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6726A - 휴대용 단말의 기능을 표시 및 실행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의 기능을 표시 및 실행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6726A
KR20150056726A KR1020130139323A KR20130139323A KR20150056726A KR 20150056726 A KR20150056726 A KR 20150056726A KR 1020130139323 A KR1020130139323 A KR 1020130139323A KR 20130139323 A KR20130139323 A KR 20130139323A KR 20150056726 A KR20150056726 A KR 20150056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swipe
se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석
김대명
임용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9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6726A/ko
Priority to US14/541,831 priority patent/US20150143295A1/en
Publication of KR20150056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7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Abstract

휴대용 단말이 파지된 상태에 대한 그립(grip)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그립 정보에 기초하여,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로 판단되면, 스와이프(swipe)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입력된 스와이프 정보에 기초하여, 기능 목록을 표시하고 표시된 기능 목록 중에서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의 기능을 표시 및 실행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AND EXECUTING FUNCTIONS OF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표시, 선택 및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 및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수행 가능한 기능 목록이 표시되어야 한다. 버튼이나 스위치 등과 같은 물리적인 하드 키를 눌러 메뉴 혹은 아이콘 목록을 표시한 후, 표시된 목록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거나, 화면상의 특정 영역 또는 아이콘을 선택(터치)하여 메뉴 혹은 아이콘 목록을 표시한 후, 표시된 목록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다.
휴대용 단말의 사용자는 주로 한 손으로 단말을 파지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작은 화면상에서 SIP(software input panel)를 이용한 쿼티키(qwerty key)를 입력하는 등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한 손으로 처리하는 것이 편리하다.
그러나 멀티 터치 기반의 단말이라 하더라도, 상기 방법과 같은 메뉴의 선택 및 실행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두 손을 모두 사용하여야 정확한 동작 수행이 가능하다. 즉, 기기를 파지하고, 물리적인 키나 아이콘을 눌러 목록을 표시한 후 목록을 찾아 특정 항목을 선택하는 일련의 과정은 한손으로 수행하기에는 용이하지 않다.
또한, 각 동작이 별개의 동작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수 차례의 입력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기기의 파지, 기능 목록 표시 기능의 호출 뿐 아니라 기능 목록의 표시, 선택 및 기능 실행의 3 단계를 모두 한 손으로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은, 휴대용 단말이 파지된 상태에 대한 그립(grip)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그립 정보에 기초하여,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로 판단되면, 스와이프(swipe)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입력된 스와이프 정보에 기초하여, 기능 목록을 표시하고 표시된 기능 목록 중에서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와이프 정보는, 스크린에 스와이프 되는 터치 입력의 길이, 방향, 각도, 궤적(pattern) 및 압력 강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와이프 정보는, 스크린에 스와이프 되는 터치 입력의 터치 다운, 드래그 및 터치 업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휴대용 단말을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손 모양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은, 입력된 그립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저장된 그립 정보와 현재의 그립 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은, 표시된 기능 목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장치는, 단말이 파지된 상태에 대한 그립(grip) 정보를 입력받는 그립 정보 입력부; 단말의 터치 센서에 대한 스와이프(swipe) 정보를 입력받는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 입력된 그립 정보에 기초하여,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입력된 스와이프 정보에 기초하여, 기능 목록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입력된 스와이프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된 기능 목록 중에서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는 수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와이프 정보는, 터치 센서에 스와이프 되는 터치 입력의 길이, 각도, 궤적(pattern) 및 압력 강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와이프 정보는, 터치 센서에 스와이프 되는 터치 입력의 터치 다운, 드래그 및 터치 업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판단부는, 휴대용 단말을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손 모양에 기초하여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장치는, 입력된 그립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판단부는, 저장된 그립 정보를 현재의 그립 정보와 비교하여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장치는, 표시된 기능 목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의 사용자는 기기의 파지, 기능 목록 표시 기능의 호출뿐 아니라 기능 목록의 표시, 선택 및 기능 실행의 3 단계를 모두 한 손으로 끊김 없이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립 정보 및 스와이프 정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을 파지하고 있는 그립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터치 센서에 대한 스와이프(swipe) 정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터치 센서에 대한 스와이프(swipe) 정보에 기초하여, 기능 목록을 표시하는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의 세부 흐름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 예로부터 다른 실시 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휴대용 단말 관련 기술의 개발에 따라 휴대용 단말에 다양한 기술이 탑재되는 경향에 있으며, 단말 구매 이후에도 애플리케이션을 구매함으로써 휴대용 단말에서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반면 휴대용 단말은 점점 소형화되는 추세에 있으며 물리적인 하드 키를 지양하고 가급적 터치(touch) 입력을 통해 사용자와 기기 사이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관련 기술이 개발되고 잇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 및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수행 가능한 기능 목록이 표시되어야 한다. 종래의 물리적 숫자 키 및 4 방향 내비게이션 키(navigation key)를 이용하는 단말은 물론, 최근 개발되고 있는 터치 기반의 단말에서도 메뉴 및 목록의 선택과 실행은 다음과 같은 형태를 취한다.
도 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이나 스위치 등과 같은 물리적인 하드 키를 눌러 메뉴 혹은 아이콘 목록을 표시한 후, 표시된 목록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거나,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상의 특정 영역 또는 아이콘을 선택(터치)하여 메뉴 혹은 아이콘 목록을 표시한 후, 표시된 목록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다.
휴대용 단말의 사용자는 주로 한 손으로 단말을 파지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작은 화면상에서 SIP(software input panel)를 이용한 쿼티키(qwerty key)를 입력하는 등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한 손으로 처리하는 것이 편리하다.
그러나 멀티 터치 기반의 단말이라 하더라도, 도 1 에 도시된 방법과 같은 메뉴의 선택 및 실행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두 손을 모두 사용하여야 정확한 동작 수행이 가능하다. 즉, 기기를 파지하고, 물리적인 키나 아이콘을 눌러 목록을 표시한 후 목록을 찾아 특정 항목을 선택하는 일련의 과정은 한 손으로 수행하기에는 용이하지 않다.
또한, 각 동작이 별개의 동작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수 차례의 입력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립 정보 및 스와이프 정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100)은, 그립 정보 입력부(110) 및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립 정보 및 스와이프 정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한 손으로 휴대용 단말(100)을 파지하고 있으며, 휴대용 단말(100)은 그립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가 단말을 파지 하고 있는 상태에 대한 그립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100)은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를 통해 휴대용 단말을 파지 하고 있는 손의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및 스와이프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기기의 파지, 기능 목록 표시 기능의 호출뿐 아니라 기능 목록의 표시, 선택 및 기능 실행의 3 단계를 모두 한 손으로 끊김 없이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장치는 그립 정보 입력부(110),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 판단부(130), 표시부(140), 수행부(150), 저장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그립 정보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100)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 대한 정보인 그립 정보를 입력 받는 부분으로, 터치 센서, 압력 센서 또는 물리적인 하드키(hard key)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립 정보 입력부(110)는, 휴대용 단말의 모든 부분에 포함될 수 있지만,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의 가장자리 및 뒷면을 감싸도록 휴대용 단말을 파지하는 경우가 일반적임을 고려할 때, 휴대용 단말의 가장자리 또는 뒷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는,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 목록을 호출, 표시하고 기능 목록 중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는 스와이프 정보를 입력 받는 부분으로, 터치 센서 또는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와이프 정보는, 휴대용 단말(100)의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를 터치 하거나 스와이프(swipe)하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결정된다. 멀티 터치(multi-touch)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하나의 입력만 인식하는 원터치(one-touch) 입력 방식에 비해 입력 효율이 우수하며 보다 다양한 형태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판단부(130)는, 그립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그립 정보를 분석하여 휴대용 단말(100)이 파지된 상태가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100)에서 수행 가능한 소정 기능 메뉴 목록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가 아니더라도, 휴대용 단말을 소지 하기 위해 단순 파지 하고 있거나 휴대용 단말에 설치된 특정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모바일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게임을 즐기기 위해 휴대용 단말을 파지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100)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장치는, 판단부(130)의 판단 결과가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인 경우에만 기능 목록을 표시하도록 구현된다.
표시부(140)는, 판단부(130)의 판단 결과가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인 경우,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스와이프 정보에 따라 기능 목록을 표시한다.
이 때, 표시되는 기능 목록은 단말의 상태가 잠금(hold) 또는 휴지(idle)상태인지,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상태인지 여부 등에 따라 서로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휴지(idle) 상태인 경우라면 단말의 기본 기능에 해당되는 뒤로(back), 취소(cancel) 또는 단말 설정 메뉴의 기능이 표시될 수 있고, 음악을 재생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상태라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특화된 기능에 해당되는 플레이리스트 표시, 탑 10 곡 표시, 즐겨찾기(favorite) 표시 또는 애플리케이션 설정 메뉴의 기능이 표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100)의 표시부(140)는 멀티 터치가 가능한 터치 센서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므로, 휴대용 단말의 표시부(140)는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로 기능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는 휴대용 단말의 표시부(140)가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로 기능한다고 가정한다.
수행부(150)는, 표시부(140)에 표시된 기능 목록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을 사용자 단말(100)이 수행하도록 한다.
이 때, 선택된 기능이 휴대용 단말의 기본 기능에 해당된다면 휴대용 단말로 해당 기능의 실행 명령을 전달하고 선택된 기능이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에 해당된다면 애플리케이션으로 실행 명령을 전달하여 선택된 기능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저장부(160)는,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장치(100)이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 및 실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결정하고, 표시할 수 있도록 각종의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장치는, 현재 휴대용 단말이 파지된 상태가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현재의 파지 정보와 이전 파지 정보를 비교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그립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그립 정보를 주기적으로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장치는, 표시부(140)에 표시된 기능 목록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으며, 기능 목록 중에서 특정 기능이 선택된 경우 해당 기능에 대한 정보를 수행부(150)로 전달한다.
제어부(170)는,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장치(1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며,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장치(100)가 그립 정보 및 스와이프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그립 정보 입력부(110),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 판단부(130), 표시부(140), 수행부(150) 및 저장부(160)를 제어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의 시작(410)은, 그립 정보 입력부(110)가 활성화되어 그립 정보를 입력받도록 준비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이 때, 그립 정보 입력부(110)는 단말 설정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가 결정될 수 있으며 그립 정보 입력부(110)가 사용자의 접촉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활성화될 수 있으며 특정 기능 키 등을 할당하여 그립 정보 입력부(110)를 활성화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그립 정보 입력부(110)는 터치 또는 압력 센서의 형태로 휴대용 단말(100)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휴대용 단말(100)의 측면은, 휴대용 단말(100)을 육면체로 가정하였을 때, 전면의 네 개의 모서리를 공유하는 네 개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그립 정보 입력부(110)는 그립 정보를 입력받고(420), 판단부(130)는 입력된 그립 정보를 분석하여 휴대용 단말(100)이 파지된 상태가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인지 판단(430)한다.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100)에서 수행 가능한 소정 기능 메뉴 목록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가 아니더라도, 휴대용 단말을 소지 하기 위해 단순 파지 하고 있거나 휴대용 단말에 설치된 특정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모바일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게임을 즐기기 위해 휴대용 단말을 파지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100)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장치는, 판단부(130)의 판단 결과가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인 경우에만 기능 목록을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립 정보 입력부(110)는 터치 또는 압력 센서의 형태로 휴대용 단말(100)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휴대용 단말(100)의 측면은, 휴대용 단말(100)을 육면체로 가정하였을 때, 전면의 네 개의 모서리를 공유하는 네 개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립 정보 입력부(110)는 휴대용 단말(100)의 복수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단순 파지 상태등에서는 그립 정보 입력부(110)를 통한 별도의 입력을 하지 않고, 기능 메뉴 목록을 표시하고자 할 경우에만 휴대용 단말(100)의 측면에 부착된 그립 정보 입력부(110)를 소정 시간 이상 또는 소정 압력 이상으로 터치한다. 휴대용 단말(100)은 그립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이와 같은 그립 정보가 입력된 경우 기능 메뉴 목록 표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그립 정보 입력부(110)는 터치 또는 압력 센서의 형태로 휴대용 단말(100)의 테두리에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휴대용 단말(100)의 테두리는, 휴대용 단말(100)의 베젤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순 파지 상태등에서는 그립 정보 입력부(110)를 통한 별도의 입력을 하지 않고, 기능 메뉴 목록을 표시하고자 할 경우에만 베젤 부분에 위치한 그립 정보 입력부(110)를 소정 시간 이상 또는 소정 압력 이상으로 터치한다. 휴대용 단말(100)은 그립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이와 같은 그립 정보가 입력된 경우 기능 메뉴 목록 표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젤 부분에 위치한 그립 정보 입력부(110)를 통한 소정 시간 또는 소정 압력 이상의 터치 이후 끊김없이 터치 스크린을 통해 스와이프 정보가 입력된 경우(베젤부터 터치 스크린까지 연속해서 스와이프)에 기능 메뉴 목록 표시 상태로 판단한다.
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의 특정 부분에 위치한 하드 키(hard key)등을 통해 소정의 입력이 있는 경우 기능 메뉴 목록 표시 상태로 판단한다.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 여부 판단결과,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라고 판단되면,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를 통해 스와이프 정보를 입력(440)받는다.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는,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 목록을 호출, 표시하고 기능 목록 중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는 스와이프 정보를 입력받는 부분으로, 터치 센서 또는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와이프 정보는, 휴대용 단말(100)의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를 터치 하거나 스와이프(swipe)하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결정된다. 멀티 터치(multi-touch)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하나의 입력만 인식하는 원터치(one-touch) 입력 방식에 비해 입력 효율이 우수하며 보다 다양한 형태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를 통해 스와이프 정보가 입력되면, 표시부(130)는 스와이프 정보 입력에 따른 기능 목록을 표시(450)한다.
이 때 스와이프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기능 메뉴는 단말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특화된 기능 메뉴일 수 있고 리스트 업, 슬라이드 콘트롤 또는 콤보 콘트롤 등의 특정 기능 등의 일반 기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설정 등을 통하여 커스터마이징 (customizing) 될 수 있다.
스와이프 정보 입력이 시작되면 바로 모든 기능 목록이 표시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와이프 정보 입력에 따른 기능 목록은 사용자의 스와이프 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크 형태의 스와이프가 적용된 경우라면, 사용자가 그리는 원호 모양을 따라 실시간으로 터치 입력이 수신된 위치(touch-down)부터 터치 입력이 종료된 위치(touch-up) 까지만 입력 및 메뉴가 표시되고, 터치 입력이 종료된 이후에는 메뉴를 표시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표시된 기능 목록 중에서 소정의 기능이 선택되면, 선택된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460). 기능 목록 중에서 소정의 기능의 선택은, 스와이프 정보 입력의 종료, 즉 터치 입력의 종료(touch-up) 이벤트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선택된 기능이 휴대용 단말의 기본 기능이라면 휴대용 단말로 해당 기능의 실행 명령을 전달하고 선택된 기능이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이라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으로 실행 명령을 전달하여 선택된 기능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고 나면,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 및 그립 정보 입력부(110)가 비활성화되어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은 종료(470)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을 파지하고 있는 그립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립 정보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 대한 정보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을 파지하고 있는 손 모양에 의해 결정된다.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을 파지하고 있는 손에 의해 결정되는 정보이므로 터치 센서, 압력 센서 또는 물리적인 하드키(hard key)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의 가장자리 및 뒷면을 감싸도록 휴대용 단말을 파지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그립 정보 입력부(110)는 휴대용 단말의 가장자리 또는 뒷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100)에서 수행 가능한 소정 기능 메뉴 목록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가 아니더라도, 휴대용 단말을 소지 하기 위해 단순 파지 하고 있거나 휴대용 단말에 설치된 특정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모바일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게임을 즐기기 위해 휴대용 단말을 파지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그립 정보를 분석한 결과, 휴대용 단말(100)이 파지된 상태가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인 경우에만 스와이프 정보를 입력받고 기능 메뉴 목록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그립 정보 입력부(110)는 터치 또는 압력 센서의 형태로 휴대용 단말(100)의 측면 또는 휴대용 단말(100)의 테두리에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휴대용 단말(100)의 측면은, 휴대용 단말(100)을 육면체로 가정하였을 때, 전면의 네 개의 모서리를 공유하는 네 개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립 정보 입력부(110)는 휴대용 단말(100)의 복수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100)의 테두리는, 휴대용 단말(100)의 베젤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단순 파지 상태 등에서는 그립 정보 입력부(110)를 통한 별도의 입력을 하지 않고, 기능 메뉴 목록을 표시하고자 할 경우에만 휴대용 단말(100)의 측면 또는 휴대용 단말(100)의 테두리에 부착된 그립 정보 입력부(110)를 소정 시간 이상 또는 소정 압력 이상으로 터치한다. 휴대용 단말(100)은 그립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이와 같은 그립 정보가 입력된 경우 기능 메뉴 목록 표시 상태로 판단하고,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스와이프 정보에 기초하여 기능 메뉴 목록을 표시한다.
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100)의 측면 또는 휴대용 단말(100)의 테두리에 위치한 그립 정보 입력부(110)를 통한 소정 시간 또는 소정 압력 이상의 터치 이후 끊김없이 터치 스크린을 통해 스와이프 정보가 입력된 경우(휴대용 단말(100)의 측면 또는 휴대용 단말(100)의 테두리부터 터치 스크린까지 연속해서 스와이프)에 기능 메뉴 목록 표시 상태로 판단하고,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스와이프 정보에 기초하여 기능 메뉴 목록을 표시한다.
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의 특정 부분에 위치한 하드 키(hard key)등을 통해 소정의 입력이 있는 경우 기능 메뉴 목록 표시 상태로 판단하고,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스와이프 정보에 기초하여 기능 메뉴 목록을 표시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터치 센서에 대한 스와이프(swipe) 정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터치 디바이스에 대한 동작 입력과 관련해서는 팬(pan), 스와이프(swipe) 또는 플릭(flick)등 다양한 용어가 존재하며 각 동작들도 서로 유사하여 서로 혼용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터치 디바이스에 대한 동작 입력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경우만 가정한다.
도 6(a) 는 일반적인 팬(pan)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손가락을 댄 후, 손을 떼지 않고 계속적으로 드래그하는 움직임을 말한다. 움직이는 방향이나 시간 제한 등은 없으며 손을 뗄 때까지를 패닝(panning)으로 인식한다.
도 6(b) 는 일반적인 스와이프(swipe)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스와이프 동작은 손가락을 댄 후, 일직선으로 드래그하는 것을 말한다. 직선 움직임이라는 제한이 있으나 시간의 제한은 없으므로 손가락을 뗄 대까지 스와이프 동작으로 인식한다. 스와이프 동작을 스크롤(scroll)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도 6(c) 는 플릭(flick)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스와이프 동작에서 보다 제한적인 동작으로, 스와이프와 비슷하지만 한쪽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것을 플릭 동작이라 부른다.
각 동작은 ‘팬>스와이프(스크롤)>플릭’과 같은 포함 관계를 가진다. 즉, 팬이 가장 포괄적이므로 스와이프나 플릭은 팬으로 인식될 수 있으며, 플릭은 스와이프로 인식될 수 있다. 다만, 위의 각 동작 또는 용어의 정의는 휴대용 단말을 구현한 OS(operation system)이나 플랫폼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최근에는 터치 센서에 대한 드래그 동작을 일반적으로 ‘스와이프’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스와이프’란 팬, 스크롤 및 플릭 등 터치 센서에 대한 모든 드래그 동작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터치 센서에 대한 스와이프(swipe) 정보에 기초하여, 기능 목록을 표시하는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와이프 정보는, 휴대용 단말(100)의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를 터치 하거나 스와이프(swipe)하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결정된다. 멀티 터치(multi-touch)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하나의 입력만 인식하는 원터치(one-touch) 입력 방식에 비해 입력 효율이 우수하며 보다 다양한 형태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손바닥 및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네 손가락으로 휴대용 단말을 파지하고 있는 경우라면,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스와이프 정보를 입력할 것이며, 손가락 관절 구조상 스와이프 정보는 이와 같은 아크 형태를 가질 가능성이 높으며, 기준점으로부터 회전 각도를 산출함으로써 스와이프 입력의 범위를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100)은 스와이프 입력이 시작된 위치(touch-down)를 0°(degree)의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기준점으로부터 스와이프 입력이 끝나는 위치(touch-up)까지의 각도를 매칭된 기능 메뉴의 개수(N)에 따라 N 개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구간을 소정의 기능과 매칭할 수 있다.
도 7(a) 는, 아크(arc) 형태의 스와이프 정보 및 그에 따른 기능 메뉴를 표시 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와 같이 스와이프 정보가 아크타입으로 설정된 경우, 기능 메뉴 표시 요청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100)의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에 스와이프 입력이 수신된 경우를 가정한다. 도 7(a) 와 같은 경우라면, 스와이프 입력이 끝나는 위치(touch-up)의 각도가 0°~30°범위라면 뒤로가기(back) 기능을, 30°~60°범위라면 홈화면표시(home) 기능을, 60°~90° 범위라면 메뉴표시(menu) 기능을 선택 및 실행한다.
비록 도 7(a) 에서는 0°~90° 범위만 도시하였지만, 0°~180° 또는 0°~360° 범위 모두가 기능 메뉴와 매칭되는 경우도 가능하며, 각도 범위가 넓게 설정될수록 많은 기능의 매칭이 가능하며 각 기능이 매칭된 각도 범위가 넓으므로 분해능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100)은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의 상하 또는 좌우 길이를 기능 메뉴의 개수(N)에 따라 N 개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구간을 소정의 구간과 매칭할 수 있다.
도 7(b) 는, 상하 방향의 직선 타입 스와이프 정보 및 그에 따른 기능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 와 같이 스와이프 정보가 상하 방향의 직선 타입으로 설정된 경우, 기능 메뉴 표시 요청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100)의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에 스와이프 입력이 수신된 경우를 가정한다. 도 7(b) 와 같은 경우라면, 스와이프 입력이 끝나는 위치(touch-up)가 제 1 구간이라면 플레이 리스트 표시 기능을, 스와이프 입력이 끝나는 위치(touch-up)가 제 2 구간이라면 톱10 표시 기능을, 스와이프 입력이 끝나는 위치(touch-up)가 제 3 구간이라면 즐겨찾기 표시 기능을, 스와이프 입력이 끝나는 위치(touch-up)가 제 4 구간일아면 설정 메뉴 호출 기능을 선택 및 실행한다.
도 7(b) 에서는,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의 일부 구간만 기능 메뉴와 매칭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이 구간은 휴대용 단말의 크기와 손가락 길이의 비율 등을 고려하여 변경 가능할 수 있으며,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의 전체 구간이 기능 메뉴와 매칭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메뉴와 매칭된 구간이 넓을수록 많은 기능의 매칭이 가능하며 각 기능이 매칭된 범위가 넓으므로 분해능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100)은 스와이프 입력이 시작된 위치(touch-down)를 동심원의 중심점으로 설정하고, 중심점으로부터 스와이프 입력이 끝나는 위치(touch-up)까지의 거리의 범위를 매칭된 기능 메뉴의 개수(N)에 따라 N 개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구간을 소정의 기능과 매칭할 수 있다.
도 7(c) 는, 터치 입력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 형태의 기능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c) 와 같이 스와이프 정보가 동심원 타입으로 설정된 경우, 기능 메뉴 표시 요청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100)의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에 스와이프 입력이 수신된 경우를 가정한다. 도 7(c) 와 같은 경우라면, 중심점으로부터 스와이프 입력이 끝나는 위치(touch-up)까지의 거리가 제 1 구간이라면 기능 1을, 중심점으로부터 스와이프 입력이 끝나는 위치(touch-up)까지의 거리가 제 2 구간이라면 기능 2를, 중심점으로부터 스와이프 입력이 끝나는 위치(touch-up)까지의 거리가 제 3 구간이라면 기능 3을 선택 및 실행한다.
비록 도 7(c)에서는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의 일부 구간만 기능 메뉴와 매칭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이 구간은 휴대용 단말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변경 가능할 수 있으며,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의 전체 구간이 기능 메뉴와 매칭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메뉴와 매칭된 구간이 넓을수록 많은 기능의 매칭이 가능하며 각 기능이 매칭된 범위가 넓으므로 분해능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100)은 스와이프 입력이 시작된 위치(touch-down)를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기준점으로부터 스와이프 입력이 끝나는 위치(touch-up)에 대한 각도를 매칭된 기능 메뉴의 개수(N)에 따라 N 개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구간을 소정의 기능과 매칭할 수 있다.
도 7(d) 는, 터치 입력을 중심으로 스와이프 방향에 따른 기능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d) 와 같이 스와이프 정보가 방향으로 설정된 경우, 기능 메뉴 표시 요청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100)의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에 스와이프 입력이 수신된 경우를 가정한다. 도 7(d) 와 같은 경우라면, 기준점으로부터 스와이프 입력이 끝나는 위치(touch-up)까지의 방향이 상, 하, 좌, 우 인 경우를 구별하여, 각각 기능 1, 기능 2, 기능 3 및 기능 4를 선택 및 실행한다.
비록 도 7(d)에서는 스와이프 방향이 상, 하, 좌, 우의 네가지 방향인 경우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의 크기가 클수록 많은 기능의 매칭이 가능하며 각 기능이 매칭된 범위가 넓으므로 분해능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비록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터치 센서에 대한 스와이프 궤적, 터치 센서에 대한 압력의 정도 또는 터치 센서에 대한 입력(터치) 횟수등에 따라 기능 메뉴를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비록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와이프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기능 메뉴는 단말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특화된 기능 메뉴일 수 있고 리스트 업, 슬라이드 콘트롤 또는 콤보 콘트롤 등의 특정 기능 등의 일반 기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설정 등을 통하여 커스터마이징 (customizing) 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에서 스와이프 정보는 상기 설명한 각 방법 중 한가지 이상의 형태로 입력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 입력 방법에 따라 각기 다른 기능메뉴가 표시되도록 구현함으로서 더 다양한 기능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 에 도시된 순서도는 도 4 에 도시된 순서도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다.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의 시작(810)은, 그립 정보 입력부(110)가 활성화되어 그립 정보를 입력받도록 준비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이후, 그립 정보 입력부(110)는 그립 정보를 입력받고(820), 판단부(130)는 입력된 그립 정보를 분석하여 휴대용 단말(100)이 파지된 상태가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인지 판단(830)한다.
도 4 의 순서도와 다른 점은,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그립 정보의 변경 여부를 이용하며, 그립 정보의 변경 여부를 이용하기 위해 그립 정보를 저장(840)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100)에서 수행 가능한 소정 기능 메뉴 목록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가 아니더라도, 휴대용 단말을 소지 하기 위해 단순 파지 하고 있거나 휴대용 단말에 설치된 특정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모바일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게임을 즐기기 위해 휴대용 단말을 파지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파지 상태 즉 그립 정보가 이전 상태와 동일하다면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는 다시 도 4 의 순서도와 유사하게, 저장된 그립 정보와 현재 입력된 그립 정보의 비교 결과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라고 판단되면,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를 통해 스와이프 정보를 입력(850)받는다.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는,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 목록을 호출, 표시하고 기능 목록 중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는 스와이프 정보를 입력받는 부분으로, 터치 센서 또는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와이프 정보는, 휴대용 단말(100)의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를 터치 하거나 스와이프(swipe)하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결정된다. 멀티 터치(multi-touch)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하나의 입력만 인식하는 원터치(one-touch) 입력 방식에 비해 입력 효율이 우수하며 보다 다양한 형태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를 통해 스와이프 정보가 입력되면, 표시부(130)는 스와이프 정보 입력에 따른 기능 목록을 표시(860)한다.
도 4 와 또 다른 점은, 스와이프 정보 입력에 따른 기능 목록이 표시되면, 표시된 기능 목록에 해당하는 각 기능의 값을 저장부(160)에 저장(870)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은 이후 소정 기능이 선택된 경우 해당 기능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후 표시된 기능 목록 중에서 소정의 기능이 선택되면, 선택된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880). 이 때, 스와이프 정보 입력이 종료(touch-up)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기능 값을 저장부(160)로부터 읽어, 해당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능 목록 중에서 소정의 기능의 선택은, 스와이프 정보 입력의 종료, 즉 터치 입력의 종료(touch-up) 이벤트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선택된 기능이 휴대용 단말의 기본 기능이라면 휴대용 단말로 해당 기능의 실행 명령을 전달하고 선택된 기능이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이라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으로 실행 명령을 전달하여 선택된 기능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고 나면,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 및 그립 정보 입력부(110)가 비활성화되어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은 종료(890)된다.
도 9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의 세부 흐름도이다.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의 시작(910)은, 그립 정보 입력부(110)가 활성화되어 그립 정보를 입력받도록 준비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장치(100)는 그립 정보 입력부(11)를 통해 주기적으로 그립 정보 정보를 수집(920)한다.
단계 920에서 수집된 그립 정보는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130)로 전달된다. 그립 정보는 단말이 파지된 상태에 대한 정보로 사용자가 단말을 파지하고 있는 손의 모양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단말을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손 모양을 비교하는 실시예에 대해 기술한다.
판단부(130)에서는 현재 수신된 사용자의 손모양을 판단하고(930), 현재 손모양과 이전 주기에 수신된 사용자의 손 모양을 비교(931)한다. 비교 결과, 변화가 없다면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가 아닌 것이므로 그립 정보 입력 상태(920)로 돌아간다.
이전 주기의 손모양과 비교 결과, 현재 손 모양이 변경되었다면 판단부(130)는 변경된 손 모양이 정보 입력 형태, 즉 기능 목록 표시 요청 형태인지 여부를 다시 판단(932)한다.
손 모양 판단 결과, 단순 파지 형태라면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가 아닌 것이므로 그립 정보 입력 상태(920)로 돌아간다. 반면 손 모양 판단 결과, 정보 입력 형태, 즉 기능 목록 표시 요청 형태라면 현재의 손 모양 정보를 저장부(160)에 저장(940)하고, 스와이프 입력 수신을 기다린다.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는 주기적으로 입력 여부를 확인하여,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 설정 후 일정 시간(t) 이내에 스와이프 입력이 없으면, 그립 정보 입력 상태(920)로 돌아간다.
반면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 설정 후 일정 시간(t) 이내에 스와이프 입력이 있다면, 스와이프 정보 입력에 따른 기능 목록을 표시(960)한다.
스와이프 입력이 길이에 따라 구별되는 실시예를 가정하면,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120)에 입력되는 스와이프 입력의 길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기능 목록을 표시하고, 현재 표시되는 기능 목록값을 저장부(160)에 저장(970)한다. 예를 들어, 스와이프 입력의 길이가 1cm라면 “메뉴”를, 스와이프 입력의 길이가 2cm라면 “홈”을 표시부에 표시하고 저장부에는 각각의 거리에 따른 기능 목록의 값으로 “open menu” 및 “return home”을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가 스와이프 입력을 멈추면(touch-up),저장부(160)에 저장된 기능 목록 값을 확인하여 연관된 능을 수행(980)하고 그립 정보 입력 상태(920)로 돌아간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장치
110: 그립 정보 입력부
120: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
130: 판단부
140: 표시부
150: 수행부
160: 저장부
170: 제어부

Claims (15)

  1.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이 파지된 상태에 대한 그립(grip)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그립 정보에 기초하여,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로 판단되면, 스와이프(swipe)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스와이프 정보에 기초하여, 기능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기능 목록 중에서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와이프 정보는, 상기 스크린에 스와이프 되는 터치 입력의 길이, 방향, 각도, 궤적(pattern) 및 압력 강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와이프 정보는, 상기 스크린에 스와이프 되는 터치 입력의 터치 다운, 드래그 및 터치 업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휴대용 단말을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손 모양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그립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그립 정보와 현재의 그립 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기능 목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
  8.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장치에 있어서,
    단말이 파지된 상태에 대한 그립(grip) 정보를 입력받는 그립 정보 입력부;
    단말의 터치 센서에 대한 스와이프(swipe) 정보를 입력받는 스와이프 정보 입력부;
    상기 입력된 그립 정보에 기초하여,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입력된 스와이프 정보에 기초하여, 기능 목록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입력된 스와이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된 기능 목록 중에서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는 수행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와이프 정보는, 상기 터치 센서에 스와이프 되는 터치 입력의 길이, 각도, 궤적(pattern) 및 압력 강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와이프 정보는, 상기 터치 센서에 스와이프 되는 터치 입력의 터치 다운, 드래그 및 터치 업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휴대용 단말을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손 모양에 기초하여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그립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저장된 그립 정보를 현재의 그립 정보와 비교하여 기능 목록 표시 요청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기능 목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선택하는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139323A 2013-11-15 2013-11-15 휴대용 단말의 기능을 표시 및 실행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5005672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323A KR20150056726A (ko) 2013-11-15 2013-11-15 휴대용 단말의 기능을 표시 및 실행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4/541,831 US20150143295A1 (en) 2013-11-15 2014-11-14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and executing functions of port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323A KR20150056726A (ko) 2013-11-15 2013-11-15 휴대용 단말의 기능을 표시 및 실행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726A true KR20150056726A (ko) 2015-05-27

Family

ID=53174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323A KR20150056726A (ko) 2013-11-15 2013-11-15 휴대용 단말의 기능을 표시 및 실행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143295A1 (ko)
KR (1) KR2015005672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60770A1 (en) * 2013-12-05 2015-06-11 Lenovo (Singapore) Pte. Ltd. Contact signature control of device
KR20160029509A (ko) * 2014-09-05 2016-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CN105159595A (zh) * 2015-09-30 2015-12-16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实现侧面功能键的方法及***
CN110032323B (zh) * 2018-01-12 2021-12-28 荷兰移动驱动器公司 电子设备及手势导航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01529B2 (en) * 2004-03-23 2007-11-27 Fujitsu Limited Context dependent gesture response
JP2009110286A (ja) * 2007-10-30 2009-05-21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ランチャー起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ランチャー起動制御方法
US8549432B2 (en) * 2009-05-29 2013-10-01 Apple Inc. Radial menus
US20110210850A1 (en) * 2010-02-26 2011-09-01 Phuong K Tran Touch-screen keyboard with combination keys and directional swipes
US8593418B2 (en) * 2010-08-08 2013-11-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display content
JP5775445B2 (ja) * 2011-12-27 2015-09-09 京セラ株式会社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219340A1 (en) * 2012-02-21 2013-08-22 Sap Ag Navigation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40188561A1 (en) * 2012-12-28 2014-07-03 Arbitron Inc. Audience Measurement System, Method and Apparatus with Grip Sen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43295A1 (en)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3570B1 (en) Thumb touch interface
US91766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graphical user interface depending on a user's contact pattern
KR20070113025A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KR100801089B1 (ko) 터치 및 드래그를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모바일 장치 및 그조작 방법
JP5730667B2 (ja) デュアルスクリーン上のユーザジェスチャのための方法及びデュアルスクリーンデバイス
US9176657B2 (en) Gesture-based selection and manipulation method
US8810509B2 (en) Interfacing with a computing application using a multi-digit sensor
US10509549B2 (en) Interface scanning for disabled users
JP5102412B1 (ja) 情報端末、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077352A1 (en) Multi-Touch Virtual Mouse
US20150160849A1 (en) Bezel Gesture Techniques
US2011006098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a Touch Screen, User Interface of the Touch Screen, and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090183098A1 (en) Configurable Keyboard
KR20070113018A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실행방법
WO2017219531A1 (zh) 菜单操作方法及***
WO2011038655A1 (zh) 一种手势识别的方法及电子设备
US20140055386A1 (en) Touch and non touch based interaction of a user with a device
KR102228335B1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부분을 선택하는 방법
US20140055385A1 (en) Scaling of gesture based input
KR20140033839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에서 한 손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KR20150056726A (ko) 휴대용 단말의 기능을 표시 및 실행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6183912A1 (zh) 菜单布局方法及装置
KR101436585B1 (ko) 원 포인트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294201B1 (ko) 휴대형 장치 및 그 조작 방법
Han et al. Push-push: A drag-like operation overlapped with a page transition operation on touch interfa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