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2498A - 압전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압전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2498A
KR20150042498A KR20130121225A KR20130121225A KR20150042498A KR 20150042498 A KR20150042498 A KR 20150042498A KR 20130121225 A KR20130121225 A KR 20130121225A KR 20130121225 A KR20130121225 A KR 20130121225A KR 20150042498 A KR20150042498 A KR 20150042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ymer layer
laminated
external electrod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1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석
박희선
서정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21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2498A/ko
Priority to US14/158,227 priority patent/US20150102706A1/en
Publication of KR20150042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4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7Electrodes or interconnections, e.g. lead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7Electrodes or interconnections, e.g. leads or terminals
    • H10N30/872Interconnections, e.g. connection electrodes of multilayer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5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having a stacked or multilayer structur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7Electrodes or interconnections, e.g. leads or terminals
    • H10N30/875Further connection or lead arrangements, e.g. flexible wiring boards, terminal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Abstract

양의 전극층과 음의 전극층이 소자부층에 상호 교호하도록 적층되는 압전체와, 상기 압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되는 폴리머층과, 상기 폴리머층에 접촉되도록 적층되는 제1 외부전극 및 상기 제1 외부전극과 이격 배치되며 상기 폴리머층에 접촉되도록 적층되는 제2 외부전극을 포함하는 압전소자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압전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Piezoelectric element and vib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압전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E-book, 게임기, PMP 등 휴대용 전자기기, 스피커, 액추에이터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진동기능은 여러가지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진동발생장치는 휴대전화 등 모바일 기기에 탑재되어 무음의 착신 신호인 알림 기능으로 이용되며, 휴대용 전자기기의 다기능화에 맞추어 진동발생장치 또한 소형화, 고기능을 요구하고 있다.
최근 전자장치를 간편하게 사용하려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전자 제품을 터치하여 입력하는 터치 방식의 디바이스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란, 터치하여 입력하는 개념 이외에도 인터페이스 사용자의 직관적 경험을 반영하고 터치에 대한 피드백을 더 다양화하는 개념이 포함된다.
한편, 압전소자를 이용한 진동발생장치는 편심을 이용하는 기존의 진동발생장치와 비교하여 빠른 응답 속도 및 다양한 주파수에서 구동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다양한 전자기기에는 적층형 타입의 압전소자가 사용된다. 그런데, 낙하 충격 시 또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압전소자에 크랙이 발생되기 쉬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압전소자에 크랙이 발생되는 경우 동작하는 소자부 영역이 크게 줄어 들어 진동력이 현저하게 떨어져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치명적인 불량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크랙의 발생되는 경우 회로기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크랙이 발생된 부분까지만 인가되고, 크랙이 발생된 부분부터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다. 즉, 유효 전극면이 감소되어 진동량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8-0090618호
크랙이 발생되더라도 유효 구동 영역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는 압전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진동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소자는 양의 전극층과 음의 전극층이 소자부층에 상호 교호하도록 적층되는 압전체와, 상기 압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되는 폴리머층과, 상기 폴리머층에 접촉되도록 적층되는 제1 외부전극 및 상기 제1 외부전극과 이격 배치되며 상기 폴리머층에 접촉되도록 적층되는 제2 외부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외부전극은 상기 폴리머층의 일측면과, 상기 폴리머층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연장면에 접촉되도록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제1 외부전극은 상기 소자부층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양의 건극층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 외부전극은 상기 폴리머층의 타측면에 접촉되도록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제2 외부전극은 상기 소자부층의 타측면으로 노출되는 음의 전극층과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며, 전극 와이어를 통해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압전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압전소자는 양의 전극층과 음의 전극층이 소자부층에 상호 교호하도록 적층되는 압전체와, 상기 압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되는 폴리머층과, 상기 폴리머층에 접촉되도록 적층되는 제1 외부전극 및 상기 제1 외부전극과 이격 배치되며 상기 폴리머층에 접촉되도록 적층되는 제2 외부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전극와이어는 상기 제1 외부전극에 일단이 접합되는 제1 전극와이어와, 상기 플레이트에 일단이 접합되는 제2 전극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플레이트에 전도성 접착제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폴리머층을 통해 크랙의 전이를 방지할 수 있어 크랙 발생에 의한 유효 구동 영역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소자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소자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소자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소자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소자(100)는 일예로서, 압전체(110), 폴리머층(120), 제1 외부전극(130) 및 제2 외부전극(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압전체(110)는 양의 전극층(112), 음의 전극층(114) 및 소자부층(116)을 구비하며, 양의 전극층(112)과 음의 전극층(114)은 소자부층(116)에 상호 교호하도록 적층된다.
한편, 양의 건극층(112)과 음의 전극층(114)은 도전성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소자부층(110)은 압전 물질, 바람직하게는 PZT(Lead Zirconate Titanate) 세락믹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압전체(110)는 일예로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압전체(110)의 각 외부면에 대한 용어를 정리하면, 압전체(110)의 외부면은 상면, 저면, 양단부면 및 양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양단부면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압전체(110)의 길이 방향으로의 양 끝단면을 말하며, 양측면은 압전체(110)의 폭 방향으로의 양면을 말한다.
한편, 길이 방향은 도 1에서 X 방향을 의미하고, 폭 방향은 도 1에서 Y 방향을 의미하며, 두께 방향은 도 1에서 Z 방향을 의미한다.
양의 전극층(112)은 소자부층(116)의 일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의 전극층(112)은 소자부층(116)의 양단부면과 일측면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음의 전극층(114)은 소자부층(116)의 타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의 전극층(114)은 소자부층(116)의 양단부면과 타측면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양의 전극층(112)과 음의 전극층(114)은 박형의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박형의 시트가 소자부층(116)에 상호 교호하도록 적층되어 양의 전극층(112)과 음의 전극층(114)을 구성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양의 전극층(112)과 음의 전극층(114)이 양단부면으로 노출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양의 전극층(112)은 소자부층(116)의 일측면으로만 노출되고, 음의 전극층(114)은 소자부층(116)의 타측면으로만 노출될 수 있다.
폴리머층(120)은 압전체(110)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될 수 있다. 일예로서, 폴리머층(120)은 압전체(110)의 상면에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폴리머층(120)은 PVDF 계열의 압전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폴리머층(120)은 압전체(110)에 균열이 발생되는 경우 균열이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제1,2 외부전극(130,140)과 양의 전극층(112)과 음의 전극층(114)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압전체(110)에 균열이 발생되더라도 압전체(110)의 상면에 적층되는 폴리머층(120)에는 균열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폴리머층(120)에 접촉되는 제1,2 외부전극(130,140)을 통해 균열에 의해 적어도 두 부분으로 분리된 양의 전극층(112) 또는/및 음의 전극층(114)에 모두 공급될 수 있다.
일예로서, 압전체(110)에 발생된 균열에 의해 양의 전극층(112)이 두 부분으로 분리된 경우에도 폴리머층(120)에는 균열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폴리머층(120)에 접촉된 제1 외부전극(130)을 통해 두 부분으로 분리된 양의 전극층(112) 양쪽 모두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압전체(110)에 균열이 발생되는 경우 압전체(110)에 적층되는 제1 외부전극(130)도 두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외부전극(130)이 두 부분으로 분리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두 부분으로 분리된 제1 외부전극(130) 중 어느 한쪽에만 공급되고, 이에 따라 어느 한쪽의 제1 외부전극(130)에 연결되는 양의 전극층(112)에만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균열이 발생되지 않는 폴리머층(120)에 접촉되는 제1 외부전극(130)에는 균열이 발생되지 않으며, 제1 외부전극(130)으로 공급되는 전원은 폴리머층(120)에 접촉된 상부측의 제1 외부전극(130)에 의해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 하부측의 제1 외부전극(130) 모두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머층(120)이 압전체(110)의 상면에 적층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폴리머층(120)은 압전체(110)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적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폴리머층(120)은 복수의 면에 적층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폴리머층(120)이 압전체(110)의 상면에 적층됨으로써 습기에 취약한 압전체(110)를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외부전극(130)은 폴리머층(120)에 접촉되도록 적층될 수 있다. 일예로서, 제1 외부전극(130)은 폴리머층(120)의 일측면과, 폴리머층(120)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수평면에 접촉되도록 적층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외부전극(130)은 압전체(110)의 일측면에 적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외부전극(130)은 압전체(110)와 압전체(110)의 상면에 적층된 폴리머층(120)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체(직육면체)의 상면과 일측면에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외부전극(130)은 소자부층(116)의 일측면으로 노출되는 양의 전극층(112)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양의 전극층(112)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머층(120)에 제1 외부전극(130)이 접촉됨으로써 균열이 발생되더라도 안정적으로 양의 전극층(112) 전 영역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제2 외부전극(140)은 제1 외부전극(130)에 이격 배치되며, 폴리머층(120)에 접촉되도록 적층될 수 있다. 일예로서, 제2 외부전극(140)은 폴리머층(120)의 타측면에 접촉되도록 적층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외부전극(140)은 압전체(110)의 타측면과 저면에 적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외부전극(140)은 압전체(110)와 압전체(110)의 상면에 적층된 폴리머층(120)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체(직육면체)의 타측면과 저면에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제2 외부전극(140)은 소자부층(116)의 타측면으로 노출되는 음의 전극층(114)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음의 전극층(114)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머층(120)에 제2 외부전극(140)이 접촉됨으로써 균열이 발생되더라도 안정적으로 음의 전극층(114) 전 영역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머층(120)을 통해 크랙의 전이를 방지할 수 있어 크랙 발생에 의한 유효 구동 영역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압전체(110)에 균열이 발생되더라도 폴리머층(120)에는 균열이 전이되지 않으므로, 폴리머층(120)에 제1,2 외부전극(130,140)의 일부분이 접촉됨으로써 폴리머층(120)에 접촉된 제1,2 외부전극(130,140)의 일부분을 통해 전원이 전체 영역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균열에 의해 양의 전극층(112)과 음의 전극층(114)이 복수개로 분리되더라도 분리된 양의 전극층(112)과 음의 전극층(114) 전체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결국, 전원이 공급되지 못하여 유효 구동 영역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200)는 일예로서, 플레이트(210) 및 압전소자(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210)는 상면에서 바라볼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박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압전소자(100)에 전원이 공급되어 변형되는 경우 플레이트(210)는 압전소자(100)와 연동하여 변형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플레이트(210)는 압전소자(100) 보다 큰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압전소자(100)는 대략 플레이트(210)의 중앙부에 배치되도록 플레이트(21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210)의 일측에는 전극와이어(220)가 접합될 수 있다. 전극와이어(220)는 제1 외부전극(130)에 일단이 접합되는 제1 전극와이어(222)와, 플레이트(210)의 일측에 일단이 접합되는 제2 전극와이어(224)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와이어(224)가 플레이트(210)의 일측에 접합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210)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전극와이어(22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이 플레이트(210)를 거쳐 제2 외부전극(14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210)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압전소자(100)는 전도성 접착제(202)를 통해 플레이트(210)에 고정 설치되며, 전극와이어(220)를 통해 외부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전극와이어(222)는 제1 외부전극(130)의 상부에 접합되어 제1 전극와이어(222)를 통해 제1 외부전극(130)에 전원이 공급된다. 그리고, 제2 전극와이어(224)가 제2 외부전극(140)에 전원을 공급한다. 즉, 제2 전극와이어(224)가 플레이트(210)에 접합되어 플레이트(210)와 전도성 접착제(202)를 통해 제2 외부전극(14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압전소자(100)와 플레이트(210)의 접합을 위한 접착제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압전소자(100)에 대하여 다시 한 번 살펴보면, 압전소자(100)는 일예로서, 압전체(110), 폴리머층(120), 제1 외부전극(130) 및 제2 외부전극(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압전체(110)는 양의 전극층(112), 음의 전극층(114) 및 소자부층(116)을 구비하며, 양의 전극층(112)과 음의 전극층(114)은 소자부층(116)에 상호 교호하도록 적층된다.
한편, 양의 건극층(112)과 음의 전극층(114)은 도전성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소자부층(110)은 압전 물질, 바람직하게는 PZT(Lead Zirconate Titanate) 세락믹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압전체(110)는 일예로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양의 전극층(112)은 소자부층(116)의 일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의 전극층(112)은 소자부층(116)의 양단부면과 일측면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음의 전극층(114)은 소자부층(116)의 타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의 전극층(114)은 소자부층(116)의 양단부면과 타측면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양의 전극층(112)과 음의 전극층(114)은 박형의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박형의 시트가 소자부층(116)에 상호 교호하도록 적층되어 양의 전극층(112)과 음의 전극층(114)을 구성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양의 전극층(112)과 음의 전극층(114)이 양단부면으로 노출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양의 전극층(112)은 소자부층(116)의 일측면으로만 노출되고, 음의 전극층(114)은 소자부층(116)의 타측면으로만 노출될 수 있다.
폴리머층(120)은 압전체(110)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될 수 있다. 일예로서, 폴리머층(120)은 압전체(110)의 상면에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폴리머층(120)은 PVDF 계열의 압전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폴리머층(120)은 압전체(110)에 균열이 발생되는 경우 균열이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제1,2 외부전극(130,140)과 양의 전극층(112)과 음의 전극층(114)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압전체(110)에 균열이 발생되더라도 압전체(110)의 상면에 적층되는 폴리머층(120)에는 균열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폴리머층(120)에 접촉되는 제1,2 외부전극(130,140)을 통해 균열에 의해 적어도 두 부분으로 분리된 양의 전극층(112) 또는/및 음의 전극층(114)에 모두 공급될 수 있다.
일예로서, 압전체(110)에 발생된 균열에 의해 양의 전극층(112)이 두 부분으로 분리된 경우에도 폴리머층(120)에는 균열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폴리머층(120)에 접촉된 제1 외부전극(130)을 통해 두 부분으로 분리된 양의 전극층(112) 양쪽 모두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압전체(110)에 균열이 발생되는 경우 압전체(110)에 적층되는 제1 외부전극(130)도 두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외부전극(130)이 두 부분으로 분리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두 부분으로 분리된 제1 외부전극(130) 중 어느 한쪽에만 공급되고, 이에 따라 어느 한쪽의 제1 외부전극(130)에 연결되는 양의 전극층(112)에만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균열이 발생되지 않는 폴리머층(120)에 접촉되는 제1 외부전극(130)에는 균열이 발생되지 않으며, 제1 외부전극(130)으로 공급되는 전원은 폴리머층(120)에 접촉된 상부측의 제1 외부전극(130)에 의해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 하부측의 제1 외부전극(130) 모두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머층(120)이 압전체(110)의 상면에 적층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폴리머층(120)은 압전체(110)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적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폴리머층(120)은 복수의 면에 적층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폴리머층(120)이 압전체(110)의 상면에 적층됨으로써 습기에 취약한 압전체(110)를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외부전극(130)은 폴리머층(120)에 접촉되도록 적층될 수 있다. 일예로서, 제1 외부전극(130)은 폴리머층(120)의 일측면과, 폴리머층(120)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수평면에 접촉되도록 적층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외부전극(130)은 압전체(110)의 일측면에 적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외부전극(130)은 압전체(110)와 압전체(110)의 상면에 적층된 폴리머층(120)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체(직육면체)의 상면과 일측면에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외부전극(130)은 소자부층(116)의 일측면으로 노출되는 양의 전극층(112)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양의 전극층(112)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머층(120)에 제1 외부전극(130)이 접촉됨으로써 균열이 발생되더라도 안정적으로 양의 전극층(112) 전 영역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제2 외부전극(140)은 제1 외부전극(130)에 이격 배치되며, 폴리머층(120)에 접촉되도록 적층될 수 있다. 일예로서, 제2 외부전극(140)은 폴리머층(120)의 타측면에 접촉되도록 적층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외부전극(140)은 압전체(110)의 타측면과 저면에 적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외부전극(140)은 압전체(110)와 압전체(110)의 상면에 적층된 폴리머층(120)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체(직육면체)의 타측면과 저면에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제2 외부전극(140)은 소자부층(116)의 타측면으로 노출되는 음의 전극층(114)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음의 전극층(114)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머층(120)에 제2 외부전극(140)이 접촉됨으로써 균열이 발생되더라도 안정적으로 음의 전극층(114) 전 영역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머층(120)을 통해 크랙의 전이를 방지할 수 있어 크랙 발생에 의한 유효 구동 영역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크랙에 의한 진동량 저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 압전소자
110 : 압전체
120 : 폴리머층
130 : 제1 외부전극
140 : 제2 외부전극
200 : 진동발생장치
210 : 플레이트

Claims (10)

  1. 양의 전극층과 음의 전극층이 소자부층에 상호 교호하도록 적층되는 압전체;
    상기 압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되는 폴리머층;
    상기 폴리머층에 접촉되도록 적층되는 제1 외부전극; 및
    상기 제1 외부전극과 이격 배치되며 상기 폴리머층에 접촉되도록 적층되는 제2 외부전극;
    을 포함하는 압전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전극은 상기 폴리머층의 일측면과, 상기 폴리머층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연장면에 접촉되도록 적층되는 압전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전극은 상기 소자부층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양의 건극층과 접촉되는 압전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부전극은 상기 폴리머층의 타측면에 접촉되도록 적층되는 압전소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부전극은 상기 소자부층의 타측면으로 노출되는 음의 전극층과 접촉되는 압전소자.
  6.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며, 전극 와이어를 통해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압전소자;
    를 포함하며,
    상기 압전소자는
    양의 전극층과 음의 전극층이 소자부층에 상호 교호하도록 적층되는 압전체;
    상기 압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되는 폴리머층;
    상기 폴리머층에 접촉되도록 상기 압전체에 적층되는 제1 외부전극; 및
    상기 제1 외부전극과 이격 배치되며 상기 폴리머층에 접촉되도록 상기 압전체에 적층되는 제2 외부전극;
    을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와이어는 상기 제1 외부전극에 일단이 접합되는 제1 전극와이어와, 상기 플레이트에 일단이 접합되는 제2 전극와이어로 구성되는 진동발생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플레이트에 전도성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는 진동발생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전극은 상기 폴리머층의 일측면과 이에 연결되는 수평면에 접촉되도록 적층되며,
    상기 소자부층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양의 건극층과 접촉되는 진동발생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부전극은 상기 폴리머층의 타측면에 접촉되도록 적층되며,
    상기 제2 외부전극은 상기 소자부층의 타측면으로 노출되는 음의 전극층과 접촉되는 진동발생장치.
KR20130121225A 2013-10-11 2013-10-11 압전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KR2015004249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1225A KR20150042498A (ko) 2013-10-11 2013-10-11 압전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US14/158,227 US20150102706A1 (en) 2013-10-11 2014-01-17 Piezoelectric element and vibrato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1225A KR20150042498A (ko) 2013-10-11 2013-10-11 압전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498A true KR20150042498A (ko) 2015-04-21

Family

ID=52809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1225A KR20150042498A (ko) 2013-10-11 2013-10-11 압전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102706A1 (ko)
KR (1) KR201500424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974A (ko) * 2017-06-20 2018-12-28 임정택 초음파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1510B2 (en) * 2018-10-09 2021-01-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aptic feedback system having two independent actuator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5728B1 (en) * 1994-08-18 2001-05-01 Agilent Technologies, Inc. Composite piezoelectric transducer arrays with improved acoustical and electrical impedance
JP3917746B2 (ja) * 1998-03-02 2007-05-23 北陸電気工業株式会社 圧電発音器
US6411012B2 (en) * 1999-12-08 2002-06-25 Tdk Corporation Multilayer piezoelectric elemen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02054526A (ja) * 2000-05-31 2002-02-20 Denso Corp インジェクタ用圧電体素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974A (ko) * 2017-06-20 2018-12-28 임정택 초음파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02706A1 (en)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892B1 (ko) 햅틱 디바이스 구동용 압전 액추에이터
KR101601748B1 (ko) 압전 액추에이터, 압전 진동 장치 및 휴대 단말
US9636708B2 (en) Piezoelectric element and electronic component including the same
KR20110077637A (ko) 햅틱 디바이스 구동용 압전 액추에이터
US9634228B2 (en) Piezo vibration module
US9601684B2 (en) Piezoelectric element and piezoelectric vibrator having the same
JPWO2015114849A1 (ja) 圧電素子およびこれを備えた圧電振動装置、携帯端末、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電子機器
US9590162B2 (en) Piezoelectric vibration component and portable terminal
JP2014187322A (ja) 電子部品
KR20150042498A (ko) 압전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JP2018125605A (ja) 圧電アクチュエータ、圧電振動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WO2013168478A1 (ja) 圧電振動素子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圧電振動装置および携帯端末
JP2014049906A (ja) 圧電素子、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579121B1 (ko) 압전 액추에이터, 압전 진동 장치 및 휴대 단말
TWI566526B (zh) 壓電裝置以及包含壓電裝置的電子裝置
JPWO2017145649A1 (ja) 音響発生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7055950B2 (ja) 振動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US8569931B2 (en) Piezoelectric vibrato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JP2016018988A (ja) 圧電素子及びこれを含む圧電振動モジュール
KR101499722B1 (ko) 압전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JP6193748B2 (ja) 圧電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圧電振動装置、携帯端末、音響発生器、電子機器
JP7441036B2 (ja) 圧電振動素子、振動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JP5932458B2 (ja) 圧電振動素子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圧電振動装置および携帯端末
KR20140137985A (ko) 피에조 액추에이터 모듈
JP5940947B2 (ja) 圧電振動素子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圧電振動装置および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