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5000A - A portable oral irrigator - Google Patents

A portable oral irrig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5000A
KR20150025000A KR20130102082A KR20130102082A KR20150025000A KR 20150025000 A KR20150025000 A KR 20150025000A KR 20130102082 A KR20130102082 A KR 20130102082A KR 20130102082 A KR20130102082 A KR 20130102082A KR 20150025000 A KR20150025000 A KR 20150025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resent
piston
pump assemblies
compress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20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01204B1 (en
Inventor
반달현
Original Assignee
반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달현 filed Critical 반달현
Priority to KR1020130102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204B1/en
Publication of KR20150025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0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2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2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2Air-blowing devices, e.g. with means for heating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8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with intermittent liquid f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oral cleaner. The portable oral clea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2) in which water (W) is accommodated. A compression capsule (20) is disposed on the body (2) so as to send compressed air therein toward the water (W). First to third pump assemblies (10a, 10b, 10c) are provided in the body (2) so as to suction and compress the water (W). The water (W) sent through the first to third pump assemblies (10a, 10b, 10c) is injected through a nozzle portion (43) provided in an injection device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can be injected even without power supply because of the piston motion of the first to third pump assemblies (10a, 10b, 10c) while the compression capsule (20) is disposed so as to facilitate the piston motion of the first to third pump assemblies (10a, 10b, 10c). Accordingly, portability can be improved, durability can be improved because of the non-use of an electronic component such as a battery, and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because the water (W) injection pressure is adjusted when one or more of the first to third pump assemblies (10a, 10b, 10c) are simultaneously operated.

Description

휴대용 구강세척기 {A portable oral irrigator}[0001] A portable oral irrigator [0002]

본 발명은 구강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세척기의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구강세척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thwash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mouthwasher capable of improving portability of a mouthwasher and improving durability.

일반적으로, 구강세척기는 물을 압출시키는 방법에 따라 크게 전동식 구강세척기, 수압식 구강세척기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전동식 구강세척기는 전동기와 전동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이 필요하여 그 부피가 크고 고가이다. 그리고 상기 수압식 구강세척기는 그 부피가 작아져 소형화가 되었지만 여전히 전원공급을 위해 다수개의 배터리가 필요하고, 배터리의 무게 때문에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니기엔 무게가 무겁다. 또한, 배터리가 없거나 충전을 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사용하지 못하게 되므로, 충전하거나 배터리를 구매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Generally, mouthwashers can be divided into electric mouth washers and hydraulic mouth washers depending on how water is extruded. The electric mouthwasher requires a power source for driving the electric motor and the electric motor, which is bulky and expensive. And although the hydraulic washing machine is smaller in size and smaller in size, it still requires a large number of batteries for power supply, and it is too heavy to carry around due to the weight of the battery. In addition, since the battery can not be used when there is no battery or can not be charged, there is a need to charge or purchase a battery.

그리고 구강세척기는 물을 이용하는 제품이므로 물이 배터리 측으로 들어가거나 배터리 주변에 녹이 발생할 수 있는데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자제품인 경우 고장이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수리비용이 발생하거나 다시 구입해야되는 문제점도 있다.And since the mouthwasher is a product using water, water may enter the battery side or cause rust around the battery. In the case of an electronic product using a battery, a failure may occur frequently.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repair costs are incurred or the user must purchase again.

따라서, 전원공급 없이도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구강세척기가 요구된다.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portable mouth washer capable of improving portability without power supply and improving durability.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압축공기가 구비된 압축캡슐과 피스톤운동을 통하여 전원공급 없이도 물을 분사함으로써,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휴대용 구강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portability by spraying water without supplying power through a compressed capsule equipped with compressed air and piston motion And to provide a portable mouthwasher capable of improving durability.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another technical problem which i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구강세척기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몸체와; 내부에 압축공기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상방에 설치되어 물을 향해 압축공기를 전달하는 압축캡슐;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물을 흡입하여 압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펌프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펌프어셈블리를 통해 전달되는 물을 분사시키는 노즐부가 구비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mouth washer comprising: a body having water therein; A compression capsule provided with compressed air therein and provided above the body for delivering compressed air toward water; At least one pump assembly installed inside the body for sucking and compressing water; And a jetting unit having a nozzle for jetting water to be delivered through the pump assembly.

이때, 상기 펌프어셈블리는 세 개이고, 상기 펌프어셈블리는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number of the pump assemblies is three, and the pump assembli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또한, 상기 펌프어셈블리는, 내부에 물의 압축을 위한 압축실이 형성된 펌프부와, 상기 압축실의 용적 가변을 위해 상기 압축실의 내부에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을 직선왕복운동 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조작버튼, 그리고 상기 압축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 및 조작버튼의 복귀를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ump assembly includes a pump unit having a compression chamber for compressing water therein, a piston installed to be reciprocatable linearly in the compression chamber for varying the volume of the compression chamber, a piston reciprocating in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nd a spring for returning the piston and the operation button, which are installed in the compression chamber.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구강세척기에 따르면, 몸체에 구비되는 펌프어셈블리의 피스톤운동을 통하여 전원공급 없이도 물을 분사할 수 있고, 몸체에 압축공기가 구비되는 압축캡슐이 설치되어 펌프어셈블리의 피스톤운동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음으로써,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터리와 같은 전자부품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ortable mouth 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ject water without power supply through the piston movement of the pump assembly provided in the body and has a compression capsule provided with compressed air in the body, Since the piston movement can be further facilitated, the portability can be improved and durability can be improved since electronic parts such as a battery are not us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구강세척기에 ?르면, 몸체에 다수개의 펌프어셈블리가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펌프어셈블리를 하나 또는 동시에 작동시켜 물의 분사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Also, in the portable mouth was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ump assemblies are installed on the bod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so that the pump assemblies are operated simultaneously or simultaneously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By adjusting the injection pressure of water,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구강세척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구강세척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구강세척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portable mouth 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portable mouth 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nd FIG. 4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portable mouth 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techniques which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is is for the sake of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omitting the unnecessary explanation.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For the same reason, some of th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Also,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In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구강세척기의 구조가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FIG. 1 is a front view of a structure of a portable mouth 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구강세척기(1)에는 물(W)이 내부에 수용되는 몸체(2)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2)는 물(W)의 변질을 막고, 휴대하기 용이할 정도의 무게를 갖는 재질로 성형된다. 예를 들어, 몸체(2)는 플라스틱 계 물질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2)는 물(W)의 양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2)는 바닥에 놓았을 때 세워질 수 있도록 바닥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 the portable mouth washer 1 is provided with a body 2 in which water W is accommodated. The body (2)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weight enough to carry and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water (W). For example, the body 2 may be formed of a plastic-based material. The body 2 is preferably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so that the amount of water W can be visually confi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2 is formed flat so as to be erected when the body 2 is placed on the floor.

상기 몸체(2)의 일측에는 마개(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개는 물(W)이 새어 나오지 않도록 완전히 밀봉된다. 상기 마개는 상기 몸체(2)에 나사체결방식으로 고정된다. Preferably, a plug (not show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2. The cap is completely sealed so that the water W does not leak out. The stopper is fixed to the body (2) by a screw fastening method.

상기 몸체(2)의 내부에는 구획벽(4)이 형성된다. 상기 구획벽(4)은 상기 몸체(2)의 내부를 제 1 공간(4a) 및 제 2 공간(4b)로 나누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획벽(4)은 상기 몸체(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구획벽(4)은 상기 몸체(2)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 1 공간(4a)에 있는 물(W)이 상기 제 2 공간(4b)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 partition wall (4) is formed in the body (2). The partition wall 4 divides the inside of the body 2 into a first space 4a and a second space 4b. The partition wall (4)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2). The partition wall (4)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is is to allow the water W in the first space 4a to move into the second space 4b.

상기 제 1 공간(4a)에 위치한 상기 몸체(2)의 상부에는 연결통로(6)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통로(6)는 아래에서 설명될 압축캡슐(20)의 관통공(미도시)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통로(6)는 상기 압축캡슐(20)의 내부에 구비되는 공기가 상기 제 1 공간(4a)에 있는 물(W)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 connecting passage (6)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2) located in the first space (4a). The connection passage 6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a through hole (not shown) of the compression capsule 20 to be described below. The connection passage 6 is for allowing the air contained in the compression capsule 20 to be transferred to the water W in the first space 4a.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의 내부에는 제 1 내지 제 3 펌프어셈블리(10a, 10b, 10c)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내지 제 3 펌프어셈블리(10a, 10b, 10c)는 상기 몸체(2)의 제 2 공간(4b)의 상방에 구비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펌프어셈블리(10a, 10b, 10c)는 상기 몸체(2)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펌프어셈블리(10a, 10b, 10c)는 아래에서 설명될 분사장치(40)로 물(W)을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펌프어셈블리(10a, 10b, 10c)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 또는 동시에 작동시키게 되면 수압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As best shown in FIG. 2, first to third pump assemblies 10a, 10b, and 10c are provided in the body 2. In FIG. More specifically, the first to third pump assemblies 10a, 10b and 10c are provided above the second space 4b of the body 2. [ The first to third pump assemblies 10a, 10b, and 10c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2. The first to third pump assemblies 10a, 10b and 10c serve to transfer the water W to the sprayer 4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 first, second, and third pump assemblies 10a, 10b, 10c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one or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상기 제 1 펌프어셈블리(10a)는 내부에 물(W)의 압축을 위한 압축실(S)이 형성된 펌프부(11), 상기 압축실(S)의 용적 가변을 위해 상기 압축실(S)의 내부에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12), 상기 피스톤(12)을 직선왕복운동 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2)의 외측에 설치되는 조작버튼(13), 상기 압축실(S)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12) 및 조작버튼(13)의 복귀를 위한 스프링(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first pump assembly 10a includes a pump unit 11 having a compression chamber S for compressing water W therein and a pump unit 11 for compressing the water W, An operation button 13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2 for linearly reciprocating the piston 12 and a control knob 1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side of the compression chamber S, And a spring (14) installed to return the piston (12) and the operating button (13).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펌프어셈블리(10a)는 상기 조작버튼(13)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조작버튼(13)은 그 일단이 상기 몸체(2)의 외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피스톤(12)과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작버튼(13)과 피스톤(12)은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버튼(13)이 조작하면, 피스톤(12)은 상기 조작버튼(13)을 누르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pump assembly 10a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button 13,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2,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piston 12).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button 13 and the piston 12 are integrally formed. 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button 13 in this state, the piston 12 is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on button 13 is pressed.

상기 제 2 펌프어셈블리(10b)와 제 3 펌프어셈블리(10c)는 상기 제 1 펌프어셈블리(10a)의 구성과 역할이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The second pump assembly 10b and the third pump assembly 10c have the same functions as those of the first pump assembly 10a,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 1 펌프어셈블리(10a)와 상기 제 3 펌프어셈블리(10c)의 압축실(S)의 흡입구(15)와 토출구(16)에는 흡입체크밸브(17)와 토출체크밸브(18)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흡입체크밸브(17)와 토출체크밸브(18)는 물(W)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A suction check valve 17 and a discharge check valve 18 are installed in the suction port 15 and the discharge port 16 of the compression chamber S of the first pump assembly 10a and the third pump assembly 10c, do. The suction check valve (17) and the discharge check valve (18) are for preventing backwashing of water (W).

상기 몸체(2)의 상측에는 내부에 압축된 공기가 구비되는 압축캡슐(20)이 설치된다. 상기 압축캡슐(20)은 상기 몸체(2)의 물(W)을 향해 압축된 공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압축캡슐(20)에는 상기 몸체(2)의 연결통로(6)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미도시)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통로(6)와 연결된다.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2), a compression capsule (20) having compressed air inside is installed. The compression capsule 20 serves to transfer compressed air toward the water W of the body 2. [ A through hole (not shown) is formed in the compression capsule 2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assage 6 of the body 2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ssage 6.

상기 제 1 펌프어셈블리(10a)에는 이송튜브(30)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튜브(30)의 일측은 상기 압축실(S)과 연결되고, 타측은 아래에서 설명될 분사장치(40)와 연결된다. 상기 이송튜브(30)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펌프 어셈블리(10a, 10b, 10c)로부터 이송되는 물(W)을 상기 분사장치(4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A transfer tube 30 is installed in the first pump assembly 10a. One side of the transfer tube 30 is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chamber S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injection device 4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 transfer tube 30 serves to transfer the water W transferred from the first to third pump assemblies 10a, 10b and 10c to the injector 40.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튜브(30)의 타측에는 분사장치(40)가 연결된다. 상기 분사장치(4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손잡이부(41)와 상기 이송튜브(30)로부터 이송되는 물(W)이 분사되는 노즐부(43)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injection device 4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transfer tube 30. The injection device 40 includes a handle 41 that a user holds by hand and a nozzle unit 43 through which water W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tube 30 is injected.

상기 손잡이부(41)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잡기 쉬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손잡이부(41)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handle 41 is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that the user can easily hold with one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portion 41 is formed into a rod shape.

상기 손잡이부(41)의 외측에는 스위치(45)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45)는 상기 이송튜브(30)와 상기 노즐부(43) 사이를 막거나 여는 역할을 한다. A switch 45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handle 41. The switch 45 closes or opens the gap between the transfer tube 30 and the nozzle unit 43.

상기 노즐부(43)는 상기 손잡이부(41)의 선단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노즐부(43)는 얇은 연질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41) 선단에 압입되어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노즐부(43)는 상기 손잡이부(41) 선단에 압입되어 고정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노즐부(43)는 손잡이부(41) 선단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부(43)는 대략 ??자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노즐부(43)는 숟가락 모양이나 일반적인 칫솔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nozzle unit 43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handle 41. The nozzle unit 43 is formed of a thin soft plastic and is press-fitted to the tip of the handle 4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ozzle unit 43 is press-fitted into the tip of the handle 41,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nozzle unit 43 may be screwed to the distal end of the handle 41. Although the nozzle unit 43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i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nozzle unit 43 may be formed into a spoon shape or a general toothbrush shape.

상기 몸체(2) 및 분사장치(40)에는 홀더(50)가 구비된다. 상기 홀더(50)는 상기 몸체(2)와 분사장치(40)가 서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몸체(2)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고정부(51)와, 상기 몸체고정부(51)로부터 일정 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분사장치고정부(52)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고정부(51)는 대략 링 형상으로 상기 몸체(2)의 외주면에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장치고정부(52)는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분사장치(40)의 손잡이부(41)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e body (2) and the injector (40) are provided with a holder (50). The holder 50 is for fixing the body 2 and the injector 40 to each other. A body fixing part 51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2 and a spraying device fixing part 52 protruding from the body fixing part 51 at a predetermined length. The body fixing part 51 is fitted and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2 in a substantially ring shape. The spraying device fixing part 52 is formed such that one side thereof is open. This is for facilitating the attachment / detachment of the handle 41 of the injection device 40.

다음으로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구강세척기의 작동을 도면을 참고로하여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mouth was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사용자는 몸체(2)의 내부에 물(W)을 넣은 후, 분사장치(40)의 노즐부(43)를 원하는 위치에 조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 1 내지 2 3 펌프어셈블리(10a, 10b, 10c) 중 제 1 펌프어셈블리(10a)의 조작버튼(13)을 조작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조작버튼(13)과 연결된 피스톤(12)은 압축실(S) 내에서 직선왕복운동함으로써 압축실(S)의 용적을 가변시킨다. 이때, 상기 스프링(14)은 상기 압축실(S)의 내용적을 확장하는 방향으로 상기 피스톤(12)을 가압함으로써 사용자가 조작버튼(13)을 통한 가압을 해제할 때 상기 피스톤(12)과 조작버튼(13)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킨다.First, the user inserts the water W into the body 2, and then aims the nozzle unit 43 of the injection device 40 at a desired position. In this state,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buttons 13 of the first pump assembly 10a among the first to second pump assemblies 10a, 10b, and 10c. The piston 12 connected to the operation button 13 linearly reciprocates in the compression chamber S to vary the volume of the compression chamber S. [ At this time, the spring 14 presses the piston 12 in the direction of expanding the volume of the compression chamber S so that when the user releases the pressure through the operation button 13, The button 13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12)의 복귀에 의해 화살표 A 방향으로 압축실(S)의 용적이 커질 때에는 상기 압축실(S)로 제 2공간(4b)의 물(W)이 흡입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12)이 화살표 B 방향으로 상기 압축실(S)의 내부로 이동하면서 압축실(S) 내부로 유입된 물(W)을 가압하고, 압축된 물(W)은 상기 이송튜브(30)를 하게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버튼(13)을 해제할 때 상기 스프링(1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12)과 상기 조작버튼(13)이 원위치로 복귀한다. 3, when the volume of the compression chamber S increas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due to the return of the piston 12, the water W in the second space 4b flows into the compression chamber S Inhaled. 4, the piston 12 moves toward the interior of the compression chamber S in the direction of arrow B to pressurize the water W introduced into the compression chamber S, (W) moves to the transfer tube (30). When the operating button 13 is released, the piston 12 and the operating button 13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the resilient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14.

그리고 압축캡슐(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몸체(2)의 제 1공간(4a)에 있는 물(W)을 제 2공간(4b)을 향해 계속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함으로, 사용자가 보다 쉽게 상기 조작버튼(13)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The compressed air provided in the compression capsule 20 acts on the body 2 in a direction to continuously move the water W in the first space 4a toward the second space 4b ,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operation button 13 more easily.

이때, 상기 흡입체크밸브(17)와, 토출체크밸브(18)는 이러한 동작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때 각각의 위치에서 물(W)의 역류를 방지함으로써 상기 몸체(2)의 제 2 공간(4b) 내부에 있는 물(W)이 이송튜브(30)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suction check valve 17 and the discharge check valve 18 prevent the backflow of the water W at the respective positions when the oper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so that the second space 4b of the body 2, So that the water W in the inside can be transferred to the transfer tube 30.

다음으로, 사용자가 좀 더 높은 수압으로 구강세척을 하고 싶은 경우, 상기 제 1 펌프어셈블리(10a)의 조작버튼(13)과 상기 제 2 펌프어셈블리(10b)의 조작버튼을(13)을 동시에 누르고, 가장 높은 수압으로 구강세척을 하고 싶은 경우, 상기 제 1 내지 제 3 펌프어셈블리(10a, 10b, 10c)의 조작버튼(13)을 동시에 누른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 1 내지 제 3 펌프어셈블리(10a, 10b, 10c)의 압축실(S)에서 압축된 물(W)이 동시에 상기 이송튜브(30)로 전달되면서 물(W)의 수압이 증가하게 된다.Next, when the user wishes to perform oral cleaning with a higher water pressure, the operation button 13 of the first pump assembly 10a and the operation button 13 of the second pump assembly 10b are simultaneously depressed , And when it is desired to perform oral cleaning with the highest water pressure, the operation buttons 13 of the first to third pump assemblies 10a, 10b and 10c are simultaneously pressed. The water W compressed in the compression chambers S of the first to third pump assemblies 10a, 10b and 10c is simultaneously transferred to the transfer tube 30 so that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W .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휴대용 구강세척기 2: 몸체
4: 구획벽 6: 연결통로
10a, 10b, 10c: 펌프어셈블리 11: 펌프부
12: 피스톤 13: 조작버튼
14: 스프링 15: 흡입구
16: 토출구 17: 흡입체크밸브
18: 토출체크밸브 20: 압축캡슐
30: 이송튜브 40: 분사장치
41: 손잡이부 43: 노즐부
45: 스위치 50: 홀더
51: 몸체고정부 52: 분사장치고정부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 Portable mouth washer 2: Body
4: compartment wall 6: connection passage
10a, 10b, 10c: Pump assembly 11:
12: Piston 13: Operation button
14: spring 15: inlet
16: Discharge port 17: Suction check valve
18: discharge check valve 20: compression capsule
30: Feed tube 40: Injection device
41: handle portion 43: nozzle portion
45: switch 50: holder
51: Body of the government 52:

Claims (3)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몸체와;
내부에 압축공기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상방에 설치되어 물을 향해 압축공기를 전달하는 압축캡슐;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물을 흡입하여 압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펌프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펌프어셈블리를 통해 전달되는 물을 분사시키는 노즐부가 구비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강세척기.
A body in which water is received;
A compression capsule provided with compressed air therein and provided above the body for delivering compressed air toward water;
At least one pump assembly installed inside the body for sucking and compressing water; And
And a sprayer having a nozzle for spraying water delivered through the pump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어셈블리는 세 개이고, 상기 펌프어셈블리는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강세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ee pump assembli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어셈블리는,
내부에 물의 압축을 위한 압축실이 형성된 펌프부와,
상기 압축실의 용적 가변을 위해 상기 압축실의 내부에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을 직선왕복운동 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조작버튼, 그리고
상기 압축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 및 조작버튼의 복귀를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강세척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ump assembly includes:
A pump unit having a compression chamber for compressing water therein,
A piston installed in the compression chamber so as to reciprocate linearly in order to change the volume of the compression chamber,
An operation button provided outside the body for linearly reciprocating the piston, and
And a spring installed inside the compression chamber for returning the piston and the operation button.
KR1020130102082A 2013-08-28 2013-08-28 A portable oral irrigator KR1015012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082A KR101501204B1 (en) 2013-08-28 2013-08-28 A portable oral irrig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082A KR101501204B1 (en) 2013-08-28 2013-08-28 A portable oral irrig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000A true KR20150025000A (en) 2015-03-10
KR101501204B1 KR101501204B1 (en) 2015-03-11

Family

ID=53021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2082A KR101501204B1 (en) 2013-08-28 2013-08-28 A portable oral irrig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20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6735A1 (en) * 2015-11-20 2017-05-26 김기천 Oral cleaner
CN108524040A (en) * 2018-06-21 2018-09-14 深圳坤兴泰科技有限公司 Protective sleeve for cervical vertebra health care exercise based on pneumatic gearing system
WO2020096200A1 (en) * 2018-11-09 2020-05-14 주식회사 에이치앤케어 Oral clean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3558A (en) * 2002-08-20 2004-03-11 Kikuchiseisakusho Co Ltd Oral cavity cleaning device
KR20070055441A (en) * 2007-03-27 2007-05-30 강소대 An air injection type portable dental flosses
KR101152256B1 (en) * 2010-01-13 2012-06-08 소대화 Device for cleaning teeth and mouth
KR101243948B1 (en) * 2011-05-20 2013-03-14 이완병 Portable oral cavity cleansing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6735A1 (en) * 2015-11-20 2017-05-26 김기천 Oral cleaner
CN108524040A (en) * 2018-06-21 2018-09-14 深圳坤兴泰科技有限公司 Protective sleeve for cervical vertebra health care exercise based on pneumatic gearing system
WO2020096200A1 (en) * 2018-11-09 2020-05-14 주식회사 에이치앤케어 Oral clean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204B1 (en)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49783B (en) Oral cavity cleaning device
CN104379086B (en) For distributing the Spring driving pump of the discontinuous eruption of liquid
CN208552095U (en) Cleaning appliance
US4033511A (en) Portable atomizer apparatus
CN108013938B (en) Cleaning implement
JP6288562B2 (en) Oral cleaning device
JP6983208B2 (en) Handheld integrated airbrush
CN203749627U (en) Hand-held oral irrigator
KR101501204B1 (en) A portable oral irrigator
CN113843067B (en) Electrostatic hand held sprayer
JP4120621B2 (en) Mouthwash
KR101956363B1 (en) Cleaning device of oral cavity using compressed air
CN108618861B (en) Oral cavity flusher
JP6243169B2 (en) Nebulizer
JP6243170B2 (en) Nebulizer
KR20130043833A (en) Apparatus of spray milky requid
JPH10314189A (en) Mouth washing device
JP2015217175A (en) Oral cavity washing device
GB2063674A (en) Cleaning fluid injection device
JP2014046284A (en) Washing machine
JP2014066197A (en) Washing machine
CN215191310U (en) Water tank assembly and cleaning device
CN110638198A (en) Multifunctional foam type toothbrush
CN215959539U (en) Personal cleansing implement with suction valve assembly
JP2018103030A (en) Oral cavity wash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