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2714A - 터치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2714A
KR20150062714A KR1020130147662A KR20130147662A KR20150062714A KR 20150062714 A KR20150062714 A KR 20150062714A KR 1020130147662 A KR1020130147662 A KR 1020130147662A KR 20130147662 A KR20130147662 A KR 20130147662A KR 20150062714 A KR20150062714 A KR 20150062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s
electrodes
mode
signal
touch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준
박타준
이현석
권태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7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2714A/ko
Priority to US14/162,935 priority patent/US20150153869A1/en
Publication of KR20150062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7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패널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에 존재하는 사전에 설정되는 복수의 그룹 중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그룹에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하고, 상기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그룹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그룹으로부터 감지 신호를 획득하여 터치 입력을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사전에 설정되는 복수의 그룹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이웃하는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 장치 {TOUCHSCREEN APPARATUS}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등과 같은 터치스크린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되어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입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입력 장치로서, 최근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기기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스마트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제한된 폼팩터에서 다양한 입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의 채용 비율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휴대용 기기에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저항막 방식과 정전용량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중 정전용량 방식은 상대적으로 수명이 길고 다양한 입력 방법과 제스처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그 적용 비율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정전용량 방식은 저항막 방식에 비해 멀티 터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가 용이하여 스마트폰 등의 기기에 폭넓게 적용된다.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일정한 패턴을 갖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며, 터치 입력에 의해 정전용량 변화가 생성되는 복수의 노드가 상기 복수의 전극에 의해 정의된다. 2차원 평면에 분포하는 복수의 노드는, 터치 입력에 의해 자체 정전용량(Self-Capacitance) 또는 결합 정전용량(Mutual-Capacitance) 변화를 생성하며, 복수의 노드에서 생성되는 정전용량 변화에 가중 평균 계산법 등을 적용하여 터치 입력의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 중 특허문헌 1은 인접하는 노드 커패시터를 서로 다른 전압으로 충전시킨 후, 충전된 전하를 차분하여 정전용량 변화를 검출하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하나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전극 사이에서 형성되는 정전용량 변화를 검출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지 못하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103790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전극에서 이웃하는 한 쌍의 전극 중 하나의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나머지 전극으로부터 감지 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패널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에 존재하는 사전에 설정되는 복수의 그룹 중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그룹에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하고, 상기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그룹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그룹으로부터 감지 신호를 획득하여 터치 입력을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사전에 설정되는 복수의 그룹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이웃하는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그룹에 동 위상의 상기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을 플로팅(floating)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신호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의 상기 제2 방향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신호로부터 상기 패널부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입력되는 상기 터치입력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신호로부터 근접 터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그룹에 상기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구동 회로부; 및 상기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그룹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그룹으로부터 상기 감지 신호를 획득하는 감지 회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및 상기 디지털 신호로부터 터치 입력을 판단하는 연산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전극을 포함하는 패널부; 및 소정의 주기로 반복되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으로부터 검출되는 정전용량 변화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을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에 존재하는 사전에 설정되는 복수의 제1 그룹 중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그룹에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하고, 상기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그룹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그룹으로부터 감지 신호를 획득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제1 그룹을 하나의 전극씩 쉬프트하여 설정되는 복수의 제2 그룹 중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그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그룹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그룹으로부터 감지 신호를 획득하며, 상기 사전에 설정되는 복수의 제1 그룹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이웃하는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제1, 2 그룹에 동 위상의 상기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터치 입력의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패널부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전극;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2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을 플로팅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주기로 반복되는 제3 모드 및 제4 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으로부터 검출되는 정전용량 변화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을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에 존재하는 사전에 설정되는 복수의 제3 그룹 중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제3 그룹에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하고, 상기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제3 그룹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3 그룹으로부터 감지 신호를 획득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제3 그룹을 하나의 전극씩 쉬프트하여 설정되는 복수의 제4 그룹 중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제4 그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제4 그룹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4 그룹으로부터 감지 신호를 획득하며, 상기 사전에 설정되는 복수의 제3 그룹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중 이웃하는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제3, 4 그룹에 동 위상의 상기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모드 및 상기 제4 모드에서 상기 터치 입력의 상기 제1 방향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모드 및 상기 제4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을 플로팅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모드는 소정의 주기로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모드에서 획득되는 감지 신호로부터 상기 패널부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입력되는 상기 터치 입력을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전극에서 이웃하는 한 쌍의 전극 중 하나의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나머지 전극으로부터 감지 신호를 획득하여, 호버링(HOVERING) 터치와 같은 근접 터치를 세밀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패널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패널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 터치 모드에서 터치스크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 터치 모드에서 터치스크린 장치의 구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 터치 모드에서 터치스크린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10), 입력부(120), 음성 출력을 위한 오디오부(130) 등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10)와 일체화되어 형성되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 같은 경우 터치스크린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일체화되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터치스크린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하는 화면이 투과할 수 있을 정도로 높은 빛 투과율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터치스크린 장치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sulfone), PI(polyimide), PMMA(PolymethlymethAcrylate), COP (Cyclo-Olefin Polymers) 등의 필름, 소다 글라스(Soda glass), 또는 강화 글라스(tempered glass)와 같은 재질의 투명한 기판에 전기 전도성을 갖는 물질로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전극은 ITO(Indium-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탄소 나노 튜브(CNT, Carbon Nano Tube), 또는 그라핀(Graphene)과 같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Ag, Al, Cr, Ni, Mo, Cu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을 불가시성의 도전체 세선(細線)으로 구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영역에는 투명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전극과 연결되는 배선 패턴이 배치되며, 배선 패턴은 베젤 영역에 의해 시각적으로 차폐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는 정전용량 방식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가정하므로, 소정의 패턴을 갖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극에서 생성되는 정전용량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정전용량 감지 회로와, 정전용량 감지 회로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 디지털 값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판단하는 연산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패널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패널부(200)는 기판(210), 기판(210) 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전극(220, 230)을 포함한다.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복수의 전극(220, 230) 각각은 배선 및 본딩 패드를 통해 기판(210)의 일단에 부착되는 회로 기판의 배선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로 기판에는 컨트롤러 집적회로가 실장되어 복수의 전극(220, 230)에서 생성되는 감지 신호를 검출하고, 그로부터 터치 입력을 판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장치의 경우, 기판(210)은 복수의 전극(220, 230)이 형성되기 위한 투명한 기판일 수 있으며, 이 때, 복수의 전극(220, 230)이 형성되는 영역 이외에 복수의 전극(220, 230)과 연결되는 배선이 마련되는 영역에 대해서는 통상 불투명한 금속 물질로 형성되는 배선을 시각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소정의 인쇄 영역이 기판(210)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220, 230)은 기판(2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도 2에서 마름모, 또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패턴을 갖는 복수의 전극(220, 230)이 도시되었으나, 이 외에 직사각형, 삼각형 등의 다양한 다각형 형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복수의 전극(220, 230)은 X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전극(220)과, Y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전극(230)을 포함한다. 제1 전극(220)과 제2 전극(230)은 기판(210)의 양면에 마련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기판(210)에 마련되어 교차될 수 있으며, 기판(210)의 일면에 모두 마련되는 경우에는 제1 전극(220)과 제2 전극(230)의 교차 지점에 부분적으로 소정의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전극(220, 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장치는, 터치 입력에 의해 복수의 전극(220, 230)에서 생성되는 정전용량 변화를 검출하고 그로부터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제1 전극(220)은 컨트롤러 집적 회로에서 D1~D8로 정의되는 채널에 연결되어 소정의 구동 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으며, 제2 전극(230)은 컨트롤러 집적 회로에서 S1~S8로 정의되는 채널에 연결되어 소정의 구동 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다. 또한, 채널 D1~D8 및 S1~S8은 컨트롤러 집적 회로가 감지 신호를 검출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 집적 회로는 제1 전극(220)과 제2 전극(230) 사이에서 생성되는 정전용량의 변화, 복수의 제1 전극(220) 사이에서 생성되는 정전용량의 변화 및 복수의 제2 전극(230)에서 생성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획득하여 감지신호로써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패널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패널부(200)를 Y-Z 평면으로 잘라서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2에서 설명한 기판(310), 복수의 전극(320, 330) 이외에 접촉을 인가받는 커버 렌즈(340, Cover Len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렌즈(340)는 제2 전극(330) 상에 마련되어 손가락 등의 접촉 물체(350)로부터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다.
제1 전극(320) 및 제2 전극(330)은 전도성 물질로써, 제1 전극(320) 및 제2 전극(330)에 소정의 전압이 가해지게 되면, 제1 전극(320)과 제2 전극(330) 사이, 복수의 제1 전극(320)의 사이, 또는 복수의 제2 전극(330)의 사이에 정전용량이 형성될 수 있는데, 커버 렌즈(340) 위에 또는 근접 영역에 접촉 물체(350)가 존재하는 경우 정전용량에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는 패널부(410), 구동 회로부(420), 감지 회로부(430), 신호 변환부(440), 및 연산부(450)를 포함한다. 구동 회로부(420), 감지 회로부(430), 신호 변환부(440), 및 연산부(450)는 하나의 컨트롤러 집적회로(제어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패널부(410)는 제1 축 - 도 4의 가로 방향 -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전극(X1-Xm)과, 제1축에 교차하는 제2 축 - 도 4의 세로 방향 -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전극(Y1-Yn)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전극(X1-Xm)과 복수의 제2 전극(Y1-Yn)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 정전용량이 형성될 수 있는데, 도 5에서 복수의 제1 전극(X1-Xm)과 복수의 제2 전극 (Y1-Yn)의 교차 지점에서 생성되는 정전용량을 노드 커패시터 C11-Cmn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도 5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복수의 제1 전극(X1-Xm)의 사이와 복수의 제2 전극(Y1-Yn)의 사이에서도 정전용량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동 회로부(420)는 패널부(510)의 복수의 1 전극(X1-Xm) 및 복수의 제2 전극(Y1-Yn)에 소정의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 구동 신호는 소정 주기와 진폭을 갖는 구형파(Square Wave), 사인파(Sine Wave), 삼각파(Triangle Wave) 등일 수 있다. 도 4에는 구동 신호를 생성 및 인가하기 위한 회로가 복수의 제1, 2 전극(X1-Xm, Y1-Yn) 각각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구동 신호 생성 회로를 구비하고 스위칭 회로를 이용하여 복수의 제1 전극 각각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구성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감지 회로부(430)는 복수의 제1, 2 전극(X1-Xm, Y1-Yn)과 연결되어 감지 신호를 전달받고, 이에 기초하여 정전용량 변화를 검출한다. 감지 회로부(430)은 정전용량 변화를 전압으로 검출하기 위한 C-V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일 예로써 C-V 컨버터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증폭기와 소정 용량을 갖는 커패시터 C1를 포함하여, 정전용량 변화를 적분하여 전압 형태의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신호 변환부(440)는 감지 회로부(430)에서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 SD를 생성한다. 일례로, 신호 변환부(440)는 전압 형태로 감지 회로부(430)가 출력하는 아날로그 신호가 소정의 기준 전압 레벨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이를 디지털 신호 SD로 변환하는 TDC(Time-to-Digital Converter) 회로 또는 감지 회로부(430)가 출력하는 아날로그 신호의 레벨이 소정 시간 동안 변화하는 양을 측정하여 이를 디지털 신호 SD로 변환하는 ADC(Analog-to-Digital Converter)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연산부(450)는 디지털 신호 SD를 이용하여 패널부(410)에 인가된 접촉 입력을 판단한다. 디지털 신호 SD를 이용하여 패널부(410)에 인가된 터치 입력의 개수, 좌표, 제스처 동작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서 Tx는 도 4의 구동 회로부(420)에서 생성되는 구동 신호를 나타내며, Rx는 감지 회로부(430)에서 획득되는 감지 신호에 해당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4의 복수의 제1, 2 전극(X1-Xm, Y1-Yn)의 일부만을 도시하였으나, 도 4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 터치 모드에서 터치스크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도이다.
일반 터치 모드에서 구동 회로부(420)는 복수의 제1 전극 X1-X8에 순차적으로 구동 신호 Tx을 인가하고, 감지 회로부(430)는 복수의 제2 전극 Y1-Y8과 연결되어 복수의 제1 전극 X1-X8 및 복수의 제2 전극 Y1-Y8 의 교차 지점에서 형성되는 정전용량에 따른 감지 신호 Rx를 획득한다.
일 예로, 제1 전극 X1에 구동 신호 Tx가 인가되는 경우, 제1 전극 X1과 제2 전극 Y1-Y8의 교차지점에서 정전용량이 형성되는데, 제2 전극은 정전용량에 따른 감지 신호 Rx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위와 달리 복수의 제2 전극 Y1-Y8에 순차적으로 구동 신호 Tx를 인가하고, 복수의 제1 전극 X1-X8으로부터 감지 신호 Rx를 획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 터치 모드에서 터치스크린 장치의 구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도이다. 근접 터치 모드에서 터치스크린 장치는 인접하는 한 쌍의 전극에서 형성되는 복수의 정전용량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을 판단한다.
구동 회로부(420)는 복수의 제1 전극 X1-X8 중 일부에 동시에 구동 신호 Tx를 인가하고, 감지 회로부(430)는 복수의 제1 전극 X1-X8 중 구동 신호 Tx가 인가되지 않은 나머지로부터 감지 신호 Rx를 획득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전극 중 이웃하는 한 쌍의 제1 전극을 하나의 그룹으로 가정하면, 복수의 제1 전극에는 복수의 그룹이 존재하는데, 구동 회로부(420)는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그룹에 동시에 구동 신호 Tx를 인가하고, 감지 회로부(430)는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그룹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그룹으로부터 감지 신호 Rx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복수의 제1 전극 X1-X7 중 전극 X2와 X3를 하나의 그룹으로, 전극 X4와 X5를 하나의 그룹으로, 전극 X6와 X7을 하나의 그룹으로 보고, 전극 X4와 X5에 구동 신호 Tx를 인가하는 경우, 전극 X2, X3, X6 및 X7으로부터 Rx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전극 X2로부터 획득되는 감지신호 Rx는 제1 전극 X1과 X2 사이에서 형성되는 정전용량에 따라 생성될 수 있으며, 제1 전극 X3로부터 획득되는 감지 신호는 제1 전극 X3과 X4 사이에서 형성되는 정전용량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전극 X6로부터 획득되는 감지 신호는 제1 전극 X5와 X6 사이에서 형성되는 정전용량에 따라 생성될 수 있으며, 제1 전극 X7에서 획득되는 감지 신호는 제1 전극 X7과 X8 사이에서 형성되는 정전용량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도 7).
이 때, 구동 회로부(420)에서 생성되는 구동 신호 Tx는 동 위상의 신호일 수 있는데, 인접하는 2개의 제1 전극에 동 위상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양측에 배치되는 제1 전극에서 감지신호를 획득함으로써, 인접하는 2개의 제1 전극에서 출력되는 전기장(electric field)이 중첩되지 않아 터치 입력을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 터치 모드에서 터치스크린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는 도 8(a) 내지 (d)와 같은 모드로 순차적으로 또는 순서를 변경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 하, 설명의 편의상 도 8(a) 내지 (d)를 각각 제1 내지 제4 모드로 지칭하도록 한다.
도 8(a)와 같은 방식으로 구동 신호 Tx를 인가하고, 감지 신호 Rx를 획득하는 경우, 제1 전극 X4와 X5의 사이와 같이 구동 신호 Tx가 인가되는 인접하는 한 쌍의 제1 전극의 사이 및 제1 전극 X6와 X7의 사이와 같이 감지 신호 Rx가 획득되는 인접하는 한 쌍의 제1 전극 사이에 입력되는 터치를 판단할 수 없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시간 동안 제1 모드로 동작한 후, 제2 모드로 전환하여 도 8(b)와 같이 구동 신호 Tx가 인가되는 전극 및 감지 신호 Rx가 획득되는 전극을 하나씩 쉬프트한다. 이로써, 모든 제1 전극 사이에 입력되는 터치를 세밀하게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제1 모드와 제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연산부(450)는 입력되는 터치의 제2 방향 - 복수의 제2 전극이 연장되는 방향 - 의 위치는 판단할 수 있으나, 제1 방향 - 복수의 제1 전극이 연장되는 방향 - 의 위치는 판단할 수 없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이 후에, 제3 모드 및 제4 모드로 순차적으로 전환되어 각각 도 8(c) 및 도 8(d)와 같이 동작하게 되는데, 이로써 입력되는 터치의 제1 방향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서 복수의 제2 전극은 플로팅 상태이고, 제3 모드 및 제4 모드에서 복수의 제1 전극은 플로팅 상태일 수 있는데, 구동 및 감지되지 않는 전극을 플로팅 상태로 유지하여 출력되는 전기장(electric field)을 넓게 형성할 수 있고 이로써 근접 터치를 더욱 세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410: 패널부
420: 구동 회로부
430: 감지 회로부
440: 신호 변환부
450: 연산부

Claims (17)

  1.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패널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에 존재하는 사전에 설정되는 복수의 그룹 중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그룹에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하고, 상기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그룹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그룹으로부터 감지 신호를 획득하여 터치 입력을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사전에 설정되는 복수의 그룹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이웃하는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그룹에 동 위상의 상기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을 플로팅(floating) 상태로 유지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신호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의 상기 제2 방향의 위치를 판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신호로부터 상기 패널부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입력되는 상기 터치입력을 판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그룹에 상기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하는 구동 회로부; 및
    상기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그룹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그룹으로부터 상기 감지 신호를 획득하는 감지 회로부; 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및
    상기 디지털 신호로부터 터치 입력을 판단하는 연산부; 를 더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8.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전극을 포함하는 패널부; 및
    소정의 주기로 반복되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으로부터 검출되는 정전용량 변화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을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에 존재하는 사전에 설정되는 복수의 제1 그룹 중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그룹에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하고, 상기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그룹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그룹으로부터 감지 신호를 획득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제1 그룹을 하나의 전극씩 쉬프트하여 설정되는 복수의 제2 그룹 중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그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그룹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그룹으로부터 감지 신호를 획득하며,
    상기 사전에 설정되는 복수의 제1 그룹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이웃하는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제1, 2 그룹에 동 위상의 상기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터치 입력의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의 위치를 판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전극;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2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을 플로팅 상태로 유지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주기로 반복되는 제3 모드 및 제4 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으로부터 검출되는 정전용량 변화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을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에 존재하는 사전에 설정되는 복수의 제3 그룹 중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제3 그룹에 구동 신호를 동시에 인가하고, 상기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제3 그룹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3 그룹으로부터 감지 신호를 획득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제3 그룹을 하나의 전극씩 쉬프트하여 설정되는 복수의 제4 그룹 중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제4 그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제4 그룹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4 그룹으로부터 감지 신호를 획득하며,
    상기 사전에 설정되는 복수의 제3 그룹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중 이웃하는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제3, 4 그룹에 동 위상의 상기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모드 및 상기 제4 모드에서 상기 터치 입력의 상기 제1 방향의 위치를 판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모드 및 상기 제4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을 플로팅 상태로 유지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모드는 소정의 주기로 반복되는 터치스크린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모드에서 획득되는 감지 신호로부터 상기 패널부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입력되는 상기 터치 입력을 판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KR1020130147662A 2013-11-29 2013-11-29 터치스크린 장치 KR20150062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662A KR20150062714A (ko) 2013-11-29 2013-11-29 터치스크린 장치
US14/162,935 US20150153869A1 (en) 2013-11-29 2014-01-24 Touchscree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662A KR20150062714A (ko) 2013-11-29 2013-11-29 터치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714A true KR20150062714A (ko) 2015-06-08

Family

ID=53265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662A KR20150062714A (ko) 2013-11-29 2013-11-29 터치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153869A1 (ko)
KR (1) KR201500627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829A1 (ko) * 2015-09-09 2017-03-16 주식회사 하이딥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터치 압력 검출 가능한 터치 입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8091B2 (en) 2015-06-03 2018-02-20 Oculus Vr, Llc Virtual reality system with head-mounted display, camera and hand-held controllers
US9999833B2 (en) * 2015-06-11 2018-06-19 Oculus Vr, Llc Hand-held controllers with capacitive touch sensors for virtual-reality systems
US9870052B2 (en) 2015-06-11 2018-01-16 Oculus Vr, Llc Hand-held controller with pressure-sensing switch for virtual-reality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947030A (en) * 2008-05-13 2009-11-16 Tpk Touch Solutions Inc Capacitive touch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US9477356B2 (en) * 2013-06-19 2016-10-2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to drive touch panel to measure hov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829A1 (ko) * 2015-09-09 2017-03-16 주식회사 하이딥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터치 압력 검출 가능한 터치 입력 장치
US10459560B2 (en) 2015-09-09 2019-10-29 Hideep Inc. Touch input device capable of detecting touch pressure and comprising display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53869A1 (en) 2015-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4522B1 (ko) 접촉 감지 장치 및 터치스크린 장치
KR101339570B1 (ko) 터치 감지 방법 및 장치
KR101452042B1 (ko) 터치스크린 패널 및 터치스크린 장치
US9851850B2 (en) Touch panel and touchscreen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389735B2 (en) Touch sensing device and touchscreen device
US20140160038A1 (en) Touch sensing method and touch sensing apparatus
US20150153870A1 (en) Touchscreen device and method of sensing touch
KR101452097B1 (ko) 터치스크린 장치
US20140146000A1 (en) Touch sensing device and touchscreen device
US20140035653A1 (en) Capacitance sensing device and touchscreen
KR20130056081A (ko) 접촉 감지 장치 및 접촉 감지 방법
KR20140021255A (ko) 터치스크린 패널 및 터치스크린 장치
KR101434004B1 (ko) 접촉 감지 장치 및 접촉 감지 방법
KR101525674B1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388699B1 (ko) 터치 감지 방법 및 터치 감지 장치
KR101339490B1 (ko) 접촉 감지 장치 및 접촉 감지 방법
KR101512571B1 (ko) 접촉 감지 장치 및 터치스크린 장치
KR20150062714A (ko) 터치스크린 장치
KR20150103455A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 감지 방법
KR20140086477A (ko) 터치 감지 장치
KR101512568B1 (ko)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US20140168112A1 (en) Touch sensing method and touch sensing apparatus
KR20150006328A (ko) 터치스크린 장치
KR101444533B1 (ko) 터치스크린 패널 및 터치스크린 장치
KR101504031B1 (ko) 터치스크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