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0179A - 위 밴드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위 밴드 - Google Patents

위 밴드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위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0179A
KR20150050179A KR1020130131663A KR20130131663A KR20150050179A KR 20150050179 A KR20150050179 A KR 20150050179A KR 1020130131663 A KR1020130131663 A KR 1020130131663A KR 20130131663 A KR20130131663 A KR 20130131663A KR 20150050179 A KR20150050179 A KR 20150050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and
upper band
stomach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찬
Original Assignee
박윤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찬 filed Critical 박윤찬
Priority to KR1020130131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0179A/ko
Publication of KR20150050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1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09Implements for ligaturing other than by clamps or clips, e.g. using a loop with a slip kn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09Implements for ligaturing other than by clamps or clips, e.g. using a loop with a slip knot
    • A61B2017/12018Elastic band lig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 밴드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위 밴드에 관한 것으로, 위에 고정될 수 있는 본체부, 그리고 일측이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위를 감싸는 위 밴드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 중 위 조직에 고정되는 부위는 상기 위 밴드와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위 밴드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위 밴드 {Fixing apparatus for stomach band and stomach band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위 밴드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위 밴드에 관한 것이다.
위 밴드는 식도 아랫부분 즉 위(stomach)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하는 수술 도구이다. 위 밴드는 위의 용적을 최소화하고, 음식물의 유입 속도를 늦추는 기능을 가진다.
위 밴드 수술 후 대표적인 합병증 중 하나가 밴드미끄러짐이다. 밴드미끄러짐은 위 밴드 하부의 위 조직이 위 밴드 상부로 밀려 올라가 많은 양의 위 조직이 위 밴드 내부에 꽉차서 음식을 먹지 못하게 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밴드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방법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것은 위전면부 고정법(gastro-gastric suture)으로, 이는 위 밴드 상부와 하부의 위 조직을 서로 봉합해서 위 밴드 아래 위의 위 조직을 고정하는 방법이다. 가령, 위 밴드 아래 쪽에 있는 위 조직 일부분을 위 밴드 상부 쪽으로 끌어올려 위 밴드 상부 쪽에 위치한 위 조직과 봉합하면, 서로 봉합된 위 조직이 위 밴드의 일부분을 덮고 있으므로 위 밴드가 움직이지 않고 나아가 위 밴드 상하부의 위 조직이 위 밴드 내측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위의 방법으로 밴드미끄러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반면에, 높이가 1.5cm 내지 2cm에 달하는 위 밴드의 상부와 하부에 있는 위 조직을 서로 봉합하는 과정에서 긴장(tension)이 발생하고 아울러 봉합 후 위 조직이 아래 쪽으로 당겨짐에 따라 봉합 부위에 긴장(tension)이 발생하여 봉합 부위의 손상 위험이 높아진다. 나아가 봉합으로 생기는 미세한 바늘과 실이 통과한 자리를 따라 위 밴드가 조여짐으로 인해 위벽을 손상시킬 수 있다. 이것이 위 밴드 수술 후 가장 심각한 합병증 중의 하나인 미란(erosion, intra-gastric migration)이다.
또한, 종래의 위 밴드를 사용하여 수술시 위 밴드와 위 밴드 주변의 위 조직을 봉합하기도 하는데, 이 봉합 부위가 위 밴드가 위를 조이는 부분과 매우 가까워서 미란의 발생가능성은 더욱 커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술 직후에 봉합한 곳이 터져서 위의 내용물이 복강 내로 유출되어 복막염을 일으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위 밴드를 위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위 밴드가 조이는 위 부분에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밴드미끄러짐과 미란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위 밴드 고정 장치는, 위에 고정될 수 있는 본체부, 그리고 일측이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위를 감싸는 위 밴드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 중 위 조직에 고정되는 부위는 상기 위 밴드와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 중 상기 위 조직에 고정되는 부위와 상기 위 밴드의 끝단부 간 거리는 0.2 내지 4c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 밴드 고정 장치는, 위에 고정될 수 있는 본체부, 그리고 일측이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위를 감싸는 위 밴드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 중 위 조직에 고정되는 부위는 상기 위 조직에 의해 둘러쌓인 형태로 고정된다.
상기 본체부의 단면 모양은 원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위 밴드는, 위에서 설명한 위 밴드 고정 장치 및 위의 일 부분을 감쌀 수 있으며 상기 위 밴드 고정 장치의 연결부와 연결되어 있는 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 밴드는, 위의 일 부분을 감쌀 수 있는 몸체, 위에 고정될 수 있는 본체부, 그리고 일측이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 중 위 조직에 고정되는 부위는 상기 위 조직에 의해 둘러쌓인 형태로 고정되고, 상기 몸체와 0.2 내지 4cm 떨어져 있다.
상기 연결부의 경도가 상기 본체부의 경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와 상기 연결부는 의료용 실리콘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중앙부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중앙부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홀은 보강부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고리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위 밴드를 감싸서 상기 위 밴드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고리 형상의 연결부를 펼친 상태에서의 한쪽 끝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다른 쪽 끝은 상기 연결부의 한쪽 끝 부분 또는 상기 본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위 밴드는 몸체 내측에 설치된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브의 하단부와 상기 위 밴드 고정 장치의 하단부 간 거리는 0.2~4cm일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위 밴드의 몸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 밴드 고정 장치에 의해 위 밴드가 오랜 시간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아울러 위 조직 역시 안정적으로 위치하여 밴드미끄러짐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위 조직을 가압하는 위 밴드와 위 조직에 고정된 본체부가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미란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위 밴드 고정 장치에 위 조직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밴드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과도하게 위 밴드를 조일 필요가 없는 바, 허혈(혈액 순환이 잘 되지 않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가 신축성을 갖는 실리콘으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위 밴드의 튜브가 팽창할 때 튜브의 팽창을 방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위 밴드는 이와 맞닿는 위 조직 전체를 균등한 힘으로 조일 수 있다.
또한, 수술 후 섭취 음식 등에 의해 위 밴드 상부에 위치한 위 부분에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본체부가 위 밴드 하부의 위 조직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압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에 따라 수술 직후 음식 섭취에 따라 봉합 부위가 터질 위험이 없다.
또한, 본체부의 홀을 통하여 노출된 위 조직과 본체부 하부에 있는 위 조직을 서로 봉합하여 본체부를 고정하기 때문에 위 조직과 본체부의 결합이 안정적이다. 그리고 위 밴드의 제거를 원하는 경우 본체부만 자르면 쉽게 빠져나오게 되므로 위 밴드의 분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위 밴드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I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위 밴드 고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위 밴드 고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 밴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위 밴드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위 밴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위(stomach)에 고정된 위 밴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I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위 밴드 고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위 밴드 고정 장치(2)는 위 밴드(1)의 위치를 결정함과 동시에 위 조직이 밀려 올라가지 않도록 한다. 위 밴드 고정 장치(2)는 본체부(21) 및 연결부(23)를 포함한다.
위 밴드(1)는 식도 바로 아래 즉, 위 상단부를 감아 위의 내경을 조절한다. 위 밴드(1)는 몸체(11) 및 튜브(12)를 포함한다. 몸체(11)는 양단부가 끓어진 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몸체(11)의 일단에는 결합 홈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결합턱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 턱이 결합 홈에 결합되면 몸체(11)는 링 형태로 형성된다.
튜브(12)는 몸체(11)의 내부면에 결합되어 있다. 튜브(12)는 단위 부재들이 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달아 배치되어 있다. 단위 부재들의 내부 공간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튜브(12)에는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 라인(13)이 연결되어 있다. 공급 라인(13)을 통해 튜브(12)로 유체가 공급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유체의 공급량에 따라 튜브(12)의 팽창 정도가 조절될 수 있고 이로써 튜브(12)와 접하는 위의 내경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몸체(11) 내부에 튜브(12)의 기능을 가지는 구성이 부가됨으로써 도 1 내지 도 3에 표현된 튜브(12)는 생략될 수 있다.
본체부(21)와 연결부(23)는 의료용 실리콘(medical silicone)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의료용 실리콘은 가열 멸균이 가능하며 체내 열화가 없고 또 생체조직과 유착되지 않는다.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본체부(21)와 연결부(23)는 변형이 자유롭다.
의료용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본체부(21)와 연결부(23)의 강도 또는 경도는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본체부(21)와 연결부(23)의 경도를 다르게 할 경우, 연결부(23)의 경도가 본체부(21)의 경도보다 작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본체부(21)의 경도는 35A 내지 45A, 그리고 연결부(23)의 경도는 15A 내지 20A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경도 단위는 듀로미터(Duromiter) 단위로 'A'로 표시되며 가장 무른 0에서 가장 강한 100까지 측정된다.
본체부(21)의 경도가 35A 이하이면 위 조직을 한 위치에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연결부(23)의 경도가 20A를 초과하면 튜브(12)가 팽창하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즉, 위 밴드 수술 후 튜브(12)에 유체를 주입해서 적절하게 조여줘야 수술의 효과가 있는데, 연결부(23)의 경도가 20A를 초과하게 되면 연결부(23)를 사이에 두고 위 조직과 마주하는 튜브(12)가 위를 덜 조여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바, 연결부(23)는 20A 이하의 경도로 부드럽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21)는 소정 크기의 넓이를 가지며, 본체부(21)의 중앙부에는 홀(211)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21)의 단면 모양은 원형으로 그 직경은 1 내지 10mm일 수 있다. 도 3을 보면, 본체부(21)의 단면은 내부가 꽉 채워진 봉 형상이나,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체부(21)의 외형이 곡면을 가지므로 본체부(21)는 위 표면과 부드럽게 접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마찰에 의한 조직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체부(21)의 단면 모양은 도 4의 (a),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납작한 사각 모양일 수 있다. 이외에도 본체부(21)의 형상과 모양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체부(21)를 정면에서 본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그러나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21)의 양측이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21)는 위 밴드(1)로부터 소정 거리(d) 떨어져 위 외부면에 접한다. 위 밴드(1)의 튜브(12)가 위를 누르는 부위(이하, '가압부위'라 칭함)로부터 본체부(21)와 위 조직 봉합되는 부위(이하, '봉합부위'라 칭함)는 0.2~4cm 떨어져 있다. 만약, 가압부위와 봉합부위의 거리가 0.2cm 미만일 경우 봉합부위에 긴장(tension)이 발생하여 미란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며, 4cm를 초과할 경우 위 밴드(1)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없다.
본체부(21)가 위 조직이 접하면 본체부(21)의 홀(211)을 통하여 위 조직이 노출된다. 본체부(21)를 위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홀(211)을 통하여 노출된 위 조직(t1)과 본체부(21) 하부에 있는 위 조직(t2)을 봉합사(suture)(s)로 봉합하여 본체부(21)의 하단부를 감싸 고정한다(도 2 참고). 이렇게 하면, 곡면을 가지는 본체부(21) 위에 위 조직이 부드럽게 감싸지므로 위 조직에 스트레스(stress)가 발생하지 않고, 본체부(21)의 고정이 장기적으로 안정적일 수 있다. 나아가, 위 밴드(1) 제거를 원할 경우 본체부(21)만 자르면 본체부(21)가 위 조직으로부터 쉽게 빠져나올 수 있다.
한편, 본체부와 위 조직을 직접 봉합하게 되면, 사람 몸의 위 조직과 외부물질인 본체부가 제대로 하나의 조직으로 봉합되기 힘들어서 봉합사의 힘만으로 고정이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 경우 위 밴드를 제거하고자 할 때 봉합사를 각각 분리시켜야 하기 때문에 제거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수술 난이도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도 4 (b)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21)의 홀(211)에는 본체부(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보강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보강부(22)는 본체부(21)의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보강부(22)에 의하여 홀(211)은 복수로 구획된다. 복수의 보강부(22)는 본체부(21)의 홀(211)에 위치한 위 조직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아울러 봉합부위에 전해지는 힘을 최소화한다. 이로써 위 조직의 움직임에 따른 봉합부위의 손상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21)는 위의 외부면과 대응되는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21)가 곡면 형태로 형성되면 위의 외부면에 밀착되는 밀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위에 고정된 상태에서 원 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위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연결부(23)는 본체부(21)와 위 밴드(1)를 연결하는 것이다. 연결부(23)는 본체부(21)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23)와 본체부(2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23)와 본체부(21)가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23)와 본체부(21)는 접착제 또는 봉합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23)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링 형태는 타원형 또는 원형일 수 있다. 연결부(23)의 링 홈(231)에는 위 밴드(1)의 일부분이 배치된다.
한편, 도 8을 참고하면, 연결부(23)는 띠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즉 연결부(23)의 한쪽 끝은 본체부(21)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쪽 끝은 개방되어 있다. 연결부(23)의 개방된 단부는 위 밴드(1)의 일부분을 감싼 후 연결부(23) 또는 본체부(21)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23)는 수축 팽창하는 튜브(12)의 형상을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연결부(23)의 경도 값이 본체부(21)의 경도 값보다 낮게 제작되어 튜브(12)의 수축 팽창을 방해하지 않는다. 연결부(23)의 단면 모양은 납작한 패널 모양이다. 그러나 연결부(21)의 형상과 모양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위 밴드 고정 장치를 사용하여 수술하는 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위 상단부를 감는 위 밴드(1)의 양단부가 서로 연결되기 전에 연결부(23)의 링 홈(23)으로 위 밴드(1)를 관통시킨다. 이때 본체부(21)는 몸체(11)의 하부에 위치한다. 그런 후 위 밴드(1)의 양단부를 서로 결합한다. 그러나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23)가 띠로 형성될 경우, 위 밴드(1)가 링 형태로 연결된 후에 연결부(23)와 위 밴드(1)를 연결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체부(21)를 위 외부면에 밀착시키고 본체부(21)의 홀(211)을 통하여 노출된 위 조직(t1)과 본체부(21) 하부에 있는 위 조직(t2)을 서로 봉합한다. 그러면 위 조직이 본체부(21)의 하단부를 감싸는 형태가 된다. 본체부(21)의 하단부 직경은 1 내지 10mm로 가늘게 형성되기 때문에 봉합부위의 긴장이 크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만약 위 밴드(1)의 제거를 원하는 경우 본체부(21)만 자르면 잘린 본체부(21)가 봉합부위로부터 쉽게 빠져나올 수 있다.
마지막으로, 튜브(12)에 유체를 공급하여 위 조직을 가압하여 원하는 위의 내경이 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 밴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위 밴드(100)는 몸체(11), 튜브(12), 결합부(111), 그리고 위 밴드 고정 장치(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몸체(11), 튜브(12) 및 위 밴드 고정 장치(2)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몸체(11) 내부에 튜브의 기능을 대체하는 구성이 있는 경우 도 9에 표현된 튜브(12)는 생략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결합부(111)를 더 포함한다. 결합부(111)는 몸체(11)의 외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결합부(11)는 몸체(11)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돌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결합부(111)에는 연결부(23)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위 밴드 고정 장치(2)의 연결부(23)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띠 형상으로 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3)는 몸체(11)의 외측에 결합되고 튜브(12)에 접하지 않으므로 경도 또는 강도가 큰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도 10,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111)는, 몸체(11)에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두 개의 연결부(23) 일단이 각기 결합부(111)에 결합되고 타단이 띠 형태의 본체부(21)에 결합된다. 결합부(111)는 홈 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연결부(23)가 몸체(11)에 일체로 형성된 부위 또는 접착제나 봉합사 등으로 봉합된 부위일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연결부(23)가 사용되었지만, 연결부(23)가 하나만 사용되고 띠 형태의 본체부(21)와 연결될 수도 있다.
위 밴드 고정 장치(2)의 단면 모양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모양이거나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납작한 사각 모양일 수도 있다.
위 밴드 고정 장치(2)가 몸체(11)에 직접 형성된 구조인 경우 위 밴드 고정 장치(2)와 몸체(11)를 연결하기 위한 공정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수술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위밴드 11: 몸체
111: 결합부 12: 튜브
13: 공급 라인 2: 고정 장치
21: 본체부 211: 홀
22: 보강부 23: 연결부

Claims (6)

  1. 위에 고정될 수 있는 본체부, 그리고 일측이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위를 감싸는 위 밴드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 중 위 조직에 고정되는 부위는 상기 위 밴드와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위 밴드 고정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본체부 중 상기 위 조직에 고정되는 부위와 상기 위 밴드의 끝단부 간 거리는 0.2 내지 4cm인 위 밴드 고정 장치.
  3. 위에 고정될 수 있는 본체부, 그리고 일측이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위를 감싸는 위 밴드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 중 위 조직에 고정되는 부위는 상기 위 조직에 의해 둘러쌓인 형태로 고정되는 위 밴드 고정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본체부의 단면 모양은 원형인 위 밴드 고정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되어 있는 위 밴드 고정 장치, 그리고 위의 일 부분을 감쌀 수 있으며 상기 위 밴드 고정 장치의 연결부와 연결되어 있는 몸체를 포함하는 위 밴드.
  6. 위의 일 부분을 감쌀 수 있는 몸체,
    위에 고정될 수 있는 본체부, 그리고
    일측이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 중 위 조직에 고정되는 부위는 상기 위 조직에 의해 둘러쌓인 형태로 고정되고, 상기 몸체와 0.2 내지 4cm 떨어져 있는
    위 밴드.
KR1020130131663A 2013-10-31 2013-10-31 위 밴드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위 밴드 KR201500501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663A KR20150050179A (ko) 2013-10-31 2013-10-31 위 밴드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위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663A KR20150050179A (ko) 2013-10-31 2013-10-31 위 밴드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위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179A true KR20150050179A (ko) 2015-05-08

Family

ID=53388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663A KR20150050179A (ko) 2013-10-31 2013-10-31 위 밴드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위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01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55709C2 (ru) Регулируемый желудочный имплантат
DK168189B1 (da) Kirurgisk indretning til ombinding af en patients mavesæk
US10610238B2 (en) Hemostatic device
JP4948758B2 (ja) 横方向の取付機構を伴う移植可能な帯
EP0702529B1 (en) Universal gastric band
ES2924558T3 (es) Aparato de cierre de herida vascular
RU105822U1 (ru) Гемоста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US8617144B2 (en) Venous closure catheter and method for sclerotherapy
JP2018519864A (ja) 陰圧創傷閉鎖デバイス
JP2011500190A (ja) 二重バルーン式のガストリックリング
MXPA04006393A (es) Banda implantable con mecanismo de fijacion no mecanico.
JP2019528151A (ja) 陰圧創傷閉鎖デバイス
KR20190056395A (ko) 문합 배액 스텐트
IL167120A (en) Fatigue-resistant gastric banding device
KR20110101171A (ko) 상처를 봉합시키는 기계적인 시스템 및 방법
US20080146869A1 (en) Adjustable Gastric Band Having Anti-Microbial Coatings
KR20060049234A (ko) 조절가능한 밴드를 조립하는 방법
RU2677458C1 (ru) Кровоостанавливающая манжет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437786B1 (ko) 간 압박지혈기구
JP2006000650A (ja) 流体調節式バンド
ES2687766T3 (es) Procedimientos y aparatos para asegurar una línea
KR101481279B1 (ko) 상하지 지혈대
RU2607162C2 (ru) Надувной регулируемый желудочный бандаж для лечения ожирения
BRMU9100069U2 (pt) dispositivo hemostÁtico
KR101329169B1 (ko) 위밴드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위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