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7690A - App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evice to device in an wireless network - Google Patents

App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evice to device in an wireless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7690A
KR20150027690A KR20140101630A KR20140101630A KR20150027690A KR 20150027690 A KR20150027690 A KR 20150027690A KR 20140101630 A KR20140101630 A KR 20140101630A KR 20140101630 A KR20140101630 A KR 20140101630A KR 20150027690 A KR20150027690 A KR 20150027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search
search signal
inform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016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40959B1 (en
Inventor
류현석
박승훈
임치우
박정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4/00817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34234A1/en
Publication of KR20150027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6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9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s provides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transmitting, by a device, a search signal for device to device (D2D) communications, wherein the device supports a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a public network and a D2D communication service.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method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a signal transmitted by a public network base station is expected to interfere in a wireless environment; and transmitting a search signal based on system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base station when interference in the wireless environment is expected.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간 직접 통신장치 및 방법{APP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EVICE TO DEVICE IN AN WIRELESS NETWORK}[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EVICE TO DEVICE IN AN WIRELESS NETWORK [0002]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간 직접 통신 (D2D: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장치에 대한 동기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nchroniz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device in a wireless network.

한편 최근 스마트 폰 등과 같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확산과 더불어 무선 자원에 대한 효율적인 이용 방안이 기술적으로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다. 이러한 수요를 반영하는 기술 가운데 기지국과 네트워크의 경유 없이 무선 디바이스 사용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간 직접 (D2D: Device-to-Device) 통신에 대한 관심이 급속하게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Meanwhile, along with the proliferation of wireless devices support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uch as smart phones, efficient use of wireless resources has become a technical issue as well as a social issue. Among the technologies that reflect such a demand,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direct (D2D: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that performs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users of wireless devices without using a base station and a network.

무선 네트워크 내부에서 수행되는 D2D 통신은 무선 자원의 효율성 증대뿐만 아니라 디바이스 (이하 “D2D 디바이스”라 칭함)와 네트워크의 소비 전력 감소 및 무선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 확대 등의 장점을 가진다. 또한 D2D 통신은 D2D 디바이스의 근접성 (proximity)을 이용하여 대용량 콘텐트의 지원으로 인한 기지국의 부하를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D2D communication carried out in a wireless network has advantages not only in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radio resources but also in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 D2D device ") and a network and expanding a service area of a wireless network. In addition, D2D communication can efficiently distribute the load of the base station due to the support of the large capacity contents by using the proximity of the D2D device.

상기 D2D 통신은 이동 디바이스 간 직접 (M2M: Mobile-to-Mobile) 통신, 사물 간 직접 (M2M: Machine-to-Machine) 통신, 단말기 간 직접 (T2T: Terminal-to-Terminal) 통신 및 개인 간 직접 (P2P: Peer-to-Peer) 통신 등 다양한 방법으로 물리적인 응용에 있어서의 확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D2D communication can be directly used for mobile-to-mobile (M2M) communication,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terminal-to-terminal (T2T) And peer-to-peer (P2P) communication.

일반적으로 D2D 디바이스는 주변 D2D 디바이스의 발견 (D2D device discovery) 또는 주변 D2D 디바이스의 관심 사항의 발견 (D2D service discovery)을 위해 탐색 신호 (discovery signal)를 송신하거나 수신한다.In general, a D2D device sends or receives a discovery signal for discovery of a nearby D2D device (D2D device discovery) or for discovery of a nearby D2D device (D2D service discovery).

일반적으로 D2D 디바이스는 이중 모드를 지원한다. 예컨대 D2D 디바이스는 셀룰러 모드에 따른 동작과 D2D 모드에 따른 동작을 겸용으로 제공한다. 따라서 기존에 셀룰러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정의된 시간 조정 (TA: Timing Advance) 방식은 D2D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사이에 수행되는 D2D 모드를 추가로 고려하여 재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Generally, D2D devices support dual mode. For example, the D2D device provides both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cellular mode and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D2D mode. Therefore, the time adjustment (TA) method define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in the conventional cellular system should be re-established considering the D2D mode performed between the terminals by the D2D devi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무선 네트워크의 D2D 디바이스에서 탐색 신호 전송 시의 동기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in transmission of a search signal in a D2D device of a wireless network.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D2D 디바이스가 주변 D2D 디바이스의 발견 (D2D device discovery) 또는 주변 D2D 디바이스의 관심 사항의 발견 (D2D service discovery) 을 위해 송신하는 탐색 신호를 고려하여 송신 신호의 동기화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Also,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ireless network, in consideration of a search signal transmitted by the D2D device for D2D device discovery (D2D device discovery) or D2D service discovery (D2D service discovery) of neighboring D2D devic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supporting the Interne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D2D 디바이스의 상태에 따라 셀룰러 모드를 지원하는 상향링크에서 D2D 탐색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시각 설정 및 TA 타이머의 동작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ransmission time setting and TA timer operation for transmitting a D2D search signal in an uplink supporting a cellular mode according to the state of a D2D device in a wireless network.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중 망을 통한 통신 서비스와 디바이스 간 직접 (D2D: Device-to-Device) 통신 서비스를 모두 지원하는 디바이스에서 D2D 통신을 위한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공중 망의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로 인한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라 판단될 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한 시스템 정보 또는 단말 스스로가 측정에 기반하여 획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탐색 신호를 송신한다.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transmitting a search signal for D2D communication in a device supporting both a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a public network and a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a radio environment in which interference due to a signal transmitted by a base station of the public network is expected is determin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ference environment is anticipated, the system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base station, And transmits the search signal based on the acquired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중 망을 통한 통신 서비스와 디바이스 간 직접 (D2D: Device-to-Device) 통신 서비스를 모두 지원하는 디바이스에서 D2D 통신을 위한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공중 망의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로 인한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라 판단될 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한 시스템 정보 또는 단말 스스로가 측정에 기반하여 획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탐색 신호의 송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 의해 결정된 송신 타이밍에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Further,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search signal for D2D communication in a device supporting both a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a public network and a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the interference is caused by a signal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of the public network.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ference is expected in the wireless environment, system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base station or the terminal itself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search signal at a transmission timing determined by the processing uni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D2D 모드에서의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D2D 디바이스로 인해 기지국에서 야기되는 심볼 간 간섭 (Inter Symbol Interference: ISI)과 케리어 간 간섭 (Inter Carrier Interference: ICI)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D2D 디바이스가 셀룰러 단말의 상향 링크에 미치는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TA 타이머가 종료된 D2D 디바이스가 상향링크에서 D2D 모드에서의 탐색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많은 수의 D2D 디바이스들이 탐색을 수행함으로써, D2D 디바이스들의 탐색 성능을 최대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symbol interference (ISI) and the inter-carrier interference (ICI) caused by the base station can be minimized by the D2D device transmitting the search signal in the D2D mode have. That is, interference of the D2D device on the uplink of the cellular terminal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the D2D device in which the TA timer has ended can transmit the search signal in the D2D mode in the uplink. That is, a large number of D2D devices perform the search, thereby maximizing the search performance of the D2D devices.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추정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추정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In addition, the effect obtained or estimated b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irectly or implicitly disclo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various effects estima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isclo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적용할 공중 망에서의 신호 송/수신에 대한 일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2는 LTE로 대표되는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TA를 수행하지 않을 시의 신호 송신 절차의 일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3은 LTE 시스템에서 TA를 수행할 시의 신호 송신 절차의 일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4는 D2D를 지원하지 않는 LTE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UL: Up-Link)와 하향링크 (DL: Down-Link) 간의 프레임 타이밍의 일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2D를 고려한 셀룰러 시스템에서 D2D 탐색 신호의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에 대한 일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탐색 서브 프레임 내에서 탐색신호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물리 공유 채널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과 셀룰러 단말의 상향링크 물리 제어 채널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 서로 다른 기준 타이밍으로 인해 기지국에서 발생하는 간섭에 대한 예시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탐색 서브 프레임에서 탐색신호 전송을 위한 PUSCH와 해당 탐색 서브 프레임에 인접한 셀룰러 단말의 PUSCH가 서로 다른 기준 타이밍으로 인해 기지국에서 발생하는 간섭에 대한 예시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D2D 디바이스 간의 서로 다른 기준 타이밍으로 인해 D2D 디바이스의 수신단에서 발생하는 간섭에 대한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2D 디바이스의 구조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기지국에서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동작 방법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D2D 수신 단말들에서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동작 방법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탐색 신호의 전송을 위해 수행하는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D2D 디바이스의 송신 신호가 기지국에 미치는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UL 프레임의 일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D2D 디바이스의 송신 신호가 기지국에 미치는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D2D 탐색 부 프레임의 다른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D2D 디바이스의 송신 신호가 기지국에 미치는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D2D 탐색 부 프레임의 또 다른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in a public network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ignal transmission procedure when a TA is not performed in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presented by LT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ignal transmission procedure when a TA is performed in an LTE system;
FIG. 4 illustrates an example of frame timing between an uplink (UL) and a downlink (DL) in an LTE system that does not support D2D;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resource allocation for transmission of a D2D search signal in a cellular system considering D2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SCH) for transmitting a search signal in a search sub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Channel) illustrate examples of interference occurring at the base station due to different reference timings;
FIG. 7 illustrates an example of interference occurring in a base station due to different reference timings of a PUSCH for transmission of a search signal and a PUSCH of a cellular terminal adjacent to the search subframe in an exemplary search sub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interference occurring in a receiving end of a D2D device due to different reference timings between D2D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D2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llustrates an operation method for minimizing interference in a base station,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for minimizing interference in D2D receiving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flow performed by a terminal for transmitting a search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llustrates an example of a UL frame in which the structure of the D2D device is improved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of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D2D device to 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 D2D search sub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tructure of the D2D search subframe is improved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of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D2D device to the base station;
FIG. 15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 D2D search sub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mproves the structure so as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of a transmission signal of a D2D device to a base station.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정의하고 있는 개체들의 명칭들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 명칭들이 본 발명에 따른 권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시스템에 대해 동일 또는 용이한 변경에 의해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mes of the entities defined may be used equally. However, the names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do not limit the righ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y can be applied to the system having the similar technical background by the same or easy modification.

셀룰러 시스템에서 단말은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기지국으로 제어 정보, 데이터 등의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무선 자원은 주파수 자원, 시간 자원 등이 될 수 있으며, 채널이라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채널은 셀 내에서 단말 간 간섭을 고려하여 서로 직교하도록 할당되어야 한다.In a cellular system, a terminal transmits signals such as control information and data to a base station using radio resources. The radio resource may be a frequency resource, a time resource, or the like, and may be referred to as a channel. The channels should be allocated to be orthogonal to one another in consideration of inter-terminal interference in the cell.

한편 기지국은 자신의 서비스 셀 내에 위치하는 단말들의 송신 신호들을 서로 다른 시점에서 수신하게 된다. 이는 상향링크에서의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의 직교성을 깨뜨려, ISI, ICI 등의 원인이 된다.Meanwhile, 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transmission signals of the terminals located in its service cell at different points in time. This breaks the orthogonality of the time and frequency resources in the uplink, causing ISI, ICI, and the lik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TA 방식을 지원하지 않는 LTE (Long Term Evolution)로 대표되는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 (이하 ‘공중 망’이라 칭함)에서의 신호 송신 절차에 대한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 대칭성이 존재함을 가정한다. 상기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 대칭성이 존재한다는 것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의 전송 지연 시간이 동일함을 가정하는 것이다.FIG. 2 shows an example of a signal transmission procedure in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ublic network) represented by Long Term Evolution (LTE) that does not support the TA scheme. In FIG. 2, it is assumed that symmetry exists in the uplink and the downlink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resence of symmetry in the uplink and the downlink implies that the transmission delay times of the signals transmitted through the uplink and the downlink are the same.

도 2를 참조하면, 단말-A (UE-A)는 기지국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단말-B (UE-B)는 상기 단말-A에 비해 기지국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Referring to FIG. 2, the UE-A is located close to the base station and the UE-B is located relatively far from the base station than the UE-A.

기지국 (eNB)은 정해진 하향링크 심볼 타이밍 (Down-Link (DL) symbol timing)에 맞추어 하향링크 심볼을 단말-A와 단말-B에게 전송한다 (참조번호 200).The base station eNB transmits the downlink symbol to the terminal-A and the terminal-B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downlink symbol timing (reference numeral 200).

상기 단말-A는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하향링크 심볼을 수신한다 (참조번호 212). 상기 단말-A가 하향링크 심볼을 수신하는 심볼 타이밍은 상기 기지국이 하향링크 심볼을 전송한 심볼 타이밍으로부터 T1 의 지연 시간이 경과한 이후이다. 즉 지연 시간 T1 은 하향링크 심볼이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어 단말-A에 의해 수신될 때까지 소요된 시간이다.The UE-A receives the downlink symbol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reference numeral 212). The symbol timing at which the UE-A receives the downlink symbol is after the delay time T 1 has elapsed from the symbol timing at which the base station transmitted the downlink symbol. That is, the delay time T 1 is the time taken until the downlink symbol is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and received by the terminal-A.

상기 단말-A는 하향링크 심볼의 수신 심볼 타이밍에서 상향링크로 데이터 및 제어정보를 송신한다 (참조번호 214).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A가 송신한 데이터 및 제어정보를 수신한다 (참조번호 216). 이때 상기 기지국의 수신 심볼 타이밍은 상기 단말-A의 송신 심볼 타이밍으로부터 T1 의 지연 시간이 경과한 이후이다. 즉 지연 시간 T1 은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정보가 단말-A에 의해 전송되어 기지국에 의해 수신될 때까지 소요된 시간이다.The UE-A transmits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at the timing of the received symbol of the downlink symbol (reference numeral 214). The base station receives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terminal-A (reference numeral 216). At this time, the received symbol timing of the base station is after the delay time T 1 has elapsed from the transmission symbol timing of the terminal-A. That is, the delay time T 1 is the time taken until the uplink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are transmitted by the terminal-A and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상기 단말-B는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하향링크 심볼을 수신한다 (참조번호 222). 상기 단말-B가 하향링크 심볼을 수신하는 심볼 타이밍은 상기 기지국이 하향링크 심볼을 전송한 심볼 타이밍으로부터 T2 의 지연 시간이 경과한 이후이다. 즉 지연 시간 T2 는 하향링크 심볼이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어 단말-B에 의해 수신될 때까지 소요된 시간이다. 이때 T1 < T2 이다.The UE-B receives the downlink symbol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reference numeral 222). The symbol timing at which the UE-B receives the downlink symbol is after the delay time of T 2 from the symbol timing at which the base station transmitted the downlink symbol. That is, the delay time T 2 is the time taken until the downlink symbol is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and received by the terminal-B. Where T 1 & lt; T 2 .

상기 단말-B는 하향링크 심볼의 수신 심볼 타이밍에서 상향링크로 데이터 및 제어정보를 송신한다 (참조번호 224).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B가 송신한 데이터 및 제어정보를 수신한다 (참조번호 226). 이때 상기 기지국의 수신 심볼 타이밍은 상기 단말-B의 송신 심볼 타이밍으로부터 T2 의 지연 시간이 경과한 이후이다. 즉 지연 시간 T2 는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정보가 단말-B에 의해 전송되어 기지국에 의해 수신될 때까지 소요된 시간이다. The UE-B transmits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on the uplink at the received symbol timing of the downlink symbol (reference numeral 224). The base station receives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B (reference numeral 226). At this time, the received symbol timing of the base station is after the delay time of T 2 has elapsed from the transmission symbol timing of the terminal-B. That is, the delay time T 2 is the time taken until the uplink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are transmitted by the terminal-B and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상술한 바에 따르면, 기지국은 단말-A가 송신한 상향링크 심볼을 하향링크 심볼을 전송한 심볼 타이밍을 기준으로 2 x T1 의 지연 시간이 경과한 심볼 타이밍에서 수신할 수 있다. 상시 기지국은 단말-B가 송신한 상향링크 심볼을 하향링크 심볼을 전송한 심볼 타이밍을 기준으로 2 x T2 의 지연 시간이 경과한 심볼 타이밍에서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the BS can receive the uplink symbol transmitted from the UE-A at a symbol timing with a delay time of 2 x T 1 based on the symbol timing of the downlink symbol. The normal base station can receive the uplink symbo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B on the symbol timing at which the delay time of 2 x T 2 has elapsed based on the symbol timing transmitted the downlink symbol.

따라서 기지국이 단말-A가 송신한 상향링크 심볼을 수신한 심볼 타이밍과 단말-B가 송신한 상향링크 심볼을 수신한 심볼 타이밍 간에는 타이밍 조정 오차 (Timing misalignment)가 발생한다. 상기 타이밍 조정 오차는 기지국과 단말-A 간의 시간 지연 (= 2 x T1 ) 및 기지국과 단말-B 간의 시간 지연 (=2 x T2 )로 인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시간 지연은 전파 왕복 지연 시간 (round-trip delay: RTD)이 될 수 있다.Therefore, timing misalignment occurs between the symbol timing of the base station receiving the uplink symbol transmitted by the terminal-A and the symbol timing of receiving the uplink symbol transmitted by the terminal-B. The timing adjustment error is due to the time delay (= 2 x T 1 )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A and the time delay (= 2 x T 2 )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B. For example, the time delay may be a round-trip delay (RTD).

상기 타이밍 조정 오차는 단말-A가 송신한 상향링크 심볼과 단말-B가 송신한 상향링크 심볼 간의 직교성을 깨뜨림으로써, ISI, ICI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ISI, ICI는 LTE 등의 공중 망에서 하나의 셀에 단말들이 다중 접속 (multiple access)할 시에 발생한다.The timing adjustment error can generate ISI, ICI, and the like by breaking the orthogonality between the uplink symbol transmitted by the UE-A and the uplink symbol transmitted by the UE-B. That is, ISI and ICI occur when multiple accesses are made to one cell in a public network such as LTE.

한편 상술한 이유로 인한 ISI, ICI 등이 발생하는 것은 TA 방식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상기 TA 방식은 기지국이 자신과 단말 간의 RTD 값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RTD 값을 기반으로, 단말 별로 신호의 송신 시간을 조절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occurrence of ISI, ICI, etc. due to the above-described reason can be prevented by the TA method. The TA scheme measures the RTD valu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and adjusts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signal for each terminal based on the measured RTD value.

예를 들어, 단말 별 RTD는 기지국과의 거리에 비례할 수 있다. 즉 기지국에 가까이 위치한 단말 (단말-A)은 기지국에서 멀리 위치한 단말 (단말-B)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RTD를 가진다. 따라서 기지국은 단말-A에게 알려준 송신 시각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른 송신 시각을 단말-B에게 알려준다.For example, the RTD per terminal may be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from the base station. That is, the terminal (A) located close to the base station has a relatively short RTD compared to the terminal located far from the base station (B). Therefore, the base station informs the terminal-B of the transmission time relatively earlier than the transmission time notified to the terminal-A.

상기 TA 방식은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하는 단말들이 송신하는 신호가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한 시점에서 기지국에 도달하도록 제어한다. 이는 다중 접속을 시도하는 단말들에서 사용하는 무선 자원의 직교성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ISI, ICI 등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TA scheme controls the signals transmitted by the terminals located at different positions to reach the base station at the same or almost similar timing. This is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ISI, ICI, and the like by maintaining the orthogonality of the radio resources used by the MSs attempting to access multiple accesses.

일 예로 TA 방식을 위해 기지국이 단말로 송신하는 TA 정보는 11 비트로 구성된다. 기지국은 TA 정보를 맥 제어 요소 (MAC control element)를 통해 단말로 송신한다. 상기 단말은 TA 정보를 통해 분석한 기지국의 명령에 따라 자신의 신호 송신 시각을 설정한다.For example, the TA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for the TA scheme is composed of 11 bits.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TA information to the terminal through a MAC control element. The terminal sets its signal transmission time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base station analyzed through the TA information.

일반적으로 최초 TA 정보는 상향링크 동기를 맞추는 랜덤 접근 (random access) 절차를 수행하는 중에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수신된다. 그 후 기지국은 TA 정보를 맥 제어 요소를 통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Generally, the initial TA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while performing the random access procedure for matching uplink synchronization. The base station may then transmit the TA information to the terminal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via the MAC control element.

예컨대 기지국은 단말에 의해 전송되는 기준 신호 (RS: Reference Signal), 관측 기준 신호 (SRS: Sounding Reference Signal), 또는 데이터 채널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과 같이 상향링크로 전송되는 신호들을 사용하여 TA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S may use uplink signals such as RS (Reference Signal), SRS (Sounding Reference Signal), or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TA information can be obtained.

상술한 절차에 의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TA 정보를 기반으로 자신의 TA 타이머를 동작시킬 것이다. 그 후 상기 단말은 TA 타이머의 동작이 만료되기 전까지, 상향링크로 송신하는 모든 신호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TA 정보에 기반하여 송신한다.According to the above procedure, the terminal will operate its own TA timer based on the TA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hen, the UE transmits all the signals transmitted in the uplink on the basis of the TA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until the operation of the TA timer expires.

도 3은 TA 방식을 지원하는 LTE 시스템에서의 신호 송신 절차에 대한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 대칭성이 존재함을 가정한다. 상기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 대칭성이 존재한다는 것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의 전송 지연 시간이 동일함을 가정하는 것이다.FIG. 3 shows an example of a signal transmission procedure in an LTE system supporting the TA scheme. In FIG. 3, it is assumed that symmetry exists in the uplink and the downlink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resence of symmetry in the uplink and the downlink implies that the transmission delay times of the signals transmitted through the uplink and the downlink are the same.

도 3을 참조하면, 단말-A (UE-A)는 기지국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단말-B (UE-B)는 상기 단말-A에 비해 기지국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UE-A is located near the base station, and the UE-B is located relatively far from the base station than the UE-A.

기지국 (eNB)은 정해진 심볼 타이밍 (DL symbol timing)에 맞추어 하향링크 심볼을 단말-A와 단말-B에게 전송한다 (참조번호 300). 상기 단말-A는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하향링크 심볼을 지연 시간 T1 이 경과된 후에 수신 (참조번호 312)하고, 상기 단말-B는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하향링크 심볼을 지연 시간 T2 가 경과한 후에 수신 (참조번호 322) 한다. 이때 T1 < T2 이다.The base station eNB transmits a downlink symbol to the terminal-A and the terminal-B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symbol timing (reference numeral 300). -A the terminal receives the downlink symbols transferred by the base station after a delay time T 1 has elapsed (reference number 312), and wherein the terminal is -B delay the downlink symbols transferred by the base station the time T 2 has elapsed (Reference numeral 322). Where T 1 & lt; T 2 .

한편 상기 단말-A와 상기 단말-B는 기지국으로부터의 TA 명령에 의해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정보를 송신한다 (참조번호 314, 324). Meanwhile, the terminal-A and the terminal-B transmit uplink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by a TA command from the base station (reference numerals 314 and 324).

예컨대 단말-A는 기지국으로부터의 TA 명령에 의해 지연 시간이 T1 임을 확인하면, 자신과 기지국 간의 RTD가 2 x T1 임을 예측할 수 있다. 한편 단말-B는 기지국으로부터의 TA 명령에 의해 지연 시간이 T2 임을 확인하면, 자신과 기지국 간의 RTD가 2 x T2 임을 예측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terminal-A confirms that the delay time is T 1 by the TA command from the base station, it can predict that the RTD between itself and the base station is 2 x T 1 .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rminal B confirms that the delay time is T 2 by the TA command from the base station, it can predict that the RTD between itself and the base station is 2 x T 2 .

따라서 상기 단말-A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하향링크 심볼이 수신될 것으로 예상되는 심볼 타이밍에서 예측한 RTD인 2 x T1 만큼 빠른 심볼 타이밍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참조번호 314). 상기 단말-B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하향링크 심볼이 수신될 것으로 예상되는 심볼 타이밍에서 예측한 RTD인 2 x T2 만큼 빠른 심볼 타이밍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참조번호 324).Therefore, the terminal -A transmits the downlink data and uplink control information as the 2 x T 1 predicted RTD in the symbol timing estimated from the fast symbol timing to the symbol i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see number 314 ). -B UE transmits the uplink data and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as the 2 x T 2 predicted by the symbol timing is estimated from the RTD fast symbol timing to the symbol i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reference number 324) .

상술한 바에 의해 단말-A와 단말-B 각각에서 전송된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 정보는 기지국에 의해 동일한 심볼 타이밍에 수신될 것이다 (참조번호 316, 326) 예컨대 상기 기지국은 하향링크 심볼을 송신할 심볼 타이밍에서 상기 단말-A가 RTD를 고려하여 미리 전송된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 정보와, 상기 단말-B가 RTD를 고려하여 미리 전송된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uplink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E-A and the UE-B, respectively, will be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at the same symbol timing (reference numeral 316 and 326).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transmits a symbol The UE-A can receive the uplink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previously transmitted in consideration of the RTD and the uplink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in advance in consideration of the RTD by the UE-B.

다른 관점에서 살펴보면, 단말-A는 기지국으로부터의 TA 명령에 의해 기지국이 하향링크 심볼을 송신하는 심볼 타이밍에 비해 T1 시간만큼 빨리 상향링크 심볼을 송신한다. 그리고 단말-B는 기지국으로부터의 TA 명령에 의해 상기 기지국이 하향링크 심볼을 송신하는 심볼 타이밍에 비해 T2 시간만큼 빨리 상향링크 심볼을 송신한다. 통상적으로 RTD의 절반 값을 TA로 사용할 수 있다.From another point of view, the UE-A transmits the uplink symbol by T 1 time as compared with the symbol timing at which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downlink symbol by the TA command from the base station. The terminal B transmits the uplink symbol by T 2 time as compared with the symbol timing at which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downlink symbol according to the TA command from the base station. Typically, half the value of RTD can be used as TA.

이로써 상기 기지국은 단말-A가 송신한 상향링크 심볼과 단말-B가 송신한 상향링크 심볼을 동일한 시점에서 수신하게 되므로, 상기 두 개의 상향링크 심볼로 인한 ISI, ICI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BS receives the uplink symbol transmitted from the UE-A and the uplink symbol transmitted from the UE-B at the same time, thereby preventing ISI, ICI, etc. due to the two uplink symbols.

도 4는 D2D를 지원하지 않는 LTE 시스템에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간의 프레임 타이밍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FIG. 4 shows an example of a frame timing between an uplink and a downlink in an LTE system that does not support D2D.

도 4를 참조하면, TA를 고려할 경우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 하향링크 프레임이 전송될 심볼 타이밍을 기준으로 (NTA + NTA offset) x TS 초 이전에 상향링크 프레임 (Uplink radio frame i)을 전송한다. 여기서 TS 는 LTE 시스템에서의 샘플링 타이밍 (sampling timing)으로, TS =

Figure pat00001
sec이고, NTA 는 기지국의 TA 명령에 기반하며, 0 ≤ NTA ≤ 20512의 범위를 갖는다. 단지, 임의 접근 (random access)을 수행하는 경우, NTA = 0 이다. NTA offset 는 시스템 파라미터이다. 예컨대, FDD를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에서는 NTA offset = 0, TDD를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에서는 NTA offset = 624의 값을 갖는다.Referring to FIG. 4, if the TA is considered, the mobile station transmits an uplink radio frame i (N TA + N TA offset ) x T S seconds before the symbol timing of the downlink frame to be transmitted send. Where T S is the sampling timing in the LTE system and T S =
Figure pat00001
sec, and N TA is based on the TA command of the base station and has a range of 0 ≤ N TA ≤ 20512. However, when performing random access, N TA = 0. N TA offset is a system parameter. For example, N TA offset = 0 in a frame structure supporting FDD and N TA offset = 624 in a frame structure supporting TDD.

상술한 설명에서는 D2D 디바이스가 LTE 망과 같은 공중 망 (Public Network)에 혼재하는 상황을 고려하지 않았다. 즉 LTE 망 내에 LTE 가입자 단말만이 존재함을 가정하였다. 하지만 LTE 망과 같은 공중 망 내에는 D2D 디바이스가 혼재해 있을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D2D device does not consider a situation where the D2D device coexists in a public network such as an LTE network. That is, it is assumed that only an LTE subscriber terminal exists in the LTE network. However, D2D devices may be mixed in the public network such as LTE network.

일반적으로 D2D 디바이스는 자신의 주변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D2D 디바이스를 발견하기 위해 탐색 신호 (discovery signal) 또는 탐색 정보 (discovery information)을 전송한다. 이는 송신 D2D 디바이스와 수신 D2D 디바이스 간 서로의 존재 및 관심 사항을 감지하기 위함이다.Generally, a D2D device transmits a discovery signal or discovery information to discover at least one D2D device existing in its vicinity. This is to detect the presence and concern of each other between the transmitting D2D device and the receiving D2D device.

이를 위해, D2D 디바이스는 주기적으로 자신의 존재 및 관심 사항을 주변에 알리고, 동시에 다른 D2D 디바이스의 존재 및 관심 사항을 탐색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관심 사항이란, D2D 통신의 서비스 시나리오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콜-택시를 부르는 서비스에서 관심 사항은 콜-택시 및 자신의 목적지가 될 것이다.To this end, the D2D device periodically informs its presence and concerns to the surroundings, and at the same time performs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presence and interests of other D2D devices. Here, the interest can be variously defined according to the service scenario of the D2D communication. For example, in a service that calls a call-taxi, the interest will be a call-taxi and its destination.

상기 D2D 서비스를 위한 탐색 과정은 이동 디바이스 간 직접 (M2M: Mobile-to-Mobile) 통신, 사물 간 직접 (M2M: Machine-to-Machine) 통신, 단말기 간 직접(T2T: Terminal-to-Terminal) 통신 및 개인 간 직접(P2P: Peer-to-Peer) 통신 등 다양한 방법으로 물리적인 응용에 있어서의 확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arch process for the D2D service may be a mobile-to-mobile (M2M) communication, a machine-to-machine (M2M) communication, a direct terminal- And peer-to-peer (P2P)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후술될 설명에서 D2D 디바이스는 D2D 기반의 통신 서비스뿐만 아니라 LTE 서비스와 같이 공중 망 서비스를 겸용으로 지원함을 전제로 한다. 즉 D2D 디바이스는 기본적으로 이중 모드로 동작한다. 따라서 상기 D2D 디바이스는 셀룰러 통신을 수행할 때는 셀룰러 모드로 동작하고, D2D 서비스를 위한 탐색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기 위해서는 D2D 모드로 동작한다. 상기 D2D 모드로 동작하는 D2D 디바이스는 셀룰러 모드에서 무선 자원 제어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이 설정된 단말 (RRC_Connected UE)이거나 RRC 연결을 해제한 단말 (RRC_Idle UE)일 수도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D2D device supports not only the D2D-based communication service but also the public network service such as the LTE service. That is, the D2D device basically operates in a dual mode. Therefore, the D2D device operates in the cellular mode when performing the cellular communication, and operates in the D2D mode in order to transmit or receive the search signal for the D2D service. The D2D device operating in the D2D mode may be a terminal (RRC_Connected UE) having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connection established in a cellular mode or a terminal (RRC_Idle UE) having released an RRC connection.

D2D 디바이스는 D2D 모드로 동작할 시 상향링크 부-프레임 (Uplink sub-frame)에서 D2D 서비스를 위한 탐색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한다. 이를 위해 D2D 디바이스는 공중 망에서 제공되는 시스템 정보 블록 (SIB: System Information Block)을 통해 탐색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 구조를 파악한다. When operating in the D2D mode, the D2D device transmits or receives a search signal for the D2D service in an uplink sub-frame. To this end, the D2D device identifies a resource structure for transmitting a search signal through a system information block (SIB) provided in the public network.

예컨대 해당 무선 프레임 내에서 x 번째 상향링크 부-프레임이 탐색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지정된 부-프레임임을 알게 된다. 뿐만 아니라 해당 무선 프레임 내에서 x 번째 상향링크 부-프레임부터 y 번째 상향링크 부-프레임이 탐색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지정된 부-프레임들임을 알게 된다.For example, it is found that the x-th uplink sub-frame within the radio frame is a designated sub-frame for transmitting the search signal. In addition, it is known that within the radio frame, the y-th uplink sub-frame from the x-th uplink sub-frame is the designated sub-frames for transmitting the search signal.

앞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D2D 디바이스는 공중 망에서의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통해 탐색신호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공중 망(일 예로 셀룰러 시스템)과 RRC 연결을 유지하고 있는 D2D 디바이스 (RRC_Connected D2D 디바이스)는 상기 공중 망에서 상향링크로 제공되는 TA 정보를 이용하여 탐색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2D device can perform the search signal transmission through the uplink sub-frame in the public network. Therefore, the D2D device (RRC_Connected D2D device) that maintains the RRC connection with the public network (for example, the cellular system) can transmit the search signal using the TA information provided in the uplink in the public network.

하지만 공중 망과 RRC 연결을 유지하고 있지 않는 D2D 디바이스 (RRC_Idle D2D 디바이스)는 상기 공중 망에서 상향링크로 제공되는 TA 정보를 획득할 수 없다. 따라서 RRC_Idle D2D 디바이스는 공중 망의 하향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탐색 신호를 전송해야 한다. 즉, RRC_Connected D2D 디바이스는 TA 정보를 이용한 상향링크 타이밍을 기준으로 탐색 신호를 송신하고, RRC_Idle D2D 디바이스는 하향링크 타이밍을 기준으로 탐색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탐색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기준 타이밍이 서로 상이함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와 다른 D2D 디바이스로부터의 탐색 신호를 수신하는 D2D 디바이스에게 ISI, ICI 등을 야기하도록 하는 이유가 된다.However, the D2D device (RRC_Idle D2D device) that does not maintain the RRC connection with the public network can not acquire the TA information provided in the uplink in the public network. Therefore, the RRC_Idle D2D device should transmit the search signal based on the downlink reception timing of the public network. That is, the RRC_Connected D2D device transmits the search signal on the basis of the uplink timing using the TA information, and the RRC_Idle D2D device transmits the search signal on the basis of the downlink timing. The fact that the reference timings for transmitting the search signal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s a reason for causing the D2D device receiving the search signal from the D2D device and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to cause ISI, ICI, and the like.

한편 LTE 시스템에서 TA에 의해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은 TA 타이머가 종료될 시, 자신의 복합 재 전송 (HARQ) 버퍼를 비우고, RRC로 PUCCH와 SRS의 해제 (release)를 알린다. 그 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자원할당 정보를 지운다. 이는 셀룰러 단말의 TA 타이머가 종료되면, 기지국은 상향링크로 임의 접근 프리앰블 (random access preamble)을 전송하는 것을 제외한 어떠한 상기 셀룰러 단말의 전송도 허락하지 않음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LTE system, when the TA timer ends, the UE emits a HARQ buffer and notifies the RRC of the release of the PUCCH and the SRS. The UE then deletes downlink and uplink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This means that, when the TA timer of the cellular terminal ends, the base station does not allow transmission of any of the cellular terminals except for transmitting a random access preamble in the uplink.

이러한 이유로 인해, TA 타이머가 종료된 D2D 디바이스에 의해 상향링크를 통한 탐색 신호의 전송 동작을 지원하지 못한다. 즉 TA 타이머가 종료된 D2D 디바이스의 경우, 상향링크로 셀룰러 데이터 및 제어 정보뿐만 아니라, D2D 서비스를 위한 탐색신호의 전송도 할 수 없게 된다.For this reason, the D2D device for which the TA timer has expired does not support the transmission operation of the search signal on the uplink. That is, in the case of the D2D device in which the TA timer is terminated, it is impossible to transmit the search signal for the D2D service as well as the cellular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적용할 공중 망에서의 신호 송/수신에 대한 일 예를 보이고 있다.FIG. 1 shows an example of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in a public network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110)은 공중 망을 구성하며, LTE 서비스와 같이 공중 망 서비스에 따른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기지국(110)은 공중 망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 A(112)로부터 신호 a를 수신한다.Referring to FIG. 1, a BS 110 configures a public network and provide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according to a public network service, such as an LTE service.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110 receives a signal a from the terminal A 112 using the public network service.

단말 A, B, C(112, 114, 116)은 D2D 디바이스이나 이용하는 서비스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A(112)는 공중 망 서비스에 따라 상향링크를 통해 공중 망 신호 a를 송신하는 D2D 디바이스이고, 단말 B(114)는 D2D 서비스에 따라 상향링크를 통해 D2D 신호 b를 송신하는 D2D 디바이스이며, 단말 C(116)는 D2D 서비스에 따라 상향링크를 통해 D2D 신호 b를 수신하는 D2D 디바이스이다.The terminals A, B, and C (112, 114, and 116) can be distinguished by a D2D device or a service to be used. For example, the terminal A 112 is a D2D device that transmits a public network signal a through an uplink according to a public network service, and the terminal B 114 is a D2D device that transmits a D2D signal b through an uplink according to a D2D service , And the terminal C (116) is a D2D device that receives the D2D signal b on the uplink according to the D2D service.

상기한 바와 같은 경우, 단말 B(114)가 송신하는 D2D 신호 b는 기지국(110)에서의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단말 A(112)가 송신하는 공중 망 신호 a는 D2D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 C(116)에서의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다.In such a case, the D2D signal b transmitted by the terminal B 114 may act as an interference in the base station 110. [ In addition, the public network signal a transmitted by the terminal A 112 may act as interference in the terminal C 116 operating in the D2D mod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룰러 시스템에서 D2D 탐색 신호의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 예를 보이고 있다. 도 5에서는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셀룰러 시스템 (이하 “FDD 시스템”이라 칭함)을 가정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바가 반드시 FDD 시스템에 국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of resource allocation for transmission of a D2D search signal in a cellula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 cellular system based on a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FDD)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FDD system) is assumed. However, the proposa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FDD system.

도 5를 참조하면, FDD 시스템은 DL과 UL을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구분한다.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DL에서 전송되는 프레임 (이하 “DL 프레임”이라 칭함)(510) 구조와 UL에서 전송되는 프레임 (이하 “UL 프레임”이라 칭함)(520) 구조는 서로 상이하게 정의된다.Referring to FIG. 5, the FDD system distinguishes DL and UL us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a frame transmitted from a DL us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hereinafter referred to as "DL frame") 510 and the structure of a frame transmitted from UL (hereinafter referred to as "UL frame") 52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s defined.

예컨대 하나의 DL 프레임(510)은 10 개의 서브 프레임들로 구성된다. 상기 하나의 DL 프레임의 길이는 10ms이므로, 하나의 서브 프레임의 길이는 1 ms가 된다. 상기 10개의 서브 프레임 각각은 하향링크 물리 제어 채널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과 하향링크 물리 공유 채널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포함한다.For example, one DL frame 510 is composed of 10 subframes. Since the length of one DL frame is 10 ms, the length of one sub frame is 1 ms. Each of the 10 subframes includes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and a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일 예로 매 서브 프레임의 선행하는 일정 구간에서 기지국은 PDCCH를 전송하고, 나머지 구간에서 PDSCH를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은 PDCCH를 통해 DL 및 UL 자원 할당 정보 외에 PDSCH로부터 SIB(512)를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전송한다. 일 예로 상기 SIB(512)를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는 SIB의 자원 할당 정보로써, 특정 PDSCH에서 SIB(512)가 위치하는 주파수-시간 영역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DL 프레임(510) 내에서 SIB(512)의 전송 주기는 40ms 내지 640ms로 설계되나 그 이상으로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the BS transmits the PDCCH in the preceding period of each subframe, and transmits the PDSCH in the remaining period. The BS transmits information necessary for acquiring the SIB 512 from the PDSCH in addition to the DL and UL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PDCCH. For example, the information required to acquire the SIB 512 may b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of the SIB, and may be information on a frequency-time region in which the SIB 512 is located in a specific PDSCH.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SIB 512 in the DL frame 510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is designed to be 40 ms to 640 ms, or more.

상기 SIB(512)는 D2D 서비스에 따른 탐색 신호의 전송을 위해 고정 할당된 자원 할당 정보 (이하 “탐색 서브 프레임(522)에 대한 정보”라 칭함)를 포함한다. 상기 탐색 서브 프레임(522)에 대한 정보는 UL 프레임(520) 내의 서브 프레임들 중 탐색 신호의 전송을 위해 허락된 서브 프레임, 즉 탐색 서브 프레임(522)을 인지하도록 하는 정보이다. 예컨대 상기 탐색 서브 프레임(522)에 대한 정보는 UL 프레임(520)을 구성하는 서브 프레임들 중 탐색 서브 프레임(522)을 가리키는 식별 정보와, 상기 탐색 서브 프레임(522)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The SIB 512 includes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quot; information on the search subframe 522 &quot;) that is fixedly allocated for transmission of a search signal according to the D2D service. The information on the search sub-frame 522 is information for allowing the sub-frame permitted to transmit the search signal among the sub-frames in the UL frame 520, i.e., the search sub-frame 522 to be recognized. For example, the information on the search sub-frame 522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search sub-frame 522 and information on the cycle of the search sub-frame 522 among the sub-frames constituting the UL frame 520 do.

상기 기지국은 D2D 디바이스가 DL 프레임(510)을 구성하는 매 서브 프레임에서 전송되는 PDCCH를 복호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마스터 정보 블록 (MIB: Master Information Block)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은 MIB를 물리 방송 채널 (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The base station transmits information included in a master information block (MIB) to decode the PDCCH transmitted in each subframe constituting the DL frame 510 by the D2D device.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the MIB through a 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

예컨대 상기 MIB는 하향링크 시스템 대역폭 (DL system bandwidth), 시스템 프레임 넘버 (system frame number), 물리 복합 재전송 식별 채널 (PHICH: Physical Hybrid-ARQ Indication Channel) 등과 같은 시스템에 있어서의 필수 파라미터 정보들에 의해 구성된다.For example, the MIB may be configured by the necessary parameter information in a system such as a DL system bandwidth, a system frame number, a PHICH (Physical Hybrid-ARQ Indication Channel) .

상기 D2D 디바이스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제1동기신호 (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와 제2동기신호 (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하향링크 동기를 맞춘다. 그 후 상기 D2D 디바이스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PBCH를 통해 전송되는 MIB를 수신한다. 상기 D2D 디바이스는 수신한 MIB를 분석하여 자신이 접속한 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다.The D2D device synchronizes downlink synchronization with the base station using a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and a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 from the base station. Then, the D2D device receives the MIB transmitted through the PBCH from the base station. The D2D device analyzes the received MIB and confirms information on the cell to which it is connected.

예컨대 MIB가 앞에서 정의된 필수 파라미터 정보들을 포함할 시, D2D 디바이스는 MIB에 포함된 필수 파라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매 서브 프레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PDCCH를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MIB includes the required parameter information defined above, the D2D device can receive the PDCCH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in each subframe using the required paramet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IB.

상기 D2D 디바이스는 미리 알고 있는 시스템 정보-무선 망 임시 식별자 (SI-RNTI: System Information-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를 이용하여 수신한 PDCCH 내에 존재하는 SIB의 자원 할당 정보를 복호한다. 상기 SIB의 자원 할당 정보는 서브 프레임을 구성하는 PDSCH에서 SIB가 위치하는 주파수-시간 영역에 대한 정보이다. 상기 D2D 디바이스는 PDCCH로부터 획득한 SIB의 자원 할당 정보, 즉 주파수-시간 영역에 대한 정보에 상응한 특정 PDSCH의 주파수-시간 영역에 기록된 SIB를 복호한다. The D2D device decodes th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of the SIB existing in the received PDCCH using a known System Information-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SI-RNTI). Th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of the SIB is information on the frequency-time domain in which the SIB is located in the PDSCH constituting the subframe. The D2D device decodes the SIB recorded in the frequency-time region of the specific PDSCH corresponding to th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of the SIB acquired from the PDCCH, that is, information on the frequency-time region.

상기 D2D 디바이스는 복호에 성공한 SIB에 포함된 탐색 서브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이로써 상기 D2D 디바이스는 UL 프레임(520) 내에서 몇 번째 서브 프레임이 탐색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용도로 할당되었는지를 인지할 수 있다. 그 외에 상기 D2D 디바이스는 몇 번째 UL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몇 개의 UL 서브 프레임이 탐색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용도로 할당된 탐색 서브 프레임인지를 인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D2D 디바이스는 탐색 서브 프레임에 대한 정보에 의해 하나의 UL 프레임(520)에서의 탐색 서브 프레임 또는 탐색 서브 프레임들의 주기에 대한 정보도 인지할 수 있다.The D2D device acquires information on the search sub-frame included in the SIB that has succeeded in decoding. Accordingly, the D2D device can recognize how many subframes in the UL frame 520 are allocated for transmission of the search signal. In addition, the D2D device may recognize which UL subframe from which UL subframe is the search subframe allocated for transmission of the search signal. Also, the D2D device can recognize information on the search subframe or the search subframe period in one UL frame 520 by information on the search subframe.

예컨대 상기 UL 프레임(520)은 20 개의 타임 슬롯들로 구성된다. 상기 하나의 UL 프레임(520)의 길이는 10ms이므로, 하나의 타임 슬롯의 길이는 0.5 ms가 된다. 상기 타임 슬롯들은 UL 데이터 채널로써, PUSCH를 위한 자원으로 할당된다. 상기 PUSCH를 위해 할당된 20 개의 타임 슬롯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임 슬롯 (522)은 탐색 서브 프레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탐색 서브 프레임은 D2D 탐색 신호의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For example, the UL frame 520 is composed of 20 time slots. Since the length of one UL frame 520 is 10 ms, the length of one time slot is 0.5 ms. The timeslots are allocated as resources for the PUSCH as UL data channels. At least one time slot 522 of the 20 time slots allocated for the PUSCH may be used as a search sub-frame. The search sub-frame is used for transmission of the D2D search signal.

한편 상기 PUSCH를 위한 자원으로 할당된 타임 슬롯들은 셀룰러 단말 (공중 망을 이용하는 단말)의 UL 피드 백 채널인 PUCCH와 주파수 분할 다중화 (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 5에서는 타임 슬롯들 상/하측에 존재하는 일부 주파수 자원들이 PUCCH를 위해 할당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5에서는 D2D 탐색 신호 전송을 위한 PSUCH와 셀룰러 단말을 위한 PUCCH을 FDM하여 사용한 예를 보이고 있다. 이는 탐색 서브 프레임이 D2D 탐색신호 전송만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자원 할당 방법이 적용된다.Meanwhile, time slots allocated as resources for the PUSCH may be frequency division multiplexed (FDM) with a PUCCH, which is a UL feedback channel of a cellular terminal (a terminal using a public network). For example, in FIG. 5, it is confirmed that some frequency resources existing in the upper / lower part of the time slots are allocated for the PUCCH. That is, FIG. 5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PSUCH for the D2D search signal transmission and the PUCCH for the cellular terminal are FDM. The same resource allocation method is applied even when the search sub-frame is used only for D2D search signal transmission.

한편 도 5에서도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D2D 디바이스는 SIB(512)로부터 획득한 탐색 서브 프레임에 대한 정보에 의해 UL 프레임(520)을 구성하는 PUSCH로 할당된 타임 슬롯들 중 어떠한 타임 슬롯(들)이 D2D 서비스에 따른 탐색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할당되었는지를 인지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the D2D device determines the time slot (s) among the time slots allocated to the PUSCH constituting the UL frame 520 by information on the search subframe acquired from the SIB 512, Is allocated to transmit a search signal according to the D2D service.

따라서 D2D 디바이스는 UL 프레임을 구성하는 타임 슬롯들 중 인지한 적어도 하나의 타임 슬롯에서 탐색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Therefore, the D2D device can transmit or receive the search signal in at least one time slot recognized among the time slots constituting the UL frame.

만일 UL 프레임(520) 내에서 탐색 서브 프레임의 위치에 변동이 생길 경우, 기지국은 변동 사항을 SIB(512) 또는 호출 채널 (paging channel)을 통해 D2D 디바이스에게 알려 줄 수 있다.If there is a change in the location of the search subframe within the UL frame 520, the base station may inform the D2D device of the change via the SIB 512 or the paging channel.

예컨대 탐색 서브 프레임의 변동은 하나의 UL 프레임(520) 내에서 탐색 서브 프레임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탐색 서브 프레임의 개수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경우 등이 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variation of the search sub-frame may be such that the position of the search sub-frame changes within one UL frame 520, or the number of search sub-frames increases or decreases.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탐색 서브 프레임에서 탐색 신호 전송을 위한 PUSCH와 셀룰러 단말의 PUCCH가 서로 다른 기준 타이밍으로 인해, 기지국에서 발생하는 간섭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interference occurring in a base station due to different reference timings of a PUSCH for a search signal transmission and a PUCCH for a cellular terminal in a search sub-fram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단말-A (D2D UE-A)(620)는 탐색 서브 프레임에서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D2D 디바이스이고, 단말-B (D2D UE-B)(630)는 탐색 서브 프레임에서 탐색 신호를 수신하는 D2D 디바이스이며, 단말-C (Cellular UE-C)(640)는 탐색 서브 프레임에서 PUCCH를 통해 기지국 (eNB)(610)으로 피드백을 수행하는 셀룰러 단말임을 가정한다. 상기 단말-A(620)는 상기 기지국(610)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상기 단말-C(640)는 상기 기지국(610)과 상대적으로 먼 곳에 위치한다고 가정한다.Referring to FIG. 6, the D2D UE-A 620 is a D2D device that transmits a search signal in a search sub-frame, and the D2D UE- And a UE-C 640 is a cellular terminal that performs feedback to a base station (eNB) 610 through a PUCCH in a search sub-frame. It is assumed that the terminal-A 620 is located close to the base station 610 and the terminal-C 640 is located relatively far from the base station 610.

상기 단말-C(640)는 셀룰러 단말이므로, UL 신호 (PUCCH 신호)를 TA 정보를 이용하여 2xTC 만큼 빨리 송신한다 (참조번호 662, 664, 670). 예컨대 상기 단말-C(640)는 TA 정보에 의해 확인할 수 있는 DL에서의 지연 시간 TC 를 고려하여 기지국이 기준 타이밍에서 전송한 DL 프레임의 PDSCH를 수신할 타이밍을 예측할 수 있다. 만약 TA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상기 단말-C(640)는 상기 예측한 PDSCH의 수신 타이밍에서 UL 프레임을 구성하는 PUCCH를 송신할 것이다 (참조번호 662). 하지만 상기 단말-C(640)는 예측한 PDSCH의 수신 타이밍, 즉 PUCCH의 예측 송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2xTC 만큼 빠른 타이밍 (참조번호 670)에서 UL 프레임에서의 PUCCH를 송신한다 (참조번호 664).Since the terminal C 640 is a cellular terminal, it transmits a UL signal (PUCCH signal) as fast as 2xT C using TA information (reference numerals 662, 664, and 670). For example, the UE-C 640 can estimate the timing of receiving the PDSCH of the DL frame transmitted at the base timing in consideration of the delay time T C in the DL that can be confirmed by the TA information. If the TA is not considered, the UE-C 640 transmits a PUCCH constituting an UL frame at a reception timing of the predicted PDSCH (reference numeral 662). However, the UE-C 640 transmits a PUCCH in the UL frame (reference numeral 664) at a timing (reference numeral 670) as fast as 2xT C based on the predicted PDSCH reception timing, i.e., the PUCCH predicted transmission timing.

따라서 상기 기지국(610)은 상기 단말-C(640)에 의해 송신된 UL 신호 (UL 프레임에서의 PUCCH 신호)를 기준 타이밍에 수신하게 된다 (참조번호 666). 상기 기준 타이밍은 상기 기지국(610)이 하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이 될 수 있다 (참조번호 652).Accordingly, the BS 610 receives the UL signal (PUCCH signal in the UL frame) transmitted by the UE-C 640 at a reference timing (reference numeral 666). The reference timing may be a time when the base station 610 transmits a downlink signal (reference numeral 652).

상기 단말-A(620)의 상태를 셀룰러 RRC_Idle 상태라고 가정하면, 상기 단말-A(620)는 상기 기지국(610)에 의해 제공된 상향링크 TA 정보가 아닌, 상기 기지국(610)의 하향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D2D 탐색 신호를 송신한다 (참조번호 656). 따라서 상기 단말-A(620)와 상기 기지국(610)은 가까운 곳에 위치하므로, 상기 기지국(610)은 자신이 하향링크 신호를 송신한 시점 (참조번호 652)으로부터 2xTA 의 RTD만큼이 경과한 후에 상기 단말-A(620)에 의해 송신된 D2D 탐색 신호를 수신한다 (참조번호 658). Assuming that the state of the UE-A 620 is a cellular RRC_Idle state, the UE-A 620 transmits the uplink TA information provided by the Node B 610, (Reference numeral 656). Therefore, since the UE-A 620 and the BS 610 are located close to each other, the BS 610 receives the RTD of 2xT A from the time when the BS 610 has transmitted the downlink signal (reference numeral 652) And receives the D2D search signal transmitted by the terminal-A 620 (reference numeral 658).

따라서 상기 기지국(610)은 상기 단말-C(640))가 탐색 서브 프레임 내에서 송신한 PUCCH 신호 (참조번호 666)와 상기 단말-A(620)가 송신한 PUSCH 신호 (참조번호 658)를 서로 다른 타이밍 (참조번호 680)에서 수신하므로, 상기 두 수신 신호들로 인한 간섭이 발생한다.Accordingly, the BS 610 transmits a PUCCH signal (reference numeral 666)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C 640 in the search sub-frame to a PUSCH signal (reference numeral 658)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A 620 Since it is received at another timing (reference numeral 680), interference due to the two received signals occurs.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탐색 서브 프레임에서 탐색 신호 전송을 위한 PUSCH와 해당 탐색 서브 프레임에 인접한 셀룰러 단말의 PUSCH가 서로 다른 기준 타이밍으로 인해, 기지국에서 발생하는 간섭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FIG. 7 shows an example of interference occurring in a base station due to different reference timings of a PUSCH for transmission of a search signal and a PUSCH of a cellular terminal adjacent to the search subframe in the search sub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단말-A (D2D UE-A)(720)는 탐색 서브 프레임에서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D2D 디바이스이고, 단말-B (D2D UE-B)(730)는 탐색 서브 프레임에서 탐색 신호를 수신하는 D2D 디바이스이며, 단말-C (Cellular UE-C)(740)는 탐색 서브 프레임에 바로 인접한 다음 서브 프레임에서 상향 링크 PUSCH로 셀룰러 데이터를 송신하는 셀룰러 단말임을 가정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D2D UE-A 720 is a D2D device that transmits a search signal in a search sub-frame, and the D2D UE- (Cellular UE-C) 740 is a cellular terminal that transmits cellular data on the uplink PUSCH in the next subframe immediately adjacent to the search subframe.

상기 단말-C(740)는 셀룰러 단말이므로, UL 신호 (PUSCH 신호)를 TA 정보를 이용하여 2xTC 만큼 빨리 송신한다 (참조번호 762, 764, 770). 예컨대 상기 단말-C(740)는 TA 정보에 의해 확인할 수 있는 DL에서의 지연 시간 TC 를 고려하여 기지국이 기준 타이밍에서 전송한 DL 프레임의 PDSCH를 수신할 타이밍을 예측할 수 있다. 만약 TA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상기 단말-C(740)는 상기 예측한 PDSCH의 수신 타이밍에서 UL 프레임을 구성하는 PUSCH를 송신할 것이다 (참조번호 762). 하지만 상기 단말-C(740)는 예측한 PDSCH의 수신 타이밍, 즉 PUSCH의 예측 송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2xTC 만큼 빠른 타이밍(참조번호 770)에서 UL 프레임에서의 PUSCH를 송신한다 (참조번호 764).Since the terminal C 740 is a cellular terminal, the terminal C 740 transmits a UL signal (PUSCH signal) as fast as 2xT C using TA information (reference numerals 762, 764, and 770). For example, the UE-C 740 can estimate the timing of receiving the PDSCH of the DL frame transmitted at the base timing in consideration of the delay time T C in the DL that can be confirmed by the TA information. If the TA is not considered, the terminal C 740 will transmit a PUSCH constituting an UL frame at a reception timing of the predicted PDSCH (reference numeral 762). However, the UE-C 740 transmits the PUSCH in the UL frame (reference numeral 764) at a timing (reference numeral 770) as fast as 2xT C based on the reception timing of the predicted PDSCH, i.e., the predicted transmission timing of the PUSCH.

따라서 상기 기지국(710)은 상기 단말-C(740)에 의해 송신된 UL 신호, 즉 PUSCH 신호를 기준 타이밍에 수신하게 된다 (참조번호 766). 상기 기준 타이밍은 상기 기지국(710)이 하향링크를 통해 PUSCH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이 될 수 있다 (참조번호 752).Accordingly, the BS 710 receives the UL signal, i.e., the PUSCH signal, transmitted by the UE-C 740 at a reference timing (reference numeral 766). The reference timing may be a time point at which the BS 710 transmits a PUSCH signal on the downlink (reference numeral 752).

상기 단말-A(720)의 상태를 셀룰러 RRC_Idle 상태라고 가정하면, 상기 단말-A(720)는 상기 기지국(710)에 의해 제공된 상향링크 TA 정보가 아닌, 상기 기지국(710)의 하향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D2D 탐색 신호를 송신한다 (참조번호 756). 따라서 상기 기지국(710)은 자신이 하향링크 신호를 송신한 시점 (참조번호 752)으로부터 2xTA 의 RTD만큼이 경과한 후에 상기 단말-A(720)에 의해 송신된 D2D 탐색 신호를 수신한다 (참조번호 758).Assuming that the state of the UE-A 720 is a cellular RRC_Idle state, the UE-A 720 transmits the uplink TA information provided by the Node B 710, (Reference numeral 756). Accordingly, the base station 710 receives the D2D search signal transmitted by the terminal-A 720 after a time of 2xT A RTD has elapsed from the time point at which the base station 710 transmitted the downlink signal (reference numeral 752) No. 758).

따라서, 상기 기지국(710)은 상기 단말-C(740)가 탐색 서브 프레임 내에 송신한 PUSCH 신호 (참조번호 766)와 상기 단말-A(720)가 인접 셀룰러 서브 프레임 내에서 송신한 D2D 탐색 신호를 서로 다른 타이밍 (참조번호 780)에서 수신하므로, 상기 두 신호들로 인한 간섭이 발생한다. 상술한 이유로 발생하는 간섭은 탐색 서브 프레임의 마지막 SC-FDMA (또는 OFDMA) 심볼을 비우고, 해당 심볼을 가드 (guard) 심볼로 사용함으로써, 셀룰러 서브 프레임에서 야기되는 간섭을 해결할 수도 있다. Accordingly, the BS 710 transmits a PUSCH signal (reference numeral 766) transmitted in the search sub-frame by the UE-C 740 and a D2D search signal transmitted in the neighboring cellular subframe by the UE- Since they are received at different timings (reference numeral 780), interference due to the two signals occurs. Interference arising for the reasons described above may resolve the interference caused by the cellular subframe by emptying the last SC-FDMA (or OFDMA) symbol of the search subframe and using that symbol as a guard symbol.

상술한 동작 예에서는 D2D 탐색 부 프레임과 그 다음 셀룰러 데이터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PUSCH와의 서로 다른 타이밍으로 인한 간섭이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D2D 탐색 부 프레임 이전에 위치한 셀룰러 데이터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PUSCH와의 서로 다른 타이밍으로 인한 간섭이 발생할 수도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It can be confirmed that interference due to different timings of the D2D searcher frame and the PUSCH for the next cellular data transmission can occur.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interference due to different timing with the PUSCH for the purpose of transmitting the cellular data located before the D2D searcher frame may occur.

상술한 이유로 셀룰러 서브 프레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은 탐색 서브 프레임의 첫 번째 SC-FDMA (또는 OFDMA) 심볼을 비우고, 해당 심볼을 가드 심볼로 사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Interference that may occur in a cellular sub-frame for the above reason can be solved by emptying the first SC-FDMA (or OFDMA) symbol of the search sub-frame and using the corresponding symbol as a guard symbol.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D2D 디바이스 간의 서로 다른 기준 타이밍으로 인해, D2D 디바이스의 수신단에서 발생하는 간섭에 대한 예시이다. 8 is an example of interference generated at the receiving end of the D2D device due to different reference timings between the D2D devic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단말-A (D2D UE-A)(820)는 셀룰러 RRC_Idle 상태에서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D2D 디바이스이고, 단말-B (D2D UE-B)(830)는 탐색 서브 프레임에서 탐색 신호를 수신하는 D2D 디바이스이며, 단말-C (Cellular UE-C)(840)는 셀룰러 RRC_Connected 상태에서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D2D 디바이스임을 가정한다. 상기 단말-A(820)는 상기 기지국(810)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상기 단말-C(840)는 상기 단말-A(820)에 비해 상기 기지국(81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함을 가정한다.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단말-A(820)와 상기 단말-B(830) 사이의 거리와, 상기 단말-C(840)와 상기 단말-B(830)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Referring to FIG. 8, the D2D UE-A 820 is a D2D device that transmits a search signal in the cellular RRC_Idle state, and the D2D UE- (CELLULAR UE-C) 840 is a D2D device that transmits a search signal in a cellular RRC_Connected state. It is assumed that the terminal-A 820 is located close to the base station 810 and that the terminal-C 840 is located relatively far from the base station 810 than the terminal-A 82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A 820 and the terminal-B 83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C 840 and the terminal-B 830 are the same .

상기 단말-A(820)의 상태가 셀룰러 RRC_Idle 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단말-A(820)는 상기 기지국(810)으로부터 상향링크를 통해 제공된 TA 정보가 아닌, 상기 기지국(810)의 하향링크 수신 타이밍 (참조번호 854)을 기준으로 D2D 탐색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참조번호 856). 즉 상기 단말-A(820)는 상기 기지국(810)의 하향링크 송신 타이밍 (참조번호 852)로부터 TA 만큼 지연된 시점에서 D2D 탐색 신호를 송신한다. A 820 is not in the TA information provided on the uplink from the BS 810 but in the downlink reception timing of the BS 810 because it is in the cellular RRC_Idle state, (Reference numeral 854), and transmits the D2D search signal (reference numeral 856). That is, the terminal-A 820 transmits a D2D search signal at a time point delayed by T A from the downlink transmission timing (reference numeral 852) of the base station 810.

한편 상기 단말-B(830)는 상기 단말-A(820)가 D2D 탐색 신호를 송신한 시점으로부터 TAB 만큼 지연된 시간에 상기 단말-A(820)에 의해 송신된 D2D 탐색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참조번호 858). 즉 상기 단말-B(830)는 상기 기지국(810)이 하향링크를 통해 신호를 송신한 기준 타이밍 (참조번호 852)으로부터 TA+TAB 가 경과한 시점에서 상기 단말-A(820)에 의해 송신된 D2D 탐색 신호를 수신한다. Meanwhile, the terminal-B 830 receives the D2D search signal transmitted by the terminal-A 820 at a time delayed by T AB from the terminal-A 820 transmitting the D2D search signal 858). That is, the terminal-B 830 transmits a signal through the downlink to the terminal-A 820 at a point of time T A + T AB elapses from a reference timing (reference numeral 852) And receives the transmitted D2D search signal.

상기 단말-C(840)의 상태가 셀룰러 RRC_Connected 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단말-C(840)는 상기 기지국(810)으로부터 상향링크를 통해 제공된 TA 정보를 기반으로 2xTC 만큼 빠른 시점에 D2D 탐색 신호를 송신한다. 즉 상기 단말-C(840)는 상기 기지국(810)에 의해 전송된 하향링크 신호 (참조번호 852)를 자신이 수신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 (참조번호 862)으로부터 2xTC 만큼 빠른 시점에서 D2D 탐색 신호를 송신한다 (참조번호 864). 상기 수신 예상 시점은 상기 기지국(810)이 하향링크 신호를 송신한 기준 시점으로부터 TC 만큼의 시간이 경과된 시점이 될 것이다.Since the state of the UE-C 840 is in the cellular RRC_Connected state, the UE 840 receives a D2D search signal at a time 2xT C earlier than the TA information provided on the uplink from the BS 810 . That is, the UE-C 840 transmits the D2D search signal (reference numeral 852) at a point 2xT C earlier than the time point (reference numeral 862) at which it is supposed to receive the downlink signal (reference numeral 852) (Reference numeral 864). The expected reception time point will be a time point at which T C has elapsed from a reference time point at which the base station 810 transmits the downlink signal.

상술한 바로 인해, 상기 단말-B(830)는 상기 단말-C(840)가 송신한 시점으로부터 TCB 만큼 지연된 시간에 상기 단말-C(840)에 의해 송신된 D2D 탐색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참조번호 866). 즉 상기 단말-B(830)는 상기 단말-C(840)가 상기 기지국(810)에 의해 전송된 하향링크 신호 (참조번호 852)를 수신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 (참조번호 862)을 기준으로 -2xTC +TCB 되는 시점에서 상기 단말-C(840)에 의해 전송된 D2D 탐색 신호를 수신한다. The terminal B 830 receives the D2D search signal transmitted by the terminal C 840 at a time delayed by T CB from the terminal C 840 866). That is, the UE-B 830 receives a downlink signal (reference numeral 862) that is expected to receive the downlink signal (reference numeral 852) transmitted by the Node B 810 from the UE- And receives the D2D search signal transmitted by the UE-C 840 at the time of 2xT C + T CB .

따라서 상기 단말-B(830)는 서로 다른 기준 타이밍을 기반으로 송신된 D2D 탐색신호를 CP 내에서 수신하지 못할 경우, ISI 및 ICI를 유발할 수 있다.Therefore, if the UE-B 830 can not receive the D2D search signal transmitted based on different reference timings in the CP, the UE-B 830 may cause ISI and ICI.

따라서 D2D 디바이스가 혼재하고 있는 셀룰러 망과 같은 공중 망에서 서로 다른 두 가지의 통신 방식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Therefore, a way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caused by two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in a public network such as a cellular network in which D2D devices are mixed should be provided.

상기 D2D 통신을 기반으로, 단말에서 주변 단말을 찾기 위한 탐색 신호의 전송이 필요하며, 본 발명은 이러한 D2D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D2D에서의 탐색신호 전송을 위한 시간 동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the D2D, and more particularly, to a time synchronization method for transmitting a search signal in a D2D .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RRC_Connected 단말과 RRC_Idle 단말이 셀룰러 상향링크에서 D2D 탐색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시각 설정 방법과 TA 타이머의 동작에 대해 제안할 것이다. 이를 통해, 기지국 및 D2D 탐색신호를 수신하는 D2D 디바이스로 야기되는 ISI와 ICI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TA 타이머가 종료된 D2D 디바이스도 상향링크에서 D2D 탐색 신호 전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D2D 디바이스가 셀룰러 단말로 야기하는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많은 수의 D2D 디바이스가 탐색을 수행함으로써, D2D 디바이스의 탐색 성능을 최대화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mission time setting method and a TA timer operation for the RRC_Connected terminal and the RRC_Idle terminal to transmit the D2D search signal in the cellular uplink will be proposed. This minimizes the ISI and ICI caused by the base station and the D2D device receiving the D2D search signal, and also enables the D2D device that has completed the TA timer to transmit the D2D search signal in the uplink. In addition, the interference caused by the D2D device to the cellular terminal can be minimized, and a large number of D2D devices perform the search, thereby maximizing the search performance of the D2D device.

이하 설명에서는 D2D 탐색 신호의 전송을 위한 시간 동기화 방법 및 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상향링크에서 전송되는 셀룰러 단말의 데이터 및 제어 정보와 D2D 디바이스의 탐색 신호 간에 서로 다른 송신 시각을 설정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서로 다른 송신 시각을 설정함으로 인해, D2D 탐색신호를 송신하는 단말이 셀룰러 단말의 데이터 및 제어 정보의 수신에 야기하는 간섭을 최소화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또한 서로 다른 D2D 디바이스의 탐색 신호가 서로 다른 송신 시각 설정에 기인하여 송신되기 때문에 D2D 디바이스의 수신단에서 발생하는 간섭을 최소화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뿐만 아니라 구체적으로 살펴볼 두 가지 방법을 동작시키기 위해, TA 타이머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도 설명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 synchronization for transmission of a D2D search sig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is, different transmission times must be set between the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of the cellular terminal transmitted on the uplink and the search signal of the D2D device. A method for minimizing the interference caused by the terminal transmitting the D2D search signal to receive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of the cellular terminal by setting the different transmission tim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lso, since the search signals of different D2D devices are transmitted based on different transmission time settings, a method of minimizing the interference occurring at the receiving end of the D2D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addition, the specific operation of the method of managing the TA timer to operate the two methods to be specifically discussed will also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제안될 D2D 송신 단말이 기지국으로 야기하는 간섭을 최소화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A method for minimizing the interference caused by the D2D transmitting terminal to be propose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D2D 디바이스는 SIB를 통해 탐색 서브 프레임의 위치 및 주기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D2D 디바이스는 탐색 신호 송신을 원할 경우, 셀룰러 RRC_Connected 여부를 파악하고, 셀룰러 RRC_Connected 상태에 있을 시에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TA 명령의 송신 시각을 기반으로 D2D 탐색 신호를 송신한다. The D2D device acquires the position and period information of the search sub-frame via the SIB. When the D2D device desires to transmit a search signal, the D2D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cellular RRC_Connected is being transmitted and transmits the D2D search signal based on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TA command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when the D2D device is in the cellular RRC_Connected state.

하지만 셀룰러 RRC_Connected 상태에 있지 않을 시, 상기 D2D 디바이스 (즉, RRC_Idle 단말)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TA 명령에 의해 구동하는 TA 타이머의 종료 여부를 파악하고, 상기 TA 타이머가 종료되지 않았을 시에 비록 셀룰러 RRC_Idle 상태라 하더라도 TA 명령의 송신 시각을 기반으로 D2D 탐색 신호를 송신한다. However, when not in the cellular RRC_Connected state, the D2D device (i.e., the RRC_Id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A timer driven by the TA command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has been terminated. If the TA timer is not terminated, Even in the RRC_Idle state, the D2D search signal is transmitted based on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TA command.

그렇지 않고, 셀룰러 RRC_Idle 상태이면서 TA 타이머가 종료되었다면, 상기 D2D 디바이스는 하향링크 경로 손실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한 경로 손실 값과 가장 최근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 정보의 송신을 위해 측정한 경로 손실 값을 비교한다. 상기 비교에 의한 차이 값이 일정 임계 치 이상을 넘지 않으면, 상기 D2D 디바이스는 마지막으로 저장된 TA 정보를 기반으로 D2D 탐색 신호를 송신한다. Otherwise, if the TA is in the cellular RRC_Idle state and the TA timer is terminated, the D2D device calculates the downlink path loss and calculates the path loss value measured for the transmission of the most recent uplink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Compare. If the difference calculated by the comparison does not exceed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D2D device transmits the D2D search signal based on the last stored TA inform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위해, TA 명령은 TA 타이머가 종료되더라도 기지국으로부터 다음 TA 명령이 수신되기 전까지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만일, 기지국과 경로 손실 값의 차이 (또는 수신 전력세기의 차이)가 임계 치 이상을 넘게 되면, 미리 정의된 룩-업 테이블 (look-up table)을 사용하여 D2D 디바이스 스스로가 TA를 수행하거나 랜덤 액세스 (random access)를 사용하여 TA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후 해당 TA 명령에 따라 D2D 탐색 신호를 송신한다.For the above operation, the TA command must be available until the next TA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even if the TA timer is terminate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path loss value (or the difference in received power intensity) exceeds the threshold value, the D2D device itself performs the TA using a predefined look-up table, Receives TA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using random access, and transmits the D2D search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TA comman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제안될 D2D 송신 단말이 D2D 수신 단말에게 야기하는 간섭을 최소화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Next, a method for minimizing the interference caused by the D2D transmitting terminal to be propose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D2D receiving terminal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D2D 디바이스는 SIB를 통해 탐색 서브 프레임의 위치 및 주기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D2D 디바이스는 탐색 신호 송신을 원할 경우, 셀룰러 RRC_Connected 여부를 파악하고, 셀룰러 RRC_Connected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TA 타이머가 작동하고 있기 때문에 타이머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D2D 디바이스는 기지국으로부터의 TA 명령을 무시하고, D2D 경로 손실을 측정한다. The D2D device acquires the position and period information of the search sub-frame via the SIB. When the D2D device desires to transmit a search signal, the D2D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cellular RRC_Connected state is established. If the D2D device is in the cellular RRC_Connected state, the D2D device stops the timer operation because the TA timer is operating. The D2D device ignores the TA command from the base station and measures the D2D path loss.

하지만 상기 D2D 디바이스는 자신이 셀룰러 RRC_Idle 상태에 있다면, TA 타이머가 종료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TA 타이머가 종료된 상태라면, 상기 D2D 디바이스는 바로 D2D 경로 손실을 측정하다. 하지만 TA 타이머가 아직 종료되지 않은 상태라면, 상기 D2D 디바이스는 타이머를 종료시키고, D2D 경로 손실을 측정한다. However, if the D2D device is in the cellular RRC_Idle state, the D2D device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A timer has expired. If the TA timer is terminated, the D2D device directly measures the D2D path loss. However, if the TA timer is not yet terminated, the D2D device terminates the timer and measures the D2D path loss.

이때 D2D 경로 손실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하향링크 경로 손실과는 달리, D2D 디바이스 간의 경로 손실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D2D 탐색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D2D 디바이스는 탐색 서브 프레임을 항상 수신하여, 자신과 관련이 있는 탐색 신호(자신의 interest와 matching되는 탐색 신호 정보)를 찾는 과정을 수행한다. At this time, the D2D path loss means a path loss between the D2D devices, unlike the downlink path los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Generally, a D2D device that does not transmit a D2D search signal always receives a search subframe and searches for a search signal (search signal information matching its interest) that is related to the search subframe.

따라서 D2D 탐색 신호 송신을 원하는 D2D 디바이스는 자신이 탐색신호 송신을 전송하고자 하는 탐색 서브 프레임 이전에 D2D 디바이스 간의 경로 손실을 측정한다. 상기 D2D 디바이스 간의 경로 손실을 측정하여 일정 임계 치 이상이면, 미리 정의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단말 스스로 TA를 수행한 후 탐색신호를 송신한다. Thus, a D2D device that desires to transmit a D2D search signal measures path loss between D2D devices before the search subframe in which it wishes to transmit a search signal transmission. Measures the path loss between the D2D devices, and if the measured path los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performs a TA by itself using a predefined look-up table, and then transmits a search signal.

하지만 D2D 디바이스 간의 경로 손실 차이가 일정 임계 치 이상을 넘지 않는다면, 상기 D2D 디바이스는 기지국의 하향링크 타이밍에 기반하여 D2D 탐색신호를 송신한다. However, if the path loss difference between the D2D devices does not exceed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D2D device transmits the D2D search signal based on the downlink timing of the base station.

상기 D2D 디바이스는 D2D 탐색신호의 전송이 끝난 후에도 여전히 셀룰러 RRC_Connected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면, D2D 탐색신호 전송에 참여하기 이전에 중지 시켰던 TA 타이머를 다시 동작시킨다.If the D2D device still maintains the cellular RRC_Connected state even after the D2D search signal is transmitted, the D2D device operates the TA timer that was stopped before participating in the D2D search signal transmiss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2D 디바이스의 구조를 보이고 있다. 즉 도 9에서는 공중 망을 통한 통신 서비스와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서비스를 모두 지원하는 디바이스에서 D2D 통신을 위한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의 구조를 보이고 있다.9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D2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FIG. 9 shows a structure of a device for transmitting a search signal for D2D communication in a device that supports both a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a public network and a direct communication service between devices.

도 9를 참조하면, 수신부(920)는 공중 망의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다운링크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다운링크 프레임을 처리부(910)로 제공한다. 상기 수신부(920)는 상향링크 프레임에서 탐색 신호를 송신할 탐색 서브 프레임의 위치와 주기에 대한 정보가 변경될 시, 상기 변경에 따른 정보를 SIB 또는 호출 채널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변경에 따른 정보를 상기 처리부(910)로 제공한다.9, the receiving unit 920 receives the downlink frame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of the public network, and provides the received downlink frame to the processing unit 910. When the information on the position and period of the search sub-frame to transmit the search signal in the uplink frame is changed, the receiver 920 receives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through the SIB or the paging channel, To the processing unit (910).

상기 처리부(910)는 공중 망에서 신호로 인한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처리부(910)는 상기 기지국과의 RRC 연결 유지 여부와 TA 타이머 종료 여부를 기반으로 공중 망에서 신호로 인한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인지를 판단한다.The processing unit 910 determines whether a radio environment in which interference due to a signal in a public network is expected. The processor 910 determines whether a radio environment in which interference due to a signal is expected in the public network is determined based on whether or not the RRC connection with the base station is maintained and the TA timer is terminated.

예컨대, 상기 처리부(910)는 기지국과의 RRC 연결이 유지되고 있으면,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라고 판단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처리부(910)는 상기 기지국과의 RRC 연결이 유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TA 타이머가 종료되지 않았다면,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라고 판단한다.For example, if the RRC connection with the base station is maintained, the processing unit 910 determines that interference is expected in the wireless environment. In addition, even if the RRC connection with the base station is not maintained, the processing unit 910 determines that the radio environment in which interference is expected, if the TA timer has not been terminated.

상기 처리부(910)는 상기 기지국과의 RRC 연결이 유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TA 타이머가 종료되었다면, 상기 기지국과의 하향링크 경로 손실과 미리 설정된 임계 치를 비교한다. 일 예로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 치는 마지막으로 상기 기지국에 대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측정한 경로 손실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If the TA timer is terminated while the RRC connection with the base station is not maintained, the processing unit 910 compares the downlink path loss with the base station and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threshold may be set by a path loss measured for transmitting an uplink signal to the base station.

상기 처리부(910)는 상기 비교에 의해 상기 기지국과의 하향링크 경로 손실이 미리 설정된 임계 치 미만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도,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라고 판단한다. 하지만 상기 처리부(910)는 상기 비교에 의해 상기 기지국과의 하향링크 경로 손실이 미리 설정된 임계 치 이상이라고 판단될 시에 한하여,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 아니라고 판단한다.The processing unit 910 determines that the interference is expected in the wireless environment even when the comparison determines that the downlink path loss to the base station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However, the processing unit 910 determines that the interference is not expected in the wireless environment only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comparison that the downlink path loss to the base sta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해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인지를 판단하는 다른 구현 예로써, 상기 처리부(910)는 D2D 경로 손실을 계산한다. 일 예로 상기 처리부(910)는 기지국과의 RRC 연결을 유지하고 있으면, TA 타이머를 중지한 후 D2D 경로 손실을 계산한다. 하지만 상기 기지국과의 RRC 연결을 유지하고 있지 않으나 TA 타이머가 종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처리부(910)는 상기 TA 타이머를 종료한 후 상기 D2D 경로 손실을 계산한다.As another embodiment for determining whether interference is expected fo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ing unit 910 calculates the D2D path loss. For example, if the processing unit 910 maintains the RRC connection with the base station, it stops the TA timer and calculates the D2D path loss. However, if the RRC connection with the base station is not maintained but the TA timer is not terminated, the processing unit 910 calculates the D2D path loss after terminating the TA timer.

상기 처리부(910)는 상기 계산된 D2D 경로 손실이 미리 설정된 임계 치 미만인 경우,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라고 판단한다. 하지만 상기 처리부(910)는 상기 계산된 D2D 경로 손실이 미리 설정된 임계 치 이상인 경우,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로 인한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 아니라고 판단한다.If the calculated D2D path loss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processing unit 910 determines that interference is expected in the wireless environment. However, when the calculated D2D path los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processing unit 910 determines that the interference is not caused by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상기 처리부(910)는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라 판단될 시, 상기 수신부(920)를 통해 수신한 다운링크 프레임의 PDCCH에 존재하는 SIB를 복호하고, 상기 복호한 SIB로부터 탐색 서브 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처리부(910)는 상기 획득한 탐색 서브 프레임에 관한 정보에 의해 상향링크 프레임에서 탐색 신호 송신 용도의 탐색 서브 프레임의 위치와 상기 상향링크 프레임에서 상기 탐색 서브 프레임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처리부(910)는 상기 탐색 서브 프레임의 위치와 상기 주기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탐색 신호를 송신하도록 송신부(930)를 제어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ference is expected in the radio environment, the processing unit 910 decodes the SIB existing in the PDCCH of the downlink frame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920, and extracts information on the search sub-frame from the decoded SIB . The processing unit 910 confirms the position of a search sub-frame for use of a search signal transmission purpose in the uplink frame and the information on the search sub-frame period in the uplink frame based on the acquired search sub-frame information. The processing unit 910 controls the transmitter 930 to transmit a search signal using the position of the search sub-frame and the information on the period.

상기 처리부(910)는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 아니라 판단될 시, 미리 정의된 록-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탐색 신호를 송신할 시간을 조정한다. 상기 처리부(910)는 상기 조정된 시간에서 탐색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930)를 제어한다. 다른 예로 상기 처리부(910)는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 아니라 판단될 시, 상기 기지국으로의 랜덤 접근을 통해 시간 조정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처리부(910)는 상기 획득한 시간 조정 정보를 이용하여 탐색 신호를 송신할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시간에 맞추어 탐색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930)를 제어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ference is not expected in the radio environment, the processor 910 adjusts the time to transmit the search signal using a predefined lock-up table. The processing unit 910 controls the transmission unit 930 to transmit a search signal at the adjusted time. As another example, when the processor 910 judges that the radio environment is not an expected radio environment, it acquires the time adjustment information through random access to the base station. The processing unit 910 determines a time to transmit a search signal using the obtained time adjustment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transmission unit 930 to transmit a search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ed time.

상기 처리부(910)는 상기 수신부(920)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제공된 변경 탐색 서브 프레임의 위치와 주기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시, 이후의 탐색 신호 송신을 상기 변경된 탐색 서브 프레임의 위치와 주기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처리한다.When the position and period information of the change search sub-frame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is provided from the receiver 920, the processing unit 910 transmits a search signal transmission for the next search sub- Information-based processing.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기지국에서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동작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즉 도 10에서는 공중 망을 통한 통신 서비스와 D2D 통신 서비스를 모두 지원하는 디바이스에서 D2D 통신을 위한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대한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다.FIG. 10 shows an operation method for minimizing interference in a base station,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FIG. 10 shows a control flow of a method for transmitting a search signal for D2D communication in a device supporting both a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a public network and a D2D communication service.

도 10을 참조하면, D2D 디바이스는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SIB에 의해 상향링크 프레임 내에서 탐색 신호를 송신하도록 허락된 탐색 서브 프레임의 위치 및 주기 정보를 획득한다 (1010단계).Referring to FIG. 10, in operation 1010, the D2D device obtains the position and period information of a search subframe permitted to transmit a search signal in an uplink frame by the SIB provided from the base station.

상기 탐색 서브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D2D 디바이스는 제1동기 신호 (PSS)와 제2동기 신호 (SSS)를 이용하여 기지국과의 하향링크에 대한 동기를 획득한다. 상기 D2D 디바이스는 상기 기지국과의 동기를 획득한 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PBCH를 통해 전송되는 MIB를 수신한다.More specifically, the D2D device acquires synchronization for the downlink from the base station using the first synchronization signal PSS and the second synchronization signal SSS . After acquiring synchronization with the base station, the D2D device receives an MIB transmitted through the PBCH from the base station.

상기 D2D 디바이스는 수신한 MIB에 포함된 필수 파라미터 정보들을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에 의해 매 서브 프레임에서 전송되는 PDCCH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D2D 디바이스는 미리 알고 있는 SI-RNTI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PDCCH에 존재하는 SIB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를 복호한다. 상기 SIB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는 하향링크 프레임 내에서 SIB가 위치하는 주파수-시간 영역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The D2D device can receive a PDCCH transmitted in each subframe by the base station based on essential paramet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MIB. The D2D device decodes th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on the SIB existing in the received PDCCH using a known SI-RNTI. Th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or the SIB may be information on a frequency-time region in which the SIB is located in the downlink frame.

상기 D2D 디바이스는 하향링크 프레임의 상기 SIB가 위치하는 주파수-시간 영역에서 SIB를 복호하고, 상기 복호한 SIB에 포함된 탐색 서브 프레임에 대한 정보, 즉 탐색 서브 프레임의 위치 및 주기 정보를 획득한다.The D2D device decodes the SIB in the frequency-time region in which the SIB of the downlink frame is located, and acquires information on the search sub-frame included in the decoded SIB, i.e., the location and period information of the search sub-frame.

상기 D2D 디바이스는 탐색 요청, 즉 탐색 신호의 송신이 요구되는지를 판단한다 (1012단계). 만약 탐색 신호의 송신이 요구되지 않으면, D2D 디바이스는 탐색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모든 동작을 종료한다.The D2D device determines whether it is required to transmit a search request, that is, a search signal (Step 1012). If transmission of the search signal is not required, the D2D device ends all operations for transmitting the search signal.

하지만 탐색 신호의 송신을 원한다면, 상기 D2D 디바이스는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인지를 판단한다 (1014단계 내지 1020단계). 상기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은 기지국에 의해 제공된 TA 명령을 기반으로 탐색 신호를 송신할 시에 기지국 또는 수신 D2D 디바이스에서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통신 환경을 의미한다.However, if it is desired to transmit a search signal, the D2D device determines whether interference is expected in the radio environment (steps 1014 to 1020). The radio environment in which the interference is expected means a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which interference may occur in the base station or the receiving D2D device when a search signal is transmitted based on the TA command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예컨대 상기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인지에 대한 판단은 상기 기지국과의 RRC 연결 (RRC_Connected) 여부와 TA 타이머의 종료 여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determination as to whether or not the interference is expected may be made based on whether the RRC connection (RRC_Connected) with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tion of the TA timer.

먼저 RRC 연결이 유지 (RRC_Connected 상태)되고 있거나, RRC 연결이 유지되지 않더라도 TA 타이머가 종료되지 않았을 시, 상기 D2D 디바이스는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라 판단한다 (1014단계, 1016단계). 상기 RRC 연결이 유지되고 있지 않는 상태를 RRC_Idle 상태라고 한다.If the TA timer is not terminated even if the RRC connection is maintained (RRC_Connected state) or the RRC connection is not maintained, the D2D device determines that interference is expected in the wireless environment (steps 1014 and 1016). A state in which the RRC connection is not maintained is referred to as an RRC_Idle state.

상기 RRC 연결이 유지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TA 타이머도 종료되었다면, 상기 D2D 디바이스는 하향링크 경로 손실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한 경로 손실을 기반으로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인지를 판단한다 (1018단계, 1020단계).If the RRC connection is not maintained and the TA timer is also terminated, the D2D device calculates a downlink path loss and determines whether it is a radio environment in which interference is expected based on the calculated path loss (Step 1018 , Step 1020).

예컨대 상기 D2D 디바이스는 상기 계산한 경로 손실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치 미만인 경우에는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라고 판단한다. 하지만 상기 계산한 경로 손실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치 이상인 경우에는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 아니라고 판단한다. 상기 임계 치는 가장 최근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 정보의 송신을 위해 측정한 경로 손실 값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alculated path loss valu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D2D device determines that interference is expected in the wireless environment. However, when the calculated path loss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radio environment is not an expected radio interference environment. The threshold value may be set by the path loss value measured for transmission of the most recent uplink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상기 계산한 경로 손실 값 (

Figure pat00002
)과 미리 설정된 임계 치 (
Figure pat00003
)의 비교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The calculated path loss value (
Figure pat00002
) And a preset threshold value (
Figure pat00003
) Can be defined as Equation (1) below.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상기 D2D 디바이스는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라고 판단되면, TA 명령을 기반으로 탐색 신호를 송신할 타이밍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타이밍에서 탐색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상기 D2D 디바이스는 경로 손실의 측정에 의해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라 판단될 시에도 TA 명령을 기반으로 탐색 신호를 송신할 타이밍을 결정하여야 하므로, TA 타이머가 종료되더라도 기지국으로부터 다음 TA 명령이 수신되기 전까지 기존의 TA 명령을 사용할 수 있도록 보관하여야 한다.The D2D device determines a timing to transmit a search signal based on the TA comm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ference is expected in a wireless environment, and transmits a search signal at the determined timing. On the other hand, the D2D device must determine the timing to transmit the search signal based on the TA command eve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ference is expected due to the path loss measurement. Therefore, even if the TA timer is terminated, It is necessary to keep the existing TA command for use.

따라서 경로 손실의 측정에 의해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라 판단될 시에는 마지막으로 저장된 TA 정보를 이용하여 D2D 탐색 신호를 송신할 타이밍을 결정한다.Therefo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adio environment is expected to be an interference due to the measurement of the path loss, the timing of transmitting the D2D search signal is determined using the last stored TA information.

하지만 기지국과 경로 손실 값의 차이 (또는 수신 전력 세기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 치 이상을 넘어 간섭이 예상되지 않는 무선 환경이라 판단될 시, 상기 D2D 디바이스는 미리 정의된 룩-업 테이블 (look-up table)을 사용하여 스스로가 TA를 수행하거나 임의 접근을 사용하여 TA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한 바에 의해 입수한 TA 명령에 따라 D2D 탐색 신호를 송신할 타이밍을 결정한다.Howe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adio environment is such that interference is not expected becau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path loss value (or the difference in received power intensity)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D2D device generates a pre- up table to perform TA by itself or receive TA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using random access and determine timing to transmit the D2D search signal according to the TA command obtained by the above.

하기 <표 1>은 D2D 디바이스가 자체적으로 TA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룩-업 테이블 (look-up table)의 일 예를 나타낸다.Table 1 below shows an example of a look-up table that the D2D device uses to perform its own TA.

ΔC Δ C TATA X1 dBX 1 dB NNew, TA = 200N New, TA = 200 X2 dBX 2 dB NNew, TA = 1020N New, TA = 1020 ...... ...... XK dBX K dB NNew, TA = 20512N New, TA = 20512

상기 <표 1>은 기지국에서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의된 룩-업 테이블 (look up table)의 예시이다.Table 1 is an example of a look-up table defined to minimize interference at the base station.

상기 D2D 디바이스는 수신된 전력 값을 이용하여 기지국과의 경로 손실을 예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신의 거리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D2D 디바이스는 기지국과의 경로 손실 차이 (또는 수신 전력의 차이)가 X1 dB 이상일 경우, 평균적으로 Y 미터를 이동하게 되며, Y 미터를 이동할 경우 round-trip delay의 변화가 Z sec 만큼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NNEW ,TA = 200으로 정의할 수 있다.The D2D device can estimate the path loss with the base station by using the received power value, and thereby can predict the distance change of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D2D device. For example, if the difference in path loss (or the difference in received power) between the D2D device and the base station is X 1 dB or more, the Y meter is shifted on average, and when the Y meter moves, the change in round- sec. Therefore, N NEW and TA = 200 can be defined.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수신 D2D 디바이스에서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동작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즉 도 11에서는 공중 망을 통한 통신 서비스와 D2D 통신 서비스를 모두 지원하는 디바이스에서 D2D 통신을 위한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다른 방법에 대한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다.11 illustrates an operation method for minimizing interference in a receiving D2D devic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FIG. 11 shows a control flow for another method of transmitting a search signal for D2D communication in a device supporting both a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a public network and a D2D communication service.

도 11을 참조하면, D2D 디바이스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프레임을 통해 제공되는 SIB에 의해 상향링크 프레임 내에서 탐색 신호를 송신하도록 허락된 탐색 서브 프레임의 위치 및 주기 정보를 획득한다 (1110단계).Referring to FIG. 11, in step 1110, the D2D device acquires the location and period information of the search subframe permitted to transmit the search signal in the uplink frame by the SIB provided through the downlink frame from the base station.

상기 탐색 서브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D2D 디바이스는 PSS와 SSS를 이용하여 기지국의 하향링크에 대한 동기를 획득한다. 상기 D2D 디바이스는 상기 기지국의 하향링크에 대한 동기를 획득한 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PBCH를 통해 MIB를 수신한다.More specifically, the D2D device acquires synchronization for the downlink of the base station using the PSS and the SSS. The D2D device acquires the synchronization for the downlink of the base station, and then receives the MIB through the PBCH from the base station.

상기 D2D 디바이스는 수신한 MIB에 포함된 필수 파라미터 정보들을 기반으로 상기 기지국에 의해 매 서브 프레임에서 전송되는 PDCCH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D2D 디바이스는 미리 알고 있는 SI-RNTI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PDCCH에 존재하는 SIB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를 복호한다. 상기 SIB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는 하향링크 프레임 내에서 SIB가 위치하는 주파수-시간 영역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The D2D device can receive a PDCCH transmitted in each subframe by the base station based on essential paramet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MIB. The D2D device decodes th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on the SIB existing in the received PDCCH using a known SI-RNTI. Th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or the SIB may be information on a frequency-time region in which the SIB is located in the downlink frame.

상기 D2D 디바이스는 하향링크 프레임의 상기 SIB가 위치하는 주파수-시간 영역에서 SIB를 복호하고, 상기 복호한 SIB에 포함된 탐색 서브 프레임의 위치 및 주기 정보를 획득한다.The D2D device decodes the SIB in the frequency-time region in which the SIB of the DL frame is located, and acquires the position and period information of the search subframe included in the decoded SIB.

상기 D2D 디바이스는 탐색 요청, 즉 탐색 신호의 송신이 요구되는지를 판단한다 (1112단계). 만약 탐색 신호의 송신이 요구되지 않으면, D2D 디바이스는 탐색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모든 동작을 종료한다.The D2D device determines whether it is required to transmit a search request, i.e., a search signal (Step 1112). If transmission of the search signal is not required, the D2D device ends all operations for transmitting the search signal.

하지만 탐색 신호의 송신을 원한다면, 상기 D2D 디바이스는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인지를 판단한다 (1114단계 내지 1124단계). 상기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은 기지국에 의해 제공된 TA 명령을 기반으로 탐색 신호를 송신할 시에 기지국 또는 수신 D2D 디바이스에서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통신 환경을 의미한다.However, if it is desired to transmit a search signal, the D2D device determines whether interference is expected in the wireless environment (steps 1114 to 1124). The radio environment in which the interference is expected means a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which interference may occur in the base station or the receiving D2D device when a search signal is transmitted based on the TA command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예컨대 상기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인지에 대한 판단은 상기 기지국과의 RRC 연결 (RRC_Connected) 여부와 TA 타이머의 종료 여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determination as to whether or not the interference is expected may be made based on whether the RRC connection (RRC_Connected) with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tion of the TA timer.

먼저 RRC 연결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 (RRC_Connected 상태)라면, 상기 D2D 디바이스는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라 판단하여 구동중인 TA 타이머를 중지시킨 후 D2D 경로 손실을 계산한다 (114단계, 1120단계, 1122단계). 상기 D2D 경로 손실은 기지국과의 하향링크에 대한 경로 손실이 아니라, D2D 디바이스 간의 경로 손실을 의미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RC connection is maintained (RRC_Connected state), the D2D device determines that it is a radio environment in which interference is expected, stops the TA timer in operation, and calculates D2D path loss (steps 114, 1120, ). The D2D path loss is not a path loss for a downlink to a base station but a path loss between D2D devices.

예컨대 D2D 탐색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D2D 디바이스는 해당 탐색 서브 프레임을 항상 수신하고, 자신과 관련이 있는 탐색 신호 (자신의 interest와 matching되는 탐색신호 정보)를 찾는 과정을 수행한다. 따라서 D2D 탐색 신호의 송신을 원하는 D2D 디바이스는 자신이 탐색 신호를 송신하고자 하는 탐색 서브 프레임 이전에 D2D 디바이스 간의 경로 손실을 측정한다.For example, the D2D device that does not transmit the D2D search signal always receives the search subframe, and searches for a search signal (search signal information matching its interest) that is related to the search subframe. Therefore, the D2D device that desires to transmit the D2D search signal measures the path loss between the D2D devices before the search subframe in which it intends to transmit the search signal.

다음으로 상기 RRC 연결을 유지하고 있지 않는 상태 (RRC_Idle 상태)에서 TA 타이머가 종료되지 않았다면, 상기 D2D 디바이스는 TA 타이머를 종료시킨 후 D2D 경로 손실을 계산한다 (1114단계, 1116단계, 1118단계, 1122단계). 상기 D2D 경로 손실을 계산하는 것은 앞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다.Next, if the TA timer is not terminated in the state where the RRC connection is not maintained (RRC_Idle state), the D2D device calculates the D2D path loss after terminating the TA timer (steps 1114, 1116, 1118, 1122 step). The calculation of the D2D path loss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마지막으로 상기 RRC 연결을 유지하고 있지 않는 상태 (RRC_Idle 상태)에서 TA 타이머가 종료되었다면, 상기 D2D 디바이스는 D2D 경로 손실을 계산한다 (1114단계, 1116단계, 1122단계).Finally, if the TA timer is terminated in the state where the RRC connection is not maintained (RRC_Idle state), the D2D device calculates the D2D path loss (steps 1114, 1116, and 1122).

상기 D2D 디바이스는 계산한 D2D 경로 손실을 기반으로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인지를 판단한다 (1124단계).The D2D device determines whether interference is expected based on the calculated D2D path loss (step 1124).

예컨대 상기 D2D 디바이스는 상기 계산한 D2D 경로 손실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치 미만인 경우에는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라고 판단한다. 하지만 상기 계산한 D2D 경로 손실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치 이상인 경우에는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 아니라고 판단한다.For example, when the calculated D2D path loss value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the D2D device determines that interference is expected in the wireless environment. However, if the calculated D2D path loss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ference is not expected in the wireless environment.

상기 D2D 디바이스는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라고 판단되면, TA 명령에 의한 기지국의 하향링크 타이밍에 기반하여 탐색 신호를 송신할 타이밍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타이밍에서 탐색 신호를 송신한다 (1128단계). The D2D device determines a timing to transmit the search signal based on the downlink timing of the base station based on the TA comm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ference environment is expected, and transmits a search signal at the determined timing (step 1128).

하지만 D2D 경로 손실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치를 넘어 간섭이 예상되지 않는 무선 환경이라 판단될 시, 상기 D2D 디바이스는 미리 정의된 룩-업 테이블 (look-up table)을 사용하여 스스로가 TA를 수행하고, 상기 스스로의 TA 수행에 의해 입수한 정보를 기반으로 D2D 탐색 신호를 송신할 타이밍을 결정한다. 상기 D2D 디바이스는 상기 결정한 타이밍에서 탐색 신호를 송신한다 (1126단계).Howe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2D path loss valu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and interference is not expected, the D2D device performs TA by itself using a predefined look-up table, And determines the timing to transmit the D2D search signal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by performing the self TA. The D2D device transmits a search signal at the determined timing (step 1126).

상술한 두 가지 방안 중 하나에 의해 탐색 신호의 전송을 완료한 후 상기 D2D 디바이스는 현재 RRC 연결이 유지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1130단계). 상기 D2D 디바이스는 RRC 연결이 유지되고 있을 때에 한하여 앞서 중지시켰던 TA 타이머를 재 가동시킨다 (1132단계).After completing the transmission of the search signal by one of the above two methods, the D2D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RRC connection is maintained (step 1130). The D2D device restarts the previously stopped TA timer only when the RRC connection is maintained (step 1132).

하기 <표 2>는 D2D 디바이스가 자체적으로 TA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룩-업 테이블 (look-up table)의 일 예를 나타낸다.Table 2 below shows an example of a look-up table that the D2D device uses to perform its own TA.

ΔD2D Δ D2D TATA X1 dBX 1 dB ND2D, TA = 200N D2D, TA = 200 X2 dBX 2 dB ND2D, TA = 1020N D2D, TA = 1020 ...... ...... XK dBX K dB ND2D, TA = 20512N D2D, TA = 20512

상기 <표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D2D 수신 단말들에서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동작을 위한 룩-업 테이블의 예시이다. 상기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간섭을 최소화하는 동작은 도 10에서의 동작과 도 11에서의 동작이 동일하다. Table 2 is an example of a look-up table for minimizing interference in D2D receiving terminals,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for minimizing the interference using the look-up table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in FIG. 10 and the operation in FIG.

하지만 도 11에서는 D2D 경로 손실 값의 차이가 임계 치 이상을 넘게 되면, 상기 <표 2>와 같이 미리 정의된 룩-업 테이블을 사용하여 D2D 디바이스 스스로가 TA를 수행할 수도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However, in FIG. 11, when the difference of the D2D path loss value exceeds the threshold value, the D2D device itself can perform TA by using a pre-defined look-up table as shown in Table 2, need.

D2D 디바이스는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전력 값을 이용하여 해당 경로의 손실을 예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신의 거리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2D 디바이스와 경로 손실의 차이 (또는 수신 전력의 차이)가 X1 dB 이상일 경우, 단말은 평균적으로 Y 미터를 이동하게 된다. 상기 Y 미터를 이동할 경우, RTD의 변화가 Z sec 만큼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ND2D ,TA = 200으로 정의할 수 있다.The D2D device can predict the loss of the path by using the power value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partner device, and thereby can predict the distance change of the path. For example, if the difference (or difference in received power) between the D2D device and the path loss is X 1 dB or more, the terminal moves on the Y meter on average. When the Y- meter is moved, the change of the RTD may occur by Z sec, so N D2D and TA = 200 can be defin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공중 망을 통한 통신 서비스와 D2D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송신 D2D 디바이스가 기지국에 미치는 간섭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uplink frame is improv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the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the public network and the D2D communication service, thereby minimizing the interference of the transmitting D2D device to the base sta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탐색 신호의 전송을 위해 수행하는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flow performed by a terminal for transmitting a search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의 제어 흐름에서는, 단말이 하향링크 송신 시각을 기준으로 하여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것과, 상향링크 송신 시각을 기준으로 하여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모두 지원할 수 있는 환경을 가정한다. 즉 하향링크 송신 시각을 기준으로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와 상향링크 송신 시각을 기준으로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가 혼재하는 환경에서의 단말 동작을 제안하고 있는 것이다. In the control flow of FIG. 12, it is assumed that the UE can support both the transmission of the search signal on the basis of the downlink transmission time and the transmission of the search signal on the basis of the uplink transmission tim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terminal operation in a mixed environment in which a search signal is transmitted based on a downlink transmission time and a case where a search signal is transmitted based on an uplink transmission time.

예컨대, 해당 기지국 및 단말은 두 가지의 탐색 신호 송신 방식들을 모두 지원하거나 어느 한가지의 탐색 신호 송신 방식 만을 지원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can support both of the two types of search signal transmission schemes or can support only one of the search signal transmission schemes.

한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SIB를 통해 셀 내의 단말에게 탐색 신호를 위한 자원 구조를 송신한다. 예컨대 상기 자원 구조는 탐색 자원의 주기, 탐색 자원의 시간/주파수 축에서의 크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base station transmits a resource structure for a search signal to a terminal in a cell through the SIB. For example, the resource structure may include a period of a search resource, a size of a search resource in a time / frequency axis, and the like.

이 경우, 예를 들어 하향링크 송신 시각을 기준으로 탐색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자원과 상향링크 송신 시각을 기준으로 탐색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자원이 시 분할 다중화 방식 (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 또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 (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통해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In this case, for example, a resource capable of transmitting a search signal based on a downlink transmission time and a resource capable of transmitting a search signal based on an uplink transmission time are 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 Or may be provided separately through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

상기 탐색 자원이 시분할되어 있을 경우, 서브프레임 X에서 서브프레임 X + N까지 하향링크 송신 시각을 기준으로 탐색 신호를 전송하고, 서브프레임 Y에서 서브프레임 Y + M까지 상향링크 송신 시각을 기준으로 탐색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들은 연속하는 서브프레임들일 수도 있고, 연속하지 않는 서브프레임들일 수도 있다. 상기 연속하지 않는 서브프레임들일 경우, 탐색신호와 셀룰러 상향링크 송신이 시분할되어 사용될 수 있다. When the search resource is time-divided, a search signal is transmitted based on the downlink transmission time from the subframe X to the subframe X + N, and a search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ubframe Y to the subframe Y + Signal can be transmitted. The subframes may be consecutive subframes or non-consecutive subframes. For non-contiguous subframes, the search signal and the cellular uplink transmission may be time-divisionally used.

상기 탐색 자원이 주파수 분할되어 있을 경우, 하향링크 송신 시각을 기준으로 주파수 축에서 X개의 RB들을 통해 탐색 신호가 전송되고, 상향링크 송신 시각을 기준으로 주파수 축에서 Y개의 RB들을 통해 탐색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송신 기준 시각을 갖는 탐색 신호를 주파수 분할하여 사용할 경우, ICI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수의 보호 구간 (guard band)이 필요할 수 있다.When the search resource is frequency-divided, a search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X RBs on the frequency axis based on the downlink transmission time, and a search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Y RBs on the frequency axis based on the uplink transmission time . ICI problems can arise when frequency division of search signals having different transmission reference times is used. Therefore, a sufficient number of guard bands may be required.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은 SIB를 통해 탐색 자원 정보와, 각각의 탐색 자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송신 시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1202 단계). 상기 시스템 정보를 획득한 단말은 탐색 신호의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송신 시각을 기준으로 할 것인지 상향링크 송신 시각을 기준으로 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1204 단계). 예컨대, 상기 단말은 탐색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할 탐색 자원의 송신 기준 시각이 하향링크인지 상향링크인지를 판단한다.Referring to FIG. 12, in step 1202, the SS acquires search resource information and transmission time information available for each search resource through the SIB. In step 1204, the terminal having acquired the system information determines whether to use the downlink transmission time for transmitting the search signal or the uplink transmission time as a reference. For example, the UE determines whether a transmission reference time of a search resource to be used for transmitting a search signal is downlink or uplink.

상기 단말은 기지국 및 단말의 능력 (capability)을 기반으로 하향링크 송신 시각을 기준으로 탐색신호를 전송할 것인지 상향링크 송신시각을 기준으로 탐색신호를 송신하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Based on the capability of the BS and the MS, the MS may determine whether to transmit a search signal based on the downlink transmission time or based on the uplink transmission time.

상기 하향링크 송신 시각을 기준으로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단말은 RRC가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1206 단계). 상기 RRC가 연결된 상태에 있다면, 상기 단말은 상향링크 송신을 위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TA (Timing Advance) 정보를 기반으로 동작 중인 타이머를 중지시킨다 (1208 단계). 상기 단말은 하향링크 송신 시각을 기준으로 탐색 신호를 송신한다 (1210 단계). 상기 단말은 탐색 신호의 전송이 종료되는지를 감시한다 (1212 단계). 상기 단말은 탐색신호의 전송이 종료되면, 앞서 중지되었던 타이머를 재실행시킬 수 있다 (1214 단계). 예를 들어, 상기 타이머의 중지는 두 가지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타이머의 중지가 홀드 (holding)의 의미를 가지거나 리셋 (reset)의 의미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타이머의 중지가 홀드의 의미를 가지는 경우, 상기 단말은 그 동작이 홀드 상태에 있던 타이머를 다시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타이머의 중지가 리셋의 의미를 가지는 경우, 상기 단말은 타이머의 값을 0으로 설정한 후 다시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단말은 TA 타이머가 0으로 설정되면, 탐색 신호의 전송이 완료된 후 랜덤 액세스 (random access) 절차를 통해 TA 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TA 값에 의한 새로운 타이머를 실행시킬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arch signal is to be transmitted based on the downlink transmission time, th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RRC is connected (Step 1206). If the RRC is in the connected state, the UE stops the timer in operation based on the TA (Timing Adva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Node B for uplink transmission in step 1208. The terminal transmits a search signal based on the downlink transmission time (step 1210). The MS monitors whether the transmission of the search signal is terminated (Step 1212).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search signal is terminated, the MS may re-execute the timer that was previously suspended (step 1214). For example, the interruption of the timer may have two meanings. For example, the stop of the timer may have the meaning of holding or may have the meaning of reset. When the stop of the timer has a meaning of hold, the terminal can restart the timer whose operation is in the hold state. If the stop of the timer has a meaning of reset, the terminal can reset the timer after setting the value of the timer to zero. If the TA timer is set to '0', the UE can acquire the TA value through a random access procedure after the transmission of the search signal is completed, and execute a new timer based on the obtained TA value.

상기 상향링크 송신 시각을 기준으로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단말은 RRC가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1216 단계). 상기 RRC가 연결된 상태에 있다면, 상기 단말은 상향링크 송신 시각을 기준으로 탐색 신호를 송신한다 (1220 단계). 상기 단말은 탐색 신호의 전송이 종료되는지를 감시한다 (1212 단계). 상기 RRC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 (RRC_Idle)에 있다면, 상기 단말은 랜덤 액세스 (random access) 절차를 통해 TA 정보를 획득한다 (1218 단계). 상기 단말은 획득한 TA 정보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송신 시각을 기준으로 탐색 신호를 송신한다 (1220 단계).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arch signal is to be transmitted based on the uplink transmission time, the MS determines whether the RRC is connected (step 1216). If the RRC is in the connected state, the terminal transmits a search signal based on the uplink transmission time (step 1220). The MS monitors whether the transmission of the search signal is terminated (Step 1212). If the RRC is not connected (RRC_Idle), the UE obtains TA information through a random access procedure (step 1218). The terminal transmits the search signal based on the uplink transmission time using the acquired TA information (operation 1220).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D2D 디바이스의 송신 신호가 기지국에 미치는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UL 프레임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13에서 보이고 있는 구조는 UL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여 D2D 탐색 부 프레임을 사용할 때의 일 예이다. 13 shows an example of a UL frame in which the structure of the D2D device is improved in order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of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D2D device to the base station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shown in FIG. 13 is an example of using the D2D searcher frame using the UL frame structure.

도 13을 참조하면, D2D 탐색 부 프레임은 다수의 PUCCH들 (1310, 1312, 1314, 1316)과, 다수의 PUSCH들 (1330, 1332, 1334)을 포함한다. 상기 PUCCH들 (1310, 1312, 1314, 1316)은 공중 망에서 기지국으로 UL 피드 백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셀룰러 디바이스에게 할당된다. Referring to FIG. 13, the D2D searcher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PUCCHs 1310, 1312, 1314, and 1316 and a plurality of PUSCHs 1330, 1332, and 1334. The PUCCHs 1310, 1312, 1314, 1316 are assigned to the cellular device to convey UL feedback information from the public network to the base station.

일반적으로 상기 PUSCH들 (1330, 1332, 1334)은 공중 망에서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셀룰러 디바이스에게 할당된다. 그러나 D2D 네트워크에서 상기 PUSCH들 (1330, 1332, 1334)은 D2D 디바이스가 D2D 탐색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할당된다. 이 경우, 셀룰러 데이터 전송을 목적으로 셀룰러 디바이스에게 할당된 부 프레임과 D2D 탐색 부 프레임은 시분할 (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하여 사용된다. 보호 대역 (Guard band)(1320, 1322)은 주파수 축에서 상단의 PUCCH들 (1310, 1312)과 PUSCH(1330) 사이와, 주파수 축에서 하단의 PUCCH들 (1314, 1316)과 PUSCH(1334) 사이에 존재하는 주파수-시간 자원을 사용하여 지정한다.In general, the PUSCHs 1330, 1332, and 1334 are allocated to cellular devices to transmit data from a public network to a base station. However, in the D2D network, the PUSCHs 1330, 1332, and 1334 are allocated for the D2D device to transmit / receive the D2D search signal. In this case, the subframe allocated to the cellular device and the D2D searcher subframe for the purpose of cellular data transmission are used by 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 Guard bands 1320 and 1322 are arranged between the upper PUCCHs 1310 and 1312 and the PUSCH 1330 in the frequency axis and between the lower PUCCHs 1314 and 1316 and the PUSCH 1334 in the frequency axis. Using the frequency-time resources present in the frequency domain.

예컨대 D2D 탐색 부 프레임에서 주파수 축으로 상단에 위치하는 PUCCH(1310, 1312)와 PUSCH(1330) 사이에 존재하는 소정 주파수 대역의 전 시간 구간 (1320)과, 하나의 타임 슬롯에서 주파수 축으로 하단에 위치하는 PUCCH(1314, 1316)와 PUSCH(1334) 사이에 존재하는 소정 주파수 대역의 전 시간 구간 (1322)를 보고 대역(1320, 1322)으로 지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D2D searcher frame, the entire time interval 1320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existing between the PUCCHs 1310 and 1312 and the PUSCH 1330 located at the upper end in the frequency axis, The entire time interval 1322 of the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existing between the PUCCHs 1314 and 1316 and the PUSCH 1334 can be designated as the reporting band 1320 and 1322.

상기와 같이 보호 대역(1320, 1322)을 지정하는 것은 UL 프레임에서의 PUCCH와 D2D 탐색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PUSCH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간섭 (ICI)을 줄이기 위함이다.Designating the guard bands 1320 and 1322 as described above is intended to reduce interference (ICI) that may occur between the PUCCH in the UL frame and the PUSCH for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D2D search signal.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D2D 디바이스의 송신 신호가 기지국에 미치는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D2D 탐색 부 프레임의 다른 예를 보이고 있다. 도 14에서 보이고 있는 구조는 UL 프레임을 구성하는 하나의 D2D 탐색 부 프레임에 대한 구조의 일 예이다.FIG. 14 shows another example of a D2D search sub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tructure of the D2D search subframe is improved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of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D2D device to the base station. The structure shown in FIG. 14 is an example of a structure for one D2D search subframe constituting an UL frame.

도 14를 참조하면, D2D 탐색 부 프레임은 다수의 PUCCH들 (1410, 1412, 1414, 1416)과, 다수의 PUSCH들 (1430, 1432, 1434, 1436, 1438)을 포함한다. 14, the D2D searcher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PUCCHs 1410, 1412, 1414, and 1416 and a plurality of PUSCHs 1430, 1432, 1434, 1436, and 1438.

보호 시구간 (Guard time)(1420, 1422)은 다수의 PUSCH들 (1430, 1432, 1434, 1436, 1438)을 위해 할당된 주파수 대역에서 소정의 시구간에 상응한 자원을 사용하여 지정한다.The guard times 1420 and 1422 designate corresponding resources between predetermined time periods in the allocated frequency bands for the plurality of PUSCHs 1430, 1432, 1434, 1436 and 1438.

예컨대 하나의 D2D 탐색 부 프레임에서 주파수 축으로 상단에 위치하는 PUCCH(1410, 1412)와 하단에 위치하는 PUCCH(1414, 1416) 사이에 존재하는 모든 PUSCH(1430, 1432, 1434, 1436, 1438)에서 앞쪽에서의 소정 시구간 (1420)과, 뒤쪽에서의 소정 시구간 (1422)을 보호 시구간으로 지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n all of the PUSCHs 1430, 1432, 1434, 1436, and 1438 existing between the PUCCHs 1410 and 1412 located at the upper end in the frequency axis and the PUCCHs 1414 and 1416 located at the lower end in one D2D searcher frame The predetermined time period 1420 at the front side and the predetermined time period 1422 at the rear side can be specified as the protection time period.

상기와 같이 보호 시구간(1420, 1422)을 지정하는 것은 D2D 디바이스가 탐색 신호를 전송함으로 인해, 인접한 셀룰러 부-프레임에 미칠 수 있는 간섭 (ISI)을 줄이기 위함이다.Specifying the guard interval 1420 and 1422 as described above is intended to reduce the interference (ISI) that can be caused to the adjacent cellular sub-frames due to the D2D device transmitting the seek signal.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D2D 디바이스의 송신 신호가 기지국에 미치는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D2D 탐색 부 프레임의 또 다른 예를 보이고 있다. 도 15에서는 도 13에서의 보호 대역 (Guard band)(1520, 1522)과, 도 14에서의 보호 시구간 (Guard time)(1530, 1532)을 모두 포함하는 D2D 탐색 부 프레임의 구조를 제안한 것이다.15 shows another example of a D2D search sub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tructure is improved so as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of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D2D device to the base station. In FIG. 15, a structure of a D2D search subframe including both guard bands 1520 and 1522 in FIG. 13 and guard times 1530 and 1532 in FIG. 14 is proposed.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변형에 의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In addition,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2)

공중 망을 통한 통신 서비스와 디바이스 간 직접 (D2D: Device-to-Device) 통신 서비스를 모두 지원하는 디바이스에서 D2D 통신을 위한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중 망의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로 인한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라 판단될 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한 시스템 정보를 기반으로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탐색 신호 송신방법.
A method for transmitting a search signal for D2D communication in a device supporting both a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a public network and a direct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service,
Determining whether a radio environment in which interference due to a signal transmitted by a base station of the public network is expected,
And transmitting a search signal based on the system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base st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ference is expected in a radio environ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탐색신호의 송신 요청이 발생할 시, 상기 기지국과 무선 자원 제어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유지하고 있으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로 인한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라고 판단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탐색 신호 송신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RRC) connection with the base station when the request for transmission of the search signal occurs, it is determined that a radio environment in which interference due to a signal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is expected is determined To the search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탐색신호의 송신 요청이 발생할 시, 상기 기지국과 무선 자원 제어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유지하고 있지 않으나 시간 조정 (TA: Timing Advance) 타이머가 종료되지 않았다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로 인한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라고 판단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탐색 신호 송신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If a timing adjustment advance timer (TA) is not terminated although the radio resource control (RRC) connection is not maintaine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when a transmission request for the search signal is generated, Is a radio environment in which interference due to interference is exp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라 판단될 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하향링크 프레임의 하향링크 물리 제어 채널에 존재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을 복호하는 과정과,
상기 복호한 시스템 정보 블록으로부터 탐색 서브 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한 탐색 서브 프레임에 관한 정보에 의해 상향링크 프레임에서 탐색 신호 송신 용도의 탐색 서브 프레임의 위치와 상기 상향링크 프레임에서 상기 탐색 서브 프레임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탐색 서브 프레임의 위치와 상기 주기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탐색 신호 송신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search signal comprises:
Decoding a system information block existing in a downlink physical control channel of a downlink frame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ference is expected in a radio environment;
Obtaining information on a search sub-frame from the decoded system information block,
Identifying a position of a search sub-frame for use in transmitting a search signal in an uplink frame and information on a cycle of the search sub-frame in the uplink frame according to information on the obtained search sub-frame;
And transmitting a search signal using information on the position and the period of the search sub-fram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 서브 프레임의 위치와 상기 주기에 대한 정보가 변경될 시, 상기 변경에 따른 정보를 상기 시스템 정보 블록 또는 호출 채널을 통해 제공받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탐색 신호 송신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through the system information block or the paging channel when the position of the search sub-frame and information on the period are chang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RRC 연결을 유지하고 있지 않으면서 상기 TA 타이머가 종료되었더라도, 상기 기지국과의 하향링크 경로 손실이 미리 설정된 임계 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로 인한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라고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탐색 신호 송신방법.
[5] The method of claim 3,
If the downlink path loss to the base station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even if the TA timer is terminated without maintaining the RRC connec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radio environment in which interference due to a signal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is expecte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RRC 연결을 유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TA 타이머가 종료되었고, 상기 기지국과의 하향링크 경로 손실이 미리 설정된 임계 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로 인한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탐색 신호 송신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If the TA timer is terminated while the RRC connection is not maintained and the downlink path loss to the base sta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the radio environment in which interference due to a signal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is expected is no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 아니라 판단될 시, 미리 정의된 록-업 테이블을 이용한 시간 조정을 통해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탐색 신호 송신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search signal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a search signal through time adjustment using a predefined lock-up tab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ference is not the expected radio environme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 아니라 판단될 시, 상기 기지국으로의 랜덤 접근을 통해 시간 조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시간 조정 정보를 이용하여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탐색 신호 송신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search signal comprises:
Acquiring time adjustment information through a random access to the base station when the interference is determined not to be a radio environment expected to be expected, and transmitting a search signal using the obtained time adjustment information. Of the search sign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 치는 마지막으로 상기 기지국에 대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측정한 경로 손실임을 특징으로 하는 탐색 신호 송신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s a path loss measured for transmitting an uplink signal to the base st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탐색신호의 송신 요청이 발생할 시, D2D 경로 손실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D2D 경로 손실이 미리 설정된 임계 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로 인한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라고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D2D 경로 손실이 미리 설정된 임계 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로 인한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D2D 경로 손실을 계산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국과 무선 자원 제어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유지하고 있으면, 시간 조정 (TA: Timing Advance) 타이머를 중지한 후 상기 D2D 경로 손실을 계산하고,
상기 RRC 연결을 유지하고 있지 않으나 상기 TA 타이머가 종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TA 타이머를 종료한 후 상기 D2D 경로 손실을 계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탐색 신호 송신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Calculating a D2D path loss when a request for transmission of the search signal occurs,
Determining a radio environment in which interference due to a signal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is expected when the calculated D2D path loss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And determining that interference is not expected due to a signal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if the calculated D2D path los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D2D path loss includes:
(D2D) path loss after stopping a time adjustment (TA) timer if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connection to the base station is maintained,
If the RRC connection is not maintained but the TA timer is not terminated, the D2D path loss is calculated after terminating the TA timer.
공중 망을 통한 통신 서비스와 디바이스 간 직접 (D2D: Device-to-Device) 통신 서비스를 모두 지원하는 디바이스에서 D2D 통신을 위한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중 망의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로 인한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라 판단될 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한 시스템 정보를 기반으로 탐색 신호의 송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 의해 결정된 송신 타이밍에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탐색 신호 송신장치.
1.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search signal for D2D communication in a device that supports both a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a public network and a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service,
The base station determines whether the interference is caused by a signal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of the public network.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ference is expected in the radio environment, the transmission timing of the search signal based on the system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base station A processing unit for determining a position
And a transmitting section for transmitting a search signal at a transmission timing determined by the processing sec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탐색신호의 송신 요청이 발생할 시, 상기 기지국과 무선 자원 제어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RRC 연결이 유지되고 있으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로 인한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라고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탐색 신호 송신장치.
12.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Determining whether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connection is maintained with the base station when a request for transmission of the search signal occurs, and if the RRC connection is maintained, Is judged to be an expected radio environmen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탐색신호의 송신 요청이 발생할 시, 상기 기지국과 무선 자원 제어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RRC 연결이 유지되고 있지 않으나 시간 조정 (TA: Timing Advance) 타이머가 종료되지 않았다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로 인한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라고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탐색 신호 송신장치.
12.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RRC) connection is maintained with the base station when a request for transmission of the search signal occurs, and if the RRC connection is not maintained, a timer (TA) The base station determines that the radio environment in which interference due to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is anticipated is not complet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라 판단될 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어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하향링크 프레임의 하향링크 물리 제어 채널에 존재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을 복호하고, 상기 복호한 시스템 정보 블록으로부터 탐색 서브 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탐색 서브 프레임에 관한 정보에 의해 상향링크 프레임에서 탐색 신호 송신 용도의 탐색 서브 프레임의 위치와 상기 상향링크 프레임에서 상기 탐색 서브 프레임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탐색 서브 프레임의 위치와 상기 주기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탐색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탐색 신호 송신장치.
12.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And decodes the system information block existing in the downlink physical control channel of the downlink frame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and received through the reception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ference is expected in the radio environment, Information about a position of a search sub-frame for use in transmitting a search signal in an uplink frame and information on a cycle of the search sub-frame in the uplink frame according to information on the obtained search sub-frame And controls the transmitting unit to transmit a search signal using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f the search sub-frame and the perio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탐색 서브 프레임의 위치와 상기 주기에 대한 정보가 변경될 시, 상기 변경에 따른 정보를 상기 시스템 정보 블록 또는 호출 채널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처리부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탐색 신호 송신장치.
16. The apparatus of claim 15,
And when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f the search sub-frame and the information on the period are changed, receive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through the system information block or the paging channel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o the processo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RRC 연결이 유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TA 타이머가 종료되었더라도, 상기 기지국과의 하향링크 경로 손실이 미리 설정된 임계 치 미만인 경우에도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로 인한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라고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탐색 신호 송신장치.
1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3,
Even if the TA timer is terminated while the RRC connection is not maintained, even if the downlink path loss to the base station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radio environment in which interference due to a signal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is expected And outputs the search signal.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RRC 연결이 유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TA 타이머가 종료되었고, 상기 기지국과의 하향링크 경로 손실이 미리 설정된 임계 치 이상이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로 인한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 아니라고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탐색 신호 송신장치.
17.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6,
If the TA timer is terminated in the state where the RRC connection is not maintained and the downlink path loss to the base st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radio environment is not the expected interference due to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Wherein the search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comprise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 아니라 판단될 시, 미리 정의된 록-업 테이블을 이용한 시간 조정을 통해 탐색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탐색 신호 송신장치.
18.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ransmission unit to transmit a search signal through time adjustment using a predefined lock-up tab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ference is not expected.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 아니라 판단될 시, 상기 기지국으로의 랜덤 접근을 통해 시간 조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시간 조정 정보를 이용하여 탐색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탐색 신호 송신장치.
18.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7,
And acquires time adjustment information through random access to the base station and controls the transmission unit to transmit a search signal using the obtained time adjustment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ference is not expected in the radio environment, The search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comprising: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 치는 마지막으로 상기 기지국에 대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측정한 경로 손실임을 특징으로 하는 탐색 신호 송신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s a path loss measured for transmitting an uplink signal to the base station las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탐색신호의 송신 요청이 발생할 시, D2D 경로 손실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D2D 경로 손실이 미리 설정된 임계 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로 인한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계산된 D2D 경로 손실이 미리 설정된 임계 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로 인한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 환경이 아니라고 판단하며,
여기서 상기 D2D 경로 손실은,
상기 기지국과 무선 자원 제어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유지하고 있으면, 시간 조정 (TA: Timing Advance) 타이머를 중지한 후 상기 D2D 경로 손실을 계산하고,
상기 RRC 연결을 유지하고 있지 않으나 상기 TA 타이머가 종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TA 타이머를 종료한 후 상기 D2D 경로 손실을 계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탐색 신호 송신장치.
13.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2,
A D2D path loss is calculated when a request for transmission of the search signal occurs and it is determined that a radio environment in which interference due to a signal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is expected when the calculated D2D path loss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When the calculated D2D path los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ference due to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is not a wireless environment expected,
Wherein the D2D path loss is determined by:
(D2D) path loss after stopping a time adjustment (TA) timer if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connection to the base station is maintained,
And if the RRC connection is not maintained but the TA timer has not ended, the D2D path loss is calculated after terminating the TA timer.
KR1020140101630A 2013-09-04 2014-08-07 App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evice to device in an wireless network KR1021409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8179 WO2015034234A1 (en) 2013-09-04 2014-09-02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in wireless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215 2013-09-04
KR20130106215 2013-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690A true KR20150027690A (en) 2015-03-12
KR102140959B1 KR102140959B1 (en) 2020-08-05

Family

ID=53022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630A KR102140959B1 (en) 2013-09-04 2014-08-07 App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evice to device in an wireless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959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47203A (en) * 2016-05-05 2017-11-14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MTC terminal method for searching network, device and MTC terminal
US9820285B2 (en) 2014-08-06 2017-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of D2D terminal
US10225810B2 (en) 2014-08-06 2019-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ystem
US10701575B2 (en) 2016-09-02 2020-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533693B2 (en) 2014-09-25 2022-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nchronization procedure and resour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in D2D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2351A1 (en) * 2011-10-26 2013-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performing inter-cell d2d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2351A1 (en) * 2011-10-26 2013-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performing inter-cell d2d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32679* *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0285B2 (en) 2014-08-06 2017-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of D2D terminal
US10225810B2 (en) 2014-08-06 2019-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ystem
US10531414B2 (en) 2014-08-06 2020-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ystem
US10925025B2 (en) 2014-08-06 2021-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ystem
US11540241B2 (en) 2014-08-06 2022-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ystem
US11533693B2 (en) 2014-09-25 2022-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nchronization procedure and resour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in D2D system
CN107347203A (en) * 2016-05-05 2017-11-14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MTC terminal method for searching network, device and MTC terminal
CN107347203B (en) * 2016-05-05 2020-07-03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Network searching method and device for MTC terminal and MTC terminal
US10701575B2 (en) 2016-09-02 2020-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959B1 (en) 202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898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2D signal and terminal therefor
EP3413640B1 (en) Terminal device and method
JP6671372B2 (en)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9088970B2 (en)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JP202203184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413637A1 (en)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EP33325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nter-carrier d2d communication
EP31588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2d operation in non-activated carri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601140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terminal for tran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8152626A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10595184B2 (en) D2D discovery
US11576136B2 (en) Enabling interference mitigation for over-the-air synchronization
US20200187224A1 (en) Methods for Adapting Over-the-Air Synchronization to Radio Conditions
KR102140959B1 (en) App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evice to device in an wireless network
KR201501284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on system support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US20230292391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US20220225411A1 (en) Method for accessing a cellular communications network in unlicensed spectrum
US10925013B2 (en) Methods for adapting over-the-air synchronization to radio conditions
KR201801076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ing D2D available distance among user equip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