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2080A - Cup holder - Google Patents

Cup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2080A
KR20150032080A KR20130112107A KR20130112107A KR20150032080A KR 20150032080 A KR20150032080 A KR 20150032080A KR 20130112107 A KR20130112107 A KR 20130112107A KR 20130112107 A KR20130112107 A KR 20130112107A KR 20150032080 A KR20150032080 A KR 20150032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der
portable device
cover
wireless charging
hold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21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81718B1 (en
Inventor
지준동
채원영
오명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30112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718B1/en
Priority to PCT/KR2014/002372 priority patent/WO2014148853A1/en
Publication of KR20150032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0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7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7Hygienic or sanitary devices on telephone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cup hold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holder device comprises: a cup holder mounted inside a vehicle and having at least one cup accommodation unit; a cup holder cover coupled to the cup holder; a portable appliance accommodation unit formed in the cup holder cover and accommodating a portable appliance; and a wireless charging module formed in the cup holder and charging the portable appliance.

Description

컵 홀더 장치{CUP HOLDER}Cup holder device {CUP HOLD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기기의 수납 및 충전이 가능한 컵 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p holder device capable of storing and charging a portable device.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에는 탑승자가 마시던 컵, 음료캔, 음료수병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컵 홀더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마트폰, 모바일폰, PDA, MP3, 태블릿 PC 등의 휴대 단말기를 소지하고 다니는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차량 내부에는 휴대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공간이 따로 제공되고 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차량 내부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공간을 따로 제공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만을 위해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여야 하므로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차량용 컵 홀더에 휴대 기기를 함께 거치시켜 차량 내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는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은 선행기술문헌이 있다.In general, a cup holder is provided inside the vehicle for storing cups, beverage cans, beverage bottles and the like that the occupant has drank. However, as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developed, most people have portable terminals such as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PDA, an MP3, and a tablet PC. However, in a vehicle, Is often not provided separately. In the case where a space for mounting the portable terminal is separately provided in the vehicle, a separate space must be provided only for the portable terminal,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space utilization is low. There are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as a way to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in the vehicle by mounting the portable device together with the cup holder of the vehicle.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1002(2007.03.19)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31002 (Mar. 19, 2007)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 내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컵 홀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cup holder device capable of enhancing space utilization in a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 기기를 수납하고 무선 충전할 수 있는 컵 홀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p holder device capable of storing a portable device and wirelessly charging the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장치는, 차량 내에 장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컵 수납부를 구비하는 컵 홀더; 상기 컵 홀더와 결합되는 컵 홀더 커버; 상기 컵 홀더 커버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를 수납하는 휴대 기기 수납부; 및 상기 컵 홀더 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한다.A cup hold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p holder mounted in a vehicle and having at least one cup holder; A cup holder cover coupled to the cup holder; A portable device housing part formed in the cup holder cover and housing the portable device; And a wireless charging module formed on the cup holder cover for charging the portable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장치는, 차량 내에 장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컵 수납부를 구비하는 컵 홀더; 상기 컵 홀더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컵 홀더 커버; 및 상기 컵 홀더 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up holder apparatus comprising: a cup holder mounted in a vehicle and having at least one cup holder; A cup holder cover hinged to one side of the cup holder; And a wireless charging module formed on the cup holder cover for charging the portabl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컵 홀더 커버에 휴대 기기를 수납하면서 휴대 기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컵 홀더 커버 내에 자외선 조사부를 형성하여 휴대 기기를 살균할 수 있다. 이때, 컵 홀더 커버를 차량 내부 구조물 내로 인입시키면 사용자가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온을 발생시켜 휴대 기기 수납부 내의 휴대 기기를 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차량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부에 휴대 기기 크기 별로 안착홈을 구비하여 다양한 휴대 기기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명부를 통해 무선 충전 여부 및 무선 충전 가능 영역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of the portable device can be wirelessly charged while the portable device is housed in the cup holder cover. The portable device can be sterilized by forming an ultraviolet ray irradiation part in the cup holder cover. At this time, if the cup holder cover is drawn into the vehicle interior structure, the us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ultraviolet rays. In addi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purify the portable device in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ortion by generating ions, but also purify air in the vehicle interior. In additio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unit is provided with a seating groove for each size of the portable device, so that various portable devices can be stably fixed. Also,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wireless charging state and the wireless chargeable region through the illumination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장치가 차량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컵 홀더 커버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장치가 차량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컵 홀더 커버가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장치의 휴대 기기 수납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장치에서, 제1 안착홈 및 제2 안착홈의 상부에 제1 커버 및 제2 커버가 힌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장치에서, 제1 안착홈의 상부에 제1 커버가 슬라이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1 shows a cup hold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up holder cover is pulled out in a state where a cup hold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up holder cover is pulled in a state where a cup hold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4 is a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device storage portion of a cup hold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of a cup holder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cover and a second cover are hinged to an upper portion of a first seating groove and a second seating groove in a cup holde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cover is slid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a first seating groove in a cup holder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컵 홀더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the cup hold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FIG. However, this is an exemplary embodiment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a means for efficiently describ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장치가 차량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컵 홀더 커버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장치가 차량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컵 홀더 커버가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장치가 차량의 센터페시아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컵 홀더 장치는 그 이외의 센터 콘솔, 암레스트 등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cup hold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up holder cover is drawn out in a state where a cup hold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p holder cover is pulled in a state where the cup holder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vehicle. Here, the cup holder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being positioned below the center fascia of the vehic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up holder device can be formed at various positions such as a center console, hav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컵 홀더 장치(100)는 컵 홀더(102), 컵 홀더 커버(104), 휴대 기기 수납부(106), 무선 충전 모듈(108), 자외선 조사부(110), 이온 발생기(112), 및 충전 상태 알림부(114)를 포함한다.1 to 3, the cup holder device 100 includes a cup holder 102, a cup holder cover 104, a portable device housing part 106, a wireless charging module 108, an ultraviolet ray irradiating part 110, An ion generator 112, and a charge state notification unit 114.

컵 홀더(102)는 차량 내부 구조물(50)에 장착된다. 여기서, 차량 내부 구조물(50)은 차량의 센터페시아 하부, 센터 콘솔, 암레스트 등이 될 수 있다. 컵 홀더(102)는 컵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컵 수납부(102-1)를 포함한다.The cup holder 102 is mounted to the vehicle interior structure 50. Here, the vehicle interior structure 50 may be a center fascia bottom of a vehicle, a center console, a armrest, or the like. The cup holder 102 includes at least one cup receiving portion 102-1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he cup.

컵 홀더 커버(104)는 컵 홀더(102)의 상부에서 컵 홀더(102)와 결합된다. 컵 홀더 커버(104)는 컵 홀더(102)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컵 홀더(102)와 결합된다. 예를 들어, 컵 홀더 커버(104)는 컵 홀더(102)와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컵 홀더 커버(104)는 차량 내부 구조물(50)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인출되어 컵 홀더(102)의 상부를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컵 홀더 커버(104)는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인입되어 컵 홀더(102)의 상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컵 홀더 커버(104)의 전단에는 손잡이 홈(117)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 홈(117)을 잡고 컵 홀더 커버(104)를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다. 여기서는, 컵 홀더 커버(104)가 수동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 및 기어 등과 같은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게 구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컵 홀더 커버(104)가 컵 홀더(102)와 슬라이드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컵 홀더 커버(104)는 그 이외의 다양한 결합 방식을 통해 컵 홀더(102)와 결합될 수 있다.The cup holder cover 104 is engaged with the cup holder 102 at the top of the cup holder 102. [ The cup holder cover 104 is engaged with the cup holder 102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holder 102. For example, the cup holder cover 104 can be slidably engaged with the cup holder 102. [ At this time, the cup holder cover 104 may be pulled out of the vehicle interior structure 50 in a sliding manner to shield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holder 102. Then, the cup holder cover 104 can be pulled in a sliding manner into the vehicle interior structure 50 to open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holder 102. A handle groove 117 may b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cup holder cover 104. The user can pull out or draw the cup holder cover 104 by holding the handle groove 117. Here, the cup holder cover 104 is described as being manually drawn or draw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drawer may be automatically drawn out or drawn by using a driving means such as a motor and a gear. Although the cup holder cover 104 is illustrated as being slidably coupled to the cup holder 102,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up holder cover 104 may be coupled to the cup holder 102 through various other coupling methods .

휴대 기기 수납부(106)는 컵 홀더 커버(104)에 형성된다. 휴대 기기 수납부(106)는 내부에 휴대 기기(9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구비한다. 휴대 기기(9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태블릿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휴대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portion 106 is formed in the cup holder cover 104. Fig. The portable device housing unit 106 has a housing space in which the portable device 90 can be housed. The portable device 90 may be, for example,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a tablet PC,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Equipment may be applied.

휴대 기기 수납부(106)는 컵 홀더 커버(104)의 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컵 홀더 커버(104)의 전단부는 컵 홀더 커버(104)를 인출하였을 때 컵 홀더(102)의 상부를 차폐하는 부분을 말한다. 컵 홀더 커버(104)를 인출한 경우, 휴대 기기 수납부(106)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사용자는 휴대 기기 수납부(106)에 휴대 기기(90)를 수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컵 홀더 커버(104)의 후단부에는 보조 수납부(119)가 형성될 수 있다.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portion 106 may b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cup holder cover 104. [ The front end of the cup holder cover 104 refers to a portion that shields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holder 102 when the cup holder cover 104 is pulled out. When the cup holder cover 104 is pulled out,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ortion 106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store the portable device 90 in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ortion 106. 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holder 119 may b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cup holder cover 104. [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바닥면에는 보호 패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보호 패드(미도시)는 휴대 기기(9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6) 내에 수납될 때 충격으로부터 휴대 기기(90)를 보호하고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호 패드(미도시)는 휴대 기기 수납부(106) 내에서 휴대 기기(9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호 패드(미도시)는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바닥면에서 무선 충전 모듈(108)이 형성된 위치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모듈(108)이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하부에 형성되는 경우, 휴대 기기(90)의 무선 충전 시 충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패드(미도시)는 무선 충전 모듈(108)이 형성된 위치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호 패드(미도시)는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바닥면 중 무선 충전 모듈(108)이 형성된 영역의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A protective pad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housing unit 106. The protection pad (not shown) protects the portable device 90 from shock when the portable device 90 is housed in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ortion 106 and prevents noise from being generated. In addition, the protection pad (not shown) can prevent the portable device 90 from slipping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portion 106. The protection pad (not shown) may be formed in an area other than a position where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8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art 106. In order to prevent the charging efficiency of the portable device 90 from being lowered whe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8 is formed below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ortion 106, the protection pad (not shown) And may be formed in an area other than a position where the module 108 is form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otection pad (not shown)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art 106 where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8 is formed.

무선 충전 모듈(108)은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8)은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휴대 기기(9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8)은 충전 제어 회로 및 전력 송신부를 포함한다. 전력 송신부는 충전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무선 전력을 공기 중으로 방사하여 휴대 기기(90)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게 된다. 전력 송신부로는 예를 들어, 충전 코일 또는 방사체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 모듈(108) 중 전력 송신부만이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하부에 형성되고, 충전 제어 회로는 다른 위치(예를 들어, 보조 수납부(119))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력 송신부 및 충전 제어 회로가 모두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8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portion 106.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8 can charge the battery of the portable device 90 by wirelessly transmitting energy.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8 includes a charge control circuit and a power transmitter. The power transmission unit radiates radio power into the ai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harge control circuit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portable devic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y be, for example, a charging coil or a radiator. Here, only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8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portion 106, and the charge control circuit may be formed in another position (for example, the auxiliary storage portion 119).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bot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nd the charge control circuit may be formed below the portable device housing unit 106. [

자외선 조사부(11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6)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조사부(11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내측벽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10)는 휴대 기기(90)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휴대 기기(90)를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자외선 조사부(110)는 예를 들어, LED 또는 자외선 램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10)는 컵 홀더 커버(104)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조사부(110)는 컵 홀더 커버(104)가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로 인입되는 경우 온(ON) 동작하여 휴대 기기(90)를 살균할 수 있다. 즉, 컵 홀더 커버(104)가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로 인입되는 경우, 휴대 기기 수납부(106)는 차량 내부 구조물(50)에 의해 차폐되므로, 자외선 조사부(110)를 온(ON) 동작시켜도 사용자가 자외선에 노출될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컵 홀더 커버(104)가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로 인입되었을 때, 자외선 조사부(110)는 무선 충전 모듈(108)과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90)의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휴대 기기(90)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110)는 무선 충전 모듈(108)과 별도로 동작할 수도 있다. 그리고, 컵 홀더 커버(104)가 차량 내부 구조물(50)에서 인출되는 경우, 자외선 조사부(110)는 오프(OFF) 될 수 있다. 여기서는, 자외선 조사부(110)의 동작이 컵 홀더 커버(104)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컵 홀더 커버(104)의 개폐 동작이 자외선 조사부(110)의 온(ON) 및 오프(OFF) 동작과 연동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자외선 조사부(110)가 휴대 기기 수납부(106)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110)는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110 may be formed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unit 106.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110 may be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portable device housing unit 106.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110 irradiates ultraviolet rays to the portable device 90 to sterilize the portable device 90.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110 may be, for example, an LED or an ultraviolet lamp.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110 can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cup holder cover 104. [ For example,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110 may be turned ON when the cup holder cover 104 is drawn into the vehicle interior structure 50 to sterilize the portable device 90. That is, when the cup holder cover 104 is drawn into the vehicle interior structure 50,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ortion 106 is shielded by the vehicle interior structure 50, so that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portion 110 is turned on The risk of exposure of the user to ultraviolet rays can be prevented. When the cup holder cover 104 is drawn into the vehicle interior structure 50,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110 can operate together with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8. In this case, the portable device 90 can be sterilized while the battery of the portable device 90 is being charg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110 may operate separately from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8. When the cup holder cover 104 is drawn out from the vehicle interior structure 50,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110 may be turned off. The operation of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110 is described as interlocking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cup holder cover 104.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cup holder cover 104 may be switched on ) And off (OFF) operations. Although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110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the portable device housing unit 106,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110 may be formed in the vehicle interior structure 50.

한편,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상부에는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자외선 차단 커버(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컵 홀더 커버(104)를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로 인입시키지 않고도 자외선 차단 커버(미도시)로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상부를 차폐하여 자외선 조사부(110)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자외선 조사부(110)의 온(ON) 및 오프(OFF) 동작은 자외선 차단 커버(미도시)의 개폐 동작과 상호 연동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ultraviolet screening cover (not show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portion 106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portion 106. In this case,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110 can be operated by shiel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unit 106 with an ultraviolet ray shielding cover (not shown) without pulling the cup holder cover 104 into the vehicle interior structure 50 do. At this time, the ON and OFF operations of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110 can be interlock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ultraviolet ray blocking cover (not shown).

이온 발생기(112)는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온 발생기(112)는 보조 수납부(119)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온 발생기(112)는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내부로 음이온 및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보조 수납부(119)에는 휴대 기기 수납부(106)와 연통하는 에어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온 발생기(112)에서 발생시킨 이온은 에어 홀(미도시)을 통해 휴대 기기 수납부(106)로 유입되게 된다. 이온 발생기(112)가 발생시킨 음이온 및 양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부(106) 내의 각종 세균과 곰팡이를 살균 및 탈취하여 휴대 기기 수납부(106) 내의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이때, 음이온 및 양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부(106)에 수납된 휴대 기기(90)를 살균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 수납부(106)를 빠져나온 음이온 및 양이온은 차량 내의 각종 세균과 곰팡이를 살균 및 탈취하여 차량 내 공기를 정화시킬 수도 있다. The ion generator 112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portable device housing unit 106. For example, the ion generator 112 may be formed in the auxiliary storage portion 119. The ion generator 112 may generate at least one of negative ions and positive ions inside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ortion 106. An air hole (not shown) communicating with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portion 106 may be formed in the auxiliary storage portion 119. Ions generated in the ion generator 112 are introduced into the portable device housing unit 106 through an air hole (not shown). The negative ions and positive ions generated by the ion generator 112 sterilize and deodorize various bacteria and fungi in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ortion 106 to purify the air in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ortion 106. At this time, the negative ions and positive ions can sterilize the portable device 90 housed in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ortion 106. The negative ions and positive ion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portable device housing unit 106 may sterilize and deodorize various bacteria and fungi in the vehicle to purify air in the vehicle.

충전 상태 알림부(114)는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충전 상태 알림부(114)는 컵 홀더 커버(104)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상태 알림부(114)는 컵 홀더 커버(104)의 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컵 홀더 커버(104)가 인입되더라도 충전 상태 알림부(114)는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충전 상태 알림부(114)는 휴대 기기(90)의 충전된 정도에 따라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를 단계 별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충전 상태 알림부(114)는 휴대 기기(90)의 무선 충전이 완료된 경우, 휴대 기기(90)의 충전 완료 사실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전 상태 알림부(114)는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를 소리로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충전 상태 알림부(114)는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를 화면에 표시하면서 소리로도 알려줄 수 있다.
The charge state notification unit 114 serves to notify the state of charge of the portable device 90. The state of charge notification unit 114 may be formed in the cup holder cover 104. For example, the charge state notification unit 114 may b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cup holder cover 104. [ In this case, even if the cup holder cover 104 is pulled in, the charge state notification unit 114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state of charge of the portable device 90. The charging status notification unit 114 may display the charging status of the portable device 90 in ste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harging of the portable device 90. [ When the wireless charging of the portable device 90 is completed, the charging status notification unit 114 can display the charging completion status of the portable device 90 on the scree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charging status notification unit 114 may inform the charging status of the portable device 90 by sound. In addition, the charge state notification unit 114 may inform the user of the state of charge of the portable device 90 while sound is being displayed on the scree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장치의 휴대 기기 수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는 휴대 기기 수납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에서 A-A'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I4 is a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device storage portion of a cup hold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 is a top view of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ortion, and Fig. 4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A-A '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바닥면(106-a)에는 안착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21)은 휴대 기기(90)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90)는 휴대 기기 수납부(106)에서 안착홈(121)에 안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안착홈(121)은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바닥면(106-a)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21)은 제1 안착홈(121-1), 제2 안착홈(121-2), 및 제3 안착홈(12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안착홈(121)이 제1 안착홈(121-1) 내지 제3 안착홈(121-3)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착홈(121)은 그 이외의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착홈(121-1) 내지 제3 안착홈(121-3)은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바닥면(106-a)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단차를 형성하며 확장될 수 있다. 제1 안착홈(121-1) 내지 제3 안착홈(121-3)은 각각 다양한 크기를 갖는 휴대 기기(90)들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크기의 휴대 기기(90)는 제1 안착홈(121-1)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크기의 휴대 기기(90)는 제2 안착홈(121-2)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3 크기의 휴대 기기(90)는 제3 안착홈(121-3)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 모듈(108)은 제1 안착홈(121-1) 내지 제3 안착홈(121-3)의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착홈(121-1) 내지 제3 안착홈(121-3)의 하부에는 무선 충전 모듈(108)의 전력 송신부(충전 코일 또는 방사체 등)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착홈(121)이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경우, 무선 충전 모듈(108)은 복수 개의 안착홈(121)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seating groove 121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06-a of the portable device housing unit 106. The seating groove 121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portable device 90. In this case, the portable device 90 is seated and fixed in the seating groove 121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portion 106.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121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06-a of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ortion 106. The seating groove 121 may include a first seating groove 121-1, a second seating groove 121-2, and a third seating groove 121-3. Although the seating groove 121 is illustrated as including the first seating groove 121-1 through the third seating groove 121-3 in this embodiment, the seating groove 121 is not limited to the first seating groove 121-1 through the third seating groove 121-3, As shown in FIG. The first seating grooves 121-1 to the third seating grooves 121-3 can be expanded by forming stepwise stepwise from the inside of the bottom surface 106-a of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art 106 to the outside direction . The first seating groove 121-1 through the third seating groove 121-3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portable devices 90 having various sizes,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portable device 90 of the first size may be seated and fix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121-1. The portable device 90 of the second size can be seated and fix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121-2. The portable device 90 of the third size may be seated and fixed in the third seating groove 121-3. Here,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8 may be formed under the first seating groove 121-1 to the third seating groove 121-3, respectively. For example, a power transmitter (a charging coil or a radiator)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8 may be formed below the first seating groove 121-1 to the third seating groove 121-3.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n a case where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121 are formed,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8 may be formed unde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121.

한편, 안착홈(121)에는 조명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124)는 안착홈(121)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124)는 안착홈(121)의 테두리를 따라 라인 형태로 구성되어 그 자체로 휴대 기기(90)가 안착될 위치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여기서는, 조명부(124)가 라인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점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조명부(124)는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에 따라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124)의 밝기가 점점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124)의 색 온도가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5,000 ~ 8,000K)에서 점차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1,000 ~ 4,000K)로 변하거나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에서 점차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기기(9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124)의 색상이 예를 들어, 빨간색, 노란색, 녹색 등으로 순차적으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llumination part 124 may be formed in the seating groove 121. The illumination unit 124 may be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seating groove 121. For example, the illumination unit 124 may be formed in a line shape along the rim of the seating groove 121 to display a position at which the portable device 90 is to be seated. Here, the illumination unit 124 is shown as being formed in a line shap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other forms (for example, a dotted line shape). At least one of the brightness level, the color temperature level, and the color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state of charge of the portable device 90. [ For example,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unit 124 may be gradually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state of charge of the portable device 90.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lighting unit 124 gradually increases from a cool system color temperature (for example, 5,000 to 8,000 K) to a gradually warm system color temperature (for example, 1,000 to 4,000 K), or may be changed to a color temperature of a cool system gradually from a color temperature of a warm system. The color of the illumination unit 124 may be sequentially changed to, for example, red, yellow, green, or the like depending on the state of charge of the portable device 90.

안착홈(121)이 복수 개가 형성된 경우, 조명부(124)도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홈(121)이 제1 안착홈(121-1) 내지 제3 안착홈(121-3)을 포함하는 경우, 조명부(124)는 제1 안착홈(121-1)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 조명부(124-1), 제2 안착홈(121-2)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2 조명부(124-2), 및 제3 안착홈(121-3)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3 조명부(12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조명부(124-1, 124-2, 124-3)는 각 안착홈(121-1, 121-2, 121-3)들의 경계 부분(즉, 단차가 형성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명부(124)는 안착홈(121) 내에서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When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121 are formed, a plurality of lighting portions 124 may also be formed. For example, when the seating groove 121 includes the first seating groove 121-1 to the third seating groove 121-3, the lighting unit 124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edge of the first seating groove 121-1 A second illumination part 124-2 formed along the rim of the second mounting groove 121-2 and a third mounting groove 121-3 formed along the rim of the third mounting groove 121-3, And a third illumination unit 124-3 formed along the second illumination unit 124-3. At this time, each of the illumination units 124-1, 124-2, and 124-3 may be formed at a boundary portion (that is, a portion where a step is formed) of each of the seating grooves 121-1, 121-2, have. The illumination unit 124 may be embedded in the seating groove 121.

여기서는, 조명부(124)가 안착홈(121)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명부(124)는 안착홈(12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휴대 기기 수납부(106)의 바닥면(106-a)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명부(124)는 무선 충전 모듈(108)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그 자체로 무선 충전 가능 영역을 표시해 줄 수 있다. 조명부(124)는 무선 충전 가능 영역(무선 충전 모듈(108)과 대응되는 영역)을 표시해주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124)는 무선 충전 모듈(108)에서 발생하는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생하여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모듈(108)은 휴대 기기(9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 신호에 따라 무선 충전 가부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모듈(108)은 휴대 기기(9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 신호의 신호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무선 충전 가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충전 모듈(108)은 휴대 기기(9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 신호가 없거나 응답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무선 충전 불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8)에서 무선 충전 가능 신호가 발생된 경우, 조명부(124)는 파란색의 빛을 발생시켜 무선 충전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충전 모듈(108)에서 무선 충전 불가 신호가 발생된 경우, 조명부(124)는 빨간색의 빛을 발생시켜 무선 충전이 어렵다는 사실을 표시할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lighting unit 124 may be mounted on the floor of the portable device housing unit 106 when the seating groove 121 is not formed,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106-a. At this time, the illumination unit 124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8, and may display the wireless charging area by itself. The illumination unit 124 may be formed to display a wireless rechargeable area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rechargeable module 108). The illuminating unit 124 may generate light of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 discharging signal generated by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8 to display whether wireless charging is possible. That is,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8 generates a wireless charging enable signal in response to a response signal fed back from the portable device 90. For example,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8 may generate a wireless rechargeable signal when the signal strength of the response signal fed back from the portable device 90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8 can generate a wireless charging disable signal when there is no response signal fed back from the portable device 90 or when the intensity of the response signal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When a wireless rechargeable signal is generated in the wireless recharging module 108, the illumination unit 124 may generate a blue light to indicate that the wireless recharging is possible. When a wireless charging disable signal is generated i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8, the illumination unit 124 may generate a red light to indicate that wireless charging is difficul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컵 홀더 커버(104)에 휴대 기기(90)를 수납하면서 휴대 기기(90)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컵 홀더 커버(104) 내에 자외선 조사부(110)를 형성하여 휴대 기기(90)를 살균할 수 있다. 이때, 컵 홀더 커버(104)를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로 인입시키면 사용자가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온을 발생시켜 휴대 기기 수납부(106) 내의 휴대 기기를 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차량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부(106)에 휴대 기기 크기 별로 안착홈(121)을 구비하여 다양한 휴대 기기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명부(124)를 통해 무선 충전 여부 및 무선 충전 가능 영역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of the portable device 90 can be wirelessly charged while the portable device 90 is housed in the cup holder cover 104. Then,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110 is formed in the cup holder cover 104, so that the portable device 90 can be sterilized. At this time, if the cup holder cover 104 is drawn into the vehicle interior structure 50, the us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ultraviolet rays. In addi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purify the portable device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portion 106 by generating ions, but also purify the air in the vehicle interior. In addition, the portable device housing unit 106 includes the seating grooves 121 for each size of the portable device, so that various portable devices can be stably fixed. Also,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wireless charging state and the wireless chargeable region through the illumination unit 124.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cup holder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컵 홀더 커버(104)는 컵 홀더(102)의 일측에 힌지(141)를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컵 홀더 커버(104)는 힌지(141)를 축으로 회전하여 컵 홀더(102)의 상부를 개폐하게 된다. 컵 홀더 커버(104)의 내부에는 무선 충전 모듈(108)이 형성될 수 있다. 컵 홀더 커버(104)에는 휴대 기기(90)를 안착시킬 수 있는 휴대 기기 안착부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컵 홀더 커버(104)의 하부면에는 제1 안착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컵 홀더 커버(104)의 상부면에는 제2 안착홈(13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무선 충전 모듈(108)이 컵 홀더 커버(104)의 내부에 한 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의 무선 충전 모듈(108)이 제1 안착홈(131) 및 제2 안착홈(134)과 대응하여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컵 홀더 커버(104)의 하부면 및 상부면에는 휴대 기기(90)의 크기에 따라 각각 복수 개의 제1 안착홈(131) 및 제2 안착홈(134)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컵 홀더 커버(104)가 컵 홀더(102)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컵 홀더 커버(104)는 차량 내부 구조물(50)에 힌지 결합되어 컵 홀더(102)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cup holder cover 104 may be hinged to one side of the cup holder 102 through a hinge 141. The cup holder cover 104 rotates about the hinge 141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holder 102. A wireless charging module 108 may be formed inside the cup holder cover 104. The cup holder cover 104 is provided with a portable device seating portion capable of placing the portable device 90 thereon. For example, a first seating groove 131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up holder cover 104. A second seating groove 134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p holder cover 104. Although it is shown here that one wireless charging module 108 is formed inside the cup holder cover 104,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wo wireless charging modules 108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131 and the second And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grooves 134, respectively. A plurality of first seating grooves 131 and second seating grooves 134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up holder cover 104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ortable device 90. The cup holder cover 104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cup holder 102 and the cup holder cover 104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cup holder 102, 102, respectively.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홀더 커버(104)를 제1 방향(예를 들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컵 홀더(102)의 상부를 개방시키는 경우, 컵 홀더 커버(104)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 안착홈(131)에 휴대 기기(90)를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무선 충전 모듈(108)을 통해 휴대 기기(9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컵 홀더 커버(104)는 컵 홀더(102)의 상부를 개방시키는 경우 소정 각도를 회전한 상태에서 회전이 정지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안착홈(131)의 하부에는 안착 돌기(137)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 돌기(137)는 제1 안착홈(131)에 안착된 휴대 기기(90)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5 (a),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holder 102 is opened by rotating the cup holder cover 104 in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counterclockwise), the cup holder cover 104 The portable device 90 can be sea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131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90. At this time, the battery of the portable device 90 can be charged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8. The cup holder cover 104 can be fixed in a state where the rotation is stopped in a state where the cup holder 102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holder 102 is opened. A seating protrusion 137 may be formed under the first seating groove 131. The seating protrusion 137 serves to support the portable device 90 sea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131.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홀더 커버(104)를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컵 홀더(102)의 상부를 폐쇄시키는 경우, 컵 홀더 커버(104)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2 안착홈(134)에 휴대 기기(90)를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무선 충전 모듈(108)을 통해 휴대 기기(9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5 (b),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holder 102 is closed by rotating the cup holder cover 104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e., clockwise), the cup holder cover 104 The portable device 90 can be seat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13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90. At this time, the battery of the portable device 90 can be charged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8.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홀더 커버(104)의 제1 안착홈(131)의 상부에는 제1 안착홈(131)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제1 커버(15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151)는 제1 안착홈(131)의 일측에서 힌지(151-1)를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컵 홀더 커버(104)의 제2 안착홈(134)의 상부에는 제2 안착홈(134)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제2 커버(154)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버(154)는 제2 안착홈(134)의 일측에서 힌지(154-1)를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안착홈(131) 및 제2 안착홈(134)에는 자외선 조사부(11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자외선 조사부(110)가 제1 안착홈(131) 및 제2 안착홈(134)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110)는 제1 커버(151) 및 제2 커버(154)의 내측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커버(151) 및 제2 커버(154)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커버(151) 및 제2 커버(154)가 닫혀 있어도 사용자가 휴대 기기(90)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커버(151) 및 제2 커버(154)의 일부(예를 들어, 휴대 기기(90)가 수납된 위치와 대응되는 부분)만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커버(151) 및 제2 커버(154)는 자외선 차단 커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151) 및 제2 커버(154)는 투명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에 자외선 차단제가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151) 및 제2 커버(154)의 개폐 동작과 자외선 조사부(110)의 온(ON) 및 오프(OFF) 동작은 상호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 안착홈(131) 및 제2 안착홈(134)의 상부에 각각 제1 커버(151) 및 제2 커버(154)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안착홈(131) 및 제2 안착홈(134)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만 커버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자외선 조사부(110)는 제1 안착홈(131) 및 제2 안착홈(134) 중 커버가 형성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6, a first cover 15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eating groove 131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eating groove 131 of the cup holder cover 104 . The first cover 151 may be hinged to the first seating groove 131 through a hinge 151-1. A second cover 154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eating groove 134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eating groove 134 of the cup holder cover 104. The second cover 154 may be hinged through the hinge 154-1 at one side of the second seating groove 134. At this time,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110 may b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grooves 131 and 134, respectively.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110 is formed in the first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s 131 and 134 and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110 i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grooves 131 and 134, Or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ver 154, respectively. The first cover 151 and the second cover 154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n this case, even if the first cover 151 and the second cover 154 are closed,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90. At this time, only a part of the first cover 151 and the second cover 154 (for example,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portable device 90 is housed)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first cover 151 and the second cover 154 may be ultraviolet shielding covers. For example, the first cover 151 and the second cover 154 may be formed by coating a transparent glass or a transparent plastic with an ultraviolet screening agent.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first cover 151 and the second cover 154 and the ON and OFF operations of the ultraviolet irradiating unit 110 can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e first cover 151 and the second cover 154 ar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eating groove 131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134 respective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 cover may be formed only on an upper portion of any one of the first seating groove 131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134. At this time,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110 may be formed a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grooves 131 and 134 where the cover is formed.

한편, 여기서는 제1 커버(151) 및 제2 커버(154)가 컵 홀더 커버(104)에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커버(151)는 제1 안착홈(131)의 상부에서 컵 홀더 커버(104)와 슬라이드 결합되어 제1 안착홈(131)의 상부를 개폐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커버(154) 역시 컵 홀더 커버(104)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커버(154)는 힌지 결합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first cover 151 and the second cover 154 are illustrated as hinged to the cup holder cover 104,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slidably coupled as shown in FIG. 7, the first cover 151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cup holder cover 104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eating groove 131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eating groove 131. At this time, the second cover 154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cup holder cover 104, but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cover 154 may be hing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컵 홀더 커버(104)의 내부에 무선 충전 모듈(108)이 형성되고, 컵 홀더 커버(104)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제1 안착홈(131) 및 제2 안착홈(134)이 형성됨으로써, 컵 홀더 커버(104)가 열린 상태에 있거나 닫힌 상태에 있든지 상관 없이 휴대 기기(90)를 수납하여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08 is formed inside the cup holder cover 104 and the first and the second mounting grooves 131 and 131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up holder cover 104, respectively. By forming the two seating grooves 134, the portable device 90 can be housed and charged regardless of whether the cup holder cover 104 is in an open state or in a closed state.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00 : 컵 홀더 장치
102 : 컵 홀더 102-1 : 컵 수납부
104 : 컵 홀더 커버 106 : 휴대 기기 수납부
108 : 무선 충전 모듈 110 : 자외선 조사부
112 : 이온 발생기 114 : 충전 상태 알림부
117 : 손잡이 홈 119 : 보조 수납부
121 : 안착홈 124 : 조명부
131 : 제1 안착홈 134 : 제2 안착홈
137 : 안착 돌기 141 : 힌지
151 : 제1 커버 154 : 제2 커버
100: cup holder device
102: cup holder 102-1: cup holder
104: cup holder cover 106: portable device storage part
108: wireless charging module 110: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112: ion generator 114: charge state notification unit
117: handle groove 119: auxiliary storage part
121: seat groove 124:
131: first seating groove 134: second seating groove
137: seat projection 141: hinge
151: first cover 154: second cover

Claims (21)

차량 내에 장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컵 수납부를 구비하는 컵 홀더;
상기 컵 홀더와 결합되는 컵 홀더 커버;
상기 컵 홀더 커버에 형성되고 휴대 기기를 수납하는 휴대 기기 수납부; 및
상기 컵 홀더 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는, 컵 홀더 장치.
A cup holder mounted in the vehicle and having at least one cup holder;
A cup holder cover coupled to the cup holder;
A portable device housing part formed in the cup holder cover and housing the portable device; And
And a wireless charging module formed in the cup holder cover for charging the portabl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더 포함하는, 컵 홀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up holder device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n ultraviolet ray irradiation part formed in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art and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the portable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 커버는,
상기 컵 홀더에 슬라이드 결합되고, 상기 자외선 조사부의 동작 시 차량 내부 구조물 내로 인입되어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상부를 차폐시키는, 컵 홀더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up holder cover
Wherein the cup holder is slidably coupled to the cup holder and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vehicle during operation of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portion to shield the upper portion of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자외선 차단 커버를 더 포함하는, 컵 홀더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up holder device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n ultraviolet screening cover which is openably and closably provided on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부의 온(ON) 동작 및 오프(OFF) 동작은 상기 자외선 차단 커버의 개폐 동작과 상호 연동되는, 컵 홀더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N operation and the OFF operation of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are interlock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ultraviolet shielding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컵 홀더 커버에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로 음이온 및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컵 홀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up holder device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n ion generator which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art in the cup holder cover and generates at least one of an anion and a cation in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바닥면에 상기 휴대 기기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는 안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안착홈은 상기 바닥면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단차를 형성하며 확장되는, 컵 홀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up holder device comprises:
And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housing part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portable device,
Wherein the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extend and form stepwise stepwise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bottom surfa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안착홈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 형성되는, 컵 홀더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cludes: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up holder.
차량 내에 장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컵 수납부를 구비하는 컵 홀더;
상기 컵 홀더의 일측 또는 차량 내부 구조물에 힌지 결합되는 컵 홀더 커버; 및
상기 컵 홀더 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를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는, 컵 홀더 장치.
A cup holder mounted in the vehicle and having at least one cup holder;
A cup holder cover hinged to one side of the cup holder or the vehicle interior structure; And
And a wireless charging module formed in the cup holder cover for charging the portable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컵 홀더 커버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휴대 기기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컵 홀더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up holder device comprises:
And a portable device seating portion formed on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cup holder cov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컵 홀더 커버의 내부에서 상기 컵 홀더 커버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안착부에 각각 대응하여 형성되는, 컵 홀더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includes:
Wherein the cup holder cover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eating portion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up holder cover inside the cup holder cov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안착부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컵 홀더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up holder device comprises:
And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portion of the portable device mounting por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컵 홀더 커버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휴대 기기 안착부; 및
상기 컵 홀더 커버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휴대 기기 안착부 중 어느 하나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컵 홀더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up holder device comprises:
A portable device seat formed on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up holder cover, respectively; And
And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portion of any one of the portable device seating portion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up holder cover.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안착부에 안착된 휴대 기기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더 포함하는, 컵 홀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The cup holder device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n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for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a portable device that is seated on the portable apparatus seating uni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전체 또는 일부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자외선 차단 커버인, 컵 홀더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ver
Wherein the whole or part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is an ultraviolet shielding cov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개폐 동작과 상기 자외선 조사부의 온(ON) 및 오프(OFF) 동작은 상호 연동되는, 컵 홀더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and the ON and OFF operations of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컵 홀더 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기기의 충전 상태를 알려주는 충전 상태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컵 홀더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1 or 9,
The cup holder device comprises:
And a charge state notification unit formed on the cup holder cover for indicating a state of charge of the portable device.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무선 충전 가부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기기의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표시해주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컵 홀더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1 or 9,
The cup holder device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illumination unit for indicating whether the portable device is wirelessly rechargeable according to a wireless charging availability signal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휴대 기기의 충전 상태에 따라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되는, 컵 홀더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illumination unit includes:
Wherein at least one of a brightness level, a color temperature level, and a hue varies depending on a state of charge of the portable device.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의 충전 가능 영역을 표시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컵 홀더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1 or 9,
The cup holder device comprises:
And a lighting unit formed in a form to display a chargeable area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컵 홀더 커버에 형성되는 보호 패드를 더 포함하는, 컵 홀더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1 or 9,
The cup holder device comprises:
And a protective pad formed on the cup holder cover.
KR1020130112107A 2013-03-20 2013-09-17 Cup holder KR1020817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107A KR102081718B1 (en) 2013-09-17 2013-09-17 Cup holder
PCT/KR2014/002372 WO2014148853A1 (en) 2013-03-20 2014-03-20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107A KR102081718B1 (en) 2013-09-17 2013-09-17 Cup hol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080A true KR20150032080A (en) 2015-03-25
KR102081718B1 KR102081718B1 (en) 2020-02-26

Family

ID=53025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107A KR102081718B1 (en) 2013-03-20 2013-09-17 Cup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718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4433A (en) * 2015-05-15 2016-11-23 삼성전기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KR20160134434A (en) * 2015-05-15 2016-11-23 삼성전기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KR20160146464A (en) * 2015-06-12 2016-12-21 삼성전기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KR101698293B1 (en) * 2016-04-14 2017-01-19 정종석 Wire charging apparatus for vehicle
US9735611B2 (en) 2015-05-15 2017-08-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US10069325B2 (en) 2015-06-12 2018-09-0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Receiver wireless charging and support device
US10343576B1 (en) 2018-01-22 2019-07-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justable cup holder for holding tall cups, bottles and the like
US10850656B2 (en) 2018-03-16 2020-12-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including inductive charger and retractable cup holder
CN114533910A (en) * 2020-11-18 2022-05-27 大众汽车股份公司 Disinfec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having at least one disinfection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0170A (en) * 2001-08-28 2003-03-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Non-contact feeding device
KR20070031002A (en) 2005-09-14 2007-03-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Cup holder having a chamber to set the mobile phone or the PDA
KR20110000012A (en) * 2009-06-26 2011-01-03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Non-contact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KR20120085980A (en) * 2011-01-25 2012-08-02 이승택 Contactless charger for hearing aid device
KR20130000246A (en) * 2011-06-22 2013-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CN103171477A (en) * 2012-12-20 2013-06-26 浙江大学 Vehicle-mounted wireless heating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0170A (en) * 2001-08-28 2003-03-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Non-contact feeding device
KR20070031002A (en) 2005-09-14 2007-03-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Cup holder having a chamber to set the mobile phone or the PDA
KR20110000012A (en) * 2009-06-26 2011-01-03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Non-contact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KR20120085980A (en) * 2011-01-25 2012-08-02 이승택 Contactless charger for hearing aid device
KR20130000246A (en) * 2011-06-22 2013-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CN103171477A (en) * 2012-12-20 2013-06-26 浙江大学 Vehicle-mounted wireless heating devic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4433A (en) * 2015-05-15 2016-11-23 삼성전기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KR20160134434A (en) * 2015-05-15 2016-11-23 삼성전기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US9735611B2 (en) 2015-05-15 2017-08-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KR20160146464A (en) * 2015-06-12 2016-12-21 삼성전기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US10069325B2 (en) 2015-06-12 2018-09-0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Receiver wireless charging and support device
KR101698293B1 (en) * 2016-04-14 2017-01-19 정종석 Wire charging apparatus for vehicle
US10343576B1 (en) 2018-01-22 2019-07-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justable cup holder for holding tall cups, bottles and the like
US10850656B2 (en) 2018-03-16 2020-12-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including inductive charger and retractable cup holder
CN114533910A (en) * 2020-11-18 2022-05-27 大众汽车股份公司 Disinfec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having at least one disinfe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718B1 (en)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2080A (en) Cup holder
US9339576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sanitizer
US9583968B2 (en) Photoluminescent disinfecting and charging bin
JP5582130B2 (en) Charger
CN103972947A (en) System And Method For Indicating Charging Status During Wireless Charging
US20220123568A1 (en) Wireless charger with sterilization function
US11865053B2 (en) Wheelchair apparatuses including usage features
KR20160007849A (en) Apparatus for both storing portable device and door handle in vehicle
KR20140095938A (en)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
KR20150066139A (en)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
KR20150032079A (en)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KR20150084210A (en) Apparatus for charging portable device
KR200484063Y1 (en) Functional Bags for storing cosmetics
KR20150071523A (en)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
KR20140100381A (en) Apparatus for charging portable device
US9908463B2 (en) Light emitting interior product
CN211863386U (en) Ultraviolet sterilization bag
CN109662419A (en) From driving luggage case and operating status display mechanism
KR20140126126A (en)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
KR20150030527A (en)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JP2018196258A (en) Charge port structure
US9142101B2 (en) Automated teller machine with EPP guard cave
KR20230009543A (en) A combined convenience device that has a storage function for goods, an ultraviolet disinfection function, and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for drinks
KR20150074359A (en)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
KR20160007178A (en) Apparatus for stor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