding over the protrusions of the uneven portion, Charging devic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 형성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이 인출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인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guide rail form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guiding movement of the protrusion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withdrawn,
And one side of the protrusion can move along the guide rail in the pull-out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인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cludes: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formed to be capable of being drawn into or drawn out from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movable in a pull-in direction or a pull-out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내에 형성되는 무선 충전부;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내의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커넥터;
상기 무선 충전부와 상기 제1 커넥터를 연결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및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 형성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인입 시 상기 제1 커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unit form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 first connector movably formed along a guide groove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 flexible cable connecting the wireless charging unit and the first connector;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nnector form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coupled to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upon entry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부의 위치가 상기 휴대 기기의 전력 수신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인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cludes: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unit is movable in a pull-in direction or pull-out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so that a posi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unit corresponds to a power receiving unit of the portable device.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내에 형성되는 무선 충전부;
상기 무선 충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에서 돌출하여 형성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 형성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인입 또는 인출 시 상기 제1 커넥터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넥터와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는 제2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unit form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 first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er and protruding from the wireless charger module;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nnector form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includ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first connector is inserted or withdrawn upon entry or withdrawal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which maintains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first connector, Wireless charging device.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의 상측에는 상기 제1 커넥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접속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커넥터의 내부에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인입 또는 인출 시 상기 접속 패턴을 따라 상기 접속 패턴과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부재가 형성되는, 무선 충전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6,
A connection pattern is formed on the first connecto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Wherein a connection member is formed in the second connector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ttern along the connection pattern when the first connector is pulled out or drawn out.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 모듈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무선 충전 모듈 데크에 수납되어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무선 충전 모듈.
A wireless charging module for wirelessly charging a portable device,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housed in a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자기 공명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및 전자기파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중 어느 하나이고,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자기 공명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및 전자기파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중 상기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방식과 대응되는 무선 충전 모듈이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에 장착되는, 무선 충전 모듈.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module of a magnetic induction type, a wireless charging module of a magnetic resonance type, and a wireless charging module of an electromagnetic wave type,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of the portable device among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of the magnetic induction type,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of the magnetic resonance type, and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type is mounted o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자기 공명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및 전자기파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의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와 결합되는 제1 커넥터는 서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무선 충전 모듈.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first connector coupled 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of the magnetic induction type wireless charging module, the magnetic resonance type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the electromagnetic wave type wireless charging module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무선 충전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모듈.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cludes:
And a wireless charging unit movably formed with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 수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무선 충전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무선 충전부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조정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모듈.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cludes:
A housing part accommodat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 wireless charging unit movably formed in the housing unit; And
And a movement adjusting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unit and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er unit and capable of moving the wireless charger unit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이동 조정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무선 충전부를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무선 충전 모듈.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comprises: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unit is slidable along one side of the housing unit to move the wireless charging unit in a direction parallel to one side of the housing unit.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이동 조정부는,
축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축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부를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무선 충전 모듈.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comprises:
Wherein the wireless charger is capable of rotat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surface of the housing part along the axis rotation direction.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로 삽입하여 수납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로 삽입되는 깊이가 조절되는, 무선 충전 모듈.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inserted in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for storage,
Wherein the depth of insertion in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adjusted.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삽입 시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삽입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요철부와 맞물려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이 고정되도록 하거나 상기 요철부의 돌기를 타고 넘으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이 이동되도록 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26. The method of claim 25,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cludes:
Wherein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inserted in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engaged with the concave / convex portion formed by protruding a plurality of projections along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a protrusion for allowing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to move.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이 인출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의 일측이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인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무선 충전 모듈.
27. The method of claim 26,
The projection
Wherein one side of the protrusion can move in a pull-out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long a guide rail form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pulled out.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인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무선 충전 모듈.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cludes: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formed to be capable of being drawn in or drawn out in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being movable in a drawing direction or a drawing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 형성되는 무선 충전부;
상기 하우징부 내의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무선 충전부와 상기 제1 커넥터를 연결하는 플렉서블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인입 또는 인출 방향으로의 이동 시에도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의 제2 커넥터와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는, 무선 충전 모듈.
29. The method of claim 28,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cludes:
A housing part;
A wireless charging unit formed in the housing unit;
A first connector movably formed along a guide groove in the housing portion; And
And a flexible cable connecting the wireless charger and the first connector,
Wherein the first connector maintains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second connector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even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moved in the pull-in or pull-out direction.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부의 위치가 상기 휴대 기기의 전력 수신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인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무선 충전 모듈.
29. The method of claim 29,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cludes: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movable in a pull-in direction or a pull-out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so that a posi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unit corresponds to a power receiving unit of the portable device.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 모듈이 수납되는 수납홈을 구비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 내에서 상기 수납홈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
A base portion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a wireless charging module for wirelessly charging the portable device; And
And a connector port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in the base portion,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detachably coupled.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방식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 방식과 대응되는 무선 충전 모듈이 교환 장착되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
32. The method of claim 31,
The connector unit,
And a wireless charging module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mode is exchangeably mounted according to a wireless charging mode of the portable device.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커넥터부와 결합되도록 서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1 커넥터를 각각 구비한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자기 공명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및 전자기파 방식의 무선 충전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무선 충전 모듈과 결합되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
32. The method of claim 31,
The connector unit,
A wireless charging module of a magnetic induction type, a wireless charging module of a magnetic resonance type, and a wireless charging module of an electromagnetic wave type, each having a first connector formed at the same position to be coupled with the connector portion, Combined,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는,
상기 휴대 기기의 전부 또는 일부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휴대 기기 거치부; 및
상기 휴대 기기 거치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휴대 기기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
32. The method of claim 31,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comprises:
A portable device mounting part in which all or a part of the portable device is inserted and stored; And
And at least one portable device guide portion formed in the portable device mounting portion and guiding a position of the portable device.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가이드부는,
상기 휴대 기기를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무선 충전부와 대응되는 위치로 가이드하여 고정시키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
35. The method of claim 34,
The portable device guide unit includes:
And guiding and fixing the portable devic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wireless charging s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는,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충전 상태 및 상기 휴대 기기의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알려주는 상태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
32. The method of claim 31,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status notification unit formed on the base unit and notifying at least one of a charging status of the portable device and a receiving status of the portable device.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수납홈으로 삽입하여 수납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삽입되는 깊이가 조절되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
32. The method of claim 31,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cludes:
Wherein the depth of inser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is adjus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삽입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요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삽입 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에 형성되는 돌출부가 상기 요철부와 맞물려 고정되거나 상기 요철부의 돌기를 타고 넘으면서 이동되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
37. The method of claim 37,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concave-convex part formed in the wireless recharging module deck so that a plurality of projections protrude along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wireless recharging module,
Wherein a protrusion formed o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inserted is fixedly engaged with the protrusions or is moved while riding over the protrusions of the protrusions.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 형성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이 인출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인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
42. The method of claim 38,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guide rail form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guiding movement of the protrusion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withdrawn,
Wherein one side of the protrusion is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in a pull-out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수납홈으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인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
32. The method of claim 31,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cludes:
And is formed to be capable of being drawn in or taken out of the receiving groove and movable in a pull-in direction or a pull-out direc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데크 내에 형성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제1 커넥터와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는 제2 커넥터;
상기 제2 커넥터 내에 형성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인입 또는 인출 시 상기 제1 커넥터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삽입홈; 및
상기 제2 커넥터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인입 또는 인출 시 상기 제1 커넥터에 형성된 접속 패턴을 따라 상기 접속 패턴과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부재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모듈 데크.






41. The method of claim 40,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comprises:
A second connector form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maintaining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first connector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second connector and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is inserted or extracted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s inserted or extracted; And
And a connection member formed in the second connector and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ttern along a connection pattern formed in the first connector when the first connector is pulled in or pulled out.






KR1020140015911A 2013-03-20 2014-02-12 Wireless charging modul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KR20150094961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911A KR20150094961A (en) 2014-02-12 2014-02-12 Wireless charging modul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PCT/KR2014/002372 WO2014148853A1 (en) 2013-03-20 2014-03-20 Wireless charging apparatus
PCT/KR2014/011856 WO2015122611A1 (en) 2014-02-12 2014-12-04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911A KR20150094961A (en) 2014-02-12 2014-02-12 Wireless charging modul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961A true KR20150094961A (en) 2015-08-20

Family

ID=54058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911A KR20150094961A (en) 2013-03-20 2014-02-12 Wireless charging modul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4961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01581A (en) * 2015-11-30 2016-02-03 江苏中海达海洋信息技术有限公司 Ultra-long standby water sound responder system and responding method thereof
KR101635084B1 (en) * 2016-03-31 2016-06-30 주식회사 핀크래프트엔지니어링 Multi charging device enabled by current and voltage control
KR20180131886A (en) * 2017-06-01 2018-12-11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Optical disc drive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KR102090756B1 (en) * 2018-12-05 2020-03-18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wearable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01581A (en) * 2015-11-30 2016-02-03 江苏中海达海洋信息技术有限公司 Ultra-long standby water sound responder system and responding method thereof
KR101635084B1 (en) * 2016-03-31 2016-06-30 주식회사 핀크래프트엔지니어링 Multi charging device enabled by current and voltage control
KR20180131886A (en) * 2017-06-01 2018-12-11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Optical disc drive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KR102090756B1 (en) * 2018-12-05 2020-03-18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wearabl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4961A (en) Wireless charging module, wireless charging module deck,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KR20150084210A (en) Apparatus for charging portable device
US20180062687A1 (en) Portable Charging Case Module
US20160064987A1 (en) Wireless-charging base for charging in flat or inclined position
KR101443007B1 (en) Mobile Device Cradl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JP2012514967A5 (en)
KR20160007151A (en) Wireless charging device
KR101423028B1 (en) Removeable-type wireless power-charging apparatus, and settop box device having the same in removable pattern
KR101701054B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KR20150107671A (en) Wireless charging device
JP2010098861A (en) Charger apparatus of mobile electronic device
JP2014087136A (en) Contactless charger
KR200488549Y1 (en) A wireless charged spare battery and stand
KR20160007849A (en) Apparatus for both storing portable device and door handle in vehicle
JP2014087137A (en) Contactless charger
US20200227942A1 (en) Wireless charger and furniture having the same
KR20170127899A (en) Device for charging portable terminal embedded solar panel
US11050276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JP2013005543A (en) Non-contact charging system, charging stand unit, battery built-in apparatus unit, positioning adapter for charging stand, and charging stand
KR20160010972A (en) Wireless charging device
JP2015163009A (en) Mobile terminal power supply
KR20160010971A (en)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CN108121209A (en) A kind of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intelligent domestic system and intelligence control system
CN207690944U (en) A kind of cell apparatus
KR20150069392A (en) Charging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