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2454A -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2454A
KR20150092454A KR1020140012844A KR20140012844A KR20150092454A KR 20150092454 A KR20150092454 A KR 20150092454A KR 1020140012844 A KR1020140012844 A KR 1020140012844A KR 20140012844 A KR20140012844 A KR 20140012844A KR 20150092454 A KR20150092454 A KR 20150092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home screen
editing information
screen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2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2454A/ko
Priority to US14/473,347 priority patent/US20150222946A1/en
Priority to CN201510058150.2A priority patent/CN104822082A/zh
Publication of KR20150092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와 연결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단말 장치로부터 편집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수신된 편집 정보로 홈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DISPLA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편집 정보를 기초로 홈 화면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 TV 또는 IPTV는, 스마트 TV 또는 IPTV에 설치된 인터넷 기반의 각종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웹 서핑, VOD 시청,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 Social Networking Service : SNS), 게임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스마트 TV의 홈 화면에는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은 물론, 영화, 애플리케이션, 개인 사진 등 다양한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는 아이콘들이 표시된다.
한편, TV를 이용하는 다수의 사용자의 개인적 취향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취향을 고려한 홈 화면을 제공받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홈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의 배치나 종류를 편집하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은 스마트 TV를 이용하여 VOD 서비스와 SNS 서비스를 자주 이용하고, B라는 사람은 실시간 방송 시청 등을 자주 이용하여 홈 화면에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표시되기를 원하지만, 스마트 TV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불문하고 항상 동일한 홈 화면이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 만족도를 높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홈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의 종류 및 배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설정메뉴를 활성화시켜야 하므로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한 홈 화면을 제공하고 보다 쉽게 홈 화면을 편집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한 TV 홈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게 홈 화면을 편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와 연결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편집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수신된 상기 편집 정보로 홈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편집 정보는, 상기 홈 화면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종류 또는 상기 컨텐츠의 배열 상태에 관한 정보인 것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편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기저장된 복수의 편집 정보에 대응되는 홈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와의 연결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 중 상기 편집 정보를 수신할 단말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편집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 디폴트로 설정된 홈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통신부는 NFC 태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각각의 편집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분할하고 상기 분할한 화면에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에 대한 홈 화면을 각각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와 연결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편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편집 정보로 홈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편집 정보는, 상기 홈 화면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종류 또는 상기 컨텐츠의 배열 상태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편집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저장부에 기저장된 복수의 편집 정보에 대응되는 홈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와의 연결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 중 상기 편집 정보를 수신할 단말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편집 정보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홈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편집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디폴트로 설정된 홈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편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NFC 태그로 수신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는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각각의 편집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분할하고 상기 분할한 화면에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에 대한 홈 화면을 각각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와 연결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편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편집 정보로 홈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TV의 홈 화면 및 홈 화면 편집 방법을 제공하면, 사용자 개개인의 취향을 고려한 홈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고, 스마트 TV에서 제공하는 별도의 설정메뉴를 활성화하여 홈 화면을 편집하지 않더라도 보다 용이하게 홈 화면을 편집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의 종류 또는 컨텐츠의 배열을 편집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내지 4는 단말 장치와의 연결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저장된 편집 정보 중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홈 화면을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 장치가 N:N으로 매칭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 장치가 N:1로 매칭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통신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일체형 스마트 TV, 분리형 스마트TV , IPTV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인터넷을 기반으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TV인 것으로 설명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웹 서핑, VOD 시청,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 Social Networking Service : SNS), 게임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웹 서핑, VOD 시청,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 Social Networking Service : SNS), 게임 기능 등에 대응한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10)는 하나의 화면을 복수의 화면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각각의 화면에 복수의 사용자가 선택한 웹 서핑, VOD 시청 등을 표시해 줄 수 있다. 또한, 각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다양한 UI(User Interface)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턴-온 시키거나, 리모컨과 같은 조작 장치로 홈 버튼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지원하는 각종 기능 또는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는 아이콘이 표시된 홈 화면이 제공된다.
사용자는 홈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컨텐츠를 시청하거나, 원하는 위젯 프로그램 등을 실행시킬 수 있다.
통신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연결된 단말 장치(미도시)로부터 편집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편집 정보란, 홈 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 종류 또는 컨텐츠의 배열 상태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 중 어떤 종류의 컨텐츠가 표시되게 할 것인지 또는 우선적으로 표시되는 컨텐츠가 어떠한 구조로 배치될 것인지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편집 장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단말 장치(미도시)에서 편집된 것일 수 있다.
한편, 통신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단말 장치(미도시)와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며,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및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또는 유선방식으로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Blooth, Zigbee와 같이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4 표준, NFC 태그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NFC 태그 방식으로 연결되는 경우를 예로 든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는 전자태그(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 중 하나로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기술이다. 통신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해 주목받는 근거리 통신 기술 중 하나로 데이터 읽기와 쓰기가 모두 가능할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처럼 기기 간 설정을 하지 않더라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단말 장치(미도시)가 스마트폰인 경우, 단말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NFC 태그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일정 거리내에 위치한 단말 장치를 자동으로 서로를 인식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된 편집 정보로 홈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A라는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마트 TV 홈 화면에 표시될 컨텐츠의 종류 또는 컨텐츠의 배열을 미리 편집하여 그에 관한 정보를 스마트폰에 저장해 둘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단말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NFC 태그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연결시키고 미리 편집해 두었던 컨텐츠 종류 또는 컨텐츠 배열에 관한 정보, 즉 편집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를 기초로 홈 화면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다른 사용자 B가 미리 편집해 두었던 컨텐츠 종류 및 컨텐츠의 배열에 관한 정보를 NFC 태그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이를 기초로 다른 홈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춘 홈 화면을 스마트폰에서 미리 편집해 두었다가 이를 스마트 TV에 전송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TV에서 홈 화면을 편집하기 위해 별도의 설정메뉴를 활성화시키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는 효과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A의 홈 화면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다른 사용자 B로부터 홈 화면을 제공하라는 요청이 있는 경우, 화면을 분할하여 각각의 화면에 사용자 A의 홈 화면과 다른 사용자 B의 홈 화면을 각각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의 종류 또는 컨텐츠의 배열을 편집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에 도시된 단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로써, 스마트폰, 테블릿 PC, 노트북, PDA 단말기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말 장치(200)가 스마트폰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말 장치(20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조사가 제공하는 홈 화면 편집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홈 화면(210) 및 복수의 컨텐츠가 표시되는 화면(220)이 표시된다.
단말 장치(200)의 홈 화면(210)에는 사용자가 설정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상의 홈 화면이 표시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상의 홈 화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실행하였을 때 표시되는 화면으로, 홈 화면에는 현재 방영 중인 TV화면이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컨텐츠들이 표시된다. 컨텐츠에는 VOD 서비스, 웹 서비스, 게임, 애플리케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 장치(200)의 홈 화면(210)에서 사용자는 각 컨텐츠 들의 배열을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의 홈 화면(210) 하단의 Internet 아이콘(210)을 Drag and Drop 방식으로 상단으로 끌어올리면, Internet 아이콘의 위치가 변경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아이콘들의 배열을 같은 방법으로 편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Drag and Drop 방식으로 아이콘 배열을 편집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단말 장치(200)에 구비된 물리적인 방향키로 편집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 장치(200)의 홈 화면(210)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배열뿐만 아니라, 표시되는 컨텐츠의 종류도 편집할 수 있다.
복수의 컨텐츠가 표시되는 화면(22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실행할 수 있는 복수의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자고자 하는 혹은 자주 사용하는 컨텐츠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홈 화면(210)으로 Drag and Drop 방식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는 Drag and Drop 방식으로 컨텐츠 아이콘을 복수의 컨텐츠가 표시되는 화면(220)에서 단말 장치(200)의 홈 화면(210)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단말 장치(200)에 구비된 물리적인 방향키로 편집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단말 장치(200)에서 편집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210)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사용자가 단말 장치(200)를 통해 편집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210)과 동일한 화면이 표시된다.
이의 과정에서 복수의 사용자, 가령 한 가정 내에서 아버지와 아들이 각각 자신의 단말 장치(200)를 통해 홈 화면(210)을 요청하였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사용자가 홈 화면(210)을 요청하였는지 판단한 후, 그 결과에 따라 화면을 분할하고 분할된 각각의 화면에 홈 화면(210)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수에 따라 기설정된 방식대로, 2 분할하거나, 3 분할 또는 4 분할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2명이고, 기설정된 방식이 좌우 분할인 경우에는 이를 판단하여 각 사용자의 홈 화면(210)을 화면의 좌우에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관련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별도의 설정메뉴를 통해 홈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종류 및 배열을 편집하지 않아도 단말 장치(200)에서 손쉽게 이를 편집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4는 단말 장치와의 연결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3 및 도 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단말 장치와의 연결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제어부(130)에 의해 생성된 UI를 표시한다.
통신부(120)가 NFC 태그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가 단말 장치를 통신부(120)에 가져다 대면, 별도의 기기 간 설정이 없더라도 단말 장치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검색된 단말 장치를 연결할 것인지에 대한 UI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YES"를 선택하면, 단말 장치로부터 사용자가 미리 편집해 놓은 홈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홈 화면을 생성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위에 연결 가능한 복수의 단말 장치가 있을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연결 가능한 복수의 단말 장치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연결하고자 하는 단말 장치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복수의 단말 장치 중 하나의 단말 장치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편집 정보로 홈 화면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가 단말 장치와의 연결 상태를 "NO"라고 선택한 경우, 단말 장치로부터 컨텐츠 종류 및 배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지 않게 되므로 디폴트로 설정된 홈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단말 장치와의 연결 상태를 "YES"라고 선택한 경우라고 할지라도,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편집 정보 수신에 실패하면, 디폴트로 설정된 홈 화면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편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단말 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라 할지라도, 이전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해둔 편집 정보로 홈 화면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저장된 편집 정보 중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홈 화면을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에 기 저장된 복수의 편집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홈 화면(510, 520, 530)을 생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 저장된 복수의 편집 정보를 기초로 제공되는 홈 화면(510, 520, 530)이 3개인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더 많은 홈 화면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는 방향키(540, 550)를 선택하여 다음 화면에 표시되는 홈 화면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편집 정보를 저장하였다가, 이를 기초로 홈 화면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단말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라도, 사용자 취향을 반영한 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나아가, 위의 실시예는 기 저장된 복수의 편집 정보를 하나만 선택할 수 있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복수 개를 선택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는데, 이의 경우에는 화면을 분할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로부터 편집 정보를 수신하여 홈 화면을 제공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단말 장치가 N:N으로 매칭되어 사용자 집안의 TV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도 사용자 취향을 고려한 홈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 장치가 N:N으로 매칭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3대의 단말 장치(200-a, 200-b, 200-c)가 3대의 디스플레이 장치(100-a, 100-b, 100-c)와 매칭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복수의 단말 장치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과 매칭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단말 장치 A(200-a)가 디스플레이 장치 C'(100-c)에 편집 정보를 전송하면, 단말 장치 A(200-a)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따른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 C'(100-c)에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 A(200-a)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 C'(100-c)과 다른 장소에 위치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A'(100-a)에서 자신만의 홈 화면을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단말 장치 A(200-a)에서 편집한 편집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 A'(100-a)에 전송하여 자신만의 홈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단말 장치 B(200-b)의 사용자 및 단말 장치 C(200-c)의 사용자도 디스플레이 장치가 위치한 장소를 불문하고, 단말 장치에서 편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여 자신의 취향에 맞는 홈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이동성이 뛰어난 단말 장치에서 홈 화면을 편집하고, 이 편집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여 홈 화면을 제공받으면, 사용자가 자신이 위치한 장소나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자신의 취향에 맞는 홈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어 사용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단말 장치에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에 표시될 컨텐츠의 종류 및 컨텐츠 배열을 편집한다. 그리고, 단말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말 장치로부터 편집 정보를 수신한다(S710).
단말 장치가 스마트폰이고 NFC 태그를 구비한 경우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일정 거리내에 위치한 단말 장치를 자동으로 서로를 인식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말 장치부터 편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로부터 편집 정보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편집 정보를 기초로 홈 화면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720). 또한, 수신된 편집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저장부에 저장되어, 설사 단말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100) 유무선으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라도 저장부에 저장된 편집 정보로 홈 화면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에서 편집된 편집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홈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하면,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 취향을 고려한 홈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초기 화면에 표시되는 홈 화면을 설정하기 위해 별도의 설정메뉴에 들어가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는 효과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단말 장치가 N:1로 매칭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단말 장치(200-a, 200-b, 200-c)로부터 제공되는 편집 정보의 개수에 따라 화면을 분할하여 홈 화면(810, 820, 830)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단말 장치 A(200-a)에서 제공된 편집 정보에 따라 풀 화면, 즉 하나의 화면상에 홈 화면을 구성한 상태에서 단말 장치 B(200-b)로부터 편집 정보가 제공되었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를 판단한 후 판단 결과에 따라 도 8에서와 같이 기설정된 방식에 따라 화면을 좌우로 분할하여 홈 화면(810, 820)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설정된 방식은 좌우로 분할된 화면 이외에 상하 등으로 분할된 화면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 장치 C(200-c)에서도 편집 정보가 제공되었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를 판단한 후 도 9에서와 같이 기설정된 방식에 따라 화면을 분할하여 홈 화면(810~83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가령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분할을 위하여는 소스 드라이버에서 화소 데이터가 분리되어 제공되어야만 홈 화면(810~830)의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분할은 화소 데이터를 합성하는 PIP(Picture-In-Picture)와 대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위에서와 같은 판단 동작 이외에 다양한 판단 동작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편집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200-a, 200-b, 200-c)가 기등록되어 있는 정당 사용자의 장치인지에 따라 화면의 분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화면 분할시 최대 2개까지만 분할 가능하도록 기설정한 경우라면 입력된 편집 정보의 순서에 따라 화면을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우선 순위가 설정된 편집 정보 또는 단말 장치(200-a, 200-b, 200-c)가 있다면, 우선 순위에 근거하여 화면을 분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화면을 분할하고 분할된 화면에 홈 화면을 각각 표시하는 방법,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방법과 관련하여 별도의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도 8 및 도 9, 그리고 이를 참조한 위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충분히 뒷받침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통신부 130 : 제어부

Claims (19)

  1.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와 연결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편집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수신된 상기 편집 정보로 홈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정보는,
    상기 홈 화면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종류 또는 상기 컨텐츠의 배열 상태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편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기저장된 복수의 편집 정보에 대응되는 홈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UI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와의 연결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 중 상기 편집 정보를 수신할 단말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편집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 디폴트로 설정된 홈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NFC 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각각의 편집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분할하고 상기 분할한 화면에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에 대한 홈 화면을 각각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와 연결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편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편집 정보로 홈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정보는,
    상기 홈 화면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종류 또는 상기 컨텐츠의 배열 상태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편집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저장부에 기저장된 복수의 편집 정보에 대응되는 홈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와의 연결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 중 상기 편집 정보를 수신할 단말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편집 정보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홈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편집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디폴트로 설정된 홈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편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NFC 태그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는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각각의 편집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분할하고 상기 분할한 화면에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에 대한 홈 화면을 각각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19.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와 연결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편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편집 정보로 홈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40012844A 2014-02-05 2014-02-05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50092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844A KR20150092454A (ko) 2014-02-05 2014-02-05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14/473,347 US20150222946A1 (en) 2014-02-05 2014-08-29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201510058150.2A CN104822082A (zh) 2014-02-05 2015-02-04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844A KR20150092454A (ko) 2014-02-05 2014-02-05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454A true KR20150092454A (ko) 2015-08-13

Family

ID=53732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844A KR20150092454A (ko) 2014-02-05 2014-02-05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222946A1 (ko)
KR (1) KR20150092454A (ko)
CN (1) CN1048220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20669A1 (de) 2015-06-29 2016-12-29 Hyundai Motor Company Vierradgetriebenes Leistungsübertragungssystem eines Hybridelektrofahrzeug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3599B2 (en) * 2015-01-07 2018-09-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matic home screen determination based on display device
WO2017045111A1 (zh) * 2015-09-15 2017-03-23 武克易 一种智能电视实现方法及***
US10572213B2 (en) * 2016-04-04 2020-02-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niversal application pinning
WO2017188704A2 (en) * 2016-04-25 2017-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inter-device connectivity
CN112584223A (zh) * 2020-12-04 2021-03-30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基于电视的自适应分屏显示方法、装置、智能终端及介质
CN113703706A (zh) * 2021-08-27 2021-11-26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路投屏的显示方法、显示设备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527B1 (ko) * 2010-12-07 2017-05-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바일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5768419B2 (ja) * 2011-03-11 2015-08-26 株式会社リコー 編集制御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編集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9462466B2 (en) * 2011-09-29 2016-10-04 Israel L'Heureux Gateway router supporting session hand-off and content sharing among clients of a local area network
KR20140091545A (ko) * 2011-10-04 2014-07-21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디바이스 상의 결합된 활동 히스토리
KR101522399B1 (ko) * 2011-12-23 2015-05-22 주식회사 케이티 휴대 단말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화면 표출 방법 및 그 휴대 단말
US9317240B2 (en) * 2012-02-15 2016-04-19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30106684A (ko) * 2012-03-20 2013-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스크린 공유 방법
US9632648B2 (en) * 2012-07-06 2017-04-2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image display device and user interface provision method using the same
US20140053189A1 (en) * 2012-08-17 2014-02-2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home screen
CN103235680B (zh) * 2013-04-02 2016-08-03 深圳市文鼎创数据科技有限公司 蓝牙连接的处理方法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20669A1 (de) 2015-06-29 2016-12-29 Hyundai Motor Company Vierradgetriebenes Leistungsübertragungssystem eines Hybridelektrofahrzeu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22082A (zh) 2015-08-05
US20150222946A1 (en)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24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AU2013360531B2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US10708534B2 (en) Terminal executing mirror application of a peripheral device
KR102071579B1 (ko) 화면 미러링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20130027613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portable terminal,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US20150100983A1 (en) Personal Mobile Device as Ad hoc Set-Top Box for Television
US1048175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72143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2740151A (zh) 针对多个观看者个性化的音视频显示装置用户界面
KR2016005555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16006084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15011109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EP2899986B1 (en) Display apparatus, mobile apparatus, system and setting controlling method for connection thereof
CN105230031A (zh) 遥控设备、显示装置和用于控制遥控设备和显示装置的方法
KR20130098460A (ko) 컴퓨팅 디바이스 및 ui 제공 방법
KR101990866B1 (ko)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6462518A (zh) 用户终端及其控制方法
KR102267194B1 (ko)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30022687A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및 디지털 텔레비전
KR10258185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13219613A (ja) 遠隔操作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遠隔操作装置
CN107533429A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10742922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EP2699016A1 (en) Method of collectively configuring list items and terminal using the same
KR2016013937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