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9501A - 단말기의 복합적 기능을 이용한 감성형 이북의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복합적 기능을 이용한 감성형 이북의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9501A
KR20150079501A KR1020150051377A KR20150051377A KR20150079501A KR 20150079501 A KR20150079501 A KR 20150079501A KR 1020150051377 A KR1020150051377 A KR 1020150051377A KR 20150051377 A KR20150051377 A KR 20150051377A KR 20150079501 A KR20150079501 A KR 20150079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ouch
user interface
sound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호준
Original Assignee
라호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호준 filed Critical 라호준
Priority to KR1020150051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9501A/ko
Publication of KR20150079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501A/ko
Priority to PCT/KR2016/003751 priority patent/WO201616751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 인터페이스부, 기울기 감지부, 소리 채집부, 습도 채집부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터치 인터페이스부에서 터치와 터치의 방향과 속도를 감지하고, 기울기 감지부는 장치의 기울기를 감지하고, 소리 채집부는 장치 주변의 소리를 채집하고, 습도 채집부는 장치 주위의 습도를 채집하여 터치 인터페이스부의 계층화 설정 영역에 가해진 터치가 지정한 값 이상을 가지면 터치된 계층에 대응하는 레이어의 값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부에 페이지를 넘기는 애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감지된 기울기, 소리, 습도가 미리 정해 진 값 사이에서 터치 인터페이스의 터치와 디스플레이부의 애니메이션의 값의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Description

단말기의 복합적 기능을 이용한 감성형 이북의 제작 방법{Methode For Making Emotion-Effective E-Book By Complexing Fuctions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터치해 조작하는 디스플레이, 기울기 감지 장치, 소리를 감지 할 수 있는 스피커, 습도 측정 장치를 갖춘 단말 장치에서 구동되는 이북을 통해 종이책이 가진 시각적, 촉각적, 감성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기술이다.
스마트 폰, 스마트 태블릿, 이북 리더 등 다양한 단말기의 발전과 급속한 확대는 이북의 확대를 가져 오고 있다.
현대의 디스플레이 기술은 보다 자연색에 가까운 칼라를 지원하게 되었으며 보다 작은 화면 안에 보다 많은 픽셀을 집어넣을 수 있게 집적화 되었다. 또한 전자기 유도 방식과 압력 감지 방식의 두 가지 기술의 개별 혹은 그 둘의 조합을 통한 터치 인터페이스 기술이 개발 되어 쓰이고 있다. 한편 기존에도 디스플레이는 기능 상 파손되지 않을 만큼의 약간의 휘어짐을 가질 수는 있었으나 근래에는 소재 기술의 발달로 보다 자유로운 휘어짐을 가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단말기가 보편적으로 광범위하게 도입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산업 기술의 발달과 그 균등한 혜택들은 본 발명의 효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많은 스마트 폰과 스마트 태블릿은 기기의 기울기 감지 방법을 기본으로 내장하고 있다. 이 방법들은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을 독자적으로 작동 시키거나 혹은 그것들을 조합하여 기울기를 검출한다.
스마트 폰과 스마트 태블릿에 장착된 마이크는 목소리 뿐 아닌 주위의 소리를 채집하는데 쓰이고 있다. 소리를 채집한 뒤 분석하는 기술은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 음량 분석 기술은 주위 소음의 따라 듣고 말하는 말소리를 크게 해 스마트 폰 등의 통화 품질을 높이는 데 응용되고 있다. 또 다른 기술은 소리의 방향 분석 기술로 통상 두 개 이상의 마이크에 전달되는 소리의 시간차를 이용해 소리의 방향을 탐지하며 가전제품에 응용되고 있다.
현대의 스마트 폰과 스마트 태블릿등의 기기는 다양한 센서를 경쟁적으로 내장하고 있으며 센서 기술은 더 집적화 및 고도화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스마트 태블릿 등의 이북 리더로서의 기기가 습도 측정 센서를 내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통상의 종이책을 이루는 종이의 넓고 얇으며, 탄성을 가지며, 휘어졌다 복원하는 물리적 특성에 기인하고, 또한 일반적으로 같은 크기의 종이들을 한 쪽으로 제책하는 것에서 유발되는 종이책만의 고유한 물리적 특성중 하나는, 페이지를 넘기기 위해 책의 페이지가 층층이 쌓인 모서리를 손으로 넘기려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당겼다 놓는 일을 행했을 때, 손이 느끼는 유효한 일로써의 반발력을 탄성의 형태로 보유한 것이다. 이와 더불어 종이책은 종이가 가진 매끄러운 정도와 주위의 습도 등의 물리적 조건에 의해, 많은 경우 페이지가 넘어 갈 때 의도와는 달리 불규칙하게 한 장이 아닌 여러 장이 넘어 가는 특성을 가진다. 또한 보통 엄지손가락을 이용해 책의 모서리를 넘기며 책의 내용을 빠르게 훑어보는 경우에는 책과 개별 페이지의 무게의 상이함과 각각의 중력과의 관계, 불규칙한 기압과 바람등에 의해 페이지의 넘김을 한 장씩 혹은 여러 장 씩 정확히 통제하기 어렵다. 손에 반발력을 유발한다는 점과 페이지를 정확히 한 장 씩 넘기는 데 정신적이고도 물리적인 노력을 들여야 한다는 두 가지 종이책의 특성은 종이책을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손을 통해 전해지는 물리적 긴장감과 더불어 페이지를 넘길 때 경험되는 우연이라는 두 가지의 물리적이며 정신적인 경험들의 복합적인 경험과 그로부터 야기되는 감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터치 인터페이스 기술과 중력 방향에 대한 기울기 감지 방법, 주변음의 채집 및 분석 기술, 습도 측정 방법을 종합적으로 이용해 종이책이 가진 물리적 특성이 제공하는 경험과 그로인해 느껴지는 감성을 이북에서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이책에서 경험되는, 손으로 책의 모서리 부분 페이지들을 책의 바깥을 향해 당겼다 놓으면 당긴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페이지가 넘어가는 종이책의 탄성 효과를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인터페이스 방법을 이용해 이북에서 구현한다.
본 발명은 책을 손으로 잡고 기울이면 중력에 의해 페이지들이 넘어가는 효과를 인터페이스 장치의 기울기의 감지 방법을 통해 이북에서 구현한다.
본 발명은 바람이 불어오면 페이지가 넘어가는 종이 책의 효과를 기기의 마이크를 이용해 채집한 소리의 세기와 방향을 분석해 이북에서 구현한다.
본 발명은 습도에 따라 페이지가 여러장 씩 붙어서 넘어가는 효과를 기기의 습도를 측정해 위의 해결 수단들과 조합해 페이지들이 넘어가는 정도에 영향을 미치도록 해 종이 책의 특성을 이북에서 구현한다.
본 발명은 종이책이 가진 불규칙한 수의 페이지가 넘어가는 자연스러운 페이지 효과를 위의 수단들과 함께 터치 인터페이스의 세분화된 상황을 설정해 구현한다.
흔히 이북은 이동과 검색 등에서 종이책에 비해 더 편리하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사람들이 이북의 구매를 꺼리는 근본적인 이유 중 하나는 종이책만이 가진 감성적인 사용자 경험을 이북이 제공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종이책을 읽는 사람들이 실생활에서 느끼는 감성적 느낌을 이북에서 구현해 이북의 사용자 경험을 증대시킨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부, 기울기 감지부, 소리 채집부, 습도 채집부를 가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부가 터치를 판단하는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계층화 설정 영역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기준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계층화 설정 영역의 위치를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계층화 설정 영역의 위치를 설정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기울기 감지부가 탐지한 값을 고려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소리 채집부가 방향과 음량에 따른 소리를 채집한 값을 고려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습도 채집부가 습도를 채집한 값을 고려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터치를 감지하고 그 정보를 제어해 디스플레이에 결과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흐름도의 앞부분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터치를 감지하고 그 정보를 제어해 디스플레이에 결과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흐름도의 뒷부분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기울기를 감지하고 그 정보를 제어해 디스플레이에 결과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소리를 감지하고 분석해 그 정보를 제어해 디스플레이에 결과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습도를 감지하고 그 정보를 제어해 디스플레이에 결과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부, 디스플레이부, 기울기 감지부, 소리 채집부, 습도 채집부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부, 기울기 감지부, 소리 채집부, 습도 채집부를 가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터치 인터페이스 부(110), 제어부(120), 기울기 감지부(130), 소리 채집부(140), 습도 채집부(150), 저장부(160) 및 디스플레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적 변화에 상응하여 압력이나 전압 혹은 둘 모두의 변화를 전기적으로 바꿔주는 통상의 필름형태의 필름 센서(Electric Film Sensor)를 적어도 각각 하나 혹은 통합된 하나 이상 이용해서 물리적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터치 인터페이스부(110)가 물리적 변화를 감지하면 물리적 변화 범위 및 물리적 변화 방향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판단한다. 이때, 기울기 감지부(130)와 소리 채집부(140)와 습도 채집부(150)는 터치 인터페이스부(110)에 의해 동작 여부가 제어 될 수도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부가 판단하는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터치 인터페이스부(110)가 채집한 이동 방향(210), 이동 속도(220), 압력(230) 등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터치 인터페이스부(110)와 디스플레이부(170)는 터치와 디스플레이가 매칭이 되도록 하는 한 묶음임을 알 수 있다.
기울기 감지부(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소리 채집부(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 주위의 소리를 채집한다.
습도 채집부(1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 주위의 습도를 채집한다.
저장부(1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 레이어들에 해당하는 응용 프로그램 및 저장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터치 인터페이스부(110), 기울기 감지부(130), 소리 채집부(140), 습도 채집부(150)는 각각 다른 부의 동작 여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때 터치 인터페이스부(110)는 기울기 감지부(130), 소리 채집부(140), 습도 채집부(150)가 동작되도록 제어하거나, 터치 인터페이스부(110)는 터치가 감지되면 기울기 감지부(130), 소리 채집부(140), 습도 채집부(150)를 이용한 인터페이스가 서비스 되도록 할 수 있다.
터치 인터페이스부(110)는 기설정된 계층화 설정 영역(210)에 터치가 감지되면 터치의 물리적 변화를 감지하고, 제어부는 감지된 정보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70)는 터치 인터페이스부(110)의 계층화 설정 영역(210)과 매칭되는 영역에 레이어들을 계층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계층적으로 표시되는 레이어는, 이북 앱을 실행하는 경우 책의 각 페이지들이 가능하며, 이뿐만 아니라 정보를 계층적으로 쌓아 표시하는 이른바 카드형 인터페이스로 표시 가능한 모든 어플리케이션이 가능하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계층화 설정 영역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기준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터치 인터페이스부(110)는 X, Y를 축으로 하는 기준선을 이용해서 디스플레이부(170)에 표현될 왼쪽이나 오른쪽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기준선은 X, Y 상의 어느 위치에서도 만들어 질 수 있다.
터치 인터페이스부(110)는 위의 방법을 이용해, 기설정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 된 범위를 계층화 설정 영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170)에 표현된 이북 등의 모서리를 계층화 설정 영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계층화 설정 영역(430)의 위치를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터치 인터페이스부(110)는 계층화 설정 영역(430)에 감지된 터치가 다수의 계층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다수의 계층 중에서 가장 상위 계층에 대응하는 레이어를 선택한다. 또는 터치 인터페이스부(110)는 계층화 설정 영역(430)에 감지된 터치가 다수의 계층을 선택할 경우, 선택된 다수의 계층 중에서 터치된 면적이 가장 넓은 레이어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터치 인터페이스부(110)에 감지된 터치와 이어지는 물리적 이동 방향(410)을 판단한 결과 이동 방향(410)이 도 3의 Y축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분포한다. 이때 해당 부분에 터치와 이어지는 스크롤이 가해져 제어부가 이동 방향(410)을 오른쪽 혹은 왼쪽으로 판단하면 제어부는 계층화 설정 영역(430)과 매치 되는 디스플레이부(170)의 부분에는 각각의 페이지의 층이 눌리거나 들리는 애니메이션을 표시하고, 동시에 계층화 설정 영역(430)을 제외한 부분과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70)의 왼쪽 면에는 계층화 설정 영역(430)에서 선택되었다가 이동에 의해 해제된 레이어의 값을 가진 페이지부터 순차적으로 왼쪽 방향으로 넘어가는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왼쪽과 오른쪽의 두 개의 애니메이션은 나눠지지 않은 하나일 수도 있고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각 페이지 단위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조정 할 수도 있다.
한 편,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계층화 설정 영역(430)의 전체 디스플레이에서의 배치는 오른쪽, 왼쪽, 상단, 하단을 포함한 4방향의 개별이거나 방향들의 유효한 선택적 조합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각 4방향 모서리에 따른 작동 방식은 계층화 설정 영역(430)의 오른쪽 배치에 따른 방식을 각 배치에 맞춘 방향으로 조정해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계층화 설정 영역의 위치를 설정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계층화 설정 영역(420)을 제외한 왼쪽 표시 면의 크기는 기설정된 크기일 수도 있고, 계층화 설정 영역(430)이 가질 레이어 수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터치된 상태에서 터치 인터페이스부(110)가 기설정된 압력, 이동 방향, 이동 속도 이상의 물리적 변화를 감지하면, 터치 위치(510)를 시작으로 터치 인터페이스부의 외곽까지를 계층화 설정 영역(520)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계층화 설정 영역(520)의 끝 위치인 외곽은 도 4와 같이 터치 인터페이스부(110)가 탐지한 오른쪽이 포함된 이동 방향(410)과 이동 속도(420)를 고려할 수도 있고, 터치 인터페이스부(110)의 왼쪽이 포함된 이동 방향과 이동 속도를 고려할 수도 있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기울기 감지부가 탐지한 값을 고려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에 내장 된 기울기 감지부(630)가 감지한 중력 방향(640)을 고려한 기울기의 정보는 터치 인터페이스부(110)의 계층화 설정 영역(620) 중 터치 위치(610)로 선택 된 이외의 왼 쪽 레이어가 가지는 정보에 영향을 미치도록 해, 해당하는 페이지들이 넘어가는 애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터치가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기울기의 정보는 페이지들을 넘기는 애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소리 채집부가 방향과 음량에 따른 소리를 채집한 값을 고려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소리 채집부(730)가 감지한 인터페이스 장치(100) 외부의 소리는 제어부에서 소리의 크기와 소리의 위치로 분석되어 터치 인터페이스부(110)의 계층화 설정 영역(720) 중 터치 위치(710)로 선택 된 이외의 왼 쪽 레이어가 가진 정보에 작동하도록 해 해당하는 페이지들을 넘기는 애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 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터치가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소리의 크기와 소리의 위치 정보는 페이지들을 넘기는 애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8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습도 채집부가 습도를 채집한 값을 고려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습도 채집부(830)가 감지한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주변 습도 정보는 터치 인터페이스(110)의 계층화 설정 영역(820) 중 터치 위치(810)를 선택해 스크롤 이동이 일어날 경우 가중치를 부여해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되는 애니메이션의 페이지가 스크롤에 의한 선택의 해제에 의한 것 보다 더 적게 혹은 더 많이 넘어가도록 하는 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편, 터치가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기울기 감지부나 소리 채집부에 의해 페이지 넘김 효과가 작동하는 경우 습도 정보는 애니메이션의 페이지가 더 적게 혹은 더 많이 넘어가는 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 5부터 도 8까지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이 책을 보는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는 경우, 터치 인터페이스부(110)에 감지된 물리적 변화는 책을 손에 쥐고 손가락으로 모서리 부분을 튕겨 책장을 넘길 때의 반발력을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고, 책을 파지하고 엄지손가락의 미끄러짐을 통해 책장을 넘기는 직관적인 시각적 경험과 느낌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책을 손에 들고 모서리의 일부를 엄지손가락으로 지탱하고 손목의 스냅을 이용해 페이지들을 한 번에 많이 넘기거나, 그 상태로 책을 아래로 늘어뜨려 많은 양의 페이지들을 넘기는 경험과 그에 따른 느낌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잘 분리되지 않는 페이지들 사이로 입으로 바람을 불어 페이지를 분리해 넘기거나, 주위의 바람이 불어와 페이지가 넘어가는 경험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상의 효과들의 조합 방법에 습도 채집 정보에 의한 제어를 조합해, 마치 습도가 높으면 페이지들이 붙어 손가락으로 헤아리기 어려워져 한 번에 여러 페이지가 넘어가기도 하듯이, 사용자가 의도한 것 보다 더 적게 혹은 많이 페이지가 넘어가도록 해 실제 책의 페이지를 넘길 때와 같은 의도되지 않은 실수를 만들어 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종이책이 손과 주위의 자연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토대로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물리적 특성을 띄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독특한 경험과 그것에서 느껴지는 특이한 감성을 이북에서 구현한다.
제어부(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터치 인터페이스부(110), 기울기 감지부(130), 소리 채집부(140), 습도 채집부(150)의 기능의 일부를 수행할 수도 있고, 각각의 부에 더 많은 처리 기능을 할당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 터치 인터페이스부(110), 기울기 감지부(130), 소리 채집부(140), 습도 채집부(150)를 구분하여 도시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터치 인터페이스부(110), 기울기 감지부(130), 소리 채집부(140), 습도 채집부(150) 각각의 기능의 일부를 수행하도록 구성된(configured)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터치를 감지하고 그 정보를 제어해 디스플레이에 결과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흐름도의 앞부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910단계에서 터치 인터페이스부의 터치 여부를 확인한다.
910단계의 확인결과 터치 인터페이스부의 터치가 감지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912단계에서 터치 인터페이스부의 물리적 변화를 측정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914단계에서 측정된 정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지 판단한다.
914단계의 판단결과 터치 인터페이스부의 물리적 변화가 기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910단계로 돌아간다.
914단계의 확인결과 터치 인터페이스부의 물리적 변화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터치 인터페이스부의 기설정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916단계에서 터치 인터페이스부의 일부를 계층화 설정 영역으로 설정한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터치된 위치를 시작으로 터치 인터페이스부의 외곽까지를 계층화 설정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918단계에서 계층화 설정 영역과 매치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레이어들을 계층적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920단계에서 계층화 설정 영역에 터치가 되는지 감지한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계층화 설정 영역에 감지된 터치가 다수의 계층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다수의 계층 중에서 가장 상위 계층에 대응하는 레이어를 선택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H로 진입한다. 단,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곧바로 922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습도를 감지하고 그 정보를 제어해 디스플레이에 결과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의 H로 진입한 경우, 1310단계에서 습도 채집부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1312단계에서 습도를 채집한 경우, 1314단계에서 습도 정보가 측정되고, 1316단계에서 습도 정보가 기설정 값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1318단계에서 디스플레이부에 애니메이션을 더 정확히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가중치를 얻거나, 1316단계에서 습도 정보가 기설정 값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1318단계에서 디스플레이부에 애니메이션을 덜 정확히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가중치를 얻고, R을 통해 도 9의 R로 복귀한다. 이때, 1310단계에서 습도 채집부가 활성화 되어 있지 않거나, 1312단계에서 습도가 채집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도 13의 알고리즘을 종료하고 도 9의 R로 복귀한다.
그리고, 도 9의 R로 복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922단계에서 계층화 설정 영역에 매치되는 디스플레이부에 페이지의 모서리가 눌리거나 들리는 애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도 13의 1318단계나 1320단계에서 얻은 가중치를 적용해 애니메이션을 더 정확히 혹은 덜 정확히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924단계에서 기울기 감지부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G1으로 진입하거나, 소리 채집부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S1으로 진입하거나, 기울기 감지부와 소리 채집부 둘 다 활성화 상태인 경우 동시에 병렬로 G1과 S1으로 진입할 수 있다. 단,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곧바로 A로 진입할 수 도 있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기울기를 감지하고 그 정보를 제어해 디스플레이에 결과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가 도 9의 G1으로부터 도 11의 G1으로 진입한 경우 1110단계로 진입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가 1110단계에서 기울기를 감지한 경우, 1112단계에서 기울기 크기 정보를 측정한 경우, 1114단계에서 정보가 판단되어 기설정 값 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1116단계에서 디스플레이부에 애니메이션을 더 빠르게 표시하는 가중값을 얻고, 1118단계에서 도 11의 알고리즘에의 진입방향이 판단되어 F를 통해 도9의 F로 복귀한다.
만약, 1110단계에서 기울기가 감지되지 않거나 1114단계에서 판단한 값이 기설정 값 보다 작을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도 11의 알고리즘을 종료하고 도 9의 F로 복귀한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소리를 감지하고 분석해 그 정보를 제어해 디스플레이에 결과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가 도 9의 S1으로부터 도 12의 S1으로 진입한 경우 1210단계로 진입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1210단계에서 소리를 채집한 경우, 1212단계에서 소리크기, 소리 방향 정보를 측정한 경우, 1214단계에서 정보가 판단되어 소리 크기가 기설정 값 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1216단계에서 정보가 판단되어 소리 방향이 기설정 범위 값 이내인 같을 경우, 1218의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부에 애니메이션을 더 빠르게 표시하는 가중값을 얻고, 1220단계에서 도 12의 알고리즘에의 진입방향이 판단되어 F를 통해 도9의 F로 복귀한다.
만약, 1210단계에서 소리 크기가 감지되지 않거나, 1214단계에서 판단한 값이 기설정 값 보다 작거나, 1216단계에서 판단한 값이 기설정 값보다 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는 도 11의 알고리즘을 종료하고 도 9의 F로 복귀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도 9의 F로 복귀한 경우 도 9의 A를 통해 도 10으로 진입한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터치를 감지하고 그 정보를 제어해 디스플레이에 결과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흐름도의 뒷부분이다.
1010단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도 9의 920단계의 계층화 설정 영역에서 감지된 터치로부터 끊어짐 없이 시작된 스크롤의 압력, 혹은 스크롤의 방향과 속도의 두 가지, 혹은 스크롤의 압력과 방향과 속도의 세 가지를 측정 하고, 1012단계에서 측정된 정보가 기설정 값 보다 크거나 같으면, 1014단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계층화 설정 영역이 아닌 부분에 매칭되는 디스플레이부에 페이지가 넘어가는 애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1014단계에서 알고리즘이 도 9의 H와 R을 거친 것을 확인해, 도 13의 1318단계나 1320단계에서 얻은 가중값을 이용해 애니메이션을 더 정확히 혹은 덜 정확히 표시할 수 도 있고, 도 11의 1116단계와 도 12의 1218단계에서 얻은 디스플레이부에 애니메이션을 더 빠르게 표시하는 가중값들 중 하나를 이용하거나 혹은 둘 다를 누적한 뒤 이용해 애니메이션을 더 빠르게 디스플레이할 수 도 있다. 또한 이때, 도 9의 922단계의 계층화 설정 영역과 매치 되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중인 애니메이션도 더 빠르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터치에 의해 계층화 설정 영역이 활성화 되지 않은 경우, 도 11에서 시작단계로부터 알고리즘을 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도 11의 H로 진입한다. 단,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곧바로 1110단계로 진입할 수 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도 11의 H를 거쳐 도 13의 H로 진입한 경우, 1310단계에서 습도 채집부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1312단계에서 습도를 채집한 경우, 1314단계에서 습도 정보가 측정되고, 1316단계에서 습도 정보가 기설정 값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1318단계에서 디스플레이부에 애니메이션을 더 정확히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가중치를 얻거나, 1316단계에서 습도 정보가 기설정 값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1318단계에서 디스플레이부에 애니메이션을 덜 정확히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가중치를 얻고, R을 통해 도 11의 R로 복귀한다. 이때, 1310단계에서 습도 채집부가 활성화 되어 있지 않거나, 1314단계에서 습도가 채집 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도 13의 알고리즘을 종료하고 도 11의 R로 복귀한다.
그리고, 도 11의 R로 복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가 1110단계에서 기울기를 감지한 경우, 1112단계에서 기울기 크기 정보를 측정한 경우, 1114단계에서 정보가 판단되어 기설정 값 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1116단계에서 디스플레이부에 애니메이션을 더 빠르게 표시하는 가중값을 얻고, 1118단계에서 알고리즘의 진입방향이 판단되어 S2를 통해 도 12의 S2로 진입한다. 단,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곧바로 1120단계로 진입할 수 도 있다.
만약, 1110단계에서 기울기가 감지되지 않거나 1114단계에서 판단한 값이 기설정 값 보다 작을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도 11의 알고리즘을 종료 할 수 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가 도 11의 S2으로부터 도 12의 S2로 진입한 경우, 1210단계에서 소리를 채집한 경우, 1212단계에서 소리크기, 소리 방향 정보를 측정한 경우, 1214단계에서 정보가 판단되어 소리크기가 기설정 값 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1216단계에서 정보가 판단되어 소리방향이 기설정 값 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1218의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부에 애니메이션을 더 빠르게 표시하는 가중값을 얻고, 1220단계에서 알고리즘의 진입방향이 판단되어 1222단계에서 계층화 설정 영역과 아닌 부분에 매칭되는 디스플레이부에 페이지가 넘어가는 애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 한다. 이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알고리즘이 도 11의 H와 R을 통해 도 13의 단계들을 거친 것을 확인해, 도 13의 1318단계나 1320단계에서 얻은 가중값을 이용해 애니메이션을 더 정확히 혹은 덜 정확히 표시할 수 도 있고, 도 11의 1116단계와 도 12의 1218단계에서 얻은 디스플레이부에 애니메이션을 더 빠르게 표시하는 가중값들 중 하나를 이용하거나 혹은 둘 다를 누적한 뒤 이용해 가중값들 중 하나를 이용하거나 혹은 둘 다를 누적한 뒤 이용해 애니메이션을 더 빠르게 디스플레이할 수 도 있다.
만약, 1210단계에서 소리가 채집되지 않거나, 1214단계에서 판단한 값이 기설정 값 보다 작거나, 1216단계에서 판단한 값이 기설정 값보다 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는 도 12의 알고리즘을 종료하고 도 11의 G2로 복귀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터치에 의해 계층화 설정 영역이 활성화 되지 않은 경우, 도 12에서 시작단계로부터 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2의 H로 진입한다. 단,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곧바로 2110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도 12의 H를 거쳐 도 13의 H로 진입한 경우, 1310단계에서 습도 채집부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1312단계에서 습도를 채집한 경우, 1314단계에서 습도 정보가 측정되고, 1316단계에서 습도 정보가 기설정 값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1318단계에서 디스플레이부에 애니메이션을 더 정확히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가중치를 얻거나, 1316단계에서 습도 정보가 기설정 값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1318단계에서 디스플레이부에 애니메이션을 덜 정확히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가중치를 얻고, R을 통해 도 12의 R로 복귀한다. 이때, 1310단계에서 습도 채집부가 활성화 되어 있지 않거나, 1314단계에서 습도가 채집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도 13의 알고리즘을 종료하고 가중치를 얻지 않은 상태로 도 12의 R 단계로 복귀한다.
그리고, 1210단계에서 소리를 채집한 경우, 1212단계에서 소리크기, 소리 방향 정보를 측정한 경우, 1214단계에서 정보가 판단되어 소리크기가 기설정 값 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1216단계에서 정보가 판단되어 소리방향이 기설정 값 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1218의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부에 애니메이션을 더 빠르게 표시하는 가중값을 얻고, 1220단계에서 알고리즘의 진입방향이 판단되어 G2를 통해 도 11의 G2로 진입한다. 단,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곧바로 1222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만약, 1210단계에서 소리가 채집되지 않거나, 1214단계에서 판단한 값이 기설정 값 보다 작거나, 1216단계에서 판단한 값이 기설정 값보다 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도 12의 알고리즘을 종료할 수 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가 도 12의 G2으로부터 도 11의 G2로 진입한 경우, 1110단계에서 기울기를 감지한 경우, 1112단계에서 기울기 크기 정보를 측정한 경우, 1114단계에서 정보가 판단되어 기설정 값 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1116단계에서 디스플레이부에 애니메이션을 더 빠르게 표시하는 가중값을 얻고, 1120단계에서 계층화 설정 영역과 아닌 부분에 매칭되는 디스플레이부에 페이지가 넘어가는 애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 한다. 이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알고리즘이 도 12의 H와 R을 통해 도 13의 단계들을 거친 것을 확인해, 도 13의 1318단계나 1320단계에서 얻은 가중값을 이용해 애니메이션을 더 정확히 혹은 덜 정확히 표시할 수 도 있고, 도 12의 1218단계와 도 11의 1116단계에서 얻은 디스플레이부에 애니메이션을 더 빠르게 표시하는 가중값들 중 하나를 이용하거나 혹은 둘 다를 누적한 뒤 이용해 애니메이션을 더 빠르게 디스플레이할 수 도 있다.
만약, 1110단계에서 기울기가 감지되지 않거나 1114단계에서 판단한 값이 기설정 값 보다 작을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도 11의 알고리즘을 종료하고 도 12의 S2로 복귀한다.
그러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휴대용 단말의 예를 아래에서 도 14에서 살펴본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부, 디스플레이부, 기울기 감지부, 소리 채집부, 습도 채집부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은 터치 인터페이스부의 아래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부에 페이지가 넘어가는 애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하고 있고, 본 발명에 필요한 다른 모든 구성물과 통상의 홈 버튼과 카메라를 내장한 본체(1410)를 구비하는 일반적인 구성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가 위치하는 기술의 계열을 검토하여 균등히 고도한 수준의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그러므로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출원 시점에 통상적으로 쓰이고 있는 배경 기술들을 사용하지 않아 산업적 실시 용이성과 경제성이 없는 추가적이고 보조적인 기술을 통해서만 청구할 수 있는 범위들로부터 원천적으로 자유로워야 한다.
100. 인터페이스 장치
110. 터치 인터페이스부
120. 제어부
130. 기울기 감지부
140. 소리 채집부
150. 습도 채집부
160. 저장부
170. 디스플레이부
210. 이동 방향
220. 이동 속도
230. 압력
410. 이동 방향
420. 이동방향
430. 계층화 설정 영역
440. 압력
510. 터치 위치
520. 계층화 설정 영역
610. 터치 위치
620. 계층화 설정 영역
630. 기울기 감지부
640. 중력 방향
710. 터치 위치
720. 계층화 설정 영역
730. 소리 채집부
810. 터치 위치
820. 계층화 설정 영역
830. 습도 채집부
1410. 본체

Claims (7)

  1.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력에 상응하여 압력이나 전압 혹은 두 가지 모두를 측정 할 수 있는 터치 인터페이스 부;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부가 터치되면 정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부; 및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의 기 설정된 계층화 설정 영역에 터치가 감지되면 터치된 계층에 대응하는 레이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계층적으로 표시하고, 터치와 이어지는 스크롤이 진행되어 터치 인터페이스에서 측정 된 값이 기 설정된 압력 혹은 이동 방향, 이동 속도 이상인 경우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부의 일부를 계층화 설정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계층화 설정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레이어들을 계층적으로 표시하는 터치 인터페이스부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부에 스크롤 되어 선택되는 하위 계층에 대응하는 레이어를 선택되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때, 압력이나 스크롤의 방향과 속도에 의해, 상기 계층화 설정 영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에 레이어로 표시된 책 모서리가 눌리거나 들리는 효과로 디스플레이되거나, 상기 계층화 설정 영역을 제외한 페이지가 디스플레이 된 부분에 페이지가 넘어가는 효과로 디스플레이 되거나, 위의 두 부분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각 부분이 연속적으로 이어져 페이지가 넘어가는 효과로 디스플레이 되거나, 또는 위의 두 부분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각 부분이 연속적으로 이어져 미끄러지듯이 슬라이드 되거나, 또는 위의 두 부분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각 부분이 함께 사라지는 효과를 적용해서 선택된 레이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부는 터치된 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터치된 위치를 시작으로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의 외곽 까지를 상기 계층화 설정 영역으로 설정하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4. 제1항과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에 내장 된 기울기 감지부가 감지한 기울기의 정보를 기준으로, 터치 인터페이스부의 계층화 설정 영역 중 터치 위치로 선택 된 이외의 왼 쪽 레이어에 해당하는 페이지들이 넘어가는 애니메이션을 표시 하거나, 스크롤이 진행될 때 선택이 해제된 레이어들에 대응하는 페이지가 넘어가는 애니메이션을 더 빠르게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5. 제1항과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에 내장 된 소리 채집부가 감지한 소리를 제어부에서 분석한 소리의 크기와 소리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터치 인터페이스부의 계층화 설정 영역 중 터치 위치로 선택 된 이외의 왼 쪽 레이어에 해당하는 페이지들을 넘기는 애니메이션을 표시 하거나, 스크롤이 진행될 때 선택이 해제된 레이어들에 대응하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페이지가 넘어가는 애니메이션을 더 빠르게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6. 제1항과 제2항과 제4항과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에 내장 된 습도 채집부가 감지한 인터페이스 장치 주변의 습도 정보를 기준으로, 덜 정확히 혹은 더 정확히 페이지가 넘어가는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7. 제1항과 제2항과 제4항과 제5항과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1항이나 제4항이나 제5항이나 제6항 중 하나를 반드시 포함하는 2 이상의 조합을 통해, 미리 지정된 바에 따라 혹은 사용자가 설정하는 바에 따라 각각의 인터페이스 행동의 경우에 각 항이 가진 유동성을 적용해, 페이지가 넘어가는데 가중치를 주어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1020150051377A 2015-04-12 2015-04-12 단말기의 복합적 기능을 이용한 감성형 이북의 제작 방법 KR2015007950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377A KR20150079501A (ko) 2015-04-12 2015-04-12 단말기의 복합적 기능을 이용한 감성형 이북의 제작 방법
PCT/KR2016/003751 WO2016167517A1 (ko) 2015-04-12 2016-04-10 단말기의 복합적 기능을 이용한 감성형 이북의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377A KR20150079501A (ko) 2015-04-12 2015-04-12 단말기의 복합적 기능을 이용한 감성형 이북의 제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501A true KR20150079501A (ko) 2015-07-08

Family

ID=53791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377A KR20150079501A (ko) 2015-04-12 2015-04-12 단말기의 복합적 기능을 이용한 감성형 이북의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79501A (ko)
WO (1) WO201616751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8800A (ko) * 2015-12-10 2017-06-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북 리더용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어플리케이션 및 이북 리더용 디바이스
KR20200112368A (ko) 2019-03-22 2020-10-05 신영선 이북 제작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4118B2 (ja) * 1998-03-31 2004-07-21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書籍表示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680349B1 (ko) * 2010-04-27 2016-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43632B1 (ko) * 2010-10-01 201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자책 페이지 넘김 장치 및 방법
KR101190048B1 (ko) * 2010-10-27 2012-10-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자책 장치 및 전자책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20084467A (ko) * 2011-01-20 2012-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책 단말기에서 페이지를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8800A (ko) * 2015-12-10 2017-06-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북 리더용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어플리케이션 및 이북 리더용 디바이스
KR20200112368A (ko) 2019-03-22 2020-10-05 신영선 이북 제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67517A1 (ko) 201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3570B1 (en) Thumb touch interface
EP3168713B1 (en) Method and devices for display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based on user contact
EP2369460B1 (en) Terminal device and control program thereof
JP2020038706A (ja) 多機能ハンドヘルド装置
US20170060248A1 (en) Haptic feedback for interactions with foldable-bendable displays
EP27969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Haptically-Enabled Deformable Surface
EP2133778A2 (en) Touch screen display device with a virtual keyboard and at least one proximity sensor
US20120297339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WO2015096020A1 (en) Adaptive enclosure for a mobile computing device
KR20130099186A (ko) 표시 장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및 프로그램
US9400572B2 (en) System and method to assist reaching screen content
KR20170118864A (ko) 곡면형 디스플레이와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20090101035A (ko) 전자문서 재생 장치 및 이의 전자문서 재생 방법
CN102981743A (zh) 控制操作对象的方法及电子设备
EP27599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 playback
WO201309320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ransitions between screens
US20130154951A1 (en) Performing a Function
US9092198B2 (en) Electronic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operation control program
US20120218207A1 (en) Electronic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operation control program
JP2012216127A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表示装置による操作受付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79501A (ko) 단말기의 복합적 기능을 이용한 감성형 이북의 제작 방법
KR20130124139A (ko) 공간상의 상호 작용을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WO201403454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KR102194778B1 (ko) 공간상의 상호 작용을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JP584102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