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9639A - 공작기계 - Google Patents

공작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9639A
KR20150089639A KR1020140010516A KR20140010516A KR20150089639A KR 20150089639 A KR20150089639 A KR 20150089639A KR 1020140010516 A KR1020140010516 A KR 1020140010516A KR 20140010516 A KR20140010516 A KR 20140010516A KR 20150089639 A KR20150089639 A KR 20150089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orker
guide rail
setup
coll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9211B1 (ko
Inventor
현재완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0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211B1/ko
Publication of KR20150089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91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arranged between the working area and the op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53Devices for removing chips using the gravity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210/00Machine tools incorporating a specific component
    • B23Q2210/006Curved guiding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작기계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가 대기하는 작업자 대기부와 공작물의 가공이 이루어 지는 가공부 및 상기 작업자 대기부와 상기 가공부 사이에 위치하며 공작물의 셋업이 이루어지는 셋업부를 갖는 공작기계는 상기 작업자 대기부와 상기 셋업부 또는 상기 셋업부와 상기 가공부를 선택적으로 구획하는 도어와, 상기 셋업부를 둘러싸며 설치되는 원형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도어를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미끄럼부와, 상기 셋업부에 설치되며 공작물을 지지하는 팔레트,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측과 상기 팔레트의 외측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팔레트에 공작물을 세팅시 발생되는 이물질이 수집하고 상기 도어와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는 수집부재와 상기 수집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재를 포함하는 수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작기계{MACHINE TOOL}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작기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가 셋업부와 가공부를 구획하는 경우 작업자가 포집부재를 효과적으로 탈거 시킬 수 있는 공작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작업자 대기부와 셋업부, 그리고 가공부를 포함한다. 셋업부는 작업자 대기부와 가공부 사이에 위치하며 가공부로 이송될 공작물이 세팅된다.
공작기계는 작업자가 셋업부에 공작물의 세팅시 가공부에서 발생되는 절삭칩 또는 비산하는 절삭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도어를 구비한다.
하지만, 종래의 공작기계에 구비된 도어는 작업자 대기부와 셋업부 그리고 가공부를 효과적으로 구획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도어가 셋업부와 가공부를 구획하는 경우 작업자가 셋업부에 위치하는 수집부에 수집된 이물질을 청소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어가 셋업부와 가공부를 구획하는 경우 작업자가 포집부재를 효과적으로 탈거 시킬 수 있는 공작기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대기하는 작업자 대기부와 공작물의 가공이 이루어 지는 가공부 및 상기 작업자 대기부와 상기 가공부 사이에 위치하며 공작물의 셋업이 이루어지는 셋업부를 갖는 공작기계는 상기 작업자 대기부와 상기 셋업부 또는 상기 셋업부와 상기 가공부를 선택적으로 구획하는 도어와, 상기 셋업부를 둘러싸며 설치되는 원형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도어를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미끄럼부와, 상기 셋업부에 설치되며 공작물을 지지하는 팔레트,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측과 상기 팔레트의 외측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팔레트에 공작물을 세팅시 발생되는 이물질이 수집하고 상기 도어와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는 수집부재와 상기 수집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재를 포함하는 수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가 상기 셋업부와 상기 가공부를 구획하는 경우, 상기 포집부재는 상기 가공부 보다 상기 작업자 대기부와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부는 상기 도어와 연결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1 구름부재, 그리고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며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타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2 구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부는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3 구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작기계는 도어가 셋업부와 가공부를 구획하는 경우 작업자가 포집부재를 효과적으로 탈거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작기계의 도어가 가공부와 셋업부를 구획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도어와, 가이드 레일과, 수집부, 그리고 미끄럼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가이드 레일과 미끄럼부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101)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작기계(101)는 작업자 대기부(A)와, 가공부(B), 그리고 셋팅부(setting)(C)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공작기계(101)는 도시되지 않은 다중 팔레트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 대기부(A)는 작업자가 대기하는 영역이다. 구체적으로, 자업자는 셋업부(C)에 공작물을 장착 및 탈거하기 위해 작업자 대기부(A)에서 대기한다.
가공부(B)는 공작물의 가공이 이루어 지는 영역이다. 가공부(B)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툴을 통해 공작물이 가공되거나 공작물의 가공을 위해 공작물이 이송된다.
셋업부(C)는 가공이 이루어질 공작물이 셋업된다. 구체적으로, 작업자 대기부(A)에 위치하는 작업자가 셋업부(C)에 가공부(B)에서 가공이 이루어질 공작물을 셋업할 수 있다.
또한, 셋업부(C)는 작업자 대기부(A)와 가공부(B) 사이에 위치한다.
일예로, 작업자는 셋업부(C)에 공작물을 세팅하거나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을 셋업부(C)로부터 작업자 대기부(A)로 탈거 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작기계(101)는, 도어(100)와, 가이드 레일(200)과, 미끄럼부(300)와, 팔레트(400), 그리고 수집부재(510)와 포집부재(520)를 포함하는 수집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00)는 작업자 대기부(A)와 셋업부(C) 또는 셋업부(C)와 가공부(B)를 선택적으로 구획한다.
즉, 도어(100)가 작업자 대기부(A)와 셋업부(C)를 구획하는 경우, 셋업부(C)와 가공부(B)는 서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도어(100)가 셋업부(C)와 가공부(B)를 구획하는 경우, 셋업부(C)와 작업자 대기부(A)는 서로 개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100)는 일측이 개구된 개구부(110)를 가지며 내부가 중공형인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100)는 개구부(110)와 대향하는 타측에 확인창(120)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0)가 작업자 대기부(A)와 셋업부(C)를 구획하는 경우, 작업자는 개구부(110)를 통해 셋업부(C)로부터 가공부(B)로 공작물이 이송되는 과정을 확인창(120)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즉, 도어(100)가 작업자 대기부(A)와 셋업부(C)를 구획하면 원통형의 도어(100)에 형성된 개구부(110)에 의해 셋업부(C)와 가공부(B)는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도어(100)가 셋업부(C)와 가공부(B)를 구획하는 경우, 작업자는 개구부(110)를 통해 셋업부(C)에 공작물을 셋업할 수 있고, 확인창(120)을 통해 가공부(B)에서 공작물이 가공되거나 이송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어(100)가 셋업부(C)와 가공부(B)를 구획하면 원통형의 도어(100)에 형성된 개구부(110)에 의해 작업자 대기부(A)와 가공부(B)는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 대기부(A)에 위치한 작업자가 셋업부(C)에 공작물을 셋업시 킬 수 있다.
이때, 셋업부(C)와 가공부(B)는 도어(100)에 의해 폐쇄되어 있어, 작업자가 셋업부(C)에 공작물을 세팅하는 중 가공부(B)에서 발생하는 절삭칩 또는 공작물의 가공 작업중 발생될 수 있는 비산하는 절삭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 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00)은 셋업부(C)를 둘러싸며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200)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레일(200)은 원통형의 도어(100)가 회전되며 개폐될 수 있도록 중공형의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200)은 도어(100)와 결합될 수 있다.
일예로, 가이드 레일(200)은 도어(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도어(10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200)은 도시되지 않은 공작기계(101)의 베이스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100)는 보조 가이드 레일(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가이드 레일(20)은 도어(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도어(100)의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보조 가이드 레일(20)의 길이는 가이드 레일(200) 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가이드 레일(200)이 원형으로 형성된 경우, 보조 가이드 레일(20)은 개구부(110)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가이드 레일(20)은 개구부(110)가 형성된 일영역이 개방된 원호형(circular arc)으로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부(300)는 도어(100)를 지지하며 도어(100)와 함께 회전하며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이동한다. 즉, 미끄럼부(300)는 도어(100)가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끄럼부(300)는 보조 플레이트(250)와 결합될 수 있다.
보조 플레이트(250)는 도어(100)의 하부와와 가이드 레일(200) 사이에 설치되고, 도어(100)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플레이트(250)는 도어(100)의 이동시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보조 플레이트(250)는 가이드 레일(200)의 형상과 동일한 중공형의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부(300)는 보조 플레이트(250)에 결합되어 도어(100)가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작기계(101)는 보조 미끄럼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미끄럼부(10)는 도어(100)의 상부에 설치된 보조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미끄럼부(10)는 보조 가이드 레일(20)에 삽입되어 도어(100)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미끄럼부(10)는 복수로 형성되어 공작기계(101)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30)에 결합될 수 있다.
팔레트(400)는 셋업부(C)에 설치된다. 또한, 팔레트(400)는 공작물을 지지하며 작업자에 의해 공작물이 세팅될 수 있도록 공작물을 파지할 수 있다.
즉, 공작물은 팔레트(400) 상에 설치되고, 작업자에 의해 세팅된 공작물은 가공부(B)로 이송될 수 있다.
수집부(500)는 수집부재(510)와 포집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부재(510)는 중공형의 원형 가이드 레일(200)의 내측과 팔레트(400)의 외측 사이에 설치되며 팔레트(400)에 공작물을 세팅시 발생되는 이물질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수집부재(510)는 도어(1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단면 방향을 따라 셋업부(C)를 구획할 수 있다. 즉, 수집부재(510)는 셋업부(C)를 감싸며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집부재(510)는 제1 수집부재(511)와 제2 수집부재(512)를 포함하는 복수로 형성되어 팔레트(400)에 공작물을 세팅시 발생되는 이물질을 수집할 수 있다.
즉, 수집부재(510)는 작업자에 의해 팔레트(400)에 공작물을 세팅시 발생될 수 있는 오일이나 공작물에 기흡착된 이물질이 셋팅부(C)에서 낙하되는 경우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수집부재(510)는 도어(100)와 결합되어 도어(100)의 회전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100)는 내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원통형 도어(100)의 중심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리브(Rib)(15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부재(510)는 도어(100)의 내측에 형성된 리브(150)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집부재(510)는 도어(100)의 내측과 팔레트(400)의 외측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팔레트(400)의 외측과 대향하는 수집부재(510)의 일측부는 팔레트(400)와 도시되지 않은 밀봉부재로 기밀 및 수밀을 유지하여 수집부재(510)의 회전에 따라 팔레트(400)와 수집부재(510)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간극으로 이물질이 수집부재(510)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포집부재(520)는 수집부재(5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포집부재(520)는 수집부재(510)에 수집된 이물질에 포함된 절삭칩 등을 포집할 수 있다.
일예로, 포집부재(520)는 거름망 또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집부재(520)는 수집부재(510)에 형성된 수집홀(501)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집홀(501)은 도어(100)의 확인창(120) 보다 개구부(110)에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집부재(520)는, 앞서 서술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00)가 셋업부(C)와 가공부(B)를 구획하는 경우 가공부(B) 보다 작업자 대기부(A)와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도어(100)가 셋업부(C)와 가공부(B)를 구획하고, 도어(100)의 개구부(110)가 셋업부(C)와 작업자 대기부(A)를 개방하는 경우, 포집부재(520)는 가공부(B) 보다 작업자 대기부(A)와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집부재(520)는 도어(100)의 확인창(120) 보다 개구부(110)와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수집부재(510)에 설치되어 도어(100)의 개구부(110)에 의해 개방되는 영역을 향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0)가 셋업부(C)와 가공부(B)를 구획하는 경우 포집부재(520)는 작업자 대기부(A)와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고, 도어(100)가 작업자 대기부(A)와 셋업부(C)를 구획하는 경우 포집부재(520)는 가공부(B)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100)가 작업자 대기부(A)와 셋업부(C)를 구획하는 경우 포집부재(520)는 가공부(B)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어, 포집부재(520)는 가공부(B)에서 셋업부(C)로 비산하는 절삭칩 또는 절삭유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즉, 도어(100)가 셋업부(C)와 가공부(B)를 구획하는 경우, 포집부재(520)는 가공부(B)와 작보다 작업자 대기부(A)와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어, 작업자가 수집부재(5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포집부재(520)를 수집부재(510)로부터 탈거하여 포집부재(520)를 교체하거나 포집부재(520)가 포집한 이물질을 세척하여 다시 수집부재(510)에 장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0)가 셋업부(C)와 가공부(B)를 구획하는 경우 포집부재(520)는 작업자 대기부(A)와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어서, 작업자가 포집부재(520)를 탈거 시키기 위해 셋업부(C) 또는 가공부(B)로 들어가지 않고 도어(100)에 의해 회전되는 수집부재(510)에 의해 포집부재(520)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부(300)는, 앞서 서술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킷(310)과, 제1 구름부재(320), 그리고 제2 구름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310)은 도어(10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래킷(310)은 보조 플레이트(25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구름부재(320)는 브래킷(310)의 일측에 결합되며 가이드 레일(200)의 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2 구름부재(330)는 제1 구름부재(320)와 이격된 브래킷(310)의 일측에 결합되며 가이드 레일(200)의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 구름부재(320)와 제2 구름부재(330)는 서로 반대되는 가이드 레일(200)의 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 도어(100)의 회전에 따른 작업자 대기부(A)와 셋업부(C) 또는 셋업부(C)와 가공부(B)를 구획시 도어(100)의 길이방향의 유격에 따라 도어(100)가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부(300)는, 앞서 서술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구름부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구름부재(340)는, 앞서 서술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구름부재(320) 및 제2 구름부재(330)가 결합된 브래킷(310)의 일측과 이웃한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3 구름부재(34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20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0)의 회전에 따라 도어(100)가 작업자 대기부(A)와 셋업부(C) 또는 셋업부(C)와 가공부(B)를 구획시, 제3 구름부재(340)는 가이드 레일(20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며 도어(100)를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예로, 제1 구름부재(320)와, 제2 구름부재(330), 그리고 제3 구름부재(340)는 롤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101)의 미끄럼부(300)는 도어(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101)는, 앞서 서술한 도 1 및 앞서 서술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킹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킹부(Locking)(600)는 도어(100)의 회전에 따른 작업자 대기부(A)와 셋업부(C) 또는 셋업부(C)와 가공부(B)를 구획시 도어(100)를 로킹할 수 있다.
즉, 로킹부(600)는 도어(100)가 작업자 대기부(A)와 셋업부(C)를 구획한 상태 또는 셋업부(C)와 가공부(B)를 구획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킹부(600)는 걸림부재(610)와 수용부재(621,622)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재(610)는 도어(10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재(621,622)는 걸림부재(610)와 대향하는 공작기계(101)의 하우징(3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부재(621,622)가 설치되는 하우징(30)은 셋업부(C)를 감싸며 설치된 공작기계(101)의 하우징(30)일 수 있다.
또한, 수용부재(621,622)는 도어(100)의 작업자 대기부(A)와 셋업부(C)를 구획한 상태 또는 셋업부(C)와 가공부(B)를 구획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부재(621,622)는 제1 수용부재(621)와 제2 수용부재(6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부재(621)와 제2 수용부재(622)는 하우징(30)에 각각 대항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수용부재(621)에 걸림부재(610)가 삽입된 경우, 도어(100)는 작업자 대기부(A)와 셋업부(C)를 구획한 상태이며 작업자는 로킹부(600)의 걸림부재(610)와 제1 수용부재(621)의 계합을 해제시키기 전에 도어(100)를 회전시킬 수 없다.
또한, 제2 수용부재(622)에 걸림부재(610)가 삽입된 경우, 도어(100)는 셋업부(C)와 가공부(B)를 구획한 상태이며 작업자는 로킹부(600)의 걸림부재(610)와 제2 수용부재(622)의 계합을 해제시키기 전에 도어(100)를 회전시킬 수 없다.
따라서, 로킹부(600)는 도어(100)가 구획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101)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00)가 가공부(B)와 셋업부(C)를 구획한 경우, 걸림부재(610)는 제2 수용부재(622)에 계합된다.
이때, 도어(100)에 형성된 개구부(110)를 통해 셋업부(C)와 작업자 대기부(A)는 개방된다.
따라서, 작업자 대기부(A)에 위치한 작업자는 셋업부(C)에 설치된 팔레트(400)에 공작물을 장착시켜 세팅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작업자 대기부(A)에서 확인창(120)을 통해 가공부(B)에서 이루어지는 공작물의 가공 또는 공작물의 이송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어(100)가 가공부(B)와 셋업부(C)를 구획한 경우, 포집부재(520)는 가공부(B)보다 작업자 대기부(A)와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작업자 대기부(A)에 위치한 작업자에 의해 포집부재(520)는 수집부재(510)로부터 탈거되어 포집한 이물질이 세척될 수 있다.
작업자에 의해 셋업부(C)에 공작물의 세팅이 완료된 경우, 작업자는 걸림부재(610)와 제2 수용부재(622)의 계합을 해제하여 도어(100)를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회전시킨다.
이때, 도어(100)와 결합되어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이동하는 미끄럼부(3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구름부재(320)와, 제2 구름부재(330), 그리고 제3 구름부재(340)를 포함하고 있어, 도어(100)의 회전시 상하 또는 가이드 레일(200)의 원주방향으로 도어(1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도어(100)의 회전을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어(100)을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회전시킨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00)가 작업자 대기부(A)와 셋업부(C)를 구획한 경우, 걸림부재(610)는 제1 수용부재(621)에 계합된다.
이때, 셋업부(C)와 가공부(B)는 도어(100)의 개구부(110)에 의해 개방된다.
따라서, 작업자 대기부(A)에 위치한 작업자는 확인창(120)을 통해 셋업부(C)에 위치한 공작물이 가공부(B)로 도시되지 않은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어(100)가 작업자 대기부(A)와 셋업부(C)를 구획한 경우, 포집부재(520)는 작업자 대기부(A)보다 가공부(B)와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위치된다.
또한, 작업자에 의해 걸림부재(610)와 제1 수용부재(621)의 계합이 해제되기 전 도어(100)는 작업자에 의해 회전될 수 없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101)는 도어(100)가 셋업부(C)와 가공부(B)를 구획하는 경우 작업자가 포집부재(520)를 효과적으로 탈거 시킬 수 있다.
즉, 도어(100)가 원형의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이동하며 작업자 대기부(A)와 셋업부(C) 또는 셋업부(C)와 가공부(B)를 선택적으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도어(100)가 셋업부(C)와 가공부(B)를 구획하는 경우, 포집부재(520)는 가공부(B) 보다 작업자 대기부(A)와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어 작업자에 의해 포집부재(520)가 효과적으로 탈거되어 세척 또는 교체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보조 미끄럼부 20: 보조 가이드 레일
30: 하우징 100: 도어
110: 개구부 120: 확인창
150: 리브 200: 가이드 레일
250: 보조 플레이트 300: 미끄럼부
310: 브래킷 320: 제1 구름부재
330: 제2 구름부재 340: 제3 구름부재
400: 팔레트
500: 수집부 501: 수집홀
510: 수집부재 511: 제1 수집부재
512: 제2 수집부재 520: 포집부재
600: 로킹부 610: 걸림부재
621: 제1 수용부재 622: 제2 수용부재
A: 작업자 대기부 B: 가공부
C: 셋업부 101: 공작기계

Claims (4)

  1. 작업자가 대기하는 작업자 대기부(A)와, 공작물의 가공이 이루어 지는 가공부(B), 및 상기 작업자 대기부(A)와 상기 가공부(B) 사이에 위치하며 공작물의 셋업이 이루어지는 셋업부(C)를 갖는 공작기계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대기부(A)와 상기 셋업부(C) 또는 상기 셋업부(C)와 상기 가공부(B)를 선택적으로 구획하는 도어(100);
    상기 셋업부(C)를 둘러싸며 설치되는 원형의 가이드 레일(200);
    상기 도어(100)를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이동하는 미끄럼부(300);
    상기 셋업부(C)에 설치되며 공작물을 지지하는 팔레트(400); 및
    상기 가이드 레일(200)의 내측과 상기 팔레트(400)의 외측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팔레트(400)에 공작물을 세팅시 발생되는 이물질이 수집하고 상기 도어(100)와 결합되어 상기 도어(100)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는 수집부재(510)와, 상기 수집부재(5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재(520)를 포함하는 수집부(500)
    를 포함하는 공작기계.
  2. 제1항에서,
    상기 도어(100)가 상기 셋업부(C)와 상기 가공부(B)를 구획하는 경우, 상기 포집부재(520)는 상기 가공부(B) 보다 상기 작업자 대기부(A)와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미끄럼부(300)는,
    상기 도어(100)와 연결되는 브래킷(310);
    상기 브래킷(310)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200)의 일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1 구름부재(320); 및
    상기 브래킷(310)에 결합되며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상기 가이드 레일(200)의 타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2 구름부재(330)
    를 포함하는 공작기계.
  4. 제3항에서,
    상기 미끄럼부(300)는 상기 브래킷(310)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20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3 구름부재(340)를 더 포함하는 공작기계.
KR1020140010516A 2014-01-28 2014-01-28 공작기계 KR102109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516A KR102109211B1 (ko) 2014-01-28 2014-01-28 공작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516A KR102109211B1 (ko) 2014-01-28 2014-01-28 공작기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639A true KR20150089639A (ko) 2015-08-05
KR102109211B1 KR102109211B1 (ko) 2020-05-11

Family

ID=53886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516A KR102109211B1 (ko) 2014-01-28 2014-01-28 공작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21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02621A (zh) * 2017-05-10 2017-08-29 北京数码大方科技股份有限公司 数据采集方法、设备及***
KR101985642B1 (ko) * 2019-02-12 2019-06-03 이기영 드릴가공장치
CN109926865A (zh) * 2019-04-24 2019-06-25 江苏理工学院 一种用于cnc车床的安全隔离装置
KR20190096015A (ko) 2018-02-08 2019-08-19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도어 장치
CN113649853A (zh) * 2021-08-20 2021-11-16 重庆港来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金属制品加工用带防护结构的废料收集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5030A1 (en) * 2007-11-30 2009-06-11 Roman Landerer Loading station
KR20110002578A (ko) * 2009-07-02 2011-01-1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mps 셋업 스테이션 도어 장치
JP3173652U (ja) * 2011-11-14 2012-02-16 株式会社松浦機械製作所 パレット交換装置
JP2012236268A (ja) * 2011-05-13 2012-12-06 Azbil Corp 切り粉回収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5030A1 (en) * 2007-11-30 2009-06-11 Roman Landerer Loading station
KR20110002578A (ko) * 2009-07-02 2011-01-1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mps 셋업 스테이션 도어 장치
JP2012236268A (ja) * 2011-05-13 2012-12-06 Azbil Corp 切り粉回収装置
JP3173652U (ja) * 2011-11-14 2012-02-16 株式会社松浦機械製作所 パレット交換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02621A (zh) * 2017-05-10 2017-08-29 北京数码大方科技股份有限公司 数据采集方法、设备及***
KR20190096015A (ko) 2018-02-08 2019-08-19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도어 장치
KR101985642B1 (ko) * 2019-02-12 2019-06-03 이기영 드릴가공장치
CN109926865A (zh) * 2019-04-24 2019-06-25 江苏理工学院 一种用于cnc车床的安全隔离装置
CN113649853A (zh) * 2021-08-20 2021-11-16 重庆港来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金属制品加工用带防护结构的废料收集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9211B1 (ko) 202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9639A (ko) 공작기계
JP5014352B2 (ja) ワーク保持装置、及び、このワーク保持装置を備えた工作機械
JP4650923B2 (ja) 工作機械
DE102014114258B4 (de) Roboterzelle zum hauptzeitparallelen Be- und Entladen von Einzelplatz-Zerspanungsmaschinen sowie Vorrichtung zum Zerspanen mit einer solchen Roboterzelle
DE102012004709B4 (de) Werkzeugmaschine mit einem Maschinengestell mit zwei Werkstückspindeln
JP2012111030A (ja) 工作機械および積み込みおよび積み下ろし方法
US20170232567A1 (en) Manufacturing system
KR101758861B1 (ko) 절삭 가공용 다이
KR101935242B1 (ko) Cnc 선반의 기내 로봇 자동화 장치
WO2014196094A1 (ja) 加工装置
CN103987488A (zh) 板上冷却剂控制和回收***
EP2983861B1 (de) Bearbeitungszentrum
JP5638112B1 (ja) 切粉が機械内部に侵入するのを防止するストッパを備えた工作機械
KR102052478B1 (ko) 밀링머신의 절삭칩 수거장치
DE102018008842A1 (de) Industrielle Reinungsanlage
JP2012236268A (ja) 切り粉回収装置
KR20090047669A (ko) 공작기계의 윤활유 회수장치
KR101314499B1 (ko) 공작 기계용 도어 조립체
KR20150004662U (ko) 공작기계의 칩 비산 방지용 구조체
KR102454644B1 (ko) 수직형 공작기계의 커버장치
KR101326247B1 (ko) 자동선반에 구비된 척의 칩 침투방지 장치
JP2013146815A (ja) 作業台
KR101838999B1 (ko) 인덱스머신의 도어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인덱스머신
KR20140004650U (ko) 레일 이물질 제거장치
DE102004035360A1 (de) Flexible Transfermas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