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8339A - Vehicle boundary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Google Patents

Vehicle boundary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8339A
KR20150058339A KR1020157009607A KR20157009607A KR20150058339A KR 20150058339 A KR20150058339 A KR 20150058339A KR 1020157009607 A KR1020157009607 A KR 1020157009607A KR 20157009607 A KR20157009607 A KR 20157009607A KR 20150058339 A KR20150058339 A KR 20150058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nel
plate
sheathing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96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66498B1 (en
Inventor
요시히로 이와노
준이치 고마츠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50058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3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4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62D25/18Parts or details thereof, e.g. mudguard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08Joining by deforming
    • Y10T29/49925Inward deformation of aperture or hollow body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소정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 및 그 제조 방법을 얻는다.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16)은, 제 2 판부(36)가 제 1 능선(L1)을 사이에 두고 제 1 판부(34)에 연속하여 형성됨과 함께, 제 3 판부(38)가 제 1 능선(L1)과 예각 형상으로 교차하는 제 2 능선(L2)을 사이에 두고 제 2 판부(36)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능선(L1)과 제 2 능선(L2)의 교점(32X)으로부터는, 제 1 판부(34)의 일부와 제 3 판부(38)의 일부로 구성된 단면 V자 형상의 비드(40)가 연장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후드 아우터 패널(24A)은 제 1 능선(L1)을 따라 배치되고, 제 2 판부(36)와의 사이에 제 1 접경부(30A)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펜더 패널(26)은 제 2 능선(L2)을 따라 배치되고, 제 2 판부(36)와의 사이에 제 2 접경부(30B)를 형성함과 함께, 후드(24)와의 사이에 제 3 접경부(30C)를 형성하고 있다.A structure of a contact portion of a vehicl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at can improve the appearance quality while securing a predetermined strength are obtained. The side member outer panel 16 is formed such that the second plate portion 36 is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first plate portion 34 with the first ridge line L1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third plate portion 38 is formed by the first ridge line L1 L1 and the second ridge line L2 intersecting at an acute angle are interposed therebetween. A bead 40 having a V-shaped section formed by a portion of the first plate portion 34 and a portion of the third plate portion 38 is formed from the intersection 32X of the first ridgeline L1 and the second ridgeline L2. . On the other hand, the hood outer panel 24A is disposed along the first ridgeline L1 and forms the first abutment portion 30A between the second plate portion 36 and the hood outer panel 24A. The fender panel 26 is disposed along the second ridgeline L2 and forms a second abutment portion 30B between the second abutment portion 36 and the second abutment portion 30B. Thereby forming a contact portion 30C.

Figure P1020157009607
Figure P1020157009607

Description

차량의 접경부 구조 및 그 제조 방법{VEHICLE BOUNDARY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OUNDARY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차량의 접경부 구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contact portion of a vehicl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차량에 있어서는, 복수매의 패널이 인접 배치되어 있고, 패널끼리의 사이에는 접경부(경계선)가 형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참조). 그리고, 이와 같은 접경부가 외관 품질(겉모양)의 향상에 기여하는 경우도 있다.In a vehicle, a plurality of panels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contact portion (boundary line) is formed between the panels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s 1 and 2). In addition, such a bordering portion may contribute to improvement in appearance quality (appearance).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5-096502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096502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0-285005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0-285005

그러나, 예를 들면, 2매의 패널의 단부(端部)에 의해 끼워진 예각(銳角) 형상의 모서리부 공간이 형성됨과 함께, 다른 패널이 드로잉 성형되어 R 형상의 모서리부가 형성되고, 추가로 예각 형상의 모서리부 공간의 내측에 R 형상의 모서리부가 배치되면, 구멍 형상의 틈이 형성되어 외관 품질을 저하시켜 버린다. 한편, 이와 같은 구멍 형상의 틈을 숨기기 위해, 드로잉 깊이가 얕은 R 형상의 모서리부를 패널에 형성함과 함께, 상기 예각 형상의 모서리부 공간에 합치하는 별체의 피복물을 상기 R 형상의 모서리부에 씌워 접합한 경우에는, 드로잉 깊이가 얕은 분(分)만큼 패널의 강도가 저하되어 버린다.However, for example, an acute angle corner space sandwiched by the end portions of two panels is formed, another panel is drawn-formed to form an R-shaped corner portion, and a further acute angle When an R-shaped corner portion is disposed inside the corner space of the shape, a hole-like gap is formed, which deteriorates the appearance quality.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hide such a hole-like gap, an R-shaped edge portion having a shallow drawing depth is formed on the panel, and a separate coating conforming to the edge portion space of the acute angle shape is covered on the corner portion of the R- In the case of joining, the strength of the panel is lowered by a minute that the drawing depth is shallow.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소정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 및 그 제조 방법을 얻는 것이 목적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of a contact portion of a vehicl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at can improve the appearance quality while securing a predetermined strength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facts.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는, 제 1 판부와, 제 1 능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판부에 연속하여 형성된 제 2 판부와, 상기 제 1 능선과 예각 형상으로 교차하는 제 2 능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2 판부에 연속하여 형성된 제 3 판부와, 상기 제 1 판부의 일부와 상기 제 3 판부의 일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능선과 상기 제 2 능선의 교점으로부터 연장되는 단면(斷面) V자 형상의 비드를 구비한 제 1 패널과, 상기 제 1 능선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 2 판부와의 사이에 제 1 접경부를 형성하는 제 2 패널과, 상기 제 2 능선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 2 판부와의 사이에 제 2 접경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 2 패널과의 사이에 제 3 접경부를 형성하는 제 3 패널을 가진다.The abutment portion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first plate portion, a second plate portion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first plate portion with a first ridge therebetween, A third plate portion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second plate portion with a second ridge lin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portion of the first plate portion and a portion of the third plate portion and extending from an intersection of the first ridge line and the second ridge line A first panel having a bevel having a V-shaped cross section, a second panel disposed along the first ridge and forming a first abutting portion between the second abutting surface and the second ridge, And a third panel that forms a second abutt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forms a third abutting portion between the second abutting surface and the second panel.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에 의하면, 제 1 패널은, 제 2 판부가 제 1 능선을 사이에 두고 제 1 판부에 연속하여 형성됨과 함께, 제 3 판부가 제 1 능선과 예각 형상으로 교차하는 제 2 능선을 사이에 두고 제 2 판부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능선과 제 2 능선의 교점으로부터는 제 1 판부의 일부와 제 3 판부의 일부로 구성된 단면 V자 형상의 비드가 연장되어 있다. 즉, 제 1 패널은, 절곡 가공에 의해 제 1 능선 및 제 2 능선에 끼워진 예각 형상의 모서리부를 제조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connecting portion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anel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plate portion is continuous to the first plate portion with the first ridge therebetween, And a second ridge intersecting with an acute-angled shape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portion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A bead having a V-shaped cross section extending from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ridge line and the second ridge line is formed by a part of the first plate part and a part of the third plate part. That is, the first panel has a shape capable of manufacturing an edge portion of an acute-angled shape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ridge line and the second ridge line by bending.

이에 대하여, 제 2 패널은 제 1 능선을 따라 배치되고, 제 2 판부와의 사이에 제 1 접경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제 3 패널은 제 2 능선을 따라 배치되고, 제 2 판부와의 사이에 제 2 접경부를 형성함과 함께, 제 2 패널과의 사이에 제 3 접경부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전술과 같이, 제 1 패널은 예각 형상의 모서리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제 1 능선과 제 2 능선의 교점 부근에 있어서, 제 1 패널과, 제 2 패널 및 제 3 패널과의 사이에 구멍 형상의 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패널에 피복물을 씌우지 않더라도 외관 품질이 확보되므로, 제 2 판부를 정상부(頂部)로서 본 경우의 제 1 패널의 깊이 치수를 작게 할 필요가 없고, 바꿔 말하면, 제 1 패널의 강도를 저하시켜 버리는 단면 형상으로 설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 1 패널의 강도가 용이하게 확보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panel is disposed along the first ridge and forms a first abutting portion between the second panel and the third panel, the third panel is disposed along the second ridge, And a third abutt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panel and the second panel. Her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panel forms the edge portion of the acute-angled shape, a hol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anel and the second panel and the third panel in the vicinity of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ridge line and the second ridge line,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mation of a gap of a shape. Further, since the appearance quality is ensured without covering the first panel with the cover, there is no need to reduce the depth dimension of the first panel when the second plate is viewed as a top, in other words, It is not necessary to set the sectional shape to be lowered. Therefore, the strength of the first panel is easily secured.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제 1 양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상기 제 1 능선 및 상기 제 2 능선 중 어느 일방(一方)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In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utment portion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the bead extend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either one of the first ridgeline and the second ridgeline.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에 의하면, 비드는 제 1 능선 및 제 2 능선 중 어느 일방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므로, 제 3 접경부의 간극으로부터 비드가 보여도 비드는 상기 어느 일방의 능선에 연속하는 라인처럼 보인다. 따라서, 외관이 좋다.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ead extend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either one of the first ridgeline and the second ridgeline, even if the bead is seen from the gap of the third ridge, It looks like a continuous line to either ridge. Therefore, the appearance is good.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제 1 양태 또는 제 2 양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이 차체 측부를 구성하는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로 되고, 상기 제 2 패널이 차량 전부(前部)를 상방측으로부터 덮는 후드 패널로 되며, 상기 제 3 패널이 차체 전부 측면에 배치되는 펜더 패널로 되어 있다.In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necting portion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r the second aspect, the first panel is a side member outer panel constituting a side portion of the vehicle body, And the third panel is a fender panel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에 의하면, 제 1 패널이 차체 측부를 구성하는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로 되어 있고, 제 2 패널이 차량 전부를 상방측으로부터 덮는 후드 패널로 되어 있으며, 제 3 패널이 차체 전부 측면에 배치되는 펜더 패널로 되어 있다.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은 큰 패널 부재이기 때문에 예각 형상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나, 본 발명에서는, 절곡 가공에 의해 제조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예각 형상의 모서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과 후드의 접경부 및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과 펜더 패널의 접경부는 눈에 보여지기 쉬운 부위이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경부끼리의 교점 부근에 구멍 형상의 틈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외관 품질이 확보된다. 또한,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에 있어서 후드 및 펜더 패널과 인접하는 부위는 충돌 성능에 기여하는 부위인데, 피복물을 씌우지 않고 외관 품질이 확보됨으로써 이 부위의 강도가 용이하게 확보되므로, 소요 충돌 성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necting portion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anel is the side member outer panel constituting the side portion of the vehicle body, and the second panel is the hood panel covering the entire vehicle from the upper side And the third panel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Since the side member outer panel is a large panel member, it is difficult to form the edge portion of the acute angle shap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ide member outer panel has a shape that can be manufactured by bending, the corner portion of the acute angle shape can be easily form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hole-like gap is not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intersection of the contact portions between the side member outer panel and the hood and between the side member outer panel and the fender panel, , And the appearance quality is secured. Further, in the side member outer panel, the portion adjacent to the hood and the fender panel contributes to the impact performance. Since the exterior quality is ensured without covering the cover, the strength of the portion is easily secured,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의 제조 방법은, 제 1 차량 외판용 패널재를 절곡함으로써, 제 1 절곡선을 사이에 두고 제 1 외판 구성부 및 제 2 외판 구성부를 형성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제 2 외판 구성부를 상기 제 1 절곡선과 예각 형상으로 교차하는 라인을 따라 절곡함으로써, 상기 제 2 외판 구성부의 일부를, 상기 라인을 따른 제 2 절곡선과 상기 제 1 절곡선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 3 외판 구성부로 함과 함께, 상기 제 2 외판 구성부의 다른 일부를, 상기 제 2 절곡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3 외판 구성부와 연속하는 제 4 외판 구성부로 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제 1 절곡선 및 상기 제 2 절곡선 중 어느 일방을 따르면서 상기 제 3 외판 구성부와의 사이에 제 1 접경부를 형성하는 위치에 제 2 차량 외판을 배치하는 제 3 공정과, 상기 제 1 절곡선 및 상기 제 2 절곡선 중 어느 타방(他方)을 따르면서 상기 제 3 외판 구성부와의 사이에 제 2 접경부를 형성하는 위치에, 또한 상기 제 2 차량 외판과의 사이에 제 3 접경부를 형성하는 위치에, 제 3 차량 외판을 배치하는 제 4 공정을 가진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butting portion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outer panel member and the second outer panel member are formed by bending the first vehicle panel member, A part of the second outside plate constituting part is bent along a line intersecting the first folding line and an acute angle to form a part of the second outside plate constituting part by a second folding line along the line and the first folding line, And a second outer plate constituting part formed between the first outer plate constituting part and the second outer plate constituting part, and the other part of the second outer plate constituting part is formed as a fourth outer plate constituting part, A third step of disposing a second vehicle outside sheath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abutment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third outside sheathing portion and the first sheave portion and the second sheave portion, 1st A third abutt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third outer sheathing portion and the second outer sheathing at a position where the second abutt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third outer sheathing portion and the other of the folding line and the second folding line And a fourth step of arranging a third vehicle outside sheathing at a position where the third outside sheathing is performed.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 1 공정에서는, 제 1 차량 외판용 패널재를 절곡함으로써, 제 1 절곡선을 사이에 두고 제 1 외판 구성부 및 제 2 외판 구성부를 형성한다. 제 2 공정에서는, 제 2 외판 구성부를 제 1 절곡선과 예각 형상으로 교차하는 라인을 따라 절곡함으로써, 제 2 외판 구성부의 일부를, 상기 라인을 따른 제 2 절곡선과 제 1 절곡선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 3 외판 구성부로 함과 함께, 제 2 외판 구성부의 다른 일부를, 제 2 절곡선을 사이에 두고 제 3 외판 구성부와 연속하는 제 4 외판 구성부로 한다. 제 3 공정에서는, 제 1 절곡선 및 제 2 절곡선 중 어느 일방을 따르면서 제 3 외판 구성부와의 사이에 제 1 접경부를 형성하는 위치에 제 2 차량 외판을 배치한다. 제 4 공정에서는, 제 1 절곡선 및 제 2 절곡선 중 어느 타방을 따르면서 제 3 외판 구성부와의 사이에 제 2 접경부를 형성하는 위치에, 또한 제 2 차량 외판과의 사이에 제 3 접경부를 형성하는 위치에, 제 3 차량 외판을 배치한다. 이로 인해, 제 1 절곡선과 제 2 절곡선의 교점 부근에 있어서, 제 1 차량 외판과, 제 2 차량 외판 및 제 3 차량 외판과의 사이에 구멍 형상의 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차량 외판에 피복물을 씌우지 않더라도 외관 품질이 확보되므로, 제 3 외판 구성부를 정상부로서 본 경우의 제 1 차량 외판의 깊이 치수를 작게 할 필요가 없고, 바꿔 말하면, 제 1 차량 외판의 강도를 저하시켜 버리는 단면 형상으로 설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 1 차량 외판의 강도가 용이하게 확보된다.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butment portion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step, by bending the panel material for the first vehicle outside sheathing, the first outside sheathing portion and the second sheathing portion, Thereby forming a second outside plate constituting portion. In the second step, the second outside sheathing portion is bent along the line intersecting the first folding line and the acute angle, so that a part of the second outside sheath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folding line and the first folding line along the line And the other part of the second outside sheathing portion is a fourth outer sheathing portion continuing from the third outside sheathing portion with the second folding line in between. In the third step, the second vehicle outside sheathing is arrang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abutt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third outside sheathing portion and either one of the first curved line and the second curved line. In the fourth step, a third abutt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third outer sheathing portion and the second outer sheathing at a position where the second abutt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third outer sheathing portion and the first folding line and the second folding line, The third vehicle outside sheathing plate is dispose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rmation of a hole-like gap between the first vehicle exterior sheathing, the second vehicle outside sheathing and the third vehicle outside sheathing in the vicinity of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folding line and the second folding line. Further, since the appearance quality is ensured without covering the first vehicle outside sheathing with a covering, there is no need to reduce the depth dimension of the first outside sheathing when the third outside sheathing portion is regarded as a top portion. In other words, It is not necessary to set the cross-sectional shape to decrease. Therefore, the strength of the first vehicle outside sheathing is easily secur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에 의하면, 소정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 portion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effect that the appearance quality can be improved while securing a predetermined strength.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에 의하면, 비드를 의장의 일부로 보이도록 함으로써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contact portion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earance quality can be improved by making the bead appear as a part of the design.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에 의하면, 소정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 후드 및 펜더 패널이 인접 배치된 부위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contact portion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ppearance quality of a portion where the side member outer panel, the hood and the fender panel are arranged while ensuring the predetermined strength.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조된 차량의 접경부 구조에 대하여 소정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butment portion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ppearance quality while securing a predetermined strength to the abutment portion structure of the manufactured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가 적용된 차량 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의 접경부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로부터 후드 및 펜더 패널을 떼어낸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의 제조 방법의 일부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패널재가 절곡되기 전(제 1 공정 전)의 상태를 절곡 예정 라인과 함께 나타낸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의 제조 방법의 일부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공정에서 패널재가 절곡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의 제조 방법의 일부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2 공정에서 패널재가 절곡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변형례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의 제조 방법의 일부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패널재가 절곡되기 전(제 1 공정 전)의 상태를 절곡 예정 라인과 함께 나타낸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변형례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의 제조 방법의 일부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공정에서 패널재가 절곡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변형례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의 제조 방법의 일부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2 공정에서 패널재가 절곡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가 적용된 차량 하부를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6B-6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hole of a vehicle to which a connecting portion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ct portion structure of the vehicle of Fig. 1.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od and the fender panel removed from Fig. 2; Fig.
Fig. 4A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manufacturing method of a contact portion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The state before the panel member is bent (before the first step) is shown together with the line to be bent.
Fig. 4B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butment portion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The panel member is bent in the first step.
Fig. 4C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butment portion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nd the panel member is bent in the second step.
Fig. 5A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manufacturing method of a connection portion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The state before the panel member is bent (before the first step) is shown together with the line to be bent.
Fig. 5B is a view showing, in a simplified manner, a part of a manufacturing method of a connection portion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The panel member is bent in the first step.
Fig. 5C is a view showing, in a simplified manner, a part of a manufacturing method of a contact portion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nd the panel member is bent in the second step.
6A is a side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a vehicle to which a connecting portion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viewed from the outsid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Fig. 6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6B-6B in Fig. 6A.

[제 1 실시형태] [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 1∼도 4c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도면에 있어서 적절히 나타내어지는 화살표 FR은 차량 전방측을 나타내고 있고, 화살표 UP는 차량 상방측을 나타내고 있으며, 화살표 IN은 차량 폭방향 내측을 나타내고 있다.The structure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vehicl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C. Fig. In this figure, the arrows FR appropriately indi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the arrows UP on the vehicle upper side, and the arrows IN on the inner sid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차량의 접경부 구조)(The structure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vehicle)

도 1에는, 차량 전부(12)의 일부가 사시도로 나타내어져 있고, 이 차량 전부(12)에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10)가 적용되어 있다. 먼저, 이 도 1을 참조하면서 차량의 접경부 구조(10)를 포함하는 차량 구조에 대하여 개설(槪說)한다.1, a part of the vehicle front portion 12 is shown in a perspective view, and the front portion structure 10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front portion 12 of the vehicle. First, a vehicle structure including a connecting portion structure 10 of a vehic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차량 전부(12)에는, 차체 측부(14)를 구성하는 제 1 패널로서의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사이드 아우터 패널」이라고도 한다.)(16)의 전부가 배치되어 있다.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16)의 전부는, 차체 측부(14)의 프런트측의 도어 개구부(14A)의 전측에 있어서 프런트 필러(18)의 외판부를 구성하고 있다.1, all of the side member outer panels (also referred to as " side outer panels ") 16 as the first panel constituting the vehicle body side portion 14 are disposed on the vehicle front portion 12 . All of the side member outer panel 16 constitutes the outer plate portion of the front filler 18 on the front side of the door opening portion 14A on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side portion 14. [

프런트 필러(18)의 상부인 필러 상부(18A)는, 프런트 글래스(도시 생략)의 폭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고, 차량 상방을 향해 차량 후방측으로 경사져 있다. 필러 상부(18A)의 상단부는 루프 사이드 레일부(도시 생략)의 전단부와 결합되어 있고, 루프 사이드 레일부는 루프(도시 생략)의 양 사이드에 대략 차량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한편, 프런트 필러(18)의 하부인 필러 하부(18B)는 필러 상부(18A)의 하단부로부터 차량 하방측으로 대략 수직으로 수하(垂下)되어 있다. 필러 하부(18B)의 하단부는 로커부(22)(「사이드 실」이라고도 한다)의 전단부와 결합되어 있고, 로커부(22)는 차체 플로어(도시 생략)의 양 사이드에 차량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좌우 한 쌍의 필러 하부(18B)의 상단부측의 내면에는, 상기 프런트 글래스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카울(도시 생략)의 양단부가 결합되어 있다.The upper portion 18A of the pillar which is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filler 18 is disposed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ont glass (not shown) and inclined toward the vehicle rear side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vehicle. The upper end of the pillar upper portion 18A is engaged with the front end portion of a roof side rail portion (not shown), and the roof side rail portion extends substantially along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a loop (not shown). 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18B of the filler, which is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filler 18, is vertically suspended from the lower end of the upper portion 18A of the filler to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The lower end of the filler lower portion 18B is engaged with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rocker portion 22 (also referred to as a " side seal "), and the rocker portion 22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body floor Extended. Both ends of a cowl (not shown) extending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long the lower edge of the front glass ar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side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pillar lower portions 18B.

또한, 상기 카울의 차량 전방측에는 후드(24)가 설치되어 있다. 후드(24)는, 차량 전부(12)의 엔진룸(도시 생략)을 상방측으로부터 개폐 가능하게 덮는 개폐 도어로 되어 있다. 후드(24)는, 그 외판을 구성하는 제 2 패널이면서 후드 패널로서의 후드 아우터 패널(24A)과, 후드 아우터 패널(24A)에 대해 후드 하방측에 배치되어 후드(24)의 내판을 구성하는 후드 이너 패널(도시 생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후드 아우터 패널(24A)의 외주부는 상기 후드 이너 패널에 헤밍 가공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또한, 후드(24)의 후단부측에 있어서의 차량 폭방향의 양 사이드는, 그 하면부가 후드 힌지부(도시 생략)를 통해 차체 골격 부재인 에이프런 어퍼멤버(도시 생략)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후드(24)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차량 폭방향의 양 사이드는, 상세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러 상부(18A)의 하단부에 인접 배치되어 있다. In addition, a hood 24 is provided on the vehicle front side of the cowl. The hood 24 is an opening / closing door that covers the engine compartment (not shown) of the vehicle front part 12 so as to be openable / closable from above. The hood 24 includes a hood outer panel 24A as a second panel constituting the outer panel and a hood outer panel 24A as a hood panel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od with respect to the hood outer panel 24A, And an inner panel (not show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od outer panel 24A is joined to the hood inner panel by hemming. Both side portions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n the rear end side of the hood 24 are mounted on an apron upper member (not shown), which is a vehicle body frame member, via the hood hinge portions (not shown). Both sides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t the rear end of the hood 24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pillar upper portion 18A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후드(24)의 측방의 차체 전부 측면에는 제 3 패널로서의 펜더 패널(「프런트 펜더 패널」이라고도 한다.)(26)이 배치되어 있다. 후드 아우터 패널(24A)과 펜더 패널(26)의 경계부가 되는 제 3 접경부(30C)는, 대략 차량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펜더 패널(26)은, 전륜(28)의 상방측 및 그 주위부에 배치되어 의장면을 구성하는 외벽부(26A)와, 이 외벽부(26A)와 후드 아우터 패널(24A)의 제 3 접경부(30C)로부터 하방측으로 구부러진 내벽부(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펜더 패널(26)의 상기 내벽부는, 하단부가 차량 폭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져 상기 에이프런 어퍼멤버에 장착되어 있다.A fender panel (also referred to as a " front fender panel ") 26 as a third panel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on the side of the hood 24. The third abutment portion 30C, which is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hood outer panel 24A and the fender panel 26, extends substanti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fender panel 26 includes an outer wall portion 26A which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wheel 28 and around the front wheel 28 and constitutes a dressing surface thereof and a third contact portion 26A of the outer wall portion 26A and the hood outer panel 24A, And an inner wall portion (not shown) bent downward from the neck portion 30C. The lower end of the inner wall of the fender panel 26 is bent inwar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attached to the apron upper member.

다음에,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차량의 접경부 구조(1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도 1의 차량의 접경부 구조(10)를 확대한 상태의 사시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3에는, 도 2로부터 후드(24) 및 펜더 패널(26)을 떼어낸 상태의 사시도가 나타내어져 있다.Next, the abutting portion structure 10 of the vehic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butment portion structure 10 of the vehicle of Fig. 1 is enlarge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od 24 and the fender panel 26 removed from Fig. 2.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16)은, 필러 상부(18A)의 하단부 전측에 예각 형상의 모서리부(32)를 구비하고 있다. 모서리부(32)는, 차량 하방측을 향해 차량 전방측으로 경사진 제 1 능선(L1)과, 차량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1 능선(L1)과 예각 형상으로 교차하는 제 2 능선(L2)에 끼워져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16)은, 제 1 능선(L1)과 제 2 능선(L2)의 교점(32X)보다 약간 차량 후방측이 되는 도면 중의 3L-3L선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이 차량 폭방향 안쪽으로 개구하여 상하 플랜지를 구비한 해트(hat) 형상으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side member outer panel 16 has an acute-angled edge portion 32 on the front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pillar upper portion 18A. The corner portion 32 includes a first ridge line L1 inclined toward the vehicle front side toward the vehicle lower side and a second ridge line L2 extending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tersecting the first ridge line L1 in an acute- Respectively. The side member outer panel 16 has a sectional shape cut by the line 3L-3L in the figure which is slightly behind the intersection 32X of the first ridgeline L1 and the second ridgeline L2, And has a hat-like shape with upper and lower flanges opened inward.

제 1 능선(L1)은, 필러 상부(18A)의 하단부 전면에 배치된 제 1 판부(34)와, 필러 상부(18A)의 하단부 측면에 배치된 제 2 판부(36)의 경계부로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판부(34)와 제 2 판부(36)에 의해 굴곡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능선(L1)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선이 아니며, 차량 뒤쪽 하방측으로 약간 휜 곡선으로 되어 있다. 제 1 판부(34)는, 차량 하방측을 향해 차량 전방측으로 경사짐과 함께 차량 뒤쪽 하방측으로 약간 휘어 있고, 판면을 차량 전방 비스듬히 상방측을 향하게 하고 있다. 제 2 판부(36)는, 제 1 능선(L1)을 사이에 두고 제 1 판부(34)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판면을 대체로 차량 폭방향 외측을 향하게 하고 있다.The first ridgeline L1 is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plate portion 34 disposed on the entire lower end portion of the pillar upper portion 18A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36 disposed on the lower end side surface of the pillar upper portion 18A. In other words, the first plate portion 34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36 form a bent shape. In addition, the first ridgeline L1 is not a straight line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a curved line slightly curved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rear side. The first plate portion 34 is inclin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and slightly bent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so that the plate surface is directed obliquely upward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The second plate portion 36 is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first plate portion 34 with the first ridge L1 therebetween, so that the plate surface is directed generally outwar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한편, 제 2 능선(L2)은, 전술한 제 2 판부(36)와, 제 2 판부(36)의 하방측에 배치된 제 3 판부(38)의 경계부로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2 판부(36)와 제 3 판부(38)에 의해 굴곡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제 3 판부(38)는, 필러 상부(18A)의 하단부에 있어서 필러 하부(18B)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 2 능선(L2)을 사이에 두고 제 2 판부(36)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제 3 판부(38)는, 차량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판면을 차량 하방 비스듬히 차량 폭방향 외측을 향하게 하고 있다.The second ridge line L2 is a boundary between the second plate portion 36 and the third plate portion 38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plate portion 36. [ In other words, the second plate portion 36 and the third plate portion 38 form a bent shape. The third plate portion 38 is disposed adjacent to the pillar lower portion 18B 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pillar upper portion 18A and is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second plate portion 36 with the second ridge line L2 therebetween . The third plate portion 38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plate surface is directed obliquely downwar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utward of the vehicle.

또한,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16)은, 제 1 능선(L1)과 제 2 능선(L2)의 교점(32X)으로부터 차량 하방측을 향해 차량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비드(40)를 구비하고 있다. 비드(40)는, 제 1 판부(34)의 일부와 제 3 판부(38)의 일부로 구성되어 단면 V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 1 능선(L1)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비드(40)의 정상부 능선은, 제 1 능선(L1)과 제 2 능선(L2)의 교점(32X)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차 차량 폭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비드(40)의 볼록방향의 높이는, 제 1 능선(L1)과 제 2 능선(L2)의 교점(32X)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차 낮아지고 있다.The side member outer panel 16 has a bead 40 extending obliquely from the intersection 32X of the first ridgeline L1 and the second ridgeline L2 toward the vehicle lower side toward the vehicle front side. The bead 40 is formed by a part of the first plate portion 34 and a portion of the third plate portion 38 and has a V-shaped cross section and extend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ridge line L1. The top ridgeline of the bead 40 is gradually located on the inner sid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way from the intersection 32X of the first ridgeline L1 and the second ridgeline L2. That is, the height of the convex direction of the bead 40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intersection point 32X between the first ridge line L1 and the second ridge line L2.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후드 아우터 패널(24A)는, 그 후단부에 있어서의 차량 폭방향의 양 사이드가 제 1 능선(L1)을 따라 배치되고,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16)의 제 2 판부(36)와의 사이에 제 1 접경부(30A)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펜더 패널(26)은, 그 상단부에 있어서의 후단부가 제 2 능선(L2)을 따라 배치되고,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16)의 제 2 판부(36)와의 사이에 제 2 접경부(30B)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펜더 패널(26)은, 그 상단부에서 후단부를 제외한 부위가 후드 아우터 패널(24A)과의 사이에 제 3 접경부(30C)를 형성하고 있다.As shown in Fig. 2, the hood outer panel 24A is arranged such that both sides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t the rear end thereof are disposed along the first ridgeline L1, And the first abutment portion 30A is formed between the plate portion 36 and the first abutment portion 30A. The rear end of the fender panel 26 is disposed along the second ridgeline L2 and the second abutment portion 30B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plate portion 36 of the side member outer panel 16 ).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fender panel 26 has a third abutting portion 30C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hood outer panel 24A, excluding the rear end portion.

(제조 방법 및 작용·효과)(Manufacturing Method and Operation / Effect)

다음에, 도 4a∼도 4c 등을 참조하면서 차량의 접경부 구조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량의 접경부 구조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먼저 드로잉 공정이 행하여진다. 이 드로잉 공정은, 도시 및 상세 설명을 생략하겠으나, 제 1 차량 외판용 패널재(42)(도 4a 참조)를 드로잉 가공하여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16)(도 1 참조)의 소정의 의장면을 성형한다.Nex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butting portion structure of the vehicle and the actions and effects of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C and the like. In manufacturing the contact portion structure of the vehicle, the drawing process is performed first. The drawing process of the first vehicle exterior panel member 42 (see Fig. 4A) is performed by drawing the predetermined design surface of the side member outer panel 16 (see Fig. 1) .

다음에, 도 4a∼도 4c에 나타내어지는 굽힘 공정이 행하여진다. 또한, 굽힘 공정에서 대상이 되는 제 1 차량 외판용 패널재(42)는 이미 소정의 드로잉 가공이 행하여진 것이나, 도 4a∼도 4c에서는, 굽힘 공정을 이해하기 쉽게 나타내기 위해, 드로잉 가공에 의해 성형된 형상을 단순한 평판 형상으로 치환하여 나타내고 있다.Next, the bending step shown in Figs. 4A to 4C is carried out. The first vehicle exterior panel material 42 to be subjected in the bending process has already been subjected to a predetermined drawing process. However, in Figs. 4A to 4C, in order to easily understand the bending process, The molded shape is simply replaced with a flat plate shape.

굽힘 공정에서는, 먼저, 도 4a에 나타내어지는 제 1 차량 외판용 패널재(42)를 도 4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절곡한다. 이로 인해, 제 1 절곡선(B1)을 사이에 두고 제 1 외판 구성부(44) 및 제 2 외판 구성부(46)를 형성한다(제 1 공정).In the bending process, first, the first vehicle exterior panel material 42 shown in Fig. 4A is bent as shown in Fig. 4B. As a result, the first outside plate constituting section 44 and the second outside plate constituting section 46 are formed with the first bending line B1 therebetween (first step).

다음에, 도 4b에 나타내어지는 제 2 외판 구성부(46)를 제 1 절곡선(B1)과 예각 형상으로 교차하는 라인(2점쇄선 B2 참조)을 따라, 도 4c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절곡한다. 이로 인해, 제 2 외판 구성부(46)의 일부를, 상기 라인을 따른 제 2 절곡선(B2)과 제 1 절곡선(B1)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 3 외판 구성부(46A)로 함과 함께, 제 2 외판 구성부(46)의 다른 일부를, 제 2 절곡선(B2)을 사이에 두고 제 3 외판 구성부(46A)와 연속하는 제 4 외판 구성부(46B)로 한다(제 2 공정).Next, the second outside sheathing portion 46 shown in Fig. 4B is bent along the line intersecting the first folding line B1 in an acute angle shape (see the two-dot chain line B2) as shown in Fig. 4C . A part of the second outside sheathing portion 46 is formed as a third outside sheathing portion 46A formed between the second folding line B2 along the line and the first folding line B1, Another part of the second outside sheathing part 46 is taken as the fourth outside sheathing part 46B which is continuous with the third outside sheathing part 46A with the second folding line B2 therebetween fair).

그 결과, 예각 형상의 모서리부(42C)가 형성됨과 함께, 제 1 절곡선(B1)과 제 2 절곡선(B2)의 교점(42X)으로부터는 비드(48)가 형성되게 된다. 비드(48)는, 제 1 외판 구성부(44)의 일부와 제 4 외판 구성부(46B)의 일부로 구성되어 단면 V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절곡선(B1)을 제 2 절곡선(B2)보다 먼저 절곡하고 있으므로, 비드(48)는, 제 1 절곡선(B1)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다.As a result, the edge portion 42C of the acute-angled shape is formed, and the bead 48 is formed from the intersection 42X of the first folding line B1 and the second folding line B2. The bead 48 is formed of a part of the first outside sheathing part 44 and a part of the fourth outside sheathing part 46B and has a V-shaped cross sec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first folding line B1 is folded before the second folding line B2, the bead 48 extend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folding line B1.

다음에,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16)에 있어서 맞댐 굽힘 가공이 필요한 부위에 대해서는 맞댐 굽힘 가공이 행하여지나, 여기에서는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Next, the side member outer panel 16 is subjected to the butting bending process at the portions where the butting bending is required, but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here.

다음에, 도 4c에 나타내어지는 제 1 절곡선(B1)을 따르면서 제 3 외판 구성부(46A)와의 사이에 제 1 접경부(50A)를 형성하는 위치에 제 2 차량 외판(52)을 배치함(제 3 공정)과 함께 제 2 차량 외판(52)을 장착 대상에 장착한다. 제 2 차량 외판(52)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드(24)의 후드 아우터 패널(24A)(도 2 참조)로 되어 있다.Next, a second vehicle outside sheathing 52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abutment portion 50A is formed between the third outside sheathing portion 46A and the first outside sheathing portion 46A following the first folding line B1 shown in Fig. 4C (Third step) and the second vehicle outside sheathing 52 to the mounting object. The second vehicle outside sheathing 52 is a hood outer panel 24A (see Fig. 2) of the hood 24 in the present embodiment.

다음에, 제 2 절곡선(B2)을 따르면서 제 3 외판 구성부(46A)와의 사이에 제 2 접경부(50B)를 형성하는 위치에, 또한 제 2 차량 외판(52)과의 사이에 제 3 접경부(50C)를 형성하는 위치에, 제 3 차량 외판(54)을 배치함(제 4 공정)과 함께 제 3 차량 외판(54)을 장착 대상에 장착한다. 제 3 차량 외판(54)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펜더 패널(26)(도 2 참조)로 되어 있다.Next, at a position where the second abutment portion 50B is formed between the third outside sheathing portion 46A and the second outside sheathing 52 along the second curve B2, The third vehicle outside sheathing plate 54 is disposed at the position where the connecting portion 50C is formed (fourth step), and the third outside sheathing plate 54 is mounted to the mounting target. The third vehicle outside sheathing 54 is a fender panel 26 (see Fig. 2) in the present embodiment.

여기에서, 도 4c에 나타내어지는 구성부와 도 2에 나타내어지는 구성부의 대응 관계에 대하여, 도 4c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보충 설명한다. 도 4c의 제 1 외판 구성부(44)는 도 2의 제 1 판부(34)에 대응하고, 도 4c의 제 3 외판 구성부(46A)는 도 2의 제 2 판부(36)에 대응하며, 도 4c의 제 4 외판 구성부(46B)는 도 2의 제 3 판부(38)에 대응한다. 또한, 도 4c의 제 1 절곡선(B1)은 도 2의 제 1 능선(L1)에 대응하고, 도 4c의 제 2 절곡선(B2)은 도 2의 제 2 능선(L2)에 대응하며, 도 4c의 모서리부(42C)는 도 2의 모서리부(32)에 대응하고, 도 4c의 비드(48)는 도 2의 비드(40)에 대응한다.Here,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ituent parts shown in Fig. 4C and the constituent parts shown in Fig.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C and Fig. The first outside plate constituting portion 44 of Fig. 4C corresponds to the first plate portion 34 of Fig. 2, the third outside plate constituting portion 46A of Fig. 4C corresponds to the second plate portion 36 of Fig. 2, The fourth outside sheathing portion 46B of Fig. 4C corresponds to the third sheave portion 38 of Fig. The first curve B1 of FIG. 4C corresponds to the first ridge line L1 of FIG. 2, the second curve B2 of FIG. 4C corresponds to the second ridge L2 of FIG. 2, The edge portion 42C of Fig. 4C corresponds to the edge portion 32 of Fig. 2, and the bead 48 of Fig. 4C corresponds to the bead 40 of Fig.

이상에 의해, 도 2에 나타내어지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10)가 제조된다. 이와 같이,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16)의 필러 상부(18A)의 하단부는, 절곡 가공에 의해 제 1 능선(L1) 및 제 2 능선(L2)에 끼워진 예각 형상의 모서리부(32)를 제조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능선(L1)과 제 2 능선(L2)의 교점(32X) 부근에 있어서,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16)과, 후드 아우터 패널(24A) 및 펜더 패널(26)과의 사이에 구멍 형상의 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us, the abutting portion structure 10 of the vehicle shown in Fig. 2 is manufacture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pillar upper portion 18A of the side member outer panel 16 can be manufactured by forming the corner portion 32 of acute angular shape sandwiched by the first ridgeline L1 and the second ridgeline L2 by bending Shape. Therefore, a gap is formed between the side member outer panel 16 and the hood outer panel 24A and the fender panel 26 near the intersection 32X of the first ridge line L1 and the second ridge line L2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mation of a gap in the shape of a hole.

또한, 상기에 의해,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16)의 필러 상부(18A)의 하단부에 피복물을 씌우지 않더라도 외관 품질이 확보된다. 이 때문에, 피복물이 불필요해지므로, 제 2 판부(36)를 정상부로서 본 경우의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16)의 필러 상부(18A)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깊이 치수를 작게 할 필요가 없다. 바꾸어 말하면,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16)의 필러 상부(18A)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강도를 저하시켜 버리는 단면 형상으로 설정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필러 상부(18A)에 있어서의 소정 강도의 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전면 충돌시 및 측면 충돌시의 성능, 조종 안정성, 및 NV 성능(노이즈·앤드·바이브레이션 성능. 진동 및 진동음을 억제하는 성능)을 확보하는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earance quality can be ensured without covering the lower end of the pillar upper portion 18A of the side member outer panel 16 with the coating.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reduce the depth dimension at the lower end of the pillar upper portion 18A of the side member outer panel 16 when the second plate portion 36 is viewed as a top portion, since the coating is unnecessary. In other words, it is not necessary to se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ide member outer panel 16 to reduce the strength at the lower end of the pillar upper portion 18A. Therefore, the predetermined strength of the upper portion 18A of the pillar can be easily secur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asily set the performance, steering stability, and NV performance (performance for suppressing noise and vibration performance, vibration, and vibration noise) at the time of frontal collision and side collision.

또한, 본 실시형태의 차량의 접경부 구조(10)에서는, 비드(40)는 제 1 능선(L1)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후드 아우터 패널(24A)과 펜더 패널(26)의 제 3 접경부(30C)의 간극으로부터 비드(40)가 보여도 비드(40)는 제 1 능선(L1)에 연속하는 라인처럼 보인다. 즉, 비드(40)를 의장의 일부로 보이게 할 수 있으므로, 외관이 좋다.Further, in the abutting portion structure 10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bead 40 extend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ridgeline L1. Therefore, even if the bead 40 is seen from the gap between the hood outer panel 24A and the third abutment portion 30C of the fender panel 26, the bead 40 appears like a line continuing to the first ridge L1. In other words, since the bead 40 can be made to appear as a part of the design, the appearance is goo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조된 차량의 접경부 구조(10)에 대하여 소정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의장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ppearance quality while securing a predetermined strength to the abutting portion structure 10 of the manufactured vehicle.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gree of freedom of design can be improved.

[제 1 실시형태의 변형례][Modifications of the first embodiment]

다음에,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변형례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례로서, 도 4c에 부호 54로 나타내어지는 차량 외판을 제 2 차량 외판으로 하여 제 3 공정에서 배치하고, 도 4c에 부호 52로 나타내어지는 차량 외판을 제 3 차량 외판으로 하여 제 4 공정에서 배치해도 된다. 도 4c를 원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제 3 공정에서는, 제 2 절곡선(B2)을 따르면서 제 3 외판 구성부(46A)와의 사이에 제 1 접경부(50B)를 형성하는 위치에 제 2 차량 외판(54)을 배치함과 함께 제 2 차량 외판(54)을 장착 대상에 장착한다. 다음에, 제 4 공정에서는, 제 1 절곡선(B1)을 따르면서 제 3 외판 구성부(46A)와의 사이에 제 2 접경부(50A)를 형성하는 위치에, 또한 제 2 차량 외판(54)과의 사이에 제 3 접경부(50C)를 형성하는 위치에, 제 3 차량 외판(52)을 배치함과 함께 제 3 차량 외판(52)을 장착 대상에 장착하게 된다.As a modific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vehicle exterior sheath 54 shown in Fig. 4C is disposed as the second vehicle sheathing in the third step, and the vehicle sheath 52 shown in Fig. 4 process. 4C, first, in the third step, in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abutting portion 50B is formed between the third outer plate constructing portion 46A and the second outer folding portion 46A while following the second folding line B2, 2 vehicle outer sheath 54 and the second vehicle outer sheath 54 are mounted on the object to be mounted. Next, in the fourth step, the second outside sheathing 54 and the second outside sheathing 52 are formed at positions where the second abutting portion 50A is formed between the third outside sheathing portion 46A and the first outside sheathing portion 46A, The third vehicle outside sheathing 52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third abutment portion 50C is formed between the first outside sheathing 52 and the third outside sheathing 52,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비드(40)는 제 1 능선(L1)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나, 비드는 제 2 능선(L2)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비드여도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기 위해, 상기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절곡 순서를 도 5a∼도 5c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반대로 해도 된다.3, the beads 40 exten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ridgeline L1, but the beads exten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ridgeline L2 Beads. In order to achieve such a constitution, the bending order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bove embodiment may be reversed as shown in Figs. 5A to 5C.

즉, 이 변형례의 굽힘 공정에서는, 먼저, 도 5a에 나타내어지는 제 1 차량 외판용(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16)(도 1 참조)의 성형용) 패널재(56)를 도 5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절곡한다. 이로 인해, 제 1 절곡선(b1)을 사이에 두고 제 1 외판 구성부(57) 및 제 2 외판 구성부(58)를 형성한다(제 1 공정). 다음에, 도 5b에 나타내어지는 제 2 외판 구성부(58)를 제 1 절곡선(b1)과 예각 형상으로 교차하는 라인(2점쇄선 b2 참조)을 따라 도 5c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절곡한다. 이로 인해, 제 2 외판 구성부(58)의 일부를, 상기 라인을 따른 제 2 절곡선(b2)과 제 1 절곡선(b1)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 3 외판 구성부(58A)로 함과 함께, 제 2 외판 구성부(58)의 다른 일부를, 제 2 절곡선(b2)을 사이에 두고 제 3 외판 구성부(58A)와 연속하는 제 4 외판 구성부(58B)로 한다(제 2 공정). 그 결과, 예각 형상의 모서리부(56C)가 형성됨과 함께, 제 1 절곡선(b1)과 제 2 절곡선(b2)의 교점(56X)으로부터는 비드(59)가 형성되게 된다. 비드(59)는, 제 1 외판 구성부(57)의 일부와 제 4 외판 구성부(58B)의 일부로 구성되어 단면 V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 1 절곡선(b1)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다.That is, in the bending step of this modification, first, the panel material 56 for the first vehicle outer panel (for molding the side member outer panel 16 (see Fig. 1)) shown in Fig. Bend as shown. As a result, the first outside sheathing portion 57 and the second outside sheathing portion 58 are formed with the first folding line b1 therebetween (first step). Next, the second outside sheathing portion 58 shown in Fig. 5B is bent along the line intersecting the first folding line b1 with an acute angle (see the two-dot chain line b2) as shown in Fig. 5C. A part of the second outside sheathing portion 58 is formed as a third outside sheathing portion 58A formed between the second folding line b2 along the line and the first folding line b1, The other portion of the second outside sheathing portion 58 is taken as the fourth outside sheathing portion 58B which is continuous with the third outside sheathing portion 58A with the second folding line b2 interposed therebetween fair). As a result, the edge portion 56C of the acute-angled shape is formed, and the bead 59 is formed from the intersection 56X of the first folding line b1 and the second folding line b2. The bead 59 has a V-shaped cross section and is formed by a part of the first outside sheathing part 57 and a part of the fourth outside sheathing part 58B and extend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folding line b1 do.

다음에, 도 5c에 나타내어지는 제 2 절곡선(b2)을 따르면서 제 3 외판 구성부(58A)와의 사이에 제 1 접경부(50a)를 형성하는 위치에 제 2 차량 외판(52)을 배치함(제 3 공정)과 함께 제 2 차량 외판(52)을 장착 대상에 장착한다. 다음에, 제 1 절곡선(b1)을 따르면서 제 3 외판 구성부(58A)와의 사이에 제 2 접경부(50b)를 형성하는 위치에, 또한 제 2 차량 외판(52)과의 사이에 제 3 접경부(50c)를 형성하는 위치에, 제 3 차량 외판(54)을 배치함(제 4 공정)과 함께 제 3 차량 외판(54)을 장착 대상에 장착하게 된다.Next, the second vehicle outside sheathing 52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abutment portion 50a is formed between the third outer sheathing portion 58A and the second sheave portion b2 shown in Fig. 5C (Third step) and the second vehicle outside sheathing 52 to the mounting object. Next, at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abutment portion 50b is formed between the third outer shell constituting portion 58A and the third outer shell constituting portion 58A following the first curve b1, The third vehicle outside sheathing 54 is disposed at the position where the connecting portion 50c is formed (fourth step), and the third outside sheathing plate 54 is mounted to the mounting target.

여기에서, 도 5c에 나타내어지는 구성부와 도 2에 나타내어지는 구성부의 대응 관계에 대하여, 도 5c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보충 설명한다. 도 5c의 제 1 외판 구성부(57)는 도 2의 제 3 판부(38)에 대응하고, 도 5c의 제 3 외판 구성부(58A)는 도 2의 제 2 판부(36)에 대응하며, 도 5c의 제 4 외판 구성부(58B)는 도 2의 제 1 판부(34)에 대응한다. 또한, 도 5c의 제 1 절곡선(b1)은 도 2의 제 2 능선(L2)에 대응하고, 도 5c의 제 2 절곡선(b2)은 도 2의 제 1 능선(L1)에 대응하며, 도 5c의 모서리부(56C)는 도 2의 모서리부(32)에 대응한다.Here,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ituent parts shown in Fig. 5C and the constituent parts shown in Fig.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C and Fig. The first outside sheathing portion 57 of FIG. 5C corresponds to the third sheathing portion 38 of FIG. 2, the third outside sheathing portion 58A of FIG. 5C corresponds to the second sheathing portion 36 of FIG. 2, The fourth outside sheathing portion 58B of Fig. 5C corresponds to the first sheathing portion 34 of Fig. 5C corresponds to the second ridge line L2 in Fig. 2, the second ridge b2 in Fig. 5C corresponds to the first ridge L1 in Fig. 2, The corner portion 56C in Fig. 5C corresponds to the corner portion 32 in Fig.

또한, 또 다른 변형례로서, 도 5c에 부호 54로 나타내어지는 차량 외판을 제 2 차량 외판으로 하여 제 3 공정에서 배치하고, 도 5c에 부호 52로 나타내어지는 차량 외판을 제 3 차량 외판으로 하여 제 4 공정에서 배치해도 된다. 도 5c를 원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제 3 공정에서는, 제 1 절곡선(b1)을 따르면서 제 3 외판 구성부(58A)와의 사이에 제 1 접경부(50b)를 형성하는 위치에 제 2 차량 외판(54)을 배치함과 함께 제 2 차량 외판(54)을 장착 대상에 장착한다. 다음에, 제 4 공정에서는, 제 2 절곡선(b2)을 따르면서 제 3 외판 구성부(58A)와의 사이에 제 2 접경부(50a)를 형성하는 위치에, 또한 제 2 차량 외판(54)과의 사이에 제 3 접경부(50c)를 형성하는 위치에, 제 3 차량 외판(52)을 배치함과 함께 제 3 차량 외판(52)을 장착 대상에 장착하게 된다.5C is disposed in the third step as the second outside sheathing, and the outside sheathing,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52 in Fig. 5C, is used as the third outside sheathing of the vehicle 4 process. 5C, first, in the third step, the first abutting portion 50b is formed at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abutment portion 50b is formed between the third outer plate constituting portion 58A and the first abutting portion b1, 2 vehicle outer sheath 54 and the second vehicle outer sheath 54 are mounted on the object to be mounted. Next, in the fourth step, the second vehicle outside sheathing 54 and the second sheathing sheave 54 are formed at positions where the second abutment portion 50a is formed between the third outer sheathing portion 58A and the second outer sheathing portion 58A, The third vehicle outside sheathing 52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third abutment portion 50c is formed between the third outside sheathing 52 and the third outside sheathing 52,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례로서,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기재된 제 2 패널로서 도 2에 나타내어지는 펜더 패널(26)을 적용함과 함께,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기재된 제 3 패널로서 후드 아우터 패널(24A)을 적용해도 된다.As a modification of the above embodiment, the fender panel 26 shown in Fig. 2 is applied as the second panel described i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hird panel described i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od outer panel 24A may be applied.

[제 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60)에 대하여 도 6a 및 도 6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6a에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60)가 적용된 차량 하부(20)의 후부(後部)가 차량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본 상태의 측면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6b에는, 도 6a의 6B-6B선을 따른 단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먼저, 차량의 접경부 구조(60)를 포함하는 차량 구조에 대하여 개설한다.Next, the abutting portion structure 60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and 6B.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6A is a side view of the rear portion of the vehicle lower portion 20 to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structure 60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as viewed from the outsid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6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6B-6B of Fig. 6A. First, a vehicle structure including a contact portion structure 60 of a vehicle is described.

(차량의 접경부 구조)(The structure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vehicle)

도 6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16)의 후부에는 리어측의 도어 개구부(14B)가 형성되어 있다. 리어측의 도어 개구부(14B)의 뒤쪽 하부는, 도시하지 않는 후륜의 전측에 위치하고 있고, 차량 후방측을 향해 차량 상방측으로 경사짐과 함께, 차량 뒤쪽 하방측으로 휘도록 만곡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16)에 있어서의 리어측의 도어 개구부(14B)의 후방측의 부위는, 리어 필러(62)의 외판부를 구성하고 있다. 리어 필러(62)는 차량 상방을 향해 차량 후방측으로 경사져 있다. 리어 필러(62)의 상단부는 루프 사이드 레일부(도시 생략)의 후단부와 결합되어 있다. 리어 필러(62)의 하단부는 로커부(22)의 후단부와 결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A, a door opening portion 14B on the rear side is form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side member outer panel 16. As shown in Fig.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door opening portion 14B on the rear side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a rear wheel (not shown), inclined toward the vehicle rear side toward the vehicle rear side, and curved toward the vehicle rearward side downward. The rear member of the side member outer panel 16 on the rear side of the door opening portion 14B constitutes the outer plate portion of the rear filler 62. [ The rear pillar 62 is inclined toward the vehicle rear side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vehicle.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rear pillar 62 is engaged with the rear end portion of the roof side rail portion (not shown). The lower end of the rear pillar (62) is engaged with the rear end of the rocker portion (22).

또한,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16)의 하부는 로커부(22)의 외판부를 구성하고 있고, 이 로커부(22)의 외판부의 일부는 리어측의 도어 개구부(14B)의 하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16)은, 로커부(22)의 외판부의 일부로서 측벽부(64)를 구비하고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member outer panel 16 constitutes the outer plate portion of the locker portion 22 and a part of the outer plate portion of the locker portion 22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door opening portion 14B on the rear side. The side member outer panel 16 is provided with a side wall portion 64 as a part of the outer plate portion of the rocker portion 22.

이 측벽부(64)의 상부에 대해 차량 폭방향 외측에는 리어 사이드 도어(66)의 하단부가 배치되어 있다(도 6b 참조). 리어 사이드 도어(66)는 전술한 도어 개구부(14B)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로 되어 있다. 도 6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리어 사이드 도어(66)는, 그 외판을 구성하는 제 2 패널로서의 도어 아우터 패널(66A)과, 도어 아우터 패널(66A)에 대해 차실측에 배치되어 리어 사이드 도어(66)의 내판을 구성하는 도어 이너 패널(66B)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어 아우터 패널(66A)의 외주부는 도어 이너 패널(66B)에 헤밍 가공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리어 사이드 도어(66)의 차량 전방측의 전단부는, 도어 힌지부(도시 생략)를 통해 센터 필러(도시 생략)에 장착되어 있다.A lower end portion of the rear side door 66 is disposed outside the vehicl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64 (see Fig. 6B). The rear side door 66 is an opening / closing door for opening / closing the above-described door opening portion 14B. 6B, the rear side door 66 includes a door outer panel 66A as a second panel constituting the outside sheathing, and a rear outer door panel 66B disposed on the vehicle body side with respect to the door outer panel 66A, And a door inner panel 66B constituting an inner plate of the door panel 66. As shown in Fig.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door outer panel 66A is coupled to the door inner panel 66B by hemming.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rear side door 66 on the vehicle front side is mounted on a center pillar (not shown) through a door hinge portion (not shown).

또한,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16)에는, 로커부(22)의 하부에 있어서의 차량 폭방향 외측에 제 3 패널로서의 수지제의 로커 몰딩(68)이 클립(도시 생략)으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에서는 로커 몰딩(68)은 그 외형만을 2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고, 도 6a에서는, 이 로커 몰딩(68)을 투시한 상태에서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16)의 로커부(22)를 도시하고 있다. 도 6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로커 몰딩(68)의 측벽부(68A)는,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16)의 로커부(22)에 있어서의 측벽부(64)의 하부와의 사이에 차량 폭방향으로 간극을 형성하고 있다.6A and 6B, a resin locker molding 68 as a third panel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rocker portion 22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n the side member outer panel 16 And is mounted with a clip (not shown). 6A shows the rocker section 22 of the side member outer panel 16 in a state in which the locker molding 68 is viewed through the locker section 68 Respectively. 6B, the side wall portion 68A of the rocker molding 68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64 of the rocker portion 22 of the side member outer panel 16, Direction.

다음에, 차량의 접경부 구조(6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abutting portion structure 60 of the vehic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16)은, 리어측의 도어 개구부(14B)에 있어서의 뒤쪽 하부의 후방측에 예각 형상의 모서리부(72)를 구비하고 있다. 모서리부(72)는, 차량 하방측을 향해 차량 전방측으로 경사진 제 1 능선(La)과, 차량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1 능선(La)과 예각 형상으로 교차하는 제 2 능선(Lb)에 끼워져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A, the side member outer panel 16 is provided with a corner portion 72 of acute-angled shape on the rear side of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door opening portion 14B on the rear side. The corner portion 72 includes a first ridge line La inclined toward the vehicle front side toward the vehicle lower side and a second ridge line Lb extending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tersecting the first ridge line La in an acute- Respectively.

제 1 능선(La)은, 도어 개구부(14B)의 뒤쪽 하부의 상면에 배치된 제 1 판부(74)(도 6b 참조)와, 도어 개구부(14B)의 후방측에 측면으로서 배치된 제 2 판부(76)(도 6b 참조)의 경계부로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판부(74)와 제 2 판부(76)에 의해 굴곡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능선(La)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선이 아니며, 차량 뒤쪽 하방측으로 휜 곡선으로 되어 있다. 제 1 판부(74)는, 차량 하방측을 향해 차량 전방측으로 경사짐과 함께 차량 뒤쪽 하방측으로 휘어 있고, 판면을 차량 상방 비스듬히 전방측을 향하게 하고 있다. 제 2 판부(76)는, 제 1 능선(La)을 사이에 두고 제 1 판부(74)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판면을 대체로 차량 폭방향 외측을 향하게 하고 있다.The first ridge La includes a first plate portion 74 (see FIG. 6B) arranged on the upper lower surface of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door opening portion 14B and a second plate portion 74 (See Fig. 6B). In other words, the curved shape is formed by the first plate portion 74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76. The first ridgeline La is not a straight line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a curved line curved downward to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The first plate portion 74 is inclined toward the vehicle front side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and bent downwar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so that the plate surface faces the front side obliquely upward from the vehicle. The second plate portion 76 is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first plate portion 74 with the first ridge La interposed therebetween so that the plate surface is directed generally outwar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한편, 제 2 능선(Lb)은, 전술한 제 2 판부(76)와, 제 2 판부(76)의 하방측에 배치된 제 3 판부(78)(도 6b 참조)의 경계부로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2 판부(76)와 제 3 판부(78)에 의해 굴곡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제 3 판부(78)는, 제 2 능선(Lb)을 사이에 두고 제 2 판부(76)에 연속하여 형성됨과 함께, 대략 차량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판면을 차량 하방 비스듬히 차량 폭방향 외측을 향하게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ridgeline Lb is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second plate portion 76 and the third plate portion 78 (see FIG. 6B)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plate portion 76. In other words, the bent shape is formed by the second plate portion 76 and the third plate portion 78. The third plate portion 78 is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second plate portion 76 with the second ridge Lb interposed therebetween and extends substantially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plate surface is inclined downwardly .

또한,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16)은, 제 1 능선(La)과 제 2 능선(Lb)의 교점(72X)으로부터 차량 전방측을 향해 연장되는 비드(80)를 구비하고 있다. 비드(80)는, 제 1 판부(74)의 일부와 제 3 판부(78)의 일부로 구성되어 단면 V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 2 능선(Lb)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비드(80)의 정상부 능선은, 제 1 능선(La)과 제 2 능선(Lb)의 교점(72X)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차 차량 폭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비드(80)의 볼록방향의 높이는, 제 1 능선(La)과 제 2 능선(Lb)의 교점(72X)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차 낮아지고 있다.The side member outer panel 16 is provided with a bead 80 extending from the intersection 72X of the first ridge La and the second ridge Lb toward the vehicle front side. The bead 80 is formed by a part of the first plate portion 74 and a portion of the third plate portion 78 and has a V-shaped cross section and extend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ridgeline Lb. The peak ridgeline of the bead 80 is gradually located on the inner sid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way from the intersection 72X between the first ridge La and the second ridge Lb. That is, the height of the convex direction of the bead 80 is gradually lowered away from the intersection 72X between the first ridge La and the second ridge Lb.

리어 사이드 도어(66)의 도어 아우터 패널(66A)은, 그 뒤쪽 하부가 제 1 능선(La)을 따라 배치되고,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16)의 제 2 판부(76)와의 사이에 제 1 접경부(70A)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로커 몰딩(68)은, 그 상단부에 있어서의 후단부가 제 2 능선(Lb)을 따라 배치되고,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16)의 제 2 판부(76)와의 사이에 제 2 접경부(70B)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로커 몰딩(68)은, 그 상단부에서 후단부보다 전측의 부위가 리어 사이드 도어(66)의 도어 아우터 패널(66A)과의 사이에 제 3 접경부(70C)를 형성하고 있다.The door outer panel 66A of the rear side door 66 is disposed along the first ridge line La at the lower rear portion thereof an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late portions 76 and 76 of the side member outer panel 16, Thereby forming a neck portion 70A. The rear end of the rocker molding 68 is disposed along the second ridgeline Lb and the second abutting portion 70B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plate 76 of the side member outer panel 16 ). As described above, the rocker molding 68 is formed such that a portion of the rocker molding 68 at its upper end portion before the rear end portion forms a third abutment portion 70C between the door outer panel 66A of the rear side door 66 and the door outer panel 66A .

(제조 방법 및 작용·효과)(Manufacturing Method and Operation / Effect)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의 접경부 구조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butment portion structure of the vehicle and the actions and effec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의 접경부 구조의 제조 방법은, 제 1 실시형태의 변형례로서 도 5a∼도 5c에 나타내어지는 제조 방법과 동일하다. 제 3 공정 및 제 4 공정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의 변형례로서 나타내어진 2종류의 패턴 중 어느 것이 적용되어도 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butting portion structure of the vehicle in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manufacturing method shown in Figs. 5A to 5C as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As for the third step and the fourth step, any of the two kinds of patterns shown as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may be applied.

여기에서, 도 5c에 나타내어지는 구성부와 도 6a에 나타내어지는 구성부의 대응 관계에 대하여, 도 5c 및 도 6a를 참조하면서 보충 설명한다. 도 5c의 제 2 차량 외판(52)은 도 6a의 도어 아우터 패널(66A)에 대응하고, 도 5c의 제 3 차량 외판(54)은 도 6a의 로커 몰딩(68)에 대응한다. 도 5c의 제 1 외판 구성부(57)는 도 6a의 제 3 판부(78)에 대응하고, 도 5c의 제 3 외판 구성부(58A)는 도 6a의 제 2 판부(76)에 대응하며, 도 5c의 제 4 외판 구성부(58B)는 도 6a의 제 1 판부(74)에 대응한다. 또한, 도 5c의 제 1 절곡선(b1)은 도 6a의 제 2 능선(Lb)에 대응하고, 도 5c의 제 2 절곡선(b2)은 도 6a의 제 1 능선(La)에 대응하며, 도 5c의 모서리부(56C)는 도 6a의 모서리부(72)에 대응하고, 도 5c의 비드(59)는 도 6a의 비드(80)에 대응한다.Here,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constituent parts shown in Fig. 5C and the constituent parts shown in Fig. 6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C and 6A. The second vehicle exterior sheathing 52 of Figure 5c corresponds to the door outer panel 66A of Figure 6a and the third exterior sheathing 54 of Figure 5c corresponds to the rocker molding 68 of Figure 6a. The first outside sheathing portion 57 of Fig. 5C corresponds to the third sheave portion 78 of Fig. 6A, the third sheathing portion 58A of Fig. 5C corresponds to the second sheave portion 76 of Fig. 6A, The fourth outside sheathing portion 58B of Fig. 5C corresponds to the first sheathing portion 74 of Fig. 6A. 5C corresponds to the second ridge line Lb in Fig. 6A, the second ridge b2 in Fig. 5C corresponds to the first ridge La in Fig. 6A, The edge portion 56C of Figure 5C corresponds to the edge portion 72 of Figure 6A and the bead 59 of Figure 5C corresponds to the bead 80 of Figure 6A.

이와 같이, 도 6a에 나타내어지는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16)의 리어측의 도어 개구부(14B)에 있어서의 뒤쪽 하부의 후방측의 부위는, 절곡 가공에 의해 제 1 능선(La) 및 제 2 능선(Lb)에 끼워진 예각 형상의 모서리부(72)를 제조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능선(La)과 제 2 능선(Lb)의 교점(72X) 부근에 있어서,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16)과, 도어 아우터 패널(66A) 및 로커 몰딩(68)과의 사이에 구멍 형상의 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6A, the rear lower side rear portion of the door opening 14B on the rear side of the side member outer panel 16 is bent by the first ridge line La and the second ridge line 16b, And an edge portion 72 of an acute-angled shape sandwich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Lb. Therefore, a gap is formed between the side member outer panel 16 and the door outer panel 66A and the locker molding 68 near the intersection 72X of the first ridge La and the second ridge Lb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mation of a gap in the shape of a hole.

또한, 상기에 의해,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16)의 리어측의 도어 개구부(14B)에 있어서의 뒤쪽 하부의 후방측의 부위에 피복물을 씌우지 않더라도 외관 품질이 확보된다. 이 때문에, 피복물이 불필요해지므로, 제 2 판부(76)를 정상부로서 본 경우의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16)의 모서리부(72)의 형성 부위의 깊이 치수를 작게 할 필요가 없다. 바꾸어 말하면,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16)의 모서리부(72)의 형성 부위에 있어서의 강도를 저하시켜 버리는 단면 형상으로 설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 부위에 있어서의 소정 강도의 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appearance quality can be ensured without covering the rear side of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door opening 14B on the rear side of the side member outer panel 16 with the covering.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reduce the depth dimension of the formation portion of the corner portion 72 of the side member outer panel 16 when the second plate portion 76 is viewed as a top portion, since the coating is unnecessary. In other words, it is not necessary to se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ide member outer panel 16 so as to lower the strength at the forming portion of the corner portion 72.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secure the predetermined strength at this portion.

또한, 본 실시형태의 차량의 접경부 구조(60)에서는, 비드(80)는 제 2 능선(Lb)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어 아우터 패널(66A) 및 로커 몰딩(68)과의 제 3 접경부(70C)의 간극으로부터 비드(80)가 보여도 비드(80)는 제 2 능선(Lb)에 연속하는 라인처럼 보인다. 즉, 비드(80)를 의장의 일부로 보이게 할 수 있으므로 외관이 좋다.Further, in the abutting portion structure 60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bead 80 extend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ridgeline Lb. Therefore, even if the bead 80 is seen from the gap between the door outer panel 66A and the third abutting portion 70C with the locker molding 68, the bead 80 appears like a line continuing to the second ridge Lb . That is, the bead 80 can be made to appear as a part of the design, so that the appearance is goo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조된 차량의 접경부 구조(60)에 대하여 소정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의장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ppearance quality while securing a predetermined strength to the abutting portion structure 60 of the manufacture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gree of freedom of design can be improved.

[제 2 실시형태의 변형례][Modifications of Second Embodiment]

다음에,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변형례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비드(80)는 제 2 능선(Lb)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나, 비드는 제 1 능선(La)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비드여도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기 위해, 상기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절곡 순서를 도 4a∼도 4c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반대로 해도 된다. 제 3 공정 및 제 4 공정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 및 그 변형례로서 나타내어진 2종류의 패턴 중 어느 것이 적용되어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bead 80 extend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ridgeline Lb, but the bead may be a bead extending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ridgeline La. In order to achieve such a constitution, the bending procedure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bove embodiment may be reversed as shown in Figs. 4A to 4C. As for the third step and the fourth step, any of the two kinds of patterns shown as the first embodiment and its modification may be applied.

여기에서, 도 4c에 나타내어지는 구성부와 도 6a에 나타내어지는 구성부의 대응 관계에 대하여, 도 4c 및 도 6a를 참조하면서 보충 설명한다. 도 4c의 제 1 외판 구성부(44)는 도 6a의 제 1 판부(74)에 대응하고, 도 4c의 제 3 외판 구성부(46A)는 도 6a의 제 2 판부(76)에 대응하며, 도 4c의 제 4 외판 구성부(46B)는 도 6a의 제 3 판부(78)에 대응한다. 또한, 도 4c의 제 1 절곡선(B1)은 도 6a의 제 1 능선(La)에 대응하고, 도 4c의 제 2 절곡선(B2)은 도 6a의 제 2 능선(Lb)에 대응하며, 도 4c의 모서리부(42C)는 도 6a의 모서리부(72)에 대응한다.Here,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ituent parts shown in Fig. 4C and the constituent parts shown in Fig. 6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C and Fig. 6A. The first outside plate component 44 of Figure 4C corresponds to the first plate portion 74 of Figure 6A and the third outside plate component 46A of Figure 4C corresponds to the second plate portion 76 of Figure 6A, The fourth outside sheathing portion 46B of Fig. 4C corresponds to the third sheave portion 78 of Fig. 6A. The first curve B1 of FIG. 4C corresponds to the first ridge La in FIG. 6A, the second curve B2 of FIG. 4C corresponds to the second ridge Lb of FIG. 6A, The corner portion 42C of Fig. 4C corresponds to the corner portion 72 of Fig. 6A.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변형례로서,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기재된 제 2 패널로서 로커 몰딩(68)을 적용함과 함께,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기재된 제 3 패널로서 도어 아우터 패널(66A)을 적용해도 된다.As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locker molding 68 is applied as the second panel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the third panel described i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66A) may be applied.

[실시형태의 보충 설명][Supplementary Explanation of Embodiment]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상술한 복수의 변형례는 적절히 조합되어 실시 가능하다.It is to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plurality of modifications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appropriate combination.

이상, 본 발명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이외에도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또한, 일본국 특허출원 No.2012-232036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명세서에 원용된다.The disclosure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2-232036 is also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Claims (4)

제 1 판부와, 제 1 능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판부에 연속하여 형성된 제 2 판부와, 상기 제 1 능선과 예각 형상으로 교차하는 제 2 능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2 판부에 연속하여 형성된 제 3 판부와, 상기 제 1 판부의 일부와 상기 제 3 판부의 일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능선과 상기 제 2 능선의 교점으로부터 연장되는 단면 V자 형상의 비드를 구비한 제 1 패널과,
상기 제 1 능선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 2 판부와의 사이에 제 1 접경부를 형성하는 제 2 패널과,
상기 제 2 능선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 2 판부와의 사이에 제 2 접경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 2 패널과의 사이에 제 3 접경부를 형성하는 제 3 패널을 가지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
A second plate portion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first plate portion with a first ridge line therebetween; a second plate portion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second plate portion with a second ridge line intersecting the first ridge line intersecting the second ridge line therebetween; A first panel having a third plate, a first bead having a V-shaped cross section extending from an intersection of the first ridgeline and the second ridgeline, and a part of the first plate and a part of the third plate,
A second panel disposed along the first ridge and defining a first abutting portion with the second plate,
And a third abutment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second abutment portion and the second abutment portion and forming a second abutting portion between the second abutment portion and the second abutment portion,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상기 제 1 능선 및 상기 제 2 능선 중 어느 일방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bead extends along an extending direction of either one of the first ridgeline and the second ridgelin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이 차체 측부를 구성하는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로 되고, 상기 제 2 패널이 차량 전부를 상방측으로부터 덮는 후드 패널로 되며, 상기 제 3 패널이 차체 전부 측면에 배치되는 펜더 패널로 되어 있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rst panel is a side member outer panel constituting a side portion of the vehicle body, the second panel is a hood panel covering the entire front portion of the vehicle, and the third panel is a fender panel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 The structure of the vehicle's contact area.
제 1 차량 외판용 패널재를 절곡함으로써, 제 1 절곡선을 사이에 두고 제 1 외판 구성부 및 제 2 외판 구성부를 형성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제 2 외판 구성부를 상기 제 1 절곡선과 예각 형상으로 교차하는 라인을 따라 절곡함으로써, 상기 제 2 외판 구성부의 일부를, 상기 라인을 따른 제 2 절곡선과 상기 제 1 절곡선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 3 외판 구성부로 함과 함께, 상기 제 2 외판 구성부의 다른 일부를, 상기 제 2 절곡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3 외판 구성부와 연속하는 제 4 외판 구성부로 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제 1 절곡선 및 상기 제 2 절곡선 중 어느 일방을 따르면서 상기 제 3 외판 구성부와의 사이에 제 1 접경부를 형성하는 위치에 제 2 차량 외판을 배치하는 제 3 공정과,
상기 제 1 절곡선 및 상기 제 2 절곡선 중 어느 타방을 따르면서 상기 제 3 외판 구성부와의 사이에 제 2 접경부를 형성하는 위치에, 또한 상기 제 2 차량 외판과의 사이에 제 3 접경부를 형성하는 위치에, 제 3 차량 외판을 배치하는 제 4 공정을 가지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의 제조 방법.
A first step of bending the panel material for the first vehicle outside shell to form the first outside panel part and the second outside panel part with the first folding line in between,
The second outer plate constituting part is bent along a line intersecting the first bent line and the acute angle shape so that a part of the second outside plate constituting part is bent along a line extending from the second folding line along the line to the first folding line A second step of forming a third outside sheathing constituting part and another part of the second outside sheathing part being a fourth outside sheathing part continuing from the third outside sheathing part with the second folding line in between;
A third step of disposing a second vehicle outside sheath at a position where a first abutt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third outside sheathing portion and the first sheave portion and the second sheave portion,
And a third abutt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third outer sheathing portion and the second outer sheathing at a position where the second abutt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third outer sheathing portion and the other of the first folding line and the second folding line And a fourth step of disposing a third vehicle outer sheath at a position where the third outer sheath is disposed.
KR1020157009607A 2012-10-19 2013-09-12 Vehicle boundary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66649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32036 2012-10-19
JP2012232036A JP5742817B2 (en) 2012-10-19 2012-10-19 Vehicle parting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CT/JP2013/074759 WO2014061382A1 (en) 2012-10-19 2013-09-12 Vehicle boundary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339A true KR20150058339A (en) 2015-05-28
KR101666498B1 KR101666498B1 (en) 2016-10-14

Family

ID=50487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607A KR101666498B1 (en) 2012-10-19 2013-09-12 Vehicle boundary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87238B2 (en)
EP (1) EP2910455B1 (en)
JP (1) JP5742817B2 (en)
KR (1) KR101666498B1 (en)
CN (1) CN104736420B (en)
CA (1) CA2888266C (en)
WO (1) WO201406138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49612S1 (en) * 2017-04-21 2019-05-28 Jaguar Land Rover Limited Grille
ZAA201701740S (en) * 2017-05-10 2019-03-2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Motor vehicles
USD882471S1 (en) * 2017-05-11 2020-04-28 Jaguar Land Rover Limited Wing mirror for a vehicle
USD876999S1 (en) * 2017-05-17 2020-03-03 Jaguar Land Rover Limited Vehicle front bumper upper
USD845848S1 (en) * 2017-06-30 2019-04-1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ront bumper for a vehicle
USD843898S1 (en) * 2017-07-11 2019-03-2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ront bumper for a vehicle
USD853916S1 (en) * 2017-08-29 2019-07-16 Jaguar Land Rover Limited Rear wheel arch for a vehicle
USD852690S1 (en) * 2017-08-30 2019-07-02 Jaguar Land Rover Limited Vehicle grille
USD865605S1 (en) * 2017-09-06 2019-11-05 Jaguar Land Rover Limited Rear tailgate for a vehicle
USD863159S1 (en) * 2017-09-06 2019-10-15 Fca Us Llc Fender flare
USD853925S1 (en) * 2017-09-06 2019-07-16 Jaguar Land Rover Limited Front door for a vehicle
USD856878S1 (en) * 2017-10-23 2019-08-20 Streetcar ORV LLC Wheel flare
USD857571S1 (en) * 2017-10-23 2019-08-27 Streetcar ORV LLC Wheel flare
JP6979259B2 (en) * 2017-10-27 2021-12-08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How to judge the quality of the parting structure of the corner of the vehicle
USD858386S1 (en) * 2017-10-27 2019-09-03 Naade, Inc. Vehicular fender
USD856879S1 (en) * 2017-10-31 2019-08-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ender
USD853914S1 (en) * 2017-11-01 2019-07-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ender
USD850341S1 (en) * 2017-11-07 2019-06-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fender
USD856224S1 (en) * 2017-11-10 2019-08-1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Rear bumper for a vehicle
USD855511S1 (en) * 2017-11-16 2019-08-06 Jaguar Land Rover Limited Front bumper for a vehicle
USD875006S1 (en) * 2017-11-16 2020-02-11 Turn 5, Inc. Set of fender flares
USD887933S1 (en) * 2017-11-17 2020-06-23 Fca Us Llc Side panel
USD843284S1 (en) * 2017-11-17 2019-03-19 Jaguar Land Rover Limited Fender for a vehicle
USD854988S1 (en) * 2017-11-28 2019-07-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fender
USD855520S1 (en) * 2017-12-12 2019-08-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fender
USD866416S1 (en) * 2017-12-13 2019-11-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Rear bumper for a vehicle
CN108100047A (en) * 2017-12-15 2018-06-01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A kind of new parting flange beater or beat-up and its connection structure with vehicle body
USD838642S1 (en) * 2017-12-21 2019-01-22 V Daniel J. Sullivan Fender for a motor vehicle
USD864812S1 (en) * 2018-01-09 2019-10-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ender
USD866423S1 (en) * 2018-01-09 2019-11-12 Honda Motor Co., Ltd. Fender
USD891332S1 (en) * 2018-01-12 2020-07-28 Paccar Inc Truck air dam
USD854990S1 (en) * 2018-01-12 2019-07-30 Honda Motor Co., Ltd. Fender
USD864813S1 (en) * 2018-01-26 2019-10-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ender
JP6943198B2 (en) * 2018-02-08 2021-09-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Pillar structure
USD870621S1 (en) * 2018-03-06 2019-12-24 Robert Roy McMath Pair of rear inside fenders
USD883155S1 (en) * 2018-03-28 2020-05-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fender
USD878261S1 (en) 2018-04-24 2020-03-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ender
USD859248S1 (en) * 2018-05-31 2019-09-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front fender
USD871985S1 (en) * 2018-06-08 2020-01-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ender
USD929916S1 (en) * 2018-06-29 2021-09-07 Zoox, Inc. Fender
USD958033S1 (en) * 2018-07-16 2022-07-19 Daimler Ag Wheel enclosure for a vehicle
USD861561S1 (en) 2018-10-03 2019-10-01 Bodyguard Products LLC Fender flare
US11273873B2 (en) 2018-10-03 2022-03-15 Bodyguard Products LLC Fender flare
USD920867S1 (en) * 2019-07-16 2021-06-01 Omix-Ada, Inc. Rear flare
USD920866S1 (en) * 2019-07-16 2021-06-01 Omix-Ada, Inc. Front flare
USD919520S1 (en) * 2019-08-02 2021-05-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ender
USD953946S1 (en) * 2020-02-28 2022-06-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Rear bumper for a vehicle
USD1021729S1 (en) * 2022-05-10 2024-04-09 Mullen Technologies, Inc. Vehicle door
USD1019497S1 (en) * 2022-09-12 2024-03-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fend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2154A (en) * 1998-02-04 1999-08-17 Toyota Motor Corp Fender structure for automobile
JP2003216685A (en) * 2002-01-23 2003-07-31 Toyota Motor Corp Method for designing shape of vehicle body member
JP2005096502A (en) 2003-09-22 2005-04-14 Toyota Auto Body Co Ltd Mounting structure of fender panel of automobile
US20090189417A1 (en) * 2008-01-25 2009-07-30 Dr. Inc. H.C.F. Porsche Aktiengesellschaft Motor Vehicle
JP2010285005A (en) 2009-06-09 2010-12-24 Honda Motor Co Ltd Vehicle body side part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43743A (en) * 1922-01-18 1927-09-27 Budd Edward G Mfg Co Automobile body and method of making same
JPH0628976B2 (en) * 1985-11-20 1994-04-20 マツダ株式会社 Pillar structure of automobile
JPH0611894Y2 (en) * 1987-08-31 1994-03-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Front fender
JPH10297541A (en) * 1997-04-23 1998-11-10 Toyota Motor Corp Rear body structure for vehicle
JP3565003B2 (en) * 1998-04-02 2004-09-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Car drainage structure
DE10026053A1 (en) * 2000-05-25 2001-12-06 Brose Fahrzeugteile Motor vehicle do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motor vehicle door
CN2815815Y (en) * 2005-07-27 2006-09-13 奇瑞汽车有限公司 Automobile front cabin cover
JP4825509B2 (en) * 2005-12-15 2011-11-3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Molding method of resin parts
WO2010143473A1 (en) 2009-06-09 2010-12-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Device for viewing front-lateral area of vehicle
JP5236717B2 (en) * 2010-11-29 2013-07-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Rear body of vehicle
CN202175111U (en) * 2011-04-29 2012-03-28 哈飞汽车股份有限公司 Novel front fender structure
JP5696578B2 (en) 2011-05-09 2015-04-08 株式会社ナカヨ Calling system linked with tag reader
US9022428B2 (en) * 2011-11-02 2015-05-05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splash guar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2154A (en) * 1998-02-04 1999-08-17 Toyota Motor Corp Fender structure for automobile
JP2003216685A (en) * 2002-01-23 2003-07-31 Toyota Motor Corp Method for designing shape of vehicle body member
JP2005096502A (en) 2003-09-22 2005-04-14 Toyota Auto Body Co Ltd Mounting structure of fender panel of automobile
US20090189417A1 (en) * 2008-01-25 2009-07-30 Dr. Inc. H.C.F. Porsche Aktiengesellschaft Motor Vehicle
JP2010285005A (en) 2009-06-09 2010-12-24 Honda Motor Co Ltd Vehicle body side part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10455A1 (en) 2015-08-26
CN104736420B (en) 2017-06-16
JP2014083880A (en) 2014-05-12
KR101666498B1 (en) 2016-10-14
EP2910455B1 (en) 2017-06-21
JP5742817B2 (en) 2015-07-01
EP2910455A4 (en) 2015-10-07
US9487238B2 (en) 2016-11-08
CA2888266A1 (en) 2014-04-24
CN104736420A (en) 2015-06-24
US20150266512A1 (en) 2015-09-24
WO2014061382A1 (en) 2014-04-24
CA2888266C (en) 201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6498B1 (en) Vehicle boundary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668256B1 (en) Boundary-section structure of vehicle
US9592856B2 (en) Upper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JP6252507B2 (en) Vehicle exterior member and vehicle back door
CN103534164B (en) Vehicle body framework construction
JP6229676B2 (en) Upper body structure of the vehicle
JP6026091B2 (en) Vehicle door frame
KR101664065B1 (en) Front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JP6816676B2 (en) Body superstructure
JP6237669B2 (en) Upper body structure of the vehicle
JP6502981B2 (en) Rear body structure
JP6237670B2 (en) Upper body structure of the vehicle
JP7172205B2 (en) Peripheral structure of front pillar for vehicle
JP4567701B2 (en) Garnish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s
CN110177730B (en) Joint structure of roof panel and side panel of vehicle body
JP5939155B2 (en) Soundproof structure around the dash panel
JP6252354B2 (en) Vehicle side structure
JP6956156B2 (en) Body front structure
JP6755624B2 (en) Reinforcing structure at the rear of the car body
JP6022523B2 (en) Car body rear structure
KR20050018121A (en) Combining structure of hood inner panel for automobile
CN109318995A (en) Structure for vehicle body side s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