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9232A - Ceramic mono block, and process of forming in/out port and coupling pattern on ceramic filter - Google Patents

Ceramic mono block, and process of forming in/out port and coupling pattern on ceramic fil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9232A
KR20150019232A KR20130095827A KR20130095827A KR20150019232A KR 20150019232 A KR20150019232 A KR 20150019232A KR 20130095827 A KR20130095827 A KR 20130095827A KR 20130095827 A KR20130095827 A KR 20130095827A KR 20150019232 A KR20150019232 A KR 20150019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output terminal
ceramic
conductive material
surfac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58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04957B1 (en
Inventor
이규영
Original Assignee
한국광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광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5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957B1/en
Publication of KR20150019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2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9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10Dielectric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6Comb filters or interdigital filters with metallised resonator holes in a dielectric b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01P1/2084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with dielectric reson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method for forming a top pattern and input and output terminals of a ceramic filter. The method for forming a top pattern and input and output terminals of a ceramic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printing a nonconductive material on an insulation region of the surface of a ceramic mono block; (b) plating the surface of the ceramic mono block with a conductive material; and (c) stripping the conductive material plated on a discontinuous point. The insulation region is a preset region to surround an input and output terminal part and a top pattern part, and at least one part is opened to form the discontinuous point.

Description

세라믹 모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세라믹 필터의 입출력단자 및 상면 패턴 형성 방법{CERAMIC MONO BLOCK, AND PROCESS OF FORMING IN/OUT PORT AND COUPLING PATTERN ON CERAMIC FILT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ramic monoblock and a ceramic filter using the ceramic monoblock.

세라믹 모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세라믹 필터의 입출력단자 및 상면 패턴 형성 방법{CERAMIC MONO BLOCK & PROCESS OF FORMING IN/OUT PORT AND COUPLING PATTERN ON CERAMIC FILT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ramic monoblock and a ceramic filter using the ceramic monoblock,

세라믹 필터(CERAMIC FILTER)란 세라믹 공진자(압전 공진자)의 고유 진동으로 공진 회로를 제어하여 그 주파수 영역의 성분만을 통과시키도록 한 필터로서, LC필터보다 주파수 선택 특성이 뛰어나므로 단독 또는 중간 주파수 회로의 부품으로서 주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매우 작은 크기를 갖으며 우수한 특성을 갖는 필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서, 극소화된 크기로 극대화된 전기적인 특성을 갖는 세라믹 필터의 개발에 열중하고 있는 실정이다.CERAMIC FILTER is a filter that controls the resonance circuit by inherent vibration of a ceramic resonator ( piezoelectric resonator ) so that only the component in the frequency domain passes through it. Since it has better frequency selection characteristics than an LC filter, It is mainly used as a part of a circuit. In recent years, as the demand for a filter having a very small size and excellent characteristics has been increased, there has been a great deal of effort in the development of a ceramic filter having a maximized electric characteristic with a minimized size.

이러한, 세라믹 필터(CERAMIC FILTER)는 그 형태에 따라 개별 세라믹공진기들을 정렬하여 연결한 구조의 디스크리트(DISCRETE)형과 단일체 세라믹 구조인 모노 블록(MONO-BLOCK)형이 구분되며, 세라믹 필터(CERAMIC FILTER)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3가지 주요 공정으로는, 첫번째로 상면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 두번째로 입출력(IN/OUT) 단자를 형성하는 공정 및 세번째로 적절한 작동 주파수로 튜닝(tuning)하는 공정이 있다.The ceramic filter is divided into a discrete type structure in which individual ceramic resonators are align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mono-block type monolithic ceramic structure. A ceramic filter ), There are a process of forming a top pattern first, a process of forming an input / output (IN / OUT) terminal secondly, and a process of tuning to a third suitable operating frequency .

세라믹 모노 블록에 공진홀이 형성된 모노 블록(MONO-BLOCK)형 세라믹 필터를 제작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술한 첫번째 공정 및 두번째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실버 페이스트(silver paste)를 사용하여 세라믹 모노 블록의 각 표면을 필요한 패턴으로 프린팅하는 방식 또는 세라믹 모노 블록의 모든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도금한 후 레이저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방식이 개시되어 있다.In the process of fabricating a MONO-BLOCK type ceramic filter in which a resonance hole is formed in a ceramic monoblock,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performing the first process and the second process described above is to use a silver paste A method of printing each surface of a ceramic monoblock in a required pattern or a method of removing unnecessary portions by using a laser after plating all the surfaces of the ceramic monoblock with a conductive material is disclosed.

그러나, 실버 페이스트(silver paste)를 사용하여 세라믹 모노 블록의 각 표면을 필요한 패턴으로 프린팅하는 방식은 세라믹 모노 블록의 모든 표면에 대한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을 필요로 하여 제작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고, 스크린 프린팅의 고유의 한계로 인하여 표면 거칠기가 질적으로 저하되며, 스크린판에 묻은 실버 페이스트를 재활용하지 못하고 그대로 버려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method of printing each surface of a ceramic monoblock with a necessary pattern by using a silver paste requires screen printing on all the surfaces of the ceramic monoblock, so that the manufacturing time is excessively long ,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rface roughness is deteriorated due to inherent limitations of screen printing and the silver paste on the screen plate can not be recycled and discarded.

또한, 세라믹 모노 블록의 모든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도금한 후 레이저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방식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고가의 레이저 트리머 장치를 구비해야만 하는 어려움이 있고, 불필요한 부분을 일일이 제거해야하므로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져 효율성이 저감되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utilize a method of removing unnecessary portions by using a laser after plating all the surfaces of the ceramic monoblock with a conductive material, it is difficult to provide an expensive laser trimming device, and unnecessary portions must be removed The time required is long and the efficiency is reduced.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 10-0316481 호: 일체형모노필터(2001.11.21)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316481: Integrated Mono Filter (Nov. 21, 2001)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입출력단자 및 상면 패턴이 형성될 영역을 둘러싸는 영역에 비전도성 물질을 인쇄함으로써, 실버 페이스트(silver paste)를 사용하여 세라믹 모노 블록의 각 면에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을 수행하는 방식보다 소요시간을 단축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eramic monoblock by printing a nonconductive material on an area surrounding an input / output terminal and a region where a top surface pattern is to be formed, We want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to perform screen print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기도금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방식보다 은(silver)의 사용량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amount of silver used compared to a screen printing method by using an electroplating method,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입출력단자 및 상면 패턴를 둘러싸는 소정의 영역에만 비전도성 물질을 인쇄함으로써, 세라믹 모노 블록의 모든 표면을 도금한 후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함에 따라 은(silver)의 낭비를 줄이고, 고가의 레이저 트리머 장비를 별도로 구비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자 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 the waste of silver by printing non-conductive materials only on a predetermined area surrounding the input / output terminals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 thereby plating unnecessary portions after plating all surfaces of the ceramic mono- , And eliminates the need for expensive expensive laser trimmer equipmen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면, 측면 및 하면을 포함하는 유전체 블록, 상기 상면과 하면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공진홀, 상기 측면 중 소정의 영역인 입출력단자부, 상기 상면 중 상기 공진홀을 둘러싼 소정의 영역인 상면 패턴부 및 상기 입출력단자부 및 상면 패턴부를 둘러싼 소정의 영역이 비전도성 물질로 인쇄된 절연 영역을 포함하는 세라믹 모노 블록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electric block including a dielectric block including a top surface, a side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a resonance hole vertically penetrating the top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an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 being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side surface, And a predetermined region surrounding the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 portion is an insulating region printed with a nonconductive material.

또한, 상기 절연 영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이 개방되어 불연속 지점이 형성될 수 있다.Also, at least one or more portions of the insulating region may be opened to form a discontinuous poin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면, 측면 및 하면을 포함하는 유전체 블록, 상기 상면 및 하면을 수직으로 관통하고, 내면이 전도성 물질로 도금된 공진홀, 상기 측면 중 소정의 영역이 전도성 물질로 도금된 입출력단자, 상기 상면 중 상기 공진홀을 둘러싼 소정의 영역이 전도성 물질로 도금된 상면 패턴 및 상기 입출력단자 및 상면 패턴을 둘러싼 소정의 영역이 비전도성 물질로 인쇄된 절연 영역을 포함하는 세라믹 필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electric block including a dielectric block including an upper surface, a side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 resonance hole vertically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pla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on the inner surface, Output terminal, a top surface pattern in which a predetermined region surrounding the resonance hole is pla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and an insulating region in which a predetermined region surrounding the input / output terminal and the top surface pattern is printed with a nonconductive material, / RTI >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세라믹 모노 블록을 가공하여 세라믹 필터의 입출력단자 및 상면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a)상기 세라믹 모노 블록의 표면 중 절연 영역에 비전도성 물질을 인쇄하는 단계, (b)상기 세라믹 모노 블록의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도금하는 단계 및 (c)불연속 지점에 도금된 상기 전도성 물질을 박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절연 영역은, 입출력단자부 및 상면 패턴부을 둘러싼 소정의 영역이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이 개방되어 상기 불연속 지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필터의 입출력단자 및 상면 패턴 형성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forming a ceramic filter by processing a ceramic monoblock to form input / output terminals and an upper surface pattern of the ceramic filt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printing a nonconductive material on an insulating region of the surface of the ceramic monoblock; (b) plating the surface of the ceramic monoblock with a conductive material, and (c) peeling the conductive material plated at the discontinuous point, wherein the insulating region is formed by a predetermined pattern surrounding the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 portion And at least one of the openings is opened to form the discontinuous point. The input / output terminal and the top surface pattern forming method of the ceramic filter are provided.

또한, 상기 (c)단계는, 연마기를 이용하여 상기 불연속 지점에 도금된 상기 전도성 물질을 박리할 수 있다.In the step (c), the conductive material plated on the discontinuous point may be peeled off using a polishing machine.

또한, 상기 불연속 지점은, 상기 절연 영역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discontinuous point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portion of the insulating region.

또한, 상기 (b)단계는, 상기 각 입출력단자부 및 상면 패턴부는 도금 시 상기 불연속 지점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the step (b), each of the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s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 portio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discontinuous point when plat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세라믹 모노 블록을 가공하여 세라믹 필터의 입출력단자 및 상면 패턴을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상기 세라믹 모노 블록의 표면 중 입출력단자부 및 상면 패턴부를 둘러싼 절연 영역에 비전도성 물질을 인쇄하는 단계 및 (나)상기 세라믹 모노 블록의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라믹 필터의 입출력단자 및 상면 패턴 형성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fabricating ceramic input / output terminals and an upper surface pattern of a ceramic filter by processing a ceramic monoblock,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forming an insulating region surrounding the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 por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forming an input / output terminal and an upper surface pattern of a ceramic filter including a step of printing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a step of plating the surface of the ceramic monoblock with a conductive material.

또한, 상기 (나)단계는, 상기 절연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각 입출력단자부 및 상면 패턴부 모두에 전극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입출력단자부 및 상면 패턴부에 대한 도금을 위해 상기 전극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입출력단자 및 상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b), an electrode is connected to both the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 and the top surface pattern portion surrounded by the insulating region, and a current is applied to the electrode for plating the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 and the top surface pattern portion And forming the input / output terminal and the top surface patter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입출력단자 및 상면 패턴이 형성될 영역을 둘러싼 영역에 비전도성 물질을 인쇄함으로써, 실버 페이스트(silver paste)를 사용하여 세라믹 모노 블록의 각 면에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을 수행하는 방식보다 소요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 screen printing on each side of a ceramic monoblock using a silver paste by printing a nonconductive material on an area surrounding an input / output terminal and an area where a top surface pattern is to be formed The time required can be shorten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기도금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방식보다 은(silver)의 사용량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amount of silver used compared to the screen printing method by using the electroplating method,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입출력단자 및 상면 패턴이 형성될 영역을 둘러싼 영역에만 비전도성 물질을 인쇄함으로써, 세라믹 모노 블록의 모든 표면을 도금한 후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함에 따라 수반되는 은(silver)의 낭비를 줄이고, 고가의 레이저 트리머 장비를 별도로 구비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manufacturing method of a ceramic monoblock by printing a non-conductive material only on an area surrounding an input / output terminal and an area where a top surface pattern is to be formed, And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expensive laser trimmer equipment separately.

도 1의 (a)는 종래기술의 세라믹 모노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종래기술의 세라믹 모노 블록을 가공하여 입출력단자 및 상면 패턴이 형성된 세라믹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필터의 입출력단자 및 상면 패턴 형성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라 세라믹 모노 블록 상에 입출력단자 및 상면 패턴이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필터의 입출력단자 및 상면 패턴 형성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라 세라믹 모노 블록 상에 입출력단자 및 상면 패턴이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a)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eramic monoblock, and FIG. 1 (b) is a view showing a ceramic filter in which a ceramic monoblock of the prior art is processed to form input and output terminals and a top surface pattern.
2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forming an input / output terminal and a top surface pattern of a ceramic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forming input / output terminals and a top surface pattern on a ceramic mono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forming an input / output terminal and a top surface pattern of a ceramic fi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 process of forming input / output terminals and a top surface pattern on a ceramic mono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임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should not be construed or interpret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description includ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various applications.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 limited not by the claims, but rather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claim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의 (a)는 공진홀(11,12)이 형성된 종래기술의 세라믹 모노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종래기술의 세라믹 모노 블록을 가공하여 입출력단자(21,22) 및 상면 패턴(13,14)이 형성된 세라믹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a)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eramic monoblock formed with resonance holes 11 and 12, Fig. 1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ceramic monoblock, (13, 14) are formed.

도 1의 (a)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의 세라믹 모노 블록에는 상면(10), 측면(20) 및 하면(30)을 포함하는 유전체 블록(100) 및 상면(10)과 하면(30)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공진홀(11,12)이 포함된다. 여기서 공진홀(11,12)은 축방향에 수직인 횡단면 형상은 긴 원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직사각형 형상, 타원형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일 수 있고, 공진홀(11,12) 각각의 크기 역시 서로 상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A, a dielectric block 100 including a top surface 10, a side surface 20 and a bottom surface 30 and a top surface 10 and a bottom surface 30 are formed on a ceramic monoblock of the prior art. And vertically penetrating resonance holes 11 and 12 are included. Here, the cross-sectional shape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resonance holes 11 and 12 is not limited to a long circular shape but may be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shape and an elliptical shape, and the sizes of the resonance holes 11 and 1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can do.

도 1의 (b)를 참조하면, 도 1의 (a)에 도시된 세라믹 모노 블록에 대한 가공을 통해 입출력단자(21,22) 및 상면 패턴(13,14)이 형성된 세라믹 필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세라믹 필터(CERAMIC FILTER)란 세라믹 공진자(압전 공진자)의 고유 진동으로 공진 회로를 제어하여 그 주파수 영역의 성분만을 통과시키도록 한 필터의 한 유형이다. 이러한 세라믹 필터에 포함된 공진홀(11,12)은 내면이 전도성 물질로 도금된다. 또한, 입출력단자(21,22)는 유전체 블록(100)의 측면(20) 중 소정의 영역을 전도성 물질로 도금하여 형성되고, 상명 패턴(13,14)은 유전체 블록(100)의 상면(10) 중 공진홀(11,12)을 둘러싼 소정의 영역을 전도성 물질로 도금함으로써 생성한다.Referring to FIG. 1 (b), the ceramic filter having the input / output terminals 21 and 22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s 13 and 14 formed through the processing of the ceramic monoblock shown in FIG. 1 (a) . A ceramic filter is a type of filter that controls the resonance circuit by natural vibration of a ceramic resonator ( piezoelectric resonator ) so as to pass only the component in the frequency domain. The inner surfaces of the resonance holes 11 and 12 included in the ceramic filter are pla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The input and output terminals 21 and 22 are formed by plating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ide surface 20 of the dielectric block 100 with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upper and lower patterns 13 and 14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0 ) By plating a predetermined region surrounding the resonance holes 11 and 12 with a conductive material.

이 때, 입출력단자(21,22)는 세라믹 필터가 추후 전자부품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세라믹 모노 블록의 측면 중 3면에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put / output terminals 21 and 22 can be formed on three of the side surfaces of the ceramic monoblock so that the ceramic filter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electronic component in the future.

한편, 도 1, 도3 및 도 5에는 공진홀(11,12), 입출력단자(21,22) 및 상면 패턴(13, 14)이 각각 2개씩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더 많은 수의 공진홀(11,12), 입출력단자(21,22) 및 상면 패턴(13, 14)이 세라믹 모노 블록에 형성될 수 있다.2, the resonance holes 11 and 12, the input / output terminals 21 and 22,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s 13 and 14 are shown in FIG. 1, FIG. 3 and FIG. 5, The resonance holes 11 and 12, the input / output terminals 21 and 22,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s 13 and 14 can be formed on the ceramic monoblock.

또한, 입출력단자(21,22) 및 상면 패턴(13,14)은 전도성 물질로 후막(thick film)이 형성되고, 측면(20) 중 입출력단자(21,22) 및 상면 패턴(13,14)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 및 하면(30)은 전도성 물질로 인쇄되어 접지면을 구성한다. 이 경우, 입출력단자(21,22)와 접지면의 사이는 전도성 물질로 인쇄되지 않은 유전체 영역(23, 24)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아울러, 공진홀(11,12) 역시 전도성 물질로 인쇄되어 상면 패턴(13, 14)과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면 패턴(13, 14)은 세라믹 필터를 튜닝(tuning)하기 위한 노치(notch)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출력단자(21, 22)는 상면 패턴(13,14) 및 공진홀(11,12)에 인쇄된 전도성 물질과 용량성 결합(capacitive coupling)하여 세라믹 필터가 특정 대역의 주파수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한다.
The input and output terminals 21 and 22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s 13 and 14 are formed of a thick film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input and output terminals 21 and 22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s 13 and 14, And the lower surface 30 are prin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to constitute a ground plane. In this case, between the input / output terminals 21 and 22 and the ground plane are electrically separated by dielectric regions 23 and 24 that are not prin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In addition, the resonance holes 11 and 12 are also prin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and ar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patterns 13 and 14. Here, the top surface patterns 13 and 14 may include a notch for tuning the ceramic filter. The input and output terminals 21 and 22 are capacitively coupled with the conductive material printed on the upper surface patterns 13 and 14 and the resonance holes 11 and 12 so that the ceramic filter selectively So that it can pas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필터의 입출력단자(21,22) 및 상면 패턴(13,14) 형성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라 세라믹 모노 블록 상에 입출력단자(21,22) 및 상면 패턴(13,14)이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forming the input / output terminals 21 and 22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s 13 and 14 of the ceramic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s 13 and 14 are formed on the ceramic monoblock.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필터의 입출력단자(21,22) 및 상면 패턴(13,14) 형성 방법은 세라믹 모노 블록의 표면 중 절연 영역(40)에 비전도성 물질을 인쇄하는 단계, 세라믹 모노 블록의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도금하는 단계 및 불연속 지점(50)에 도금된 전도성 물질을 박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각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2, the method for forming the input / output terminals 21 and 22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s 13 and 14 of the ceramic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ming a conductive material on the insulating region 40 of the surface of the ceramic mono- , Plating the surface of the ceramic monoblock with a conductive material, and stripping the plated conductive material to the discontinuity point (50). Each of the above-described step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3(b)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모노 블록은 도 1(a)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세라믹 모노 블록과 비교할 때, 입출력단자부, 상면 패턴부 및 절연 영역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입출력단자부 및 상면 패턴부는 상기 유전체 블록(100)의 표면 중 기 설정된 위치에 해당하는 영역으로서, 입출력단자부(25,26)는 유전체 블록(100)의 측면 중 소정의 영역이고, 상명 패턴부(15,16)는 상면 중 공진홀을 둘러싼 소정의 영역이다. 또한, 절연 영역(40)은 입출력단자부(25,26) 및 상면 패턴부(15,16)를 소정의 폭으로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영역이다. Referring to FIGS. 3 (b) and 5 (b), the ceramic monobl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ceramic monoblock of the prior art shown in FIG. 1 And an insulating region. The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 portion are regions corresponding to predetermined positions in the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100. The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s 25 and 26 are predetermined regions of the side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100, (15, 16) are predetermined areas surrounding the resonance holes in the upper surface. The insulating region 40 is formed in a shape that surrounds the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s 25 and 26 and the top surface pattern portions 15 and 16 with a predetermined width.

또한, 절연 영역(40)은 잉크 또는 페인트 등을 포함하는 비전도성 물질로 인쇄된다. 이러한 절연 영역(40)은 비전도성 물질로 인쇄되므로, 이후 전기 도금 과정이 진행되는 경우 전도성 물질이 도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각 입출력단자(21,22) 및 상면 패턴(13,14)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insulating region 40 is printed with a nonconductive material including ink, paint or the like. Since the insulating region 40 is printed with a nonconductive material, it is possible to electrically isolate the input / output terminals 21 and 22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s 13 and 14 by preventing the conductive material from being plated when the electroplating process proceeds thereafter. .

이로써, 종래기술에 따라 세라믹 모노 블록의 모든 표면을 은(silver)등의 전도성 물질로 도금한 후 입출력단자(21,22) 및 상면 패턴(13,14)을 형성하기 위해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은(silver) 등이 낭비되고 고가의 레이저 트리머 장비를 별도로 구비해야하는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Thus, the entire surface of the ceramic monoblock is pla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silver, and the unnecessary portions are removed to form the input / output terminals 21 and 22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s 13 and 14 The silver and the like are wasted and the disadvantage that expensive laser trimming equipment is separately provided can be solved.

또한, 세라믹 모노 블록의 표면 중 절연 영역(40)에 비전도성 물질을 인쇄하는 단계에 있어서, 절연 영역(4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입출력단자부(25,26) 및 상면 패턴부(15,16)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3 (b), in the step of printing the nonconductive material on the insulating region 40 among the surfaces of the ceramic monoblocks, the insulating region 40 is formed in the surface of each of the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s 25,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pattern portions 15 and 16.

한편, 절연 영역(40)은 추후 전기 도금 공정이 수행되는 경우 전극(200)을 통해 공급되는 전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불연속 지점(50)에 의해 적어도 어느 한 부분이 개방되어야 한다. 또한, 각 입출력단자부(25,26) 및 상면 패턴부(15,16)를 둘러싸는 절연 영역(4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이 불연속 지점(50)에 의해 개방됨으로써 전기 도금 공정에서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t least part of the insulating region 40 should be opened by the discontinuity point 50 so that electrons supplied through the electrode 200 can move when a subsequent electroplating process is performed. At least one portion of the insulating region 40 surrounding each of the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s 25 and 26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 portions 15 and 16 is opened by the discontinuity point 5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the electroplating process .

이 경우, 불연속 지점(50)의 수가 증가할수록 전자가 더욱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되므로, 이후 전기 도금 과정을 진행하는 경우 매끄러운 후막(thick film)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the number of the discontinuous points 50 increases, electrons are more uniformly dispersed. Therefore, a thick thick film may be formed when electroplating is performed thereafter.

또한, 절연 영역(40)으로 인쇄되는 비전도성 물질로는 잉크(ink) 또는 페인트(paint)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절연체(insulator)가 이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various non-conductive materials to be printed in the insulating region 40 may be various insulators including ink or paint.

비전도성 물질을 절연 영역(40)에 인쇄하는 방식으로는, 플렉소, 그라비아 등의 롤프린팅(roll printing)법,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법 또는 잉크젯 프린팅법 등의 공지된 일반적인 방식들이 활용될 수 있다.
As a method of printing the nonconductive material on the insulating region 40, known general methods such as a roll printing method such as flexo and gravure, a screen printing method, or an inkjet printing method may be utilized .

세라믹 모노 블록의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도금하는 단계는 세라믹 모노 블록의 표면 중 절연 영역(4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위에 전도성 후막(thick film)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이때, 전기 도금(electroplating)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 도금이란 전기분해의 원리를 이용하여 특정 금속을 대상물 상에 입히는 과정을 말하며, 도금할 물체에 음극을 연결하고 덮어 씌울 금속에 양극을 연결한 후 두 전극(200)을 전해질용액에 담그고 직류전원장치를 연결하면 전기도금이 시작된다. 이때, 전해질로는 덮어 씌울 금속을 이온으로 포함하는 용액을 사용한다. The step of plating the surface of the ceramic monoblock with a conductive material is a process of forming a conductive thick film on the surface of the ceramic monoblock except for the insulating region 40. At this time, an electroplating method can be used. Electroplating refers to a process of applying a specific metal on an object using the principle of electrolysis, connecting a cathode to an object to be plated, connecting an anode to a metal to be covered, then immersing the two electrodes 200 in an electrolyte solution When the DC power supply is connected, electroplating starts. At this time, as the electrolyte, a solution containing the metal to be covered is used.

전기 도금 공정이 완료되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영역(40)을 제외한 모든 영역, 즉 입출력단자부(25,26), 상면 패턴부(15,16) 및 불연속 지점(50)이 포함된 영역이 전도성 물질로 덮히게 된다.When the electroplating process is completed, all the regions except for the insulating region 40, that is, the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s 25 and 26, the upper surface pattern portions 15 and 16, and the discontinuous points 50, The area covered is cover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이 경우, 전도성 물질로는 일반적으로 은(silver), 구리(copper)를 포함하는 전도체(conductor)가 이용될 수 있다.
In this case, as the conductive material, a conductor including silver and copper may be generally used.

불연속 지점(50)에 도금된 전도성 물질을 박리하는 단계는 입출력단자부(25,26) 및 상면 패턴부(15,16)를 각각 입출력단자(21,22)와 상면 패턴(13,14)으로 형성하기 위한 공정이다. 즉, 불연속 지점(50)에 도금된 전도성 물질을 박리함으로써, 불연속 지점(50)에 도금된 전도성 물질과 입출력단자부(25,26) 및 상면 패턴부(15,16)에 도금된 전도성 물질의 연결을 끊어 최종적으로 입출력단자(21,22) 및 상면 패턴(13,14)을 형성하는 것이다.The step of peeling the plated conductive material to the discontinuous point 50 is performed by forming the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s 25 and 26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 portions 15 and 16 into the input / output terminals 21 and 22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s 13 and 14, respectively . That is, by peeling the plated conductive material to the discontinuity point 50, the connection of the plated conductive material to the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s 25 and 26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 portions 15 and 16 And finally the input / output terminals 21 and 22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s 13 and 14 are formed.

불연속 지점(50)에 도금된 전도성 물질은 미세 연마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거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학 반응을 이용한 방식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박리법이 채용될 수 있다. 이로 따라, 세라믹 모노 블록의 모든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도금한 후 레이저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일일이 제거하는 방식과는 달리 고가의 레이저 트리머 장치가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Although the conductive material plated on the discontinuous point 50 can be easily removed using a fine grinder, various separation methods including a chemical reaction method and the like can be employed. Accordingly, unlike a method of plating all surfaces of a ceramic monoblock with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n removing unnecessary portions by using a laser, an expensive laser trimmer device is not required.

한편, 도 3(d) 및 도 5(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필터는 도 1(b)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세라믹 필터와 비교할 때, 절연 영역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절연 영역(40)은 입출력단자부(25,26) 및 상면 패턴부(15,16)를 소정의 폭으로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영역이다. 또한, 절연 영역(40)은 비전도성 물질로 인쇄된다. 이로써, 세라믹 필터를 제조하는 과정 중 전기 도금 시에 절연 영역(40)이 전도성 물질로 도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세라믹 모노 블록 전체를 도금한 후 불필요한 부분(예, 입출력단자가 그 외의 부분과 절연되도록 하는 부분)을 레이저 트리머 장치를 이용하여 일일이 제거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도성 물질(예, 은)의 낭비를 줄이고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d) and 5 (d), the ceramic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nsulating region as compared with the ceramic filter of the prior art shown in FIG. 1 (b) do. The insulating region 40 is formed in a shape that surrounds the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s 25 and 26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 portions 15 and 16 with a predetermined width. Further, the insulating region 40 is printed with a nonconductive material.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sulating region 40 from being pla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during electroplating dur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ceramic filter. Therefore, after the entire ceramic monoblock is plated, an unnecessary portio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that the laser trimming device must be used to remove the portion that is to be insulated. This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waste of the conductive material (e.g., silver) and shortening the manufacturing tim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필터의 입출력단자(21,22) 및 상면 패턴(13,14) 형성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라 세라믹 모노 블록 상에 입출력단자(21,22) 및 상면 패턴(13,14)이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forming the input / output terminals 21 and 22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s 13 and 14 of the ceramic fi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s 13 and 14 are formed on the ceramic monoblock.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필터의 입출력단자(21,22) 및 상면 패턴(13,14) 형성 방법은, 세라믹 모노 블록의 표면 중 입력단자부, 출력단자부 및 상면 패턴부를 둘러싸는 절연 영역(40)을 비전도성 물질로 인쇄하는 단계 및 세라믹 모노 블록의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4, the method for forming the input / output terminals 21, 22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s 13, 14 of the ceramic fi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terminal portion, Printing the insulating region 40 surrounding the portion with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plating the surface of the ceramic monoblock with a conductive material.

도 5(b)를 참조하면, 우선 세라믹 모노 블록의 표면 중 입출력단자부(25,26) 및 상면 패턴부(15,16)의 경계에 형성된 절연 영역(40)을 비전도성 물질로 인쇄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절연 영역(40)이 불연속 지점(50)에 의해 개방되지 않는다. 이 경우, 절연 영역(40)은 입출력단자부(25,26) 및 상면 패턴부(15,16)의 경계로부터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고, 도 3(b)와는 달리 끊어지는 부분없이 비전도성 물질에 의해 연속적으로 인쇄된다. 이에 따라, 절연 영역(40)으로 둘러싸인 입출력단자부(25,26) 및 상면 패턴부(15,16) 각각은 상호 전기적으로 완벽히 분리된다.5 (b), the step of printing the insulating region 40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s 25 and 26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 portions 15 and 16 among the surfaces of the ceramic monoblocks with a non- The insulating region 40 is not opened by the discontinuous point 50, unlike the embodiment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insulating region 4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boundary between the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s 25 and 26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 portions 15 and 16, and unlike the case of FIG. 3 (b) As shown in FIG. Thus, the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s 25 and 26 and the top surface pattern portions 15 and 16 surrounded by the insulating region 40 are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electrically.

절연 영역(40)에 인쇄되는 비전도성 물질로는 잉크(ink) 또는 페인트(paint)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절연체(insulator)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비전도성 물질을 절연 영역(40)에 인쇄하는 방식으로는, 플렉소, 그라비아 등의 롤프린팅(roll printing)법,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법 또는 잉크젯 프린팅법 등의 공지된 일반적인 방식들이 활용될 수 있다.As the nonconductive material to be printed on the insulating region 40, various insulators including ink or paint can be used. As a method of printing the nonconductive material on the insulating region 40, known general methods such as a roll printing method such as flexo and gravure, a screen printing method, and an inkjet printing method may be used Can be utilized.

다음으로, 세라믹 모노 블록의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도금하는 단계가 수행돤다. 이는 세라믹 모노 블록의 표면 중 절연 영역(4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위에 전도성 후막(thick film)을 형성하는 공정이며, 전기 도금(electroplating)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Next, a step of plating the surface of the ceramic monoblock with a conductive material is performed. This is a step of forming a conductive thick film on the surface of the ceramic monoblock excluding the insulating region 40 and may be performed using an electroplating method.

또한, 세라믹 모노 블록의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도금하는 단계는 절연 영역(40)에 의해 둘러싸인 입출력단자부(25,26) 및 상면 패턴부(15,16) 각각에 전극(200)을 연결하는 단계 및 전극(200)에 전류를 인가하여 입출력단자부(25,26) 및 상면 패턴부(15,16)를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ep of plating the surface of the ceramic monoblock with a conductive material includes the steps of connecting the electrode 200 to each of the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s 25 and 26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 portions 15 and 16 surrounded by the insulating region 40, and And plating the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s 25 and 26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 portions 15 and 16 by applying a current to the electrode 200. [

도 5(c)를 참조하면, 전기 도금을 수행함에 있어서 입출력단자부(25,26) 및 상면 패턴부(15,16) 각각에 전극(200)이 모두 연결되어야 한다. 이는 입출력단자부(25,26) 및 상면 패턴부(15,16) 각각은 상호 전기적으로 완벽히 분리된 상태이므로, 입출력단자부(25, 26) 또는 상면 패턴부(15, 16) 중 어느 하나라도 전극(200)과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도성 물질로 도금이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Referring to FIG. 5C, the electrodes 200 are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s 25 and 26 and the top surface pattern portions 15 and 16, respectively, in performing electroplating. Since the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s 25 and 26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 portions 15 and 16 are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electrically, any one of the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s 25 and 26 or the upper surface pattern portions 15 and 16 200), it is not pla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전극(200)에 전류를 인가하여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 전기 도금 공정이 완료되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영역(40)을 제외한 영역 중에서 입출력단자부(25,26) 및 상면 패턴부(15,16)가 전도성 물질로 덮히게 되고, 최종적으로 입출력단자(21,22) 및 상면 패턴(13,14)이 형성된다.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a current is applied to the electrode 200, the electroplating process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5 (d), the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s 25 and 26, The pattern portions 15 and 16 are covered with the conductive material, and the input / output terminals 21 and 22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s 13 and 14 are finally formed.

이 경우, 전도성 물질로는 은(silver), 구리(copper)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전도체(conductor)가 이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a conductive material, a general conductor including silver and copper may be used.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 상면 20 : 측면 30 : 하면
11, 12 : 공진홀
13, 14 : 상면 패턴
15, 16 : 상면 패턴부
21, 22 : 입출력단자
23, 24 : 유전체 영역
25, 26 : 입출력단자부
40 : 절연 영역
50 : 불연속 지점
100 : 유전체 블록 200 : 전극(음극)
10: upper surface 20: side surface 30: lower surface
11, 12: resonance hole
13, 14: Top surface pattern
15, 16: upper surface pattern portion
21, 22: I / O terminal
23, 24: dielectric region
25, 26: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
40: Insulation area
50: Discontinuous point
100: Dielectric block 200: Electrode (cathode)

Claims (9)

상면, 측면 및 하면을 포함하는 유전체 블록;
상기 상면과 하면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공진홀;
상기 측면 중 소정의 영역인 입출력단자부;
상기 상면 중 상기 공진홀을 둘러싼 소정의 영역인 상면 패턴부; 및
상기 입출력단자부 및 상면 패턴부를 둘러싼 소정의 영역이 비전도성 물질로 인쇄된 절연 영역;
을 포함하는 세라믹 모노 블록
A dielectric block including an upper surface, a side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 resonance hole vertically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n input / output terminal unit which is a predetermined one of the side faces;
A top surface pattern portion which is a predetermined region surrounding the resonance hole in the top surface; And
An insulating region in which a predetermined region surrounding the input / output terminal section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 section is printed with a nonconductive material;
≪ RTI ID = 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영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이 개방되어 불연속 지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모노 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ulating region comprise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part is opened to form a discontinuous point.
상면, 측면 및 하면을 포함하는 유전체 블록;
상기 상면 및 하면을 수직으로 관통하고, 내면이 전도성 물질로 도금된 공진홀;
상기 측면 중 소정의 영역이 전도성 물질로 도금된 입출력단자;
상기 상면 중 상기 공진홀을 둘러싼 소정의 영역이 전도성 물질로 도금된 상면 패턴; 및
상기 입출력단자 및 상면 패턴을 둘러싼 소정의 영역이 비전도성 물질로 인쇄된 절연 영역;
을 포함하는 세라믹 필터
A dielectric block including an upper surface, a side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 resonance hole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vertically and having an inner surface pla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An input / output terminal having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ide surface pla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A top surface pattern in which a predetermined region surrounding the resonance hole is pla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And
An insulating region in which a predetermined region surrounding the input / output terminal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 is printed with a nonconductive material;
≪ / RTI >
세라믹 모노 블록을 가공하여 세라믹 필터의 입출력단자 및 상면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a)상기 세라믹 모노 블록의 표면 중 절연 영역에 비전도성 물질을 인쇄하는 단계;
(b)상기 세라믹 모노 블록의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도금하는 단계; 및
(c)불연속 지점에 도금된 상기 전도성 물질을 박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절연 영역은,
입출력단자부 및 상면 패턴부을 둘러싼 소정의 영역이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이 개방되어 상기 불연속 지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필터의 입출력단자 및 상면 패턴 형성 방법
A method for forming an input / output terminal and an upper surface pattern of a ceramic filter by processing a ceramic monoblock,
(a) printing a nonconductive material on an insulating region of the surface of the ceramic monoblock;
(b) plating the surface of the ceramic monoblock with a conductive material; And
(c) peeling the conductive material plated on the discontinuous point;
, ≪ / RTI &
Wherein the insulating region comprises:
Output terminal and a top surface pattern portion, and at least one of the portions is opened to form the discontinuity poi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연마기를 이용하여 상기 불연속 지점에 도금된 상기 전도성 물질을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필터의 입출력단자 및 상면 패턴 형성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tep (c)
And the conductive material plated on the discontinuous point is peeled off using a polishing machin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지점은,
상기 절연 영역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필터의 입출력단자 및 상면 패턴 형성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iscontinuity point
Wherein the insulating layer is formed on at least one portion of the insulating reg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각 입출력단자부 및 상면 패턴부는 도금 시 상기 불연속 지점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필터의 입출력단자 및 상면 패턴 형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tep (b)
Wherein each of the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s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 portion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discontinuous points when plating.
세라믹 모노 블록을 가공하여 세라믹 필터의 입출력단자 및 상면 패턴을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상기 세라믹 모노 블록의 표면 중 입출력단자부 및 상면 패턴부를 둘러싼 절연 영역에 비전도성 물질을 인쇄하는 단계; 및
(나)상기 세라믹 모노 블록의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도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세라믹 필터의 입출력단자 및 상면 패턴 형성 방법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nput / output terminal and an upper surface pattern of a ceramic filter by processing a ceramic monoblock,
(A) printing a nonconductive material on an insulating region surrounding the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pattern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ceramic monoblock; And
(B) plating the surface of the ceramic monoblock with a conductive material;
Output terminal and a method of forming an upper surface pattern of a ceramic filt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나)단계는,
상기 절연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각 입출력단자부 및 상면 패턴부 모두에 전극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입출력단자부 및 상면 패턴부에 대한 도금을 위해 상기 전극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입출력단자 및 상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세라믹 필터의 입출력단자 및 상면 패턴 형성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b)
Connecting electrodes to both the input / output terminal portions and the top surface pattern portion surrounded by the insulating region; And
Output terminal and the top surface pattern by applying a current to the electrode to form the input / output terminal and the top surface pattern;
Output terminal and a method of forming an upper surface pattern of a ceramic filter
KR1020130095827A 2013-08-13 2013-08-13 Ceramic mono block, and process of forming in/out port and coupling pattern on ceramic filter KR1015049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827A KR101504957B1 (en) 2013-08-13 2013-08-13 Ceramic mono block, and process of forming in/out port and coupling pattern on ceramic fil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827A KR101504957B1 (en) 2013-08-13 2013-08-13 Ceramic mono block, and process of forming in/out port and coupling pattern on ceramic fi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232A true KR20150019232A (en) 2015-02-25
KR101504957B1 KR101504957B1 (en) 2015-03-23

Family

ID=52578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5827A KR101504957B1 (en) 2013-08-13 2013-08-13 Ceramic mono block, and process of forming in/out port and coupling pattern on ceramic fil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95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022B1 (en) * 2020-03-26 2021-05-25 모아컴코리아주식회사 Monoblock Dielectric Filter
KR20210100432A (en) * 2020-02-06 2021-08-17 (주)파트론 Waveguide Filt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002U (en) * 1993-07-23 1995-02-14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Dielectric filter
JPH07321519A (en) * 1994-05-21 1995-12-08 Tdk Corp Electrode forming method
JP3607491B2 (en) * 1997-03-04 2005-01-05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dielectric filter
KR20020067186A (en) * 2001-02-15 2002-08-22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Method for forming electrode patterns of dielectric filter by using laser bea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432A (en) * 2020-02-06 2021-08-17 (주)파트론 Waveguide Filter
KR102256022B1 (en) * 2020-03-26 2021-05-25 모아컴코리아주식회사 Monoblock Dielectric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957B1 (en) 2015-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9845B1 (en) An electric communication signal filter and an antenna duplexer
US11101072B2 (en) Capacitor with limited substrate capacitance
US8410536B2 (en) Substrate with embedded patterned capacitance
JP2004103981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and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manufactured by this method
KR20130104808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mmon mode filter and common mode filter
JP2011119413A (en) Card type radio communication module
EP1030327A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04957B1 (en) Ceramic mono block, and process of forming in/out port and coupling pattern on ceramic filter
CN113053667B (en) Electronic component
US20080290984A1 (en) Embedded resistor devices
KR102213335B1 (en) A jig for electroplating
US20220007507A1 (en) Wiring circuit board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US4915795A (en) Plated-through hole plugs for eliminating solder seepage
JP5376134B2 (en)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JP6600724B1 (en) Conductive ring, power supply device using conductive ring, and electroplating jig using power supply device
JPH02301118A (en) Manufacture of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JP2008192788A (en) Electronic part
CN109068489B (en) Self-heating mirror plate for laminating circuit board
JP2007281603A (en) Antenna elemen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ntenna unit
KR20150080565A (en) Electrical compon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electrical components
KR100505476B1 (en) Surface mountable electrical device using abla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5376135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CN108925052B (en) Self-heating insulating mirror plate
JPH02301119A (en) Manufacture of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KR20050059055A (en) Method for producing electric conductive structures for use in high-frequency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