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9369A - Daytime running light assembly of vehicle - Google Patents

Daytime running light assembly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9369A
KR20150069369A KR1020130155682A KR20130155682A KR20150069369A KR 20150069369 A KR20150069369 A KR 20150069369A KR 1020130155682 A KR1020130155682 A KR 1020130155682A KR 20130155682 A KR20130155682 A KR 20130155682A KR 20150069369 A KR20150069369 A KR 20150069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ytime running
vehicle
running light
ligh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56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우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5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9369A/en
Publication of KR20150069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36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fron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eing additional front lights
    • B60Q1/20Fog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30Daytime running lights [DRL], e.g.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A daytime running light assembly for a vehicle comprises: an upper daytime running light; a lower daytime running light; and a connector.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is installed in a headlight unit positioned in the front side of a vehicle. The lower daytime running light is installed in a fog light positioned in a lower portion of the headlight unit. The connector is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and the lower daytime running light while the connector is connected with a start switch of the vehicle. The connector applies a lighting signal to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and the lower daytime running light when the vehicle is started through the start switch.

Description

차량의 주간 주행등 어셈블리{DAYTIME RUNNING LIGHT ASSEMBLY OF VEHICLE}DAYTIME RUNNING LIGHT ASSEMBLY OF VEHICLE < RTI ID = 0.0 >

본 발명은 차량의 주간 주행등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간에도 마주오는 다른 차량으로부터 식별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주간 주행등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ytime running light assembly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ytime running light assembly for facilitating identification from other vehicles facing in the daytime.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인류가 개발한 기계 중 가장 획기적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현대 사회에서는 보다 편리한 이동 수단으로써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운송 수단 중 하나이다. 하지만, 이러한 자동차의 이동의 편의성 이면에는 사람의 생명을 직접적으로 위협할 수 있다는 위험성도 가지고 있다.In general, automobiles are one of the most innovative vehicles developed by mankind and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means of transportation in modern society as a convenient means of transportation. However, there is a risk that the convenience of the movement of such a car can directly threaten the life of a person.

특히, 빠른 속도로 운행하는 도중 맞은편에서 다가오는 차량을 미쳐 식별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사고가 비교적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야간은 물론 주간에도 이러한 사고는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최근에는 마주오는 차량이 자신의 차량을 보다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주간에도 전조등 또는 안개등을 작동시켜 운행하는 운전자가 많아지고 있다.Especially, a relatively large proportion of accidents occurred due to the inability to distinguish the approaching vehicle from the opposite side while operating at a high speed, and such accidents occur frequently in the daytime as well as in the nighttime. In recent years, more and more drivers are operating the headlights or the fog lights during the day so that the vehicles com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can easily identify their own vehicles.

하지만, 상기 전조등 또는 안개등을 주간에 작동시켜 운행하는 것은 운전자가 인위적으로 해당 스위치를 조작하여 작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상황에 따라 작동되지 않을 수 있음을 다분히 이해할 수 있다.However, since it is necessary for the driver to operate the headlight or the fog lamp during the daytime by manually operating the corresponding switch,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driver may not operate according to the driver's situation.

본 발명은 주간에도 마주오는 차량이 자신의 차량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주간 주행등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aytime running light assembly for allowing a vehicle that comes across during the day to easily identify the vehicle.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특징에 따른 주간 주행등 어셈블리는 상부 주간 주행등, 하부 주간 주행등 및 컨넥터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ytime running light assembly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n upper daytime running light, a lower daytime running light, and a connector.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은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조등 유닛에 설치된다.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은 상기 전조등 유닛의 하부에 위치하는 안개등 유닛에 설치된다. 상기 컨넥터는 상기 차량의 시동 스위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 및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에 같이 연결되며, 운전자가 상기 시동 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을 거는 순간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 및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에 점등 신호를 인가한다.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s and the like are installed in a headlamp unit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The sub-daytime running lights and the like are installed in a fog lamp unit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eadlight unit. The connector is connected in the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start switch of the vehicle such as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and the lower daytime running road, etc., and the moment when the driver starts the vehicle through the start switch,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And a lighting signal is applied to driving.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컨넥터는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 및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어느 하나에 점등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어느 하나는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 및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 중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점등 신호를 상기 다른 하나로 인가할 수 있다. The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and the lower weekly running light to apply a lighting signal to any one of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and the lower weekday running. In this case, any one of the abov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other one of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the lower weekday running, and the like, and the light signal may be applied to the other one.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컨넥터는 상기 시동 스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차량의 전조등 유닛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조등 스위치 및 상기 차량의 안개등 유닛을 작동시키기 위한 안개등 스위치와 연결되며, 상기 전조등 유닛 및 상기 안개등 유닛 중 적어도 하나가 온(on) 되었을 때 상기 점등 신호의 인가가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connected to a headlamp switch for operating the headlamp unit of the vehicle and a fog lamp switch for operating the foglamp unit of the vehicle between the headlamp switch and the ignition switch, An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at least one is turned on, the application of the lighting signal is interrupted.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 및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 각각은 LED를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and the lower weekly running 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n LED.

본 발명의 차량의 주간 주행등 어셈블리에 따르면, 차량 전방의 상하에 위치하여 주행빔 역할 또는 안개와 같은 주변의 악조건에서 상대방 차량의 식별을 보조해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전조등 유닛 및 안개등 유닛 각각에 상부 주간 주행등 및 하부 주간 주행등을 설치한 다음, 이 상부 주간 주행등 및 하부 주간 주행등을 시동 스위치와 연결된 하나의 컨넥터로 연결하여 운전자가 상기 차량의 시동을 거는 순간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 및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에 같이 점등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주간에도 마주오는 상대방 차량이 자신의 차량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마주오는 상대방 차량이 자신의 차량을 미쳐 식별하지 못할 경우, 발생되는 치명적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aytime running light assembly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lamp unit and the fog light unit, which are positioned above and below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serve to assist the identification of the opponent vehicle in the bad condition of the surroundings such as the role of the traveling beam or the fog, And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s and the lower daytime running roads are connected by a single connector connected to the start switch so that the driver of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s, By applying a lighting signal such as driving on a lower week, the opponent vehicle facing the vehicle during the daytime can easily identify the own vehicle. As a result, a fatal acciden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if the opponent vehicle that is coming to the opposite side can not identify the vehicle by itself.

또한, 상기 하나의 컨넥터로 두 개의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 및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에 같이 점등 신호를 인가하기 때문에, 상기 컨넥터를 두 개 사용할 때보다 원가 측면에서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ighting signal is applied to the two upper main running lights and the lower main night running with the one connector, it is possible to expect a reduction in cost from the viewpoint of using the two connectors.

또한, 만약에 상기 컨넥터를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 및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 각각에 두 개를 연결할 경우에는 별도의 구성을 통해서 이들을 기하학적으로 서로 매칭시켜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하나의 컨넥터를 사용하게 되면, 이러한 매칭을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 없으므로 이에 따른 구조적 효율성도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wo connectors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upper weekly running light and the lower weekly running, the connectors must be geometrically matched to each other through a separate configuration. Howeve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configuration for such matching, so that a structural efficiency can be expected.

또한,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 및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이 상기 차량 전방의 좌우측에 각각 두 개씩 총 네 개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스타일적인 측면에서 매우 강한 인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럴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 및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 각각은 두 개가 하나의 컨넥터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법적으로는 상기 차량의 전방에 주간 주행등이 좌우측 각각에 하나씩 총 두 개가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합법적인 부분도 만족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a total of four upper and lower main driving lights and two lower main driving lights are arrang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front of the vehicle, a very strong impression can be provided in terms of style. Even in this case, since two of the upper weekly running lights and the lower weekly running are substantially connected to one connector, there are two legally running vehicles, one for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legally in front of the vehicle It is considered to be legal and can be satisfi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간 주행등 어셈블리의 상부 주간 주행등 및 하부 주간 주행등이 설치된 차량의 전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부 주간 주행등 및 하부 주간 주행등과 일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가 연결된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부 주간 주행등 및 하부 주간 주행등과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가 연결된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front part of a vehicle equipped with an upper daytime running light and a lower daytime running light of a daytime running ligh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the lower daytime running, etc. shown in FIG.
FIG. 3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the lower daytime running, etc. shown in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간 주행등 어셈블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간 주행등 어셈블리의 상부 주간 주행등 및 하부 주간 주행등이 설치된 차량의 전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부 주간 주행등 및 하부 주간 주행등과 일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가 연결된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front side of a vehicle equipped with an upper daytime running light and a lower daytime running light of a daytime running ligh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ructure in which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connected to a lower main body of the vehicl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간 주행등 어셈블리(100)는 상부 주간 주행등(200), 하부 주간 주행등(300) 및 컨넥터(400)를 포함한다.1 and 2, a daytime running light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daytime running light 200, a lower daytime running light 300, and a connector 400.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200)은 차량의 전방에 후드(1) 바로 아래 위치하는 전도등 유닛(10)에 설치된다.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200)은 주간에도 점등되도록 설계되어 주간에 마주오는 상대방 차량의 운전자가 쉽게 본인의 차량을 식별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이러한 상부 주간 주행등(200)은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반도체 특성을 이용하여 광을 발생하는 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200 is installed in a light emitting unit 10 positioned immediately below the hood 1 in front of the vehicle.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200 is designed to be lit during the daytime so that the driver of the opponent vehicle facing in the daytime can easily identify the vehicle.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200 may be made of an LED that emits light by using semiconductor characteristics so as to be semi-permanently usable.

여기서, 상기 전도등 유닛(10)은 야간 운행시 메인 주행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도등 유닛(10)은 일반적인 도로 주행 시 마주오는 상대방 차량의 운전자 시야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향으로 광을 비춰주는 하향 램프(12) 및 가로등도 없어 매우 어두우면서 마주오는 상대방 차량도 매우 드물게 존재하는 장소를 주행 시 전방을 환하게 비춰 줄 수 있도록 상향으로 광을 비춰주는 상향 램프(1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도등 유닛(10)은 차량의 내부에서 운전자가 전조등 스위치(20)를 직접 조작함으로써 점등되도록 구성된다. Here, the conduction lighting unit 10 serves as a main driving beam during nighttime operation. The light emitting unit 10 includes a downward lamp 12 that shines light downward so as not to be disturbed by the driver's field of view of the opponent vehicle that is opposite to the vehicle during normal road driving, and a very dark opposed opponent vehicle And an upward lamp 14 that illuminates the light upwards so as to illuminate the place ahead when driving. At this time, the electric conduction lighting unit 10 is configured to be turned on by the driver directly operating the headlight switch 20 inside the vehicle.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300)은 상기 차량 전방에서 상기 전도등 유닛(10)의 하부인 범퍼(2)에 위치하는 안개등 유닛(30)에 설치된다.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300)은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200)과 마찬가지로, 주간에도 점등되도록 설계되어 마주오는 상대방 차량의 운전자가 쉽게 본인의 차량을 식별할 수 있도록 추가로 가이드한다. 또한,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300)도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ower daytime running light 300 is installed in the fog lamp unit 30 located in the bumper 2 which is the lower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10 in front of the vehicle. Like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200, the lower daytime running light 300 is designed to be lit even during the daytime so that the driver of the opposite side vehicle can easily guide his or her own vehicle. In addition, the lower daytime running lights 300 may be semi-permanently usable LEDs.

여기서, 상기 안개등 유닛(30)은 안개가 자욱하거나, 날이 저물어가면서 시야가 약간 어두어지던지 등의 아직 완전하게 어둡지 않은 상태에서 마주오는 상대방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 또는 야간에 상기 전도등 유닛(10)의 보조적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안개등 유닛(30)도 차량의 내부에서 운전자가 안개등 스위치(40)를 직접 조작함으로써 점등되도록 구성된다. Here, the fog lamp unit 30 may be provided with a function of facilitating discrimination from the driver of the opponent vehicle facing in a state in which the fog lamp 30 is not completely dark, such as a foggy sky, a blurred edge, And plays an auxiliary role of the conduction lighting unit 10. The fog light unit 30 is also configured to be lit by the driver directly operating the fog light switch 40 inside the vehicle.

상기에서 설명한 상부 주간 주행등(200) 및 하부 주간 주행등(300)과 같은 주간 주행등은 최근 출시되는 차량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특히 자동차 선진국인 유럽 국가들에서는 2011년부터 주간 주행등이 의무사항으로 지정되어 그 이후 수입되는 유럽산 차량의 경우에는 빠짐없이 주간 주행등을 달고 있다. 이러한 주간 주행등은 사용할 경우 법적으로 등광색은 백색으로 할 것, 좌우에 각각 1개씩 설치할 것, 각 등 당 광도는 400~1,200㏅, 차량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 대칭일 것, 발광면은 차체 바깥쪽으로부터 400㎜ 이내가 되도록 설치할 것, 등화의 발광면 간 거리는 600㎜ 이상일 것(다만, 차량의 전폭이 1,300㎜ 이하인 경우 등화의 발광면 간 거리는 400㎜ 이상으로 한다.), 설치 높이는 약 250~1,500㎜ 이하일 것, 등화의 유효조광면적은 25~200㎠ 일 것, 자동차의 시동과 동시에 점등될 것, 자동차가 정지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소등될 것, 자동차의 전조등 또는 안개등을 점등할 때 자동으로 소등될 것(다만, 전조등을 주행빔으로 필요한 것이 아니고, 경고의 의미로 일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러지 아니한다.) 등으로 필요시 규제하고 있다. 특히, 유럽의 경우에는 상기의 조건들 중 자동차 전방의 좌우에 각각 1개씩 2개만 설치할 것이라는 규정이 엄격하게 규제되고 있다. The daytime running such as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200 and the lower daytime running light 300 described above can be easily found in recently released vehicles. In particular, in the European countries, In the case of European vehicles that are designated as mandatory and subsequently imported, they are subject to daytime running. The light intensity should be 400 ~ 1,200 당 for each side, it should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vehicle, the light emitting surface should be outside the vehicle body. (Provided that the distance between light-emitting surfaces of equalization is 400 mm or more when the total width of the vehicle is 1300 mm or less), and the installation height is about 250 to 1,500 ㎜, the effective dimming area of lighting should be 25 ~ 200 ㎠, it should light up at the same time as the car starts, automatically turn off when the car is stopped, automatically turn off when the car's headlight or fog lights (However, this is not necessary when the headlight is used as a driving beam, and is not used if the headlight is temporarily used in the sense of warning.). In particular, in Europe, the provision that only two of each of the above conditions, one on each side of the front of the car, should be installed is strictly regulated.

상기 컨넥터(400)는 하나가 차량의 시동 스위치(50)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200) 및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300)에 같이 연결된다. 상기 컨넥터(400)는 운전자가 상기 시동 스위치(50)를 통하여 차량의 시동을 거는 순간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200) 및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300)에 점등 신호를 같이 인가한다. 이러면,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200) 및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300)은 주위가 어둡던 밝던 상관없이 단순히 운전자가 시동을 거는 작동만으로 점등하게 된다.The connector 400 is connected to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200 and the lower daytime running light 300 while one of them is connected to the start switch 50 of the vehicle. The connector 400 applies a lighting signal to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200 and the lower daytime running light 300 as soon as the driver starts the vehicle through the start switch 50. In this case,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200 and the lower daytime running light 300 are turned on only when the driver starts the vehicle regardless of whether the surroundings are dark or not.

반면, 상기 컨넥터(400)는 상기 시동 스위치(50)와의 사이에서 상기 전조등 스위치(20) 및 상기 안개등 스위치(40)와 연결되어 상기 전조등 스위치(20) 또는 상기 안개등 스위치(4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상기 전도등 유닛(10) 또는 상기 안개등 유닛(30)이 온(on) 되었을 때 상기 점등 신호가 인가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면, 상기 전도등 유닛(10) 및 상기 안개등 유닛(30) 중 적어도 하나가 점등되면,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200) 및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300)이 소등된다. 이를 정리하면, 상기 전도등 유닛(10) 및 상기 안개등 유닛(30)이 점등될 필요가 없는 주간에만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200) 및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300)이 점등되는 것으로 한정될 수 있다. The connector 400 is connected to the headlight switch 20 and the fog light switch 40 with respect to the start switch 50 and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headlight switch 20 and the fog light switch 40 The lighting signal may be blocked from being applied when the conduction lighting unit 10 or the fog lamp unit 30 is turned on. In this case, when at least one of the light emitting unit 10 and the fog light unit 30 is lit,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200 and the lower daytime running light 300 are turned off. To summarize this, it can be limited to lighting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200 and the lower daytime running light 300 only during the day when the electric lighting unit 10 and the fog light unit 30 need not be lit have.

이와 같이, 차량 전방의 상하에 위치하여 메인 주행빔 역할 및 안개와 같은 주변의 악조건에서 상대방 차량의 식별을 보조해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전도등 유닛(10) 및 안개등 유닛(30) 각각에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200) 및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300)을 설치한 다음, 이 상부 주간 주행등(200) 및 하부 주간 주행등(300)을 상기 시동 스위치(50)와 연결된 하나의 컨넥터(400)로 연결하여 운전자가 시동을 작동하는 순간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200) 및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300)에 같이 점등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주간에도 마주오는 상대방 차량이 자신의 차량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마주오는 상대방 차량이 자신의 차량을 미쳐 식별하지 못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치명적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ductive light unit 10 and the fog light unit 30, which are positioned above and below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serve to assist the identification of the opponent vehicle in the bad conditions of the surroundings such as the main driving beam and the fog,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200 and the lower daytime running light 300 are installed and then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200 and the lower daytime running light 300 are connected to one connector 400 connected to the start switch 50 ), And a light signal is similarly applied to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200 and the lower daytime running light 300 at the moment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start, so that the opponent vehicle facing the vehicle can easily identify the vehicle Can be done.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fatal accident, which may occur when the opponent vehicle that is coming to the opposite side can not identify the driver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하나의 컨넥터(400)로 두 개의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200) 및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300)에 같이 점등 신호를 인가하기 때문에, 상기 컨넥터(400)를 두 개 사용할 때보다 원가 측면에서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Since the lighting signals are applied to the two upper daytime running lights 200 and the lower daytime running lights 300 by the one connector 400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using the two connectors 400, It can be expected to save money.

또한, 만약에 상기 컨넥터(400)를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200) 및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300) 각각에 두 개를 연결할 경우에는 별도의 구성을 통해서 이들을 기하학적으로 서로 매칭시켜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하나의 컨넥터(400)를 사용하게 되면, 이러한 매칭을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 없으므로 이에 따른 구조적 효율성도 기대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connector 40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200 and the lower daytime running light 300 separately, they must be geometrically matched to each other through a separate structure. However, If the one connector 400 is used as shown in FIG. 4A, no separate structure for matching is required. Therefore, structural efficiency can be expected.

또한,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200) 및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300)이 상기 차량 전방의 좌우측에 각각 두 개씩 총 네 개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스타일적인 측면에서 매우 강한 인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럴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200) 및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300) 각각은 두 개가 하나의 컨넥터(40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법적으로는 상기 차량의 전방에 주간 주행등이 좌우측 각각에 하나씩 총 두 개가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합법적인 부분도 만족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a total of four upper and lower main driving lights 200 and 300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of the vehicle in total, four very strong impressions can be provided in terms of style. Even in this case, since two of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s 200 and the lower daytime running lights 300 are connected to one connector 400, legally, It is considered that there are a total of two, one for each of the right and left sides, so that a legitimate part can be satisfied.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부 주간 주행등 및 하부 주간 주행등과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가 연결된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FIG. 3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the lower daytime running, etc. shown in FIG.

본 실시예에서는 컨넥터(400)의 연결 구조를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컨넥터(400)를 제외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며, 이에 따라 중복되는 상세 설명도 생략하기로 한다.1 and 2 except for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onnector 400,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components except for the connector 400,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are omitted .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500)는 시동 스위치(50)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부 주간 주행등(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거는 순간 점등 신호를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200)에 인가하여 점등시킨다.3, the connector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200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ignition switch 50 so that the instant lighting signal Is applied to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200) to light up.

이에,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200)은 하부 주간 주행등(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컨넥터(500)로부터 인가 받은 점등 신호를 그대로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300)에 전달하여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300)도 같이 점등되도록 한다.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daytime running light 300 and transmits a light signal received from the connector 500 to the lower daytime running light 300 as it is, The backlight 300 is also turned on.

반면, 상기 컨넥터(500)는 상기 시동 스위치(50)와의 사이에서 전도등 유닛(10)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조등 스위치(20) 및 안개등 유닛(30)을 작동시키기 위한 안개등 스위치(40)와 연결되어 상기 전도등 유닛(10) 또는 상기 안개등 유닛(30)이 온(on) 되었을 때 상기 인가되는 점등 신호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or 500 is connected to a headlight switch 20 for operating the conduction light unit 10 with the start switch 50 and a fog light switch 40 for operating the fog light unit 30 And is configured to block the lighting signal applied when the conduction lighting unit (10) or the fog light unit (30) is turned on.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10 : 전조등 유닛 12 : 하향 램프
14 : 상향 램프 20 : 전조등 스위치
30 : 안개등 유닛 40 : 안개등 스위치
50 : 시동 스위치 100 : 주간 주행등 어셈블리
200 : 상부 주간 주행등 300 : 하부 주간 주행등
400, 500 : 컨넥터
10: headlight unit 12: downward ramp
14: Upward ramp 20: Headlight switch
30: fog light unit 40: fog light switch
50: Start switch 100: Daytime running light assembly
200: Upper daytime running lights, etc. 300: Lower daytime running lights, etc.
400, 500: Connector

Claims (4)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조등 유닛에 설치된 상부 주간 주행등;
상기 전조등 유닛의 하부에 위치하는 안개등 유닛에 설치된 하부 주간 주행등; 및
상기 차량의 시동 스위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 및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에 같이 연결되며, 운전자가 상기 시동 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을 거는 순간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 및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에 점등 신호를 인가하는 컨넥터를 포함하는 주간 주행등 어셈블리.
An upper daytime running light installed in a headlamp unit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A lower daytime running light provided in a fog light unit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eadlight unit; And
The vehicle is connected with the start switch of the vehicle in the state such as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and the lower daytime running light. When the driver starts the vehicle through the start switch,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and the lower daytime running light A daytime running light assembly comprising a connector for applying a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는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 및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어느 하나에 점등 신호를 인가하며,
상기 어느 하나는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 및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 중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점등 신호를 상기 다른 하나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간 주행등 어셈블리.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main running lights and the like to apply a lighting signal to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main driving lights,
Wherein one of the upper and lower main driving light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one of the upper main driving lights and the lower main driving lights to apply the lighting signal to the other 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는 상기 시동 스위치 사이에서 상기 차량의 전조등 유닛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조등 스위치 및 상기 차량의 안개등 유닛을 작동시키기 위한 안개등 스위치와 연결되며, 상기 전조등 유닛 및 상기 안개등 유닛 중 적어도 하나가 온(on) 되었을 때 상기 점등 신호의 인가가 차단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간 주행등 어셈블리.2. The vehicle headlamp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a headlamp switch for operating the headlamp unit of the vehicle between the start switch and a fog lamp switch for operating the foglamp unit of the vehicle, and at least one of the headlamp unit and the foglamp unit And when the power is turned on, the application of the lighting signal is interrup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주간 주행등 및 상기 하부 주간 주행등 각각은 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간 주행등 어셈블리.The daytime running light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upper daytime running light and the lower weekly running light includes an LED.
KR1020130155682A 2013-12-13 2013-12-13 Daytime running light assembly of vehicle KR2015006936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682A KR20150069369A (en) 2013-12-13 2013-12-13 Daytime running light assembly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682A KR20150069369A (en) 2013-12-13 2013-12-13 Daytime running light assembly of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369A true KR20150069369A (en) 2015-06-23

Family

ID=53516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5682A KR20150069369A (en) 2013-12-13 2013-12-13 Daytime running light assembly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936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43530B2 (en) 2015-08-28 2017-05-09 Hyundai Motor Company Daytime running light apparatus f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43530B2 (en) 2015-08-28 2017-05-09 Hyundai Motor Company Daytime running light apparatus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7311B2 (en) Light with a ring structure for a vehicle lamp
US20070222574A1 (en) Multi vehicle signal ground illumination indicator lamps for turn, hazard and brake signaling to enhance current methods of use
CN110997407B (en) Automatic driving vehicle
KR101235315B1 (en) Automotive lamp
KR101405385B1 (en) Lamp apparatus for an automobile
US20120056540A1 (en) Maneuvering aid, method, and headlight device for a utility vehicle
KR20150069369A (en) Daytime running light assembly of vehicle
JP6567175B2 (en) In-vehicle headlamp and in-vehicle headlamp system
WO2013137324A1 (en) Vehicle-mounted illumination device
KR101596322B1 (en) A vehicle side lights device
US7588357B2 (en) Multi-function lamp for a motor vehicle
JP6815696B2 (en) Headlights for driving vehicles
KR101060221B1 (en) Vehicle Collision Accident Prevention Device
JP6752528B2 (en) Headlights for driving vehicles
JP2006117214A (en) Lighting system for automobile to be used when travelling backward at night or in dark space
KR200371033Y1 (en) The flank indicator lamp and a rear guard lamp
KR970006282Y1 (en) Rear lamp and circuit of a car
JP6827674B2 (en) Headlights for driving vehicles
KR101592126B1 (en) fog lights of lateral vision device is equipped for automobile
KR0149628B1 (en) Lamp of car bumper
JP2006069244A (en) Vehicle lighting system
KR200294225Y1 (en) Direction device about car backsight
KR960001967Y1 (en) Indicating lamp for attatching to back mirror
KR200394799Y1 (en) Device of auto flickering fog lamp
JP2959749B2 (en) Vehicle light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