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2520A -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2520A
KR20150012520A KR20130088114A KR20130088114A KR20150012520A KR 20150012520 A KR20150012520 A KR 20150012520A KR 20130088114 A KR20130088114 A KR 20130088114A KR 20130088114 A KR20130088114 A KR 20130088114A KR 20150012520 A KR20150012520 A KR 20150012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ayer
converging
base substrate
convex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8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재중
이하영
정승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88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2520A/ko
Priority to US14/139,963 priority patent/US10312303B2/en
Publication of KR20150012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5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제공된 화소들, 상기 화소들 상에 제공된 집광 부재, 및 상기 집광 부재 상에 제공되며 상기 베이스 기판에 대향하며 상기 화소들을 커버하는 봉지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집광 부재는 일 방향 방향으로 돌출되어 투과 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볼록 패턴이 그 상면에 제공된 집광층을 갖는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측면 휘도가 높은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 장치(flat display device)는 크게 발광형과 수광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발광형으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과 전계 발광 소자(electroluminescent device) 등이 있다. 수광형으로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를 들 수 있다. 이중에서, 전계 발광 소자는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응답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차세대 표시 소자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전계 발광 소자는 발광층을 형성하는 물질에 따라서 무기 전계 발광 소자와 유기 전계 발광 소자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형광성 유기 화합물을 전기적으로 여기(excitation)시켜서 발광시키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로,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박형화가 용이하며, 광시야각, 빠른 응답 속도 등 액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것을 해결할 수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유기물로 이루어진 발광층을 구비하고 있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이들 전극들에 양극 및 음극 전압이 각각 인가됨에 따라 애노드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hole)이 정공 수송층을 경유하여 발광층으로 이동되고, 전자는 캐소드 전극으로부터 전자 수송층을 경유하여 발광층으로 이동되어서, 발광층에서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하여 여기자(exciton)을 생성하게 된다. 이 여기자가 여기 상태에서 기저 상태로 변화됨에 따라, 발광층의 형광성 분자가 발광함으로써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 휘도가 높은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제공된 화소들, 상기 화소들 상에 제공된 집광 부재, 및 상기 집광 부재 상에 제공되며 상기 베이스 기판에 대향하며 상기 화소들을 커버하는 봉지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집광 부재는 일 방향 방향으로 돌출되어 투과 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볼록 패턴이 그 상면에 제공된 집광층을 갖는다.
상기 볼록 패턴은 복수의 프리즘산일 수 있으며, 각 프리즘산은 상기 베이스 기판면에 평행한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각 프리즘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면과 상기 일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다각형, 반원, 반타원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집광 부재는 상기 집광층 상에 제공되어 상기 볼록 패턴을 커버하는 평탄화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광층은 상기 평탄화층과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집광층은 상기 평탄화층의 굴절률보다 큰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베이스 기판 상에 화소들을 형성하고, 상기 화소 상에 집광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집광 부재 상에 봉지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집광 부재는 그 표면에 일 방향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 패턴을 가지는 집광층을 포함한다.
상기 집광층은 상기 화소 상에 고분자 수지층을 형성하고, 예비 패턴이 형성된 몰드를 상기 고분자 수지층에 접촉시켜 상기 예비 패턴을 기 고분자 수지층에 전사하여 상기 고분자 수지층 상에 돌출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고분자 수지층을 경화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면 휘도가 향상된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하나의 화소의 회로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화소의 평면도이다.
도 4은 도 3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광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와 도 7b는 기존 표시 장치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시야각에 따른 광의 세기를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a 내지 도 8c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집광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하나의 화소의 회로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화소의 평면도이며, 도 4은 도 3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표시 장치에서 영상이 제공되며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을 상부 방향 또는 전면 방향으로, 상기 상부 방향의 반대 방향을 하부 방향 또는 배면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상부 방향이나 하부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DP)는 베이스 기판(BS), 화소들(PXL), 집광 부재(LCM), 컬러 필터(CF), 및 봉지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BS)은 장변과 단변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화소들(PXL)은 상기 베이스 기판(BS) 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제공되어 제공된다.
상기 화소(PXL)는 게이트 라인(GL), 데이터 라인(DL), 및 구동 전압 라인(DVL)으로 이루어진 배선부와, 상기 배선부에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유기 발광 소자(EL), 및 커패시터(Cst)를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라인(GL)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데이터 라인(DL)은 상기 게이트 라인(GL)과 교차하는 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구동 전압 라인(DVL)은 상기 데이터 라인(DL)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게이트 라인(GL)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주사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데이터 라인(DL)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구동 전압 라인(DVL)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구동 전압을 제공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와,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를 스위칭 하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서는 한 화소(PXL)가 두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R1, TR2)를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화소(PXL)에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 또는 하나의 화소(PXL)에 셋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둘 이상의 커패시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1)는 제1 게이트 전극(GE1)과 제1 소스 전극(SE1), 및 제1 드레인 전극(DE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게이트 전극(GE1)은 상기 게이트 라인(GL)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소스 전극(SE1)은 상기 데이터 라인(DL)에 연결된다. 상기 제1 드레인 전극(DE1)은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의 게이트 전극(즉, 제2 게이트 전극(GE2))에 연결된다.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1)는 상기 게이트 라인(GL)에 인가되는 주사 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 라인(DL)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에 전달한다.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는 제2 게이트 전극(GE2)과, 제2 소스 전극(SE2) 및 제2 드레인 전극(DE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게이트 전극(GE2)은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1)에 연결되고 상기 소스 제2 전극(EL2)은 상기 구동 전압 라인(DVL)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드레인 전극(DE2)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EL)에 연결된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EL)는 발광층(EML)과, 상기 발광층(EML)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제1 전극(EL1) 및 제2 전극(EL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EL1)은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의 제2 드레인 전극(DE2)과 연결된다. 상기 제2 전극(EL2)에는 공통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발광층(EML)은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의 출력 신호에 따라 발광함으로써 광을 출사하거나 출하하지 않음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발광층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백색광일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터(Cst)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의 상기 제2 게이트 전극(GE2)과 상기 제2 소스 전극(SE2)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의 상기 제2 게이트 전극(GE2)에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충전하고 유지한다.
상기 집광 부재(LCM)는 상기 화소들(PXL) 상에 제공되며 상기 화소(PXL)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부 방향으로 집광한다. 상기 집광 부재(LCM)는 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광 부재(LCM)는 일 방향 방향으로 돌출되어 투과 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볼록 패턴이 그 상면에 제공된 집광층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집광 부재(LCM)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컬러 필터들(CF)은 상기 각 화소(PXL)가 색을 나타내도록 한다. 상기 컬러 필터들(CF)은 각 화소(PXL) 마다 일대일 대응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컬러 필터들(CF)은 서로 다른 복수의 컬러들을 나타내는 컬러 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컬러 필터들(CF)은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을 나타내는 적색 컬러 필터, 녹색 컬러 필터, 및 청색 컬러 필터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컬러 필터들(은 상기한 컬러들 이외의 컬러, 예를 들어, 시안, 마젠타, 옐로우, 화이트 등을 나타내는 컬러 필터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소들(PXL)은 백색광을 출사하고, 상기 컬러 필터들(CF)에 의해 컬러광으로 변환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상기 화소들(PXL) 각각이 서로 다른 컬러의 광을 출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컬러 필터들(CF)은 생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화소들(PXL) 일부는 백색광을 출사하며, 나머지 일부는 컬러광을 출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백색광 또는 컬러광을 출사하는 화소들(PXL)에 대응하여 컬러 필터들(CF)의 제공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봉지 부재(ENC)는 상기 컬러 필터들(CF) 상에 제공되어 상기 화소들(PXL) 및 컬러 필터들(CF)을 봉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적층 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기판(BS)은 이후 화소들(PXL)이 제공되는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BS)은 유리, 플라스틱, 수정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성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기판 상에는 버퍼층(BFL)이 형성된다. 상기 버퍼층(BFL)은 스위칭 및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들(TR1, TR2)에 불순물이 확산되는 것을 막는다. 상기 버퍼층(BFL)은 질화규소(SiNx), 산화규소(SiOx), 질산화규소(SiOxNy)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판의 재료 및 공정 조건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버퍼층(BFL) 상에는 제1 반도체층(SM1)과 제2 반도체층(SM2)이 제공된다. 상기 제1 반도체층(SM1)과 상기 제2 반도체층(SM2)은 반도체 소재로 형성되며, 각각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1)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의 활성층으로 동작한다. 상기 제1 반도체층(SM1)과 제2 반도체층(SM2)은 각각 소스 영역(SA), 드레인 영역(DA), 및 상기 소스 영역(SA)과 상기 드레인 영역(DA) 사이에 제공된 채널 영역(CA)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반도체층(SM1)과 상기 제2 반도체층(SM2)은 각각 무기 반도체 또는 유기 반도체로부터 선택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반도체층(SM1)과 상기 제2 반도체층(SM2)은 산화물 반도체, 비정질 실리콘 반도체, 결정질 또는 다결정 실리콘 반도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산화물 반도체는 인듐(In), 갈륨(Ga), 아연(Zn), 주석(Sn)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원소를 포함하는 산화물로 이루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층(SM1, SM2)은 아연 산화물(Zinc Oxide), 주석 산화물(TinOxide), 인듐 산화물(Indume oxide), 인듐-아연 산화물(In-Zn Oxide), 인듐-주석 산화물(In-Sn Oxide), 인듐-갈륨-아연 산화물(In-Ga-Zn Oxide), 인듐-아연-주석 산화물(In-Zn-Sn Oxide), 인듐-갈륨-아연-주석 산화물(In-Ga-Zn-Sn Oxide) 등과 같은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영역(SA) 및 상기 드레인 영역(DA)은 n형 불순물 또는 p형 불순물이 도핑될 수 있다.
상기 제1 반도체층(SM1) 및 제2 반도체층(SM2)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GI)이 제공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GI) 상에는 게이트 라인(GL)과 연결된 제1 게이트 전극(GE1)과 제2 게이트 전극(GE2)이 제공된다. 상기 제1 게이트 전극(GE1)과 제2 게이트 전극(GE2)은 각각 상기 제1 반도체층(SM1)과 제2 반도체층(SM2)의 채널 영역(CA)에 대응되는 영역을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전극들(GE1, GE2) 상에는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전극들(GE1, GE2)을 덮도록 층간 절연막(IL)이 제공된다. 상기 층간 절연막(IL)의 상에는 제1 소스 전극(SE1)과 제1 드레인 전극(DE1), 제2 소스 전극(SE2)과 제2 드레인 전극(DE2)이 제공된다. 상기 제1 소스 전극(SE1)과 상기 제1 드레인 전극(DE1)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GI) 및 상기 층간 절연막(IL)에 형성된 콘택홀에 의해 상기 제1 반도체층(SM1)의 소스 영역(SA)과 드레인 영역(DA)에 각각 접촉된다. 상기 제2 소스 전극(SE2)과 상기 제2 드레인 전극(DE2)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GI) 및 상기 층간 절연막(IL)에 형성된 콘택홀에 의해 상기 제2 반도체층(SM2)의 소스 영역(SA)과 드레인 영역(DA)에 각각 접촉된다.
한편, 상기 제2 게이트 전극(GE)의 일부와 상기 구동 전압 라인(DVL)의 일부는 각각 제1 커패시터 전극(CE1) 및 제2 커패시터 전극(CE2)을 이루며, 상기 층간 절연막(IL)을 사이에 두고 상기 커패시터(Cst)를 구성한다.
상기 제1 소스 전극(SE1)과 상기 제1 드레인 전극(DE1), 상기 제2 소스 전극(SE2)과 상기 제2 드레인 전극(DE2), 및 상기 층간 절연막 상에는 패시베이션층(PSV)이 제공된다.
상기 패시베이션층(PSV)은 무기 절연물질,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이나 실리콘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시베이션층(PSV) 상에는 유기 발광 소자(EL)의 캐소드로서 제1 전극(EL1)이 제공된다. 상기 제1 전극(EL1)은 상기 패시베이션층(PSV)에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의 제2 드레인 전극(DE2)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EL1)과 제2 전극(EL2) 중 하나는 애노드, 나머지 하나는 캐소드로 사용되는 바, 상기 애노드와 캐소드의 위치 관계 및 상기 애노드와 캐소드의 형성 재료 등은 영상의 표시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전극(EL1)이 캐소드, 상기 제2 전극(EL2)이 애노드인 경우를 일 예로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전극(EL1)은 낮은 일함수를 갖는 물질, 예를 들어, 금속, 합금, 전기 전도성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리튬(Li),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알루미늄-리튬(Al-Li), 칼슘(Ca), 마그네슘-인듐(Mg-In), 마그네슘-은(Mg-Ag) 등이 있다.
상기 제1 전극(EL1) 등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기판(BS) 상에는 상기 각 화소(PXL)에 대응하도록 상기 화소 영역(PA)을 구획하는 화소 정의막(PDL)이 제공된다. 상기 화소 정의막(PDL)은 상기 제1 전극(EL1)의 상면을 노출하며 상기 화소(PXL)의 둘레를 따라 상기 기판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화소 정의막(PDL)에 의해 둘러싸인 화소 영역(PA)에는 발광층(EML)이 제공되며, 상기 발광층(EML) 상에는 제2 전극(EL2)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EML)은 백색광을 방출한다. 상기 발광층(EML)은 호스트 및 도펀트를 포함하는 다양한 발광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펀트의 경우 형광 도펀트 및 인광 도펀트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로서는 Alq3C CBP(4,4'-N,N'-디카바졸-비페닐), 9,10-디(나프탈렌-2-일)안트라센(ADN), 또는 DSA(디스티릴아릴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EML)은 컬러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컬러 필터들(CF)은 적어도 일부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EL2)은, 높은 일함수를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면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BS)의 상부 방향으로 영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의 투명 도전성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EL1)과 상기 발광층(EML) 사이에는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및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층(EML)과 상기 제2 전극(EL2) 사이에는 정공 주입층(HIL)(hole injection layer)과 정공 수송층(HTL)(hole transport layer)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봉지 부재(ENC)는 상기 컬러 필터들(CF) 상에 제공되어 상기 화소들(PXL) 및 컬러 필터들(CF)을 봉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광 부재(LCM)를 도시한 사시도인 바,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광 부재(LCM)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집광 부재(LCM)는 상기 화소들(PXL) 상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집광 부재(LCM)는 제2 전극(EL2) 상에 곧바로 제공된 것이 개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집광 부재(LCM) 사이에 다른 층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화소들(PXL)로부터 출사된 광은 상기 집광 부재(LCM)를 투과함으로써 상부 방향, 즉, 상기 베이스 기판(BS)의 상면과 수직한 방향(즉, 사용자에게 있어 정면 방향)으로 집광된다.
상기 집광 부재(LCM)는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광 부재(LCM)가 단일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집광 부재(LCM)는 하나의 집광층으로 형성되며, 그 일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집광층을 투과하는 광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돌출 패턴을 갖는다. 상기 돌출 패턴은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집광 부재(LCM)가 다중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다중층 중 적어도 한 층이 그 상면에 돌출 패턴을 갖는 집광층으로 제공된다. 즉, 상기 집광 부재(LCM)는 적어도 하나의 집광층을 갖는다. 상기 집광 부재(LCM)는 상기 집광층 상에 상기 집광층에 의해 돌출된 패턴을 커버하여 상기 집광층의 상면이 평탄화되도록 하는 평탄화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광 부재(LCM)가 다중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집광층이 두 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각 집광층 상의 볼록 패턴은 평면상에서 볼 때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층은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 중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집광 부재(LCM)가 다중층으로 형성된 경우를 일 예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집광 부재(LCM)는 상기 화소들(PXL) 상에 제공되며 제1 볼록 패턴(PT1)을 갖는 제1 집광층(LC1), 상기 제1 집광층(LC1) 상에 제공된 제1 평탄화층(PZ1), 상기 제1 집광층(LC1) 상에 제공되며 제2 볼록 패턴(PT2)을 갖는 제2 집광층(LC2), 및 상기 제2 집광층(LC2) 상에 제공된 제2 평탄화층(PZ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볼록 패턴(PT1) 및/또는 상기 제2 볼록 패턴(PT2)은 복수의 프리즘 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 프리즘 산은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각 프리즘 산은 상기 베이스 기판(BS)의 서로 평행한 두 쌍의 변들 중 어느 하나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각 프리즘 산은 상기 베이스 기판(BS)의 변 중 하나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각 프리즘 산은 상기 베이스 기판(BS)의 변 중 하나에 대해 지그재그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가상의 곡선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각 프리즘 산은 상기 베이스 기판(BS)면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볼록 패턴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형상의 예로는 삼각형을 포함한 다각형, 반원, 반타원 등이 있다.
상기 제1 볼록 패턴(PT1)과 상기 제2 볼록 패턴(PT2)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거나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볼록 패턴(PT1) 및 상기 제2 볼록 패턴(PT2)의 상기 단 면이 모두 삼각형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볼록 패턴(PT1)의 상기 단면이 삼각형, 상기 제2 볼록 패턴(PT2)의 상기 단면이 반원일 수 있다.
상기 제1 볼록 패턴(PT1)과 상기 제2 볼록 패턴(PT2)은 연장 방향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기판(BS)의 장변 또는 단변 중 하나의 연장 방향을 제1 방향(D1)이라고 하면 상기 제1 볼록 패턴(PT1)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볼록 패턴(PT2)은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D2)은 상기 제1 방향(D1)에 대해 수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집광층은 상기 평탄화층과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지며, 상기 집광층의 굴절률은 상기 평탄화층의 굴절률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제1 집광층(LC1)과 상기 제1 평탄화층(PZ1)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지며, 상기 제2 집광층(LC2)과 상기 제2 평탄화층(PZ2) 또한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다. 상기 제1 집광층(LC1)과 상기 제1 평탄화층(PZ1) 사이의 굴절률 차이가 클수록 상기 제1 집광층(LC1)과 상기 제1 평탄화층(PZ1) 사이의 계면에서의 광의 진로 변화가 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집광층(LC1)과 상기 제1 평탄화층(PZ1) 사이의 굴절률 차이가 클수록 상기 제1 집광층(LC1)과 상기 제2 평탄화층(PZ2) 사이의 계면에서의 광의 진로 변화가 커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집광층(LC1)과 상기 제2 집광층(LC2)은 서로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평판화층과 상기 제2 평탄화층(PZ2)은 서로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두 층의 집광층을 갖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집광층은 한 층 또는 세 층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집광층을 통과하여 진행하는 광은 상기 돌출 패턴과 상기 평탄화층의 계면에서 굴절률의 차이에 의해 굴절되거나 반사되어 상부 방향, 즉 상기 베이스 기판(BS)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광의 비율이 증가한다. 여기서, 상기 돌출 패턴의 형상, 연장 방향, 및 밀도 등은 상기 베이스 기판(BS) 면의 법선 방향을 기준(0도)으로 할 때, 최대 휘도 대비 50%의 휘도에 대응하는 각도가 -60도 내지 60도 내(상하, 좌우로 120도 이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는 베이스 기판 상에 화소들을 형성하고, 상기 화소 상에 집광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집광 부재 상에 컬러 필터를 형성하고, 상기 컬러 필터 상에 봉지 부재를 형성하여 제조할 수 있는 바, 이하, 도 6a 내지 도 6g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베이스 기판 및 화소와 같은 일부 구성 요소들은 생략하고, 집광 부재의 형성 단계를 중심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 상에 상에 배선부(미도시),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 제1 전극(미도시), 화소 정의막(미도시), 발광층(미도시), 및 제2 전극(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기판을 포함한 배선부, 박막 트랜지스터, 제1 전극, 화소 정의막, 발광층, 및 제2 전극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기판(DPS)으로 간략화하여 표시되었다.
상기 배선부와 박막 트랜지스터는 마스크를 이용하는 포토리소그래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배선부와 박막 트랜지스터 등이 형성된 기판 상에 도전 물질을 증착하고 포토리소그래피를 이용하여 패터닝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은 상기 제1 전극이 형성된 베이스 기판 상에 감광성 유기막을 형성하고 마스크를 이용하는 포토리소그래피로 패터닝한 다음 경화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화소 정의막이 형성된 베이스 기판 상에 발광층이 형성된다. 상기 발광층은 유체의 형태로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제공된 후 용매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층은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프린팅 기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린팅 법은 잉크젯법과 잉크젯법, 노즐을 이용한 코팅법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층 상에는 제2 전극이 형성된다.
다시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기판(DPS) 상에는 제1 레진(RS1)이 도포된다. 상기 제1 레진(RS1)은 광 경화 가능한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은 자외선일 수 있는 바, 도면에서는 상기 광으로서 자외선을 일 예로 표시하였다.
상기 제1 레진(RS1)이 도포된 표시 기판(DPS) 상에는 형성하고자 하는 패턴의 제1 예비 패턴(RPT1)을 갖는 제1 몰드(MD1)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예비 패턴(RPT1)은 제1 볼록 패턴(PT1)의 역상에 해당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몰드(MD1)로 상기 제1 레진(RS1)을 가압하고, 상기 제1 몰드(MD1)로 상기 제1 레진(RS1)을 가압한 상태로 상기 제1 레진(RS1)에 광(UV)을 가한다. 상기 제1 레진(RS1)은 상기 제1 몰드(MD1)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경화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몰드(MD1)가 가진 제1 예비 패턴(RPT1)이 상기 제1 레진(RS1)에 전사된다.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몰드(MD1)가 제거되며 이에 따라 제1 집광층(LC1)이 형성된다.
도 6d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집광층(LC1) 상에 제1 평탄화층(PZ1)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평탄화층(PZ1)은 광 경화가 가능한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집광층(LC1) 상에 도포된 후 광을 인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집광층(LC1)과 상기 제1 평탄화층(PZ1)을 이루는 광경화 고분자 수지는 굴절률이 서로 다른 물질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집광층(LC1)의 굴절률은 상기 제1 평탄화층(PZ1)의 굴절률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6e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평탄화층(PZ1)이 형성된 표시 기판(DPS) 상에 제2 레진(RS2)이 도포된다. 상기 제2 레진(RS2)이 도포된 표시 기판(DPS) 상에는 형성하고자 하는 패턴의 제2 예비 패턴(RPT2)을 갖는 제2 몰드(MD2)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예비 패턴(RPT2)은 제2 볼록 패턴(PT2)의 역상에 해당한다.
도 6f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몰드(MD2)로 상기 제2 레진(RS1)을 가압하고, 상기 제2 몰드(MD2)로 상기 제2 레진(RS2)을 가압한 상태로 상기 제2 레진(RS2)에 광(UV)을 가한다. 상기 제2 레진(RS2)은 상기 제2 몰드(MD2)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경화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몰드(MD2)가 가진 상기 제2 예비 패턴(RPT2)예비 패턴이 상기 제2 레진(RS2)에 전사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 몰드(MD2)가 제거되며 이에 따라 제2 집광층(LC2)이 형성된다.
도 6g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집광층(LC2) 상에 제2 평탄화층(PZ2)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평탄화층(PZ2)은 광 경화가 가능한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집광층(LC2) 상에 도포된 후 광(UV)을 인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집광층(LC2)과 상기 제2 평탄화층(PZ2)을 이루는 광경화 고분자 수지는 굴절률이 서로 다른 물질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집광층(LC2)의 굴절률은 상기 제2 평탄화층(PZ2)의 굴절률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집광층(LC1)과 상기 제2 집광층(LC2)은 서로 동일한 물질로, 상기 제1 평탄화층(PZ1)과 상기 제2 평탄화층(PZ2) 또한 서로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집광 부재(LCM)는 3층 이상의 집광층과 3층 이상의 평탄화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집광 부재 상에 컬러 필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컬러 필터는 포토리소그래피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컬러 필터 상에는 봉지 부재가 형성된다. 상기 봉지 부재는 유기 절연 물질 및/또는 무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봉지 부재는 재료에 따라 증착, 도포, 별도 제조 후 접착 등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집광층을 통과하여 진행함으로써 상기 돌출 패턴과 상기 평탄화층의 굴절률의 차이에 의해 상기 돌출 패턴과 상기 평탄화층의 계면에서 굴절되거나 반사된다. 이에 따라, 상부 방향, 즉 상기 베이스 기판(BS)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의 비율이 증가한다.
도 7a와 도 7b는 기존 표시 장치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시야각에 따른 광의 세기를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그래프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부, 즉, 상기 베이스 기판의 기판 면에 수직한 방향이 0도로, 상기 베이스 기판 면과 동일한 방향을 90도로 하여 표시되었다. 도 7a와 도 7b의 각 표시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집광 부재가 추가된 것을 제외하고 다른 조건은 모두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도 7a와 도 7b를 참조하면, 기존의 표시 장치 대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경우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부의 광의 세기가 증가하였다. 기존의 표시 장치의 경우 각도에 따라 상대적으로 균일한 광이 방출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경우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부 방향으로의 광의 세기가 기존 발명 대비 현저히 증가하였다. 특히, 기존 발명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광량을 살펴보면, 각도가 0도 일 때 기존의 표시 장치의 경우 0.26칸델라였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경우 0.45칸델라였다.
또한, 그래프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기존의 표시 장치 대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경우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부의 휘도가 증가하였는 바, 기존의 표시 장치의 경우 약 90니트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경우 약 160니트였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경우 기존 발명 대비 약 70% 향상된 휘도를 나타냄을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표시 장치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광의 세기 및 이에 따른 휘도가 향상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영상의 휘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외부광이 존재하는 야외에서도 선명한 영상을 제공한다. 또한 영상의 휘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기존 발명 대비 더 적은 전력으로도 기존 발명과 동일한 정도의 휘도를 제공할 수 있어 표시장치의 저전력화가 가능하다. 이에 더해, 본 발명에서와 같이 표시 장치에 수직한 방향과 같은, 특정 방향에 대한 집광 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특정 각도의 사용자에게만 영상이 보이게 하는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광 부재는 고분자 수지의 코팅 후, 몰드 가압, 경화 과정 등의 저온 공정을 통해 표시 기판 상에 간단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소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고온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집광층을 갖는 집광 부재가 제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집광층 또는 세 개 이상의 집광층을 갖는 집광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광층 상에는 평탄화층이 제공된 것을 일 실시예로 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평탄화층이 생략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평탄화층이 생략되는 경우, 상기 집광층 상에 곧바로 봉지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볼록 패턴의 단면이 삼각형인 프리즘 산이 개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바, 도 8a 내지 도 8c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집광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집광층 상에 형성된 볼록 패턴은 복수의 피라미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집광층 상에 형성된 볼록 패턴은 복수의 피라미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각 피라미드 형상의 크기 및 밀도는 집광층의 영역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집광층 상에 형성된 볼록 패턴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프리즘 산 형태로 제공되며, 연장 방향에 수직한 면으로 자를 때 그 단면은 타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볼록 패턴들은 서로 다른 구조를 갖도록 제시되었으나, 각 구성 요소 중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구성 요소들이 서로 조합되거나 치환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LCM : 집광 부재 LC1 : 제1 집광층
LC2 : 제2 집광층 PZ1 : 제1 평탄화층
PZ2 : 제2 평탄화층 BS : 베이스 기판
EL1 : 제1 전극 EML : 발광층
EL2 : 제2 전극 CF : 컬러 필터
ENC : 봉지 부재

Claims (20)

  1.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제공된 화소들;
    상기 화소들 상에 제공된 집광 부재; 및
    상기 집광 부재 상에 제공되며 상기 베이스 기판에 대향하며 상기 화소들을 커버하는 봉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집광 부재는 일 방향 방향으로 돌출되어 투과 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볼록 패턴이 그 상면에 제공된 집광층을 갖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패턴은 복수의 프리즘산인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각 프리즘산은 상기 베이스 기판면에 평행한 일 방향으로 연장된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프리즘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면과 상기 일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다각형, 반원, 반타원 중 하나인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 부재는 상기 집광층 상에 제공되어 상기 볼록 패턴을 커버하는 평탄화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층은 상기 평탄화층과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층은 상기 평탄화층의 굴절률보다 큰 굴절률을 갖는 표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층은 상기 평탄화층의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을 갖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 부재는 복수의 집광층을 포함하며, 각 집광층 상의 볼록 패턴들은 평면 상에서 볼 때 서로 중첩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 부재는 상기 화소들 상에 제공되며 제1 볼록 패턴을 갖는 제1 집광층과, 상기 제1 집광층 상에 제공되며 제2 볼록 패턴을 갖는 제2 집광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록 패턴은 상기 베이스 기판면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볼록 패턴은 상기 베이스 기판면에 평행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각 화소는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제공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제공된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전극과 대향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 부재와 상기 봉지 부재 사이에 제공된 컬러 필터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베이스 기판 상에 화소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화소 상에 집광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집광 부재 상에 봉지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집광 부재는 그 표면에 일 방향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 패턴을 가지는 집광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화소 상에 고분자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예비 패턴이 형성된 몰드를 상기 고분자 수지층에 접촉시켜 상기 예비 패턴을 기 고분자 수지층에 전사하여 상기 고분자 수지층 상에 돌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분자 수지층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집광층 상에 평탄화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층은 상기 평탄화층의 굴절률과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 부재는 복수의 집광층을 포함하며, 각 집광층 상의 볼록 패턴들은 평면상에서 볼 때 서로 중첩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화소 상에 제1 볼록 패턴을 갖는 제1 집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집광층 상에 제2 볼록 패턴을 갖는 제2 집광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록 패턴은 상기 베이스 기판면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볼록 패턴은 상기 베이스 기판면에 평행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130088114A 2013-07-25 2013-07-25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1252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8114A KR20150012520A (ko) 2013-07-25 2013-07-25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4/139,963 US10312303B2 (en) 2013-07-25 2013-12-24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8114A KR20150012520A (ko) 2013-07-25 2013-07-25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520A true KR20150012520A (ko) 2015-02-04

Family

ID=52389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8114A KR20150012520A (ko) 2013-07-25 2013-07-25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312303B2 (ko)
KR (1) KR201500125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9128B2 (en) 2019-05-30 2023-12-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863B1 (ko) * 2014-06-27 2020-1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색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6098963B (zh) * 2016-07-28 2018-08-07 上海大学 具有随机金字塔形貌绒面的光学薄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39937T3 (es) * 1994-09-27 2000-02-16 Minnesota Mining & Mfg Pelicula de control de luminancia.
EP1003062B1 (en) 1998-06-05 2006-11-08 Seiko Epson Corporation Light source and display device
JP4357854B2 (ja) 2003-02-28 2009-11-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ターおよびこれを用いた有機elディスプレイ
WO2005086257A1 (en) 2004-02-09 2005-09-15 Toyota Industries Corp. Transflective display having full color oled blacklight
KR20070049211A (ko) * 2004-09-30 2007-05-10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JP4432863B2 (ja) 2005-09-05 2010-03-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及び電子機器
JP4793046B2 (ja) 2006-03-22 2011-10-12 ソニー株式会社 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
US7634715B2 (en) * 2006-05-05 2009-12-15 Google Inc. Effects applied to images in a browser
JP4384214B2 (ja) * 2007-09-27 2009-12-16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面発光素子,画像表示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100968886B1 (ko) 2008-10-14 2010-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기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KR101066755B1 (ko) 2009-06-18 2011-09-21 희성전자 주식회사 측면 조광형 백라이트 장치
KR20110051587A (ko) * 2009-11-10 2011-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플레이트 및 그 제조 방법
JP5561582B2 (ja) 2009-11-17 2014-07-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
KR101712088B1 (ko) * 2010-11-19 2017-03-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시트 및 그 제조 방법
US8692446B2 (en) 2011-03-17 2014-04-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LED light extraction films having nanoparticles and periodic structures
US8659221B2 (en) 2011-08-26 2014-02-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LED light extraction film with multi-periodic zones of nanostructures
JP5365726B2 (ja) * 2012-05-28 2013-12-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カラー立体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9128B2 (en) 2019-05-30 2023-12-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12303B2 (en) 2019-06-04
US20150028739A1 (en) 201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488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9293735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26350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0347858B2 (en)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621662B1 (ko)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US821224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a corner-cube pattern cover layer
TWI582980B (zh) 有機發光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KR10238128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00044692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40135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282997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2656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W201806141A (zh) 顯示裝置
CN1878438A (zh) 有机电致发光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2096887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2477259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1874448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KR20150012520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84736A (ko) 표시장치
KR102377173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40070142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40069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CN111009558A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2306600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974958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