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4558A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4558A
KR20150034558A KR20130114781A KR20130114781A KR20150034558A KR 20150034558 A KR20150034558 A KR 20150034558A KR 20130114781 A KR20130114781 A KR 20130114781A KR 20130114781 A KR20130114781 A KR 20130114781A KR 20150034558 A KR20150034558 A KR 20150034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view interface
image preview
image
hmd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4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환
이도영
천시내
김용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4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4558A/ko
Priority to US14/152,561 priority patent/US9304320B2/en
Priority to PCT/KR2014/000628 priority patent/WO2015046676A1/en
Publication of KR20150034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5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2B2027/0187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slaved to mo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body of the user, e.g. head, ey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장착된 카메라 유닛이 분리되는 경우, 카메라 유닛의 위치에 기초하여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제어 방법{A HEAD MOUNTED DISPLAY AND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장착된 카메라 유닛이 분리되는 경우, 카메라 유닛의 위치에 기초하여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란 안경처럼 머리에 착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각종 디지털 디바이스를 말한다. 디지털 디바이스의 경량화 및 소량화 추세에 따라, 다양한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가 개발되고 있으며, HMD 또한 널리 사용되고 있다. HMD는 단순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넘어 증강 현실 기술, N 스크린 기술 등과 조합되어 유저에게 다양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에 마이크와 스피커가 장착되는 경우, 유저는 HMD를 착용한 상태에서,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HMD에 카메라가 장착되는 경우, 유저는 HMD를 착용한 상태에서, 유저가 원하는 방향의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본 명세서는 HMD의 카메라가 분리된 경우,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 내에서의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결정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본 명세서는 HMD의 카메라가 분리된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유저의 시선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 내에서의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결정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본 명세서는 HMD의 카메라가 분리된 경우, 카메라의 촬영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 내에서의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결정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본 명세서는 HMD의 카메라가 분리된 경우, HMD의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 내에서의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결정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는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1 커뮤니케이션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바디는 이미지를 센싱하는 카메라 유닛,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2 커뮤니케이션 유닛,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센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바디는 상기 제 1 바디로부터 분리장착가능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바디로부터 상기 제 2 바디가 분리된 경우, 상기 제 1 바디에 대한 상기 제 2 바디의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상기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되는 이미지의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의 위치는 상기 제 1 바디에 대한 상기 제 2 바디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HMD를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로부터 상기 제 2 바디가 분리된 경우, 상기 제 1 바디에 대한 상기 제 2 바디의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상기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되는 이미지의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서, 상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의 위치는 상기 제 1 바디에 대한 상기 제 2 바디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유닛 내에서의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의 위치가 HMD에 대한 카메라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되어, 유저는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통해 카메라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유닛 내에서의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의 위치가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되어, 유저는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통해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HMD는 HMD와 카메라 유닛 간의 거리에 따라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유저는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의 크기를 통해 카메라 유닛 간의 거리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HMD는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 및 HMD의 방향의 상대적인 변화에 따라,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외의 다양한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HMD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HMD의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HMD의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HMD의 제어 방법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6b는 본 명세서의 HMD의 제어 방법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명세서의 HMD의 제어 방법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HMD의 제어 방법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HMD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만, 도 1은 일 실시예로서,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모듈을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 모듈을 추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HMD(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커뮤니케이션 유닛(120), 센서 유닛(130), 카메라 유닛(1400 및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HMD(100)는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바디는 HMD(100)의 메인 바디로서, 디스플레이 유닛(110), 제 1 커뮤니케이션 유닛, 프로세서(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바디는 HMD(100)의 분리 가능한 서브 바디로서, 카메라 유닛(140), 제 2 커뮤니케이션 유닛, 센서 유닛(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는 일 실시예로서,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에 일부 구성 유닛을 변경하거나, 새로운 구성 유닛을 추가할 수 있다.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와 관령하여, 도 2에서 추가로 설명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주얼 정보는 컨텐츠,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프로세서(15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비주얼 정보를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HMD(100)의 제 1 바디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HMD(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서, HMD(100)는 투시형(see-through) 방식으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투시형(see-through) 방식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투명한 것으로, HMD(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유저가 주위 환경을 인식하면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방식을 나타낸다. 다른 일 예로서, HMD(100)는 전방 주사(front-light) 방식으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방 주사 방식은 빛이 눈에 직접 투사되지 않고 반사된 영상을 거울과 같은 반사체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또한, 다른 일 예로서, HMD(100)는 암막형(see-closed) 방식으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암막형 방식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통해 외부 환경을 볼 수 없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통해 컨텐츠를 이용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HMD(100)는 투시형 또는 전방 주사 방식으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커뮤니케이션 유닛(120)은 외부 디바이스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유닛(12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컨텐츠 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뮤니케이션 유닛은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커뮤니케이션 유닛(120)은 제 1 커뮤니케이션 유닛 및 제 2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커뮤니케이션 유닛은 제 1 바디에 구비될 수 있고, 제 2 커뮤니케이션 유닛은 제 2 바디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커뮤니케이션 유닛 및 제 2 커뮤니케이션 유닛은 제 1 바디에 포함된 프로세서(150)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제 2 바디에 포함된 카메라 유닛(140)으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센서 유닛(130)은 HMD(1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HMD(100)의 주변 환경을 센싱하고, 이를 신호 형태로 프로세서(150)에 전달할 수 있다.
센서 유닛(130)은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은, 중력(gravity) 센서, 지자기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기울임(inclination) 센서, 밝기 센서, 고도 센서, 후각 센서, 온도 센서, 뎁스 센서, 압력 센서, 밴딩 센서, 오디오 센서, 비디오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터치 센서 및 그립 센서 등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130)은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 및 HMD(100)의 환경을 센싱하여, 프로세서(150)가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센싱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HMD(100)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에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센서 유닛(130)은 제 2 바디에 포함될 수 있다. 센서 유닛(130)은 제 1 바디로부터 제 2 바디의 분리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130)은 이미지 캡쳐링 신호, 비디오 캡쳐링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미지 캡쳐링 신호, 비디오 캡쳐링 신호는 제 2 바디에 대한 터치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센서 유닛(130)은 제 2 바디 뿐만 아니라 제 1 바디에도 구비될 수 있다. 즉, 센서 유닛(130)은 제 1 바디에 구비되어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카메라 유닛(140)은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유닛(140)은 앞 방향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앞 방향은 카메라 유닛(140)이 향하고 있는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유닛(140)은 화각 영역 내의 이미지를 센싱하여 프로세서(15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화각 영역은 이미지를 센싱하는 때에 일정한 화면 내에 포함시킬 수 있는 수평 및 수직 시야각의 범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카메라 유닛(140)은 제 2 바디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바디에 포함된 카메라 유닛(140)은 제 1 바디에 장착되어 카메라 유닛(140)의 앞 방향의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2 바디에 포함된 카메라 유닛(140)은 제 1 바디로부터 분리되어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카메라 유닛(140)은 제 2 바디뿐만 아니라 제 1 바디에도 구비될 수 있다. 즉, 카메라 유닛(140)은 제 1 바디에 구비되어 유저의 시선 위치를 디텍트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고, 상술한 HMD(100)의 각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세서(150)는 제 1 바디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제 1 바디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유닛(110), 제 1 커뮤니케이션 유닛 뿐만 아니라, 제 2 바디에 포함된 카메라 유닛(140), 제 2 커뮤니케이션 유닛, 센서 유닛(13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50)는 제 1 바디뿐만 아니라 제 2 바디에서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50)는 제 2 바디에 별도로 구비되어 제 2 바디에 포함된 구성 유닛들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 2 바디가 제 1 바디로부터 분리된 경우, 프로세서(150)는 제 1 바디에 대한 제 2 바디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카메라 유닛(140)을 통해 센싱되는 이미지의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의 동작과 관련하여, 도 3 내지 도 8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로서, HMD(100)가 수행하는 동작들은 프로세서(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편의를 위해,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동작들을 통칭하여 HMD(100)가 수행/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HMD(100)는 파워 유닛, 스토리지 유닛, 오디오 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파워 유닛은 HMD(100)의 내부의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파워 소스로서, HMD(100)에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 유닛은 오디오, 사진,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은 플래시 메모리, RAM(Random Access Memory),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공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유닛은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HMD(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HMD(100)의 엘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HMD(100)의 엘리먼트들은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HMD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의 (a)는 HMD(100)의 제 1 바디(10)로부터 제 2 바디(20)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의 (b)는 HMD(100)의 제 1 바디(10)에 제 2 바디(20)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HMD(100)는 제 1 바디(10) 및 제 2 바디(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바디(10)는 HMD(100)의 메인 바디에 해당할 수 있고, 제 2 바디(20)는 HMD(100)의 서브 바디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바디(10)는 디스플레이 유닛, 제 1 커뮤니케이션 유닛, 프로세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제 1 바디(10)는 카메라 유닛, 센서 유닛 등을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 2 바디(20)는 카메라 유닛, 제 2 커뮤니케이션 유닛, 센서 유닛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바디(20)는 제 1 바디(10)의 프로세서와 별도로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바디(20)는 제 1 바디(10)에 분리 장착 가능하다. 이를 통해, 제 2 바디(20)에 포함된 카메라 유닛은 제 1 바디(10)에 장착되거나 분리됨에 따라 다양한 각도의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제 1 바디(10) 및 제 2 바디(20)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분리 장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바디(10) 또는 제 2 바디(20)가 분리 장착되는 부분에 마그네틱 파트가 존재하여, 제 1 바디(10) 및 제 2 바디(20) 간에 서로 분리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1 바디(10) 및 제 2 바디(20)가 분리 장착되는 부분이 접합 구조로 되어 있어, 제 1 바디(10) 및 제 2 바디(20) 간에 분리 장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에서는, 제 1 바디(10) 및 제 2 바디(20)의 위치 관계에 따른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의 위치에 대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3 내지 도 8은 제 1 바디(10)로부터 제 2 바디(20)가 분리되고, 카메라 인터페이스가 액티베이트되는 단계를 동일하게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3 내지 도 8에서, HMD(100)는 제 1 바디(10)로부터 제 2 바디(20)가 분리되는 것을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HMD(100)는 제 1 바디(10)로부터 제 2 바디(20)의 분리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분리 신호는 제 1 바디(10) 또는 제 2 바디(20)에 구비된 센서 유닛에 의해 디텍트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8에서, HMD(100)는 제 1 바디(10)로부터 제 2 바디(20)가 분리되는 경우,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액티베이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카메라 인터페이스는 이미지 캡쳐링 애플리케이션에 해당할 수 있다. 즉, HMD(100)는 유저(1)가 제 1 바디(10)로부터 카메라 유닛이 포함된 제 2 바디(20)가 분리하는 경우,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HMD(100)는 제 1 바디(10)에 제 2 바디(20)가 장착된 경우에도,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액티베이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HMD의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의 (a)는 제 2 바디(20)의 위치에 기초한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의 위치를 나타내고, 도 3의 (b)는 제 2 바디(20)의 위치 변화에 기초한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의 위치 변화를 나타낸다.
먼저, HMD(100)는 제 1 바디(10)에 대한 제 2 바디(2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바디(10)에 대한 제 2 바디(20)의 위치는 제 1 바디(10)를 기준으로 제 2 바디(20)의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a)를 참조하면, 제 1 바디(10)에 대한 제 2 바디(20)의 위치는 제 1 바디(10)를 기준으로 우측 하단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상대적인 위치로서, 기준되는 대상에 따라, 제 2 바디(20)의 위치는 좌측에 해당하거나 상단에 해당할 수도 있다.
또한, HMD(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의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의 위치는 제 1 바디(10)에 대한 제 2 바디(20)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투시형 HMD에서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를 별도로 제공하는 것은, 유저(1)의 눈에 의해 보이는 외부 환경과 카메라를 통해 센싱되는 이미지의 차이에 의해 생기는 혼란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도 3의 (a)를 참조하면, 제 1 바디(10)에 대한 제 2 바디(20)의 위치는 제 1 바디(10)를 기준으로 우측 하단에 해당하므로,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의 위치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우측 하단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1 바디(10)에 대한 제 2 바디(20)의 위치가 좌측 상단인 경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의 위치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좌측 상단에 해당할 수 l있다. 이를 통해, 유저(1)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의 위치를 통해, 카메라 유닛을 포함한 제 2 바디(20)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HMD(100)는 제 1 바디(10) 및 제 2 바디(20) 간의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바디(10) 및 제 2 바디(20) 간의 거리는 직선 거리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HMD(100)는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의 크기를 제 1 바디(10) 및 제 2 바디(20)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바디(10) 및 제 2 바디(20)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작을수록, HMD(100)는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의 크기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1 바디(10) 및 제 2 바디(20)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클수록, HMD(100)는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의 크기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1)는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의 크기 변화에 따라 제 1 바디(10) 및 제 2 바디(20) 간의 거리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HMD(100)는 제 1 바디(10)에 제 2 바디(20)가 장착된 경우에도,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시형 HMD인 경우, HMD(100)는 HMD(100)를 통해 외부 환경을 그대로 보여줄 수 있는 것이므로, 별도의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렝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 중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여, 유저(1)에게 카메라 인터페이스가 실행 중임을 알릴 수 있다.
또한, HMD(10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바디(10)로부터 제 2 바디(20)가 분리된 경우, 분리 모드 인디케이터(6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분리 모드 인디케이터(60)는 제 1 바디(10)와 제 2 바디(20)가 분리되었음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로서, 다양한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의 경우, 분리 모드 인디케이터(60)가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3과 동일하게 디스플레이된 것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한편, HMD(100)는 제 1 바디(10)에 제 2 바디(20)의 위치 변화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바디(10)에 대한 제 2 바디(20)의 위치 변화는 제 1 바디(10)를 기준으로 제 2 바디(20)의 방향이 변화되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3의 (b)를 참조하면, 유저(10)의 손(2)의 위치가 2a에서 2b로 변화함에 따라, 제 1 바디(10)에 대한 제 2 바디(20)의 위치는 우측 하단에서 우측 상단으로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HMD(100)는 변화된 제 2 바디(20)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b)를 참조하면, 제 2 바디(20)의 위치가 20a에서 20b로 변화함에 따라, HMD(100)는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를 30a에서 30b로 위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1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의 위치 변화를 통해, 카메라 유닛을 포함한 제 2 바디(20)의 위치 변화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HMD의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는 유저(1)의 시선 위치(3) 및 제 2 바디(20)의 위치에 따른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의 위치를 나타낸다.
먼저, HMD(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한 유저(1)의 시선 위치(3) 및 제 1 바디(10)에 대한 제 2 바디(2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저(1)의 시선 위치(3)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1)의 시선 위치(3)는 제 2 바디(20)에 포함된 카메라 유닛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1 바디(10)에 카메라 유닛이 장착된 경우, 유저(1)의 시선 위치(3)는 제 1 바디(10)에 장착된 카메라 유닛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도 4에서, 유저(1)의 시선 위치(3)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 오브젝트(40)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바디(10)에 대한 제 2 바디(20)의 위치는, 제 1 바디(10)를 기준으로 한 제 2 바디(20)의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도 4에서, 제 1 바디(10)에 대한 제 2 바디(20)의 위치는 우측 하단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HMD(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는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가 이미지 캡쳐용 또는 비디오 캡쳐용인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이미지 캡쳐용인 경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의 위치는 제 1 바디(10)에 대한 제 2 바디(20)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의 위치는 유저(1)의 시선 위치(3)와 관계없이, 제 2 바디(20)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유저(1)의 시선 위치(3)보다 제 2 바디(20)의 위치에 기초하여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유저(1)에게 보다 직관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오브젝트(40)에 대하여 유저(1)의 시선 위치(3)가 위치하는 경우에도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는 유저(1)의 시선 위치(3)와 무관하게 고정된 위치에서 제공되는 것이 유저(1)에게 혼란을 가중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HMD(100)는 이미지 캡쳐링 신호를 디텍트하기 전에,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유저(1)는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를 통해 센싱된 이미지를 확인하고, 이미지 캡쳐링을 위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비디오 캡쳐용인 경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의 위치는 유저(1)의 시선 위치(30)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의 위치는 제 2 바디(20)의 위치에 관계없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한 유저(1)의 시선 위치(3)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는, 비디오 캡쳐링의 경우, 연속적으로 장시간동안 캡쳐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미지 캡쳐링에 비해, 유저(1)가 계속적으로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를 응시해야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먼저, HMD(100)는 비디오 캡쳐링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다음으로, HMD(100)는 디텍트된 비디오 캡쳐링 신호에 기초하여,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1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는 비디오 캡쳐링 신호를 디텍트하기 전후로 계속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HMD(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오브젝트(4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오브젝트(4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위젯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오브젝트(40)는 시계, 날씨, 달력, 메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HMD(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한 유저(1)의 시선 위치(3)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오브젝트(40)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오브젝트(40)는 유저(1)의 시선 위치(3)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만,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40)는 유저(1)의 시선 위치(3)에 정확하게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유저(1)의 시선 위치(3)에 인접하여 디스플레이되기만 하면 된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40)는 유저(1)가 이용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되는 것이기 때문에, 유저(1)의 시선 위치(3)에 인접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HMD의 제어 방법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된 경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40)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나타낸다.
HMD(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111 내지 119)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는, HMD(100)에 기 설정된 영역이거나, 유저(1)에 의해 구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영역은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가로 세로 4등분하여 4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은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가로 세로 9등분하여 9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 영역은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다음으로, HMD(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의 위치는 제 1 바디(10)에 대한 제 2 바디(20)의 위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111 내지 119) 중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HMD(100)는 제 2 바디(20)에 포함된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이 기 설정된 각도 범위를 향하는 경우, 제 1 바디(10)에 대한 제 2 바디(20)의 위치에 기초하여,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제 1 바디(10)에 대한 제 2 바디(20)의 위치는 제 1 바디(10)를 기준으로 우측 하단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도 5에 나타난 제 2 바디(20a,20b,20c)는 우측 하단으로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바디(20)에 포함된 카메라 유닛은 다양한 각도를 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제 2 바디(20a, 20b, 20c)는 제 1 바디(10)에 대한 우측 하단 영역에서 기 설정된 각도 범위를 향하는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HMD(100)는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이 기 설정된 각도 범위 내이므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우측 하단에 위치하는 영역 114에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도 5의 실시예에서, 제 2 바디(20)에 포함된 카메라 유닛이 기 설정된 각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HMD(100)는 영역 114가 아닌 다른 영역에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HMD의 제어 방법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a는 제 2 바디(20)에 포함된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에 기초하여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6b는 제 2 바디(20)에 포함된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 및 제 2 바디(20)의 위치에 기초하여,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로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HMD(100)는 제 2 바디(20)에 포함된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은 제 2 바디(20)에 포함된 카메라 유닛이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이 경우, HMD(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의 위치는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의 위치는 제 2 바디(20)의 위치에 관계없이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만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유닛이 HMD(100)를 착용한 유저(1)를 기준으로 전방(20-2)을 향하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우측 상단에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2)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카메라 유닛이 HMD(100)를 착용한 유저(1)를 기준으로 우측(20-4)으로 향하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우측 하단에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4)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카메라 유닛(20-1)이 HMD(100)를 착용한 유저(10)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향하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좌측 상단에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1)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에 구애됨이 없이,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에 따른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의 위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HMD(100)는 제 2 바디(20)에 포함된 제 1 바디(10)에 대한 제 2 바디(20)의 위치 및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은 상술한 제 1 바디(10)에 대한 제 2 바디(20)의 위치와 상이하다.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은 제 2 바디(20)의 위치에 관계없이 카메라 유닛이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는데 반해, 제 1 바디(10)에 대한 제 2 바디(20)의 위치는 제 2 바디(20)에 포함된 카메라 유닛이 향하는 방향에 관계없이 제 1 바디(10)에 대한 제 2 바디(20)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HMD(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의 위치는 제 1 바디(10)에 대한 제 2 바디(20)의 위치 및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 2 바디(20)가 제 1 바디(10)에 대한 우측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 제 2 바디(20)의 카메라 유닛이 우측을 향하는 상태(20a)에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HMD(100)는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를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우측 하단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동일하게 제 2 바디(20)가 제 1 바디(10)에 대한 우측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 제 2 바디(20)의 카메라 유닛이 좌측을 향하는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HMD(100)는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를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좌측 하단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HMD(100)는 제 1 바디(10)에 대한 제 2 바디(20)의 위치 변화 및 제 2 바디(20)에 포함된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 변화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를 참조하면, 제 1 바디(10)에 대한 제 2 바디(20)의 위치 는 제 2 바디(20)를 쥔 유저(1)의 손(2)의 위치 변화에 따라, 제 2 바디(20)가 제 1 바디(10)를 기준으로 우측 하단에서 우측 상단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6b를 참조하면, 제 2 바디(20)에 포함된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은 우측 방향에서 좌측 방향으로 변경되었다.
이 경우, HMD(100)는 변화된 제 2 바디(20)의 위치 및 변화된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에 기초하여,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HMD(100)는 제 2 바디(20)가 상단으로 변화됨에 따라,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를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HMD(100)는 카메라 유닛의 방향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변화함에 따라,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를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HMD의 제어 방법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a 내지 도 7c는 제 2 바디(20)에 포함된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 및 제 1 바디(10)의 방향에 기초하여,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로서, HMD(100)는 제 2 바디(20)에 포함된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 및 제 1 바디(10)의 방향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바디(10)의 방향은 유저(1)가 HMD(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유저(10)가 향하고 있는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서 제 1 바디(10)의 방향은 정면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HMD(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의 위치는 카메라 유닛의 방향 및 제 1 바디(10)의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바디(10)에 대한 제 2 바디(20)의 위치는 고려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이 전면 방향이고, 제 1 바디(10)의 방향이 전면 방향에 해당하는 경우, HMD(100)는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를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우측 상단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 및 제 1 바디(10)의 방향에 따른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의 위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HMD(100)는 제 2 바디(20)에 포함된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 변화 및 제 1 바디(10)의 방향 변화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제 2 바디(20)에 포함된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은 정면 방향에서 좌측 방향으로 변경되었고, 제 1 바디(10)의 방향은 정면 방향으로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면, 제 2 바디(20)에 포함된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은 좌측 방향으로 그대로 유지되고, 제 1 바디(10)의 방향은 정면 방향에서 좌측 방향으로 변경되었다.
이 경우, HMD(100)는 변경된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 및 변경된 제 1 바디(10)의 방향에 기초하여,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제 1 바디(10)의 방향은 그대로 유지되지만,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이 정면에서 좌측 방향으로 변경됨에 따라, HMD(100)는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의 위치를 우측 상단(30a)에서 좌측 상단(30b)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면,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은 그대로 유지되지만, 제 1 바디(10)의 방향이 좌측 방향으로 변경됨에 따라, HMD(100)는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의 위치를 좌측 상단(30b)에서 우측 상단(30a)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의 위치 변화는 변화 전후의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과 제 1 바디(10) 간의 상대적인 방향 변화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HMD의 제어 방법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의 (a)는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에 센싱된 이미지를 캡쳐하는 것을 나타내고, 도 8의 (b)는 이미지 리뷰 인터페이스(50)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HMD(100)는 이미지 캡쳐링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미지 캡쳐링 신호는 이미지를 캡쳐하기 위한 다양한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캡쳐링 신호는 제 1 바디(10) 또는 제 2 바디(20)에 대한 터치 입력, 오디오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a)에서, 이미지 캡쳐링 신호는 유저(1)의 손(2)의 제 2 바디(20)에 대한 터치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HMD(100)는 디텍트된 이미지 캡쳐링 신호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HMD(100)는 캡쳐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 리뷰 인터페이스(5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미지 리뷰 인터페이스(50)는 캡쳐된 이미지를 잠시 보여줬다가 사라지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HMD(100)는 캡쳐된 이미지를 저장하기 전에 이미지 리뷰 인터페이스(50)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1)는 캡쳐된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에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HMD(100)는 하프(half)-캡쳐링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하프-캡쳐링 신호는 센싱된 이미지를 캡쳐하기 위해 초점을 조정하기 위한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프-캡쳐링 신호는 유저(1)의 손(2)의 제 1 바디(10) 또는 제 2 바디(20)에 대한 터치 입력으로서, 이미지 캡쳐링 신호에 비해 세기가 반정도로 약한 터치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하프-캡쳐링 신호는 유저(1)에 의한 오디오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HMD(100)는 디텍트된 하프-캡쳐링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가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작게 디스플레이되었던 경우, 하프-캡쳐링 신호를 통해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유저(1)는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를 보다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30)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유저(1)가 확인한 다음에, 이미지 캡쳐링을 위한 터치 입력 등을 통하여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HMD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HMD는 제 2 바디가 제 1 바디로부터 분리된 경우, 제 1 바디에 대한 제 2 바디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S910).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바디에 대한 제 2 바디의 위치는 제 1 바디를 기준으로 제 2 바디의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HMD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되는 이미지의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920). 여기에서,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의 위치는 제 1 바디에 대한 제 2 바디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HMD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분리 모드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 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 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제어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가 있다.
100: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110: 디스플레이 유닛
120: 커뮤니케이션 유닛
130: 센서 유닛
140: 카메라 유닛
150: 프로세서

Claims (20)

  1.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는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1 커뮤니케이션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제 1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바디는
    이미지를 센싱하는 카메라 유닛,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2 커뮤니케이션 유닛,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센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바디는 상기 제 1 바디로부터 분리장착가능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바디로부터 상기 제 2 바디가 분리된 경우,
    상기 제 1 바디에 대한 상기 제 2 바디의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상기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이미지의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의 위치는 상기 제 1 바디에 대한 상기 제 2 바디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HMD.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에 대한 상기 제 2 바디의 위치는 상기 제 1 바디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바디의 방향을 나타내는, HMD.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바디에 대한 상기 제 2 바디의 위치 변화를 획득하고,
    상기 변화된 제 2 바디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HMD.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바디 및 상기 제 2 바디 간의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상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의 사이즈는 상기 제 1 바디 및 상기 제 2 바디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HMD.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바디 및 상기 제 2 바디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를 기준으로 거리가 작아질수록, 상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의 사이즈를 확대하고,
    상기 제 1 바디 및 상기 제 2 바디 간의 거리가 상기 기 설정된 거리를 기준으로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의 사이즈를 축소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HMD.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유저의 시선 위치 및 상기 제 1 바디에 대한 상기 제 2 바디의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상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의 위치는 상기 제 1 바디에 대한 상기 제 2 바디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HMD.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상기 유저의 시선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HMD.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의 위치는 제 1 바디에 대한 상기 제 2 바디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로 결정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HMD.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바디에 포함된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이 기 설정된 각도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제 1 바디에 대한 상기 제 2 바디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HMD.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바디에 포함된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을 획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상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의 위치는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HMD.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바디에 대한 상기 제 2 바디의 위치 및 상기 제 2 바디에 포함된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을 획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상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아하되, 상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의 위치는 상기 제 1 바디에 대한 상기 제 2 바디의 위치 및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HMD.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바디에 대한 상기 제 2 바디의 위치 변화 및 상기 제 2 바디에 포함된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 변화를 획득하고,
    변화된 상기 제 2 바디의 위치 및 변화된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HMD.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바디에 포함된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 및 상기 제 1 바디의 방향을 획득하고,
    상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의 위치는 상기 카메라 유닛의 방향 및 상기 제 1 바디의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HMD.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바디에 포함된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 변화 및 상기 제 1 바디의 방향 변화를 획득하고,
    변화된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방향 및 변화된 상기 제 1 바디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HMD.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의 방향은 상기 제 1 바디가 향하는 전면의 방향을 나타내는, HMD.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이미지 캡쳐링 신호를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이미지 캡쳐링 신호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캡쳐하고,
    상기 캡쳐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 리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 후 사익 캡쳐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HMD.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유저의 시선 위치를 획득하고,
    비디오 캡쳐링 신호를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비디오 캡쳐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의 위치는 상기 유저의 시선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HMD.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프(half)-캡쳐링 신호를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하프-캡쳐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HMD.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바디에 상기 제 2 바디가 분리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분리 모드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HMD.
  20.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로부터 상기 제 2 바디가 분리된 경우,
    상기 제 1 바디에 대한 상기 제 2 바디의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상기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되는 이미지의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서, 상기 이미지 프리뷰 인터페이스의 위치는 상기 제 1 바디에 대한 상기 제 2 바디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제어 방법.
KR20130114781A 2013-09-26 2013-09-26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제어 방법 KR2015003455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4781A KR20150034558A (ko) 2013-09-26 2013-09-26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제어 방법
US14/152,561 US9304320B2 (en) 2013-09-26 2014-01-10 Head-mounted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4/000628 WO2015046676A1 (en) 2013-09-26 2014-01-22 Head-mounted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4781A KR20150034558A (ko) 2013-09-26 2013-09-26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558A true KR20150034558A (ko) 2015-04-03

Family

ID=52690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4781A KR20150034558A (ko) 2013-09-26 2013-09-26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04320B2 (ko)
KR (1) KR20150034558A (ko)
WO (1) WO20150466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3127B2 (ja) * 2011-10-25 2016-09-1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頭部装着型表示装置、情報端末、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画像処理システム、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情報端末の制御方法
US10585478B2 (en) * 2013-09-13 2020-03-10 Nod,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ntegrating one or more gestural controllers into a head mounted wearable display or other wearable devices
US10139914B2 (en) 2013-09-13 2018-11-27 Nod,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the human body as an input device
JP2015100002A (ja) * 2013-11-19 2015-05-2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撮像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とプログラム
US9823749B2 (en) 2014-02-21 2017-11-21 Nod, Inc. Location determination and registration methodology for smart devices based on direction and proximity and usage of the same
WO2015198477A1 (ja) 2014-06-27 2015-12-30 株式会社Fove 視線検知装置
JP6476781B2 (ja) * 2014-11-17 2019-03-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を制御する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JP6549693B2 (ja) * 2015-02-25 2019-07-24 京セラ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10976808B2 (en) * 2015-11-17 2021-04-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Body position sensitive virtual reality
US10663729B2 (en) 2016-09-15 2020-05-26 Daqri, Llc Peripheral device for head-mounted display
US10656731B2 (en) * 2016-09-15 2020-05-19 Daqri, Llc Peripheral device for head-mounted display
JPWO2018101162A1 (ja) * 2016-12-01 2019-06-24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80260022A1 (en) * 2017-03-07 2018-09-13 Htc Corporation Method suitable for a head mounted device and virtual reality system
WO2019059044A1 (ja) * 2017-09-20 2019-03-28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90109337A (ko) * 2019-09-06 2019-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강현실 기반의 기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11635802B2 (en) * 2020-01-13 2023-04-25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Combined light intensity based CMOS and event detection sensor for high speed predictive tracking and latency compensation i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HMD systems
JP2022082127A (ja) * 2020-11-20 2022-06-0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と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0029B1 (en) 2001-12-21 2003-05-06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Video enhanced night vision goggle
US7806525B2 (en) * 2003-10-09 2010-10-05 Ipventure, Inc. Eyeglasses having a camera
US20060055786A1 (en) * 2004-03-09 2006-03-16 Viosport Portable camera and wiring harness
US7787012B2 (en) * 2004-12-02 2010-08-31 Science Applications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image registration in a heads up display
US20060153409A1 (en) 2005-01-10 2006-07-13 Ming-Hsiang Yeh Structure of a pair of glasses
US7424218B2 (en) 2005-07-28 2008-09-09 Microsoft Corporation Real-time preview for panoramic images
JP4946914B2 (ja) 2008-02-26 2012-06-06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システム
US20130002559A1 (en) 2011-07-03 2013-01-03 Vardi Nachum Desktop computer user interface
US8730388B2 (en) 2011-08-05 2014-05-20 Calvin Osborn Wearable video camera with dual rotatable imaging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04320B2 (en) 2016-04-05
US20150084840A1 (en) 2015-03-26
WO2015046676A1 (en) 2015-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4558A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제어 방법
KR102088020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제어 방법
US1011446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hands-free browsing in a wearable computing device
KR102086510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제어 방법
US9898868B2 (en)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program
EP3011418B1 (en) Virtual object orientation and visualization
US9058054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KR102292192B1 (ko) 증강 현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69351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그 출력 제어 방법
US20190227694A1 (en) Device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30246967A1 (en) Head-Tracked User Interaction with Graphical Interface
US20150170418A1 (en) Method to Provide Entry Into a Virtual Map Space Using a Mobile Device's Camera
US20130117707A1 (en) Velocity-Based Triggering
KR20150026375A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84200A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제어 방법
US20150185971A1 (en) Ring-Based User-Interface
US20150172550A1 (en) Display tiling for enhanced view modes
KR102138520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제어 방법
KR20150026201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KR101761487B1 (ko) Head 디바이스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027813A (ko) 글래스형 단말기
JP2010062970A (ja) 単眼頭部装着型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