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8082A - A method of applying binder for binding on a separator of secondary battery - Google Patents

A method of applying binder for binding on a separator of secondary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8082A
KR20150048082A KR1020140146177A KR20140146177A KR20150048082A KR 20150048082 A KR20150048082 A KR 20150048082A KR 1020140146177 A KR1020140146177 A KR 1020140146177A KR 20140146177 A KR20140146177 A KR 20140146177A KR 20150048082 A KR20150048082 A KR 20150048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er
separator
pattern
porou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61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용성
김준형
김석구
홍장혁
진선미
유인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CN201480058708.0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684190A/en
Priority to JP2016526015A priority patent/JP2017500688A/en
Priority to PCT/KR2014/010139 priority patent/WO2015060698A1/en
Publication of KR20150048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808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6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and layer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1Poros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ll Separato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ous separating film including a patterned binder layer,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rous separating film. According to an execution typ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the porous separating film including; a porous base material; and the patterned binder layer which is sprea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rous base material, has the spread thickness of 0.1 to 10 μm, and includes a non-coating area. According to an execution ty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rous separating film including; a step of forming a binder solution; a step of forming the patterned binder layer; and transferring and compressing steps are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ous separating film having excellent air porosity, uniform thickness, and durability can be combined with an electrode with excellent coherence and high ion conductivity.

Description

분리막에 점착성 바인더를 도포하는 방법{A METHOD OF APPLYING BINDER FOR BINDING ON A SEPARATOR OF SECONDARY BATTERY}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applying an adhesive binder to a separator,

본 발명은 2차 전지용 분리막에 접착 바인더를 도포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 및 전사의 방법을 이용하여 접착 바인더를 소정의 패턴으로 분리막에 도포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applying an adhesive binder to a separator for a secondary battery.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applying an adhesive binder to a separator in a predetermined pattern using a printing and transferring method.

최근, 전기화학소자 분야에서 그의 안전성 확보에 대해 크게 주목하고 있다. 특히, 리튬 이차전지와 같은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구비한 전극 조립체를 갖는 데, 이러한 전극 조립체는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양극 및 음극을 둥글게 권취한 젤리롤형(jelly-roll type),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stack type), 그리고 이들의 혼합 형태로서 양극, 음극 및 분리막으로 구성된 단위 셀(unit cell)을 긴 시트형의 연속적인 폴딩필름(folding film)(예컨대, 분리막)을 이용하여 절곡/권취한 구조의 스택-폴딩형(stack-folding type) 리튬 이차전지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스택-폴딩형 리튬 이차전지는 제조가 용이하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전극 활물질의 함량을 극대화할 수 있어서 높은 집적도의 전지를 구현할 수 있다.In recent years, attention has been paid to securing safety in the field of electrochemical devices. In particular, a secondary battery such a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s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n anode, a cathode, and a separator. Such an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 jelly-roll type in which an anode and an anode are roundly woun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 stack type in which an anode, a cathode, and a separator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a unit cell composed of an anode, a cathode, and a separator as a mixed type thereof is formed into a continuous folding film A stack-folding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it is folded / rolled by using a separator, a separator, and the like. Such a stack-folding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easy to manufacture, has a structure capable of efficiently utilizing space, maximizes the content of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can realize a battery with high integration density.

이들 이차전지에서 사용되는 분리막은 다공성인 직포 또는 부직포 형태를 취하거나, 또는 필름 또는 막의 형태의 경우 건식법 또는 습식법을 통해 기공을 형성시킨 다공성 분리막이다. 하지만, 이들 다공성 분리막은 전극과의 결합을 위해 바인더를 사용하는 데, 이러한 바인더는 다공성 기재의 표면에 코팅될 뿐만 아니라 상기 다공성 기재의 기공 내에도 침투하여 분리막의 이온 통로 기능을 훼손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The separation membrane used in these secondary batteries is a porous separator obtained by taking the form of porous woven fabric or nonwoven fabric, or in the case of a film or membrane form, pores formed by a dry method or a wet method. However, these porous separators use a binder for bonding with the electrode. Such a binder is not only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porous substrate but also penetrates into the pores of the porous substrate, thereby deteriorating the ion channel func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have.

또한, 이러한 다공성 분리막은 전극과 조립되어 전극조립체 또는 전지(셀)를 형성하며, 이 경우 전극조립체 또는 전지에서 다공성 분리막이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하여야 하는 데,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공성 기재 상의 바인더층의 두께를 최대한 얇게 할 필요성이 있다. 더불어, 바인더층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 경우, 외부 힘에 대하여 국소적으로 취약하게 되는 등의 문제를 여전히 내포하고 있다.The porous separator is assembled with the electrode to form an electrode assembly or a cell. In this case, the volume of the porous separator in the electrode assembly or the battery must be minimized. To achieve this, the thickness of the binder layer on the porous substrate Is required to be as thin as possible. In addition, if the thickness of the binder layer is not kept constant, the problem is locally weakened against the external force.

따라서, 분리막 및 그와 전극이 결합된 전극조립체에 있어서, 이들의 기공도, 두께 및 내구성 측면을 보강하기 위한 구조 및 그의 간편한 제조 공정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a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porosity, thickness and durability of the separator and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the electrode and the electrode are combined is still required, and a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is still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2차 전지의 다공성 분리막 및 다른 전기 화학 소자와의 결합력이 우수하면서도 다공성 분리막의 기공도, 두께 및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 되도록 다공성 분리막 상에 접착 바인더를 도포하는 신규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접착 바인더가 도포된 다공성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ous separator which is excellent in bonding force with a porous separator of a secondary battery and other electrochemical devices, and has an excellent effect on porosity, thickness and durability of the porous separato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vel method of applying an adhesive binder.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the porous separator coated with an adhesive binder by the above meth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재되는 수단 또는 방법, 및 이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lso to be easily understoo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or method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 combination thereof.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기화학 소자용 분리막의 표면에 점착성 바인더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S1) 바인더 수지와 유기 용매를 혼합하여 바인더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S2) 상기 바인더 용액을 전사 부재의 표면에 소정의 패턴으로 인쇄하여 상기 표면에 바인더 용액의 패턴이 형성되는 단계; (S3) 상기 인쇄된 바인더 용액에서 용매가 제거되어 점착성 바인더의 패턴이 형성되는 단계; (S4) 상기 점착성 바인더의 패턴이 상기 전사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막의 적어도 일측면으로 전사되는 단계; 및 (S5) 상기 (S4) 단계를 통해 상기 분리막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기 점착성 바인더층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forming a tacky binder layer on the surface of a separation membrane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The method comprises: (S1) preparing a binder solution by mixing a binder resin and an organic solvent; (S2) printing the binder solution on the surface of the transfer member in a predetermined pattern to form a pattern of the binder solution on the surface; (S3) removing the solvent from the printed binder solution to form a pattern of the adhesive binder; (S4) a pattern of the adhesive binder is transferred from the surface of the transfer member to at least one side of the separator; And (S5) forming the adhesive binder layer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eparation membrane through the step (S4).

여기에서, 상기 (S2) 단계는 잉크젯 프린터, 디스펜서 또는 노즐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Here, the step (S2) may be performed using an inkjet printer, a dispenser, or a nozzle.

여기에서, 상기 전사 부재는 판형(plate), 필름형(film), 틀형(frame), 롤러형(roller), 원통형(cylinder), 벨트형(endless belt)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Here, the transfer member may be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late, a film, a frame, a roller, a cylinder, and an endless belt .

여기에서, 상기 (S3) 단계는 전사 부재 표면에 형성된 바인더 용액의 패턴을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Here, the step (S3) may be performed by heating a pattern of the binder solutio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fer member.

여기에서, 상기 전사 부재는 표면에 이형 처리가 되어 있을 수 있다. Here, the surface of the transfer member may be subjected to a releasing treatment.

여기에서, 상기 바인더 용액의 패턴 또는 점착성 바인더의 패턴은 분리막 표면에 점착성 바인더가 도포되지 않는 무지부(non-coating area)가 포함되도록 패턴화될 수 있다.Here, the pattern of the binder solution or the pattern of the adhesive binder may be patterned so as to include a non-coating area in which the adhesive binder is not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eparator.

여기에서, 상기 바인더 용액의 패턴 또는 점착성 바인더의 패턴은 도트형(dot), 원형(circle), 다각형(polygon), 도넛형(doughnut), 띠형(stripe) 및 격자형(gr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소단위패턴 또는 2종 이상의 소단위 패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pattern of the binder solution or the pattern of the adhesive bind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dot, a circle, a polygon, a donut, a stripe, and a grid And may be a combination of one selected subunit pattern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subunit patterns.

여기에서, 상기 점착성 바인더층은 두께가 0.1 내지 10㎛인 것이다. Here, the adhesive binder layer has a thickness of 0.1 to 10 mu m.

여기에서, 상기 (S4) 단계는 상기 전사부재와 분리막의 접촉면을 가압하여 수행될 수 있다. Here, the step (S4) may be performed by pressing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transfer member and the separation membrane.

본원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전기 화학 소자용 분리막인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membrane is a separation membrane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여기에서, 상기 분리막은 폴리올레핀 다공성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eparation membrane may comprise a polyolefin porous substrate.

여기에서, 상기 분리막은 폴리올레핀 다공성 기재 및 상기 폴리올레핀 다공성 기재의 적어도 일측 표면에 유/무기 복합 다공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무기 복합 다공층은 복수의 무기물 입자와 바인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eparation membrane may have a porous organic / inorganic porous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rous polyolefin substrate and the porous substrate, and the organic / inorganic composite porous lay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organic particles and a binder resin .

또한 본원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기재를 포함하는 분리막 기재 및 상기 분리막의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된 점착성 바인더층을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용 다공성 분리막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점착성 바인더층은 전술한 어느 한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리막 기재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기재의 적어도 일측면에 유/무기 복합 다공성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무기 복합 다공성 코팅층은 복수의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orous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s comprising a separator substrate comprising a polyolefin-based porous substrate and a tacky binder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eparator. Here, the adhesive binder layer is formed by any of the method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separation membrane substrate may include an organic / inorganic composite porous coating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yolefin-based porous substrate, and the organic / inorganic composite porous coating lay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organic particles and a binder resin.

본원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다공성 분리막에 접착 바인더를 도포하는 경우 바인더가 다공성 분리막 내부로 흡수되지 않고 소정의 패턴을 이루며 분리막 표면상에 분포된다. 따라서 다공성 분리막과 전극 등 다른 전기 화학적 소자들과의 결착력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패턴에 따라 분리막 표면은 바인더가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non-coating area)를 포함하게 되며, 이 무지부의 표면은 외부로 노출되므로 분리막이 전극 등 다른 전기 화학 소자와 결착될 때 분리막의 기공도, 이온 전도도, 두께의 균일성 및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된다.
When the adhesive binder is applied to the porous separator b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inder is not absorbed into the porous separator but is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the separator to form a predetermined pattern. Therefore, the binding force with other electrochemical elements such as the porous separator and the electrode is improv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attern, the surface of the separator includes a non-coated area to which the binder is not applied. Since the surface of the uncoated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separator is bonded to another electrochemical device such as an electrode, The effect on porosity, ionic conductivity, thickness uniformity and durability is minimized.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 및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원리를 더욱 잘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다공성 분리막의 제조를 위한 공정 흐름도이다.
도 2a는 종래 바인더 도포 방법에 따라 다공성 분리막에 바인더를 도포하는 경우 다공성 분리막 내부로 바인더가 스며들어 표면에서의 결착력이 저하되는 것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b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다공성 분리막 상의 바인더 분포 상태를 나타내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라 요철이 형성된 이형 전사 롤러를 사용하는 바인더 패턴의 전사 공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라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전사 부재를 사용하는 바인더 패턴의 전사 공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적절한 전사 공정의 압력과 전사 공정의 압력보다 초과된 압력을 가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바인더 패턴층의 역전사 현상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전사 전의 전사 부재상의 광학현미경 사진, 및 상기 전사 부재로부터 다공성 기재 상에 전사된 바인더층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7은 전사를 통한 바인더를 도포한 분리막과 전극과 압착 후 접착력 테스트를 실시한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점(dot)의 양태에 따른 무기물 다공성 코팅층이 없는 표면(bare)과 무기물 다공성 코팅층이 존재하는 표면에 대한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비교예 2에 따른 실시양태에 대한 것으로서, 바인더 용액의 도포 후 폴리프로필렌 다공성 기재 표면의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form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given below, serve to better understand the spirit and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rocess flow chart for manufacturing a porous separation membra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A schematically shows that when a binder is applied to a porous separation membran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of applying a binder, the binder penetrates into the porous separation membrane to lower the binding force on the surface. 2B shows the distribution of the binder on the porous sepa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n example of a transferring process of a binder pattern using a mold transfer roller provided with unevenn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n example of a transfer process of a binder pattern using a transfer member having unevenness on its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hotograph showing a reverse transfer phenomenon of a binder pattern layer which is generated when a pressure in an appropriate transfer process and an excess pressure are applied to a transfer proces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optical microscope photograph of a transfer member before transfer according to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lectron micrograph of a binder layer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member onto a porous substrate.
FIG. 7 is a photograph showing adhesion test after compression bonding with a separator coated with a binder through transfer.
FIG. 8 is an electron micrograph of a surface on which an inorganic porous coating layer is present and a bare surface on which an inorganic porous coating layer is not pres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lectron microphotograph of the surface of a polypropylene porous substrate after application of a binder solution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원 발명은 분리막과 다른 전기 화학 소자와의 결착을 위해 점착성 바인더를 소정의 패턴으로 분리막의 표면에 도포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바인더 수지와 유기 용매를 혼합하여 바인더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바인더 용액을 전사 부재의 표면에 소정의 패턴으로 인쇄하여 상기 표면에 바인더 용액의 패턴이 형성되는 단계; 상기 인쇄된 바인더 용액에서 용매가 제거되어 점착성 바인더의 패턴이 형성되는 단계; 상기 점착성 바인더의 패턴이 상기 전사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막의 적어도 일 표면으로 전사되는 단계; 및 상기 단계를 통해 상기 분리막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점착성 바인더의 패턴층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applying an adhesive binder to a surface of a separator in a predetermined pattern in order to bond the separator to another electrochemical device. The method includes: preparing a binder solution by mixing a binder resin and an organic solvent; Printing the binder solution on the surface of the transfer member in a predetermined pattern to form a pattern of the binder solution on the surface; Removing the solvent from the printed binder solution to form a pattern of the adhesive binder; The pattern of the adhesive binder is transferred from the surface of the transfer member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eparator; And forming a pattern layer of the adhesive binder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eparator through the steps.

상기 점착성 바인더는 최종적으로 분리막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으로 전사되어 분리막상에 패턴층을 형성한다. 상기 방법에 의해 바인더를 분리막 기재의 표면에 도포하면, 다공성 기재를 분리막으로 사용하는 경우, 분리막과 다른 전기 화학 소자들의 결합력이 유지되면서도 분리막 기재의 다공성 특성 및 리튬 이온의 전도도가 저해되지 않는다. 바인더 용액을 직접 분리막에 도포하는 경우에는, 특히 다공질의 분리막의 경우, 기공을 통해 바인더 용액이 스며들어 표면에 결착에 필요한 바인더의 양이 부족하게 되고 스며든 바인더 용액으로 인해 분리막의 기공이 막히게 된다. 도 2a 및 도 2b는 다공성 분리막의 표면에 바인더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바인더 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바인더 용액을 직접 다공성 분리막의 표면에 도포하여 바인더층을 형성하는데, 미건조 상태의 바인더 용액을 다공성 분리막 표면에 도포하는 경우 바인더 용액이 건조되기 전에 분리막 중의 기공으로 바인더 용액이 침투하여 분리막의 통기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The viscous binder is finally transferred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eparator to form a pattern layer on the separator. When the binder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eparator substrate by the above method, when the porous substrate is used as the separator, the porous membrane of the separator substrate and the conductivity of the lithium ion are not inhibited while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separator and other electrochemical elements is maintained. When the binder solution is applied directly to the separation membran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porous separation membrane, the binder solution penetrates through the pores, and the amount of the binder necessary for binding on the surface is insufficient, and the pores of the separation membrane are clogged by the impregnated binder solution . 2A and 2B schematically show a method of forming a binder layer on the surface of a porous separation membrane. 2A shows a method of forming a binder lay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binder solution is directly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orous separator to form a binder layer. When the undiluted binder solution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orous separator, the binder solution penetrates into pores in the separator before the binder solution is dri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eparation membrane is lowered.

본원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한 것으로서, 바인더 용액이 직접 분리막에 도포되는 것이 아니라 용매가 제거된 상태의 점착성 바인더의 패턴층이 분리막 표면에 전사됨으로써 바인더 용매에 의한 분리막의 기공 폐쇄가 발생하지 않아 분리막의 통기도가 우수하며 전극 등 다른 전기화학 소자와의 결착력이 부여된다(도 2b 참조). 또한, 점착성 바인더가 무지부를 포함하는 패턴으로 형성되므로 무지부 부분의 분리막 표면은 외부로 노출되어 통기도가 우수하다.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is probl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parator, in which the binder solution is not directly applied to the separation membrane, but the pattern layer of the adhesive binder in a state in which the solvent is removed is transferred onto the separation membrane surface, And has a binding force with other electrochemical devices such as electrodes (see Fig. 2B). Further, since the adhesive binder is formed in a pattern including the non-coated portion, the separated film surface of the non-coated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air permeability is excellent.

이하 본원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기재되고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descrip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constitu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1은 본원 발명의 분리막 표면에 점착성 바인더를 도포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한 흐름도이다. 1 is a flow chart briefly explaining a method of applying a tacky binder to the surface of a separation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바인더 용액을 준비한다(S1). 상기 바인더 용액은 유기 용매에 바인더 수지를 분산시킨 바인더 수지와 용매의 혼합물 형태로 준비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의 함량은 이후 단계에서 형성되는 바인더 패턴층의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인더 수지는 바인더 용액 총 100 중량부 대비 약 1 내지 약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2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First, a binder solution is prepared (S1). The binder solution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a mixture of a binder resin and a solvent in which a binder resin is dispersed in an organic solvent. The content of the binder resin may vary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binder pattern layer formed in a subsequent step. Preferably, the binder resin may be included in a proportion of about 1 to about 30 parts by weight, preferably about 5 to about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binder solution.

상기 바인더 수지로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polyvinylidene fluoride)계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styrene-butadiene rubber),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에틸렌글리콜(PEG, polyethylene glycol),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polypropylene glycol), 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TDI, toluene diisocyan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acetate), 에틸렌-코-비닐 아세테이트(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셀룰로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시아노에틸풀루란(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코올(cyanoethyl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셀룰로스(cyanoethylcellulose),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cyanoethylsucrose), 풀루란(pullulan), 카복실 메틸 셀룰로스(carboxyl methyl cellulose),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acrylonitrile-styrene-butadiene copolymer) 및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Examples of the binder resin include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resin, styrene-butadiene rubber (SBR),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olyethylene glycol (PEG) ), Polypropylene glycol (PPG), toluene diisocyanate (TDI), polymethylmethacrylate, polyacrylonitrile, polyvinylpyrrolidone, polyvinyl But are not limited to, polyvinylacetate, polyethylene-co-vinyl acetate, polyethylene oxide, cellulose acetate, cellulose acetate butyrate,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yanoethylpullulan, But are not limited to, polyvinyl alcohol, cyanoethylpolyvinylalcohol, cyanoethylcellulose, cyanoethylsucrose, pullulan, carboxyl methyl cellulose, acrylonitrile-styrene-butadiene copolymer, styrene-butadiene copolymer, and polyimi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비닐리덴 플루로라이드-코-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코-트라이클로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플루로라이드-코-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플루로라이드-코-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플루로라이드-코-트리플루오로클로로에틸렌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로라이드-코-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Non-limiting examples of the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include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olyvinylidene fluoride-co-trichlorethylene, polyvinylidene fluoride-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tetrafluoroethylene, polyvinylidene fluoride-co-trifluoroethylene, polyvinylidene fluoride-co-trifluorofluoroethylene and polyvinylidene fluoride-co-ethylene Any one selected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사용되는 바인더 수지와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사용되는 바인더 수지와 용해도 지수가 유사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후술하는 단계에서 상기 바인더 용액을 잉크젯 프린터 등 노즐을 통해 분사할 때 상기 노즐(nozzle)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비점이 높은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후 단계에서 바인더 패턴에 열을 가하여 유기 용매를 제거하는데 이때 상기 유기 용매가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끓는 점이 지나치게 높은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였을 때 상기 용매의 비점은 80℃ 내지 180℃, 또는 100℃ 내지 165℃인 것이다. 본원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사이클로헥산(cyclohexane), 메시틸렌(mesitylene), 디메틸아세트아미드(dimethylacetamide), 디메틸설폰(dimethylsulfone),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carbonate), 아세톤(acetone),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NMP), 물,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메틸 아세테이트(methyl acetate), 시클로헥산온(cyclohexano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매는 사이클로헥산(cyclohexane), 메시틸렌(mesitylene), 디메틸아세트아미드(dimethylacetamide), 디메틸설폰(dimethylsulfone) 및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carbonate)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In on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olvent has a solubility index similar to that of the binder resin used so as to be uniformly mixed with the binder resin to be used. Meanwhile, it is preferable to use a solvent having a high boiling point in order to prevent the nozzle from clogging when injecting the binder solution through a nozzle such as an inkjet printer in a later-described step. In the subsequent step, heat is applied to the binder pattern to remove the organic solvent. In this case, it is not preferable that the boiling point is excessively high in order to effectively remove the organic solvent. Considering this point, the boiling point of the solvent is 80 ° C to 180 ° C, or 100 ° C to 165 ° C. In the present invention, non-limiting examples of the solvent include cyclohexane, mesitylene, dimethylacetamide, dimethylsulfone, dimethylcarbonate, acetone, tetra The solv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trahydrofuran, methylene chloride, chloroform, dimethylformamide, N-methyl-2-pyrrolidone (NMP) And may be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 ethyl ketone, methyl acetate, and cyclohexanone. Preferably, the solven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yclohexane, mesitylene, dimethylacetamide, dimethylsulfone, and dimethylcarbonate.

다음으로, 상기 바인더 용액이 전사 부재의 표면에 소정의 패턴으로 인쇄되어 전사 부재의 표면에 바인더 용액의 패턴이 형성된다(S2). 상기 인쇄 방법은 전사 부재의 표면에 바인더 용액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인쇄 공정 따른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인쇄는 잉크젯 프린터, 디스펜서 또는 노즐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Next, the binder solution is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fer member in a predetermined pattern to form a pattern of the binder solution on the surface of the transfer member (S2). The print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printing process capable of forming a pattern of a binder solution on the surface of the transferring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ing may be performed using an inkjet printer, a dispenser, or a nozzle.

상기 전사 부재는 전사 부재 표면에 형성된 패턴을 이후 단계에서 분리막 기재의 표면 등 다른 표면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전사 부재는 예를 들어, 판형(plate), 필름형(film), 틀형(frame), 롤러형(roller), 원통형(cylinder), 벨트형(endless belt) 등의 형태일 수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구체적으로 전사롤러, 롤 라이네이터 또는 판 라이네이터을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인쇄된 바인더 용액에서 유기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전사 부재가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사 부재는 내열성을 갖는 금속 또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질 있다. 또한, 상기 전사 부재는 금속이나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의 표면에 실리콘, 폴리우레탄,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테프론 등의 내화학성 또는 내열성 수지로 형성된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ransferring me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capable of transferring the patter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ferring member to another surface such as the surface of the separating film substrate at a later stage. The transfer member may be in the form of, for example, a plate, a film, a frame, a roller, a cylinder, an endless belt or the like And Fig. 4). Specifically, a transfer roller, a roll liner, or a plate liner can be used. The transfer member may then be heated to remove the organic solvent from the printed binder solution. Therefore, the transfer member is made of a metal or ceramic having heat resistance. The transfer member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made of metal or ceramic and an elastic member formed of a chemical resistant or heat resistant resin such as silicone, polyurethane, polydimethylsiloxane (PDMS) or Teflon 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쇄된 바인더 용액의 패턴을 효과적으로 다른 표면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전사 부재의 표면은 이형처리가 되어 있는 이형층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이형층은 전사 부재의 표면이 직접 이형 처리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사 부재의 표면에 이형 처리된 필름이나 막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본원 발명의 구체적일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전사 부재는 이형 처리된 표면을 갖는 필름형 전사 부재인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PDMS 이형 필름인 것이다. 상기 이형층은 전사 부재의 표면 에너지를 낮추어 표면에 접착제 등 점착성 재료가 부착된 후 상기 점착성 재료를 다시 다른 물체의 표면으로 용이하게 이동(전사)시킬 수 있다. 상기 이형 처리는 예를 들어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요철의 형상, 요철간의 간격, 요철의 폭이나 높이는 전사 대상 패턴의 형상 및 재료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ffectively transfer the pattern of the printed binder solution to another surface, the surface of the transfer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release layer which is subjected to release treatment. The surface of the transfer member may be subjected to a releasing treatment directly. Or a film or a film which is subjected to a release treatment on the surface of the transfer member. According to on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member is a film-type transfer member having a surface subjected to a release treatment. More specifically, it is a PDMS release film. The releasing layer may lower the surface energy of the transferring member to adhere the adhesive material such as an adhesive to the surface thereof, and then transfer (transfer) the adhesive material to the surface of another object easily. The mold releasing treatment may be, for example, one in which unevenness is formed on the surface. Here, the shape of the irregularities, the interval between the irregularities, the width and height of the irregularities can be appropriately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transfer target pattern.

다음으로, 상기 전사 부재의 표면에 인쇄된 바인더 용액에서 용매를 제거한다(S3). 상기 용매의 제거는 바인더 용액의 패턴을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열은 통상적으로 히터(heater), 오븐(oven), 저항 가열, 전기 유도 가열, 열풍 가열, 적외선 가열 등의 가열 공정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사 부재는 바인더 용액이 인쇄되는 지지체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상기 바인더 용액을 건조하여 바인더 용액에 포함된 유기 용매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은 전사 부재에 상기한 바와 같은 가열 수단을 구비하여 전사 부재를 가열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열은 약 40℃ 내지 약 200℃의 온도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약 15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0℃ 내지 약 12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은 약 3 내지 약 180초 동안,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60초 동안 수행될 수 있다. Next, the solvent is removed from the binder solution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fer member (S3). Removal of the solvent may be performed by heating the pattern of the binder solution. The heating may be performed through a heating process such as a heater, oven, resistance heating, electric induction heating, hot air heating, infrared heating, or the like. The transfer member may have a function as a support for printing a binder solution, and also as a means for removing the organic solvent contained in the binder solution by drying the binder solution. Therefore, the heating can be performed by heating the transfer member with the heating means as described above in the transfer member. The heating may be carried out in a temperature range of from about 40 ° C to about 200 ° C, preferably from about 60 ° C to about 150 ° C, more preferably from about 80 ° C to about 120 ° C. Further, the heating may be performed for about 3 to about 180 seconds, preferably about 1 to about 60 seconds.

상기 바인더 용액에서 용매가 반드시 모두 제거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상기 전사 부재에 인쇄된 바인더 용액에서 상기 용매가 바인더 용액 100 중량부 대비 10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이하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이하의 범위로 잔존하도록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바인더 용액에서 전술된 함량 범위로 용매가 제거되면, 바인더 패턴의 점착성이 증가하여 바인더 용액의 전사시 초기 인쇄 패턴이 잘 유지되어 ㎛ 수준의 패턴의 전사가 가능하다. 또한, 건조된 바인더 용액의 분리막 표면으로의 높은 전사율을 달성하는 데 유리하다. 이하, 바인더 용액에서 용매가 제거되어 점착성이 증가된 결과물에 대해서는 바인더 용액과 구별하기 위해서 점착성 바인더로 지칭한다.
It is not necessary that the solvent is completely removed from the binder solution. For example, in the binder solution printed on the transferring member, the solvent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10 parts by weight or less, preferably 5 parts by weight or less, and most preferably 1 part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inder solution Can be removed. When the solvent is removed from the binder solution 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adhesion of the binder pattern is increased, so that the initial printing pattern is maintained at the time of transferring the binder solution. It is also advantageous to achieve a high transfer rate to the separation membrane surface of the dried binder solution. Hereinafter, the resulting product in which the solvent is removed from the binder solution to increase the tackiness is referred to as an adhesive binder to distinguish it from the binder solution.

다음으로 점착성 바인더가 전사 부재의 표면에서 분리막 기재의 표면으로 전사되고(S4), 이에 의해서 분리막 기재의 표면에 점착성 바인더층이 형성된다(S5). 상기 바인더층은 전사 부재에 인쇄된 점착성 바인더의 패턴에 따라 소정의 패턴을 갖는다. 상기 패턴은 도트형(dot), 원형(circle), 다각형(polygon), 도넛형(doughnut), 띠형(stripe) 및 격자형(grid)과 같은 패턴 소단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패턴 소단위체 또는 2종 이상의 패턴 소단위체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패턴은 분리막 기재 표면에 형성될 무지 부분의 비율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바인더층은 무지부(non-coating area), 즉 패턴 소단위체 사이의 점착성 바인더가 도포되지 않은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무지부 면적은 상기 바인더층이 형성된 분리막 표면적 중 약 1% 내지 약 50%인 것이다. 상기 무지부의 면적이 분리막 표면적 대비 50 %를 초과하면 분리막과 다른 전기 소자, 특히 전극과의 결착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으며, 무지부 면적이 1 % 미만인 경우에는 분리막의 다공성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Next, the tacky binder is transferred from the surface of the transfer member to the surface of the separator substrate (S4), thereby forming a tacky binder layer on the surface of the separator substrate (S5). The binder layer has a predetermined pattern according to the pattern of the adhesive binder printed on the transfer member. The pattern may be a pattern subuni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attern subunits such as a dot, a circle, a polygon, a donut, a stripe, and a grid.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of pattern subuni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attern can be appropriately deformed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non-coated portion to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parator substrate. The binder layer includes a non-coating area, i.e., a portion where no adhesive binder is applied between pattern subuni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coated area is about 1% to about 50% of the surface area of the separation membrane in which the binder layer is formed. If the area of the uncoated portion exceeds 50% of the surface area of the separation membrane, the separation membrane and other electric elements, particularly the electrode, can not be sufficiently bonded, and if the uncoated area is less than 1%, the porosity of the separation membrane may be deteriorated.

본원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바인더층의 두께는 약 0.1 ㎛ 내지 약 10 ㎛,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5 ㎛일 수 있다. 바인더층의 범위가 전술된 범위에 속하면, 본 발명의 바인더층은 다공성 분리막과 전극간 우수한 결합력과 더불어 다공성 기재의 기공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In on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binder layer may be about 0.1 μm to about 10 μm, preferably about 0.1 to about 5 μm. When the range of the binder layer falls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binder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porosity of the porous substrate in an optimum state in addition to a good bonding force between the porous separator and the electrode.

참고적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것으로서, 전사 롤러를 사용하여 점착성 바인더를 분리막으로 전사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필름형 전사 부재를 사용하여 점착성 바인더를 분리막으로 전사하는 일 실시양태를 도시한 것이다. For reference, FIG. 3 shows an example of transferring an adhesive binder to a separation membrane using a transfer 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one embodiment of transferring a sticky binder to a separation membrane using a film-type transf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양예에 따르면, 상기 전사 단계(S4)는 약 10 내지 약 100 kgf,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80 kgf의 압력을 가하여 수행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압력 범위를 초과하여 가압되는 경우 점착성 바인더가 분리막에 전사된 후 다시 전사 부재로 역으로 전사(역전사)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점착성 바인더가 분리막으로 전사되지 못하고 다시 전사 부재로 역전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가해지는 압력이 전술된 범위 미만인 경우, 점착성 바인더의 전사율이 저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step S4 may be carried out by applying a pressure of about 10 to about 100 kgf, preferably about 20 to about 80 kgf. If the pressure exceeds the pressure range, the adhesive binder may be transferred to the separation membrane and then transferred back to the transfer member. 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adhesive binder is not transferred to the separator but is reversely transferred back to the transfer member. On the contrary, when the applied pressure is less tha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transfer rate of the adhesive binder may be lowered.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바인더층의 패턴은 소단위체 패턴들이 분리막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규칙적인 배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트 형태의 바인더 패턴 소단위체들이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분리막 표면에 분포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전지의 조립, 전지 자체의 변형 등의 경우, 예컨대 전극조립체의 권취(winding), 권출(unwinding), 접힘(folding) 및 압축(compression), 전지 구성요소의 팽창(expansion) 등의 외부 또는 내부 힘이 가해지는 경우 분리막에 대해 상기 힘들이 국부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피하고 균일하게 가해지게 되므로 변형, 찢김 등과 같은 손상될 가능성이 낮아진다. 더불어, 전술된 바와 같이 바인더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다공성 기재의 구역(무지부)들에 의해 이온이 다공성 분리막(분리막 내 기공)을 바로 통과하여 양 전극으로 전달됨에 따라, 이온 전도도 및 전지의 성능이 크게 개선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tern of the binder layer is formed such that the sub unitary patterns are regular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For example, the binder pattern subunits in the form of dots may b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and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the separator. Such an arrangement is advantageous in the case of battery assembly, deformation of the battery itself, etc., for example, winding, unwinding, folding and compress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Or when an internal force is applied, the forces are not applied locally to the separator and uniformly applied, so that the possibility of damage such as deformation, tearing, etc. is reduced. In addition, as the ions pass through the porous separator (pores in the separator) and are transferred to both electrodes by the regions (unfilled portions) of the porous substrate to which the binder is not applied as described above, the ion conductivity and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It is great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점착성 바인더층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다공성 분리막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분리막은 다공성 분리막 기재층 및 상기 다공성 기재층의 적어도 일측면상에 형성된 점착성 바인더층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점착성 바인더 층은 전술한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분리막 기재층은 다공성막으로서 1종 이상의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고분자막 또는 상기 고분자막이 2층 이상 적층된 다중막, 직포, 부직포, 단일 필름(film) 또는 다중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상기 필름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건식법 또는 습식법에 의해 기공을 형성시킴으로써 다공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막 기재층은 폴리올레핀계열의 다공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기재층은 목적하는 공극률 및 통기성을 갖도록 다수의 기공을 갖는다. 이러한 기공은 전지에서 기본적으로 이온의 통로의 역할을 담당하지만, 외부 요인 또는 단락 등의 내부 요인의 이유로 인해 일정 범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할 경우, 기공을 형성하는 막 내부가 용융 붕괴되어 막의 통로를 막음으로써 전지의 추가 온도 상승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셧다운(shutdown)).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orous separator for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adhesive binder layer produc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membrane includes a porous separator base layer and a tacky binder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rous base layer. Here, the adhesive binder layer is form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ous membrane base layer may be formed of a polymer membrane composed of at least one polymer resin as a porous membrane or a membrane, a woven fabric, a nonwoven fabric, a single film or a multi- . ≪ / RTI > Among them, the film may have a porous structure by forming pores by a dry method or a wet method known in the art. Preferably, the membrane base layer may comprise a porous film of a polyolefin series. The porous substrate layer has a plurality of pores to have a desired porosity and permeability. These pores serve as basically the path of ions in the cell, but when the temperature rises above a certain range due to external factors or internal factors such as short circuit, the inside of the pores forming the membrane is melted and collapsed, (Shutdown) by preventing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from further rising.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상기 바인더층은 전사된 분리막의 표면에서 바인더층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된 다. 이러한 일정한 두께의 바인더층은 이후 다공성 분리막(기재) 및 전극과의 결합을 통해 전극조립체, 셀 또는 전지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바인더층의 표면에 대해 국부적으로 편중된 힘이 가해지지 않아 외부 힘에 대한 분리막 및 전지의 내구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binder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 constant thickness of the binder layer on the surface of the transferred separation membrane. When the binder layer having such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subsequently formed by bonding with the porous separator (base material) and the electrode, the biased force is not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binder layer when the electrode assembly, the cell or the cell is formed, The durability of the separator and the battery can be improved.

또한, 본원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분리막은 상기 다공성 기재층의 적어도 일측면에 유/무기 복합 다공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다공성 분리막이 복합 다공층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바인더층은 상기 복합 다공층의 표면으로 전사된다. 본원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합 다공층은 복수의 무기물 입자들 및 고분자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다공성 코팅층은 상기 무기물 입자들간의 인터스티셜 볼륨(interstitial volume)에 의해 형성되는 기공에 의해 다공성 특성을 갖는다. 상기 인터스티셜 볼륨은 무기물 입자들의 충진 구조에서 실질적으로 면접하는 무기물 입자들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본원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입자는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하기만 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기물 입자는 적용되는 전지의 작동 전압 범위(예컨대, Li/Li+기준으로 0~5V)에서 산화 및/또는 환원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기물 입자는 예를 들어, 유전율 상수가 약 5 이상인 무기물 입자 또는 리튬 이온 전달 능력을 갖는 무기물 입자(리튬 이차전지의 경우)를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인더 수지는 무기물 입자들간의 결착력 및 무기물 입자와 상기 분리막 기재층의 결착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복합 다공층에서 상기 무기물 입자의 함량은 복합 다공층 100중량% 대비 50 중량% 내지 99 중량%인 것이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복합 다공층은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 수지를 적절한 용매와 혼합하여 복합 다공층용 슬러리를 제조한 후 이를 상기 다공성 기재층의 표면에 딥 코팅법이나 닥터블레이드 코팅법과 같은 공지의 방법으로 상기 슬러리를 도포하고 이를 건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ous separator may have an organic / inorganic composite porous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rous substrate layer. When the porous separation membrane has a composite porous layer, the binder layer is transferred to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porous lay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e porous layer includes a plurality of inorganic particles and a polymer resin. The porous coating layer has porosity due to pores formed by the interstitial volume between the inorganic particles. The interstitial volume refers to a space defined by inorganic particles substantially interfacing with the filling structure of the inorganic particles. In on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organic particle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are electrochemically stable. That is, the inorganic particles us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oxidation and / or reduction reaction does not occur in the operating voltage range of the applied battery (for example, 0 to 5 V based on Li / Li +). Preferably, the inorganic particles may be inorganic particles having a dielectric constant of about 5 or more, or inorganic particles having a lithium ion transferring ability (in the cas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either singly or in combination. Further, the binder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provide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inorganic particles and the binding force of the inorganic particles and the separator base layer.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particles in the composite porous layer is 50% by weight to 99%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composite porous lay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e porous layer is prepared by mixing inorganic particles and a binder resin with an appropriate solvent to prepare a slurry for a composite porous layer, and then forming a slurry on the surface of the porous substrate layer by a known method such as dip coating method or doctor blade coating method , And drying the slurr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라, 본원 발명은 상기 바인더층이 형성된 다공성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를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분리막의 양면에 2개의 상대 전극, 즉 양극과 음극을 위치시킴으로써 집합체를 형성하고, 이러한 집합체를 압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the porous separator having the binder layer formed thereon, and an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In on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formed by forming an aggregate by placing two counter electrodes, that is, an anode and a cathode, on both sides of the separator, and pressing the aggregate.

상기 형성된 집합체는, 2개 이상의 마주보며 회전하는 롤(roll) 등을 사용하는 압착 단계를 통해 실시된다. 이러한 압착 단계는 열간압연(hot rolling), 냉간압연(cold rolling) 또는 이들의 조합된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ormed aggregate is carried out through a compression step using two or more opposing rotating rolls or the like. The pressing step may be performed by hot rolling, cold rolling, or a combination thereof.

열간 압연은 대상물의 재결정 온도 이상의 2개 회전 롤들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압연시키는 방법이며, 사용되는 열간압연 롤은 대상물의 융점(절대온도)의 대략 1/2 이상의 온도에서 대상물을 압연하는 것이 변형에 의한 가공에 유리하다. 또한, 열간압연은 압연 동력이 작아도 되고, 큰 변형을 쉽게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열간압연의 온도 및 롤의 회전속도 등은 대상물, 즉 본 발명의 집합체의 상태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Hot rolling is a method of rolling by passing between two rotary rolls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recrystallization temperature of the object, and the hot rolling roll to be used requires rolling the object at a temperature of about 1/2 of the melting point (absolute temperature) It is advantageous for processing. Hot rolling also has the advantage that the rolling power can be small and large deformation can be easily induced. Therefore, the temperature of the hot rolling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ll, etc.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object, that is, the aggreg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냉간 압연은 대상물의 재결정 온도 이하의 롤을 사용하여 압연시키는 방법이고, 사용되는 냉간압연 롤은 특별히 상기 열간압연 롤과 다른 것일 필요는 없으므로, 상황에 따라 롤을 가열에 의해 열간압연 또는 냉간압연을 위한 롤로서 사용할 수 있다. 롤의 표면 상태가 대상물의 표면에 대해 별다른 회손없이 대상물에 그대로 반영될 수 있다. 그러므로, 냉간압연은 열간압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대상물(예컨대, 집합체) 표면의 요철, 주름, 흠집 등에 의한 불량을 교정할 수 있고, 대상물의 두께를 얇게 가공할 수 있고, 가공시 대상물의 치수 정밀도가 좋으며, 사용되는 냉간압연 롤의 표면에 따라 크게 매끈한 표면을 갖는 목적물(예컨대, 전극조립체)이 수득될 수 있다.The cold rolling is a method of rolling by using a roll having a temperature not higher than the recrystallization temperature of the object, and the cold rolling roll used does not need to be different from the hot rolling roll in particular, so that the hot rolling or cold rolling Can be used as a roll. The surface state of the roll can be reflected to the object as it is without any bending of the surface of the object. Therefore, in cold rolling, it is possible to calibrate defects due to irregularities, wrinkles, scratches, etc. on the surface of an object (e.g., an aggregate) that may occur in hot rolling, to thin the thickness of the object, And an object (for example,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largely smooth surface can be obtained depending on the surface of the cold-rolling roll to be used.

또한, 압착 단계는 상기 바인더층과 상기 분리막과 접촉하는 대상(즉, 다공성 분리막 및 전극)의 결합력이 최대로 발현될 수 있는 온도 및 압력 하에서 실시되며, 온도는 약 80 내지 약 150℃, 바람직하게는 약 90 내지 약 110℃이고 압력은 약 30 내지 약 200 kgf, 또는 약 50 내지 약 180 kgf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온도와 압력에서 바인더층이 전극과 분리막 사이에서 압착되면, 생성된 전극조립체의 결합력은 크게 상승되며, 이러한 높은 결합력은 다공성 분리막의 우수한 통기도 유지 및 바인더층의 얇은 두께와 더불어 전지의 성능 및 내구성의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압착 단계에서 상기 열간압연과 상기 냉간압연의 장점들을 최대한 이용하여 서로 조합되게 구성하여 사용될 수 있다.Further, the pressing step is carried out under a temperature and a pressure at which the binding force of the object to be contacted with the binder layer and the separating membrane (that is, the porous separating membrane and the electrode) can be maximally expressed, and the temperature is about 80 to about 150 캜 May be from about 90 to about 110 DEG C and the pressure may be from about 30 to about 200 kgf, or from about 50 to about 180 kgf. When the binder layer is squeezed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at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in the above range, the bonding force of the electrode assembly is greatly increased. Such a high cohesive force is obtained by maintaining the excellent air permeability of the porous separator and the thinness of the binder layer, And contributes greatly to improvement in durability. Further, in the pressing step, the advantages of the hot rolling and the cold rolling can be utilized as much as possible and combined with each other.

상기 전기화학소자는 전기화학 반응을 하는 모든 소자를 포함하며, 구체적인 예를 들면, 모든 종류의 일차전지, 이차전지, 연료전지, 태양전지 또는 슈퍼 커패시터 소자와 같은 커패시터(capacitor) 등이 있다. 특히, 상기 이차전지 중 리튬 이차전지, 예컨대 리튬 이온 이차전지,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 또는 리튬 이온 폴리머 이차전지 등이 바람직하다.The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es all devices that perform an electrochemical reaction. Specific examples of the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e a capacitor such as a primary cell, a secondary cell, a fuel cell, a solar cell, or a supercapacitor. Particularly, a lithium secondary battery such as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or a lithium ion polymer secondary battery is preferable.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However,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실시예 Example

점착성 바인더 층이 형성된 분리막의 제조Preparation of Separation Membrane with Viscous Binder Layer

실시예 1Example 1

메시틸렌 92.5 중량부 및 아크릴 고분자(Toyo사) 7.5 중량부를 용해시켜 바인더 용액을 형성시켰다. 상기 바인더 용액을 잉크젯 헤드를 이용하여 지름 약 80㎛의 도트 패턴이 x축 500㎛, y축 약 100 ㎛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PDMS(Polydimethylsiloxane) 이형 필름에 인쇄하였다. 그 다음, 상기 인쇄된 패턴을 60 ℃의 온도에서 1 내지 5초 동안 가열하여 용매를 증발시켰다. 상기 이형 필름을 두께 20 ㎛의 폴리프로필렌 다공성 기재(기공도 약 45%)에 상기 패턴이 대면하도록 배치하고, 100 ℃의 온도에서 80 kgf의 압력으로 롤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가압하였다. 이어서, 상기 이형 필름을 제거함으로써 점착성 바인더 층이 형성된 분리막이 제조되었다.
92.5 parts by weight of mesitylene and 7.5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polymer (Toyo Co.) were dissolved to form a binder solution. The binder solution was printed on a PDMS (Polydimethylsiloxane) release film so that a dot pattern having a diameter of about 80 mu m was arranged at an interval of about 500 mu m in the x axis and about 100 mu m in the y axis by using an inkjet head. The printed pattern was then heated at a temperature of 60 DEG C for 1 to 5 seconds to evaporate the solvent. The release film was placed on a polypropylene porous substrate (pore size of about 45%) having a thickness of 20 μm so as to face the pattern, and pressed at a temperature of 100 ° C at a pressure of 80 kgf using a roll laminator. Then, the release film was removed to prepare a separation membrane having a tacky binder layer.

실시예 2Example 2

PVdF-CTFE를 아세톤에 약 5 중량% 첨가한 후, 50℃의 온도에서 약 12시간 이상 용해시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고분자 용액에 BaTiO3 분말을 BaTiO3/PVdFCTFE = 90/10 (중량% 비)가 되도록 첨가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슬러리를 딥(dip) 코팅법을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기재(두께 18㎛, 기공도 45%)에 약 3.5 ㎛의 두께로 코팅하여 유/무기 복합 다공층이 형성된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메시틸렌 92.5 중량부 및 아크릴 고분자(Toyo사) 7.5 중량부를 용해시켜 바인더 용액을 형성시켰다. 이 바인더 용액을 잉크젯 헤드를 이용하여 약 500 ㎛ X 약 100 ㎛ 간격을 갖는 격자 패턴으로 PDMS(Polydimethylsiloxane) 이형 필름에 인쇄하였다. 그 다음, 상기 인쇄된 패턴을 60 ℃의 온도에서 1 내지 5초 동안 가열하여 용매를 증발시켰다. 상기 이형 필름을 상기에서 제조된 분리막에 상기 패턴이 대면하도록 배치하고, 100 ℃의 온도에서 80 kgf의 압력으로 롤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가압하였다. 이어서, 상기 이형 필름을 제거함으로써 점착성 바인더층이 형성된 분리막을 얻었다. 상기 분리막에 전사된 도트 패턴의 지금은 약 105 ㎛로 상기 이형 필름에서 전사되기 전에 비해 지름이 증가하였다(도 6 참조).
PVdF-CTFE was added to acetone in an amount of about 5% by weight and dissolved at a temperature of 50 캜 for about 12 hours or longer to prepare a polymer solution. BaTiO 3 powder was added to the polymer solution so that BaTiO 3 / PVdFCTFE = 90/10 (weight% ratio) to prepare a slurry. The slurry was coated on a polypropylene substrate (thickness: 18 탆, porosity: 45%) to a thickness of about 3.5 탆 by dip coating to prepare a membrane having an organic / inorganic composite porous layer. Next, 92.5 parts by weight of mesitylene and 7.5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polymer (Toyo Co.) were dissolved to form a binder solution. This binder solution was printed on a PDMS (Polydimethylsiloxane) release film in a lattice pattern having an interval of about 500 mu m x 100 mu m using an inkjet head. The printed pattern was then heated at a temperature of 60 DEG C for 1 to 5 seconds to evaporate the solvent. The release film was placed on the separator prepared above so as to face the pattern, and pressed at a temperature of 100 캜 at a pressure of 80 kgf using a roll laminator. Then, the release film was removed to obtain a separation membrane having a tacky binder layer formed thereon. The diameter of the dot pattern transferred onto the separation membrane was increased to about 105 mu m before the transfer from the release film (see Fig. 6).

실시예 3Example 3

바인더 패턴의 전사 압력을 100kgf 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성 패턴층이 형성된 분리막을 얻었다.
A separation membrane having a viscous pattern lay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transfer pressure of the binder pattern was 100 kgf.

전극 조립체의 제조Manufacture of electrode assembly

LiMnO3, PVdF, Super C를 93:3:4 중량비로 혼합하여 NMP에 분산시켜 양극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양극 슬러리를 알루미늄 집전체 박막(20㎛)에 도포하고 건조한 후 압착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또한, 음극으로는 MCMB(mesocarbon microbead), super P, PVdF를 92:2:6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NMP에 분산시킨 후 구리 호일에 코팅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LiMnO 3 , PVdF, and Super C were mixed at a weight ratio of 93: 3: 4 and dispersed in NMP to prepare a positive electrode slurry. The positive electrode slurry was applied to an aluminum current collector thin film (20 탆), dried and compressed to prepare a positive electrode. The cathode was prepared by mixing MCMB (mesocarbon microbead), super P, and PVdF at a weight ratio of 92: 2: 6, dispersing the mixture in NMP, and coating the copper foil on the negative electrode.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각각 제조된 분리막을 상기에서 제조된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하고, 100 ℃의 온도에서 롤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가압하여 양극과 음극 사이에 상기 다공성 분리막이 개재되어 있는 전극조립체를 제조하였다. 각각의 롤라미네이터 압력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다. 다음으로 전극과 분리막의 접착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접착 특성을 확인 후 분리막과 전극 간의 계면을 관찰한 결과, 전극면의 활물질이 분리막 면에 부착되어 있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도 7 참조).
Each of the separators prepared in Examples 1 to 3 was sandwiched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prepared above and pressed at a temperature of 100 ° C using a roll laminator to form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the porous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 The pressure of each roll laminator is as shown in Table 1 below. Next, the adhesion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was measur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in Table 1 below.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interface between the separator and the electrode after confirming the adhesion property, the phenomenon that the active material on the electrode surface is attached to the separator surface can be observed (see FIG. 7).

롤라미네이터 압력Roll Laminator Pressure 접착력gf/10mmAdhesion gf / 10mm 실시예 1Example 1 80kgf 80kgf 12.56012.560 실시예 2Example 2 80kgf80kgf 3.4143.414 실시예 3Example 3 100kgf100kgf 7.0477.047

비교예 1 Comparative Example 1

메시틸렌 92.5 중량부 및 아크릴 고분자(Toyo사) 7.5 중량부를 용해시켜 바인더 용액을 형성시켰다. 상기 바인더 용액을 잉크젯 헤드를 이용하여 지름 약 80㎛의 도트 패턴이 하기 표 1에 나타낸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폴리프로필렌 다공성 기재와 복합 다공층이 형성된 다공성 분리막의 표면에 도포하였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다공성 기재 및 상기 복합 다공층이 형성된 다공성 분리막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것이다. 92.5 parts by weight of mesitylene and 7.5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polymer (Toyo Co.) were dissolved to form a binder solution. The binder solution was applied to the surface of a porous separator having a polypropylene porous substrate and a composite porous layer formed so as to have a dot pattern having a diameter of about 80 mu m at an interval shown in Table 1 by using an inkjet head. The polypropylene porous substrate and the porous separation membrane in which the composite porous layer was formed were the same as those used in Examples 1 to 3 above.

이때, 상기 바인더 용액이 다공성 기재 또는 다공성 분리막의 내부로 스며드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그 다음, 상기 바인더가 도포된 다공성 기재를 60 ℃의 온도에서 1분 동안 가열하여 용매를 증발시키고 분리막을 얻었다. 다음으로 상기 분리막을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시키고, 100 ℃의 온도에서 150 kgf의 압력으로 롤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가압하였다. 상기 음극 및 양극은 실시예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1 내지 1-8의 전극조립체의 분리막과 전극간의 접착력을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비교예 1-1 내지 1-8의 분리막의 경우 전극층과 접착되지 않고 분리되어서 전극조립체를 형성하지 못하였다. 도 8은 비교예 1-1 내지 1-8에서 제조된 분리막의 표면 SEM 이미지로서 바인더 도포량이 적을수록 분리막의 기공이 더욱 뚜렷하게 확보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phenomenon that the binder solution penetrates into the porous substrate or the porous separation membrane was observed. Then, the porous substrate coated with the binder was heated at a temperature of 60 DEG C for 1 minute to evaporate the solvent to obtain a separator. Next, the separator was plac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and was pressurized with a roll laminator at a pressure of 150 kgf at a temperature of 100 캜.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positive electrode were the same as those used in the examples. Table 2 summarizes the adhesion between the separator and electrodes of the electrode assemblies of Comparative Examples 1-1 to 1-8. In the case of the separators of Comparative Examples 1-1 to 1-8, the electrode assembly could not be formed by being separated without being adhered to the electrode layer. FIG. 8 is a SEM image of the surface of the separator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s 1-1 through 1-8. As the amount of the binder applied is smaller, the pores of the separator are more clearly ensured.

분리막 기재Membrane substrate X축 점 간격(㎛)X-axis point spacing (탆) Y축 점 간격(㎛)Y-axis point spacing (탆) 접착력(gf/10mm) Adhesion (gf / 10mm) 비교예 1-1Comparative Example 1-1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5050 1010 6.316.31 비교예 1-2Comparative Example 1-2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5050 4040 10.2410.24 비교예 1-3Comparative Example 1-3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5050 8080 1.291.29 비교예 1-4Comparative Example 1-4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5050 160160 0.380.38 비교예 1-5Comparative Example 1-5 유/무기 복합 다공층Organic / inorganic composite porous layer 5050 1010 15.8215.82 비교예 1-6Comparative Example 1-6 유/무기 복합 다공층Organic / inorganic composite porous layer 5050 4040 10.8010.80 비교예 1-7Comparative Example 1-7 유/무기 복합 다공층Organic / inorganic composite porous layer 5050 8080 -- 비교예 1-8Comparative Example 1-8 유/무기 복합 다공층Organic / inorganic composite porous layer 5050 160160 --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메시틸렌 92.5 중량부 및 아크릴 고분자(Toyo사) 7.5 중량부를 용해시켜 바인더 용액을 형성시켰다. 상기 바인더 용액을 잉크젯 헤드를 이용하여 지름 약 80㎛의 도트 패턴이 x축 약 50㎛, y축 약 50 ㎛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폴리프로필렌 다공성 기재의 표면에 도포하였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다공성 기재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것이다. 비교예 2의 경우, 바인더가 과량으로 도포되어서 다공성 기재의 표면 전체가 젖어 있는 상태로 관찰되었다(도 7의 오른쪽 사진 참조). 비록 다공성 분리막과 전극과의 접착력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다공성 분리막의 기공 내를 채우고 있어 기공도 및 이온 전도도의 급격한 저하를 초래하였다.
92.5 parts by weight of mesitylene and 7.5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polymer (Toyo Co.) were dissolved to form a binder solution. The above binder solution was applied to the surface of a polypropylene porous substrate so that a dot pattern having a diameter of about 80 mu m was arranged at an interval of about 50 mu m in the x axis and about 50 mu m in the y axis by using an inkjet head. The polypropylene porous substrate is the same as that used in Examples 1 to 3 above.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2, an excess amount of the binder was applied, and the entire surface of the porous substrate was observed to be wet (see the right picture of FIG. 7). Although the adhesion between the porous separator and the electrode was found to be good, it filled the pores of the porous separator, resulting in a drastic decrease in porosity and ion conductivity.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100℃의 온도에서 5 kgf의 압력으로 롤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가압함으로써 바인더층을 다공성 기재에 전사시켰다. 그러나, 비교예 3의 경우, 상기 전극과 다공성 분리막 사이에 형성된 바인더층은 무기물 내부의 결착력 부족으로 역전사되어 접착 특성을 나타내지 못했다.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 was carried out except that the binder layer was transferred to the porous substrate at a temperature of 100 ° C under a pressure of 5 kgf using a roll laminator. However,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3, the binder layer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porous separator was reversely transferred due to insufficient binding force inside the inorganic material, and failed to exhibit the adhesive property.

Claims (14)

(S1) 바인더 수지와 유기 용매를 혼합하여 바인더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S2) 상기 바인더 용액을 전사 부재의 표면에 소정의 패턴으로 인쇄하여 상기 표면에 바인더 용액의 패턴이 형성되는 단계;
(S3) 상기 인쇄된 바인더 용액에서 용매가 제거되어 점착성 바인더의 패턴이 형성되는 단계;
(S4) 상기 점착성 바인더의 패턴이 상기 전사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막의 적어도 일측면으로 전사되는 단계; 및
(S5) 상기 (S4) 단계를 통해 상기 분리막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기 점착성 바인더층이 형성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분리막 표면에 점착성 바인더층을 형성하는 방법.
(S1) mixing a binder resin and an organic solvent to prepare a binder solution;
(S2) printing the binder solution on the surface of the transfer member in a predetermined pattern to form a pattern of the binder solution on the surface;
(S3) removing the solvent from the printed binder solution to form a pattern of the adhesive binder;
(S4) a pattern of the adhesive binder is transferred from the surface of the transfer member to at least one side of the separator; And
(S5) forming the adhesive binder layer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eparation membrane through the step (S4);
≪ / RTI > wherein the binder layer comprises a bin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는 잉크젯 프린터, 디스펜서 또는 노즐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인, 분리막 표면에 점착성 바인더층을 형성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S2) is performed using an inkjet printer, a dispenser, or a nozz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부재는 판형(plate), 필름형(film), 틀형(frame), 롤러형(roller), 원통형(cylinder), 벨트형(endless bel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분리막 표면에 점착성 바인더층을 형성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fer member i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late, a film, a frame, a roller, a cylinder, and an endless belt, To form the adhesive binder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는 전사 부재 표면에 형성된 바인더 용액의 패턴을 가열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인, 분리막 표면에 점착성 바인더층을 형성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S3) is performed by heating a pattern of the binder solutio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fer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부재는 표면에 이형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인, 분리막 표면에 점착성 바인더층을 형성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ferring member is subjected to a releasing treatment on the surface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용액의 패턴 또는 점착성 바인더의 패턴은 분리막 표면에 점착성 바인더가 도포되지 않는 무지부(non-coating area)가 포함되도록 패턴화되는 것인, 분리막 표면에 점착성 바인더층을 형성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ttern of the binder solution or the pattern of the adhesive binder is patterned so as to include a non-coating area on the surface of the separator that is not coated with a tacky bind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용액의 패턴 또는 점착성 바인더의 패턴은 도트형(dot), 원형(circle), 다각형(polygon), 도넛형(doughnut), 띠형(stripe) 및 격자형(gr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소단위패턴 또는 2종 이상의 소단위 패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분리막 표면에 점착성 바인더층을 형성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attern of the binder solution or the pattern of the adhesive bind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dot, a circle, a polygon, a donut, a stripe, and a grid Wherein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of a combination of a subunit pattern of two or more subunit patter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바인더층은 두께가 0.1 내지 10㎛인 것인, 분리막 표면에 점착성 바인더층을 형성 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hesive binder layer has a thickness of 0.1 to 10 占 퐉.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4) 단계는 상기 전사 부재와 분리막의 접촉면을 가압하여 수행되는 것인, 분리막 표면에 점착성 바인더층을 형성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S4) is performed by pressing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transfer member and the separation membr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전기 화학 소자용 분리막인 것인, 분리막 표면에 점착성 바인더층을 형성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paration membrane is an separation membrane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폴리올레핀 다공성 기재를 포함하는 것인, 분리막 표면에 점착성 바인더층을 형성하는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eparator comprises a polyolefin porous substrate. ≪ RTI ID = 0.0 > 11. < / RTI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폴리올레핀 다공성 기재 및 상기 폴리올레핀 다공성 기재의 적어도 일측 표면에 유/무기 복합 다공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무기 복합 다공층은 복수의 무기물 입자와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분리막 표면에 점착성 바인더층을 형성하는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Inorganic composite porous layer i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yolefin porous substrate and the polyolefin porous substrate,
Wherein the organic / inorganic composite porous layer comprises a plurality of inorganic particles and a binder resin.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기재를 포함하는 분리막 기재 및 상기 분리막의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된 점착성 바인더층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성 바인더층은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전기화학 소자용 다공성 분리막.
Comprising a separator substrate comprising a polyolefin-based porous substrate and a tacky binder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eparator, wherein the tacky binder layer is formed by the proces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 Porous separators for electrochemical device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기재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기재의 적어도 일측면에 유/무기 복합 다공성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무기 복합 다공성 코팅층은 복수의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화학 소자용 다공성 분리막.
14. The method of claim 13,
Inorganic composite porous coating layer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yolefin-based porous substrate, and the organic / inorganic composite porous coating layer includes a plurality of inorganic particles and a binder resin. Porous separator.
KR1020140146177A 2013-10-25 2014-10-27 A method of applying binder for binding on a separator of secondary battery KR20150048082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58708.0A CN105684190A (en) 2013-10-25 2014-10-27 Method for applying adhesive binder to separation membrane
JP2016526015A JP2017500688A (en) 2013-10-25 2014-10-27 Method of applying adhesive binder to separation membrane
PCT/KR2014/010139 WO2015060698A1 (en) 2013-10-25 2014-10-27 Method for applying adhesive binder to separation membr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7903 2013-10-25
KR1020130127903 2013-10-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082A true KR20150048082A (en) 2015-05-06

Family

ID=53386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6177A KR20150048082A (en) 2013-10-25 2014-10-27 A method of applying binder for binding on a separator of secondary battery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7500688A (en)
KR (1) KR20150048082A (en)
CN (1) CN105684190A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5156A1 (en) * 2015-12-18 2017-06-22 주식회사 엘지화학 Separator and battery comprising same
KR20180061017A (en)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엘지화학 Separator with patterned binder layer,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9240500A1 (en) * 2018-06-12 2019-1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having a patterned electrode adhesive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parator
US20200127328A1 (en) * 2017-01-12 2020-04-23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CN113632274A (en) * 2019-12-10 2021-11-09 株式会社Lg新能源 Unit cel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264675B2 (en) 2016-08-12 2022-03-01 Lg Chem, Ltd. Ink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separation film, and secondary battery separation film including same
WO2022235135A1 (en) * 2021-05-07 2022-1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Crosslinked structure-containing separato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epa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1894A1 (en) * 2017-01-12 2018-07-19 주식회사 엘지화학 Secondary battery
EP3675234A4 (en) 2017-08-21 2021-06-09 Zeon Corporation Laminate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ies, method for producing same, wound body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ies, and method for producing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member
CN111615416A (en) * 2018-02-06 2020-09-01 东洋铝爱科制造株式会社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reathable product
CN108931873A (en) * 2018-08-21 2018-12-04 上海洞舟实业有限公司 A kind of preparation of high-transparency flexibility electrochomeric films
CN111063851B (en) * 2019-12-30 2022-02-18 江苏厚生新能源科技有限公司 Preparation method of pattern distributed gluing diaphragm
CN112048248A (en) * 2020-08-14 2020-12-08 上海文施绿极科技有限公司 Adhesive releas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14875398B (en) * 2022-04-07 2024-04-19 西安建筑科技大学 Rare earth element modified wear-resistant refractory high-entropy alloy coating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406A (en) * 2001-07-27 2003-02-05 주식회사 뉴턴에너지 Porous Sepa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4323827A (en) * 2003-04-09 2004-11-18 Nitto Denko Corp Adhesive-carrying porous film for battery separator and use of the same
JP3953026B2 (en) * 2003-12-12 2007-08-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Electrode plat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718816B2 (en) * 2004-09-22 2011-07-06 日東電工株式会社 Reactive polymer-supported porous film for battery separator and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JP4526352B2 (en) * 2004-11-08 2010-08-18 日東電工株式会社 Reactive polymer-supported porous film for battery separator and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JP5200330B2 (en) * 2006-04-07 2013-06-05 ソニー株式会社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R100903180B1 (en) * 2006-05-22 2009-06-17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od of Controlling Coating-Quantity of Separator for Lithium-ion Polymer Battery
DE102006062407A1 (en) * 2006-12-20 2008-06-26 Varta Microbattery Gmbh Galvanic element, has individual cell including electrodes that are arranged on laminar separator and applied on separator by adhesive hardenable at ambient temperature, and adhesive layer provided between separator and electrodes
KR100877161B1 (en) * 2007-09-17 2009-01-0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A multi-porous separator for secondary battery with enhanced heat stability and high power output
CN103928650A (en) * 2008-01-30 2014-07-16 株式会社Lg化学 Separator For Progressing United Force To Electrode And Electrochemical Containing The Same
JP5483706B2 (en) * 2010-03-18 2014-05-07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KR20150004369A (en) * 2012-04-10 2015-01-12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Use for binder-resin composition, resin composition for treating surface of substrate for separator for nonaqueous-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separator for nonaqueous-electrolyte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separator, and nonaqueous-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5156A1 (en) * 2015-12-18 2017-06-22 주식회사 엘지화학 Separator and battery comprising same
CN108431992A (en) * 2015-12-18 2018-08-21 株式会社Lg化学 Diaphragm and battery comprising it
US10804559B2 (en) 2015-12-18 2020-10-13 Lg Chem, Ltd. Patterned separator and battery comprising same
US11264675B2 (en) 2016-08-12 2022-03-01 Lg Chem, Ltd. Ink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separation film, and secondary battery separation film including same
KR20180061017A (en)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엘지화학 Separator with patterned binder layer,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200127328A1 (en) * 2017-01-12 2020-04-23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US11908996B2 (en) * 2017-01-12 2024-02-20 Lg Energy Solution, Ltd. Secondary battery
WO2019240500A1 (en) * 2018-06-12 2019-1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having a patterned electrode adhesive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parator
KR20190140681A (en) * 2018-06-12 2019-1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a patterned adhesive lay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parator
US20210242538A1 (en) * 2018-06-12 2021-08-05 Lg Chem, Ltd.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A Patterned Electrode Adhesive Lay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eparator
CN113632274A (en) * 2019-12-10 2021-11-09 株式会社Lg新能源 Unit cel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22235135A1 (en) * 2021-05-07 2022-1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Crosslinked structure-containing separato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epa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84190A (en) 2016-06-15
JP2017500688A (en)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8082A (en) A method of applying binder for binding on a separator of secondary battery
CN112055899B (en)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patterned electrode adhesion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624251B2 (en)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separator and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CN108666527B (en) Method for forming electrode
US9752063B2 (en) Treatment and adhesive for microporous membranes
KR20160118979A (en) Separato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WO2013058371A1 (en) Separator for non-aqueous rechargeable battery and non-aqueous rechargeable battery
KR102410233B1 (en) Strong adhesive and high porous separator for secondary batter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777175B2 (en) Separator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EP3324461A1 (en) Separator for lithium-ion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lithium-ion battery
KR20140062295A (en) Separator comprising patterned porous coating lay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15060698A1 (en) Method for applying adhesive binder to separation membrane
KR101650449B1 (e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binder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8878947B (en) Method for reducing occurrence of short circuit and/or lithium precipitation in battery pack
KR20200036641A (en) Separator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having a patterned adhesive layer and an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7231687B1 (en)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separator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JP7304388B2 (en)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separator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CN117693827A (en) Electrode manufacturing device and electrode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