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2966A - 디지타이저 및 그의 노이즈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타이저 및 그의 노이즈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2966A
KR20150052966A KR1020130134547A KR20130134547A KR20150052966A KR 20150052966 A KR20150052966 A KR 20150052966A KR 1020130134547 A KR1020130134547 A KR 1020130134547A KR 20130134547 A KR20130134547 A KR 20130134547A KR 20150052966 A KR20150052966 A KR 20150052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izer
output
differential amplifier
digitizer sensor
sty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4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1652B1 (ko
Inventor
박석평박석평
박석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30134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652B1/ko
Publication of KR20150052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2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개의 차동 증폭기를 이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디지타이저 및 그의 노이즈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공진 주파수를 발진시키는 공진주파수 발진부(100); 스타일러스 펜(200)의 접근을 센싱하는 복수의 디지타이저 센서(110); 상기 공진주파수 발진부(100)에서 발진된 공진 주파수를 스타일러스 펜(200)으로 제공하는 파워코일(120); 상기 복수의 디지타이저 센서(110)의 아날로그 스위칭를 선택하는 선택회로부(130); 상기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의 공진이 발생된 위치와 상기 선택회로(130)의 선택위치로부터 선택된 상기 디지타이저 센서(110)의 출력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1차동증폭부(140); 상기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의 공진이 발생된 위치와 상대적으로 먼위치에서의 상기 선택회로(130)의 선택위치로부터의 출력성분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차동증폭부(150); 및 상기 제1차동증폭부(140)의 출력과 상기 제2차동증폭부(150)의 출력 중 노이즈 성분이 감산되도록 감산하는 감산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타이저 및 그의 노이즈 제거 방법{Digitizer and Method for filtering noise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타이저에 관한 것으로, 두개의 차동 증폭기를 이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디지타이저 및 그의 노이즈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는 컴퓨터가 발달함에 따라 컴퓨터의 보조 장치들도 함께 개발되고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전송장치, 그 밖의 개인 전용 정보처리장치 등은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다.
하지만, 정보화 사회의 급속한 진행에 따라 컴퓨터의 용도가 점점 확대되는 추세에 있는 바, 현재 입력장치 역할을 담당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만으로는 효율적인 제품의 구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오조작이 적을 뿐 아니라, 누구라도 쉽게 정보입력이 가능한 기기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입력장치에 관한 기술은 일반적 기능을 충족시키는 수준을 넘어서 고신뢰성, 내구성, 혁신성, 설계 및 가공 관련기술 등으로 관심이 바뀌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텍스트, 그래픽 등의 정보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로서 접촉감지패널(Touch screen)이 개발되었다.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전송 장치, 그 밖의 개인전용 정보 처리 장치들은 키보드, 마우스, 디지타이저(digitizer) 등의 다양한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처리 등을 수행한다.
특히, 디지타이저는 특수하게 제작된 평판 상에 위치하는 스타일러스나 핑거의 위치를 디지털적으로 검출하여 XY좌표화하여 출력하는 장치로서, 기존에 널리 쓰이고 있는 마우스, 키보드, 스캐너 등에 비해 글씨나 그림을 보다 편리하고 정밀하게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디지타이저는 입력 도구에 따라 세 가지의 방식으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스타일러스(stylus) 방식으로서 특수하게 고안된 펜을 이용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핑거 터치(finger touch) 방식으로서 손가락을 사용하는 것이고, 마지막은 터치 패널(touch panel) 방식으로서 일반적인 펜이나 펜처럼 뾰족한 돌출부를 지닌 물체를 사용하는 것이다.
스타일러스 방식은 그래픽 장치, 캐드 장치 등에 널리 사용되며, 핑거 터치 방식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이용한 장치에 사용되며, 그리고 터치 패널 방식은 전자 수첩이나 개인용 정보 처리장치(Personal Digital Assistance; PDA) 등에 사용된다.
디지타이저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좌표 데이터를 부여하기 위한 태블릿(tablet), 태블릿에 의해 표현된 좌표계의 한 점을 지정하기 위한 스타일러스, 핑거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 그리고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디지타이저 컨트롤러가 필요하다.
디지타이저는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와 달리, 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지시한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 장치이다. 이에 따라, 캐드와 같은 그래픽 작업을 수행하기에 적합하며, 직관적이고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지타이저는 터치스크린, EGIP(Electric graphic input panel)라고 불리기도 하며, 사용자가 지시한 위치를 검출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전자기 공명(ElectroMagnetic Resonance, EMR)방식(혹은 전자기 방식) 등으로 분류된다.
저항막 방식은 직류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압력에 의해 눌려진 위치를 전류량의 변화에 의해 감지하는 방식으로써, 스크린 위에 두 층의 얇은 도전층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압력에 의해 직접 접촉이 되는 것을 감지한다.
저항막 방식은 압력에 의해 위치를 감지하기 때문에 감지의 대상이 도체 또는 부도체인지 여부와 상관이 없다.
정전용량 방식은 교류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커패시턴스 커플링(Capacitance Coupling)을 이용하여 감지하는 방식으로써, 감지의 대상이 반드시 도체이어야 하고 감지 가능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주기위해 일정 이상의 접촉면적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전용량 방식의 경우에는 사람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입력 시에는 위치 감지에 문제가 없으나 도체 팁 형태의 경우 접촉 면적이 작아 감지가 어려운 특징이 있다.
한편, 전자기 공명 방식은 복수개의 코일을 포함한 디지타이저 센서 기판을 이용하며, 사용자가 펜을 움직이면, 펜이 진동하는 자계를 일으키도록 교류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며, 진동하는 자계는 코일에 신호를 유도하고, 코일에 유도된 신호를 통해 펜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와 같이 전자기 방식은 디지타이저 기판에 다수개의 코일을 장착하고, 펜의 접근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적 변화를 감지하여 펜의 위치를 파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타이저 및 그의 노이즈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타이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전단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타이저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10-1006877호로 특허 등록된 투명 디지타이저로써, 이러한 디지타이저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호스트 장치(10)에 적용된다.
디지타이저는 그리드에 기초한 센서(12)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투명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FPD(14)의 상부에 위치한다. 아날로그 전단부 ASIC(16)들이 바람직하게 는 센서의 프레임 상에 장착된다. 상기 ASIC은 바람직하게는 다음에 더 상세하게 기술되는 것과 같은 그리드로된 여러 가지의 전도체들의 출력에 연결된다. 각각의 전단부(front-end)는 센서 도체에 의해 출력되는 매우 낮은 진폭의 신호들을 수신한다.
상기한 ASIC(16)은 신호를 증폭하고, 부적절한 주파수들을 식별해 걸러내며, 출력을 디지털 형태로 샘플링하고, 샘플화 된 데이터를 데이터 버스(18)로 전송하여 디지털 프로세싱 유닛(20)에서 후속처리를 하도록 구성한다. 디지털 프로세싱 유닛(20)은 다양한 디지털 프로세싱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유닛(20)에 의해 수행되는 디지털 프로세싱의 결과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다수의 물리적 물체들의 위치, 전형적으로는 스타일러스의 위치에 해당하고, 그 결과는 일단 결정되면 인터페이스(24)를 통해 호스트(22)로 전송되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프로세싱을 받게 된다.
디지털 프로세싱 유닛(20)의 부가적인 임무는 센서 배열장치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에워싸는 여기 코일(26)에 제공될 트리거링 펄스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것이다. 여기 코일은 후속적으로 검출될 수 있는 스타일러스로부터 응답을 제공토록 하기 위해 스타일러스의 패시브 회로를 여기하는 트리거 펄스를 제공한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단 유닛(16)은 일련의 차동증폭기들(60.1 내지 60.n)을 포함한다. 차동 증폭기들은 스위치들(62.1 내지 62.m)에 그룹으로 연결된다. 상기 스위치들은 연결된 증폭기들 중의 하나로부터 다음 단으로 신호들을 전달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들은 차례로 필터와 증폭회로(64.1 내지 64.m), 그리고 A/D 컨버터들(66.1 내지 66.m)에 연결된다. A/D 컨버터들은 출력 버퍼(68)에 연결되고, 디지털 프로세싱 유닛을 위한 최종적인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각각의 차동증폭기들(60.1 내지 60.n)은 바람직하게는 그의 차동 입력단 각각을 통해 그리드의 센서들 중의 다른 하나에 연결된다. 차동증폭기에 접속된 두개의 센서들은 바람직하게는 인접하는 센서들은 아니며 각각의 센서 신호들은 따라서 두 센서들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신호들로 변환된다.
차동 신호는 증폭되어 스위치(62)에 전달된다. 각각의 스위치는 네 개의 증폭기들 사이에 접속되어 후속하여 처리될 네 개의 이용 가능한 증폭기 입력들 중의 하나를 선택한다. 상기 선택된 신호는 증폭되어 필터 및 증폭기(64)에 의해 필터링 되어, 그 다음 A/D 컨버터(66)에 의해 샘플링 된다. 디지털화 된 샘플 값은 그 다음 버퍼(68)에 전송되어 프로세싱 유닛으로 보내진다.
각각의 전단부 ASIC는 두 개의 동일한 채널들을 구비하며, 그 각각은 네 개의 차동 입력단들을 처리하며, 따라서 도면들의 참조기호에 있어서 n = 8 및 m = 2이다. 그러한 ASIC은 두 개의 A/D 컨버터들과, 두 개의 필터 및 증폭기 유닛과, 두 개의 스위치들 및 8개의 차동 증폭기를 구비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서 스캐닝을 여러 번 하여 평균치 값을 연산에 이용하여야만 했다. 이와 같이 동일 센서에 여러 번 스캐닝하는 경우, 전체 프로세싱 시간이 증가하게 되는데, 각각의 센서에 차동 증폭기 삽입하여, 노이즈 제거 면에서는 좋지만, 로직이 아주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둘째, 차동증폭기의 개수가 센서의 개수만큼 구성되므로 디지타이저 면적이 커지고, 생산 비용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두개의 차동 증폭기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이 놓여져 있는 위치의 디지타이저 센서와 해당 위치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멀리에 위치의 디지타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노이즈 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 디지타이저 및 그의 노이즈 제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디지타이저는 공진 주파수를 발진시키는 공진주파수 발진부; 스타일러스 펜의 접근을 센싱하는 복수의 디지타이저 센서; 상기 공진주파수 발진부에서 발진된 공진 주파수를 스타일러스 펜으로 제공하는 파워코일; 상기 복수의 디지타이저 센서의 아날로그 스위칭를 선택하는 선택회로부;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의 공진이 발생된 위치와 상기 선택회로의 선택위치로부터 선택된 상기 디지타이저 센서의 출력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1차동증폭부;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의 공진이 발생된 위치와 상대적으로 먼위치에서의 상기 선택회로의 선택위치로부터의 출력성분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차동증폭부; 및 상기 제1차동증폭부의 출력과 상기 제2차동증폭부의 출력 중 노이즈 성분이 감산하는 감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디지타이저의 노이즈 제거 방법은 디지타이저의 두개의 차동증폭부를 연결하는 단계; 스타일러스가 검출되면, 최고전압 디지타이저 센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최고전압이 검출된 디지타이저 센서의 출력을 상기 두개의 차동증폭부 중 하나의 입력으로 출력하고, 상기 최고전압이 검출된 디지타이저 센서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멀리 배치되어 있는 디지타이저 센서의 출력을 상기 두개의 차동증폭부 중 다른 하나의 입력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두개의 차동증폭부의 출력을 감산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디지타이저에서 두개의 차동증폭기를 이용하여 좌표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회로 구성이 간단하다.
둘째, 두개의 차동증폭기만으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디지타이저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다.
셋째, 두개의 차동증폭기만으로 노이즈를 제거하므로 노이즈 제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타이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전단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타이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타이저에서 스타일러스 위치에서 노이즈가 유입된 경우의 차동증폭부의 출력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타이저에서 스타일러스의 위치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먼 위치에서 노이즈가 유입된 경우의 다른 차동 증폭부의 출력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노이즈 성분을 도 5의 노이즈 성분을 이용하여 제거한 경우의 출력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타이저의 노이즈 성분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타이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타이저는 공진주파수 발진부(100)와, 디지타이저 센서(110)와, 파워코일(120)과, 선택회로부(130), 제1차동증폭부(140), 제2차동증폭부(150) 및 감산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공진주파수 발진부(100)는 공진 주파수를 발진시킨다.
디지타이저 센서(110)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접근을 센싱하는 센서 코일로써 일측은 선택회로부(130)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서로 인접한 디지타이저 센서(110)에 연결된다. 한편 복수의 디지타이저 센서(110)의 다른 일측은 서로 인접한 다른 모든 디지타이저 센서(110)와 연결될 수 있다.
파워코일(120)은 공진주파수 발진부(100)에서 발진되는 공진 주파수를 스타러스 펜(200)에 제공한다. 이러한 파워코일(120)은 디지타이저 센서(110)를 둘러 싸도록 디지타이저 센서(110) 외곽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회로부(130)는 X축, Y축 선택회로로 구성되어 다수의 디지타이저 센서(110)의 아날로그 스위칭을 선택한다.
제1차동증폭부(140)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최고전압 디지타이저 센서의 출력을 선택회로부(130)로부터 입력으로 받아 증폭하여 출력한다. 이 경우 도 4에서와 같은 출력을 나타낼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1차동증폭부(차동증폭기1)(140)의 출력에 스타일러스 검출 값과 노이즈 값이 함께 포함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2차동증폭부(150)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최고전압 디지타이저 센서와 상대적으로 가장 멀리 있는 디지타이저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 증폭하여 출력한다. 이 경우 도 5에서와 같은 출력을 나타낼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2차동증폭부(차동증폭기2)(150)의 출력에 노이즈 값만이 출력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제1차동증폭부(140)의 출력과는 달리 제2차동증폭부(150)는 최고전압 디지타이저 센서로부터 상대적으로 가장 멀리 있는 디지타이저 센서이므로 스타일러스 검출값을 검출하지 못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제1차동증폭부(140)와 제2차동증폭부(150)는 동일한 증폭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산부(160)는 제1차동증폭부(140)의 출력과 제2차동증폭부(150)의 출력을 감산하여 출력한다. 이때, 도 6에서와 같이 노이즈 성분이 제거되어 출력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타이저에서 스타일러스 위치에서 노이즈가 유입된 경우의 차동증폭부의 출력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타이저에서 스타일러스의 위치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먼 위치에서 노이즈가 유입된 경우의 다른 차동 증폭부의 출력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4의 노이즈 성분을 도 5의 노이즈 성분을 이용하여 제거한 경우의 출력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최고 전압 센서를 찾는데, 최고 전압 디지타이저 센서는 선택회로부(130)의 아날로그 스위치를 통해서 제1차동 증폭부(140)에 연결되며, 최고 전압 센서에서 가장 멀리 배치된 디지타이서 센서은 제2차동 증폭부(150)에 연결된다. 이때, 스캐닝을 시작하기 이전에 각각의 센서는 각각의 차동 증폭부에 연결이 되어야 하며, 동시에 스캐닝을 시작한다.
도 4에서와 같이 만약 디지타이저 센서에 노이즈가 유입되었다고 가정하면, 제1차동 증폭부(140)에서는 스타일러스에 의한 전압뿐만이 아니라 노이즈에 의한 전압도 같이 더해지거나, 빼진 값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노이즈가 유입되면 가장 멀리 있는 디지타이저 센서에는 노이즈만 전압으로 나타난다.
이때, 제2차동 증폭부(150)에서 제1차동증폭부(140)의 전압을 감산부(160)를 이용해 서로 빼게 되면 도 6에서와 같이 순수한 스타일러스 펜(200)에 의한 전압 변화분만 가져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표의 정밀도를 낮추는 요소인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타이저의 노이즈 성분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타이저의 노이즈 성분 제거 방법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지타이저에 두개의 차동증폭부를 연결한다(S110).
그 다음 스타일러스가 검출되면(S130), 스타일러스를 검출한 최고전압 디지타이저 센서를 검출한다(S150).
이어 최고전압 디지타이저 센서와 상대적으로 최고전압 디지타이저 센서에서 가장 멀리 배치되어 있는 디지타이저 센서에서의 출력을 두개의 차동 증폭부에 입력될 수 있도록 아날로그 스위치를 스위칭한다. 그 다음 스타일러스의 스캐닝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여 두개의 차동증폭부에서 각각 디지타이저 센서의 출력을 입력받는다(S170).
그리고 두개의 차동증폭부의 출력전압을 감산하여 노이즈를 제거한다(S190).
이와 같이 노이즈가 제거된 출력전압을 이용하여 스타일러스의 좌표를 검출한다. 따라서 보다 정밀한 스타일러스 좌표의 검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100 : 공진주파수 발진부 110 : 디지타이저 센서
120 : 파워코일 130 : 선택회로부
140 : 제1차동증폭부 150 : 제2차동증폭부
160 : 감산부 200 : 스타일러스 펜

Claims (13)

  1. 공진 주파수를 발진시키는 공진주파수 발진부(100);
    스타일러스 펜(200)의 접근을 센싱하는 복수의 디지타이저 센서(110);
    상기 공진주파수 발진부(100)에서 발진된 공진 주파수를 스타일러스 펜(200)으로 제공하는 파워코일(120);
    상기 복수의 디지타이저 센서(110)의 아날로그 스위칭를 선택하는 선택회로부(130);
    상기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의 공진이 발생된 위치와 상기 선택회로(130)의 선택위치로부터 선택된 상기 디지타이저 센서(110)의 출력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1차동증폭부(140);
    상기 스타일러스 펜(200)으로부터의 공진이 발생된 위치와 상대적으로 먼위치에서의 상기 선택회로(130)의 선택위치로부터의 출력성분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차동증폭부(150); 및
    상기 제1차동증폭부(140)의 출력과 상기 제2차동증폭부(150)의 출력 중 노이즈 성분이 감산하는 감산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타이저 센서(110)의 일측은 선택회로부(130)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서로 인접한 다른 디지타이저 센서(11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코일(120)은 상기 디지타이저 센서(110) 외곽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지타이저 센서(110)의 다른 일측은 서로 인접한 다른 모든 디지타이저 센서(110)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산부(160)의 출력은 상기 디지타이저 센서(110)의 위치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산출회로로 출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동증폭부(140)는 상기 스타일러스 검출값과 노이즈 값을 증폭하고, 상기 제2차동증폭부(150)는 노이즈값만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동증폭부(140)와 제2차동증폭부(150)에 입력되는 디지타이저 센서의 출력은 동시에 스캐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동증폭부(140)와 제2차동증폭부(150)는 동일한 증폭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
  9. 디지타이저의 두개의 차동증폭부를 연결하는 단계(S110);
    스타일러스가 검출되면(S130), 최고전압 디지타이저 센서를 검출하는 단계(S150);
    상기 최고전압이 검출된 디지타이저 센서의 출력을 상기 두개의 차동증폭부 중 하나의 입력으로 출력하고, 상기 최고전압이 검출된 디지타이저 센서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멀리 배치되어 있는 디지타이저 센서의 출력을 상기 두개의 차동증폭부 중 다른 하나의 입력으로 출력하는 단계(S170); 및
    상기 두개의 차동증폭부의 출력을 감산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S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의 노이즈 검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최고전압 디지타이저 센서는 상기 스타일러스의 위치를 검출한 디지타이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의 노이즈 검출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최고전압이 검출된 디지타이저 센서의 출력을 상기 두개의 차동증폭부 중 하나의 입력으로 출력하고, 상기 최고전압이 검출된 디지타이저 센서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멀리 배치되어 있는 디지타이저 센서의 출력을 상기 두개의 차동증폭부 중 다른 하나의 입력으로 출력하는 단계(S170)는 상기 디지타이저 센서를 동시에 스캐닝하여 획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의 노이즈 검출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차동증폭부는 입력값에 대하여 동일한 증폭률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의 노이즈 검출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차동증폭부의 출력을 감산하여 노이즈를 제거한 후 노이즈가 제거된 출력전압을 이용하여 스타일러스의 좌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타이저의 노이즈 검출 방법.
KR1020130134547A 2013-11-07 2013-11-07 디지타이저 및 그의 노이즈 제거 방법 KR101531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547A KR101531652B1 (ko) 2013-11-07 2013-11-07 디지타이저 및 그의 노이즈 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547A KR101531652B1 (ko) 2013-11-07 2013-11-07 디지타이저 및 그의 노이즈 제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966A true KR20150052966A (ko) 2015-05-15
KR101531652B1 KR101531652B1 (ko) 2015-06-25

Family

ID=53389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4547A KR101531652B1 (ko) 2013-11-07 2013-11-07 디지타이저 및 그의 노이즈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6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04607A1 (de) 2015-04-15 2016-10-20 Mando Corporation Elektronisches Feststellbremsensystem in einem Fahrzeug und Steuerungsverfahren dav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7563A (ja) * 2001-01-05 2002-07-26 Wacom Co Ltd 位置検出装置
US7292229B2 (en) * 2002-08-29 2007-11-06 N-Trig Ltd. Transparent digitiser
JP2010044664A (ja) * 2008-08-15 2010-02-25 Mcm Japan Kk タッチセンサ装置
JP4955116B1 (ja) * 2010-12-28 2012-06-20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04607A1 (de) 2015-04-15 2016-10-20 Mando Corporation Elektronisches Feststellbremsensystem in einem Fahrzeug und Steuerungsverfahren dav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1652B1 (ko) 2015-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4440B2 (ja) デジタイザのためのホバリングおよびタッチ検出
JP6621496B2 (ja) マルチポイントタッチ表面コントローラ
JP6388989B2 (ja) 身体又は物体の動きを感受する制御インタフェースの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並びに、前記デバイスを組み込む制御機器
JP6568205B2 (ja) 干渉を低減した静電容量ベースのタッチ装置及び方法
JP5280375B2 (ja) 容量性タッチデジタイザシステムの較正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TWI552058B (zh) 觸控螢幕系統及其驅動方法
CN104049789B (zh) 触敏设备及使用触摸表面电路的方法
US20080012838A1 (en) User specific recognition of intended user interaction with a digitizer
KR101628894B1 (ko) 터치 센싱 방법, 터치 센싱 콘트롤러 및 이를 갖는 터치 센싱 장치
US11592936B2 (en) Capacitive touch device with high sensitivity and low power consumption
TW201510804A (zh) 觸控面板控制方法
JP2009540452A (ja) デジタイザのための指先タッチ認識
JP6005563B2 (ja) タッチパネル装置、制御方法
US9952721B2 (en) Touch pane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TW201445117A (zh) 測量觸碰力量的方法及測量裝置
CN106445220B (zh) 触控侦测方法与电容式感测装置
KR101531652B1 (ko) 디지타이저 및 그의 노이즈 제거 방법
KR20160070039A (ko) 터치 센싱 방법, 터치 센싱 콘트롤러 및 이를 갖는 터치 센싱 장치
KR20150054488A (ko) 디지타이저 및 그의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는 디바이스 검출 방법
KR101763139B1 (ko) 터치 센싱 방법, 터치 센싱 콘트롤러 및 이를 갖는 터치 센싱 장치
KR20140143679A (ko) 디지타이저
CN104345977A (zh) 触摸检测电路、触摸检测方法和电子设备
KR20150050916A (ko) 디지타이저 및 그의 최대 전압 위치 검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