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0003A - A total body exercise equipment - Google Patents

A total body exercise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0003A
KR20150090003A KR1020150102113A KR20150102113A KR20150090003A KR 20150090003 A KR20150090003 A KR 20150090003A KR 1020150102113 A KR1020150102113 A KR 1020150102113A KR 20150102113 A KR20150102113 A KR 20150102113A KR 20150090003 A KR20150090003 A KR 20150090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ocket
crankshaft
wheel
driving force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21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정수
Original Assignee
임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수 filed Critical 임정수
Priority to KR1020150102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0003A/en
Publication of KR20150090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00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 A63B22/0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by simultaneously exercising arms and legs, e.g. diagonally in anti-phase
    • A63B22/00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by simultaneously exercising arms and legs, e.g. diagonally in anti-phase the exercises for arms and legs being functionally independ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33With separate means driven by each limb, i.e. performing different mov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ole body exercise equipment which enables a user to perform a whole body exercise method by using both arms and both legs in a stable and convenient manner. The whole body exercise equipment includes: a first crank shaft on which a first crank arm having grips and a first sprocket are installed; a second crank shaft on which a second crank arm having pedals, a second sprocket, and a third sprocket are installed; a driven shaft on which wheels and a driven sprocket are installed; a first driving power transmitting means which is engaged with the first sprocket and the second sprocket, inter-transmits rotational force between the first crank shaft and the second crank shaft to link the first crank shaft with the second crank shaft; a second driving power transmitting means which is engaged with the second sprocket and the third sprocket and transmits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crank shaft to the driven shaft to rotate the driven shaft; a frame on which the first crank shaft and the second crank shaft are installed; a bracket on which the driven shaft is installed; and a base unit on which the frame and the bracket are fixated.

Description

전신 운동 기구{A TOTAL BODY EXERCISE EQUIPMENT}{A TOTAL BODY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전신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팔과 두 다리를 모두 사용하는 전신 운동법을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이면서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전신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ole body exercise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hole body exercise machine that can perform a whole body exercise method using both arms and two legs safely, effectively and conveniently.

기후에 관계없이 실내에서 간편하고도 효과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개발된 공지의 대표적인 운동기구로서, 예를 들어 실내 자전거(Indoor cycle), 스텝퍼(stepper) 및 일립티컬 트레이너(elliptical trainer)등은 모두 페달을 사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For example, an indoor cycle, a stepper, and an elliptical trainer are all known pedal apparatuses that are developed to enable a simple and effective exercise in a room regardless of the climate, Is used.

이 중, 실내 자전거는 통상적인 자전거의 프레임을 베이스에 고정하고 바퀴가 지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설치하였으므로, 페달을 밟아 운동부하인 바퀴가 공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실내에서도 자전거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종래의 실내 자전거는 페달을 발로 밟아 바퀴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발생되는 부하로 하체에 운동효과를 부여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전체적인 구조 및 작용효과는 하체운동에만 집중되어 있어서 상체에 대해서는 거의 운동 효과가 없었다.Among these, the indoor bicycl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rame of the ordinary bicycle is fixed to the base and the wheels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so that the pedal is depressed to allow the wheels as the exercise load to idle, The conventional indoor bicycle is configured to impart a motion effect to the lower body due to a load generated to rotate the wheel by stepping on the pedal, and the overall structure and operation effect are concentrated only on the lower body motion, so that there is almost no exercise effect on the upper body.

실내 자전거에 관한 종래기술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20069호 (2001.03.15 공개), 특허 제10-0766426호 (2007.10.12 공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77360호 (2009.07.15 공개), 등록실용신안 제20-0334981호 (2003.12.03 공고), 등록실용신안 제20-0348843호 (2004.05.03 공고),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5768호 (2008.11.28 공개) 등 다수가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related to indoor bicycles, there are known conventional technique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s. 10-2001-0020069 (published on March 15, 2001), 10-0766426 (October 12, 2007), 10-2009-0077360 Registration No. 20-0334981 (published on Dec. 3, 2003),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48843 (Announced on May 3, 2004), Utility Model No. 20-2008-0005768 (Issued on July 21, 2008),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34981 Public).

스테퍼는 좌우의 페달을 교대로 밟으면서 산이나 계단을 오르는 행위를 모방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으로서, 베이스에 피벗, 또는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한 쌍의 페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tepper is designed to be able to perform a movement simulating an action of climbing a mountain or a stair step by stepping on the left and right pedals alternately, including a pair of pedals pivotally or rotatably attached to the base and movable up and down .

스테퍼에 관한 종래기술로서는, 대한민국 특허 제10-370816호 (2003.03.28 공고), 등록실용신안 제20-419097호 (2006.06.15 공드)등을 들 수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the stepper, there are Korean Patent No. 10-370816 (published on Mar. 23, 2008) and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419097 (issued on June 15, 2006).

일립티컬 트레이너는, 인간의 보행시의 발의 궤적과 흡사하게 페달이 타원형의 궤적을 따라 움직이도록 구성된 운동기구로서, 페달의 운동에 연동하여 앞뒤로 요동하는 핸들 바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전신 운동을 의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핸들 바는 사용자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을 주된 기능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체에 대한 운동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부하는 사실상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The elliptical trainer is a motion mechanism that is configured to move the pedal along an elliptical trajectory similar to a foot trace of a human being, and is generally provided with a handle bar pivoting back and forth in conjunction with the motion of the pedal. . However, the handle bar has a main function of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 user, and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load capable of imparting the exercise effect to the upper body is not actually installed.

일립티컬 트레이너에 관한 종래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90642호(2005.07.25 공고), 등록실용신안 제20-235047호(2001.09.25공고)등과, 미국특허 제6,482,130호 및 제6,146,313호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conventional techniques related to the elliptical trainer includ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390642 (published on Jul. 25, 2005),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235047 (issued on September 25, 2001), U.S. Patent Nos. 6,482,130 and 6,146,313 .

이와 같이, 종래의 실내용 운동 기구들은 일부 전신 운동을 지향하고 있다고 선전되거나 인식되고 있지만, 구조적으로 페달을 이용한 하체쪽의 운동이 주로 행해지도록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상체운동 효과는 상대적으로 미미한 것이 현실이다.Thus, although the conventional indoor exercise devices are promoted or recognized to be aimed at some whole body movements, the upper body exercise effect is relatively small because the lower body exercise using the pedal is structurally performed mainly. .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내에서 효과적으로 전신 운동을 할 수 있는 전신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whole body exercise machine capable of effectively exercising a whole body in a room.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손잡이를 가지는 제1 크랭크 아암 및 제1 스프로킷이 장착되는 제1 크랭크축; 페달을 가지는 제2 크랭크 아암, 제2 스프로킷 및 제3 스프로킷이 장착되는 제2 크랭크 축; 바퀴 및 종동 스프로킷이 장착되는 종동 축; 제1 크랭크축 및 제2 크랭크축의 회전력을 상호간에 대하여 전달함으로써 제1 크랭크축과 제2 크랭크축이 연동하도록 제1 스프로킷 및 제2 스프로킷에 맞물리는 제1 구동력 전달수단; 제2 크랭크축의 회전력을 종동 축으로 전달하여 종동 축을 회전시키도록 제2 스프로킷과 제3 스프로킷에 맞물리는 제2 구동력 전달수단; 제1 크랭크 축 및 제2 크랭크 축이 설치되는 프레임; 종동 축이 설치되는 브래킷; 및, 프레임 및 브래킷이 고정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전신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reof, a crankshaft comprising: a first crankshaft to which a first crank arm having a handle and a first sprocket are mounted; A second crankshaft to which a second crank arm having a pedal, a second sprocket and a third sprocket are mounted; A driven shaft on which a wheel and a driven sprocket are mounted; First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s of the first crankshaft and the second crankshaft to each other to engage the first sprocket and the second sprocket so that the first crankshaft and the second crankshaft cooperate; Second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crankshaft to the driven shaft to engage the second sprocket and the third sprocket so as to rotate the driven shaft; A frame in which the first crankshaft and the second crankshaft are installed; A bracket on which a driven shaft is installed; And a base portion to which the frame and the bracket are fixed.

바람직하게는, 제1 스프로킷, 제2 스프로킷, 제3 스프로킷 및 종동 스프로킷의 외주에는 기어가 형성되며, 제1 구동력 전달수단 및 제 2 구동력 전달수단은 타이밍벨트이다. Preferably, gears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procket, the second sprocket, the third sprocket, and the driven sprocket, and the first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ans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ans are timing belts.

바람직하게는, 제1 스프로킷, 제2 스프로킷, 제3 스프로킷 및 종동 스프로킷의 외주에는 기어가 형성되며, 제1 구동력 전달수단 및 제 2 구동력 전달수단은 체인벨트이다. Preferably, gears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procket, the second sprocket, the third sprocket, and the driven sprocket, and the first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ans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ans are chain belts.

바람직하게는, 제1 구동력 전달수단의 궤도 및 장력을 제어하기 위한 가이드 아이들러가 제1 구동력 전달수단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각각 접하도록 설치된다. Preferably, a guide idler for controlling the trajectory and tension of the first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ans is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ans, respectively.

선택적으로, 프레임은 안장을 장착할 수 있는 안장 장착부를 더 포함한다.Optionally, the frame further comprises a saddle-mount capable of mounting the saddle.

선택적으로, 프레임이 고정식 손잡이를 더 포함한다. Optionally, the frame further comprises a stationary handle.

바람직하게는, 전신 운동 기구는 바퀴에 부하를 인가하는 부하 인가수단 및 부하 제어수단을 더 포함한다. Preferably, the whole body exercis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load applying means for applying a load to the wheel and load controlling means.

바람직하게는, 바퀴의 재료는 금속이며, 부하 인가수단은 바퀴에 자력을 인가하는 자력발생수단이다. Preferably, the material of the wheel is a metal, and the load applying means is a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for applying a magnetic force to the wheel.

바람직하게는, 부하 인가수단은 바퀴에 마찰력을 인가하는 패드이다.Preferably, the load applying means is a pad for applying a frictional force to the wheel.

바람직하게는, 부하 제어수단은 자력발생수단을 바퀴쪽으로 접근시키는 와이어 및, 자력발생수단을 바퀴로부터 후퇴시키는 인장력을 발휘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Preferably, the load control means comprises a wire for moving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toward the wheel and a spring for exerting a tensile force to retract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from the wheel.

바람직하게는, 부하 제어수단은 자력발생수단을 바퀴쪽으로 접근시키는 와이어 및, 자력발생수단을 바퀴로부터 후퇴시키는 압축력을 발휘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Preferably, the load control means comprises a wire for moving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toward the wheel, and a spring for exerting a compressive force for retracting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from the wheel.

바람직하게는, 부하 제어수단은 패드를 바퀴쪽으로 밀착하도록 잡아당기는 와이어 및, 패드를 바퀴로부터 후퇴시키는 인장력을 발휘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Preferably, the load control means comprises a wire pulling the pad in close contact with the wheel, and a spring exerting a tensile force to retract the pad from the wheel.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팔로는 제1 크랭크 축을 구동하고, 다리로는 제2 크랭크 축을 구동하며, 제1 구동력 전달수단에 의하여 제1 크랭크 축과 제2 크랭크 축이 상호 연동되고, 결과적으로 제1 크랭크 축과 제2 크랭크 축의 회전력의 합력이 운동부하로서의 바퀴를 회전시키도록 전신 운동 기구가 구성되기 때문에, 매우 효과적으로 안전하게 전신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rankshaft is driven by the arm, the second crankshaft is driven by the leg, and the first crankshaft and the second crankshaft are interlocked And as a result, the whole body motion mechanism is constituted so that the resultant force of the rotational forces of the first crankshaft and the second crankshaft rotates the wheel as the motion load, so that the whole body motion can be performed safely and effectively.

또한, 가이드 아이들러를 채택함으로써 제1 구동력 전달수단의 궤도가 하체와 상체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각도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안정된 자세에서 효과적으로 전신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guide idler is adopted, the trajectory of the first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ans is formed by bending at an angle capable of stably maintaining the lower and upper bodies, so that the whole body motion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in a very stable posture.

또한, 부하인가 수단 및 부하제어 수단을 채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로 운동부하를 증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Further, by adopting the load applying means and the load control mean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arbitrarily increase or decrease the exercise load.

또한, 안장 및 고정식 손잡이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실내자전거 운동기구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addle and the fixed handle are separately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conventional indoor bicycle exercise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의 내부를 나타내는 부분절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에 있어서 제1 크랭크 축, 제2 크랭크 축, 제3 크랭크 축 및 종동 축의 구동력 전달체계를 구성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에 있어서 부하 인가수단 및 부하 제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hole body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cutaway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whole body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constituting a driving force transmission system of a first crankshaft, a second crankshaft, a third crankshaft, and a driven shaft in the whole body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oad application means and the load control means in the whole body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신 운동 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whole body exercis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전신 운동 기구(100)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전신 운동 기구(100)는 전체적으로 그의 외관이 종래의 실내 자전거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지면에 안정적으로 전신 운동 기구(100)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110)를 가진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n embodiment of a whole body exercis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hole body exercise device 100 has a shape similar to that of a conventional indoor bicycle as a whole, And a base 110 for supporting the exercising apparatus 100.

도면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전신 운동 기구(100)의 특징적인 요부 구성에 관한 구조의 대부분이 하우징(120)내에 수납된 것으로 도시되어 되지만, 하우징(120)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미관상 또는 편의상 제공되는 것에 불과하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안장(71) 및 고정 손잡이(80)가 장착되어 있지만, 안장(71) 및 고정 손잡이(80)는 본 발명의 전신 운동 기구(100)를 종래의 실내 자전거와 같은 용도로 사용할 때 이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부구성은 아니다.Although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most of the structure relating to the characteristic recessed features of the systemic exercise machi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housed within the housing 120, the housing 120 is not essential, It is only provided. Although the saddle 71 and the fixed knob 80 are mounte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addle 71 and the fixed knob 80 are used for the same purpose as the conventional indoor bicycle And is not a main constitu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하우징(120)을 제거된 상태의 본원 발명의 전신 운동 기구(1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에 있어서 제1 크랭크 축, 제2 크랭크 축, 제3 크랭크 축 및 종동 축의 구동력 전달체계를 구성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2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hole body exercis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120 is removed.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whole body exerci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first crankshaft, , The third crankshaft, and the driven shaft.

도면에 나타낸 전신 운동 기구(100)의 베이스(110)에는 프레임(60) 및 브래킷(61)이 설치된다. 프레임(60)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그의 하부 끝단으로부터 대략 중간부까지는 베이스(110)로부터 수직으로 직립하고 중간부로부터 상부 끝단까지는 전방을 향하여 대략 45도 정도로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A frame 60 and a bracket 61 are provided on a base 110 of the whole body exercising apparatus 100 shown in the figure. The frame 6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frame 60 is vertically erected from the lower en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base 110, and extends from the middle portion to the upper end to about 45 degrees And has a bent shape.

프레임(60)의 상부 끝단 근방에는 공지의 베어링 수단 등을 통하여 제1 크랭크축(10)이 장착된다. 제1 크랭크축(10)의 좌우 양쪽에는 제1 크랭크 아암(12)이 각각 설치되며, 제1 크랭크 아암(12)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1)가 각각 구비된다. 제1 크랭크축(10)에는 또한 제1 스프로킷(13)이 장착되며, 제1 스프로킷(13)의 외주에는 기어가 형성된다. Near the upper end of the frame 60, the first crankshaft 10 is mounted through a known bearing means or the like. A first crank arm 12 is provid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crankshaft 10 and a handle 11 is provided on the first crank arm 12 to be held by the user. A first sprocket 13 is also mounted on the first crankshaft 10, and a gear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procket 13.

사용자가 손잡이(11)를 잡고 제1 크랭크 아암(12)을 회동함으로써 제1 크랭크축(10)이 회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서 제1 스프로킷(13)도 회동하게 된다.The user rotates the first crank arm 12 by holding the handle 11 and rotates the first crankshaft 10 so that the first sprocket 13 also rotates.

프레임(60)의 하부 대략 중간 부분에는 공지의 베어링 수단 등을 통하여 제2 크랭크축(10)이 장착된다. 제2 크랭크 축(20)의 좌우 양단에는 제2 크랭크 아암(22)이 각각 설치되며, 제2 크랭크 아암(22)에는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페달(21)이 각각 구비된다. 제2 크랭크 축(20)에는 또한 제2 스프로킷(23)과 제3 스프로킷(24)이 장착되며, 제2 스프로킷(23)은 제3 스프로킷(24)보다 상대적으로 지름이 작으며, 이들 제2 스프로킷(23) 및 제3 스프로킷(24)의 외주에도 기어가 형성된다. The second crankshaft 10 is moun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60 through a known bearing means or the like. A second crank arm 22 is installed on each of left and right ends of the second crankshaft 20 and a pedal 21 is provided on the second crank arm 22 so that a user can put his or her foot on the crank arm 22. A second sprocket 23 and a third sprocket 24 are also mounted on the second crankshaft 20 and the second sprocket 23 is relatively smaller in diameter than the third sprocket 24, Gears are also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procket 23 and the third sprocket 24.

사용자가 페달(21)을 밟아 제2 크랭크 아암(22)을 회동함으로써 제2 크랭크 축(20)이 회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제2 스프로킷(23) 및 제3 스프로킷(24)도 회동하게 된다. The user pushes the pedal 21 to pivot the second crank arm 22 to rotate the second crankshaft 20 so that the second sprocket 23 and the third sprocket 24 also rotate.

상기 제1 스프로킷(13)과 제2 스프로킷(23)의 외주에 형성된 기어에는, 제1 스프로킷(13)과 제2 스프로킷(23)의 사이에서 제1 크랭크축(10) 및 제2 크랭크축(20)의 회전력을 상호간에 전달하여 연동하기 위한 제1 구동력 전달수단(40)이 맞물려진다. 제1 구동력 전달수단(4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스프로킷(13)과 제2 스프로킷(23)의 외주에 형성된 기어에 대응하는 기어가 그의 내주부에 형성된 타이밍 벨트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체인 벨트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제1 스프로킷(13)과 제2 스프로킷(23)의 외주에 형성되는 기어에 맞물릴 수 있는 구성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A gear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procket 13 and the second sprocket 23 is provided with a first crankshaft 10 and a second crankshaft 23 between the first sprocket 13 and the second sprocket 23. [ 20 are transmitted to each other to engage with the first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ans 40 for interlocking. The first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ans 40 is preferably a timing belt having gears corresponding to the gear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procket 13 and the second sprocket 23 on its inner peripheral portion, For example, a chain belt may be used,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can be engaged with a gear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procket 13 and the second sprocket 23. [

제1 구동력 전달수단(40)으로서의 타이밍 벨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궤도에 있어서, 프레임이 절곡되는 부분에는 가이드 아이들러(42)가 제1 구동력 전달수단(40)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접하도록 프레임(60)에 장착된다. 가이드 아이들러(42)는 제1 구동력 전달수단(40)의 궤도가 전체 프레임(60)의 형상을 추종하도록 장착되는 것이며, 제1 구동력 전달수단(40)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장력을 조절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어서, 가이드 아이들러(42) 사이의 간격은 제1 스프로킷(13) 및 제2 스프로킷의 지름으로 정의될 수 있는 제1 구동력 전달수단(40)의 궤도폭보다 약간 좁게 형성된다. In the track formed by the timing belt as the first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ans 40, the guide idler 42 is engaged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ans 40 so that the frame 60 . The guide idler 42 is mounted such that the trajectory of the first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ans 40 follows the shape of the entire frame 60 and also has a function of adjusting the tension so that the first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ans 40 is not loosened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guide idlers 42 is formed to be slightly narrower than the track width of the first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ans 40 which can be defined by the diameters of the first sprocket 13 and the second sprocket.

한편, 베이스(110)상에는 브래킷(61)이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이 브래킷(61)에는 종동 축(30)이 공지의 베어링 수단 등을 이용하여 설치된다. 종동 축(30)에는 공지의 실내 자전거기구에 사용되는 운동부하로서의 바퀴(32) 및, 종동 스프로킷(32)이 장착된다. On the other hand, a bracket 61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ase 110, and the follower shaft 30 is installed on the bracket 61 using known bearing means or the like. The driven shaft 30 is provided with a wheel 32 and a driven sprocket 32 as a motion load used in a known indoor bicycle mechanism.

종동 스프로킷(32)에는 그의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 스프로킷(24)과 종동 스프로킷(32)의 외주에 각각 형성된 기어에는, 제3 스프로킷(24)의 회전력을 종동 스프로킷(32)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2 구동력 전달수단(50)이 맞물린다. 상기 제1 구동력 전달수단(40)과 마찬가지로 제2 구동력 전달수단(50)은 타이밍 벨트 또는 체인벨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3 스프로킷(24)과 종동 스프로킷(32)의 외주에 형성되는 기어에 맞물릴 수 있는 구성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Gear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en sprocket 32 and gears formed respectively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third sprocket 24 and the driven sprocket 32 are engaged with the driven sprocket 32, The second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ans 50 is engaged. The second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ans 50 may be constituted by a timing belt or a chain belt and may be constituted by a gear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third sprocket 24 and the driven sprocket 32 There is no particular restriction as long as it can be interlocked.

제2 구동력 전달수단(50)에 의하여 제2 구동축(20)의 회전력이 제3 스프포킷(24)으로부터 종동 스프로킷(32)으로 전달되고, 종동 스프로킷(32)의 회전에 따라 종동 축(30)에 장착된 바퀴(31)도 회전하게 된다.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drive shaft 20 is transmitted from the third spoke kit 24 to the driven sprocket 32 by the second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ans 50 and the driven shaft 30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en sprocket 32. [ The wheel 31 mounted on the wheel is also rotated.

한편, 상기 프레임(60)에는 그의 절곡부 부근에 안장(71)을 장착할 수 있는 안장 장착부(70)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장(71)은 본 발명의 전신 운동 기구(100)를 종래의 실내 자전거의 용도로 사용할 때 사용자가 앉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frame 60 is provided with a saddle-attaching portion 70 capable of mounting the saddle 71 near the folded portion thereof. As described above, the saddle 71 is for the user to sit when using the whole body exercis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a conventional indoor bicycle.

또한, 상기 프레임(60)에는 상부 끝단 부근에 고정식 손잡이(80)가 장착되어 있다. 이 고정식 손잡이(80)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전신 운동 기구(100)를 실내 자전거의 용도로 사용할 때 페달(21)을 회동함에 있어 상체가 좌우로 요동하지 않도록 양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 fixed handle 80 is attached to the frame 60 near the upper end thereof. The fixed handle 80 is for holding the upper body with both hands so that the upper body does not swing from side to side when the pedal 21 is rotated when the user uses the whole body exercis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ndoor bike use.

한편, 본 발명의 전신 운동 기구(100)에는, 운동부하인 바퀴(31)가 지면에 닿지 않은 상태에 있으므로, 바퀴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는 충분한 운동효과를 보기 어렵기 때문에, 바퀴에 부하를 인가하는 부하 인가수단(90)과, 인가되는 부하량을 제어할 수 있는 부하 제어수단(91)이 사용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whole body exercis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tion wheel 31, which is a motion load, is not in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And a load control means 91 for controlling the applied load amount are used.

부하 인가수단(90)은, 예를 들어 상기 바퀴(31)의 재질이 금속인 경우 바퀴(31)에 대하여 인력을 가하는 자력발생수단(901)을 포함할 수 있다. 자력발생수단(901)은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의 어느 것도 사용이 가능하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퀴의 외주부를 따라서 바퀴의 원호 형상에 대응하는 더 큰 지름의 동심원의 일부 원호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ad applying means 90 may include a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901 for applying a force to the wheel 31 when the material of the wheel 31 is metal, for example. As shown in the fig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901 has a circular arc shape of a concentric circle having a larg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circular arc shape of the wheel along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wheel Do.

자력발생수단(901)은 바퀴(31)에 근접할수록 강한 인력이 작용하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가 부하 제어수단(91)을 사용하여 바퀴(31)로부터의 자력발생수단(901)의 거리를 제어함으로써 자신에게 적합하도록 운동 부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tronger attracting force acts on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901 closer to the wheel 31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distance of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901 from the wheel 31 by using the load controlling means 91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exercise load to suit itself.

부하 제어수단(91)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자력발생수단(901)에 연결된 와이어(93)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 부하 제어수단을 조작하여 와이어(93)를 잡아 당겨서 자력발생수단(901)이 바퀴(31)에 대하여 접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94)는 인장 스프링으로서, 자력발생수단(901)이 바퀴(31)에 접근해 감에 따라 강한 인장력을 발휘하며, 자력발생수단(901)을 바퀴(31)로부터 후퇴시키고자 하는 경우, 부하 제어수단(91)으로 와이어(93)를 느슨하게 풀면 인장스프링(94)의 인장력이 자력발생수단(901)의 인력에 대항하여 자력발생수단(901)을 바퀴(31)로부터 멀어지도록 후퇴시킬 수 있다. The load control means 91 allows the user to manually adjust the length of the wire 93 connected to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901. The load control means 91 operates the load control means to pull the wire 93, 901 to approach the wheel 31. [0050] The 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94 denotes a tension spring which exerts a strong tensile force as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901 approaches the wheel 31 and is arranged to retract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901 from the wheel 31 The pulling force of the tension spring 94 pulls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901 away from the wheel 31 against the attraction force of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901 when the wire 93 is loosened by the load control means 91. [ .

부하인가수단(90)은 이와 같은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부하 인가수단(90)의 다른 예로서, 예를 들면 자력발생수단(901)을 바퀴(31)의 안쪽에 원호형상으로 설치하고, 압축스프링(94)을 사용하여 자력발생수단(901)을 바퀴로 향하여 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압축스프링(94)에 의한 압축력에 대항하여 와이어(93)로 자력발생수단(901)을 바퀴(31)로부터 후퇴시킴으로써, 바퀴에 작용하는 부하로서의 자력을 제어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load applying means 9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load applying means 9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31, and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901 may be formed so as to be pressed toward the wheel by using a compression spring 94. [ The magnetic force as the load acting on the wheel can be controlled by retracting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901 from the wheel 31 by the wire 93 against the compression force by the compression spring 94. [

부하 인가수단(90)의 다른 실시예로서, 바퀴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패드를 채택하고, 자력이 아닌 물리적인 마찰력에 의하여 부하를 인가하도록 할 수도 있다. 패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부하 제어수단(91)인 와이어(93) 및 스프링(94)에 의하여 부하량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load applying means 90, it is also possible to employ a pad which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and to apply the load by physical friction rather than magnetic force. The loading amount can be freely controlled by the wire 93 and the spring 94, which are the load control means 91, even in the case of using the pad.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신 운동 기구(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whole body exercising apparatus 10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전신 운동 기구(100)를 이용하여 운동을 하기 위하여 양쪽 발로 페달(21)을 밟고 양손으로 손잡이(11)를 잡으면, 통상의 경기용 자전거를 탄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속을 위하여 안장에서 일어나 페달을 급속하게 상하로 밟는 것과 같은 자세가 취해지게 된다. When the user steps on the pedal 21 with both feet and grips the handle 11 with both hands to exercise using the whole body exercis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edal is rapidly pushed up and down.

사용자의 발로 페달(21)을 밟게 되면 제2 크랭크축(20)이 회동하고, 따라서 제2 크랭크 축(20)에 설치된 제2 스프로킷(23)에 맞물려 있는 제1 구동력 전달수단(40)으로 구동력이 전달되며, 이 구동력은 제1 스프로킷(13)을 통하여 제1 크랭크 축(10)을 회전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The second crankshaft 20 is pivoted when the pedal 21 is depressed by the user's foot so that the first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ans 40 engaged with the second sprocket 23 provided on the second crankshaft 20 drives the driving force And this driving force acts to rotate the first crankshaft 10 through the first sprocket 13.

한편, 사용자가 파지하고 있는 손잡이(11)를 회전하게 되면 제1 크랭크 축(10)도 회동하게 되지만, 제1 크랭크 축(10)과 제2 크랭크 축(20)은 제1 구동력 전달수단(40)에 의하여 상호 연동되고 있으므로, 결국 제1 크랭크 축(10)과 제2 크랭크 축(20)은 사용자의 팔과 다리의 운동에 의한 합력에 의하여 회동하게 된다.The first crankshaft 10 and the second crankshaft 20 are rotated by the first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ans 40 The first crankshaft 10 and the second crankshaft 20 are rotated by the resultant force generated by the motion of the user's arms and legs.

이러한 합력은 제2 크랭크 축(20)에 장착된 제3 스프로킷(24)에 맞물려 있는 제2 구동력 전달수단(50)으로 전달되며, 이 합력으로서의 구동력은 제2 구동력 전달수단(50)에 맞물려 있는 종동 스프로킷(32)으로 전달되어 종동 축(30)을 회전시키며, 따라서 최종적으로는 종동 축(30)에 장착된 운동부하로서의 바퀴(31)를 회전시킴으로써 팔과 다리를 동시에 사용하는 전신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The resultant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ans 50 engaged with the third sprocket 24 mounted on the second crankshaft 20 and the driving force as the resultant force is engaged with the second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ans 50 Is transmitted to the follower sprocket 32 to rotate the follower shaft 30 so that the whole body can simultaneously exercise the arms and legs simultaneously by rotating the wheel 31 as a motion load mounted on the follower shaft 30 .

사용자가 더 많은 운동부하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부하 제어수단(91)을 조작하여 부하 인가수단(90)에 연결된 와이어(93)를 잡아 당김으로써 바퀴(31)에 대하여 부하 인가수단(90)을 접근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서 운동량을 증가하게 된다. 한편, 운동부하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부하 제어수단(91)을 조작하여 부하 인가수단(90)에 연결된 와이어(93)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복귀 스프링(94)이 인장력을 발휘하여 부하 인가수단(90)을 바퀴(31)로부터 후퇴시키도록 한다. The load applying means 90 is applied to the wheel 31 by pulling the wire 93 connected to the load applying means 90 by operating the load control means 91. [ And thus the momentum i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motion load is to be reduced, the wire 93 connected to the load applying means 90 is loosened by operating the load control means 91 so that the return spring 94 exerts a tensile force, (90) from the wheel (31).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에 따르면, 인간의 팔다리를 고르게 이용하는 전신 운동이 가능하다. 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whole body exerci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ercise the whole body using the limbs of the human being evenly.

예를 들면, 좌우 어느 한 쪽의 페달(21)과 손잡이(11) 및, 다른 쪽의 페달(21)과 손잡이(11)가 병진(竝進)운동, 소위 싱크로나이즈 되는(synchronized)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제1 크랭크축(10)과 제2 크랭크축(20)이 동일한 위상으로 정렬함으로써, 좌측의 팔다리를 동시에 운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혹은 좌측 팔→좌측 다리→우측팔→우측다리의 순으로 손잡이와 페달이 회전운동하도록 제1 크랭크축(10) 및 제2 크랭크축(20)을 정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edal 21 and the handle 11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pedal 21 and the handle 11 on the other side are driven in a translational motion, so-called synchronized manner The first crankshaft 10 and the second crankshaft 20 are arranged in the same phase so that the left limb can be moved simultaneously, or the left limb, the left limb, the right limb, The first crankshaft 10 and the second crankshaft 20 can be aligned so that the handle and the pedal rotate.

물론,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구태여 상기와 같이 병진 운동하는 방식으로 제1 크랭크 축(10)과 제2 크랭크축(20)을 정렬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양 크랭크 축이 90도, 180도 또는 27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 구동되도록 조정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Of course, if the user desires, it is not necessary to align the first crankshaft 10 and the second crankshaft 20 in such a manner that the first crankshaft 10 and the second crankshaft 20 are translationally moved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Or may be adjusted to be driven with a phase difference of 270 degrees.

또한, 상기의 순서와 전혀 다른 순서로 손잡이와 페달이 회전운동하도록,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한 것임은 자명함과 동시에, 제품의 제조시 또는 사용시 필요에 따라서 크랭크축을 임의로 정렬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다. In addition, it is clear that the user can arbitrarily set the handle and the pedal to rotate in a completely different order from the above-mentioned order. At the same time, the crankshaft can be arbitrarily aligned according to necessity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or using the produc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사용자가 굳이 전신 운동을 원하지 않고 종래의 실내 자전거 운동을 원하는 경우, 안장(71)에 앉아서 고정식 손잡이(80)를 잡고 페달(21)만을 사용하여 운동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페달(21)의 회동에 따라서 제2 스프로켓(23)에 맞물린 제1 및 제2 구동력 전달수단(40),(50)이 함께 구동력을 전달하게 되며, 따라서 제1 스프로켓(13) 및 종동 스프로켓(32)이 회전함으로써 제1 크랭크 축(10)과 바퀴(31)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desires a conventional indoor bike exercise without intending to use the whole body movement, the user can sit on the saddle 71 and hold the fixed type handle 80 and exercise using only the pedal 21.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ans 40 and 50, which are engaged with the second sprocket 23, transmit the driving force togeth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edal 21, The first crankshaft 10 and the wheel 31 also rotate simultaneously as the driven sprocket 32 rotates.

이상,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근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note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 : 제1 크랭크축
11 : 손잡이
12 : 제1 크랭크 아암
13 : 제1 스프로킷
20 : 제2 크랭크 축
21 : 페달
22 : 제2 크랭크 아암
23 : 제2 스프로킷
24 : 제3 스프로킷
30 : 종동 축
31 : 바퀴
32 : 종동 스프로킷
40 : 제1 구동력전달수단
50 : 제2 구동력전달수단
60 : 프레임
61 : 브래킷
70 : 안장 장착부
71 : 안장
80 : 고정식 손잡이
90 : 부하 인가수단
91 : 부하 제어수단
93 : 와이어
901 : 자력발생수단
10: first crankshaft
11: Handle
12: first crank arm
13: First sprocket
20: second crankshaft
21: Pedal
22: second crank arm
23: Second sprocket
24: Third sprocket
30:
31: Wheels
32: Follower sprocket
40: first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ans
50: second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ans
60: frame
61: Bracket
70: Saddle mounting part
71: Saddle
80: Fixed handle
90: Load applying means
91: Load control means
93: Wire
901: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Claims (12)

손잡이(11)를 가지는 제1 크랭크 아암(12) 및 제1 스프로킷(13)이 장착되는 제1 크랭크축(10);
페달(21)을 가지는 제2 크랭크 아암(22), 제2 스프로킷(23) 및 제3 스프로킷(24)이 장착되는 제2 크랭크 축(20);
바퀴(31) 및 종동 스프로킷(32)이 장착되는 종동 축(30);
상기 제1 크랭크 축(10) 및 제2 크랭크 축(20)의 회전력을 상호간에 대하여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1 크랭크축(10)과 제2 크랭크축(20)이 연동하도록 상기 제1 스프로킷(13)과 제2 스프로킷(23)에 맞물리는 제1 구동력전달수단(40);
상기 제2 크랭크 축(20)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 축(30)으로 전달하여 상기 종동 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 스프로킷(23)과 제3 스프로킷(24)에 맞물리는 제2 구동력전달수단(50);
상기 제1 크랭크 축(10) 및 상기 제2 크랭크 축(20)이 설치되는 프레임(60);
상기 종동 축(30)이 설치되는 브래킷(61); 및,
상기 프레임(60)및 상기 브래킷(61)이 고정되는 베이스부(110)
를 포함하는 전신 운동 기구.
A first crankshaft 10 to which a first crank arm 12 having a handle 11 and a first sprocket 13 are mounted;
A second crankshaft 20 to which a second crank arm 22, a second sprocket 23 and a third sprocket 24 having pedals 21 are mounted;
A driven shaft 30 on which the wheel 31 and the driven sprocket 32 are mounted;
The first crankshaft 10 and the second crankshaft 20 are transmit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crankshaft 10 and the second crankshaft 20 interlock with each other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crankshaft 10 and the second crankshaft 20 to each other, And a second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ans (40) for engaging with the second sprocket (23).
A second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ans (50)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crankshaft (20) to the driven shaft (30) and engaging the second sprocket (23) and the third sprocket (24) );
A frame (60) on which the first crankshaft (10) and the second crankshaft (20) are installed;
A bracket 61 on which the driven shaft 30 is installed; And
The frame 60 and the base 110, to which the bracket 61 is fixed,
Gt; a < / RTI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로킷(13), 제2 스프로킷(23), 제3 스프로킷(24) 및 종동 스프로킷(32)의 외주에는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구동력 전달수단(40) 및 제2 구동력 전달수단(50)은 타이밍 벨트인 전신 운동 기구.
The sprock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gear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procket (13), the second sprocket (23), the third sprocket (24) and the driven sprocket (32)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ans (50) are timing bel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로킷(13), 제2 스프로킷(23), 제3 스프로킷(24) 및 상기 종동 스프로킷(32)의 외주에는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구동력 전달수단(40) 및 제 2 구동력 전달수단(50)은 체인벨트인 전신 운동 기구.
The sprock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gear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procket (13), the second sprocket (23), the third sprocket (24) and the driven sprocket (32) And the second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ans (50) are chain belts.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력 전달수단(40)의 궤도 및 장력을 제어하기 위한 가이드 아이들러(42)가 상기 제1 구동력 전달수단(40)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각각 접하는 전신 운동 기구.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a guide idler (42) for controlling the trajectory and tension of the first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ans (40) is connect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ans Fitness equipmen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60)은 안장(71)을 장착할 수 있는 안장 장착부(70)를 더 포함하는 전신 운동 기구.
2. 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frame (60) further comprises a saddle mounting portion (70) capable of mounting the saddle (7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60)이 고정식 손잡이(80)를 더 포함하는 전신 운동 기구.
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frame (60) further comprises a stationary handle (8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31)에 부하를 인가하는 부하 인가수단(90) 및 부하 제어수단(91)을 더 포함하는 전신 운동 기구.
The body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load applying means (90) for applying a load to said wheel (31) and load control means (9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31)의 재료는 금속이며, 상기 부하 인가수단(90)이 상기 바퀴(31)에 자력을 가하는 자력발생수단(901)인 전신 운동 기구.
The body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material of the wheel (31) is a metal, and the load applying means (90) is a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901) for applying a magnetic force to the wheel (3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인가수단(90)은 상기 바퀴(31)와 마찰을 일으키는 패드인 전신 운동 기구.
8. The body exerci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load applying means (90) is a pad for causing friction with the wheel (3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제어수단(91)은 상기 자력 발생수단(901)을 바퀴(31)쪽으로 접근시키는 와이어(93) 및, 상기 자력발생수단(901)을 바퀴(31)로부터 후퇴시키는 인장력을 발휘하는 스프링(94)으로 구성되는 전신 운동 기구.
The moto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load control means (91) comprises a wire (93) for moving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901) toward the wheel (31) And a spring (94) exerting a tensile forc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제어수단(91)은 상기 자력 발생수단(901)을 바퀴(31)쪽으로 접근시키는 와이어(93) 및, 상기 자력발생수단(901)을 바퀴(31)로부터 후퇴시키는 압축력을 발휘하는 스프링(94)으로 구성되는 전신 운동 기구.
The moto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load control means (91) comprises a wire (93) for moving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ans (901) toward the wheel (31) And a spring (94) exerting a compressive forc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제어수단(91)은 상기 패드를 바퀴(31)쪽으로 밀착시키는 와이어(93) 및, 상기 패드를 바퀴(31)로부터 후퇴시키는 인장력을 발휘하는 스프링(94)으로 구성되는 전신 운동 기구. The loa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load control means (91) comprises a wire (93) for urging the pad against the wheel (31) and a spring (94) for exerting a tensile force to retract the pad from the wheel Whole body exercise equipment.
KR1020150102113A 2015-07-20 2015-07-20 A total body exercise equipment KR2015009000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113A KR20150090003A (en) 2015-07-20 2015-07-20 A total body exercise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113A KR20150090003A (en) 2015-07-20 2015-07-20 A total body exercise equipmen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308A Division KR20140105271A (en) 2013-02-22 2013-02-22 A total body exercise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003A true KR20150090003A (en) 2015-08-05

Family

ID=53886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113A KR20150090003A (en) 2015-07-20 2015-07-20 A total body exercise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000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334B1 (en) * 2017-01-20 2018-06-18 박서연 Whole body exercise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334B1 (en) * 2017-01-20 2018-06-18 박서연 Whole body exercise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5271A (en) A total body exercise equipment
EP2435141B1 (en) Exercise apparatus with flexible element
US5871421A (en) Arm powered treadmill
JP5351392B2 (en) Pendulum type exercise device
US7507186B2 (en) Exercise methods and apparatus with elliptical foot motion
US6932745B1 (en) Seated stepper
AU2011289699B2 (en) Motorless treadmill stepper exercise device
US8133159B2 (en) Free track elliptical exercise apparatus
US20070117683A1 (en) Exercising apparatus with varying length arms
US7494449B2 (en) Adjustable drive for exercise apparatus
US11524206B2 (en) Upper and lower body push and pull exercise machine with a one directional resistance mechanism and adjustable angle
CN107185161B (en) Pedal assembly and fitness equipment
JP5806120B2 (en) Exercise assistance device
US10850157B2 (en) Exercise machine
JPH07227439A (en) Training device
KR20150090003A (en) A total body exercise equipment
US6991587B1 (en) Elliptical exercise apparatus with adjustment
US20020107112A1 (en) Physical trainer having pedals moving along an elliptical route
KR101093751B1 (en) Cycling exercise-device
US20070099762A1 (en) Elliptical trainer
TWI272955B (en) Leg reciprocating exercise equipment
TWI741487B (en) Driving mechanism and fitness equipment
CN106861128B (en) Synchronizing assembly and fitness equipment
TWI638672B (en) Sports Equipment
JP3118248U (en) Body train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