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0607A - Nonwoven cloth - Google Patents

Nonwoven clo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0607A
KR20150060607A KR1020147035238A KR20147035238A KR20150060607A KR 20150060607 A KR20150060607 A KR 20150060607A KR 1020147035238 A KR1020147035238 A KR 1020147035238A KR 20147035238 A KR20147035238 A KR 20147035238A KR 20150060607 A KR20150060607 A KR 20150060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heat
heating chamber
sealable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52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17135B1 (en
Inventor
쥰 오쿠다
사토시 미츠노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60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6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1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2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sheath-cor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D04H3/0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in rectilinear paths, e.g. crossing at right ang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4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side-by-sid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6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sea-isla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8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37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a monofilament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향상된 유연성과, 충분한 두께 및 비용적을 겸비한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로 교차하여 중첩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F1, F2)와, 교차 영역(R1)에서 열융착성 복합 섬유(F1, F2)를 열융착하는 잘록형 열융착부(B1)를 갖는 부직포로서, 잘록형 열융착부(B1)가, 교차 영역(R1)의 중심(P1)을 지나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중첩 방향(Z1)으로 연장되는 중심선(A1)을 향해 오목형의 표면을 갖고, 열융착성 복합 섬유(F1, F2) 사이의 거리가, 각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섬유 반경의 합보다 크고, 3.0 gf/cm2 하중하의 두께가 0.5∼3.0 mm이고, 비용적이 6∼300 cm3/g인 부직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nwoven fabric having improved flexibility and a sufficient thickness and a cost reduction.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nwoven fabric comprising thermally fusible composite fibers (F1, F2) Bonded thermally fused portion B1 is a nonwoven fabric having a constricted thermally fused portion B1 for thermally fusing the thermally fusible conjugate fibers F1 and F2 in the cross region R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F1, F2) is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F1, F2) A thickness of 0.5 to 3.0 mm under a load of 3.0 gf / cm < 2 >, and a cost of 6 to 300 cm < 3 > / g.

Description

부직포{NONWOVEN CLOTH}Nonwoven {NONWOVEN CLOTH}

본 발명은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woven fabric.

일회용 기저귀,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톱시트 등의 구성 부재로서 이용되는 부직포는, 통상, 띠형으로 형성되고, 롤의 형태로 감겨 보관되고, 사용시에 롤에서 풀린다.BACKGROUND ART [0002] In an absorbent article such as a disposable diaper or a sanitary napkin, a nonwoven fabric used as a constituent member of a top sheet or the like is usually formed in a band shape, wound and stored in the form of a roll, and unwound from the roll at the time of use.

부직포가 롤의 형태로 감기면, 부직포가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어 부직포의 부피(두께)가 감소하고, 부직포의 부피의 감소에 기인하여, 부직포의 흡액 속도가 저하됨과 동시에, 유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If the nonwoven fabric is rolled in the form of a roll, the nonwoven fabric is compr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o reduce the volume (thickness) of the nonwoven fabric, and the volume of the nonwoven fabric is reduced, have.

부피가 감소한 부직포의 부피 회복 방법으로서, 부직포에 열풍을 에어스루 방식으로 분무하여, 부직포의 부피를 회복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이 방법에서는, 열풍이 부직포의 두께 방향으로(부직포에 대하여 수직으로) 분무된다.As a method for recovering the volume of the nonwoven fabric reduced in volume, there is known a method of restoring the volume of the nonwoven fabric by spraying hot air on the nonwoven fabric by the air through method (Patent Document 1). In this method, hot air is spray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perpendicular to the nonwoven fabric).

한편, 부직포의 제조방법으로서, 섬유 집합체에 수증기류를 분무하여, 섬유 집합체를 부직포화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이 방법에서는, 수증기류가 섬유 집합체의 두께 방향으로(섬유 집합체에 대하여 수직으로) 가해지고, 그 결과, 섬유가 이격되고, 섬유 사이에 가교 구조(특허문헌 2의 도 4)가 형성된다. 그리고, 섬유 사이에 형성된 가교 구조에 의해, 부직포의 유연성의 향상이 도모된다.On the other hand, as a method for producing a nonwoven fabric, there is known a method in which water vapor is sprayed on a fibrous aggregate to convert the fibrous aggregate into a nonwoven fabric (Patent Document 2). In this method, water vapor is appli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ber aggregate (perpendicular to the fiber aggregate), and as a result, the fibers are spaced apart and a crosslinked structure (Fig. 4 of Patent Document 2) is formed between the fibers. Further, the flexibility of the nonwoven fabric can be improved by the crosslinked structure formed between the fibers.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37655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137655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9-62650호 공보Patent Document 2: JP-A-2009-62650

그러나,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열풍 또는 수증기류에 의해 부직포 또는 섬유 집합체의 두께 방향으로(즉, 두께가 증가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향상된 유연성과, 충분한 두께 및 비용적을 겸비한 부직포를 제조하는 것이 곤란했다.However, in the method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1 and 2, since the pressure is appli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or the fiber aggregate (that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hickness increasing direction) by the hot air or steam, It has been difficult to produce a nonwoven fabric having both thickness and cost.

그래서, 본 발명은, 향상된 유연성과, 충분한 두께 및 비용적을 겸비한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nwoven fabric having enhanced flexibility and sufficient thickness and cos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로 교차하여 중첩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와, 상기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교차 영역에서 상기 열융착성 복합 섬유를 열융착하는 잘록형 열융착부를 갖는 부직포로서, 상기 잘록형 열융착부가, 상기 교차 영역의 중심을 지나 상기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중첩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을 중심선으로 했을 때, 상기 중심선을 향해 오목형의 표면을 갖고, 상기 잘록형 열융착부에 의해 열융착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 사이의 거리가, 각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섬유 반경의 합보다 크고, 3.0 gf/cm2 하중하의 두께가 0.5∼3.0 mm이고, 비용적이 6∼300 cm3/g인, 상기 부직포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nwoven fabric comprising: a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which is crossed and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a thermally fusible portion which thermally fuses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in the crossing region of the heat- Wherein the constricted thermally fused portion has a concave surface toward the center line when an imaginary line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crossing region and extending in the overlapping direction of the thermofusible composite fibers is taken as a center line, The distance between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thermally fused by the heat-sealable portion is larger than the sum of the fiber radii of the heat-sealable composite fibers, the thickness under the load of 3.0 gf / cm 2 is 0.5 to 3.0 mm, To 300 cm < 3 > / g.

본 발명에 관련된 부직포의 바람직한 양태(양태 1)에서는, 상기 부직포가, 서로 교차하여 중첩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를 상기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교차 영역에서 열융착하는 열융착부를 다수 갖고, 상기 부직포의 일정 영역 내에 포함되는 상기 열융착부의 총수 중 상기 잘록형 열융착부의 수의 비율이 1/10∼9/10이다.In a preferred embodiment (mode 1) of the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woven fabric has a plurality of thermally fusible portions for thermally fusing the heat-fusible conjugate fibers crossing each other at an intersection region of the heat-fusible conjugate fibers, The ratio of the number of the constricted thermally fused portions to the total number of the thermally fused portions contained in a certain region of the thermally fused portion is 1/10 to 9/10.

본 발명에 관련된 부직포의 바람직한 양태(양태 2)에서는, 상기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섬유 직경이 10∼30 ㎛이다. 양태 2는, 양태 1과 조합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mode 2) of the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ber diameter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is 10 to 30 mu m. Mode 2 can be combined with Mode 1.

본 발명에 관련된 부직포의 바람직한 양태(양태 3)에서는, 상기 열융착성 복합 섬유가, 제1 성분과, 제1 성분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제2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성분에 대한 상기 제2 성분의 질량비(제2 성분/제1 성분)가 4/6∼8/2이다. 양태 3은, 양태 1 및/또는 양태 2와 조합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Embodiment 3) of the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comprises a first component and a second component having a melting point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component, The mass ratio of the two components (second component / first component) is from 4/6 to 8/2. Mode 3 can be combined with Mode 1 and / or Mode 2.

본 발명에 관련된 부직포의 바람직한 양태(양태 4)에서는, 상기 부직포가, 열융착한 열융착성 복합 섬유를 함유하는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를 부피 회복 처리하여 얻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부피 회복 처리가, 입구 및 출구를 갖는 가열실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가열실 내에 들어가고, 상기 가열실 내를 진행한 후에, 상기 출구를 통해 상기 가열실로부터 나가도록 상기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를 반송하면서, 상기 입구 및 상기 출구의 한쪽을 통해 상기 가열실 내에 들어가고, 상기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에 접촉하면서 상기 가열실 내를 진행한 후에, 상기 입구 및 상기 출구의 다른쪽을 통해 상기 가열실 안으로부터 나가도록, 가열된 유체를, 상기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의 반송 속도보다 높은 속도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양태 4는, 양태 1∼3 중 1 또는 2 이상의 양태와 조합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Embodiment 4) of the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woven fabric is obtained by subjecting the nonwoven fabric before heat recovery to volume recovery to a volume containing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heating chamber, the nonwoven fabric before the volume recovery is conveyed so as to go out of the heating chamber through the outlet after advancing in the heating chamber, And a heating device for heating the heating chamber so as to exit from the heating chamber through the inlet and the other of the outlet after advancing in the heating chamber while contacting the nonwoven fabric before the volume recovery, And supplying the fluid at a higher rate than the conveying speed of the nonwoven fabric before recovering the volume. Embodiment 4 can be combined with one or two or more aspects of Embodiments 1 to 3.

양태 4에 관련된 부직포의 바람직한 양태(양태 5)에서는, 상기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가, 열융착성 복합 섬유를 함유하는 웹을 에어스루 처리하여 상기 열융착성 복합 섬유를 열융착시킨 에어스루 부직포이다.In a preferred embodiment (Mode 5) of the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the nonwoven fabric before the volume recovery is an air-through nonwoven fabric obtained by air-through treating the web containing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and thermally fusing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양태 4 또는 양태 5에 관련된 부직포의 바람직한 양태(양태 6)에서는, 상기 가열된 유체가,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가열실 내에 들어가고, 상기 출구를 통해 상기 가열실로부터 나간다. 양태 6은, 양태 4 및/또는 양태 5와 조합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Embodiment 6) of the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Mode 4 or Mode 5, the heated fluid enters the heating chamber through the inlet and exits the heating chamber through the outlet. Mode 6 can be combined with Mode 4 and / or Mode 5.

양태 4∼양태 6 중 어느 일양태에 관련된 부직포의 바람직한 양태(양태 7)에서는, 상기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가 상기 가열실 내에서 지지되지 않고 반송된다. 양태 7은, 양태 4∼양태 6 중 1 또는 2 이상의 양태와 조합할 수 있다.In a preferred mode (mode 7) of the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any one of modes 4 to 6, the nonwoven fabric before the volume recovery is conveyed without being supported in the heating chamber. Embodiment 7 can be combined with one or two or more aspects of Embodiments 4 to 6. [

양태 4∼양태 7 중 어느 일양태에 관련된 부직포의 바람직한 양태(양태 8)에서는, 상기 가열실이, 상기 입구부터 상기 출구까지, 서로 간격을 두고 펼쳐지는 2개의 격벽에 의해 획정되어 있고, 이들 격벽에 상기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의 양면이 각각 계속해서 대면하도록 상기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가 상기 가열실 내에서 반송된다. 양태 8은, 양태 4∼양태 7 중 1 또는 2 이상의 양태와 조합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mode 8) of the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any one of modes 4 to 7, the heating chamber is defined by two partitions extending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at intervals, The nonwoven fabric before the volume recovery is conveyed in the heating chamber so that both surfaces of the nonwoven fabric before the volume recovery continue to face each other. The mode 8 can be combined with one or two or more aspects of the modes 4 to 7.

본 발명에 의해, 향상된 유연성과, 충분한 두께 및 비용적을 겸비한 부직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onwoven fabric having enhanced flexibility, sufficient thickness and cost reduction.

도 1의 (a)는, 서로 교차하여 중첩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 중 한쪽을 상측에, 다른쪽을 하측에 위치시켜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평면도이고, 도 1의 (b)는, 도 1의 (a)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서로 교차하여 중첩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 중 한쪽을 상측에, 다른쪽을 하측에 위치시켜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평면도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일실시형태에 관련된 부피 회복 장치의 전체도이다.
도 4는, 가열실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가열실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부피 회복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부피 회복 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비교예의 부피 회복 장치의 전체도이다.
도 9의 (a)∼(c)는, 부피 회복 전(부피 회복 장치 반입 전)의 부직포의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10의 (a)∼(c)는, 실시예 1의 조건으로 부피 회복 처리된 부직포의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11의 (a)∼(c)는, 실시예 2의 조건으로 부피 회복 처리된 부직포의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12의 (a)∼(c)는, 비교예 1의 조건으로 부피 회복 처리된 부직포의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13의 (a)∼(c)는, 비교예 2의 조건으로 부피 회복 처리된 부직포의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14의 (a)∼(c)는, 비교예 3의 조건으로 부피 회복 처리된 부직포의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Fig. 1 (a) is a plan view of one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crossing and overlapping with each other on the upper side and the other side on the lower side, and Fig. 1 (b) (a)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Fig. 2 (a) is a plan view of one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crossed and overlapped with each other on the upper side and the other side on the lower side, and Fig. 2 (b) (a) taken along the line II-II in Fig.
3 is an overall view of a volum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4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the heating chamber.
5 is a sectional view of the heating chamber.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olume recovery device.
7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volume recovery device.
8 is an overall view of a volume recovery device of a comparative example.
9 (a) to 9 (c) are electron micrographs of the nonwoven fabric before volume recovery (before bringing in the volume recovery device).
10 (a) to (c) are electron micrographs of the nonwoven fabric subjected to volume recovery treatment under the conditions of Example 1.
11 (a) to (c) are electron micrographs of the nonwoven fabric subjected to volume restoration treatment under the conditions of Example 2.
Figs. 12 (a) to 12 (c) are electron micrographs of the nonwoven fabric subjected to volume recovery treatment under the conditions of Comparative Example 1. Fig.
Figs. 13 (a) to 13 (c) are electron micrographs of nonwoven fabric subjected to volume recovery treatment under the conditions of Comparative Example 2. Fig.
Figs. 14 (a) to 14 (c) are electron micrographs of nonwoven fabrics subjected to volume recovery treatment under the conditions of Comparative Example 3. Fig.

이하, 본 발명의 부직포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부직포는, 서로 교차하여 중첩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와,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교차 영역에서 열융착성 복합 섬유를 열융착하는 잘록형 열융착부를 갖는다.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rmally fusible conjugate fibers overlapping each other and constricted thermally fusible portions for thermally fusing the heat-fusible conjugate fibers in the crossing region of the heat-fusible conjugate fibers.

본 발명의 부직포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가 잘록형 열융착부에 의해 열융착되어 있기 때문에, 향상된 유연성을 갖는다. 부직포의 유연성은, 예컨대, 부직포의 압축 특성에 기초하여 평가할 수 있다. 부직포의 압축 특성으로는, 예컨대, KES 압축 시험으로 측정되는, 부직포 1 cm2당 압축 에너지 WC(N·m/m2)와, 압축 레질리언스 RC(%)를 들 수 있다. WC 값은 압축 변형성을 나타내고, WC 값이 클수록 압축 변형성이 높다. 또한, RC 값은, 압축 회복성을 나타내고, RC 값이 100%에 가까울수록 압축 회복성이 높다. KES 압축 시험에는, 예컨대, 카토테크 주식회사 제조, 자동화 압축 시험기 KES-FB3을 사용할 수 있다. WC 값은, 바람직하게는 0.5 N·m/m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N·m/m2 이상이다. RC 값은,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다.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improved flexibility because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are thermally fused by the constricted heat-sealed portion. The flexibility of the nonwoven fabric can be evaluated based on the compression characteristics of the nonwoven fabric, for example. The compression properties of the nonwoven fabric include, for example, compression energy WC (Nm / m 2 ) per 1 cm 2 of nonwoven fabric and compression resistance RC (%), as measured by KES compression test. The WC value shows the compression deformation, and the larger the WC value, the higher the compression deformation. In addition, the RC value shows the compressibility recoverability, and the closer the RC value is to 100%, the higher the compressibility recoverability. For the KES compression test, for example, an automated compression tester KES-FB3 manufactured by Kato Tech Co., Ltd. can be used. The WC value is preferably 0.5 N · m / m 2 or more, more preferably 1.0 N · m / m 2 or more. The RC value is preferably 30% or more, and more preferably 40% or more.

본 발명의 부직포에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교차 영역이 다수 포함되지만, 모든 교차 영역에서 열융착성 복합 섬유가 열융착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일부의 교차 영역에서 열융착성 복합 섬유가 열융착되어 있으면 된다.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rossing regions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but it is not necessary that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are thermally fused in all the crossing regions, and the heat- .

본 발명의 부직포에 있어서,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교차 영역은, 서로 교차하여 중첩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 중 한쪽을 상측에, 다른쪽을 하측에 위치시켰을 때, 평면에서 보아 열융착성 복합 섬유가 서로 중첩되는 영역이고(도 1의 (a) 참조), 단면에서 보아 열융착성 복합 섬유 사이를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중첩 방향(상하 방향)으로 넓어지는 영역이다(도 1의 (b) 참조).In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is such that when one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crossing and overlapping is placed on the upper side and the other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See Fig. 1 (a)), and the region between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in the cross section is widened in the overlapping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Fig. Reference).

본 발명의 부직포에는, 서로 교차하여 중첩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를 교차 영역에서 열융착하는 열융착부가 다수 포함된다. 열융착부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교차 영역의 내측에 존재하는 부분을 포함하지만, 그 전체가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교차 영역의 내측에 존재할 필요는 없고,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교차 영역의 외측까지 넓어지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thermally fusible portions for thermally fusing thermally fusible conjugate fibers crossing and overlapping in the crossing region. The heat-sealable portion includes a portion existing inside the crossing region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but the whole does not need to be present inside the crossing region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and the cross- And may include a portion extending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부직포에 포함되는 다수의 열융착부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잘록형 열융착부이다. 본 발명의 부직포의 일정 영역 내에 포함되는 열융착부의 총수 중 잘록형 열융착부의 수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10∼9/10, 더욱 바람직하게는 2/8∼8/10이다. 열융착부의 총수 중 잘록형 열융착부의 수의 비율은, 예컨대, 부직포를 주사형 전자 현미경 등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현미경 시야 내의 열융착부의 총수 및 잘록형 열융착부의 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관찰시의 현미경의 확대 배율은, 통상 100∼500배, 바람직하게는 200∼400배이다.Some or all of the plurality of heat-sealed portions included in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stricted heat-sealed portions. The ratio of the number of thixotropic heat-sealable portions in the total number of thermally fused portions contained in a certain region of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10 to 9/10, more preferably 2/8 to 8/10 / 10. The ratio of the number of the constricted thermally fused portions in the total number of thermally fused portions can be calculated, for example, by observing the nonwoven fabric with a microscope such a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counting the total number of thermally fused portions in the microscopic field and the number of narrowed thermally fused portions have. The magnification of the microscope at the time of observation is usually 100 to 500 times, preferably 200 to 400 times.

잘록형 열융착부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교차 영역의 중심을 지나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중첩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을 중심선으로 했을 때, 중심선을 향해 오목형의 표면을 갖는다.The thixotropic heat-sealable portion has a concave surface toward the center line when the imaginary line extending in the overlapping direction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beyond the center of the crossing region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is taken as the center line.

이하, 수직으로 교차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를 예로서, 잘록형 열융착부의 일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 설명의 편의상,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교차 각도를 수직으로 했지만,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교차 각도는 수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constricted thermally fused portion will be described, taking thermally fusible conjugate fibers that cross vertically as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rossing angle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is set to be vertical, but the crossing angle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is not limited to vertical.

도 1의 (a)는, 서로 교차하여 중첩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F1, F2) 중, 열융착성 복합 섬유(F1)를 상측에, 열융착성 복합 섬유(F2)를 하측에 위치시켜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1의 (b)는, 도 1의 (a)의 I-I선 단면도이다. 또, 도 1의 (a)의 I-I선의 방향은 열융착성 복합 섬유(F2)의 축선(L2)의 방향과 일치한다.1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F1 and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F2 which are plac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respectively, of the heat- And is a plan view when viewed from a plane. 1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in Fig. 1 (a). The direction of the line I-I in Fig. 1 (a)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of the axis L2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F2.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융착성 복합 섬유(F1)는 축선(L1)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열융착성 복합 섬유(F2)는 축선(L2)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열융착성 복합 섬유(F1, F2)는 수직으로 교차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a),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F1 extends along the axis L1,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F2 extends along the axis L2,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F1 and F2 cross vertically.

도 1의 (a)에 있어서, 축선(L1) 및 축선(L2)은 직선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직선에 한정되지 않고, 곡선이어도 좋다. 다만, 열융착성 복합 섬유(F1, F2)가 교차하는 미소한 부분을 상정한 경우,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선(L1) 및 축선(L2)은 대략 직선에 근사할 수 있다.1 (a), the axis L1 and the axis L2 are shown as straight lines, but they are not limited to straight lines and may be curved lines. 1 (a), the axial line L1 and the axial line L2 are approximate to a straight line when a minute portion in which the heat-fusible conjugate fibers F1 and F2 intersect is assumed .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융착성 복합 섬유(F1, F2)의 교차 영역(R1)은, 평면에서 보아 열융착성 복합 섬유(F1, F2)가 중첩되는 영역이고, 단면에서 보아 열융착성 복합 섬유(F1, F2) 사이를 열융착성 복합 섬유(F1, F2)의 중첩 방향(Z1)(상하 방향)으로 넓어지는 영역이다.As shown in Figs. 1 (a) and 1 (b), the cross-sectional area R1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F1 and F2 is such that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F1 and F2 overlap each other And is a region extending in the overlapping direction Z1 (vertical direction)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F1 and F2 between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F1 and F2 in cross section.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 영역(R1)의 중심(P1)은, 평면에서 보아 축선(L1, L2)의 교점과 일치한다.As shown in Fig. 1 (a), the center P1 of the intersecting region R1 coincides with the intersection of the axial lines L1 and L2 as seen from the plane.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융착성 복합 섬유(F1, F2)는, 교차 영역(R1)에서, 잘록형 열융착부(B1)에 의해 열융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잘록형 열융착부(B1)는, 그 전체가 교차 영역(R1)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지만, 교차 영역(R1)의 외측까지 넓어지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As shown in Fig. 1 (b),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F1 and F2 are thermally fused by the constricted heat-sealed portion B1 in the crossing region R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stricted thermally fused portion B1 is entirely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ross region R1, but may include a portion extending to the outer side of the cross region R1.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잘록형 열융착부(B1)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F1, F2)의 교차 영역(R1)의 중심(P1)을 지나 열융착성 복합 섬유(F1, F2)의 중첩 방향(Z1)(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을 중심선(A1)으로 했을 때, 중심선(A1)을 향해 오목형의 표면을 갖는다. 또, 중심선(A1)은, 열융착성 복합 섬유(F1, F2)의 교차 영역(R1)에서, 열융착성 복합 섬유(F1)의 축선(L1)으로부터 열융착성 복합 섬유(F2)의 축선(L2)에 그은 수선과 일치한다.As shown in Fig. 1 (b), the constricted thermally fused portion B1 passes through the center P1 of the cross region R1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F1 and F2, Has a concave surface toward the center line A1 when the imaginary line extending in the overlapping direction Z1 (vertical direction) of the center lines A1 and F1 is defined as the center line A1. The center line A1 is defined by the axis L1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F1 at the intersection R1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F1 and F2, (L2).

잘록형 열융착부(B1)의 외주면은, 그 일부가 중심선(A1)을 향해 오목형으로 되어 있어도 좋지만, 그 대략 전체가 중심선(A1)을 향해 오목형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잘록형 열융착부(B1)의 외주면에는, 잔금이 발생되어 있는 부분이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stricted heat-welded portion B1 may be partially recessed toward the center line A1, but it is preferable that substantially all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concave toward the center line A1. A portion where a residue is generated may be present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stricted heat-sealed portion B1.

본 발명의 부직포에 있어서, 잘록형 열융착부에 의해 열융착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 사이의 거리는, 각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섬유 반경의 합보다 크다. 잘록형 열융착부에 의해 열융착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 사이의 거리가 커질수록, 잘록형 열융착부에 의한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접합 강도가 감소하고, 부직포의 유연성이 향상된다. 또한, 잘록형 열융착부에 의해 열융착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 사이의 거리가 커질수록, 부직포의 두께 및 비용적(공극률)이 증가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잘록형 열융착부(B1)에 의해 열융착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F1, F2) 사이의 거리(r3)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F1, F2)의 섬유 반경의 합(r1+r2)보다 커져 있다.In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thermally fused by the constricted thermally fused portions is larger than the sum of the fiber radii of the respectiv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that are thermally fused by the narrowed heat-welded portion increases, the bond strength of the heat-sealable composite fibers by the narrowed heat-sealed portion decreases and the flexibility of the nonwoven is improved. Further, the greater the distance between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to be thermally fused by the constricted thermally fused portion, the greater the thickness and cost (porosity) of the nonwoven fabric. In the above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b), the distance r3 between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F1 and F2 which are thermally fused by the constricted heat- Is larger than the sum (r1 + r2) of the fiber radii of the conjugate fibers (F1, F2).

본 발명의 부직포에 포함되는 잘록형 열융착부 이외의 열융착부로는, 예컨대,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교차 영역의 중심을 지나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중첩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을 중심선으로 했을 때, 중심선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볼록형의 표면을 갖는 팽출형 열융착부를 들 수 있다.The thermally fusible part other than the constricted thermally fused part included in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thermally fusible part other than the constricted thermally fused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hypothetical line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superposition of the heat- , A bulging-type thermally fused portion having a convex surface toward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line can be cited.

이하, 수직으로 교차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를 예로서, 팽출형 열융착부의 일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 설명의 편의상,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교차 각도를 수직으로 했지만,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교차 각도는 수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a bulging-type heat-sealed portion will be described, taking as an example the vertically cross-linked thermally fusible conjugate fib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rossing angle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is set to be vertical, but the crossing angle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is not limited to vertical.

도 2의 (a)는, 서로 교차하여 중첩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F3, F4) 중, 열융착성 복합 섬유(F3)를 상측에, 열융착성 복합 섬유(F4)를 하측에 위치시켜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2의 (b)는, 도 2의 (a)의 II-II선 단면도이다. 또, 도 2의 (a)의 II-II선의 방향은 열융착성 복합 섬유(F4)의 축선(L4)의 방향과 일치한다.2 (a) shows a case where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F3 is placed on the upper side and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F4 is placed on the lower side among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F3 and F4 which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is a plan view when viewed from a plane. Fig. 2 (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in Fig. 2 (a). The direction of the line II-II in Fig. 2 (a)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of the axis L4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F4.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융착성 복합 섬유(F3)는 축선(L3)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열융착성 복합 섬유(F4)는 축선(L4)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열융착성 복합 섬유(F3, F4)는 수직으로 교차하고 있다.2 (a),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F3 extends along the axis L3,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F4 extends along the axis L4,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F3 and F4 cross vertically.

도 2의 (a)에 있어서, 축선(L3) 및 축선(L4)은 직선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직선에 한정되지 않고, 곡선이어도 좋다. 다만, 열융착성 복합 섬유(F3, F4)가 교차하는 미소한 부분을 상정한 경우,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선(L3) 및 축선(L4)은 대략 직선에 근사할 수 있다.2 (a), the axis L3 and the axis L4 are shown as straight lines, but they are not limited to straight lines and may be curved lines. 2 (a), the axial line L3 and the axial line L4 are approximate to a straight line when a minute portion where the heat-fusible conjugate fibers F3 and F4 intersect is assumed .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융착성 복합 섬유(F3, F4)의 교차 영역(R2)은, 평면에서 보아 열융착성 복합 섬유(F3, F4)가 서로 중첩되는 영역이고, 단면에서 보아 열융착성 복합 섬유(F3, F4) 사이를 열융착성 복합 섬유(F3, F4)의 중첩 방향(Z2)(상하 방향)으로 넓어지는 영역이다.2 (a) and 2 (b), the cross-sectional area R2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F3 and F4 is such that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F3 and F4 overlap each other And is a region extending in the overlapping direction Z2 (vertical direction)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F3 and F4 between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F3 and F4 in cross section.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 영역(R2)의 중심(P2)은, 평면에서 보아 축선(L3, L4)의 교점과 일치한다.As shown in Fig. 2 (a), the center P2 of the intersection area R2 coincides with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axial lines L3 and L4 in plan view.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융착성 복합 섬유(F3, F4)는, 교차 영역(R2)에서, 팽출형 열융착부(B2)에 의해 열융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팽출형 열융착부(B2)는, 교차 영역(R2)의 내측에 존재하는 부분과, 교차 영역(R2)의 외측까지 넓어지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지만, 그 전체가 교차 영역(R2)의 내측에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As shown in Fig. 2 (b),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F3 and F4 are thermally fused by the bulging-type heat-sealed portion B2 in the cross region R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ulging-type heat-welded portion B2 includes a portion existing inside the crossing region R2 and a portion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crossing region R2. However, Or may be present inside the second electrode R2.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출형 열융착부(B2)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F3, F4)의 교차 영역(R2)의 중심(P2)을 지나 열융착성 복합 섬유(F3, F4)의 중첩 방향(Z2)(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을 중심선(A2)으로 했을 때, 중심선(A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볼록형의 표면을 갖는다. 또, 중심선(A2)은, 열융착성 복합 섬유(F3, F4)의 교차 영역(R2)에서, 열융착성 복합 섬유(F3)의 축선(L3)으로부터 열융착성 복합 섬유(F4)의 축선(L4)에 그은 수선과 일치한다.As shown in Fig. 2 (b), the bulging-type heat-welded portion B2 passes through the center P2 of the cross region R2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F3 and F4, Has a convex surface facing toward the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line A2 when the imaginary line extending in the overlapping direction Z2 (vertical direction) of the center lines A2, F3 and F4 is taken as the center line A2. The center line A2 is formed so as to extend from the axis L3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F3 to the axis F4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F4 in the crossing region R2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F3 and F4, (L4).

팽출형 열융착부(B2)의 외주면은, 그 일부가 중심선(A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볼록형으로 되어 있어도 좋지만, 그 대략 전체가 중심선(A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볼록형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팽출형 열융착부(B2)의 외주면에는, 잔금이 발생되어 있는 부분이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Alth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lging-type heat-welded portion B2 may be convex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line A2,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be convex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line A2 desirable. A portion where a residue is generated may exist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ulging-type heat-welded portion B2.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융착성 복합 섬유(F3, F4)는 서로 파고들어 있어, 열융착성 복합 섬유(F3, F4) 사이의 거리(r3)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F3, F4)의 섬유 반경의 합(r1+r2)보다 작아져 있다.As shown in Fig. 2 (b),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F3 and F4 collid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distance r3 between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F3 and F4 is Is smaller than the sum (r1 + r2) of the fiber radii of the fibers (F3, F4).

본 발명의 부직포의 두께(3.0 gf/cm2 하중하)는 0.5∼3.0 mm, 바람직하게는 0.7∼3.0 mm이고, 비용적은 6∼300 cm3/g, 바람직하게는 12∼200 cm3/g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부직포는, 충분한 두께 및 비용적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의 부직포를 흡수성 물품의 톱시트로서 사용하는 경우, 두께 및 비용적이 상기 범위의 하한을 하회하면 액투과성이 저하되고, 끈적임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한편, 상기 범위의 상한을 상회하면 흡수성 물품 전체의 두께가 증가하고, 흡수성 물품의 장착시에 위화감을 발생하기 쉬워진다.The thickness of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 a load of 3.0 gf / cm 2 ) is 0.5 to 3.0 mm, preferably 0.7 to 3.0 mm, and the cost is 6 to 300 cm 3 / g, preferably 12 to 200 cm 3 / g to be. Accordingly,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sufficient thickness and cost. When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the topsheet of the absorbent article, if the thickness and the cost are less than the lower limit of the above range, the liquid permeability is lowered and tackiness tends to easily occur. On the other hand, The thickness of the entire article increases, and a feeling of discomfort tends to occur when the absorbent article is attached.

부직포의 두께 및 비용적은, 열융착부의 총수에 대한 잘록형 열융착부의 수의 비율, 잘록형 열융착부의 형태, 잘록형 열융착부에 의해 열융착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 사이의 거리 등에 따라 변화된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열융착한 열융착성 복합 섬유를 함유하는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를 부피 회복 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고, 이 때의 부피 회복 처리의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열융착부의 총수에 대한 잘록형 열융착부의 수의 비율, 잘록형 열융착부의 형태, 잘록형 열융착부에 의해 열융착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 사이의 거리 등을 조정할 수 있고, 따라서, 부직포의 두께 및 비용적을 원하는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부직포의 두께(mm)는, 부직포에 3.0 gf/cm2 하중을 가한 상태로, 두께 측정기((주)다이에이 과학 정기 제작소 제조, THICKNESS GAUGE UF-60)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동일한 측정을 부직포의 10개소에서 행하고, 그 평균치를 부직포의 두께로 한다. 부직포의 평량은, JIS L 1906의 5.2에 따라 측정한다. 부직포의 밀도는, 부직포의 밀도(g/cm3)=부직포의 평량(g/m2)/부직포의 두께(mm)×10-3에 기초하여 산출하고, 부직포의 비용적(cm3/g)은, 부직포의 밀도(g/cm3)의 역수로서 산출한다.The thickness and the cost of the nonwoven fabric are small, the ratio of the number of the constricted thermally fused portions to the total number of the thermally fused portions, the shape of the constricted thermally fused por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ally fusible conjugated fibers thermally fused by the narrowed thermally fused portion, do.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by volume recovery treatment of the nonwoven fabric before recovering the volume containing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which is thermally fused as described later. By adjusting the condition of the volume recovery treatment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ratio of the number of the constricted thermally fused portions to the total number of the portions, the shape of the constricted thermally fused por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ally fusible composite fibers to be thermally fused by the constricted thermally fused portion, The cost can be adjusted to the desired range. The thickness of the non-woven fabric (mm) is a state of applying a gf / cm 2 load of 3.0 to the non-woven fabric is measured using a thickness gauge (Co. Daiei Scientific manufacturing regular Seisakusho, THICKNESS GAUGE UF-60). The same measurement is made at 10 sites of the nonwoven fabric, and the average value is defined as the thickness of the nonwoven fabric. The basis weight of the nonwoven fabric is measured according to 5.2 of JIS L 1906. The density of non-woven fabric, the density (g / cm 3) = basis weight (g / m 2) / based on the thickness (mm) × 10 -3 of the nonwoven fabric is calculated, and costly (cm 3 / g of the nonwoven fabric of the nonwoven fabric of the nonwoven fabric ) Is calculated as the reciprocal of the density (g / cm 3 ) of the nonwoven fabric.

본 발명의 부직포의 평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0∼80 g/m2, 더욱 바람직하게는 15∼60 g/m2이다.The basis weight of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0 to 80 g / m 2 , and more preferably 15 to 60 g / m 2 .

본 발명의 부직포에 함유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는, 열융착성을 발현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열융착성 복합 섬유로는, 예컨대, 제1 성분(이하 「고융점 성분」이라고 함)과, 제1 성분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제2 성분(이하 「저융점 성분」이라고 함)을 포함하는 복합 섬유로서, 제2 성분(저융점 성분)이, 섬유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존재하고 있는 2성분계의 복합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열융착성을 발현하는 성분은, 주로 저융점 성분이다. 열융착성 복합 섬유는, 융점 또는 연화점이 상이한 3종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복합 섬유여도 좋다.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형태로는, 예컨대, 코어-시스(core-sheath)형(동심원형, 편심형 등), 해도형, 분할형,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등을 들 수 있고, 어느 형태의 복합 섬유를 사용해도 좋다. 코어-시스형 복합 섬유의 경우, 시스 성분 및 코어 성분을 각각 저융점 성분 및 고융점 성분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열융착성 복합 섬유는 원료의 단계에서(부직포의 제조에 사용되기 전에) 연신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contained in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exhibit heat-sealability. The heat-fusible conjugate fiber includes a composite material containing a first compon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igh melting point component") and a second component having a melting point lower than the first compon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low melting point component") As the fiber, a bicomponent conjugated fiber in which the second component (low melting point component) exists continuous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fiber. The component exhibiting thermal fusion properties is mainly a low melting point component.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may be a conjugate fiber comprising three or more kinds of components having different melting points or softening points. Examples of the form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include a core-sheath type (concentric, eccentric type, etc.), a sea type, a split type, and a side by side type. May be used. In the case of the core-sheath type conjugate fiber, the sheath component and the core component can be composed of a low melting point component and a high melting point component,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is subjected to a stretching treatment at the stage of the raw material (before being used for producing the nonwoven fabric).

고융점 성분 및 저융점 성분의 종류는, 섬유 형성능을 갖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고융점 성분 및 저융점 성분은, 통상, 합성 수지이고, 고융점 성분으로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을 들 수 있고, 저융점 성분으로는, 예컨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직쇄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등의 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PP),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예컨대, 코어-시스형 복합 섬유의 경우, 코어 성분(고융점 성분)이 PP일 때의 시스 성분(저융점 성분)으로는, 예컨대, HDPE, LDPE, LLDPE 등의 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등을 들 수 있고, 코어 성분(고융점 성분)이 PET, PBT 등일 때의 시스 성분(저융점 성분)으로는, 예컨대, PP,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The kind of the high-melting-point component and the low-melting-point componen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have a fiber forming ability. Examples of the high melting point component include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and the like, and examples of the low melting point component and the low melting point component are synthetic resins. Examples of the low melting point component include polyethylene,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polystyrene, polypropylene (PP) and copolymerized polyester such as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and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core-sheath type conjugated fiber, examples of the sheath component (low melting point component) when the core component (high melting point component) is PP include polyethylene,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such as HDPE, LDPE and LLDPE, Examples of the sheath component (low melting point component) when the core component (high melting point component) is PET, PBT or the like include, for example, PP and copolymerized polyester.

본 발명의 부직포에 함유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는, 고융점 성분보다 저융점 성분을 많이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융점 성분에 대한 저융점 성분의 질량비(저융점 성분/고융점 성분)는, 바람직하게는 4/6∼8/2, 더욱 바람직하게는 5/5∼7/3이다. 이에 따라, 에어스루 방식에 의한 열융착이 확실하게 일어나, 부피 회복 처리한 후의 에어스루 부직포의 표면에서의 보풀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저융점 성분/고융점 성분의 질량비는, 예컨대,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단면 관찰에 의해 측정되는 고융점 성분 및 저융점 성분의 단면적과, 고융점 성분 및 저융점 성분의 밀도에 기초하여 산출할 수 있다.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contained in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contains a low melting point component in a larger amount than the high melting point component. The mass ratio (low melting point component / high melting point component) of the low melting point component to the high melting point component, Preferably from 4/6 to 8/2, more preferably from 5/5 to 7/3. As a result, thermal fusion by the air through method is surely performed, and fluff formation on the surface of the air through nonwoven fabric after volume restoration treatment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The mass ratio of the low melting point component to the high melting point component is calculated based on, for exampl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igh melting point component and the low melting point component measured by cross-sectional observation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and the density of the high melting point component and the low melting point component .

고융점 성분 및 저융점 성분의 융점차는,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이상이다. 이에 따라, 각 성분의 배향성, 결정성 등의 차가 커지고, 부직포의 형성성이 향상된다. 융점은, 예컨대, 시차 주사형 열량계(예컨대, 세이코 인스트루먼츠 주식회사 제조의 DSC6200)를 사용하여, 승온 속도 10℃/분으로, 미세하게 재단한 섬유 시료를 열분석했을 때의 융해 피크 온도로서 측정할 수 있다. 융점을 명확히 측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융점 대신에 연화점을 사용해도 좋다.The melting poi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 melting point component and the low melting point component is preferably 20 占 폚 or higher, more preferably 25 占 폚 or higher. As a result, the difference in orientation, crystallinity and the like of each component is increased, and the nonwoven fabric can be formed easily. The melting point can be measured as the melting peak temperature at the time of thermally analyzing a finely cut fiber sample at a heating rate of 10 캜 / minute by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for example, DSC6200 manufactured by Seiko Instruments Inc.) have. When the melting point can not be clearly measured, a softening point may be used instead of the melting point.

본 발명의 부직포에 함유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섬유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표면의 거친 느낌을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3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25 ㎛이다.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섬유 직경은, 예컨대, 부직포를 주사형 전자 현미경 등의 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The fiber diameter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contained in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0 to 30 占 퐉, more preferably 15 to 25 占 퐉, 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the roughness of the surface. The fiber diameter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can be measured, for example, by observing the nonwoven fabric with a microscope such a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본 발명의 부직포에 함유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섬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본 발명의 부직포가 흡수성 물품의 톱시트에 사용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1∼6 dtex이다. 또, 섬도가 1 dtex를 하회하면, 복합 섬유의 강도의 저하에 기인하여 부직포의 두께가 얇아지고, 부직포의 통기성 및 투액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는 한편, 섬도가 6 dtex를 상회하면, 복합 섬유 자체의 강도가 높아져, 부직포의 촉감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The fineness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contained in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 to 6 dtex when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the topsheet of the absorbent article. When the fineness is less than 1 dtex, the thickness of the nonwoven fabric is decreased due to the decrease in the strength of the composite fiber, and the breathability and liquidity of the nonwoven fabric tend to decrease.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neness is more than 6 dtex, The strength of the nonwoven fabric itself is increased, and the feeling of the nonwoven fabric tends to be lowered.

본 발명의 부직포에 함유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양은,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 전체의 바람직하게는 20∼10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100 질량%이다.The amount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contained in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20 to 100 mass%, more preferably 30 to 100 mass%, of the entire fiber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본 발명의 부직포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에 추가하여, 그 밖의 섬유(예컨대 단섬유)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그 밖의 섬유로는, 예컨대, 천연 섬유(양모, 코튼 등), 재생 섬유(레이온, 아세테이트 등), 무기 섬유(유리 섬유, 탄소 섬유 등), 합성 섬유(폴리에틸렌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아크릴 섬유 등)를 들 수 있다. 그 밖의 섬유를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섬유가 갖는 기능(예컨대, 코튼의 경우에는 흡습성 등, 합성 섬유의 경우에는 통기성 등)을 부직포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직포에는, 중공 타입의 섬유, 편평, Y형, C형 등의 이형 섬유; 잠재 권축 섬유, 현재 권축 섬유 등의 입체 권축 섬유; 수류, 열, 엠보스 등의 물리적 부하에 의해 분할된 분할 섬유 등이 혼합되어 있어도 좋다.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other fibers (for example, staple fibers) in addition to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Examples of the other fibers include natural fibers such as wool and cotton, regenerated fibers such as rayon and acetate, inorganic fibers such as glass fibers and carbon fibers, synthetic fibers such as polyethylene fibers, polypropylene fibers and polyester fibers , Acrylic fiber, etc.). By containing other fibers, the function of the fibers (for example, hygroscopicity in the case of cotton and air permeability in the case of synthetic fibers) can be imparted to the nonwoven fabric. Also,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hollow fibers, modified fibers such as flattened, Y-shaped, and C-shaped fibers; Three-dimensional crimped fibers such as latent crimp fiber, present crimp fiber and the like; Split fibers divided by physical loads such as water, heat, emboss, etc. may be mixed.

본 발명의 부직포가, 열융착성 복합 섬유 이외의 섬유를 함유하는 경우, 열융착성 복합 섬유 이외의 섬유의 함유량은,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 전체의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하이다.When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fibers other than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the content of the fibers other than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is preferably 80% by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80% 70% by mass or less.

본 발명의 부직포에 함유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에는 3차원 권축 형상을 부여해도 좋다. 3차원 권축 형상으로는, 예컨대, 지그재그형, Ω형, 스파이럴형 등을 들 수 있다. 3차원 권축 형상의 부여 방법으로는, 예컨대, 기계 권축, 열수축 등을 들 수 있다. 기계 권축은, 방사 후의 연속적이고 직쇄형인 섬유에 대하여, 라인 속도의 주속차, 열, 가압 등에 의해 제어 가능하고, 단위 길이당 권축 개수가 많을수록 외압하에 대한 버클링 강도가 높아진다. 권축 개수는, 통상 5∼35개/인치, 바람직하게는 15∼30개/인치이다. 열수축에서는, 융점차에 기인하여 생기는 열수축의 차를 이용하여, 3차원 권축이 가능하다.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contained in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given a three-dimensional crimp shape. Examples of the three-dimensional crimp shape include a zigzag type, an ohmic type, and a spiral type. Examples of the method for giving a three-dimensional crimp shape include mechanical crimping and heat shrinking. The mechanical crimp can be controlled by the main speed difference of the line speed, the heat, the pressurization or the like with respect to the continuous straight-line-shaped fibers after the spinning, and the greater the number of crimps per unit length, the higher the buckling strength under external pressure. The number of crimps is usually 5 to 35 / inch, preferably 15 to 30 / inch. In the case of heat shrinkage, three-dimensional crimp is possible using the difference in heat shrinkage caused by the melting point.

본 발명의 부직포가 잠재 권축 섬유 및/또는 현재 권축 섬유를 함유하는 경우, 섬유 배향은 주체적으로는 평면 방향을 향하고 있어도 부분적으로는 두께 방향을 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부직포의 두께 방향에서의 섬유의 버클링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부직포에 외압이 가해지더라도 부직포의 부피가 잘 감소하지 않는다. 또한, 열융착성 복합 섬유에 스파이럴 형상이 부여되는 경우, 부직포에 대한 외압이 해방되었을 때에, 부피가 회복되기 쉽다. 본 발명의 부직포에 함유되는 잠재 권축 섬유 및/또는 현재 권축 섬유는, 3차원 권축 형상이 부여된 열융착성 복합 섬유여도 좋고, 열융착성 복합 섬유와는 다른 섬유여도 좋다.When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the latent crimp fiber and / or the present crimp fiber, the fiber orientation is partially oriented toward the thickness direction, although the fiber orientation is directed toward the plane. As a result, the strength of the buckling of the fibers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is increased, so that the volume of the nonwoven fabric does not decrease even if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nonwoven fabric. Further, when a spiral shape is imparted to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the volume tends to recover when the external pressure to the nonwoven fabric is released. The latent crimp fiber and / or the present crimp fiber contained in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thermofusible conjugated fiber imparted with a three-dimensional crimp shape or may be a fiber different from the thermofusible conjugated fiber.

본 발명의 부직포는 친수화 처리되어 있어도 좋다. 친수성이 부여된 부직포는, 친수성의 배설물(뇨, 땀, 변 등)과 접촉했을 때에, 상기 배설물을 부직포의 표면에 남기지 않고, 흡수성 물품 내부로 투과시키기 쉽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액투과성 톱시트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의 친수화 처리로는, 예컨대, 친수제에 의한 처리, 부직포의 구성 섬유로의 친수제의 이겨넣음, 부직포에 대한 계면 활성제의 도공 등을 들 수 있다.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bjected to hydrophilization treatment. The nonwoven fabric imparted with hydrophilicity is easily permeable to the in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without leaving the excreta on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hydrophilic feces (urine, sweat, stool, etc.) It can be suitably used. Examples of the hydrophilic treatment of the nonwoven fabric include treatment with a hydrophilic agent, permeation of a hydrophilic agent into 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nonwoven fabric, and coating of the surfactant with the nonwoven fabric.

본 발명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에는, 표백성을 높이기 위해, 산화티탄, 황산바륨, 탄산칼슘 등의 무기 필러가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코어-시스형 복합 섬유의 경우, 코어 성분에 무기 필러가 함유되어 있어도 좋고, 시스 성분에 무기 필러가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The fiber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inorganic fillers such as titanium oxide, barium sulfate and calcium carbonate in order to improve the whiteness. In the case of the core-sheath type conjugate fiber, the core component may contain an inorganic filler, and the sheath component may contain an inorganic filler.

본 발명의 부직포의 표면은 요철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요철 구조의 유무는, 예컨대, 부직포의 제조시의 반송 방향(MD 방향)과 수직인 방향(CD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에 있어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의 표면에는, 예컨대, 비교적 부직포의 두께 방향으로 배향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로 내부가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볼록부와, 부직포의 평면 방향으로 배향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로 구성되는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요철 구조에서는, 오목부의 두께가 볼록부의 두께보다 작아져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의 표면이 요철 부형되어 있는 경우, 피부와의 접촉 면적이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톱시트로서 적합하다.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oncave-convex structur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ncavo-convex structure can be confirmed, for example, in the cross-sectional shape cut in the direction (C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MD direction) at the time of producing the nonwoven fabric. On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which are composed of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oriented relatively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and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oriented in the plane dir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can be formed. In the concavo-convex structure, the thickness of the concave portion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vex portion. When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rregularly shaped, the contact area with the skin can be made small, and therefore, it is suitable as a top sheet of the 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의 부직포는, 큰 부피,압축 변형성, 압축 회복성 등을 살린 여러가지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예컨대, 일회용 기저귀, 생리용 냅킨 등의 일회용 위생 물품의 분야에서, 흡수성 물품의 톱시트, 세컨드 시트(톱시트와 흡수체 사이에 배치되는 시트), 백시트, 누설 방지 시트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직포는, 대인용 세척 시트, 스킨 케어용 시트, 대물용 와이퍼 등으로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utilizing large volume, compressive deformability, compressive recovery property, and the like.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topsheet, a secondary sheet (a sheet disposed between a topsheet and an absorbent body), a backsheet, and a leak-barrier sheet in the field of disposable sanitary articles such as disposable diapers and sanitary napkins It can be suitably used. Further,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used as a cleaning sheet for personal use, a sheet for skin care, and an objective wiper.

본 발명의 부직포는, 열융착한 열융착성 복합 섬유를 함유하는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를 부피 회복 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by volume recovery treatment of the nonwoven fabric before recovering the volume containing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바람직한 부피 회복 처리는, 입구 및 출구를 갖는 가열실을 준비하는 단계와, 입구를 통해 가열실 내에 들어가고, 가열실 내를 진행한 후에, 출구를 통해 가열실로부터 나가도록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를 반송하면서, 입구 및 출구의 한쪽을 통해 가열실 내에 들어가고,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에 접촉하면서 가열실 내를 진행한 후에, 입구 및 출구의 다른쪽을 통해 가열실 안으로부터 나가도록, 가열된 유체를,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의 반송 속도보다 높은 속도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volume recovery process includes the steps of preparing a heating chamber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conveying the nonwoven fabric before volume recovery so as to enter the heating chamber through the inlet, proceed through the heating chamber, , The heated fluid enters the heating chamber through one of the inlet and the outlet and advances through the heating chamber while contacting the nonwoven fabric before volume recovery, At a speed higher than the conveying speed of the preceding nonwoven fabric.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를 함유하는 웹을 에어스루 처리하여 열융착성 복합 섬유를 열융착시킨 에어스루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고, 부피 회복 처리에 있어서, 가열된 유체는, 입구를 통해 가열실 내에 들어가고, 출구를 통해 가열실로부터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고,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는 가열실 내에서 지지되지 않고 반송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열실은, 입구부터 출구까지, 서로 간격을 두고 펼쳐지는 2개의 격벽에 의해 획정되어 있고, 이들 격벽에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의 양면이 각각 계속해서 대면하도록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가 가열실 내에서 반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이상의 바람직한 양태를 조합해도 좋다.It is preferable that the nonwoven fabric before volume recovery is an air-through nonwoven fabric obtained by thermally fusing a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by air-through treatment of a web containing a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In the volume recovery process, It is preferable that the nonwoven fabric before the volume recovery is conveyed without being supported in the heating chamber and the heating chamber is divided into two portions extending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It is preferable that the nonwoven fabric before volume recovery is conveyed in the heating chamber so that the both sides of the nonwoven fabric before volume recovery continue to face each other. Two or more preferred embodiments may be combined.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부직포의 제조방법의 일실시형태를 설명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oducing a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부직포(F)의 부피를 회복시키기 위한 부피 회복 장치(1)가 사용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olume recovery device 1 shown in Fig. 3 for restoring the volume of the nonwoven fabric F is used.

부직포(F)는, 열융착한 열융착성 복합 섬유를 함유하는 부직포이다. 부직포로는, 에어스루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등을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에어스루 부직포이다.The nonwoven fabric (F) is a nonwoven fabric containing thermally fusible conjugated fibers. Examples of the nonwoven fabric include an air-through nonwoven fabric, a point-bonded nonwoven fabric, and a spunbond nonwoven fabric, and preferably an air-through nonwoven fabric.

에어스루 부직포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를 함유하는 웹에 열풍을 통과시켜,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교점을 열융착시킴으로써 얻어진 부직포이다. 열융착성 복합 섬유를 함유하는 웹은, 카드기 등을 사용한 공지된 웹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웹 형성 방법으로는, 예컨대, 단섬유를 공기의 흐름에 반송시켜 네트 상에 퇴적시키는 방법(에어레이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렇게 하여 형성된 웹은, 부직포화 전의 섬유 집합체로, 부직포 제조 과정에서 가해지는 처리(예컨대, 에어스루법, 캘린더법 등에서의 가열 융착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고, 섬유끼리가 매우 헐겁게 얽혀 있는 상태에 있다. 열융착성 복합 섬유를 함유하는 웹에 대한 에어스루 처리는, 예컨대, 열풍 분무 장치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에어스루 처리에서는, 소정 온도(예컨대 120∼160℃)로 가열된 열풍이 웹에 대하여 분무되고, 열풍이 웹을 빠져 나감으로써, 웹 중의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교점이 열융착된다. 이러한 에어스루 처리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로는, 예컨대, 시스 성분이 고밀도 폴리에틸렌이고, 코어 성분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복합 섬유로서, 섬유 길이가 20∼100 mm, 바람직하게는 35∼65 mm이고, 섬도가 1.1∼8.8 dtex, 바람직하게는 2.2∼5.6 dtex인 코어-시스형 복합 섬유를 주체로 한 부직포를 들 수 있다.The air-through nonwoven fabric is a nonwoven fabric obtained by passing hot air through a web containing a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and thermally fusing an intersection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The web containing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can be formed by a known web forming method using a card machine or the like. Examples of the web forming method include a method (airlaying method) in which short fibers are conveyed to a stream of air to be deposited on a net. The web thus formed is a fibrous aggregate before the nonwoven fabric is not subjected to a treatment (for example, a heat fusion treatment in an air-through method, a calendering method, or the like) applied during the production of a nonwoven fabric and the fibers are very loosely entangled State. The air-through treatment for the web containing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can be carried out, for example, by a hot air spraying apparatus. In the air-through treatment, hot air heat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120 to 160 ° C) is sprayed onto the web, and the hot air exits the web, whereby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in the web is thermally fused. The nonwoven fabric produced by such an air-through treatment is, for example, a composite fiber in which the sheath component is high-density polyethylene and the core component i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the fiber length is 20 to 100 mm, preferably 35 to 65 mm, Is a nonwoven fabric mainly composed of a core-sheath type conjugated fiber having a fiber density of 1.1 to 8.8 dtex, preferably 2.2 to 5.6 dtex.

또, 열풍의 분무는, 웹 중의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교점을 열융착시키는 가열 처리의 일례이다. 가열 처리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저융점 성분)의 융점 이상으로 가열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가열 처리는, 열풍 외에, 마이크로웨이브, 증기, 적외선 등의 열매체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spraying of the hot air is an example of a heat treatment for thermally fusing the intersection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in the web. The heat treat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heat to the melting point or higher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low melting point component). The heat treatment can be carried out by using a heating medium such as microwave, steam or infrared in addition to hot air.

부직포(F)는, 그 표면에 요철을 갖고 있어도 좋다. 요철은, 예컨대, 웹에 대한 열풍의 분무에 의해 부직포(F)의 표면에 부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부직포(F)의 표면에, 비교적 부직포의 두께 방향으로 배향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로 내부가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볼록부와, 부직포의 평면 방향으로 배향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로 구성되는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nonwoven fabric (F) may have irregularities on its surface. The unevenness can be imparted to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F by, for example, spraying of hot air against the web. Thus, the unevenness can be imparted to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F by heat- It is possible to form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formed inside and a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oriented in the plane dir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F)는, 롤(R)에 권취된 상태에 있고, 이것에 기인하여 부직포(F)의 큰 부피가 감소되어 있다. 그래서, 부직포(F)의 부피를 회복시키기 위해, 부피 회복 장치(1)가 사용된다.As shown in Fig. 3, the nonwoven fabric F is wound around the roll R, and the large volume of the nonwoven fabric F is reduced due to this. Thus, in order to restore the volume of the nonwoven fabric F, the volume recovery device 1 is used.

부직포(F)에는, 서로 교차하여 중첩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를 교차 영역에서 열융착하는 열융착부가 다수 포함된다. 부직포(F)에 포함되는 다수의 열융착부는, 주로, 도 2에 도시한 팽출형 열융착부이다. 이에 대하여, 부피 회복 장치(1)에 의한 부피 회복 처리시, 도 2에 도시한 팽출형 열융착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도 1에 도시한 잘록형 열융착부로 변화된다. 즉, 부피 회복 장치(1)에 의한 부피 회복 처리시, 팽출형 열융착부가 연화 또는 융해되어, 팽출형 열융착부에 의해 열융착되어 있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가 약간 이격되고, 이에 따라, 팽출형 열융착부가 약간 신장되어, 잘록형 열융착부로 변화된다. 특히, 부피 회복 장치(1)에 의한 부피 회복 처리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F)에 대하여 병행으로 열풍이 흐르고, 부직포 속도보다 열풍 풍속이 크기 때문에, 부피 회복 장치(1) 내에서 난류가 발생하여, 열이 전해지기 쉬워진다. 또한, 부직포(F)의 구성 섬유에 대하여, 한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지 않고, 공기의 흐름을 따라 구성 섬유에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팽출형 열융착부가 약간 신장되어, 잘록형 열융착부로 변화되기 쉽다.The nonwoven fabric (F) includes a plurality of thermally fusible portions for thermally fusing thermally fusible conjugate fibers crossing and overlapping each other in an intersecting region. The plurality of heat-welded portions included in the nonwoven fabric F are mainly bulged heat-sealed portion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volume restoration process by the volume recovery device 1, part or all of the bulging type heat-sealed portion shown in FIG. 2 is changed to the constricted type heat-sealed portion shown in FIG. That is, during the volume restoration process by the bulk recovery device 1, the expandable heat-sealable portion is softened or melted and the heat-sealable composite fiber which is thermally fused by the expandable heat-sealed portion is slightly spaced, The outermost thermally fused portion is slightly elongated and changed to a constricted thermally fused portion. Particularly, in the volume recovery process by the volume recovery device 1, as described later, hot air flows in parallel to the nonwoven fabric F before volume recovery, and since the hot air wind speed is larger than the nonwoven fabric speed, A turbulent flow is generated within the chamber, and heat is liable to be transmitted. Further, since no force is applied to 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nonwoven fabric (F) in one direction and force is applied to the constituent fibers along the air flow, the expandable thermally fused portion is slightly elongated, .

열융착부가 팽출형으로부터 잘록형으로 변화됨으로써, 열융착부에 의한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접합 강도는 저하된다. 따라서, 열융착부가 팽출형으로부터 잘록형으로 변화됨으로써, 압축 변형에 대한 섬유의 자유도가 높아져, 섬유가 움직이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부피 회복 처리된 부직포(F)는, 우수한 압축 변형성을 나타낸다. 또한, 부피 회복 처리시에 열융착성 복합 섬유에 열이 전해지기 쉽기 때문에, 열융착성 복합 섬유를 구성하는 수지가 열에 의해 배향되고, 결정성이 높아져 있다. 따라서, 부피 회복 처리된 부직포(F)에서는, 섬유의 초기 강도가 증가되어 있어, 초기의 변형에 대하여 섬유가 잘 뭉개지지 않고, 형상 유지성이 향상되어 있다. 이 때문에, 부피 회복 처리된 부직포(F)는, 우수한 압축 회복성을 나타낸다.The heat-welded portion changes from the expanded shape to the narrowed shape, so that the bonding strength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by the heat-sealed portion is lowered. Therefore, the heat fusion portion changes from the expanded form to the narrowed form, so that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fiber with respect to the compressive deformation increases, and the fiber tends to move. For this reason, the nonwoven fabric (F) subjected to volume recovery treatment exhibits excellent compressive deformability. In addition, since the heat is likely to be transmitted to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during the bulk recovery process, the resin constituting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is oriented by heat, and the crystallinity is increased. Therefore, in the nonwoven fabric (F) subjected to volume recovery treatment, the initial strength of the fibers is increased, and the fibers are not crushed well against the initial deformation, and the shape retainability is improved. For this reason, the nonwoven fabric (F) subjected to volume recovery treatment exhibits excellent compression recoverability.

부직포(F)의 평량은, 부피 회복 처리 전후에서 대략 일정하다. 부직포(F)의 평량은, 예컨대 10∼80 g/m2(특히 15∼60 g/m2)이다. 부직포(F)의 두께는, 부피 회복 처리에 의해 증가한다. 부직포(F)의 두께(3.0 gf/cm2 하중하)는, 예컨대, 0.2∼0.6 mm(특히 0.3∼0.5 mm)(부피 회복 처리 전)로부터, 0.5∼3.0 mm(특히 0.7∼3.0 mm)로 증가한다. 부직포(F)의 비용적은, 부피 회복 처리에 의해 증가한다. 부직포(F)의 비용적은, 예컨대, 2.5∼50 cm3/g(특히 5∼33 cm3/g)으로부터 6∼300 cm3/g(특히 12∼200 cm3/g)으로 증가한다.The basis weight of the nonwoven fabric (F) is approximately constant before and after the volume recovery treatment. The basis weight of the nonwoven fabric (F) is, for example, 10 to 80 g / m 2 (particularly 15 to 60 g / m 2 ). The thickness of the nonwoven fabric (F) increases by volume recovery processing. The thickness (under a load of 3.0 gf / cm 2 ) of the nonwoven fabric F is adjusted to 0.5 to 3.0 mm (particularly 0.7 to 3.0 mm) from 0.2 to 0.6 mm (particularly 0.3 to 0.5 mm) . The cost of the nonwoven fabric (F) is increased by the volume recovery process. It increases with non-woven fabric (F) low cost, for example, 2.5~50 cm 3 / g (especially 5~33 cm 3 / g) 6~300 cm 3 / g ( particularly 12~200 cm 3 / g) from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피 회복 장치(1)는, 띠형의 부직포(F)를 롤(R)에서 풀어 반송하는 반송기(2)를 구비한다. 반송기(2)는 2개의 롤러쌍(2a, 2b)을 구비한다. 각 롤러쌍(2a, 2b)은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를 구비하고, 이들 롤러가 회전되면 부직포(F)가 반송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직포(F)는, 그 한 면 및 다른 면이 대략 상측 및 하측을 향하도록, 수평 방향에 거의 일치하는 반송 방향(MD)으로 반송된다.As shown in Fig. 3, the volume recovery device 1 includes a conveyor 2 that unwinds and conveys a strip-like nonwoven fabric F from a roll R. The conveyor 2 has two roller pairs 2a and 2b. Each of the pair of rollers 2a and 2b has rollers that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When these rollers are rotated, the nonwoven fabric F is transpor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onwoven fabric F is conveyed in the conveying direction MD substantially coinciding with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face substantially upward and downwar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피 회복 장치(1)는 또한, 반송되는 부직포(F)를 유체로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3)를 구비한다. 가열기(3)는, 유체원(3a)과, 유체원(3a)의 출구에 연결된 공급관(3b)과, 공급관(3b)의 출구에 연결된 노즐(3c)과, 공급관(3b) 내에 배치된 유량계(3ba)와, 유량계(3ba) 하류의 공급관(3b) 내에 배치된 레귤레이터(3d)와, 레귤레이터(3d) 하류의 공급관(3b) 내에 배치된 전기 히터(3e)와, 하우징(3f)을 구비한다. 노즐(3c)은 예컨대 가늘고 긴 직사각 형상의 출구를 갖는다.As shown in Fig. 3, the volume recovery apparatus 1 further includes a heater 3 for heating the nonwoven fabric F to be conveyed with the fluid. The heater 3 has a fluid source 3a, a supply pipe 3b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fluid source 3a, a nozzle 3c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supply pipe 3b, A regulator 3d disposed in a supply pipe 3b downstream of the flow meter 3ba, an electric heater 3e disposed in a supply pipe 3b downstream of the regulator 3d, and a housing 3f do. The nozzle 3c has, for example, an elongated rectangular outlet.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체는 공기이고, 유체원(3a)은 컴프레서이다. 컴프레서(3a)가 작동되면, 공기가 공급관(3b) 내를 유통한다. 유량계(3ba)는 공급관(3b) 내를 유통하는 공기의 유량을 검출하고, 공기 유량을 표준 상태(0℃, 1기압)에서의 양의 형태로 출력한다. 공급관(3b) 내의 공기 압력은 레귤레이터(3d)에 의해 예컨대 0.6 MPaG로부터 3 MPaG∼0.01 MPaG까지 감압된다. 공기는 이어서, 전기 히터(3e)에 의해 가열된다. 가열된 공기는 이어서 노즐(3c)로부터 유출된다. 노즐(3c)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량은 예컨대 2380 L/min(2.38 m3/min, 표준 상태)로 설정된다. 노즐(3c)로부터 유출된 공기의 온도가 예컨대 70∼160℃가 되도록 공기가 전기 히터(3e)에 의해 예컨대 100∼200℃로 가열된다. 또, 노즐(3c)로부터 유출된 공기의 온도는 노즐(3c)의 출구 근방에 배치된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luid is air and the fluid source 3a is a compressor. When the compressor 3a is operated, air flows in the supply pipe 3b. The flowmeter 3ba detects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supply pipe 3b and outputs the air flow rate in a positive form at a standard state (0 ° C, 1 atm). The air pressure in the supply pipe 3b is reduced by, for example, 0.6 MPaG to 3 MPaG to 0.01 MPaG by the regulator 3d. The air is then heated by the electric heater 3e. The heated air then flows out of the nozzle 3c. The amount of air flowing out of the nozzle 3c is set to, for example, 2380 L / min (2.38 m 3 / min, standard state). The air is heated to, for example, 100 to 200 占 폚 by the electric heater 3e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out of the nozzle 3c becomes, for example, 70 to 160 占 폚.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out of the nozzle 3c can be detected by a temperature sensor disposed near the outlet of the nozzle 3c.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f)은, 서로 간격을 두고 수평 방향으로 펼쳐지는 정상벽(3fu) 및 바닥벽(3fb)과, 정상벽(3fu) 및 바닥벽(3fb) 사이에 배치된 한쌍의 측벽(3fs, 3fs)을 구비하고, 이들 정상벽(3fu), 바닥벽(3fb) 및 측벽(3fs, 3fs)에 의해 단면이 직사각 형상인 내부 공간(3s)이 획정된다. 내부 공간(3s)은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개구(3si, 3so)를 구비한다.4 and 5, the housing 3f includes a top wall 3fu and a bottom wall 3fb which horizontally spread apart from each other, a top wall 3fu and a bottom wall 3fb, And an inner space 3s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s defined by the top wall 3fu, the bottom wall 3fb and the side walls 3fs and 3fs . The inner space 3s has a pair of openings 3si and 3so facing each other.

노즐(3c)의 출구 하류의 내부 공간(3s) 내에는, 입구(3gi, 3go)를 갖는 가열실(3g)이 획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즐(3c)의 출구는 내부 공간(3s)의 개구(3si)에 배치된다. 따라서, 가열실(3g)은 내부 공간(3s)에 일치한다. 또한, 가열실(3g)의 입구(3gi)는 내부 공간(3s)의 개구(3si)에 일치하고, 가열실(3g)의 출구(3go)는 내부 공간(3s)의 개구(3so)에 일치한다.A heating chamber 3g having inlets 3gi and 3go is defined in the inner space 3s at the outlet of the nozzle 3c.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let of the nozzle 3c is disposed in the opening 3si of the inner space 3s. Therefore, the heating chamber 3g coincides with the inner space 3s. The inlet 3gi of the heating chamber 3g coincides with the opening 3si of the inner space 3s and the outlet 3go of the heating chamber 3g coincides with the opening 3so of the inner space 3s. do.

부직포(F)는 반송기(2)에 의해, 입구(3gi)를 통해 가열실(3g) 내에 들어가고, 가열실(3g) 내를 진행한 후에, 출구(3go)를 통해 가열실(3g)로부터 나가도록, 반송된다. 이 경우, 가열실(3g) 내에는, 부직포(F)를 반송하기 위한 롤러나 벨트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다시 말해서, 부직포(F)는 가열실(3g) 내에서 지지되지 않고 반송된다. 또한, 부직포(F)의 양면(Fs)이, 가열실(3g)을 획정하는 격벽인 정상벽(3fu) 및 바닥벽(3fb)에 각각 계속해서 대면하도록 부직포(F)가 가열실(3g) 내에서 반송된다.The nonwoven fabric F enters the heating chamber 3g through the inlet 3gi and advances in the heating chamber 3g by the conveyor 2 and then flows from the heating chamber 3g through the outlet 3go And is returned. In this case, a roller or a belt for conveying the nonwoven fabric F is not disposed in the heating chamber 3g. In other words, the nonwoven fabric F is conveyed without being supported in the heating chamber 3g. The nonwoven fabric F is applied to the heating chamber 3g so that the both faces Fs of the nonwoven fabric F continue to face the top wall 3fu and the bottom wall 3fb as partition walls defining the heating chamber 3g, Lt; / RTI >

한편, 노즐(3c)로부터 유출된 공기는, 입구(3gi)를 통해 가열실(3g) 내에 들어가고, 반송되고 있는 부직포(F)에 접촉하면서 가열실(3g) 내를 진행한 후에, 출구(3go)를 통해 가열실(3g)로부터 나간다. 이 경우, 가열실(3g) 내에서, 공기의 선속도는 부직포(F)의 반송 속도보다 높아지도록, 공기가 공급된다.On the other hand, the air flowing out of the nozzle 3c enters the heating chamber 3g through the inlet 3gi and advances in the heating chamber 3g while contacting the conveyed nonwoven fabric F, And the heating chamber 3g. In this case, air is supplied in the heating chamber 3g such that the linear velocity of the air is higher than the conveying speed of the nonwoven fabric F.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상벽(3fu) 및 바닥벽(3fb)은 예컨대 두께 3 mm의 스테인리스판으로 형성된다. 하우징(3f) 내지 가열실(3g)의 반송 방향(MD)의 길이(L3)는 1675 mm이다. 하우징(3f)의 폭(W3f)은 240 mm이고, 가열실(3g)의 폭(W3g)은 200 mm이다. 하우징(3f)의 높이(H3f)는 11 mm이고, 가열실(3g)의 높이(H3g)는 5 mm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op wall 3fu and the bottom wall 3fb are formed of, for example, a stainless steel plate having a thickness of 3 mm. The length L3 of the housing 3f to the heating chamber 3g in the conveying direction MD is 1675 mm. The width W3f of the housing 3f is 240 mm and the width W3g of the heating chamber 3g is 200 mm. The height H3f of the housing 3f is 11 mm and the height H3g of the heating chamber 3g is 5 mm.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상벽(3fu) 및 바닥벽(3fb)은 수평면 내에 펼쳐져 있다. 노즐(3c)의 지향선과 수평면(H)이 이루는 각도 θ(도 4 참조)는, 0도 내지 30도가 바람직하고, 0도 내지 10도가 보다 바람직하고, 0도가 가장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op wall 3fu and the bottom wall 3fb are spread in a horizontal plane. The angle? (See FIG. 4) between the directional line of the nozzle 3c and the horizontal plane H is preferably from 0 to 30 degrees, more preferably from 0 to 10 degrees, and most preferably 0 degree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피 회복 장치(1)는 또한, 가열기(3)의 하류에, 반송되는 부직포(F)를 유체로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4)를 구비한다. 냉각기(4)는, 유체원(4a)과, 유체원(4a)의 출구에 연결된 공급관(4b)과, 공급관(4b)의 출구에 연결된 노즐(4c)과, 공급관(4b) 내에 배치된 레귤레이터(4d) 및 냉각 장치(4e)와, 하우징(4f)을 구비한다.3, the volume recovery device 1 further includes a cooler 4 for cooling the conveyed nonwoven fabric F with a fluid, downstream of the heater 3. The cooler 4 includes a fluid source 4a, a supply pipe 4b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fluid source 4a, a nozzle 4c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supply pipe 4b, A cooling device 4d, a cooling device 4e, and a housing 4f.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체는 공기이고, 유체원(4a)은 컴프레서이다. 컴프레서(4a)가 작동되면, 공기가 공급관(4b) 내를 유통한다. 공급관(4b) 내의 공기 압력은 레귤레이터(4d)에 의해 감압된다. 공기는 이어서, 냉각 장치(4e)에 의해 냉각된다. 냉각된 공기는 이어서 노즐(4c)로부터 유출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luid is air, and the fluid source 4a is a compressor. When the compressor 4a is operated, air flows in the supply pipe 4b. The air pressure in the supply pipe 4b is reduced by the regulator 4d. The air is then cooled by the cooling device 4e. The cooled air then flows out of the nozzle 4c.

냉각기(4)의 하우징(4f)은 가열기(3)의 하우징(3f)과 마찬가지로, 서로 간격을 두고 펼쳐지는 정상벽 및 바닥벽과, 정상벽 및 바닥벽 사이에 배치된 한쌍의 측벽을 구비하고, 이들 정상벽, 바닥벽 및 측벽에 의해 단면이 직사각 형상인 냉각실(4g)이 획정된다. 냉각실(4g)은 서로 대향하는 입구(4gi) 및 출구(4go)를 구비한다.The housing 4f of the cooler 4 has a top wall and a bottom wall spreading apart from each other like the housing 3f of the heater 3 and a pair of side walls disposed between the top wall and the bottom wall , A cooling chamber 4g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by these top walls, bottom wall and side wall is defined. The cooling chamber 4g has an inlet 4gi and an outlet 4go opposed to each other.

가열기(3)로부터 반출된 부직포(F)는 반송기(2)에 의해, 입구(4gi)를 통해 냉각실(4g) 내에 들어가고, 냉각실(4g) 내를 진행한 후에, 출구(4go)를 통해 냉각실(4g)로부터 나가도록, 반송된다. 이 경우, 냉각실(4g) 내에는, 부직포(F)를 반송하기 위한 롤러나 벨트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다시 말해서, 부직포(F)는 냉각실(4g) 내에서 지지되지 않고 반송된다. 또한, 부직포(F)의 양면(Fs)이, 냉각실(4g)을 획정하는 격벽인 정상벽 및 바닥벽에 각각 계속해서 대면하도록 부직포(F)가 냉각실(4g) 내에서 반송된다.The nonwoven fabric F taken out of the heating device 3 enters the cooling chamber 4g through the inlet 4gi by the conveyor 2 and advances through the cooling chamber 4g and thereafter the outlet 4go So as to exit from the cooling chamber 4g. In this case, no rollers or belts for conveying the nonwoven fabric F are disposed in the cooling chamber 4g. In other words, the nonwoven fabric F is conveyed without being supported in the cooling chamber 4g. The nonwoven fabric F is conveyed in the cooling chamber 4g such that the both faces Fs of the nonwoven fabric F continuously face the top wall and the bottom wall which are partition walls defining the cooling chamber 4g.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각기(4)의 노즐(4c)은 입구(4gi)에 배치된다. 따라서, 노즐(4c)로부터 유출된 공기는, 입구(4gi)를 통해 냉각실(4g) 내에 들어가고, 반송되고 있는 부직포(F)에 접촉하면서 냉각실(4g) 내를 진행한 후에, 출구(4go)를 통해 냉각실(4g)로부터 나간다. 이 경우, 냉각실(4g) 내에서, 공기의 선속도는 부직포(F)의 반송 속도보다 높아지도록, 공기가 공급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ozzle 4c of the cooler 4 is disposed at the inlet 4gi. The air flowing out of the nozzle 4c enters the cooling chamber 4g through the inlet 4gi and advances in the cooling chamber 4g while contacting the conveyed nonwoven fabric F. Thereafter, Through the cooling chamber 4g. In this case, air is supplied in the cooling chamber 4g such that the linear velocity of the air is higher than the conveyance speed of the nonwoven fabric F.

그런데, 롤(R)에서 풀린 부직포(F)는 우선 가열기(3)의 가열실(3g) 내를 통과하도록 반송된다. 동시에, 가열기(3)의 노즐(3c)로부터 가열된 공기가 가열실(3g) 내에 공급된다. 그 결과, 부직포(F)가 가열된 공기에 접촉하여 가열되고, 부직포(F)의 부피가 증가된다. 즉, 부직포(F)의 부피가 회복된다.By the way, the nonwoven fabric F unwound from the roll R is first conveyed to pass through the heating chamber 3g of the heater 3. At the same time, the heated air from the nozzle 3c of the heater 3 is supplied into the heating chamber 3g. As a result, the nonwoven fabric (F) is heated in contact with the heated air, and the volume of the nonwoven fabric (F) is increased. That is, the volume of the nonwoven fabric F is recovered.

이 경우, 공기는 주로 부직포(F)의 표면(Fs)을 따라 진행한다. 그 결과, 공기의 흐름에 의해, 부직포(F)의 부피가 회복되는 것이 방해되지 않는다. 즉, 부직포(F)의 부피가 양호하게 회복된다.In this case, the air mainly flows along the surface Fs of the nonwoven fabric F. As a result, the volume of the nonwoven fabric F is restored by the flow of air. That is, the volume of the nonwoven fabric F is recovered satisfactorily.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열실(3g) 내에서 공기의 선속도가 부직포(F)의 반송 속도보다 높다. 그 결과, 부직포(F)의 표면(Fs)에 인접하는 공기의 흐름에 혼란이 생긴다. 이 때문에, 공기에 포함되는 각종 분자는 부직포(F)의 표면(Fs)에 랜덤한 각도로 충돌한다. 따라서, 부직포(F)의 섬유가 풀어지고, 부피의 회복이 촉진된다. 또한, 공기 흐름의 혼란에 의해, 가열실(3g) 내에서 부직포(F)에 펄럭임이 생긴다. 그 결과, 부직포(F)의 내부에 가열된 공기가 용이하게 침입하여, 부직포(F)를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가열실(3g) 내지 하우징(3f)의 길이(L3f)(도 4)를 짧게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near velocity of the air in the heating chamber 3g is higher than the conveyance velocity of the nonwoven fabric F. As a result, the flow of air adjacent to the surface Fs of the nonwoven fabric F is confused. Therefore, various molecules contained in air collide with the surface Fs of the nonwoven fabric F at a random angle. Therefore, the fibers of the nonwoven fabric F are loosened, and recovery of the volume is promoted. Further, by the confusion of the air flow, fluttering occurs in the nonwoven fabric F in the heating chamber 3g. As a result, the heated air easily penetrates into the nonwoven fabric (F), and the nonwoven fabric (F) can be efficiently heated. Therefore, the length L3f (FIG. 4) of the heating chamber 3g to the housing 3f can be shortened.

또한, 하우징(3f)은 공기를 공급하는 설비 및 공기를 흡인하는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하우징(3f)의 크기를 더욱 작게 할 수 있다.Further, the housing 3f does not require a facility for supplying air and a facility for sucking air. Therefore, the size of the housing 3f can be further reduced.

또한, 가열실(3g) 내에서 부직포(F)는 롤 등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반송된다. 그 결과, 부직포(F)의 부피의 회복이 롤 등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다.In the heating chamber 3g, the nonwoven fabric F is conveyed without being supported by a roll or the like. As a result, recovery of the volume of the nonwoven fabric (F) is not hindered by the roll or the like.

가열실(3g)로부터 반출된 부직포(F)는 이어서, 냉각기(4)의 냉각실(4g)을 통과하도록 반송된다. 동시에, 냉각기(4)의 노즐(4c)로부터 냉각된 공기가 냉각실(4g) 내에 공급된다. 그 결과, 부직포(F)가 냉각된 공기에 접촉하여 냉각된다.The nonwoven fabric F taken out from the heating chamber 3g is then conveyed so as to pass through the cooling chamber 4g of the cooler 4. At the same time, the air cooled from the nozzle 4c of the cooler 4 is supplied into the cooling chamber 4g. As a result, the nonwoven fabric (F)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oled air and is cooled.

이 경우, 공기는 주로 부직포(F)의 표면(Fs)을 따라 진행한다. 그 결과, 공기의 흐름에 의해, 부직포(F)의 부피가 감소하는 것이 방해된다.In this case, the air mainly flows along the surface Fs of the nonwoven fabric F. As a result, the volume of the nonwoven fabric F is prevented from decreasing due to the flow of air.

또한, 냉각실(4g) 내에서 공기의 선속도가 부직포(F)의 반송 속도보다 높다. 그 결과, 냉각실(4g) 내에 위치하는 부직포(F) 전체를 냉각시킬 수 있다. 즉, 부직포(F)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냉각실(4g) 내지 하우징(4f)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Further, the linear velocity of the air in the cooling chamber 4g is higher than the conveyance speed of the nonwoven fabric F. As a result, the entire nonwoven fabric (F) located in the cooling chamber (4g) can be cooled. That is, the nonwoven fabric (F) can be efficiently cooled. Therefore, the size of the cooling chamber 4g to the housing 4f can be reduced.

냉각실(4g)로부터 반출된 부직포(F)는 이어서, 반송기(2)에 의해, 예컨대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로 반송된다.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에 있어서, 부직포(F)는 흡수성 물품의 톱시트로서 사용된다.The nonwoven fabric F taken out from the cooling chamber 4g is then conveyed to the absorbent articl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example, by the conveyor 2. [ In the absorbent article manufacturing apparatus, the nonwoven fabric (F) is used as a top sheet of the absorbent article.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직포(F)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가열기(3)의 노즐(3c)로부터 유출되는 공기의 온도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저융점 성분)의 융점보다 50℃ 낮은 온도 이상, 융점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온도가 융점-50℃보다 낮으면, 부직포의 부피가 충분히 회복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공기 온도가 융점 이상이면, 섬유가 녹아 버린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nonwoven fabric F contains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out from the nozzle 3c of the heater 3 is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low melting point component) It is preferably at least 50 ° C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and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If the air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50 占 폚, the volume of the nonwoven fabric may not be sufficiently recovered. If the air temperature is above the melting point, the fibers melt.

부직포(F)의 효율적인 가열을 생각하면, 가열실(3g)의 단면적, 즉 폭(W3g) 및 높이(H3g)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송시, 부직포(F)는 폭방향으로 사행하고, 두께 방향으로 펄럭인다. 이 때문에, 폭(W3g) 또는 높이(H3g)가 과도하게 작으면, 부직포(F)가 하우징(3f)에 충돌할 우려가 있다. 또한, 가열실(3g)의 단면적, 즉 공기의 유로 면적이 과도하게 작으면, 가열실(3g)에서의 압력 손실이 커진다. 이들을 고려하면, 폭(W3g)은 부직포(F)의 폭보다 5 내지 40 mm 큰 것이 바람직하고, 부직포(F)의 폭보다 10 내지 20 mm 큰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높이(H3g)는 2 내지 10 mm가 바람직하고, 3 내지 7 mm가 보다 바람직하다.Considering efficient heating of the nonwoven fabric 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eating chamber 3g, that is, the width W3g and the height H3g is preferably small. However, at the time of conveyance, the nonwoven fabric F meanders in the width direction and flaps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refore, if the width W3g or the height H3g is excessively small, the nonwoven fabric F may collide with the housing 3f. In addition, i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eating chamber 3g, that is, the air passage area is excessively small, the pressure loss in the heating chamber 3g becomes large. In view of these, the width W3g is preferably 5 to 40 mm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nonwoven fabric F, and more preferably 10 to 20 mm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nonwoven fabric F. The height (H3g) is preferably 2 to 10 mm, more preferably 3 to 7 mm.

지금까지 서술해 온 실시형태에서는, 가열기(3)의 노즐(3c)은 가열실(3g)의 입구(3gi)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노즐(3c)은 가열실(3g)의 출구(3go)에 배치된다. 이 경우, 출구(3go)를 통해 가열실(3g) 내에 들어가고, 반송되고 있는 부직포(F)에 접촉하면서 가열실(3g) 내를 진행한 후에, 입구(3gi)를 통해 가열실(3g)로부터 나가도록, 공기가 공급된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so far, the nozzle 3c of the heater 3 is disposed at the inlet 3gi of the heating chamber 3g. In another embodiment, the nozzle 3c is disposed at the outlet 3go of the heating chamber 3g. In this case, after entering the heating chamber 3g via the outlet 3go and advancing in the heating chamber 3g while contacting the conveyed nonwoven fabric F, the heated nonwoven fabric F is fed from the heating chamber 3g through the inlet 3gi The air is supplied so as to leave.

그렇게 하면, 입구(3gi) 및 출구(3go)의 한쪽을 통해 가열실(3g) 내에 들어가고, 부직포(F)에 접촉하면서 가열실(3g) 내를 진행한 후에, 입구(3gi) 및 출구(3go)의 다른쪽을 통해 가열실(3g) 안으로부터 나가도록 공기가 공급되게 된다.Then, after entering the heating chamber 3g through one of the inlet 3gi and the outlet 3go and advancing in the heating chamber 3g while contacting the nonwoven fabric F, the inlet 3gi and the outlet 3go The air is supplied to the heating chamber 3g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heating chamber 3g.

그런데, 노즐(3c)을 출구(3go)에 배치하면, 부직포(F)의 반송 방향(MD)과 공기의 흐름이 서로 역방향이 된다. 이 때문에, 반송을 위해 부직포(F)에 작용하는 반송 방향(MD)의 힘, 즉 장력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장력이 증가되면, 부직포(F)의 부피의 회복이 방해될 우려가 있다. 부직포(F)를 가열실(3g) 내에서, 반송 방향(MD)과, 반송 방향(MD)과 역방향으로 교대로 사행시키는 경우도 동일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By disposing the nozzle 3c at the outlet 3go, the conveying direction MD of the nonwoven fabric F and the air flow are opposite to each oth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force in the conveying direction MD acting on the nonwoven fabric F for conveying, that is, the tension. If the tensile force is increased, the recovery of the volume of the nonwoven fabric F may be hindered. The same problem may also occur when the nonwoven fabric F is alternately made to run in the heating chamber 3g alternately in the conveying direction MD and the conveying direction MD in the opposite direction.

이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노즐(3c)이 입구(3gi)에 배치되고, 부직포(F)의 양면(Fs)이 정상벽(3fu) 및 바닥벽(3fb)에 각각 계속해서 대면하도록 부직포(F)가 가열실(3g) 내에서 반송된다. 따라서, 가열실(3g) 내에서, 부직포(F)의 반송 방향(MD)과 공기의 흐름이 서로 계속해서 동일한 방향이다. 그 결과, 반송을 위해 부직포(F)에 인가되는 장력을 작게 유지하면서, 부피의 회복을 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3 to 5, the nozzle 3c is disposed at the inlet 3gi, and both surfaces Fs of the nonwoven fabric F are fixed to the top wall 3fu and the bottom wall 3fb The nonwoven fabric F is conveyed in the heating chamber 3g so as to face each other continuously. Therefore, in the heating chamber 3g, the conveying direction MD of the nonwoven fabric F and the air flow continue in the same direct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store the volume while keeping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nonwoven fabric F for conveying small.

또한, 지금까지 서술해 온 실시형태에서는, 노즐(3c)은 입구(3gi)에서 부직포(F)의 상측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노즐(3c)은 부직포(F)의 하측에 배치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노즐(3c)은 부직포(F)의 상측 및 하측의 양측에 배치된다.Further, in the embodiment described so far, the nozzle 3c is disposed above the nonwoven fabric F at the inlet 3gi. In another embodiment, the nozzle 3c is disposed below the nonwoven fabric F. In another embodiment, the nozzle 3c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nonwoven fabric F.

도 6의 (a) 및 도 6의 (b)는 노즐(3c)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노즐(3c)은 예컨대 직방체 형상의 본체(3ca)를 구비한다. 본체(3ca)는, 내부 공간(3cb)과, 내부 공간(3cb)에 연통하는 공기 입구(3cc) 및 공기 출구(3cd)와, 공기 출구(3cd)에 인접하여 펼쳐지는 공기 가이드판(3ce)을 구비한다. 공기 입구(3cc)는 공급관(3b)에 연결된다.6 (a) and 6 (b)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nozzle 3c. Referring to Fig. 6 (a), the nozzle 3c has, for exampl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ody 3ca. The main body 3ca includes an inner space 3cb and an air inlet 3cc and an air outlet 3cd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3cb and an air guide plate 3ce spreading adjacent to the air outlet 3cd, Respectively. The air inlet 3cc is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3b.

이 노즐(3c)은 하우징(3f)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즉,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3c)의 공기 가이드판(3ce)이, 하우징(3f)의 내부 공간(3s)의 입구(3si)를 통해 내부 공간(3s) 내에 삽입되고, 본체(3ca)가 하우징(3f)의 정상벽(3fu)에 고정된다. 그 결과, 공기 가이드판(3ce)과 정상벽(3fu) 사이에 공기 통로(5a)가 형성되고, 공기 가이드판(3ce)과 바닥벽(3fb) 사이에 부직포 통로(5b)가 형성된다. 이 경우, 예컨대, 공기 통로(5a)의 높이(H5a), 공기 가이드판(3ce)의 두께(t3ce)는, 각각 1 mm이고, 부직포 통로(5b)의 높이(H5b)는 3 mm이다. 또, 노즐(3c)의 폭은 내부 공간(3s)의 폭에 거의 일치한다.The nozzle 3c is integrally fixed to the housing 3f. 6 (b), the air guide plate 3ce of the nozzle 3c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3s through the inlet 3si of the inner space 3s of the housing 3f And the main body 3ca is fixed to the top wall 3fu of the housing 3f. As a result, an air passage 5a is formed between the air guide plate 3ce and the top wall 3fu, and a nonwoven passage 5b is formed between the air guide plate 3ce and the bottom wall 3fb.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height H5a of the air passage 5a, the thickness t3ce of the air guide plate 3ce are 1 mm, and the height H5b of the nonwoven fabric passage 5b is 3 mm. The width of the nozzle 3c almost coincides with the width of the inner space 3s.

공기 통로(5a)는, 한쪽에서는 노즐(3c)의 공기 출구(3cd)에 연통하고, 다른쪽에서는 하우징(3f)의 내부 공간(3s)에 연통한다. 이 경우, 공기 통로(5a)의 출구 하류에 가열실(3g)이 획정된다. 따라서, 공급관(3b)으로부터 본체(3ca)에 공급된 가열 공기는 공기 출구(3cd)를 통해 공기 통로(5a) 내에 유입되고, 공기 통로(5a) 내를 유통한 후에, 입구(3gi)를 통해 가열실(3g) 내에 유입된다.The air passage 5a communicates with the air outlet 3cd of the nozzle 3c on one side and the internal space 3s of the housing 3f on the other side. In this case, the heating chamber 3g is defined downstream of the outlet of the air passage 5a. The heated air supplied from the supply pipe 3b to the main body 3ca flows into the air passage 5a through the air outlet 3cd and flows through the air passage 5a and then flows through the inlet 3gi And flows into the heating chamber 3g.

부직포 통로(5b)는, 한쪽에서는 하우징(3f)의 외부에 연통하고, 다른쪽에서는 가열실(3g)에 연통한다. 부직포(F)는 하우징(3f)의 외부로부터 부직포 통로(5b) 내에 들어가고, 부직포 통로(5b) 내를 진행한 후에, 입구(3gi)를 통해 가열실(3g) 내에 들어간다.The nonwoven fabric passage 5b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housing 3f on one side and the heating chamber 3g on the other side. The nonwoven fabric F enters the nonwoven fabric passage 5b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3f and proceeds in the nonwoven fabric passage 5b and then enters the heating chamber 3g through the inlet 3gi.

이 경우, 가열실(3g)의 출구(3go)에서의 유로 면적은 부직포 통로(5b)의 유로 면적보다 크고, 따라서 출구(3go)에서의 유로 저항은 부직포 통로(5b)의 유로 저항보다 작아져 있다. 따라서, 입구(3gi)를 통해 가열실(3g) 내에 유입된 공기가 부직포 통로(5b) 내를 역류하는 것이 억제되고, 출구(3go)를 향해 가열실(3g) 내를 확실하게 유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low passage area at the outlet 3go of the heating chamber 3g is larger than that of the nonwoven fabric passage 5b, so that the flow passage resistance at the outlet 3go becomes smaller than the flow passage resistance of the nonwoven fabric passage 5b have. Therefor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eating chamber 3g through the inlet 3gi is prevented from flowing backward in the nonwoven fabric passage 5b, and the inside of the heating chamber 3g can be reliably flowed toward the outlet 3go .

도 7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하우징(3f)의 바닥벽(3fb)이 노즐(3c)의 본체(3ca)의 하측까지 연장된다. 그 결과, 부직포 통로(5b)도 노즐(3c)의 본체(3ca)의 하측까지 연장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the bottom wall 3fb of the housing 3f extends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3ca of the nozzle 3c, as compared with the embodiment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nonwoven fabric passage 5b also extends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3ca of the nozzle 3c.

냉각기(4)의 노즐(4c)의 배치도 가열기(3)의 노즐(3c)의 배치와 동일하다.The arrangement of the nozzles 4c of the cooler 4 is also the same as the arrangement of the nozzles 3c of the heater 3.

또한, 지금까지 서술해 온 실시형태에서는, 가열기(3)의 하류에 냉각기(4)가 설치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냉각기(4)가 생략된다. 즉, 가열기(3)로부터 반출된 부직포(F)는, 냉각기(4)에 의해 냉각되지 않고, 제조 장치로 반송된다.Further, in the embodiment described so far, the cooler 4 is installed downstream of the heater 3. In another embodiment, the cooler 4 is omitted. That is, the nonwoven fabric F taken out of the heater 3 is not cooled by the cooler 4 but is returned to the manufacturing apparatus.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3f)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가 설치된다. 이 가열기에 의해, 가열실(3g)을 획정하는 하우징(3f)의 내면의 온도가, 예컨대 노즐(3c)로부터 유출되는 공기의 온도와 거의 동일한 온도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하면, 부직포(F)의 부피 회복을 촉진할 수 있다. 하우징(3f)을 위한 가열기로서, 주식회사 스리하이 제조의 실리콘 러버 히터를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노즐(3c)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가 설치된다.In another embodiment, a heater for heating the housing 3f is provided. The heater maintains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3f defining the heating chamber 3g at a temperature substantially equal to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out from the nozzle 3c, for example. By doing so, the volume recovery of the nonwoven fabric F can be promoted. As the heater for the housing 3f, a silicone rubber heater manufactured by Sri Hi Co., Ltd. can be used. In another embodiment, a heater for heating the nozzle 3c is provided.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3f)을 덮는 보온재가 설치된다. 이 보온재에 의해, 하우징(3f) 내지 가열실(3g) 내의 온도 저하가 억제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노즐(3c)을 덮는 보온재가 설치된다.In another embodiment, a heat insulating material covering the housing 3f is provided. By this insulating material, temperature drop in the housing 3f to the heating chamber 3g is suppressed. In another embodiment, a heat insulating material covering the nozzle 3c is provided.

지금까지 서술해 온 여러가지 실시형태를 서로 조합할 수도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so far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but thes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평가된 항목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The evaluation methods of the items evaluated in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are as follows.

[평량][Basis]

평량은, JIS L 1906의 5.2에 따라 측정한다.The basis weight is measured according to 5.2 of JIS L 1906.

[부피][volume]

부피(두께)는, 부직포에 3.0 gf/cm2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두께 측정기((주)다이에이 과학 정기 제작소 제조, THICKNESS GAUGE UF-60)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부피(두께)의 측정은, 부직포의 10개소에서 행하고, 그 평균치를 부피(두께)로 한다.The volume (thickness) is measured with a thickness measuring instrument (THICKNESS GAUGE UF-60, manufactured by Dai-ichi Kogyo K.K.) under the condition that a load of 3.0 gf / cm 2 is applied to the nonwoven fabric. The volume (thickness) is measured at 10 places of the nonwoven fabric, and the average value is determined as the volume (thickness).

[압축 특성][Compression characteristics]

압축 특성은, 카토테크 주식회사 제조, 자동화 압축 시험기 KES-FB3을 이용하여 평가한다.The compression characteristics are evaluated using an automated compression tester KES-FB3 manufactured by KATTOE K.K.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다.The measurement conditions are as follows.

SENS: 2SENS: 2

스피드: 0.02 mm/초Speed: 0.02 mm / sec

스트로크: 5 mm/10 V Stroke: 5 mm / 10 V

가압 면적: 2 cm2 Pressure area: 2 cm 2

취득 간격: 0.1초Acquisition interval: 0.1 sec

상한 하중: 50 g/cm2 Upper load: 50 g / cm 2

반복 횟수: 1회Number of iterations: 1

압축 특성은, 부직포 1 cm2당 압축 에너지 WC(N·m/m2)와, 압축 레질리언스 RC(%)에 의해 평가한다. 합계 3회의 측정을 행하고, WC 및 RC의 평균치를 산출한다. 한편, WC는, 값이 클수록 압축되기 쉬운 것을 의미하고, RC는, 값이 100%에 가까울수록 회복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The compression characteristics are evaluated by the compression energy WC (Nm / m 2 ) per 1 cm 2 of nonwoven fabric and the compression resistance RC (%). A total of three measurements are made, and an average value of WC and RC is calculated. On the other hand, the WC means that the larger the value is, the easier the compression is, and the RC means that the closer the value is to 100%, the higher the recoverability.

[투액성][Pourable]

투액성을, LENZING사 제조, LISTER 스트라이크 스루 시험기를 이용하여 평가한다. 평가 순서는 이하와 같다.The liquid permeability was evaluated using a LISTER strike through tester manufactured by LENZING. The evaluation procedure is as follows.

(1) 100×100 mm의 크기로 커트한 여과지(ADVANTEC FILTER PAPER GRADE2) 5장 위에, 100×100 mm의 크기로 커트한 시료를 배치하고, 그 위에 통전 투액 플레이트를 배치한다.(1) A sample cut into a size of 100 x 100 mm was placed on five sheets of ADVANTEC FILTER PAPER GRADE 2 cut into a size of 100 x 100 mm, and a conduction plate was placed thereon.

(2) 스트라이크 스루 시험기 본체에, 여과지, 시료 및 통전 투액 플레이트를 세트한다.(2) Set the filter paper, the sample, and the conduction plate on the strike through tester body.

(3) 스트라이크 스루 시험기 본체에, 생리 식염수 5 mL를 넣는다.(3) Put 5 mL of physiological saline into the body of the strike through tester.

(4) 스트라이크 스루 시험기 본체로부터, 생리 식염수 5 mL(실온)를, 통전 투액 플레이트의 개공부에 낙하시킨다.(4) Drop 5 mL (room temperature) of physiological saline from the body of the strike-through tester to the opening of the energized fluid dispensing plate.

(5) 통전 투액 플레이트의 통전 시간을 기록한다.(5) Record the energization time of the energized fluid dispensing plate.

(6) 합계 3회의 측정을 행하여, 투액 시간의 평균치를 산출한다.(6) Measurements are made three times in total,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infusion time is calculated.

한편, 시료를 세트하지 않는 경우, 즉, 여과지 5장에서의 투액 시간은, 69.13초였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ample was not set, that is, the feeding time in five filter paper was 69.13 seconds.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3][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1) 실시예 1, 2에서의 부피 회복 처리(1) Volume recovery processing in Examples 1 and 2

롤 형태의 부직포가 준비되었다. 이 부직포는, 에어스루 부직포이고, 에어스루 처리된 면(열풍이 분무된 면)이 요철 부형되어 있다. 부직포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있어서, WF는 부직포의 폭을, tm은 롤(R)에 감기기 전의 부직포의 두께를, t0은 롤에서 풀려 부피 회복 장치에 반입되기 전의 부직포의 두께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부직포의 두께는, 다이에이 과학 정기 제작소 제조의 두께 측정기 FS-60DS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가압판 면적은 20 cm2(원형)이고, 측정 하중은 0.3 kPa(3 gf/cm2)이었다.A roll type nonwoven fabric was prepared. This nonwoven fabric is an air-through nonwoven fabric and has an air-through treated surface (a surface on which hot air is sprayed) is concave and convex. The properties of the nonwoven fabric are shown in Table 1. In Table 1, WF represents the width of the nonwoven fabric, tm represents the thickness of the nonwoven fabric before the roll (R) is wound, and t0 represents the thickness of the nonwoven fabric before being transferred from the roll to the volume recovery device. The thickness of the nonwoven fabric was measured using a thickness measuring instrument FS-60DS manufactured by Dai-ichi Kogyo Seiki KK. The pressure plate area was 20 cm 2 (round) and the measured load was 0.3 kPa (3 gf / cm 2 ).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부피 회복 장치를 이용하여 부직포의 부피 회복 처리를 행했다. 노즐(3c)로서, 스프레잉 시스템스사 제조의 Y747-304SS가 이용되었다. 유량계(3ba)로서, CKD 주식회사 제조의 PFD-802-40이 이용되었다. 레귤레이터(3d)로서, SMC 주식회사 제조의 AR30-03이 이용되었다. 전기 히터(3e)로서, 사카구치 전열 제조의 마이크로 케이블 에어 히터(형식: MCA-3P-5000, 200 V, 5 KW)가 이용되었다.The volume recovery processing of the nonwoven fabric was performed using the volume recovery devic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3 to 5. As the nozzle 3c, Y747-304SS manufactured by Spraying Systems Corporation was used. As the flow meter 3ba, PFD-802-40 manufactured by CKD Co., Ltd. was used. As the regulator 3d, AR30-03 manufactured by SMC Corporation was used. As the electric heater 3e, a micro cable air heater (type: MCA-3P-5000, 200 V, 5 KW) manufactured by Sakaguchi Electric Heat was used.

실시예 1, 2에서의 처리 조건이 표 2에 나타나 있다. 표 2에 있어서, THAi는 가열실의 입구에서의 공기의 온도를, qHA는 컴프레서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유량(0℃)을, SHA(=W3g·H3g)는 가열실에서의 공기 유로 면적을, VHA(=qHA/SHA)는 가열실에서의 공기의 선속도를, VF는 부직포의 반송 속도를, τH(=L3g/VF)는 부직포의 가열 시간, 즉 부직포가 가열실 내에 체재한 시간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The treatment conditions in Examples 1 and 2 are shown in Table 2. In Table 2, THAi denotes the temperature of the air at the inlet of the heating chamber, qHA denotes the air flow rate (0 DEG C)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SHA (= W3g H3g) (= qHA / SHA) is the linear velocity of air in the heating chamber, VF is the transporting speed of the nonwoven fabric, and τH (= L3g / VF) is the heating time of the nonwoven fabric, Respectively.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2) 비교예 1∼3에서의 부피 회복 처리(2) Volume recovery processing in Comparative Examples 1 to 3

실시예 1, 2와 동일한 부직포가 준비되었다. 도 8에 도시된 부피 회복 장치를 이용하여 부직포의 부피 회복 처리가 행해졌다. 도 8을 참조하면, 비교예 1∼3의 부피 회복 장치는, 한쌍의 롤러(21, 21)에 의해 구동되는 통기성 벨트(22)를 구비하고, 롤에서 풀린 부직포(FF)는 벨트(22) 상에 실려 반송 방향(MD)으로 반송되었다. 부피 회복 장치는 또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기(31)와, 열풍 공급기(31)로부터의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기(32)와, 냉풍을 공급하는 냉풍 공급기(41)와, 냉풍 공급기(41)로부터의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기(42)를 구비하고 있었다. 열풍 공급기(31)는 팬으로 구성되었다. 열풍 공급기(31)와 흡인기(32)는 간극(S3)을 두고 서로 대면 배치되고, 냉풍 공급기(41)와 흡인기(42)는 간극(S4)을 두고 서로 대면 배치되었다. 벨트(22)는 이들 간극(S3, S4) 내를 통과하고, 따라서 부직포(FF)는 간극(S3, S4) 내에서 반송되었다. 동시에, 열풍 공급기(31)로부터 부직포(FF)의 표면에 수직으로 열풍이 공급되고, 이 열풍은 부직포(FF)를 통과하고, 계속해서 흡인기(32)에 흡인되었다. 마찬가지로, 냉풍 공급기(41)로부터 부직포(FF)의 표면에 수직으로 냉풍이 공급되고, 이 냉풍은 부직포(FF)를 통과하고, 계속해서 흡인기(42)에 흡인되었다.The same nonwoven fabric as that of Examples 1 and 2 was prepared. The volume recovery process of the nonwoven fabric was performed using the volume recovery device shown in Fig. 8, the volume recovery device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3 are provided with a breathable belt 22 driven by a pair of rollers 21 and 21, and a nonwoven fabric (FF) And transported in the transport direction (MD). The volume recovery device further includes a hot air supply device 31 for supplying hot air, a suction device 32 for sucking air from the hot air supply device 31, a cold air supply device 41 for supplying cold air, And an aspirator 42 for sucking air from the suction port. The hot wind supplier 31 was constituted by a fan. The hot air supply device 31 and the suction device 32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gap S3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cold air supply device 41 and the suction device 42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gap S4 interposed therebetween. The belt 22 passes through these gaps S3 and S4 and therefore the nonwoven fabric FF is conveyed in the gaps S3 and S4. At the same time, hot air was supplied vertically to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FF) from the hot air supply device 31, and this hot air passed through the nonwoven fabric (FF) and was sucked to the suction device (32). Likewise, cool air was supplied vertically to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FF) from the cold air supply device 41, and the cold air passed through the nonwoven fabric (FF) and was sucked to the suction device (42).

비교예 1∼3에서의 처리 조건이 표 3에 나타나 있다. 표 3에 있어서, THAi'는 열풍 공급기(31)로부터 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qHA'는 열풍 공급기(31)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유량(80℃)을, Ps'는 열풍 공급기(31)에서의 정압(80℃)을, L3g', W3g'는, 열풍 공급기(31) 및 흡인기(32) 중 공기의 흐름이 발생되어 있는 부분의 반송 방향 길이 및 폭을, SHA'(=L3g'·W3g')는, 간극(S3)에서의 공기 유로 면적을, VHA'(=qHA'/SHA')는 간극(S3)에서의 공기의 선속도를, SF'(=L3g'·WF)는, 간극(S3) 내에 위치하는 부직포 부분, 즉 공기가 통과하고 있는 부직포 부분의 면적을, VF'는 부직포의 반송 속도를, τH'는 가열 시간, 즉 부직포가 간극(S3) 내에 체재한 시간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The treatment conditions in Comparative Examples 1 to 3 are shown in Table 3. In Table 3, THAi 'represents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out of the hot air supplier 31, qHA' represents the air flow rate (80 ° C) discharged from the hot air supplier 31, Ps' L3g 'and W3g' denote the length and width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portion in which the air flow is generated in the hot air supply device 31 and the suction device 32, SHA '(= L3g' · W3g ' (= LHA g '· WF) is the air velocity of the air in the gap S3 and VGA' (= qHA '/ SHA') is the air velocity of the air in the gap S3. VF 'represents the conveying speed of the nonwoven fabric, and τH' represents the heating time, that is, the time during which the nonwoven fabric stays in the gap S3, respectively, in the non-woven fabric portion S3 have.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3) 부피 회복 처리된 부피가 큰 부직포의 특성(3) Properties of bulk-treated non-woven fabric with volume recovery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3의 조건으로 부피 회복 처리된 부피가 큰 부직포의 특성이 표 4에 나타나 있다. 또, T0 및 Tm은, 압축 시험시의 일정 압력하(T0은 0.5 gf/cm2, Tm은 50 gf/cm2)에서의 부직포의 두께이다. T0의 값이 클수록, 부직포의 푹신함이 양호해진다. 또한, Tm의 값이 클수록, 압축시의 두께 유지가 양호해진다. 예컨대, 부직포가 흡수성 물품(예컨대 기저귀)의 톱시트로서 사용된 경우, 흡수성 물품에 압력(예컨대, 착용자가 앉았을 때의 압력 등)이 가해지더라도, 부직포가 잘 뭉개지지 않는다.Table 4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lky nonwoven fabric subjected to volume restoration treatment under the conditions of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In addition, T0 and Tm is a predetermined pressure and at the time of compression test is the thickness of the nonwoven fabric of the (T0 is 0.5 gf / cm 2, Tm is 50 gf / cm 2). The larger the value of T0, the better the fluffiness of the nonwoven fabric. In addition, the larger the value of Tm, the better the retention of thickness during compression. For example, when the nonwoven fabric is used as a top sheet of an absorbent article (e.g., a diaper), even if pressure is applied to the absorbent article (e.g., pressure when the wearer is seated), the nonwoven fabric does not crumble well.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4

(4) 열융착부의 전자 현미경 관찰(4)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of heat-welded part

부피 회복 전(부피 회복 장치 반입 전)의 부직포, 및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3의 조건으로 부피 회복 처리하여 얻어진 부피가 큰 부직포에서의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열융착부를, KEYENCE사 제조의 리얼 서페이스 뷰 현미경 VE-7800으로 관찰했다. 이 때, 가속 전압은 2 kv, 배율은 30∼1500배, 스테이지 높이는 10 mm로 했다. 각각의 부피가 큰 부직포를 예리한 면도날 등으로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관찰 스테이지에 양면 테이프로 고정시켰다.The heat-sealable portions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in the nonwoven fabric before volume recovery (before bringing up the volume recovery device) and in the bulky nonwoven fabric obtained by volume recovery treatment under the conditions of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were measured by KEYENCE Lt; SEP > VE-7800 < / RTI > At this time, the acceleration voltage was 2 kV, the magnification was 30 to 1500 times, and the stage height was 10 mm. Each of the bulky nonwoven fabrics each having a large volume was cut into a predetermined size with a sharp razor blade or the like, and fixed on the observation stage with a double-sided tape.

우선, 각 부직포를 요철면으로부터 300배로 관찰한 바,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에서는 약 5개 정도의 열융착부가 관찰 가능하고, 부피 회복 처리 후의 부피가 큰 부직포에서는 10개 정도의 열융착부가 관찰 가능했기 때문에, 각각의 열융착부를 1500배로 확대하여, 열융착부의 형태를 관찰했다.First, when each of the nonwoven fabrics was observed at 300 times from the uneven surface, it was found that about 5 heat-welded portions could be observed in the nonwoven fabric before volume recovery, and about 10 heat-welded portions could be observed in the bulk non- Therefore, each of the thermally fused portions was enlarged to 1500 times, and the shape of the thermally fused portion was observed.

1500배로 확대한 열융착부의 전자 현미경 사진을 도 9∼도 14에 도시한다. 도 9의 (a)∼(c)는, 부피 회복 전(부피 회복 장치 반입 전)의 부직포의 전자 현미경 사진이고, 도 10의 (a)∼(c)는, 실시예 1의 조건으로 부피 회복 처리된 부직포의 전자 현미경 사진이고, 도 11의 (a)∼(c)는, 실시예 2의 조건으로 부피 회복 처리된 부직포의 전자 현미경 사진이고, 도 12의 (a)∼(c)는, 비교예 1의 조건으로 부피 회복 처리된 부직포의 전자 현미경 사진이고, 도 13의 (a)∼(c)는, 비교예 2의 조건으로 부피 회복 처리된 부직포의 전자 현미경 사진이고, 도 14의 (a)∼(c)는, 비교예 3의 조건으로 부피 회복 처리된 부직포의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An electron microscope photograph of a thermally fused portion magnified 1500 times is shown in Fig. 9 to Fig. 9 (a) to 9 (c) are electron micrographs of the nonwoven fabric before volume recovery (before bringing up the volume recovery device) and FIGS. 10 11 (a) to 11 (c) are electron micrographs of a nonwoven fabric subjected to volume recovery treatment under the conditions of Example 2, and Figs. 12 (a) to 12 13 (a) to 13 (c) are electron micrographs of a nonwoven fabric subjected to volume recovery treatment under the conditions of Comparative Example 2, and FIG. 13 (a) to (c) are electron micrographs of the nonwoven fabric subjected to volume recovery treatment under the conditions of Comparative Example 3.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에서는, 열융착부에서 열융착성 복합 섬유끼리가 파고들어 있어, 열융착성 복합 섬유 사이의 거리는, 각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섬유 반경의 합보다 작아져 있었다. 부직포 제조시의 반송 방향(MD 방향)과 수직인 방향(CD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관찰용 샘플을 제작하고, 요철면 근방 부분, 요철면/플랫면의 중간 부분 및 플랫면 근방 부분에서 열융착부를 관찰한 바, 대체로, 어떤 부분에서도, 열융착성 복합 섬유끼리가 파고들어 있었다.As shown in Fig. 9, in the nonwoven fabric before recovering the volume,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in the heat-sealable portion are sandwich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is larger than the sum of the fiber radii of the heat- It was small. (C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MD direction) at the time of production of the nonwoven fabric was produced, and a sample for cross-sectional observation was prepared, and heat-fusion bonding was per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uneven surface, the middle portion of the uneven surface /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heat-sealable composite fibers were squeezed out at any portion.

도 12∼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1∼3의 조건으로 부피 회복 처리된 부직포에서는,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와 마찬가지로, 열융착성 복합 섬유끼리가 파고들어 있었다. 또한, 열풍 온도의 증가(비교예 1에서는 80℃, 비교예 2에서는 100℃, 비교예 3에서는 120℃)에 따라,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표면 방향으로 열융착부의 표면적이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As shown in Figs. 12 to 14, in the nonwoven fabric subjected to volume restoration treatment under the condition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3,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dug into each other similarly to the nonwoven fabric before volume recovery. In addition, the surface area of the heat-sealed portion tends to increase in the direction of the surface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hot air temperature (80 占 폚 in Comparative Example 1, 100 占 폚 in Comparative Example 2, and 120 占 폚 in Comparative Example 3) .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2의 조건으로 부피 회복 처리된 부직포에서는, 도 1에 도시한 잘록형 열융착부가 관찰되었다. 잘록형 열융착부에서 열융착성 복합 섬유끼리는 약간 이격되어 있어, 열융착성 복합 섬유 사이의 거리는, 각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섬유 반경의 합보다 커져 있었다. 또한, 잔금이 발생되어 있는 부분이 관찰되었다. 또한, 열융착부의 잘록부는, 부피 회복 처리시의 온도의 증가에 따라 현저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As shown in Figs. 10 and 11, in the nonwoven fabric subjected to volume recovery treatment under the conditions of Examples 1 and 2, the constricted heat-sealed portions shown in Fig. 1 were observed.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were slightly spaced from each other in the constricted heat-sealable por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was larger than the sum of the fiber radii of the respectiv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Further, a portion where the residue was generated was observed.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constriction of the heat-sealed portion became remarkable as the temperature during the volume recovery treatment increased.

도 9∼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열융착부의 형태의 차이는, 부피 회복 처리의 유무 및 종류의 차이에 기초하는 것으로 생각된다.It is considered that the difference in the shape of the heat-sealed portions as shown in Figs. 9 to 14 is based on the difference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volume recovery process and the type thereof.

즉, 비교예 1∼3에서 채용되어 있는 에어스루 방식에서는,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가 배치되는 이동식 컨베이어면에 열이 전해지기 어렵기 때문에, 충분한 부피 회복을 실현하기 위해, 열풍을 고온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열풍 풍속은 비교적 낮아도 좋지만,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가 배치되는 컨베이어면을 열풍이 통과할 때, 컨베이어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를 압축하는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비교예 1∼3에서는, 고온의 열풍에 의해 열융착성 복합 섬유 표면이 융해되기 쉬움과 동시에, 융해된 열융착성 복합 섬유끼리가 압축되기 때문에, 열융착성 복합 섬유끼리가 파고든 상태가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That is, in the air through method employed in Comparative Examples 1 to 3, it is difficult for heat to be transmitted to the movable conveyor surface on which the nonwoven fabric before volume recovery is disposed. Therefore, in order to realize sufficient volume recovery, have. In addition, the hot wind speed may be relatively low. However, when hot air passes through the conveyor surface on which the nonwoven fabric before the volume recovery is disposed, a force compressing the nonwoven fabric before volume recovery act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veyor surface. Therefore, in Comparative Examples 1 to 3, the surface of the heat-sealable composite fiber tends to be melted by hot hot air, and at the same time, the heat-sealable composite fibers that are melted are compressed, .

이에 대하여, 실시예 1, 2에서는,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에 대하여 병행으로 열풍이 흐르고, 부직포 속도보다 열풍 풍속이 크기 때문에, 부피 회복 장치 내에서 난류가 발생하여, 열이 전해지기 쉬워진다. 또한, 부직포의 구성 섬유에 대하여, 한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지 않고, 공기의 흐름을 따라 구성 섬유에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팽출형 열융착부가 약간 신장되어, 잘록형 열융착부로 변화되기 쉽다.On the other hand, in Examples 1 and 2, hot air flows in parallel to the nonwoven fabric before volume recovery, and the hot wind air velocity is larger than the nonwoven fabric speed, so that turbulence is generated in the volume recovery device, and heat is easily transmitted. In addition, since no force is applied to 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nonwoven fabric in one direction and force is applied to the constituent fibers along the air flow, the expandable thermally fused portion is slightly elongated and easily transformed into a constricted thermally fused portion.

(5) 고찰(5) Consideration

표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2의 조건으로 부피 회복 처리하여 얻어진 부피가 큰 부직포의 평량은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와 대략 동일하지만, 부피, 비용적, WC 값 및 RC 값은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보다 크다. 동일 평량의 경우, 부피가 클수록, 공극률(비용적)이 높고, WC 값이 클수록 압축 변형성이 높고, RC 값이 100%에 가까울수록 압축 회복성이 높다. 따라서, 실시예 1, 2의 조건으로 부피 회복 처리하여 얻어진 부피가 큰 부직포는,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와 비교하여, 공극률(비용적)이 높고, 압축 변형성 및 압축 회복성이 우수하다.As shown in Table 4, the basis weight of the bulky nonwoven fabric obtained by the bulk recovery treatment under the conditions of Examples 1 and 2 wa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nonwoven fabric before the volume recovery, but the volume, cost, WC value, Woven fabric. In the case of the same basis weight, the larger the volume, the higher the porosity (cost), and the higher the WC value, the higher the compressive deformability, and the closer the RC value is to 100%, the higher the compression recovery. Therefore, the nonwoven fabric having a large volume obtained by volume recovery treatment under the conditions of Examples 1 and 2 has a higher porosity (cost) than the nonwoven fabric before the volume recovery, and is excellent in compressive deformability and compression recovery.

또한, 실시예 1, 2의 조건으로 부피 회복 처리하여 얻어진 부피가 큰 부직포의 평량은, 비교예 1∼3의 조건으로 얻어진 부피가 큰 부직포와 대략 동일하지만, 부피, 비용적, WC 값 및 RC 값은, 비교예 1∼3의 조건으로 얻어진 부피가 큰 부직포와 동일한 정도 또는 그것보다 높다. 특히, 열풍 온도가 동일한 정도인 실시예 1 및 비교예 1(실시예 1에서는 85℃, 비교예 1에서는 80℃)을 비교하면, 실시예 1에서는, 비교예 1보다, 압축 변형성을 나타내는 WC 값 및 압축 회복성을 나타내는 RC 값이 높다. 실시예 1의 조건으로 부피 회복 처리된 부직포에서는, 팽출형 열융착부가 잘록형 열융착부로 변화되어 있고, 열융착부가 팽출형으로부터 잘록형으로 변화됨으로써, 열융착부에 의한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접합 강도가 저하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조건으로 부피 회복된 부직포는, 비교예 1의 조건으로 부피 회복 처리된 부직포보다, 압축 변형에 대한 섬유의 자유도가 높아, 섬유가 움직이기 쉬워진 것으로 생각된다. 이 때문에, 실시예 1의 조건으로 부피 회복 처리된 부직포는, 비교예 1의 조건으로 부피 회복 처리된 부직포보다, 압축 변형성을 나타내는 WC 값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The basis weight of the bulky nonwoven fabric obtained by volume restoration treatment under the conditions of Examples 1 and 2 was approximately the same as that of the bulky nonwoven fabric obtained under the condition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3, but the volume, cost, Valu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at of the bulky nonwoven fabric obtained under the condition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3. Particularly,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85 ° C in Example 1 and 80 ° C in Comparative Example 1), in which the hot wind temperature is the same, the WC value And the RC value indicating the compression recovery property is high. In the nonwoven fabric subjected to volume recovery treatment under the condition of Example 1, the bulging type heat-sealing portion was changed to the constricted heat-sealable portion and the heat-sealing portion was changed from the bulging type to the constriction type, The bonding strength is lowere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nonwoven fabric recovered in the volume of Example 1 under the condition of Example 1 had higher degree of freedom of the fiber with respect to the compression deformation than the nonwoven fabric subjected to the volume restoration treatment under the condi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fibers were easier to move. For this reason, it is considered that the nonwoven fabric subjected to volume restoration treatment under the conditions of Example 1 has higher WC value showing compressive deformation than the nonwoven fabric subjected to the volume restoration treatment under the condi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또한, 실시예 1의 조건으로 부피 회복 처리된 부직포에서는, 부피 회복 처리시에 열융착성 복합 섬유에 열이 전해지기 쉽기 때문에, 열융착성 복합 섬유를 구성하는 수지가 열에 의해 배향되고, 결정성이 높아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조건으로 부피 회복된 부직포는, 비교예 1의 조건으로 부피 회복 처리된 부직포보다, 섬유의 초기 강도가 증가하여, 초기의 변형에 대하여 섬유가 잘 뭉개지지 않게 되고, 형상 유지성이 향상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때문에, 실시예 1의 조건으로 부피 회복 처리된 부직포는, 비교예 1의 조건으로 부피 회복 처리된 부직포보다, 압축 회복성을 나타내는 RC 값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Further, in the nonwoven fabric subjected to volume recovery treatment under the condition of Example 1, since the heat is likely to be transmitted to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during the volume restoration treatment, the resin constituting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is oriented by heat, . Therefore, the nonwoven fabric recovered in the volume of Example 1 under the conditions of Example 1 increased in initial strength of the fibers as compared with the nonwoven fabric subjected to volume recovery treatment under the condi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the fibers were not crushed well against the initial deformation, Is considered to be improved. For this reason, it is considered that the nonwoven fabric subjected to volume restoration treatment under the conditions of Example 1 has higher RC value indicating the compression recovery property than the nonwoven fabric subjected to volume recovery treatment under the condi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F1∼F4: 열융착성 복합 섬유, R1, R2: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교차 영역, B1: 잘록형 열융착부, B2: 팽출형 열융착부, P1, P2: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교차 영역의 중심, Z1, Z2: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중첩 방향, A1, A2: 중심선(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교차 영역의 중심을 지나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중첩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 r1, r2: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섬유 반경, r3: 열융착성 복합 섬유 사이의 거리B1: Fill-cut type heat-welded portion, B2: Expansion type heat-welded portion, P1, P2: Crossing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F1 to F4: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R1 and R2: Cross- A1, A2: center line (imaginary line extending in the overlapping direction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through the center of the intersection region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Z1, Z2: overlap direction of the heat- r1 and r2 are the radius of the fiber of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r3 is the distance between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Claims (9)

서로 교차하여 중첩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와, 상기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교차 영역에서 상기 열융착성 복합 섬유를 열융착하는 잘록형 열융착부를 갖는 부직포로서,
상기 잘록형 열융착부가, 상기 교차 영역의 중심을 지나 상기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중첩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을 중심선으로 했을 때, 상기 중심선을 향해 오목형의 표면을 갖고,
상기 잘록형 열융착부에 의해 열융착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 사이의 거리가, 각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섬유 반경의 합보다 크고,
3.0 gf/cm2 하중하의 두께가 0.5∼3.0 mm이고,
비용적이 6∼300 cm3/g인 부직포.
A nonwoven fabric comprising a thermally fusible conjugate fiber which is crossed and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a constricted thermally fusible portion for thermally fusing the heat-fusible conjugate fiber in an intersecting region of the heat-fusible conjugate fiber,
Wherein the constricted thermally fused portion has a concave surface toward the center line when an imaginary line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crossing region and extending in the superimposing direction of the heat-
The distance between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thermally fused by the constricted thermally fused portion is larger than the sum of the fiber radii of the respectiv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A thickness of 0.5 to 3.0 mm under a load of 3.0 gf / cm 2 ,
Non-woven fabric having a cost of 6 to 300 cm < 3 > / g.
제1항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여 중첩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를 상기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교차 영역에서 열융착하는 열융착부를 다수 갖고,
상기 부직포에 포함되는 상기 열융착부의 총수 중 상기 잘록형 열융착부의 수의 비율이 1/10∼9/10인 부직포.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ich has a plurality of thermally fusible parts for thermally fusing thermally fusible conjugate fibers crossing each other in an intersecting region of the thermally fusible conjugate fibers,
Wherein the ratio of the number of the constricted thermally fused portions to the total number of the thermally fused portions contained in the nonwoven fabric is 1/10 to 9/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섬유 직경이 10∼30 ㎛인 부직포.The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has a fiber diameter of 10 to 30 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성 복합 섬유가, 제1 성분과, 제1 성분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제2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성분에 대한 상기 제2 성분의 질량비(제2 성분/제1 성분)가 4/6∼8/2인 부직포.The heat-sealable composite fib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comprises a first component and a second component having a melting point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component, wherein the mass ratio of the second component to the first component (Second component / first component) is 4/6 to 8/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열융착한 열융착성 복합 섬유를 함유하는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를 부피 회복 처리하여 얻어지는 부직포로서,
상기 부피 회복 처리가,
입구 및 출구를 갖는 가열실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가열실 내에 들어가고, 상기 가열실 내를 진행한 후에, 상기 출구를 통해 상기 가열실로부터 나가도록 상기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를 반송하면서, 상기 입구 및 상기 출구의 한쪽을 통해 상기 가열실 내에 들어가고, 상기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에 접촉하면서 상기 가열실 내를 진행한 후에, 상기 입구 및 상기 출구의 다른쪽을 통해 상기 가열실 안으로부터 나가도록, 가열된 유체를, 상기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의 반송 속도보다 높은 속도로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직포.
The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ich is obtained by volume recovery treatment of a nonwoven fabric before recovering a volume containing heat-sealable conjugate fibers,
The volume recovery process may include:
Preparing a heating chamber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Wherein the heating chamber and the heating chamb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one of the inlet and the outlet so that the nonwoven fabric before the volume recovery is conveyed through the inlet to pass through the heating chamber 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heating chamber, And the heated fluid is supplied to the nonwoven fabric before the volume recovery, and the nonwoven fabric before the volume recovery is conveyed through the nonwoven fabric before the volume recovery so as to advance in the heating chamber and then to exit from the heating chamber through the other of the inlet and the outlet. The step of feeding at a speed higher than the speed
/ RTI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가, 열융착성 복합 섬유를 함유하는 웹을 에어스루 처리하여 상기 열융착성 복합 섬유를 열융착시킨 에어스루 부직포인 부직포.The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nonwoven fabric before recovering the volume is an air-through nonwoven fabric obtained by air-through treatment of a web containing a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to thermally fuse the heat-sealable conjugate fi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된 유체가,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가열실 내에 들어가고, 상기 출구를 통해 상기 가열실로부터 나가는 부직포.6. The nonwoven fabric of claim 5, wherein the heated fluid enters the heating chamber through the inlet and exits the heating chamber through the outle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가 상기 가열실 내에서 지지되지 않고 반송되는 부직포.The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nonwoven fabric before the volume recovery is conveyed without being supported in the heating cha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실이, 상기 입구부터 상기 출구까지, 서로 간격을 두고 펼쳐지는 2개의 격벽에 의해 획정(劃定)되어 있고, 이들 격벽에 상기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의 양면이 각각 계속해서 대면하도록 상기 부피 회복 전의 부직포가 상기 가열실 내에서 반송되는 부직포.The non-woven fabric as claimed in claim 5, wherein the heating chamber is defined by two partition wal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Wherein the nonwoven fabric before the volume recovery is conveyed in the heating chamber so as to face the nonwoven fabric.
KR1020147035238A 2012-09-28 2013-09-20 Nonwoven cloth KR10211713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18854 2012-09-28
JP2012218854A JP5840100B2 (en) 2012-09-28 2012-09-28 Non-woven
PCT/JP2013/075558 WO2014050762A1 (en) 2012-09-28 2013-09-20 Nonwoven clo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607A true KR20150060607A (en) 2015-06-03
KR102117135B1 KR102117135B1 (en) 2020-05-29

Family

ID=50388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5238A KR102117135B1 (en) 2012-09-28 2013-09-20 Nonwoven cloth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211157A1 (en)
EP (1) EP2902537B1 (en)
JP (1) JP5840100B2 (en)
KR (1) KR102117135B1 (en)
CN (2) CN203700710U (en)
AU (1) AU2013321216B2 (en)
WO (1) WO201405076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0100B2 (en) * 2012-09-28 2016-01-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Non-woven
EP2777795B1 (en) * 2013-03-15 2016-03-09 Eurofilters Holding N.V. Vacuum cleaner filter bag
JP5728554B2 (en) * 2013-10-18 2015-06-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Non-woven fabric bulk recovery device and non-woven fabric bulk recovery method
JP5728555B2 (en) * 2013-10-18 2015-06-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Non-woven fabric bulk recovery device and bulk recovery method
JP5707467B2 (en) 2013-10-18 2015-04-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remodeling manufacturing apparatus
JP5753884B2 (en) * 2013-10-18 2015-07-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JP5728552B2 (en) * 2013-10-18 2015-06-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Non-woven fabric bulk recovery device and non-woven fabric bulk recovery method
CN106661789B (en) * 2014-09-02 2019-02-15 康明斯滤清***知识产权公司 Nonwoven web with bimodal fiber distribution
JP6827478B2 (en) * 2018-02-28 2021-02-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nimal excrement treatment sheet
WO2020112703A1 (en) 2018-11-30 2020-06-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for producing through-fluid bonded nonwoven webs
WO2020107422A1 (en) 2018-11-30 2020-06-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of creating soft and lofty nonwoven webs
CN110293617B (en) * 2019-07-17 2024-04-26 武汉微动机器人科技有限公司 Tablet press
JPWO2021172476A1 (en) * 2020-02-27 2021-09-02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7655A (en) 2002-09-25 2004-05-13 Kao Corp Method for recovering bulk of non-woven fabric
JP3989468B2 (en) * 2004-06-14 2007-10-10 花王株式会社 Three-dimensional shaped non-woven fabric
JP2009062650A (en) 2007-09-07 2009-03-26 Kao Corp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11102456A (en) * 2009-10-16 2011-05-26 Kao Corp Nonwoven fabric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205681A (en) * 1982-09-30 1987-03-31 Chicopee Non-woven fabric containing conjugate fibres fused with hot air
JP3658884B2 (en) * 1996-09-11 2005-06-08 チッソ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long-fiber nonwoven fabric
CN100392166C (en) * 2000-03-24 2008-06-04 花王株式会社 Bulkyl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003082573A (en) * 2001-09-07 2003-03-19 Hirano Tecseed Co Ltd Web heat treatment equipment
KR101515518B1 (en) * 2007-08-28 2015-04-27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Shaped sheet and absorbent article utilizing the same
JP4719229B2 (en) 2008-01-22 2011-07-06 日本放送協会 Diversity reception system
US8650727B2 (en) * 2008-05-27 2014-02-18 Kao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cleaning sheet
US8720021B2 (en) * 2008-10-20 2014-05-13 Uni-Charm Corporation Method for increasing thickness of non-woven fabric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JP5368082B2 (en) * 2008-12-26 2013-12-18 花王株式会社 Non-woven fabric bulk increase method
JP5070302B2 (en) * 2010-01-06 2012-11-14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surface sheet
JP5629525B2 (en) * 2010-08-06 2014-11-19 花王株式会社 Non-woven bulk increaser
JP5777558B2 (en) * 2012-04-20 2015-09-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oring bulk of nonwoven fabric
JP5840100B2 (en) * 2012-09-28 2016-01-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Non-wov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7655A (en) 2002-09-25 2004-05-13 Kao Corp Method for recovering bulk of non-woven fabric
JP3989468B2 (en) * 2004-06-14 2007-10-10 花王株式会社 Three-dimensional shaped non-woven fabric
JP2009062650A (en) 2007-09-07 2009-03-26 Kao Corp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11102456A (en) * 2009-10-16 2011-05-26 Kao Corp Nonwoven fabr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10883A (en) 2014-04-09
EP2902537B1 (en) 2017-08-30
JP5840100B2 (en) 2016-01-06
US20150211157A1 (en) 2015-07-30
CN103710883B (en) 2017-11-14
EP2902537A4 (en) 2016-06-01
CN203700710U (en) 2014-07-09
EP2902537A1 (en) 2015-08-05
JP2014070317A (en) 2014-04-21
WO2014050762A1 (en) 2014-04-03
AU2013321216A1 (en) 2015-04-09
KR102117135B1 (en) 2020-05-29
AU2013321216B2 (en) 2017-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0607A (en) Nonwoven cloth
JP5498474B2 (en)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d nonwoven fabric
KR101513751B1 (en) Nonwoven fabric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CA2381168C (en) Improved nonwoven with non-symmetrical bonding configuration
JP5538943B2 (en) Non-woven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7662462B2 (en) Nonwoven fabric
JP5649377B2 (en)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bsorbent article
JP5328088B2 (en) Non-woven
WO2007148497A1 (en) Non-woven fabric
WO2007148502A1 (en) Nonwoven fabric
WO2007148501A1 (en) Nonwoven fabric
WO2007148533A1 (en) Multilayer nonwoven fabric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WO2007148498A1 (en) Non-woven fabric
CN108699745B (en) Long fiber nonwoven fabric having excellent skin touch
JP2020007697A (en) Hydrophilic bulky nonwoven fabric
CN117337346A (en) Method for producing nonwoven fabric, nonwoven fabric produced by using same, and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same as constituent member
CN111148492B (en) Absorbent body and absorbent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