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4208A - 터치센서 - Google Patents

터치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4208A
KR20150014208A KR1020130089591A KR20130089591A KR20150014208A KR 20150014208 A KR20150014208 A KR 20150014208A KR 1020130089591 A KR1020130089591 A KR 1020130089591A KR 20130089591 A KR20130089591 A KR 20130089591A KR 20150014208 A KR20150014208 A KR 20150014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ezel
bezel layer
touch sensor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9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강헌
김대호
이태경
이규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9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4208A/ko
Priority to US14/196,245 priority patent/US20150029414A1/en
Priority to JP2014050901A priority patent/JP2015026363A/ja
Publication of KR20150014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2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는 윈도우기판, 상기 윈도우기판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베젤층, 상기 베젤층상에 형성되는 반사층 및 상기 윈도우기판의 상기 베젤층 사이에 형성되는 전극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층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센서의 베젤층과 반사층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박막형태의 베젤을 통해 효과적은 베젤의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터치센서{Touch Sensor}
본 발명은 터치센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는 컴퓨터가 발달함에 따라 컴퓨터의 보조 장치들도 함께 개발되고 있으며, 개인용컴퓨터, 휴대용 전송장치, 그 밖의 개인 전용 정보처리장치 등은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다.
하지만, 정보화 사회의 급속한 진행에 따라 컴퓨터의 용도가 점점 확대되는 추세에 있는바, 현재 입력장치 역할을 담당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만으로는 효율적인 제품의 구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오조작이 적을 뿐 아니라, 누구라도 쉽게 정보입력이 가능한 기기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입력장치에 관한 기술은 일반적 기능을 충족시키는 수준을 넘어서 고 신뢰성, 내구성, 혁신성, 설계 및 가공 관련기술 등으로 관심이 바뀌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텍스트, 그래픽 등의 정보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로서 터치센서(Touch Sensor)가 개발되었다.
터치센서는 전자수첩,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luminescence)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CRT(Cathode Ray Tube)와 같은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화상표시장치를 보면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도구이다.
터치센서의 종류는 저항막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방식(Capacitive Type), 전기자기장방식(Electro-Magnetic Type), 소오방식(SAW Type; Surface Acoustic Wave Type) 및 인프라레드방식(Infrared Type)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다양한 방식의 터치센서는 신호 증폭의 문제, 해상도의 차이, 설계 및 가공 기술의 난이도, 광학적 특성, 전기적 특성, 기계적 특성, 내환경 특성, 입력 특성, 내구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전자제품에 채용되는데, 현재 가장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하는 방식은 저항막방식 터치센서와 정전용량방식 터치센서다.
이러한 터치센서의 일예로, 투명 기판과 감지부가 접착제를 매개로 접합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하기의 선행기술문헌과 같이 투명 기판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베젤부가 감지부의 버스 라인(Bus Line)을 가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최근에는 IT기기에 있어서 외관 디자인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화면도 대형화되고 있다. 기기 외관 크기의 증가 없이 디스플레이 화면을 크게 하고, 실물에 가까운 색채인 풀컬러(Full color)화를 구현하기 위해서 베젤부의 면적인 두께를 보다 박형화 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베젤부의 면적이나 두께는 구현하려는 베젤부의 색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특히, 화이트(white)와 같이 빛의 투과성이 용이한 밝은 톤의 색상의 경우에는 빛의 투과를 최소화 하기위해 베젤부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어, 점점 소형화, 박형화 되는 IT기기의 추세에도 거스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2011-0053940 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투명한 베젤층 및 베젤층상에 반사층을 형성하여 박막으로도 효과적인 베젤층의 색상구현이 가능하고, 베젤층의 단차를 줄여 터치센서의 구동성능 및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센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는 윈도우기판, 상기 윈도우기판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베젤층 및 상기 베젤층상에 형성되는 반사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층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써 터치센서는, 상기 베젤층의 가시광 영역 굴절률이 1.9 이상 4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써 터치센서는, 상기 베젤층의 가시광 영역 투과율은 50% 이상 99%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써 터치센서는, 상기 베젤층의 적층방향 두께는 30nm 이상 500nm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써 터치센서는, 상기 베젤층은 가시광 영역 굴절률이 1.6 이상 1.9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써 터치센서는, 상기 베젤층의 가시광 영역 투과율은 40% 이상 60%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써 터치센서는, 상기 베젤층의 적층방향 두께는 10nm 이상 1000nm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써 터치센서는, 상기 베젤층은 TiO2, Al2O3, SiO2, HfO2 또는 그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써 터치센서는, 상기 베젤층은 ZnO, MgO, Ce2O3, In2O3, ITO, BaTiO3, (Ba,Sr)TiO3, KTaO3 또는 그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써 터치센서는, 상기 반사층의 반사율은 가시광영역 반사율 20% 이상 99%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써 터치센서는, 상기 반사층의 반사율은 가시광영역 반사율 30% 이상 99%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써 터치센서는, 상기 반사층은 Ti, Al, Ni, Ag, Cr, Pt, Mo 또는 그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써 터치센서는, 상기 반사층은 Cu, Au, W, Ir 또는 그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써 터치센서는, 상기 윈도우기판의 상기 베젤층 사이에 형성되는 전극패턴, 상기 반사층상에 형성되는 절연층 및 상기 전극패턴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절연층상에 형성되는 전극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 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센서의 베젤층과 반사층을 함께 적층하여 형성함으로써 보다 박막형태의 베젤층으로도 효과적인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젤층을 일정한 굴절률과 투과율을 갖는 투명층으로 형성하고, 투명층상에 반사층을 형성함으로써 화이트를 비롯한 박막으로는 구현하기 힘은 색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젤층의 박막화를 이룸에 따라, 베젤층을 포함한 윈도우기판에 전극패턴을 형성하는 윈도우일체형의 터치센서 구조에서 전극패턴과 전극배선간의 단차에 의한 전기적 단락문제를 해결하여, 보다 안정적인 터치센서의 작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젤층에 적용되는 투명층과 이에 결합되는 반사층의 결합구조와 함께 각 결합되는 투명층과 반사층의 상호 결합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다양하고 선명한 베젤층의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투명층으로 사용되는 박막필름을 베젤층에 적용함으로써, 적층되는 베젤층의 적층두께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동시에 구현하여 로고나 기타 원하는 모양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윈도우기판에 형성된 베젤층을 박막필름 형태의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터치센서의 제조공정이 용이하여 제조공정상에 불량을 줄일 수 있어 제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층이 형성된 윈도우기판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터치센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층의 부분 확대 단면도; 및
도 5는 L*a*b* 색표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층(21)이 형성된 윈도우기판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는 윈도우기판(10), 상기 윈도우기판(10)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베젤층(21) 및 상기 베젤층(21)상에 형성되는 반사층(22)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층(21)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기판(10)은 터치센서의 최외곽에 형성되어 터치센서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시인성을 위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리나 강화유리와 같이, 소정 강도 이상을 보유한 재질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윈도우기판(10)에 형성되는 베젤층(21)과 함께, 전극패턴(50)이 윈도우기판(10)에 직접형성됨으로써 터치센서의 박형화 및 소형화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윈도우기판(10)상에 직접 전극패턴(50)이 형성되는 구조 이외에도, 별도의 베이스기판(40)상에 전극패턴(50)이 형성되고, 윈도우기판(10)과 결합되는 다양한 터치센서의 구조가 선택,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의해 자명하다.
베젤층(21)은 윈도우기판(10) 테두리부에 형성될 수 있다. 베젤층(21)은 터치센서의 화면영역에 로고(logo)등을 표시하거나, 전극패턴(50)상에 전기적 연결되는 양단의 전극배선을 가리기 위해서 형성될 수 있다. 베젤층(21)은 터치센서가 포함된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다양한 색상을 구현함으로써 터치센서의 전극배선의 시인성및 전기적 신뢰성의 향상 뿐만 아니라 그 외관상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베젤층(21)의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그 재질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화이트(white) 색상과 같이 밝은색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보다 두꺼운 베젤층(21)이 필요한 것이 일반적이다. 베젤층(21)에 빛이 모두 투과하는 경우에는 베젤층(21)의 색상이 사용자에 의해 시인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화이트와 같은 색상의 베젤층(21)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빛이 잘 통과하지 않은 다른 색상의 구현과 달리, 베젤층(21)이 보다 두껍게 형성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층(21)은 투명한 박막필름을 사용하고, 굴절률과 투과율을 조절하며, 베젤층(21) 일면에 반사층(22)을 구비함으로써 얇은 박막필름 형태의 베젤층(21)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보다 선명하고 효과적으로 베젤층(21)의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박막필름형태의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스퍼터링과 같이 베젤층의 형성방법의 신뢰성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베젤층(21)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일체형으로, 윈도우기판(10)상에 전극패턴(50)이 직접 패터닝될 수 있다. 여기서, 윈도우일체형은 윈도우기판(10)상에 전극패턴(50)이 직접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거나, 윈도우기판(10)상에 별도의 접착층과 같은 부가적인 기능층이 형성된 윈도우기판상에 전극패턴이 바로 형성되는 구조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내용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의 구조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극패턴(50)은 터치의 입력수단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도면 미도시)로부터 터치좌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극패턴(5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베젤층(21)상에는 전극배선(6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다 박형화된 베젤층(21)으로 색상을 구현할 수 있음에 따라, 윈도우 일체형에서 전극패턴(50)과 전극배선(60)간의 단차가 어느 정도 완화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신뢰성 있는 터치센서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전극패턴(50)은 구리(Cu), 알루미늄(Al), 금(Au), 은(Ag), 티타늄(Ti), 팔라듐(Pd), 크롬(Cr), 니켈(Ni)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메시패턴(Mesh Pattern)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전극패턴(50)은 상술한 금속 이외에도 은염(銀鹽) 유제층을 노광/현상하여 형성된 금속 은, ITO(Indium Thin Oxide) 등의 금속산화물이나, 유연성이 뛰어나고 코팅 공정이 단순한 PEDOT/PSS 등의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윈도우기판(10)상에 전극패턴(50)은 하나의 층에 X축과 Y축의 전극패턴(50)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윈도우기판(10)상에 일 방향으로 형성된 전극패턴(50)을 형성하고, 이와 교차되도록 별도의 베이스기판(40)에 일방향에 교차되는 타방향으로의 전극패턴(50)을 형성하여 상호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센서를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윈도우기판(10)에 결합되는 베이스기판(40)의 양면에 상호 교차하는 제1 전극패턴(51)과 제2 전극패턴(52)을 형성함으로써 터치센서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베이스기판(40)의 양면에 제1 전극패텬(51) 및 제2 전극패턴(52)을 구비하고, 투명접착층(30)에 의해 윈도우기판(10)과 접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기판(4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강도 이상을 보유한 재질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C), TAC(Triacetylcellulose) 필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기판(40)의 일면에는 고주파 처리 또는 프라이머(primer)처리 등을 수행하여 전극패턴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전극패턴(51) 및 제2 전극패턴(52)은 상술한 전극패턴(50)과 그 재질 및 형성방법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층(21)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는 윈도우기판(10)상에 형성되는 베젤층(21) 및 상기 베젤층(21)상에 형성되는 반사층(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베젤층(21)은 특정 색상을 띄는 것이 아니라, 가시광영역에서의 굴절률, 투과율, 두께의 변수를 갖는 투명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투명한 베젤층(21)상에 반사층(22)을 결합함으로써, 빛이 베젤층(21)을 바로 투과하는 것을 막아 빛의 반사에 따른 투명층상에 고유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베젤층(21)으로 사용되는 투명 박막필름은 가시광 영역 굴절률이 1.9 이상 4 미만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며, 또한, 1.6 이상 1.9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젤층(21)의 가시광 영역의 투과율은 50% 이상 99% 미만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며, 또한, 40% 이상 60%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젤층(21)의 적층방향 두께는 30nm 이상 500nm 미만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며, 10nm 이상 1000nm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베젤층(21)의 적층방향의 두께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적층 두께의 차이를 두어 하나의 베젤층(21)에 다양한 색상의 조합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베젤층(21)은 투명한 박막필름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재질로는 이산화티타늄(TiO2), 산화알루미늄(Al2O3), 이산화규소(SiO2), 산화하프늄(HfO2) 또는 그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산화아연(ZnO),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세슘(Ce2O3), 산화인듐(In2O3), 인듐산화전극(ITO), 티탄산바륨(BaTiO3), 탄탈산칼륨(KTaO3), (Ba, Sr)TiO3 또는 그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기판(10)에 일면이 결합된 베젤층(21) 타면에 형성된 반사층(22)은 윈도우기판(10)상으로 투과되는 빛을 베젤층(21) 내부로 산란시킴으로써 베젤층(21)의 색상을 보다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반사층(22)의 반사율은 가시광 영역에서의 반사율 20% 이상 99% 미만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며, 또한, 30% 이상 99%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층(22)은 티타늄(Ti), 알루미늄(Al), 니켈(Ni), 은(Ag), 크롬(Cr), 백금(Pt), 몰리브덴(Mo) 또는 그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리(Cu), 금(Au), 텅스텐(W), 이리듐(Ir) 또는 그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금속층으로 반사층(22)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터치센서의 구조상에서, 전극배선과의 절연을 위해 반사층(22)상에 절연층(23)을 더 구비할 수 있다(도 2 참조)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베젤층(21)과 반사층(22)의 두께의 적절한 조합을 통해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베젤층(21)으로 박막의 투명한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베젤층(21)의 박형화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상에서도 증착공정을 통한 보다 신뢰성 높은 베젤층(21) 형성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샘플
베젤층 반사층 색상
재질 두께 재질 두께
1 TiO2 50nm Ti 200nm L*=40.67, a*=9.16, b*=3.74 (113R, 91G, 90B): 옅은 자색
2 TiO2 80nm Ti 200nm L*=49.71, a*=-0.46, b*=-23.82 (90R, 120G, 158B): 파란색
3 TiO2 120nm Ti 200nm L*=65.85, a*=-6.42, b*=-8.91 (138R, 164G, 175B): 연한 하늘색
4 TiO2 150nm Ti 400nm L*=69.59, a*=-4.82, b*=-29.14 (180R, 171G, 116B): 연한 녹색
5 TiO2 150nm Al 400nm L*=92.05, a*=-4.08, b*=3.13 (227R, 234G, 226B): 밝은 은색
6 TiO2 170nm Al 400nm L*=93.75, a*=-3.00, b*=1.31 (232R, 239G, 234B): 밝은 은색
상기의 표 1에서와 같이, 베젤층(21)의 두께와 반사층(22)의 두께의 조합을 통해 오른편의 구현되는 색상과 같이 베젤층(21)의 색상을 보다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구현되는 색상표는 도면 5에 도시된 색상표를 참고할 수 있다.
L*a*b* 색표계(도 5 참조)는 색소 산업분야와 페인트, 종이, 플라스틱, 직물 등에서의 색 오차와 작은 색 차이들을 표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보다 인간의 감성에 접근하기 위해 연구된 결과로서 인간이 색채를 감지하는 Yellow~Blue, Green~Red 간의 반대색설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1976년 CIE에 의해 정의되었던 색 공간들 가운데 하나이다. L*a*b* 색표계는 도 5의 좌표에서와 같이 L*이 명도, a*와 b*는 색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즉, +a*는 빨간색 방향, -a는 녹색방향, +b*는 노란색 방향, -b*는 파란색 방향을 나타낸다. 중앙은 무채색이며 a*와 b*의 값이 증가하면서 중앙에서 바깥으로 가게 되면 채도는 증가하게 된다. 이 색표계의 특징으로 조색을 할 때 색채의 오차를 알기 쉽게 나타내며 색채의 변환방향을 쉽게 짐작할 수 있어서 세계적으로도 널리 통용된다.
먼저, 샘플 1에서는 TiO2의 적층방향의 두께를 50nm로 하고, 반사층(22)은 Ti를 200nm로 결합하여 실험한 결과이다. 이 경우에는 도 5의 색표계상에서 L*=40.67, a*=9.16, b*=3.74로 표현되는 옅은 자색을 구현할 수 있다. 샘플 2에서는 TiO2의 적층방향의 두께를 80nm로 하고, 반사층(22)은 Ti를 200nm로 결합하여 L*=49.71, a*=-0.46, b*=-23.82을 만족하는 파란색을 구현할 수 있다. 샘플 3에서는 TiO2의 적층방향의 두께를 120nm로 하고, 반사층(22)은 Ti를 200nm로 결합하여 L*=65.85, a*=-6.42, b*=-8.91의 연한 하늘색을 구현할 수 있다. 샘플 4에서는 TiO2의 적층방향의 두께를 150nm로 하고, 반사층(22)은 Ti를 400nm로 결합하여 L*=69.59, a*=-4.82, b*=-29.1의 연한녹색의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샘플 5에서는 TiO2의 적층방향의 두께를 150nm로 하고, 반사층(22)을 Al으로 두께 400nm로 결합하여 L*=92.05, a*=-4.08, b*=3.13의 밝은 은색계열의 색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샘플 6은 동일한 재질 및 두께의 반사층(22)에서 170nm의 TiO2를 결합하는 경우로써 이 경우에는 L*=93.75, a*=-3.00, b*=1.31 밝은 은색 계열의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베젤층(21)의 두께에 따른 색상변화를 토대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명한 베젤층(21),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TiO2와 같은 박형 필름,을 적층 두께를 달리함으로써 윈도우기판(10)상에 로고를 인쇄하거나, 관련 미감이 수려한 디자인을 도안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다양한 색상을 조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윈도우기판 21: 베젤층
22: 반사층 23: 절연층
30: 투명접착층 40: 베이스기판
50: 전극패턴 51: 제1 전극패턴
52: 제2 전극패턴

Claims (14)

  1. 윈도우기판;
    상기 윈도우기판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베젤층; 및
    상기 베젤층상에 형성되는 반사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층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터치센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젤층의 가시광 영역 굴절률이 1.9 이상 4 미만으로 형성되는 터치센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젤층의 가시광 영역 투과율은 50% 이상 99% 미만으로 형성되는 터치센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젤층의 적층방향 두께는 30nm 이상 500nm 미만으로 형성되는 터치센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젤층은 가시광 영역 굴절률이 1.6 이상 1.9 미만으로 형성되는 터치센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젤층의 가시광 영역 투과율은 40% 이상 60% 미만으로 형성되는 터치센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젤층의 적층방향 두께는 10nm 이상 1000nm 미만으로 형성되는 터치센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젤층은 TiO2, Al2O3, SiO2, HfO2 또는 그 조합으로 형성되는 터치센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젤층은 ZnO, MgO, Ce2O3, In2O3, ITO, BaTiO3, (Ba,Sr)TiO3, KTaO3 또는 그 조합으로 형성되는 터치센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의 반사율은 가시광영역 반사율 20% 이상 99% 미만으로 형성되는 터치센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의 반사율은 가시광영역 반사율 30% 이상 99% 미만으로 형성되는 터치센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Ti, Al, Ni, Ag, Cr, Pt, Mo 또는 그 조합으로 형성되는 터치센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Cu, Au, W, Ir 또는 그 조합으로 형성되는 터치센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기판의 상기 베젤층 사이에 형성되는 전극패턴;
    상기 반사층상에 형성되는 절연층 및
    상기 전극패턴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절연층상에 형성되는 전극배선을 더 포함하는 터치센서.
KR1020130089591A 2013-07-29 2013-07-29 터치센서 KR2015001420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591A KR20150014208A (ko) 2013-07-29 2013-07-29 터치센서
US14/196,245 US20150029414A1 (en) 2013-07-29 2014-03-04 Touch sensor
JP2014050901A JP2015026363A (ja) 2013-07-29 2014-03-13 タッチセン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591A KR20150014208A (ko) 2013-07-29 2013-07-29 터치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208A true KR20150014208A (ko) 2015-02-06

Family

ID=52390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591A KR20150014208A (ko) 2013-07-29 2013-07-29 터치센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029414A1 (ko)
JP (1) JP2015026363A (ko)
KR (1) KR201500142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498A1 (ko) * 2017-08-17 2019-02-21 한국과학기술원 소셜 네트워크 분석과 온톨로지를 이용한 장소성 추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78989A (ko) * 2017-12-27 2019-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46511B (zh) * 2014-07-24 2019-03-05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显示设备
WO2016111693A1 (en) 2015-01-09 2016-07-14 Apple Inc. Processes to reduce interfacial enrichment of alloying elements under anodic oxide films and improve anodized appearance of heat treatable alloys
CN104700721B (zh) * 2015-02-12 2018-12-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US20170051426A1 (en) * 2015-08-19 2017-02-23 Apple Inc. Processes to avoid anodic oxide delamination of anodized high strength aluminum alloys
US11352708B2 (en) 2016-08-10 2022-06-07 Apple Inc. Colored multilayer oxide coatings
US11242614B2 (en) 2017-02-17 2022-02-08 Apple Inc. Oxide coatings for providing corrosion resistance on parts with edges and convex features
CN108206871B (zh) * 2017-12-29 2021-03-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模组、移动终端和显示模组加工方法
US11549191B2 (en) 2018-09-10 2023-01-10 Apple Inc. Corrosion resistance for anodized parts having convex surface featur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4530B1 (en) * 1999-09-07 2003-01-07 Elo Touchsystems, Inc. Touch confirming touchscreen utilizing plural touch sensors
US9285929B2 (en) * 2010-03-30 2016-03-15 New Vision Display (Shenzhen) Co., Limited Touchscreen system with simplified mechanical touchscreen design using capacitance and acoustic sensing technologies, and method theref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498A1 (ko) * 2017-08-17 2019-02-21 한국과학기술원 소셜 네트워크 분석과 온톨로지를 이용한 장소성 추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78989A (ko) * 2017-12-27 2019-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29414A1 (en) 2015-01-29
JP2015026363A (ja) 201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4208A (ko) 터치센서
US9429988B2 (en) Touch screen panel
CN105446506B (zh) 触控显示装置
CN107430456A (zh) 触摸窗
US20090135151A1 (en) High transmittance touch panel
US9055663B2 (en)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201324003A (zh) 觸控顯示面板
JP5848851B2 (ja) タッチパネル、その製造方法、光学薄膜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42046A (ko) 터치센서
KR20120138294A (ko) 터치패널
JP2012118936A (ja) 透明シート付タッチパネルセンサ
US20120292170A1 (en) Touch panel
CN105549780B (zh) 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
JP5605708B2 (ja) 透明シート付タッチパネルセンサ
KR20150027039A (ko)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기판 및 표시 장치
CN106033284B (zh) 显示屏、终端及显示屏制作方法
US20140151214A1 (en) Touch electrode device
KR20150060337A (ko) 복합 파우더, 이를 사용한 착색 페이스트 및 터치센서
TW201545008A (zh) 觸控面板
CN108089771A (zh) 触控基板、显示面板、显示装置
KR102199613B1 (ko) 터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6585A (ko) 터치 패널
US20150104600A1 (en) Touch sensor
KR20150043196A (ko) 터치센서
TW201602757A (zh) 觸控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