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2618A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2618A
KR20150092618A KR1020140013206A KR20140013206A KR20150092618A KR 20150092618 A KR20150092618 A KR 20150092618A KR 1020140013206 A KR1020140013206 A KR 1020140013206A KR 20140013206 A KR20140013206 A KR 20140013206A KR 20150092618 A KR20150092618 A KR 20150092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control
mobile terminal
terminal
access
authenti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3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0601B1 (ko
Inventor
조봉관
Original Assignee
조봉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봉관 filed Critical 조봉관
Priority to KR1020140013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601B1/ko
Publication of KR20150092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안구역 출입시 모바일 단말기의 촬영, 녹음, 메모리 등을 제어함으로써 보안시설, 보안문서 등의 유출을 방지하며, 사용자의 보안 등급에 따라 다수의 보안등급으로 이루어진 보안구역을 출입하는 경우, 사용자가 보유한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인증코드를 전송하고, 인증코드의 입력을 통해 보안구역을 출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메인(Main) 출입통제 단말기에 출입통제를 요청하며, 출입통제 서버에서 전송되는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제1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출입통제 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출입통제 서버에서 생성된 출입식별자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출입통제 설정정보를 상기 출입통제 서버에 등록하는 제3 단계와 서브(Sub) 출입통제 단말기가 상기 출입식별자를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출입식별자를 상기 출입통제 서버에 전송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출입통제 서버는 인증코드를 입력받기 위한 인증코드 입력처리를 상기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에게 요청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는 입력되는 인증코드를 상기 출입통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출입통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인증코드의 승인 결과를 수신함에 따라 출입문을 개방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함에 기술적 의의가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An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안구역 출입시 모바일 단말기의 촬영, 녹음, 메모리 등을 제어함으로써 보안시설, 보안문서 등의 유출을 방지하며, 사용자의 보안 등급에 따라 다수의 보안등급으로 이루어진 보안구역을 출입하는 경우, 사용자가 보유한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인증코드를 전송하고, 인증코드의 입력을 통해 보안구역을 출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출입통제 시스템은 건물, 연구소, 공장, 사무실, 보안구역 등 접근자의 통제가 요구되는 특정 장소에 인명, 재산, 정보 등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건물 내 사무실 등의 접근자의 통제가 요구되는 출입통제는 출입 관리인, 출입카드 판독, 지문이나 홍채 등의 생체 인식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출입 관리인에 의한 출입통제 방식은 방문자들이 일일이 출입 정보를 기록하여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인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973991호의 '카드를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은 온라인 등의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고, 출입가능한 카드를 사용하여 출입통제를 수행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나, 이러한 출입카드 판독을 통한 출입통제 방식의 경우에는 출입자가 별도의 출입카드를 발급받아 소지하여야 하므로 카드발급에 대한 추가 비용이 발생하고, 카드 소지에 따르는 불편함이 존재하며, 출입카드의 분실 또는 도난으로 인해 외부인의 출입이 허용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인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786266호의 '생체인증 출입통제 장치 및 방법'은 지문, 홍채, 안면 등의 생체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생체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출입통제를 수행하는 방식으로써, 생체인식 시스템의 설치에 고가의 비용이 발생하며, 이에 따른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를 출입통제 시스템에 이용하여 출입통제를 위한 인증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가 악용되어 보안시설에 대한 촬영, 녹음, 저장 등의 불법행위를 사전에 방지하고자 출입통제 시스템과 연계된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을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의 촬영, 녹음, 저장 등의 행위를 제어하기 위한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안구역으로의 출입을 요청하는 경우, 출입통제 시스템에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로 인증코드를 전송함으로써, 해당 인증코드를 사용하여 출입을 허가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안구역으로 출입을 요청하는 경우, 출입통제 시스템에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하는 OTP(일회용 패스워드)를 인증코드로 사용하여 출입을 허가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를 출입통제 시스템에 등록함으로써,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여 출입을 허용할 수 있는 출입구역과 출입을 제한할 수 있는 제한구역을 설정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메인(Main) 출입통제 단말기에 출입통제를 요청하며, 출입통제 서버에서 전송되는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제1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출입통제 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출입통제 서버에서 생성된 출입식별자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출입통제 설정정보를 상기 출입통제 서버에 등록하는 제3 단계와 서브(Sub) 출입통제 단말기가 상기 출입식별자를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출입식별자를 상기 출입통제 서버에 전송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출입통제 서버는 인증코드를 입력받기 위한 인증코드 입력처리를 상기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에게 요청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는 입력되는 인증코드를 상기 출입통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출입통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인증코드의 승인 결과를 수신함에 따라 출입문을 개방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를 출입통제 시스템에 이용하여 출입통제의 인증을 위한 별도의 수단 및 생체정보 등을 노출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에 출입통제 시스템과 연계된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의 촬영, 녹음, 저장 등의 행위를 제어하여 보안시설에 대한 촬영, 녹음, 저장 등의 불법행위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안구역으로의 출입을 요청하는 경우, 출입통제 시스템에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로 인증코드를 전송함으로써, 해당 인증코드를 사용하여 출입을 허가함으로써, 출입 가능한 사용자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안구역으로 출입을 요청하는 경우, 출입통제 시스템에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하는 OTP(일회용 패스워드)를 인증코드로 사용하여 출입을 허가함으로써, 출입 가능한 사용자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를 출입통제 시스템에 등록함으로써,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여 출입을 허용할 수 있는 출입구역과 출입을 제한할 수 있는 제한구역을 설정하여, 사용자의 출입통제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통제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통제 시스템에 적용되는 모바일 단말기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통제 시스템의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통제 시스템의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통제 시스템의 출입통제 서버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통제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인증수단을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통제 시스템에서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되는 인증코드를 사용한 동작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통제 시스템에서 모바일 단말기가 생성하는 OTP를 사용한 동작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통제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통제 시스템에 적용되는 모바일 단말기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통제 시스템의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통제 시스템의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통제 시스템의 출입통제 서버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통제 시스템(200)은 사용자가 보유한 모바일 단말기(100)를 등록하기 위한 메인(main) 출입통제 단말기(210), 보안구역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서브(sub) 출입통제 단말기(220)와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와 모바일 단말기(100)의 모바일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출입통제 서버(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보유한 모바일 단말기(100)는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210)와 연결되어, 사용자 정보 및 모바일 정보를 출입통제 시스템(200)의 출입통제 서버(230)에 등록하여 출입통제 정책에 따라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에 연결된 보안구역을 출입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보유하는 모바일 단말기(100)는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210),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 및 출입통제 서버(230)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120)와 다양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30)가 구비된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0)는 출입통제 시스템(200)에 등록한 뒤, 출입통제 서버(230)로부터 전송되는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은 뒤, 설치한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110)이 구비된다.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110)은 출입통제 시스템(200)과 통신하여 모바일 단말기(100)의 특정 기능을 제어하며, 출입통제 서버(230)로부터 전송되는 인증코드를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하거나,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110)에서 생성되는 OTP(일회용 패스워드)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110)에는 OTP를 생성하기 위한 OTP 생성부(111)와 출입통제 서버(230)로부터 전송되는 인증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인증코드 저장부(112)와 출입통제 시스템(200)의 출입통제 서버(230)에 전송된 사용자 정보 및 모바일 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출입식별자를 저장하기 위한 출입식별자 저장부(113)와 모바일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 제어부(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OTP 생성부(111) 사용자가 보안구역을 출입하기 위해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에 입력해야 하는 인증코드가 OTP인 경우에 모바일 단말기(100)에 구비된 입력부(미도시)를 이용하여 OTP 생성을 수행하는 경우, OTP 생성부(111)는 해당 시간에 대응하는 OTP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생성된 OTP를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에 입력하여 보안구역을 출입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기(100)는 OTP 생성부(111)에서 생성된 OTP를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에 입력할 때, 출력된 OTP를 사용자가 직접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의 입력부(215)를 통해 입력할 수 있으나, 무선통신부(120)가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와 무선으로 연결됨에 따라 무선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무선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비접촉식 근거리 통신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되,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출입식별자 저장부(113)에 저장된 출입식별자와 OTP 생성부(111)에서 생성한 OTP가 함께 전송된다. 한편, 비접촉식 근거리 통신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단말기(100)가 출입통제 서버(230)로부터 인증코드를 부여받기 위해서는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에 출입식별자를 입력 또는 비접촉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100)에 저장된 출입식별자를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에 전송함으로써,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는 입력 또는 수신된 출입식별자를 출입통제 서버(230)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출입통제 서버(230)가 출입식별자에 대응하는 모바일 단말기(100)로 인증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출입통제 서버(230)의 인증코드 전송은 SMS(Simple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a Message Service) 등의 문자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110)을 이용할 수 있다.
결국, 모바일 단말기(100)는 수신된 인증코드 또는 생성된 OTP를 사용자에 의해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의 입력부(215)를 통해 입력하거나, 비접촉식 근거리 통신을 사용하여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코드 저장부(112)는 보안구역 출입을 위해 출입식별자를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에 전송하거나 입력함으로써, 출입통제 서버(230)로부터 전송되는 인증코드를 저장하며, 저장된 인증코드는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되어 사용자로부터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에 입력되거나, 비접촉식 근거리 통신을 사용하여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로 전송된다.
출입식별자 저장부(113)는 출입통제 시스템(200)이 구비된 건물 등의 시설물에 출입을 요청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전송된 사용자 정보 및 모바일 정보에 따라 출입통제 서버(230)에서 생성하여 모바일 단말기(100)에 전송한 출입식별자를 저장한다.
출입식별자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하나 이상으로 저장되며, 각각의 출입식별자는 출입통제 시스템(200)의 출입통제 정책에 의해 출입 가능한 보안구역과 출입이 불가능한 보안구역으로 구분된 보안등급이 설정되어 저장된다.
따라서, 하나의 출입식별자에는 다수의 등급으로 구분된 보안구역 중에서 특정 등급까지만을 출입할 수 있도록 설정되거나, 특정 건물 또는 위치 내에서 지정된 보안구역을 출입할 수 있도록 설정되거나, 지정된 보안유지 시간 내에서 지정된 보안구역을 출입할 수 있도록 설정되거나, 지정된 반경 내에서 지정된 보안구역을 출입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가 설치된 보안구역에 적용되는 보안등급, 건물, 위치, 일자, 시간, 반경 등의 다수의 조건 설정함으로써, 해당 모바일 단말기(100)를 보유한 사용자의 보안구역 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 제어부(114)는 출입통제 서버(230)로부터 전송되는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110)이 모바일 단말기(100)에 설치된 이후, 출입통제 서버(230)로부터 출입통제 서버(230)에 해당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110)의 설치완료 정보가 전송됨에 따라 등록완료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동작된다.
즉, 모바일 단말기 제어부(114)는 출입통제 서버(230)로부터 등록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부터 모바일 단말기(110)를 제어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에는 카메라, 마이크, 메모리 등의 보조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촬영, 녹음, 저장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구역을 출입하는 사용자가 보유한 모바일 단말기(100)의 기능은 제한되어야 한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 제어부(114)는 보안구역의 사진촬영, 동영상촬영, 녹음, 파일 저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카메라, 마이크, 메모리 등의 동작을 중지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추후, 모바일 단말기(114)가 보안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또는 출입식별자에 설정된 보안유지 시간 등의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기 제어부(114)는 모바일 단말기(110)의 촬영, 녹음, 저장 등의 동작제어를 해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210)는 모바일 단말기(100) 및 출입통제 서버(23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211),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정보 및 모바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등록부(212), 모바일 단말기(100)에 설정된 출입식별자에 대응하는 출입통제 정책을 저장하기 위한 통제등록부(213),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2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14), 사용자 정보 및 모바일 정보 등을 관리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216) 및 다양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통신부(211) 및 입력부(215)는 모바일 단말기(100) 또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모바일 정보를 수신받거나 입력받는다.
즉, 통신부(211)는 모바일 단말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모바일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100)와 메인 출입통제 서버(210)가 통신부(211)를 통해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는 메인 출입통제 서버(210)는 사용자 정보 및 모바일 정보를 입력부(215)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통신부(211) 또는 입력부(215)를 통해 수신되거나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 및 모바일 정보는 정보등록부(212)에 저장되며, 저장된 사용자 정보 및 모바일 정보는 출입통제 서버(230)로 전송된다.
한편, 통신부(211)는 출입통제 서버(23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 정보 및 모바일 정보를 출입통제 서버(23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데이터를 출입통제 서버(230)와 송수신할 수 있다.
통제등록부(213)는 출입통제 서버(230)에 등록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100) 및 사용자에 따른 출입통제 정책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써, 모바일 단말기(100)에 부여된 출입식별자에 따른 출입통제 정책을 지정하고, 해당 출입식별자에 지정된 출입통제 정책은 출입통제 서버(230)로 전송되어 등록된다.
따라서,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210)의 통제등록부(213)는 출입식별자의 출입통제 정책을 저장하고, 출입통제 서버(230)에 등록함으로써,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가 출입식별자에 따른 출입통제를 출입통제 서버(230)를 통해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214)는 모바일 단말기(100) 또는 입력부(215)를 통해 전송되거나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 및 모바일 정보 등을 정보등록부(212)에 저장하며, 저장된 사용자 정보 및 모바일 정보를 출입통제 서버(230)에 전송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0)가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완료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해당 설치완료 정보를 출입통제 서버(230)로 전송하고, 출입통제 서버(230)에서 전송되는 출입식별자를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또한, 통제등록부(213)에 출입식별자에 대응하는 출입통제 정책을 저장하고, 이를 출입통제 서버(230)에 등록 요청하고, 출입통제 서버(230)의 등록확인 전송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0)로 등록완료 신호를 전송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00)는 모바일 단말기(100), 출입통제 서버(23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221), 입력되는 정보 등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22), 사용자로부터 출입식별자, 인증코드, OTP 등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223) 및 출입통제 서버(230)의 인증코드 결과 전송에 따라 연결된 보안구역 출입문을 개폐하기 위한 출입제어부(2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통신부(221)는 모바일 단말기(100)와 비접촉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출입식별자, 인증코드, OTP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출입통제 서버(23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수신한 또는 입력부(223)를 통해 입력된 출입식별자, 인증코드, OTP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입력부(223)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 및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210)에 구비된 각각의 입력부(223, 215)는 디스플레이부와 연계된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버튼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출입제어부(224)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인증코드, OTP 등의 정보 또는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인증코드, OTP 등의 정보를 수신한 출입통제 서버(230)로부터 전송되는 인증결과에 따라 해당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가 관할하는 보안구역의 출입문의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즉, 출입통제 서버(230)로부터 출입문을 개방하기 위한 인증결과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해당 출입문을 개방하고, 출입문 개방을 허용하지 않는 인증결과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해당 출입문을 개방하지 않도록 한다.
출입통제 서버(230)는 모바일 단말기(100),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210),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231), 모바일 단말기(100)에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완료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21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 및 모바일 정보를 이용하여 출입식별자를 생성하기 위한 출입식별자 생성부(232),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21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 및 모바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등록부(233),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210)에서 생성하여 전송된 모바일 단말기(100) 및 사용자에 따른 출입통제 정책을 저장하기 위한 통제등록부(234), 출입통제 시스템(200)에서 관리하는 시설물 등의 보안정책 등을 저장하기 위한 출입통제 정책저장부(235) 및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에서 전송되는 출입식별자 또는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기(100)를 소지한 사용자의 보안구역 출입허가를 판단하기 위한 제어부(2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통신부(231)는 모바일 단말기(100),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210),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 등과 함께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 유선 또는 무선을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출입식별자 생성부(232)는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송한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완료된 설치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210)로부터 전송되어 정보등록부(233)에 저장된 해당 모바일 단말기(100)의 사용자 정보 및 모바일 정보를 사용하여 출입식별자를 생성한다.
생성되는 출입식별자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모바일 단말기(100)의 전화번호, 기기 일련번호, 비접촉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칩(chip)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생성되며, 해당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한 식별자로 사용될 수 있다. 출입식별자는 해당 사용자 및 모바일 단말기(100)를 출입통제 시스템(200)에 최초 등록하는 경우에 생성되며, 이후에는 생성된 출입식별자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출입식별자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전송되어 저장되며, 모바일 단말기(100)를 소지한 사용자가 보안구역의 출입문 등에 구비된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에 해당 출입식별자를 입력 또는 전송하는 경우,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는 해당 출입식별자를 출입통제 서버(230)로 전송하여 제어부(236)를 통해 인증되고 유효한 출입식별자인지를 판단 받을 수 있다.
정보등록부(233)는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210)에서 전송되는 사용자 정보 및 모바일 정보를 저장한다.
통제등록부(234)는 모바일 단말기(100) 및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 및 모바일 정보에 따라 출입식별자 생성부(232)에서 생성된 출입식별자에 대응하는 출입통제 정책이 저장된다. 출입통제 정책은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210)에서 생성하여 출입통제 서버(230)로 전송함에 따라 통제등록부(234)에 저장 등록된다.
출입통제 정책저장부(235)는 출입통제 시스템(200)에 적용된 보안정책 및 출입통제 정책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에 연결된 보안구역의 출입문 등의 보안등급 등이 설정되어 있으며, 특히 다수의 등급으로 구분된 보안구역 중에서 각각의 보안구역을 출입할 수 있는 보안등급이 설정되고, 특정 건물 또는 위치에 지정된 보안구역이 설정되거나, 특정 보안구역에 출입한 사용자의 출입시간, 체류시간, 통제시간 등이 설정된다.
즉, 출입통제 시스템(200)에 적용된 보안정책 및 출입통제 정책은 각각의 보안구역에 적용되는 보안등급, 건물, 위치, 일자, 시간, 반경 등의 다수의 조건에 따른 출입통제 정책을 설정함으로써, 해당 모바일 단말기(100)를 보유한 사용자의 출입통제 정책을 제한하여 설정할 수 있다.
출입통제 정책저장부(235)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설치되어야 하는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으며, 출입통제를 요청하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사용자 정보 및 모바일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모바일 단말기(100)로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이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의 전송은 제어부(235)를 통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35)는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에 입력되거나 전송된 출입식별자, 인증코드 또는 OTP를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정보등록부(233)에 저장된 출입식별자, 사용자 정보, 모바일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비교하여 정당한 출입식별자인지 판단한다.
또한, 사용자가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에 적용된 보안구역을 출입하기 위해 전송된 출입식별자의 인증이 완료된 경우, 제어부(236)는 모바일 단말기(100)로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전송하며, 이를 통해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에 입력되거나 전송되어, 수신되는 인증코드를 인증할 수 있다.
또는 출입식별자의 인증이 완료된 이후에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생성한 OTP가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를 통해 입력되는 경우, 수신되는 해당 OTP를 인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증코드 또는 OTP 인증 결과를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로 전송함으로써,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가 해당 인증 결과에 따른 출입통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통제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인증수단을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통제 서버(230)에서 생성되어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인증코드는 (a)와 같이 문자메시지 등으로 전송되거나, 모바일 단말기(100)에 설치된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0)가 인증코드를 수신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설치된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에서 OTP를 생성하고, 생성된 OTP를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에 입력 또는 전송함에 따라 OTP가 출입통제 서버(230)로 전송되어 인증이 수행된다.
한편, (b)에서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0)가 구비되지 않은 사용자는 식별번호가 부여된 출입카드(미도시)를 소지하고, OTP를 생성할 수 있는 OTP 생성기를 통해 OTP를 생성하여,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를 통해 출입자 인증을 수행받을 수 있다.
즉, 모바일 단말기(100)가 구비되지 않은 사용자는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210)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생성되는 출입식별자가 출입카드에 저장되며, 해당 출입카드를 이용하여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에 보안구역 출입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함께 지급된 OTP 생성기를 이용하여 생서한 OTP를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의 입력부(223)를 통해 입력하여 출입자 인증이 수행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통제 시스템에서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되는 인증코드를 사용한 동작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0)는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210)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출입통제 요청을 수행한다(S110).
S110 단계에서 출입통제 요청은 모바일 단말기(10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 및 모바일 정보를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210)에 전송됨에 따라 수행된다.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210)는 수신된 사용자 정보 및 모바일 정보를 출입통제 서버(230)로 전송하여, 사용자 등록을 요청한다(S120).
이후, 출입통제 서버(230)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 및 모바일 정보를 정보등록부(233)에 저장하며, 출입통제 정책저장부(235)에 저장된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을 해당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설치하도록 한다(S130).
메일 출입통제 단말기(210)는 모바일 단말기(100)가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완료정보를 수신하고(S140), 수신된 설치 완료정보를 출입통제 서버(230)로 전송한다(S150).
출입통제 서버(230)는 수신된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완료정보를 확인함에 따라 사용자 정보 및 모바일 정보를 사용하여 출입식별자를 생성하고, 생성된 출입식별자를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210)에 전송한다(S160).
이후,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210)가 수신한 출입식별자를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송하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출입식별자를 저장한다(S210).
한편,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210)는 출입식별자를 모바일 단말기(100)에게 전송한 이후, 해당 모바일 단말기(100) 및 사용자에 대응하는 출입통제 정책을 생성하고, 생성된 출입통제 정책을 출입통제 서버(230)로 전송하여 등록을 요청한다(S220).
출입통제 정책에는 사용자 및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출입이 가능한 보안구역 등이 설정되어 있으며, 설정되지 않은 보안구역은 출입이 허용되지 않도록 통제된다.
출입통제 서버(230)는 등록요청된 출입통제 정책을 통제등록부(234)에 저장하고, 등록확인 정보를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210)에 전송하면(S230),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210)는 수신된 등록확인 정보에 따라 등록완료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240).
이때, 모바일 단말기(100)는 등록완료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이 동작되어, 모바일 단말기(100)의 촬영, 녹음, 저장 등의 기능을 제어하게 된다.
다음으로 모바일 단말기(100)가 보안구역을 출입하기 위해 전송되어 저장된 출입식별자를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에 전송 또는 입력한다(S310). 모바일 단말기(100)는 출입식별자를 저장하고 있으며, 비접촉 근거리 통신을 사용하여 저장된 출입식별자를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에 전송하거나, 사용자가 해당 출입식별자를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의 입력부(223)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는 입력된 출입식별자를 출입통제 서버(230)에 전송하면(S320), 출입통제 서버(230)는 해당 출입식별자를 인식하고, 인식이 완료되는 경우,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가 인증코드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에게 인증코드 입력요청을 전송한다(S330).
이에 따라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는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인증코드를 전송받거나, 입력부(223)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한다.
S330 단계의 이후, 출입통제 서버(230)는 모바일 단말기(100)로 인증코드를 전송하며(S340), 모바일 단말기(100)는 전송된 인증코드를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로 전송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의 입력부(223)를 통해 인증코드가 입력된다(S350).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는 입력되거나 전송된 인증코드를 출입통제 서버(230)로 전송하고(S360), 전송된 인증코드를 확인한 출입통제 서버(230)는 인증코드 결과를 생성하여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에 전송하며,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는 인증코드 결과에 따라 보안구역의 출입문을 제어할 수 있다(S370).
다음으로 출입통제 서버(230)는 인증완료 정보를 생성하여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송함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0)가 해당 결과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S380).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통제 시스템에서 모바일 단말기가 생성하는 OTP를 사용한 동작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0)는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210)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출입통제 요청을 수행한다(S110).
S110 단계에서 출입통제 요청은 모바일 단말기(10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 및 모바일 정보를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210)에 전송됨에 따라 수행된다.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210)는 수신된 사용자 정보 및 모바일 정보를 출입통제 서버(230)로 전송하여, 사용자 등록을 요청한다(S120).
이후, 출입통제 서버(230)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 및 모바일 정보를 정보등록부(233)에 저장하며, 출입통제 정책저장부(235)에 저장된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을 해당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설치하도록 한다(S130).
메일 출입통제 단말기(210)는 모바일 단말기(100)가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완료정보를 수신하고(S140), 수신된 설치 완료정보를 출입통제 서버(230)로 전송한다(S150).
출입통제 서버(230)는 수신된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완료정보를 확인함에 따라 사용자 정보 및 모바일 정보를 사용하여 출입식별자를 생성하고, 생성된 출입식별자를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210)에 전송한다(S160).
이후,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210)가 수신한 출입식별자를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송하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출입식별자를 저장한다(S210).
한편,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210)는 출입식별자를 모바일 단말기(100)에게 전송한 이후, 해당 모바일 단말기(100) 및 사용자에 대응하는 출입통제 정책을 생성하고, 생성된 출입통제 정책을 출입통제 서버(230)로 전송하여 등록을 요청한다(S220).
출입통제 정책에는 사용자 및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출입이 가능한 보안구역 등이 설정되어 있으며, 설정되지 않은 보안구역은 출입이 허용되지 않도록 통제된다.
출입통제 서버(230)는 등록요청된 출입통제 정책을 통제등록부(234)에 저장하고, 등록확인 정보를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210)에 전송하면(S230),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210)는 수신된 등록확인 정보에 따라 등록완료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240).
이때, 모바일 단말기(100)는 등록완료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이 동작되어, 모바일 단말기(100)의 촬영, 녹음, 저장 등의 기능을 제어하게 된다.
다음으로 모바일 단말기(100)가 보안구역을 출입하기 위해 전송되어 저장된 출입식별자를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에 전송 또는 입력한다(S410). 모바일 단말기(100)는 출입식별자를 저장하고 있으며, 비접촉 근거리 통신을 사용하여 저장된 출입식별자를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에 전송하거나, 사용자가 해당 출입식별자를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의 입력부(223)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는 입력된 출입식별자를 출입통제 서버(230)에 전송하면(S420), 출입통제 서버(230)는 해당 출입식별자를 인식하고, 인식이 완료되는 경우,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가 인증코드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에게 인증코드 입력요청을 전송한다(S430).
이에 따라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는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인증코드를 전송받거나, 입력부(223)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한다.
S430 단계의 이후, 모바일 단말기(100)의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은 OTP를 생성하고 생성된 OTP를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의 입력부(223)를 통해 OTP가 입력된다(S440).
한편,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되는 OTP는 사용자에 의해 OTP를 생성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는 입력되거나 전송된 OTP를 출입통제 서버(230)로 전송하고(S450), 전송된 OTP를 확인한 출입통제 서버(230)는 OTP 결과를 생성하여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에 전송하며,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220)는 OTP 결과에 따라 보안구역의 출입문을 제어할 수 있다(S460).
다음으로 출입통제 서버(230)는 인증완료 정보를 생성하여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송함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0)가 해당 결과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S470).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모바일 단말기 110 :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
111 : OTP 생성부 112 : 인증코드 저장부
113 : 출입식별자 저장부 114 : 모바일 단말기 제어부
120 : 무선통신부 130, 222 : 디스플레이부
200 : 출입통제 시스템 210 :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
211, 221, 231 : 통신부 212, 233 : 정보등록부
213, 234 : 통제등록부 214, 236 : 제어부
215, 223 : 입력부 216 : 디스플레이부
220 :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 224 : 출입제어부
230 : 출입통제 서버 232 : 출입식별자 생성부
235 : 출입통제 정책저장부

Claims (10)

  1.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메인(Main) 출입통제 단말기에 출입통제를 요청하며, 출입통제 서버에서 전송되는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제1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출입통제 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출입통제 서버에서 생성된 출입식별자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2 단계;
    상기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출입통제 설정정보를 상기 출입통제 서버에 등록하는 제3 단계;
    서브(Sub) 출입통제 단말기가 상기 출입식별자를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출입식별자를 상기 출입통제 서버에 전송하는 제4 단계;
    상기 출입통제 서버는 인증코드를 입력받기 위한 인증코드 입력처리를 상기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에게 요청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는 입력되는 인증코드를 상기 출입통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출입통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인증코드의 승인 결과를 수신함에 따라 출입문을 개방하는 제6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에 접속하여 모바일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여 출입통제 요청을 수행하는 제1-1 과정;
    상기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가 상기 모바일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상기 메인서버에 전송하는 제1-2 과정;
    상기 출입통제 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등록을 수행하며, 등록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상기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제1-3 과정; 및
    상기 출입통제 서버가 전송한 상기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제1-4 과정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완료정보를 수신하는 제2-1 과정;
    상기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가 수신한 설치완료정보를 상기 출입통제 서버로 전송하는 제2-2 과정;
    상기 출입통제 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고, 상기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에 출입식별자를 생성하여 상기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2-3 과정; 및
    상기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는 수신된 상기 출입식별자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2-4 과정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가 상기 출입식별자에 대응하는 출입가능 구역인 출입통제 설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출입통제 설정정보을 상기 출입통제 서버에 전송하는 제3-1 과정;
    상기 출입통제 서버는 수신한 상기 출입통제 설정정보를 상기 출입식별자에 매칭하여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에 등록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제3-2 과정; 및
    상기 메인 출입통제 단말기는 수신한 상기 등록확인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등록완료 신호를 전송하는 제3-3 과정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촬영, 녹음, 메모리 사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3 과정에서 상기 등록완료 신호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수신되는 경우, 상기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에서
    상기 인증코드의 입력은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출입통제 서버에서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함에 따라 수신한 상기 인증코드를 상기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에서
    상기 인증코드의 입력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상기 출입통제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된 OTP(일회용 패스워드, one time password)를 상기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가 상기 출입식별자를 입력받는 것은 상기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사용하여 상기 출입식별자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받거나, 상기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입식별자를 입력받는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코드의 입력은 상기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사용하여 상기 인증코드 또는 상기 OTP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받거나, 상기 서브 출입통제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증코드 또는 상기 OTP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
KR1020140013206A 2014-02-05 2014-02-05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 KR101570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206A KR101570601B1 (ko) 2014-02-05 2014-02-05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206A KR101570601B1 (ko) 2014-02-05 2014-02-05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618A true KR20150092618A (ko) 2015-08-13
KR101570601B1 KR101570601B1 (ko) 2015-11-19

Family

ID=54056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3206A KR101570601B1 (ko) 2014-02-05 2014-02-05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060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96913A (zh) * 2016-08-01 2017-01-04 青岛槟海高新技术有限公司 通过云端服务器进行远程控制的门禁
CN106600755A (zh) * 2015-10-16 2017-04-26 巍世科技有限公司 一种光波加解密的万用钥匙***及其操作方法
KR20180054325A (ko) * 2016-11-15 2018-05-24 주식회사 에스원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출입자 정보 조회 시스템 및 방법
CN109243040A (zh) * 2018-11-20 2019-01-18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一种门禁通行管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102025837B1 (ko) * 2018-11-15 2019-09-26 주식회사 트라이앵글랩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이를 활용한 스마트컨트랙트가 적용된 출입통제 시스템
KR20210027965A (ko) * 2019-09-03 2021-03-11 강민 근거리 통신 및 패스워드 브로드캐스팅 기반의 출입보안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210044472A (ko) * 2019-10-15 2021-04-23 주식회사 에스원 블록체인을 이용한 불법출입자 검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불법 출입자 검색 방법
KR20220040684A (ko) * 2020-09-24 2022-03-31 (주) 네오큐 감염 예방 및 보안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KR20220118821A (ko) * 2021-02-19 2022-08-2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제한구역 출입을 위한 접근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460649B1 (ko) * 2021-09-17 2022-10-28 청년협동조합 청양사람 공유 시설의 무인 출입 관리 제어 시스템 및 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7184B1 (ko) * 2016-05-23 2018-10-11 주식회사 에스원 보안 구역 출입을 위한 모바일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255732B2 (en) 2016-09-08 2019-04-0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oor access control via a mobile device
KR102649476B1 (ko) * 2023-07-07 2024-03-20 한국피디도어 주식회사 스마트 인공지능 센서 도어 개폐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477B1 (ko) 2011-08-31 2012-12-12 주식회사 아이레보 모바일키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00755A (zh) * 2015-10-16 2017-04-26 巍世科技有限公司 一种光波加解密的万用钥匙***及其操作方法
CN106296913A (zh) * 2016-08-01 2017-01-04 青岛槟海高新技术有限公司 通过云端服务器进行远程控制的门禁
KR20180054325A (ko) * 2016-11-15 2018-05-24 주식회사 에스원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출입자 정보 조회 시스템 및 방법
KR102025837B1 (ko) * 2018-11-15 2019-09-26 주식회사 트라이앵글랩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이를 활용한 스마트컨트랙트가 적용된 출입통제 시스템
CN109243040A (zh) * 2018-11-20 2019-01-18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一种门禁通行管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20210027965A (ko) * 2019-09-03 2021-03-11 강민 근거리 통신 및 패스워드 브로드캐스팅 기반의 출입보안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WO2021045368A3 (ko) * 2019-09-03 2021-05-14 강민 근거리 통신 및 패스워드 브로드캐스팅 기반의 출입보안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210044472A (ko) * 2019-10-15 2021-04-23 주식회사 에스원 블록체인을 이용한 불법출입자 검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불법 출입자 검색 방법
KR20220040684A (ko) * 2020-09-24 2022-03-31 (주) 네오큐 감염 예방 및 보안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KR20220118821A (ko) * 2021-02-19 2022-08-2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제한구역 출입을 위한 접근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460649B1 (ko) * 2021-09-17 2022-10-28 청년협동조합 청양사람 공유 시설의 무인 출입 관리 제어 시스템 및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0601B1 (ko) 2015-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601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
US10818118B2 (en) Remote application for controlling access
EP3374918B1 (en) Access and automation control systems with mobile computing device
KR102056722B1 (ko) 인증 시스템 및 그에 따르는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 및 권한 인증 방법
KR101907958B1 (ko) 출입 통제 방법 및 장치, 사용자 단말, 서버
KR101920654B1 (ko) Nfc 기반 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TWI658717B (zh) 存取控制方法、存取控制系統及電腦可讀取儲存媒體
US20170257378A1 (en) Method for operating a field device
KR101614713B1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52599B1 (ko)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MX2013011116A (es) Distribucion de informacion de acceso a instalaciones.
KR101816876B1 (ko) 출입제어시스템 및 출입제어방법
KR101855494B1 (ko)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019097B1 (ko) 코드표시를 통한 차량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JP5359848B2 (ja) Icカード認証システム、icカード認証方法
KR101345018B1 (ko)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인증 시스템
KR102063569B1 (ko)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문 개폐관리장치 및 방법
KR20160076724A (ko) 건물 내 위험지역 출입자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062692A (ko) 출입문 개폐 통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도어락 장치 및 출입 보안 시스템
JP2018173923A (ja) 端末装置、ゲート管理方法、ゲート管理プログラム及びゲート管理システム
KR102295480B1 (ko) 산업 제어 시스템으로의 접근 허용을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0803536B1 (ko) 일회용 인증정보에 의한 인증기능을 구비한 출입관리장치및 그 방법
KR20130126357A (ko) 도어락 시스템
KR102340398B1 (ko) 출입 통제 제어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WO201505212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a wearab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