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4294A -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4294A
KR20150014294A KR1020130089781A KR20130089781A KR20150014294A KR 20150014294 A KR20150014294 A KR 20150014294A KR 1020130089781 A KR1020130089781 A KR 1020130089781A KR 20130089781 A KR20130089781 A KR 20130089781A KR 20150014294 A KR20150014294 A KR 20150014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schedule
content
information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9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훈
박미화
이연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9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4294A/ko
Publication of KR20150014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2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입력된 스케줄 정보 및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진행 중인 스케줄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스케줄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에 따른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콘텐츠를 상기 식별된 스케줄에 태깅하는 단계와, 상기 태깅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SCHEDULE, USER TERMINAL APPARATUS, SERVER, AND SERVICE PROVIDING SYSTEM BASED ON SCHEDULE}
본 발명은, 관심 장소(POI: Place of Interest) 기반의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란 이동통신망이나 위성항법장치(GPS) 등을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을 의미한다. 휴대폰 속에 기지국이나 위성항법장치(GPS)와 연결되는 칩을 부착해 위치추적 서비스, 공공안전 서비스, 위치기반정보 서비스 등 위치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위치 기반 서비스에는 이동통신 기지국을 이용하는 셀 방식과 위성항법장치를 활용한 GPS 방식이 있다. 셀 방식은 2000년을 전후해 개발·보급되기 시작한 방식으로, 위치의 오차 범위가 수㎞까지 날 수 있어 정확한 위치를 찾기 어려운 반면 중계기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건물 안이나 지하 등의 위치도 찾을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GPS 방식은 위성에서 보내는 위치정보를 휴대폰에 내장된 칩이 읽어 기지국에 알려주는 방식이다. 위치의 오차 범위가 좁아 비교적 정확하게 위치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위성 신호의 특성으로 인해 반사·굴절이 잘 되는 고층 건물이나 실내에서는 사용이 힘든 단점이 있다. 또한, 와이파이 같은 근거리 통신 기술이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도 등장하고 있다. 이들 위치 기반 서비스는, 날씨 서비스, 교통정보 서비스, 생활정보 서비스, 텔레매틱스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로 구현되어 제공되고 있다.
최근에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관심 장소(POI: Place of Interest) 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기술들은 사용자의 관심 장소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관심 장소를 입력하거나 관심 장소에서 체크인 입력을 하는 등의 행위를 필요로 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이 좋아하는 음식점을 방문하였을 때, 자신의 사용자 단말에 음식점을 방문하였음을 알리는 입력(보통 체크인(Check-in)으로 불린다.)을 수행함으로써, 관심 장소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경우 관심 장소에서 촬영한 사진, 동영상 등을 자신의 블로그에 올리거나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직접 사진이나 동영상을 업로드 하거나 전송하는 조작을 수행해야 한다.
이처럼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관심 장소를 직접 입력하고, 관심 장소와 관련된 콘텐츠를 직접 업로드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바,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 수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일상적인 입력 정보인, 스케줄 정보로부터 관심 장소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사용자가 관심 장소를 직접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스케줄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관심 장소에서 일어난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사진, 동영상, 통화, App)에 따라 생성된 콘텐츠를 상기 스케줄 정보에 태깅하여 제공함으로써, 관심 장소와 관련된 콘텐츠를 직접 업로드 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스케줄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스케줄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입력된 스케줄 정보 및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진행 중인 스케줄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스케줄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에 따른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울러, 생성된 콘텐츠를 상기 식별된 스케줄에 태깅하는 단계와, 상기 태깅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스케줄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스케줄 입력을 분석하여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된 스케줄 정보는, 이벤트 내용, 이벤트 시간, 참석자 및 이벤트 장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은, 이미지 촬영, MP3 재생, 동영상 재생, 게임 실행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진행 중인 스케줄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어느 장소를 방문한 시각과 상기 장소를 떠난 시각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진행 중인 스케줄을 식별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태깅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SNS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서 상기 콘텐츠를 랜더링 하기 위해 상기 태깅된 콘텐츠를 외부 서버로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버에 의한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 장치로 관심 장소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입력된 스케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관심 장소를 방문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관심 장소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버가 사용자 단말 장치에 관심 장소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관심 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된 스케줄 정보 및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진행 중인 스케줄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스케줄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에 따른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생성된 콘텐츠를 상기 식별된 스케줄에 태깅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서버로 상기 태깅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검출부와, 입력된 스케줄 정보 및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진행 중인 스케줄을 식별하는 스케줄러와, 상기 식별된 스케줄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에 따른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콘텐츠를 상기 식별된 스케줄에 태깅하고, 상기 태깅된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스케줄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러는, 상기 수신된 스케줄 입력을 분석하여 스케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입력된 스케줄 정보는, 이벤트 내용, 이벤트 시간, 참석자 및 이벤트 장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은, 이미지 촬영, MP3 재생, 동영상 재생, 게임 실행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스케줄러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어느 장소를 방문한 시각과 상기 장소를 떠난 시각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진행 중인 스케줄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SNS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서 상기 콘텐츠를 랜더링 하기 위해 상기 태깅된 콘텐츠를 외부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관심 장소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관심 장소 정보를 독출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입력된 스케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관심 장소를 방문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관심 장소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은, 이미지 촬영, MP3 재생, 동영상 재생, 게임 실행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관심 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된 스케줄 정보 및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진행 중인 스케줄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스케줄이 진행되는 동안에 생성된 콘텐츠를 상기 식별된 스케줄에 태깅하여 서버로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와, 상기 제공된 콘텐츠를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상기 서버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단말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일상적인 입력 정보인, 스케줄 정보로부터 관심 장소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사용자가 관심 장소를 직접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심 장소에서 일어난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사진, 동영상, 통화, App)에 따라 생성된 콘텐츠를 상기 스케줄 정보에 태깅하여 제공함으로써, 관심 장소와 관련된 콘텐츠를 직접 업로드 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모식도,
도 2는 도 1의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좀더 상세하게 도시한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시나리오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서버(200)를 포함한다.
서버(200)는 관심 장소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제공한다. 관심 장소(POI: Place of Interest)란, 사용자가 특정 의도를 갖고 방문하는 것으로 고려되는 장소를 의미한다. 관심 장소 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와 관련된 관심 장소가 될 수 있는 관심 장소 후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공받은 관심 장소 정보 즉, 관심 장소 후보 중에서 사용자의 관심 장소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스케줄러를 포함하는데, 스케줄러는 상기 관심 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스케줄을 생성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현재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경우 검출된 위치가 스케줄에 포함된 위치인지를 판단한다. 스케줄에 포함되어 있는 위치라면, 기타 정보를 비교하여 스케줄이 진행되는 것인지 판단한다. 그리고, 스케줄이 진행된다고 판단된 경우, 스케줄이 진행 중에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상기 동작에 따른 스케줄과 관련된 콘텐츠를 서버(200)로 제공한다.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좀더 상세하게 도시한 모식도이다.
단계 S210에서 사용자에 의한 스케줄 입력이 이루어진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운영체제 차원에서 스케줄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스케줄러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날짜, 시간에 따라 작성된 이벤트를 포함한다. 이때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관심 장소가 이벤트 작성에 이용된다. 예를 들어, 서울에 위치한 지명인 ‘강남역’에서 점심식사가 있는 경우, 이벤트는 ‘점심식사’이며, 관심 장소는 ‘강남역’이다. 세부적으로 음식점 이름인 ‘화기애애’가 관심 장소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날짜는 2013년 7월 7일 월요일로 입력된다. 이러한 입력은 템플릿 입력, 메뉴 선택 및 키 스트로크 입력 중 적어도 하나로 수행될 수 있고, 이러한 정형화된 입력 방식은 데이터를 파싱하여 입력 종류를 판단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입력된 스케줄을 분석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판단한다(S220). 위치 정보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기술 수단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할 것이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입력된 스케줄을 분석하여 스케줄 정보를 생성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입력된 스케줄에 포함된 위치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즉, 검출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치 정보가 스케줄에 포함된 위치와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있거나,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입력된 스케줄이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입력된 스케줄이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하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몇 가지 사항을 더 고려할 수도 있다. 즉, 현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입력된 스케줄의 시간이 현재 날짜 및 시간의 전후로 기 설정된 범위에 존재하거나 그것과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일 현재 날짜 및 시간과 현저하게 차이가 나는 날짜나 시간에 입력된 스케줄에 포함된 관심 장소를 방문한 것이라면, 이는 스케줄의 진행으로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관심 장소를 실제 방문한 시간 즉, 현재 시간을 기록한다. 그리고, 상기 관심 장소를 벗어나는 시간을 함께 기록한다. 즉, 상기 관심 장소에 머무는 시간을 체크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상기 식별된 스케줄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이 있는 경우, 이러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 정보를 수집한다(S240).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은, 이미지 촬영, MP3 재생, 동영상 재생, 게임 실행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음식점에 방문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한 경우, 이러한 카메라 동작 정보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로그로 기록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에 따라 콘텐츠가 생성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콘서트 장을 찾아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이용하여 라이브 음악을 녹음한 경우, 녹음된 음악 파일과 음악 파일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저장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생성된 콘텐츠를 식별된 스케줄에 태깅한다. 즉, 진행된 스케줄 정보와 관련된 콘텐츠가 연결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스케줄 정보를 통해 관련 콘텐츠에 접근이 가능하며, 반대로 관련 콘텐츠를 통해 스케줄 정보에 접근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관심 장소 방문과 관련된 정보는 외부 서버(200)에 제공되거나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속한 기기들 간에 공유될 수 있다(S250). 물론, 사용자 단말 장치(100) 자체를 통해서도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 서버(200)의 구성과 각 구성별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위치 정보 검출부(110), 스케줄러(120), 콘텐츠 생성부(130), 통신부(140),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위치 정보 검출부(1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치를 검출한다. 위치 정보 검출부(110)는, 지피에스(Global Positioning System : GPS)기술, 셀 통신 기술 및 와이파이 같은 근거리 통신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위치 정보 검출부(110)는 지속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치를 검출할 수도 있고, 스케줄 상의 날짜와 시간 또는 이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의 날짜와 시간에만 위치 검출도 가능할 것이다. 후자의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배터리 소모를 줄이므로 절전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작업과 동시에 수행되는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시스템 부하를 예방하여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위치 정보 검출부(1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어느 장소를 방문한 시각과 상기 장소를 떠난 시각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진행 중인 스케줄을 식별할 수 있다. 관심 장소에서 일정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위치해야 그 장소를 특정한 목적으로 방문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케줄러(120)는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이를 분석하여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사용자 입력은 터치 스크린 등의 입출력 장치를 통해 이루어진다. 스케줄러는 날짜와 시간 별로 이벤트를 표시하는 스케줄 테이블 GUI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수단(예: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경우 사용자는 테이블의 블록을 터치 함으로써, 스케줄 입력을 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스케줄 입력은 템플릿 입력, 메뉴 선택 및 키 스트로크 입력 중 적어도 하나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정형화된 입력 수단은 데이터 파싱 및 처리를 간편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사용자가 자유롭게 키 스트로크 입력을 통해 캐릭터를 입력하거나 자신의 필체로 드래그 입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는 파싱 과정에서 필기체 인식 및 캐릭터로의 변환 과정이 더해진다.
입력된 스케줄 정보는, 이벤트 내용, 이벤트 시간, 참석자 및 이벤트 장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벤트 시간은 날짜 정보를 포함한다.
전술한 스케줄러는 독립적인 애플리케이션, 운영체제의 프로세스, 또는 하드웨어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운영체제의 프로세스로 제공되는 경우 후술하는 제어부(150)의 기능으로 포함될 수 있다.
콘텐츠 생성부(130)는 식별된 스케줄이 진행되는 동안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에 따른 콘텐츠를 생성한다. 콘텐츠 생성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지원하는 모든 종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기능이 될 수 있다. 즉, 카메라 촬영 모듈, 동영상 촬영 모듈, MP3 재생 모듈, 메모 모듈, 게임 모듈(애플리케이션), 뱅킹 모듈, 입출력 모듈, SNS 애플리케이션, 날씨 애플리케이션 등 모든 종류의 모듈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위치 정보 검출부(110)도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저장하는 경우 이에 해당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외부 장치는 서버(200)가 될 수 있다. 우선, 통신부(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200)로부터 관심 장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콘텐츠, 스케줄 정보를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관심 장소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와 생성된 콘텐츠, 스케줄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는 상이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40)는 SNS(Social Network Service)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서 콘텐츠를 랜더링 하기 위해 태깅된 콘텐츠를 외부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이용하여 관심 장소에서 사진을 촬영한 경우 통신부(140)는 생성된 이미지를 스케줄 정보와 함께 SNS 서버로 전공한다. 그리고, SNS 서버는 수신 받은 이미지를 웹 페이지 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다양한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주로 통신부(14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중계장치와 연결되어 인터넷 상의 서버(200)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부(140)는 IEEE 802.11 기술 규격에 따르는 와이파이(WIFI) 통신 규격을 따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다양한 이동통신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G(3세대) 이동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즉,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및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중 적어도 하나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4G(4세대) 이동통신 기술이 적용되어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 또는 와이브로(WiBro)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4세대 LTE(Long Term Evolution) 기술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블루투스(bluetooth)모듈,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등 기타 근거리 통신 모듈과, 무선랜 모듈을 적용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50)는 생성된 콘텐츠를 식별된 스케줄에 태깅한다. 달리 말해, 제어부(150)는 식별된 스케줄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콘텐츠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태깅된 콘텐츠를 직접 제공하거나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과,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포함한다. 시스템 클럭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각 구성요소에 대한 제어 명령이 메모리에서 읽혀지며, 읽혀진 제어 명령에 따라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 하드웨어의 각 구성요소들을 동작시킨다.
전술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다양한 모바일 장치로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PMP, MP3 플레이어, PDA, 셀 폰, 랩탑 컴퓨터, 기타 이동성 있는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일반적인 전자 계산 장치가 갖는 구성을 포함한다. 즉, 충분한 제어 및 연산 능력을 갖는 CPU, 캐쉬 메모리, 램 메모리, 하드 디스크나 블루레이 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보조 기억 장치, HDMI를 포함하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모듈, 데이터 버스 등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하며, 전술한 위치 정보 검출부(110), 스케줄러(120), 콘텐츠 생성부(13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운영체제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서버(2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서버(20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통신부(210), 관심 장소 정보 저장부(230),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다른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특히, 통신부(210)는 전술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관심 장소 정보를 제공한다. 관심 장소 정보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관심 장소 정보는 미리 축적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생성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입력된 스케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관심 장소를 방문한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관심 장소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를 수신한다.
통신부(210)는 다양한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와이파이(WIFI), 이동통신,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무선랜 등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서버(200)는 대용량 데이터 송수신 및 저장이 용이하도록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TCP/IP 전송 규격을 따른다.
관심 장소 정보 저장부(230)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관심 장소 정보를 저장하거나,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저장한다. 그리고, 웹 사이트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소스 코드, 프레임 워크,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특히 관심 장소 정보 저장부(230)는 관심 장소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 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베이스의 종류는 제한이 없다. 즉, 계층형 데이터 베이스(HDB : Hierarchical Database),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RDB : Relational Database), 객체지향형 데이터 베이스(OODB : Object-Oriented Database) 및 네트워크형 데이터 베이스(NDB : Network Database)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서버(2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20)는 관심 정보를 제공하고 콘텐츠 및 스케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하고, 수신된 콘텐츠를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220)는 웹 사이트를 통해 SNS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단말 장치(100)가 콘텐츠 및 스케줄 정보를 전송한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 사용자의 계정에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스케줄 정보와 함께 웹 페이지로 표현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를 수신하여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는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형성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 충분한 용량의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과,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포함한다. 시스템 클럭에 따라 서버(200)의 동작을 위한 각 구성요소에 대한 제어 명령이 메모리에서 읽혀지며, 읽혀진 제어 명령에 따라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 하드웨어의 각 구성요소들을 동작시킨다. 효율적인 처리를 위해 제어부(150)는 파이프 라인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서버(200)는 전자 계산 장치가 갖는 일반적인 구성, 즉, 입출력 장치, 유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등의 구성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시나리오를 설명한다.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시나리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현재 위치 정보(510)가 검출된다. 그리고, 입력된 스케줄(520) 상에서 매칭되는 정보가 검색된다. 매칭된 정보는 17:30에서 18:00 사이에 관심 장소인 ‘수원역’을 방문하는 스케줄이다.
도 6에서 사용자가 수원역을 방문한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 정보가 수집된다. 날씨 애플리케이션(610)의 동작에 따라 당시의 날씨 정보가 생성된다. 또한, 음식점 애플리케이션(620)의 동작에 따라 메뉴 정보가 생성된다. 그리고 위치 정보 검출부(630)의 동작에 따라 관심 장소의 지도가 생성된다. 그리고, 카메라 촬상 모듈의 동작으로 이미지가 생성되었다(640). 이들 정보는 이미지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는 식별된 스케줄(650)에 태깅이 이루어지고, 스케줄(650)과 함께 서버(200)로 제공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 또는 서버(200)는 태깅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7과 같이 관심 장소에서 촬영한 이미지(710)를 표시하거나, 동행자와 촬영한 이미지(720)를 표시하거나 이벤트인 저녁 식사에 관련된 이미지(730)만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경우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이러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나, 서버(200)의 경우는 웹 사이트를 통해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로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후자의 경우 콘텐츠는 공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확장된 실시 예에서는 SNS 서버(200)에 자동 체크인 또는 로그인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생성된 콘텐츠와 스케줄 정보(810)가 SNS 서버(200)에 제공되면, 자동으로 체크인 또는 로그인이 되어 자신의 계정에 상기와 같은 콘텐츠 및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910)와, 스케줄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920)를 포함한다. 또한, 입력된 스케줄 정보 및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진행 중인 스케줄을 식별하는 단계(S930), 상기 식별된 스케줄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에 따른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S940)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생성된 콘텐츠를 상기 식별된 스케줄에 태깅하는 단계(S950)와, 상기 태깅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S960)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스케줄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스케줄 입력을 분석하여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된 스케줄 정보는, 이벤트 내용, 이벤트 시간, 참석자 및 이벤트 장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은, 이미지 촬영, MP3 재생, 동영상 재생, 게임 실행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진행 중인 스케줄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어느 장소를 방문한 시각과 상기 장소를 떠난 시각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진행 중인 스케줄을 식별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태깅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SNS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서 상기 콘텐츠를 랜더링 하기 위해 상기 태깅된 콘텐츠를 외부 서버로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에 의한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 장치로 관심 장소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010)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입력된 스케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관심 장소를 방문한 경우(S1020-Y),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관심 장소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S10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S10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버가 사용자 단말 장치에 관심 장소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관심 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된 스케줄 정보 및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진행 중인 스케줄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스케줄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에 따른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생성된 콘텐츠를 상기 식별된 스케줄에 태깅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서버로 상기 태깅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전술한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 상에서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에 프로그램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이 가능하며, 전자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 장치 200 : 서버
110 : 위치 정보 검출부 120 : 스케줄러
130 : 콘텐츠 생성부 140 : 통신부
150 : 제어부
210 : 통신부 220 : 저장부
230 : 제어부

Claims (20)

  1.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입력된 스케줄 정보 및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진행 중인 스케줄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스케줄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에 따른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콘텐츠를 상기 식별된 스케줄에 태깅하는 단계; 및
    상기 태깅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스케줄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스케줄 입력을 분석하여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스케줄 정보는,
    이벤트 내용, 이벤트 시간, 참석자 및 이벤트 장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은,
    이미지 촬영, MP3 재생, 동영상 재생, 게임 실행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 중인 스케줄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어느 장소를 방문한 시각과 상기 장소를 떠난 시각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진행 중인 스케줄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깅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SNS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서 상기 콘텐츠를 랜더링 하기 위해 상기 태깅된 콘텐츠를 외부 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7.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장치로 관심 장소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입력된 스케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관심 장소를 방문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관심 장소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은,
    이미지 촬영, MP3 재생, 동영상 재생, 게임 실행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10.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버가 사용자 단말 장치에 관심 장소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관심 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된 스케줄 정보 및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진행 중인 스케줄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스케줄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에 따른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생성된 콘텐츠를 상기 식별된 스케줄에 태깅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서버로 상기 태깅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11.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검출부;
    입력된 스케줄 정보 및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진행 중인 스케줄을 식별하는 스케줄러;
    상기 식별된 스케줄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에 따른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콘텐츠를 상기 식별된 스케줄에 태깅하고, 상기 태깅된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스케줄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러는, 상기 수신된 스케줄 입력을 분석하여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스케줄 정보는,
    이벤트 내용, 이벤트 시간, 참석자 및 이벤트 장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은,
    이미지 촬영, MP3 재생, 동영상 재생, 게임 실행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어느 장소를 방문한 시각과 상기 장소를 떠난 시각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진행 중인 스케줄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SNS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서 상기 콘텐츠를 랜더링 하기 위해 상기 태깅된 콘텐츠를 외부 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7. 서버에 있어서,
    관심 장소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관심 장소 정보를 독출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입력된 스케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관심 장소를 방문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관심 장소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은,
    이미지 촬영, MP3 재생, 동영상 재생, 게임 실행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0. 관심 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된 스케줄 정보 및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진행 중인 스케줄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스케줄이 진행되는 동안에 생성된 콘텐츠를 상기 식별된 스케줄에 태깅하여 서버로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상기 제공된 콘텐츠를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상기 서버;를 포함하는 스케줄 기반 서비스 시스템.
KR1020130089781A 2013-07-29 2013-07-29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500142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781A KR20150014294A (ko) 2013-07-29 2013-07-29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781A KR20150014294A (ko) 2013-07-29 2013-07-29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294A true KR20150014294A (ko) 2015-02-06

Family

ID=52571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781A KR20150014294A (ko) 2013-07-29 2013-07-29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429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30809A (zh) * 2015-03-19 2017-12-01 索尼公司 信息处理装置、控制方法和程序
KR20190125288A (ko) * 2017-03-28 2019-11-06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사용자의 할일 목록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31362A (ko) * 2019-05-13 2020-11-24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촬상장치에 의해 획득된 영상 컨텐츠를 일정 정보와 연관지어 관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관리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30809A (zh) * 2015-03-19 2017-12-01 索尼公司 信息处理装置、控制方法和程序
KR20190125288A (ko) * 2017-03-28 2019-11-06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사용자의 할일 목록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12406A (ko) * 2017-03-28 2021-09-14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사용자의 할일 목록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31362A (ko) * 2019-05-13 2020-11-24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촬상장치에 의해 획득된 영상 컨텐츠를 일정 정보와 연관지어 관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9429B2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user information
US9906906B1 (en) Integrated geospatial activity reporting
US10952014B2 (en)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supporting the same
JP6343010B2 (ja) ワイヤレスネットワークのアクセスポイントに関連したエンティティの識別
US20160358042A1 (en) Electronic Travel Album Generating Method and Computing Device
US9880604B2 (en) Energy efficient location detection
KR20160043677A (ko) 음성 태그를 이용한 이미지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12576A (ko) 재난 정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와 재난 정보 제공 장치
US10360468B2 (en) Method for identifying location of electronic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of server
US20180332557A1 (en) New access point setup
WO2022142685A1 (zh) 传染病的传染概率预测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KR20130033071A (ko) 측위 정확도 산출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단말의 측위 방법 및 장치
KR20180063538A (ko) Poi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073696B1 (ko)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활동 예측 방법
KR20150014294A (ko)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스케줄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70098113A (ko) 전자 장치의 이미지 그룹 생성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501783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he operating hours of an entity
KR102084027B1 (ko) 지오펜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99857A (ko) 다수의 위치에 기초한 배터리 수명 추정
US20130110768A1 (en) Method for managing data, medium,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KR20180045393A (ko) 타일 기반 poi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954800B1 (ko)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영상을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
AU2015343949A1 (en) Method of predicting location of rendezvous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same
US20220205808A1 (en) Localization using tessellated grids
US20160163081A1 (en) Server and method for generating slide show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