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3254A -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3254A
KR20150073254A KR1020130160248A KR20130160248A KR20150073254A KR 20150073254 A KR20150073254 A KR 20150073254A KR 1020130160248 A KR1020130160248 A KR 1020130160248A KR 20130160248 A KR20130160248 A KR 20130160248A KR 20150073254 A KR20150073254 A KR 20150073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rint layer
substrate
reinforcing
sensing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0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6252B1 (ko
Inventor
이우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0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252B1/ko
Publication of KR20150073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3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유효 영역과 비유효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감지전극; 상기 기판 상의 비유효 영역에 형성되는 인쇄층; 상기 인쇄층 상에 형성되어 상기 감지전극과 연결되는 배선전극; 및 상기 감지전극과 상기 배선전극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보강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실시 예는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전자 제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 등의 입력 장치를 접촉하는 방식으로 입력을 하는 터치 패널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은 크게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과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로 구분될 수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입력 장치의 압력에 의하여 유리와 전극이 단락되어 위치가 검출된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손가락이 접촉했을 때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가 검출된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반복 사용에 의하여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구성이 뛰어나고 수명이 긴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은 위치를 감지하는 유효 영역과 이 유효 영역의 주위에 배치되는 비유효 영역이 정의되는 기판을 포함한다. 이러한 비유효 영역은 배선을 외부 회로에 연결하는 인쇄 회로 기판 등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소정의 색을 가지는 물질을 인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흑색 안료 등을 도포하여 상기 비유효 영역을 정의하는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기판 상에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투명 전극층을 형성하는데.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인쇄층에 의해 상기 기판은 일정한 단차를 가지게 된다.
상기 인쇄층에 의한 단차에 의해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는 투명 전극층은 상기 인쇄층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과 인쇄층이 형성된 영역간의 분리되는 불량이 발생한다. 즉, 상기 단차에 의해 상기 배선과 상기 투명 전극층이 전기적으로 개방되는 불량이 발생한다.
실시 예는 인쇄층과 기판의 단차부에 의해 감지전극과 배선전극이 개방되는 불량을 방지하는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유효 영역과 비유효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감지전극; 상기 기판 상의 비유효 영역에 형성되는 인쇄층; 상기 인쇄층 상에 형성되어 상기 감지전극과 연결되는 배선전극; 및 상기 감지전극과 상기 배선전극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보강패턴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의 전면에 위치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패널은, 유효 영역과 비유효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감지전극; 상기 기판 상의 비유효 영역에 형성되는 인쇄층; 상기 인쇄층 상에 형성되어 상기 감지전극과 연결되는 배선전극; 및 상기 감지전극과 상기 배선전극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보강패턴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인쇄층과 기판의 단차부 사이에 다수의 보강패턴을 형성하여 감지전극이 상기 보강패턴에 의해 단차부를 극복하도록 하여 감지전극과 배선전극의 전기적 개방불량을 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R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을 B-B`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공정에서의 터치패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2 공정에서의 터치패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3 공정에서의 터치패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제4 공정에서의 터치패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R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를 B-B`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유효 영역과 비유효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감지전극; 상기 기판 상의 비유효 영역에 형성되는 인쇄층; 상기 인쇄층 상에 형성되어 상기 감지전극과 연결되는 배선전극; 및 상기 감지전극과 상기 배선전극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보강패턴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의 전면에 위치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패널은, 유효 영역과 비유효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감지전극; 상기 기판 상의 비유효 영역에 형성되는 인쇄층; 상기 인쇄층 상에 형성되어 상기 감지전극과 연결되는 배선전극; 및 상기 감지전극과 상기 배선전극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보강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보강패턴은 상기 인쇄층과 기판 사이의 단차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보강패턴은 막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보강패턴은 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보강패턴은 상기 기판과 상기 인쇄층 사이의 단차면의 수직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보강패턴간의 간격은 상기 보강패턴의 폭의 2배 내지 3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인쇄층 및 제2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쇄층과 제2 인쇄층은 동일한 색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상기 제2 인쇄층에 적층된 제3 인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인쇄층은 상기 제2 인쇄층과 상이한 색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패턴은 제1 인쇄층과 상기 제2 인쇄층의 단차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과 상기 기판 사이의 단차영역에 형성되는 차광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10),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표시패널(10)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20)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의 전면에 부착되는 터치패널(1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의 하부면 가장자리를 지지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20)과 결합되는 가이드 패널(18)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을 수납하는 바텀 커버(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패널(18)은 중앙영역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패널(18)은 중앙영역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으로부터의 광이 상기 액정표시패널(1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패널(18)은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패널(80)은 몰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 컬러필터 기판(13)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 및 컬러필터 기판(13)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3)은 상기 컬러필터 기판(13)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컬러필터기판(13)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의 일부를 노출하며 합착될 수 있다. 상기 노출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 상에는 드라이버 IC(15)가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 IC(15)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에 형성된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으로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 IC(15)는 게이트 드라이버 및 데이터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 IC(15)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출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 상에는 연성회로기판(17)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연성회로기판(17)은 상기 드라이버 IC(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성회로기판(17)은 휘거나 접힐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성회로기판(17)은 이방성 도전성 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에 의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에 부착되어 상기 드라이버 IC(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00)은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00)은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00)은 상기 컬러필터 기판(13)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00)에는 터치 연성회로기판(110)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00)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여 이를 터치 연성회로기판(110)을 통해 구동칩(미도시)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00)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은 광학시트(30), 도광판(40), 광원(50) 및 반사판(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시트(3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0)과 상기 도광판(4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50)으로부터의 광을 확산 및 집광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10)로 전달한다. 상기 광학 시트(30)는 프리즘 시트, 확산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40)은 상기 광학시트(3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40)은 상기 광학시트(30)의 하부에 위치하여 광원(50)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면광으로 변환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10)로 공급한다. 상기 도광판(40)은 PMMA( 폴리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염화비닐, 아크릴계 수지, PC(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계,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herephtalate)계, PE(폴리에틸렌:polyethylene)계, PS(폴리스티렌:polystyryene)계, PP(폴리프로필렌:Polyporpylene)계, PI(폴리이미드:Polyimide)계 수지, 유리, 실리카(silica)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50)은 발광 다이오드(51) 및 인쇄회로기판(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51)는 상기 인쇄회로기판(53)에 실장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53)으로부터 전압을 전달받고 광을 발생하여 상기 도광판(40) 방향으로 전달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인쇄회로기판(53)은 외부의 드라이버로부터 구동전압을 전달받아 이를 상기 발광 다이오드(51)로 인가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판(60)은 상기 도광판(40)과 상기 바텀 커버(7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판(60)은 상기 광원(50)으로부터의 광을 반사시켜 상기 도광판(40) 및 액정표시패널(10)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터치패널(100)이 액정표시패널(10)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터치패널(100)은 플라즈마표시장치(PDP) 또는 유기전계발광소자(OLED) 등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100)은 기판(101) 및 터치 연성회로기판(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1)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1)은 강화 유리, 반강화유리, 소다라임 유리, 강화 플라스틱 또는 연성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1)은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영역(AA)은 사용자의 터치 명령 입력이 가능한 영역을 의미하며, 상기 비유효 영역(UA)은 상기 유효영역(AA)의 외곽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짐에도 활성화되지 않아 터치 명령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터치패널이 표시패널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경우 상기 터치패널의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은 표시장치의 표시영역 및 비표시 영역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은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고 상기 비표시 영역은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영역이다. 따라서, 상기 터치패널의 유효 영역(AA)은 광을 투과할 수 있는 영역으로 구성되어야 하고, 상기 터치패널의 비유효 영역(UA)은 광을 투과하지 않는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1) 상에는 감지전극(120) 및 배선전극(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전극(120)은 상기 유효 영역(A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효 영역(AA)이란 상기 기판(101)의 일면 또는 타면 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기판(101)의 일면 또는 타면에 위치하는 다른 기판 또는 커버 기판의 일면 또는 타면 등에서 상기 기판(101)의 유효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을 모두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감지전극(120)은 투명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전극(120)은 인듐주석산화물(ITO), 구리 산화물(copper oxide),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 및 은 나노 와이어(Ag nano wir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120)은 제1 감지전극과 제2 감지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극은 제1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감지전극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전극(120)은 막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극과 제2 감지전극은 서로 교차하여 매트리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배선전극(130)은 상기 비유효 영역(U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선전극(130)은 상기 감지전극(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선전극(130)은 상기 감지전극(1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선전극(130)은 상기 감지전극(120)과 다른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선전극(130)이 상기 감지전극(120)과 다른 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감지전극(120)이 형성된 후 상기 배선전극(130)은 직접인쇄법(direct printing)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선전극(130)은 구리(Cu), 은(Ag)과 같은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배선전극(130)은 인듐주석산화물(ITO), 구리 산화물(copper oxide),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 및 은 나노 와이어(Ag nano wir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선전극(130)은 비유효 영역(UA)에 형성되므로, 반드시 투명성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터치 연성회로기판(110)은 상기 기판(101)의 일 측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연성회로기판(110)은 상기 기판(101)의 비유효 영역(UA)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연성회로기판(110)은 상기 기판(101)의 일 측에 부착되어 상기 배선전극(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연성회로기판(110)의 일 측에는 이방성 전도성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연성회로기판(110)은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 의해 배선전극(130)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연성회로기판(110)은 잘 휘어질 수 있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일 수 있다. 상기 터치 연성회로기판(110)에는 상기 배선전극(130)을 통해 상기 감지전극(120)으로부터 센싱 신호를 전달받고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배선전극(130)의 일 측은 감지전극(120)과 연결되고, 상기 배선전극(130)의 타 측은 상기 터치 연성회로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선전극(130)의 일단에는 패드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131)는 상기 배선전극(130)과 상기 감지전극(120)이 연결되는 상기 배선전극(130)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전극(120) 및 상기 감지전극(120)은 상기 패드부(13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131)는 상기 배선전극(1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131)는 상기 배선전극(130)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131)는 구리(Cu), 은(Ag)과 같은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패드부(131)는 인듐주석산화물(ITO), 구리 산화물(copper oxide),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 및 은 나노 와이어(Ag nano wir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부(131)는 상기 배선전극(130)보다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131)가 상기 배선전극(130)보다 큰 폭으로 형성됨으로써 미스 얼라인 발생시 상기 감지전극(120)과 상기 배선전극(130)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R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을 B-B`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100)은 기판(101) 상에 형성된 인쇄층(103)을 포함한다.
상기 인쇄층(103)은 비유효 영역(U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103)은 상기 비유효 영역(UA)에 인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103)은 배선전극(130)과 상기 배선전극(130)을 외부 회로에 연결하는 터치 연성회로기판(110) 등이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도록 소정의 색을 가지는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103)은 원하는 외관에 적합한 색을 가질 수 있는데 일례로 흑색 안료를 포함하여 흑색을 나타낼 수 있고, 또는 백색 안료를 포함하여 백색을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인쇄층(103)은 두께를 가지므로, 상기 인쇄층(103)이 형성된 영역과 상기 인쇄층(103)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 사이에는 단차를 가진다. 상기 단차는 상기 인쇄층(103)의 두께로 결정된다.
상기 인쇄층(103)이 형성된 기판(101) 상에는 다수의 보강패턴(1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보강패턴(150)은 상기 기판(101)과 상기 인쇄층(103)의 단차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패턴(150)은 상기 기판(101) 및 인쇄층(10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패턴(150)의 일부영역은 상기 기판(101) 상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보강패턴(150)의 나머지 영역은 상기 인쇄층(10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패턴(150)은 상기 비유효 영역(U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보강패턴(150)은 상기 감지전극(120) 및 배선전극(130)이 연결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패턴(150)은 상기 감지전극(120) 및 상기 패드부(131)가 연결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패턴(150)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패턴(150)은 상기 감지전극(120) 및 배선전극(130)의 형성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패턴(150)은 상기 기판(101)과 상기 인쇄층(103)의 경계면과 수직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패턴(150)은 상기 기판(101)과 상기 인쇄층(103)의 단차면과 수직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패턴(150)은 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패턴(150)이 형성된 기판(101) 상에 감지전극(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전극(120)은 상기 인쇄층(103) 및 보강패턴(150)이 형성되지 않은 기판(101) 상에 형성되고, 상기 보강패턴(150)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전극(120)은 상기 보강패턴(150)이 형성된 상기 인쇄층(103)의 상부영역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전극(120)은 상기 보강패턴(150)에 의해 상기 단차영역에서도 전기적으로 개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보강패턴(150)은 상기 기판(101) 및 인쇄층(103)의 단차면의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므로, 상기 감지전극(120)이 상기 보강패턴(150) 상에 형성되어, 상기 기판(101)과 상기 인쇄층(103)의 단차영역에서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인쇄층(103)의 단차 영역이 공정 불량으로 뜯김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보강패턴(150)을 통해 상기 인쇄층(103) 상부와 기판(101) 상부의 감지전극(1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상기 감지전극(120)의 전기적 개방에 의한 구동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103) 상에는 배선전극(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선전극(130)은 상기 인쇄층(103), 상기 인쇄층(103) 상에 형성된 보강패턴(150) 및 상기 보강패턴(150) 상에 형성된 감지전극(120)의 일부영역을 덮으며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차영역과 인접하는 상기 인쇄층(103) 상에는 보강패턴(150), 감지전극(120) 및 배선전극(1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상기 보강패턴(150) 상에서 상기 감지전극(120)과 배선전극(1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감지전극(120)과 연결되는 상기 배선전극(130)은 패드부(131)로 도시될 수도 있다. 상기 감지전극(120)과 연결되는 상기 배선전극(130)은 상기 배선전극(120)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어 미스 얼라인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감지전극(120)과 상기 배선전극(130)의 전기적인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제1 공정에서의 터치패널의 상면도이고, 도 5b는 도 5a를 B-B`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패널(100)은 기판(101) 상에 형성된 인쇄층(103)을 포함한다.
상기 인쇄층(103)은 비유효 영역(U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103)은 상기 비유효 영역(UA)에 인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103)은 진공증착방법 또는 스퍼터링 방법에 의해 코팅될 수도 있다.
상기 인쇄층(103)은 유색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103)은 백색안료 또는 흑색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103)이 백색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인쇄층(103)은 MgO, CaO, TiO2, SrO2, Al2O3 및 Y2O3등의 백색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103)이 흑색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인쇄층(103)은 TiO + SiO 또는 SiO2 + TiO2 등의 흑색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a는 제2 공정에서의 터치패널의 상면도이고, 도 6b는 도 6a를 B-B`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인쇄층(103)이 형성된 기판(101) 상에 다수의 보강패턴(1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패턴(150)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패턴(150)은 상기 감지전극(120) 및 배선전극(130)의 형성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패턴(150)은 상기 기판(101)과 상기 인쇄층(103)의 경계면과 수직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패턴(150)은 상기 기판(101)과 상기 인쇄층(103)의 단차면과 수직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패턴(150)은 액상의 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패턴(150)이 액상의 절연물질로 형성되어 상기 기판(101)과 상기 인쇄층(103)의 단차영역을 지나가더라도 상기 보강패턴(150)은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패턴(150)이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강패턴(150) 상에 형성될 감지전극(120) 또한 전기적 개방없이 상기 기판(101)과 인쇄층(10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패턴(150)은 제1 폭(d1)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보강패턴(150) 사이의 간격은 제2 폭(d2)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폭(d1)과 제2 폭(d2)은 1:2 내지 1:3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각각의 보강패턴(150) 사이의 간격(d2)은 상기 보강패턴(150)의 폭(d1)보다 2배 내지 3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보강패턴(150) 사이의 간격(d2)을 상기 보강패턴(150)의 폭(d1)과 비교하여 2배 미만으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보강패턴(150) 사이의 간격(d2)이 상기 보강패턴(150)의 폭(d1)에 비해 좁아져 상기 기판(101)과 상기 인쇄층(103)간의 단차를 보상할 수 없다. 즉, 각각의 보강패턴(150) 사이의 간격(d2)을 상기 보강패턴(150)의 폭(d1)과 비교하여 2배 미만으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보강패턴(150)은 막대기형상에서 면에 가까운 형상이 되므로, 상기 보강패턴(150)의 상기 단차면과의 관계에서 수직방향성이 저하되어 상기 인쇄층(103)의 단차를 극복할 수 없다.
상기 각각의 보강패턴(150) 사이의 간격(d2)을 상기 보강패턴(150)의 폭(d1)과 비교하여 3배 초과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각각의 보강패턴(150) 사이의 간격(d2)에 비해 상기 보강패턴(150)의 폭(d1)이 좁아져, 상기 보강패턴(150) 상에 감지전극(120) 및 배선전극(130)을 도포하더라도 상기 보강패턴(150) 상에서 형태를 유지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패턴(150)의 폭(d1)에 비해 상기 각각의 보강패턴(150) 사이의 간격(d2)이 넓어져 상기 감지전극(120) 및 배선전극(130)의 연결 영역에서 상기 보강패턴(150)의 개수가 적어진다. 상기 보강패턴(150)의 개수가 적어짐으로써 상기 인쇄층(103)의 단차 영역의 뜯김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감지전극(120)과 배선전극(130)의 연결통로가 줄어들어 상기 감지전극(120)과 배선전극(130)간의 연결저항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보강패턴(150)은 5㎛ 내지 15㎛의 폭(d1)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패턴(150)은 10㎛의 폭(d1)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보강패턴(150)이 5㎛미만의 폭(d1)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보강패턴(150) 상에 감지전극(120) 및 배선전극(130)을 도포하더라도 상기 보강패턴(150) 상에 형태를 유지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보강패턴(150)의 폭(d1)을 15㎛ 초과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보강패턴(150)은 막대기형상에서 면에 가까운 형상이 되므로, 상기 보강패턴(150)의 상기 단차면과의 관계에서 수직방향성이 저하되어 상기 인쇄층(103)의 단차를 극복할 수 없다.
상기 각각의 보강패턴(150) 사이의 간격(d2)은 25㎛ 내지 35㎛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보강패턴(150) 사이의 간격(d2)은 30㎛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보강패턴(150) 사이의 간격(d2)을 25㎛ 미만으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보강패턴(150)은 막대기형상에서 면에 가까운 형상이 되므로, 상기 보강패턴(150)의 상기 단차면과의 관계에서 수직방향성이 저하되어 상기 인쇄층(103)의 단차를 극복할 수 없다. 상기 각각의 보강패턴(150) 사이의 간격(d2)을 35㎛ 초과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감지전극(120) 및 배선전극(130)의 연결 영역에서 상기 보강패턴(150)의 개수가 적어진다. 상기 보강패턴(150)의 개수가 적어짐으로써 상기 인쇄층(103)의 단차 영역의 뜯김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감지전극(120)과 배선전극(130)의 연결통로가 줄어들어 상기 감지전극(120)과 배선전극(130)간의 연결저항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보강패턴(150)은 260㎛ 내지 280㎛의 길이(h)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패턴(150)은 270㎛의 길이(h)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강패턴(150)의 길이(h)가 260㎛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보강패턴(150)이 형성될 때 미스 얼라인에 의해 상기 보강패턴(150)이 상기 기판(101)과 인쇄층(103)의 단차영역에 걸쳐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패턴(150)의 길이(h)가 280㎛초과로 형성되는 경우 단차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상기 보강패턴(150)이 차지하는 면적이 넓어져 상기 감지전극(120)과 배선전극(130) 사이에 연결저항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도 7a는 제3 공정에서의 터치패널의 상면도이고, 도 7b는 도 7a를 B-B`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보강패턴(150)이 형성된 기판(101) 상에 감지전극(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전극(120)은 상기 인쇄층(103) 및 보강패턴(150)이 형성되지 않은 기판(101) 상에 형성되고, 상기 보강패턴(150)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전극(120)은 상기 보강패턴(150)이 형성된 상기 인쇄층(103)의 상부영역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전극(120)은 상기 보강패턴(150)의 일부영역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1)과 상기 인쇄층(103)사이의 단차 영역이 공정 불량에 의해 뜯김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보강패턴(150)은 유지되므로, 상기 보강패턴(150)의 일부영역 상에 형성된 상기 감지전극(120)에 의해 상기 감지전극(120)과 상기 배선전극(130)은 전기적인 개방없이 연결된다.
상기 감지전극(120)은 투명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전극(120)은 인듐주석산화물(ITO), 구리 산화물(copper oxide),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 및 은 나노 와이어(Ag nano wir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a는 제4 공정에서의 터치패널의 상면도이고, 도 8b는 도 8a를 B-B`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인쇄층(103) 상에는 배선전극(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선전극(130)은 상기 인쇄층(103), 상기 인쇄층(103) 상에 형성된 보강패턴(150) 및 상기 보강패턴(150) 상에 형성된 감지전극(120)의 일부영역을 덮으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선전극(130)이 상기 감지전극(120)의 일부영역을 덮으며 형성되어 상기 배선전극(130)과 상기 감지전극(1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선전극(130)은 상기 보강패턴(150)상에 형성된 상기 감지전극(120)의 일부영역을 덮으며 형성되어, 상기 보강패턴(150) 상의 감지전극(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1)과 인쇄층(103) 사이의 단차 영역이 공정 불량에 의해 뜯김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보강패턴(150)은 유지되므로, 상기 보강패턴(150)의 일부영역 상에 형성된 감지전극(120)과 배선전극에 의해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도 9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R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를 B-B`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제1 실시 예와 비교하여, 인쇄층이 2개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하다. 따라서, 제2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 예와 공통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100)은 기판(101) 상에 형성된 제1 인쇄층(104)과 상기 제1 인쇄층(104) 상에 형성된 제2 인쇄층(105)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인쇄층(105)은 상기 제1 인쇄층(104)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인쇄층(105)은 상기 제1 인쇄층(104)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인쇄층(104)의 일부 영역이 노출된다. 상기 제2 인쇄층(105)은 두께를 가지므로, 상기 제1 인쇄층(104)의 노출된 일부 영역과 상기 제2 인쇄층(105)은 단차를 가진다. 상기 단차는 상기 제2 인쇄층(105)의 두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인쇄층(104) 및 제2 인쇄층(105)은 비유효 영역(U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인쇄층(104, 105)은 상기 비유효 영역(UA)에 인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인쇄층(104, 105)은 배선전극(130)과 상기 배선전극(130)을 외부 회로에 연결하는 터치 연성회로기판(110) 등이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도록 소정의 색을 가지는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인쇄층(104, 105)은 원하는 외관에 적합한 색을 가질 수 있는데 일례로 흑색 안료를 포함하여 흑색을 나타낼 수 있고, 또는 백색 안료를 포함하여 백색을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제1 인쇄층(104)과 제2 인쇄층(105)은 동일한 색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인쇄층(104)과 제2 인쇄층(105)은 상이한 색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인쇄층(104, 105)이 형성된 기판(101) 상에는 다수의 보강패턴(1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보강패턴(150)은 상기 제1 인쇄층(104)과 제2 인쇄층(105)의 단차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보강패턴(150)은 상기 제2 인쇄층(105)에 의해 노출된 제1 인쇄층(104)의 일부영역과 상기 단차영역에 인접한 상기 제2 인쇄층(105) 상의 일부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보강패턴(150)은 상기 제1 인쇄층(104)과 상기 제2 인쇄층(105)의 단차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보강패턴(150)은 상기 제1 인쇄층(104)과 상기 제2 인쇄층(105)의 단차면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인쇄층(104)과 제2 인쇄층(105)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보강패턴(150)은 상기 단차면을 기준으로 일정한 길이비율로 상기 제1 인쇄층(104)과 제2 인쇄층(105)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보강패턴(150)은 상기 단차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인쇄층(105)에 상기 제1 인쇄층(104)의 2배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패턴(150)은 상기 단차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인쇄층(104)과 제2 인쇄층(105)에 1:2의 길이비(l1:l2)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면을 기준으로 상기 보강패턴(150)은 상기 제1 인쇄층(104) 상에 80㎛ 내지 100㎛의 길이(l1)만큼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패턴(150)은 상기 단차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인쇄층(104) 상에 90㎛의 길이(l1)만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인쇄층(104) 상에 형성되는 상기 보강패턴(150)의 길이가 80㎛ 미만일 경우 공정과정에서의 미스 얼라인에 의해 상기 제1 인쇄층(104) 상에 상기 보강패턴(150)이 형성되지 않아 상기 감지전극(120)이 단차부를 극복하는데 기여를 못할 수 있다.
상기 단차면을 기준으로 상기 보강패턴(150)은 상기 제2 인쇄층(105) 상에 160㎛ 내지 200㎛의 길이(l2)만큼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패턴(105)은 상기 단차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인쇄층(105) 상에 180㎛의 길이(l2)만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인쇄층(105) 상에 형성되는 보강패턴(150)의 길이가 160㎛ 미만일 경우 상기 상기 감지전극(120) 형성시 단차부를 극복하지 못할 수도 있고, 상기 제2 인쇄층(105) 상에 형성된 보강패턴(150)의 길이가 200㎛ 초과인 경우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패턴(150)은 상기 제1 인쇄층(104)이 형성되지 않은 기판(101)의 비유효 영역(UA)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강패턴(150)이 상기 제1 인쇄층(104)이 형성되지 않은 기판(101)까지 연장되어, 상기 기판(101)과 제1 인쇄층(104) 사이의 단차부 또한 극복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보강패턴(150)은 막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보강패턴(150)에 의해 상기 감지전극(120)과 상기 배선전극(130)의 전기적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1)과 상기 보강패턴(150)이 형성된 제1 인쇄층(104) 및 제2 인쇄층(105) 상에 감지전극(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전극(120)은 상기 제1 및 제 2 인쇄층(104, 105)과 보강패턴(150)이 형성되지 않은 기판(101) 상에 형성되고, 상기 보강패턴(150)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전극(120)은 상기 보강패턴(150)이 형성된 상기 제2 인쇄층(105)의 상부영역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전극(120)은 상기 보강패턴(150) 상의 일부영역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인쇄층(104)과 제2 인쇄층(105) 사이의 단차를 극복할 수 있다.
상기 보강패턴(150)이 상기 제1 인쇄층(104)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기판(101) 상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보강패턴(150)에 의해 상기 감지전극(120)은 상기 기판(101)과 상기 제1 인쇄층(104) 사이의 단차를 극복할 수 있다.
상기 보강패턴(150)이 상기 기판(101)까지 연장되지 않는 경우 상기 기판(101)과 상기 제1 인쇄층(104)의 단차면과 상기 보강패턴(150)의 일측 끝단 사이는 110㎛의 간격(s1)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인쇄층(105) 상에는 배선전극(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선전극(130)은 상기 제2 인쇄층(105), 상기 보강패턴(150)의 일부영역 및 상기 보강패턴(150) 상에 형성된 감지전극(120)의 일부영역을 덮으며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차영역과 인접하는 상기 제2 인쇄층(105) 상에는 보강패턴(150), 감지전극(120) 및 배선전극(1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상기 보강패턴(150) 상에서 상기 감지전극(120)과 배선전극(1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패턴(150)과 상기 배선전극(130)이 중첩되는 영역은 100㎛의 폭(s2)을 가질 수 있다.
도 11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3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제1 실시 예와 비교하여, 인쇄층이 3개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과 인쇄층과 기판 사이에 차광층이 형성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하다. 따라서, 제3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 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3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100)은 기판(101) 상에 형성된 차광층(107)을 포함한다.
상기 차광층(107)은 상기 기판(101)의 비유효 영역(U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광층(107)은 광을 투과하지 못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광층(107)은 흑색의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광층(107)은 광을 투과하지 못하는 물질로 형성되어, 상기 터치패널(100)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터치패널(100)의 전면으로 조사되는 광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광층(107)이 형성된 기판(101) 상의 비유효 영역(UA)에 제1 인쇄층(104), 제2 인쇄층(105) 및 제3 인쇄층(109)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제1 인쇄층(104)의 끝 영역은 상기 차광층(107)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차광층(107)은 상기 인쇄층(104)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광층(107)이 상기 인쇄층(104)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인쇄층(104)과 상기 기판(101) 사이의 단차를 보강할 수 있다.
즉, 상기 기판(101)과 상기 제1 인쇄층(104) 사이의 단차영역에 비교적 두께가 얇은 상기 차광층(107)이 형성되어, 상기 기판(101)과 상기 제1 인쇄층(104) 사이의 급격한 단차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차광층(107)은 상기 단차를 보강하여 상기 감지전극(120)의 전기적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인쇄층(104, 105, 109)은 동일한 색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색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인쇄층(104) 및 제2 인쇄층(105)은 백색 안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인쇄층(109)은 흑색 안료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인쇄층(105)은 상기 제1 인쇄층(104)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인쇄층(109)은 상기 제2 인쇄층(105)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인쇄층(105)은 상기 제1 인쇄층(104) 사이에 단차를 가지고, 상기 제3 인쇄층(105)은 상기 제2 인쇄층(104) 사이에 단차를 가진다.
상기 제1 및 제2 인쇄층(104, 105)이 형성된 기판(101) 상에는 다수의 보강패턴(1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보강패턴(150)은 상기 제1 인쇄층(104)과 제2 인쇄층(105)의 단차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보강패턴(150)은 상기 제2 인쇄층(105)에 의해 노출된 제1 인쇄층(104)의 일부영역과 상기 단차영역에 인접한 상기 제2 인쇄층(105) 상의 일부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보강패턴(150)은 상기 제1 인쇄층(104)과 상기 제2 인쇄층(105)의 단차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다수의 보강패턴(150)이 상기 제1 인쇄층(104)과 제2 인쇄층(105) 사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상기 다수의 보강패턴(150)은 제3 인쇄층(109)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보강패턴(150)이 상기 제3 인쇄층(109)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보강패턴(150)에 의해 상기 제2 인쇄층(105)과 상기 제3 인쇄층(109) 사이의 단차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보강패턴(150)은 상기 차광층(107) 및 상기 기판(101)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보강패턴(150)이 상기 차광층(107) 및 상기 기판(101)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보강 패턴(150)에 의해, 상기 기판(101), 차광층(107) 및 제1 인쇄층(104) 사이의 단차를 극복할 수 있다.
10: 액정표시패널
11: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13: 컬러필터 기판
15: 드라이버 IC
18: 가이드 패널
20: 백라이트 유닛
30: 광학 시트
40: 도광판
50: 광원
60: 반사판
70: 바텀 커버
100: 터치패널
101: 기판
103: 인쇄층
104: 제1 인쇄층
105: 제2 인쇄층
107: 차광층
109: 제3 인쇄층
120: 감지전극
130: 배선전극
131: 패드부

Claims (20)

  1. 유효 영역과 비유효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감지전극;
    상기 기판 상의 비유효 영역에 형성되는 인쇄층;
    상기 인쇄층 상에 형성되어 상기 감지전극과 연결되는 배선전극; 및
    상기 감지전극과 상기 배선전극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보강패턴을 포함하는 터치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보강패턴은 상기 인쇄층과 기판 사이의 단차영역에 형성되는 터치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보강패턴은 막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터치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보강패턴은 절연물질로 형성되는 터치패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보강패턴은 상기 기판과 상기 인쇄층 사이의 단차면의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는 터치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보강패턴간의 간격은 상기 보강패턴의 폭의 2배 내지 3배로 형성되는 터치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인쇄층 및 제2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쇄층과 제2 인쇄층은 동일한 색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는 터치패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상기 제2 인쇄층에 적층된 제3 인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인쇄층은 상기 제2 인쇄층과 상이한 색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는 터치패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패턴은 제1 인쇄층과 상기 제2 인쇄층의 단차영역에 형성되는 터치패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과 상기 기판 사이의 단차영역에 형성되는 차광층을 더 포함하는 터치패널.
  11.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의 전면에 위치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패널은,
    유효 영역과 비유효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감지전극;
    상기 기판 상의 비유효 영역에 형성되는 인쇄층;
    상기 인쇄층 상에 형성되어 상기 감지전극과 연결되는 배선전극; 및
    상기 감지전극과 상기 배선전극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보강패턴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보강패턴은 상기 인쇄층과 기판 사이의 단차영역에 형성되는 표시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보강패턴은 막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표시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보강패턴은 절연물질로 형성되는 표시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보강패턴은 상기 기판과 상기 인쇄층 사이의 단차면의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는 표시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보강패턴간의 간격은 상기 보강패턴의 폭의 2배 내지 3배로 형성되는 표시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인쇄층 및 제2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쇄층과 제2 인쇄층은 동일한 색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는 표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상기 제2 인쇄층에 적층된 제3 인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인쇄층은 상기 제2 인쇄층과 상이한 색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는 표시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패턴은 제1 인쇄층과 상기 제2 인쇄층의 단차영역에 형성되는 표시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과 상기 기판 사이의 단차영역에 형성되는 차광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130160248A 2013-12-20 2013-12-20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166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248A KR102166252B1 (ko) 2013-12-20 2013-12-20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248A KR102166252B1 (ko) 2013-12-20 2013-12-20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254A true KR20150073254A (ko) 2015-07-01
KR102166252B1 KR102166252B1 (ko) 2020-10-16

Family

ID=53786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0248A KR102166252B1 (ko) 2013-12-20 2013-12-20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25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6663A1 (ko) * 2015-08-10 2017-02-16 일진디스플레이(주) 터치 패널
KR20220052807A (ko) * 2020-10-21 2022-04-28 티피케이 어드밴스트 솔루션스 인코포레이티드 터치 패널 및 터치 디바이스
CN115291424A (zh) * 2016-08-22 2022-11-04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
US11640210B2 (en) 2020-11-27 2023-05-02 Tpk Advanced Solutions Inc. Touch panel and touch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8096A (ko) * 2010-10-13 2012-04-23 한울정보기술(주) 터치패드 제조방법
KR20120038868A (ko) * 2010-10-14 2012-04-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US20130082961A1 (en) * 2011-09-30 2013-04-04 Wintek Corporation Touch-sensitive device and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8096A (ko) * 2010-10-13 2012-04-23 한울정보기술(주) 터치패드 제조방법
KR20120038868A (ko) * 2010-10-14 2012-04-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US20130082961A1 (en) * 2011-09-30 2013-04-04 Wintek Corporation Touch-sensitive device and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6663A1 (ko) * 2015-08-10 2017-02-16 일진디스플레이(주) 터치 패널
CN115291424A (zh) * 2016-08-22 2022-11-04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
US11984455B2 (en) 2016-08-22 2024-05-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crack detecting line
KR20220052807A (ko) * 2020-10-21 2022-04-28 티피케이 어드밴스트 솔루션스 인코포레이티드 터치 패널 및 터치 디바이스
US11640210B2 (en) 2020-11-27 2023-05-02 Tpk Advanced Solutions Inc. Touch panel and touch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252B1 (ko) 202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4679B1 (ko) 터치패널
CN102929576B (zh) 集成有触摸面板的显示设备
TWI408451B (zh) 觸控顯示面板
US11861128B2 (en) Touch device
KR101330757B1 (ko) 터치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40095278A (ko) 터치 스크린 패널
CN102135845A (zh) 传感器元件和显示装置
TWI550467B (zh) 觸控螢幕
WO2011159080A2 (ko) 정전용량 터치 센서
KR101658149B1 (ko)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KR102166252B1 (ko)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30119045A (ko) 터치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50106085A (ko) 터치패널
JP2010079734A (ja)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
KR101415585B1 (ko) 터치윈도우 및 상기 터치윈도우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50092522A (ko) 터치 패널
WO2011159082A2 (ko) 윈도우 패널 구조체 및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
US20150324083A1 (en) Touch-screen Display Device
JP2018055360A (ja) タッチパネル
KR102237920B1 (ko) 표시장치
KR20150087547A (ko) 터치 윈도우
KR20100001002A (ko)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
KR20150104850A (ko)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