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006A - Electronic device having improved assembling structure for display - Google Patents

Electronic device having improved assembling structure for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006A
KR20150081006A KR1020140000544A KR20140000544A KR20150081006A KR 20150081006 A KR20150081006 A KR 20150081006A KR 1020140000544 A KR1020140000544 A KR 1020140000544A KR 20140000544 A KR20140000544 A KR 20140000544A KR 20150081006 A KR20150081006 A KR 20150081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sheet
region
display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5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47964B1 (en
Inventor
임민종
신현석
이석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0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964B1/en
Priority to CN201420419340.3U priority patent/CN204102493U/en
Publication of KR20150081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0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9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which includes a cell sealing member along an outline; and at least one sheet which is arranged on a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and has both sides attached to a display mount side of a case frame. The sheet includes an area which is overlapped with an area on which the cell sealing member is arranged and is formed as an unattached area. Provided is the display assembly structure improved by using only the existing components without additional components. Therefore, reliability of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obtained by reducing possibility of breakage of the electronic device caused by external impact.

Description

개선된 디스플레이 조립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HAVING IMPROVED ASSEMBLING STRUCTURE FOR DISPLAY}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improved display assembly structur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고, 예를 들어, 개선된 디스플레이 조립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r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improved display assembly structure.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 장치는 기능이 다양화되어가는 반면에 휴대성이 유리한 장치가 좀더 높은 경쟁력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휴대용 전자 장치이더라도 좀더 슬림하고 경박 단소화된 전자 장치를 선호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 장치 제조자들은 동일하거나 좀더 우수한 기능을 가지면서 타 제품에 비해 더욱 슬림하고 경박 단소화된 전자 장치를 개발하고 있는 추세이다.In general, portable electronic devices have diversified functions, while portable devices are more competitive. For exampl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function may prefer a slimmer, thinner, and shorter electronic device. Accordingly,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nufacturers are developing slimmer, thinner, and shorter electronic devices than other products, with the same or better functionality.

상술한 추세에 부응하여 최근 출시되는 전자 장치들은 슬림화를 목적으로 기존의 부속물들을 좀더 가볍고 단소화된 새로운 부속물들로 교체하거나 생략하고 있다. 이러한 부속물의 교체나 생략으로 인해 전자 장치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기 쉽고, 특히 고가의 디스플레이는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In response to the above trend, electronic devices recently introduced replace or replace existing accessories with lighter and shorter new accessories for slimming purposes. The replacement or omission of such accessories makes the electronic device more susceptible to damage by external impacts, and in particular, expensive displays are expensive and must be replac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개선된 디스플레이 조립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improved display assembly structur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별도의 추가 부품 없이 기존의 부품만으로 개선된 디스플레이 조립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display assembly structure that is improved only with existing components without additional component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외부의 충격, 낙하 등에도 파손 가능성을 줄여 결과적으로 전자 장치의 신뢰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개선된 디스플레이 조립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improved display assembly structure that is implemented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breakage even in the event of an external impact, drop, etc., thereby contributing to securing the reliability of th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테두리를 따라 셀 씰링 부재(cell seal)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저부에 배치되어 케이스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장착면에 양면 접착 방식으로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쉬트(sheet)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쉬트는 상기 셀 씰링 부재가 배치되는 영역과 적어도 중첩되는 영역이 미접착 영역으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comprising a display unit including a cell seal along a rim and at least one sheet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display unit and attached to the display mounting surface of the case frame in a double- wherein the at least one sheet is formed as an unbonded region at least in a region overlapping with a region where the cell sealing member is dispos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착면을 포함하는 케이스 프레임과, 테두리를 따라 셀 씰링 부재(cell seal)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저부에서 기포 제거를 위하여 양면 접착 방식으로 적층되는 엠보 쉬트와, 상기 엠보 쉬트의 저부에서 완충을 위하여 양면 접착 방식으로 적층되는 완충 쉬트 및 상기 완충 쉬트의 저부에서 노이즈 차폐를 위하여 양면 접착 방식으로 적층되는 도전 쉬트를 포함하되, 상기 엠보 쉬트, 완충 쉬트 및 도전 쉬트 중 적어도 하나의 쉬트는 상기 셀 씰링 부재가 배치되는 영역과 적어도 중첩되는 영역이 미접착 영역으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ase frame including a display mounting surface; a display unit including a cell seal along a rim; and a double-sided adhesive system for bubble removal at the bottom of the display unit. A buffer sheet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embossed sheet for buffering at the bottom of the emboss sheet, and a conductive sheet laminated in a double-sided adhesive manner for noise shielding at the bottom of the buffer sheet, wherein the embossed sheet, The sheet of at least one of the buffer sheet and the conductive sheet may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an area at least overlapping with a region where the cell sealing member is disposed is formed as an unbonded area.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추가 부품 없이 기존의 부품만으로 개선된 디스플레이 조립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대한 파손 가능성을 줄여 전자 장치의 신뢰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damage to an external impact by contributing to the reliability of the electronic device, by providing an improved display assembling structure with only the existing parts without additional additional parts.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조립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다른 전자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조립 구조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전 쉬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가 장착되기 위한 전자 장치의 케이스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낙하시, 도 6의 A부분에 대한 응력 거동을 비교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낙하시, 도 6의 B부분에 대한 응력 거동을 비교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조립 구조가 적용된 전자 장치의 낙하시 파손 지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전 쉬트의 미접착 부분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display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showing an assembling structure of a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ductive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frame of an electronic device for mounting a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A and 7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stresses of a portion A in Fig. 6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dropp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8A and 8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stresses when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ared with the stress behavior with respect to the portion B in FIG.
FIG. 9 is a view showing a breakage point of an electronic device to which a display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FIGS. 10A and 10B are diagrams showing an unbonded portion of a conductive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operator, or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통신용 휴대용 전자 장치에 대하여 도시하고 이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를 갖는 다양한 전자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communication that includes a display.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applicable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having a display.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유닛으로써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에 관하여 개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저온 결정질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기판을 포함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유닛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일반 LCD 모듈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AMOLED(Active Matrix OLED)에 적용될 수도 있다.In describ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has been disclosed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as a display unit,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display units including substrates formed of low-temperature crystalline silicon. It can also be applied to general LCD modul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MOLED (Active Matrix OL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는 터치 센서를 함께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On-cell type OLED, In-cell type OLED 등 TFT 박막 기판(LTPS 기판)을 사용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유닛과 이에 결합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으로써 기여될 수도 있다.In describ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may be a concept that includes a touch sensor toge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touch screen including various display units using a TFT thin film substrate (LTPS substrate) such as an on-cell type OLED or an in-cell type OLED and a touch sensor coupled thereto may be contribut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면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 예를 들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넷북(Netbook), 휴대 인터넷 장치(MID: Mobile Internet Device), 울트라 모바일 PC(UMPC: Ultra Mobile PC),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네비게이션, MP3, 웨어러블(wearable) 전자 장치 등 다양한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a display on the front, such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laptop computer,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Which can be appli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netbook, a mobile Internet device (MID), an ultra mobile PC (UMPC), a tablet personal computer, a navigation device, an MP3 player, .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조립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display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자 장치(10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10)가 설치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10)의 상측으로는 상대방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스피커 장치(102)가 설치되고, 디스플레이(101)의 하측으로는 상대방에게 전자 장치 사용자의 음성을 송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장치(103)가 설치됨으로써 기본적인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는 입력과 출력을 동일 영역에서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A display device 10 is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 speaker device 102 for receiving a voice of the other party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device 10, A microphone device 103 for transmitting the voice of the user of the electronic device is installed to perform a basic communication function. The display 10 may be a touch screen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input and output in the same area.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스피커 장치(102)가 설치되는 주변에는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component)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부품들로는 상대방과의 화상 통화(VT; Video Telephony)를 위한 화상 통신용 카메라 장치(105)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주변 환경에 따라 전자 장치(100)를 가변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104)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모듈(104)은 주변의 조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조도값에 따라 디스플레이(10)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조도 센서 및/또는 통화 중 사용자의 두부(head portion)에 취부되었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10)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근접 센서 등이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components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disposed in the periphery where the speaker device 102 of the electronic device is installed. Such components may include a video communication camera apparatus 105 for video telephony (VT) with the other party. Also, at least one sensor module 104 may be installed to variably operate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sensor module 104 detects an ambient illuminance and automatically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10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value detected and / or when it is attached to a head portion of a user during a conversation, And a proximity sensor for sensing and deactivating the display 10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휴대 중 낙하 등에 의한 외부의 충격에도 디스플레이(10)의 파손 가능성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지면에 낙하시, 점선으로 표시된 네 모서리 부분뿐만 아니라 상, 하, 좌, 우 테두리에 모두 충격이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충격으로 디스플레이(10)는 충격에 가장 민감한 부분부터 파손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러한 부분은 디스플레이(10)의 테두리 부분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의 테두리 부분과 대응하는 영역에 관련하여 이러한 충격에도 파손 가능성이 현저히 저감될 수 있는 조립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디스플레이 보다 파손율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arkably reduce the possibility of breakage of the display 10 even in the event of an external impact due to dropping or the like during carry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 drops onto the ground, impact may be transmitted to all four corners as well as to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edges. This impact can cause the display 10 to break from the portion most sensitive to impact, for example, this portion can be the rim portion of the display 10. Howeve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eakage rate can be remarkably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display by applying an assembly structure in which the possibility of breakage can be remarkably reduced even in such a shock in relation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rim portion of the display .

이하, 디스플레이 조립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display assembly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다른 전자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유닛(11)은 OLED를 포함하거나, 디스플레이 유닛(11)의 상부 또는 하부 영역에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유닛(11)은 OCTA(On Cell TSP AMOLED)일 수 있다.In describ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11 may include an OLED, or may be a concept comprising a touch screen device including a touch sensor in the upper or lower area of the display unit 1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1 may be OCTA (On Cell TSP AMOLED).

도 2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케이스 프레임(106)의 디스플레이 장착면(1061)에 디스플레이 유닛이 부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그 상부에 디스플레이 유닛(11)을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12)가 탑재될 수 있다.2,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fixed in such a manner that the display unit is attached to the display mounting surface 1061 of the case frame 106, and a window for protecting the display unit 11 (12) can be mounted.

한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12)와 디스플레이 유닛(11) 사이에는 젤 타입 레진층(SVR; Super View Resin)(13)이 개재될 수 있다. 젤 타입 레진층(13)은 윈도우(12)로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을 완충시키고, 디스플레이 유닛(11)에 표시되는 영상을 좀더 선명하게 형성하는데 일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gel-type resin layer (SVR) 13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window 12 and the display unit 11. The gel-type resin layer 13 serves to buffer the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window 12 and to help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 to be formed more clearly.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유닛(11)의 하측에는 순차적으로 엠보 쉬트(14), 완충 쉬트(15) 및 도전 쉬트(16)가 적층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mbossed sheet 14, the buffer sheet 15, and the conductive sheet 16 may b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unit 11.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엠보 쉬트(14)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접착면에 발생할 수 있는 기포 등을 제거하기 위한 다수의 엠보가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mbossed sheet 14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embosses for removing bubbles or the like that may occur on the adhesiv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엠보 쉬트(14)의 하측으로 완충 쉬트(15)가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완충 쉬트(14)는 디스플레이 유닛(11)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완충 쉬트(15)는 스폰지, 포론(poron)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uffer sheet 15 may be disposed below the embossed sheet 14.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uffer sheet 14 can be used to buffer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display unit 11.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uffer sheet 15 may be formed of a sponge, a poron, or the like.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 쉬트(16)는 디스플레이(10)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차폐하여 주변 전자 부품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용될 수 있다. 역시, 주변 전자 부품들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에 의한 디스플레이(10)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0)와 안테나 방사체가 함께 설치되었을 경우, 디스플레이(10)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에 의하여 안테나 방사체의 방사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10)와 안테나 방사체 사이에 도전 쉬트(16)를 개재시켜 이러한 성능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ductive sheet 16 may be applied to shield the noise generated in the display 10 to prevent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surrounding electronic components. May also be used to prevent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display 10 due to noise from peripheral electronic components.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10 and the antenna radiator are installed together, the radiation performance of the antenna radiator may be deteriorated due to the noise generated in the display 10. In this case, the performance degradation can be prevented in advance by interposing the conductive sheet 16 between the display 10 and the antenna radiator.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의 하측에 적층되는 다수의 쉬트들(14, 15, 16)은 모두 양면 접착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 쉬트들(14, 15, 16)의 상, 하면에는 양면 테이프가 적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 쉬트들의 상, 하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plurality of sheets 14, 15, 16 stacked on the underside of the display may all be applied in a double-sided adhesive man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double-sided tape may be a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espective sheets 14, 15 and 16.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dhesive may be a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each shee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유닛(11)에는 상, 하 기판 사이에 유기물이 충진되어 있으며, 이러한 유기물이 공기중에 노출되지 않고 밀폐되도록 테두리를 따라 셀 씰링 부재(cell seal)(도 3의 114)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셀 씰링 부재(114)는 대체적으로 유리 프릿 조성물(glass frit composite)로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파손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11 is filled with organic substances between the upper and the lower substrates, and the cell seal (see FIG. 3 114 of < / RTI > Since the cell sealing member 114 is generally formed of a glass frit composite, the cell sealing member 114 is likely to be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테두리를 따라 케이스 프레임들(프론트 케이스 프레임과 리어 케이스 프레임)의 조립, 전자 부품들의 조립, 부싱 또는 스크류 등을 조립하기 위한 결합 부분[개구(opening) 또는 스크류 홀 등을 포함하는 안착부(recess)]으로 인해 테두리까지 접착층을 적용하게 되면, 이러한 결합 부분에서는 접착이 되지 않는 불연속면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접착 불연속면을 제공하는 결합 부분이 없더라도, 상술한 쉬트들(14, 15, 16)을 접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기포 등에 의한 자체 불연속면이 발생하여 불균일한 접착이 유도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불연속면이 포함된 영역에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응력이 집중되며, 이러한 불연속면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유닛(11)의 셀 씰링 부재(114)로 이러한 응력이 전달되어 파손될 가능성이 높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coupling portion (an opening) for assembling the case frames (front case frame and rear case frame) along with the rim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assembly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the bushing, Or a recess including a screw hole or the like], a discontinuous surface which is not adhered to the joint portion is generated. Further, even when there is no joint portion for providing the above-described adhesion discontinuity surface, when the sheets 14, 15, 16 are adhered to each other, self-discontinuous surfaces due to bubbles or the like may be generated and nonuniform adhesion may be induc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stress is concentrated by an external impact in an area including such a discontinuity surface, and such stress is transmitted to the cell sealing member 114 of the display unit 11 dispos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discontinuity surfac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breakag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유닛(11)의 셀 씰링 부재(114)가 배치되는 위치와 중첩되는 상술한 쉬트들(14, 15, 16)의 해당 영역에는 접착층 또는 접착제가 적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접착 불연속면을 미연에 배제시킴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불연속면으로 집중된 응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유닛(11)의 셀 씰링 부재(114)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 adhesive layer or glue is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areas of the above-mentioned sheets 14, 15, 16 overlapping the position where the cell sealing member 114 of the display unit 11 is disposed .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ell sealing member 114 of the display unit 11 from being damaged by the stress concentrated on the discontinuous surface due to the external impact by excluding the above-described adhesion discontinuity surface in advance .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유닛(11)은 디스플레이 영역(116)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유닛(11)의 테두리를 따라 셀 씰링 부재(114)가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유닛(11)의 저부에 적층되는 다양한 쉬트들(14, 15, 16)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셀 씰링 부재가 배치되는 영역과 적어도 중첩되는 영역에는 접착층이 배제되어 접착에 따라 발생하는 셀 씰링 부재상의 불연속면의 발생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접착층은 별도의 양면 테이프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접착제의 도포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display unit 11 may include a display area 116.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ell sealing member 114 may be disposed along the rim of the display unit 1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various sheets (14, 15, 16) stacked on the bottom of the display unit (11) are arranged such that the adhesive layer is excluded in the region where the cell sealing member of the display unit The generation of the discontinuity on the emerging cell sealing member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such an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by a separate double-sided tape or may be formed by application of an adhesive.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유닛(11)은 TFT기판(Backplane)(111), 유기물층(Organic materials layer)(113), 커버 글라스(cover glass)(112) 및 편광판(Polarizer)(115)이 하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TFT기판(111)에서 유기물층(113)에 전류를 인가하여 발광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유닛(11)은 ITO(Induim Tin Oxide) 전극(anode, 양극)과 Al금속 전극(cathode, 음극) 사이에 기능성 박막 형태의 유기물층(113)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로써, TFT가 On되면 구동전류가 양극에 인가되어 양극에서 정공(Hole)이 주입되며 음극에서 전자(Electron)가 주입되어, 유기물층 내에서 이동하면서 전자와 정공이 만나 광이 발생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1 includes a TFT substrate 111, an organic material layer 113, a cover glass 112, and a polarizer 115 May be sequentially stack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current may be applied to the organic layer 113 in the TFT substrate 111 to emit ligh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1 has a structure in which an organic layer 113 in the form of a functional thin film is inserted between an ITO (Indium Tin Oxide) electrode (anode) and an Al metal electrode (cathode) When the TFT is turned on, a driving current is applied to the anode, holes are injected from the anode, electrons are injected from the cathode, and electrons and holes meet while moving in the organic layer to generate light.

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물층(113)은 HIL(Hole Injection Layer : 정공주입층)과 HTL(Hole Transfer Layer : 정공수송층), EIL (Emission Material Layer : 전자주입층), ETL(Electron Transfer Layer : 전자수송층), EML(Electron Injection Layer : 발광층) 등의 기능성 유기물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HIL은 정공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며, HTL은 주입된 정공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EIL과 ETL은 전자의 주입과 수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주입된 전자와 정공은 EML에서 결합되어 발광할 수 있다. EML은 디스플레이 색감을 표현해주는 소재로서 유기물의 수명을 결정하는 호스트(host)와 색감 및 효율을 결정하는 불순물(dopant)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rganic material layer 113 includes a hole injection layer (HIL), a hole transport layer (HTL), an emission layer (EIL), and an electron transfer layer (ETL) A transport layer), and an EML (Electron Injection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IL facilitates the injection of holes, and the HTL facilitates the movement of injected holes. EIL and ETL can facilitate injection and transport of electrons. The injected electrons and holes can be combined in the EML to emit light. EML is a material that expresses the color of display and can be composed of a host that determines the lifetime of the organic material and a dopant that determines color and efficiency.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커버 글라스(112) 및 및 TFT 기판(111) 사이에 개재되는 유기물(113)을 단속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1)의 테두리를 따라 셀 씰링 부재(114)가 개재될 수 있다. 셀 씰링 부재(114)로는 광 경화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나, 최근에는 낮은 유리전이온도, 작은 열팽창계수, 높은 적외선 흡수성, 우수한 내수성, 내구성 및 유동성 등의 특성을 갖는 유리 프릿 조성물(glass frit composite)를 사용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리 프릿을 유기 비히클(vehicle)에 분산시켜 페이스트(paste)로 제조한 후 이를 커버 글라스와 TFT 기판 사이에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유기 비히클은 페이스트 조성물에 액상 특성을 부여하는 유기 바인더(binder)일 수 있으며, 유기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ell sealing member 114 is interposed along the rim of the display unit 11 for interrupting the organic glass 113 interposed between the cover glass 112 and the TFT substrate 111 . In recent years, a glass frit composite having properties such as low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small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high infrared absorbability, excellent water resistance, durability and fluidity can be used as the cell sealing member 114 Can be us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glass frit may be dispersed in an organic vehicle to prepare a paste, which may then be applied between the cover glass and the TFT substrate. Here, the organic vehicle may be an organic binder that imparts liquid-phase characteristics to the paste composi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n organic solven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리 프릿 조성물로 구성된 셀 씰링 부재(114)는 외부의 충격에 파손되기 쉽다. 따라서, 셀 씰링 부재(114)가 배치되는 영역과 중첩되는 상술한 쉬트들(14, 15, 16)의 대응 영역에는 외부의 충격에 의한 응력 집중의 원인이 되는 접착 불연속면을 배제시키기 위하여 접착층이 적용되지 않는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ll sealing member 114 comprised of the glass frit composition is susceptible to external impacts. Therefore, in order to exclude the adhesion discontinuity which causes the stress concentration due to the external impact, the adhesive layer is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areas of the sheets 14, 15, 16 overlapping with the area where the cell sealing member 114 is disposed It does not.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조립 구조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전 쉬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showing an assembling structure of a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ductive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유닛(11)의 상부에는 젤 타입 레진층(13)에 의해 윈도우(12)가 적층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유닛(11)의 하측으로는 순차적으로 엠보 쉬트(14), 완충 쉬트(15) 및 도전 쉬트(16)가 적층되어 최종적으로 케이스 프레임(106)의 디스플레이 장착면상에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엠보 쉬트(14), 완충 쉬트(15) 및 도전 쉬트(16)는 모두 양면 접착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유닛(11)의 커버 글라스(112)와 TFT 기판(111) 사이의 유기물(113)을 보호하기 위하여 개재된 셀 씰링 부재(114)와 중첩되는 영역에는 접착층이 배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window 12 may be laminated on the display unit 11 by a gel-type resin layer 13. FIG. The embossed sheet 14, the buffer sheet 15 and the conductive sheet 16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unit 11 and finally attached to the display mounting surface of the case frame 106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mbossed sheet 14, the buffer sheet 15, and the conductive sheet 16 may all be constructed in a double-sided adhesive manner. However, in order to protect the organic material 113 between the cover glass 112 of the display unit 11 and the TFT substrate 111, an adhesive layer may be excluded in a region overlapping the cell sealing member 114 interposed therebetween.

도 5를 참고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 쉬트(16)의 영역이 접착 영역(161)과 미접착 영역(162)으로 구분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그 상부의 완충 쉬트(15) 및 엠보 쉬트(14) 역시 도전 쉬트(16)의 미접착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이 미접착 영역으로 적용될 수 있다. 5, the region of the conductive sheet 16 is divided into the adhesive region 161 and the non-adhesive region 162.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uffer sheet 15 and the emboss The sheet 14 can also be applied as an unbonded region in a region overlapping with the unbonded region of the conductive sheet 16. [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접착 영역(162)은 적어도 셀 씰링 부재(114)의 중첩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접착 영역(162)은 접착 영역이 끝나는 부분부터 에지까지의 폭 w가 5mm ~ 20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unbonded area 162 may include at least an overlapping area of the cell sealing member 114.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idth W of the unbonded area 162 from the end of the bonding area to the edge may range from 5 mm to 20 mm.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가 장착되기 위한 전자 장치의 케이스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frame of an electronic device for mounting a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장착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착면(1061)을 포함하는 케이스 프레임(106)을 도시하고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 프레임(106)은 대체적으로 테두리를 따라 전자 부품들의 조립, 부싱 또는 스크류 등을 조립하기 위한 결합 부분[개구(opening) 또는 스크류 홀 등을 포함하는 안착부(recess)]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분은 도시된 A영역 및 B영역으로 대표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 부분을 포함하여 접착층이 적용되면, 해당 부분에는 접착층이 형성되지 않는 불연속면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불연속면은 외부의 충격에 의한 응력 집중 현상이 발생하며, 이렇게 집중된 응력은 그 상부에 위치한 셀 씰링 부재에 전파되어 파손을 유발시킬 수 있다.
6, there is shown a case frame 106 including a display mounting surface 1061 for mounting a display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ase frame 106 generally includes a coupling portion (a recess including an opening or a screw hole, etc.) for assembling electronic components along a rim, a bushing or a screw, . ≪ / RTI > This portion can be represented by the A region and the B region shown. When the adhesive layer including such a bonding portion is applied, a discontinuity surface where an adhesive layer is not formed is generated in the corresponding portion, and such a discontinuity surface has stress A concentrated phenomenon occurs, and the concentrated stress can propagate to the cell sealing member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thereof, thereby causing breakage.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낙하시, 도 6의 A부분에 대한 응력 거동을 비교한 요부 사시도이다.Figs. 7A and 7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stresses of a portion A in Fig. 6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dropp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도 6의 A 영역에 배치된 개구(1065)를 포함하는 케이스 프레임(106)의 디스플레이 장착면(1061)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써, 접착 영역(1062)이 셀 씰링 부재(114)와 중첩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개구(1065)는 디스플레이 장착면(1061)과 접착되지 않는 불연속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개구(1065)의 불연속면 주변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당히 높은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7A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display mounting surface 1061 of the case frame 106 including the opening 1065 disposed in the area A of Fig. 6, in which the adhesive area 1062 is in contact with the cell sealing member 114). ≪ / RTI > Therefore, the opening 1065 can be formed as a discontinuous surface that does not adhere to the display mounting surface 1061.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shown in the figure, it can be seen that the periphery of the discontinuity of the opening 1065 has a considerably high stress concentration due to an external impact, as shown in the figure.

도 7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A 영역에 배치된 개구(1065)를 포함하는 케이스 프레임(106)의 디스플레이 장착면(1061)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써, 셀 씰링 부재(114)와 중첩되는 영역을 미접착 영역(1064)으로 형성하였다. 이러한 경우, 미접착 영역(1064)에 포함된 개구(106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도 7a와 달리 상당히 낮은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IG. 7B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display mounting surface 1061 of a case frame 106 including an opening 1065 disposed in an area A of FIG. 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rea overlapping with the sealing member 114 is formed as an unbonded area 1064. [ In this case, as shown in the figure, the opening 1065 included in the unbonded region 1064 can be seen to have a considerably low stress concentration, unlike in FIG. 7A, even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낙하시, 도 6의 B부분에 대한 응력 거동을 비교한 요부 사시도이다.FIGS. 8A and 8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stresses when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ared with the stress behavior with respect to the portion B in FIG.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낙하시, 도 6의 B부분에 대한 응력 거동을 비교한 요부 사시도이다.FIGS. 8A and 8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stresses when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ared with the stress behavior with respect to the portion B in FIG.

도 8a는 도 6의 B 영역에 배치된 스크류 홀(1066)을 포함하는 케이스 프레임(106)의 디스플레이 장착면(1061)을 도시한 도면으로써, 접착 영역(1062)이 셀 씰링 부재(114)와 중첩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스크류 홀(1066)은 디스플레이 장착면(1061)과 접착되지 않는 불연속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스크류 홀(1066)의 불연속면 주변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당히 높은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8A is a view showing a display mounting surface 1061 of a case frame 106 including a screw hole 1066 disposed in a region B in Fig. 6, in which an adhesive region 1062 is formed between a cell sealing member 114 And overlapping areas. Therefore, the screw hole 1066 can be formed as a discontinuous surface that does not adhere to the display mounting surface 1061.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shown in the drawing, it can be seen that a considerably high stress is concentrated around the discontinuity surface of the screw hole 1066 due to an external impact.

도 8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B 영역에 배치된 스크류 홀(1066)을 포함하는 케이스 프레임(106)의 디스플레이 장착면(1061)을 도시한 것으로써, 셀 씰링 부재(114)와 중첩되는 영역을 미접착 영역(1064)으로 형성하였다. 이러한 경우, 미접착 영역(164)에 포함된 스크류 홀(106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도 8a와 달리 응력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8B shows a display mounting surface 1061 of a case frame 106 including a screw hole 1066 disposed in a region B of Fig. 6,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cell sealing member 114 is formed as an un-adhered region 1064. [ In this case, the screw hole 1066 included in the unbonded region 164 has no stress as shown in FIG. 8A even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조립 구조가 적용된 전자 장치의 낙하시 파손 지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9 is a view showing a breakage point of an electronic device to which a display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a)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셀 씰링 부재가 중첩되는 영역을 모두 접착층으로 형성하였을 경우, 전자 장치의 파손율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경우, 전제 124대의 전자 장치를 낙하시켰을 경우 69대의 전자 장치가 해당 부분에서 파손되었으며, 이는 55.6%의 파손율로써 상당히 높은 파손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a) shows the breakage ratio of the electronic device when all of the areas where the cell sealing members of the display unit are overlapped are formed of an adhesive layer. In this case, when a total of 124 electronic devices were dropped, 69 electronic devices were damaged in the corresponding portion, which shows a high possibility of breakage with a failure rate of 55.6%.

(b)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셀 씰링 부재가 중첩되는 영역 중 상부 및 좌, 우측에는 미접착 영역으로 형성하고, 하측만이 셀 씰링 부재가 중첩되는 영역을 접착 영역으로 형성하였다. 이러한 경우, 전제 32대의 전자 장치를 낙하시켰을 경우, 11대의 전자 장치가 파손되어 34.4%의 파손율을 보여주고 있으며, 파손되는 부분이 셀 씰링 부재가 중첩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측 부분에서 대부분 발생됨을 알 수 있었다.(b) is formed as an unbonded area on the upper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rea where the cell sealing member of the display unit is overlapped, and the area where only the lower side overlaps the cell sealing member is formed as the adhesive area. In this case, when an electronic device of a total of 32 units is dropped, 11 electronic devices are broken, showing a breakdown rate of 34.4%, and the broken portion is mostly gener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in which the cell sealing member is superimposed. I could.

(c)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셀 씰링 부재가 중첩되는 영역 모두를 미접착 영역으로 형성하였다. 이러한 경우, 전제 24대의 전자 장치를 낙하시켰을 경우, 4대의 전자 장치가 파손되어 16.7%의 파손율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a) 및 (b)의 경우보다 현저히 낮은 파손율이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c) show that all of the areas where the cell sealing members of the display unit are overlapped are formed as unbonded areas. In this case, when the total of 24 electronic devices are dropped, the four electronic devices are broken, showing a failure rate of 16.7%, which indicates a significantly lower failure rate than that of (a) and (b) there was.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전 쉬트의 미접착 부분을 도시한 구성도이다.FIGS. 10A and 10B are diagrams showing an unbonded portion of a conductive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는 도 10b의 케이스 프레임(107)에 적용되는 도전 쉬트(17)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 쉬트(17)는 대체적으로 중앙의 접착 영역(171)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폭을 갖는 미접착 영역(172)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접착 영역(172)은 미도시된 디스플레이 유닛의 셀 씰링 부재와 적어도 중첩되는 영역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접착 영역(172)은 상측 및 좌,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Fig. 10A shows the shape of the conductive sheet 17 applied to the case frame 107 of Fig. 10B.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ductive sheet 17 may be formed with an un-adhered region 172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long the edge of the adhesive region 171 at the cen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n-adhered region 172 may be an area that at least overlaps with the cell sealing member of the unillustrated display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n-adhered regions 172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도 10b에 도시된 케이스 프레임(107)의 디스플레이 장착면(1071)에는 양면 테이프(1072)가 접착될 수 있다. 양면 테이프(1072)는 도전 쉬트(17)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 테이프(1072)의 하측 영역(1073)측은 도전 쉬트(17)의 하측에 배치된 접착 영역으로 인해 미접착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 쉬트(17)가 케이스 프레임(107)의 디스플레이 장착면(1071)에 부착되면, 도전 쉬트(17)의 상측 및 좌, 우 측에 형성된 미접착 영역(172)과, 양면 테이프(1072)에 형성된 미접착 영역(1073)에 의해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유닛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셀 씰링 부재와 중첩되는 영역은 미접착 영역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double-sided tape 1072 can be adhered to the display mounting surface 1071 of the case frame 107 shown in Fig. 10B. The double-sided tape 1072 can be applied to improve adhesion to the conductive sheet 17. As shown in the figure, the lower region 1073 side of the double-sided tape 1072 can be formed as an unbonded region due to an adhesive region disposed below the conductive sheet 17.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conductive sheet 17 is attached to the display mounting surface 1071 of the case frame 107, an unbonded area 172 formed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nductive sheet 17, The area overlapping with the cell sealing member that is disposed along the edge of the display unit as a result of the unbonded area 1073 formed on the double-sided tape 1072 can be applied as the unbonded area.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셀 씰링 부재와 중첩되는 영역을 미접착 영역으로 형성하고, 이러한 미접착 영역에 접착에 의한 불연속면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개구, 스크류 홀 등)를 포함시켰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셀 씰링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을 미접착 영역으로 형성하고 접착에 의한 불연속면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개구, 스크류 홀 등)가 접착 영역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불연속면이 발생하는 구조는 접착 영역에는 포함되나, 셀 씰링 부재와 중첩되는 영역인 미 접착 영역에는 포함되지 않는 것에 기인한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t least a region overlapping the cell sealing member is formed as an unbonded region, and a structure (opening, screw hole, etc.) in which a discontinuity due to adhesion may occur in the unbonded region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Do not. For example, a structure in which a region overlapping the cell sealing region is formed as an unbonded region and a discontinuity surface due to adhesion may occur (an opening, a screw hole, or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bonding region. In this case, the structure in which the discontinuity occurs is attributed to being included in the bonding area but not being included in the non-bonding area which is the area overlapping the cell sealing member.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Obviously, there are many different way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at can modify these embodiments. In other words, there may be a variety of way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 디스플레이 11: 디스플레이 유닛
12: 윈도우 13: 레진층
14: 엠보 쉬트 15: 완충 쉬트
16: 도전 쉬트 106: 케이스 프레임
1061: 디스플레이 장착면
10: display 11: display unit
12: Window 13: Resin layer
14: embossed sheet 15: buffer sheet
16: conductive sheet 106: case frame
1061: Display mounting surface

Claims (20)

전자 장치에 있어서,
테두리를 따라 셀 씰링 부재(cell seal)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저부에 배치되어 케이스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장착면에 양면 접착 방식으로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쉬트(sheet)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쉬트는 상기 셀 씰링 부재가 배치되는 영역과 적어도 중첩되는 영역이 미접착 영역으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
In an electronic device,
A display unit including a cell seal along a rim; And
At least one sheet disposed on a bottom portion of the display unit and attached to the display mounting surface of the case frame in a double-sided adhesive manner,
Wherein the at least one sheet is formed as an unbonded region at least in a region overlapping with a region where the cell sealing member is disp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쉬트는 노이즈 차폐를 위한 도전 쉬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sheet comprises a conductive sheet for noise shiel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쉬트의 미접착 영역은 양면 테이프가 적용되지 않거나,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unbonded area of the conductive sheet is not applied with a double-sided tape or an adhesive is not appli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쉬트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에는 완충을 위한 완충 쉬트가 더 개재되는 전자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buffer sheet for buffering is further interposed between the conductive sheet and the display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쉬트는 스폰지 재질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uffer sheet is formed of a sponge materi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쉬트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에는 디스플레이면의 기포 제거를 위한 엠보 쉬트가 더 개재되는 전자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 embossed sheet for bubble removal of the display surface is further interposed between the buffer sheet and the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접착 영역과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영역에는 접착에 의한 접착 불연속면을 제공하는 구조가 포함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region of the case frame corresponding to the non-sticking region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for providing an adhesive discontinuity due to adhes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는 개구(opening), 스크류 홀(screw hole), 안착홈(recess) 및 각종 기구적 구조물이 적용되는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ructure comprises at least one of an opening, a screw hole, a seating recess, and a receiving portion to which various mechanical structures are appli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접착 영역의 폭은 5mm ~ 20mm의 범위에서 형성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width of the unbonded region is formed in a range of 5 mm to 20 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저온결정질(LTPS)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unit comprises a low temperature crystalline (LTPS) substr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패널인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unit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터치 센서층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unit further comprises a touch sensor lay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OCTA(On Cell TSP(Touch Screen Panel)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패널인 전자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display unit is an On-Cell TSP (Touch Screen Panel) 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 씰링 부재는 유리 프릿 조성물(glass frit composite)인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ll sealing member is a glass frit composite.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착면을 포함하는 케이스 프레임;
테두리를 따라 셀 씰링 부재(cell seal)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저부에서 기포 제거를 위하여 양면 접착 방식으로 적층되는 엠보 쉬트;
상기 엠보 쉬트의 저부에서 완충을 위하여 양면 접착 방식으로 적층되는 완충 쉬트; 및
상기 완충 쉬트의 저부에서 노이즈 차폐를 위하여 양면 접착 방식으로 적층되는 도전 쉬트를 포함하되,
상기 엠보 쉬트, 완충 쉬트 및 도전 쉬트 중 적어도 하나의 쉬트는 상기 셀 씰링 부재가 배치되는 영역과 적어도 중첩되는 영역이 미접착 영역으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
In an electronic device,
A case frame including a display mounting surface;
A display unit including a cell seal along a rim;
An embossed sheet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unit for bubble removal at the bottom of the display unit;
A buffer sheet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embossed sheet in a double-sided adhesive manner for buffering; And
And a conductive sheet laminated on the bottom of the buffer sheet in a double-sided adhesive manner for noise shielding,
Wherein at least one sheet of the embossed sheet, the buffer sheet, and the conductive sheet is formed as an unbonded region at least in a region where the cell sealing member is dispose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장착면에 부착되는 도전 쉬트는 상기 셀 씰링 부재가 배치되는 영역과 적어도 중첩되는 영역이 미접착 영역으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conductive sheet attached to the display mounting surface of the case frame is formed as an unbonded area at least in a region where the cell sealing member is dispose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미접착 영역과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영역에는 접착에 의한 접착 불연속면을 제공하는 구조가 포함되는 전자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a region of the case frame corresponding to the non-sticking region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for providing an adhesive discontinuity due to adhesio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는 개구(opening), 스크류 홀(screw hole), 안착홈(recess) 및 각종 기구적 구조물이 적용되는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structure comprises at least one of an opening, a screw hole, a seating recess, and a receiving portion to which various mechanical structures are applie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터치 센서층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display unit further comprises a touch sensor layer.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OCTA(On Cell TSP(Touch Screen Panel)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패널인 전자 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display unit is an On-Cell TSP (Touch Screen Panel) 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panel.
KR1020140000544A 2014-01-03 2014-01-03 Electronic device having improved assembling structure for display KR1021479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544A KR102147964B1 (en) 2014-01-03 2014-01-03 Electronic device having improved assembling structure for display
CN201420419340.3U CN204102493U (en) 2014-01-03 2014-07-28 There is the electronic equipment of the display group assembling structure of improv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544A KR102147964B1 (en) 2014-01-03 2014-01-03 Electronic device having improved assembling structure for disp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006A true KR20150081006A (en) 2015-07-13
KR102147964B1 KR102147964B1 (en) 2020-08-25

Family

ID=52270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544A KR102147964B1 (en) 2014-01-03 2014-01-03 Electronic device having improved assembling structure for displa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7964B1 (en)
CN (1) CN204102493U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70728B2 (en) 2016-07-05 2019-01-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0263213B2 (en) 2016-04-11 2019-04-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sealant
US10318031B2 (en) 2016-03-28 2019-06-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integrated with a touch screen panel and including a guard ring pattern
US10333099B2 (en) 2017-09-11 2019-06-2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11038004B2 (en) 2018-09-28 2021-06-15 Samsung Display Co., Ltd. Window member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435789B2 (en) 2018-10-02 2022-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structure for connecting display and conductive support member through conductive adhesive memb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0673B (en) * 2018-01-31 2021-04-23 广州国显科技有限公司 Screen body structure, display screen manufacturing method, display device and scraping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2878A (en) * 2008-01-31 2009-08-13 Toshiba Corp Electronic device, method of holding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KR20110130945A (en) * 2010-05-28 2011-12-0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120018589A (en) * 2010-08-23 2012-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On-cell tsp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structure
KR20130007144A (en) * 2011-06-29 2013-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20130060885A (en) * 2011-11-30 2013-06-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Cushion shee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2878A (en) * 2008-01-31 2009-08-13 Toshiba Corp Electronic device, method of holding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KR20110130945A (en) * 2010-05-28 2011-12-0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120018589A (en) * 2010-08-23 2012-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On-cell tsp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structure
KR20130007144A (en) * 2011-06-29 2013-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20130060885A (en) * 2011-11-30 2013-06-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Cushion shee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18031B2 (en) 2016-03-28 2019-06-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integrated with a touch screen panel and including a guard ring pattern
US10263213B2 (en) 2016-04-11 2019-04-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sealant
US10892437B2 (en) 2016-04-11 2021-01-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sealant
US10170728B2 (en) 2016-07-05 2019-01-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0333099B2 (en) 2017-09-11 2019-06-2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11038004B2 (en) 2018-09-28 2021-06-15 Samsung Display Co., Ltd. Window member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574980B2 (en) 2018-09-28 2023-02-07 Samsung Display Co., Ltd. Window member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ihe same
US11435789B2 (en) 2018-10-02 2022-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structure for connecting display and conductive support member through conductive adhesive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4102493U (en) 2015-01-14
KR102147964B1 (en) 202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964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improved assembling structure for display
US9697764B2 (en) Display device having bent display area for reduced bezel width
KR102654593B1 (en)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ivice including the same
CN105938405B (en) Image display device
KR101337264B1 (en) Touch panel and a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159755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KR102009670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2420438B1 (en) Display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KR101759577B1 (en) On-cell TSP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structure
US20080079697A1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40159569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205341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160001795A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TW201633275A (en) Display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US20150220120A1 (en)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panel
KR20170059066A (en) Display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TW201447676A (en) Touch display module
CN110928438A (en) Display device
JPWO2014054262A1 (en) Display device
JP2011221371A (en) Display device
KR20170051615A (en) Display device
KR102177962B1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009889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ame
US842134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600186B1 (en) Edge Bending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