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1799A - Integrated apparatus for electroplating insoluble rare metal - Google Patents

Integrated apparatus for electroplating insoluble rare met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1799A
KR20150021799A KR20130099208A KR20130099208A KR20150021799A KR 20150021799 A KR20150021799 A KR 20150021799A KR 20130099208 A KR20130099208 A KR 20130099208A KR 20130099208 A KR20130099208 A KR 20130099208A KR 20150021799 A KR20150021799 A KR 20150021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ching
electrode
electrolytic
reactor
r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92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진영
정경우
신선명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20130099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1799A/en
Priority to PCT/KR2014/006434 priority patent/WO2015026061A1/en
Publication of KR20150021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79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1/00Obtaining noble metals
    • C22B11/10Obtaining noble metals by amalgamating
    • C22B11/12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1/00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solutions
    • C25C1/22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solution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25C1/02 - C25C1/2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1/00Obtaining noble metals
    • C22B11/04Obtaining noble metals by wet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04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 C22B3/045Leaching using electrochemical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1/00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solutions
    • C25C1/20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solutions of noble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 C25C7/02Electrodes; Connection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Metal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integrated electro-leaching apparatus for leaching insoluble rare metal. The integrated electro-leaching apparatus for leaching insoluble rare metal comprises: a reactor accommodating an electro-leaching solution for leaching insoluble rare metal;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installed to be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reactor or installed on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actor, respectively; and agitators installed through the center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or installed through the first electrode and positioned on an upper part of the second electrode. Here,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re made of graphite or porous graphite. The electro-leaching solution is hydrochloric (HCL) acid, wherein the content of the electro-leaching solution is preferably 4-10 M. Also, the insoluble rare metal may be a platinum group formed of one among Pt, Pd, Pt.

Description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INTEGRATED APPARATUS FOR ELECTROPLATING INSOLUBLE RARE METAL}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electrolytic leac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반응기 내에서 염소(Cl2)를 생성하여 반응기 내의 난용성 희유 금속을 침출하기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electrolytic leach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grated electrolytic leaching apparatus for producing chlorine (Cl 2 ) in a reactor to leach out sparingly rare metals in a reactor.

일반적으로 난용성 희유 금속은 침출하여 분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왕수와 같은 고농도의 산 분위기에서 반응시키고 있었다.In general, rare-earth rare metals are difficult to separate by leaching, so they are reacted in a high-concentration acid atmosphere such as aqua regia.

이때, 반응 부산물로 독성 폐액과 유독 가스가 동시에 발생하게 되어 환경 문제의 소지가 있었다.At this time, toxic waste liquid and poisonous gas are simultaneously generated as reaction byproducts, which may be an environmental problem.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 사용되고 있었던 왕수가 아니라 염소(Cl2) 가스를 사용하여 난용성 희유 금속을 침출하여 분리하는 방법도 시도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method of separating and separating lean rare metals by using chlorine (Cl 2 ) gas instead of the conventionally used leucorium has been attempted.

염소 가스를 사용하여 난용성 희유 금속을 침출하여 분리하는 방법 자체는 공지된 방법이라고 판단되어 그 구체적인 침출 방법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It is considered that the method of leaching lean rare metals by chlorine gas and separating them by a leaching method is a well-known method,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leaching method is omitted.

여기에서, 종래 특허문헌 1 내지 3에 따른 금속 용해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간단하게 살펴 보기로 한다.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metal dissolu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patent documents 1 to 3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 1은, 특허 문헌 1의 종래 기술에 따른 귀금속 용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특허 문헌 2의 종래 기술에 따른 금속 용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특허 문헌 3의 종래 기술에 따른 금속 용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noble metal dissol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of Patent Document 1,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etal dissol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of Patent Document 2,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etal dissolu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rt of Patent Document 3.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종래 기술에 따른 금속 용해 장치는, 각각, 반응기(150, 250, 350)와 교반기(155, 255, 355)의 구성을 기본으로 하고, 상기 반응기(150, 250, 350)의 외부에 형성되는 염소 전해 생성기(100, 200, 300)와, 상기 염소 전해 생성기(100, 200, 300)로부터 상기 반응기(150, 250, 350)로의 염소 가스 전달 통로(120, 220, 320)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metal dissol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shown in FIGS. 1 to 3 is based on the constitution of the reactors 150, 250 and 350 and the stirrers 155, 255 and 355, The chlorine gas delivery passages 120, 220, 320 from the chlorine electrolytic generators 100, 200, 300 to the reactors 150, 250, 350 ar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hlorine electrolytic cells 100, 200, ) Are formed on the substrate.

상술한 반응기는 현장에서는 침출조라는 이름으로 불릴 수도 있다.The reactor described above may also be referred to in the field as a settling tank.

상기 반응기를 형성하는 소재는 화학 반응임을 고려하여 FRP(Fiber-reinforced plastic)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material forming the reactor is formed of FRP (fiber-reinforced plastic) in consideration of chemical reaction.

이와 같이,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종래 기술의 금속 용해 장치는 반응기(150, 250, 350)의 외부에 염소 전해 생성기(100, 200, 300)를 설치하고, 염소 가스 전달 통로(120, 220, 320)를 통해서 상기 염소 전해 생성기(100, 200, 300)에서 생성된 염소를 상기 반응기(150, 250, 350) 내부로 도입하여 폭기(도 1 내지 도 3에서 염소 가스 전달 통로(120, 220, 320)의 우측 말단에 표시된 화살표 참조)하고 있었다.1 through 3, the conventional dissolving apparatus includes the chlorine electrolytic generators 100, 200, and 300 installed outside the reactors 150, 250, and 350, and the chlorine gas transfer passages 120 and 220 The chlorine produced in the chlorine electrolytic generators 100, 200 and 300 is introduced into the reactors 150, 250 and 350 through the chlorine gas transfer passages 120 and 220 , 320) on the right end).

이와 같이, 종래에는 반응기(150, 250, 350)의 외부로부터 염소를 전해 생성하여 반응기(150, 250, 350) 내부로 폭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으므로, 폭기된 염소 가스 중에서 반응에 참여하지 못한 염소는 외부로 유출되고 있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외부로 유출되는 염소를 포집하기 위한 장치 또는 메커니즘이 추가되어야 하였으며, 이와 같은 조치를 취한 뒤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염소 가스를 완벽하게 차단하지는 못하였다.
In the conventional method, chlorine is electrolyzed from the outside of the reactors 150, 250 and 350 and is then augmented into the reactors 150, 250 and 350. Therefore, The goat was flowing out. Therefore, in the prior art, an apparatus or mechanism for collecting chlorine leaking out to the outside has been added, and after taking such measures, the chlorine gas leaking out to the outside can not be completely block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6682호 (2009년01월07일 공고)(발명의 명칭: "귀금속 용해 장치")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876682 (published on Jan. 07, 2009) (entitled "Precious Metal Melting Devic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3971호 (2010년09월29일 공개) (발명의 명칭: "모듈형 순환 구조를 갖는 고성능 금속 용해 장치 및 용해 방법")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03971 (published on Sep. 29, 2010) (entitled " High Performance Metal Dissolution Apparatus Having Modular Circulation Structure and Dissolution Method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2458호 (2012년11월11일 공고) (발명의 명칭: "고성능 금속 용해 장치 및 용해 방법")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082458 (Nov. 11, 2012) (entitled " High Performance Metal Dissolution Apparatus and Dissolution Method ")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별도로 형성되었던 염소 전해 생성기의 구성을, 반응기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전해 침출 장치를 일체형으로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tegrally form an electrolytic leaching apparatus by integrally forming the constitution of a chlorine electrolytic generator, which has been separately formed, with a reactor.

또한, 본 발명은, 반응기 내에서 반응에 필요한 적량의 염소 가스를 전해 생성함으로써, 반응기 내로 염소 가스를 폭기하지 않도록 하여 난용성 희유 금속을 친환경적으로 침출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lectrolytically generate an appropriate amount of chlorine gas necessary for the reaction in the reactor so that the chlorine gas is not aerated into the reactor, thereby leaching environmentally friendly rare metal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 and another problem (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는, 난용성 희유 금속의 침출을 위한 전해 침출액이 담지되는 반응기; 상기 반응기의 양 측벽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교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integrated electrolytic leaching apparatus for refractory rare metal leach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ctor supporting an electrolytic leach solution for leaching lean rare metals;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provided adjacent to both side walls of the reactor; And a stirrer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여기에서,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은, 그래파이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preferably formed of graphite.

또한, 상기 전해 침출액은, 염산(HCl) 용액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lectrolytic leaching solution is preferably a hydrochloric acid (HCl) solution.

또한, 상기 염산 용액의 농도는, 4 M 내지 10 M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centration of the hydrochloric acid solution is preferably 4 M to 10 M.

또한, 상기 난용성 희유 금속은, 백금족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rare-earth rare metal is preferably a platinum group.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는, 난용성 희유 금속의 침출을 위한 전해 침출액이 담지되는 반응기; 상기 반응기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 2 전극의 상부에 위치하는 교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grated electrolytic leaching apparatus for refractory rare metal leaching includes a reactor in which an electrolytic leach solution for leaching lean rare metals is carried;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provid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reactor, respectively; And a stirrer installed through the first electrode and positioned above the second electrode.

여기에서,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은, 그래파이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preferably formed of graphite.

또한, 상기 전해 침출액은, 염산(HCl) 용액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lectrolytic leaching solution is preferably a hydrochloric acid (HCl) solution.

또한, 상기 염산 용액의 농도는, 4 M 내지 10 M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centration of the hydrochloric acid solution is preferably 4 M to 10 M.

또한, 상기 난용성 희유 금속은, 백금족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rare-earth rare metal is preferably a platinum group.

또한,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그래파이트는 다공성 그래파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raphite form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preferably porous graphit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 o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exhaustive or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terms of the appended claims.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일부 과장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the size, position, coupling relationship, and the like of each element constituting the invention are exaggerated for clarity in conveying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should know that it is possible.

본 발명에 따르면, 반응기 내부에서 염소(Cl2)를 전해하므로, 간이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chlorine (Cl 2 ) is delivered inside the reactor, there is an effect that a simple apparatus can be constitu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의 염소를 폭기할 필요가 없으므로, 폐기되는 염소 또는 재활용하기 위한 염소의 총량이 감소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aeration the chlorine from the outside, the total amount of chlorine to be discarded or chlorine to be recycled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난용성 희유 금속의 침출을 위한 반응이 신속하게 진행되므로 반응에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하게 된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action for the leaching of the poorly soluble rare metals proceeds rapidly, the time required for the reaction is reduced.

도 1은, 특허 문헌 1의 종래 기술에 따른 귀금속 용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특허 문헌 2의 종래 기술에 따른 금속 용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특허 문헌 3의 종래 기술에 따른 금속 용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noble metal dissol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of Patent Document 1. FIG.
Fig. 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metal dissolu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rt of Patent Document 2. Fig.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etal dissolu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of Patent Document 3. Fig.
4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n integrated electrolytic leaching apparatus for leachable rare metal leach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integral electrolytic leaching apparatus for leach rare metal leach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n integrated electrolytic leaching apparatus for leachable rare metal leaching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integral electrolytic leaching apparatus for leachable rare metal leaching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an integral electrolytic leaching apparatus for leaching rare earth metals is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4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n integrated electrolytic leaching apparatus for leachable rare metal leach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400)는, 반응기(420), 교반기 축(487) 및 교반 날개(485)를 파지하는 교반 날개 지지부(482)를 포함하는 교반기, 상기 교반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480), 및 상기 반응기(420)의 양 측벽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 1 전극(440) 및 제 2 전극(460)의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4, an integrated electrolytic leaching apparatus 400 for lean sparing rare metal leach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ctor 420, a stirrer shaft 487, and a stirring wing 485 A motor 480 for rotating the stirrer, and a first electrode 440 and a second electrode 460 provided adjacent to both sidewalls of the reactor 420. The stirrer includes a stirring blade support portion 482, Configuration.

상기 교반기 날개(485)의 회전 방향은 화살표로 나타내었으나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stirrer vane 485 is indicated by an arrow, but may rotate in another direction.

상기 교반기 날개(485)의 회전 방향은, 예를 들면, 좌우 방향이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agitator blades 485 may be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not in the lateral direction.

교반기 날개(485)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경우, 반응기(420) 내에서 생성되는 가스가 반응기(420) 상부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여 상기 가스의 상하 교반이 더욱 원활해질 수 있다.When the stirrer blade (485) is rotated up and down, the gas generated in the reactor (420) is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reactor (420).

여기에서, 상기 교반기 날개(485)의 회전수는 200 ~ 300 rpm 이상이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교반기 날개(485)의 회전수가 500 rp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전극(440) 및 제 2 전극(460)이 물리적인 손상을 입을 우려가 있으므로 이와 같은 고속 교반은 바람직하지 않다.Here,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agitator blade 485 is preferably 200 to 300 rpm or more. However, when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stirrer blade 485 exceeds 500 rpm, the first electrode 44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may be physically damaged, and such high-speed agitation is not preferable.

도 4에서, 상기 반응기(420)의 상부의 일측에 형성된 것은 침출 반응의 결과 발생하는 수소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490)이다.In FIG. 4,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reactor 420 is a discharge port 490 for discharging hydrogen gas resulting from the leaching reaction.

도 4에서는 배출구(490)를 형성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반응기(420)가 밀폐형이라고 이해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폭발의 위험 등을 고려하였을 때 밀폐형이 아니라 개방형으로 상기 반응기(420)를 구성할 수도 있음을 잘 알 것이다.4, it is understood that the reactor 420 is a closed type. However, when considering the risk of explosion, the reactor 420 may be constructed in an open type rather than a closed type. You will know well.

상기 반응기(420)의 양 측벽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 1 전극(440) 및 제 2 전극(460)은 그래파이트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first electrode 44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disposed adjacent to both side walls of the reactor 420 are most preferably formed of graphite.

상기 그래파이트는 금속의 침출 반응에 있어서, 전극의 물리적 화학적 희생을 적극 감소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재료이다.The graphite is the most suitable material to actively reduce the physical chemical sacrifice of the electrode in the leaching reaction of the metal.

또한, 상기 반응기(420)에는 난용성 희유 금속, 예를 들면, 백금족을 침출하기 위해서 전해 침출액에 담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ctor 420 is carried in the electrolytic leach solution in order to leach a rare-earth rare metal, for example, a platinum group.

여기에서, 상기 백금족은, Pt, Pd, 및 Rh 중의 하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Here,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the platinum group is one of Pt, Pd, and Rh.

이때의 전해 침출액은 염산(HCl) 용액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the electrolytic leaching solution is a hydrochloric acid (HCl) solu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와 같이 전해 침출액으로서 왕수를 이용하는 경우, 유독성 폐액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유독 가스가 발생하여 환경에 지대한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aqua regia is used as electrolytic leach liquor as in the prior art, not only a toxic waste liquid is formed but a toxic gas is generated, which adversely affects the environment enormously.

여기에서, 상기 염산 용액의 농도는, 4 M 내지 10 M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centration of the hydrochloric acid solution is preferably 4 M to 10 M.

상기 염산 용액의 농도가 4 M 미만이면, 전기 분해되어 백금족의 전해 침출에 참여하는 염소 가스의 양이 부족하고, 상기 염산 용액의 농도가 10 M을 초과하면, 전기 분해되어 백금족의 전해 침출에 참여하지 않고 외부로 방출되는 염소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및 환경적으로 불리하다.If the concentration of the hydrochloric acid solution is less than 4 M, the amount of chlorine gas participating in the electrolytic leaching of the platinum group is reduced, and if the concentration of the hydrochloric acid solution exceeds 10 M, electrolysis is performed to participate in the electrolytic leaching of the platinum group And the amount of chlorine released to the outside increases, which is economically and environmentally disadvantageous.

또한, 교반기는 상기 제 1 전극(440)과 제 2 전극(46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agitator is preferably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44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상기 교반기를 회전하기 위한 모터(480)는, 도 4에서는 반응기(420)의 상단에 부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모터(480)의 위치는 이에 국한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Although the motor 480 for rotating the stirrer is shown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reactor 420 in FIG. 4,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osition of the motor 480 is not limited thereto.

즉, 상기 모터(480)는 반응기(420)의 제 1 전극(440)과 제 2 전극(460) 사이에 배치되는 교반기의 교반 날개(485)가 전해 침출액을 교반하기 위한 구성이면 충분하다.That is, the motor 480 suffices if the agitating blade 485 of the agitator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44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of the reactor 420 is configured to agitate the electrolyte solution.

따라서, 상기 모터(480)는 반응기(420)의 외측 상부가 아니라 반응기(420)의 내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Accordingly, the motor 48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reactor 420, not in the upper part of the reactor 420.

여기에서,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 내에서 발생하는 화학 반응에 대해서 간단하게 살펴 보기로 한다.Here, a brief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hemical reaction occurring in an integrated electrolytic leaching apparatus for leaching rare-rare metals.

상술한 바와 같이, 난용성 희유 금속, 예를 들면, 상술한 백금족은, 종래 왕수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염산(HCl)을 이용하여 전해 침출할 수 있음은 알려져 있다.As described above, it is known that rare-earth rare metals, for example, the above-described platinum group metals, can be electrolytically leached using hydrochloric acid (HCl) instead of using conventional water.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난용성 희유 금속을 전해 침출하는데 소요되는 실제 염소 가스의 양이 생각 외로 적다는 것을 알아냈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the amount of actual chlorine gas required for electrolytic leaching of poorly soluble rare metals is unexpectedly small.

즉, 특허 문헌 1 내지 3에서와 같이 다량의 염소(Cl2) 가스를 폭기하지 않아도, 난용성 희유 금속을 전해 침출할 수 있었다.That is, even if a large amount of chlorine (Cl 2 ) gas is not aerated as in Patent Documents 1 to 3, the rare-earth rare metal can be electrolytically leached.

따라서, 반응기(420) 내에서의 화학 반응의 프로세스를 더욱 단순화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 종래 반응기(420)와 분리되어 설치되었던 염소 전해 생성기(100, 200, 또는 300)의 구성은 불필요함을 알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ocess of the chemical reaction in the reactor 420 can be further simplified, and as a result, the configuration of the chlorine electrolytic generator 100, 200, or 300 separately installed from the conventional reactor 420 is unnecessary I found ou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해 침출액에는 염산(HCl)을 미리 용해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previously dissolve hydrochloric acid (HCl) in the electrolytic leach solution.

상기 염산을 용해한 용액의 농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4 M 내지 10 M이 적당하다.The concentration of the solution in which hydrochloric acid is dissolved is suitably from 4 M to 10 M as described above.

제 1 전극(440)과 제 2 전극(460)이 통전되면 전해 침출액 내에서의 염산(HCl)의 반응은 다음 화학식 1과 같다.
When the first electrode 44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are energized, the reaction of hydrochloric acid (HCl) in the electrolyte solution is as shown in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2HCl → H2 + Cl2 2HCl -> H 2 + Cl 2

상기 화학식 1에 따르면, 염산 용액 내에서의 염산은 수소 가스(H2)와 염소 가스(Cl2)로 전기 분해된다.According to the above formula (1), the hydrochloric acid in the hydrochloric acid solution is electrolyzed into hydrogen gas (H 2 ) and chlorine gas (Cl 2 ).

전기 분해시 수소 가스(H2)는 음극(cathode)에서, 염소 가스(Cl2)는 양극(anode)에서 각각 전기 분해되어 기체로 발생하게 된다.During the electrolysis, the hydrogen gas (H 2 ) is electrolyzed at the cathode and the chlorine gas (Cl 2 ) is electrolyzed at the anode.

이때, 상기 수소 가스는 벤트(49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는 벤트(490)를 통해서 배출되는 수소 가스는 재활용될 수도 있다. 수소 가스가 배출되는 곳에 벤트(49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도 4의 경우, 제 2 전극(460)은 음극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hydrogen gas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 490. Alternatively, the hydrogen gas discharged through the vent 490 may be recycled. In the case of FIG. 4, the second electrode 460 may be a negative electrode because it is preferable that a vent 490 is installed at a place where hydrogen gas is discharged.

상기 염소 가스는 난용성 희유 금속, 예를 들면, 백금을 전해 침출하는데 바로 사용될 수 있다.The chlorine gas can be used directly for electrolytic leaching of sparingly rare metals, for example, platinum.

여기에서, 상기 염소 가스는 난용성 희유 금속의 전해 침출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기 때문에, 최대한 전해 침출액 중에서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since the chlorine gas directly contributes to the electrolytic leaching of the poorly soluble rare metal, it is preferable that the chlorine gas is configured to occur in the electrolytic leach solution as much as possible.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전극(440) 및 이에 대응하는 제 2 전극(460)은 전해 침출액에 충분하게 침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thi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electrode 440 and the corresponding second electrode 460 are installed so as to be sufficiently immersed in the electrolyte solution.

이때, 상기 제 1 전극(440) 및 제 2 전극(460) 중의 일부가 전해 침출액의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특히 제 1 전극(440)이 전해 침출액의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생성된 염소 가스의 일부가 난용성 희유 금속을 침출하는데 사용되지 못하고 외부로 방출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전극(440) 및/또는 제 2 전극(460)이 전해 침출액의 3/5 깊이까지, 바람직하게는 1/2 깊이까지 침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When a part of the first electrode 44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lyte solution, particularly when the first electrode 44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electrode 440 and / or the second electrode 460 extend to a depth of 3/5 of the electrolytic leach solution, because some of them may not be used for leaching the poorly soluble rare metal and may be released to the outside.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be provided so as to be immersed up to 1/2 depth.

상기 염소 가스의 생성량은 상기 제 1 전극(440) 및 제 2 전극(460)에 인가되는 전류의 양에 따라서 간단하게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반응기(420) 내로 투입되는 난용성 희유 금속을 침출하기 위해서 필요한 염소(Cl2)의 양만큼만 생성할 수 있다.Since the amount of chlorine gas generated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44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the lean rare metal introduced into the reactor 420 can be leached The amount of chlorine (Cl 2 ) required for the reaction can be generated.

따라서, 반응에 참여하지 않는 염소의 양이 최소화되어, 외부로 배출되어 폐기되거나 재활용되는 염소의 양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Therefore, the amount of chlorine not participating in the reaction is minimized, so that the amount of chlorine discharged and recycled to the outside can be minimized.

이 경우, 반응기(420) 내의 전해 침출액의 염소(Cl2)는 반응에 최적인 포화 상태로 유도될 수 있으며, 따라서 난용성 희유 금속의 침출이 더욱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hlorine (Cl 2 ) of the electrolytic leaching solution in the reactor 420 can be induced to the saturation optimum for the reaction, and leaching of the poorly soluble rare metal can proceed more quickly.

한편, 상기 반응기(420) 내로 투입되는 난용성 희유 금속이 침출되면서, 즉 반응이 진행하면 전해 침출액에 포함된 염산의 농도 역시 변동될 수 있다. 원활한 전해 침출을 위해서, 상기 반응기(420) 내에는 염산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농도 측정기가 더 부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concentration of hydrochloric acid contained in the electrolytic leach liquor can be changed when lean rare metals introduced into the reactor 420 are leached, that is, the reaction proceeds. For smooth electrolytic leaching, it is preferable that a concentration meter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hydrochloric acid is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reactor 420.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Next, FIG. 5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integrated electrolytic leaching apparatus for lean rare metal leach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구성을 평면으로 살펴본 도면이며, 동일한 부분에 대한 도면 부호는 모두 동일하게 표시하였다.FIG. 5 is a plan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FIG. 4,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parts.

도 5에서, 벤트(490)는 반응기(420)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으나, 제 2 전극(460)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5, the vent 49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actor 420, but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vent 490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460.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에 대해서 살펴 보기로 한다.Next, an integrated electrolytic leaching apparatus for refractory rare metal leaching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FIG. 6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n integrated electrolytic leaching apparatus for leachable rare metal leaching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600)는, 반응기(620), 교반기 축(687) 및 교반 날개(685)를 파지하는 교반 날개 홀더(682)를 포함하는 교반기, 상기 교반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680), 및 상기 반응기(620)의 양 측벽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 1 전극(640) 및 제 2 전극(660)을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6, an integrated electrolytic leach apparatus 600 for lean refuse rare metal leaching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ctor 620, a stirrer shaft 687, and a stirring blade 685 A stirrer including a stirring wing holder 682, a motor 680 for rotating the stirrer, and a first electrode 640 and a second electrode 660 provided adjacent to both side walls of the reactor 620, Configuration.

이들 각각의 구성은,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400)의 구성과 비교하였을 때 도면 부호의 숫자만 400 단위에서 600 단위로 변경되어 도시된 것으로 사실상 유사한 구성임을 알아야 한다.Each of these constitutions is different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gral electrolytic leaching apparatus 400 for leachable rare metal leach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And is substantially similar in configuration to that shown.

그러나 도 6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600)의 구성은,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400)의 구성과 비교하였을 때, 제 1 전극(640) 및 제 2 전극(660)이 상기 반응기(620)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각각 설치된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나타낸다.Howeve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the constitution of the integral electrolytic leaching apparatus 600 for leachable rare metal leaching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leachable rare earth metal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Since the first electrode 640 and the second electrode 660 are provid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reactor 620 in comparison with the structure of the integrated electrolytic leaching apparatus 400 for metal leaching, Show the difference.

즉, 도 4에 나타낸 제 1 전극(440)과 제 2 전극(460)은, 반응기(420)의 양 측벽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구성이다.That is, the first electrode 44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shown in FIG. 4 are provided adjacent to both side walls of the reactor 420.

도 6에 나타낸 제 1 전극(640)은 반응기(620)의 상부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교반기를 이루는 교반기 축(687)이 상기 제 1 전극(640)의 가운데에 형성한 관통공을 지나서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교반기 축(687)이 제 1 전극(640)을 관통하지 않고, 제 1 전극(640)과 제 2 전극(660)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교반기의 구성을 반응기(620)의 수직면에 대해서 직각인 수평면에 위치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first electrode 640 shown in FIG. 6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ctor 620, the agitator shaft 687 constituting the agitator is installed past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electrode 640 . Alternatively, the stirrer shaft 687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640 and the second electrode 66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rst electrode 640.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ructure of the agitator is set to be located on a horizont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plane of the reactor 620.

기타, 교반기 날개(685)의 회전 방향, 회전수, 수소 가스 배출용 벤트(690), 제 1 전극(640)과 제 2 전극(660)의 소재, 전해 침출액의 조성이나 농도, 내부에서의 화학 반응 등은, 도 4의 구성과 대비하였을 때, 사실상 유사하다는 점을 언급해 두고자 한다.In addition, the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number of the agitator blade 685, the hydrogen gas vent 690, the material of the first electrode 640 and the second electrode 660, the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e solution, Reaction, etc., are substantially similar when compared to the configuration of FIG.

다음으로, 도 6의 제 1 전극(640) 및 제 2 전극(660)의 다른 특징적인 구성에 대해서 살펴 보기로 한다.Next, another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first electrode 640 and the second electrode 660 of FIG. 6 will be described.

도 6에 나타낸 제 1 전극(640)과 제 2 전극(660)은, 도 4에 나타낸 제 1 전극(440)과 제 2 전극(660)과 달리, 다공성의 전극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전극(640)과 제 2 전극(660)은 모두 다공성일 수도 있고, 어느 한쪽만 다공성일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640 and the second electrode 660 shown in FIG. 6 may be porous electrodes, unlike the first electrode 440 and the second electrode 660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de 640 and the second electrode 660 may be either porous or only porous.

도 6에서 상기 다공성을 나타내기 위해서 제 1 전극(640)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 642를 첨부하였고, 제 2 전극(660)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 662를 첨부하여 나타내었다.6, reference numeral 642 is attached to the first electrode 640 and reference numeral 662 is attached to the second electrode 660 in order to show the porosity.

도 6에서의 다공성이라는 것은 통상적인 다공성의 물질을 의미하는 것을 포함하면서, 더 나아가서 상기 제 1 전극(640)과 제 2 전극(660)에 의도적으로 구멍(hole)을 천공하여 형성한 천공부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rosity in FIG. 6 includes what is meant to be a conventional porous material, and furthermore, the first electrode 640 and the second electrode 660 are formed by intentionally perforating a hole, And the like.

이와 관련하여, 도 6에서 천공부(642 및 662)는 각각 네 개씩 도시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천공부(642 및 662)는 도시한 것과는 달리 개수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만, 지나치게 많은 다공은 제 1 전극(640) 및/또는 제 2 전극(660)의 물리적인 강도 약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In this regard, it can be seen that the four perforations 642 and 662 are shown in FIG. 6, respectively. How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e perforations 642 and 662 is not limited as shown. However, too many pores are not preferable because they may cause physical weakening of the first electrode 640 and / or the second electrode 660.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염소는 난용성 희유 금속의 침출 반응에 필수적이므로, 전해 침출액 중에 최대한 많이 또한 오래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제 1 전극(640)이 아니라 제 2 전극(660)에서 염소(Cl2)가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since chlorine is essential for the leaching reaction of the poorly soluble rare metal, the second electrode 660 instead of the first electrode 640, So that chlorine (Cl 2 ) is generated.

따라서, 상기 제 2 전극(660)이 양극(anode)이 되도록 배치 및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second electrode 660 is disposed and installed so as to be an anode.

제 2 전극(660)에서 생성된 염소는 교반기의 교반에 의해서 교반되면서, 난용성 희유 금속, 예를 들면, 백금(Pt)을 전해 침출할 수 있다.The chlorine generated in the second electrode 660 can be electrolytically leached out of the refractory rare metal, for example, platinum (Pt) while being stirred by stirring of the stirrer.

여기에서, 또한, 도 6에 나타낸 제 1 전극(640)과 제 2 전극(660) 중에서 다공성의 전극은 제 2 전극(660)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rous electrode among the first electrode 640 and the second electrode 660 shown in FIG. 6 is the second electrode 660.

그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해에 의해서 염소(Cl2)를 생성할 때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넓게 되도록 설계된 경우 더욱 더 효과적으로 다량의 염소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as described above, when chlorine (Cl 2 ) is produced by electrolysis,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larger amount of chlorine even more effectively when the surface area is designed to be relatively wide.

이 경우, 효율이 증대되므로, 반응에 소요되는 전력 소모 또한 기대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efficiency is increased, power consumption for the reaction can also be expected.

한편,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 1 전극(640) 및 이에 대응하는 제 2 전극(660)은 전해 침출액에 충분하게 침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도 6에서 난용성 희유 금속의 전해 침출에 필수적인 염소가 전해 생성되는 제 2 전극(660)이 반응기(620)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도 4에서와 같이 엄격한 의미에서의 침지는 필요하지 않다.Meanwhile, as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electrode 640 and the corresponding second electrode 660 are provided so as to be sufficiently immersed in the electrolyte solution. In FIG. 6, since the second electrode 660, in which chlorine, which is essential for electrolytic leaching of the poorly soluble rare metal, is electrolyzed,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actor 620, immersion in the strict sense as shown in FIG. 4 is not necessary .

그러나, 상기 제 2 전극(660)은 반응기(620)의 바닥면을 포함하여 벽면과는 접촉하지 않도록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접촉에 의한 물리적인 파손 우려로 인해서 본 발명의 제 1 전극(440; 640) 및 제 2 전극(460; 660)에 모두 해당되는 사항이다.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electrode 660 is fixedly installed so as not to contact the wall surface, includ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ctor 620. This applies to both the first electrodes 440 and 640 and the second electrodes 460 and 660 of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physical damage due to contact.

마지막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나타낸다.Finally, FIG. 7 show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integrated electrolytic leaching apparatus for leach rare metal leaching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측면도에 대응하는 평면도이므로, 도 6에 나타낸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Since Fig. 7 is a plan view corresponding to the side view of Fig. 6,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shown in Fig. 6 will be omitted.

도 7에 따르면, 제 1 전극(640)과 제 2 전극(660)의 몸체에는 다수의 천공부(642; 662)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천공부(642; 662)의 개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시한 숫자만으로 제한되지는 않음을 알아야 한다.Referring to FIG. 7, it can be seen that a plurality of perforations 642 are formed in the body of the first electrode 640 and the second electrode 660. It should be noted that the number of the perforations 642 (662) is not limited to the numbers shown, as described above.

도 7에서 벤트(690)는 도면의 하측에 도시되어 있지만, 반응기(620)에서 발생하는 수소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서라면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소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반응기(620)의 상부를 "^" 형상의 깔때기 모양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7, the vent 690 is shown at the lower side of the drawing, but may be formed at another position to discharge the hydrogen gas generated in the reactor 620. Further, in order to discharge the hydrogen gas, the upper part of the reactor 620 may be formed into a funnel shape.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some detail by way of example and in terms of an integral electrolytic leaching apparatus for sparing leach rare met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explanation is merely illustrati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200, 300 : 염소 전해 생성기
120, 220, 320 : 염소 가스 전달 통로
150, 250, 350 : 반응기
155, 255, 355 : 교반기
400, 600 :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
420, 620 : 반응기
440, 640 : 제 1 전극
460, 660 : 제 2 전극
480, 680 : 모터
482, 682 : 교반기 날개 지지부
485, 685 : 교반기 날개
487, 687 : 교반기 축
490, 690 : 벤트(vent)
642, 662 : 다공
100, 200, 300: Chlorine electrolytic generator
120, 220, 320: Chlorine gas transmission passage
150, 250, 350: reactor
155, 255, 355: stirrer
400, 600: Integrated electrolytic leaching device
420, 620: reactor
440, 640: the first electrode
460, 660: second electrode
480, 680: motor
482, 682: stirrer wing support
485, 685: stirrer blade
487, 687: stirrer shaft
490, 690: vent,
642, 662: Porous

Claims (12)

난용성 희유 금속의 침출을 위한 전해 침출액이 담지되는 반응기;
상기 반응기의 양 측벽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교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
A reactor in which an electrolytic leach solution for leaching lean rare metals is carried;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provided adjacent to both side walls of the reactor; And
And an agitator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 integrated electrolytic leaching system for leaching rare meta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은, 그래파이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formed of graphite.
An integrated electrolytic leaching system for leaching rare meta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 침출액은, 염산(HCl)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lytic leach liquor is a hydrochloric acid (HCl) solution.
An integrated electrolytic leaching system for leaching rare metal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염산 용액의 농도는, 4 M 내지 10 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hydrochloric acid solution is 4 M to 10 M,
An integrated electrolytic leaching system for leaching rare metal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난용성 희유 금속은, 백금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Characterized in that said poorly soluble rare metal is a platinum group,
An integrated electrolytic leaching system for leaching rare metal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백금족은, Pt, Pd, Rh 중의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said platinum group comprises one of Pt, Pd and Rh.
An integrated electrolytic leaching system for leaching rare metals.
난용성 희유 금속의 침출을 위한 전해 침출액이 담지되는 반응기;
상기 반응기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 2 전극의 상부에 위치하는 교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
A reactor in which an electrolytic leach solution for leaching lean rare metals is carried;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provid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reactor, respectively; And
And an agitator disposed above the first electrode and disposed above the first electrode.
An integrated electrolytic leaching system for leaching rare metal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은, 그래파이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formed of graphite.
An integrated electrolytic leaching system for leaching rare metal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 침출액은, 염산(HCl)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lytic leach liquor is a hydrochloric acid (HCl) solution.
An integrated electrolytic leaching system for leaching rare metal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염산 용액의 농도는, 4 M 내지 10 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hydrochloric acid solution is 4 M to 10 M,
An integrated electrolytic leaching system for leaching rare metal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난용성 희유 금속은, Pt, Pd, Rh 중의 하나로 이루어지는 백금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are-earth rare metal is a platinum group of one of Pt, Pd and Rh,
An integrated electrolytic leaching system for leaching rare metal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그래파이트는 다공성 그래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용성 희유 금속 침출을 위한 일체형 전해 침출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graphite form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a porous graphite.
An integrated electrolytic leaching system for leaching rare metals.
KR20130099208A 2013-08-21 2013-08-21 Integrated apparatus for electroplating insoluble rare metal KR20150021799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9208A KR20150021799A (en) 2013-08-21 2013-08-21 Integrated apparatus for electroplating insoluble rare metal
PCT/KR2014/006434 WO2015026061A1 (en) 2013-08-21 2014-07-16 Integrated electrolysis leaching device for leaching refractory rare met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9208A KR20150021799A (en) 2013-08-21 2013-08-21 Integrated apparatus for electroplating insoluble rare met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799A true KR20150021799A (en) 2015-03-03

Family

ID=52483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9208A KR20150021799A (en) 2013-08-21 2013-08-21 Integrated apparatus for electroplating insoluble rare meta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21799A (en)
WO (1) WO2015026061A1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4535B2 (en) * 1992-12-10 2002-03-11 ペルメレック電極株式会社 Gas electrode structure and electrolysis method using the gas electrode structure
JP2003010852A (en) * 2001-07-02 2003-01-14 Morinaga Milk Ind Co Ltd Method for operating diaphragm-free electrolytic cell and method for making electrolytic water
KR100683961B1 (en) * 2005-03-29 2007-02-1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Electrogenerated chloride leaching and its apparatus
KR100876682B1 (en) * 2008-06-24 2009-01-0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The dissolution apparatus for noble metals
KR20110130295A (en) * 2010-05-27 2011-12-0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Apparatus for recovery of ruthenium and method for the same
JP5557394B2 (en) * 2011-04-08 2014-07-23 株式会社オメガ Wastewater treatment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26061A1 (en) 2015-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jeang et al. Hydrogen peroxide as an oxidant for microfluidic fuel cells
TWI261630B (en) Coated anode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MXPA03001330A (en) Vanadium electrolyte preparation using asymmetric vanadium reduction cells and use of an asymmetric vanadium reduction cell for rebalancing the state of charge of the electrolytes of an operating vanadium redox battery.
US20080296151A1 (en) Continuous electrolytic refining device for metal uranium
Almazán-Ruiz et al. Nickel recovery from an electroplating rinsing effluent using RCE bench scale and RCE pilot plant reactors: the influence of pH control
KR100683961B1 (en) Electrogenerated chloride leaching and its apparatus
KR1008746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rated jewerly recovering
Bazan et al. Electrochemical removal of tin from dilute aqueous sulfate solutions using a rotating cylinder electrode of expanded metal
KR20150021799A (en) Integrated apparatus for electroplating insoluble rare metal
PL98123B1 (en) ELECTROLIZER WITHOUT A DIAMETER, ESPECIALLY FOR OBTAINING CHLORATE OF ALKALINE METALS
KR101082458B1 (en) The dissolu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etals
Youcai et al. Production of ultrafine zinc powder from wastes containing zinc by electrowinning in alkaline solution
CN205115614U (en) Electrolytic preparation sodium hypochlorite's agitated vessel
FI127028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lytic enrichment of metal
CN204093437U (en) A kind of temperature control reactor
Oishi et al. Effect of additives on monovalent copper electrodeposition in ammoniacal alkaline solutions
JP4168959B2 (en) Method for leaching copper electrolytic starch
EP2439315A2 (en) Filter-press-type electrochemical reactor for recovering gold (au) and silver (ag) values in powder form
RU2245378C1 (en) Method of leaching-out polymetallic raw material and device for realization of this method
AU2006240896A1 (en) Molten salt electrolytic cell and process for producing metal using the same
KR20100103971A (en) The dissolu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etals having module type circulation strusture
JP4555984B2 (en) Metal recovery apparatus and metal recovery method
WO2013051509A1 (en) Method for recovering valuable metal from liquid containing valuable metal, and electrolytic recovery device
Nikolić et al. The ionic equilibrium in the CuSO4-H2SO4-H2O system and the formation of the honeycomb-like structure during copper electrodeposition
JP5524100B2 (en) Electrolytic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