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5559A - 재봉기의 바늘 실잡이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재봉기의 바늘 실잡이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5559A
KR20150015559A KR1020130089976A KR20130089976A KR20150015559A KR 20150015559 A KR20150015559 A KR 20150015559A KR 1020130089976 A KR1020130089976 A KR 1020130089976A KR 20130089976 A KR20130089976 A KR 20130089976A KR 20150015559 A KR20150015559 A KR 20150015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thread
sewing machine
turned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9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곤
Original Assignee
오영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곤 filed Critical 오영곤
Priority to KR1020130089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5559A/ko
Publication of KR20150015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5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3/00Devices associated with the loop-taker thread, e.g. for tensioning
    • D05B63/02Loop-taker thread take-up lev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6Presser fee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30Driving-gear for loop tak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205/00Interface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machine
    • D05D2205/32Safety devices; Securi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봉기의 바늘 실잡이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늘로 연결되는 실을 잡아 줌으로써 재봉시작시 실 엉킴과 바늘에서 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재봉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발판의 시작제어신호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되고, 상기 구동발판의 멈춤제어신호에 의해 회전력이 소멸되는 제1동력부와; 상기 제1동력부에 연결되어 재봉기 바늘을 상하 이동시키도록 회전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절단추와; 재봉기의 몸체 프레임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조절단추의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신호로 변환하는 센서부와; 상기 구동발판의 시작제어신호에 의해 온(ON)되고, 상기 센서부의 위치신호에 의해 오프(OFF)되는 제2동력부와; 상기 제2동력부에 연결되어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하부측이 서로 대칭되게 움직이는 전달바; 및 상기 전달바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동력부가 온(ON)되면 실을 밀착시켜 실을 잡고, 상기 제2동력부가 오프(OFF)되면 밀착된 실을 놓는 실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조로 안정적으로 실을 잡을 수 있게 되어 재봉시작시 실엉킴과 바늘에서 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의 조절단추를 이용해 실잡이의 이동 반경을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실을 잡는 시간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재봉기의 바늘 실잡이 제어장치{Thread holder control set in the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재봉기의 바늘 실잡이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늘로 연결되는 실을 잡아 줌으로써 재봉시작시 실 엉킴과 바늘에서 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재봉기의 바늘 실잡이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재봉기(재봉틀, 미싱)은 기술의 발전과 함께 진화되고 있는 대표적인 정밀기계이다. 이와 같은 재봉기는 재봉 대상물의 소재에 있어서도 그 사용 제한의 벽을 허물고 있고, 그 적용에 있어서 더욱 다양화되고 전문화되고 있다.
재봉기는 구동수단, 용도, 회전속도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분류되는데, 통상 상부를 이루고 전후방향으로 뻗는 아암과, 하부를 이루고 전후방향으로 뻗는 베드 및, 아암과 베드를 연결하는 컬럼으로 이루어져, 외형이 대략 "ㄷ"자 형상을 갖는 재봉기 몸체 프레임을 갖는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재봉기 몸체 프레임에는 통상 바늘을 상하이동시키는 구동수단, 재봉 대상물(대표적으로 원단)을 누르는 노루발, 바늘과 노루발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북기구(베드내) 등이 설치된다.
한편, 재봉기의 바늘 실잡이 장치와 관련된 제품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제품은 엄밀히 말해 실을 잡아주는 장치가 아니고 실을 채어 올리는 와이퍼 장치가 있었는데 와이퍼가 작동하면 종종 바늘을 건드려 상하게 하고 실도 길게 남아 다시 잔 실을 제거하는 수 작업을 하는 관계로 아예 이 실 채기 와이퍼를 제거한 후 재봉을 하며 손 가위로 실을 자른다. 또한, 분사기를 이용하여 개발한 제품이 제안되었으나, 이것은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해 현재 보급되지 않고 않다. 소수의 재봉기를 사용하는 작업장도 콤퓨레샤가 필요로 하는 번거러움과 많은 재봉기를 사용하는 공장은 콤퓨레샤 용량의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실을 잡아 주어야 한다는 생각을 하지 못하고 절단된 실이 천에 묻혀있는 것을 분사기로 불어내고 와이퍼로 쳐내려고만 하였기 때문에 실을 자를 때 당겨지는 문제를 파악하지 못하였다.
한편,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새로운 개념의 "재봉기의 바늘대 실잡이 장치"를 개발하여 출원등록하였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고, 오작동이 많아 효율적이지 못하여 널리 상용화되지 못하였다.
특히, 재봉하고자 하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실잡이의 이동 반경을 제어하여 실을 잡는 시간을 조절할 필요가 있으나 복잡한 구조로 인해 조절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KR 20-0255767 Y1
앞선 배경기술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확실하게 실을 잡을 수 있어, 재봉시작시 실엉킴과 바늘에서 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실잡이의 이동 반경을 용이하게 제어하여 실을 잡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재봉기의 바늘 실잡이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재봉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발판의 시작제어신호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되고, 상기 구동발판의 멈춤제어신호에 의해 회전력이 소멸되는 제1동력부와; 상기 제1동력부에 연결되어 재봉기 바늘을 상하 이동시키도록 회전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절단추와; 재봉기의 몸체 프레임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조절단추의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신호로 변환하는 센서부와; 상기 구동발판의 시작제어신호에 의해 온(ON)되고, 상기 센서부의 위치신호에 의해 오프(OFF)되는 제2동력부와; 상기 제2동력부에 연결되어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하부측이 서로 대칭되게 움직이는 전달바; 및 상기 전달바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동력부가 온(ON)되면 실을 밀착시켜 실을 잡고, 상기 제2동력부가 오프(OFF)되면 밀착된 실을 놓는 실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바늘 실잡이 제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재봉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발판의 시작제어신호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되고, 상기 구동발판의 멈춤제어신호에 의해 회전력이 소멸되는 제1동력부와; 상기 제1동력부에 연결되어 재봉기 바늘을 상하 이동시키도록 회전하는 구동풀리와; 상기 제1동력부의 내부 회전축에 연결되어 기설정된 회전각을 감지하여 회전각신호로 변환하는 엔코더와; 상기 구동발판의 시작제어신호에 의해 온(ON)되고, 상기 엔코더의 회전각신호에 의해 오프(OFF)되는 제2동력부와; 상기 제2동력부에 연결되어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하부측이 서로 대칭되게 움직이는 전달바; 및 상기 전달바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동력부가 온(ON)되면 실을 밀착시켜 실을 잡고, 상기 제2동력부가 오프(OFF)되면 밀착된 실을 놓는 실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바늘 실잡이 제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재봉기의 바늘 실잡이 제어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도 안정적으로 실을 잡을 수 있게 되므로 재봉시작시 실엉킴과 바늘에서 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의 조절단추를 이용해 실잡이의 이동 반경을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실을 잡는 시간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늘 실잡이 제어장치가 적용된 재봉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A부분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3은 도1의 B부분이 실을 잡은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4는 도1의 B부분이 실을 잡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제1동력부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엔코더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및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의 바늘 실잡이 제어장치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발판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ON/OFF)되는 제1동력부(10)와, 상기 제1동력부(10)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풀리(20)와, 상기 구동풀리(20)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되는 조절단추(30)와, 상기 조절단추(3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40)와, 상기 구동발판 및 상기 센서부(40)에 의해 온/오프(ON/OFF)되는 제2동력부(50)와, 상기 제2동력부(50)에 연결되어 움직이는 전달바(60)와, 상기 전달바(60)의 하단에 결합되어 실을 밀착시켜 잡거나 밀착해제시켜 놓는 실잡이부(7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1동력부(10)는 재봉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발판의 시작제어신호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되고, 상기 구동발판의 멈춤제어신호에 의해 회전력이 소멸된다. 즉, 구동발판을 밟으면 시작제어신호가 발생해 제1동력부(10)로 전송되고, 상기 구동발판을 밟지 않으면 멈춤제어신호가 발생해 제1동력부(10)로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멈춤제어신호는 실제로 제1동력부(10)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신호가 아닌 스위치나 릴레이에서 접점이 오프(OFF)되어 시작제어신호가 더 이상 전송되지 않는 상태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풀리(20)는 상기 제1동력부(10)에 연결되어 재봉기 바늘(4)을 상하 이동시키도록 회전한다. 이러한 구동풀리(20)는 상기 제1동력부(10)와 풀리결합되어 회전하며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재봉기의 바늘(4)이 상하 교차하면서 운동하도록 동력을 전달한다.
다음으로, 상기 조절단추(3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풀리(2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조절단추(30)는 후술할 제2동력부(50)가 온(ON)된 상태에서 오프(OFF)되기 전까지의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며, 구동풀리(20)가 회전할 때 후술할 센서부(40)가 상기 조절단추(30)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풀리(20)가 예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고 가정할 시, 상기 조절단추(30)가 α지점에 위치하게 되면 β지점에 위치할 때보다 센서부(40)가 상기 조절단추(30)를 감지하기까지 상대적으로 더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차이가 나는 시간만큼 후술할 제2동력부의 온(ON) 상태가 오래 지속되므로 실잡이부(70)가 실을 잡고 있는 시간이 늘어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센서부(40)는 재봉기의 몸체 프레임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조절단추(30)의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신호로 변환한다. 이러한 센서부(40)는 재봉기의 몸체 프레임의 최상단에 부착되며, 근접센서가 사용되어 조절단추(30)가 일정 간격 이내로 근접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2동력부(50)를 오프(OFF)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2동력부(50)는 상기 구동발판의 시작제어신호에 의해 온(ON)되고 상기 센서부(40)의 위치신호에 의해 오프(OFF)된다. 이러한 제2동력부(50)는 솔레노이드 또는 정역모터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전달바(60)는 상기 제2동력부(50)가 온(ON)/오프(OFF)됨에 따라 중심축(66)을 기준으로 상,하부측이 서로 대칭되게 움직이게 되며, 상기 제2동력부(50)의 구동력이 구동바(62)를 거쳐 전달바(60)로 전달된다. 즉, 상기 전달바(60)의 상부측이 전진하면 하부측은 후진하고, 상기 전달바(60)의 상부측이 후진하면 하부측은 전진하는 방식으로 움직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달바(60)는 중심축(66)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실잡이부의 이동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조절단추(30)와 센서부(40)를 이용한 제2동력부(50)의 작동만으로 한계가 있는 범위를 좀더 확장할 수 있도록 하거나 실을 잡는 시간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중심축(66)의 위치를 아래로 내리면 실잡이부(70)의 이동간격은 짧아질 것이며, 중심축(66)의 위치를 위로 올리면 실잡이부(70)의 이동간격은 상대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중심축(66)의 위치를 아래로 내리면 실잡이부(70)가 실을 잡는 시간이 늘어나게 되고, 중심축(66)의 위치를 위로 올리면 실잡이부(70)가 실을 잡는 시간이 짧아진다. 따라서, 재봉하고자 하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당업자가 중심축(66)의 위치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실잡이부(70)는 상기 전달바(60)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동력부(50)가 온(ON)되면 실을 밀착시켜 실을 잡고 상기 제2동력부(50)가 오프(OFF)되면 밀착된 실을 놓는다. 상기 실잡이부(70)는 전달바(60)의 하단에 삽입형성되는 이동체(72)와, 상기 이동체(72)의 타측에 삽입 고정되는 실잡이(7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체(72)는 전달바(60)의 전후진 왕복운동을 실잡이(76)에 전달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실잡이부(70)는 재봉기 몸체 프레임 하단에 실잡이 몸체(74)가 고정 형성되는데, 실잡이(76)는 상기 실잡이 몸체(74)에 삽입되어 이동체(72)의 전후진 이동에 연동하여 움직이게 된다. 상기 실잡이(76)는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지는데, 이동체(72)가 전후진 이동함에 따라 실잡이(76)는 실잡이 몸체(74)에 밀착하여 실을 잡게 되는 것이다. 이때, 실잡이 몸체(74)의 외면, 즉 실잡이(76)와 밀착되는 부분에는 실리콘 또는 고무제의 완충제가 형성되어 실을 보다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잡이부(70)는 제2동력부(50)가 온(ON)되면 실잡이(76)가 실잡이 몸체(74)에 밀착하여 실을 잡게 되고, 상기 제2동력부(50)가 오프(OFF)되면 고정브래킷(9)에 설치된 스프링(6)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전달바(60)가 탄성에 의해 원위치(도4와 같은 상태)로 되돌아 가게 되므로 실잡이(76)가 실잡이 몸체(74)로부터 떨어져 실을 놓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동력부(10)와, 구동풀리(20)와, 엔코더와, 제2동력부(50)와, 전달바(60)와, 실잡이부(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엔코더를 제외한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엔코더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조절단추(30)와 센서부(40)를 대체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1동력부(10)의 내부 회전축에 연결되어 기설정된 회전각을 감지하여 회전각신호로 변환한다.
상기한 엔코더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연에서 일정간격 중심방향의 내측에 검출돌기(12)가 외주연을 따라 다수개 형성된 회전체(11)와, 상기 회전체(11)의 검출돌기(12)에 근접설치되어 고주파를 발진하여 상기 검출돌기(12)를 검출하는 근접센서(13)와, 상기 근접센서(13)에서 검출된 신호를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기설정된 회전각이 어느 위치인지 판단 및 선택하는 비교회로(14)와, 상기 비교회로(14)에서 선택된 검출신호를 정류하는 정류회로(15)와, 상기 정류회로(15)에서 정류된 검출신호를 회전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회로(16)를 포함한다. 이러한 엔코더는 상기 제2동력부(50)와 직접 또는 제어부(미도시) 등을 통해 간접 연결되어 출력되는 회전각신호로서 상기 제2동력부(50)를 오프(OFF)시킨다. 이때, 상기 엔코더의 회전각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엔코더를 직접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겠으나, 제어부 등을 통해 사용자가 조작화면을 보면서 상기 엔코더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도 안정적으로 실을 잡을 수 있게 되므로 재봉시작시 실엉킴과 바늘에서 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의 조절단추를 이용해 실잡이의 이동 반경을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실을 잡는 시간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라면 하기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2: 노루발 고정대 3: 노루발
4: 바늘 5: 실
6: 스프링 9: 고정브래킷
10: 제1동력부 11: 회전체
12: 검출돌기 13: 근접센서
14: 비교회로 15: 정류회로
16: 출력회로 20: 구동풀리
30: 조절단추 40: 센서부
50: 제2동력부 60: 전달바
62: 구동바 66: 중심축
70: 실잡이부 72: 이동체
74: 실잡이 몸체 76: 실잡이

Claims (2)

  1. 재봉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발판의 시작제어신호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되고, 상기 구동발판의 멈춤제어신호에 의해 회전력이 소멸되는 제1동력부;
    상기 제1동력부에 연결되어 재봉기 바늘을 상하 이동시키도록 회전하는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절단추;
    재봉기의 몸체 프레임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조절단추의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신호로 변환하는 센서부;
    상기 구동발판의 시작제어신호에 의해 온(ON)되고, 상기 센서부의 위치신호에 의해 오프(OFF)되는 제2동력부;
    상기 제2동력부에 연결되어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하부측이 서로 대칭되게 움직이는 전달바; 및
    상기 전달바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동력부가 온(ON)되면 실을 밀착시켜 실을 잡고, 상기 제2동력부가 오프(OFF)되면 밀착된 실을 놓는 실잡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바늘 실잡이 제어장치.
  2. 재봉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발판의 시작제어신호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되고, 상기 구동발판의 멈춤제어신호에 의해 회전력이 소멸되는 제1동력부;
    상기 제1동력부에 연결되어 재봉기 바늘을 상하 이동시키도록 회전하는 구동풀리;
    상기 제1동력부의 내부 회전축에 연결되어 기설정된 회전각을 감지하여 회전각신호로 변환하는 엔코더;
    상기 구동발판의 시작제어신호에 의해 온(ON)되고, 상기 엔코더의 회전각신호에 의해 오프(OFF)되는 제2동력부;
    상기 제2동력부에 연결되어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하부측이 서로 대칭되게 움직이는 전달바; 및
    상기 전달바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동력부가 온(ON)되면 실을 밀착시켜 실을 잡고, 상기 제2동력부가 오프(OFF)되면 밀착된 실을 놓는 실잡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바늘 실잡이 제어장치.
KR1020130089976A 2013-07-30 2013-07-30 재봉기의 바늘 실잡이 제어장치 KR201500155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976A KR20150015559A (ko) 2013-07-30 2013-07-30 재봉기의 바늘 실잡이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976A KR20150015559A (ko) 2013-07-30 2013-07-30 재봉기의 바늘 실잡이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559A true KR20150015559A (ko) 2015-02-11

Family

ID=52572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976A KR20150015559A (ko) 2013-07-30 2013-07-30 재봉기의 바늘 실잡이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55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537U (ko) 2017-06-08 2018-12-18 주)돌핀코리아 미싱의 윗실잡이가 가능한 윗실 장력 조절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537U (ko) 2017-06-08 2018-12-18 주)돌핀코리아 미싱의 윗실잡이가 가능한 윗실 장력 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8698B2 (ja) ミシン
KR100850385B1 (ko) 재봉틀의 실텐션 장치
JP2007513656A (ja) ミシンにおける針の運動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6031380B2 (ja) 二本針ミシン
JP6552233B2 (ja) ミシン
CN108060515B (zh) 缝纫机的下线卷绕装置及缝纫机
KR20150015559A (ko) 재봉기의 바늘 실잡이 제어장치
JP2008080110A (ja) ミシン
CN111379083A (zh) 抬压脚装置、缝纫机以及抬压脚装置的控制方法
JP2008167910A (ja) 二本針ミシン
JP2006149440A (ja) ミシン
JP5993287B2 (ja) ミシン
JP2010035801A (ja) ミシン
US7322303B2 (en) Needle bar drive apparatus for sewing machine
JP6894240B2 (ja) ミシン
KR102289559B1 (ko)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
KR20150027859A (ko) 재봉기의 바늘 실잡이 제어장치
JP2005137694A (ja) ミシン
US8191491B2 (en) Sewing machin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executable on sewing machine
KR100944296B1 (ko) 재봉틀
KR100362720B1 (ko) 단추구멍재봉기
KR100766485B1 (ko) 자수기용 단사 감지장치
JP2011019665A (ja) ミシン
JPH1157265A (ja) ミシンにおける糸の異常張力検出装置
JP2010142536A (ja) 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