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5066A -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5066A
KR20150065066A KR1020130150159A KR20130150159A KR20150065066A KR 20150065066 A KR20150065066 A KR 20150065066A KR 1020130150159 A KR1020130150159 A KR 1020130150159A KR 20130150159 A KR20130150159 A KR 20130150159A KR 20150065066 A KR20150065066 A KR 20150065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isplay module
unit
display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1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재후
도규성
이동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0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5066A/en
Publication of KR20150065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06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display apparatus which adheres to and is installed on the wall.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es: a case fixed on the wall; and a display module bent at the front of the case. The display module is installed to be removable with the case, and can be replaceable.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APPARATUS}Display devic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벽면에 밀착 설치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which can be installed on a wall surface.

디스플레이장치는 TV나 모니터 등과 같이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신호 처리된 영상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뉠 수 있는데, 최근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방식, PDP(Plasma Display Panel) 방식이 많이 사용된다.The display device is a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such as a TV or a monitor. The display device can be divid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 method of displaying the signal processed image information on the screen. Recently,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ethod and a plasma display panel (PDP) method are widely used.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는 전면에서 보았을 때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모듈과, 디스플레이모듈을 수용하고 지지하는 프레임의 역할을 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Generally, a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module i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a case serving as a frame for receiving and supporting the display module.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는 일반적으로 책상, 테이블 등의 상면에 설치되는데, 최근에는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벽면(이하, '설치면'이라 함)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Such a display device is generally installed on a top surface such as a desk or a table. Recently, in order to maximize space utilization, a display device is fixed to a wall su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stallation surface').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벽걸이 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의 배면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장치를 지지하도록 마련된다.The wall-mounted device used for fixing the display device to the mounting surface is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which forms the appearance of the display device, and is provided to support the display device.

그런데, 이러한 벽걸이 장치에 의해 벽면에 설치 시 디스플레이장치가 벽면으로부터 많이 떨어져 위치하게 되므로 미관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display device is located far away from the wall surface when the wall-mounted device is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ppearance is poor.

또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수리 및 교체 시 벽걸이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를 분리하고 재 설치하여야 해서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display device is repaired or replaced, the display device must be detached from the wall-mounted device and reinstalled.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벽면에 밀착 설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which can be closely attached to a wall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디스플레이모듈을 벽면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수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that can be repaired without detaching the display module from the wall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디스플레이모듈의 교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capable of replacing a display modu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곡률의 가변이 가능하여 디스플레이모듈의 곡률 변형을 자유자재로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capable of freely varying a curvature of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 user's tas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벽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전방에서 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케이스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교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fixed to a wall and a display module bendable from the front of the case, and the display module is detachably installed to be replaceable with the case .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과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측 단부에 마련되는 입력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se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ed to the display module, and an input terminal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벽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체결부가 마련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면에 결합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도록 마련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se may include a first case having a fastening portion to be fixed to the wall, and a second case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case and provided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do.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평면상태와 곡면상태 중 어느 하나로 변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밴딩유닛과, 상기 밴딩유닛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후방에 배치되는 지지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module may include a bending unit configured to be deformable into a planar state or a curved state, and a support panel disposed behind the display module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bending unit .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가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In addition, the case may include a sliding unit that allows the display module to move up and down, and the sliding unit may include a fixed portion, a mov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portion and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upport portion which is movably provided inside the moving portion and is coupled to the case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액정패널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패널과,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유닛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module may include a display panel formed of a liquid crystal panel and a base panel disposed at a rear side of the display panel and having a coupl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ortion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liding unit, .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딩유닛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유닛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topper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module and the case to restrict movement of the display module moved by the sliding unit.

또한, 상기 스토퍼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마련되는 돌기부와, 상기 고정부에 마련되는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opper unit may include a projection provided in the display module and a groove provided in the fixing part.

상기 스토퍼 유닛은, 상기 입력단자부가 노출되어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제1위치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노출되는 제2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opper unit is provided at a first position where the input terminal portion is exposed and a cable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where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exposed.

상기 밴딩유닛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제1이동부재와 제2이동부재와, 상기 제1이동부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일측 단부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제1회전부재와, 상기 제2이동부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타측 단부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제2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ending unit includes: a driving unit that generates power; a first moving member and a second moving member that are horizontally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by the driving unit; and a second moving member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rst moving member, And a second rotary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an end of the second movable member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display module is moved forward .

또한, 상기 구동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제1이동부재와 제2이동부재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수평이동 시키도록 형성되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motor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and a gear unit connected to the motor and configured to horizontally move the first moving member and the second moving member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밀착 설치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가 높고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can be closely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and the space utilization is high and the beauty is improved.

또한, 디스플레이모듈을 벽면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 등의 수리가 가능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cable can be connected without detaching the display module from the wall surface,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like can be repaired, thereby improving the working efficiency.

또한, 디스플레이모듈의 교체가 가능하여 향후 중형 인치에서 대형 인치로의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Also, since the display module can be replaced, it is easy to replace the medium-sized inch to the large-sized inch in the future.

또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평면 상태 또는 곡면 상태로 선택하여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isplay module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selectively implemented in a planar state or a curved state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consumer.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과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과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에 설치되는 밴딩유닛과 슬라이딩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분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유닛에 의해 동작되는 디스플레이모듈이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유닛에 의해 동작되는 디스플레이모듈이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 내지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밴딩유닛의 동작에 의한 디스플레이모듈의 평면 상태와 곡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installed on a wall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of a display module and 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module and 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ly explod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ending unit and a sliding unit installed in 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re a display module operated by a sli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t a first position,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re a display module operated by a sli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t a second position,
7 to 8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planar state and a curved surface state of the display module by the operation of the bend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과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과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에 설치되는 밴딩유닛과 슬라이딩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분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installed on a wall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module and 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ending unit and a sliding unit installed in 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0)과, 디스플레이모듈(10)의 외측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장치(1)를 벽(W)에 장착하도록 마련되는 케이스(20)를 포함한다.1 to 4, the display device 1 includes a display module 10 for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a display module 10 disposed outside the display module 10, for displaying the display device 1 on the wall W, And a case 20 provided for mounting.

디스플레이모듈(10)은 화상을 표시하도록 유기 발광다이오드 패널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패널(10a)과, 디스플레이패널(10a)의 후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패널(10a)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베이스 패널(10b)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0 includes a display panel 10a formed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 to display an image and a base panel 10b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a to support the display panel 10a .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패널은 2장의 유리로 TFT 기판 및 칼라 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주입되어 형성되며,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구동회로에 의해서 각 화소의 발광상태가 서로 달리 구현되어 전체적으로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In general, a display panel is formed by injecting a liquid crystal layer between a TFT substrate and a color substrate by two glass substrates, and a light emitting state of each pixel is implemented differently by a driving circuit arranged in a matrix form, .

베이스 패널(10b)는 디스플레이패널(10a)의 후면테두리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그 후방에는 벽(W)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케이스(20)가 장착된다.The base panel 10b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rear edge of the display panel 10a and a case 20 provided to be fixed to the wall W is mounted at the rear of the base panel 10b.

케이스(20)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장치(1)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인쇄회로기판(24)들이 배치되며, 이러한 인쇄회로기판(24)들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디스플레이장치(1)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기판, 각종 화상 및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기판 등이 포함될 수 있다.Various printed circuit boards 24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1 are disposed inside the case 20 and these printed circuit boards 24 ar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o drive the display device 1 A power supply board for supplying power, a signal processing board for processing various images and signals, and the like.

인쇄회로기판(24)에는 외부 장치와 케이블(C, 도 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단자부(25)가 마련될 수 있다.The printed circuit board 24 may be provided with an input terminal portion 25 which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by a cable C (FIG. 5).

한편, 케이스(20)에는 디스플레이모듈(10)을 평면 상태와 곡면 상태 중 어느 하나로 변형시킬 수 있도록 밴딩유닛(30)이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the case 20 may be provided with a bending unit 30 so that the display module 10 can be transformed into a flat state or a curved state.

케이스(20)는 벽(W)과 고정을 위한 체결부(21a)가 마련되는 제1 케이스(21)와, 제1 케이스(21)의 내면에 결합되며, 인쇄회로기판(24)과 밴딩유닛(30)이 설치되도록 마련되는 제2 케이스(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20 includes a first case 21 provided with a fastening portion 21a for fixing to the wall W and a second case 21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ase 21 and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24, And a second case 22 to which the first case 30 is mounted.

제1 케이스(21)의 체결부(21a)는 체결부재(23)가 조립되기 위한 제1 체결홀(21a)을 포함한다. 제1 체결홀(21a)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체결홀(21a)은 상하 좌우 4 개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체결홀의 개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portion 21a of the first case 21 includes a first fastening hole 21a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23 is assembled. The first fastening holes 21a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r m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fastening hole 21a has four upper, lower, right, and left four holes, bu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number of the fastening holes may be appropriately form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display device.

제1 케이스(21)에 결합되는 제2 케이스(22)에는 제1 케이스(21)의 제1 체결홀(21a)에 대응되는 제2 체결홀(22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케이스(21)의 제1 체결홀(21a)과 제2 케이스(22)의 제2 체결홀(22a)을 체결부재(23)가 관통하여 벽(W)에 고정되게 된다.The second case 22 coupled to the first case 21 may have a second fastening hole 22a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hole 21a of the first case 21. The first fastening hole 21a of the first case 21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22a of the second case 22 are fastened to the wall W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23.

제2 케이스(22)는 그 전면에 인쇄회로기판(24)과 밴딩유닛(30)이 설치되도록 설치면(22b)이 형성된다.The mounting surface 22b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case 22 so that the printed circuit board 24 and the bending unit 30 are installed.

이때, 인쇄회로기판(24)은 제2 케이스(22)의 설치면(22b)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밴딩유닛(30)은 설치면(22b)의 상단, 즉 디스플레이모듈(1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rinted circuit board 24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surface 22b of the second case 22, and the bending unit 30 may be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mounting surface 22b, As shown in Fig.

한편, 디스플레이모듈(10)은 케이스(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20)는 디스플레이모듈(10)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딩유닛(40)을 포함한다.Meanwhile, the display module 10 may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case 20. The case 20 includes a sliding unit 40 provided so that the display module 10 is sli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슬라이딩유닛(40)은 케이스(20)의 양측 단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디스플레이모듈(1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결합부(6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liding unit 40 can be vertically moved at both side ends of the case 20 to move the display module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an be detachably coupled by the engaging part 60 .

제1 케이스(21)의 양측 단부에는 슬라이딩유닛(40)을 설치하기 위한 슬라이딩 설치홈(26)이 형성된다.At both side ends of the first case 21, a sliding installation groove 26 for installing the sliding unit 40 is formed.

슬라이딩유닛(40)은 제1 케이스(21)의 슬라이딩 설치홈(26)에 장착되는 지지부(41)와, 지지부(41)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되는 이동부(43)와, 이동부(43)의 단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고정부(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liding unit 40 includes a supporting portion 41 attached to the sliding attachment groove 26 of the first case 21, a moving portion 43 provided so as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supporting portion 41, And a fixing portion 42 which moves up and down at an end of the fixing portion 43.

결합부(60)는 슬라이딩유닛(40)의 고정부(42)에 형성되는 결합돌기(62)와, 디스플레이모듈(10) 후방의 베이스 패널(10b)에 형성되는 결합홈(61)을 포함한다.The engaging portion 60 includes an engaging projection 62 formed on the fixing portion 42 of the sliding unit 40 and an engaging groove 61 formed on the base panel 10b on the rear side of the display module 10 .

고정부(42)의 결합돌기(62)는 디스플레이모듈(10) 방향 즉,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베이스 패널(10b)에 형성되는 결합홈(61)은 결합돌기(62)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모듈과 케이스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모듈 측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케이스 측에 결합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coupling protrusion 62 of the fixing part 42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module 10 or forward and the coupling groove 61 formed in the base panel 10b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protrusion 62 . In this embodiment, a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the display module side and a coupling projection is formed on the case side in order to detachably connect the display module and the case, bu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디스플레이모듈(10)을 평면 상태와 곡면 상태로 변형 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밴딩유닛(30)은 제2 케이스(22)의 상측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The bending unit 30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ase 22 so as to deform the display module 10 into a planar state and a curved surface state.

밴딩유닛(30)는 디스플레이모듈(10)과 제2 케이스(22) 사이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모듈(10)의 양측 단부가 중심보다 전방에 위치되어 그 중심에 대해 전방으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The bending unit 30 is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module 10 and the second case 22 so that both end portions of the display module 10 are positioned forward of the center and can be projected forward with respect to the center.

밴딩유닛(30)는 디스플레이패널(10a)의 후방에서 디스플레이패널(10a)을 가압하여 곡면 상태로 변형시키도록 밴딩유닛(30)와 디스플레이패널(10a)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패널(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모듈(10)과 지지패널(11)은 각각 밴딩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밴딩유닛(30)에 의해 밴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bending unit 30 further includes a support panel 11 disposed between the bending unit 30 and the display panel 10a so as to deform the display panel 10a from the rear of the display panel 10a into a curved surface state . In this embodiment, the display module 10 and the support panel 11 are each formed of a bendable material and can be bent by the bending unit 30. [

밴딩유닛(30)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31)와, 구동부(3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수평 이동하는 제1 이동부재(32a)와,일단은 제1 이동부재(32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디스플레이모듈(10)을 지지하는 지지패널(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제1 이동부재(32a)의 이동과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회전부재(34a)와, 제1 이동부재(32a)와 제1 회전부재(34a)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이동링크(33a)와, 구동부(3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1 이동부재(32a)와 반대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제2 이동부재(32b)와, 일단은 제2 이동부재(32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제2 이동부재(32b)의 이동과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회전부재(34b)와, 제2 이동부재(32b)와 제2 회전부재(34b)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이동링크(33b)를 포함한다.The bending unit 30 includes a driving unit 31 for generating power, a first moving member 32a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driving unit 31 and moves horizontally, and a first moving member 32a,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supported by a support panel 11 supporting the display module 10 and is rotatably provided in association with movement of the first moving member 32a, A first moving link 33a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moving member 32a and the first rotating member 34a and a second moving link 33a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unit 31 and horizontally mov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moving member 32a A second rotary member 34b rotatably supported on the second movable member 32b at one end and rotatable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second movable member 32b, And a second moving link 33b connecting between the second moving member 32b and the second rotating member 34b.

이때, 제1 이동링크(33a)와 제1 회전부재(34a), 제2 이동링크(33b)와 제2 회전부재(34b) 사이는 제1 회전부재(34a)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irst rotary link 34a is hingedly coupled to the first rotary link 34a between the first movable link 33a and the first rotary member 34a, between the second movable link 33b and the second rotary member 34b, .

구동부(31)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7)와, 모터(37)에 연결되어 제1 이동부재(32a)와 제2 이동부재(32b)에 모터(37)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감속 및 동력 전달을 하는 기어부(38)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31 is connected to the motor 37 to receive rotational force from the motor 37 to the first moving member 32a and the second moving member 32b, And a gear portion 38 for transferring.

구동부(31)는 제1 이동부재(32a)와 제2 이동부재(32b)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수평이동 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제1 이동부재(32a)와 제2 이동부재(32b)의 이동과 연동하여 디스플레이모듈(10)의 양측 단부가 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driving unit 31 is provided to horizontally move the first moving member 32a and the second moving member 32b in the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and moves the first moving member 32a and the second moving member 32b Both ends of the display module 10 are moved in all directions.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유닛에 의해 동작되는 디스플레이모듈이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유닛에 의해 동작되는 디스플레이모듈이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module operated by a sli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t a first position, FIG. 6 is a cross- Figure 2 i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a module in a second position;

도 5 내지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유닛(4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하는 디스플레이모듈(1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유닛(50)이 디스플레이모듈(10)과 케이스(2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5 to 6, a stopper unit 50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display module 10 moving up and down by the sliding unit 40 is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module 10 and the case 20 As shown in FIG.

스토퍼 유닛(50)은 디스플레이모듈(10)에 마련되는 돌기부(51)와, 케이스(20)에 마련되는 홈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51)는 디스플레이모듈(10)의 베이스 패널(10b)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다.The stopper unit 50 may include a protrusion 51 provided in the display module 10 and a groove 52 provided in the case 20. The protrusion 51 may protrude rearward from the base panel 10b of the display module 10.

이때, 돌기부(51)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그 내측에서 외측으로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the protrusions 51 are preferably formed to have elasticity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홈부(52)는 디스플레이모듈(10)의 돌기부(51)에 대응되도록 슬라이딩유닛(40)의 지지부(41)에 형성될 수 있다.The groove 52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41 of the sliding unit 40 so as to correspond to the projection 51 of the display module 10.

한편, 스토퍼 유닛(50)은 디스플레이패널(10a)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제2 케이스(22)의 입력단자부(25)가 노출되는 제1위치(P1)와, 인쇄회로기판(24)이 노출되는 제2위치(P2)에 마련될 수 있다.The stopper unit 50 includes a first position P1 in which the display panel 10a moves upward and an input terminal 25 of the second case 22 is exposed and a second position P1 in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24 is exposed And may be provided at the second position P2.

스토퍼 유닛(50)의 홈부(52)는 지지부(41)의 제1위치(P1)에 형성되는 제1홈(52a)과, 제2위치(P2)에 형성되는 제2홈(52b)을 포함할 수 있다.The groove 52 of the stopper unit 50 includes a first groove 52a formed at the first position P1 of the support portion 41 and a second groove 52b formed at the second position P2 can do.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의 설치 시 입력단자부(25)에 케이블(C)을 연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모듈(10)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스토퍼 유닛(50)의 제1위치(P1)에 형성된 제1홈(52a)에 돌기부(51)를 결합시켜 디스플레이모듈(10)의 위치를 고정하고, 입력단자부(25)에 케이블(C)을 연결할 수 있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10 is moved upward to connect the cable C to the input terminal portion 25 when the display device 1 is installed so that the first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protrusion 51 to the groove 52a to fix the position of the display module 10 and to connect the cable C to the input terminal 25,

또, 디스플레이장치(1)의 수리를 위해서는 스토퍼 유닛(50)의 제2위치(P2)에 형성된 제2홈(52b)에 돌기부(51)를 결합시켜 디스플레이모듈(10)의 위치를 고정하고, 인쇄회로기판(24)의 수리 및 교체를 할 수 있다.In order to repair the display device 1, the position of the display module 10 is fixed by coupling the projection 51 to the second groove 52b formed at the second position P2 of the stopper unit 50, The printed circuit board 24 can be repaired and replaced.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의 설치 및 수리 시에 디스플레이장치(1)를 벽(W)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작업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work without separating the display device 1 from the wall W at the time of installation and repair of the display device 1, and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도 7 내지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밴딩유닛의 동작에 의한 디스플레이모듈의 평면 상태와 곡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7 to 8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planar state and a curved surface state of the display module by the operation of the bend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밴딩유닛(30)은 구동부(31)의 회전에 의해 수평 이동하는 제2 이동부재(32b)와, 제2 이동부재(32b)에 연결되는 제2 이동링크(33b)와, 제2 이동링크(33b)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2 회전부재(34b)를 포함한다.The bending unit 30 includes a second moving member 32b that horizontally moves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 unit 31, a second moving link 33b that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ving member 32b, And a second rotating member 34b rotatably hinged to an end of the second rotating member 33b.

제2 회전부재(34b)는 디스플레이모듈(10)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으며, 이때, 디스플레이모듈(10)의 후면과 제2 회전부재(34b) 사이에는 지지패널(11)이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rotary member 34b may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 and a support panel 1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 and the second rotary member 34b .

지지패널(11)은 밴딩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제2 회전부재(34b)는 제2 이동링크(33b)에 대해 회전하면서 전방향으로 회전하여 돌출한다.The support panel 11 is formed of a bendable material, and the second rotary member 34b rotates in a forward direction while being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moving link 33b.

이때, 제2 회전부재(34b)는 지지패널(11)의 일측을 전 방향으로 가압하고, 지지패널(11)의 가압력에 의해 디스플레이패널(10a)은 전 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rotary member 34b presses one side of the support panel 11 in all directions, and the display panel 10a forms a curved surface in all directions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support panel 11. [

한편, 제2 이동부재(32b)와 반대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제1 이동부재(32a)는 제1 이동링크(33a)와 제1 회전부재(34a)를 통해 지지패널(11)의 타측을 전 방향으로 가압하고, 지지패널(11)의 가압력에 의해 디스플레이패널(10a)은 전 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게 된다.The first moving member 32a horizontally mov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moving member 32b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ing panel 11 via the first moving link 33a and the first rotating member 34a. And the display panel 10a forms a curved surface in all directions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support panel 11. [

따라서, 밴딩유닛(30)의 제1 회전부재(34a)와 제2 회전부재(34b)의 가압에 의해 디스플레이패널(10a)의 양측 단부가 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곡면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Accordingly, both ends of the display panel 10a move in all directions by the pressing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34a and the second rotating member 34b of the bending unit 30 to form a curved surface stat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그 실시예를 기술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변경 및 대체될 수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replaced, modified and replaced.

1 : 디스플레이장치 10 : 디스플레이모듈
20 : 케이스 21 : 제1 케이스
22 : 제2 케이스 24 : 인쇄회로기판
25 : 입력단자부 26 : 슬라이딩 설치홈
30 : 밴딩유닛 40 : 슬라이딩유닛
41 : 지지부 42 : 고정부
43 : 이동부 50 : 스토퍼유닛
51 : 돌기부 52 : 홈부
60 : 결합부 61 : 결합홈
62 : 결합돌기 W : 벽
P1 : 제1위치 P2 : 제2위치
1: display device 10: display module
20: Case 21: First case
22: second case 24: printed circuit board
25: input terminal portion 26: sliding installation groove
30: Bending unit 40: Sliding unit
41: support part 42:
43: moving part 50: stopper unit
51: protrusion 52:
60: engaging portion 61: engaging groove
62: engaging projection W: wall
P1: first position P2: second position

Claims (11)

벽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전방에서 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케이스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교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A case fixed to the wall,
And a display module provided to be bendable in front of the case,
The display module includes:
Wherein the display unit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case and is replaceab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과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측 단부에 마련되는 입력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is case,
A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ed to the display module,
And an input terminal portion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벽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체결부가 마련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면에 결합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도록 마련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is case,
A first case having a fastening portion to be fixed to the wall,
And a second case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case, the second case being moun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평면상태와 곡면상태 중 어느 하나로 변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밴딩유닛과,
상기 밴딩유닛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후방에 배치되는 지지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isplay module includes:
A bending unit provided so as to be deformable into either a planar state or a curved state,
And a support panel disposed behind the display module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bending uni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가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In this case,
And a sliding unit for vertically moving the display module,
The sliding unit includes:
However,
A moving part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part and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upport portion that is movably provided inside the moving portion and is coupled to the cas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액정패널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유닛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isplay module includes:
A display panel made of a liquid crystal panel,
And a base panel disposed at a rear side of the display panel and having a coupling portion corresponding in shape to the fixing portion so as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liding un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딩유닛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유닛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stopper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module and the case to limit movement of the display module moved by the sliding uni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마련되는 돌기부와,
상기 고정부에 마련되는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topper unit includes:
A protrusion provided on the display module,
And a groove portion provided in the fixing por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유닛은,
상기 입력단자부가 노출되어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제1위치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노출되는 제2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topper unit includes:
Wherein the input terminal portion is provided at a first position where the input terminal portion is exposed and the cable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where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expos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유닛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제1이동부재와 제2이동부재와,
상기 제1이동부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일측 단부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제1회전부재와,
상기 제2이동부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타측 단부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제2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bending unit includes:
A drive unit for generating power,
A first moving member and a second moving member that are horizontally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by the driving unit,
A first rotary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an end portion of the first movable member so that one end of the display module is moved forward;
And a second rotary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an end of the second movable member and adapted to move the other end of the display module forwar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제1이동부재와 제2이동부재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수평이동 시키도록 형성되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driving unit includes:
A motor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And a gear portion connected to the motor and configured to horizontally move the first moving member and the second moving member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KR1020130150159A 2013-12-04 2013-12-04 Display apparatus KR2015006506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159A KR20150065066A (en) 2013-12-04 2013-12-04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159A KR20150065066A (en) 2013-12-04 2013-12-04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066A true KR20150065066A (en) 2015-06-12

Family

ID=53503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159A KR20150065066A (en) 2013-12-04 2013-12-04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506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3649B2 (en) Display device
US6330150B1 (en) System for exchanging lamp of LCD
CN105388653B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884276B2 (en) Display device with simplified appearance structure and improved coupling arrangement
KR101621794B1 (en) Display apparatus
US8576551B2 (en) Image display device
US11935440B2 (en) Display apparatus and hinge assembly of display module
CN101526677B (en) Display device
KR102374643B1 (en) Bendable display device
KR20150018339A (en) Display apparatus
JP2013505660A5 (en)
JPH07104234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426909B2 (en) Display apparatus with a detachable glass plate
KR102028984B1 (en) Bendable Display Device
KR20170140520A (en) Display apparatus
KR20140133716A (en) Display apparatus
KR20150065066A (en) Display apparatus
KR101725540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210103186A1 (en) Display device
CN101388160B (en) Display apparatus and multi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239593B1 (en) Display Device and Set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666701B1 (en) Display device
US20240160056A1 (en) Display Device
KR20050075214A (en) Liquid crystal display provided with a digitizer
KR20160052869A (en) Pos termin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