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7227A - 근적외선 가열기를 포함하는 전극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근적외선 가열기를 포함하는 전극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7227A
KR20150037227A KR20130116652A KR20130116652A KR20150037227A KR 20150037227 A KR20150037227 A KR 20150037227A KR 20130116652 A KR20130116652 A KR 20130116652A KR 20130116652 A KR20130116652 A KR 20130116652A KR 20150037227 A KR20150037227 A KR 20150037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drying apparatus
infrared ray
ray heater
electrode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6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선
문광식
강성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20130116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7227A/ko
Publication of KR20150037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2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1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arry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with 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3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from infrared-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71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firing, sintering, backing particulate active material,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tationary devices, e.g. power plant buffering or backup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 생산 공정에서 집전체에 용매를 포함하는 전극 슬러리가 코팅되어 있는 전극을 건조하는 전극 건조 장치로서, 상기 전극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 상기 전극의 슬러리 코팅층에 근적외선을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근적외선 가열기, 및 상기 가이드 롤과 연동하여 전극을 권취하는 리와인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근적외선 가열기를 포함하는 전극 건조 장치 {Electrode Drying Device Having N-IR Heater}
본 발명은 근적외선 가열기를 포함하는 전극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지 생산 공정에서 집전체에 용매를 포함하는 전극 슬러리가 코팅되어 있는 전극을 건조하는 전극 건조 장치로서, 상기 전극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 상기 전극의 슬러리 코팅층에 근적외선을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근적외선 가열기, 및 상기 가이드 롤과 연동하여 전극을 권취하는 리와인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러한 이차전지 중 높은 에너지 밀도와 방전 전압의 리튬 이차전지에 대해 많은 연구가 행해졌고 또한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
또한, 전지케이스에 내장되는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분리막/음극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로서, 활물질이 도포된 긴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하여 권취한 젤리-롤형과, 소정 크기의 다수의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에 개재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 및 스택형의 단위셀들을 긴 길이의 분리필름으로 권취한 스택/폴딩형으로 대략 분류된다.
한편, 이차전지는, 전지 생산 공정에서, 집전체에 전극 슬러리를 코팅하여 전극을 제조하고, 상기 전극을 건조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종래에는, 건조오븐에서 전기 또는 가스 보일러를 통해 가열된 공기로 전극 슬러리를 건조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건조 장비는 건조오븐 뿐만아니라 보일러 및 열 교환기 등이 추가로 설치되야 하므로, 제조 설비의 비용 상승을 초래하고, 보일러 및 열 교환기의 사용에 따라 에너지가 과다하게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전극 건조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근적외선을 방출하는 근적외선 가열기로 전극 슬러리를 건조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전력으로도 전극 슬러리를 빠르고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는 전극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극 건조 장치는,
전지 생산 공정에서 집전체에 용매를 포함하는 전극 슬러리가 코팅되어 있는 전극을 건조하는 전극 건조 장치로서,
상기 전극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
상기 전극의 슬러리 코팅층에 근적외선을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근적외선 가열기; 및
상기 가이드 롤과 연동하여 전극을 권취하는 리와인더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근적외선을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근적외선 가열기로 전극 슬러리를 건조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전력으로도 전극 슬러리를 빠르고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예를 들어, 유기 용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 용제는 NMP(N-Methyl-2-pyrrolidone)일 수 있지만, 이 것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근적외선 가열기가 방출하는 근적외선의 파장은 500 나노미터 내지 5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상기 근적외선의 파장이 500 나노미터 미만이거나 5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극 슬러리가 빠르게 건조되기 위한 열이 충분히 가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 슬러리에 깊이 침투하여 빠르게 건조할 수 있는 열을 생성하는 근적외선의 파장은 상기 범위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780 나노미터 내지 3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상기 근적외선 가열기에 의해 상승하는 전극의 온도는 섭씨 50 도 내지 섭씨 100 도일 수 있다. 상기 전극의 온도가 섭씨 50 도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전극 슬러리가 완전히 건조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가열되지 않으며, 상기 전극의 온도가 섭씨 100 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극 슬러리가 열에 의해 변질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슬러리의 변질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전극 슬러리를 완전히 건조할 수 있는 정도의 전극의 온도는 상기 범위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섭씨 60 도 내지 섭씨 70 도일 수 있다.
상기 근적외선 가열기는 가이드 롤과 리와인더 사이에 위치해 있을 수 있다. 상기 전극은 전극 슬러리가 코팅된 상태로, 가이드 롤에 의해 상기 근적외선 가열기 및 리와인더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전극은 근적외선 가열기를 통과하면서, 슬러리 코팅층이 건조되고, 건조된 후에는 상기 리와인더에 의해 권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 건조 장치는 또한, 상기 전극의 슬러리 코팅층에 열풍을 제공하는 가열 송풍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가열 송풍기를 통해, 전극 슬러리를 추가로 건조하므로,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송풍기로 제공되는 열풍의 온도는 섭씨 50 도 내지 150 도 일 수 있다. 상기 열풍의 온도가 섭씨 50 도 미만일 경우에는, 가열 송풍기를 추가로 사용함으로써 단축할 수 있는 건조 시간의 변화가 미미할 수 있으며, 상기 열풍의 온도가 섭씨 150 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극 슬러리가 열에 의해 변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극 건조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극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전극조립체는 폴딩형 구조, 또는 스택형 구조, 또는 스택/폴딩형(SNF) 구조, 또는 라미네이션/스택형(LNS) 구조로 이루어진 것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폴딩형, 스택형, 스택/폴딩형, 및 라미네이션/스택형의 전극조립체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폴딩형 구조의 전극조립체는, 각각의 금속 집전체에 전극활물질을 포함하는 합제를 코팅한 후 건조 및 프레싱한 시트 형태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 시트를 위치시키고, 권취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스택형 구조의 전극조립체는, 각각의 금속 집전체에 전극 합제를 코팅한 뒤 건조 및 프레싱한 후 소정의 크기로 절취한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에 대응하는 소정의 크기로 절취한 분리막을 개재시킨 후 적층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스택/폴딩형 구조의 전극조립체는, 양극과 음극이 대면하는 구조로, 둘 이상의 극판들이 적층되어 있는 유닛셀들을 둘 이상 포함하고, 중첩되지 않은 형태로 하나 이상의 분리필름으로 유닛셀들을 권취하거나, 또는 유닛셀의 크기로 분리필름을 절곡하여 유닛셀들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양극과 음극이 대면하는 구조로, 임의의 유닛셀들 사이 및/또는 최외측 유니셀의 외면에 하나 이상의 단일 극판이 추가로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유닛셀은 양측 최외곽의 극판들이 동일한 전극을 가진 S형 유닛셀과, 양측 최외곽의 극판들이 반대 전극을 가진 D형 유닛셀일 수 있다.
상기 S형 유닛셀은, 양측 최외곽의 극판들이 양극인 SC형 유닛셀과, 양측 최외곽의 극판들이 음극인 SA형 유닛셀일 수 있다.
라미네이션/스택형 구조의 전극조립체는, 각각의 금속 집전체에 전극 합제를 코팅한 뒤 건조 및 프레싱하고 소정의 크기로 절취한 후, 하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음극, 음극의 상부에 분리막, 그리고 양극, 그리고 그 상부에 분리막을 적층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전지케이스의 내부에 밀봉되어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이차전지를 단위전지로서 둘 또는 그 이상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팩을 포함하고 있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바, 상기 디바이스는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넷북, LEV(Light Electronic Vehicle),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장치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이들 디바이스의 구조 및 그것의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극 건조 장치는, 근적외선을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근적외선 가열기로 전극 슬러리를 건조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전력으로도 전극 슬러리를 빠르고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건조 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건조 장치의 측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극 건조 장치(100)는 가이드 롤(110), 근적외선 가열기(120), 리와인더(130)로 이루어져 있다.
가이드 롤(110)은 전극(200)이 주행선(A)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전극(200)은 근적외선 가열기(120)를 거치면서 표면의 슬러리 코팅층이 가열되어 건조된다. 건조된 전극(200)은 가이드 롤(110)과 연동하는 리와인더(130)에 의해 권취된다.
근적외선 가열기(120)는 780 나노미터 내지 3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근적외선을 방출하고, 근적외선에 의해 전극(200)은 섭씨 60 도 내지 섭씨 70 도까지 가열되어, 표면의 슬러리 코팅층이 건조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6)

  1. 전지 생산 공정에서 집전체에 용매를 포함하는 전극 슬러리가 코팅되어 있는 전극을 건조하는 전극 건조 장치로서,
    상기 전극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
    상기 전극의 슬러리 코팅층에 근적외선을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근적외선 가열기; 및
    상기 가이드 롤과 연동하여 전극을 권취하는 리와인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건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유기 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건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제는 NMP(N-Methyl-2-pyrrolido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건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가열기가 방출하는 근적외선의 파장은 500 나노미터 내지 5 마이크로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건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가열기가 방출하는 근적외선의 파장은 780 나노미터 내지 3 마이크로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건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가열기에 의해 전극의 온도는 섭씨 50도 내지 섭씨 100도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건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가열기에 의해 전극의 온도는 섭씨 60도 내지 섭씨 70도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건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가열기는 가이드 롤과 리와인더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건조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슬러리 코팅층에 열풍을 제공하는 가열 송풍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건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송풍기로 제공되는 열풍의 온도는 섭씨50 도 내지 15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건조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극 건조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폴딩형 구조, 또는 스택형 구조, 또는 스택/폴딩형(SNF) 구조, 또는 라미네이션/스택형(LNS)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3. 제 12 항에 따른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전지케이스의 내부에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4. 제 13 항에 따른 이차전지를 단위전지로서 둘 또는 그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5. 제 14 항에 따른 전지팩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넷북, LEV(Light Electronic Vehicle),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장치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20130116652A 2013-09-30 2013-09-30 근적외선 가열기를 포함하는 전극 건조 장치 KR201500372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6652A KR20150037227A (ko) 2013-09-30 2013-09-30 근적외선 가열기를 포함하는 전극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6652A KR20150037227A (ko) 2013-09-30 2013-09-30 근적외선 가열기를 포함하는 전극 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227A true KR20150037227A (ko) 2015-04-08

Family

ID=53033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6652A KR20150037227A (ko) 2013-09-30 2013-09-30 근적외선 가열기를 포함하는 전극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722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2189A (zh) * 2018-12-27 2019-04-26 北京卫蓝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极片红外干燥装置
KR20210023637A (ko) * 2019-08-22 2021-03-04 주식회사 스마텍 전지전극용 건조장치
WO2023277471A1 (ko)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적외선 램프를 이용한 이차전지 라미네이션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2189A (zh) * 2018-12-27 2019-04-26 北京卫蓝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极片红外干燥装置
KR20210023637A (ko) * 2019-08-22 2021-03-04 주식회사 스마텍 전지전극용 건조장치
WO2023277471A1 (ko)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적외선 램프를 이용한 이차전지 라미네이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3515B1 (ja) 積層式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6093369B2 (ja) 電極組立体及びこれを含む電気化学素子
KR101666371B1 (ko) 가열기를 포함하는 전극 압연 장치
TWI521765B (zh) 製造電極總成的方法
TWI475739B (zh) 電池裝備裝置
EP2874225B1 (en) Method for securing electrode assembly using tape
KR20150037242A (ko) 중적외선 가열기를 포함하는 전극 건조 장치
JP6374599B2 (ja) 両方向に巻き取られている電極組立体及びそ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KR102061057B1 (ko) 분할과 코팅을 동시에 수행하는 제조 공정성이 향상된 전극 시트 가공장치
JP2019530176A (ja) 電池セルのための電極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電極ユニット
KR101994948B1 (ko)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01174A (ko)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용 전극 건조장치
US20150303485A1 (en) Electrode with improvement of biased movement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1767636B1 (ko) 전극 시이트용 압연 롤
JP2009252497A (ja) 電池用電極および電池
JP6724143B2 (ja) 電極乾燥装置及びそれによって製造された電極を含むバッテリーセル
KR101387137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20150037227A (ko) 근적외선 가열기를 포함하는 전극 건조 장치
KR101154883B1 (ko) 향상된 전해액 함침성의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
CN110168792B (zh) 用于制造电极组件的装置和方法
JP7077000B2 (ja) 電池セルのための電極スタックを製造する方法、及び、電池セル
JP2011119093A (ja) 固体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当該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る固体電池モジュール
KR20180045823A (ko) 적층형 전극체의 제조 방법
KR20100070011A (ko) 리튬 2차 전지의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EP3401978B1 (en)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ode assembly for a battery 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