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7613A - 터치센서 - Google Patents

터치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7613A
KR20150087613A KR1020140007785A KR20140007785A KR20150087613A KR 20150087613 A KR20150087613 A KR 20150087613A KR 1020140007785 A KR1020140007785 A KR 1020140007785A KR 20140007785 A KR20140007785 A KR 20140007785A KR 20150087613 A KR20150087613 A KR 20150087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attern
width
metal
metal fin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안
채경수
한승훈
정관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7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7613A/ko
Priority to TW103119458A priority patent/TW201530387A/zh
Priority to US14/300,738 priority patent/US20150205422A1/en
Priority to CN201410286902.6A priority patent/CN104793781A/zh
Publication of KR20150087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6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인 터치센서는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면에 상호 평행하게 형성된 제 1 전극패턴, 상기 베이스 기판의 하면에 상기 제 1 전극패턴의 형성방향과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제 2 전극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극패턴 과 상기 제 2 전극패턴이 상호 교차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 1 전극패턴은 상기 제 2 전극패턴이 가려지도록 상호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센서{Touch sensor}
본 발명은 터치센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는 컴퓨터가 발달함에 따라 컴퓨터의 보조 장치들도 함께 개발되고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전송장치, 그 밖의 개인 전용 정보처리장치 등은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다.
하지만, 정보화 사회의 급속한 진행에 따라 컴퓨터의 용도가 점점 확대되는 추세에 있는 바, 현재 입력장치 역할을 담당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만으로는 효율적인 제품의 구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오조작이 적을 뿐 아니라, 누구라도 쉽게 정보입력이 가능한 기기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입력장치에 관한 기술은 일반적 기능을 충족시키는 수준을 넘어서 고 신뢰성, 내구성, 혁신성, 설계 및 가공 관련기술 등으로 관심이 바뀌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텍스트, 그래픽 등의 정보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로서 터치센서(Touch Panel)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터치센서는 전자수첩,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luminescence)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CRT(Cathode Ray Tube)와 같은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보면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도구이다.
또한, 터치센서의 종류는 저항막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방식(Capacitive Type), 전기자기장방식(Electro-Magnetic Type), 소오방식(SAW Type; Surface Acoustic Wave Type) 및 인프라레드방식(Infrared Type)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다양한 방식의 터치센서는 신호 증폭의 문제, 해상도의 차이, 설계 및 가공 기술의 난이도, 광학적 특성, 전기적 특성, 기계적 특성, 내환경 특성, 입력 특성, 내구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전자제품에 채용되는데, 현재 가장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하는 방식은 저항막방식 터치센서과 정전용량방식 터치센서이다.
한편, 터치센서는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특허문헌과 같이, 금속을 이용하여 전극패턴을 형성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금속으로 전극패턴을 형성하면, 전기전도도가 우수하며, 수급이 원활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금속(Cu 등)으로 전극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전도성을 위해 사용되는 금속전극의 불투명성에 의해, 사용자에게 전극패턴이 시인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JP2011-175967 A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 기판의 일면 또는 타면에 형성되는 제 1 및 2 전극패턴이 상호 교차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 1 및 2 전극패턴이 상호 중첩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극패턴의 시인성을 저감시킬 수 있는 터치센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는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면에 상호 평행하게 형성된 제 1 전극패턴, 상기 베이스 기판의 하면에 상기 제 1 전극패턴의 형성방향과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제 2 전극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극패턴 과 상기 제 2 전극패턴이 상호 교차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 1 전극패턴은 상기 제 2 전극패턴이 가려지도록 대응되는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패턴은 제 1 금속세선으로 형성되는 제 1메쉬패턴이며,상기 제 2 전극패턴은 제 2 금속세선으로 형성되는 제 2 메쉬패턴이고, 상기 교차영역에서 상기 제 1 금속세선은 상기 제 2 금속세선이 가려지도록 대응되는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금속세선의 폭(W1)은 상기 제 2 금속세선의 폭(W2)보다 더 넓거나,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금속세선의 폭(W1) 과 상기 제 2 금속세선의 폭(W2)은
W1 ≥ W2 + 2×tanθ×D
로 표현될 수 있으며, 상기 D 는 상기 제 1 금속세선과 상기 제 2 금속세선간의 두께방향으로의 수직거리이며, 상기 θ 는 상기 거리(D)와 상기 제 1 금속세선의 폭방향으로의 일단 과 대응되는 상기 제 2 금속세선의 폭방향으로의 일단을 잇는 선(L)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하는 터치센서.
또한, 상기 제 1 및 2 메쉬패턴은 구리(Cu), 알루미늄(Al), 금(Au), 은(Ag), 티타늄(Ti), 팔라듐(Pd), 크롬(Cr), 니켈(Ni)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전극패턴에 접합되며, LCD, CRT, LED 또는 OLED 중 어느 하나인 디스플레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는 제 1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상호 평행하게 형성된 제 1 전극패턴, 제 2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상기 제 1 전극패턴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 2 전극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극패턴 과 상기 제 2 전극패턴이 상호 교차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 1 전극패턴은 상기 제 2 전극패턴이 가려지도록 대응되는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패턴은 제 1 금속세선으로 형성되는 제 1 메쉬패턴이며, 상기 제 2 전극패턴은 제 2 금속세선으로 형성되는 제 2 메쉬패턴이고, 상기 교차영역에서 상기 제 1 금속세선은 상기 제 2 금속세선이 가려지도록 대응되는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금속세선의 폭(W1)은 상기 제 2 금속세선의 폭(W2)보다 더 넓거나,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금속세선의 폭(W1) 과 상기 제 2 금속세선의 폭(W2)은
W1 ≥ W2 + 2×tanθ×D
로 표현될 수 있으며, 상기 D 는 상기 제 1 금속세선과 상기 제 2 금속세선간의 두께방향으로의 수직거리이며, 상기 θ 는 상기 거리(D)와 상기 제 1 금속세선의 폭방향으로의 일단 과 대응되는 상기 제 2 금속세선의 폭방향으로의 일단을 잇는 선(L)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하는 터치센서.
또한, 상기 제 1 및 2 메쉬패턴은 구리(Cu), 알루미늄(Al), 금(Au), 은(Ag), 티타늄(Ti), 팔라듐(Pd), 크롬(Cr), 니켈(Ni)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전극패턴에 접합되며, LCD, CRT, LED 또는 OLED 중 어느 하나인 디스플레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기판의 상면 형성된 제 1 전극패턴 과 하면에 형성된 제 2 전극패턴이 상호 교차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 1 전극패턴을 구성하는 제 1 금속세선은 상기 제 2 전극패턴을 구성하는 제 2 금속세선이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도록 상호 중첩되어 형성됨으로써, 불투명한 금속(Cu등)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 2 전극패턴의 시인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2 전극패턴이 상호 교차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 1 및 2 전극패턴은 금속세선으로 이루어진 상호 동일한 형태의 메쉬패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전극패턴을 구성하는 상기 제 1 금속세선의 선폭(W1)은 상기 제 2 전극패턴을 구성하는 상기 제 2 금속세선의 선폭(W2)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상기 제 2 금속세선의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패턴의 제 1 금속세선의 폭을 상기 제 2 전극패턴의 제 2 금속세선의 폭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형성하는 구조를 통해, 불투명한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세선의 시인성을 저감시키기위한 흑화처리 과정등을 생략가능한바, 이를 통해, 터치센서의 제작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의 H - H' 를 기준으로 절단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H - H' 를 기준으로 절단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제 1 및 2 실시예에 따른 전극패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H - H' 를 기준으로 절단한 전극패턴의 단면도에서 A부분의 제 1 및 2 전극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터치센서에 대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의 사시도이며, 도 2은 도 1의 H - H' 를 기준으로 절단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H - H' 를 기준으로 절단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1 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10)는 윈도우 기판(100), 베이스 기판(120), 상기 베이스 기판(120)의 양면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2 전극패턴(121,122)을 포함하며, 터치센서에 의한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출력값을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모듈(150)은 상기 베이스 기판(200)의 타면에 형성된 상기 제 2 전극패턴(122)상에 접착층(110,140)등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윈도우 기판(100)은 중앙영역(R1) 과 상기 중앙영역(R1)을 감싸며 형성되는 테두리 영역(R2)을 포함하며, 터치센서(10)의 최외각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강화유리등으로 형성되어 보호층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윈도우 기판(100)의 배면에는 베젤부(미도시) 와 전극패턴(121,122)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윈도우 기판(100)과 베젤부(미도시) 또는 전극패턴(121,122)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윈도우 기판(100)의 배면에 고주파 처리 또는 프라이머(primer)처리 등을 수행하여 표면처리층(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20)은 소정강도 이상을 보유한 재질로써 투명하여 디스플레이모듈(150)의 영상이 출력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C), TAC(Triacetylcellulose) 필름,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필름,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필름, 폴리스틸렌(Polystyrene; PS), 이축연신폴리스틸렌(K레진 함유 biaxially oriented PS; BOPS), 유리 또는 강화유리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 기판(120)의 일면에는 전극패턴(121,122)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베이스 기판(120)과 전극패턴(121,122)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베이스 기판(120)의 일면에 고주파 처리 또는 프라이머(primer) 처리 등을 수행하 여 표면처리층을 형성할 수 있다.
1)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도 2)에 따른 터치센서(10)에서, 제 1 전극패턴(121)은 베이스 기판(120)의 상면에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며, 제 2 전극패턴(122)은 베이스 기판(120)의 하면에 제 1 전극패턴(121)의 형성방향과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2)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도 3)에 따른 터치센서(10)에서, 제 1 전극패턴(121)은 제 1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상호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전극패턴(122)은 제 2 베이스 기판(120)의 일면에 상기 제 1 전극패턴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전극패턴(121)과 제 2 전극패턴(122)은 제 1 전극패턴(121) 과 제 2 전극패턴(122)이 상호 교차되는 영역(A)에서, 제 1 전극패턴(121)은 제 2 전극패턴(122)이 가려지도록 대응되는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전극패턴(121)과 제 2 전극패턴(122)은 바(bar)패턴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및 2 전극패턴(121,122)의 형상 및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및 2 전극패턴(121,122)은 제 1 및 2 금속세선(121a,122a)으로 형성되는 제 1 및 2 메쉬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고, 상기 메쉬패턴을 이루는 형상은 사각형, 삼각형, 다이아몬드형 등 다각형 형상을 포함하며, 특별한 형상에 한정을 두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제 1 전극패턴(121)을 구성하는 제 1 금속세선(121a)의 폭(W1)은 제 2 금속세선(122a)의 폭(W2)보다 더 넓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및 2 전극패턴(121,122)은 구리(Cu), 알루미늄(Al), 금(Au), 은(Ag), 티타늄(Ti), 팔라듐(Pd), 크롬(Cr), 니켈(Ni)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메시패턴(Mesh Pattern)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 1 및 2 전극패턴(121,122)의 형성방법은 건식 공정, 습식 공정 또는 다이렉트(direct) 패터닝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건식공정은 스퍼터링(Sputtering), 증착(Evaporation) 등을 포함하고, 습식 공정은 딥 코팅(Dip coating), 스핀 코팅(Spin coating), 롤 코팅(Roll coa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등을 포함하며, 다이렉트 패터닝 공정은 스크린 인쇄법(Screen Printing), 그라비아 인쇄법(Gravure Printing), 잉크젯 인쇄법(Inkjet Printing)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접착층(110,140)은 터치센서(10)의 구성요소를 서로 접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모듈(150)을 통해 출력되는 화상을 사용자가 인식하는데 방해되지 않도록 투명한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광학투명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를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150)은 접착층(110,140)을 통해 터치센서(10)의 일면에 접합되며,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화면에 출력하는 표시장치로서,주로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4 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에서의 제 1 및 2 전극패턴을 구성하는 제 1 및 2 금속세선간의 형성구조에 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제 1 및 2 실시예에 따른 전극패턴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H - H' 를 기준으로 절단한 전극패턴의 단면도에서 A부분의 제 1 및 2 전극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터치센서(10)의 제 1 전극패턴(121)은 제 1 금속세선(121a)으로 형성된 제 1 메쉬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전극패턴(122)은 제 2 금속세선(122a)으로 형성된 제 2 메쉬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메쉬패턴을 이루는 형상은 사각형, 삼각형, 다이아몬드형 등 다각형 형상을 포함하며, 특별한 형상에 한정을 두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러한 메쉬패턴은 불투명한 제 1 및 2 금속세선(121a,122a)을 이용하여 제 1 및 2 전극패턴(121,122)을 형성함에 따라 터치센서(10)의 사용자에 의한 제 1 및 2 전극패턴(121, 122)이 시인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베이스 기판(120)의 양면에 제 1 및 2 전극패턴(121,122)이 형성되는 구조에서, 베이스 기판(12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 1 전극패턴(121)은 흑화처리등을 통해, 외부로부터의 시인성을 저감시킬 수 있었지만, 베이스 기판(12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 2 전극패턴(122)의 경우, 베이스 기판(120)과 접합되는 부분에 흑화처리등을 할 수 없어, 불투명한 금속색이 시인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메쉬패턴을 포함하는 제 1 및 2 전극패턴(121,122)은 미세패턴으로 구현함과 함께 제 1 및 2 전극패턴(121,122)의 시인성을 저감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금속성의 세선을 이용하여 제 1 및 2 전극패턴(210,220)을 형성함으로써, 전위차 또는 양극-음극을 연결하는 전극배선에 연결됨에 따라 쉽게 부식될 수 있는 내구성의 문제 등이 발생될 수 있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10)는 제 1 및 2 전극패턴(121,122)이 베이스 기판(120)의 양면에, 불투명한 제 1 및 2 금속세선(121a,122a)으로 이루어진 메쉬패턴으로 형성되는 구조하에서, 사용자에 의한 제 2 금속세선(122a)의 시인성을 저감시키기 위해, 제 1 금속세선(121a)은 상기 제 1 및 2 전극패턴(121,122)이 교차되는 영역(A)에서 제 2 금속세선이 가려질 수 있도록 대응되는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제 1 금속세선(121a)의 폭(W1)은 제 2 금속세선(122a)의 폭(W2)보다 더 넓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기판(120)의 상면에 형성된 제 1 전극패턴(121) 과 베이스 기판(120)의 하면에 형성된 제 2 전극패턴(122)에 있어서, 제 1 금속세선(121a)의 폭(W1)은 상기 제 2 금속세선의 폭(W2), 상기 제 1 금속세선(121a)과 상기 제 2 금속세선(122a)간의 두께방향으로의 수직거리(D) 및 상기 수직거리(D)와 상기 제 1 금속세선(121a)의 폭방향으로의 일단 과 대응되는 상기 제 2 금속세선(122a)의 폭방향으로의 일단을 잇는 선(L)이 이루는 각도(θ)와의 관계에 있어서, 하기의 수학식을 만족시키는 범위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수학식] W1 ≥ W2 + 2× tanθ×D
따라서, 본 발명의 터치센서(10)는 1) 제 1 전극패턴(121)은 베이스 기판(120)의 상면에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며, 제 2 전극패턴(122)은 베이스 기판(120)의 하면에 제 1 전극패턴(121)의 형성방향과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구조 뿐만 아니라, 2) 제 1 전극패턴(121)은 제 1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상호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전극패턴(122)은 제 2 베이스 기판(120)의 일면에 상기 제 1 전극패턴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는 구조하에서,
제 1 및 2 전극패턴(121,122)의 제 1 및 2 금속세선(121a,122a)으로 구성되는 제 1 및 2 메쉬패턴을 동일한 형태로 상호 중첩되도록 형성하고, 제 1 금속세선(121a)의 폭(W1)을 제 2 금속세선(122a)의 폭(W2)보다 넓거나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제 2 금속세선(122a)의 불투명한 금속색이 제 1 금속세선(121a)에 의해 가려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 2 전극패턴(122)에 대한 시인성 저감 과 흑화처리 과정등의 생략을 통한 터치센서의 제조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다.
상기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는 베이스 기판의 상면 형성된 제 1 전극패턴 과 하면에 형성된 제 2 전극패턴이 상호 교차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 1 전극패턴을 구성하는 제 1 금속세선은 상기 제 2 전극패턴을 구성하는 제 2 금속세선이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도록 상호 중첩되어 형성됨으로써, 불투명한 금속(Cu등)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 2 전극패턴의 시인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2 전극패턴이 상호 교차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 1 및 2 전극패턴은 금속세선으로 이루어진 상호 동일한 형태의 메쉬패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전극패턴을 구성하는 상기 제 1 금속세선의 선폭(W1)은 상기 제 2 전극패턴을 구성하는 상기 제 2 금속세선의 선폭(W2)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상기 제 2 금속세선의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패턴의 제 1 금속세선의 폭을 상기 제 2 전극패턴의 제 2 금속세선의 폭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형성하는 구조를 통해, 불투명한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세선의 시인성을 저감시키기위한 흑화처리 과정등을 생략가능한바, 이를 통해, 터치센서의 제작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터치센서
100 : 윈도우 기판 120 : 베이스 기판
121 : 제 1 전극패턴 122 : 제 2 전극패턴
123 : 전극배선 121a : 제 1 금속세선
122a : 제 2 금속세선
110, 140 : 접착층 150 : 디스플레이모듈

Claims (12)

  1.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상호 평행하게 형성된 제 1 전극패턴;
    상기 베이스 기판의 타면에 상기 제 1 전극패턴의 형성방향과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제 2 전극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극패턴 과 상기 제 2 전극패턴이 상호 교차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 1 전극패턴은 상기 제 2 전극패턴이 가려지도록 대응되는 패턴으로 형성되는 터치센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패턴은
    제 1 금속세선으로 형성되는 제 1 메쉬패턴이며,
    상기 제 2 전극패턴은
    제 2 금속세선으로 형성되는 제 2 메쉬패턴이고,
    상기 교차영역에서 상기 제 1 금속세선은 상기 제 2 금속세선이 가려지도록 대응되는 패턴으로 형성되는 제 1 터치센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세선의 폭(W1)은
    상기 제 2 금속세선의 폭(W2)보다 더 넓거나, 동일한 터치센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세선의 폭(W1) 과 상기 제 2 금속세선의 폭(W2)은
    W1 ≥ W2 + 2×tanθ×D
    로 표현될 수 있으며, 상기 D 는 상기 제 1 금속세선과 상기 제 2 금속세선간의 두께방향으로의 수직거리이며, 상기 θ 는 상기 수직거리(D)와 상기 제 1 금속세선의 폭방향으로의 일단 과 대응되는 상기 제 2 금속세선의 폭방향으로의 일단을 잇는 선(L)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하는 터치센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메쉬패턴은
    구리(Cu), 알루미늄(Al), 금(Au), 은(Ag), 티타늄(Ti), 팔라듐(Pd), 크롬(Cr), 니켈(Ni)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터치센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패턴에 접합되며, LCD, CRT, LED 또는 OLED 중 어느 하나인 디스플레이모듈을 더 포함하는 터치센서.
  7. 제 1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상호 평행하게 형성된 제 1 전극패턴;
    제 2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상기 제 1 전극패턴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 2 전극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극패턴 과 상기 제 2 전극패턴이 상호 교차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 1 전극패턴은 상기 제 2 전극패턴이 가려지도록 대응되는 패턴으로 형성되는 터치센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패턴은
    제 1 금속세선으로 형성되는 제 1 메쉬패턴이며,
    상기 제 2 전극패턴은
    제 2 금속세선으로 형성되는 제 2 메쉬패턴이고,
    상기 교차영역에서 상기 제 1 금속세선은 상기 제 2 금속세선이 가려지도록 대응되는 패턴으로 형성되는 제 1 터치센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세선의 폭(W1)은
    상기 제 2 금속세선의 폭(W2)보다 더 넓거나, 동일한 터치센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세선의 폭(W1) 과 상기 제 2 금속세선의 폭(W2)은
    W1 ≥ W2 + 2×tanθ×D
    로 표현될 수 있으며, 상기 D 는 상기 제 1 금속세선과 상기 제 2 금속세선간의 두께방향으로의 수직거리이며, 상기 θ 는 상기 수직거리(D)와 상기 제 1 금속세선의 폭방향으로의 일단 과 대응되는 상기 제 2 금속세선의 폭방향으로의 일단을 잇는 선(L)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하는 터치센서.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메쉬패턴은
    구리(Cu), 알루미늄(Al), 금(Au), 은(Ag), 티타늄(Ti), 팔라듐(Pd), 크롬(Cr), 니켈(Ni)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터치센서.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패턴에 접합되며, LCD, CRT, LED 또는 OLED 중 어느 하나인 디스플레이모듈을 더 포함하는 터치센서.
KR1020140007785A 2014-01-22 2014-01-22 터치센서 KR2015008761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785A KR20150087613A (ko) 2014-01-22 2014-01-22 터치센서
TW103119458A TW201530387A (zh) 2014-01-22 2014-06-04 觸控感測器
US14/300,738 US20150205422A1 (en) 2014-01-22 2014-06-10 Touch sensor
CN201410286902.6A CN104793781A (zh) 2014-01-22 2014-06-24 触摸传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785A KR20150087613A (ko) 2014-01-22 2014-01-22 터치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613A true KR20150087613A (ko) 2015-07-30

Family

ID=53544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785A KR20150087613A (ko) 2014-01-22 2014-01-22 터치센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205422A1 (ko)
KR (1) KR20150087613A (ko)
CN (1) CN104793781A (ko)
TW (1) TW2015303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3857B2 (en) 2016-06-01 2020-09-01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panel,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pan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9488B2 (ja) 2014-03-28 2016-10-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シート状導電体、およびこれを用いるタッチパネル
CN105988631B (zh) * 2015-03-05 2019-02-19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
JP6254746B2 (ja) * 2015-03-20 2017-12-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透明導電フィルムおよびタッチパネル
CN106126001B (zh) * 2016-06-29 2019-04-16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造方法
CN117908710A (zh) 2017-03-06 2024-04-19 富士胶片株式会社 导电性部件及触摸面板
TWI621057B (zh) * 2017-06-08 2018-04-11 恆顥科技股份有限公司 觸控面板
CN210154592U (zh) * 2018-05-11 2020-03-17 陈晓 一种无电容元件的电容式传感器
CN113835545A (zh) * 2020-06-24 2021-12-24 瀚宇彩晶股份有限公司 光罩及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4568B2 (en) * 2008-11-15 2016-01-26 Atmel Corporation Touch screen sensor
EP2530560B1 (en) * 2010-01-28 2019-06-19 FUJIFILM Corporation Conductive sheet, method for using conductive sheet, and touch panel
US8884918B2 (en) * 2012-02-28 2014-11-11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nic device having metallic micro-wires
JP2015111318A (ja) * 2012-03-22 2015-06-18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ー一体型タッチパネル
CN103373022B (zh) * 2012-04-19 2015-07-08 深圳欧菲光科技股份有限公司 导电玻璃及其制备方法
KR101373044B1 (ko) * 2012-04-19 2014-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521681B1 (ko) * 2012-04-24 2015-05-19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3857B2 (en) 2016-06-01 2020-09-01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panel,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panel
US11169649B2 (en) 2016-06-01 2021-11-09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panel,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05422A1 (en) 2015-07-23
TW201530387A (zh) 2015-08-01
CN104793781A (zh) 201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7613A (ko) 터치센서
US20140333555A1 (en) Touch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2052059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521681B1 (ko) 터치패널
US20130328575A1 (en) Touch s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078065A (ko) 터치패널
US20150116252A1 (en) Touch sensor
KR20150088630A (ko) 터치센서
US8953131B2 (en) Touch sensor
US20140060901A1 (en) Touch panel
KR101461290B1 (ko) 터치패널
KR20130051803A (ko) 터치패널
KR20130119762A (ko) 터치패널
KR20150075908A (ko) 터치 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20140320448A1 (en) Touch sensor
KR20150095449A (ko) 터치센서 및 제조방법
US20140078074A1 (en) Touch panel
US20140210749A1 (en) Touch panel
KR20140030727A (ko)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20140078111A1 (en) Touch panel
KR20140028468A (ko) 터치패널
KR2016006117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장치
US20130269991A1 (en) Touch panel
US20150116242A1 (en) Touch sensor
KR20140028459A (ko) 터치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