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8745A -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8745A
KR20150058745A KR1020130141887A KR20130141887A KR20150058745A KR 20150058745 A KR20150058745 A KR 20150058745A KR 1020130141887 A KR1020130141887 A KR 1020130141887A KR 20130141887 A KR20130141887 A KR 20130141887A KR 20150058745 A KR20150058745 A KR 20150058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ashup service
user terminal
uni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우
조준면
김명은
이무훈
염정남
유정주
홍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41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8745A/ko
Priority to US14/524,843 priority patent/US20150143435A1/en
Publication of KR20150058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1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04N21/2353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specifically adapted to content descriptors, e.g. coding, compressing or processing of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3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specifically related to the content, e.g. biography of the actors in a movie, detailed information about an article seen in a video prog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시청중인 컨텐츠의 내용과 관련된 태스크(Task)를 추론하고,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매쉬업 서비스(Mashup)를 구성하여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컨텐츠 재생 환경에 있어서의 정보 제공의 제약 및 한계점을 극복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방법{Mashup service managing system based on context contained in content and mashup service managing method based on context contained in content thereof}
본 발명은 매쉬업 서비스(Mashup Service)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방송과 통신 인프라가 융합되면서 이제 TV의 역할이 지상파 방송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방송 컨텐츠를 전달하는 수동적인 디바이스에서 인터넷 풀 브라우징 및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로 발전하고 있다.
전통적인 TV의 용도는 소파에 편안히 기대어(lean-back) 지상파 방송사에서 송출하는 동영상을 정해진 시간에 시청하는 것이었으나, TV와 인터넷이 결합되면서 동영상 소비 양상 또한 변화하고 있다. 이제 사용자는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lean-forward) 지상파 방송뿐만 아니라 인터넷상에서 자신이 원하는 동영상(anything)을 원하는 시간(anytime)에, 원하는 장소(anywhere)에서 검색하여 소비하고 있다.
사용자의 TV 사용 행태가 과거 단순 시청하는 수동적인 형태에서 적극적인 형태로 변함에 따라, 컨텐츠를 단순히 시청만 하는 것이 아닌, 시청 중인 컨텐츠에 나타나는 인물, 장소, 상품 등에 대한 부가정보와 같은 컨텐츠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얻고자 하는 요구들이 생기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5708호(2011. 10. 05)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매체를 통한 광고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등에서와 같이 인물 정보나 상품 정보를 제공하려는 기술들이 다양하게 연구/개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컨텐츠에 출현하는 인물, 장소, 상품 등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단순한 정보 제공 기능에 그치고 있다.
이에 스마트 TV 환경 및 스마트 패드, 스마트 폰 등과 같은 다양한 사용자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하고 기존의 단순한 정보 제공 차원이 아닌, 개인 사용자의 선호 및 특성을 파악하고, 사용자 맞춤식 정보 제공과 더 나아가 컨텐츠의 부가정보에 적합한 사용자가 원하는 태스크 및 관련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5708호(2011. 10. 05)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시청중인 컨텐츠의 내용과 관련된 태스크(Task)를 추론하고,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매쉬업 서비스(Mashup)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중인 컨텐츠의 내용과 관련된 메타(Meta)정보를 방송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메타정보로부터 분석되는 부가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황과 컨텐츠의 내용에 부합되는 매쉬업 서비스를 구성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프로파일(profile)을 사용자 프로파일 DB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사용자의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상에서 선택된 부가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한 태스크(Task)들을 추론하는 태스크 추론부와; 상기 태스크 추론부에 의해 추론된 태스크들 중에서 선택된 태스크를 수행할 단위 서비스 모듈들을 단위 서비스 모듈 DB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단위 서비스 모듈들을 융합하여 고객화된 매쉬업 서비스를 생성하는 매쉬업 서비스 생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상기 매쉬업 서비스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고객화된 매쉬업 서비스를 해당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추천하는 매쉬업 서비스 추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 프로파일(profile)을 사용자 프로파일 DB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프로파일 관리부와; 매쉬업 서비스 구성을 위한 단위 서비스 모듈들을 단위 서비스 모듈 DB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위 서비스 모듈 관리부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을 수신하는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부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부가정보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의 내용을 분석하는 컨텐츠 내용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내용 분석부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부가정보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의 내용을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에 포함된 부가정보들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컨텐츠에 포함되는 부가정보들을 의미적(semantic) 내용을 포함하는 어노테이션(annotation) 파일 형태로 부가정보 DB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부가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내용 분석부가 상기 부가정보 DB를 참조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에 포함된 부가정보들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상기 컨텐츠 내용 분석부에 의해 검색된 부가정보들을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상에 부가정보 태그들로 표시하는 부가정보 태그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부가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상에 표시되는 부가정보 태그들 중에서 특정 부가정보 태그를 사용자가 선택함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태스크 추론부가 사용자의 프로파일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지역, 컨텐츠 시청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한 태스크(Task)를 추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방법이 컨텐츠를 재생중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을 수신하는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 수신단계와; 상기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 수신단계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 수신시,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의 내용을 분석하는 컨텐츠 내용 분석단계와; 해당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프로파일을 검색하고, 검색된 사용자의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 내용 분석단계에 의해 분석된 컨텐츠의 내용으로부터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한 태스크(Task)들을 추론하는 태스크 추론단계와; 상기 태스크 추론단계에 의해 추론된 태스크들 중에서 선택된 태스크를 수행할 단위 서비스 모듈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단위 서비스 모듈들을 융합하여 고객화된 매쉬업 서비스를 생성하는 매쉬업 서비스 생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방법이: 상기 매쉬업 서비스 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된 고객화된 매쉬업 서비스를 해당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추천하는 매쉬업 서비스 추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방법이 컨텐츠를 재생중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해당 컨텐츠에 포함된 부가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부가정보 요청 수신단계와;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에 포함된 부가정보들을 검색하는 부가정보 검색단계와; 검색된 부가정보들을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상에 부가정보 태그들로 표시하는 부가정보 태그 표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 수신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상에 표시되는 부가정보 태그들 중에서 특정 부가정보 태그를 사용자가 선택함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태스크 추론단계에서 사용자의 프로파일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지역, 컨텐츠 시청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한 태스크(Task)를 추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시청중인 컨텐츠의 내용과 관련된 태스크(Task)를 추론하고,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매쉬업 서비스(Mashup)를 구성하여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컨텐츠 재생 환경에 있어서의 정보 제공의 제약 및 한계점을 극복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부가정보 태그 표시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태스크 선택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매쉬업 서비스 추천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100)은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중인 컨텐츠의 내용과 관련된 메타(Meta)정보를 방송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메타정보로부터 분석되는 부가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황과 컨텐츠의 내용에 부합되는 매쉬업 서비스를 구성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한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100)은 태스크 추론부(110)와, 매쉬업 서비스 생성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태스크 추론부(110)는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200)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프로파일(profile)을 사용자 프로파일 DB(300)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사용자의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상에서 선택된 부가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한 태스크(Task)들을 추론한다.
이 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스마트 TV, 스마트폰 등의 컨텐츠 재생이 가능하고, 네트워크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프로파일 DB(300)에 저장되는 사용자 프로파일은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지역, 컨텐츠 시청 이력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가입시 또는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통해 획득되어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DB(30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프로파일은 사용자 단말기 식별번호 또는 사용자 ID 등에 매칭되어 사용자 프로파일 DB(300)에 저장되고, 사용자 단말기 식별번호 또는 사용자 ID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태스크 추론부(110)가 사용자의 프로파일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지역, 컨텐츠 시청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한 태스크(Task)를 추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태스크(Task)란 컨텐츠에 포함된 인물, 장소, 상품 등과 같은 부가정보와 관련하여 수행해야할 업무들을 정의한 정보이며, 각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에 따라 각 사용자 마다 상이하게 적어도 하나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매쉬업 서비스 생성부(120)는 상기 태스크 추론부(110)에 의해 추론된 태스크들 중에서 선택된 태스크를 수행할 단위 서비스 모듈들을 단위 서비스 모듈 DB(400)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단위 서비스 모듈들을 융합하여 고객화된 매쉬업 서비스를 생성한다.
상기 단위 서비스 모듈은 컨텐츠에 포함된 인물, 장소, 상품 등과 같은 부가정보와 관련하여 수행해야할 업무들을 정의한 정보인 태스크들을 각각 처리하는 개별적인 소프트웨어 모듈이고, 매쉬업 서비스는 이 단위 서비스 모듈이 사용자 프로파일에 따라 선택적으로 선택되어 융합된 각 사용자별로 고객화된 정보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시청중인 컨텐츠의 내용과 관련된 태스크(Task)를 추론하고,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매쉬업 서비스(Mashup)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100)이 매쉬업 서비스 추천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쉬업 서비스 추천부(130)는 상기 매쉬업 서비스 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된 고객화된 매쉬업 서비스를 해당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하여 추천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시청중인 컨텐츠의 내용과 관련된 태스크(Task)를 추론하고,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매쉬업 서비스(Mashup)를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컨텐츠 재생 환경에 있어서의 정보 제공의 제약 및 한계점을 극복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100)이 프로파일 관리부(140)와, 단위 서비스 모듈 관리부(150)와,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부(160)와, 컨텐츠 내용 분석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 관리부(140)는 사용자 프로파일(profile)을 사용자 프로파일 DB(30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은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지역, 컨텐츠 시청 이력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파일 관리부(140)가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지역 등과 같은 정보는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가입 절차를 통해 획득하여 사용자 프로파일 DB(300)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고, 컨텐츠 시청 이력 등과 같은 정보는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이력 수집 및 분석하는 등의 방법으로 획득하여 사용자 프로파일 DB(300)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 관리부(140)에 의해 관리되는 사용자 프로파일은 상기 태스크 추론부(110)의 태스크 추론시 이용된다.
상기 단위 서비스 모듈 관리부(150)는 매쉬업 서비스 구성을 위한 단위 서비스 모듈들을 단위 서비스 모듈 DB(40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상기 단위 서비스 모듈은 컨텐츠에 포함된 인물, 장소, 상품 등과 같은 부가정보와 관련하여 수행해야할 업무들을 정의한 정보인 태스크들을 각각 처리하는 개별적인 소프트웨어 모듈로, 예컨대 상기 단위 서비스 모듈 관리부(150)를 통해 단위 서비스 모듈 DB(400)에 등록되거나 또는 단위 서비스 모듈 DB(400)로부터 삭제될 수 있다. 상기 단위 서비스 모듈 관리부(140)에 의해 관리되는 단위 서비스 모듈은 상기 매쉬업 서비스 생성부(120)의 매쉬업 서비스 생성시 이용된다.
상기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부(16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을 수신한다. 예컨대, 상기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부(160)가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상에 표시되는 부가정보 태그들 중에서 특정 부가정보 태그를 사용자가 선택함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부가정보 태그와 관련해서는 추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컨텐츠 내용 분석부(17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의 부가정보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의 내용을 분석한다. 예컨대, 상기 컨텐츠 내용 분석부(170)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의 부가정보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의 내용을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에 포함된 부가정보들을 검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내용 분석부(170)에 의해 분석되는 컨텐츠의 내용은 상기 태스크 추론부(110)의 태스크 추론시 이용된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100)이 부가정보 관리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정보 관리부(180)는 컨텐츠에 포함되는 부가정보들을 의미적(semantic) 내용을 포함하는 어노테이션(annotation) 파일 형태로 부가정보 DB(50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이 때, 상기 컨텐츠 내용 분석부(170)가 상기 부가정보 DB(500)를 참조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에 포함된 부가정보들을 검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컨텐츠 내용 분석부(170)가 컨텐츠 데이터의 메타정보로부터 부가정보와 관련한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들에 대한 의미 기반 검색을 통해 부가정보 DB(500)로부터 부가정보들을 검색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100)이 부가정보 태그 표시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정보 태그 표시부(190)는 상기 컨텐츠 내용 분석부(170)에 의해 검색된 부가정보들을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상에 부가정보 태그들로 표시한다.
상기 부가정보는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재생중인 컨텐츠에 포함된 인물, 장소, 상품 등과 같은 정보이고, 상기 부가정보 태그는 부가정보들을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상에서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부가정보 태그 표시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재생되는 방송 컨텐츠상에 '카페', '귀걸이', '트랜치코트'에 대한 부가정보 태그가 표시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때, 상기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부(160)가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상에 표시되는 부가정보 태그들 중에서 특정 부가정보 태그를 사용자가 선택함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 에 도시한 부가정보 태그 중 '카페'에 대한 부가정보 태그를 사용자가 선택했다면, 상기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부(160)가 '카페'와 관련한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을 수신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태스크 추론부(110)가 해당 사용자의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카페'와 관련한 태스크들을 추론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추론된 태스크 목록을 제공하여 매쉬업 서비스를 추천받기 원하는 태스크를 선택받는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태스크 선택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카페'에 대한 부가정보 태그 선택에 의해 추론된 '맛집 태스크'와 '여행 태스크'가 사용자 단말기(200)에 표시되었음을 볼 수 있다.
도 3 에 표시되는 태스크들 중 사용자가 '여행 태스크'를 선택했다면, 상기 매쉬업 서비스 생성부(120)가 '여행 태스크'를 수행할 단위 서비스 모듈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단위 서비스 모듈들을 융합하여 고객화된 매쉬업 서비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고객화된 매쉬업 서비스를 매쉬업 서비스 추천부(13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하여 추천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매쉬업 서비스 추천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단위 서비스 모듈들인 '주변볼거리', '맛집', '숙박', '여행 코스'가 융합된 고객화된 매쉬업 서비스가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되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시청중인 컨텐츠의 내용과 관련된 태스크(Task)를 추론하고,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매쉬업 서비스(Mashup)를 구성하여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컨텐츠 재생 환경에 있어서의 정보 제공의 제약 및 한계점을 극복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동작을 도 5 를 참조하여 알아본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 수신단계(610)에서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컨텐츠를 재생중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을 수신한다.
이 때, 상기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 수신단계(610)에서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상에 표시되는 부가정보 태그들 중에서 특정 부가정보 태그를 사용자가 선택함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 다음, 태스크 추론단계(620)에서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해당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프로파일을 검색하고, 검색된 사용자의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상에서 선택된 부가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한 태스크(Task)들을 추론한다.
이 때, 상기 태스크 추론단계(620)에서 사용자의 프로파일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지역, 컨텐츠 시청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한 태스크(Task)를 추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 다음, 매쉬업 서비스 생성단계(630)에서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상기 태스크 추론단계(620)에 의해 추론된 태스크들 중에서 선택된 태스크를 수행할 단위 서비스 모듈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단위 서비스 모듈들을 융합하여 고객화된 매쉬업 서비스를 생성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시청중인 컨텐츠의 내용과 관련된 태스크(Task)를 추론하고,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매쉬업 서비스(Mashup)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방법이 매쉬업 서비스 추천단계(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쉬업 서비스 추천단계(640)에서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상기 매쉬업 서비스 생성단계(630)에 의해 생성된 고객화된 매쉬업 서비스를 해당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추천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시청중인 컨텐츠의 내용과 관련된 태스크(Task)를 추론하고,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매쉬업 서비스(Mashup)를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컨텐츠 재생 환경에 있어서의 정보 제공의 제약 및 한계점을 극복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방법이 부가정보 요청 수신단계(602)와, 부가정보 검색단계(604)와, 부가정보 태그 표시단계(6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정보 요청 수신단계(602)에서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컨텐츠를 재생중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해당 컨텐츠에 포함된 부가정보 요청을 수신한다. 부가정보 요청과 관련해서는 기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부가정보 검색단계(604)에서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의 내용을 분석하고, 해당 컨텐츠에 포함된 부가정보들을 검색한다. 부가정보 검색과 관련해서는 기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부가정보 태그 표시단계(606)에서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검색된 부가정보들을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상에 부가정보 태그들로 표시한다. 부가정보 태그 표시와 관련해서는 기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면,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 수신단계(610)에서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상에 표시되는 부가정보 태그들 중에서 특정 부가정보 태그를 사용자가 선택함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을 수신하게 된다.
그러면, 태스크 추론단계(620)를 통해 해당 선택된 특정 부가정보 태그와 관련한 태스크(Task)들이 추론되고, 추론된 태스크들 중 사용자가 매쉬업 서비스를 추천받기를 원하는 태스크를 선택하면, 매쉬업 서비스 생성단계(630)에서 선택된 태스크를 수행할 단위 서비스 모듈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단위 서비스 모듈들을 융합하여 고객화된 매쉬업 서비스를 생성하고, 매쉬업 서비스 추천단계(640)에서 생성된 고객화된 매쉬업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추천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시청중인 컨텐츠의 내용과 관련된 태스크(Task)를 추론하고,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매쉬업 서비스(Mashup)를 구성하여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컨텐츠 재생 환경에 있어서의 정보 제공의 제약 및 한계점을 극복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환경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매쉬업 서비스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100 :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0 : 태스크 추론부
120 : 매쉬업 서비스 생성부
130 : 매쉬업 서비스 추천부
140 : 프로파일 관리부
150 : 단위 서비스 모듈 관리부
160 :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부
170 : 컨텐츠 내용 분석부
180 : 부가정보 관리부
190 : 부가정보 태그 표시부
200 : 사용자 단말기
300 : 사용자 프로파일 DB
400 : 단위 서비스 모듈 DB
500 : 부가정보 DB

Claims (15)

  1.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중인 컨텐츠의 내용과 관련된 메타(Meta)정보를 방송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메타정보로부터 분석되는 부가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황과 컨텐츠의 내용에 부합되는 매쉬업 서비스를 구성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프로파일(profile)을 사용자 프로파일 DB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사용자의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상에서 선택된 부가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한 태스크(Task)들을 추론하는 태스크 추론부와;
    상기 태스크 추론부에 의해 추론된 태스크들 중에서 선택된 태스크를 수행할 단위 서비스 모듈들을 단위 서비스 모듈 DB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단위 서비스 모듈들을 융합하여 고객화된 매쉬업 서비스를 생성하는 매쉬업 서비스 생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상기 매쉬업 서비스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고객화된 매쉬업 서비스를 해당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추천하는 매쉬업 서비스 추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 프로파일(profile)을 사용자 프로파일 DB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프로파일 관리부와;
    매쉬업 서비스 구성을 위한 단위 서비스 모듈들을 단위 서비스 모듈 DB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위 서비스 모듈 관리부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을 수신하는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부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부가정보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의 내용을 분석하는 컨텐츠 내용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내용 분석부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부가정보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의 내용을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에 포함된 부가정보들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컨텐츠에 포함되는 부가정보들을 의미적(semantic) 내용을 포함하는 어노테이션(annotation) 파일 형태로 부가정보 DB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부가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내용 분석부가:
    상기 부가정보 DB를 참조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에 포함된 부가정보들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상기 컨텐츠 내용 분석부에 의해 검색된 부가정보들을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상에 부가정보 태그들로 표시하는 부가정보 태그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부가: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상에 표시되는 부가정보 태그들 중에서 특정 부가정보 태그를 사용자가 선택함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추론부가:
    사용자의 프로파일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지역, 컨텐츠 시청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한 태스크(Task)를 추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 컨텐츠를 재생중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을 수신하는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 수신단계와;
    해당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프로파일을 검색하고, 검색된 사용자의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상에서 선택된 부가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한 태스크(Task)들을 추론하는 태스크 추론단계와;
    상기 태스크 추론단계에 의해 추론된 태스크들 중에서 선택된 태스크를 수행할 단위 서비스 모듈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단위 서비스 모듈들을 융합하여 고객화된 매쉬업 서비스를 생성하는 매쉬업 서비스 생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방법이:
    상기 매쉬업 서비스 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된 고객화된 매쉬업 서비스를 해당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추천하는 매쉬업 서비스 추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방법이:
    컨텐츠를 재생중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해당 컨텐츠에 포함된 부가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부가정보 요청 수신단계와;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의 내용을 분석하고, 해당 컨텐츠에 포함된 부가정보들을 검색하는 부가정보 검색단계와;
    검색된 부가정보들을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상에 부가정보 태그들로 표시하는 부가정보 태그 표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 수신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상에 표시되는 부가정보 태그들 중에서 특정 부가정보 태그를 사용자가 선택함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매쉬업 서비스 추천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추론단계에서:
    사용자의 프로파일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지역, 컨텐츠 시청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한 태스크(Task)를 추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방법.
KR1020130141887A 2013-11-21 2013-11-21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방법 KR20150058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887A KR20150058745A (ko) 2013-11-21 2013-11-21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방법
US14/524,843 US20150143435A1 (en) 2013-11-21 2014-10-27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ashup service based on the content of media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887A KR20150058745A (ko) 2013-11-21 2013-11-21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745A true KR20150058745A (ko) 2015-05-29

Family

ID=53174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887A KR20150058745A (ko) 2013-11-21 2013-11-21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143435A1 (ko)
KR (1) KR201500587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970B1 (ko) * 2016-01-26 2016-07-15 주식회사 이노피아테크 미디어 서비스에서 양방향 채널 구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17007B (zh) * 2015-08-20 2019-02-1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显示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智能垫体
US10606658B2 (en) * 2016-03-22 2020-03-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roach to recommending mashups
WO2023022427A1 (en) * 2021-08-18 2023-0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mart capture to provide input and action suggestion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3790A1 (en) * 2000-03-28 2003-05-15 Logan James D. Audio and video program recording, editing and playback systems using metadata
US7571452B2 (en) * 2001-11-13 2009-08-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items of interest to a user based on recommendations for one or more third parties
WO2004064296A2 (en) * 2003-01-07 2004-07-29 Home Box Office Integrated media viewing environment
MX2008012873A (es) * 2006-04-06 2009-04-28 Kenneth H Ferguson Metodo y aparato para control de programacion del contenido de medios.
US20100122297A1 (en) * 2008-11-13 2010-05-13 Satyam Computer Service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user likes modeling
KR101471940B1 (ko) * 2012-02-03 2014-12-24 한국과학기술원 Tv 프로그램 콘텐츠와 웹 콘텐츠의 연계추천 장치, 시스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970B1 (ko) * 2016-01-26 2016-07-15 주식회사 이노피아테크 미디어 서비스에서 양방향 채널 구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43435A1 (en)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0918B2 (en) Method of recommending broadcasting contents and recommending apparatus therefor
KR100769385B1 (ko)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사용하는 비디오 프로그램 시스템 및 방법
ES2261483T3 (es) Sistemas y metodos de construccion de listas de medios de usuario.
JP7019669B2 (ja) 静的ナレッジグラフおよび時間的ナレッジグラフに基づいて用語の曖昧性を除去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7204874A (ja) 画像受信装置
US20140074603A1 (en) Consumer advertisement targeting platform system
US20110208570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individualized and dynamic advertisement in cloud computing and web application
CN106471539A (zh) 用于混淆受众测量的***和方法
CN105915954A (zh) 一种基于手机屏幕的视频推荐方法和***
KR20130083457A (ko) 부가 서비스 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JP2004508775A (ja) ビデオ対話法
KR20100130638A (ko) 사용자가 액세스 가능한 콘텐츠 내의 메타데이터 이용 가능성의 표시를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및 셋탑박스
KR101875230B1 (ko) 시청 정보와 메타 데이터를 사용한 선호도 추론 장치 및 방법
JP2011193447A (ja) 番組表配信装置、番組送信装置、番組表受信端末、番組表送受信システム、番組表配信方法、番組表受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50058745A (ko)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방법
JP6369979B2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システム、データ表示装置、データ処理方法、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83273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lized advertisement information using a set top box
US20110107219A1 (e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service thereof
JP5527853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JP2013152517A (ja) クーポン配布システム、テレビ、サーバー
US201301599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related information
KR20100118896A (ko) 콘텐츠 내 객체 정보 및 객체 기반의 응용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8751475B2 (en)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earmarks
KR101511311B1 (ko) 셋탑박스 제어 기록 및 콘텐츠 검색 기록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6480113B2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